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3585A - 사료 정량 자동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사료 정량 자동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3585A
KR20170023585A KR1020150118922A KR20150118922A KR20170023585A KR 20170023585 A KR20170023585 A KR 20170023585A KR 1020150118922 A KR1020150118922 A KR 1020150118922A KR 20150118922 A KR20150118922 A KR 20150118922A KR 20170023585 A KR20170023585 A KR 201700235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reservoir
space
blade
suppor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8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39584B1 (ko
Inventor
이창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연합축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연합축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연합축산
Priority to KR10201501189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9584B1/ko
Publication of KR201700235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35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95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95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01K5/0225Gravity replenishment from a reserve, e.g. a hopper
    • A01K5/0233Gravity replenishment from a reserve, e.g. a hopper dispensing by dosing means actively operated by the anim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01K5/0291Automatic devices with timing mechanisms, e.g. pet feed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9/00Prospecting or detect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V1/00 - G01V8/00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physics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다 정밀하고 정확한 사료량을 가축에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한 사료 정량 자동 공급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료저장통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공간에 채워져 있는 사료를 바닥면에 설치되어 있는 사료받침대로 공급하는 사료공급수단을 포함하는 사료정량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료저장통의 내부 공간을 구획시키며 상단은 개방된 상태에서 내부에는 사료를 저장하는 수용공간이 함몰 형성된 사료받침판, 상기 사료받침판의 상단에 덮혀지며 둘레면에는 상기 사료저장통에 저장된 사료를 상기 사료받침판으로 유입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입구가 형성된 상부커버, 상기 사료받침판의 바닥면에 관통 설치되며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수용공간으로 유입된 사료를 상기 사료받침대로 배출시키는 배출구멍 및 상기 사료받침판의 수용공간에 설치되며 구동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며 상기 수용공간으로 유입된 사료를 상기 배출구멍으로 강제 이송시키는 블레이드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사료 정량 자동 공급장치{APPARATUS FOR SUPPLYING FIXED QUANTITY FOOD}
본 발명은 사료 정량 자동 공급장치에 관련되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보다 정밀하고 정확한 사료량을 가축에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한 사료 정량 자동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돼지, 소, 개 등과 같은 가축은 각 개체별로 사료를 먹는 량이 다르고 또, 체격조건이나 체중 등, 성장시기에 따라 사료의 급여량이 다르며, 이에 상응하도록 적정량의 사료를 급여하게 된다. 특히, 돼지의 경우 임신 초기 내지는 중기, 말기, 분만 전/후, 비유기, 비유말기, 임신대기기간 등에 따라 사료의 급여량이 상당한 차이가 있다. 이에, 연령별, 산차별, 임신 기간별로 체중을 조절함으로써, 건강한 새끼 돼지를 많이 생산할 수 있게 되며 이를 위해, 적정량의 사료 및 식수를 인위적으로 조절하게 된다.
종래의 선행기술에 따른 사료공급장치로는 평판 위에 쌓인 사료를 스크레이퍼로 긁어서 사료받침대로 추락시키는 방식 또는, 스크류를 따라 이송 공급하는 방식 등이 있으나, 사료의 이송 및 공급량이 불균일하여 비효율적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는 본 출원인이 2013년 01월 07일자로 출원하여 2014년 07월 17일자로 공개된 대한민국 특허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 10-2014-0090350 호(명칭: 사료 및 식수의 정량 공급장치)(이하, 선행기술이라 칭함)를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사료저장통에 담긴 사료가 하부 사료공급관체를 통해 먹이통에 제한적으로 공급하도록 된 사료 및식수의 정량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료저장통의 하단 배출구에 개폐구가 결합되며 개폐구의 내측에 축 결합된 개량컵(24)이외측의 구동수단에 의해 구간 회전하면서 사료를 정량씩 제한적으로 방출시켜 상기의 먹이통에 공급하게 되는 사료공급수단이 구비된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예상된다.
첫 번째로, 종래 계량컵은 딱딱한 금속 혹은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됨에 따라 사료중에서 큰 알이가 하부캡의 통로부와 상기 계량컵 사이에 끼여 모터의 부하가 걸려서 모터의 고장원인이 되거나 모터의 정상적인 작동이 되지 않으면서 사료의 설정량이 불규칙하게 되거나 사료가 브릿지 현상이 생겨 모터가 공회전만 함으로써 사료의 정확한 양을 공급할 수 없어 가축의 생산성에 막대한 손실을 야기하게 된다.
즉, 자동사료공급장치는 하루에 일정한 시간대에 프로그램에 정해진 양만큼 사료가 공급되어져 가축이 그 양을 먹어야 하는 데, 이는 모터로 보내진 전기의 시간으로 모터의 회전수가 계산되고 모터의 회전수만큼 배출되는 사료의 양을 가늠하여 사료 급여 프로그램을 설정하게 된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에 지정된 시간만큼 모터의 전기신호를 주었는데 계량컵과 하부캡의 통로 사이에 사료 알갱이가 끼여서 모터가 구동하지 않았을 경우 컨트롤러는 사료가 정상적으로 공급된 것으로 인식하고 그 시간대에는 더 이상 사료를 공급하지 않게 된다.
이런 경우는 관리자가 문제점을 알고 처리를 해줄때까지 사료는 공급되지 않아 가축은 결국 굶게되는 등의 생산성에 차질을 가져오게 되는 것이며, 이러한 문제로 인해 관리자는 주기적으로 유지 점검 작업을 병행하여야 함으로서 불필요한 인력낭비를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다.
두 번째로, 종래 사료정량 공급장치의 사료저장통의 내부 공간은 사료를 혼합할 수 있는 별도의 구조를 장착할 수 없음에 따라 사료가 수분이나 기타 요인에 의해 응고되어 쉽게 배출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료받침대에서 습기 등이 사료저장통의 배출구를 통해 상기 사료저장통 내부로 유입되는 경우가 많은 데, 종래 사료저장통에는 이러한 습기 제거수단이 구비되지 못해 사료의 응고됨을 방지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문헌 1: 대한민국 특허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 10-2014-0090350 호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료의 엉킴없이 정확한 사료량을 가축에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한 사료 정량 자동 공급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특정시간대에 센서의 감지신호와 상관없이 사료를 일정량 강제 배출시키도록 하여 배출된 사료를 확인한 돼지들이 자연스럽게 센서를 건드리도록 유도하여 사료 배출을 위한 학습효과를 높혀 적응시간을 단축시키도록 한 사료 정량 자동 공급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사료 저장통을 분해하지 않고 사료 저장통 내측 벽면에 밀착하여 상, 하로 움직이면서 벽면에 쌓인 이물질을 수시로 간단히 청소할 수 있는 원활한 사료 공급이 가능한 사료정량 자동 공급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사료저장통을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그 직경이 넓어지는 구조로 제작하여 사료 저장통에 저장된 사료가 엉킴없이 원할하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 사료정량 자동 공급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료저장통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공간에 채워져 있는 사료를 바닥면에 설치되어 있는 사료받침대로 공급하는 사료공급수단을 포함하는 사료정량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료저장통의 내부 공간을 구획시키며 상단은 개방된 상태에서 내부에는 사료를 저장하는 수용공간이 함몰 형성된 사료받침판, 상기 사료받침판의 상단에 덮혀지며 둘레면에는 상기 사료저장통에 저장된 사료를 상기 사료받침판으로 유입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입구가 형성된 상부커버, 상기 사료받침판의 바닥면에 관통 설치되며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수용공간으로 유입된 사료를 상기 사료받침대로 배출시키는 배출구멍 및 상기 사료받침판의 수용공간에 설치되며 구동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며 상기 수용공간으로 유입된 사료를 상기 배출구멍으로 강제 이송시키는 블레이드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블레이드의 중앙부 상단에는 상기 상부커버를 관통한 상태로 노출되는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부에는 스크레이퍼가 결합되어 상기 상부커버에 쌓여있는 사료를 상기 유입구쪽으로 끌고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료저장통의 상, 하직경이 동일할 때, 상기 사료받침판의 일측 하단에는 상기 사료받침판을 상, 하 이동시키는 작동바가 설치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료받침판의 외면에는 상기 사료저장통의 내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사료받침판의 상, 하 이동 동작에 따라 상기 사료저장통 내면에 붙어 있는 사료분진을 제거하는 탄성링부재가 설치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료저장통은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넓어지도록 성형하며, 상기 사료저장통의 내면에는 탄성링부재가 밀착되며, 상기 탄성링부재에는 작동바가 설치되어 상기 탄성링부재를 상, 하 이동시켜 상기 사료저장통의 내면에 붙어 있는 사료 분진을 제거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료받침대에 설치되며 돼지들의 터치 동작에 따라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 상기 센서의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구동모터로 전원을 공급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며 설정된 시간이 도달하면 상기 제어부로 신호를 출력하여 구동모터로 전류를 인가시키는 타이머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사료정량 자동 공급장치는 별도의 깔대기부를 구비하지 않고 사료저장통의 직경크기 그대로 적용됨으로서 사료의 하강이 쉬우며 사료를 엉킴없이 정확한 사료량을 가축에게 공급할 수 있으며, 더불어 습기제거부재를 설치하지 않더라도 사료받침대에서 유입되는 습기가 사료저장통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타이머를 통해 특정시간대에는 센서의 감지신호와 상관없이 사료를 일정량 강제 배출시키도록 하여 배출된 사료를 확인한 돼지들이 자연스럽게 센서를 건드리도록 유도함으로서 사료 배출을 위한 학습효과를 높혀 적응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사료 저장통을 분해하지 않고 사료 저장통 내측 벽면에 밀착하여 상, 하로 움직이면서 벽면에 쌓인 이물질을 수시로 간단히 청소할 수 있으며, 더불어 사료저장통을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그 직경이 넓어지는 구조로 제작하여 사료 저장통에 저장된 사료가 엉킴없이 원할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사료 정량 자동 공급장치의 정단면도.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사료 정량 자동 공급장치의 측단면도.
도 3은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사료 정량 자동 공급장치에서 개폐부재의 구조를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모터와 제어부의 회로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사료 정량 자동 공급장치의 정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후술 될 상세한 설명에서는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있어 두 개의 실시 예를 대표하여 제시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으로 제시될 수 있는 다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설명으로 대체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사료 정량 자동 공급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료 정량 자동 공급장치(100)는 바닥면에 설치되어 있는 사료 받침대(24)로 사료를 설정된 양만큼 정확히 공급시키는 유닛으로서 사료저장통(10), 상, 하부캡(14, 20) 그리고 사료공급수단(30)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사료저장통(10)은 원통 혹은 사각형이나 다각형의 형태로 상, 하단은 개방시켜 구성하고 내부에는 사료를 저장할 수 있는 공간(12)이 형성되도록 구성한다.
상기한 사료저장통(10)은 (사료저장통의 직경이 상, 하로 동일한 것과 관련한 설명은 아래의 제 2실시 예의 설명란에 따로 기재되어 있습니다)
그 외면이 테이퍼(10a)지도록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적으로 넓어지도록 테이퍼(10a)지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며, 이는 사료를 정체됨 없이 원활히 배출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운송이나 적재시 각 사료저장통을 따로 운송 및 적재할 필요없이 사료저장통 내부로 여러개의 사료저장통을 차곡차곡 끼워넣어 포갤 수 있어 그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어 운송에 따른 간편함과 함께 적재시 필요한 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상부캡(14)은 상기 사료저장통(10)의 상부를 구성하는 것으로서, 상기 상부캡(14)의 중앙 하단에는 사료공급구(16)가 형성되며, 상기 사료공급구(16)에는 외부에서 공급된 사료를 상기 사료공급구(16)를 통해 사료저장통(10)의 내부 공간(12)으로 공급하기 위한 사료공급관(200)이 설치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상부캡(14)과 사료저장통(10)을 별도로 제작한 상태에서 상기 사료저장통(10)의 상단에 끼움 방식으로 조립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사료저장통(10)을 사출 성형하는 과정에서 상기 상부캡(14)을 상기 사료저장통(10)의 상단에 일체화로 사출 성형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캡(20)은 상기 사료저장통(10)의 개방된 하단에 끼워지는 것으로서 내부에는 상기 사료저장통(10)의 내부 공간(12)에 저장되어 있는 사료를 통과시키는 배출구(22)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22)에는 사료배출관(26)을 연결하여 상기 배출구를 통과한 사료를 아래의 사료받침대(24)로 배출시키도록 한다.
상기 사료공급수단(30)은 본 발명의 주요 구성을 이루는 것으로서, 상기 사료저장통(10)에 저장되어 있는 사료를 하부캡(20)의 배출구(22)를 통해 정해진 양만 사료받침대(24)로 공급시키는 수단이다.
첨부된 도 2는 상기 사료공급수단의 구조를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와 도 3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사료공급수단(30)은 사료받침판(32), 상부커버(38), 블레이드(44) 및 스크레이퍼(56)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사료받침판(32)은 상기 사료저장통(10)의 내부 공간(12)을 구획시킨 상태에서 사료가 하부캡(20)으로 통과하는 것을 일차적으로 차단하는 부재로서, 상단은 개방된 상태에서 내부에는 수용공간(34)이 함몰 형성되도록 구성하고 그 외면은 상기 사료저장통(10)의 내면에 밀착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사료받침판(32)의 바닥면 일측에는 배출구멍(36)이 형성되며, 상기 배출구멍(36)은 상기 사료받침판(32)의 수용공간(34)으로 유입된 사료를 블레이드(44)의 회전 동작에 따라 사료받침대(24)로 배출시키게 된다.
상기 상부커버(38)는 상기 사료받침판(32)의 개방된 상면에 덮혀지는 부재로서 일측 둘레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입구(40)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40) 사료저장통(10)에 저장되어 있는 사료를 사료받침판(32)의 수용공간(34)으로 유입시키게 된다.
상기 상부커버(38)의 유입구(40) 사이사이에는 힘살부(42)가 형성되는 데, 상기 힘살부(42)는 상기 상부커버(38)를 보호함과 더불어 블레이드(44)의 회전시 일정량의 사료가 담길수 있도록 사료를 깍음질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블레이드(44)는 상기 사료받침판(32)의 수용공간(34)에 수용된 상태에서 구동모터(46)의 동력으로 회전하며 상기 상부커버(38)의 유입구(40)를 통해 수용공간(34)으로 유입된 사료를 사료받침판(32)의 배출구멍(36)쪽으로 강제 이송시켜 하여 사료를 상기 배출구멍(36)을 통해 사료받침대(24)로 강제 배출시키게 된다.
상기 블레이드(44)와 구동모터(46)의 동력전달구조는 상기 구동모터(46)의 축에 구동기어(48)를 결합하고, 상기 구동기어(48)에는 피동기어(50)가 맞물리도록 하며, 상기 피동기어(50)에는 회전축(52)을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회전축(52)에 상기 블레이드(44)가 결합되어 구동모터(46)의 동력을 전달받도록 구성한다. 이때 상기 구동모터(46)와 구동 및 피동기어(48, 50)는 케이스로 포위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동력전달구조를 언급한 바와 같이 구동 및 피동기어(48, 50)외에 웜과 웜기어를 통한 연결구조로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외 구동모터(46)의 동력이 블레이드(44)로 원할히 전달될 수만 있다면 어떠한 구조의 동력전달수단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블레이드(44)의 상단에는 돌기부(45)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부(45)는 상기 상부커버(38)를 관통한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노출된 블레이드(44)의 돌기부(45)에는 스크레이퍼(56)가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스크레이퍼(56)는 상기 블레이드(44)의 돌기부(45)에 결합되어, 상기 블레이드(44)의 회전 동작에 따라 함께 회전하며 상기 상부커버(38)에 쌓여있는 사료를 상기 상부커버(38)의 유입구(40)쪽으로 끌고가며 사료를 사료받침판(32)의 수용공간(34)으로 강제 유입시키게 된다.
이러한 구조의 사료공급수단(30)은 별도의 습기차단수단을 설치하지 않더라도 사료받침대(24)에서 발생한 습기가 사료저장통(10)으로 유입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 구조의 단순화를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료저장통(10)의 내부에는 청소수단이 더 설치된다. 상기 청소수단은 상, 하부캡(14, 20)을 사료저장통(10)에서 분리하지 않고, 사료저장통(10)의 내면에 들러붙어 있는 사료 분진 등의 찌꺼기를 긁어 제거시키는 수단이다.
상기 청소수단은 사료저장통(10)의 내면에 밀착되는 원형의 탄성링부재(60), 상기 탄성링부재(60)의 내면 둘레에 설치되어 있는 링홀더(62)에 끝단이 결합되고 그 선단은 상기 사료저장통(10)을 관통한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 구성되어 외부에서 전해지는 힘으로 상기 탄성링부재(60)를 상, 하 이동시키는 작동바(64), 상기 작동바(64)와 사료저장통(10)을 연결하며 상기 작동바(64)의 상, 하 이동을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스토퍼(66)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원활한 사료 공급이 가능한 사료정량 자동 공급장치의 작용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사료의 정량 공급은 상부캡(14)에 설치된 사료공급(16)을 통해 사료저장통(10)의 내부 공간(12)으로 일정량의 사료가 공급되고 나면, 공급된 사료는 사료저장통(10) 내측에 설치되어 있는 사료공급수단(30)인 상부커버(38)의 유입구(40)를 통해 사료받침판(32)의 내부 수용공간(34)으로 유입되어 진다.
이어서, 제어부(70)의 신호에 따라 블레이드(44)가 설정된 시간동안 구동하며 사료받침판(32)의 수용공간(34)으로 유입된 사료를 사료받침대(24)로 정량 공급하게 된다.
즉, 돼지들이 센서(72)를 주둥이 등으로 건드려 제어부(70)로 신호를 인가하면 제어부(70)는 구동모터(46)로 전원을 인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46)와 구동기어(48) 및 피동기어(50)(혹은 웜과 웜기어)로 연결되어 있는 회전축(52)이 회전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회전축(52)에 결합되어 있는 블레이드(44)는 사료받침판(32)의 수용공간(34)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회전축(52)의 회전력으로 회전 동작하며 상기 사료받침판(32)의 수용공간(34)으로 유입된 사료를 사료받침판(32)의 바닥면에 관통 형성되어 있는 배출구멍(36)으로 강제 이송시켜 사료저장통(10) 아래에 결합되어 있는 하부캡(20)으로 배출시키게 되고, 이어서 상기 하부캡(20)의 배출구(22)를 통해 사료받침대(24)로 정량 공급되어 진다.
한편, 사료의 공급은 언급한 바와 같이 돼지들이 센서(72)를 건드려야만 사료의 공급이 이루어지는 구조임에 따라 사육 초기의 돼지들은 센서(72)가 어느 위치에 있는지 혹은 어떻게 해야 사료가 나오는 지를 몰라 사료가 사료받침대(24)에 담겨지기 까지는 사료를 먹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특정시간대, 바람직하게는 사료가 공급되는 시간대에 도달하게 되면 구동모터가 짧게 회전하여 소량의 사료가 자동으로 일정량 강제 배출되도록 함으로서 사료받침대(24)에 담겨진 사료를 확인한 돼지들이 자연스럽게 센서(72)를 건드리도록 유도하여 사료 배출을 위한 학습효과를 높혀 적응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 4에서와 같이 돼지들의 터치 동작에 따라 감지신호를 발생하는 센서(72), 상기 센서(72)에서 인가되는 감지신호를 통해 상기 구동모터(46)로 전원을 공급하는 제어부(70), 상기 제어부(70)에 연결되며 설정된 시간이 도달하면 상기 제어부(70)로 신호를 출력하여 구동모터(46)로 전류를 인가시켜 소량의 사료가 사료받침대(24)로 배출되도록 하는 타이머(74)로 구성한다.
한편, 첨부된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사료정량 자동 공급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서와 같이, 제 2실시 예에 따른 사료정량 자동 공급장치(100)는 전술한 제 1실시 예와 같이 사료저장통(10), 하부캡(20), 사료받침대(24) 그리고 사료공급수단(30)을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사료저장통(10)의 형상을 상단과 하단의 직경이 동일하도록 제작하고, 또한 별도의 청소수단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사료공급수단(30)인 사료받침판(32) 외면으로 탄성링부재(120)를 설치하고, 또한 상기 사료받침판(32)의 바닥면에는 작동바(130)의 선단을 결합하고, 상기 작동바(130)의 끝단은 상기 하부캡(20)을 관통한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사료받침판(32)을 상, 하 이동시키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작동바(130)는 하부캡(20) 외면에 설치되어 있는 스토퍼(140)의 동작을 통해 상, 하 이동 동작을 구속 및 구속 해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사료받침판(32)을 상, 하 이동하도록 구성함에 따라 상기 사료받침판(32)의 외면에 설치되어 있는 탄성링부재(120)는 사료저장통(10)의 내면에 들러붙어 있는 사료 분진 등의 찌꺼기를 긁어 제거하게 되며, 더불어 사료받침판(32)의 상, 하 이동 동작에 따라 사료공급수단(30)의 높낮이가 자동 조절됨에 따라 사료 저장통(10)의 내부 공간(12)에 저장되는 사료의 저장량을 함께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작동바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스토퍼(140)는 상기 작동바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장공(132), 상기 장공(132)을 관통한 상태로 끼워지는 볼트(150), 상기 볼트(150)에 결합되며 정, 역 회전 동작에 따라 상기 볼트(150)를 당기거나 밀어내 상기 볼트(150)를 상기 작동바(130)에 가압시켜 작동바(130)의 이동을 구속하도록 하는 너트(160)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나, 이외에 스토퍼의 구조는 다양한 실시 형태로 대체하여 구성할 수 있음은 자명한 사항일 것이다.
10: 사료저장통 12: 공간
14: 상부캡 20: 하부캡
24: 사료받침대 30: 사료공급수단
32: 사료받침판 34: 수용공간
36: 배출구멍 38: 상부커버
40: 유입구 44: 블레이드
46: 구동모터 52: 회전축
56: 스크레이퍼 60: 탄성링부재
70: 제어부 72: 센서
74: 타이머

Claims (4)

  1. 사료저장통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공간에 채워져 있는 사료를 바닥면에 설치되어 있는 사료받침대로 공급하는 사료공급수단을 포함하는 사료정량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료저장통의 내부 공간을 구획시키며 상단은 개방된 상태에서 내부에는 사료를 저장하는 수용공간이 함몰 형성된 사료받침판;
    상기 사료받침판의 상단에 덮혀지며 둘레면에는 상기 사료저장통에 저장된 사료를 상기 사료받침판으로 유입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입구가 형성된 상부커버;
    상기 사료받침판의 바닥면에 관통 설치되며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수용공간으로 유입된 사료를 상기 사료받침대로 배출시키는 배출구멍 및 ;
    상기 사료받침판의 수용공간에 설치되며 구동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며 상기 수용공간으로 유입된 사료를 상기 배출구멍으로 강제 이송시키는 블레이드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정량 자동 공급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커버의 상단에는 스크레이퍼가 올려지며, 상기 스크레이퍼는 상기 블레이드와 연결 구성되어, 상기 블레이드의 동작으로 회전하며 상기 상부커버에 쌓여있는 사료를 상기 유입구쪽으로 끌고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정량 자동 공급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사료받침판의 일측 하단에는 상기 사료받침판을 상, 하 이동시키는 작동바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정량 자동 공급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료받침대에 설치되며 돼지들의 터치 동작에 따라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
    상기 센서의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구동모터로 전원을 공급하는 제어부 및 ;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며 설정된 시간이 도달하면 상기 제어부로 신호를 출력하여 구동모터로 전류를 인가시키는 타이머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정량 자동 공급장치.

KR1020150118922A 2015-08-24 2015-08-24 사료 정량 자동 공급장치 KR1017395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8922A KR101739584B1 (ko) 2015-08-24 2015-08-24 사료 정량 자동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8922A KR101739584B1 (ko) 2015-08-24 2015-08-24 사료 정량 자동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3585A true KR20170023585A (ko) 2017-03-06
KR101739584B1 KR101739584B1 (ko) 2017-05-25

Family

ID=58398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8922A KR101739584B1 (ko) 2015-08-24 2015-08-24 사료 정량 자동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958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21757A1 (ko) * 2017-05-30 2018-12-06 홍영준 낱알 공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먹이 공급 장치
KR102026193B1 (ko) * 2018-08-22 2019-09-27 주식회사 다운 분말 정량공급장치
KR20220019624A (ko) * 2020-08-10 2022-02-17 주식회사 잇다 사료첨가제를 포함하는 양돈사료 급여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4771B1 (ko) 2021-11-29 2024-03-06 주식회사 연합축산 사료 정량 자동 공급장치용 블레이드 구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90350A (ko) 2013-01-07 2014-07-17 이창현 사료 및 식수의 정량 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90350A (ko) 2013-01-07 2014-07-17 이창현 사료 및 식수의 정량 공급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21757A1 (ko) * 2017-05-30 2018-12-06 홍영준 낱알 공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먹이 공급 장치
KR102026193B1 (ko) * 2018-08-22 2019-09-27 주식회사 다운 분말 정량공급장치
KR20220019624A (ko) * 2020-08-10 2022-02-17 주식회사 잇다 사료첨가제를 포함하는 양돈사료 급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9584B1 (ko) 2017-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9584B1 (ko) 사료 정량 자동 공급장치
KR100310743B1 (ko) 사료 자동 급이기
KR101480212B1 (ko) 사료 및 식수의 정량 공급장치
KR101794667B1 (ko) 사료 정량 자동 공급장치
RU2651293C2 (ru) Уборочная машина для приема собранного урожая
US6988465B2 (en) Automatic pet food dispensing device
KR101667376B1 (ko) 어류 양식장용 사료공급장치
CN104488748A (zh) 智能食料喂料器及其程序控制方法
GB2476996A (en) Feeder with auger and indexing mechanism
KR101353781B1 (ko) 식수 및 사료 자동 급이기
KR101735009B1 (ko) 원활한 사료 공급이 가능한 사료정량 자동 공급장치
KR101608711B1 (ko) 사료 급이기의 사료배출장치
KR20170011402A (ko) 원활한 사료 공급이 가능한 사료정량 자동 공급장치
KR20160002074U (ko) 사료 공급장치
KR20160055409A (ko) 축산용 사료 공급장치
KR100423928B1 (ko) 사료 자동급이기의 적량 공급장치
KR101818821B1 (ko) 사료정량 자동 공급장치
KR20130119638A (ko) 자동 사료 급이기의 이송스크류 구조
KR20170075217A (ko) 사료 정량 자동 공급장치
KR20180114482A (ko) 사료 정량 자동 공급장치
CN205511562U (zh) 一种家禽养殖自动控料装置
KR102112928B1 (ko) 액상사료 급여기의 물 공급 제어장치
KR20190022226A (ko) 액상 사료 급여기
KR20180049532A (ko) 사료 정량공급장치
KR20190016839A (ko) 가축용 사료공급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