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5644A - 배관 매니홀드 - Google Patents

배관 매니홀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5644A
KR20170025644A KR1020150122402A KR20150122402A KR20170025644A KR 20170025644 A KR20170025644 A KR 20170025644A KR 1020150122402 A KR1020150122402 A KR 1020150122402A KR 20150122402 A KR20150122402 A KR 20150122402A KR 20170025644 A KR20170025644 A KR 201700256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tube
unit
branch
branch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2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택
송정일
이종태
이계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화인텍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화인텍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화인텍코리아
Priority to KR10201501224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25644A/ko
Publication of KR20170025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56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7/00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 F16L17/02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outer surface of pipe and inner surface of sleeve or sock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4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in the radial pla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16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02Hose-cl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9/00Joints or fittings for double-walled or multi-channel pipes or pipe assembl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2Branch units, e.g. made in one piece, welded, riveted
    • F16L41/021T- or cross-pie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과 관련된 배관 매니홀드는, 주관부와, 상기 주관부에 대하여 분기된 지관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분지관유닛; 및 상기 복수의 분지관유닛을, 상기 주관부가 공통되도록 직렬로 연결하는 복수의 접속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분지관유닛 중 어느 하나인 제1분지관유닛과 상기 제1분지관유닛에 인접된 제2분지관유닛을 연결하는 제1접속장치는, 상기 제1분지관유닛에 포함된 제1주관부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는 제1플랜지; 상기 제1플랜지에 맞대어질 수 있게 상기 제2분지관유닛에 포함된 제2주관부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는 제2플랜지; 상기 제1플랜지와 상기 제2플랜지가 맞댄 상태에서 상기 제1분지관유닛과 상기 제2분지관유닛의 상대 회전을 허용하며 상기 제1플랜지와 상기 제2플랜지 사이를 밀봉시킬 수 있게 형성된 밀봉부; 및 일측이 개방되어 외력에 의해 벌어진 후 탄성적으로 오므려져 상기 제1분지관유닛 및 제2분지관유닛의 외주면에 접촉할 수 있게 형성된 탄성바디부와, 맞대어진 상기 제1플랜지와 상기 제2플랜지를 구속시키며 상기 제1플랜지와 상기 제2플랜지의 사이의 벌어짐을 제한시킬 수 있게 상기 탄성바디부에 형성된 스위블 스토퍼를, 갖는 퀵클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관 매니홀드{PIPE MANIFOLD}
본 발명은 공통관으로부터 복수의 지관으로 유체를 분기시키거나 또는 역으로 복수의 지관으로부터 공통관으로 합류시키는 배관 매니홀드에 관한 것이다.
매니홀드는 내부에 배관의 역할을 하는 통로가 형성되어 있고, 외부에 다수의 기기 접속구를 갖춘 다기관을 말한다. 매니홀드는 주로 엔진분야의 다실린더기관에서 각 실린더의 흡기 또는 배기를 인도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으나, 이외에도 냉각수나 절삭유의 공급 등과 같이 특정의 목적을 위하여 산업 전반에 걸쳐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통상의 매니홀드는 공통관과 공통관으로부터 분기된 여러 분지관을 포함하는 형태이다. 그런데, 공통관이 일체형이거나 상호 고정되어 있어 분지관의 수를 증가시키거나 분지관의 방향을 변경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그에 따라, 목적이나 요구에 맞는 매니홀드를 제작하여야 하므로 비용이 증가되며, 작업의 능률과 편의성 면에서도 불리한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한 것으로, 플랜지 구조를 갖는 복수의 분지관 유닛에 체결 또는 해체가 용이한 퀵클램프를 적용하여 분지관 유닛의 수를 조절하거나 방향을 변경하는 것이 용이한 배관 매니홀드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목적은, 내압에 의한 퀵클램프의 손상을 최소화시켜 부품 수명을 연장하고 안정적인 밀폐성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배관 매니홀드는, 주관부와, 상기 주관부에 대하여 분기된 지관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분지관유닛; 및 상기 복수의 분지관유닛을, 상기 주관부가 공통되도록 직렬로 연결하는 복수의 접속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분지관유닛 중 어느 하나인 제1분지관유닛과 상기 제1분지관유닛에 인접된 제2분지관유닛을 연결하는 제1접속장치는, 상기 제1분지관유닛에 포함된 제1주관부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는 제1플랜지; 상기 제1플랜지에 맞대어질 수 있게 상기 제2분지관유닛에 포함된 제2주관부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는 제2플랜지; 상기 제1플랜지와 상기 제2플랜지가 맞댄 상태에서 상기 제1분지관유닛과 상기 제2분지관유닛의 상대 회전을 허용하며 상기 제1플랜지와 상기 제2플랜지 사이를 밀봉시킬 수 있게 형성된 밀봉부; 및 일측이 개방되어 외력에 의해 벌어진 후 탄성적으로 오므려져 상기 제1분지관유닛 및 제2분지관유닛의 외주면에 접촉할 수 있게 형성된 탄성바디부와, 맞대어진 상기 제1플랜지와 상기 제2플랜지를 구속시키며 상기 제1플랜지와 상기 제2플랜지의 사이의 벌어짐을 제한시킬 수 있게 상기 탄성바디부에 형성된 스위블 스토퍼를, 갖는 퀵클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밀봉부는, 일단은 상기 제1플랜지의 내부로 삽입되고, 타단은 상기 제2플랜지로 삽입될 수 있게 형성된 삽입관부; 및 상기 삽입관부의 일단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제1오링 및, 상기 삽입관부의 타단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제2오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삽입관부는 상기 제1플랜지 및 상기 제2플랜지의 내부로 전체가 삽입될 수 있는 길이를 가지며, 상기 제1플랜지의 내주면 및 상기 제2플랜지의 내주면에 상기 삽입관부의 추가적인 진입을 제한하도록 단턱부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지관부는 상기 주관부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단부에는 대상 배관에 연결될 수 있게 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배관 매니홀드는, 직렬로 연결된 상기 복수의 분지관유닛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는 제1지지관부 및 타측 단부에 결합되는 제2지지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지지관부 및 상기 제2지지관부에 상기 복수의 분지관 유닛을 고정하기 위한 브라켓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탄성바디부는 밴드형의 금속에 의하여 일체형으로 형성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탄성바디부는, 상기 제1분지관유닛 및 상기 제2분지관유닛을 감쌀 수 있게 호상(弧狀)으로 형성되며, 일측이 개방된 밴드부; 상기 밴드부의 적어도 일 위치에 상기 밴드부의 외력에 의한 벌어짐각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절곡되어 형성된 힌지형상부; 및 상기 밴드부의 개방된 양 단부에 형성된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스위블 스토퍼는 상기 제1플랜지 및 상기 제2플랜지가 통과되어 걸려질 수 있도록 상기 제1플랜지의 폭과 상기 제2플랜지의 폭을 합한 것보다 큰 폭을 갖는 슬롯을 상기 밴드부에 형성한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퀵클램프는, 상기 제1플랜지와 상기 제2플랜지가 벌어지는 방향의 압력을 지지할 수 있도록 탄성바디부를 보강할 수 있게 형성된 보강형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보강형상부는 밴드부 상에서 상기 힌지형상부와 이격되어 위치되며, 상기 스위블 스토퍼에 의해 영역적으로 나뉘어진 상기 밴드부의 양쪽 부분을 잇는 브릿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보강형상부는 상기 브릿지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밴드부의 폭방향으로 연장하는 보강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보강돌기는 상기 힌지형상부 및 상기 가이드부에도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배관 매니홀드에 의하면, 주관부와 지관부를 갖는 복수의 분지관 유닛을 주관부가 공통되도록 플랜지에 의해 접속하고 퀵클램프를 통해 체결하는 것으로서, 분지관유닛의 방향의 전환이 용이하며, 상대 회전을 허용할 수 있는 밀봉부를 통해 대상 배관의 회전이나 위치변경에도 안정적인 밀봉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의하면, 보강형상부를 통해 대상 배관내의 압력에 의해 퀵클램프가 벌어지거나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시키고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제1실시예에 따른 배관 매니홀드(100)가 조립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배관 매니홀드(100)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배관 매니홀드(100)의 일부 단면도
도 4는 도 1의 퀵클램프(140)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제2실시예에 따른 퀵클램프(240)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제3실시예에 따른 퀵클램프(340)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제4실시예에 따른 퀵클램프(440)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된 제5실시예에 따른 퀵클램프(540)의 사시도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배관 매니홀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제1실시예에 따른 배관 매니홀드(100)가 조립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배관 매니홀드(100)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배관 매니홀드(100)의 일부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퀵클램프(140)의 사시도이다.
배관 매니홀드(100)는 전체적으로, 복수의 분지관유닛(110A, 110B)과, 복수의 분지관유닛(110A, 110B)을 직렬로 연결하는 복수의 접속장치(130)를 포함하는 형태로 되어 있다. 편의상 복수의 분지관유닛(110A, 110B) 중 어느 하나를 제1분지관유닛(110A)으로 하고, 제1분지관유닛(110A)에 인접되어 있는 분지관유닛을 제2분지관유닛(110B)으로 하며, 제1분지관유닛(110A)과 제2분지관유닛(110B)을 연결하는 접속장치(130)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1분지관유닛(110A)은 제1주관부(111A)와 제1주관부(111A)에 대해 분기된 제1지관부(112A)를 가지며, 제2분지관유닛(110B)도 제2주관부(111B)와 제2주관부(111B)에 대해 분기된 제2지관부(112B)를 갖는 형태로 되어 있다. 접속장치(130)는 제1분지관유닛(110A)과 제2분지관유닛(110B)을 주관부(111A, 111B)가 공통되도록 직렬로 연결한다.
접속장치(130)는, 제1분지관유닛(110A)에 포함된 제1주관부(111A)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는 제1플랜지(113A)와, 제1플랜지(113A)에 맞대어질 수 있게 제2분지관유닛(110B)에 포함된 제2주관부(111B)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는 제2플랜지(113B), 제1플랜지(113A)와 제2플랜지(113B) 사이를 밀봉하기 위한 밀봉부(131, 133, 134), 탄성작용에 의하여 끼워져 제1플랜지(113A)와 제2플랜지(113B)를 구속하거나 벗겨질 수 있게 형성된 퀵클램프(1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배관 매니홀드(100)는 지관부(112A, 112B)에 연결된 배관요소(유니언 너트, 밸브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분지관유닛(110)의 일측 단부에는 제1지지관부(125)가 구비되고, 타측 단부에는 제2지지관부(127)가 구비될 수 있다. 제1지지관부(125) 및 제2지지관부(127)에는 복수의 분지관유닛(110)을 고정하기 위한 브라켓(126, 128)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브라켓(126, 128)은 배관 매니홀드(100)가 부착되거나 장착될 대상면에 고정되기 위한 체결홀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 분지관유닛(110A, 110B)의 방향을 전환하거나 퀵클램프(140)의 장착이나 탈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대상면으로부터 일정한 이격 거리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분지관유닛(110A)의 제1플랜지(113A)와 제2분지관유닛(110B)의 제2플랜지(113B)는 상호 맞대어진 상태에서 배관축 방향으로 상대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면서도 퀵클램프(140)에 고정될 수 있는 단턱을 제공하는 원형 디스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퀵클램프(140)가 체결된 상태에서 퀵클램프(140)의 회전이나 방향전환이 용이하도록 제1플랜지(113A)와 제2플랜지(113B)의 내측영역은 슬립면(114A, 114B)이 형성될 수 있다.
밀봉부(131, 133, 134)는 제1플랜지(113A)와 제2플랜지(113B)가 맞댄 상태에서 제1분지관유닛(110A)과 제2분지관유닛(110B)의 상대 회전을 허용하면서도 제1플랜지(113A)와 제2플랜지(113B) 사이를 밀봉시킬 수 있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밀봉부(131, 133, 134)는, 일단은 제1플랜지(113A)의 내부로 삽입되고 타단은 제2플랜지(113B)로 삽입될 수 있게 형성된 삽입관부(131)와, 삽입관부(131)의 일단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제1오링(133) 및, 삽입관부(131)의 타단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제2오링(134)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오링(133, 134)은 제1주관부(111A) 및 제2주관부(111B)의 내주면에 각각 밀착하여 수밀이나 기밀작용을 하면서도 배관축 방향에 대하여는 회전이나 각도 변경을 가능하게 한다. 이와 달리, 밀봉부는 제1주관부(111A)로부터 연장하거나 제2주관부(111B)로부터 연장하는 연장부와 연장부에 끼워지는 하나의 오링을 갖는 형태일 수 있다.
삽입관부(131)는 제1플랜지(113A) 및 제2플랜지(113B)의 내부로 전체가 삽입될 수 있는 길이를 갖는다. 이때, 제1플랜지(113A)의 내주면 및 제2플랜지(113B)의 내주면에는 삽입관부(131)의 추가적인 진입을 제한하도록 단턱부(115)가 형성될 수 있다.
지관부(112A, 112B)는 주관부(111A, 111B)에 대하여 직각을 이룸으로써 사용자가 지관부(112A, 112B)의 방향 설정을 쉽고 정확하게 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지관부(112A, 112B)의 단부에도 플랜지(116A, 116B)가 각각 구비될 수 있으며, 플랜지를 갖는 다른 호스나 튜브 또는 파이프 등의 대상 배관에 연결되기 위한 부속과 퀵클램프(140)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이때, 퀵클램프(140)는 다른 부속의 상대회전이나 방향 전환을 허용하면서도 용이한 장착 또는 분리가능성을 제공할 수 있다.
퀵클램프(140)는 밴드형의 금속(예: 스테인리스 스틸)에 의하여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와 같이, 퀵클램프(140)는 탄성바디부(141)와 스위블 스토퍼(143)를 갖는 형태일 수 있다. 퀵클램프(140)는 탄성바디부(141)의 보강을 위하여 보강형상부(145)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탄성바디부(141)는 일측이 개방되어 외력에 의해 벌어진 후 탄성적으로 오므려져 제1분지관유닛(110A) 및 제2분지관유닛(110B)의 슬립면(114, 124)에 접촉할 수 있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탄성바디부(141)는, 제1분지관유닛(110A) 및 제2분지관유닛(110B)을 감쌀 수 있게 호상(弧狀)으로 형성되며 일측이 개방된 밴드부(141-1)와, 밴드부(141-1)의 적어도 일 위치에 밴드부(141-1)의 외력에 의한 벌어짐각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절곡되어 형성된 힌지형상부(141-2) 및 밴드부(141-1)의 양 단부에 형성된 가이드부(141-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스위블 스토퍼(143)는 제1플랜지(113A) 및 제2플랜지(113B)가 통과되어 걸려질 수 있도록 제1플랜지(113A)의 폭(w1)과 제2플랜지(113B)의 폭(w2)을 합한 것보다 큰 폭(w3>W1+W2)을 갖는 슬롯을 밴드부(141-1)에 형성한 형태일 수 있다.
보강형상부(145)는 밴드부(141-1) 상에서 힌지형상부(141-2)와 이격되어 위치되며, 스위블 스토퍼(143)에 의해 영역적으로 나뉘어진 밴드부(141-1)의 양쪽 부분(즉, 제1분지관유닛(110A)의 슬립면(114A)에 접하는 부분과 제2분지관유닛(110B)의 슬립면(114B)에 접하는 부분)을 잇는 브릿지부(146)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탄성바디부(141)는 제1분지관유닛(110A)와 제2분지관유닛(110B)에 탈착될 수 있는 탄성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며, 스위블 스토퍼(143)는 제1플랜지(113A)와 제2플랜지(113B)가 상호 맞댄 상태를 유지하면서도 상대회전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보강형상부(145)는 슬롯 형태로 형성된 스위블 스토퍼(143)에 의해 탄성바디부(141)의 내압특성이 저하될 가능성을 최소화시킨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제1분지관유닛(110A)과 제2분지관유닛(110B)은 각 주관부(111A, 111B)를 중심으로 지관부(112A, 112B)의 방향을 상호 독립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퀵클램프(140)는 지관부(112A, 112B)가 회전되어도 함께 회전하면서 제1플랜지(113A)와 제2플랜지(113B)의 체결상태를 유지시킨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제2실시예에 따른 퀵클램프(240)의 사시도이다.
본 예의 퀵클램프(240)는 앞서 설명된 것과 유사한 밴드부(241-1)와 힌지형상부(241-2) 및 가이드부(241-3)를 갖는 탄성바디부(241)와, 스위블 스토퍼(243)를 포함하고 있다. 다만, 보강형상부(245)는 스위블 스토퍼(243)에 의해 영역적으로 나뉘어진 밴드부(241-1)의 양쪽 부분을 잇는 브릿지부(246)와 함께, 브릿지부(246)로부터 돌출되어 밴드부(241-1)의 폭방향으로 연장하는 보강돌기(247)를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보강돌기(247)는 압력에 의해 퀵클램프(140)가 벌어지거나 파손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지지력을 제공한다. 보강돌기(247)는 힌지형상부(241-2) 및 가이드부(241-3)에도 형성됨으로써 탄성바디부(241)의 보강작용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제3실시예에 따른 퀵클램프(340)의 사시도이다.
본 예에서는 보강돌기(347)가 힌지형상부(341-2)와 가이드부(341-3)에만 형성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보강돌기(347)는 힌지형상부(341-2)에 복수 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힌지형상부(341-2)는 원호형으로 형성된 앞의 실시예와 달리 사각형태로도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제4실시예에 따른 퀵클램프(440)의 사시도이다.
본 예에서는 보강돌기(447)가 스위블 스토퍼(443)의 가장자리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절곡된 형태를 보이고 있다. 특히, 내압에 의하여 응력의 집중이 일어나기 쉬운 스위블 스토퍼(443)와 힌지형상부(441-2)의 연결부위 또는 스위블 스토퍼(443)와 가이드부(441-3)의 연결부위에 보강돌기(447)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된 제5실시예에 따른 퀵클램프(540)의 사시도이다.
본 예에서는 앞에서 예시한 브릿지부(146, 246, 346, 446)가 포함되지 않은 형태로서, 양쪽에 각각 분할되지 않은 하나의 슬롯 형태로 형성된 스위블 스토퍼(543)를 포함한 것을 보이고 있다. 보강돌기(547)는 내압에 의하여 응력의 집중이 일어나기 쉬운 스위블 스토퍼(543)와 힌지형상부(541-2)의 연결부위 또는 스위블 스토퍼(543)와 가이드부(541-3)의 연결부위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배관 매니홀드는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되지 않는다.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배관 매니홀드 110A: 제1분지관유닛
110B: 제2분지관유닛 111A: 제1주관부
111B: 제2주관부 112A: 제1지관부
112B: 제2지관부 113A: 제1플랜지
113B: 제2플랜지 130: 접속장치
131: 삽입관 133: 제1오링
134: 제2오링 140: 퀵클램프
141: 탄성바디부 141-1: 밴드부
141-2: 힌지형상부 141-3: 가이드부
143: 스위블 스토퍼 145: 보강형상부
146: 브릿지부

Claims (12)

  1. 주관부와, 상기 주관부에 대하여 분기된 지관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분지관유닛; 및
    상기 복수의 분지관유닛을, 상기 주관부가 공통되도록 직렬로 연결하는 복수의 접속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분지관유닛 중 어느 하나인 제1분지관유닛과 상기 제1분지관유닛에 인접된 제2분지관유닛을 연결하는 제1접속장치는,
    상기 제1분지관유닛에 포함된 제1주관부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는 제1플랜지;
    상기 제1플랜지에 맞대어질 수 있게 상기 제2분지관유닛에 포함된 제2주관부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는 제2플랜지;
    상기 제1플랜지와 상기 제2플랜지가 맞댄 상태에서 상기 제1분지관유닛과 상기 제2분지관유닛의 상대 회전을 허용하며 상기 제1플랜지와 상기 제2플랜지 사이를 밀봉시킬 수 있게 형성된 밀봉부; 및
    일측이 개방되어 외력에 의해 벌어진 후 탄성적으로 오므려져 상기 제1분지관유닛 및 제2분지관유닛의 외주면에 접촉할 수 있게 형성된 탄성바디부와, 맞대어진 상기 제1플랜지와 상기 제2플랜지를 구속시키며 상기 제1플랜지와 상기 제2플랜지의 사이의 벌어짐을 제한시킬 수 있게 상기 탄성바디부에 형성된 스위블 스토퍼를, 갖는 퀵클램프를 포함하는, 배관 매니홀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는,
    일단은 상기 제1플랜지의 내부로 삽입되고, 타단은 상기 제2플랜지로 삽입될 수 있게 형성된 삽입관부; 및
    상기 삽입관부의 일단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제1오링 및, 상기 삽입관부의 타단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제2오링을 포함하는, 배관 매니홀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관부는 상기 제1플랜지 및 상기 제2플랜지의 내부로 전체가 삽입될 수 있는 길이를 가지며,
    상기 제1플랜지의 내주면 및 상기 제2플랜지의 내주면에 상기 삽입관부의 추가적인 진입을 제한하도록 단턱부가 각각 형성된, 배관 매니홀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관부는 상기 주관부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단부에는 대상 배관에 연결될 수 있게 플랜지를 포함하는, 배관 매니홀드.
  5. 제1항에 있어서,
    직렬로 연결된 상기 복수의 분지관유닛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는 제1지지관부 및 타측 단부에 결합되는 제2지지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지지관부 및 상기 제2지지관부에 상기 복수의 분지관 유닛을 고정하기 위한 브라켓이 형성된, 배관 매니홀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바디부는 밴드형의 금속에 의하여 일체형으로 형성한 것인, 배관 매니홀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바디부는,
    상기 제1분지관유닛 및 상기 제2분지관유닛을 감쌀 수 있게 호상(弧狀)으로 형성되며, 일측이 개방된 밴드부;
    상기 밴드부의 적어도 일 위치에 상기 밴드부의 외력에 의한 벌어짐각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절곡되어 형성된 힌지형상부; 및
    상기 밴드부의 개방된 양 단부에 형성된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배관 매니홀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블 스토퍼는 상기 제1플랜지 및 상기 제2플랜지가 통과되어 걸려질 수 있도록 상기 제1플랜지의 폭과 상기 제2플랜지의 폭을 합한 것보다 큰 폭을 갖는 슬롯을 상기 밴드부에 형성한 형태인, 배관 매니홀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퀵클램프는,
    상기 제1플랜지와 상기 제2플랜지가 벌어지는 방향의 압력을 지지할 수 있도록 탄성바디부를 보강할 수 있게 형성된 보강형상부를 더 포함하는, 배관 매니홀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형상부는 밴드부 상에서 상기 힌지형상부와 이격되어 위치되며, 상기 스위블 스토퍼에 의해 영역적으로 나뉘어진 상기 밴드부의 양쪽 부분을 잇는 브릿지부를 포함하는, 배관 매니홀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형상부는 상기 브릿지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밴드부의 폭방향으로 연장하는 보강돌기를 더 포함하는, 배관 매니홀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돌기는 상기 힌지형상부 및 상기 가이드부에도 형성된, 배관 매니홀드.
KR1020150122402A 2015-08-31 2015-08-31 배관 매니홀드 KR201700256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2402A KR20170025644A (ko) 2015-08-31 2015-08-31 배관 매니홀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2402A KR20170025644A (ko) 2015-08-31 2015-08-31 배관 매니홀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5644A true KR20170025644A (ko) 2017-03-08

Family

ID=58404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2402A KR20170025644A (ko) 2015-08-31 2015-08-31 배관 매니홀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2564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3406A (ko) * 2018-05-23 2019-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팀발생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3406A (ko) * 2018-05-23 2019-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팀발생장치
US11197571B2 (en) 2018-05-23 2021-12-14 Lg Electronics Inc. Steam genera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53620C2 (ru) Фитинг, разгруженный от действия момента сил
EP3735549B1 (en) Pipe coupling capsulation assembly with retaining elements
JP2014202242A (ja) パッキン一体型管継手
JP5400594B2 (ja) 管路構成部材のフランジ接合構造
KR20170025644A (ko) 배관 매니홀드
KR20140065793A (ko) 진공배관용 주름관 및 이와 파이프의 결합구조체
EP3346168B1 (en) Gasket
JP4482758B2 (ja) マニホールドベース組立体
RU160908U1 (ru) Соединение фланцево-хомутовое
KR20170025642A (ko) 배관류 연결장치
KR100918257B1 (ko) 관로구 방수 장치
KR20120018888A (ko) 벨로우즈 대용 지그
US3635503A (en) Band clamp with service outlet
JP5998003B2 (ja) 分岐管接続装置
KR20170037212A (ko) 배관 매니홀드
KR100818607B1 (ko) 밸브의 설치구조
JP5967365B2 (ja) 差込み継手構造
RU2811235C1 (ru) Уплотнительное кольцо соединения двух металлических трубных изделий
KR20190034833A (ko) 차량의 라디에이터 호스용 클램프 부재 및 라디에이터 호스용 클램프
KR102510309B1 (ko) 이중 실링구조를 구비하는 배관 연결 구조
GB2355293A (en) Pipe repair clamp
KR20210103162A (ko) 이음배관 회전방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음배관 보수방법
US11982389B2 (en) Double containment fittings for connecting double containment tubing
JP6068245B2 (ja) 管継手の組み付け方法
KR200394793Y1 (ko) 착탈식 고정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