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5541A - 톱니모자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 Google Patents

톱니모자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5541A
KR20170025541A KR1020150122093A KR20150122093A KR20170025541A KR 20170025541 A KR20170025541 A KR 20170025541A KR 1020150122093 A KR1020150122093 A KR 1020150122093A KR 20150122093 A KR20150122093 A KR 20150122093A KR 20170025541 A KR20170025541 A KR 201700255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ction
extract
composition
present
lipsti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2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03148B1 (ko
Inventor
김형락
김영목
임수진
Original Assignee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220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3148B1/ko
Publication of KR201700255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55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31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31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3Alga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3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 A23L3/345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in the form of liquids or solids
    • A23L3/3463Organic compounds; Microorganisms; Enzymes
    • A23L3/3472Compound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btained from animals or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2Algae
    • A61K36/03Phaeophycota or phaeophyta (brown algae), e.g. Fucus
    • A61K8/975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smetic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lant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균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유효성분으로서 톱니모자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여 항균 효과를 갖는 조성물로 화장품, 다목적 세정제, 보존제 및 첨가제 등의 소재로 사용될 수 있는 항균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톱니모자반(Sargassum serratifolium)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MRSA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표피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epidermidis),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Propionibacterium acnes) 및 칸디다균(Candida albicans)에 대한 항균 활성이 우수하므로,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항균 활성을 갖는 조성물로서 화장품은 물론 이 외에도 다목적 세정제(피부 세정제, 모발 세정제, 질 세정제, 구강 세정제, 욕실용 세정제, 주방용 세정제 등), 보존제(화장품 보존제, 식품 보존제, 의약품 보존제), 첨가제(식품 첨가제, 화장품 첨가제) 소재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특히 톱니모자반은 천연물질로서 식용 가능하므로 이로부터 유래한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항균 조성물은 장기간 사용에도 안전한 이점을 가진다.

Description

톱니모자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An antibacterial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r fraction of Sargassum serratifolium}
본 발명은 항균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유효성분으로서 톱니모자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여 항균 효과를 갖는 조성물로 화장품, 다목적 세정제, 보존제 및 첨가제 등의 소재로 사용될 수 있는 항균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미생물은 우리 주변 도처에 존재하고 있다. 특히,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전화기, 핸드폰, 바닥재, 냉장고, 에어콘, 가습기, 장난감, 벽지 및 각종 가스 킷트 등은 각종 세균류 및 곰팡이 등이 번식하기 쉬워 악취를 발생하기도 하며, 심지어는 인체에 유해한 세균이 번식하여 각종 질병을 유발하기도 하고, 병원성 대장균 O-157에 의한 식중독, 목욕탕에서 발생하는 폐렴을 일으키는 레지오넬라균 등의 심각한 사회문제를 발생하기도 한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한 고기능성 항균물질이 요구되며, 현재까지 이러한 항균물질들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병원성 미생물에 의한 직접 혹은 간접적인 피해는 경제, 환경, 의학적으로 많은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식품산업에서의 식품 유통 과정 중의 부패로 인한 손실, 농산업에서의 농작물에 대한 과량의 화학 살충제의 사용으로 인한 인체의 유해성 및 환경오염, 항생제의 오남용으로 인한 항생제 내성 균주의 출현 등 사회 전반에서 많은 문제들을 야기하고 있다.
특히, 메티실린 내성 황색 포도상구균은 여러 가지 항생제에 대해 내성이 있는 세균으로 사람에게 감염되어 여러 가지 난치병을 일으키는 세균이다. 다제내성 황색포도상구균 또는 '옥사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이라고도 한다. 정의에 따라 페니실린과 세팔로스포린을 포함한 β-락탐계 항생물질에 내성을 획득한 황색포도상구균은 MRSA(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가 된다. MRSA는 특히 병원이나 요양원에서 문제가 될 수 있는데, 열린 상처가 있거나, 외과적 장비를 사용하고, 면역 체계가 약해진 환자들은 일반 대중보다 감염의 위험이 높으며, 치사율 또한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화장품의 미생물 오염 문제는 제품 자체의 변질로 인한 상품 가치의 저하는 물론 피부 사용 부위에 대한 위생학적 측면 때문에 그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있다. 화장품은 천연물에서 유래된 영양성분과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기 쉬운 원료가 많이 사용되고 있는 관계로 유통과정에서 또는 소비자가 사용 중에 곰팡이, 효모, 세균 등의 미생물에 의해 오염되기 쉬우므로, 이와 같은 미생물 성장을 억제하기 위하여 방부제를 첨가하며, 최소량으로 최대의 항균력을 나타내도록 하여야 한다. 따라서 화장품 제품 중의 영양성분의 배합, pH, 유화형태, 방부제의 혼합사용 및 그 안정성을 고려하여야 함은 물론이고 제품 중의 모든 원료 성분에 대한 항균 활성능 및 피부자극 여부를 사전에 미리 파악하여 각 제품별로 적절한 방부체계를 선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그리고 합성 방부제의 다양한 부작용 때문에 천연 방부제의 개발이 화장품업계에서는 주요 관심사로 대두되고 있다.
한편, 여드름은 피부 부속기 특히 모피지선의 만성 염증성 질환으로 좌창이라고도 하며 매우 흔한 피부 질환으로 주로 사춘기에 나타나기 시작하여 20대 중반에 소실되는 것이 보통이다. 남자는 16-19세 사이에 그리고 여자는 14-16세 사이에 발생 빈도가 가장 높으며, 심한 형태의 여드름은 남자에게서 많이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임상적으로는 면포, 농포, 낭종, 결절 그리고 가끔 반흔형성을 하며 피지 분비가 많은 부위인 얼굴, 목, 가슴에 주로 나타난다. 여드름의 정확한 원인은 밝혀져 있지 않으나 다양한 인자가 관여하며 여러 인자의 상호작용에 의해 임상 증상이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병인이 되는 인자들에는 1)비정상적으로 증가된 모낭벽 각화 및 비정상적인 탈락, 2)안드로겐에 의해 유발된 피지분비증가, 3) 여드름 원인균인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Propionibacterium acnes)의 증식, 4) 염증 유발, 5) 유전, 6) 모낭의 반응성 등이다.
이에, 본 발명자는 다양한 병원균에 대한 우수한 항균성을 갖는 천연 소재로서 화장품은 물론 이 외에도 세정제, 식품 보존제, 사료첨가제 등에 적용할 수 있는 환경친화적 물질을 찾고자 연구한 결과, 모자반목에 속하는 모자반을 선정하고 추출물을 제조하였으며, 다양한 종류의 모자반 중 톱니모자반(Sargassum serratifolium)이 종래 알려진 다른 모자반 대비 다양하고 넓은 범주에서 항균 활성을 가지며, 특히 여드름 원인균인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에 대한 항균 활성이 두드러지게 우수함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한국등록특허 제10-0986249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천연 해조류의 추출물을 이용하여 장기간 사용에도 인체에 안정하면서 항균 활성이 우수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천연 해조류의 추출물을 이용하여 장기간 사용에도 인체에 안정하면서 항균 활성과 여드름 개선 활성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톱니모자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물 및 헥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매로 추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은 에탄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분획물은 톱니모자반 추출물의 헥산 분획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부탄올 분획물 및 물 분획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톱니모자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표피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epidermidis),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Propionibacterium acnes), 메치실린 저항성 포도상구균(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및 칸디다균(Candida albicans)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에 대한 항균 활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항균 조성물은 화장품, 피부 세정제, 모발 세정제, 질 세정제, 욕실용 세정제, 구성 세정제, 주방용 세정제, 화장품 보존제, 식품 보존제, 의약품 보존제, 식품첨가제 및 사료첨가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톱니모자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및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에탄올 용매 추출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분획물은 톱니모자반 추출물의 헥산 분획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부탄올 분획물 및 물 분획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 화장수, 젤, 수용성 리퀴드, 밀크로션, 영양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수중유 형 에멀젼, 유중수 형 에멀젼, 페이스크성 무수 생성물, 고체 무수 생성물, 소구체를 사용한 수성 상에서의 오일 분산물, 이온성 지질 소포체, 비이온성 지질 소포체, 연고,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팩, 보디오일, 수중유 형 메이크업베이스, 유중수 형 메이크업베이스, 파운데이션, 스킨커버, 립스틱, 립그로스, 페이스파우더, 투웨이케익, 아이섀도우, 마스카라, 치크칼라 및 아이브로우펜슬류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1종의 제형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톱니모자반(Sargassum serratifolium)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표피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epidermidis),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Propionibacterium acnes), 메치실린 저항성 포도상구균(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및 칸디다균(Candida albicans)에 대한 항균 활성이 우수하므로,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항균 활성을 갖는 조성물로서 화장품은 물론 이 외에도 다목적 세정제(피부 세정제, 모발 세정제, 질 세정제, 구강 세정제, 욕실용 세정제, 주방용 세정제 등), 보존제(화장품 보존제, 식품 보존제, 의약품 보존제), 첨가제(식품 첨가제, 화장품 첨가제) 소재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특히 톱니모자반은 천연물질로서 식용 가능하므로 이로부터 유래한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항균 조성물은 장기간 사용에도 안전한 이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톱니모자반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의 제조방법을 간략하게 나타낸 모식도이다.
본 발명은 톱니모자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을 제공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톱니모자반(Sargassum serratifolium)’은 갈조식물문 모자반과의 해조류로서 국내에서 남해안과 제주지역에 분포하며 식물체는 1~4m이며, 뿌리 지름은 1~5cm로 원뿔상이고 고무와도 같으며 나이테가 있다.
이러한 톱니모자반은 현재까지 항균 및 여드름 개선 연구에 대해서는 전혀 보고된 바 없다.
본 발명자들은 화장료 조성물의 소재로 모자반목에 속하는 모자반을 선정하고 추출물을 제조하였으며, 다양한 종류의 모자반 중 톱니모자반이 광범위한 범위에서 항균 활성을 나타내며, 특히 여드름 유발균인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Propionibacterium acne)와 메치실린 저항성 포도상구균(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 MRSA)에 대해 월등히 우수한 항균 활성을 나타낸다는 사실을 확인함으로써, 이를 통해 톱니모자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이 항균 활성이 우수함을 최초로 규명하였다.
자세하게는, 본 발명자들은 톱니모자반 이외에도 참모자반, 왜모자반, 경단구슬모자반, 외톨개모자반, 괭생이모자반 등의 다양한 모자반류 추출물의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표피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epidermidis),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Propionibacterium acnes), 메치실린 저항성 포도상구균(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및 칸디다균(Candida albicans)에 대한 항균 활성을 직접 실험을 통해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 본 발명의 톱니모자반 주정추출물(95% 에탄올)이 상기 균 모두에 대해 광범위한 항균력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여드름 유발균인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에 대하여 최소억제농도(MIC)가 64μg/ml로 나타나 다른 종류의 모자반류 대비 10배 이상의 월등한 항균 활성을 보여주었다. 뿐만 아니라, 메치실린 저항성 포도상구균(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 MRSA)에 대하여 최소억제농도(MIC)가 32μg/ml로 나타나 다른 종류의 모자반류 대비 20배 이상의 월등한 항균 활성을 보여주었다(표 2 참조).
또한, 본 발명자는 톱니모자반 주정추출물로부터 분리된 다양한 분획물에 대해서도 항균활성을 실험하였으며, 그 결과 상기 추출물의 헥산분획물의 경우 메치실린 저항성 포도상구균(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 MRSA), 표피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epidermidis) 및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에 대하여 더욱 우수한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다(표 3 참조).
상기와 같은 결과를 통해, 본 발명의 톱니모자반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이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한 다른 종류의 모자반 추출물 대비, 광범위한 병원균에 대한 항균 활성과 더불어 10배 이상의 우수한 항균 활성을 보이는 것을 실험을 통해 객관적으로 입증하였다.
그러므로 톱니모자반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항균 소재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톱니모자반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추출 및 분리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천연으로부터 추출 및 분리하여 수득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정의된‘추출물’은 적절한 용매를 이용하여 톱니모자반(Sargassum serratifolium)으로부터 추출한 것이며, 예를 들어, 톱니모자반의 조추출물, 극성용매 가용 추출물 또는 비극성용매 가용 추출물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톱니모자반으로부터 추출물을 추출하기 위한 적절한 용매로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유기용매라면 어느 것을 사용해도 무방하며, 물 또는 유기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예를 들어, 정제수, 메탄올(methanol), 에탄올(ethanol), 프로판올(propanol),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 부탄올(butanol) 등을 포함하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아세톤(acetone), 에테르(ether), 벤젠(benzene), 클로로포름(chloroform),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메틸렌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 헥산(hexane) 및 시클로헥산(cyclohexane) 등의 각종 용매를 단독으로 혹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주정)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95% 에탄올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추출 방법으로는 열수추출법, 냉침추출법, 환류냉각추출법, 용매추출법, 수증기증류법, 초음파추출법, 용출법, 압착법 등의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목적하는 추출물은 추가로 통상의 분획 공정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통상의 정제 방법을 이용하여 정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톱니모자반 추출물의 제조방법에는 제한이 없으며, 공지되어 있는 어떠한 방법도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톱니모자반 추출물은 상기한 열수 추출 또는 용매 추출법으로 추출된 1차 추출물을,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1차 추출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박층 크로마토그래피(thin layer chromatography),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등과 같은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추가로 정제된 분획을 얻을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 톱니모자반 추출물은 추출, 분획 또는 정제의 각 단계에서 얻어지는 모든 추출액, 분획 및 정제물, 그들의 희석액, 농축액 또는 건조물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톱니모자반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조금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건조한 톱니모자반을 분말화한 뒤, 톱니모자반 건조분말에 95% 에탄올을 추출용매로 사용하여 환류냉각 추출하고, 여과 및 농축하여 추출할 수 있다.
이러한 톱니모자반 주정추출물은 n-헥산(n-hexane) 용매를 이용하여 추가적으로 분획과정을 더 거칠 수 있다. 예를 들어, 톱니모자반 주정추출물을 물:에탄올이 9:1의 부피비로 혼합된 혼합용매로 녹인 후, 동량의 n-헥산을 가하여 혼합한 다음 평형화시키고 이후 위층의 n-헥산 가용부를 여과 농축함으로써 톱니모자반 주정추출물의 헥산 분획물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톱니모자반 주정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상기 n-헥산 가용부에 동량의 에틸아세테이트를 가하여 혼합한 다음 평형화시키고 이후 위층의 에틸아세테이트 가용부를 여과 농축함으로써 톱니모자반 주정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톱니모자반 주정추출물의 부탄올 분획물은 상기 에틸아세테이트 가용부에 동량의 부탄올을 가하여 혼합한 다음 평형화시키고 이후 위층의 부탄올 가용부를 여과 농축함으로써 톱니모자반 주정추출물의 부탄올 분획물을 제조할 수 있으며, 남은 수용성 획분은 물 분획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톱니모자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에 해당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항균 조성물’이란 항미생물제를 총칭하는 의미인 항생제와 같은 의미일 수 있고, 항균제, 살균제, 방부제, 보존제 또는 제균제와 같은 의미일 수 있으며, 일예로 식중독을 일으키거나 화농성 감염증의 원인이 되는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및 표피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epidermidis)과 같은 미생물; 또는 수술·화상 등 생체의 저항력이 저하되어 있는 경우 감염으로 인해 질환을 악화시킬 수 있는 메치실린 저항성 포도상구균(MRSA),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과 같은 미생물; 또는 여드름 원인균인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Propionibacterium acnes) 등과 같은 미생물; 또는 구강 질환이나 질염의 원인이 되는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를 포함하는 칸디다 속(Candida spp.) 미생물을 포함하는, 병원성 미생물의 발육과 생활 기능을 저지 또는 억제할 수 있는 물질을 의미한다.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은 그람양성의 통성혐기성 세균으로 건강한 사람이나 가축의 피부와 비강표면에 일반적으로 존재하는 병원균이며, 내열성인 외독소를 생산하여 식중독을 일으킨다. 또 식세포를 죽이는 독소(류코시딘), 용혈소, 응고효소 등을 분비하여 감염숙주세포의 저항성에서 벗어나 화농성 감염증을 일으키는 것을 알려져 있다. 포도상구균은 50% 이상의 건강한 사람, 동물의 피부, 비강 등에서 흔히 발견되며 여드름, 농가진 같은 경증의 피부감염증부터 폐렴, 수막염, 패혈증과 같은 생명을 위협하는 질환들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질병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원내감염의 가장 흔한 5가지의 원인 중 하나이며, 종종 수술 후 상처 감염증을 초래한다. 미국 병원에서 매년 약 50만 명의 환자들이 포도상구균 감염증에 걸리는 것으로 알려졌다. 황색포도상구균은 균주에 따라 여러 가지 독소를 분비할 수 있는데, 이는 발열성 독소 초항원(Pyrogenic toxin superantigens), 표피 박탈성 독소(Exfoliative toxins), 기타독소 등 3가지로 분류된다. 식중독의 원인이 되는 7가지의 장독소(enterotoxin)를 만들어내는 균주는 발열성 독소 초항원에 속한다. 황색포도상구균이 생산한 장독소는 위장염의 원인이 되는데, 오심·구토·설사·복통 증상을 일으키며, 8-24 시간 내에 증세가 완화되어 자연 치유된다. 식중독 증상은 세균 자체에 의해서가 아니라 장독소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내열성이 강하여 식품을 가열·조리하여도 파괴되지 않으므로, 황색포도상구균에 오염된 식품은 섭취하지 않는게 최선이다.
‘메치실린 저항성 포도상구균(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은 여러 가지 항생제에 대해 내성이 있는 세균으로 주로 병원내에서의 항생제 남용에 의해 초래된다. 다제내성 황색포도상구균 또는 '옥사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이라고도 한다. 이 균은 페니실린과 세팔로스포린을 포함한 β-락탐계 항생물질에 내성을 획득한 황색포도상구균으로 MRSA로 칭한다. MRSA는 특히 대중들이 많이 운집하는 병원이나 요양원에서 상처가 있거나, 외과적 장비를 사용하고, 면역 체계가 약해진 환자들에게 감염의 위험이 높으며, 치사율 또한 높다. 오늘날 돼지 등의 동물들이 사육되는 조건이 MRSA 역학의 양자 이동 (quantum shift)을 초래하여 지역사회획득 MRSA (community acquired MRSA)의 병원소가 되어왔다. 2010년 항생제 내성에 관한 회의 (Conference on Antimicrobial Resistance)에서 농장 근로자의 MRSA 감염률이 일반 대중 감염률의 760배에 이르는 20∼25%로 발표되었다. 이들 직종의 근로자들에 의한 항생제 사용증가는 항생제 내성 균주를 급속히 증가시켜 심각한 문제를 초래할 수도 있다고 발표되었다.
‘표피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epidermidis)’은 포도상구균속의 세균으로 코아귤라제(coagulase)생산, 만니톨(mannitol)을 분해하지 못하는 특성이 있으며 이들 성상이 병원성 황색포도상구균(S. aureus)과 다르며 인축의 피부, 점막, 대기, 하수 등의 자연계에 농을 유발하거나 저항성이 저하된 동물에 심내막염이나 패혈증을 일으키는 수도 있다.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은 그람음성의 소간균(小杆菌)으로 인간에 대한 병원성은 약하지만, 널리 자연환경에 분포하고 있기 때문에 혼합감염, 2차감염을 일으켜서 질병상태를 악화시킨다. 특히 수술ㆍ화상등 생체의 저항력이 저하되어 있는 경우, 감염으로 인해 패혈증을 일으킨다(균교대증, 일화견(日和見)감염). 만성중이염에 대부분 본균이 나타난다. 또한 소화기 점막을 침범해서 설사를 일으키기도 한다.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Propionibacterium acnes)’는 혐기성 세균으로 피부 모낭 내에서 상주하는 여드름 유발균으로 지방분해 효소를 분비하여 이 효소가 피지 중의 중성지방을 분해하여 유리 지방산을 형성하고 모낭을 자극하며, 면역반응을 일으켜 여드름의 염증 반응에 기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칸디다균(Candida albicans)’은 불완전균류(不完全菌類)에 속하는 진균(眞菌)의 1종으로 인구의 약 30∼40%에서 정상 구강 상주균에 해당하며, 급성 및 아급성(亞急性)의 칸디다증의 원인균이며 피부칸디다증, 분아균성간찰진, 영아기생균성홍, 구각미란증, 칸디다성육아종, 구강칸디다증, 기관지ㆍ폐칸디다증, 외음(外陰)ㆍ질(膣)칸디다증, 요로(尿路)칸디다증 등을 일으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톱니모자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메치실린 저항성 포도상구균(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표피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epidermidis),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Propionibacterium acnes) 및 칸디다균(Candida albicans)에 대한 우수한 항균 활성을 갖는바, 이를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항균 활성을 가진 조성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항균 조성물은 항균 활성이 요구되는 다양한 목적 및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화장품, 피부 세정제, 모발 세정제, 질 세정제, 구강 세정제, 욕실용 세정제, 주방용 세정제, 화장품 보존제, 화장품 방부제, 식품 보존제, 식품 방부제, 식품첨가제 및 사료첨가제 소재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균 조성물이 세정제 소재로 사용되는 경우, 상기 항균 조성물이 적용될 수 있는 물품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구체적으로는 핸드워시, 바디워시, 샴푸, 린스, 클렌징폼, 클렌징젤, 비누, 가글, 치약, 욕실용 세정제, 주방용 세정제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톱니모자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세정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01 내지 50.0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조성물에 1μg/ml 내지 10000μg/ml의 농도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정제는 본 발명의 톱니모자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 이외에, 항균활성을 가지는 다른 공지 항균 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균 조성물이 보존제 또는 방부제 소재로 사용되는 경우, 상기 항균 조성물이 적용될 수 있는 물품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구체적으로는 화장품, 식품, 의약품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톱니모자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세정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01 내지 50.0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조성물에 1μg/ml 내지 10000μg/ml의 농도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존제 또는 방부제는 본 발명의 톱니모자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 이 외에, 항균활성 또는 방부활성을 가지는 다른 공지 항균 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균 조성물이 첨가제 소재로 사용되는 경우, 상기 항균 조성물이 적용될 수 있는 물품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구체적으로는 식품 및 동물사료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톱니모자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세정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01 내지 50.0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조성물에 1μg/ml 내지 10000μg/ml의 농도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품첨가제 또는 사료첨가제는 본 발명의 톱니모자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 이 외에, 항균활성을 가지는 다른 공지 항균 물질이나 기타 기능성을 부여할 수 있는 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톱니모자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및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톱니모자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조성물에 1μg/ml 내지 1000μg/ml의 농도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제품으로는, 예를 들어, 수렴화장수,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각종크림, 에센스, 팩, 파운데이션 등과 같은 화장품류와 클렌징, 세안제, 비누, 트리트먼트, 미용액 등이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구체적인 제형으로서는 유연 화장수, 젤, 수용성 리퀴드, 밀크로션, 영양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수중유 형 에멀젼, 유중수 형 에멀젼, 페이스크성 무수 생성물, 고체 무수 생성물, 소구체를 사용한 수성 상에서의 오일 분산물, 이온성 지질 소포체, 비이온성 지질 소포체, 연고,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팩, 보디오일, 수중유 형 메이크업베이스, 유중수 형 메이크업베이스, 파운데이션, 스킨커버, 립스틱, 립그로스, 페이스파우더, 투웨이케익, 아이섀도우, 마스카라, 치크칼라 및 아이브로우펜슬류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1종의 제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유효성분(톱니모자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01-50중량%이며, 바람직하게는 0.0005-4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05-20중량%이다. 상기 유효성분(톱니모자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의 함량이 0.00001중량% 미만이면 피부 주름개선 효과가 크게 감소되고, 5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피부 자극을 초래할 수 있으며, 제형상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효성분(톱니모자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나노리포좀 내부에 함유시켜 안정화하여 제형화할 수도 있다. 상기 유효성분(톱니모자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나노리포좀 내부에 함유시키면, 유효성분이 안정화되어 제형화시 침전형성, 변색, 변취 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성분의 용해도 및 경피흡수율을 높일 수 있어 상기 추출물로부터 기대되는 효능을 최대로 발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나노리포좀은 통상적인 리포좀의 형태를 갖는 것으로서 평균 입자 지름이 10~500nm인 리포좀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 예에 따르면, 나노리포좀의 평균 입자 지름은 50~300nm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200nm이다. 나노리포좀의 평균 입자 지름이 500n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에서 달성하고자 하는 기술적 효과 중 피부침투의 개선 및 제형 안정성의 개선이 매우 미약하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추출물을 안정화하는데 사용되는 나노리포좀은 폴리올, 유성성분, 계면활성제, 인지질, 지방산 및 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나노리포좀에 이용되는 폴리올은 특히 제한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메틸프로판디올, 이소프로필렌글리콜, 펜틸렌글리콜, 에리스리톨, 자일리톨, 솔비톨 및 이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다. 그 사용량은 나노리포좀 총 중량에 대하여 10~80중량%, 바람직하게는 30~70중량%이다.
본 발명의 나노리포좀의 제조에 이용되는 유성(oil) 성분은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오일이 이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헥사데칸 및 파라핀 오일과 같은 하이드로카본계 오일, 에스테르계의 합성오일, 디메치콘 및 사이크로메치콘계와 같은 실리콘 오일, 해바라기유, 옥수수유, 대두유, 아보카도유, 참깨유 및 어유와 같은 동식물성 오일, 에톡시레이티드 알킬에테르계오일, 프로폭시레이티드 알킬에테르계오일, 피토스핑고신, 스핑고신 및 스핑가닌과 같은 스핑고노이드 지질, 세레브로사이드 콜레스테롤, 시토스테롤 콜레스테릴설페이트, 시토스테릴설페이트, C10-40 지방알콜 및 이의 혼합물이다. 그 사용량은 나노리포좀 총 중량에 대하여1.0~30.0중량%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3.0~20.0중량%이다.
본 발명의 나노리포좀의 제조에 이용되는 계면활성제는 당업계에 공지된 어떠한 것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성 계면활성제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이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구체적인 예는 알킬아실글루타메이트, 알킬포스페이트, 알킬락틸레이트, 디알킬포스페이트 및 트리알킬포스페이트를 포함한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구체적인 예는 알콕시레이티드 알킬에테르, 알콕시레이티드 알킬에스테르, 알킬폴리글리코사이드, 폴리글리세릴에스테르 및 슈가에스테르를 포함한다. 특히 바람직한 계면활성제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에 속하는 폴리솔베이트류이다. 그 사용량은 나노리포좀 총 중량에 대하여 0.1~10중량%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5~5.0중량%이다.
본 발명의 나노리포좀의 제조에 이용되는 또 다른 성분인 인지질은 양쪽친화성 지질이 이용되며, 천연 인지질(예를 들어, 난황 레시틴 또는 대두 레시틴, 스핑고마이엘린) 및 합성 인지질(예를 들어, 디팔미토일포스파티딜콜린 또는 수첨 레시틴)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레시틴이다. 특히, 대두 또는 난황에서 추출한 천연 유래의 불포화 레시틴 또는 포화 레시틴이 바람직하다. 통상적으로 천연 유래의 레시틴은 포스파티딜콜린의 양이 23~95%, 그리고 포스파디딜에탄올아민의 양이 20% 이하이다. 본 발명의 나노리포좀의 제조에 있어서, 인지질의 사용량은 나노리포좀 총 중량에 대하여 0.5~20.0중량%이며, 바람직하게는 2.0~8.0중량%이다.
본 발명의 나노리포좀 제조에 이용되는 지방산은 고급 지방산으로서, 바람직하게는 C12-22 알킬 체인의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산으로서, 예컨대, 라우린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린산, 올레산 및 리놀레산을 포함한다. 그 사용량은 나노리포좀 총 중량에 대하여 0.05~3.0중량%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1~1.0중량%이다.
본 발명의 나노리포좀의 제조에 이용되는 물은 일반적으로 탈이온화된 증류수이며, 그 사용량은 나노리포좀 총 중량에 대하여 5.0~40중량%일 수 있다.
나노리포좀의 제조는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방법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나,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성분들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고압 호모게나이저에 적용하여 제조된다. 고압 호모게나이저에 의한 나노리포좀의 제조는 소망하는 입자 크기에 따라 다양한 조건(예: 압력, 횟수 등)으로 실시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600~1200bar의 압력 하에서 1~5회 고압 호모게나아저를 통과하도록 하여 나노리포좀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단독 또는 중복 도포하여 사용하거나, 본 발명 이외의 다른 화장료 조성물과 중복 도포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항균 및 여드름 개선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인 사용방법에 따라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피부 상태 또는 취향에 따라 그 사용횟수를 달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톱니모자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드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약제학적으로 적합하고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보조제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보조제로는 부형제, 붕해제, 감미제, 결합제, 피복제, 팽창제, 윤활제, 활택제 또는 향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투여를 위해서 상기 기재한 유효성분 이외에 추가로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종 이상 포함하여 약제학적 조성물로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제 형태는 과립제, 산제, 정제, 피복정, 캡슐제, 좌제, 액제, 시럽, 즙, 현탁제, 유제, 점적제 또는 주사 가능한 액제 등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제 또는 캡슐제의 형태로의 제제화를 위해, 유효 성분은 에탄올, 글리세롤, 물 등과 같은 경구, 무독성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불활성 담체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원하거나 필요한 경우, 적합한 결합제, 윤활제, 붕해제 및 발색제 또한 혼합물로 포함될 수 있다. 적합한 결합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녹말, 젤라틴, 글루코스 또는 베타-락토오스와 같은 천연 당, 옥수수 감미제, 아카시아, 트래커캔스 또는 소듐올레이트와 같은 천연 및 합성 검, 소듐 스테아레이트,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소듐 벤조에이트, 소듐 아세테이트, 소듐 클로라이드 등을 포함한다. 붕해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녹말, 메틸 셀룰로스, 아가, 벤토니트, 잔탄 검 등을 포함한다. 액상 용액으로 제제화되는 조성물에 있어서 허용 가능한 약제학적 담체로는, 멸균 및 생체에 적합한 것으로서,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알부민 주사용액,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 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및 이들 성분 중 1 성분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또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및 윤활제를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주사용 제형, 환약, 캡슐, 과립 또는 정제로 제제화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해당분야의 적절한 방법으로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각 질환에 따라 또는 성분에 따라 바람직하게 제제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톱니모자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 ~ 5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피부 외용제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외용 약제학적 조성물은 여드름 유발균인 프로피오네박테리움 아크네스(Propionebacterium acnes) 및 화농균인 스태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하여 항균 효과를 갖는 피부외용제로서 크림, 젤, 패취, 분무제, 연고제, 경고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파스타제 또는 카타플라스마제의 피부 외용제 형태의 약학조성물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톱니모자반 분획물의 제조
<1-1> 톱니모자반 주정 추출물의 제조
본 발명에 사용한 톱니모자반은 부산시 기장군에 자생하는 천연산을 스쿠버를 동원하여 채취하였고, 기장산의 종확인은 부경대학교 생태공학과 최창근 교수가 수행하였다. 톱니모자반을 양지에서 자연건조 후, 마쇄하여 얻은 분말 2kg을 주정(95% 에탄올) 8L에 넣고 70℃에서 3시간 3회 반복하여 환류냉각 추출한 후, 한외여과기 (니또덴꼬, 일본)로 이물질을 제거하였다. 여과 추출물은 진공회전농축기로 40℃에서 주정을 제거한 후, 추출된 잔사로서 조추출물 200±25g을 수득하였다. 이렇게 수득한 톱니모자반 주정추출물은 4℃온도에서 냉장보관하면서 하기 실험의 시료로 사용하였다.
<1-2> 톱니모자반의 주정추출물로부터 n- 헥산 ,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및 물 가용분획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1-1>에서 제조한 톱니모자반 주정 추출물 50g을 물:에탄올 (9:1, v/v)의 혼합용매 1L로 녹인 후, 분액깔때기에 부어, 동량의 n-헥산 1 L을 넣어 분액깔때기를 흔든 다음 평형화시켰다. 이후 위층의 n-헥산 가용부를 모아 무수 황산나트륨 (sodium sulfate, anhydrous)으로 처리한 다음 여과하여 농축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5회 더 반복하여 42 g 의 n-헥산 분획물을 얻었다.
n-헥산으로 분획 후 남은 획분(H2O층)에 동량의 에틸아세테이트를 넣어 분액깔때기를 흔든 다음 평형화시켰다. 이후 위층의 에틸아세테이트 가용부를 모아 농축하여 에틸아세테이트 획분을 얻었다.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후 남은 획분(H2O층)에 동량의 부탄올을 넣어 분액깔때기를 흔든 다음 평형화시켰다. 이후 위층의 부탄올 가용부를 모아 농축하여 부탄올 획분을 얻었으며, 남은 수용성 획분을 물획분으로 사용하였다.
상기와 같이 분리 수득한 에틸아세테이트 획분( 1 L), 부탄올 획분(1 L) 및 물획분(0.9 L)은 각 40℃에서 진공회전농축기로 감압·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한 후 남은 잔사 각각 1.2 g, 2.1 g, 4.6 g씩을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부탄올 분획물 및 물 분획물로서 최종 수득하였다.
이렇게 수득한 각각의 분획물은 4℃에서 냉장보관하면서 하기 실험의 시료로 사용하였다.
< 비교예 1>
다양한 종류의 모자반류 주정추출물 제조
본 발명자는 톱니모자반이 종래 알려진 다른 종류의 모자반류와의 항균활성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1-1>과 동일한 방법으로 참모자반, 왜모자반, 경단구슬모자반, 쌍발이모자반, 외톨개모자반, 괭생이모자반 각각에 대한 주정추출물을 제조하였다.
< 실험예 1>
본 발명의 톱니모자반 주정추출물 및 n- 헥산 ,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및 물 가용분획물의 항균활성
<1-1> 미생물 배양
다음의 미생물 균주는 지표 미생물로서 KCTC(Korean collection for type cultures; 대전)로부터 구입하여 연구에 사용하였다. P. acnes (KCTC 3314), S. aureus (KCTC 1927), S. aureus (MRSA, KCCM 40510), S. epidermidis (KCTC 1370), P. aeruginosa (KCTC 1637)는 항 여드름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임상적으로 분리한 P. acnes 2종은 경상대학교 의과대학(진주)으로부터 제공받아 사용하였다.
P. acnes 균주는 BHI(brain heart infusion broth; Difco Inc.) 배지에 1.0% 글루코오스를 첨가하여 사용하였고, 37℃에서 24시간 동안 10% CO2, 습도 조절이 되는 CO2 인큐베이터에서 혐기배양 하였다. 이 균주의 생장곡선의 측정을 위하여 최적의 생장조건하에서 배양한 P. acnes를 BHI-agar 배지에 희석 도말하여 배양하였다. 그 도말한 배지는 10% CO2 인큐베이터에서 37℃, 24시간 동안 배양하고 그 콜로니 수를 세어 CFU(colony-forming units)를 측정하였다.
S. aureus, MRSA, S. epidermidisP. aeruginosa 균주는 TSB(Tryptic soy broth; Difco Inc.) 배지에 37℃에서 호기배양 하였다. 디스크 확산법(Disc diffusion)은 MHA (Mueller-Hinton agar; Difco Inc.)배지에, 액체배지 희석법(broth dilution method)은 MHB (Muller-Hinton broth; Difco Inc.) 배지로 CLSI(Clinical and Laboratory standards Institute) 가이드라인에 따라 준비하였다.
<1-2> 디스크 확산법
항균효과는 CLSI(2009)에서 설명한 디스크 확산법으로 평가하였다. 즉, 미생물 균주는 OD 600 nm에서 측정값이 0.5가 될 때까지 37℃에서 TBS 배지에 배양하였다. 약 104~105 CFU/ml 농도의 배양액 100 ul를 MHA agar 배지에 도말하였다. 디스크(지름 6mm)에 각각의 추출물을 1 mg과 5 mg을 첨가하여 디스크를 위의 MHA 배지에 올려두었다. 37℃에서 24시간동안 배양한 뒤 미생물을 배양한 고체배지에서 억제구간(inhibition zone)의 지름을 측정하였다. 실험은 3회 반복하여 진행하고, 그 평균값을 나타내었다.
그 결과는 하기 표 1에서 자세히 나타내었다.
모자반류 주정추출물의 디스크 확산법에 의한 항균활성
균주 농도 디스크 반경(mm)

모자반

모자반
경단구슬
모자반
쌍발이
모자반
톱니
모자반
외톨개
모자반
괭생이
모자반
Staphylococcus aureus
KCTC 1927
1 mg disk -1) - - - - - -
5 mg disk - - - - - - -
Staphylococcus epidermidis
ACTC 14990
1 mg disk - - - - 10.3 - -
5 mg disk - - - - 13.0 7.0 -
Pseudomonas aeruginosa
KCTC1637
1 mg disk - - - - - - -
5 mg disk - - - - 7.0 - -
Propionibacterium acnes
KCTC 3314
1 mg disk - - - - 9.0 - -
5 mg disk - 5.0 - - 10.0 - -
P. acnes isolate 2874 1 mg disk - - - - 9.0 - -
5 mg disk - 6.0 - - 10.0 - -
P. acnes isolate 2875 1 mg disk - - - - 9.0 - -
5 mg disk - 6.0 - - 11.0 - -
Candida albicans
KCTC 7122
1 mg disk - - - - 10.0 - -
5 mg disk - 8.0 - - 11.0 - -
상기 표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모자반 종류 중 왜모자반, 왜톨개모자반 및 톱니모자반 주정추출물에서 항균력이 나타났으며, 그중에서도 톱니모자반 주정추출물이 광범위하고 강한 항균력을 나타내었다.
<1-2> 최소 억제농도 ( MICs :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s)의 측정
톱니모자반 주정 추출물과 그 용매분획의 농도를 200 mg/ml로 만들었다. 각각의 추출물을 MHB로 희석하여 2,048 ug/ml의 stock solution을 만들었다. 참고로, 비교예에서 개시하는 종래 알려진 다른 종류의 모자반류 주정추출물도 상기와 동일한 방식으로 stock solution 제조하여 준비하였다.
톱니모자반 주정 추출물과 그 용매분획의 MIC 값을 측정하기 위하여 추출물 stock solution을 각각의 미생물배양 배지로 만들었다.
MICs는 톱니모자반 주정 추출물과 그 용매분획이 MHB 배지에서 밤새 배양한 후 미생물의 성장을 눈에 보이게 억제하는 가장 낮은 농도 값이다. 이는 CLSI(2006)의 항균제 감수성 실험법을 변형하여 사용하였다.
MIC는 호기성균은 18시간 배양 후, 혐기성 균은 48시간 배양 후 눈에 보이게 성장을 억제하는 조추출물의 가장 낮은 농도라고 정의하였다.
용매가용성 추출물의 MICs는 최종 농도 7×105 CFU/ml의 농도로 미생물을 접종한 96-웰 플레이트에서 2배 연속 희석법 (two-fold serial dilution method)으로 측정하였다. 96-웰 플레이트에서 미생물의 성장은 눈으로 관찰하였으며, 혼탁도를 나타내지 않는 추출물의 최소농도를 MIC로 기록하였다. MIC 실험은 3회 반복하여 시행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2 및 3에서 자세히 나타내었다.
병원성세균에 대한 모자반류의 항균활성 (MIC)
균주 농도 MIC (μg/ml)

모자반

모자반
경단구슬
모자반
쌍발이
모자반
톱니
모자반
외톨개
모자반
괭생이
모자반
Staphylococcus aureus
KCTC 1927
512 512 512 512 256 256 512
Staphylococcus epidermidis
ACTC 14990
>1,024 512 >1,024 >1,024 256 >1,024 >1,024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512 512 1,024 1,024 32 1,024 512
Pseudomonas aeruginosa
KCTC1637
512 512 512 512 512 512 512
Propionibacterium acnes
KCTC 3314
1,024 1024 1,024 1,024 128 1,024 1,024
P. acnes isolate 2874 1,024 512 1,024 1,024 256 1,024 1,024
P. acnes isolate 2875 1,024 512 1,024 1,024 64 1,024 1,024
Candida albicans
KCTC 7122
256 256 128 256 128 256 128
병원성 세균에 대한 톱니모자반 주정추출물과 그 분획물의 항균활성 (MIC)
균주 농도 MIC (μg/ml)
주정
추출물
헥산
분획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부탄올
분획물

분획물
Staphylococcus aureus
KCTC 1927
256 512 512 1,024 1,024
Staphylococcus epidermidis
ACTC 14990
128 64 256 >1,024 >1,024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32 32 512 1,024 >1,024
Pseudomonas aeruginosa
KCTC1637
512 512 512 1,024 1,024
Propionibacterium acnes
KCTC 3314
128 32 512 1,024 1,024
P. acnes isolate 2874 256 128 512 1,024 1,024
P. acnes isolate 2875 64 64 512 >1,024 >1,024
Candida albicans
KCTC 7122
128 512 512 1,024 1,024
그 결과 표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다른 모자반의 주정추출물에 비해 톱니모자반 주정추출물이 광범위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여드름 유발균인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Propionibacterium acnes)에 대해 톱니모자반 주정추출물 및 이의 헥산 분획물의 경우 최소억제농도(MIC) 값이 32-256 μg/ml 로 나타나, 여드름 유발균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헥산 분획물이 주정추출물 보다 더욱 억제 효능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메치실린 저항성 포도상구균(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에 대한 항균 활성은 톱니모자반 주정추출물과 이의 헥산 분획물에서 모두 MIC 값이 32 μg/ml로 측정되어, MRSA에 대한 항균활성이 매우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표 3 참조).
한편, 톱니모자반 주정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획분, 부탄올획분 및 물획분의 MIC 값이 다소 높게 나타나 항균활성이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 제조예 1>
본 발명의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
<1-1> 유연화장수(skin)
본 발명의 톱니모자반 주정추출물 또는 헥산분획물을 함유한 유연화장수(skin)를 아래의 성분비로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유연화장수 제형예
성분 함량(중량%)
톱니모자반 주정추출물 또는 헥산분획물 1~3
글리세린 5.0
1,3-부틸렌글리콜 3.0
REG 1500 1.0
알란토인 0.1
DL-판테놀 0.3
EDTA-2Na 0.02
벤조페논-9 0.04
소듐 히아루로네이트 5.0
에탄올 10.0
옥틸도데세스-16 0.2
폴리솔베이트 20 0.2
유니사이드-유 13 0.01
미량
증류수 잔량
합계 100
<1-2> 영양화장수(lotion)
본 발명의 톱니모자반 주정추출물 또는 헥산분획물을 함유한 영양화장수(lotion)를 아래의 성분비로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영양화장수 제형예
성분 함량(중량%)
톱니모자반 주정추출물 또는 헥산분획물 1~3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SE 1.5
세테아릴알콜 1.5
라놀린 1.5
폴리솔베이트 60 1.3
솔비타스테아레이트 0.5
경화식물유 4.0
광물유 5.0
트리옥타노인 2.0
디메치콘 0.8
초산 토코페롤 0.5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0.12
글리세린 5.0
1,3-부틸렌글리콜 3.0
소듐히아루로네이트 5.0
트리에탄올아민 0.12
유니사이드-유 13 0.02
미량
증류수 잔량
합계 100
<1-3> 영양크림
본 발명의 톱니모자반 주정추출물 또는 헥산분획물을 함유한 영양크림을 아래의 성분비로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영양크림 제형예
성분 함량(중량%)
톱니모자반 주정추출물 또는 헥산분획물 1~10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1.5
세테아릴알콜 1.5
스테아린산 1.0
폴리솔베이트 60 1.5
솔비타스테아레이트 0.6
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레이트 5.0
스쿠알란 5.0
광물유 35.0
디메치콘 0.5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0.12
글리세린 6.0
트리에탄올아민 0.7
유니사이드-유13 0.02
미량
증류수 잔량
합계 100
<1-4> 마사지크림
본 발명의 톱니모자반 주정추출물 또는 헥산분획물을 함유한 마사지크림을 아래의 성분비로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마사지크림 제형예
성분 함량(중량%)
톱니모자반 주정추출물 또는 헥산분획물 1~3
프로필렌글리콜 6
글리세린 4.0
트리에탄올아민 0.5
밀납 2.0
토코페릴아세테이트 0.1
폴리솔베이트 60 3.0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2.5
세테아릴알코올 2.0
유동파라핀 30.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5
미량
증류수 잔량
합계 100
<1-5> 팩
본 발명의 톱니모자반 주정추출물 또는 헥산분획물을 함유한 팩을 아래의 성분비로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팩 제형예
성분 함량(중량%)
톱니모자반 주정추출물 또는 헥산분획물 1~3
글리세린 10.0
베타인 5.0
REG 1500 2.0
알란토인 0.1
DL-판테놀 0.3
EDTA-2Na 0.02
벤조페논-9 0.04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0.1
소듐 히아루로네이트 8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2
트리에탄올아민 0.18
옥틸도데칸올 0.3
옥틸도데세스-16 0.4
에탄올 6.0
유니사이드-유13 0.01
미량
증류수 잔량
합계 100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톱니모자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물 및 헥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매로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항균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은 에탄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획물은 톱니모자반 추출물의 헥산 분획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부탄올 분획물 및 물 분획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톱니모자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메치실린 저항성 포도상구균(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표피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epidermidis),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Propionibacterium acnes) 및 칸디다균(Candida albicans)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에 대한 항균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 조성물은 화장품, 피부 세정제, 모발 세정제, 질 세정제, 욕실용 세정제, 구성 세정제, 주방용 세정제, 화장품 보존제, 식품 보존제, 의약품 보존제, 식품첨가제 및 사료첨가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의 용도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조성물.
  7. 톱니모자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및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에탄올 용매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분획물은 톱니모자반 추출물의 헥산 분획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부탄올 분획물 및 물 분획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 화장수, 젤, 수용성 리퀴드, 밀크로션, 영양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수중유 형 에멀젼, 유중수 형 에멀젼, 페이스크성 무수 생성물, 고체 무수 생성물, 소구체를 사용한 수성 상에서의 오일 분산물, 이온성 지질 소포체, 비이온성 지질 소포체, 연고,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팩, 보디오일, 수중유 형 메이크업베이스, 유중수 형 메이크업베이스, 파운데이션, 스킨커버, 립스틱, 립그로스, 페이스파우더, 투웨이케익, 아이섀도우, 마스카라, 치크칼라 및 아이브로우펜슬류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1종의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50122093A 2015-08-28 2015-08-28 톱니모자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1018031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2093A KR101803148B1 (ko) 2015-08-28 2015-08-28 톱니모자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2093A KR101803148B1 (ko) 2015-08-28 2015-08-28 톱니모자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5541A true KR20170025541A (ko) 2017-03-08
KR101803148B1 KR101803148B1 (ko) 2017-11-29

Family

ID=58403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2093A KR101803148B1 (ko) 2015-08-28 2015-08-28 톱니모자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31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5429A (ko) * 2018-08-30 2020-03-10 국립해양생물자원관 미아베모자반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6249B1 (ko) 2008-03-11 2010-10-07 (주)에이씨티 관중추출물 및 이를 이용한 천연 항균, 방부제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9002B1 (ko) 2015-07-31 2016-01-28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톱니모자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44753B1 (ko) 2015-08-07 2016-08-01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톱니모자반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6249B1 (ko) 2008-03-11 2010-10-07 (주)에이씨티 관중추출물 및 이를 이용한 천연 항균, 방부제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5429A (ko) * 2018-08-30 2020-03-10 국립해양생물자원관 미아베모자반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3148B1 (ko) 2017-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86209B (zh) 包含胚芽乳酸桿菌培養物的抗菌化粧品組成物
KR101864409B1 (ko) 한방 추출물 및 미생물 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살균 또는 항진균용 조성물
KR101780863B1 (ko) 홍삼 에탄올 추출물의 부탄올 분획물을 포함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124432A (ko) 항산화, 항균 및 항염증 효능을 지닌 여드름 개선용 조성물
KR101291216B1 (ko) 포도근, 검은재나무 및 꽃싸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용 조성물
KR20100007122A (ko) 항균 또는 항진균용 조성물
KR101803148B1 (ko) 톱니모자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102158134B1 (ko)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2367027B1 (ko) 등수국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2488864B1 (ko) 가자 추출물 및 애엽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세균총의 생장 조절 또는 피부 면역 강화용 조성물
KR101222105B1 (ko) 항진균 화합물 및 이의 용도
KR20110125108A (ko) 신규한 화합물 및 이의 용도
KR102545792B1 (ko) 남극 메켈 빙어 추출물 또는 남극 대리석무늬 암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US10695314B2 (en) Antimicrobial composition containing 7,10-epoxyoctadeca-7,9-dienoic acid as active ingredient
KR102141462B1 (ko) 석창포 추출물 및 후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2130128B1 (ko) 고본 추출물 및 후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2126408B1 (ko) 정향 추출물 및 후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2146479B1 (ko) 정향 추출물 및 황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2379678B1 (ko) 검정무 발효 추출물,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US11877987B2 (en) Method for preparing an Eruca sativa extract and use for shaving
KR102130129B1 (ko) 석창포 추출물 및 황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2130127B1 (ko) 후박 추출물 및 황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KR20240040440A (ko) 검은지느러미 빙어 추출물 또는 에메랄드 암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1735341B1 (ko) 히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20240050845A (ko) 여드름 완화 효과가 있는 토복령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