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0899A - 사물 인터넷 기반의 상황 인식 서비스 시스템 - Google Patents

사물 인터넷 기반의 상황 인식 서비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0899A
KR20190030899A KR1020170118473A KR20170118473A KR20190030899A KR 20190030899 A KR20190030899 A KR 20190030899A KR 1020170118473 A KR1020170118473 A KR 1020170118473A KR 20170118473 A KR20170118473 A KR 20170118473A KR 20190030899 A KR20190030899 A KR 201900308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information
zone
situation
situation recogn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8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라상용
이준동
Original Assignee
엑스투아이 주식회사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엑스투아이 주식회사,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엑스투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184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30899A/ko
Publication of KR201900308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08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Abstract

본 발명은 사물인터넷 환경이 구축된 복수의 구역에 설치된 센서와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자원에 의해 획득된 정보를 수집하고 전송하며, 각각의 구역에 개별 설치된 센서 게이트웨이; 상기 각각의 센서 게이트웨이에 연결되고 HTTP 통신을 이용하여 센서와 디바이스를 통해 획득된 데이터를 전송받을 수 있는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복수 구역 중 해당 구역에 자원이 설치되지 않은 미설치 구역의 대체자원 설정정보를 저장하는 대체자원 설정부와, 상기 획득된 데이터와 대체자원 설정정보에 따라 복수 구역에서 사람 또는 사물의 상황을 인식하는 상황인식 처리모듈과,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매개로 해당 구역의 센서 게이트웨이로 제어명령을 보내며 사용자 DB와 상황인식 DB와 자원관리 DB를 구비한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는 서버제어부를 포함하는 클라우드 서버;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복수의 구역에 대한 상황 인식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중앙관리 컴퓨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상황인식 처리모듈은 복수의 구역 중 환경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를 설치하지 않은 미설치 구역에 대하여 주변 구역으로부터 획득한 환경 정보를 이용하여 미설치 구역의 환경 정보를 대체하여 상황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사물 인터넷 기반의 상황 인식 서비스 시스템{Context Awareness Service System Based On Internet Of Things}
본 발명은 사물 인터넷 기반의 상황 인식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물 인터넷 환경이 구축된 복수 구역에서 센서와 디바이스 등 대체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경제적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사물 인터넷 기반의 상황 인식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사물 인터넷은 RFID/USN, M2M 등 아주 오래전부터 존재해왔다. 이 중 M2M(Machine To Machine)은 사물 인터넷과 가장 유사한 개념으로 이해할 수 있다.
M2M이 통신 주체인 사물을 중심으로 한 개념인데 비해 사물 인터넷은 인간을 둘러싼 환경에 초점을 맞췄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인다. M2M의 개념을 일반 사물이나 사람은 물론 공간, 프로세스 등 세상에 존재하는 유무형의 객체로 확장한 것이 바로 사물 인터넷인 것이다.
초기의 상황 인식 서비스는 장소 및 사용자 인식과 같은 비교적 제한적인 상황 정보만을 이용하는데 머물러 있었다. 통신모듈 및 센서, 스마트 단말 등의 기술발전 및 보급 확산으로 의료, 교통, 제조, 유통,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 사물 인터넷을 도입하기 위한 연구가 집중되고 있으며, 사물 인터넷 환경에서 상황 인식 서비스는 다양한 상황 정보를 조합해 지능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기존의 프로세스와 서비스에 획기적인 변화를 가져오고 일상생활까지 파급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등록특허 제10-1724135호는 사물 인터넷 기반 양방향 통신을 통하여 실내환경을 개별적으로 제어하여 에너지를 절감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특허문헌에서는 개별 실내공간의 실내 온도 및 실내 미세먼지 농도를 포함하는 실내환경정보를 측정하는 센싱유닛을 이용하여 운전기기를 제어하는 기술을 소개하고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공개특허 제10-2017-0025882호는 유아시설의 미리 지정된 복수의 장소에 설치된 복수의 카메라와 연결되어 각 카메라로부터 제공되는 영상을 학부모 단말로 선별 제공하여 유아시설에 있는 자녀가 생활하는 모습을 제공하는 유아시설 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등록특허 제10-1633713호는 가속도 센서, 체온 센서, 지그비 통신장치 등을 포함하는 시계형 단말기를 유아들에게 착용시켜 시계형 단말기로부터 유아의 활동량 및 체온을 포함한 상태정보를 취합하여 관리 및 모니터링하고 더불어 보호자들이 스마트 단말 상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통해 유아의 상태정보를 체크할 수 있는 키즈 케어 시스템 및 그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등록특허 제10-1527813호는 보육 및 교육 시설에서 마련된 학습실, 식당, 교실 등에 복수개의 CCTV를 설치하여 고화질의 영상을 획득하고, 유아에 부착된 송수신장치에 의해 어느 곳에서도 연계 촬영장치에 의한 추적에 의하여 핸드폰 등과 같은 스마트 모바일 기기로 서비스하는 방법 등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과 같이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정보를 전송하거나 시설물에 사물 인터넷 환경을 구축하여 상황 인식 서비스를 실현하려면 제어 대상의 상태 정보와 주변 환경 정보를 획득해야 하므로 서비스 공간에 반드시 설치해야 하는 센서와 디바이스와 같은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경제적 비용을 절감할 필요가 있다.
1. 등록특허 제10-1724135호(2017.03.31. 등록 "건물 자동제어 네트워크 및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개별 실내환경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2. 공개특허 제10-2017-0025882호(2017.03.08. 공개 "유아시설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3. 등록특허 제10-1633713호(2016.06.21. 등록 "키즈 케어 시스템 및 그 방법") 4. 등록특허 제10-1527813호(2015.06.04. 등록 "유아를 위한 보육 및 교육시설에서 유아 보호를 위한 CCTV 관리 단말, 그리고 CCTV 정보 획득방법")
없음
본 발명의 목적은 사물 인터넷 환경이 구축된 복수 구역에 센서와 디바이스 등 대체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경제적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사물 인터넷 기반의 상황 인식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사물 인터넷 환경 기반의 상황 인식 서비스 시스템은, 사물인터넷 환경이 구축된 복수의 구역에 설치된 센서와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자원에 의해 획득된 정보를 수집하고 전송하며, 각각의 구역에 개별 설치된 센서 게이트웨이; 상기 각각의 센서 게이트웨이에 연결되고 HTTP 통신을 이용하여 센서와 디바이스를 통해 획득된 데이터를 전송받을 수 있는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복수 구역 중 해당 구역에 자원이 설치되지 않은 미설치 구역의 대체자원 설정정보를 저장하는 대체자원 설정부와, 상기 획득된 데이터와 대체자원 설정정보에 따라 복수 구역에서 사람 또는 사물의 상황을 인식하는 상황인식 처리모듈과,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매개로 해당 구역의 센서 게이트웨이로 제어명령을 보내며 사용자 DB와 상황인식 DB와 자원관리 DB를 구비한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는 서버제어부를 포함하는 클라우드 서버;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복수의 구역에 대한 상황 인식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중앙관리 컴퓨터;를 포함하고, 상기 상황인식 처리모듈은 복수의 구역 중 환경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를 설치하지 않은 미설치 구역에 대하여 주변 구역으로부터 획득한 환경 정보를 이용하여 미설치 구역의 환경 정보를 대체하여 상황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센서게이트웨이에 연결되는 자원 종류는 단방향으로 통신가능한 고정형-싱글채널, 양방향 통신가능한 고정형-듀얼채널, 사람 또는 사물에 휴대 및 부착가능한 이동형으로 구분하며, 상기 고정형-싱글채널에 해당하는 자원은 온도센서, 습도센서, 조도센서, 기압센서, 중량센서, 압력센서, 진동센서, 가스센서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형-듀얼채널에 해당하는 자원은 조명센서, 음향출력기(스피커), 디스플레이, 촬영 카메라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형은 사람 또는 사물에 부착하는 위치추적 비컨, 생체정보를 측정하는 헬스케어용 밴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대체자원 설정부는 복수 구역에서 구역별 대체자원의 적용 여부, 대체자원 적용대상, 대체자원 위치에 대한 대체자원 설정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병원, 학원, 스마트 공장 등의 시설물에 사물 인터넷 환경을 구축시 복수 구역에서 센서와 디바이스 등의 대체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경제적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물 인터넷 기반의 상황 인식 서비스 시스템의 전체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의 상세 블록도.
도 3은 사물인터넷 환경이 구축된 유아교육시설에 본 발명이 적용된 경우 각 구역에 배분된 자원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물 인터넷 기반 상황 인식 서비스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유치원, 학교, 여객 터미널, 백화점, 학원, 병원, 정보통신 기술(ICT)을 적용하여 생산성과 고객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스마트 공장 등의 시설물에 사물 인터넷 환경을 구축하고 사람 또는 사물에 대한 상황 인식에 대응하여 적절한 조치를 수행하는 상황 인식 서비스에 적용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사물 인터넷 기반 상황 인식 서비스 시스템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물인터넷 적용시설의 복수 구역에 대응하여 개별 설치된 센서 게이트웨이(10)와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클라우드 서버(100)와, 클라우드 서버(100)에 각각 연결되어 상황 인식 처리 결과에 의해 획득된 상황 인식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스마트 모바일 기기(200) 및 중앙관리 컴퓨터(300)와, 사물인터넷 적용시설에 설치된 부대설비를 작동 및 운영하는 부대설비 관리장치(400)를 포함한다.
복수 구역(제1구역, 제2구역, ..., 제n구역)은 공간적, 물리적으로 구분할 수 있으면 구역의 크기와 형태에 제한받을 필요는 없고, 사물 인터넷 환경을 구축하기 위하여 각 구역에 정보 수집을 위한 각종 자원이 사용된다. 사용 자원은 사람 또는 사물의 위치 및 작동 상태, 환경 정보 등 상황 인식에 필요한 기초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는 수단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할 필요가 있으며, 대표적으로 각종 센서와 디바이스가 해당된다.
도 1을 참고하면, 각 구역에 사용 자원의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 게이트웨이(10)를 구비할 수 있으며, 센서 게이트웨이(10)의 처리 능력 제한으로 해당 구역에 사용된 자원의 규모가 크고 많은 경우 하나의 구역에 복수의 센서 게이트웨이(10)를 설치할 수도 있다.
센서 게이트웨이(10)는 복수 구역(제1구역, 제2구역, ..., 제n구역)에 할당되고 해당 구역의 자원들과 유선 또는 무선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근거리 통신에 적합한 통신 프로토콜로서 BLE(Bluetooth Low Energy), Bluetooth, Wi-Fi, http, CoAp(Constrained Application Protocol) 등을 적용할 수 있다.
센서 게이트웨이(10)에 연결되는 자원 종류는 단방향으로 통신가능한 고정형-싱글채널, 양방향 통신가능한 고정형-듀얼채널, 사람 또는 사물에 휴대 및 부착가능한 이동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각 센서 게이트웨이(10)에 연결되는 자원 종류는 해당 구역의 크기, 상황 인식 조건, 및 주변 환경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여기서 고정형-싱글채널에 해당하는 자원으로 온도센서, 습도센서, 조도센서, 기압센서, 중량센서, 압력센서, 진동센서, 가스센서 등이다. 고정형-듀얼채널에 해당하는 자원으로 조명센서, 음향출력기(스피커), 디스플레이, 촬영 카메라 등이다. 이동형은 안전모와 운반 카트 등에 부착하는 위치추적 비컨, 사람에 착용되어 생체정보를 측정하는 헬스케어용 밴드 등이다.
클라우드 서버(100)는 복수 구역에 할당 설치된 각각의 센서 게이트웨이(10)에 연결되고, HTTP 통신을 이용하여 센서와 디바이스를 통해 획득된 데이터를 전송받을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여, 클라우드 서버(100)의 상세 구성을 설명한다.
클라우드 서버(100)는 인터페이스부(120), 서버제어부(110), 데이터베이스부(130), 상황인식 처리모듈(140), 대체자원 설정부(150), 부대설비 제어모듈(160)을 포함한다.
서버제어부(110)는 각 센서 게이트웨이(10), 스마트 모바일 기기(200), 및 중앙관리 컴퓨터(300)와 HTTP 통신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서버제어부(110)는 인터페이스부(120)를 매개로 각각의 센서 게이트웨이(10)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받고, 해당 구역의 자원에 대한 제어명령을 보내며, 사용자 DB(131)를 검색하여 사용자 인증 처리하고, 해당 구역에 사용된 자원의 위치와 고유번호, 특성 등 자원정보를 자원관리 DB(133)에 등록, 수정, 갱신하게 된다.
또한 서버제어부(110)는 상황인식 처리모듈(140)에 의한 상황 인식 처리 결과를 상황인식 DB(132)에 저장하며, 그러한 상황 인식 결과에 대하여 스마트 모바일 기기(200) 및 중앙관리 컴퓨터(300)의 전송 요청에 응답하여 상황 인식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서버제어부(110)는 상황 인식 결과에 따라 부대설비 제어모듈(160)로부터의 설비 제어정보를 중앙관리 컴퓨터(300)로 전달하며, 이에 따라 중앙관리 컴퓨터(300)가 부대설비 관리장치(400)를 통하여 사물 인터넷 환경이 적용된 시설물의 부대설비를 운영 및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구역에서 수집한 환경 정보에 따라 상황 인식한 결과 온도와 습도 조절이 필요하여 공기조화 설비의 가동조건에 해당하면 상세한 공기조화 설비의 제어정보를 부대설비 제어모듈(160)로부터 획득하고, 이 공기조화 설비의 제어정보를 전달받은 중앙관리 컴퓨터(300)가 해당 설비의 제어명령을 자동 출력하여 부대설비 관리장치(400)에서 공기조화 설비를 구동시키는 것이다.
사물 인터넷 환경 구축시 유선, 무선 네트워크의 가설 비용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서비스 공간 즉 복수 구역에 상당한 자원이 사용되는데, 인접한 주변 구역에서 획득된 정보를 해당 구역에 무리 없이 사용할 수 있는 조건을 충족하면 이를 대체자원으로 활용함으로써 경제적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3에 예시한 바와 같이, 유아교육시설에 사물인터넷 환경을 구축한 경우 복수 구역(구역1 내지 구역14)에는 다양한 자원이 해당 구역의 특성에 맞게 효율적으로 배분하여 설치할 수 있다. 상세한 사용자원은 다음 표 1과 같다.
구분 사용자원 대체자원 대상 대체자원 위치
구역1
(직원실)
스피커 S9 센서게이트웨이 G 온도센서 S1
습도센서 S2
미세먼지센서 S4
구역12
구역2
(원장실)
스피커 S9 모니터 S10
센서게이트웨이 G
온도센서 S1
습도센서 S2
미세먼지센서 S4
구역12
구역3
(공부방)
온도센서 S1 습도센서 S2
조도센서 S6 카메라 S8
스피커 S9 센서게이트웨이 G
미세먼지센서 S4 구역12
구역4
(화장실)
온도센서 S1 습도센서 S2 구역6
구역5
(자료실)
모션센서 S3 온도센서 S1
습도센서 S2
미세먼지센서 S4
구역12
구역6
(공부방)
온도센서 S1 습도센서 S2
조도센서 S6 카메라 S8
스피커 S9 센서게이트웨이 G
미세먼지센서 S4 구역12
구역7
(공부방)
온도센서 S1 습도센서 S2
조도센서 S6 카메라 S8
스피커 S9 센서게이트웨이 G
미세먼지센서 S4 구역12
구역8
(화장실)
온도센서 S1 습도센서 S2 구역12
구역9
(다용도실)
모션센서 S3 온도센서 S1
습도센서 S2
미세먼지센서 S4
구역12
구역10
(화장실)
온도센서 S1 습도센서 S2 구역11
구역11
(놀이터)
온도센서 S1 습도센서 S2
카메라 S8 스피커 S9
센서게이트웨이 G
미세먼지센서 S4 구역12
구역12
(복도)
온도센서 S1 습도센서 S2
미세먼지센서 S4
조도센서 S6 카메라 S8
스피커 S9 센서게이트웨이 G
없음 없음
구역13
(탕비실)
온도센서 S1 습도센서 S2
가스센서 S5 센서게이트웨이 G
미세먼지센서 S4 구역12
구역14
(현관)
미세먼지센서 S4 비콘 S7
카메라 S8 센서게이트웨이 G
온도센서 S1 구역12
전체 구역 중 구역1, 구역2, 구역5, 구역9는 온도센서 S1 및 습도센서 S2를 사용하지 않고 대신에 인접한 구역12에 설치한 온도센서 S1 및 습도센서 S2를 통해 측정된 온도와 습도를 해당 구역의 환경 정보로 대체 사용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구역1, 구역2, 구역3, 구역5, 구역6, 구역7, 구역9, 구역11, 구역13은 미세먼지센서 S4를 사용하지 않고 대신에 인접한 구역12에 설치한 미세먼지센서 S4를 통해 측정된 미세먼지 농도를 해당 구역의 환경 정보로 대체 사용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구역14는 온도센서 S1를 사용하지 않고 대신에 인접한 구역12에 설치한 온도센서 S1를 통해 측정된 온도를 해당 구역의 환경 정보로 대체 사용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구역4, 구역8, 구역10은 습도센서 S2를 사용하지 않고 대신에 인접한 구역6, 구역12, 구역11에 각각 설치한 습도센서 S2를 통해 측정된 습도를 해당 구역의 환경 정보로 대체 사용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역 12는 대체자원을 활용하지 않지만, 대부분의 다른 구역들은 하나 이상의 대체자원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 구역에서 구역별 대체자원이 적용 여부, 대체자원 적용대상, 대체자원 위치에 대한 대체자원 설정정보는 대체자원 설정부(150)에 사전 설정해둔다.
상황인식 처리모듈(140)은 센서 게이트웨이(10)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복수 구역에서 사람 또는 사물에 대한 상황 인식을 처리하는 상황인식 알고리즘을 구비한다. 이때 상황인식 알고리즘은 대체자원 설정부(150)로부터 복수 구역에 대한 대체자원의 설정정보를 고려하여 수집된 상태 정보와 환경 정보를 결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상황 인식한다. 그 처리 결과는 서버제어부(110)에 의해 상황인식 DB(132)에 저장된다. 여기서 상황인식 알고리즘은 다양한 상황 정보를 조합해 지능적인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 사물인터넷 환경 기반의 서비스 플랫폼의 핵심적인 기능 요소로서, 서비스 목적과 적용범위 및 장소 등을 고려하여 설계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물 인터넷 기반 상황 인식 서비스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사물인터넷 환경이 적용되는 복수 구역의 사용 자원에 기초하여 구역별로 대체자원 적용 대상과 대체자원의 설치구역을 포함한 대체자원 설정정보를 대체자원 설정부(150)에 사전 저장해둔다. 데이터베이스부(130)의 사용자 DB(131)와 자원관리 DB(133) 및 상황인식 DB(132)를 구축한다.
클라우드 서버(100)는 복수 구역의 센서 게이트웨이(10) 사이에 http 통신프로토콜에 따른 통신 연결상태에서 복수 구역의 센서 게이트웨이(10)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을 수 있다(510).
복수 구역의 센서 게이트웨이(10) 각각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프로토콜(BLE, Bluetooth, Wi-Fi, http, CoAp)를 통하여 각 구역에 설치한 센서와 디바이스로부터 수집된 상황 인식 정보를 클라우드 서버(100)로 전송한다. 클라우드 서버(100)의 상황인식 처리모듈(140)은 대체자원 설정부(150)로부터 받은 대체자원 설정정보에 기초하여 복수 구역의 사람 또는 사물에 대한 상황 인식을 처리하며, 이 경우 복수 구역에 대해 사용 자원과 대체 자원으로부터 수집된 환경 정보와 상태 정보에 따라 사람 또는 사물의 상황을 인식하며, 그 상황 인식 처리 결과를 상황인식 DB(132)에 저장할 수 있다(520).
이후 복수 구역에 설치된 센서 게이트웨이(10)를 통하여 수집된 상황 인식 정보를 처리한 결과 상황 인식에 변동이 발생하면 변동된 상황 인식 결과를 상황인식 DB(132)에 업데이트하고, 관리자에 의한 중앙관리 컴퓨터(300) 또는 사용자의 스마트 모바일 기기(200)로 요청받은 상황인식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530).
상술한 바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물 인터넷 환경을 구축하여 상황 인식 서비스를 구현시 서비스 공간에 반드시 설치하는 센서와 디바이스 등의 대체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경제적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관리자가 중앙관리 컴퓨터를 이용하여 대체자원 설정정보로서 전체 구역 중 대체자원의 대상과 대체자원 종류를 해당 구역에 따라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아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하여 통상의 기술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개량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 센서 게이트웨이
100 : 클라우드 서버
200 : 스마트 모바일 기기
300 : 중앙관리 컴퓨터
400 : 부대설비 관리장치

Claims (3)

  1. 사물인터넷 환경이 구축된 복수의 구역에 설치된 센서와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자원에 의해 획득된 정보를 수집하고 전송하며, 각각의 구역에 개별 설치된 센서 게이트웨이;
    상기 각각의 센서 게이트웨이에 연결되고 HTTP 통신을 이용하여 센서와 디바이스를 통해 획득된 데이터를 전송받을 수 있는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복수 구역 중 해당 구역에 자원이 설치되지 않은 미설치 구역의 대체자원 설정정보를 저장하는 대체자원 설정부와, 상기 획득된 데이터와 대체자원 설정정보에 따라 복수 구역에서 사람 또는 사물의 상황을 인식하는 상황인식 처리모듈과,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매개로 해당 구역의 센서 게이트웨이로 제어명령을 보내며 사용자 DB와 상황인식 DB와 자원관리 DB를 구비한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는 서버제어부를 포함하는 클라우드 서버;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복수의 구역에 대한 상황 인식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중앙관리 컴퓨터;를 포함하고,
    상기 상황인식 처리모듈은 복수의 구역 중 환경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를 설치하지 않은 미설치 구역에 대하여 주변 구역으로부터 획득한 환경 정보를 이용하여 미설치 구역의 환경 정보를 대체하여 상황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 환경 기반의 상황 인식 서비스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게이트웨이에 연결되는 자원 종류는 단방향으로 통신가능한 고정형-싱글채널, 양방향 통신가능한 고정형-듀얼채널, 사람 또는 사물에 휴대 및 부착가능한 이동형으로 구분하며,
    상기 고정형-싱글채널에 해당하는 자원은 온도센서, 습도센서, 조도센서, 기압센서, 중량센서, 압력센서, 진동센서, 가스센서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형-듀얼채널에 해당하는 자원은 조명센서, 음향출력기(스피커), 디스플레이, 촬영 카메라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형은 사람 또는 사물에 부착하는 위치추적 비컨, 생체정보를 측정하는 헬스케어용 밴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 환경 기반의 상황 인식 서비스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체자원 설정부는 복수 구역에서 구역별 대체자원이 적용 여부, 대체자원 적용대상, 대체자원 위치에 대한 대체자원 설정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 환경 기반의 상황 인식 서비스 시스템.
KR1020170118473A 2017-09-15 2017-09-15 사물 인터넷 기반의 상황 인식 서비스 시스템 KR201900308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8473A KR20190030899A (ko) 2017-09-15 2017-09-15 사물 인터넷 기반의 상황 인식 서비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8473A KR20190030899A (ko) 2017-09-15 2017-09-15 사물 인터넷 기반의 상황 인식 서비스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0899A true KR20190030899A (ko) 2019-03-25

Family

ID=65907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8473A KR20190030899A (ko) 2017-09-15 2017-09-15 사물 인터넷 기반의 상황 인식 서비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3089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3722B1 (ko) * 2019-11-05 2020-12-21 주식회사 소더코드 하이브리드 계측기 영상처리 시스템 및 방법
WO2021006432A1 (ko) * 2019-07-09 2021-01-14 (주)씨앤테크 센싱 단말을 이용한 이동 자산 모니터링 시스템 및 모니터링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3713B1 (ko) 2016-02-19 2016-06-27 안동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키즈 케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025882A (ko) 2015-08-31 2017-03-08 주식회사 더블유키즈 유아시설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724135B1 (ko) 2016-10-27 2017-04-06 유병훈 건물 자동제어 네트워크 및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개별 실내환경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5882A (ko) 2015-08-31 2017-03-08 주식회사 더블유키즈 유아시설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633713B1 (ko) 2016-02-19 2016-06-27 안동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키즈 케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24135B1 (ko) 2016-10-27 2017-04-06 유병훈 건물 자동제어 네트워크 및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개별 실내환경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4. 등록특허 제10-1527813호(2015.06.04. 등록 "유아를 위한 보육 및 교육시설에서 유아 보호를 위한 CCTV 관리 단말, 그리고 CCTV 정보 획득방법")
없음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06432A1 (ko) * 2019-07-09 2021-01-14 (주)씨앤테크 센싱 단말을 이용한 이동 자산 모니터링 시스템 및 모니터링 방법
US11968485B2 (en) 2019-07-09 2024-04-23 C&Techco., Ltd.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mobile asset by using sensing terminal
KR102193722B1 (ko) * 2019-11-05 2020-12-21 주식회사 소더코드 하이브리드 계측기 영상처리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65402B2 (en) Set-top box,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wareness in a hospitality environment
US20160165387A1 (en) Smart home platform with data analytics for monitoring and related methods
JP4919648B2 (ja) 無線端末管理システム
US20220353639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locations of students within school buildings
CN108141475B (zh) 物联网交互系统
KR20190030899A (ko) 사물 인터넷 기반의 상황 인식 서비스 시스템
KR20150144205A (ko) 활동량 데이터를 이용한 장애인 스마트 케어 시스템 및 그 방법
EP3473061B1 (en) Position estimating lighting system and position estimating method
US11825132B2 (en) Thermostat,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wareness in a hospitality environment
US20210235131A1 (en) Thermostat,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wareness in a Hospitality Environment
US20210235129A1 (en) Thermostat,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wareness in a Hospitality Environment
KR102172650B1 (ko) Led 조명 시스템 기반 홈 네트워크 시스템
KR20230071307A (ko) 다양한 상황에서 외부로부터의 여러 가지 위협을 탐지, 경보 및 그에 대응하는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