KR102287647B1 - 교재검사 및 오답관리를 이용한 학습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교재검사 및 오답관리를 이용한 학습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7647B1
KR102287647B1 KR1020200135418A KR20200135418A KR102287647B1 KR 102287647 B1 KR102287647 B1 KR 102287647B1 KR 1020200135418 A KR1020200135418 A KR 1020200135418A KR 20200135418 A KR20200135418 A KR 20200135418A KR 102287647 B1 KR102287647 B1 KR 1022876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swer
learning
textbook
terminal
incorr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5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두용
Original Assignee
정두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두용 filed Critical 정두용
Priority to KR10202001354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76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76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76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06Q10/06398Performance of employee with respect to a job func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교재검사 및 오답관리를 이용한 학습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되며, 교재 리스트를 추가하고, 교재 리스트 내 포함된 교재 내 세부 챕터를 입력하며, 세부 챕터별 문제 유형인 객관식 또는 주관식을 선택한 후 문제, 보기 및 해설을 입력하는 관리자 단말, 교재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교재를 선택한 후, 교재 내 세부 챕터의 문제에 답안을 표시하면, 기 저장된 정답과 비교되어 오답여부를 표시하여 출력하며, 기 저장된 정답과 표시한 답안이 다른 오답이 누적된 결과를 원클릭으로 프린트 또는 저장하는 학습 단말 및 관리자 단말로부터 교재 리스트를 입력받고, 교재 내 세부 챕터와, 문제, 보기 및 해설을 포함하는 문항 데이터를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화하는 저장부, 학습 단말에서 어느 하나의 교재를 선택한 후 답안을 입력하면, 기 저장된 정답과 비교한 후 오답여부를 문제에 체크하여 학습 단말과 매핑되도록 저장하는 오답체크부, 학습 단말에서 오답 프린트 메뉴를 선택하는 경우 오답이 누적된 결과를 프린트 제어하며 정답 및 해설은 마지막 페이지에 배치되도록 하는 프린트부를 포함하는 학습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교재검사 및 오답관리를 이용한 학습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LEARNING MANAGEMENT SERVICE}
본 발명은 교재검사 및 오답관리를 이용한 학습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문제를 생성하는 교수자, 문제를 풀이하는 학습자 및 원생을 관리하는 운영자의 부담을 줄여주는 플랫폼을 제공한다.
교육 및 학습에서의 교육평가 활동의 목적은 교수 및 학습과정에 최대한 도움을 제공함으로써 학생의 학습과 교사의 교수 활동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것이다. 교육평가와 관련하여 오답노트에 관한 연구도 다수 이루어져 왔는데 성취도 검사 결과에 대한 학생들의 자기 평가 내용을 바탕으로 수학과 성취도 검사에서 오답을 유발하는 원인을 분류하고 그 구조를 분석하거나, 학습자가 직접 평가 문제를 생성할 수 있고, 심화 및 보충학습 기능을 통하여 학습을 보완할 수 있도록 하고, 오답노트 기능을 통하여 반복적인 평가가 가능하고, 자신의 평가에 대한 결과 분석과 학습 통계를 통하여 즉각적인 피드백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이때, 온라인 상에서 오답노트를 작성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플랫폼이 연구 및 개발되었는데,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등록특허 제10-1049896호(2011년07월19일 공고) 및 한국등록특허 제10-1720270호(2017년04월10일 공고)에는, 온라인을 통해 학습운영서버의 공부방으로 입장한 학생들에게 오프라인스케줄에 따라 학습진도에 맞는 과제문제와 그 답안을 제공하고, 학생이 온라인상으로 입력하는 문제풀이 결과를 분석하여 오답노트를 제공하며, 문제풀이 결과를 분석하여 제시하는 구성과, 복수의 단계로 구성된 복습 프로그램의 각 단계에 통과율을 설정하고,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복습 프로그램의 단계 수행 결과를 수신하고, 단계 수행 결과가 설정된 통과율에 미달인 경우 단계에 설정된 통과율을 조정하는 구성이 각각 개시되어 있다.
다만, 실제 학원가에서는 많은 문제를 강사 및 교수진이 직접 만들고 학생들에게 나눠주면서 풀도록 하고, 틀린 문제의 경우 다시 복습을 하도록 유도는 하고 있지만, 실제로 많은 학생들은 오답노트가 주는 효과를 알고 있으면서도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는 점 때문에 오답노트를 작성하지 않는다. 또, 학원에서는 각 학생별로 각 학생이 어떠한 문제를 틀렸고 어떠한 수업을 들으며 어느 정도의 진도를 나가고 있는 파악을 해야 하지만, 모두 오프라인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를 일일이 체크하기에는 인력과 시간의 낭비가 막대하다. 이에, 학원에서 자체적으로 만든 문제를 입력할 수 있고, 각 교재별로 오답을 별도로 체크할 수 있으면서도 학생의 진도 및 학업성취율을 피드백할 수 있는 플랫폼의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학원에서 수업하는 교재 및 이에 포함된 문제를 인터넷 페이지에 모두 입력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하고, 학생이 문제를 풀고 난 후 별도로 오답 노트를 작성하지 않아도 오답을 체크한 문제를 모아 회독수를 늘려가며 풀 수 있도록 하며, 학원에서 학생의 진도 및 학업성취율을 관리할 때에도 교재별 또는 월별로 리포트를 출력할 수 있어 학부모 및 학생 본인에게 피드백할 수 있도록 하고, 교수자의 학생에 대한 코멘트를 제공할 때에도 히스토리 로그로 문장이나 포맷을 정형화해놓은 후 학생의 데이터를 자동입력하는 방식으로 원클릭에 해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학생 및 교수자 모두 투자하는 시간 및 노력을 최소화하면서도 효과는 최대화할 수 있는, 교재검사 및 오답관리를 이용한 학습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교재 리스트를 추가하고, 교재 리스트 내 포함된 교재 내 세부 챕터를 입력하며, 세부 챕터별 문제 유형인 객관식 또는 주관식을 선택한 후 문제, 보기 및 해설을 입력하는 관리자 단말, 교재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교재를 선택한 후, 교재 내 세부 챕터의 문제에 답안을 표시하면, 기 저장된 정답과 비교되어 오답여부를 표시하여 출력하며, 기 저장된 정답과 표시한 답안이 다른 오답이 누적된 결과를 원클릭으로 프린트 또는 저장하는 학습 단말 및 관리자 단말로부터 교재 리스트를 입력받고, 교재 내 세부 챕터와, 문제, 보기 및 해설을 포함하는 문항 데이터를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화하는 저장부, 학습 단말에서 어느 하나의 교재를 선택한 후 답안을 입력하면, 기 저장된 정답과 비교한 후 오답여부를 문제에 체크하여 학습 단말과 매핑되도록 저장하는 오답체크부, 학습 단말에서 오답 프린트 메뉴를 선택하는 경우 오답이 누적된 결과를 프린트 제어하며 정답 및 해설은 마지막 페이지에 배치되도록 하는 프린트부를 포함하는 학습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학원에서 수업하는 교재 및 이에 포함된 문제를 인터넷 페이지에 모두 입력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하고, 학생이 문제를 풀고 난 후 별도로 오답 노트를 작성하지 않아도 오답을 체크한 문제를 모아 회독수를 늘려가며 풀 수 있도록 하며, 학원에서 학생의 진도 및 학업성취율을 관리할 때에도 교재별 또는 월별로 리포트를 출력할 수 있어 학부모 및 학생 본인에게 피드백할 수 있도록 하고, 교수자의 학생에 대한 코멘트를 제공할 때에도 히스토리 로그로 문장이나 포맷을 정형화해놓은 후 학생의 데이터를 자동입력하는 방식으로 원클릭에 해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학생 및 교수자 모두 투자하는 시간 및 노력을 최소화하면서도 효과는 최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재검사 및 오답관리를 이용한 학습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학습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재검사 및 오답관리를 이용한 학습 관리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재검사 및 오답관리를 이용한 학습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한편,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부'는 어드레싱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 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재검사 및 오답관리를 이용한 학습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교재검사 및 오답관리를 이용한 학습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의 학습 단말(100), 학습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적어도 하나의 교사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5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교재검사 및 오답관리를 이용한 학습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하여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학습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학습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학습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학습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교사 단말(400),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50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교사 단말(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학습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5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학습 단말(100), 학습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 및 적어도 하나의 교사 단말(400)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망의 일례에는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5GPP(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RF(Radio Frequency),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Near-Field Communication)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학습 단말(100)은, 교재검사 및 오답관리를 이용한 학습 관리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학습을 하는 학생의 단말일 수 있다. 이때, 학습 단말(100)의 학생은 자신이 수강하고 있는 수업을 선택하고, 각 수업에서 교사 단말(400)에서 업로드한 교재 내 문제를 풀고 그 결과를 학습 관리 서비스 페이지에 체크한 후, 정답 여부를 확인하는 단말일 수 있다. 이때, 학생은 자신이 별도로 오답으로 체크한 문제를 모을 필요가 없고, 학습 단말(100)에서 학습 관리 서비스 페이지에 접속하여 메뉴를 이용하면 오답노트가 자동으로 만들어진다. 학습 단말(100)은, 다양한 메뉴를 이용하여 한 번에 묶어 프린트하거나 출력할 수 있다. 또, 학습 단말(100)은 교사 단말(400)로부터 수업 또는 학습에 대한 코멘트를 받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학습 단말(100)에서 학부모 단말(미도시)을 등록한 경우, 학부모 단말에서도 학생의 학업성취율이나 교사의 코멘트 등의 피드백을 받을 수도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학습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학습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학습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학습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교재검사 및 오답관리를 이용한 학습 관리 서비스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학습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관리자 단말(500)로부터 각 수업 내 교재를 추가받고, 각 교재 내 세부 챕터를 입력받은 후, 세부 챕터 내 문제를 유형별로 입력받아 저장하는 서버일 수 있다. 수업이 상위 메뉴이고, 수업의 하부 메뉴에 교재가 존재하고, 교재의 하위 메뉴에 세부 챕터가 포함되는 구조이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학습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교사 단말(400)을 등록하고, 각 교사 단말(400)에 학생을 수업별로 할당하며, 코멘트를 작성할 때 기 저장된 문장을 이용하도록 평가예문을 저장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학습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학습 단말(100)에서 교재를 선택하여 문제를 푸는 경우 정답여부를 체크하고 오답으로 체크한 문제를 식별하도록 태그나 메타데이터를 태깅해두는 서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학습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학습 단말(100)에서 이후 오답노트를 만들고 관리할 때 어느 학생이 어떠한 문제를 틀렸는지를 식별하도록 하는 서버일 수 있다.
여기서, 학습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교사 단말(400)은, 교재검사 및 오답관리를 이용한 학습 관리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교수자, 강사, 선생님 및/또는 교사의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교사 단말(400)은, 각 학생별로 코멘트를 작성할 때 평가예문을 이용하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교사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교사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교사 단말(4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500)은, 교재검사 및 오답관리를 이용한 학습 관리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교재를 추가하고 교재 내 세부 챕터를 입력하며, 세부 챕터 내 문제를 유형별, 즉 주관식 또는 객관식으로 입력하고, 객관식인 경우 보기를 입력하며, 문제에 대한 해설도 입력하는 단말일 수 있다. 이때, 교사가 직접 문제를 만들거나 하는 경우에는 관리자 단말(500)의 프로세스를 교사 단말(400)에서 수행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5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5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5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학습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재검사 및 오답관리를 이용한 학습 관리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학습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저장부(310), 오답체크부(320), 프린트부(330), 평가예문관리부(340) 및 회차별오답관리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나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적어도 하나의 학습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교사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500)로 교재검사 및 오답관리를 이용한 학습 관리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학습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교사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500)은, 교재검사 및 오답관리를 이용한 학습 관리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적어도 하나의 학습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교사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5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저장부(310)는, 관리자 단말(500)로부터 교재 리스트를 입력받고, 교재 내 세부 챕터와, 문제, 보기 및 해설을 포함하는 문항 데이터를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화 할 수 있다. 이때, 관리자 단말(500)는, 교재 리스트를 추가하고, 교재 리스트 내 포함된 교재 내 세부 챕터를 입력하며, 세부 챕터별 문제 유형인 객관식 또는 주관식을 선택한 후 문제, 보기 및 해설을 입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이지는 크게 두 가지 페이지로 나뉘어진다. 하나는 관리자 페이지이고, 다른 하나는 사용자 페이지이다. 사용자 페이지의 경우 학습센터라 명명되기도 하는데, 사용자 페이지는 다시 학습 단말(100)이 문제를 풀고 오답노트를 정리하는 페이지와, 교사 단말(400)이 학생에게 코멘트를 주고 통계를 조회하거나 리포트를 출력할 때 이용하는 페이지로 나뉘어진다. 저장부(310)에서 문제를 저장하는 페이지는 관리자 페이지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관리자 페이지에서 상단 교재관리 메뉴로 들어가게 되면 기 저장된 교재리스트가 출력되고, 여기에 관리자 단말(500)은 입력할 교재를 추가하고, 도 3b를 참조하면, 교재명, 시험회차, 관리자메모, 교재 페이지 등을 선택한 후, 교재 이미지를 삽입할 수도 있고, 도 3b의 세부 챕터를 입력할 수도 있으며, 세부 챕터에 들어가면 각 문제를 입력할 수 있는 편집툴이 도 3c와 같이 나타난다. 편집툴은 HTML이나 EDITOR 모드 또는 TEXT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문제, 예제, 보기, 정답 및 해설을 모두 입력하고 나면 1 개의 문제가 완성된다. 초기에는 관리자 단말(500)에서 입력을 모두 할 때까지에는 문제의 양이 적겠지만, 시간이 흐르고 교사들이 만든 문제 등이 누적되는 경우 상당한 양의 문제가 쌓일 수 있고 문제은행과 같은 문제집을 만들 만한 데이터베이스가 만들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각 문제에는 몇 학 년용 문제인지, 어느 과정이나 레벨의 문제인지, 난이도는 어떻게 되는지에 대하여 식별할 수 있도록 태그나 구분자 등을 더 입력을 할 수도 있다. 또, 후술하겠지만, 학습 단말(100)에서 문제를 푼 결과에 대해서도 데이터가 누적되기 때문에, 유사한 실력의 학생들이 자주 틀리는 문제가 무엇인지에 대해서도 집단지성형 클라우드처럼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될 수 있다. 대부분의 오답노트는 대부분 개인적인 용도, 즉 고립형으로 사용되지만, 클라우드 개념을 이용하면 학습능력 수준이 낮은 학습자들에게는 자신과 동일한 유형의 학습자들의 첨삭노트를 공유하도록 설계할 수 있고, 학습능력 수준이 높은 학습자들도 다른 학습자들의 첨삭노트를 공유할 수 있다.
제임스 서로위키의 ‘특정 조건에서 집단은 집단 내부의 가장 우수한 개체보다 지능적’이라는 말을 이용하여 모델링에 적용한 것이다. 아무리 학습능력이 우수한 학습자라도 분명 모르는 부분이 존재한다. 이때 집단의 지성을 공유한다면 보다 쉽게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학습자들이 문제을 풀이할 때, 내부 환경 정보를 선택하여 풀이를 하게 되면, 내부 환경과 외부 환경을 통하여 유형 분석이 이루어진다.
문제에 대한 유형에 따라 공유되며, 학습자들은 선별적으로 다른 유형의 학습자들의 첨삭노트도 공유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문제를 푸는 학습 단말(100)로부터 답안을 제출하기 전에 학습자의 내부 환경(문제에 대한 의문 여부)에 대한 정보를 같이 제출하도록 한다. 체크상자의 의문은 학습자가 문제에 대하여 재학습이 필요할 경우 또는 문제에 대하여 정확하게 이해하지 못하고 풀이하였을 경우 체크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학습자의 내부 환경(문제에 대한 의문 여부)과 문제에 대한 답안을 이용하여 유형 분석을 한다. 또, 문제에 대한 정답여부를 확인하고, 학습자의 의문 체크 입력 여부를 확인하는데, 내부 환경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학습자의 유형을 구분할 수 있다. 결정된 학습자 유형 정보들은 문제 관리 모듈에 저장되어 문제에 대한 학습자 유형 정보를 함께 저장하게 된다.
유형 분석 과정을 거친 후에는 학습자에게 정답확인 및 정답 해설을 제공한다. 문제에 대한 정답과 학습자가 제출한 응답항목을 학습자에게 보여주고, 문제에 대한 개별 학습자의 유형 정보를 보여준다. 개인별 오답노트를 입력할 수 있고, 다른 학습자의 오답노트를 참조할 수도 있다. 교사가 개인별 오답노트를 확인 한 후, 첨삭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교사의 첨삭 유무에 따른 정보를 보여주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다른 학습자가 얼마나 많이 참조하였는지에 대한 정보는 학습자들의 추천을 통하여 추천 정보를 보여주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다시 도 2로 돌아와서, 오답체크부(320)는, 학습 단말(100)에서 어느 하나의 교재를 선택한 후 답안을 입력하면, 기 저장된 정답과 비교한 후 오답여부를 문제에 체크하여 학습 단말(100)과 매핑되도록 저장할 수 있다. 학습 단말(100)은, 교재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교재를 선택한 후, 교재 내 세부 챕터의 문제에 답안을 표시하면, 기 저장된 정답과 비교되어 오답여부를 표시하여 출력하며, 기 저장된 정답과 표시한 답안이 다른 오답이 누적된 결과를 원클릭으로 프린트 또는 저장할 수 있다.
프린트부(330)는, 학습 단말(100)에서 오답 프린트 메뉴를 선택하는 경우 오답이 누적된 결과를 프린트 제어하며 정답 및 해설은 마지막 페이지에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오답을 제출한 문제만을 추출하여 페이지를 구성하고 프린트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학생이 한 문제씩 오려서 오답노트를 구성하는 수고를 덜 수 있다.
한편, 교사 단말(400)은, 학습센터 내 학습관리 메뉴에서 학습 단말(100)을 등록하고, 학습 단말(100)에서 학습한 결과를 월별레포트 또는 교재별레포트 메뉴를 선택하여 출력하며, 출력된 화면 상 교사 코멘트 박스란에 학습결과에 대한 평가를 입력할 수 있다. 월별레포트는 한 달을 주기로 학습 단말(100)에서 선택하여 진행중인 교재, 교재의 진행률, 교재 내 문제를 푼 결과인 오답률, 오답체크 여부를 확인하는 오답진행여부가 표시될 수 있다. 월별레포트 내 학습분석 그래프는, 학습 단말(100)에서 체크한 답안의 오답률과 다른 학습 단말(100)에서 체크한 답안의 오답률을 비교한 그래프이고, 교재별로 표시될 수 있다. 또, 교재별레포트는, 학습 단말(100)에서 교재별로 진행률, 정답률 및 오답진행 여부가 표시되고, 교재별레포트 내 학습분석 그래프는, 학습 단말(100)에서 체크한 답안의 정답률과 다른 학습 단말(100)에서 체크한 답안의 정답률을 비교한 그래프일 수 있다.
평가예문관리부(340)는, 학습자에게 제공되는 피드백 메세지 내 평가 코멘트를 누적시켜 평가예문으로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평가 코멘트의 세팅은 관리자 페이지에서 가능할 수 있다. 평가 코멘트 또한 유형별로 나뉘어서 포맷화되어 저장될 수 있고, 학생별로 서로 다른 숫자나 데이터만을 넣는 방식으로 코멘트를 작성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 또, 각 교사 단말(400)에서 자주 쓰는 코멘트를 유형화하여 분류 및 저장함으로써 다른 교사도 이를 참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평가예문관리부(340)는, 학습자별로 수업관리를 위한 수업관리 메뉴에 포함된 수업 코멘트 박스에 코멘트를 입력받을 때, 평가예문 중 어느 하나가 지정된 경우, 수업 메세지 버튼을 클릭하는 원클릭으로 수업 코멘트 박스에 지정된 평가예문이 자동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회차별오답관리부(350)는, 학습 단말(100)에서 선택한 교재 내 문제를 적어도 한 회 이상 푸는 경우, 푼 횟수에 대응하는 시험회차별 오답 개수를 학습자의 수업관리 메뉴에 교재 리스트와 함께 리스트업하여 출력할 수 있다. 대부분 한 권의 문제집을 풀더라도 한 번만 풀면 안되고 틀린 문제를 체크하여 다시 회독수를 늘려가며 반복을 해야 틀린 문제를 또 틀리는 실수를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차를 늘려가며 반복하도록 하되, 각 회차에서 어떠한 문제를 틀리는지를 체크하고, 계속하여 틀린 문제를 추출하거나, 마지막에 틀린 문제를 추출함으로써 시험 직전에 자신이 모르는 부분만을 효율적으로 복습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상술한 도 2의 학습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에 따른 동작 과정을 도 3 및 도 4를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관리자 페이지>
도 3a 내지 도 3d는 관리자 단말(500)에서 실행되는 관리자 페이지이다. 관리자 모드로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관리자 페이지에 엑세스하면 도 3a와 같은 페이지가 출력된다. 이때 상단 메뉴 중 교재 관리 메뉴를 선택하는 경우, 이하와 같은 교재리스트, 즉 다른 관리자 또는 해당 관리자가 입력했던 교재의 목록이 출력된다. 여기서, 관리자 단말(500)은, 교재를 더 추가할 수 있고, 도 3b와 같이 기본정보 내에 교재명, 시험회차, 관리자메모 등을 입력할 수 있고, 교재별 세부 챕터를 입력할 수 있다. 또 도 3c와 같이 세부 챕터별 문제를 입력할 수 있고, 그 편집툴은 도 3d와 같다. 문제는 객관식 또는 주관식으로 구분할 수 있고, 객관식 보기를 입력할 때 정답 박스를 체크하면 해당 보기가 정답인 것이므로 별도로 정답을 입력하지 않아도 된다. 이때, 해설란에도 해설을 입력할 수 있다. 이렇게 1 개의 문제가 만들어지면 [문제-예제-보기]의 내용이 기 설정된 레이아웃 내에 자동삽입되어 문제가 자동생성된다. 즉 페이지 내에 편집을 하지 않아도 각 문제가 레이아웃 내 프레임에 자동으로 위치된다.
<사용자 페이지_교수자>
교사 단말(400)은 교사의 아이디 및 비밀번호로 서비스 페이지에 로그인하면, 도 4a와 같은 페이지가 출력된다. 이때, 교사 단말(400)과 관리자 단말(500)이 동일한 단말일 수도 있다. 여기서, 학생등록 버튼을 선택하면 학원 또는 교습소의 원생을 등록할 수 있고, 각 학생별로 상태, 학생명, 성별, 이메일, 연락처, 보호자 연락처, 가입일, 월별레포트, 교재별레포트 및 관리 상황을 볼 수 있다. 도 4a에서 월별레포트를 선택하면 도 4b와 같이 선택된 학생의 진행중인 교재, 진행률, 오답률, 오답 진행 여부 등을 한 눈에 알 수 있다. 또, 학습분석 그래프는 현재 선택된 학생의 오답률과 학생을 제외한 해당 교재를 사용하는 다른 학생들의 오답률을 비교하여 보여준다. 월별레포트는 학생이 한 달간 진행했던 공부 내용에 대한 평가지이다. 이때 교사 단말(400)은 코멘트를 입력할 수 있다. 도 4c를 참조하면 교재별레포트는 해당 수업에서 교재의 진도를 모두 끝냈을 때 교재를 푼 학생의 학업성취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구성된다. 이때 출력되는 데이터들은 월별레포트와 대부분 동일하나 오답률이 정답률로 변경되는 것이 다르다.
<사용자 페이지_학습자>
도 4d부터는 학습 단말(100)에서 정답을 체크하는 부분도 존재하므로 학습자를 기준으로 설명하나 교사 단말(400)에서 이용할 수도 있음을 명확히 한다. 도 4d를 참조하면, 교사 단말(400)은 수업관리 메뉴에서 각 학생별로 진행중인 수업교재를 등록할 수 있다. 이때, 학습 단말(100)은 문제를 푼 결과에 대해 도 4e와 같이 "정답등록" 버튼을 눌러 답안을 제출한다. 여기서, "정답등록"이란 학생이 자신이 생각하는 답변을 기재하는 것이지 실제로 문제의 정답을 등록하는 것이 아니다. 이 정답등록을 학생이 할 수도 있고, 교사가 학생들의 시험결과를 일일이 수기로 입력할 수도 있다. 이렇게 정답등록을 해서 학생이 자신의 답변을 입력하면, 바로 채점이 되어 출력된다. 어느 문제는 오답이고 어느 문제는 맞췄는지를 한 번에 알 수 있도록 문제 상 적색 아이콘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오답 프린트 버튼으로 오답인 문제만 모아서 프린트할 수도 있고 해당 버튼을 누르면 바로 도 4f의 페이지가 출력된다.
"정답등록" 버튼을 누르면 도 4g와 같이 학습 단말(100)에서 각 문제별 번호에 보기를 선택하여 답안을 제출하도록 한다. 답안을 제출하면 도 4h와 같이 오답인 문제에는 보기에『√』표시로 정답을 표시하고『×』표시로 학생이 제출한 답안을 표시해준다. 자신이 어떤 것을 선택했고 정답은 무엇인지를 한 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4i는 교사 단말(400)에서 자주 쓰는 평가예문을 저장해두는 화면이다. 이렇게 평가예문을 저장해두면, 매일 학생의 일과를 보고해야 하는 교사의 일이 줄어들게 된다. 학원에서 학생이 당일 학습한 후 카카오톡 1:1 피드백이 진행되는 시스템을 가진 경우, 때문에 멘트들을 매번 다르게 보내야 하고, 알차게 보내는 것이 굉장히 중요한데, 여러 가지 멘트들을 사전에 등록해두고 원클릭으로 복사하여 붙여 넣을 수 있도록 설계한다. 도 4j에서 수업메세지 버튼을 클릭한 경우 예를 들어,“오늘 중1C_문법을 진행되었고 결과는 1회차 오답16개, 2회차 오답0개, 3회차 오답0개, 4회차 오답0개, 5회차 오답0개입니다. 틀린문항 모두 꼼꼼하게 오답풀이 완료하였습니다.”멘트가 복사되어 입력된다. 각 학생의 오답 정보는 이미 데이터화되어 저장되었으므로 교사들은 이 멘트를 선택만 하면 되기 때문에 업무 부담이 줄어든다.
이와 같은 도 2 내지 도 4의 교재검사 및 오답관리를 이용한 학습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교재검사 및 오답관리를 이용한 학습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교재검사 및 오답관리를 이용한 학습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5를 통해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5를 참조하면, 학습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는, 관리자 단말로부터 교재 리스트를 입력받고, 교재 내 세부 챕터와, 문제, 보기 및 해설을 포함하는 문항 데이터를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화한다(S5100).
그리고, 학습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는, 학습 단말에서 어느 하나의 교재를 선택한 후 답안을 입력하면, 기 저장된 정답과 비교한 후 오답여부를 문제에 체크하여 학습 단말과 매핑되도록 저장한다(S5200).
또, 학습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는, 학습 단말에서 오답 프린트 메뉴를 선택하는 경우 오답이 누적된 결과를 프린트 제어하며 정답 및 해설은 마지막 페이지에 배치되도록 한다(S5300).
상술한 단계들(S5100~S530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5100~S530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도 5의 교재검사 및 오답관리를 이용한 학습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교재검사 및 오답관리를 이용한 학습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를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교재검사 및 오답관리를 이용한 학습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재검사 및 오답관리를 이용한 학습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재검사 및 오답관리를 이용한 학습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교재 리스트를 추가하고, 상기 교재 리스트 내 포함된 교재 내 세부 챕터를 입력하며, 세부 챕터별 문제 유형인 객관식 또는 주관식을 선택한 후 문제, 보기 및 해설을 입력하는 관리자 단말;
    상기 교재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교재를 선택한 후, 상기 교재 내 세부 챕터의 문제에 답안을 표시하면, 기 저장된 정답과 비교되어 오답여부를 표시하여 출력하며, 상기 기 저장된 정답과 표시한 답안이 다른 오답이 누적된 결과를 원클릭으로 프린트 또는 저장하는 학습 단말; 및
    상기 관리자 단말로부터 상기 교재 리스트를 입력받고, 상기 교재 내 세부 챕터와, 상기 문제, 보기 및 해설을 포함하는 문항 데이터를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화하는 저장부, 상기 학습 단말에서 어느 하나의 교재를 선택한 후 답안을 입력하면, 기 저장된 정답과 비교한 후 오답여부를 문제에 체크하여 상기 학습 단말과 매핑되도록 저장하는 오답체크부, 상기 학습 단말에서 오답 프린트 메뉴를 선택하는 경우 오답이 누적된 결과를 프린트 제어하며 정답 및 해설은 마지막 페이지에 배치되도록 하는 프린트부를 포함하는 학습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
    학습센터 내 학습관리 메뉴에서 상기 학습 단말을 등록하고, 상기 학습 단말에서 학습한 결과를 월별레포트 또는 교재별레포트 메뉴를 선택하여 출력하며, 상기 출력된 화면 상 교사 코멘트 박스란에 학습결과에 대한 평가를 입력하는 교사 단말;
    을 포함하되,
    상기 학습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는,
    학습자에게 제공되는 피드백 메세지 내 평가 코멘트를 누적시켜 평가예문으로 저장 및 관리하는 평가예문관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평가예문관리부는,
    학습자별로 수업관리를 위한 수업관리 메뉴에 포함된 수업 코멘트 박스에 코멘트를 입력받을 때, 상기 평가예문 중 어느 하나가 지정된 경우, 수업 메세지 버튼을 클릭하는 원클릭으로 상기 수업 코멘트 박스에 지정된 평가예문이 자동삽입되도록 하고,
    상기 월별레포트는 한 달을 주기로 상기 학습 단말에서 선택하여 진행중인 교재, 상기 교재의 진행률, 상기 교재 내 문제를 푼 결과인 오답률, 오답체크 여부를 확인하는 오답진행여부가 표시되고,
    상기 월별레포트 내 학습분석 그래프는, 상기 학습 단말에서 체크한 답안의 오답률과 다른 학습 단말에서 체크한 답안의 오답률을 비교한 그래프이고, 교재별로 표시되며,
    상기 교재별레포트는, 상기 학습 단말에서 교재별로 진행률, 정답률 및 오답진행 여부가 표시되고,
    상기 교재별레포트 내 학습분석 그래프는, 상기 학습 단말에서 체크한 답안의 정답률과 다른 학습 단말에서 체크한 답안의 정답률을 비교한 그래프이며,
    상기 학습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학습 단말에서 선택한 교재 내 문제를 적어도 한 회 이상 푸는 경우, 푼 횟수에 대응하는 시험회차별 오답 개수를 학습자의 수업관리 메뉴에 교재 리스트와 함께 리스트업하여 출력하는 회차별오답관리부;
    를 더 포함하는 교재검사 및 오답관리를 이용한 학습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200135418A 2020-10-19 2020-10-19 교재검사 및 오답관리를 이용한 학습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2876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5418A KR102287647B1 (ko) 2020-10-19 2020-10-19 교재검사 및 오답관리를 이용한 학습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5418A KR102287647B1 (ko) 2020-10-19 2020-10-19 교재검사 및 오답관리를 이용한 학습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7647B1 true KR102287647B1 (ko) 2021-08-10

Family

ID=77316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5418A KR102287647B1 (ko) 2020-10-19 2020-10-19 교재검사 및 오답관리를 이용한 학습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764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9322B1 (ko) * 2022-02-15 2022-10-04 주식회사 인피닉 어노테이션 작업에 대한 피드백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9977A (ko) * 2010-03-03 2011-09-09 주식회사 지식과미래 온라인 강의에 기반한 오답노트 제공 시스템
KR101275146B1 (ko) * 2012-06-18 2013-06-17 주식회사 탑스에듀 서술형 답안 평가를 위한 자동 채점 및 첨삭문 생성 방법
KR20140041625A (ko) * 2014-01-29 2014-04-04 금훈섭 반복학습장치 및 방법
KR20140082560A (ko) * 2012-12-24 2014-07-02 주식회사 테라클 학습 컨텐츠 관리 방법 및 장치
JP2018163205A (ja) * 2017-03-24 2018-10-1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学習支援装置及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9977A (ko) * 2010-03-03 2011-09-09 주식회사 지식과미래 온라인 강의에 기반한 오답노트 제공 시스템
KR101275146B1 (ko) * 2012-06-18 2013-06-17 주식회사 탑스에듀 서술형 답안 평가를 위한 자동 채점 및 첨삭문 생성 방법
KR20140082560A (ko) * 2012-12-24 2014-07-02 주식회사 테라클 학습 컨텐츠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140041625A (ko) * 2014-01-29 2014-04-04 금훈섭 반복학습장치 및 방법
JP2018163205A (ja) * 2017-03-24 2018-10-1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学習支援装置及びプログラ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9322B1 (ko) * 2022-02-15 2022-10-04 주식회사 인피닉 어노테이션 작업에 대한 피드백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stein School, family, and community partnerships in teachers’ professional work
O'Dowd The training and accreditation of teachers for English medium instruction: An overview of practice in European universities
Bin Abdulrahman The current status of medical education in the Gulf Cooperation Council countries
US20080241812A1 (en) Learning system
Qaddumi et al. Evaluating the impact of ICT on teaching and learning: A study of Palestinian students’ and teachers’ perceptions
Sezer et al. Looking at the impact of the flipped classroom model in medical education
US20130111363A1 (en) Educator Effectiveness
Dai et al. Mobile Chinese students navigating between fields:(Trans) forming habitus in transnational articulation programmes?
Abdigapbarova et al. Organization of student-centered learning within the professional training of a future teacher in a digital environment
Hopwood Research design and methods of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Researching students' conceptions in a multiple‐method case study
Lam Enacting feedback utilization from a task-specific perspective
JP2011118292A (ja) eラーニングシステム
Dalvi et al. Identifying pre-service teachers’ conceptions about the NGSS practices using a Curriculum Critique and Revision (CCR) Task
Goodwin et al. Taking stock and effecting change: curriculum evaluation through a review of course syllabi
Orr Developing a campus academic integrity education seminar
Immekus Flipping statistics courses in graduate education: Integration of cognitive psychology and technology
Collier et al. Test review: Texas English language proficiency assessment system (TELPAS)
KR102287647B1 (ko) 교재검사 및 오답관리를 이용한 학습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Hattie et al. Formative evaluation of an educational assessment technology innovation: Developers’ insights into Assessment Tools for Teaching and Learning (asTTle)
KR102035746B1 (ko) 스마트러닝 시스템 기반 생계형 학원 및 지역 학생 간을 연계하는 교육 o2o 서비스 제공 방법
JP2005182272A (ja) 個別指導管理システム、システム用のプログラム、システム用の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の記録媒体
Barri What makes web-enhanced learning successful: four key elements
Mutton et al. Mentor skills in a new context: Working with trainee teachers to develop the us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in their subject teaching
WO2023106303A1 (ja)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ユーザ端末、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Gaba* et al. Course evaluation in open and distance learning: A case study from Indira Gandhi National Open Univers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