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5432A - 다리 위치 감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다리 위치 감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다리 위치 감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다리 위치 감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5432A
KR20170025432A KR1020150121866A KR20150121866A KR20170025432A KR 20170025432 A KR20170025432 A KR 20170025432A KR 1020150121866 A KR1020150121866 A KR 1020150121866A KR 20150121866 A KR20150121866 A KR 20150121866A KR 20170025432 A KR20170025432 A KR 201700254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vibration
sensor unit
leg
energ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18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9057B1 (ko
Inventor
신수용
시바 릴라 크리슈나 찬드 구디
Original Assignee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218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9057B1/ko
Publication of KR201700254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54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90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90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5For evaluating or diagnosing the musculoskeletal system or teeth
    • A61B5/4538Evaluating a particular part of the muscoloskeletal system or a particular medical condition
    • A61B5/4561Evaluating static posture, e.g. undesirable back curva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13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a specific body part
    • A61B5/6828Le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8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mounted on external non-worn devices, e.g. non-medical devices
    • A61B5/6898Portable consumer electronic devices, e.g. music players, telephones, tablet compu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55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characterised by tactile indication, e.g. vibration or electrical stimul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Rheumatology (AREA)
  • Multimedia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다리 위치 감지 장치는, 사용자의 일측 다리의 무릎 주위에 부착되며, 제1 코일을 통해 전자기적인 유도 에너지를 송신하는 제1 센서부와, 상기 사용자의 타측 다리의 무릎 뒤쪽 주위에 부착되며, 제2 코일을 통해 상기 제1 코일의 유도 에너지를 수신하며, 수신된 에너지를 이용하여 내장된 진동부를 진동시키는 제2 센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다리 위치 감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다리 위치 감지 시스템{Leg position detecting device and position detecting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다리 위치를 감지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두 개의 센서부를 이용하는 다리 위치 감지장치 및 다리 위치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 시간의 차이는 있지만 다리를 꼬고 앉는 자세를 취하는 경우가 많은데, 다리를 꼬고 앉는 자세가 오래 지속될 경우, 인체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특히, 한쪽 다리를 반대쪽 다리의 무릎 근처까지 올려서 꼬고 앉는 자세를 장시간 취할 경우, 혈압이 상승하고 심한 경우 혈관 손상 또는 신경손상으로 인한 일시적인 근육마비를 초래할 수 있다. 특히 남성의 경우 혈액 순환이 원활하지 않아 정자 수가 감소하는 경우까지 발생할 수 있다.
현재 목이나 허리의 자세가 좌우로 치우치지 않고, 일직선을 유지하고 있는지를 감지하는 장치가 개발되어 있으나, 이를 통해서는 다리를 꼬고 앉는 자세를 감지할 수 없다.
사람은 다리를 꼬고 앉는 자세를 취할 때, 무의식적으로 해당 자세를 지속시키기 때문에, 인체에 통증이 유발되어서야 다리를 꼬고 앉는 자세를 취하고 있는지 여부를 인지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다리를 꼬고 앉는 자세를 취하는 순간을 감지할 수 있는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다리를 꼬고 앉는 자세를 취하는 즉시 진동 또는 알림음을 통해 사용자에 알려줄 수 있는 다리 위치 감지장치 및 다리 위치 감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일측 다리의 무릎 주위에 부착되며, 제1 코일을 통해 전자기적인 유도 에너지를 송신하는 제1 센서부; 및 상기 사용자의 타측 다리의 무릎 뒤쪽 주위에 부착되며, 제2 코일을 통해 상기 제1 코일의 유도 에너지를 수신하며, 수신된 에너지를 이용하여 내장된 진동부를 진동시키는 제2 센서부;를 포함하는 다리 위치 감지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제1 센서부는, 원형태로 형성된 상기 제1 코일; 및 상기 제1 코일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코일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센서부는, 원형태로 형성된 상기 제2 코일; 및 상기 제2 코일 내부에 배치되며 충전된 전력을 이용하여 설정된 진동패턴으로 진동하는 상기 진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일측 다리의 무릎 주위에 부착되며, 제1 코일을 통해 전자기적인 유도 에너지를 송신하는 제1 센서부; 상기 사용자의 타측 다리의 무릎 뒤쪽 주위에 부착되며, 제2 코일을 통해 상기 제1 코일의 유도 에너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에너지를 이용하여 내장된 진동부를 진동시키며, 진동횟수, 진동시간 및 수신된 에너지 크기를 무선통신방식으로 전송하는 제2 센서부; 및 상기 제2 센서부로부터 진동횟수, 진동시간 및 수신된 에너지 크기를 무선통신방식으로 수신받아 표시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포함하는 다리 위치 감지 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제1 센서부는, 원형태로 형성된 상기 제1 코일; 및 상기 제1 코일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코일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센서부는, 원형태로 형성된 상기 제2 코일; 상기 제2 코일 내부에 배치되며 충전된 전력을 이용하여 설정된 진동패턴으로 진동하는 상기 진동부; 및 상기 진동부의 진동횟수 및 진동시간과, 상기 제2 코일에 수신된 에너지 크기를 검출하여 무선통신방식으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수신된 진동횟수 및 진동시간에 따라 알람음의 크기를 조절함에 있어서, 설정된 기간 동안의 진동횟수 및 진동시간이 누적될수록 알람음의 크기가 점점 커지도록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리 위치 감지장치 및 다리 위치 감지 시스템은, 사용자가 무의식적으로 다리를 꼬고 앉는 자세를 취할 때, 즉시 진동 및 알림음으로 알려줄 수 있으므로, 올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 따라서 다리를 꼬고 앉는 자세로 인해서 발생할 수 있는, 혈압이 상승, 혈관 손상 및 근육마비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휴대용 단말기에 표시되는 진동횟수 및 진동시간을 통해, 자신이 얼마나 자주 오랫동안 다리를 꼬고 앉는 자세를 취하는지 확인할 수 있어서, 자세교정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리 위치 감지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도 1의 다리 위치 감지 시스템의 실사도.
도 3은 사용자의 다리에 장착된 다리 위치 감지 장치의 구성도.
도 4는 센서부의 접촉거리에 따른 유도전압의 크기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리 위치 감지 시스템(1)의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다리 위치 감지 시스템(1)은 제안하고자 하는 기술적인 사상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간략한 구성만을 포함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다리 위치 감지 시스템(1)은 제1 센서부(100)와, 제2 센서부(200)와, 휴대용 단말기(30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센서부(100) 및 제2 센서부(200)는 다리 위치 감지 장치로써 정의되며, 휴대용 단말기(300)를 추가로 포함하여 다리 위치 감지 시스템(1)이 구축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다리 위치 감지 시스템(1)의 세부구성과 주요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1 센서부(100)는 사용자의 일측 다리의 무릎 주위에 부착되며, 제1 코일(110)을 통해 전자기적인 유도 에너지를 송신한다.
즉, 제1 센서부(100)는 제1 코일(110)과, 배터리(120)를 구비하는데, 제1 코일(110)은 원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배터리(120)는 제1 코일(110) 내부에 배치되며 제1 코일(110)에 전력을 공급한다.
제2 센서부(200)는 사용자의 타측 다리의 무릎 뒤쪽 주위에 부착되며, 제2 코일(210)을 통해 제1 코일(110)의 유도 에너지를 수신한다.
또한, 제2 센서부(200)는 수신된 유도 에너지를 이용하여 내장된 진동부(220)를 진동시키며, 진동횟수, 진동시간 및 수신된 에너지 크기를 무선통신방식으로 전송한다.
제2 센서부(200)는 제2 코일(210)과, 진동부(220)와, 제어부(230)를 구비하는데, 제2 코일(210)은 원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코일(110)과 제2 코일(210)이 근접할 경우, 제1 코일(110)의 에너지가 제2 코일(210)로 유도되므로, 제2 코일(210)에 소정의 전력이 충전되고 진동부(220)가 충전된 전력을 이용하여 진동한다.
즉, 제1 센서부(100)는 사용자의 일측 다리(왼쪽)의 무릎 주위에 부착되어 있고, 제2 센서부(200)는 사용자의 타측 다리(오른쪽)의 무릎 뒤쪽 주위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다리를 꼬고 앉는 자세를 취할 경우, 제1 센서부(100)의 제1 코일(110)과 제2 센서부(200)의 제2 코일(210)이 근접하게 되므로, 상호간에 유도 에너지를 교환하게 된다.
진동부(220)는 제2 코일(210) 내부에 배치되는데, 제2 코일(210)에 충전된 전력을 이용하여 설정된 진동패턴으로 진동한다. 진동부(220)는 제2 코일(210)에 충전된 전압의 크기에 비례하여 진동크기가 증가하도록 구성된다.
제어부(230)는 진동부(220)의 진동횟수 및 진동시간과, 제2 코일(210)에 수신된 에너지 크기를 검출하여 무선통신방식으로 전송한다.
즉, 제어부(230)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무선통신모듈이 내장된 마이크로칩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무선통신모듈은 와이파이(WIFI) 모듈 및 블루투스 모듈 등이 내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휴대용 단말기(300)는 제2 센서부(200)로부터 진동횟수, 진동시간 및 수신된 에너지 크기를 무선통신방식으로 수신받아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휴대용 단말기(300)는 휴대폰,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 등과 같이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사용할 수 있는 기기를 총칭하는 것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스마트폰으로 구성된 휴대용 단말기로 가정하고 설명하기로 한다.
휴대용 단말기(300)는 수신된 진동횟수 및 진동시간에 따라 알람음의 크기를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설정된 기간 동안의 진동횟수 및 진동시간이 누적될수록 알람음의 크기가 점점 커지도록 조절된다.
설정된 기간은 1시간 내지 24시간 단위로 사용자가 직접 설정할 수 있으며, 설정된 기간동안 진동횟수 및 진동시간이 누적 계산되며, 누적된 횟수 및 시간이 커질수록 알람음의 크기가 점점 커지도록 조절된다. 참고적으로 휴대용 단말기(300)에 진동기능이 있을 경우, 누적된 횟수 및 시간이 커질수록 휴대용 단말기(300)의 진동크기가 그에 비례하여 커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300)는 날짜별로 진동횟수 및 진동시간을 저장하고 있으며, 진동횟수 및 진동시간을 주간 단위 또는 월간 단위별로 그래프 형식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휴대용 단말기(300)의 알림음 및 진동크기는, 기본적으로 1시간 내지 24시간 단위의 설정된 기간동안 누적된 진동횟수 및 진동시간에 비례하여 점점 커지도록 조절되는데, 주간 단위의 이력을 참고하여 알람음 및 진동의 크기가 점점 커지도록 조절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첫 번째 주, 두 번째 주 및 세 번째 주의 진동횟수 및 진동시간의 이력이 저장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우선, 첫 번째 주의 7일간의 진동횟수 및 진동시간의 이력이 총합산된다. 또한, 두 번째 주의 7일간의 진동횟수 및 진동시간의 이력이 총합산된다.
이때, 휴대용 단말기(300)는 첫 번째 주의 총합산된 진동횟수 및 진동시간과, 두 번째 주의 총합산된 진동횟수 및 진동시간을 비교한 후, 두 번째 주의 총합산된 진동횟수 및 진동시간이 첫 번째 주보다 클 경우, 세 번째 주에서는 사용자가 다리를 꼬고 앉는 자세를 취하는 즉시 알람음 및 진동의 최대 크기로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참고적으로 진동횟수 및 진동시간 중 어느 하나만을 이용하여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진동횟수 및 진동시간을 모두 이용하여 동작하도록 구성될수도 있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300)는 진동횟수 및 진동시간을 클라우드 등과 같은 웹상의 개인용 저장공간에 자동저장하고, 개인용 저장공간에 저장된 진동횟수 및 진동시간을 다운로드 받아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참고적으로, 휴대용 단말기(300)는, 제2 센서부(200)의 진동부(220)가 진동하는 동시에 동일하게 진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휴대용 단말기(300)는 제2 센서부(200)의 진동횟수 및 진동시간을 토대로, 진동주기가 조절될 수 있다.
즉, 휴대용 단말기(300)는 진동부(220)의 진동횟수가 누적 될수록 진동주기가 점점 빨라지거나, 진동부(220)의 진동시간이 누적 될수록 진동주기가 점점 빨라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휴대용 단말기(300)는 진동부(220)의 진동횟수의 누적량이 많을수록 진동크기가 점점 커지고 진동주기가 점점 빨라지도록 구성되거나, 진동부(220)의 진동시간의 누적량이 많을수록 진동크기가 점점 커지고 진동주기가 점점 빨라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300)는, 기본적으로 진동부(220)의 진동횟수 또는 진동시간의 누적량에 정비례하여 진동크기가 점점 커지거나 진동주기가 점점 빨라지도록 구성되나,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진동횟수 또는 진동시간의 누적량의 제곱 또는 세제곱에 비례하여 진동크기가 점점 커지거나 진동주기가 점점 빨라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제2 센서부(200)의 진동부(220)는 제2 코일(210)에 충전된 전력을 바로 이용하지 않고, 일정대기 시간을 유지하여 제2 코일(210)에 소정의 전력이 충전된 이후에 진동하도록 제어부(23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다리 위치 감지 시스템(1)의 실사도이고, 도 3은 사용자의 다리에 장착된 다리 위치 감지 장치(100,200)의 구성도이다.
도 2 및 3을 참조하면, 제1 센서부(100)는 사용자의 일측 다리(왼쪽)의 무릎 주위에 부착되며, 구리 등과 같은 금속재질이 원형태로 제1 코일(110)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제2 센서부(200)는 사용자의 타측 다리(오른쪽)의 무릎 뒤쪽 주위에 부착되며, 구리 등과 같은 금속재질이 원형태로 제2 코일(210)을 형성하고 있다.
사용자가 다리를 꼬고 앉는 자세를 취할 경우, 제1 센서부(100)와 제2 센서부(200)의 거리가 가까워지면서, 제1 코일(110) 및 제2 코일(210) 사이에 전자기적인 유도 에너지가 교환된다. 즉, 제1 코일(110)의 에너지가 제2 코일(210) 방향으로 유도되어, 제2 코일(210)에 소정의 전력이 충전된다.
기본적으로 제1 코일(110)과 제2 코일(210)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질수록, 제2 코일(210)에 충전되는 전력의 전압이 상승한다.
도 4는 센서부의 접촉거리에 따른 유도전압의 크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센서부(100)와 제2 센서부(200)의 거리가 3.25cm로 가까워질 경우, 진동부(220)의 진동이 발생하기 시작하는 전압이 충전되며, 제1 센서부(100)와 제2 센서부(200)의 거리가 2.6cm로 근접할 경우 충전전압은 평균값이 된다.
또한, 제1 센서부(100)와 제2 센서부(200)의 거리가 2cm 이내로 가까워질 경우, 충전전압은 최대값이 된다.
진동부(220)의 진동크기는 기본적으로 제2 센서부(200)에 충전된 전압의 크기에 비례한다. 따라서 제1 센서부(100)와 제2 센서부(200)의 거리가 가까워질수록 진동부(220)의 진동크기가 커지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리 위치 감지장치 및 다리 위치 감지 시스템은, 사람이 무의식적으로 다리를 꼬고 앉는 자세를 취할 때, 즉시 진동 및 알림음으로 알려줄 수 있으므로, 올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 따라서 다리를 꼬고 앉는 자세로 인해서 발생할 수 있는, 혈압이 상승, 혈관 손상 및 근육마비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휴대용 단말기에 표시되는 진동횟수 및 진동시간을 통해, 자신이 얼마나 자주 오랫동안 다리를 꼬고 앉는 자세를 취하는지 확인할 수 있어서, 자세교정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제1 센서부와 제2 센서부가 근접할 경우에만 에너지를 소모하게 되므로, 배터리의 전력소모를 감소시켜 사용가능시간이 증가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다리 위치 감지 시스템
100 : 제1 센서부
110 : 제1 코일
120 : 배터리
200 : 제2 센서부
210 : 제2 코일
220 : 진동부
230 : 제어부
300 : 휴대용 단말기
100, 200 : 다리 위치 감지 장치

Claims (7)

  1. 사용자의 일측 다리의 무릎 주위에 부착되며, 제1 코일을 통해 전자기적인 유도 에너지를 송신하는 제1 센서부; 및
    상기 사용자의 타측 다리의 무릎 뒤쪽 주위에 부착되며, 제2 코일을 통해 상기 제1 코일의 유도 에너지를 수신하며, 수신된 에너지를 이용하여 내장된 진동부를 진동시키는 제2 센서부;
    를 포함하는 다리 위치 감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부는,
    원형태로 형성된 상기 제1 코일; 및
    상기 제1 코일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코일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 위치 감지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센서부는,
    원형태로 형성된 상기 제2 코일; 및
    상기 제2 코일 내부에 배치되며 충전된 전력을 이용하여 설정된 진동패턴으로 진동하는 상기 진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 위치 감지 장치.
  4. 사용자의 일측 다리의 무릎 주위에 부착되며, 제1 코일을 통해 전자기적인 유도 에너지를 송신하는 제1 센서부;
    상기 사용자의 타측 다리의 무릎 뒤쪽 주위에 부착되며, 제2 코일을 통해 상기 제1 코일의 유도 에너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에너지를 이용하여 내장된 진동부를 진동시키며, 진동횟수, 진동시간 및 수신된 에너지 크기를 무선통신방식으로 전송하는 제2 센서부; 및
    상기 제2 센서부로부터 진동횟수, 진동시간 및 수신된 에너지 크기를 무선통신방식으로 수신받아 표시하는 휴대용 단말기;
    를 포함하는 다리 위치 감지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부는,
    원형태로 형성된 상기 제1 코일; 및
    상기 제1 코일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코일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 위치 감지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센서부는,
    원형태로 형성된 상기 제2 코일;
    상기 제2 코일 내부에 배치되며 충전된 전력을 이용하여 설정된 진동패턴으로 진동하는 상기 진동부; 및
    상기 진동부의 진동횟수 및 진동시간과, 상기 제2 코일에 수신된 에너지 크기를 검출하여 무선통신방식으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 위치 감지 시스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수신된 진동횟수 및 진동시간에 따라 알람음의 크기를 조절함에 있어서,
    설정된 기간 동안의 진동횟수 및 진동시간이 누적될수록 알람음의 크기가 점점 커지도록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 위치 감지 시스템.
KR1020150121866A 2015-08-28 2015-08-28 다리 위치 감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다리 위치 감지 시스템 KR1017290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1866A KR101729057B1 (ko) 2015-08-28 2015-08-28 다리 위치 감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다리 위치 감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1866A KR101729057B1 (ko) 2015-08-28 2015-08-28 다리 위치 감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다리 위치 감지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5432A true KR20170025432A (ko) 2017-03-08
KR101729057B1 KR101729057B1 (ko) 2017-04-21

Family

ID=58403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1866A KR101729057B1 (ko) 2015-08-28 2015-08-28 다리 위치 감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다리 위치 감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90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1900A (ko) * 2017-06-28 2019-01-07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웨어러블 자세 측정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42470A (ja) * 2007-12-14 2009-07-02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姿勢判別装置
KR101458070B1 (ko) * 2013-05-02 2014-11-20 노지인 자세교정용 의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1900A (ko) * 2017-06-28 2019-01-07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웨어러블 자세 측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9057B1 (ko) 2017-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66112B2 (en) Hearing aid adapted for wireless power reception
US10277039B2 (en) Resonant power transfer systems with protective algorithm
US8676274B2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notification of events on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EP3157127A1 (en) Wireless charging system
US20170157407A1 (en) System and method for an electrical implant device with increased patient compliance
KR102630817B1 (ko) 골 성장을 자극하고, 골밀도를 보존 및 개선하고, 지방생성을 억제하는 골감소증 및 골다공증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장치
WO2017105779A1 (en) Method and device for wireless power transfer
KR101874487B1 (ko) 무선 충전 기능이 적용된 장패드 충전 시스템
JP2002374661A (ja) 携帯型発電機及びこれを利用した携帯型電子機器
CN207440877U (zh) 电子手环叫号装置
WO2019189306A1 (ja) 外部刺激付与システム、外部刺激条件決定システム、外部刺激条件決定支援サーバ、およびデータ構造
KR101729057B1 (ko) 다리 위치 감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다리 위치 감지 시스템
KR101795215B1 (ko) 스마트 벨트
WO2021081189A1 (en) Apparatus for the treatment or prevention of osteopenia and osteoporosis, stimulating bone growth, preserving or improving bone mineral density, and inhibiting adipogenesis
JP2015138985A (ja) ウエアラブル型の小形電気機器
WO2019189735A1 (ja) 振動付与装置、振動付与システム、および振動付与方法
CN107669339B (zh) 植入式医疗装置的姿态提示方法和设备
WO201913589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lastic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s
US20220219064A1 (en) Exercise assisting device, exercise assist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JP5662035B2 (ja) 携帯電話機
JP6229830B2 (ja) 運動支援装置及び運動支援方法、運動支援プログラム
CN210144354U (zh) 枕头
EP3237975B1 (en) An alarm apparatus
JP2013229996A (ja) 充電装置
JP3223514U (ja) Gps付き徘徊感知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