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3147A - 필름 라미네이팅된, 물 활성화된 종이 테이프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필름 라미네이팅된, 물 활성화된 종이 테이프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3147A
KR20170023147A KR1020177002169A KR20177002169A KR20170023147A KR 20170023147 A KR20170023147 A KR 20170023147A KR 1020177002169 A KR1020177002169 A KR 1020177002169A KR 20177002169 A KR20177002169 A KR 20177002169A KR 20170023147 A KR20170023147 A KR 201700231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water activated
lamination layer
tape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2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트레버 아더스
숀 패트릭 넬슨
Original Assignee
인터테이프 폴리머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터테이프 폴리머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인터테이프 폴리머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700231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31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paper or card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a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paper or cardboard
    • B32B29/0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paper or cardboard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paper or cardboard
    • B32B29/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paper or cardboard next to a particulate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15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being manufactured and immediately laminated before reaching its stable state, e.g. in which a layer is extruded and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 B32B37/153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being manufactured and immediately laminated before reaching its stable state, e.g. in which a layer is extruded and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at least one layer is extruded and immediately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32B7/14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applied in spaced arrangements, e.g. in stripes
    • C09J7/042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1Paper; Textile fabr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9Laminated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2Water-activated adhesive, e.g. for gummed pa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14Oriented
    • B32B2307/518Oriented bi-axi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82Tear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48Releas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9/00Parameters for the laminating or treatment process; Apparatus details
    • B32B2309/08Dimensions, e.g. volume
    • B32B2309/10Dimensions, e.g. volume linear, e.g. length, distance, width
    • B32B2309/105Thic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7/00Animal or vegetable based
    • B32B2317/12Paper, e.g. cardboard
    • B32B2317/122Kraft pa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3/00Polyalkenes
    • B32B2323/04Polyethylene
    • B32B2323/046LDPE, i.e. low density polyeth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05/00Adhesive articles, e.g. adhesive ta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 C09J2301/12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the adhesive layer being present only on one side of the carrier, e.g. single-sided adhesive tap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6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structure of the carrier lay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06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the adhesive being water-activatabl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00/00Presence of inorganic and organic materials
    • C09J2400/20Presence of organic materials
    • C09J2400/28Presence of paper
    • C09J2400/283Presence of paper in the subst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23/00Presence of polyolefin
    • C09J2423/006Presence of polyolefin in the subst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23/00Presence of polyolefin
    • C09J2423/04Presence of homo or copolymers of ethene
    • C09J2423/046Presence of homo or copolymers of ethene in the subst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67/00Presence of polyester
    • C09J2467/006Presence of polyester in the subst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77/00Presence of polyamide
    • C09J2477/006Presence of polyamide in the substrate

Abstract

물 활성화된 테이프, 특히 필름 라미네이팅된, 물 활성화된 종이 테이프 및 이의 제조 방법이 개시된다. 필름 라미네이팅된, 물 활성화된 종이 테이프는 상부 표면 및 기저 표면을 갖는 종이 백킹, 종이 백킹의 기저 표면에 적용된 물 활성화된 접착제, 및 종이 백킹의 상부 표면에 적용된 필름 보강 구조물을 포함한다. 필름 보강 구조물은 최외측 연신 필름, 및 라미네이션 층을 포함한다. 최외측 폴리올레핀 필름을 종이 백킹에 라미네이팅하는 라미네이션 층은 향상된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올레핀 플라스토머, 초저밀도 폴리에틸렌,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및 코-폴리에스테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필름 보강 구조물의 종이 백킹으로의 라미네이팅은 최외측 폴리올레핀 필름 및 라미네이션 층을 종이 백킹 위로 공압출함을 포함하는 압출 라미네이션 공정이다.

Description

필름 라미네이팅된, 물 활성화된 종이 테이프 및 이의 제조 방법{FILM LAMINATED, WATER ACTIVATED PAPER TAPE AND METHODS OF MAKING SAME}
관련 출원
본 출원은 2014년 6월 25일에 출원된 미국 가출원 번호 62/016,685에 대한 이익을 주장하고, 이의 전문이 참조로서 본원에 포함된다.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이의 종이에 압출 라미네이팅된 필름 보강재를 갖는 신규한 물 활성화된 종이 접착제 테이프에 관한 것이고, 특히 카톤 또는 박스 밀봉 테이프로서 유용하다.
발명의 배경
카톤의 제조 동안 또는 카톤을 채운 후에 밀봉 카톤 또는 카톤 덮개(flaps)를 위한 접착제 테이프가 널리 공지되어 있다. 가장 통상의 구조 중 하나는 하나의 측면 상 수용성 또는 물 활성화된 접착제를 포함하는 표준 크라프트지 테이프이다. 이러한 테이프의 롤은, 테이프의 종방향 강성(stiffness)에 의존하는 기계를 통해서 제공(dispense)되어, 롤로부터 테이프를 풀고 테이프가 강제로 테이프 습윤 성분을 통과될 수 있다. 이 성분은 테이프의 접착제 표면을 습윤시키고 카톤에 적용하기 위해 준비되는 물 저장소를 포함한다.
이러한 유형의 테이프의 다양한 개선은 수년간 시도되어 카톤의 제조 및 밀봉에서 다양한 요구조건을 만족시켰다. 예를 들면, 일반적으로 유리섬유로 만들어 지고 이러한 테이프를 가로질러 종방향으로 및/또는 각지게(angularly) 연장되어 이의 강도를 증가시키는 보강 섬유를 사용하는 다중 층화된 테이프는 통상적으로 더 높은 폐쇄 강도 요구조건을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테이프는 보강 섬유로 인해 찢는 것은 더 어려워지지만, 이러한 구조는 테이프의 상부 및 기저부 둘 다를 따라 다소 거칠고 울퉁불퉁한 표면을 야기하고, 또한 통상의 크래프트(Kraft) 테이프 보다 다소 더 두꺼운 테이프 구조를 야기한다. 이러한 울퉁불퉁한 표면 및 더 두꺼운 테이프는 표준 크기 롤이 통상의 테이프와 비교하여 임의의 소정의 직경에 대해 더 짧은 길이가 되게 한다.
플라스틱 필름을 테이프에 추가하는 이전 시도는 부적합하였다. 하나의 측면에서, 플라스틱 필름은 물 활성화된 접착제를 갖는 층으로서 사용되었다. 이러한 시도에서 문제점은 플라스틱 필름이 수용성 또는 물 활성화 접착제를 매우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없다는 것이다. 또다른 측면에서, 플라스틱 필름을 접착제를 사용하여 종이 백킹에 냉각 라미네이팅하여 테이프를 개발하고, 여기서, 플라스틱은 플라스틱 필름 및 종이 백킹 사이의 접착제에 의해 제공되는 낮은 결합 강도 때문에 적용 후 스트리핑될 수 있다. 어느 것도 본원에 기재된 물 활성화된 종이 테이프에 대한 목적하는 특징이 아니다. 따라서, 개시된 물 활성화된 종이 테이프는 물 활성화된 테이프 중 플라스틱 필름을 사용하는 이전의 시도 보다 개선사항이 있다.
발명의 요지
본 발명의 하나의 측면은 물 활성화된 종이 테이프, 및, 보다 특히, 이의 종이 백킹에 압출 라미네이팅된 필름 보강재을 포함하는 카톤 밀봉 테이프이다. 물 활성화된 테이프는 상부 표면 및 기저 표면을 갖는 종이 백킹, 종이 백킹의 기저 표면에 적용된 물 활성화된 접착제, 및 종이 백킹의 상부 표면에 적용된 필름 보강 구조물을 갖는다. 필름 보강 구조물은 손으로 찢을 수 있는(hand-tearable) 물 활성화된 테이프를 야기하고, 필름 보강 구조물은 최외측(outermost) 연신(oriented) 폴리올레핀 필름; 및 종이 백킹에 최외측 폴리올레핀 필름을 라미네이팅하는, 향상된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올레핀 플라스토머, 초저밀도 폴리에틸렌,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및 코-폴리에스테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라미네이션 층을 포함한다. 이들 2개의 층은 종이 백킹, 예를 들면, 크라프트지 위로 공압출된다.
하나의 양태에서, 최외측 연신 폴리올레핀 필름은 이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이다. 또다른 양태에서, 최외측 연신 폴리올레핀 필름은 이축 연신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이다. 어느 하나의 경우, 최외측 폴리올레핀 필름은 약 0.5 mil 내지 약 2 mil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라미네이션 층은 또한 약 0.5 mil 내지 약 2 mil, 또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 mil 내지 약 1.3 mil의 두께를 갖는다. 하나의 양태에서, 라미네이션 층은, 이의 대부분으로서, 향상된 폴리에틸렌 수지를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다른 폴리에틸렌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양태에서,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는 향상된 폴리에틸렌 수지를 갖는 라미네이션 층 조성물에 포함되고, 향상된 폴리에틸렌 수지는 라미네이션 층의 약 60%w/w 내지 99%w/w이다.
또다른 측면에서, 이러한 물 활성화된 테이프의 제조 방법은 본원에 개시된다. 상기 방법은 종이 백킹의 주요 기저 표면을 한정하는 물 활성화된 접착제를 갖는 종이 백킹을 포함하는 물 활성화된 종이 테이프를 제공하는 단계, 및 종이 백킹에, 물 활성화된 접착제와는 다른 편에(opposite), 필름 보강 구조물을 압출 라미네이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필름 보강 구조물은 최외측 연신 폴리올레핀 필름; 및 향상된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올레핀 플라스토머, 초저밀도 폴리에틸렌,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및 코-폴리에스테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최내측(innermost) 라미네이션 층을 포함한다. 압출 라미네이팅은 종이 백킹에 인접한 최내측 라미네이션 층에 위치하고, 최외측 폴리올레핀 필름 및 최내측 라미네이션 층을 공압출하고, 이후에 테이프의 온도를 감소시킴을 포함한다. 하나의 양태에서, 공압출은 최외측 폴리올레핀 필름을 약 0.5 mil 내지 약 2.0 mil의 두께를 갖도록 압출하고 최내측 라미네이션 층을 약 0.5 mil 내지 약 2.0 mil의 두께를 갖도록 압출함을 포함한다.
하나의 양태에서, 상기 방법은 또한 종이 백킹을 제공하는 단계 및 물 활성화된 접착제를 이의 주요 기저 표면에 적용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라미네이션 층 조성물은 상기한 바와 같고, 연신 폴리올레핀 필름은 이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 또는 이축 연신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를 위한 테이프의 롤의 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테이프를 나타내는 확대된 횡단면도이고, 상기 테이프의 층을 나타낸다.
상세한 설명
하기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일반적 원리를 나타낼 수 있고, 이의 예는 추가로 동반되는 도면에서 나타낸다. 도면에서, 비슷한 참조 번호는 동일하거나 기능적으로 유사한 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코어(118) 위에 감긴 물 활성화된 테이프(130)의 롤(100)을 나타낸다. 설명을 위해 도 1 및 2에 언급된 바와 같이, 상기 페이지(page)에 관련되어 상부에서 기저부까지, 물 활성화된 테이프(130)는 이형 층(126)(선택적), 종이 백킹(112)에 압출 라미네이팅된 필름 보강재(116), 및 물 활성화된 접착제(114)를 포함한다. 종이 백킹(112)(또한 기판으로도 언급됨)은 제1 주요 (상부) 표면(132), 제2 주요 (기저) 표면(134), 및 제1 측면(136) 및 제2 측면(138)을 갖는다. 백킹(112)의 기저 표면(134)에 물 활성화된 접착제(114)가 적용되고, 종이 백킹(112)의 상부 표면에 필름 보강재(116)가 적용된다. 압출 라미네이션은 다수의 층들에 그 사이에 연화된 또는 용융된 층을 함께 제공하여 상기 층들을 부착시키고 상기 층이 일단 경화되면 고형화되는 것을 포함한다.
필름 보강재(116)는, 향상된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올레핀 플라스토머, 초저밀도 폴리에틸렌,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및 코-폴리에스테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라미네이션 층(122)에 의해 종이 백킹(112)에 압출 라미네이팅된 최외측 필름 층(124)으로서의 연신 필름을 포함한다. 최외측 필름 층(124)은 폴리에스테르 필름, 나일론 필름, 폴리에틸렌 필름 또는 폴리프로필렌 필름 또는 연신 박막 구조물로 성형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중합체일 수 있다. 하나의 양태에서, 연신 필름은 이축-연신된다. 또다른 양태에서, 연신 필름은 단축 연신된다. 연신 필름은 약 0.5 mil 내지 약 2 mil의 두께로 존재한다. 또다른 양태에서, 필름은 약 1.0 mil(25 마이크론)의 두께로 존재한다. 실시예 1에 기재된 하나의 예시적인 양태에서, 필름 층(124)은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특히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이다. 실시예 2 내지 4에 기재된 또다른 예시적인 양태에서, 필름 층(124)은 이축-연신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이고, 이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이다.
라미네이션 층(122)은 압출 라미네이션을 위해 연화되거나 용융될 수 있고 선택된 연신 필름 층(124)을 종이 백킹(112)에 부착시킬 물질을 포함한다. 통상적으로, 라미네이션 층(122)은 그 안에, 종이 백킹 및 연신 필름 층 둘 다에 대한 결합을 형성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물질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연신 필름이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경우, 라미네이션 층은 또한 폴리에틸렌, 예를 들면, 향상된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올레핀 플라스토머, 및/또는 초저밀도 폴리에틸렌을 포함할 수 있다. 또다른 양태에서, 라미네이션 층(122)은 나일론 또는 폴리에스테르 또는 코-폴리에스테르 물질일 수 있다. 연신 폴리에스테르와 같은 필름이 사용되는 경우, 라미네이팅 층은 폴리에스테르 및/또는 다른 물질, 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플라스토머일 수 있다. 필름으로서 연신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에스테르 부재의 하나 이상의 플라스토머를 포함하는 라미네이팅 층을 사용하는 양태는 적합한 부착을 보장하기 위해 코로나 또는 화염 처리와 같은 방법을 사용하여 처리하여 필름의 표면이 라미네이팅 층으로 라미네이팅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적합한 향상된 폴리에틸렌 수지의 예는 Dow Chemical Company로부터 상표명 ELITE™하에 이용가능하다. 이들은 에틸렌 알파-올레핀 수지이다. 하나의 양태에서, 향상된 폴리에틸렌 수지는 3.5 g/10 min 초과, 보다 바람직하게는 5 g/10 min 초과의 용융 질량 흐름률(melt mass flow rate)을 갖고, 200℉ 초과, 보다 바람직하게는 250℉ 초과의 용융 온도(열성, 압출 아님)를 갖는다. 하나의 양태에서, 라미네이션 층(122)은 약 0.91 g/㎤의 밀도, 약 15 g/10 min의 용융 지수(melt index), 및 약 255℉의 용융 온도를 갖는 ELITE™ 향상된 폴리에틸렌 수지로 이루어진다. 또다른 양태에서, 라미네이션 층(122)은 약 0.91 g/㎤의 밀도, 약 15 g/10 min의 용융 질량 흐름률, 및 약 255℉의 용융 온도를 갖는 ELITE™ 향상된 폴리에틸렌 수지 약 40% 내지 약 99%w/w를 포함하고, 잔량은 0.91 g/㎤ 초과의 밀도, 향상된 폴리에틸렌 수지의 용융 온도의 대략 플러스 또는 마이너스 5℉ 이내의 용융 온도, 및/또는 5 g/10 min 초과의 용융 지수를 갖는 하나 이상의 다른 폴리에틸렌 수지이다.
또다른 양태에서, 라미네이션 층은 향상된 PE 수지 약 70% 내지 85%w/w, 하나 이상의 다른 폴리에틸렌 수지 약 10% 내지 25%w/w를 포함하고, 잔량은 첨가제이다. 향상된 PE 수지는 바람직하게는 약 20% 내지 100%w/w,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30% 내지 80%w/w의 백분율로 존재할 것이다. 하나 이상의 "다른" 폴리에틸렌 수지는,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중간 밀도 폴리에틸렌(MDPE),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시판되는 상기한 어느 것의 메탈로센 변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양태에서, LDPE를 향상된 PE 수지에 첨가하여 넥-인(neck-in)을 감소시키고 용융 강도를 개선시키는 것과 같이 압출 가공성을 개선시킨다. 통상적으로 약 10% 내지 40%w/w에서 첨가하여 이러한 개선을 성취한다. 캐스트 압출 코팅 공정에서 LDPE에 대한 바람직한 용융 지수는 약 1 내지 20 g/10 min,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0 g/10 min이다.
적합한 폴리올레핀 플라스토머는 Dow Chemical Company에서 상표명 AFFINITY™하에 시판되고, Exxon Mobile Corporation에서 상표명 EXACT™하에 시판된다. AFFINITY™ 폴리올레핀 플라스토머는 0.870 g/㎤ 내지 0.878 g/㎤ 범위의 밀도, 154℉ 내지 158℉의 Dow Chemical 자체 시험 방법에 의한 융점, 및 190℃에서 2.16 kg 중량을 사용하여 500 g/10 min 내지 1250 g/10 min의 용융 지수를 갖는다. EXACT™ 플라스토머는 메탈로센 촉매된 에틸렌 알파 올레핀 공중합체이다. 본원에 개시된 적용에 적합한 메탈로센 촉매된 에틸렌 알파 올레핀 공중합체는 0.870 g/㎤ 내지 0.905 g/㎤ 범위의 밀도, 1 내지 30 g/10 min 및 2 내지 20 g/10 min 범위의 용융 지수를 갖는 것들을 포함한다.
적합한 초저밀도 폴리에틸렌은 Dow Chemical Company에서 상표명 FLEXOMER™하에 시판되고, 약 0.905 내지 약 0.910 g/㎤ 범위의 밀도 및 0.5 g/10 min 내지 2.5 g/10 min 범위의 용융 질량 흐름률을 갖는다.
라미네이션 층(122)은 약 0.5 mil 내지 약 2 mil의 두께로 존재한다. 또다른 양태에서, 라미네이션 층(122)은 약 1.0 mil (25 마이크론) 내지 약 1.3 mil (32.5 마이크론)의 두께로 존재한다.
라미네이션 층에 포함시키기 위한 첨가제는 UV 억제제, 산화방지제, 안료, 및 대전방지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물 활성화된 테이프(130)는, 최외측 필름 층(124)의 종이 백킹(112)에의 압출 라미네이션의 결과로서, 이로부터 용이하게 스트리핑할 수 없다. 즉, 일단 라미네이팅되면, 최외측 필름 층(124)을 종이 백킹(112)으로부터 분리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종이 백킹(112)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크레이핑된 종이, 비-크레이핑된 종이, 또는 이형지를 포함하는 임의의 유형의 종이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종이 백킹(112)은 크라프트지이다. 크레이핑된(Creped) NBSK(Northern Bleached Softwood Kraft) 종이 웹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 위한 하나의 적합한 백킹이다. 하나의 양태에서, 크라프트지가 사용되고, 20 내지 57 lb 크라프트지이다.
물 활성화된 접착제(114)는 종이 백킹(112)에 용매-캐스트(solvent-cast), 수성, 무용매, 또는 용융된 필름으로서 또는 코팅 층으로서 압출, 롤, 칼, 로드(rod), 또는 블레이드 코팅의 임의의 방식, 커튼 코팅 또는 임의의 적합한 방법을 사용하여 적용될 수 있다. 하나의 양태에서, 물 활성화된 접착제(114)는 약 0.1 mil 내지 약 2.5 mil의 두께로 존재한다. 물 활성화된 접착제(114)는 임의의 통상의 물 활성화된 접착제 또는 하기에 개발된 박스 밀봉 또는 카톤 밀봉 테이프(또한 패키징 테이프로서 언급됨)에 적합한 접착제일 수 있다. 하나의 양태에서, 물 활성화된 접착제(114)는 옥수수, 수수, 밀, 사고(sago), 타피오카, 콩과식물(legumes), 보리, 쌀, 및/또는 감자로부터의 전분을 기초로 한다. 또다른 양태에서, 물 활성화된 접착제(114)는 폴리비닐 알콜-계, 재습윤가능한(remoistenable) 접착제일 수 있다.
필름 라미네이팅된 물 활성화된 테이프를 제조하는 연속식 방법은 종이 백킹의 주요 기저 표면을 한정하는 물 활성화된 접착제를 갖는 종이 백킹을 포함하는 물 활성화된 종이 테이프를 제공하는 단계, 및 종이 백킹에, 물 활성화된 접착제와는 다른 편에(opposite), 필름 보강 구조물을 압출 라미네이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필름 보강 구조물은 최외측 연신 폴리올레핀 필름; 및 향상된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올레핀 플라스토머, 초저밀도 폴리에틸렌,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및 코-폴리에스테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최내측 라미네이션 층을 포함한다. 압출 라미네이팅은 종이 백킹에 인접한 최내측 라미네이션 층을 배치하고, 종이 백킹 위에, 접착제 층과는 반대 표면에, 최외측 폴리올레핀 필름 및 최내측 라미네이션 층을 함께, 공압출함을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또한 최외측 폴리올레핀 필름 및 최내측 라미네이션 층의 공압출 후 테이프의 온도를 감소시키고, 이후에 테이프를 롤 위로 감고, 감겨진 테이프를 필름 라미네이팅된 물-활성화 테이프의 다수의 롤 내로 슬리팅(slitting)함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양태에서, 공압출은 최외측 폴리올레핀 필름을 약 0.5 mil 내지 약 2.0 mil의 두께를 갖도록 압출하고, 최내측 라미네이션 층을 약 0.5 mil 내지 약 2.0 mil의 두께를 갖도록 압출함을 포함한다.
또다른 양태에서, 필름 라미네이팅된 물 활성화된 테이프를 제조하는 연속식 방법은 또한 종이 백킹을 제공하는 단계 및 최외측 폴리올레핀 필름 및 라미네이션 층을 종이 백킹 위로 공압출하기 전에 물 활성화된 접착제를 이의 주요 기저 표면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라미네이션 층 조성은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고, 연신 폴리올레핀 필름은 이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 또는 이축 연신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일 수 있다.
상기한 물 활성화된 종이 테이프는 필라멘트 스크림 보강재 층의 필요성을 제거하고, 단지 하나의 종이의 층을 요구한다. 이는 오늘날 시판되는 카톤 밀봉 테이프와 비슷하거나 낮은 비용으로 균질한 구멍(puncture) 및 인열(tear) 특성을 갖는 테이프 제품을 야기하고 뿐만 아니라 소정의 롤 지름에 대해 더 긴 길이를 제공하여 어플리케이팅 장치에서 더 적은 롤 변형을 요구하는 보다 얇은 테이프를 생성한다. 예를 들면, 1'' 코어 상에 감긴 6''의 외부 직경을 갖는 롤은, 8 mil 두께 필라멘트 보강된, 물 활성화된 테이프가 대략 290'인 것과 비교하여, 본 발명의 5.5 mil 두께의 테이프에 대해 대략 420'를 갖는다. 상기한 방법에 따라 제조된 필름 라미네이팅된 물 활성화된 테이프의 예는 하기에 포함된다.
실시예 1
하기 나타낸 데이터에 대해, 140 등급(grade) 물 활성화된 종이 테이프(독립적인 제조 공정에서 이에 적용된 접착제를 이미 가짐)를 대략 30 gsm의 향상된 폴리에틸렌 수지, Dow ELITE™ 5815 향상된 폴리에틸렌 수지를 사용하여 25 마이크론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BOPP) 필름으로 압출 라미네이팅시켜서 상기 라미네이트 층은 BOPP 필름을 물 활성화된 종이 테이프의 종이 백킹에 연결하였다. 물 활성화된 종이 테이프 및 BOPP 필름은 비교적 강성 구조물이다. 이와 대조적으로, Dow ELITE™ 5815 향상된 폴리에틸렌 수지는 0.91 g/㎤의 밀도, 15 g/10 min의 용융 지수, 비교적 낮은 모듈러스, 그러나 높은 융점(255℉의 용융 온도)을 갖는 연성 수지이다.
하기 표 1에서, "MD"는 기계 방향(machine direction)을 나타내고, "TD"는 기계 방향에 대하여 횡방향(transverse direction)으로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사다리꼴 인열(Trapezoidal Tear) 시험을 위해, 이들을 노치(notched) 또는 비-노치(un-notched) 시도로서 수행하였다. 노치 시도를 위해, 샘플러를 노치하고, 노치에서 인열되고, 불합격(failure)은 주로 라미네이션 층(122)의 불합격의 함수(function)인 것으로 관찰되었다. 비-노치 시도를 위해, 폴리올레핀 필름(124)이 불합격할 때까지 폴리올레핀 필름(124)하에 인열 전파하였다.
이러한 예를 위해, 이축 연신 폴리프로필렌이 충분한 인열을 위해 충분한 강도를 제공할 것이라는 회의론이 있었다. 원래 단축 연신 폴리프로필렌이 요구될 것임을 고려하였다. 그러나, 놀랍게도, 필름 라미네이팅된, 물 활성화된 종이 테이프는 횡방향(TD) 인열 개시 강도가 상당히 증가하였다. 상기 표 1에서 비-노치 TD 인열 강도(사다리꼴 인열 TD)는 테이프의 횡방향 인열을 개시하는데 요구되는 힘을 나타낸다. 일단 인열이 개시되면, 노치된 인열에 의해 나타난 바와 같이 훨씬 더 용이하게 전파된다. 이는 테이프가 운송 중 박스 위에서 테이프를 파괴하는 힘은 견딜 수 있지만 비교적 용이하게 손으로 인열가능하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어떠한 취성(brittle) 인열도 겪지 않았다.
실시예 2 내지 4
하기 나타낸 데이터에 대해, 140 등급 물 활성화된 종이 테이프(독립적인 제조 공정에서 이에 적용된 접착제를 이미 가짐)를 25 마이크론 이축-연신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BOPET) 필름으로 라미네이션 층 조성물의 대략 1.2 mil 두께를 사용하여 압출 라미네이팅시켰다. 라미네이션 층 조성물은 Dow ELITE™ 5815 향상된 폴리에틸렌 수지 및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를 라미네이션 층으로서 포함하고, 성공적으로 BOPET 필름을 물 활성화된 종이 테이프의 종이 백킹에 연결하였다. 물 활성화된 종이 테이프 및 BOPET 필름은 비교적 강성 구조물이다. 이와 대조적으로, Dow ELITE™ 5815 향상된 폴리에틸렌 수지는 0.91 g/㎤의 밀도, 15 g/10 min의 용융 지수, 비교적 낮은 모듈러스, 그러나, 높은 융점(255℉의 용융 온도)을 갖는 연성 수지이다.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DOW™ LDPE 722는, 약 0.92 g/㎤의 밀도 및 약 8 g/10 min의 용융 지수, 및 약 224℉의 용융 온도를 갖는다.
Figure pct00002
사다리꼴 인열 강도, ASTM 4533, 시험, 즉, 사다리꼴-형태의 샘플을 개시된 라미네이팅된 필름-WAT의 횡방향(TD) 인열 개시 강도를 평가하기 위해 사용하였다. 표 2에서 데이터는 테이프의 횡방향 인열을 개시하는데 요구되는 힘을 나타내는 비-노치 TD 인열 강도(사다리꼴 인열 TD)가, 테이프가 운송 중 박스 위에서 테이프를 파괴하는 힘은 견딜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그러나, 노치된 사다리꼴 인열 TD에 대한 더 낮은 값을 기준으로 하여, 일단 인열이 개시되면, 테이프를 통해 훨씬 더 용이하게 전파되고, 이는 테이프가 비교적 용이하게 손으로 인열가능하다는 것을 증명한다.
실시예 6-6
Figure pct00003
표 3에서 실시예는 또한 물 활성화된 종이 테이프의 종이 백킹에 필름을 성공적으로 연결한, Dow ELITE™ 5815 향상된 폴리에틸렌 수지 및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의 라미네이션 층 조성물로 만들어 졌다.
표 3에서 비교 실시예는 전분계 접착제를 사용하여 제조된 VENOM® 보강된 물-활성화된 테이프, 천연 크래프트, 3-웨이(way) 보강된, 경량용(light duty), 경제적 등급, 물-활성화된 카톤 밀봉 테이프이다. 3가지 시도 필름 라미네이팅된 물 활성화된 테이프는 일반적으로 유사한 접착제 층 및 접착제 중량, 일반적으로 유사한 종이 백킹 및 총 캘리퍼를 갖는다. 그러나, 시도 5 내지 7의 라미네이팅된 물 활성화된 테이프를 상기 표 3에서 핀치(Finch) 인열(ASTM D824) 데이터로 나타내는 인열 개시 강도에 대해서 상이하게 수행한다. 핀치 시험은 종방향 또는 횡방향에서 인열 개시이다. 여기서, 모든 3가지 시도는 더 높은 핀치 시험 값을 갖고, 이는 테이프가 운송 중 박스 위에서 테이프를 파괴하는 힘은 견딜 수 있음을 나타낸다. 그러나,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엘멘도르프(Elmendorf) 인열(ASTM D9122)은 비교 실시예와 비교하여 3가지 시도에 대해 훨씬 더 낮다. 이는 인열이 테이프에서 개시된 후 시도 5-6의 필름 라미네이팅된 물 활성화된 테이프가 비교적 용이하게 손으로 인열가능하고, 초기 인열이 용이하게 개시되지 않아서 테이프는 테이프가 적용되는 카톤의 운송 동안 불합격할 것임을 나타낸다.
BOPP 필름 및 BOPET 필름을 갖는 라미네이션 층으로서 100% HDPE를 사용하여 수행한 다른 시험은 불량한 접착을 가져서 유용한 카톤 밀봉 테이프를 만들지 못한다.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고 바람직한 양태를 참조하여, 이의 개질 및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할 것이다. 테이프는 바람직하게는 마스킹 테이프이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Claims (19)

  1. 상부 표면 및 기저 표면을 갖는 종이 백킹(paper backing);
    상기 종이 백킹의 상기 기저 표면에 적용된 물 활성화된 접착제(water activated adhesive); 및
    상기 종이 백킹의 상부 표면에 적용된 필름 보강 구조물(film reinforcement structure)
    을 포함하는, 물 활성화된 테이프(water activated tape)로서,
    여기서, 상기 필름 보강 구조물이
    최외측(outermost) 연신 폴리올레핀 필름(oriented polyolefin film); 및
    상기 최외측 폴리올레핀 필름을 상기 종이 백킹에 라미네이팅하는, 향상된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올레핀 플라스토머, 초저밀도 폴리에틸렌,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및 코-폴리에스테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라미네이션(lamination) 층
    을 포함하는, 물 활성화된 테이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최외측 연신 폴리올레핀 필름이 이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 또는 이축 연신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인, 물 활성화된 테이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최외측 폴리올레핀 필름이 약 0.5 mil 내지 약 2 mil의 두께를 갖는, 물 활성화된 테이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라미네이션 층이 약 0.5 mil 내지 약 2 mil의 두께를 갖는, 물 활성화된 테이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라미네이션 층이 약 1 mil 내지 약 1.3 mil의 두께를 갖는, 물 활성화된 테이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종이 백킹이 크라프트지(Kraft paper)를 포함하는, 물 활성화된 테이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미네이션 층이 상기 향상된 폴리에틸렌 수지를 포함하는, 물 활성화된 테이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라미네이션 층이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를 추가로 포함하는, 물 활성화된 테이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라미네이션 층이 상기 향상된 폴리에틸렌 수지 약 40%w/w 내지 99%w/w를 포함하는, 물 활성화된 테이프.
  10. 종이 백킹의 주요 기저 표면(bottom major surface)을 한정하는 물 활성화된 접착제를 갖는 종이 백킹을 포함하는 물 활성화된 종이 테이프를 제공하는 단계;
    최외측 연신 필름; 및
    향상된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올레핀 플라스토머, 초저밀도 폴리에틸렌,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및 코-폴리에스테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최내측(innermost) 라미네이션 층을 포함하는 필름 보강 구조물을, 상기 종이 백킹에, 상기 물 활성화된 접착제와는 다른 편에(opposite), 압출 라미네이팅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필름 라미네이팅된 물 활성화된 종이 테이프의 제조 방법으로서,
    여기서, 상기 최내측 라미네이션 층이 상기 종이 백킹에 인접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압출 라미네이팅이 상기 최외측 폴리올레핀 필름 및 상기 최내측 라미네이션 층을 공압출(coextruding)하고, 이후에 이의 온도를 감소시킴을 포함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공압출이, 상기 최외측 폴리올레핀 필름을 약 0.5 mil 내지 약 2.0 mil의 두께를 갖도록 압출하고, 상기 최내측 라미네이션 층을 약 0.5 mil 내지 약 2.0 mil의 두께를 갖도록 압출함을 포함하는,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종이 백킹을 제공하고, 상기 물 활성화된 접착제를 이의 주요 기저 표면에 적용함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최내측 라미네이션 층이 상기 향상된 폴리에틸렌 수지를 포함하는, 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최외측 폴리올레핀 필름이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 또는 이축-연신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인,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최내측 라미네이션 층이 향상된 폴리에틸렌 수지 100%인, 방법.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라미네이션 층이 상기 향상된 폴리에틸렌 수지 약 40%w/w 내지 99%w/w를 포함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라미네이션 층이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잔량으로(in balance) 포함하는,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라미네이션 층이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KR1020177002169A 2014-06-25 2015-06-25 필름 라미네이팅된, 물 활성화된 종이 테이프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7002314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62016685P 2014-06-25 2014-06-25
US62/016,685 2014-06-25
PCT/US2015/037703 WO2015200643A1 (en) 2014-06-25 2015-06-25 Film laminated, water activated paper tape and methods of making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3147A true KR20170023147A (ko) 2017-03-02

Family

ID=54929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2169A KR20170023147A (ko) 2014-06-25 2015-06-25 필름 라미네이팅된, 물 활성화된 종이 테이프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150376467A1 (ko)
EP (1) EP3160747B1 (ko)
JP (1) JP2017529255A (ko)
KR (1) KR20170023147A (ko)
CN (1) CN106536200A (ko)
BR (1) BR112016028667A2 (ko)
CA (1) CA2950447C (ko)
ES (1) ES2711530T3 (ko)
MX (1) MX2016016912A (ko)
WO (1) WO201520064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5657B1 (ko) 2022-05-13 2023-02-07 주식회사 지피씨 수해리성 종이테이프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X2023002788A (es) * 2020-09-09 2023-05-29 Intertape Polymer Corp Cinta adhesiva sostenible activada por agua.
WO2023200613A1 (en) * 2022-04-11 2023-10-19 Intertape Polymer Corp. Repulpable reinforced water-activated tape
CN116120857A (zh) * 2022-12-29 2023-05-16 浙江辉柯纸塑制品有限公司 一种硅面颜色纸底不干胶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51877A (en) * 1980-10-06 1982-09-28 Williams Robert E Multiple layered laminated strippable tape
US20040051198A1 (en) * 1990-11-14 2004-03-18 Kazuki Yamada Method for manufacturing a lamination product and a carton for liquid
JP3040261B2 (ja) * 1992-01-06 2000-05-15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クラフト粘着テープ及びその製造方法
US5190798A (en) * 1992-01-09 1993-03-02 Gilbert Bloch Paper-plastic film, fiberglass-reinforced sealing tape
US5962099A (en) * 1992-11-12 1999-10-05 Bloch; Gilbert Pressure-sensitive paper-plastic film laminate tape
US5804024A (en) * 1993-12-20 1998-09-08 Bloch; Gilbert Paper-film laminate sealing tape
US5780150A (en) * 1993-12-20 1998-07-14 Bloch; Gilbert Paper-film laminate sealing tape
US5686180A (en) * 1994-09-29 1997-11-11 Central Products Company Water activated adhesive and paper-plastic tape containing same
JP4765277B2 (ja) * 2004-07-30 2011-09-07 東ソー株式会社 積層体
US7767295B2 (en) * 2006-10-30 2010-08-03 Eric Steinzor Reinforced packing tape with tamper indicator
US7601420B2 (en) * 2007-06-15 2009-10-13 Berry Plastics Corporation Slip-cling stretch film
CN101391501B (zh) * 2007-09-20 2012-07-04 泉州利昌塑胶有限公司 纸塑热复合用双向拉伸聚丙烯薄膜及其制造方法
JP5891556B2 (ja) * 2011-10-19 2016-03-23 株式会社ユポ・コーポレーション 水活性化シート、同シートを用いた水活性化ラベル、同ラベルの製造方法、同ラベルを用いたラベル貼着装置および同ラベル付き被着体
EP2773713B1 (en) * 2011-10-31 2019-04-10 Intertape Polymer Corp. Pressure-chromic tape and methods of making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5657B1 (ko) 2022-05-13 2023-02-07 주식회사 지피씨 수해리성 종이테이프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6028667A2 (pt) 2017-08-22
EP3160747B1 (en) 2018-12-19
JP2017529255A (ja) 2017-10-05
US20150376467A1 (en) 2015-12-31
CA2950447A1 (en) 2015-12-30
MX2016016912A (es) 2017-04-25
WO2015200643A1 (en) 2015-12-30
CA2950447C (en) 2021-01-19
CN106536200A (zh) 2017-03-22
ES2711530T3 (es) 2019-05-06
EP3160747A4 (en) 2017-11-08
EP3160747A1 (en) 2017-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45879B2 (ja) リサイクル適合性で簡単に引き裂くことができかつ良好なバリア作用を持つ包装用積層材及びそれの製造法
JP4152941B2 (ja) 包装積層材、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包装積層材から製造された包装容器
US8603378B2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thin layers of silicone, thin silicone and use
US20070187279A1 (en) Strip tape, a packaging container having such a strip tape, and a method of producing such a strip tape
RU2226467C2 (ru) Чувствительная к давлению ламинированная лента из бумаги и пластиковой пленки
JP5302725B2 (ja) 粘着テープ
KR20170023147A (ko) 필름 라미네이팅된, 물 활성화된 종이 테이프 및 이의 제조 방법
DE102008005565A1 (de) Folie aus Polypropylen, Verwendung derselben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der Folie
AU2013404584A1 (en) Packaging and material for making same
US20140272380A1 (en) Co-extruded plastic film with a foam core and a method for coating the film on a substrate
US7316848B2 (en) Heat sealable and peelable film
KR102494458B1 (ko) 고광학 특성의 종방향 배향된 라벨 페이스스톡
JP6315798B2 (ja) 多層シーラントフィルム
JP2016159932A (ja) 多重袋
KR101663497B1 (ko)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복합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포장재
WO2007147811A2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dünner schichten eines silikons und dünnes silikon
JP4906662B2 (ja) 易切開性多層容器
CA2973954A1 (en) Multi-layer film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and using the same
CN109890882B (zh) 薄膜、卷绕体及粘合带
JP2007536132A (ja) 伸長多層フィルム
JP2020121455A (ja) 包装材料およびリサイクル方法
JP2012076305A (ja) 積層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21181175A (ja) 積層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薄膜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19142598A (ja)
JPH11333998A (ja) オレフィン系樹脂製多層フィルム又はシー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