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3119A - 일회용 핫팩 - Google Patents

일회용 핫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3119A
KR20170023119A KR1020177001893A KR20177001893A KR20170023119A KR 20170023119 A KR20170023119 A KR 20170023119A KR 1020177001893 A KR1020177001893 A KR 1020177001893A KR 20177001893 A KR20177001893 A KR 20177001893A KR 20170023119 A KR20170023119 A KR 201700231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ivated carbon
fragrance
hot pack
disposable hot
adsorp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1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8969B1 (ko
Inventor
히로후미 게호
지아키 다무라
히로시 아사이
고지 나카야마
Original Assignee
다이니혼 죠츄기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니혼 죠츄기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니혼 죠츄기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231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31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89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89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61F7/03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thermophore, i.e. self-heating, e.g. using a chemical reaction
    • A61F7/03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thermophore, i.e. self-heating, e.g. using a chemical reaction using oxygen from the air, e.g. pocket-stoves
    • A61F7/034Flamel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61F7/03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thermophore, i.e. self-heating, e.g. using a chemical rea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61F7/03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thermophore, i.e. self-heating, e.g. using a chemical reaction
    • A61F7/03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thermophore, i.e. self-heating, e.g. using a chemical reaction using oxygen from the air, e.g. pocket-sto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61F2007/0203Cataplasms, poultices or compresses, characterised by their contents; Bag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61F2007/0203Cataplasms, poultices or compresses, characterised by their contents; Bags therefor
    • A61F2007/022Bag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61F7/03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thermophore, i.e. self-heating, e.g. using a chemical reaction
    • A61F7/03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thermophore, i.e. self-heating, e.g. using a chemical reaction using oxygen from the air, e.g. pocket-stoves
    • A61F7/034Flameless
    • A61F2007/036Fuels
    • A61F2007/038Carbon or charcoal, e.g. activ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철분으로부터 유래하는 불쾌취를 억제하면서, 향료에 의한 방향(芳香) 효과를 발휘시키고, 또한 안정된 발열을 지속 가능한 일회용 핫팩을 제공한다. 통기성을 가지는 수납 백(bag)(1)에, 철분, 활성탄(3), 염류, 흡수성 수지, 및 물을 포함하는 발열 조성물과, 향료(4)와, 활성탄(3)으로의 향료(4)의 흡착을 억제하는 향료 흡착 억제제(5)를 봉입(封入)한다. 향료 흡착 억제제(5)는, 활성탄(3)보다 요오드 흡착능이 낮은 저활성 물질을 포함한다. 저활성 물질은, 부활(activation) 처리 전의 활성탄 전구체(前驅體)이며, 바람직하게는 소회(素灰)이다.

Description

일회용 핫팩{DISPOSABLE BODY WARMER}
본 발명은, 방향(芳香) 효과를 나타내는 일회용 핫팩에 관한 것이다.
일회용 핫팩은, 가볍게 몸을 녹일 수 있는 일용품으로서 많은 사람에게 사용되고 있다. 일회용 핫팩은, 의복에 넣어서 사용하는 것, 등이나 발에 붙이는 타입의 것, 구두 중에 넣어서 사용하는 것, 머플러와 같이 목에 감아서 붙이는 것 등, 다양한 타입의 상품이 시판되고 있다. 최근, 소비자의 요구가 다양화하고, 전술한 각종 타입의 일회용 핫팩에 있어서, 방향성을 가지는 상품이 요구되고 있다. 그런데, 일회용 핫팩은 원재료로부터 유래하는 독특한 냄새가 있으므로, 사용 시에 이 냄새를 불쾌하게 느끼는 소비자는 적지 않다. 일회용 핫팩의 원재료는, 주로, 철분, 활성탄, 물, 염류, 및 보수재(保水材) 등이다. 일회용 핫팩에 방향성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위에 든 원재료에 향료를 추가하게 되지만, 이 때 원재료의 하나인 활성탄이 향료를 흡착하기 때문에, 향료의 방향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이 문제에 대하여, 종래, 원재료의 배합을 연구하여 방향성을 높이고자 한 발열구(일회용 핫팩)가 있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을 참조). 특허 문헌 1에 의하면, 원재료로서, 요오드 흡착 성능이 500 mg/g 이하인 산화 촉진제, 피산화성 금속분(金屬粉) 및 물을 함유하는 발열성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일회용 핫팩에 향료를 함유한 경우라도 향료가 활성탄에 흡착되기 어렵고, 사용 시에 방향 효과가 발휘되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또한, 산화 촉진제의 요오드 흡착 성능을 더욱 낮게 설정한 발열구(일회용 핫팩)가 있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2를 참조). 특허 문헌 2에서는, 일회용 핫팩의 원재료의 하나인 산화 촉진제로서, 요오드 흡착 성능이 특허 문헌 1보다 낮은 400 mg/g 이하인 것을 선택하고, 또한 금속 이온 봉쇄제(封鎖劑)를 병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원재료를 사용함으로써, 발열성 조성물로부터 유래하는 불쾌취(不快臭)를 억제하면서, 일회용 핫팩의 방향성의 소실이나 변화를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일본공개특허 제2013-176549호 공보 일본공개특허 제2014-30486호 공보
특허 문헌 1, 및 특허 문헌 2의 일회용 핫팩은, 요오드 흡착 성능이 낮은 산화 촉진제를 사용함으로써, 향료가 산화 촉진제에 흡착되는 것을 억제하고, 원하는 방향 효과를 발휘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그런데, 요오드 흡착 성능이 낮은 산화 촉진제를 사용하면, 핫팩 내에 받아들여지는 산소의 양이 감소하고, 그 결과, 철분의 산화 반응이 원활하게 진행하지 않고, 안정된 발열을 생기게 할 수 없게 되는 것과 같은 별도의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산화 촉진제의 요오드 흡착 성능이 낮으면, 일회용 핫팩의 사용 후기에 산소와 미반응의 철분이 잔존하는 경우가 있고, 이와 같은 경우, 철분 유래의 불쾌한 냄새가 강해진다. 이 때문에, 향료의 방향 효과가 발휘되었다고 해도, 사용자는 향료의 방향보다 철분 유래의 불쾌한 냄새 쪽을 강하게 느끼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일회용 핫팩에 있어서는, 방향성 및 발열성을 양립시키는 점에 있어서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철분으로부터 유래하는 불쾌취를 억제하면서, 향료에 의한 방향 효과를 발휘시키고, 또한 안정된 발열을 지속 가능한 일회용 핫팩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핫팩의 특징적 구성은,
통기성(通氣性)을 가지는 수납 백(bag)에,
철분, 활성탄, 염류, 흡수성(吸水性) 수지, 및 물을 포함하는 발열 조성물과,
향료와,
상기 활성탄으로의 상기 향료의 흡착을 억제하는 향료 흡착 억제제를 봉입(封入)하여 이루어지는 것에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일회용 핫팩의 원재료인 철분, 활성탄, 염류, 흡수성 수지, 및 물을 포함하는 발열 조성물에 향료를 함유시키는 목적 중 하나는, 철분으로부터 유래하는 불쾌취를 저감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발열 조성물에 단지 향료를 추가한 것만으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가 생기므로, 일회용 핫팩으로서 충분한 성능을 얻는 것은 곤란하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예의(銳意) 연구한 끝에, 활성탄에 의한 향료의 흡착을 억제하는 「향료 흡착 억제제」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전술한 문제를 해소 또는 저감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향료 흡착 억제제는, 활성탄으로의 향료의 흡착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으므로, 일회용 핫팩에 향료를 부여한 경우, 향료의 방향 효과를 발휘시킬 수 있다. 또한, 향료 흡착 억제제는, 활성탄의 산소 흡착 효과를 크게 저해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일회용 핫팩 내에 공기 중의 산소가 확실하게 받아들여지고, 철분과 산소의 산화 발열 반응이 원활하게 진행하고, 일회용 핫팩의 사용 초기로부터 안정된 발열을 생기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사용 후기가 되면 철분은 대부분이 산화되어 소비되어 있으므로, 철분 유래의 불쾌한 냄새는 거의 생기지 않고, 생긴다고 해도 약간 느낄 정도의 취기(臭氣)로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구성의 일회용 핫팩이면, 사용 초기로부터 사용 후기까지 안정된 발열을 생기게 하면서, 향료의 방향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회용 핫팩이면, 사용자의 몸을 따뜻하게 하면서, 방향에 의한 릴랙스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핫팩에 있어서,
상기 수납 백에, 상기 향료와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향료를 부착 또는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일회용 핫팩은, 통기성을 가지는 수납 백에, 발열 조성물, 향료, 및 향료 흡착 억제제를 봉입하였지만, 이 수납 백에 향료를 사전에 부착 또는 함유시켜 둘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수납 백을 사용한 경우, 원재료로서 함유된 향료와 함께, 수납 백에 부착 또는 함유된 향료의 방향 효과가 상승적(相乘的)으로 발휘된다. 이 때문에, 사용자는 향료의 방향을 보다 강하게 실감할 수 있고, 철분으로부터 유래하는 불쾌취를 거의 느낄 수 없게 된다. 또한, 일회용 핫팩의 온감(溫感) 효과는 물론, 상기한 방향 효과에 의해 높은 릴랙스 효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핫팩의 특징적 구성은,
향료를 부착 또는 함유시킨 통기성을 가지는 수납 백에,
철분, 활성탄, 염류, 흡수성 수지, 및 물을 포함하는 발열 조성물과,
상기 활성탄으로의 상기 향료의 흡착을 억제하는 향료 흡착 억제제를 봉입하여 이루어지는 것에 있다.
본 구성의 일회용 핫팩은, 철분 등의 핫팩의 원재료를 수납하는 통기성을 가지는 수납 백에 향료를 부착 또는 함유시키고, 철분으로부터 유래하는 불쾌취를 저감하고, 향료의 방향 효과를 발휘하고자 하는 것이다. 여기서, 원재료의 하나로서 「향료 흡착 억제제」를 사용함으로써, 활성탄으로의 향료의 흡착이 억제되고, 향료의 방향 효과를 발휘시킬 수 있다. 또한, 향료 흡착 억제제는, 활성탄의 산소 흡착 효과를 크게 저해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일회용 핫팩 내에 공기 중의 산소가 확실하게 받아들여지고, 철분과 산소의 산화 발열 반응이 원활하게 진행하고, 일회용 핫팩의 사용 초기로부터 안정된 발열을 생기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사용 후기에는 철분은 대부분이 산화되어 소비되므로, 철분 유래의 불쾌한 냄새는 거의 생기지 않고, 생긴다고 해도 약간 느낄 정도의 취기로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본 구성의 일회용 핫팩에서는, 향료를 원재료에 함유시키지 않고 수납 백에 부착 또는 함유시키고 있으므로, 향료는 활성탄에 직접 접촉하기 어려우며, 그 결과, 활성탄으로의 향료의 흡착이 보다 억제된 것이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핫팩에 있어서,
상기 수납 백에, 상기 향료와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향료를 더욱 봉입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일회용 핫팩은, 수납 백에 향료를 부착 또는 함유시킨 것이었지만, 수납 백에 향료를 더욱 봉입할(즉, 일회용 핫팩의 원재료에 향료를 함유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일회용 핫팩이면, 수납 백에 부착 또는 함유된 향료와 함께, 원재료로서 함유된 향료의 방향 효과가 상승적으로 발휘된다. 이 때문에, 사용자는 향료의 방향을 더욱 강하게 실감할 수 있고, 철분으로부터 유래하는 불쾌취를 거의 느끼지 않게 된다. 또한, 일회용 핫팩의 온감 효과는 물론, 상기한 방향 효과에 의해 높은 릴랙스 효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핫팩에 있어서,
상기 향료 흡착 억제제는, 상기 활성탄보다 요오드 흡착능이 낮은 저활성 물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구성의 일회용 핫팩은, 활성탄보다 요오드 흡착능이 낮은 저활성 물질을 포함하는 향료 흡착 억제제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활성탄의 향료 흡착능을 저하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사용 시에 일회용 핫팩으로부터 향료가 충분히 발산되고, 방향 효과를 발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핫팩에 있어서,
상기 저활성 물질은, 부활(activation) 처리 전의 활성탄 전구체(前驅體)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구성의 일회용 핫팩에 의하면, 저활성 물질로서 부활 처리 전의 활성탄 전구체를 사용함으로써, 활성탄의 향료 흡착능을 확실하게 저하시킬 수 있다. 또한, 활성탄 전구체는, 일회용 핫팩의 산화 촉진제인 활성탄의 원료이므로, 발열 조성물과 혼합했을 때의 친화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일회용 핫팩의 성능 열화나 변질 등의 우려가 없고, 장기 보존성도 우수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핫팩에 있어서,
상기 저활성 물질은, 소회(素灰)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구성의 일회용 핫팩에 의하면, 저활성 물질로서 소회를 사용함으로써, 활성탄의 향료 흡착능을 확실하게 저하시킬 수 있다. 또한, 소회는, 일회용 핫팩의 산화 촉진제인 활성탄과 성분적으로 유사하므로, 발열 조성물과 혼합했을 때의 친화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일회용 핫팩의 성능 열화나 변질 등의 우려가 없고, 장기 보존성도 우수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핫팩에 있어서,
상기 활성탄과 상기 향료 흡착 억제제를 합친 요오드 흡착능의 평균값이, 510∼700 mg/g으로 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구성의 일회용 핫팩에 의하면, 활성탄과 향료 흡착 억제제를 합친 요오드 흡착능의 평균값이, 510∼700 mg/g으로 조정되어 있으므로, 활성탄으로의 향료 흡착 억제 효과와, 활성탄에 의해 흡착된 산소 및 철분의 산화 발열 반응의 밸런스가 우수하게 된다. 그 결과, 철분으로부터 유래하는 불쾌취를 억제하면서, 향료에 의한 방향 효과를 발휘시키고, 또한 안정된 발열을 지속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핫팩에 있어서,
상기 활성탄과 상기 향료 흡착 억제제의 배합 비율이, 1.4:1∼4:1로 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구성의 일회용 핫팩에 의하면, 활성탄과 향료 흡착 억제제의 배합 비율이, 1.4:1∼4:1로 조정되어 있으므로, 활성탄으로의 향료 흡착 억제 효과와, 활성탄에 의해 흡착된 산소 및 철분의 산화 발열 반응의 밸런스가 우수하게 된다. 그 결과, 철분으로부터 유래하는 불쾌취를 억제하면서, 향료에 의한 방향 효과를 발휘시키고, 또한 안정된 발열을 지속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핫팩에 있어서,
상기 활성탄은, 산화 반응 촉진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구성의 일회용 핫팩에 의하면, 산화 반응 촉진제인 활성탄이, 산소와 철분의 산화 발열 반응을 촉진시키므로, 일회용 핫팩으로서의 성능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일회용 핫팩에서의 활성탄, 향료, 및 향료 흡착 억제제의 거동(擧動)에 대하여 설명하는 모델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의 일회용 핫팩에서의 활성탄, 향료, 및 향료 흡착 억제제의 거동에 대하여 설명하는 모델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회용 핫팩에 관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형태나 도면에 기재되는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발열 조성물>
본 발명의 일회용 핫팩은, 철분, 활성탄, 염류, 흡수성 수지, 및 물을 포함하는 발열 조성물을 주원료로 하는 것이다. 발열 조성물의 조성을 조정함으로써, 핫팩이 발열할 때까지의 시간이나, 발열 시의 최고 온도, 및 발열의 지속 시간 등을 콘트롤할 수 있다. 이하, 발열 조성물의 각각의 조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철분은, 공기 중의 산소와 반응하여 산화 발열 반응이 생기는 금속분이다. 핫팩의 원재료가 되는 철분에는, 환원 철분, 주철분(鑄鐵粉), 아토마이즈드(atomized) 철분, 전해 철분 등이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철분은, 입상(粒狀), 섬유상(纖維狀) 등의 것을 혼재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철분에는, 철분 이외의 금속분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그와 같은 금속분으로서, 아연 가루, 알루미늄 가루, 마그네슘 가루, 동분(銅粉), 니켈분, 및 주석 가루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이들 금속분은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금속분은, 입상, 섬유상 등의 것을 혼재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활성탄은, 그 큰 비표면적(比表面的)에 의한 우수한 흡착능을 이용하여, 공기 중의 산소를 효율적으로 일회용 핫팩 내에 받아들이고, 산소와 철분의 산화 발열 반응을 촉진시키는 산화 반응 촉진제로서의 기능을 가진다. 이로써, 일회용 핫팩으로서의 성능(지속 시간, 및 온도)을 높일 수 있다. 활성탄은, 그 형상에 따라 분류된다. 일회용 핫팩에 사용되는 활성탄은, 주로, 분말상 활성탄, 및 입상 활성탄이다. 분말상 활성탄의 원재료로서, 톱밥, 경질의 목재 칩, 목탄, 초탄(草炭)(피트(peat))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입상 활성탄의 원재료로서, 목탄, 야자껍질탄(coconut shell charcoal), 석탄(아탄(亞炭), 갈탄, 역청탄, 무연탄 등), 오일 카본, 페놀 수지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이들 원재료는, 예를 들면, 가스 부활이나 약품 부활 등의 처리를 행함으로써 활성화된다. 입상 활성탄은, 또한 파쇄탄, 과립탄, 조립탄(造粒炭), 및 구상탄(球狀炭)으로 분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활성탄 이외라고 하더라도, 산소 흡착능이 우수하고, 산소와 철분의 산화 발열 반응을 촉진할 수 있 물질(산화 반응 촉진제)이면, 일회용 핫팩의 원재료로서 사용할 수 있다.
염류는, 철분의 산화를 촉진하는 기능을 가진다. 염류를 예시하면, 염화 나트륨, 염화 칼슘, 염화 마그네슘, 염화 알루미늄, 염화 칼륨, 및 염화 아연 등이 있다. 이들 염류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철분의 산화를 촉진시키기 위해, 원재료에는 상기한 염류와 함께 물이 함유되지만, 원재료에 물을 첨가하면 철분이 끈적거리게 된다. 이에, 철분의 끈적거림을 방지하고, 원활하게 움직이는 상태로 유지하기 위하여, 원재료에 흡수성 수지를 더욱 함유시킨다. 흡수성 수지를 예시하면, 이소부틸렌-무수말레산 공중합체, 폴리비닐알코올-아크릴산 공중합체, 전분-아크릴산염 그라프트 공중합체, 폴리아크릴산염 가교물, 아크릴산염-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아크릴산염-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 폴리아크릴니트릴 가교물의 가수분해물, 폴리아스파라긴산염계 수지, 폴리글루타민산염계 수지, 및 폴리알긴산염계 수지 등이 있다. 이들 흡수성 수지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한 흡수성 수지와 동일한 목적으로 보수제(保水劑)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보수제를 예시하면, 버미큐라이트, 펄라이트, 규산 칼슘, 카올리나이트, 탈크, 스멕타이트, 마이카, 벤토나이트, 탄산 칼슘, 실리카겔, 알루미나, 제올라이트, 이산화 규소, 목분(木粉), 및 면 등이 있다. 이들 보수재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보수제는 상기한 흡수성 수지와 병용할 수 있고, 또한 2종 이상의 보수제를 흡수성 수지와 병용할 수도 있다.
물은, 상기한 바와 같이, 염류와 함께 철분의 산화를 촉진하는 기능을 가지고, 증류수, 수도수(水道水), 이온 교환수, 및 공업용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회용 핫팩은, 상기한 발열 조성물에 추가하여, 알칼리 금속의 약산염, 알칼리토류 금속의 약산염, 메타규산염 등의 수소 발생 억제제, 증점제, 부형제(賦形劑), 계면활성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이들의 함유량은, 발열 조성물을 구성하는 각 성분의 함유 비율, 수납 백으로의 발열 조성물의 충전량, 일회용 핫팩의 사용 목적 등에 따라,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다.
<향료>
본 발명의 일회용 핫팩은, 온감 효과에 더하여, 방향 효과나 릴랙스 효과를 나타내도록, 향료가 부여된다. 향료를 예시하면, 갈락솔라이드, 무스크 케톤, 헥실신남알데히드, 에틸렌 브라실레이트, 메틸아트라레이트, 헥실살리실레이트, 오렌자크리스탈, 테르피네올, 시트로넬롤, 게라니올, 네롤, 리날로올, 디하이드로리날로올, 테트라하이드로리날로올, 디하이드로미르세놀, 멘톨, 보르네올, 이소보르네올, 시트로넬랄, 시트랄, 디메틸옥타날, 카르본, 디하이드로카르본, 플레곤, 멘톤, 트리시클로데세닐아세테이트, 암브록산, 캐시멜란, 카론, 헬리오트로핀, 인돌 아로마, 인돌, 메틸세드릴케톤, 메틸β-나프틸케톤, 메틸디하이드로쟈스모네이트, 로즈페논, 7-아세틸-1,2,3,4,5,6,7,8-옥타하이드로-1,1,6,7-테트라메틸나프탈렌, 아세토아세트산-m-크실리다이드, 아세토아세트산-o-톨루이다이드, 아세토시린곤, 아세틸트리에틸시트레이트, 벤조페논, 벤질벤조에이트, 벤질카프릴레이트, 벤질신나메이트, 벤질오이게놀, 벤질라우레이트, 벤질메틸티글레이트, 벤질페닐에테르, 벤질페닐아세테이트, 벤질살리실레이트, 게라닐안트라닐레이트, 게라닐헥사노에이트, 게라닐시클로펜타논, 게라닐페닐아세테이트, 헥실페닐아세테이트, 이코산, 인단, 신나밀부티레이트, 신나밀페닐아세테이트, 헥세닐벤조에이트, 시트랄디에틸아세탈, 이오논, 이소아밀벤조에이트, 리날릴옥타노에이트, 1-멘틸살리실레이트, 시트로넬릴안트라닐레이트, 디메틸페네틸카르비닐이소부티레이트, 디페닐옥시드, 도데실부티레이트, 에틸바닐레이트, 에틸바닐린, 멘틸이소발레레이트, 메톡시에틸페닐글리시데이트, 메틸2,4-디하이드록시-3,6-디메틸벤조에이트, 네롤리딜아세테이트, 넬릴이소발레레이트, 옥테닐시클로펜타논, 옥틸카프릴레이트, 페네틸이소아밀에테르, 페네틸옥타노에이트, 페네틸페닐아세테이트, 에틸바닐린아세테이트, 에틸바닐린프로필렌글리콜아세탈, 에틸헥실팔미테이트, 오이게닐벤조에이트, 파네솔, 파네실아세테이트, 파네실메틸에테르, 포름알데히드시클로도데실메틸아세탈, 포르밀에틸테트라메틸테트랄린, 푸르푸릴벤조에이트, γ-도데카락톤, 페네틸살리실레이트, 페녹시에틸프로피오네이트, 페닐벤조에이트, 페닐디술피드, 산탈릴부티레이트, 테트라하이드로-슈도이오논, 테오브로민, 발렌센, 캠퍼, 다마스콘 등의 모노테르펜계 케톤, 네랄, 페릴라알데히드 등의 모노테르펜계 알데히드, 신나밀포르메이트, 게라닐포르메이트 등의 에스테르 화합물, 페닐에틸알코올, 아세토페논, 알릴카프로네이트, 아밀신나믹알데히드, 아밀살리실레이트, 벤즈알데히드, 벤질아세테이트, 벤질알코올, 캠퍼, 신나믹알코올, 쿠마린, 디하이드로리날로올, 디하이드로미르세놀, 디페닐옥사이드, 에틸-2-메틸부티레이트, 헤디온, 헥사놀, 시스-3-헥사놀, 이소아밀아세테이트, 릴리알, 메틸벤조에이트, 메틸이오논, 메틸살리실레이트, α-피넨, β-피넨, 로즈옥사이드, 테르피네올, γ-노나락톤, γ-운데카락톤, 및 바닐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플로랄계 향료, 감귤계 향료, 각종 정유류도 사용 가능하며, 예를 들면, 시트로넬라유, 오렌지유, 레몬유, 라임유, 유자유, 라벤더유, 페퍼민트유, 신나몬유, 유칼리유, 레몬유칼리유, 히바유, 자몽기름, 시더우드유, 제라늄유, 타임 화이트유, 박하유, 쟈스민유, 편백 오일(Hinoki cypress oil), 녹차 정유, 네롤리유, 베르가못유, 페티그레인유(Petitgrain oil), 레몬그래스유, 바닐라유, 캐모마일유, 로즈마리유, 세이지유, 생강유, 일랑일란유(ylang-ylang oil), 민트유, 로즈유, 릴리유, 라일락유, 카르다몬유, 레몬그래스유, 네롤리유, 샌들우드유, 아니스유, 캐러웨이유, 호박유, 사향유, 카스토륨유, 글러브오일, 쑥오일, 및 베티버유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사향 등의 동물로부터 채취되는 동물계 향료도 사용 가능하다.
위에 든 향료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복수 종류를 병용할 수도 있다. 향료는 단지 방향 효과를 가질 뿐만 아니라, 릴랙스 효과도 나타내므로, 일회용 핫팩의 용도나 사용 상황 등에 따라 최적인 향료를 선택하고, 방향을 조정하면, 다종 다양한 방향을 나타내는 일회용 핫팩을 얻을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회용 핫팩에 사용하는 향료로서, 일회용 핫팩이 발열하는 초기로부터 방향이 발산되고, 일회용 핫팩의 온기가 지속하고 있는 동안은 방향 효과가 지속 가능한 향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회용 핫팩이 발열하여 사용자가 만족하는 온기인40∼60 ℃에 있어서, 효과적으로 방향 효과를 나타내고, 또한 그 방향 효과를 지속시키기에 바람직한 향료로서, 예를 들면, 쑥오일, 생강유, 플로랄계 향료, 및 감귤계 향료가 있다.
<향료 흡착 억제제>
본 발명의 일회용 핫팩은, 상기한 철분, 활성탄, 염류, 흡수성 수지, 및 물을 포함하는 발열 조성물, 및 향료와 함께, 활성탄에 의한 향료의 흡착을 억제하는 「향료 흡착 억제제」를 함유한다. 향료 흡착 억제제는, 활성탄으로의 향료의 흡착을 억제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이다. 일회용 핫팩의 원재료에 향료 흡착 억제제를 첨가해 두면, 상기 일회용 핫팩에 더욱 향료를 추가한 경우, 향료가 활성탄에 흡착되기 어려워져, 활성탄으로의 흡착을 회피한 향료가 일회용 핫팩의 외부로 발산되어 방향 효과를 발휘시킬 수 있다. 또한, 향료 흡착 억제제는, 활성탄의 산소 흡착 효과를 크게 저해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일회용 핫팩 내에 공기 중의 산소가 확실하게 받아들여져, 철분과 산소의 산화 발열 반응이 원활하게 진행하여, 일회용 핫팩의 사용 초기로부터 안정된 발열을 생기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일회용 핫팩의 사용 후기가 되면 철분은 대부분이 산화되어 소비되어 있으므로, 철분 유래의 불쾌한 냄새는 거의 생기지 않고, 생긴다고 해도 약간 느낄 정도의 취기로 되어 있다.
상기한 향료 흡착 억제제는, 요오드 흡착능이 활성탄보다 낮은 저활성 물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와 같은 저활성 물질로서, 활성탄이 생성하기 전단계의 상태의 것(부활 처리 전의 활성탄 전구체)을 예로 들 수 있다. 여기서, 활성탄의 생성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하면, 일회용 핫팩의 활성탄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분말상 활성탄이나 입상 활성탄이 사용된다. 분말상 활성탄은, 목탄 등의 원재료를 염화 아연이나 인산 등의 약품에 함침(含浸)시키거나, 또는 탄화시킨 후, 부활 처리를 행하고, 정제(精製), 파쇄하여 생성된다. 입상 활성탄은, 목탄 등의 원재료에 대하여, 분쇄·성형, 탄화, 부활 처리, 정제·체질(sieving)의 각각의 공정을 행함으로써 생성된다. 입상 활성탄의 생성 방법은 주로 3종류 있으며, 상기한 각각의 공정을 행하는 순번이 상이하다. 제1 생성 방법은, 원재료를 분쇄·성형하고, 탄화한 후, 부활 처리를 행하고, 정제·체질하는 방법이다. 제2 생성 방법은, 원재료를 탄화한 후에 파쇄하고, 부활 처리를 행하고, 정제·체질하는 방법이다. 제3 생성 방법은, 원재료를 탄화한 후, 분쇄·성형하고, 부활 처리를 행하고, 정제·체질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최종 생성품이 분말상 활성탄인 경우, 요오드 흡착능이 활성탄보다 낮은 저활성 물질로서, 원재료의 부활 처리 전의 것, 즉 활성탄으로서 생성되기 전단계의 상태의 것(부활 처리 전의 활성탄 전구체)을 이용할 수 있다. 그와 같은 부활 처리 전의 활성탄 전구체로서, 원재료를 염화 아연이나 인산 등의 약품에 함침시킨 후의 것, 탄화시킨 후의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최종 생성품이 입상 활성탄인 경우도 분말상 활성탄과 마찬가지로, 원재료를 분쇄·성형한 후의 것, 분쇄·성형하고, 탄화 처리한 후의 것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요오드 흡착능이 활성탄보다 낮은 저활성 물질을 향료 흡착 억제제에 포함시킨 경우, 활성탄의 향료 흡착능을 저하시킬 수 있고, 사용 시에 일회용 핫팩으로부터 향료가 충분히 발산되어, 방향 효과를 발휘시킬 수 있다.
향료 흡착 억제제가 부활 처리 전의 활성탄 전구체인 경우에는, 활성탄의 향료 흡착능을 확실하게 저하시킬 수 있다. 그 결과, 향료의 방향 효과를 보다 강하게 발휘시킬 수 있다. 그리고, 활성탄 전구체는, 일회용 핫팩의 산화 촉진제인 활성탄의 원료이므로, 발열 조성물과 혼합했을 때의 친화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일회용 핫팩의 성능 열화나 변질 등의 우려가 없고, 장기 보존성도 우수하다.
또한, 전술한 저활성 물질로서, 소회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명세서에서의 「소회」란, 광의로는 활성탄의 원재료 전반(全般)을 의미하고, 협의로는 부활 처리 전의 활성탄 전구체를 의미한다. 소회는, 예를 들면, 활성탄의 원재료인 목탄, 죽탄, 석탄 등의 상태, 즉 부활 처리 전의 탄소재로 간주할 수 있다. 저활성 물질로서 소회를 사용함으로써, 활성탄의 향료 흡착능을 확실하게 저하시킬 수 있다. 또한, 소회는, 일회용 핫팩의 산화 촉진제인 활성탄과 성분적으로 유사하므로, 발열 조성물과 혼합했을 때의 친화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일회용 핫팩의 성능 열화나 변질 등의 우려가 없고, 장기 보존성도 우수하다.
요오드 흡착능에 관해서는, 활성탄과 향료 흡착 억제제를 합친 요오드 흡착능의 평균값이 510∼700 mg/g으로 조정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30∼690 mg/g으로 조정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50∼650 mg/g으로 조정된다. 여기서, 「요오드 흡착능의 평균값」은, 활성탄과 향료 흡착 억제제의 혼합물에 대하여 직접 측정한 값(실측값)으로서 구해지지만, 활성탄의 요오드 흡착능과 향료 흡착 억제제의 요오드 흡착능의 가중 평균(계산값)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요오드 흡착능의 평균값이 510 mg/g보다 작은 경우, 철분과 반응하는 산소량이 적어지게 되어, 안정된 발열을 얻을 수 없을 우려가 있다. 요오드 흡착능의 평균값이 700 mg/g보다 큰 경우, 향료 흡착 억제제로서의 기능이 저하되어, 방향 효과가 얻어지기 어려워진다. 상기 범위로 요오드 흡착능의 평균값을 조정한 경우에는, 활성탄으로의 향료 흡착 억제 효과와 활성탄에 의해 흡착된 산소 및 철분의 산화 발열 반응의 밸런스가 우수하게 된다. 그 결과, 철분으로부터 유래하는 불쾌취를 억제하면서, 향료에 의한 방향 효과를 발휘시키고, 또한, 안정된 발열을 지속시킬 수 있다.
<수납 백>
본 발명의 일회용 핫팩의 원재료인 발열 조성물, 향료, 및 향료 흡착 억제제는 통기성을 가지는 수납 백에 봉입(封入)된다. 그와 같은 수납 백은, 통기성을 가지고, 발열 조성물 등의 원재료가 누출하지 않고, 핫팩의 발열에 견디고, 쉽게는 찢어지지 않는 강도의 수납 백이면 특별히 한정은 되지 않고, 종래의 일회용 핫팩에 이용되어 온 수납 백을 사용할 수 있다.
수납 백의 소재로서는, 통기성을 가지는 것이면 한정되지 않지만, 부직포가 바람직하다.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아미드, 폴리락트산, 레이온 등이 있다. 이들 섬유는, 단일종의 섬유 또는 복수 종류를 조합한 복합 섬유로 만들어서 사용된다. 또한, 부직포에 종이를 적층한 적층품이나, 폴리프로필렌/레이온과 같은 혼방품을 사용해도 상관없다. 수납 백의 단위면적당 중량은, 발열 조성물이 외부로 누출하지 않고, 또한 공기 중의 산소를 효율적으로 받아들여 산화 발열 반응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설정되고, 바람직한 단위면적당 중량은, 60∼100 g/m2이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일회용 핫팩에 사용되는 수납 백은, 다공질 필름과 부직포를 접합시킨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다공질 필름으로서는, 예를 들면, 미세 연속 기공을 표면 및 내부에 가지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우레탄류, 또는 이들을 유연하게 개질(改質)한 플라스틱류 등이 있다. 다공질 필름과 부직포를 접합시킨 수납 백을 사용한 경우, 일회용 핫팩에 봉입한 원재료의 치우침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한 수납 백의 투기도(透氣度)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안정된 발열이 생기고, 또한 사용자의 신체에 붙였을 때의 피트감이 우수한 일회용 핫팩을 구성하므로, 8000∼30000 초/100 mL 정도의 것이 바람직하다.
수납 백에는, 공기 중의 산소를 일회용 핫팩 내에 받아들이기 쉽게 하기 위하여, 다수의 핀홀(pinhole)을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핀홀을 형성한 경우, 공기 중의 산소가 일회용 핫팩 내에 한층 효율적으로 받아들여지므로, 산소와 철분의 산화 발열 반응이 촉진된다. 핀홀은, 예를 들면, 3∼5 cm의 폭으로 밴드형으로 집중적으로 형성된다. 핀홀의 구멍 직경이나 배열은, 예를 들면, 걸리(Gurley) 통기도 측정기에 의한 통기도의 값이 2∼10 초/300 cc로 되도록 설정된다.
부직포의 접합은, 접착제 등을 사용하는 등 각종 접착 방법을 사용할 수 있지만, 히트 실링(heat sealing)에 의한 열 용착에 의한 방법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납 백은, 복수 개의 분포(分包)로서 구성할 수도 있다. 1개의 분포의 사이즈나, 발열 조성물, 향료, 및 향료 흡착 억제제의 봉입량 등은, 일회용 핫팩의 사용 상황 등에 따라 적절하게 조정된다. 또한, 인접하는 분포끼리가 분리 자재의 연결부로 연결되고,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연결부의 중앙선을 따라 절취선을 설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 수납 백에 봉입되는 내용물(발열 조성물, 향료, 및 향료 흡착 억제제)의 치우침이 억제되어, 팔꿈치, 무릎 등의 굴곡되는 부위에 대하여 유연하게 피트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결부를 적절하게 분리하여, 원하는 크기나 형상으로 변화시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향료를 부착 또는 함유시킨 통기성을 가지는 수납 백에, 발열 조성물, 및 향료 흡착 억제제를 봉입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수납 백이면, 향료는 활성탄에 직접 접촉하기 어려워지고, 그 결과, 활성탄으로의 향료의 흡착이 보다 억제되는 것이 된다.
또한, 일회용 핫팩의 원재료에 향료를 함유시키고, 이것을 향료가 부착 또는 함유되어 있는 통기성을 가지는 수납 백에 봉입해도 상관없다. 이와 같은 일회용 핫팩이면, 원재료로서 함유된 향료와 함께, 수납 백에 부착 또는 함유된 향료의 방향 효과가 상승적으로 발휘된다. 이 때문에, 사용자는 향료의 방향을 더욱 강하게 실감할 수 있고, 철분으로부터 유래하는 불쾌취를 거의 느끼지 않게 된다. 또한, 일회용 핫팩의 온감 효과는 물론, 상기한 방향 효과에 의해 높은 릴랙스 효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회용 핫팩은, 수납 백 중 적어도 일부에 점착제층을 설치하고, 의복 등의 위로부터 신체에 붙여서 사용하는 접착 타입의 것으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점착제층의 상면을 보호용의 박리지(剝離紙)로 피복하고, 사용 시에 이 박리지를 벗겨서 신체나 착의(着衣) 등에 접착시킨다. 점착제층은, 물방울 모양이나 줄무늬 등의 모양을 나타내는 것이라도 된다.
상기와 같은 수납 백에 봉입된 발열 조성물, 향료, 및 향료 흡착 억제제는, 통상, 비통기성의 겉봉투에 수납되어 있다. 사용 시에 이 겉봉투를 개봉하면 일회용 핫팩가 산소에 접하기 때문에, 산화 발열 반응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회용 핫팩은, 사용 초기로부터 충분한 온기를 얻을 수 있고, 또한 일회용 핫팩의 발열이 지속하고 있는 동안, 향료의 방향 효과나 릴랙스 효과, 또한 온감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회용 핫팩의 대표적인 2개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
제1 실시형태의 일회용 핫팩은, 통기성을 가지는 수납 백에, 철분, 활성탄, 염류, 흡수성 수지, 및 물을 포함하는 발열 조성물과, 향료와, 활성탄으로의 향료의 흡착을 억제하는 향료 흡착 억제제를 봉입한 것이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일회용 핫팩에서의 활성탄, 향료, 및 향료 흡착 억제제의 거동에 대하여 설명하는 모델도이다. 도 1의 (a)는, 향료 흡착 억제제를 함유하지 않은 종래의 일회용 핫팩의 모델도이다. 도 1의 (b)는, 향료 흡착 억제제를 원재료에 함유한 본 발명의 일회용 핫팩의 모델도이다. 도 1의 (a) 및 도 1의 (b)에 있어서, 일회용 핫팩의 수납 백(1)을 사이에 두고 하측을 일회용 핫팩의 내측(즉, 원재료가 충전되어 있는 측)으로 하고, 상측을 일회용 핫팩의 외측(즉, 외기가 존재하는 측)으로 한다. 도 1의 (a) 및 도 1의 (b) 중에 나타내는 흑점은 공기 중의 산소(2)이며, 백색 원은 활성탄(3)이며, 백색 사각형은 향료(4)이다. 도 1의 (b) 중에 나타내는 백색 삼각형은 향료 흡착 억제제(5)이다. 그리고, 발열 조성물의 구성 성분인 철분, 염류, 흡수성 수지, 및 물은, 설명의 편의 상 생략한다.
도 1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기 중의 산소(2)는, 통기성을 가지는 수납 백(1)을 통과하여 일회용 핫팩의 내부로 받아들여지고, 활성탄(3)에 흡착된다. 또한, 활성탄(3)과 함께 일회용 핫팩 내에 봉입되어 있는 향료(4)도 활성탄(3)에 잇달아 흡착된다. 그 결과, 일회용 핫팩의 외부로 방출 가능한 향료(4)가 감소한다. 이 때문에, 종래의 일회용 핫팩에서는, 향료(4)를 첨가해도 그 방향 효과가 발휘되기 어려워진다. 이에 대하여, 도 1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재료에 향료 흡착 억제제(5)를 함유시킨 경우, 향료 흡착 억제제(5)는 활성탄(3)으로의 향료(4)의 흡착을 억제하고, 향료(4)는 수납 백(1)의 외측으로 확산하므로, 방향 효과가 발휘된다. 한편, 향료 흡착 억제제(5)는, 활성탄(3)의 산소(2)에 대한 흡착 효과를 크게 저해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일회용 핫팩 내에 공기 중의 산소(2)가 확실하게 받아들여져서, 철분과 산소(2)의 산화 발열 반응이 원활하게 진행하여, 일회용 핫팩의 사용 초기로부터 안정된 발열을 생기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사용 후기에는 철분은 대부분이 산화되어 소비되므로, 철분 유래의 불쾌한 냄새는 거의 생기지 않고, 생긴다고 해도 약간 느낄 정도의 취기로 된다.
[제2 실시형태]
제2 실시형태의 일회용 핫팩은, 향료를 부착 또는 함유시킨 통기성을 가지는 수납 백에, 철분, 활성탄, 염류, 흡수성 수지, 및 물을 포함하는 발열 조성물과, 활성탄으로의 향료의 흡착을 억제하는 향료 흡착 억제제를 봉입한 것이다. 도 2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일회용 핫팩에서의 활성탄, 향료, 및 향료 흡착 억제제의 거동에 대하여 설명하는 모델도이다. 도 2의 (a)는, 향료 흡착 억제제를 함유하지 않은 종래의 일회용 핫팩의 모델도이다. 도 2의 (b)는, 향료 흡착 억제제를 원재료에 함유한 본 발명의 일회용 핫팩의 모델도이다. 도 2의 (a) 및 도 2의 (b)에 있어서, 일회용 핫팩의 위치 관계(내측 및 외측), 및 각 참조 부호가 의도하는 물질은, 도 1의 (a) 및 도 1의 (b)와 동일하다. 또한, 도 2의 (a) 및 도 2의 (b)에 있어서도, 철분, 염류, 흡수성 수지, 및 물은, 설명의 편의 상 생략하고 있다.
도 2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기 중의 산소(2)는, 통기성을 가지는 수납 백(1)을 통과하여 일회용 핫팩의 내부에 받아들여지고, 활성탄(3)에 흡착된다. 또한, 일회용 핫팩의 수납 백(1)에 부착 또는 함유시킨 향료(4)도 활성탄(3)에 잇달아 흡착된다. 그 결과, 일회용 핫팩의 수납 백(1)에 부착 또는 함유시킨 향료(4)가 감소한다. 이 때문에, 종래의 일회용 핫팩에서는, 향료(4)를 부착 또는 함유시켜도 그 방향 효과가 발휘되기 어려워진다. 이에 대하여, 도 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재료에 향료 흡착 억제제(5)를 함유시킨 경우,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향료 흡착 억제제(5)는 활성탄(3)으로의 향료(4)의 흡착을 억제하고, 향료(4)는 수납 백(1)의 외측으로 확산하기 때문에, 향료(4)에 의한 방향 효과가 발휘된다. 한편, 향료 흡착 억제제(5)는, 활성탄(3)의 산소(2)에 대한 흡착 효과를 크게 저해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일회용 핫팩 내에 공기 중의 산소(2)가 확실하게 받아들여져, 철분과 산소(2)의 산화 발열 반응이 원활하게 진행하여, 일회용 핫팩의 사용 초기로부터 안정된 발열을 생기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사용 후기에는 철분은 대부분이 산화되어 소비되므로, 철분 유래의 불쾌한 냄새는 거의 생기지 않고, 생긴다고 해도 약간 느낄 정도의 취기로 된다.
또한, 제2 실시형태의 일회용 핫팩은, 향료(4)를 원재료에 함유시키지 않고 수납 백에 부착 또는 함유시키고 있으므로, 향료(4)는 활성탄(3)에 직접 접촉하기 어려워지고, 그 결과, 활성탄(3)으로의 향료의 흡착이 보다 억제되게 된다. 따라서, 향료(4)는 방향 효과를 보다 발휘할 수 있고, 철분 유래의 불쾌한 냄새는 거의 생기지 않고, 생긴다고 해도 약간 느낄 정도의 취기로 된다.
[실시예]
제1 실시형태의 일회용 핫팩에 대하여, (A) 요오드 흡착능, (B) 방향 효과, 및 (C) 온도 성능(온감 효과)을 확인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특징적 구성을 구비한 복수의 일회용 핫팩(실시예 1∼7)을 준비하고, (A)∼(C)에 관한 시험을 실시하였다. 또한, 비교를 위해, 본 발명의 특징적 구성을 구비하고 있지 않은 일회용 핫팩(비교예 1∼8)를 준비하고, 동일한 시험을 실시하였다.
실시예 1∼7의 일회용 핫팩의 원재료(조성물)를 표 1에 나타낸다. 이들 원재료 중, 철분, 염류, 흡수성 수지, 활성탄, 및 물은, 발열 조성물을 구성하는 것이다. 발열 조성물에는, 향료 및 향료 흡착 억제제가 더욱 첨가된다. 각각의 실시예에서는, 활성탄으로서 일본 엔바이로케미컬즈 가부시키가이샤에서 제조한 수증기탄 「시라사기(白鷺) PHC-14」를 사용하고, 염류로서 염화 나트륨을 사용하고, 흡수성 수지로서 폴리아크릴산염 가교물을 사용하였다. 또한, 향료로서 쑥오일(실시예 1∼3, 7), 생강유(실시예 4), 플로랄계 향료(실시예 5), 감귤계 향료(실시예 6)를 각각 사용하고, 향료 흡착 억제제로서 소회를 사용하였다. 또한, 각각의 실시예에 있어서, 활성탄과 소회의 배합 비율이 상이하도록 조제하였다. 그리고, 표 1에 나타내는 「그 외」에는, 보수제나 수소 발생 억제제 등이 포함된다.
표 1에 나타낸 배합에 따라, 각각의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핫팩의 원재료를 조제하였다. 그리고, 투기도가 20000초/100mL인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수납 백에 원재료를 봉입하여, 실시예 1∼7의 일회용 핫팩을 제작하였다. 한편, 비교예 1∼8에 대해서도,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원재료를 사용하고(단, 각각의 비교예의 활성탄과 소회의 배합 비율은 상이하게 하고 있다.), 표 2에 나타낸 배합에 따라, 각각의 비교예에 따른 일회용 핫팩의 원재료를 조제하였다. 그리고,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수납 백에 원재료를 봉입하여, 비교예 1∼8의 일회용 핫팩을 제작하였다.
(A) 요오드 흡착능의 측정
일회용 핫팩의 요오드 흡착능에 대하여, JIS K1474에 준거한 방법에 의해 평가했다. 구체적으로는, 이하의 수순 [1]∼[6]을 실시하였다.
[1] 요오드 흡착 후의 잔류 농도 범위가 2.5 g/L를 포함하도록 시료의 중량을 측정하여 취하고, 상기 시료를 균일하게 될 때까지 분쇄했다.
[2] 분쇄한 시료를 갈색 마개 부착 플라스크 100 mL로 옮겨 넣고, 여기에 0.05 mol/L의 요오드 용액을 50 mL 넣고 봉입하였다.
[3] 실온 하, 진탕기를 사용하여 약 15분간, 210회/분으로 진탕하여, 시료에 요오드를 흡착시켰다.
[4] 진탕 후의 시료의 고형분을 원심분리기로 분리하였다.
[5] 원심분리 후의 시료의 상청액 10 mL를 측정하여 취하고, 0.1 mol/L의 티오황산 나트륨 용액을 사용하여 적정(滴定)했다.
[6] 요오드의 황색이 연하게 되었을 때 지시약으로서 1 중량%의 전분 용액 1 mL를 첨가하여 적정을 더욱 계속하고, 청색이 소실되었을 때를 종점으로서 적정을 종료하였다.
이상의 조작에 의한 적정량으로부터, 시료 1 g당의 요오드 흡착량(mg/g)을 산출하였다.
(B) 방향 효과
10명의 피험자에게, 각 일회용 핫팩으로부터 발산되는 향료의 방향을 느낄 수 있는지의 여부를 평가시켰다. 평가는 이하의 기준에 의하였다.
○; 방향을 느낀 피험자가 8명 이상이다.
△; 방향을 느낀 피험자가 4∼7 명이다.
×: 방향을 느낀 피험자가 3명 이하이다.
(C) 온도 성능[온감 효과]
일회용 핫팩의 온도 성능에 대하여, JIS S4100에 준거한 방법에 의해, 이하의 기준에 의해 평가했다.
○; 최고 온도가 45∼60 ℃이며, 40℃ 이상의 발열 지속 시간이 5시간 이상이다.
△; 최고 온도가 40℃ 초과 45℃ 미만이며, 40℃ 이상의 발열 지속 시간이 5시간 미만이다.
×; 최고 온도가 40℃ 이하이다.
[표 1]
Figure pct00001
[표 2]
Figure pct00002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7의 일회용 핫팩은, 요오드 흡착능이 적절한 범위에 있고, 방향 효과와 온도 성능을 양립한 우수한 제품이 되어 있었다. 이에 대하여,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예 1∼8의 일회용 핫팩은, 방향 효과와 온도 성능을 양립할 수 없었다. 비교예 1∼3, 및 5∼7의 일회용 핫팩은, 방향 효과는 양호하지만, 요오드 흡착능이 본 발명품보다 낮으므로, 충분한 발열을 얻지 못하고 온도 성능이 뒤떨어져 있었다. 특히, 비교예 3 및 6의 일회용 핫팩은, 요오드 흡착능이 250∼260 mg/g으로 낮으며, 온도 성능은 「×」의 평가였다. 비교예 4 및 8의 일회용 핫팩은, 요오드 흡착능이 높고, 온도 성능은 「○」의 높은 평가였지만, 방향 효과는 「×」의 평가였다. 이는, 요오드 흡착능이 지나치게 높아서, 향료가 활성탄에 과잉으로 흡착되어 향료의 방향 효과가 발휘되고 있지 않은 것이 원인인 것으로 여겨진다.
이상으로부터, 본 발명의 일회용 핫팩이면, 활성탄으로의 향료 흡착 억제 효과와, 활성탄에 의해 흡착된 산소 및 철분의 산화 발열 반응의 밸런스가 우수하게 된다. 그 결과, 철분으로부터 유래하는 불쾌취를 억제하면서, 향료에 의한 방향 효과를 발휘시키고, 또한 안정된 발열을 지속시킬 수 있다.
[산업상의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일회용 핫팩은, 가정용, 업무용의 어느 분야에 있어서도 이용 가능하다.
1: 일회용 핫팩의 수납 백
2: 산소
3: 활성탄
4: 향료
5: 향료 흡착 억제제

Claims (10)

  1. 통기성(通氣性)을 가지는 수납 백(bag)에,
    철분, 활성탄, 염류, 흡수성(吸水性) 수지, 및 물을 포함하는 발열 조성물과,
    향료와,
    상기 활성탄으로의 상기 향료의 흡착을 억제하는 향료 흡착 억제제
    를 봉입(封入)하여 이루어지는, 일회용 핫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백에, 상기 향료와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향료를 부착 또는 함유시킨, 일회용 핫팩.
  3. 향료를 부착 또는 함유시킨 통기성을 가지는 수납 백에,
    철분, 활성탄, 염류, 흡수성 수지, 및 물을 포함하는 발열 조성물과,
    상기 활성탄으로의 상기 향료의 흡착을 억제하는 향료 흡착 억제제
    를 봉입하여 이루어지는, 일회용 핫팩.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백에, 상기 향료와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향료를 더욱 봉입하여 이루어지는, 일회용 핫팩.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향료 흡착 억제제는, 상기 활성탄보다 요오드 흡착능이 낮은 저활성 물질을 포함하는, 일회용 핫팩.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저활성 물질은, 부활(activation) 처리 전의 활성탄 전구체(前驅體)인, 일회용 핫팩.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저활성 물질은, 소회(素灰)인, 일회용 핫팩.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탄과 상기 향료 흡착 억제제를 합친 요오드 흡착능의 평균값이, 510∼700 mg/g으로 조정되는, 일회용 핫팩.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탄과 상기 향료 흡착 억제제의 배합 비율이, 1.4:1∼4:1로 조정되는, 일회용 핫팩.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탄은, 산화 반응 촉진제인, 일회용 핫팩.
KR1020177001893A 2014-07-02 2015-06-22 일회용 핫팩 KR1018989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137183 2014-07-02
JPJP-P-2014-137183 2014-07-02
PCT/JP2015/067852 WO2016002555A1 (ja) 2014-07-02 2015-06-22 使い捨てカイロ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3119A true KR20170023119A (ko) 2017-03-02
KR101898969B1 KR101898969B1 (ko) 2018-09-14

Family

ID=55019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1893A KR101898969B1 (ko) 2014-07-02 2015-06-22 일회용 핫팩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3165201B1 (ko)
JP (1) JP6326493B2 (ko)
KR (1) KR101898969B1 (ko)
CN (2) CN110368180A (ko)
TW (1) TWI576102B (ko)
WO (1) WO201600255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1689B1 (ko) 2017-07-18 2018-06-27 주식회사 핫앤핫 발열시간이 길고 발열강도가 우수한 고품질 핫팩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위해 발열제의 공기노출을 차단하는 수단이 구비된 핫팩의 제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67190B2 (ja) * 2016-07-28 2020-10-14 花王株式会社 温熱具
JP7028552B2 (ja) * 2016-11-24 2022-03-02 花王株式会社 温熱具
KR20200057496A (ko) 2018-11-16 2020-05-26 김영근 셀 기능성 팩
CN112143466A (zh) * 2019-06-28 2020-12-29 翁晓敏 一次性外卖加热保温贴
JP2021031527A (ja) * 2019-08-20 2021-03-01 タイガースポリマー株式会社 樹脂組成物および樹脂組成物による芳香発生方法
WO2021215089A1 (ja) * 2020-04-24 2021-10-28 花王株式会社 温熱具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989834A1 (en) * 1996-12-31 2000-04-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elastic thermal back wrap and method for treatment of back pain
JP2013042963A (ja) * 2011-08-24 2013-03-04 Kao Corp 発熱具
JP2013176549A (ja) 2012-01-31 2013-09-09 Kiribai Kagaku Kk 発熱具
WO2014021269A1 (ja) * 2012-08-01 2014-02-06 桐灰化学株式会社 発熱具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87208915U (zh) * 1987-06-06 1988-02-03 长春市明胶厂 药、理两疗怀炉
JP2003336042A (ja) * 2002-05-20 2003-11-28 Maikooru Kk 吸水性ポリマー入り発熱組成物及び発熱体
JP2009062250A (ja) * 2007-09-10 2009-03-26 Eco Carbon Kk カイロ用活性炭の製造方法
JP5284700B2 (ja) * 2007-11-09 2013-09-11 花王株式会社 発熱具
JP5945166B2 (ja) * 2012-06-07 2016-07-05 花王株式会社 温熱具
JPWO2014157724A1 (ja) * 2013-03-29 2017-02-16 興和株式会社 発熱組成物及び使い捨てカイロ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989834A1 (en) * 1996-12-31 2000-04-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elastic thermal back wrap and method for treatment of back pain
JP2013042963A (ja) * 2011-08-24 2013-03-04 Kao Corp 発熱具
JP2013176549A (ja) 2012-01-31 2013-09-09 Kiribai Kagaku Kk 発熱具
WO2014021269A1 (ja) * 2012-08-01 2014-02-06 桐灰化学株式会社 発熱具
JP2014030486A (ja) 2012-08-01 2014-02-20 Kiribai Kagaku Kk 発熱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1689B1 (ko) 2017-07-18 2018-06-27 주식회사 핫앤핫 발열시간이 길고 발열강도가 우수한 고품질 핫팩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위해 발열제의 공기노출을 차단하는 수단이 구비된 핫팩의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368180A (zh) 2019-10-25
JP6326493B2 (ja) 2018-05-16
TW201603789A (zh) 2016-02-01
JPWO2016002555A1 (ja) 2017-04-27
WO2016002555A1 (ja) 2016-01-07
EP3165201B1 (en) 2019-04-24
CN106456361B (zh) 2021-06-04
TWI576102B (zh) 2017-04-01
EP3165201A4 (en) 2018-02-28
EP3165201A1 (en) 2017-05-10
KR101898969B1 (ko) 2018-09-14
CN106456361A (zh) 2017-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8969B1 (ko) 일회용 핫팩
JP6602522B2 (ja) 発熱具
EP2881093B1 (en) Heating tool
AU2005250391B2 (en) Self-steaming compositions, articles comprising such compositions and method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JP6456705B2 (ja) 発熱具
CN105407842B (zh) 鼻通气改善器具
WO2014157724A1 (ja) 発熱組成物及び使い捨てカイロ
EP2179748A1 (en) Deodorizing system
JP7028552B2 (ja) 温熱具
JP2020130505A (ja) 温熱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