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5244A - 스마트 조명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 조명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5244A
KR20170025244A KR1020150121433A KR20150121433A KR20170025244A KR 20170025244 A KR20170025244 A KR 20170025244A KR 1020150121433 A KR1020150121433 A KR 1020150121433A KR 20150121433 A KR20150121433 A KR 20150121433A KR 20170025244 A KR20170025244 A KR 201700252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mart lighting
content
smart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1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코넛네트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코넛네트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코넛네트웍스
Priority to KR10201501214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25244A/ko
Publication of KR201700252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52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5B37/0245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10/00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 F21S10/02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changing col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07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remote control systems
    • H05B37/0218
    • H05B37/0227
    • H05B37/027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조명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을 통해 서버 및 사용자 단말과 연동되는 스마트 조명 장치에서의 스마트 조명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서버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컨텐츠 정보, 상기 컨텐츠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 수단을 식별하기 위한 출력 타입 정보, 상기 컨텐츠 출력 시 상기 스마트 조명 장치에 구비된 조명 유닛의 동작 패턴을 제어하기 위한 조명 패턴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출력 타입 정보에 대응되는 출력 수단으로 컨텐츠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조명 패턴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조명 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컨텐츠 출력 후 소정 시간이 경과되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소정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컨텐츠 출력 및 상기 조명 유닛의 동작 제어를 중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감지된 이벤트에 따라 적응적으로 조명 패턴 및 출력되는 컨텐츠를 제어할 수 있는 스마트 조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스마트 조명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Method for Providing Smart Lighting Service, Apparatus and System therefor}
본 발명은 스마트 조명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 통신망에 연결된 스마트 조명 서버 및 사용자 단말과 연동하여 감지된 이벤트에 따라 적응적으로 조명 패턴을 제어하거나 컨텐츠를 출력하는 것이 가능한 스마트 조명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홈 오토메이션(HA, Home Automation)에 대한 관심이 증대됨에 따라 가정에 구비된 다양한 가전 설비 등을 유/무선 통신망 등의 수단으로 원격지에서 제어하는 방법이 근래 주목되고 있는데 이러한 근래 동향에 따라 건물 내 공간이나 방마다 거의 필수적으로 구비되어 있는 스위치에 유/무선 통신망을 통한 원격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가전 설비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술의 활용이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에는 에너지 절감 차원에서 주변 조도 및 시간대에 따라 적응적으로 조명을 제어하는 스마트 조명 시스템의 보급이 급격히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최근에는 사람의 접근 및 이동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조명등을 제어하는 기술이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조명 시스템들은 각종 센서 및 원격 제어를 통한 에너지 절감 및 사용자의 편의에 중점을 둘뿐 사용자간의 소통 및 정보 제공 수단으로는 활용되지 못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스마트 조명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 및 스마트 조명 서버와 연동하여 감지된 이벤트에 따라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 스마트 조명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스마트 조명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을 통해 서버 및 사용자 단말과 연동되는 스마트 조명 장치에서의 스마트 조명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서버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컨텐츠 정보, 상기 컨텐츠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 수단을 식별하기 위한 출력 타입 정보, 상기 컨텐츠 출력 시 상기 스마트 조명 장치에 구비된 조명 유닛의 동작 패턴을 제어하기 위한 조명 패턴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출력 타입 정보에 대응되는 출력 수단으로 컨텐츠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조명 패턴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조명 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컨텐츠 출력 후 소정 시간이 경과되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소정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컨텐츠 출력 및 상기 조명 유닛의 동작 제어를 중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조명 서비스 제공 방법은 조명이 ON된 상태에서, 상기 알림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알림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컨텐츠의 종류에 따라 상기 조명 유닛의 광도, 광색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거나 상기 조명 유닛으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여 조명을 OFF 시킨 후 상기 컨텐츠를 상기 출력 타입 정보에 대응되는 출력 수단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 수단은 레이저빔, 피코 프로젝터, 투명 디스플레이,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조명 서비스 제공 방법은 조명 OFF 상태에서 구비된 센서, 상기 서버, 상기 사용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상기 출력 수단을 이용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수집된 정보는 온도 정보, 습도 정보, 날씨 정보, 날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조명 서비스 제공 방법은 소정 조명 제어 이벤트가 감지되면, 상기 스마트 조명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소정 스마트 조명 장치 식별 정보 및 상기 감지된 조명 제어 이벤트를 식별하기 위한 소정 이벤트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컨텐츠 정보, 상기 출력 타입 정보 및 상기 조명 패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서비스 응답 메시지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이벤트 식별 정보, 상기 스마트 조명 장치 식별 정보, 상기 조명 제어 이벤트가 감지된 시간대에 기반하여 상기 서버에 의해 전송 대상 컨텐츠 및 조명 패턴이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을 통해 서버 및 사용자 단말과 연동되는 스마트 조명 장치에서의 스마트 조명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서버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컨텐츠 정보, 상기 컨텐츠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 수단을 식별하기 위한 출력 타입 정보, 상기 컨텐츠 출력 시 상기 스마트 조명 장치에 구비된 조명 유닛의 동작 패턴을 제어하기 위한 조명 패턴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 예약 설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예약 설정 메시지를 내부 구비된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와 소정 조명 제어 이벤트가 감지되면, 상기 메모리를 참조하여 상기 예약 설정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출력 타입 정보에 대응되는 출력 수단으로 해당 컨텐츠를 출력하고, 상기 예약 설정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조명 패턴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조명 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을 통해 서버 및 사용자 단말과 연동되는 스마트 조명 장치는 상기 서버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컨텐츠 정보, 상기 컨텐츠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 수단을 식별하기 위한 출력 타입 정보, 상기 컨텐츠 출력 시 상기 스마트 조명 장치에 구비된 조명 유닛의 동작 패턴을 제어하기 위한 조명 패턴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는 무선 통신부와 상기 출력 타입 정보에 대응되는 출력 수단으로 컨텐츠를 출력하는 출력부와 상기 조명 패턴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조명 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조명 유닛 컨트롤러와 상기 컨텐츠 출력 후 소정 시간이 경과되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소정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컨텐츠 출력 및 상기 조명 유닛의 동작이 중지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가 조명이 ON된 상태에서, 상기 알림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알림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컨텐츠의 종류에 따라 상기 조명 유닛의 광도, 광색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거나 상기 조명 유닛으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기 위한 소정 제어 신호를 상기 조명 유닛 컨트롤러를 전송하고, 상기 컨텐츠가 상기 출력 타입 정보에 대응되는 출력 수단을 통해 출력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 수단은 레이저빔, 피코 프로젝터, 투명 디스플레이,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외부 조명 스위치로부터 수신된 소정 입력 신호에 따라 소정 조명 제어 이벤트를 감지하면, 상기 스마트 조명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소정 스마트 조명 장치 식별 정보 및 상기 감지된 조명 제어 이벤트를 식별하기 위한 소정 이벤트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컨텐츠 정보, 상기 출력 타입 정보 및 상기 조명 패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서비스 응답 메시지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되, 상기 이벤트 식별 정보, 상기 스마트 조명 장치 식별 정보 및 상기 조명 제어 이벤트가 감지된 시간대에 기반하여 상기 서버가 전송 대상 컨텐츠 및 조명 패턴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 및 스마트 조명 장치와 연동되는 스마트 조명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탑재된 스마트 조명 앱을 통해 상기 스마트 조명 장치를 등록 받는 장치 등록부와 등록된 상기 스마트 조명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조명 제어 이벤트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스마트 조명 장치에 구비된 조명 유닛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조명 패턴을 결정하는 조명 패턴 결정부와 상기 스마트 조명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조명 제어 이벤트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스마트 조명 장치에 의해 출력될 컨텐츠를 생성하는 컨텐츠 생성부와 상기 생성된 컨텐츠 정보, 상기 생성된 컨텐츠의 출력 수단을 식별하기 위한 출력 타입 정보, 상기 결정된 조명 패턴을 식별하기 위한 조명 패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소정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스마트 조명 장치에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양태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 중 일부에 불과하며, 본원 발명의 기술적 특징들이 반영된 다양한 실시예들이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이하 상술할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기반으로 도출되고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장치에 대한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스마트 조명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 및 스마트 조명 서버와 연동하여 감지된 이벤트에 따라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 스마트 조명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명 기능뿐만 아니라 사용자간 소통 및 정보 제공이 가능한 스마트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 첨부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들을 제공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특정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도면에서 개시하는 특징들은 서로 조합되어 새로운 실시예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조명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조명 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조명 서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 내지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조명 장치에서의 스마트 조명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조명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조명 시스템에서의 스마트 조명 서비스 제공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조명 시스템에서의 스마트 조명 서비스 제공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은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조명 시스템에서의 스마트 조명 서비스 제공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장치 및 다양한 방법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사용자 단말(user device)로 휴대폰(mobile phone), 스마트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가능한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주의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사용자 단말 등에서 사용되는 응용 소프트웨어를 “앱”이라 명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응용 소프트웨어와 “앱” 또는 "어플"을 혼용해서 사용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조명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스마트 조명 장치(100)는 무선 통신부(110), 센싱부(120), 출력부(130), A/V(Audio/Video) 입력부(140), 메모리부(150), 조명 유닛 컨트롤러(160), 조명 스위치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들을 갖는 스마트 조명 장치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 요소들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무선 통신부(110)는 스마트 조명 장치(100)가 접속된 통신망으로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통신 모듈(111),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 통신 모듈(111)은 이동 통신망의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기지국, 중계기, 리피터, 펨토셀 등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무선 신호는 음성 및 화상 통화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이동 통신 모듈(111)은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망을 포함하는 3G망, LTE(Long Term Evolution)/LTE-Advanced망을 포함하는 4G망과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이동 통신 표준의 진화에 따른 5G망 그 이후의 진화된 망으로의 접속 수단이 포함될 수도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송/수신 모듈을 의미하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스마트 조명 장치(100)에 내장되거나 소정의 인터페이스 단자를 통해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무선을 통해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기술이면 족하다.
근거리 통신 모듈(115)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조명 장치(100)는 상기 무선 통신 기능 이외에 유선 통신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스마트 조명 장치(100)는 전력선 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 인터넷 통신 단자를 이용한 IP 통신 등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유선 통신 모듈(미도시)이 추가적으로 탑재될 수도 있다.
센싱부(120)는 제어부(18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스마트 조명 장치(100) 내부 또는 외부의 상태 변화를 감지하고, 그에 따른 센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센싱부(120)에 의해 수집되는 센싱 정보는 스마트 조명 장치(100)의 주변의 조도 정보, 온도 정보, 습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스마트 조명 장치(100)에는 조도 센서(121), 온도 센서(122), 습도 센서(123) 등이 구비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센싱부(120)는 마이크(143)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음성을 인식하고 이를 제어부(180)에 전달하는 음성 인식 모듈(미도시)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일 예로,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에 탑재된 소정 스마트 조명 앱을 통해 스마트 조명 장치(100)의 동작 모드를 음성 인식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이 후, 사용자는 음성 인식을 통해 조명을 ON/OFF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음성 인식 모드에서 음성 명령을 통해 조명의 광도, 조명의 색깔, 조명의 패턴, 조명 ON/OFF 타이머를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센싱부(120)는 스마트 조명 장치(100)로부터 소정 반경 내의 움직이는 대상을 감지하는 움직임 감지 센서(미도시), 적외선 감지 센서(미도시) 등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들 센서를 통해 사람의 접근을 인식할 수도 있다.
출력부(13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디스플레이 모듈(131), 음향 출력 모듈(133), 알람부(135) 및 레이저빔 모듈(137), 피코 프로젝터(미도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31)은 제어부(180)으 제어에 따라 스마트 조명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스마트 조명 장치(100)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스마트 조명 장치(100)가 화상 통화 모드인 경우,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된 영상 또는(및) 카메라(141)를 통해 촬영된 영상이 디스플레이 모듈(131)을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스마트 조명 장치(100)가 촬영 모드인 경우, 카메라(141)를 통해 촬영된 영상 또는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모듈(131)을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31)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투명 LC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3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스마트 조명 장치(100) 바디 중 디스플레이 모듈(131)이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조명 유닛에 의해 발광되는 빛이 외부로 투과될 수 있다.
스마트 조명 장치(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3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조명 장치(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31)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31)과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약칭함)에, 디스플레이 모듈(131)은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 모듈(13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13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 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 모듈(13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조명 장치(100)는 천장 매립형, 스탠드형, 벽걸이형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않으며, 당업자의 용도에 따라 그 형태 및 장착 형태가 상이할 수 있음을 주의해야 한다.
일 예로, 스마트 조명 장치(100)가 천장 매립형인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131)은 터치 기능이 탑재되지 않을 수 있다. 반면, 스마트 조명 장치(100)가 스탠드형이나 벽걸이형인 경우는 터치 기능이 탑재되어 사용자가 스마트 조명 장치(100)를 직접 터치 동작을 통해 조작할 수 있다. 물론, 스마트 조명 장치(100)가 스탠드형이나 벽걸이형인 경우, 조명 ON/OFF 제어, 볼륨 제어 등의 각종 기능 설정 및 제어를 위한 별도 외부 입력 수단이 추가로 구비될 수도 있음을 주의해야 한다.
음향 출력 모듈(133)은 호신호 수신, 스피커폰 통화, 음성 인식 모드, 음원 재생, 동영상 재생 등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부(15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33)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음향 출력 모듈(133)은 스마트 조명 장치(100)의 일측에 구비된 이어폰잭을 통해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특히, 음향 출력 모듈(133)은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조명 ON/OFF 동작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음원을 출력하거나, 조명 ON 시 외부로부터 미리 수신되어 저장된 음성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알람 모듈(135)은 스마트 조명 장치(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스마트 조명 장치(100)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또한, 알람 모듈(135)은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특정 조명 패턴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여기서, 조명 패턴은 적어도 하나의 조명 유닛의 제어를 통해 빛의 색깔(광색), 빛의 세기(광도), 빛의 방향(광향), 전원이 인가되는 조명 유닛의 위치-즉, 빛의 움직임- 등의 설정 값을 변경하여 서로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레이저빔 모듈(137)은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소정 알림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31)상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알림 정보는 외부 서버 또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문자 메시지, 센싱부(120)에 의해 센싱된 온도/습도 정보,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된 날씨 정보, 교통 정보, 일정 정보, 뉴스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피코 프로젝터(미도시)는 내부에 자이로 센서가 탑재되어 자동으로 수평을 제어하여 직사각형 형태의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4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서, 카메라(141)와 마이크(14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41)는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 모듈(13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4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부(15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 장치-예를 들면, 미리 설정된 사용자 단말, 서버 등을 포함함-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41)는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카메라(14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제어부(180)에 전송되어 얼굴 인식을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자신의 스마트폰 등을 통해 촬영된 얼굴 이미지 및 해당 얼굴 이미지에 대응되는 사용자 식별 정보-예를 들면, 이름, 별명 등을 포함함-를 무선 통신을 통해 스마트 조명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스마트 조명 장치(100)에 수신된 얼굴 이미지 및 그에 대응되는 사용자 식별 정보는 메모리부(150)에 저장될 수 있다. 이 후, 스마트 조명 장치(100)는 구비된 움직임 감지 센서 및 적외선 센서 등을 통해 사람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감지된 사람의 얼굴 이미지를 촬영하고, 촬영된 얼굴 이미지와 미리 저장된 얼굴 이미지를 비교하여 사람을 식별할 수 있다. 만약, 감지된 사람의 얼굴 이미지와 매칭되는 얼굴 이미지가 메모리부(150)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스마트 조명 장치(100)는 감지된 사람의 얼굴 이미지가 포함된 소정 경고 메시지를 미리 설정된 사용자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에 경고 메시지가 수신되어 표시되면, 사용자는 감지된 사람의 얼굴 이미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를 스마트 조명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확인 결과가 아는 사람인 경우, 스마트 조명 장치(100)는 소정 환영 메시지를 출력부(13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반면, 확인 결과가 모르는 사람인 경우, 스마트 조명 장치(100)는 감지된 사람을 지속적으로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 또는 이미지를 사용자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즉, 상기한 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조명 장치(100)는 보안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마이크(143)는 통화 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 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변환한다. 변환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 통신 모듈(113)을 통하여 이동 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반면, 음성 인식 모드의 경우, 수신된 음성 신호가 센싱부(120)에 전달될 수 있으며, 센싱부(120)는 탑재된 음성 인식 수단을 통해 수신된 음성 신호를 음성 인식한 후 음성 인식 결과를 제어부(18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80)는 음성 인식 결과에 따라 스마트 조명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마이크(143)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부(15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주소록, 수신된 메시지, 일정 정보, 알람 설정 정보, 정지영상, 동영상, 응용 프로그램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메모리부(150)는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부(15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부(150)에는 스마트 조명 장치(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식별 모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식별 모듈은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조명 유닛 컨트롤러(160)는 스마트 조명 장치(100)에 장착되는 각종 조명 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조명 유닛 컨트롤러(160)는 조명 유닛의 ON/OFF 제어뿐만 아니라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특정 이벤트에 대응되는 소정 조명 패턴이 출력되도록 조명 유닛을 제어할 수 있다.
조명 스위치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벽면 등에 장착된 조명 ON/OFF 스위치의 동작을 감지하여 제어부(180)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스마트 조명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180)는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포함한 통신 기능뿐만 아니라 응용 프로그램, 위젯의 설치 및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180)는 스마트 조명 장치(100)상에서 감지된 각종 이벤트에 따라 적응적으로 조명 패턴을 제어하거나 각종 컨텐츠를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컨텐츠는 음원, 동영상, 이미지, 문자 메시지, 서버로부터 획득된 각종 데이터-예를 들면, 날씨 정보, 뉴스, 일정 정보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는 스마트 조명 장치(100)에 구비된 각종 출력 수단-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화면, 스피커, 레이저빔 등을 포함함-을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하부 모듈로부터 수신되는 각종 제어 신호에 따라, 입력 및 출력을 제어하고, 그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구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하부 모듈은 상술한 무선 통신부(110), 센싱부(120), 출력부(130), A/V 입력부(140), 메모리부(150), 조명 유닛 컨트롤러(160), 조명 스위치 인터페이스부(170) 및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 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제어부(1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부(15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조명 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스마트 조명 장치(200)는 크게 본체(210)와 본체의 일측에 장착되는 각종 출력 수단-여기서, 출력 수단은 디스플레이 모듈(131), 음향 출력 모듈(133), 알람 모듈(135), 레이저빔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센싱 수단-여기서 센싱 수단은 조도 센서(121), 온도 센서(122), 습도 센서(123), 움직임 감지 센서(미도시), 적외선 감지 센서(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음-, 카메라(141), 마이크(143), 적어도 하나의 조명 유닛(230), 조명 유닛(230)을 제어하는 조명 유닛 컨트롤러(160), 메인 제어 유닛-여기서, 메인 제어 유닛은 제어부(180), 메모리부(150)등을 포함할 수 있음-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도 2에 도시된 각 구성 요소들의 기능 및 동작은 상술한 도 1의 설명으로 대체하기로 한다.
상기 도 2의 예에서는 디스플레이 모듈(131)이 본체(210)의 일측면에만 장착되고 평명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상기 도 1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체(210)의 다른 면에도 추가 장착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모듈(131)은 곡면일 수도 있음을 주의해야 한다.
또한, 상기 도 2에서는 본체(210)의 형태가 사각형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원통형, 반구형, 마름모형 등으로도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조명 서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스마트 조명 서버(300)는 크게 통신부(310), 인증부(320), 장치 등록부(330), 앱 제공부(340), 조명 패턴 결정부(350), 컨텐츠 추출부(360), 데이터베이스(370), 제어부(38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통신부(310)는 인터넷망을 통해 외부 장치와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통신부(310)는 IP 통신을 통해 외부 장치와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인증부(320)는 해당 사용자 단말이 스마트 조명 서비스에 가입된 단말인지를 인증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스마트 조명 서비스 가입 시 등록된 인증 정보는 인증 정보 데이터베이스(371)에 유지되며, 사용자 단말상에서 스마트 조명 앱이 실행되면, 사용자 단말이 인증 정보를 스마트 조명 서버(300)에 전송하여, 사용자 단말과 스마트 조명 서버(300) 사이의 인증 절차가 개시될 수 있다. 일 예로, 인증 정보는 사용자 단말에 대응되는 전화 번호, 기기 식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장치 등록부(330)는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스마트 조명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스마트 조명 장치를 등록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등록된 스마트 조명 장치에 관한 정보는 서비스 가입자 별로 구분되어 등록 장치 데이터베이스(371)에 유지될 수 있다. 여기서, 스마트 조명 장치에 관한 정보는 스마트 조명 장치의 형상 및 타입을 식별하기 위한 장치 식별자, 댁내 WiFi AP의 MAC 주소 정보, SSID(Service Set Identifier) 및 Passwor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스마트 조명 장치(100)는 형태, 크기, 용도, 탑재된 조명 유닛의 종류 등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앱 제공부(34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스마트 조명 앱을 통신부(310)를 통해 해당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조명 패턴 결정부(350)는 스마트 조명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이벤트 감지 정보에 기반하여 조명 패턴을 결정하여 제어부(380)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감지된 이벤트에 대응되는 조명 패턴은 스마트 조명 앱을 통해 사용자가 직접 설정할 수 있으며, 이벤트 별 조명 패턴 설정 정보는 데이터베이스(370)에 유지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조명 패턴은 감지된 이벤트뿐만 아니라 해당 스마트 조명 장치(100)의 형상 및 타입에 기반하여 조명 패턴 결정부(350)가 적응적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조명 패턴 결정부(350)는 스마트 조명 장치에 의해 감지된 각종 센싱 정보-여기서, 센싱 정보는 온도/습도/조도 등에 관한 정보뿐만 아니라 움직임 감지 정보를 포함할 수 있음-를 더 이용하여 조명 패턴을 결정할 수도 있다.
컨텐츠 생성부(360)는 스마트 조명 장치(100)에 의해 감지된 이벤트 정보 또는 스마트 조명 앱을 통한 사용자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적응적으로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생성된 컨텐츠는 제어부(380)에 전달되며, 제어부(380)는 통신부(310)를 통해 해당 스마트 조명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컨텐츠는 동영상, 음원, 이미지, 뉴스, 일정, 예약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일 예로, 스마트 조명 장치(100)가 기상 시간대에 조명 스위치가 ON되었음을 지시하는 소정 이벤트 식별 정보-이하, 조명 제어 이벤트 정보라 명함-를 스마트 조명 서버(3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 생성부(360)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음원을 스트리밍 서비스로 스마트 조명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스마트 조명 장치(100)가 기상 시간대에 조명 스위치가 ON되었음을 지시하는 소정 조명 제어 이벤트 정보를 스마트 조명 서버(3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 생성부(360)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일정 정보를 일정 정보 데이터베이스(373)로부터 추출하여 해당 스마트 조명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스마트 조명 장치(100)가 퇴근 시간대에 조명 스위치가 ON되었음을 지시하는 소정 조명 제어 이벤트 정보를 스마트 조명 서버(3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 생성부(360)는 해당 스마트 조명 장치(100)에 대응하여 사용자 단말로부터 미리 수신된 예약 설정 메시지를 예약 설정 데이터베이스(375)로부터 추출하여 해당 스마트 조명 장치(100)에 전송할 수도 있다. 여기서, 예약 설정 메시지에는 컨텐츠 정보, 상기 컨텐츠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 수단을 식별하기 위한 출력 타입 정보, 상기 컨텐츠 출력 시 상기 스마트 조명 장치에 구비된 조명 유닛의 동작 패턴을 제어하기 위한 조명 패턴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도 4 내지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조명 장치에서의 스마트 조명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상세하게 도 4는 조명 OFF 상태인 스마트 조명 장치(100)에서의 스마트 조명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조명 OFF 상태인 스마트 조명 장치(100)는 스마트 조명 서버(300)로부터 알림 메시지가 수신되면, 수신된 알림 메시지를 내부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S401). 여기서, 알림 메시지에는 예약 문자 메시지, 날씨 정보, 일정 정보, 뉴스 정보 등의 컨텐츠가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동영상, 정지 영상, 음원 등의 컨텐츠도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알림 메시지에는 해당 컨텐츠를 위한 출력 수단을 식별하기 위한 소정 출력 타입 정보 및 스마트 조명 장치(100)에 구비된 조명 유닛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조명 패턴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사용자의 조명 스위치 조작, 스마트 조명 앱을 이용한 원격 제어, 음성 인식 모드에서 인식된 사용자 명령 등에 따라 조명 ON 이벤트가 감지되면, 스마트 조명 장치(100)는 메모리에 저장된 알림 메시지를 독출하여 구비된 출력 수단-예를 들면, 레이저빔-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S402 내지 S403).
연이어, 스마트 조명 장치(100)는 알림 메시지 출력 후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자동으로 알림 메시지 출력을 중단하고, 조명 유닛에 전원을 인가하여 조명을 ON 시키고, 조명 ON 상태로 천이할 수 있다(S404).
도 5를 참조하면, 조명 ON 상태에서, 스마트 조명 장치(100)는 알림 메시지 수신 이벤트를 감지하면, 조명 유닛의 광도를 기준치 이하로 낮추거나 조명 유닛으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여 조명을 OFF 시킬 수 있다(S501 내지 S502). 이때, 출력할 알림 메시지의 종류에 따라 스마트 조명 장치(100)는 적응적으로 조명 유닛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알림 메시지에 포함된 컨텐츠가 문자 메시지인 경우, 스마트 조명 장치(100)는 조명 유닛의 광도가 낮아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반면, 알림 메시지에 포함된 컨텐츠가 동영상인 경우, 스마트 조명 장치(100)는 조명 유닛으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여 조명을 OFF 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알림 메시지에 포함된 컨텐츠가 음원인 경우, 조명 유닛의 광도를 그대로 유지할 수도 있다.
스마트 조명 장치(100)는 수신된 알림 메시지를 레이저빔을 이용하여 출력하고, 알림 메시지 출력 후 소정 시간이 경과되면, 자동으로 알림 메시지 출력을 중단하고, 조명 유닛에 다시 전원을 공급하여 조명을 ON 시킬 수 있다(S503 내지 S504).
도 6을 참조하면, 조명 OFF 상태에서, 스마트 조명 장치(100)는 사용자 식별 정보가 포함된 알림 메시지가 스마트 조명 서버(300)로부터 수신되면, 내부 메모리에 저장하고,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촬상된 얼굴을 인식하여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S601 내지 S602). 이때, 스마트 조명 장치(100)는 식별자 사용자에 대응되는 알림 메시지가 메모리상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확인 결과, 식별된 사용자에 대응되는 알림 메시지가 존재하면, 스마트 조명 장치(100)는 알림 메시지를 메모리로부터 추출하여 레이저빔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S603 내지 S604).
스마트 조명 장치(100)는 알림 메시지 출력 후 소정 시간이 경과되면, 자동으로 알림 메시지 출력을 중단하고, 조명 유닛에 다시 전원을 공급하여 조명을 ON 시킬 수 있다(S605).
이상의 도 4 내지 6의 설명에서는 알림 메시지에 포함된 컨텐츠를 출력하는 수단이 레이저빔인 것을 한정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는 알림 메시지에 포함된 컨텐츠의 종류에 따라 적응적으로 해당 컨텐츠를 출력할 출력 수단이 결정될 수 있음을 주의해야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음성 인식 모드에서, 스마트 조명 장치(100)는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음성을 인식하여 명령어를 추출할 수 있다(S701).
스마트 조명 장치(100)는 추출된 명령어가 소정 조명 제어 명령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702).
확인 결과, 조명 제어 명령이면, 스마트 조명 장치(100)는 해당 조명 제어 명령이 조명 ON 명령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703).
확인 결과, 조명 ON 명령이면, 스마트 조명 장치(100)는 조명 유닛에 전원을 인가하여 조명을 ON 시킬 수 있다(S704).
상기한 703 단계의 확인 결과, 조명 제어 명령이 조명 OFF 명령이면, 스마트 조명 장치(100)는 조명 유닛으로의 전원을 차단하여 조명을 OFF 시킬 수 있다(S705).
상기한 702 단계의 확인 결과, 조명 제어 명령이 아닌 경우, 스마트 조명 장치(100)는 식별된 명령어가 포함된 소정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무선망을 통해 스마트 조명 서버(300)에 전송할 수 있다(S706). 일 예로, 조명 제어 명령이 아닌 명령어는 날씨, 일정, 음악, 뉴스, 메시지 등의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스마트 조명 장치(100)는 출력 타입 정보, 컨텐츠 정보가 포함된 서비스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면, 출력 타입 정보에 상응하는 출력 수단을 이용하여 수신된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S707 내지 S708).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조명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스마트 조명 시스템은 상술한 도 1 내지 도 7의 스마트 조명 장치(100) 및 스마트 조명 서버(300), 사용자 단말(810), Wi-Fi AP(820), 인터넷망(830), 이동통신망(84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810)은 스마트 조명 장치(100)와 근거리 무선 통신-예를 들면,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810)은 이동통신망(840) 및 인터넷망(830)을 통해 스마트 조명 서버(300)와 통신하거나 Wi-Fi AP(820) 및 인터넷망(830)을 통해 스마트 조명 서버(300)와 통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810)은 스마트 조명 서버(300)에 접속하여 소정 스마트 조명 앱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스마트 조명 앱을 통해 스마트 조명 서비스에 가입하고, 서비스 대상 스마트 조명 장치(100)를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스마트 조명 앱을 통해 예약 메시지를 스마트 조명 서버(300)에 등록할 수 있으며, 스마트 조명 서버(300)는 스마트 조명 장치(300)로부터 소정 이벤트가 발생되었음을 지시하는 정보-예를 들면, 조명 ON 되었음을 지시하는 정보일 수 있음-를 수신하면, 등록된 예약 메시지를 스마트 조명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스마트 조명 장치(100)는 구비된 출력 수단을 이용하여 수신된 예약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예로, 예약 메시지는 기념일 축하 메시지, 안부 메시지, 약속 알림 메시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사용자는 스마트 조명 앱을 통해 각종 이벤트에 대응되는 조명 패턴을 미리 설정할 수도 있다. 이때, 스마트 조명 장치(100)에 의해 소정 이벤트가 감지되면, 스마트 조명 서버(300)는 감지된 이벤트에 대응되는 소정 이벤트 식별 정보를 스마트 조명 장치(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스마트 조명 서버(300)는 수신된 이벤트 식별 정보, 미리 등록된 스마트 조명 장치(100)의 형상 및 타입 정보, 사용자 설정 정보-예를 들면, 기념일 설정 정보, 현재 시간대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조명 패턴을 결정하고, 결정된 조명 패턴에 관한 정보를 스마트 조명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스마트 조명 장치(100)는 수신된 조명 패턴에 따라 조명 유닛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스마트 조명 앱을 통해 각종 이벤트에 대응하여 스마트 조명 장치(100)를 통해 출력될 컨텐츠를 미리 설정할 수도 있다. 여기서, 컨텐츠는 음원, 동영상, 정지 영상, 날씨, 날짜, 일정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일 예로, 기상 시간대에 사용자가 조명 스위치를 ON으로 조작한 경우, 스마트 조명 장치(100)에 의해 미리 지정된 또는 스마트 조명 서버(300)에 의해 랜덤하게 선택된 기상 음악이 재생되도록 사용자는 스마트 조명 앱을 통해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취침 시간대에 사용자가 조명 스위치를 OFF로 조작한 경우, 스마트 조명 장치(100)에 의해 미리 지정된 또는 스마트 조명 서버(300)에 의해 랜덤하게 선택된 기상 음악이 재생되도록 사용자는 스마트 조명 앱을 통해 설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취침 시간대에 사용자가 조명 스위치를 OFF로 조작한 경우, 스마트 조명 장치(100)에 의해 취침을 위한 조명 패턴이 출력되도록 사용자는 스마트 조명 앱을 통해 설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퇴근 시간대에 사용자가 조명 스위치를 ON으로 조작한 경우, 스마트 조명 장치(100)에 의해 알림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사용자는 스마트 조명 앱을 통해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스마트 조명 앱을 통해 스마트 조명 장치(100)와 블루투스 연결을 설정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810)상에서 재생되는 음악이 스마트 조명 장치(100)에 구비된 스피커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스마트 조명 앱을 이용하여 스마트 조명 장치(100)와 댁내 TV 또는 스마트 조명 장치(100)와 사용자 단말을 연동시킬 수 있으며, 댁내 TV 또는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출력되는 정보가 스마트 조명 장치(100)에 미러링되어 스마트 조명 장치(100)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스마트 조명 앱을 통해 가족 구성원의 스마트폰을 등록할 수 있다. 일 예로, 스마트 조명 서버(300)는 가족 구성원의 스마트폰의 위치 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며, 수집된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가족 구성원 모두가 스마트 조명 장치(100)가 설치된 지역을 소정 거리 이상 벗어난 것이 확인되면, 스마트 조명 장치(100)에 소정 제어 신호를 송출하여 조명을 OFF 시킬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는 스마트 조명 앱을 통해 스마트 조명 장치(100)가 설치된 위치 정보를 스마트 조명 서버(300)에 미리 등록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조명 시스템에서의 스마트 조명 서비스 제공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810)에 탑재된 스마트 조명 앱을 실행하여, 스마트 조명 장치(100)를 등록하고, 스마트 조명 서비스를 설정할 수 있다(S900 내지 S902).
스마트 조명 장치(100)는 특정 이벤트가 감지되면, 스마트 조명 장치 식별 정보 및 감지된 이벤트에 대응되는 이벤트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소정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스마트 조명 서버(300)에 전송할 수 있다(S904).
스마트 조명 서버(300)는 이벤트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추출하고, 출력 타입 정보 및 추출된 컨텐츠 정보가 포함된 소정 서비스 응답 메시지를 스마트 조명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S905 내지 S906).
스마트 조명 장치(100)는 출력 타입 정보에 상응하여 구비된 출력 수단을 이용하여 수신된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S907).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조명 시스템에서의 스마트 조명 서비스 제공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810)은 스마트 조명 앱을 예약 메시지 및 해당 예약 메시지가 출력될 스마트 조명 장치를 입력 및(또는) 선택 받을 수 있다(S1000).
사용자 단말(810)은 스마트 조명 장치 식별 정보 및 예약 메시지가 포함된 스마트 조명 서비스 예약 요청 메시지를 스마트 조명 서버(300)에 전송할 수 있다(S1001). 이때, 스마트 조명 서버(300)는 스마트 조명 장치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예약 메시지를 내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유지할 수 있다.
스마트 조명 장치(100)는 조명 제어 이벤트-예를 들면, 조명 ON 이벤트 및(또는) 조명 OFF 이벤트를 포함함-가 감지되면, 스마트 조명 장치 식별 정보 및 감지된 조명 제어 이벤트 정보를 포함하는 소정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스마트 조명 서버(300)에 전송할 수 있다(S1002 내지 S1003).
스마트 조명 서버(300)는 스마트 조명 장치 식별 정보 및 감지된 조명 제어 이벤트 정보에 상응하는 예약 메시지를 추출하고, 추출된 예약 메시지 및 해당 예약 메시지의 출력 수단을 식별하기 위한 출력 타입 정보가 포함된 소정 서비스 응답 메시지를 스마트 조명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S1004 내지 S1005).
스마트 조명 장치(100)는 출력 타입 정보에 상응하는 출력 수단을 이용하여 수신된 예약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S1006).
도 11은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조명 시스템에서의 스마트 조명 서비스 제공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810)은 스마트 조명 앱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예약 이벤트 설정이 완료되면, 예약 이벤트 설정 정보가 포함된 소정 예약 설정 요청 메시지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스마트 조명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S1100 내지 S1101).
스마트 조명 장치(100)는 수신된 예약 이벤트 설정 정보를 등록하고, 이벤트 발생을 대기할 수 있다(S1102 내지 S1103).
스마트 조명 장치(100)는 특정 이벤트 발생이 감지되면, 감지된 이벤트에 대응하여 등록된 예약 이벤트 설정이 존재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S1104).
확인 결과, 등록된 예약 이벤트 설정이 존재하면, 스마트 조명 장치(100)는 해당 예약 이벤트 설정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S1105).
이 후, 스마트 조명 장치(100)는 등록된 예약 이벤트 서비스가 정상적으로 완료되었음을 지시하는 소정 예약 이벤트 서비스 완료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810)에 전송할 수 있다(S1106).
연이어, 사용자 단말(810)은 설정된 예약 이벤트가 정상적으로 서비스되었음을 지시하는 소정 알림 메시지를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S1107).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스마트 조명 장치 110: 무선 통신부
120: 센싱부 130: 출력부
160: 조명 유닛 컨트롤러 170: 조명 스위치 인터페이스부
300: 스마트 조명 서버 330: 장치 등록부
350: 조명 패턴 결정부 360: 컨텐츠 생성부
370: 데이터베이스

Claims (11)

  1. 통신망을 통해 서버 및 사용자 단말과 연동되는 스마트 조명 장치에서의 스마트 조명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버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컨텐츠 정보, 상기 컨텐츠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 수단을 식별하기 위한 출력 타입 정보, 상기 컨텐츠 출력 시 상기 스마트 조명 장치에 구비된 조명 유닛의 동작 패턴을 제어하기 위한 조명 패턴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출력 타입 정보에 대응되는 출력 수단으로 컨텐츠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조명 패턴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조명 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 출력 후 소정 시간이 경과되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소정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컨텐츠 출력 및 상기 조명 유닛의 동작 제어를 중지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스마트 조명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조명이 ON된 상태에서, 상기 알림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알림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컨텐츠의 종류에 따라 상기 조명 유닛의 광도, 광색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거나 상기 조명 유닛으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여 조명을 OFF 시킨 후 상기 컨텐츠를 상기 출력 타입 정보에 대응되는 출력 수단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조명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수단은 레이저빔, 피코 프로젝터, 투명 디스플레이,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스마트 조명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조명 OFF 상태에서 구비된 센서, 상기 서버, 상기 사용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상기 출력 수단을 이용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수집된 정보는 온도 정보, 습도 정보, 날씨 정보, 날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스마트 조명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소정 조명 제어 이벤트가 감지되면, 상기 스마트 조명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소정 스마트 조명 장치 식별 정보 및 상기 감지된 조명 제어 이벤트를 식별하기 위한 소정 이벤트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 정보, 상기 출력 타입 정보 및 상기 조명 패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서비스 응답 메시지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되, 상기 이벤트 식별 정보, 상기 스마트 조명 장치 식별 정보, 상기 조명 제어 이벤트가 감지된 시간대에 기반하여 상기 서버에 의해 전송 대상 컨텐츠 및 조명 패턴이 결정되는, 스마트 조명 서비스 제공 방법.
  6. 통신망을 통해 서버 및 사용자 단말과 연동되는 스마트 조명 장치에서의 스마트 조명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버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컨텐츠 정보, 상기 컨텐츠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 수단을 식별하기 위한 출력 타입 정보, 상기 컨텐츠 출력 시 상기 스마트 조명 장치에 구비된 조명 유닛의 동작 패턴을 제어하기 위한 조명 패턴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 예약 설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예약 설정 요청 메시지를 내부 구비된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소정 조명 제어 이벤트가 감지되면, 상기 메모리를 참조하여 상기 예약 설정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출력 타입 정보에 대응되는 출력 수단으로 해당 컨텐츠를 출력하고, 상기 예약 설정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조명 패턴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조명 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스마트 조명 서비스 제공 방법.
  7. 통신망을 통해 서버 및 사용자 단말과 연동되는 스마트 조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서버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컨텐츠 정보, 상기 컨텐츠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 수단을 식별하기 위한 출력 타입 정보, 상기 컨텐츠 출력 시 상기 스마트 조명 장치에 구비된 조명 유닛의 동작 패턴을 제어하기 위한 조명 패턴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는 무선 통신부;
    상기 출력 타입 정보에 대응되는 출력 수단으로 컨텐츠를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조명 패턴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조명 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조명 유닛 컨트롤러; 및
    상기 컨텐츠 출력 후 소정 시간이 경과되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소정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컨텐츠 출력 및 상기 조명 유닛의 동작이 중지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스마트 조명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조명이 ON된 상태에서, 상기 알림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알림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컨텐츠의 종류에 따라 상기 조명 유닛의 광도, 광색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거나 상기 조명 유닛으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기 위한 소정 제어 신호를 상기 조명 유닛 컨트롤러를 전송하고, 상기 컨텐츠가 상기 출력 타입 정보에 대응되는 출력 수단을 통해 출력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는, 스마트 조명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수단은 레이저빔, 피코 프로젝터, 투명 디스플레이,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스마트 조명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외부 조명 스위치로부터 수신된 소정 입력 신호에 따라 소정 조명 제어 이벤트를 감지하면, 상기 스마트 조명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소정 스마트 조명 장치 식별 정보 및 상기 감지된 조명 제어 이벤트를 식별하기 위한 소정 이벤트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컨텐츠 정보, 상기 출력 타입 정보 및 상기 조명 패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서비스 응답 메시지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되, 상기 이벤트 식별 정보, 상기 스마트 조명 장치 식별 정보 및 상기 조명 제어 이벤트가 감지된 시간대에 기반하여 상기 서버가 전송 대상 컨텐츠 및 조명 패턴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조명 장치.
  11.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 및 스마트 조명 장치와 연동되는 스마트 조명 서버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 탑재된 스마트 조명 앱을 통해 상기 스마트 조명 장치를 등록 받는 장치 등록부;
    등록된 상기 스마트 조명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조명 제어 이벤트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스마트 조명 장치에 구비된 조명 유닛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조명 패턴을 결정하는 조명 패턴 결정부;
    상기 스마트 조명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조명 제어 이벤트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스마트 조명 장치에 의해 출력될 컨텐츠를 생성하는 컨텐츠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컨텐츠 정보, 상기 생성된 컨텐츠의 출력 수단을 식별하기 위한 출력 타입 정보, 상기 결정된 조명 패턴을 식별하기 위한 조명 패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소정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스마트 조명 장치에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스마트 조명 서버.
KR1020150121433A 2015-08-28 2015-08-28 스마트 조명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201700252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1433A KR20170025244A (ko) 2015-08-28 2015-08-28 스마트 조명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1433A KR20170025244A (ko) 2015-08-28 2015-08-28 스마트 조명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5244A true KR20170025244A (ko) 2017-03-08

Family

ID=58403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1433A KR20170025244A (ko) 2015-08-28 2015-08-28 스마트 조명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2524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09824A (zh) * 2017-11-06 2018-03-16 广州施嘉纳照明有限公司 一种具有远程通信功能的智能照明装置、系统及控制方法
WO2018203606A1 (ko) * 2017-05-02 2018-11-08 김성용 사물중계기능을 갖는 조명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iot 시스템
KR20190013070A (ko) * 2017-07-31 2019-02-11 코닉오토메이션 주식회사 조명램프형 멀티미디어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03606A1 (ko) * 2017-05-02 2018-11-08 김성용 사물중계기능을 갖는 조명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iot 시스템
KR20190013070A (ko) * 2017-07-31 2019-02-11 코닉오토메이션 주식회사 조명램프형 멀티미디어 장치
CN107809824A (zh) * 2017-11-06 2018-03-16 广州施嘉纳照明有限公司 一种具有远程通信功能的智能照明装置、系统及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2379B1 (ko) 지능형 전기 장치의 작동 방법 및 작동 디바이스
EP3035738B1 (en) Method for connecting appliance to network and corresponding device
US1046282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ing wireless access point
JP6445173B2 (ja) デバイスの制御方法及び装置
US9990480B2 (en) Method,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for setting smart device management account
JP6381896B2 (ja) Bleデバイス制御方法及びそのための携帯端末
EP308940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rouping smart device in smart home system
KR102158208B1 (ko) 전자기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EP313679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wakening electronic device
KR20170025245A (ko) 표정 인식에 기반한 스마트 조명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CN104602204B (zh) 访客提醒方法及装置
US9928725B2 (en) Method and device for reminding user
CN106781242B (zh) 危险区域的预警方法和装置
CN105471682A (zh) 家电状态信息通知方法和装置
JP2018166341A (ja) Bleデバイス制御方法及びそのための携帯端末
EP301596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mpting device connection
US8760493B2 (en) Video display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170025244A (ko) 스마트 조명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20140074153A (ko)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휴대 단말
EP3236717A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controlling smart light
JP2008113396A (ja) ドアホンシステム及び玄関子機
KR101516998B1 (ko) 모바일 기기간 위치 정보 공유 방법 및 장치
KR101720762B1 (ko) 장애인용 홈네트워크 시스템
US11818820B2 (en) Adapting a lighting control interface based on an analysis of conversational input
KR20150089525A (ko) 통신 메시지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