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5882A - 유아시설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유아시설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5882A
KR20170025882A KR1020150122960A KR20150122960A KR20170025882A KR 20170025882 A KR20170025882 A KR 20170025882A KR 1020150122960 A KR1020150122960 A KR 1020150122960A KR 20150122960 A KR20150122960 A KR 20150122960A KR 20170025882 A KR20170025882 A KR 201700258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arents
terminal
parent
chi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2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민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더블유키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더블유키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더블유키즈
Priority to KR10201501229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25882A/ko
Publication of KR201700258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58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08B21/0208Combination with audio or video communication, e.g. combination with "baby phone" func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41Data exchange details, e.g. data protocol
    • G08B21/0258System arrangements wherein both parent and child units can emit and receiv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3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he direction in which child or item is located

Landscapes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아시설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학부모와 유아시설 상호간 커뮤니케이션을 활성화하고 학부모가 자녀의 유아시설에서의 생활을 밀접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동시에 학부모가 유아시설에 있는 자녀에 대한 소중한 순간의 모습을 촬영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유아시설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학부모가 자신의 단말을 통해 유아시설에 있는 자녀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자녀의 생활을 더 밀접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동시에 영상에 표시된 자녀의 다양한 모습 중에서 학부모가 원하는 순간의 자녀 모습을 원격에서 편리하게 캡처하여 사진으로 남길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유아시설에 대해서는 자녀의 생활을 학부모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학부모에 대해서는 자녀의 소중한 순간에 대한 기록을 유아시설에 요청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유아시설과 학부모간 커뮤니케이션을 활성화시키고 유아시설과 학부모의 원아에 대한 상호 모니터링이 이루어져 유아시설에 대한 신뢰도 뿐만 아니라 유아시설과 학부모의 자녀 관리에 대한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유아시설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method for kindergarten}
본 발명은 유아시설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학부모와 유아시설 상호간 커뮤니케이션을 활성화하고 학부모가 자녀의 유아시설에서의 생활을 밀접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동시에 학부모가 유아시설에 있는 자녀에 대한 소중한 순간의 모습을 촬영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유아시설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어린이집과 유치원을 포함하는 유아시설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맞벌이 가정의 증가에 따라 유아시설에 전적으로 자녀를 위탁하는 부모들은 외부에서 자녀의 행동상태와 유아원의 업무 상태를 원하는 시점에 언제나 확인하여 자녀를 관리하고자 하는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일부의 유아시설만이 홈페이지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으며, 이러한 홈페이지 서비스마저도 유아시설의 근무자가 교실에 속한 다수의 자녀들의 사진을 촬영한후 홈페이지에 업로드하여 홈페이지를 통해 학부모에게 자녀의 사진을 제공하는 서비스에 그치므로, 실시간으로 자녀를 관리하고자 하는 학부모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현재 대부분의 유아시설은 운영하는 홈페이지 서비스는 근무자 위주로 접근이 제한되어 있으므로, 기존 서비스는 부모와 유아시설 사이의 커뮤니케이션을 상당히 제한하는 문제가 있다.
결국, 유아 시설에 다니는 자녀를 가진 부모로서 유아시설의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에 상당한 불편함을 느끼고 있으며, 또한 기존 서비스는 근무자에 의해 촬영된 사진만이 제공되므로 부모가 원하는 자녀의 다양한 모습 또는 특정 순간의 모습에 대한 사진을 얻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유아시설과 학부모를 위한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제공하여 학부모와 유아시설 상호간의 커뮤니케이션을 활성화하고, 유아시설에 근무하는 근무자 및 학부모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지원하는 시스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2-0073896호
본 발명은 유아원 및 유치원과 같은 유아시설에 위탁된 자녀에 대한 영상을 학부모가 원거리에서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동시에 영상 중에서 학부모가 원하는 순간을 캡처하여 생성된 사진을 학부모에 대응되어 등록된 자녀의 폴더에 자동 저장되도록 하여 학부모가 원하는 자녀의 사진을 얻을 수 있도록 제공함으로써 학부모가 자녀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동시에 학부모가 원하는 자녀에 대한 소중한 순간을 편리하게 기록할 수 있도록 제공하여 유아시설과 학부모간의 커뮤니케이션을 보장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아시설에 다니는 원아를 등록하고, 근무자가 사진등록, 사진 분류, 공지사항, 원아수첩, 식단, 일정 등의 정보를 근무자가 소지한 단말기에서 편리하게 작성하고 관리 가능하도록 제공하는 동시에 작성된 모든 내용을 등록된 원아에 대응되는 학부모의 단말기로 제공하여 자녀의 생활을 더 밀접하게 확인이 가능하도록 제공하여, 근무자 및 학부모의 원아 또는 자녀 관리에 대한 편의성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은 학부모가 자신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실제 유아 시설을 운영하고 있는 원장 및 선생님을 포함하는 근무자에게 불편사항, 시스템의 문제점, 개선사항, 필요한 기능들을 건의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근무자가 해당 건의 사항을 직접 확인 후 기획에 반영할 수 있도록 제공하여, 유아시설의 근무자와 학부모간 커뮤니케이션을 활성화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시설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유아시설의 미리 지정된 복수의 장소에 설치된 복수의 카메라와 연결되어 각 카메라로부터 제공되는 영상을 제공하는 영상 제공 장치와 연결되며, 상기 각 장소에 대한 위치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학부모 단말로부터 수신된 영상 요청정보를 기초로 영상 요청정보에 대응되는 장소에 설치된 상기 카메라의 영상을 상기 영상 제공 장치와 연동하여 선별 제공하는 유아시설 관리 장치 및 상기 유아시설에 등록된 원아를 위탁한 상기 학부모의 학부모 단말에 구성되며, 상기 각 장소에 대한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장소 리스트 정보를 상기 유아시설 관리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장소 리스트 정보를 기초로 학부모의 선택에 따라 선택된 장소 또는 상기 학부모에 대응되는 원아의 상기 원아정보에 등록된 장소에 대한 영상을 요청하기 위한 영상 요청정보를 상기 유아시설 관리 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영상 요청정보에 포함된 학부모 식별정보 또는 위치정보에 대응되어 상기 유아시설 관리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을 상기 학부모 단말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며, 상기 영상에서 상기 학부모의 입력에 따른 특정 프레임에 대한 캡처 신호를 상기 유아시설 관리 장치로 전송하는 어플리케이션부를 포함하되, 상기 유아시설 관리 장치는 상기 캡처 신호에 대응되는 프레임을 캡처(capture)하여 사진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캡처 신호를 전송한 학부모 단말에 대응되는 상기 원아정보에 상기 사진정보를 매칭하여 자동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유아시설 관리 장치는 상기 영상 요청정보 수신시 미리 등록된 원장 단말로 상기 영상 요청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원장 단말로부터 상기 영상 요청정보에 대응되어 수신된 영상 허용정보를 기초로 상기 영상 요청정보를 전송한 학부모의 단말로 상기 영상 요청정보에 대응되는 영상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유아시설에 대응되어 미리 등록된 하나 이상의 근무자 각각에 대응되는 각 근무자 단말로 상기 유아시설에 대한 홈페이지 관련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각 근무자 단말에 대하여 상기 홈페이지를 통해 상기 근무자에 대응되어 미리 등록된 복수의 원아정보를 상기 근무자 단말로 제공하며, 상기 근무자 단말로부터 각 원아정보에 대응되어 수신되는 원아별 상태정보 및 원아별 사진정보를 포함하는 원아 수첩정보를 원아별로 상기 홈페이지에 등록하고 상기 학부모 단말의 어플리케이션부로 상기 원아 수첩 정보를 포함하는 홈페이지 관련 정보를 전송하는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제공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제공 장치는 상기 유아시설 관리 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홈페이지를 통해 상기 장소 리스트 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홈페이지를 통해 상기 학부모 단말로부터 수신된 영상 요청정보를 상기 유아시설 관리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영상 요청정보에 따른 장소에 대응되는 카메라의 영상을 상기 유아시설 관리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홈페이지를 통해 상기 학부모 단말의 어플리케이션부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제공 장치는 상기 유아시설 관리 장치와 연동하여 상기 영상에서 상기 학부모 단말의 어플리케이션부로부터 수신된 캡처 신호에 대응되는 프레임을 캡처하여 사진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원아 수첩정보에 포함시켜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제공 장치는 상기 근무자 단말 또는 원장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식단정보, 공지사항 정보 및 일정정보를 상기 홈페이지에 등록하여 이에 따른 홈페이지 관련 정보를 상기 학부모 단말로 전송하며, 상기 학부모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건의사항 정보 또는 질문정보를 상기 홈페이지를 통해 제공되는 게시판에 등록하고, 상기 게시판을 통해 상기 근무자 단말 또는 원장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응답정보를 등록하여 이에 따른 홈페이지 관련 정보를 상기 근무자 단말, 원장 단말 및 학부모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유아시설 관리 장치 및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제공 장치는 하나의 서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제공 장치는 서로 다른 복수의 유아시설에 각각 구성되는 서로 다른 상기 각 유아시설 관리 장치와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며, 상기 각 유아시설에 대응되는 홈페이지 관련 정보, 위치정보 및 광고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학부모 단말의 어플리케이션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제공 장치는 상기 각 유아시설에 대한 유아시설 정보를 제공하며, 각 유아시설의 위치에 대한 위치정보를 미리 설정된 지도정보에 표시하여 상기 학부모 단말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시설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은 유아시설에 등록된 원아를 위탁한 학부모 단말에 구성된 어플리케이션부가 상기 유아시설의 상기 각 장소 목록에 대한 장소 리스트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장소 리스트 정보에서 학부모의 선택에 따라 선택된 장소 또는 상기 원아가 위치하는 장소에 대한 영상을 요청하기 위한 영상 요청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학부모 단말을 통해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유아시설의 미리 지정된 복수의 장소에 설치된 복수의 카메라와 연결되어 각 카메라로부터 제공되는 영상을 관리하는 영상 제공 장치와 연결되며, 상기 각 장소에 대응되는 위치정보 및 미리 등록된 각 원아에 대한 원아정보를 저장하는 유아시설 관리 장치가 상기 학부모 단말로부터 상기 영상 요청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영상 요청정보에 포함된 위치정보에 대응되는 장소 또는 상기 영상 요청정보에 따른 학부모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원아정보에 등록된 장소에 대응되는 카메라의 영상을 상기 영상 제공 장치와 연동하여 상기 학부모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어플리케이션부가 상기 유아시설 관리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을 상기 학부모 단말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며, 상기 영상에서 상기 학부모의 입력에 따른 특정 프레임에 대한 캡처 신호를 상기 유아시설 관리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유아시설 관리 장치가 상기 캡처 신호에 대응되는 프레임을 캡처하여 사진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학부모 단말로부터 상기 캡처 신호와 함께 수신된 학부모 식별정보를 기초로 상기 학부모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미리 등록된 원아정보에 대응되어 상기 사진정보를 자동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학부모가 자신의 단말을 통해 유아시설에 있는 자녀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자녀의 생활을 더 밀접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동시에 영상에 표시된 자녀의 다양한 모습 중에서 학부모가 원하는 순간의 자녀 모습을 원격에서 편리하게 캡처하여 사진으로 남길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유아시설에 대해서는 자녀의 생활을 학부모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학부모에 대해서는 자녀의 소중한 순간에 대한 기록을 유아시설에 요청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유아시설과 학부모간 커뮤니케이션을 활성화시키고 유아시설과 학부모의 원아에 대한 상호 모니터링이 이루어져 유아시설에 대한 신뢰도 뿐만 아니라 유아시설과 학부모의 자녀 또는 원아 관리에 대한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원장의 영상 전송 허용 여부에 따라 학부모에게 영상이 제공되도록 하여 원장이 유아시설을 모니터링하고 있음을 학부모에게 인지시킬 수 있어 유아시설에 대한 학부모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으며, 유아시설에 근무하는 근무자의 경각심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은 유아시설에 다니는 원아를 등록하고, 근무자가 사진등록, 사진 분류, 공지사항, 원아수첩, 식단, 일정 등의 정보를 근무자가 소지한 단말기에서 편리하게 작성하고 관리 가능하도록 제공하는 동시에 작성된 모든 내용을 등록된 원아에 대응되는 학부모의 단말기로 제공하여 자녀의 생활을 더 밀접하게 확인 가능하도록 제공하여, 근무자 및 학부모의 원아 또는 자녀 관리에 대한 편의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외에도, 본 발명은 학부모가 자신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실제 유아 시설을 운영하고 있는 원장 및 선생님을 포함하는 근무자에게 불편사항, 시스템의 문제점, 개선사항, 필요한 기능들을 건의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근무자가 해당 건의 사항을 직접 확인 후 기획에 반영할 수 있도록 제공하여, 유아시설의 근무자와 학부모간 커뮤니케이션을 활성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시설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 환경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시설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영상 제공에 대한 동작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시설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학부모가 원하는 순간의 자녀 모습에 대한 사진을 생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동작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시설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위한 홈페이지 제공에 대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시설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푸시 메시지 전송에 대한 예시도.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부의 원아 관리를 위한 인터페이스 제공에 대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시설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유아시설 관련 정보 제공에 대한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시설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한 순서도.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상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시설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 환경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어린이집이나 유아원과 같은 유아시설(유아 교육시설)에 배치된 유아시설 관리 장치(110)와, 상기 유아시설 관리 장치(110)와 로컬에서 연결되거나 통신망을 통해 상기 유아시설 관리 장치(110)와 통신하는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제공 장치(120)와, 상기 유아시설에서 미리 지정된 복수의 장소에 설치된 복수의 카메라(1)와 연결되는 영상 제공 장치(130) 및 상기 학부모 단말(10)에 구성되어 상기 유아시설 관리 장치(110) 및 상기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제공 장치(120)와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는 어플리케이션부(1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유아시설 관리 장치(110)와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제공 장치(120)는 하나의 단일 서버(100)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일례로 해당 서버(100)는 상기 유아시설 관리 장치(110) 및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제공 장치(120)의 기능을 수행하는 단일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아시설 관리 장치(110) 및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제공 장치(120)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유아시설에서 근무하는 원장이 소지하는 원장 단말(20) 및 원장 이외에 상기 유아시설에서 근무하는 선생님과 같은 근무자가 소지하는 근무자 단말(30)과 상호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제공 장치(120)는 유아시설 관리 장치(110)와 분리 구성되어 원격에서 서로 다른 유아시설에 각각 위치하는 복수의 유아시설 관리 장치(110a, 110b)와 통신망을 통해 상호 통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제공 장치(120)는 각 유아시설에 대응되어 편집 및 작성이 가능한 홈페이지를 생성하고, 상기 홈페이지 관련 정보를 상기 각 유아시설에 대응되는 근무자 단말(30), 원장 단말(20) 및 학부모 단말(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제공 장치(120)는 상기 홈페이지를 통해 학부모와 유아시설의 근무자(원장 포함) 상호간의 커뮤니케이션을 지원하여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동시에 상호 의견 교환이 이루어지도록 지원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유아시설 관리 장치(110)는 상기 영상 제공 장치(130)와 연동하여 유아시설에 위탁된 원아에 대한 영상을 상기 유아시설에 원아를 위탁한 학부모의 학부모 단말(10)로 전송하여, 원아의 상태를 실시간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동시에 해당 영상에서 학부모가 원하는 순간의 화면을 캡처(capture)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학부모가 자녀의 소중한 순간을 사진으로 남길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영상 제공 장치(130)는 복수의 카메라(1)를 관리하는 장치로서, 각 카메라(1)에 대하여 카메라의 위치에 대한 위치정보 및 카메라의 식별을 위한 카메라 식별정보가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각 카메라(1)로부터 제공되는 영상을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영상 제공 장치(130)는 DVR(Digital Video Recorder)이나 NVR(Network Video Recorder)과 같은 장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각 카메라(1)는 IP(Internet Protocol) 카메라, CCTV(Closed Circuit Television) 카메라 등과 같은 다양한 카메라가 적용될 수 있다.
더하여,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통신망은 무선랜(Wireless LAN: WLAN),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IEEE 802.16,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광대역 무선 이동 통신 서비스(Wireless Mobile Broadband Service: WMBS),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인접 자장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초음파 통신(Ultra Sound Communication: USC), 가시광 통신(Visible Light Communication: VLC), 와이 파이(Wi-Fi), 와이 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등과 같은 무선 통신망 뿐만 아니라 전력선 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 PLC), USB 통신, 이더넷(Ethernet), 시리얼 통신(serial communication), 광/동축 케이블 등과 같은 유선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장 단말(20), 근무자 단말(30) 및 학부모 단말(10)은 통신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폰(Smart Phone),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단말기, 텔레매틱스(Telematics) 단말기, 내비게이션(Navigation) 단말기,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노트북 컴퓨터,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 포함), 와이브로(Wibro) 단말기,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단말기, 스마트 TV,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AVN(Audio Video Navigation) 단말기, A/V(Audio/Video) 시스템, 플렉시블 단말기(Flexible Terminal) 등과 같은 다양한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도 1의 구성을 토대로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시설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상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시설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영상 제공에 대한 동작 예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아시설에 등록된 원아를 위탁한 학부모 단말(10)에 구성된 어플리케이션부(11)는 상기 유아시설의 상기 각 장소에 대한 목록 정보인 장소 리스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아시설 관리 장치(110)는 상기 장소 리스트 정보를 상기 학부모 단말(10)의 어플리케이션부(11)로 전송하여 제공할 수도 있으며, 상기 장소 리스트 정보는 상기 유아시설의 각 장소에 대한 위치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소 리스트 정보는 상기 각 장소에 대한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유아시설에 대한 지도정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어플리케이션부(11)는 학부모 단말(10)에 구성되어 학부모 단말(10)에 구성된 통신부를 통해 유아시설 관리 장치(110) 또는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제공 장치(120)와 통신하여 각종 정보 및 컨텐츠를 수신하고, 이를 학부모 단말(10)에 구성된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할 수 있으며, 학부모 단말(10)에 구성된 입력부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수신된 사용자 입력 정보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거나 통신부를 통해 유아시설 관리 장치(110) 또는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제공 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부(11)는 RAM, ROM, CPU, GPU, 버스를 포함하는 제어부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학부모 단말(10)에 구성된 저장부에 저장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이용하여 학부모 단말(10)의 전반적인 제어 기능 및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실행 및 제공한다. 이때, 어플리케이션부(11)의 RAM, ROM, CPU, GPU 등은 버스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CPU는 저장부에 액세스하여, 저장부에 저장된 O/S(Operating System)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저장부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부(11)는 단말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술한 구성을 토대로, 상기 어플리케이션부(11)는 상기 장소 리스트 정보에서 학부모의 선택에 따라 선택된 장소에 대응되는 위치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선택된 장소에 대응되는 위치정보 및 미리 저장된 학부모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영상 요청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학부모 단말(10)에 구성된 통신부를 통해 상기 유아시설 관리 장치(1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영상 요청정보는 학부모 식별정보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학부모 식별정보는 학부모의 회원정보(성명, ID, 전화번호 등)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유아시설 관리 장치(110)는 상기 유아시설에서 미리 지정된 복수의 장소에 설치된 복수의 카메라(1)와 연결되어 각 카메라(1)로부터 제공되는 영상을 관리하는 영상 제공 장치(130)와 연결되며, 상기 각 장소에 대응되는 위치정보 및 미리 등록된 원아에 대한 원아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원아정보는 원아의 신상정보(성명, 나이, 신장, 체중 등), 전화번호, ID, 상태정보 등을 포함하는 원아에 대한 정보와 더불어 원아에 대응되는 학부모의 회원정보와 원아가 속한 교실(장소)에 대한 위치정보, 원아를 담당하는 선생님에 대한 근무자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해당 원아정보는 상기 유아시설 관리 장치(110)에 포함되거나 연결된 DB에 저장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유아시설 관리 장치(110)는 상기 DB를 통해 원아정보에 접근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유아시설 관리 장치(110)는 상기 학부모 단말(10)의 어플리케이션부(11)로부터 상기 영상 요청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영상 요청정보에 포함된 위치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위치정보에 대응되는 장소에 설치된 카메라(1)를 상기 영상 제공 장치(130)와 연동하여 식별할 수 있다.
이후, 유아시설 관리 장치(110)는 상기 영상 요청정보에 대응되는 장소에 설치된 카메라(1)로부터 제공되는 영상을 상기 영상 제공 장치(130)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학부모 단말(10)로 통신망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아시설 관리 장치(110)는 상기 영상 요청정보에 상기 학부모가 선택한 선택장소에 대한 위치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상기 영상 요청정보에 포함된 학부모 식별정보를 기초로 상기 DB를 검색하여, 상기 영상 요청정보에 포함된 학부모 식별정보와 매칭되는 학부모 식별정보를 포함한 원아정보를 추출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학부모에 대응되는 원아를 식별할 수 있다.
이후, 유아시설 관리 장치(110)는 상기 식별된 원아가 속한 교실에 대응되는 위치정보를 상기 원아정보로부터 추출할 수 있으며, 이를 기초로 상기 유아시설 관리 장치(110)는 상기 원아정보에 등록된 장소(교실)에 대응되는 카메라(1)의 영상을 상기 영상 제공 장치(130)와 연동하여 선택하고, 해당 영상을 상기 학부모 단말(1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학부모 단말(10)에 구성된 상기 어플리케이션부(11)는 상기 유아시설 관리 장치(11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을 상기 학부모 단말(10)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서, 상기 유아시설 관리 장치(110)는 상기 영상 요청정보 수신시 미리 등록된 유아시설의 원장에 대응되는 원장 단말(20)로 영상 요청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원장 단말(20)로부터 상기 영상 요청정보에 대응되어 상기 학부모 단말(10)에 대한 영상 전송 허용 여부에 대한 영상 허용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유아시설 관리 장치(110)는 상기 영상 허용정보에 따른 영상 전송 허용 여부를 기초로 영상 전송이 허용된 경우 상기 영상 요청정보를 전송한 학부모의 단말(10)로 영상 요청정보에 대응되는 영상을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서, 상기 유아시설 관리 장치(110)는 영상 요청정보에 포함된 학부모 식별정보를 기초로 DB를 검색하여 영상 요청정보에 포함된 학부모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원아정보가 존재하는 경우에만 상기 원장 단말(20)로 영상 요청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영상 요청정보에 해당 원아정보를 더 포함하여 상기 원장 단말(2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원장 단말(20)은 영상 요청정보에 포함된 원아정보 및 학부모 식별정보와 더불어 영상 요청정보에 포함된 위치정보를 기초로 학부모가 영상을 요청하는 장소에 대한 정보를 더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원장이 원장 단말(20)에 표시된 정보를 기초로 영상을 요청하는 학부모가 유아시설에 원아를 위탁하여 영상을 요청할 권리가 있는 학부모인지 여부와 학부모가 영상을 요청하는 장소가 원아와 관련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선택적으로 영상 전송에 대한 허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원장의 영상 전송 허용 여부에 따라 영상이 제공되도록 하여 학부모에 대하여 유아시설을 원장이 모니터링하고 있음을 인지시킬 수 있어 유아시설에 대한 학부모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으며, 유아시설에 근무하는 근무자의 경각심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구성에서 유아시설 관리 장치(110)는 학부모 단말(10)에서 제공되는 영상에서 학부모가 원하는 순간의 사진을 기록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자녀에 대한 소중한 순간을 기록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는데 이를 상술한 구성을 토대로 도 3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학부모 단말(10)에 구성된 어플리케이션부(11)는 유아시설 관리 장치(110)로부터 학부모가 원하는 장소 또는 학부모가 위탁한 원아에 대한 원아정보에 등록된 장소를 기초로 해당 장소에 대응되어 설치된 카메라(1)의 영상을 학부모 단말(10)을 통해 수신하여 학부모 단말(10)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어플리케이션부(11)는 학부모 단말(10)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카메라(1)의 영상을 캡처할 수 있도록 영상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해당 영상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되는 영상에서 상기 영상 인터페이스를 통한 학부모 입력을 기초로 학부모가 원하는 특정 프레임에 대한 캡처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션부(11)는 캡처신호 및 학부모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캡처 정보를 유아시설 관리 장치(110)로 전송하며, 상기 유아시설 관리 장치(110)는 학부모 단말(10)로부터 전송된 캡처정보에 포함된 캡처 신호를 기초로 상기 영상 제공 장치(130)와 연동하여 상기 학부모 단말(10)로 전송되는 영상에서 상기 캡처 신호에 대응되는 프레임을 캡처하여 사진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어플리케이션부(11)가 직접 유아시설 관리 장치(110)로부터 제공되는 영상에서 상기 캡처신호에 따른 특정 프레임을 캡처하고 이에 따른 사진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유아시설 관리 장치(110)로 전송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유아시설 관리 장치(110)는 DB(140)에서 상기 캡처 정보에 포함된 학부모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원아정보를 검색하고, 해당 학부모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원아정보를 식별한 후 상기 캡처신호에 따라 생성된 사진 정보를 상기 식별된 원아정보에 매칭하여 DB(14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아시설 관리 장치(110)는 해당 원아정보에 매칭된 하나 이상의 사진정보를 취합하여 앨범정보를 생성하고, 해당 앨범정보를 원아정보와 매칭하여 DB(140)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유아시설 관리 장치(110)는 학부모 단말(10)로부터 상기 앨범정보의 요청이 있는 경우 학부모 단말(10)로부터 수신된 학부모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원아정보에 매칭된 앨범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학부모 단말(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학부모 단말(10)에 구성된 어플리케이션부(11)는 상기 앨범정보를 상기 학부모 단말(10)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학부모가 자신의 단말을 통해 유아시설에 있는 자녀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자녀의 생활을 더 밀접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동시에 영상에 표시된 자녀의 다양한 모습 중에서 학부모가 원하는 순간의 자녀 모습을 원격에서 편리하게 캡처하여 사진으로 남길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유아시설에 대해서는 자녀의 생활을 학부모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학부모에 대해서는 자녀의 소중한 순간에 대한 기록을 유아시설에 요청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유아시설과 학부모간 커뮤니케이션을 활성화시키고 유아시설과 학부모의 원아에 대한 상호 모니터링이 이루어져 유아시설에 대한 신뢰도 뿐만 아니라 유아시설과 학부모의 자녀 또는 원아 관리에 대한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유아시설 관리 장치(110)는 유아시설에 있는 근무자(일례로, 선생님)가 직접 캡처하여 생성한 사진정보를 근무자 단말(30)로부터 수신할 수 있으며, 해당 근무자 단말(30)로부터 수신된 사진정보를 근무자가 선택한 원아에 대응되는 원아정보에 매칭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유아시설 관리 장치(110)는 상기 근무자 단말(30)로부터 수신된 사진정보를 DB(140)에 저장된 상기 앨범정보에 추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앨범정보를 상기 학부모 단말(10)로 전송하여 학부모가 자녀에 대한 다양한 사진을 확인 가능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어플리케이션부(11)는 상기 근무자 단말(30)에 구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근무자 단말(30)에 구성된 어플리케이션부(11)는 상술한 학부모 단말에 구성된 어플리케이션부(11)의 구성과 마찬가지로 상기 근무자 단말(30)에 구성된 통신부를 통해 상기 유아시설 관리 장치(110)와 통신하여 다양한 카메라(1) 중 근무자에 의해 선택된 장소에 대응되는 카메라(1)의 영상을 수신하여 근무자 단말(30)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근무자 단말(30)에 구성된 어플리케이션부(11)는 상기 유아시설 관리 장치(110)와의 통신을 통해 영상에서 특정 프레임을 캡처하여 사진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해당 사진정보가 앨범정보에 추가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제공 장치(120)는 유아시설 관리 장치(110)와 연동하여 학부모 단말(10)과 유아시설에서 근무하는 근무자 단말(30) 및 원장 단말(20) 사이의 커뮤니케이션을 보장하기 위한 홈페이지를 제공하며, 해당 홈페이지를 통해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데 이를 도 4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제공 장치(120)는 상기 유아시설 관리 장치(110)와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는 별도의 서버로 구성되거나 로컬에서 상기 유아시설 관리 장치(110)와 직접 연결되는 하나의 서버로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제공 장치(120)는 상기 유아시설 관리 장치(110)의 DB(140)를 공유하거나 별도의 DB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유아시설 관리 장치(110)로부터 상기 유아시설 관리 장치(110)의 DB(140)에 저장된 원아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별도의 DB에 저장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제공 장치(120)는 상기 유아시설에 대한 홈페이지 관련 정보를 DB에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홈페이지 관련 정보를 상기 근무자 단말(30), 원장 단말(20) 및 학부모 단말(10)에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유아시설에 근무하는 복수의 근무자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근무자 단말(30a~30n)은 통신망을 통해 상기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제공 장치(120)에 접속하여 상기 유아시설의 홈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홈페이지는 유아시설에 근무하는 근무자별로 자신이 담당하고 있는 원아에 대한 원아정보를 입력하거나, 원아의 상태에 대한 상태정보를 입력하거나, 원아의 사진정보를 입력하거나, 학부모와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알림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근무자 단말(30)은 상기 홈페이지에 구성된 인터페이스를 통한 근무자 입력을 기초로 원아정보, 원아별 상태정보, 원아별 사진정보, 알림정보 등을 포함하는 원아별 수첩정보를 상기 홈페이지를 통해 상기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제공 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제공 장치(120)는 상기 원아별 수첩정보를 근무자별 및 원아별로 구분하여 DB에 등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서로 다른 학부모 단말(10a~10n)은 상기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제공 장치(120)와의 통신을 통해 상기 홈페이지 접속하여 상기 근무자 단말(30)이 등록한 원아 수첩정보에 접근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근무자가 제공하는 다양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홈페이지는 게시판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제공 장치(120)는 상기 학부모 단말(10)로부터 제공되는 건의사항 정보, 질문정보 등을 상기 게시판 정보에 등록하고 상기 근무자 단말(30)로부터 상기 학부모 단말(10)의 건의사항 정보, 질문 정보 등에 응답하기 위한 응답정보를 상기 게시판 정보에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제공 장치(120)는 해당 게시판 정보를 학부모 단말(10), 근무자 단말(30) 및 원장 단말(20)로 제공하여 학부모와 근무자 및 원장 상호간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지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제공 장치(120)는 상기 원장 단말(20)로부터 공지사항, 식단, 일정 등에 대한 게시글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게시판 정보에 등록할 수 있으며, 상기 게시글 정보는 근무자 단말(30)로부터 수신하여 등록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구성에서 상기 학부모 단말(10)에 구성된 어플리케이션부(11)는 상기 근무자 단말(30) 및 원장 단말(20)에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며, 상기 어플리케이션부(11)는 상기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제공 장치(120)에 접속하여 상기 홈페이지 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부(11)는 상기 어플리케이션부(11)가 구성된 단말을 통해 상기 홈페이지 관련 정보를 미리 설정된 인터페이스에 따라 표시할 수도 있다.
상술한 구성에서, 상기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제공 장치(120)는 상기 유아시설 관리 장치(110)와 연결되어 상기 홈페이지를 통해 상기 장소 리스트 정보를 학부모 단말(10)에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홈페이지를 통해 상기 학부모 단말(10)로부터 수신된 영상 요청정보를 상기 유아시설 관리 장치(110)로 전송하여 상기 영상 요청정보에 따른 장소에 대응되는 카메라(1)의 영상을 상기 유아시설 관리 장치(110)로부터 수신한 후 상기 홈페이지를 통해 상기 학부모 단말(10)로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제공 장치(120)는 상기 유아시설 관리 장치(110)와 연동하여 상기 영상에서 상기 학부모 단말(10)로부터 수신된 캡처 신호에 대응되는 프레임을 캡처하여 사진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DB에 저장된 원아 수첩정보에 포함시켜 등록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학부모 단말(10)에 구성된 어플리케이션부(11)는 상기 홈페이지에 등록된 원아 수첩정보에 액세스하여 해당 원아 수첩정보에 포함된 사진정보를 상기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제공 장치(120)로부터 수신한 후 상기 학부모 단말(10)을 통해 표시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학부모 자신이 생성한 사진을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어플리케이션부(11)는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제공 장치(120)와 상기 어플리케이션부(11)가 구성된 단말을 통해 통신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데 이를 도 5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근무자 단말(30)에 구성된 어플리케이션부(11)는 상기 유아시설 관리 장치(110) 및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제공 장치(120) 중 어느 하나와의 통신을 통해 근무자가 담당하는 각 원아에 대한 원아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근무자 단말(30)의 입력부를 통한 근무자 입력을 기초로 근무자가 선택한 원아에 대응되는 학부모의 단말(10)로 푸시 메시지(push message)를 전송하기 위한 메시지 정보 및 근무자에 의해 선택된 하나 이상의 각 원아에 대한 원아 식별정보를 생성하고, 해당 메시지 정보 및 각 원아 식별정보를 상기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제공 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근무자 단말(30)에 구성된 어플리케이션부(11)는 상기 근무자 단말(30)을 통해 입력된 본인 인증정보를 상기 유아시설 관리 장치(110)로 전송하고, 상기 유아시설 관리 장치(100)는 미리 등록되어 저장된 근무자 정보와 근무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근무자 정보를 상호 비교하여 근무자 본인이 인증된 경우에 한해 상기 근무자에 대응되는 원아정보를 상기 근무자 단말(30)의 어플리케이션부(11)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근무자 단말(30)에 구성된 어플리케이션부(11)는 상기 학부모 단말(10)에 구성된 어플리케이션부(11)와 상이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일례로 원아 수첩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는 학부모 단말(10)에 구성된 어플리케이션부(11)에서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제공 장치(120)는 메시지 정보 및 원아 식별정보를 기초로 상기 유아시설 관리 장치(110)의 DB(140) 또는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제공 장치(120)에 연결된 DB(150)를 검색하여 원아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원아정보를 추출하고, 해당 원아정보에 포함된 학부모의 회원정보를 기초로 학부모의 전화번호를 추출한 후 상기 메시지 정보에 대응되는 푸시 메시지를 생성하여 해당 추출된 학부모의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학부모 단말(10)로 상기 푸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어플리케이션부(11)는 동시에 복수의 원아 식별정보를 선택하고 이에 따른 복수의 원아 식별정보 및 메시지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제공 장치(120)로 전송할 수도 있으며, 상기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제공 장치(120)는 상기 복수의 원아 식별정보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학부모 단말(10)로 상기 메시지 정보에 따른 푸시 메시지를 동시에 전송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유아시설에 근무하는 선생님이 하나 이상의 학부모에게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동시에 공지사항의 전파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어플리케이션부(11)는 근무자 단말(30)에 구성되어 상기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제공 장치(120) 및 유아시설 관리 장치(110)와의 통신에 따른 원아 관리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일례로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홈페이지 접속, 일정관리, 식단관리, 사진 등록, 사진 분류, 알림장 제공, 공지사항, 푸시 메시지 전송 등을 위한 메뉴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무자 단말(30)에 구성된 상기 어플리케이션부(11)는 원아의 상태정보에 대한 입력이 용이하도록 상태정보 입력 관련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해당 인터페이스를 통한 근무자 입력에 따라 원아의 현재 기분 및 건강 상태에 대한 상태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원아 수첩정보에 포함시켜 상기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제공 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어플리케이션부(11)는 원장 단말(20)이나 근무자 단말(30)에 구성되어 푸시 메시지 전송을 위한 인터페이스 및 일정 관리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해당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입력정보를 상기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제공 장치(120)로 전송하여, 상기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제공 장치(120)에서 학부모 단말(10)로 공지사항 전파나 푸시 메시지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더하여, 학부모 단말(10)에 구성된 어플리케이션부(11)는 상기 원아의 상태정보, 원아의 사진정보 및 홈페이지 관련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원아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동시에 근무자 및 원장이 공지한 다양한 공지사항 및 푸시 메시지를 상기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제공 장치(120)로부터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어플리케이션부(11)는 상기 어플리케이션부가 구성된 단말의 주체에 따라 상이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제공 장치(120)는 복수의 서로 다른 유아시설 각각에 설치된 유아시설 관리 장치(110a~110n)와 통신망을 통해 통신할 수 있으며, 각 유아시설 관리 장치(110)의 홈페이지 관련 정보 및 유아시설 관련 정보를 중앙에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제공 장치(120)는 상기 학부모 단말(10)에 구성된 어플리케이션부(11)로 각 유아시설에 대한 유아시설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때 유아시설 관련 정보는 유아시설의 위치, 모집공고, 모집기간, 이벤트 등 대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학부모 단말(10)에 구성된 어플리케이션부(11)는 상기 각 유아시설에 대한 유아시설 관련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유아시설 관련 정보에 포함된 위치정보를 미리 설정된 지도정보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어플리케이션부(11)는 상기 학부모 단말(10)에 의해 지정된 위치 또는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반경 내에 있는 하나 이상의 유아시설에 대한 유아시설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학부모는 자신의 위치와 인접한 유아시설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제공 장치(120)는 상기 각 유아시설 관리 장치(110)로부터 수신되는 광고정보를 상기 각 학부모 단말(10)의 어플리케이션부(11)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유아시설로부터 제공되는 광고를 학부모에게 제공하여 원아 모집이나 이벤트 등에 대한 내용을 전파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시설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한 순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아시설에 등록된 원아를 위탁한 학부모 단말(10)에 구성된 어플리케이션부(11)는 상기 유아시설의 상기 각 장소 목록에 대한 장소 리스트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장소 리스트 정보에서 학부모의 선택에 따라 선택된 장소 또는 상기 원아가 위치하는 장소에 대한 영상을 요청하기 위한 영상 요청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학부모 단말(10)을 통해 상기 유아시설 관리 장치(110)로 전송할 수 있다(S1).
이후, 상기 유아시설의 미리 지정된 복수의 장소에 설치된 복수의 카메라(1)와 연결되어 각 카메라(1)로부터 제공되는 영상을 관리하는 영상 제공 장치(130)와 연결되며, 각 장소에 대응되는 위치정보 및 미리 등록된 원아에 대한 원아정보를 저장하는 상기 유아시설 관리 장치(110)는 상기 학부모 단말(10)로부터 상기 영상 요청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영상 요청정보에 포함된 위치정보에 대응되는 장소 또는 상기 영상 요청정보에 따른 학부모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원아정보에 등록된 장소에 대응되는 카메라(1)의 영상을 상기 영상 제공 장치(130)와 연동하여 선별하고, 선별된 영상을 상기 학부모 단말(10)로 전송할 수 있다(S2).
다음, 상기 학부모 단말(10)에 구성된 어플리케이션부(11)는 상기 유아시설 관리 장치(11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을 상기 학부모 단말(10)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며, 상기 영상에서 상기 학부모의 입력에 따른 특정 프레임에 대한 캡처 신호를 상기 유아시설 관리 장치(110)로 전송할 수 있다(S3).
이후, 상기 유아시설 관리 장치(110)는 상기 캡처 신호에 대응되는 프레임을 캡처하여 사진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학부모 단말(10)로부터 상기 캡처 신호와 함께 수신된 학부모 식별정보를 기초로 상기 학부모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미리 등록된 원아정보에 대응되어 상기 사진정보를 자동 저장하여, 학부모가 원하는 자녀의 모습을 사진으로 기록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S4).
본 명세서에 기술된 다양한 장치 및 구성부는 하드웨어 회로(예를 들어, CMOS 기반 로직 회로), 펌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전기적 구조의 형태로 트랜지스터, 로직게이트 및 전자회로를 활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전술된 내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카메라 10: 학부모 단말
11: 어플리케이션부 20: 원장 단말
30: 근무자 단말 110: 유아시설 관리 장치
120: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제공 장치
130: 영상 제공 장치

Claims (1)

  1. 유아시설의 미리 지정된 복수의 장소에 설치된 복수의 카메라와 연결되어 각 카메라로부터 제공되는 영상을 제공하는 영상 제공 장치와 연결되며, 상기 각 장소에 대한 위치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학부모 단말로부터 수신된 영상 요청정보를 기초로 영상 요청정보에 대응되는 장소에 설치된 상기 카메라의 영상을 상기 영상 제공 장치와 연동하여 선별 제공하는 유아시설 관리 장치; 및
    상기 유아시설에 등록된 원아를 위탁한 상기 학부모의 학부모 단말에 구성되며, 상기 각 장소에 대한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장소 리스트 정보를 상기 유아시설 관리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장소 리스트 정보를 기초로 학부모의 선택에 따라 선택된 장소 또는 상기 학부모에 대응되는 원아의 상기 원아정보에 등록된 장소에 대한 영상을 요청하기 위한 영상 요청정보를 상기 유아시설 관리 장치로 전송하여 수신된 영상을 표시하는 어플리케이션부
    를 포함하는 유아시설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150122960A 2015-08-31 2015-08-31 유아시설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258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2960A KR20170025882A (ko) 2015-08-31 2015-08-31 유아시설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2960A KR20170025882A (ko) 2015-08-31 2015-08-31 유아시설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5882A true KR20170025882A (ko) 2017-03-08

Family

ID=58404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2960A KR20170025882A (ko) 2015-08-31 2015-08-31 유아시설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2588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0899A (ko) 2017-09-15 2019-03-25 엑스투아이 주식회사 사물 인터넷 기반의 상황 인식 서비스 시스템
CN112164165A (zh) * 2020-09-08 2021-01-01 好姑信息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幼儿园安全管理系统
KR20220056911A (ko) 2020-10-28 2022-05-09 주식회사 큐에스 디지털 트윈 기반의 영유아 시설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3896A (ko) 2001-03-16 2002-09-28 주식회사 씨아이엠티 인터넷을 이용한 유아 교육기관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3896A (ko) 2001-03-16 2002-09-28 주식회사 씨아이엠티 인터넷을 이용한 유아 교육기관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0899A (ko) 2017-09-15 2019-03-25 엑스투아이 주식회사 사물 인터넷 기반의 상황 인식 서비스 시스템
CN112164165A (zh) * 2020-09-08 2021-01-01 好姑信息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幼儿园安全管理系统
KR20220056911A (ko) 2020-10-28 2022-05-09 주식회사 큐에스 디지털 트윈 기반의 영유아 시설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4112686A1 (ko) 영유아의 등하원을 위한 인터랙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이를 이용한 시스템
KR101374797B1 (ko) 영유아를 위한 인터랙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이를 이용한 시스템
JP6649005B2 (ja) ロボット撮影システムおよび画像管理方法
WO2014119818A1 (ko) 영유아를 위한 인터랙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이를 이용한 시스템
JP7367812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70025882A (ko) 유아시설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9424361B2 (en) Information communication method and information communication apparatus
JP2002149909A (ja) 幼児管理システム、モニタリング装置および管理サーバ
US11966456B2 (en) Management system, communication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non-transitory recording medium
US1181197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to obtain and manage images of a property
US20170140111A1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increasing hand hygiene compliance
JP6636422B2 (ja) 画像管理システム、管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画像出力装置
WO2014112687A1 (ko) 영유아의 안전을 위한 스마트 인터랙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이를 이용한 시스템
KR20160131575A (ko) 아동의 부모에게 아동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 방법
KR102171103B1 (ko) Sns 기반의 인물매칭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1415214B1 (ko) 사진촬영 로봇의 원격 제어권 획득 및 이양방법
CN105282714A (zh) 生命关怀及救援系统
JP2019023876A (ja) 画像管理システムおよび画像管理方法
TWI521969B (zh) 網路存取設備取得匹配及分享資料的方法
KR101673539B1 (ko) 단말, 그 제어 방법,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2378733B1 (ko) 실시간 상황공유 시스템 및 방법
US20240232300A1 (en) Management system, communication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KR20120048753A (ko) 맞춤형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KR20190028181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어린이집 예약방법
WO2014115926A1 (ko) 영유아를 위한 스마트 인터랙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이를 이용한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