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4694A - 차량탑재형 비노출 연료주유량 검사장비 및 검사방법 - Google Patents

차량탑재형 비노출 연료주유량 검사장비 및 검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4694A
KR20170024694A KR1020150120009A KR20150120009A KR20170024694A KR 20170024694 A KR20170024694 A KR 20170024694A KR 1020150120009 A KR1020150120009 A KR 1020150120009A KR 20150120009 A KR20150120009 A KR 20150120009A KR 20170024694 A KR20170024694 A KR 201700246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load cell
transfer line
measurement tank
indic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0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84700B1 (ko
Inventor
류승현
박준덕
송영철
연주민
이승우
Original Assignee
한국석유관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석유관리원 filed Critical 한국석유관리원
Priority to KR10201501200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4700B1/ko
Priority to US15/245,685 priority patent/US10267632B2/en
Priority to PCT/KR2016/009483 priority patent/WO2017034361A1/en
Publication of KR201700246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46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47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47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9/0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6Fuel tanks characterised by fuel reserve syste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 G07F13/02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by volu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7/00Dashboar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3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 G01F23/56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using elements rigidly fixed to, and rectilinearly moving with, the floats as transmission elements
    • G01F23/6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using elements rigidly fixed to, and rectilinearly moving with, the floats as transmission elements using electrically actuated indicating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00Weighing apparatus involving the use of a counterweight or other counterbalancing ma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2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ement of weight, e.g. to determine the level of stored liquefied ga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uel Cell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athology (AREA)
  • Immu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탑재형 비노출 연료주유량 검사장비 및 검사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트렁크 내부에 노출되지 않게 구비하여 주유시 연료가 정량 주입되는지 검사하는 장비이다. 상기 장비는 노출되지 않게 구비되어 주유기의 인위적인 조작이 불가능하게 하고, 상기 트렁크에 탑재하여 주유와 동시에 정량여부 측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비이며, 상기 검사장비를 이용한 검사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탑재형 비노출 연료주유량 검사장비 및 검사방법{Vehicle Loaded with Unexposed Inspection Equipment and Inspection Method of Injected Fuel Amount}
본 발명은 차량탑재형 비노출 연료주유량 검사장비 및 검사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트렁크에 노출되지 않고 설치되어 검사가 진행되고 있음을 알리지 않고 연료를 채취하여, 정량주유가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용이하게 검사하는 장치이다.
연료(석유)는 차량 구동 및 난방 등을 위해 사회 전반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필수 에너지원으로서, 주유소를 통해 소비자의 차량에 공급된다.
그런데 일부 주유소에서, 주유기 유량계의 기판을 조작한다거나 메인보드에 불법프로그램 등을 설치하여 주유기를 조작하여 정량의 연료를 공급하지 않는 일이 다수 발생하고 있다.
종래에는 주유소에서 판매되는 연료가 정량 공급되었는지 확인하는 방법으로 기준탱크 등을 이용하였다. 상기 기준탱크를 이용한 용량 검사시에는, 사전에 용량 검사를 진행한다는 점을 밝히고 직접 기준탱크에 주유를 하여 검사를 진행하였다. 사전에 검사 진행 사실을 알게 된 주유소에서는 무선 조작 등으로, 검사시에만 정량을 공급하게 조작함으로써 본질적으로 연료의 정확한 용량 공급에 대한 확인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10-0932012 한국석유관리원 (차량탑재형 연료 검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료 주입량과 적합성 검사 방법)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검사 장치가 차량의 트렁크에 비노출되어 탑재되어, 검사사실을 인지하지 못한 상태에서 주유와 동시에 검사가 진행된다. 주유소가 불법으로 인위적인 주유기 조작이 불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연료의 정량주입 여부를 신속하게 판단 할 수 있는 차량탑재형 비노출 연료주유량 검사장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주유소 현장에서 주유와 동시에 연료가 정량 공급되었는지 신속하게 판단할 수 있으며, 소비자의 피해를 현저히 줄일 수 있는 차량탑재형 비노출 연료주유량 검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차량탑재형 비노출 연료주유량 검사장비 및 검사방법에 관한 것으로, 연료가 주유되는 주유구(110)와 연료가 저장되는 연료탱크(120)를 포함하는 차량의 트렁크(200)에 탑재되는 연료주유량 검사장비(100)에 있어서, 상기 트렁크(200) 내부 양단에 고정되어 구비된 베이스프레임(140), 상기 베이스프레임(140)에 고정되어 구비된 로드셀(150), 상기 로드셀(150)의 하단에 일체형으로 매달려 구비되며, 상기 주유구(110)와 제1연료이송라인(180)을 통하여 연결된 측정탱크(130), 상기 로드셀(150)의 변형량을 측정하기 위해 상기 로드셀(150)에 부착되어 구비된 스트레인게이지(151) 및 상기 로드셀(150)에 의해 측정된 아날로그 수치를 디지털 수치로 변환하기 위해, 상기 로드셀(150)과 연결되어 구비된 인디게이터(17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인디게이터(170)는 상기 로드셀(150)의 수평여부 확인을 위해, 상기 인디게이터(170)의 내부에 틸트센서를 구비하며, 상기 측정탱크(130)는 상기 측정탱크(130)의 중심으로부터 아래방향으로 1/3지점에 무게중심이 위치하고 있다.
상기 측정탱크(130)는 측정이 끝난 연료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부(131)를 구비하며, 상기 배출부(131)는 2방향밸브(132) 및 제1연료펌프(160)를 구비한 제2연료이송라인(190)을 통하여 연료를 차량의 연료탱크(120)로 배출하며, 상기 측정탱크(130)는 제2연료펌프(165)를 구비한 제3연료이송라인(210)을 통하여 샘플링추출부(215)에 연료를 추출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로드셀(150)은 외부에 의한 간섭 및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보호막으로 코팅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제1연료이송라인(180)은 EPDM 재질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연료이송라인(190) 및 상기 제3연료이송라인(210)은 우레탄 재질로 형성되어 있다.
차량탑재형 비노출 연료주유량 검사장비의 연료 주유량을 검사하는 방법(S1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차량탑재형 비노출 연료주유량 검사장비를 이용하며, 제 1항에 의한 차량탑재형 비노출 연료주유량 검사장비의 연료 주유량을 검사하는 방법(S10)에 있어서, 상기 주유구(110)에 연결된 제1연료이송라인(180)을 통해 상기 측정탱크(130)로 연료가 주입되는 주입단계(S11), 상기 측정탱크(130)에 주입된 연료의 양만큼 상기 로드셀(150)이 변형되는 변형단계(S12), 상기 로드셀(150)의 변형률을 상기 스트레인게이지(151)가 측정하는 측정단계(S13), 상기 스트레인게이지(151)가 측정한 수치를 상기 인디게이터(170)가 디지털 수치로 변환하는 변환단계(S14), 상기 측정탱크(130) 내부의 연료가 제3연료이송라인(210)을 따라 샘플링추출부(215)에 추출되는 추출단계(S15), 상기 샘플링추출부(215) 내의 연료의 밀도를 측정하는 밀도측정단계(S16), 상기 밀도측정단계(S16)에서 측정된 밀도값과 상기 변환단계(S14)에서의 결과값이 인디게이터(170)의 운영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부피로 환산하는 부피환산단계(S17), 부피환산단계(S17)를 거친 결과값과 주유량의 오차, 오차율을 인디게이터(170)의 운영프로그램에 표시되게 되는 표시단계(S18) 및 상기 측정탱크(130) 내부의 측정이 끝난 연료가 제2연료이송라인(190)을 따라 이동하여 연료탱크(120)로 이동하는 이동단계(S19)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료 검사 장비는 검사 장비가 차량의 트렁크 내부에 탑재되어 노출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주유와 동시에 검사가 진행됨으로써 불법으로 주유기의 인위적인 조작이 불가능하도록 한다. 이로써 연료의 정량을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유소 현장에서 주유와 동시에 정량 공급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어, 검사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신속하게 불법 상황을 단속할 수 있으며, 소비자의 피해를 현저히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로드셀을 이용함으로써 용이하고 정확하게 연료의 정량을 측정하게 되어, 검사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탑재형 비노출 연료주유량 검사장비를 나타낸 단면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탑재형 비노출 연료주유량 검사장비를 내려다 본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탑재형 비노출 연료주유량 검사장비내의 일부분을 나타낸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탑재형 비노출 연료주유량 검사장비를 나타낸 개략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탑재형 비노출 연료주유량 검사방법을 나타낸 단계도.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배양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차량탑재형 비노출정량 연료주유량 검사장비(100) 및 검사방법(S10)에 관한 것으로, 주유소가 미리 측정차량이란 것을 인지하지 못하도록 일반차량의 트렁크(200)에 탑재하여, 일반 소비자처럼 주유 후 정량미달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장비이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특징을 가지는 본 발명의 차량탑재형 비노출 연료주유량 검사장비(100) 및 검사방법(S10)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탑재형 비노출 연료주유량 검사장비(100)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탑재형 비노출 연료주유량 검사장비(100)를 내려다 본 단면도이며,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탑재형 비노출 연료주유량 검사장비(100)내의 일부분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탑재형 비노출 연료주유량 검사장비(100)를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탑재형 비노출 연료주유량 검사방법(S10)을 나타낸 단계도이다.
본 발명의 차량탑재형 비노출 연료주유량 검사장비(100)는 차량내에 연료(기름)를 주입하는 주유구(110)와 상기 주유된 연료(기름)가 저장되는 연료탱크(120) 사이에 구비되어 연료의 정량을 측정하는 장비로서, 상기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베이스프레임(140), 로드셀(150), 측정탱크(130) 및 인디게이터(170)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프레임(140)은 상기 차량의 트렁크(200)의 내부 양단에 고정되어 구비됨으로서, 로드셀(150)이 안정적으로 장착되어 하중을 견디도록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프레임(140)은 단단하고 안정적인 쇠 등과 같은 재질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로드셀(150)은 상기 베이스프레임(140)에 고정 구비되며, 상기 로드셀(150)은 하단에 일체형으로 매달려 구비된 측정탱크(130)를 구비한다. 상기 측정탱크(130)와 로드셀(150)을 일체형으로 구비함으로서, 차량의 상하좌우 진동, 수평 및 주변 구조물의 간섭영향이 최소화 되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로드셀(150)을 이용하여 매달린 형태의 무게를 측정하는 방법은, 차량에 탑재하여 고정할 경우 진동에 의한 영향이 크다. 즉, 일반적인 로드셀(150)을 선택한 매달림 형태는 로드셀(150)과 측정탱크(130)가 분리되어 있는 것이나 본 발명은 로드셀(150)과 측정탱크(130)를 일체형으로 구비하여, 완전한 하나의 저울로 형성함으로서 진동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한다.
상기 로드셀(150)은 하중(중량)측정장비로서, 하중으로 인해 압축되거나 늘어나는 등 변형이 된다. 상기 로드셀(150)의 하단에 구비된 측정탱크(130)는 상기 주유구(110)와 제1연료이송라인(180)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상기 주유구(110)에서 제1연료이송라인(180)을 통하여 주입된 연료는 상기 측정탱크(130)에 저장되고, 이때 연료를 담고 있는 측정탱크(130)는 무게가 무거워짐에 따라 상기 측정탱크의 상부에 연결되어 구비된 상기 로드셀(150)이 변형을 일으키게 된다.
상기 로드셀(150)의 진동과 수평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측정탱크(130)의 무게중심은 상기 측정탱크(130)의 중심으로부터 아랫방향으로 1/3 지점에 위치시켜 연료 주입에 따른 기울기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한다. 상기 측정탱크(130) 내의 연료는 지구중심 방향을 향하고 있어, 차량과 지면의 수평차이가 발생하여도 연료의 오차가 적은 장점이 있다.
상기 측정탱크(130)는 일측에 배기벤트(25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배기벤트(250)는 유증기로 인해 높아진 상기 측정탱크(130) 내부의 압력을 낮춰주기 위해 구비되어 잇다. 즉, 배기벤트(250)를 통하여 상기 측정탱크(130) 내부의 유증기를 밖으로 빼줌으로서 상기 측정탱크(130) 내부의 압력을 낮춰준다.
상기 측정탱크(130)는 안정적인 수평유지를 위해 상기 베이스프레임(140) 외에 고정 부재 및 보강재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로드셀(150)에는 스트레인게이지(151)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스트레인게이지(151)는, 상기 측정탱크(130)내의 연료의 무게로 인해 변형된 상기 로드셀(150)의 변형량을 측정하기 위해 부착되어 있다. 상기 스트레인게이지(151)는 물체가 인장 또는 압축을 받을 때 원래의 길이에 대하여 늘어나거나 줄어든 길이를 비율로 표시한 값을 일컫는 말로, 상기 로드셀(150)의 변형 상태를 측정한다.
본 발명의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드셀(150)의 내부게 구비된 스트레인게이지(151)는, 상기 로드셀(150)의 제작단계에서 상기 로드셀(150)의 내부에 매몰시켜 구비하는, 매몰형 스트레인게이지(151)를 사용한다.
상기 로드셀(150)에서 측정된 수치는 아날로그 수치로서, 상기 인디게이터(170)에 표시되기 위하여 디지털 수치로 변환을 한다. 상기 로드셀(150)의 아날로그 수치를 디지털 수치로 변환하기 위해 인디게이터(170)를 구비하며, 상기 로드셀(150)은 인디게이터(170)와 연결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인디게이터(170)에는 상기 로드셀(150)의 수평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틸트센서가 내장되어 구비되어 있다. 상기 틸트센서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베이스프레임(140)에 장착된 상기 로드셀(150)의 수평여부를 확인 가능하고, 무게측정 중 기울어짐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오차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인디게이터(170)에서 변환된 디지털수치는 상기 인디게이터(170)의 화면의 표시부에 표시되게 된다. 상기 인디게이터(170)는 검사자의 편의성을 위하여 검사자의 컴퓨터 운영프로그램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표시부는 운전석 및 보조석 등에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인디게이터(170)의 표시부에 나타내는 값을 도출하는 운영프로그램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인디게이터(170)의 운영프로그램은 검사일자, 검사원, 주유소 및 주유기의 기본정보를 입력받고, 현재무게를 실시관으로 확인한다. 또한, 1차측정, 2차측정을 하고 난 뒤의 측정무게의 값을 저장하고, 오차와 오차율을 계산하며 다이어그램을 표시한다. 또한, 유류의 온도 및 밀도값을 입력하게 되면, 주유량 및 측정값을 계산하게 된다. 또한, 상기 인디게이터(170)는 CONNECT(인디게이터와 통신접속, 장비연결), DISCONNECT(장비연결 끊기), CALCULATE(무게측정 부피변환 계산하기), PRINT(측정 데이터 DB저장 및 출력), EXPORT(결과 데이터 엑셀로 출력), DELETE(데이터 표시부에서 선택된 데이터 삭제), SETTING(장비 및 프린트 포트 등 접속 정보, 오차율 등 설정)의 기능을 가지는 버튼을 구비하고, 상기 인디게이터(170)의 운영프로그램을 통해 도출된 측정 및 계산 값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가진다. 또한 이전에 측정한 데이터를 확인이 가능하며 출력 또한 가능하다.
도2에 의하면, 상기 로드셀(150)은 외부에 의한 간섭 및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보호막으로 코팅되어 있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3에 의하면, 상기 측정탱크(130)는 하단에 측정이 끝난 연료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부(131)를 구비한다. 상기 배출부(131)는 연료의 전량을 내보내기 위해 상기 측정탱크(130)의 하단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도4에 의하면, 상기 배출부(131)는 제2연료이송라인(190)과 연결되어 구비되며, 상기 제2연료이송라인(190)을 통하여 연료를 흘러 보낸다. 이때 제2연료이송라인(190)은 2방향밸브(132)와 제1연료펌프(160)를 구비하며, 상기 제2연료이송라인(190)은 차량내의 연료탱크(120)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측정탱크(130)에 연결구비된 제3연료이송라인(210)은 소량의 연료를 채취하기 위한 샘플링추출부(215)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샘플링추출부(215)는 상기 샘플링추출부(215)에 추출된 연료의 밀도값을 측정한 다음 부피환산값을 최종적으로 산출하여, 상기 샘플링추출부(215)로부터 도출된 값이 상기 인디게이터(170)의 운영프로그램에 표시되게 된다.
상기 제1연료이송라인(180)은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의 재질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1연료이송라인(180)은 관경이 크므로 간섭영향이 커 오차가 많이 발생할 수 있어, 오차를 줄이기 위해 EPDM을 사용한다. 상기 EPDM은 전선, 전기부품, 호스, 커버재 등에 널리 사용되는 재질로서, 특히 LPG차량의 연료탱크의 연결라인 등을 덮는 호스로 사용되고 있는 재질이다. EPDM은 화학물질에 대한 내화학성이 우수하며 온도. 습기에 대한 내구성이 강하여 연료이송라인에 의한 연료무게측정 오차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연료이송라인(190) 및 제3연료이송라인(210)은 우레탄 재질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도5에 도시한 차량탑재형 비노출 연료주유량 검사방법(S10)은 주입단계(S11), 변형단계(S12), 측정단계(S13), 변환단계(S14), 추출단계(S15), 밀도측정단계(S16), 부피환산단계(S17), 표시단계(S18) 및 이동단계(S19)를 포함한다.
상기 주입단계(S11)는, 측정하고자 하는 주유소의 연료가 노출되지 않은 상태로 주유구(110)를 통해 주입되는 단계이다. 이때 주유구(110)를 통해 주입된 연료는 제1연료이송라인(180)을 따라 흘러 측정탱크(130)에 저장되게 된다.
상기 변형단계(S12)는, 측정탱크(130)에 저장되는 연료의 양에 따라 로드셀(150)이 변형되는 단계이다. 이때, 측정탱크(130)는 상기 로드셀(150)의 하부에 일체형으로 구비되어, 로드셀(150)을 중력방향으로 끌어당기게 된다.
상기 측정단계(S13)는, 상기 측정탱크(130)로 인해 변형된 로드셀(150)의 변형률을 스트레인게이지(151)가 측정하는 단계이다.
상기 변환단계(S14)는, 상기 스트레인게이지(151)로부터 측정된 수치를 상기 인디게이터(170)로 전송하여, 상기 인디게이터(170)에서 디지털 수치로 변환하는 단계이다. 상기 인디게이터(170)의 표시부에 표시하기 위해 변환하는 것으로서, 후술하는 부피환산단계(S17)를 거친 값과 함께 최종적으로 인디게이터(170)의 운영프로그램에 표시되게 된다.
상기 추출단계(S15)는 샘플 연료를 추출하는 단계로서, 제2연료펌프(165)가 작동함과 동시에, 제3연료이송라인(210)을 따라 연료가 이동한다. 제3연료이송라인(210)을 따라 이동한 연료는 샘플링추출부(215)에 샘플을 추출하게 된다. 샘플링추출부(215)내부에 구비된 연료의 밀도를 측정하는 밀도측정단계(S16)를 거친다. 상기 샘플링추출부(215) 내부에서 측정된 밀도값과 상기 변환단계(S14)에서의 결과값을 이용하여 부피로 환산하는 부피환산단계(S17)를 거치고 나면, 부피환산단계(S17)를 거친 결과값과 주유량과의 오차, 오차율을 인디게이터(170)의 운영프로그램에 표시되게 되는 표시단계(S18)를 거치게 된다.
상기 측정탱크(130) 내부의 연료가 배출부(131)를 통하여 제2연료이송라인(190)으로 이동하고, 제2연료이송라인(190)을 따라 연료탱크(120)로 이동하는 이동단계(S19)를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탑재형 비노출 연료 검사장비(100) 및 검사방법(S10)은 검사장비(100)가 차량의 트렁크(200)에 탑재되어 주유와 함께 검사가 진행됨으로써 불법으로 주유기의 인위적인 조작이 불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연료의 정량을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측정탱크(130)와 일체형으로 형성된 로드셀(150)을 이용함으로서 외부 간섭에 의한 측정시 오차를 줄이고, 제1연료이송라인을 EPDM을 사용함으로서 연료 자체의 오차를 줄이게 된다. 또한, 검사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신속하게 불법상황을 단속할 수 있으며 소비자의 피해를 현저히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 연료주유량 검사장비 200 : 트렁크
110 : 주유구
120 : 연료탱크
130 : 측정탱크 131 : 배출구
132 : 2방향밸브 135 : 무게중심
140 : 베이스프레임
150 : 로드셀 151 : 스트레인게이지
160 : 제1연료펌프 165 : 제2연료펌프
170 : 인디게이터
180 : 제1연료이송라인
190 : 제2연료이송라인
210 : 제3연료이송라인
215 : 샘플링추출부
250 : 배기벤트
S10 ~ S19 : 차량탑재형 비노출 연료주유량 검사장치를 이용한 연료주유량 검사 방법 및 각 단계

Claims (9)

  1. 연료가 주유되는 주유구(110)와 연료가 저장되는 연료탱크(120)를 포함하는 차량의 트렁크(200)에 탑재되는 연료주유량 검사장비(100)에 있어서,
    상기 트렁크(200) 내부 양단에 고정되어 구비된 베이스프레임(140);
    상기 베이스프레임(140)에 고정되어 구비된 로드셀(150);
    상기 로드셀(150)의 하단에 일체형으로 매달려 구비되며, 상기 주유구(110)와 제1연료이송라인(180);을 통하여 연결된 측정탱크(130);
    상기 로드셀(150)의 변형량을 측정하기 위해 상기 로드셀(150)에 부착되어 구비된 스트레인게이지(151); 및
    상기 로드셀(150)에 의해 측정된 아날로그 수치를 디지털 수치로 변환하기 위해, 상기 로드셀(150)과 연결되어 구비된 인디게이터(170);
    를 포함하는 차량탑재형 비노출 연료주유량 검사장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게이터(170)는
    상기 로드셀(150)의 수평여부 확인을 위해, 상기 인디게이터(170)의 내부에 틸트센서를 구비하는 차량탑재형 비노출 연료주유량 검사장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탱크(130)는
    상기 측정탱크(130)의 중심으로부터 아래방향으로 1/3지점에 무게중심이 위치한 차량탑재형 비노출 연료주유량 검사장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탱크(130)는
    측정이 끝난 연료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부(131);를 구비하며, 상기 배출부(131)는 2방향밸브(132); 및 제1연료펌프(160);를 구비한 제2연료이송라인(190);을 통하여 연료를 차량의 연료탱크(120)로 배출하는 차량탑재형 비노출 연료주유량 검사장비.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탱크(130)는
    제2연료펌프(165);를 구비한 제3연료이송라인(210);을 통하여 샘플링추출부(191);에 연료를 추출하는 차량탑재형 비노출 연료주유량 검사장비.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셀(150)은
    외부에 의한 간섭 및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보호막으로 코팅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탑재형 비노출 연료주유량 검사장비.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료이송라인(180)은
    EPDM 재질로 형성된 차량탑재형 비노출 연료주유량 검사장비.
  8. 제 4항 또는 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료이송라인(190) 및 상기 제3연료이송라인(210)은
    우레탄 재질로 형성된 차량탑재형 비노출 연료주유량 검사장비.
  9. 제 1항에 의한 차량탑재형 비노출 연료주유량 검사장비의 연료 주유량을 검사하는 방법(S10)에 있어서,
    상기 주유구(110)에 연결된 제1연료이송라인(180)을 통해 상기 측정탱크(130)로 연료가 주입되는 주입단계(S11);
    상기 측정탱크(130)에 주입된 연료의 양만큼 상기 로드셀(150)이 변형되는 변형단계(S12);
    상기 로드셀(150)의 변형률을 상기 스트레인게이지(151)가 측정하는 측정단계(S13);
    상기 스트레인게이지(151)가 측정한 수치를 상기 인디게이터(170)가 디지털 수치로 변환하는 변환단계(S14);
    상기 측정탱크(130) 내부의 연료가 제3연료이송라인(210)을 따라 샘플링추출부(215)에 추출되는 추출단계(S15);
    상기 샘플링추출부(215) 내의 연료의 밀도를 측정하는 밀도측정단계(S16);
    상기 밀도측정단계(S16)에서 측정된 밀도값과 상기 변환단계(S14)에서의 결과값이 인디게이터(170)의 운영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부피로 환산하는 부피환산단계(S17);
    부피환산단계(S17)를 거친 결과값과 주유량과의 오차, 오차율이 인디게이터(170)의 운영프로그램에 표시되게 되는 표시단계(S18) 및
    상기 측정탱크(130) 내부의 측정이 끝난 연료가 제2연료이송라인(190)을 따라 이동하여 연료탱크(120)로 이동하는 이동단계(S19);
    를 포함하는 차량탑재형 비노출 연료주유량 검사방법.
KR1020150120009A 2015-08-26 2015-08-26 차량탑재형 비노출 연료주유량 검사장비 및 검사방법 KR1017847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0009A KR101784700B1 (ko) 2015-08-26 2015-08-26 차량탑재형 비노출 연료주유량 검사장비 및 검사방법
US15/245,685 US10267632B2 (en) 2015-08-26 2016-08-24 Non-exposure supplied fuel quantity testing device and method of vehicle-mounted type
PCT/KR2016/009483 WO2017034361A1 (en) 2015-08-26 2016-08-26 Non-exposure supplied fuel quantity testing device and method of vehicle-mounted typ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0009A KR101784700B1 (ko) 2015-08-26 2015-08-26 차량탑재형 비노출 연료주유량 검사장비 및 검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4694A true KR20170024694A (ko) 2017-03-08
KR101784700B1 KR101784700B1 (ko) 2017-10-12

Family

ID=58098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0009A KR101784700B1 (ko) 2015-08-26 2015-08-26 차량탑재형 비노출 연료주유량 검사장비 및 검사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267632B2 (ko)
KR (1) KR101784700B1 (ko)
WO (1) WO201703436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6626B1 (ko) * 2018-11-26 2020-04-02 주식회사 카라 자동차 연료량 측정장치
KR102190371B1 (ko) * 2020-06-10 2020-12-11 한국석유관리원 차량탑재형 lpg 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lpg 주입량 적합성 검사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2012B1 (ko) 2009-06-15 2009-12-15 한국석유관리원 차량탑재형 연료 검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료 주입량과 적합성 검사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92572B2 (en) * 1994-05-09 2005-05-17 Automotive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the quantity of a liquid in a vehicle container
KR100219859B1 (ko) * 1996-11-20 1999-09-01 정몽규 불량 연료 감지 시스템
US5927142A (en) * 1997-12-05 1999-07-27 Henny Penn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drain pan fluid level
KR20030072539A (ko) 2002-03-04 2003-09-15 설정권 차량의 연비 측정시스템
KR20090008536U (ko) 2008-02-20 2009-08-25 이용수 자동차의 연료탱크내 연료량 검출장치
KR20140068398A (ko) * 2012-11-28 2014-06-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유사연료 감지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50057670A (ko) 2013-11-20 2015-05-28 김성우 석유의 정량 측정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2012B1 (ko) 2009-06-15 2009-12-15 한국석유관리원 차량탑재형 연료 검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료 주입량과 적합성 검사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6626B1 (ko) * 2018-11-26 2020-04-02 주식회사 카라 자동차 연료량 측정장치
KR102190371B1 (ko) * 2020-06-10 2020-12-11 한국석유관리원 차량탑재형 lpg 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lpg 주입량 적합성 검사방법
KR20210153513A (ko) * 2020-06-10 2021-12-17 한국석유관리원 차량탑재형 lpg 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lpg 주입량 적합성 검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4700B1 (ko) 2017-10-12
WO2017034361A1 (en) 2017-03-02
US20170059382A1 (en) 2017-03-02
US10267632B2 (en) 2019-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00430B1 (ja) 水素ガスディスペンサーの検査装置
KR102070948B1 (ko) 이동식 수소 평가 검사 설비장치
EP3128298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direct fuel quantity measurement
US10234327B2 (en) Calibration device
CN102150028A (zh) 探测在地下液体管道特别是水管道中泄漏的探测装置和探测方法
CN102128667B (zh) 一种大油箱油量标定试验装置
KR101784700B1 (ko) 차량탑재형 비노출 연료주유량 검사장비 및 검사방법
KR20190038625A (ko) 교정 가능한 방식으로 가스의 양을 검출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AU2017326740B2 (en) Tank testing apparatus and method
CN211652342U (zh) 外载荷下的埋地管道失稳测试装置
KR101573207B1 (ko) 유조차의 정량 적재 여부 확인 방법 및 시스템
KR101639033B1 (ko) 주유 펌프를 이용한 차량의 연료탱크 실시간 온도 및 연료 측정 시스템
KR100932012B1 (ko) 차량탑재형 연료 검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료 주입량과 적합성 검사 방법
CN216746365U (zh) 加氢机计量检定装置
CN212050514U (zh) 一种车载式油库发油流量计在线校准装置
EP3299777A1 (en) Calibration device
CN207662577U (zh) 一种油箱锁气密性检测装置
KR102190371B1 (ko) 차량탑재형 lpg 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lpg 주입량 적합성 검사방법
CN220201422U (zh) 燃油加油机自校装置
KR20120079917A (ko) 연료량 측정 시스템
CN212458492U (zh) 一种对汽车加油量进行核实的车载加油计
KR101663541B1 (ko) 차량의 연료탱크 실시간 온도 및 온도 보정에 의한 연료 측정 시스템
CN107957290B (zh) 校准装置
CN111912503A (zh) 用于计量检定燃油加油机的储油装置
KR100519148B1 (ko) 유체의 온도, 유속 및 비중에 따라 주입량이 자동조절되는 주입장치 및 자동 주입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