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2926A - 스트링 권취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신발과 옷 - Google Patents
스트링 권취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신발과 옷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22926A KR20170022926A KR1020160105106A KR20160105106A KR20170022926A KR 20170022926 A KR20170022926 A KR 20170022926A KR 1020160105106 A KR1020160105106 A KR 1020160105106A KR 20160105106 A KR20160105106 A KR 20160105106A KR 20170022926 A KR20170022926 A KR 2017002292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reverse rotation
- base unit
- cover unit
- str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16—Fastenings secured by wire, bolts, or the like
- A43C11/165—Fastenings secured by wire, bolts,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a spool, reel or pulley for winding up cables, laces or straps by rot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7/00—Holding-devices for lace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3/00—Brassieres
- A41C3/12—Component part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12—Shields or protectors
- A41D27/13—Under-arm shields
- A41D27/136—Secured by strap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16—Fastenings secured by wire, bolts, or the like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9/00—Laces; Laces in general for garments made of textiles, leather, or plastics
-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02—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 A44B11/0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with clamping devices
- A44B11/12—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with clamping devices turnable clamp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18—Constructional detail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3—Closures using straps or tie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38—Shaping the contour of the body or adjusting the figur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9—Other types of filamentary materials or special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toring, Repeated Paying-Out, And Re-Storing Of Elongated Articles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성이 단순화되면서도 유지보수가 용이한 스트링 권취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스트링 권취장치는 베이스유닛, 이 베이스유닛에 결합된 미들유닛, 베이스유닛과 미들유닛에 사이에 배치되고, 제1 맞물림부를 구비하며, 제1 날개부와 제2 날개부가 제공되며, 제1 날개부와 제2 날개부 사이에 공간이 제공되어 스트링이 감겨지는 회전유닛, 미들유닛에 결합되며, 제1 맞물림부에 결합되거나 해제되는 제2 맞물림부를 구비한 커버유닛을 포함하고, 커버유닛의 윗면과 커버유닛의 아랫면 사이에 제공되며 제1 역회전방지부와 제2 역회전방지부, 그리고 걸림부와 대응걸림부가 배치되는 제1단; 제1 날개부와 제2 날개부 사이에 제공되며 스트링이 감겨지는 공간이 제공되는 제2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스트링 권취장치는 베이스유닛, 이 베이스유닛에 결합된 미들유닛, 베이스유닛과 미들유닛에 사이에 배치되고, 제1 맞물림부를 구비하며, 제1 날개부와 제2 날개부가 제공되며, 제1 날개부와 제2 날개부 사이에 공간이 제공되어 스트링이 감겨지는 회전유닛, 미들유닛에 결합되며, 제1 맞물림부에 결합되거나 해제되는 제2 맞물림부를 구비한 커버유닛을 포함하고, 커버유닛의 윗면과 커버유닛의 아랫면 사이에 제공되며 제1 역회전방지부와 제2 역회전방지부, 그리고 걸림부와 대응걸림부가 배치되는 제1단; 제1 날개부와 제2 날개부 사이에 제공되며 스트링이 감겨지는 공간이 제공되는 제2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구성이 단순화되면서도 유지보수가 용이한 스트링 권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 가방, 배낭, 의복 등에는 스트링이나 이와 유사한 것들을 이용한 조임/풀림 수단이 구비된다. 예컨대 신발의 경우 스트링이 지그재그 형식으로 연결되도록 장착되며, 그러한 스트링을 당겨 조임으로써 신발이 사용자의 발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하지만 신발을 신고 벗을 때마다 스트링을 풀거나 조이는 것은 매우 번거롭기 때문에, 신발이 사용자의 발에 완전히 밀착되지 않도록 스트링을 제대로 당겨 조이지 않은 채 신발을 착용하게 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경우 운동 등을 위해 신발이 사용자의 발에 완전히 밀착되도록 할 시에는 스트링을 다시 당겨 조이고, 이후 다시 스트링을 풀어 느슨해지도록 하는 등, 사용자의 불편함이 초래될 수밖에 없다. 또한 보행이나 운동 중 스트링의 묶임이 풀릴 경우 다시 스트링을 묶어야 하는 등의 불편함이 존재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스트링 권취장치의 전체 높이를 줄여 활용도를 높일 필요가 있으나, 이에 충분하게 대응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구성이 단순화되면서도 유지보수가 용이한 스트링 권취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높이를 줄여 가방이나 배낭 뿐 만 아니라 보정 속옷 등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제품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스트링 권취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베이스유닛; 상기 베이스유닛에 결합된 미들유닛; 상기 베이스유닛과 상기 미들유닛에 사이에 배치되고, 제1 맞물림부를 구비하며, 제1 날개부와 제2 날개부가 제공되며, 상기 제1 날개부와 상기 제2 날개부 사이에 공간이 제공되어 스트링이 감겨지는 회전유닛; 상기 미들유닛에 결합되며, 상기 제1 맞물림부에 결합되거나 해제되는 제2 맞물림부를 구비한 커버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유닛의 윗면과 상기 커버유닛의 아랫면 사이에 제공되며 제1 역회전방지부와 제2 역회전방지부, 그리고 걸림부와 대응걸림부가 배치되는 제1단; 상기 제1 날개부와 상기 제2 날개부 사이에 제공되며 상기 스트링이 감겨지는 상기 공간이 제공되는 제2단을 포함하는 스트링 권취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걸림부는 탄성체로 이루어지고 2개가 쌍을 이루어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미들유닛 또는 상기 커버유닛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림부는 탄성체가 평면에서 보아 삼각형 모양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대응걸림부는 상기 커버유닛에 제공된 중심축에 방사상 방향으로 연장된 디스크 모양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대응걸림부는 상기 커버유닛의 측면에 제공되며 상기 미들유닛의 외주면측을 향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대응걸림부는 상기 미들유닛에 제공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커버유닛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림부는 상부걸림부, 상기 상부걸림부의 하부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배치되는 하부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베이스유닛; 상기 베이스유닛에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되며 제1 날개부와 제2 날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날개부와 상기 제2 날개부 사이에 스트링이 감겨지는 공간이 제공되는 커버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유닛의 윗면과 상기 커버유닛에 제공된 상기 제2 날개부 사이에 제1 역회전방지부와 제2 역회전방지부, 걸림부와 대응걸림부, 그리고 스트링이 감겨지는 상기 공간부가 제공되는 제1단으로 이루어지는 스트링 권취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대응걸림부는 상기 베이스유닛에 제공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커버유닛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대응걸림부는 상기 제1 날개부에 제공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베이스유닛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베이스 유닛; 상기 베이스유닛에 결합되며 스트링이 감겨지는 공간이 제공된 커버유닛; 상기 베이스유닛에 결합되는 걸림 및 역회전방지용 탄성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 및 역회전방지용 탄성부재는 상기 커버유닛과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커버유닛의 역회전을 방지하거나 또는 상기 베이스유닛과 상기 커버유닛이 서로 맞물림되거나 맞물림 상태를 해제시키는 스트링 권취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베이스 유닛; 상기 베이스유닛에 결합되며 스트링이 감겨지는 공간이 제공된 커버유닛; 상기 베이스유닛에 결합되는 걸림 및 역회전방지용 탄성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유닛에는 상기 걸림 및 역회전방지용 탄성부재가 끼워지는 끼움부가 제공되고, 상기 걸림 및 역회전방지용 탄성부재는 선형재가 밴딩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부와 제1 역회전방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유닛에는 상기 걸림부에 대응하는 대응걸림부가 제공되고, 상기 제1 역회전방지부에 결합되거나 해제되는 제2 역회전방지부가 제공되는 스트링 권취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걸림부는 라운드 모양 밴딩되어 상기 베이스유닛의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역회전방지부는 상기 걸림부 사이에 돌출되는 모양으로 밴딩되어 상기 베이스유닛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유닛은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제1 날개부와 제2 날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날개부와 상기 제2 날개부 사이에 공간이 제공되어 스트링이 권취되며, 상기 대응걸림부는 상기 제1 날개부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역회전방지부는 상기 커버유닛의 내주면을 따라 경사진 기어치 모양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기어치 사이에 상기 제1 역회전방지부가 끼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끼움부는 상기 베이스유닛의 원주방향을 따라 장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장공은 간격을 이루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베이스 유닛; 상기 베이스유닛에 결합되며 스트링이 감겨지는 공간이 제공된 커버유닛; 상기 베이스유닛에 결합되는 걸림부; 상기 베이스유닛에 결합되는 제1 역회전방지부; 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유닛에는 상기 걸림부가 끼워지는 제1 끼움부가 제공되고, 상기 제1 역회전방지부가 끼워지는 제2 끼움부가 제공되며,
상기 걸림부는 탄성체로 이루어진 선형재가 밴딩되어 라운드를 이루며 상기 베이스유닛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역회전방지부는 판상의 탄성체가 밴딩되어 이루어지며 선단부가 상기 베이스유닛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배치되고, 상기 커버유닛에는 상기 걸림부에 대응하는 대응걸림부가 제공되고, 상기 제1 역회전방지부에 결합되거나 해제되는 제2 역회전방지부가 제공되는 스트링 권취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커버유닛은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제1 날개부와 제2 날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날개부와 상기 제2 날개부 사이에 공간이 제공되어 스트링이 권취되며,
상기 대응걸림부는 상기 제1 날개부 또는 상기 제2 날개부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역회전방지부는 상기 커버유닛의 내주면을 따라 경사진 기어치 모양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기어치 사이에 상기 제1 역회전방지부가 끼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끼움부는 상기 베이스유닛의 원주방향을 따라 장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장공은 간격을 이루어 배치되고, 상기 제2 끼움부는 상기 제1 끼움부와 상기 커버유닛 사이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베이스 유닛; 상기 베이스유닛에 결합되며 스트링이 감겨지는 공간이 제공된 커버유닛; 상기 베이스유닛에 결합되는 걸림부; 상기 커버유닛에 결합되는 제1 역회전방지부; 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유닛에는 상기 걸림부가 끼워지는 끼움부가 제공되고, 상기 제1 역회전방지부에 결합되거나 해제되는 제2 역회전방지부가 제공되며,
상기 걸림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며 탄성체로 이루어진 선형재가 밴딩되어 라운드를 이루며 상기 베이스유닛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역회전방지부는 탄성체가 밴딩되어 이루어지며 선단부가 상기 베이스유닛의 내측면을 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커버유닛에는 상기 제1 역회전방지부가 결합되는 결합홈부가 제공되고, 상기 걸림부에 대응하는 대응걸림부가 제공되는 스트링 권취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커버유닛에 제공되는 상기 결합홈부는 상기 커버유닛의 저면에 상기 베이스유닛을 향하여 개구부를 이루며 장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역회전 방지부는 판상의 탄성체로 이루어지여 양단이 밴딩되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향하여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역회전방지부는 상기 베이스유닛의 내주면을 따라 연속적인 기어치 모양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기어치는 경사져 상기 제1 역회전방지부의 끝단에 걸려 상기 커버유닛을 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에 결합되는 하부하우징을 포함한 베이스유닛; 상기 하부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스트링이 감겨지는 회전유닛; 상기 하부하우징에 결합되며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제1 역회전방지부; 상기 하우하우징에 결합되며 선형의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걸림부; 상기 회전유닛의 위쪽에 배치되는 커버유닛; 그리고 상기 베이스유닛, 상기 회전유닛, 그리고 상기 커버유닛을 결합시키는 샤프트; 를 포함하는 스트링 권취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회전유닛은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제1 날개부와 제2 날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날개부와 상기 제2 날개부 사이에 공간이 제공되어 스트링이 권취되며,
상기 걸림부에 대응하며, 상기 커버유닛을 상기 베이스판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그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대응걸림부는 상기 제1 날개부 또는 상기 제2 날개부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 역회전방지부는 상기 커버유닛의 내주면을 따라 경사진 기어치 모양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기어치 사이에 상기 제1 역회전방지부의 선단부가 끼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는 구성이 단순화되면서도 유지보수가 용이한 스트링 권취 및 권출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구성을 간단하게 함과 동시에 높이를 줄여 가방이나 배낭 뿐 만 아니라 보정 속옷 등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제품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스트링 권취장치의 전체적인 외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부를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 2의 A-A'부를 잘라서 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다른 예시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커버유닛을 미들유닛에서 인출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다른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스트링 권취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8과 도 19는 도 17의 주요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7을 세로 방향으로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
도 21은 도 17의 주요부를 도시한 저면사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 8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스트링 권취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3은 도 22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4는 도 23의 주요부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 25는 도 22의 스트링 권취장치를 세로 방향으로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제9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스트링 권취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7은 도 26에 도시한 스트링 권취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8은 도 27의 주요부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 29는 도 26에 도시한 스트링 권취장치를 세로 방향으로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스트링 권취장치를 도시한 사이도이다.
도 31은 도 30에 도시한 스트링 권취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2는 도 30의 주요부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 33는 도 30에 도시한 스트링 권취장치를 세로 방향으로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부를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 2의 A-A'부를 잘라서 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다른 예시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커버유닛을 미들유닛에서 인출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다른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스트링 권취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8과 도 19는 도 17의 주요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7을 세로 방향으로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
도 21은 도 17의 주요부를 도시한 저면사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 8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스트링 권취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3은 도 22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4는 도 23의 주요부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 25는 도 22의 스트링 권취장치를 세로 방향으로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제9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스트링 권취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7은 도 26에 도시한 스트링 권취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8은 도 27의 주요부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 29는 도 26에 도시한 스트링 권취장치를 세로 방향으로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스트링 권취장치를 도시한 사이도이다.
도 31은 도 30에 도시한 스트링 권취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2는 도 30의 주요부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 33는 도 30에 도시한 스트링 권취장치를 세로 방향으로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한편, 층, 막, 영역, 판 등의 각종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구성요소 "바로 상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된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Ⅱ-Ⅱ부를 잘라서 본 단면도로, 스트링 권취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스트링 권취장치는 베이스유닛(100), 베이스유닛에 결합되는 미들유닛(200), 베이스유닛(100)에 대해 회전가능하도록 베이스유닛(100) 또는 미들유닛(200) 내에 위치하는 회전유닛(300), 미들유닛(2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유닛(400)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유닛(100)은 예컨대 원판과 같은 판 형상을 갖는 베이스판(110)과 실린더 형상의 하부하우징(120)을 갖는다. 물론, 베이스판(110)의 형상은 원판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상의 판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여기서 실린더 형상은 속이 빈 원통과 유사한 형상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러한 하부하우징(120)은 베이스판(110)의 상면(+z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판(110)과 하부하우징(120)은 수지 등으로 일체(一體)로 형성될 수 있다.
하부하우징(120)은 제2 측면관통홀(122)을 갖는다. 물론, 하부하우징(120)은 필요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측면관통홀(121)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제1 측면관통홀(121)은 제2 측면관통홀(122)보다 베이스판(110)에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하부하우징(120)은 대략 서로 마주보도록 두 개의 제1 측면관통홀(121)들을 갖고 역시 두 개의 제2 측면관통홀(122)들을 가질 수 있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이며 제1 측면관통홀(121) 및 제2 측면관통홀(122)은 각각 적어도 한 개 이상이기만 하면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제1측면관통홀(121)들이 y축 방향의 직선 상에 위치하고 제2 측면관통홀(122)들도 y축 방향의 직선 상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일 예시이며 대략 직선상에 정렬될 수 도 있다. 한편, 도 2에서는 제1 측면관통홀(121)과 제2 측면관통홀(122)이 상하로 나란히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제1 측면관통홀(121)들은,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대략 y축 방향의 직선 상에 위치하고, 제2 측면관통홀(122)들은 대략 x축 방향의 직선 상에 위치할 수도 있다.
베이스유닛(100)의 베이스판(110)의 하부하우징(120) 외측 부분에는 z축 방향의 중심축을 갖는 통공(111)들이 형성될 수 있다. 이 통공(111)들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트링 권취 장치를 신발 등에 장착할 때, 베이스판(110)이 신발 등에 고정되도록 하는 체결구들이 통과할 수 있다.
한편, 베이스유닛(10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하우징(120)의 내면에서 하부하우징(120)의 중심 방향으로 돌출된 회전지지부(130)를 더 가질 수 있다. 이 회전지지부(130)의 상면에는 상부(+z 방향)로 돌출된 회전지지돌출부(132)가 형성될 수 있다. 이 회전지지부(130)와 회전지지돌출부(132)는 회전유닛(300)이 베이스유닛(100)에 대해 회전할 때 회전이 원활하게 되도록 지지할 수 있다.
미들유닛(200)은 실린더 형상의 상부하우징(210)을 갖는다. 속이 빈 원통과 유사한 형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실린더 형상의 상부하우징(210)은 베이스유닛(100)의 하부하우징(12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미들유닛(200)은 또한 필요에 따라 격벽(2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하우징(210)의 일측에는 -y 방향 또는 스트링 권취장치의 회전중심 방향으로 제1 역회전 방지부(250)가 위치할 수 있다.
제1 역회전 방지부(250)는 톱니 형태로 이루어진 연속적인 돌기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돌기부의 일측면이 경사면으로 이루어져 일방향으로만 회전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상부하우징(210), 격벽(240) 및 제1 역회전 방지부(250)는 수지 등으로 일체(一體)로 형성될 수 있다.
회전유닛(300)은 베이스유닛(100)의 하부하우징(120) 내부에 위치하며, 베이스유닛(100)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회전유닛(300)이 하부하우징(120) 내부에 위치한다는 것은 회전유닛(300)의 적어도 일부가 하부하우징(120) 내부에 위치한다는 의미로, 회전유닛(300)의 일부가 하부하우징(120) 상부의 상부하우징(210) 내에 위치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다.
회전유닛(300)은 +z 방향 상면에 제1 맞물림부(310)를 갖는다. 제1 맞물림부(310)가 오목한 홈 형상인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볼록하게 돌출된 형상일 수도 있는 등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러한 제1 맞물림부(310)가 후술하는 커버유닛(400)의 제2 맞물림부(450)와 맞물릴 경우, 회전유닛(300)은 커버유닛(400)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제1 맞물림부(310)와 제2 맞물림부(450)가 상호 맞물렸음에도 불구하고 회전유닛(300)과 커버유닛(400)이 서로에 대해 헛도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 맞물림부(310)와 제2 맞물림부(450)의 형상(xy 평면 기준)은 다각형, 타원 또는 비대칭적으로 찌그러진 원 등의 다양한 형상을 갖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1 맞물림부(310)와 제2 맞물림부(450)의 xy평면에서의 형상은 적어도 한 개 이상의 핀과 핀구멍이 대응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핀과 핀구멍의 끼움 결합으로 회전유닛(300)과 커버유닛(400)을 서로 결합시킬 수 있다.
회전유닛(300)은 제1 날개부(321)와 제2 날개부(322)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날개부(321)와 제2 날개부(322)는 서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그 사이에는 스트링이 감겨질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날개부(321)와 제2 날개부(322) 사이의 공간에는 회전유닛(300)의 회전에 의해 스트링이 권취될 수 있다. 즉, 제1 날개부(321)와 제2 날개부(322)는 회전유닛(30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스트링이 권취될 때 권취된 스트링이 위치할 공간을 이룬다.
한편, 회전유닛(300)은 필요에 따라 제2 날개부(322)보다 베이스판(110)에 더 가깝도록 (-z 방향의) 하부에 위치하며, 제2 날개부(322)와 유사하게 방사 방향으로 돌출된 제3 날개부(3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이 제3 날개부(323)의 저면이 평평하여 제3 날개부(323)의 저면의 일부가 베이스유닛(100)의 베이스판(110)의 (+z 방향) 상면에 접촉되거나 근거리에 인접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유닛(300)이 베이스판(110)에 대해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회전유닛(300)은 제2 날개부(322)의 (-z 방향) 하부에 위치하며 회전유닛(300)을 관통하는 제1 관통홀(331)을 가질 수 있다. 제1 관통홀(331)은 베이스유닛(100)의 제1 측면관통홀(121)들에 대응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관통홀(331)이 제1 측면관통홀(121)들에 대응한다는 것은, 베이스판(110)으로부터 제1 관통홀(331)의 높이와 베이스판(110)으로부터 제1 측면관통홀(121)들의 높이가 대략 동일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회전유닛(300)은 제1 날개부(321)와 제2날개부(322) 사이의 공간에서 회전유닛(300)을 관통하는 제2관통홀(332)을 가질 수 있다. 제2 관통홀(332)은 베이스유닛(100)의 제2 측면관통홀(122)들에 대응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관통홀(332)이 제2 측면관통홀(122)들에 대응한다는 것은, 베이스판(110)으로부터 제2 관통홀(332)의 높이와 베이스판(110)으로부터 제2 측면관통홀(122)들의 높이가 대략 동일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신발 또는 보정 속옷 등에 제공된 스트링(미도시)은 베이스유닛(100)의 제2 측면관통홀(122)들 중 어느 하나를 통과하여 회전유닛(300)의 제2 관통홀(332)을 관통하여 제2 측면관통홀(122)들 중 다른 하나를 통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다른 예시로, 스트링은 회전유닛(300)의 제2 관통홀(332)를 통과한 후 베이스유닛(110)의 내부에서 고정될 수도 있다. 이에따라 회전유닛(300)이 커버유닛(400)에 맞물려 일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스트링은 회전유닛(300)에 권취된다. 구체적으로, 스트링은 회전유닛(300)의 제1 날개부(321)와 제2 날개부(322) 사이에 제공된 공간에 권취된다. 이를 통해 신발 또는 보정 속옷 등의 스트링을 회전유닛(300)에 권취시킬 수 있다. 이때, 커버유닛(400)과 미들유닛(200) 각각 제공된 제1 역회전방지부(250)와 제2 역회전방지부(460)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제1 역회전방지부(250)와 제2 역회전방지부(460)는 일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회전이 멈춘 경우에는 그 위치에서 서로 고정된다. 즉, 제2 역회전방지부(460)는 일부가 돌출되는 돌출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 역회전방지부(250)에 대해 일방향으로만 회전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이와 같은 상태에서 회전유닛(300)이 커버유닛(400)으로부터 이격될 경우, 제1 역회전방지부(250)과 제2 역회전방지부(460)는 서로 떨어져 권취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이때 회전유닛(300)은 양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회전유닛(300)에 권취되었던 스트링이 회전유닛(300)의 외주면으로부터 권출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회전유닛(300)이 제2 관통홀(332)을 갖지 않을 수도 있다. 이 경우 신발 또는 보정 속옷 등의 스트링의 일단은 베이스유닛(100)의 제2 측면관통홀(122)들 중 어느 하나를 통과하여 회전유닛(300)에 고정되고, 신발 등의 스트링의 타단은 베이스유닛(100)의 제2 측면관통홀(122)들 중 다른 하나를 통과하여 회전유닛(300)에 고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스트링의 일단과 타단의 고정을 위해, 회전유닛(300)은 스트링을 고정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고정돌출부를 가질 수 있다.
회전유닛(300)은 회전할 때 베이스유닛(100)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고, 회전유닛(300)의 회전 안정성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베이스유닛(100)의 회전지지부(130)와 회전지지돌출부(132)가, 회전유닛(300)의 제2 날개부(322)와 상호작용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회전유닛(300)이 제2 날개부(322)의 방사 방향 끝단에 하방(-z 방향)으로 돌출된 회전돌출부(322a)를 갖고, 제2 날개부(322)의 하방(-z 방향)의 면 중 회전돌출부(322a)에 인접한 부분이 베이스유닛(100)의 회전지지돌출부(132)에 인접하거나 회전지지돌출부(132)에 접촉하도록 함으로써, 회전유닛(300)이 회전할 때, 회전유닛(300)의 회전중심축의 위치가 베이스유닛(100)에 대해 상대적으로 움직이지 않고 일정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회전유닛(300)은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커버유닛(400)은 미들유닛(200)에 대해 회전가능하도록 미들유닛(200)에 결합될 수 있다. 물론, 전술한 것과 같이 커버유닛(400)이 회전유닛(300)과 맞물릴 때, 커버유닛(400)은 회전유닛(300)과 함께 일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커버유닛(400)은 방사(放射) 방향으로 돌출된 대응걸림부(410)를 갖는다. 대응걸림부(410)는 미들유닛(200)에 제공된 상부걸림부(270a)와 하부걸림부(270b) 사이에 끼워지거나 또는 상부걸림부(270a)의 외측(위쪽)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커버유닛(400)은 베이스유닛(100)으로부터의 거리가 가변되어 회전유닛(300)과 맞물리거나 회전유닛(300)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대응걸림부(410)가 상부걸림부(270a)와 하부걸림부(270b) 사이의 제1공간에 위치하거나, 상부걸림부(270a)의 외측(도 2 기준으로 위쪽)의 제2공간에 위치(도 5에 도시한 상태)함에 따라, 커버유닛(400)이 베이스유닛(100)으로부터의 거리가 가변될 수 있다. 그리고 대응걸림부(410)가 제1공간에 위치할 때에는 커버유닛(400)은 회전유닛(300)과 맞물려 회전유닛(300)과 함께 일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고, 대응걸림부(410)가 제2공간에 위치할 때에는 커버유닛(400)이 회전유닛(300)으로부터 이격됨에 따라 제1 역회전방지부(250)과 제2 역회전방지부(460)이 서로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회전유닛(300)이 커버유닛(400)의 움직임과 관계없이 일 방향이나 그 반대 방향인 타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커버유닛(400)은 가운데 부분에 -z 방향으로 제2 맞물림부(450)를 갖는다. 제2 맞물림부(450)가 볼록한 돌출 형상인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오목한 홈 형상일 수도 있는 등 회전유닛(300)의 제1 맞물림부(310)의 형상에 따라 대응되는 모양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맞물림부(450)가 전술한 회전유닛(300)의 제1 맞물림부(310)와 맞물릴 경우, 회전유닛(300)은 커버유닛(400)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제1 맞물림부(310)와 제2 맞물림부(450)가 상호 맞물렸음에도 불구하고 회전유닛(300)과 커버유닛(400)이 서로에 대해 헛도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 맞물림부(310)와 제2 맞물림부(450)의 xy평면에서의 단면 형상은 다각형, 타원 또는 비대칭적으로 찌그러진 원 등의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핀과 핀구멍의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한편, 커버유닛(400)은 중심축(430)을 갖는다. 그리고 대응걸림부(410)는 이 중심축(430)으로부터 방사 방향으로 연장된 플랜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중심축(430)의 +z 방향 상부에는 커버판(420)이 위치할 수 있다.
커버판(420)의 가장자리가 대략 90도 밴딩된 부분으로 이해될 수 있는 측면판(440)은, 커버유닛(400)이 미들유닛(200)에 결합될 때,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미들유닛(200)의 외주부의 적어도 일부를 덮을 수 있다. 도 2에서는 측면판(440)이 미들유닛(200)의 상부하우징(210)의 외주면의 대부분을 덮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커버유닛(400)의 각종 구성요소들은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 등으로 일체(一體)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커버유닛(400)의 일부 구성요소는 중심축(430) 등과 구분된 별개의 구성요소로서 중심축(430) 등에 결합된 것일 수 있으며, 이 경우 그러한 일부 구성요소는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트링 권취장치의 경우, 대응걸림부(410)가 상부걸림부(270a)와 하부걸림부(270b) 사이의 제1공간에 위치할 때, 커버유닛(400)은 회전유닛(300)과 맞물려 회전유닛(300)과 함께 일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스트링이 회전유닛(300)의 외주면에 권취될 수 있다.
그리고 대응걸림부(410)가 상부걸림부(270a)의 위쪽인 제2공간에 위치할 때(도 5 참조), 커버유닛(400)이 회전유닛(300)으로부터 이격됨에 따라 회전유닛(300)이 커버유닛(400)의 움직임과 관계없이 일 방향의 반대 방향인 타 방향, 즉 권출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유닛(300)의 외주면에 권취된 스트링이 권출될 수 있다. 즉, 커버유닛(400)의 대응걸림부(410)와 미들유닛(200)과의 상대 위치에 따라 스트링의 권취 또는 권출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트링 권취 장치의 경우, 미들유닛(200)의 상부걸림부(270a) 또는 하부걸림부(270b)가 손상될 경우에는, 베이스유닛(100), 회전유닛(300), 그리고 커버유닛(400)은 그대로 둔 채 미들유닛(200)만 교체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유지보수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권취장치의 경우, 유지보수를 위해 특별한 전문기술 또는 특정한 공구의 사용이 필요 없이 단순이 스크류 피팅된 부품을 교체하거나, 교체되는 부품을 삽입하는 것으로 유지 보수를 할 수 있어 사용자들이 직접 손쉽게 유지 보수 사용 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본 발명의 스트링 권취장치의 제1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2단 구성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전체 장치가 2단 구성으로 이루어져 그 높이를 낮출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커버유닛(400)과 미들유닛(200) 사이의 걸림부(270)과 대응걸림부(410), 제1 역회전방지부(250)와 제2 역회전방지부(460), 그리고 커버유닛(400)과 회전유닛(300) 사이의 제1 맞물림부(310)과 제2 맞물림부(450)이 모두 제1단(Ⅰ)에 포함된다. 그리고 스트링을 권취할 수 있는 회전유닛(300)의 제1 날개부(321)와 제2 날개부(322)가 제2단(Ⅱ)에 포함된다. 그 결과, 도 2에 도시한 스트링 권취장치의 전체적인 높이(또는 두께)가 기존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아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트링 권취장치의 높이를 낮게 하는 것은 운동화의 끈 조임구로도 사용할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보정 속옷 등의 끈 조임구로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정 속옷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착용감을 향상시키고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최소화시켜 옷의 맵시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 각각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제1 역회전방지부(250)와 제2 역회전방지부(460)에서 미들유닛(200)의 제1 역회전방지부(250)가 격벽(240)에서부터 상부로 연장된 상부하우징(210) 상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제1 역회전 방지부(250)가 상부 하우징(210) 상에 위치하여 걸림부(270) 및 대응걸림부(410)와 동일 구역인 제1단(Ⅰ) 내에 존재한다.
대응걸림부(410)는 중심축(430)으로부터 방사 방향으로 연장된 디스크 또는 플랜지 형태를 이룬다. 그리고 대응걸림부(410)는 미들유닛(200)의 걸림부(270)와 상호 파지작용을 하여 커버유닛(400)이 미들유닛(200)에 대해 +z 또는 -z 방향으로 상대 이동을 할 수 있다.
미들유닛(200)의 걸림부(270)는 와이어로 포밍된 선스프링이나 탄성 프랙쳐(Flexure)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걸림부(270)를 이루는 상부걸림부(270a)와 하부걸림부(270b)는 와이어로 포밍된 선스프링이나 탄성 프랙쳐가 사용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A-A' 선을 잘라서 평면측에서 본 부분 단면도로, 걸림부(270)의 상부걸림부(270a)가 미들유닛(200)의 장착돌기(260)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즉, 걸림부(270)의 상부걸림부(270a)는 미들유닛(200)의 안쪽에 별도로 형성된 장착돌기(260)에 xy 평면 상에서 볼 때 일정 간격으로 떨어져 2열로 고정되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걸림부(270)의 하부걸림부(270b)는 도면에서 보이지 않지만 상부걸림부(270a)의 하부에 상부걸림부(270a)와 동일한 형태로 장착돌기(26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도 4는 도 3의 걸림부(270)의 상부걸림부(270a)가 미들유닛(200)의 장착돌기(260)에 결합된 상태의 다른 예시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걸림부(270)의 상부걸림부(270a)가 미들유닛(200)의 장착돌기(260)에 대략 삼각형 모양을 이루면서 설치될 수 있다. 도 4에서 설명하는 예시는 도 3의 걸림부(270)의 상부걸림부(270a)의 설치 형태를 다양하게 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상부걸림부(270a)와 하부걸림부(270b)를 포함한 걸림부(270)가 미들유닛(200)의 장착돌기(260)에 결합되는 다른 예시로 걸림부(270)가 장착돌기(260)의 일측에만 설치될 수도 있고 평면에서 보아 다각형, 만곡 또는 절곡된 곡선 등의 다양한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선 스프링이나 탄성 플렉쳐로 구성된 탄성체의 걸림부(270)를 사용하면 걸림 및 해제 작용이 더욱 부드럽게 이루어지고 내구성도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예시로 걸림부(270)가 선스프링이나 탄성 플랙쳐로 이루어지는 것 대신에 미들유닛(200)의 측면에서 중앙부로 돌출되는 돌기부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예시는 미들유닛(200)을 성형할 때 걸림부(270)의 역할을 하는 돌기부도 동시에 성형할 수 있어 부품의 수를 줄이고 생산비용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걸림부(27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걸림부(270a)와 탄성 하부걸림부(270b)가 +z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대응걸림부(410)는 상부걸림부(270a)와 하부걸림부(270b)의 사이에 배치될 수 도 있고(도 2참조), 상부걸림부(270a)의 외측(위쪽)에 배치(도5 참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대응걸림부(410)의 배치 위치에 따라 커버유닛(400)은 베이스유닛(100)으로부터의 거리가 가변되어 회전유닛(300)과 맞물리거나 회전유닛(300)과의 맞물림이 해제될 수 있다.
즉, 도 2에서와 같이, 대응걸림부(410)가 상부걸림부(270a)와 하부걸림부(270b) 사이에 위치하게 되면, 회전유닛(300)의 제1 맞물림부(310)와 커버유닛(400)의 제2 맞물림부(450)가 서로 맞물려진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미들유닛(200)의 제1 역회전방지부(250)와 커버유닛(400)의 제2 역회전방지부(460)도 서로 결합된다.
그 결과, 사용자가 커버유닛(400)을 회전시키면 이와 맞물려 회전유닛(300)이 회전되면서 스트링이 권취될 수 있다. 이때, 제1 역회전방지부(250)와 제2 역회전방지부(460)에 의해 커버유닛(400)이 반대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고, 일정한 길이만큼 회전유닛(300)에 권취된 스트링이 다시 풀어지지 않는다.
다음으로, 도 5에서와 같이, 사용자는 커버유닛(400)을 위쪽(+z 방향)으로 당겨서 대응걸림부(410)를 상부걸림부(270a)의 위쪽에 배치시킨다. 그러면 제1 맞물림부(310)와 제2 맞물림부(450)가 서로 결합된 상태 해제되고, 제1 역회전방지부(250)와 제2 역회전방지부(460)도 서로 결합된 상태가 해제된다.
그리고 미들유닛(200)의 장착돌기(260)의 상단에 단턱(280)을 형성하여 대응걸림부(410)가 상부걸림부(270a)에서 완전히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커버유닛(400)과 회전유닛(300)의 결합 상태가 해제되면, 회전유닛(300)에 권취되어 있던 스트링의 자체 복원력에 의해 자연스럽게 권출될 수 있다.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2단 구성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설명에서 상술한 예의 설명과 동일한 부분으로 그의 설명으로 대치하기로 하고 다른 점 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커버유닛(400)과 미들유닛(200)의 사이에 배치되는 걸림부(270)와 대응걸림부(410), 제1 역회전방지부(250)와 제2 역회전방지부(460), 그리고 커버유닛(400)과 회전유닛(300) 사이의 제1 맞물림부(310)와 제2 맞물림부(450)이 제1단(Ⅰ)에 포함된다.
그리고 회전유닛(300)의 스트링을 권취하는 제1 날개부(321)과 제2 날개부(322)가 제2단(Ⅱ)에 포함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스트링 권취장치의 전체적인 높이를 낮추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하에서 각각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역회전방지부(250)와 제2 역회전방지부(460)는 z 방향을 따라 서로 마주하여 배치된다.
즉, 미들유닛(200)의 제1 역회전방지부(250)는 격벽(240) 상에 +z 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미들유닛(200)의 제2 역회전방지부(460)가 제1 역회전방지부(250)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그 결과, 격벽(240) 상에 형성된 제1 역회전방지부(250)와 제2 역회전방지부(460)은 걸림부(270) 및 대응걸림부(410)와 동일한 구역인 제1단(Ⅰ) 내에 배치된다.
그리고 걸림부(270)와 대응걸림부(410)는 커버유닛(400)으로부터 베이스유닛(100)을 향해 돌출된 별도의 돌기가 측면에 형성된다. 이 대응걸림부(410)는 미들유닛(200)의 상부 하우징(210) 상에 제공된 걸림부(270)와 상호 파지작용을 하여 커버유닛(400)이 미들유닛(200)에 대해 상대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미들유닛(200)의 걸림부(270)는 와이어 포밍된 선 스프링이나 탄성 프랙쳐(Flexure) 등으로 구성되며, xy 평면 상에서 볼 때 2열 또는 삼각형 형태를 이루도록 고정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걸림부(270)는 상부걸림부(270a)와 하부걸림부(270b)가 +z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대응걸림부(410)가 상부걸림부(270a)와 하부걸림부(270b)의 상대위치에 따라, 커버유닛(400)은 베이스유닛(100)으로부터 거리가 가변되어 회전유닛(300)과 맞물리거나 회전유닛(300)과의 맞물림이 해제될 수 있다.
즉, 도 7에서와 같이, 대응걸림부(410)가 하부걸림부(270b) 아래쪽에 위치하게 되면, 제1 맞물림부(310)과 제2 맞물림부(450)가 서로 맞물려지고, 동시에 제1 역회전방지부(250)와 제2 역회전방지부(460)도 서로 결합된다. 그 결과, 사용자가 커버유닛(400)을 회전시키면 회전유닛(300)이 회전되면서 스트링이 권취된다. 이때, 제1 역회전방지부(250)과 제2 역회전방지부(460)에 의해 커버유닛(400)이 반대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회전유닛(300)의 제1 날개부(321)와 제2 날개부(322) 사이에 감겨진 스트링이 다시 풀어지지 않는다.
다음으로, 도 8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커버유닛(400)을 위쪽으로 당겨서 대응걸림부(410)가 상부걸림부(270a)와 하부걸림부(270b)의 사이에 위치시킨다. 그러면 제1 맞물림부(310)와 제2 맞물림부(450)가 서로 떨어지고, 제1 역회전방지부(250)와 제2 역회전방지부(460)도 서로 결합이 해제된다. 이와 같이, 커버유닛(400)과 회전유닛(300)의 결합이 해제되면, 회전유닛(300)에 권취되어 있던 스트링의 자체 복원력에 의해 자연스럽게 권출된다.
도 9와 도 10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2단 구성의 제3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설명에서 상술한 예의 설명과 동일한 부분으로 그의 설명으로 대치하기로 하고 다른 점 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커버유닛(400)과 미들유닛(200)의 사이에 걸림부(270)와 대응걸림부(410), 제1 역회전방지부(250)와 제2 역회전방지부(460), 그리고 커버유닛(400)과 회전유닛(300) 사이의 제1 맞물림부(310)와 제2 맞물림부 구성(450)이 제1단(Ⅰ)에 포함된다.
그리고 회전유닛(300)의 스트링을 권취하는 제1 날개부(321)와 제2 날개부(322)가 제2단(Ⅱ)에 포함된다. 그 결과, 스트링 권취장치의 전체적인 높이를 낮출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과 비교하여 볼 때,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다음과 같은 차이점을 가진다. 걸림부(270)는 커버유닛(400)에 제공된다. 그리고 대응 걸림부(410)는 미들유닛(200)에 제공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상, 하 방향으로 걸림부(270)가 쌍을 이루어 배치되었으나,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걸림부(270)가 설치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더욱 간단한 구조로 스트링 권취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대응걸림부(410)가 외측으로 완전히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커버유닛(400)의 측면판(440) 하단에 단턱(480)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응걸림부(410)는 커버유닛(400)의 내주면에 제공된 걸림부(270)와 상호 파지작용을 함으로써, 커버유닛(400)이 미들유닛(200)에 대해 z 방향을 따라 상대 이동을 할 수 있다. 대응걸림부(410)는 선 스프링이나 탄성 프랙쳐(Flexure)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xy 평면 상에서 볼 때 2열 또는 삼각형 형태를 이루도록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 제1 역회전방지부(250)와 제2 역회전방지부 (460)는 상술한 제2 실시예와 동일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역회전방지부(250)은 미들유닛(200)의 격벽(240)에서 +Z 방향으로 제공된다. 그리고 제2 역회전방지부(460)는 제1 역회전방지부(250)에 대응하여 배치된다.
도 9에서와 같이, 대응걸림부(410)가 걸림부(270) 위쪽에 위치하게 되면, 제1맞물림부(310)와 제2 맞물림부(450)가 서로 맞물려진다. 그리고 제1 역회전방지부(250)와 제2 역회전방지부(460)도 서로 결합된다.
그 결과, 사용자가 커버유닛(400)을 회전시키면 이와 맞물려 회전유닛(300)이 회전되면서 스트링이 회전유닛(300)의 제1 날개부(321)와 제2 날개부(322)의 사이에 권취된다. 이때, 커버유닛(400)은 제1 역회전방지부(250)와 제2 역회전방지부(460)의 상호 작용에 의해 반대 방향으로 회전이 제한된다. 따라서 일정 길이만큼 회전유닛(300)에 권취된 스트링은 다시 풀어지지 않는다.
다음으로, 도 10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커버유닛(400)을 위쪽으로 당겨서 대응걸림부(410)를 걸림부(270)의 아래쪽에 위치시킨다. 그러면 제1 맞물림부(310)와 제2 맞물림부(450)가 서로 떨어진다. 그리고 제1 역회전방지부(250)와 제2 역회전방지부(460)도 서로 결합이 해제된다. 이와 같이, 커버유닛(400)과 회전유닛(300)의 결합이 해제되면, 회전유닛(300)에 권취되어 있던 스트링의 자체 복원력에 의해 자연스럽게 권출된다.
도 11과 도 1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2단 구조의 제4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설명에서 상술한 예의 설명과 동일한 부분으로 그의 설명으로 대치하기로 하고 다른 점 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는 커버유닛(400)과 미들유닛(200)의 사이에 걸림부(270)와 대응걸림부(410), 제1 역회전방지부(250)와 제2 역회전방지부(460), 그리고 커버유닛(400)과 회전유닛(300) 사이에 배치되는 제1 맞물림부(310)와 제2 맞물림부(450)가 제1단(Ⅰ)에 포함된다. 그리고 회전유닛(300)의 스트링을 권취하는 부분인 제1 날개부(321)와 제2 날개부(322)가 제2단(Ⅱ)에 포함된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스트링 권취장치는 높이가 낮아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걸림부(270)는 커버유닛(400)에 제공된다. 그리고 대응걸림부(410)는 미들유닛(200)에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걸림부(270)는 상부걸림부(270a)와 하부걸림부(270b)를 포함한다. 그러나 걸림부(270)는 상부걸림부(270a)의 구성으로도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제1 역회전방지부(250)는 미들유닛(200)의 외주측에 원주 방향을 따라 제공된다. 그리고 제1 역회전방지부(250)에 대응하는 제2 역회전방지부(460)는 커버유닛(400)의 원주 부분이 중심측으로 절곡되어 제1 역회전방지부(250)에 접촉되는 모양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1 역회전방지부(250)와 제2 역회전방지부(460)는 적어도 어느 하나가 홈부 또는 돌기부로 이루어질 수 있고 서로 접촉하여 일방향으로만 회전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1 역회전방지부(250)와 제2 역회전방지부(460)는 상술한 예와 동일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역회전방지부(250)와 제2 역회전 방지부(460)의 구성은 상술한 실시예들과 달리 미들유닛(200)의 내부에 별도의 격벽을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스트링 권취장치의 전체 높이를 더욱 낮출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는 스트링 권취장치의 전체 높이를 더욱 낮추는 것은 물론 격벽이 생략되므로 중량을 줄일 수 있어 더욱 컴팩트하게 제작할 수 있고 제조 비용도 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르면, 대응걸림부(410)는 커버유닛(400) 내주면 상에 형성된 걸림부(270)와 상호 파지작용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커버유닛(400)이 미들유닛(200)에 대해 회전이 가능하다.
미들유닛(200)의 걸림부(270)는 선 스프링이나 탄성 프랙쳐(Flexure)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xy 평면 상에서 볼 때 상술한 바와 같이 2열 또는 삼각형 형태를 이루도록 고정될 수 있다.
도 11에서와 같이, 대응걸림부(410)가 상부걸림부(270a)의 위쪽에 위치하게 되면, 제1 맞물림부(310)와 제2 맞물림부(450)가 서로 맞물려진다. 그리고 제1 역회전방지부(250)와 제2 역회전방지부(460)도 서로 결합된다.
그 결과, 사용자가 커버유닛(400)을 회전시키면 커버유닛(400)과 결합된 회전유닛(300)이 회전되면서 스트링이 권취될 수 있다. 이때, 제1 역회전방지부(250)와 제2 역회전방지부(460)는 커버유닛(400)이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방지한다. 따라서 일정 길이만큼 회전유닛(300)의 제1 날개부(321)와 제2 날개주(322) 사이의 공간에 권취된 스트링이 다시 풀어지지 않게 된다.
다음으로, 도 12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커버유닛(400)을 위쪽으로 당겨서 대응걸림부(410)를 상부걸림부(270a)와 하부걸림부(270b) 사이에 위치시킨다. 그러면 제1 맞물림부(310)와 제2 맞물림부(450)가 서로 이탈된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제1 역회전방지부(250)와 제2 역회전방지부(460)도 서로 결합이 해제된다. 이와 같이, 커버유닛(400)과 회전유닛(300)의 결합이 해제되면, 회전유닛(300)에 권취되어 있던 스트링의 자체 복원력에 의해 자연스럽게 권출된다.
도 13과 도 1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1단 구성의 제5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의 설명에서 상술한 예의 설명과 동일한 부분으로 그의 설명으로 대치하기로 하고 다른 점 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의 스트링 권취장치는 걸림부(270)와 대응걸림부(410), 제1 역회전방지부(250)와 제2 역회전방지부(460) 그리고 스트링을 권취하는 제1 날개부(321)와 제2 날개부(322)가 제1단(Ⅰ)에 포함된다. 그 결과,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 보다 상대적으로 높이가 훨씬 낮아질 수 있다.
상술한 다른 실시예와 구별되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의 가장 큰 차이점은 상술한 예의 미들유닛(200)과 베이스유닛(100)이 일체로 이루어져 하나의 베이스유닛(100)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회전유닛(300)과 커버유닛(400)이 일체로 이루어져 하나의 커버유닛(400)으로 사용된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제5 실시예는 상술한 커버유닛(400)과 회전유닛(300) 사이에 배치되었던 제1 맞물림부과 제2 맞물림부가 생략되어 구성이 더욱 간단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유닛(400)의 제1 날개부(321)와 베이스유닛(100)의 상부 내측면 사이에 제1 역회전방지부(250)와 제2 역회전방지부(460)가 배치된다.
즉,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서는 제1 역회전방지부(250)가 제1 날개부(321)의 외주면에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역회전방지부(460)는 제1 역회전방지부(250)에 대응하는 위치인 베이스유닛(100)의 내주면에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는 커버유닛(400)에 스트링을 권취하기 위한 제1 날개부(321)과 제2 날개부(322), 걸림부(270), 제1 역회전방지부(250)을 일체로 성형하여 구성 부품의 수를 줄임으로써 스트링 권취장치의 높이를 더욱 낮출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의 스트링 권취장치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베이스유닛(100)의 대응걸림부(410)는 커버유닛(400)의 상부 측면판(380)의 내주면에 제공된 걸림부(270)와 상호 파지작용을 하여 커버유닛(400)이 베이스유닛(100)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또한, 대응걸림부(410)가 완전히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커버유닛(400)의 측면판(380)의 선단부에 중심방향으로 밴딩되는 단턱(480)을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의 다른 예시로, 도 13의 경우와 달리 대응걸림부가 커버유닛(400)에 형성되고, 걸림부가 베이스유닛(100)에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의 커버유닛(400)의 걸림부(270)는 와이어로 포밍된 선스프링이나 탄성 프랙쳐(Flexure)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술한 예와 같이 xy 평면 상에서 볼 때 2열 또는 삼각형 형태를 이룰 수 있다.
도 13에서와 같이, 대응걸림부(410)가 걸림부(270)의 위쪽에 위치하게 되면, 제1 역회전방지부(250)와 제2 역회전방지부(460)이 서로 결합된다. 그 결과, 사용자가 커버유닛(400)을 회전시키면 스트링이 제1 날개부(321)와 제2 날개부(322) 사이에 권취된다. 이때, 제1 역회전방지부(250)와 제2 역회전방지부(460)는 커버유닛(400)이 반대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의 스트링 권취장치에 일정 길이만큼 권취된 스트링이 다시 풀어지지 않는다.
다음으로, 도 14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커버유닛(400)을 위쪽으로 당겨서 대응걸림부(410)를 걸림부(270)의 아래쪽에 위치시킨다. 그러면, 제1 역회전방지부(250)와 제2 역회전방지부(460)가 서로 떨어진다. 이와 같이, 커버유닛(400)과 베이스유닛(100) 사이의 결합이 해제되면, 커버유닛(400)에 권취되어 있던 스트링의 자체 복원력에 의해 자연스럽게 권출된다.
도 15와 도 1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6 실시예(1단 구성의 제6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의 설명에서 상술한 예의 설명과 동일한 부분으로 그의 설명으로 대치하기로 하고 다른 점 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의 스트링 권취장치는 걸림부(270)와 대응걸림부(410), 제1 역회전방지부(250)와 제2 역회전방지부(460), 그리고 스트링을 권취하는 제1 날개부(321)와 제2 날개부(322)가 제1단(Ⅰ)에 포함된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의 스트링 권취장치는 상술한 실시예들 보다 상대적으로 높이가 훨씬 낮아질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6 실시예는 높이를 충분히 낮게 제작할 수 있어 보정 속옷의 스트링을 권취하는데 적용될 때 외부로 스트링 권취장치가 돌출되는 것을 최소화시켜 착용감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외관의 미려함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 실시예는 커버유닛(400)의 제1 날개부(321)에 대응걸림부(410)가 설치되고, 커버유닛(400)의 제2 날개부(322)에 제1 역회전방지부(250)가 설치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위의 경우와는 반대로 커버유닛(400)의 제1 날개부(321)에 제1 역회전방지부가 제공되고, 커버유닛(400)의 제2 날개부(322)에 대응걸림부가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의 구성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커버유닛(400)의 제1 날개부(321)에 형성된 대응걸림부(410)는 베이스유닛(100)의 걸림부(270)와 상호 파지작용을 하여 커버유닛(400)이 베이스유닛(100)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또한, 대응걸림부(410)가 베이스유닛(100)에서 완전히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베이스유닛(100)의 측면 상단에 단턱(480)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의 다른 예시로, 도 15에 도시된 경우와는 반대로, 대응걸림부가 커버유닛(400)에 제공되고, 걸림부가 베이스유닛(100)에 제공될 수 있다.
베이스유닛(100)의 걸림부(270)는 와이어 포밍된 선 스프링이나 탄성 프랙쳐(Flexure)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술한 예와 마찬가지로 xy 평면 상에서 볼 때 2열 또는 삼각형 형태를 이룰 수 있다.
도 15에서와 같이, 대응걸림부(410)가 걸림부(270)의 아래쪽에 위치하게 되면, 제1 역회전방지부(250)과 제2 역회전방지부(460)이 서로 결합된다.
그 결과, 사용자가 커버유닛(400)을 회전시키면 스트링이 제1 날개부(321)과 제2 날개부(322) 사이에 권취된다. 이때, 제1 역회전방지부(250)과 제2 역회전 방지부(460)에 의해 커버유닛(400)이 반대로 회전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의 스트링 권취장치는 일정 길이만큼 권취된 스트링이 다시 풀어지지 않게 된다.
다음으로, 도 16에서와 같이, 커버유닛(400)을 위쪽으로 당겨서 대응걸림부(410)가 걸림부(270)의 위쪽에 위치하게 되면, 제1 역회전방지부(250)와 제2 역회전방지부(460)의 결합된 상태가 해제된다. 이와 같이, 커버유닛(400)과 베이스유닛(100)의 결합이 해제되면, 커버유닛(400)의 제1 날개부(321)과 제2 날개부(322) 사이에 권취되어 있던 스트링이 자체 복원력에 의해 자연스럽게 권출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18과 도 19는 도 17의 주요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20은 도 17을 세로 방향으로 잘라서 본 측단면도로, 스트링 권취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7 실시예는 상술한 설명과 동일한 부분으로 그의 설명으로 대치하고 다른 점만을 설명하고 동일한 기능을 하는 구성요소는 상술한 설명과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의 스트링 권취장치는 베이스유닛(100), 커버유닛(400), 그리고 걸림 및 역회전방지용 탄성부재(500)를 포함한다.
베이스유닛(100)에는 걸림 및 역회전방지용 탄성부재(500)가 끼워지는 끼움부(151)가 제공된다. 끼움부(151)는 베이스유닛(100)의 내벽을 따라 원주방향을 간격을 이루어 장공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서 끼움부(151)는 하나 또는 2개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3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서 걸림 및 역회전방지용 탄성부재(500)는 상술한 실시예들과 비교하여 볼 때 걸림부의 역할을 하고 이와 동시에 역회전방지부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걸림 및 역회전방지용 탄성부재(500)는 커버유닛(400)과 상호 작용에 의해 커버유닛(400)의 역회전을 방지하거나 또는 베이스유닛(100)과 커버유닛(400)이 서로 맞물림되거나 맞물림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즉, 걸림 및 역회전방지용 탄성부재(500)는 하나의 구성 부품으로 커버유닛(400)이 역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동시에 커버유닛(400)이 베이스유닛(100) 측으로 이동하거나 그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어 커버유닛(400)이 일정한 자세를 유지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걸림 및 역회전방지용 탄성부재(500)는 편의상 상술한 구성요소와 구별되도록 별도의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걸림 및 역회전방지용 탄성부재(500)는 선형의 탄성체를 밴딩하여 걸림부(270)와 제1 역회전방지부(250)를 구성한다. 예를 들면, 걸림 및 역회전방지용 탄성부재(500)는 걸림부(270)는 라운드 모양으로 밴딩하여 3개의 걸림부(270)를 만들고, 이들 걸림부(270) 사이를 다시 뾰족하게 밴딩하여 제1 역회전방지부(250)를 만든다.
그리고 걸림부(270)는 베이스유닛(100)의 내측에 배치시킨다. 또한, 제1 역회전방지부(250)는 베이스유닛(100)의 외측으로 돌출시켜 배치시킨다. 다시말하면, 걸림 및 역회전방지용 탄성부재(500)는 베이스유닛(100)에 제공된 장공으로 이루어진 끼움부(151)에 끼워 걸림부(270)는 베이스유닛(100)의 내측에 배치시키고 제1 역회전방지부(250)는 끼움부(151)의 장공을 관통하여 베이스유닛(10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배치시킨다.
커버유닛(400)은 스트링이 감겨지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제1 날개부(321)와 제2 날개부(322)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1 날개부(321)과 제2 날개부(322) 사이에는 스트링이 수용되는 공간이 제공된다.
커버유닛(400)에는 상술한 걸림 및 역회전방지용 탄성부재(500)에 제공된 걸림부(270)에 대응하는 대응걸림부(410)가 제공된다. 대응걸림부(410)는 제1 날개부(321)가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커버유닛(400)에는 제1 역회전방지부(250)에 결합되거나 해제되는 제2 역회전방지부(460)가 제공될 수 있다.
제2 역회전방지부(460)는 커버유닛(400)의 내주면을 따라 경사진 기어치가 제공된다. 즉, 제2 역회전방지부(460)의 기어치들 사이에 제1 역회전방지부(250)가 끼워진 상태로 배치되어 커버유닛(400)이 일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물론, 제1 역회전방지부(250)와 제2 역회전방지부(460)의 결합이 해제된 상태인 경우에는 커버유닛(400)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의 스트링 권취장치의 작동에 관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커버유닛(400)에 제공된 제1 날개부(321)와 제2 날개부(322) 사이의 공간에 스트링을 감는 과정을 설명한다. 사용자는 커버유닛(400)을 베이스유닛(100) 방향으로 가압한다(도 20에 도시한 상태).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서는 제1 날개부(321)가 대응걸림부(41)의 역할을 수행하므로, 걸림부(270)의 하부에 위치한다. 이러한 상태는 제1 역회전방지부(250)와 제2 역회전방지부(460)가 서로 결합되어 커버유닛(400)이 일방향으로 만 회전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때 대응걸림부(410)는 걸림부(270)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걸림부(270)의 하방으로 이동한다(도 20에 도시한 상태)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커버유닛(400)을 회전시키면 커버유닛(400)이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스트링이 제1 날개부(321)와 제2 날개부(322) 사이의 공간에 감겨진다.
그리고 사용자가 커버유닛(400)을 도 20의 화살표 방향으로 당기면, 대응걸림부(410)가 걸림부(270)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걸림부(270)의 위쪽으로 이동한다. 그러면 제1 역회전방지부(250)와 제2 역회전방지부(460)가 서로 떨어진다. 이러한 상태는 커버유닛(400)이 자유롭게 회전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물론, 커버유닛(400)에 스트링이 감겨져 스트링의 장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는 스트링의 장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커버유닛(400)이 회전을 할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8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스트링 권취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3은 도 22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4는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의 커버유닛의 저면 사시도이고, 도 25는 도 22를 세로방향으로 잘라서 본 단면도로, 스트링 권취장치 및 그의 구성부품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의 설명은 상술한 예의 설명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 그의 설명으로 대치하고 다른 부분 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서 걸림부(270)는 베이스유닛(100)에 제공된 제1 끼움부(152)에 끼워진다. 그리고 제1 역회전방지부(250)는 제2 끼움부(153)에 끼워진다. 제1 끼움부(152)는 베이스유닛(100)에 원주 방향을 따라 장공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2 끼움부(153)는 베이스유닛(100)에 역시 장공으로 이루어지며 제1 끼움부(152)의 상부 즉, 제1 끼움부(152)를 기준으로 커버유닛(400)가 배치된 측에 위치한다.
그리고 제1 역회전방지부(250)는 판상의 탄성체가 밴딩되어 이루어지며 선단부가 베이스유닛(10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서 걸림부(270)는 상술한 제7 실시예서 걸림 및 역회전방지용 탄성부재(500)의 걸림부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의 걸림부(270)의 작동설명은 그의 설명으로 대치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서 제1 역회전방지부(250)의 선단부가 제2 역회전방지부(460)를 이루는 기어치 사이에 끼워지면 커버유닛(400)은 일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8 실시예는 제7 실시예와 같은 작용에 의해 사용자가 스트링 권취장치의 제1 날개부(321)와 제2 날개부(322) 사이의 공간에 스트링을 감을 수 있게 된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제9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스트링 권취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7은 도 26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8은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의 커버유닛의 저면 사시도이고, 도 29는 도 26을 세로방향으로 잘라서 본 단면도로, 스트링 권취장치 및 그의 구성부품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의 설명은 상술한 예의 설명과 동일한 부분으로 그의 설명으로 대치하고 다른 부분 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의 걸림부(270)는 상, 하부에 2개가 셋트로 구성될 수 있으며 선형의 탄성체로 이루어지고 밴딩되어 라운드 모양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걸림부(270)는 베이스유닛(100)의 내부에 배치된다. 그리고 커버유닛(400)에 제공된 대응걸림부(410)가 걸림부(270)를 타고 넘어가 커버유닛(400)이 상, 하 방향(베이스유닛과 가까워지는 방향 또는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일정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서 걸림부(270)는 상부걸림부(270a)와 하부걸림부(270b)를 포함하여 2개로 이루어진 예를 도시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1개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본발명의 제9 실시예의 걸림부(270)는 선형의 탄성부재가 라운드 모양을 반복하여 밴딩되고 라운드 모양 부분 사이에는 밴딩된 다른 모양(끼움부에 끼워지는 돌출된 모양)을 이루어 끼움부(151)에 끼워져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역회전방지부(250)는 판상의 탄성체가 밴딩되어 이루어진다. 제1 역회전방지부(250)는 밴딩된 선단부 양측이 베이스유닛(100)의 내측면을 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역회전방지부(250)는 밴딩된 선단부가 제2 역회전방지부(460)의 기어치에 접촉되어 커버유닛(400)이 일방향으로 만 회전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즉, 제1 역회전 방지부(250)는 밴딩된 양단 부분이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해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제1 역회전방지부(250)는 커버유닛(400)에 제공된 결합홈부(490)에 끼움결합될 수 있다(도 28 참조). 커버유닛(400)에 제공되는 결합홈부(490)는 커버유닛(400)의 저면에 베이스유닛(100)을 향해 개구부를 이루며 장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커버유닛(400)에는 걸림부(270)에 대응하는 대응걸림부(410)가 제공된다. 커버유닛(400)에 제공되는 대응걸림부(410)는 제1 날개부(321)가 그 역할을 대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의 걸림부(270)의 작동설명은 상술한 제8 실시예의 설명으로 대치하기로 한다.
제2 역회전방지부(460)는 베이스유닛(100)의 내주면을 따라 연속적인 기어치 모양으로 이루어지고, 기어치는 경사져 제1 역회전방지부(250)의 밴딩된 양끝단에 걸려 커버유닛(100)을 일방향으로 만 이동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서 제1 역회전방지부(250)의 밴딩된 선단부가 제2 역회전방지부(460)를 이루는 기어치 사이에 끼워지면 커버유닛(400)은 일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9 실시예는 제8 실시예와 같은 작용에 의해 사용자가 스트링 권취장치의 제1 날개부(321)와 제2 날개부(322) 사이의 공간에 스트링을 감을 수 있게 된다.
도 30은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스트링 권취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1은 도 30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2는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의 커버유닛의 저면 사시도이고, 도 33은 도 30에 도시한 스트링 권취장치를 세로방향으로 잘라서 본 단면도로, 스트링 권취장치 및 그의 구성부품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의 설명은 상술한 제8 실시예의 설명과 동일한 부분은 그의 설명으로 대치하고 다른 부분 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0실시예는 제 8실시예와 비교하여 볼 때, 베이스유닛(100)이 베이스판(110)과 하부하우징(120)으로 분리되고, 회전유닛(300)과 커버유닛(400)이 분리된 점이 차이가 있다. 즉, 본 발명의 제8 실시예는 베이스판(110), 하부하우징(120), 회전유닛(300), 그리고 커버유닛(400)이 샤프트(510)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는 본 발명을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는 제8 실시예와 작용효과는 동일하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0. 베이스유닛,
200. 미들유닛,
300. 회전유닛, 400. 커버유닛,
110. 베이스판, 111. 통공,
120. 하부하우징, 121. 제1측면관통홀,
122. 제2측면관통홀, 130. 회전지지부,
132. 회전지지돌출부, 151. 끼움부,
152. 제1 끼움부, 153. 제2 끼움부,
210. 상부하우징, 240. 격벽,
250. 제1 역회전 방지부, 260. 장착돌기,
270. 걸림부,
270a. 상부걸림부, 270b. 하부걸림부,
310. 제1 맞물림부,
321. 제1 날개부, 322. 제2 날개부,
323. 제3 날개부,
331. 제1 관통홀, 332. 제2 관통홀,
322a. 회전돌출부, 380. 상부 측면판,
410. 대응걸림부, 420. 커버판,
440. 측면판, 450. 제2 맞물림부,
460. 제2 역회전방지부, 480. 단턱
490. 결합홈부, 500. 걸림 및 역회전방지용 탄성부재,
510. 샤프트,
300. 회전유닛, 400. 커버유닛,
110. 베이스판, 111. 통공,
120. 하부하우징, 121. 제1측면관통홀,
122. 제2측면관통홀, 130. 회전지지부,
132. 회전지지돌출부, 151. 끼움부,
152. 제1 끼움부, 153. 제2 끼움부,
210. 상부하우징, 240. 격벽,
250. 제1 역회전 방지부, 260. 장착돌기,
270. 걸림부,
270a. 상부걸림부, 270b. 하부걸림부,
310. 제1 맞물림부,
321. 제1 날개부, 322. 제2 날개부,
323. 제3 날개부,
331. 제1 관통홀, 332. 제2 관통홀,
322a. 회전돌출부, 380. 상부 측면판,
410. 대응걸림부, 420. 커버판,
440. 측면판, 450. 제2 맞물림부,
460. 제2 역회전방지부, 480. 단턱
490. 결합홈부, 500. 걸림 및 역회전방지용 탄성부재,
510. 샤프트,
Claims (29)
- 베이스유닛;
상기 베이스유닛에 결합된 미들유닛;
상기 베이스유닛과 상기 미들유닛에 사이에 배치되고, 제1 맞물림부를 구비하며, 제1 날개부와 제2 날개부가 제공되며, 상기 제1 날개부와 상기 제2 날개부 사이에 공간이 제공되어 스트링이 감겨지는 회전유닛;
상기 미들유닛에 결합되며, 상기 제1 맞물림부에 결합되거나 해제되는 제2 맞물림부를 구비한 커버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유닛의 윗면과 상기 커버유닛의 아랫면 사이에 제공되며 제1 역회전방지부와 제2 역회전방지부, 그리고 걸림부와 대응걸림부가 배치되는 제1단;
상기 제1 날개부와 상기 제2 날개부 사이에 제공되며 상기 스트링이 감겨지는 상기 공간이 제공되는 제2단;
을 포함하는 스트링 권취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탄성체로 이루어지고 2개가 쌍을 이루어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미들유닛 또는 상기 커버유닛에 배치되는 스트링 권취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탄성체가 평면에서 보아 삼각형 모양으로 배치되는 스트링 권취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대응걸림부는
상기 커버유닛에 제공된 중심축에 방사상 방향으로 연장된 디스크 모양으로 이루어지는 스트링 권취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대응걸림부는
상기 커버유닛의 측면에 제공되며 상기 미들유닛의 외주면측을 향해 형성되는 스트링 권취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대응걸림부는
상기 미들유닛에 제공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커버유닛에 제공되는 스트링 권취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부걸림부,
상기 상부걸림부의 하부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배치되는 하부걸림부를 포함하는 스트링 권취장치. - 베이스유닛;
상기 베이스유닛에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되며 제1 날개부와 제2 날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날개부와 상기 제2 날개부 사이에 스트링이 감겨지는 공간이 제공되는 커버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유닛의 윗면과 상기 커버유닛에 제공된 상기 제2 날개부 사이에 제1 역회전방지부와 제2 역회전방지부, 걸림부와 대응걸림부, 그리고 스트링이 감겨지는 상기 공간부가 제공되는 제1단
으로 이루어지는 스트링 권취장치. -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대응걸림부는
상기 베이스유닛에 제공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커버유닛에 제공되는 스트링 권취장치. -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대응걸림부는
상기 제1 날개부에 제공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베이스유닛에 제공되는 스트링 권취장치. - 베이스 유닛;
상기 베이스유닛에 결합되며 스트링이 감겨지는 공간이 제공된 커버유닛;
상기 베이스유닛에 결합되는 걸림 및 역회전방지용 탄성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 및 역회전방지용 탄성부재는
상기 커버유닛과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커버유닛의 역회전을 방지하거나 또는 상기 베이스유닛과 상기 커버유닛이 서로 맞물림되거나 맞물림 상태를 해제시키는 스트링 권취장치. - 베이스 유닛;
상기 베이스유닛에 결합되며 스트링이 감겨지는 공간이 제공된 커버유닛;
상기 베이스유닛에 결합되는 걸림 및 역회전방지용 탄성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유닛에는
상기 걸림 및 역회전방지용 탄성부재가 끼워지는 끼움부가 제공되고,
상기 걸림 및 역회전방지용 탄성부재는
선형재가 밴딩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부와 제1 역회전방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유닛에는
상기 걸림부에 대응하는 대응걸림부가 제공되고, 상기 제1 역회전방지부에 결합되거나 해제되는 제2 역회전방지부가 제공되는 스트링 권취장치. -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라운드 모양 밴딩되어 상기 베이스유닛의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역회전방지부는
상기 걸림부 사이에 돌출되는 모양으로 밴딩되어 상기 베이스유닛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배치되는 스트링 권취장치. -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커버유닛은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제1 날개부와 제2 날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날개부와 상기 제2 날개부 사이에 공간이 제공되어 스트링이 권취되며,
상기 대응걸림부는
상기 제1 날개부에 제공되는 스트링 권취장치. -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2 역회전방지부는
상기 커버유닛의 내주면을 따라 경사진 기어치 모양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기어치 사이에 상기 제1 역회전방지부가 끼워지는 스트링 권취장치. -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는
상기 베이스유닛의 원주방향을 따라 장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장공은 간격을 이루어 배치되는 스트링 권취장치. - 베이스 유닛;
상기 베이스유닛에 결합되며 스트링이 감겨지는 공간이 제공된 커버유닛;
상기 베이스유닛에 결합되는 걸림부;
상기 베이스유닛에 결합되는 제1 역회전방지부;
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유닛에는
상기 걸림부가 끼워지는 제1 끼움부가 제공되고, 상기 제1 역회전방지부가 끼워지는 제2 끼움부가 제공되며,
상기 걸림부는
탄성체로 이루어진 선형재가 밴딩되어 라운드를 이루며 상기 베이스유닛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역회전방지부는
판상의 탄성체가 밴딩되어 이루어지며 선단부가 상기 베이스유닛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배치되고,
상기 커버유닛에는
상기 걸림부에 대응하는 대응걸림부가 제공되고, 상기 제1 역회전방지부에 결합되거나 해제되는 제2 역회전방지부가 제공되는 스트링 권취장치. -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커버유닛은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제1 날개부와 제2 날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날개부와 상기 제2 날개부 사이에 공간이 제공되어 스트링이 권취되며,
상기 대응걸림부는
상기 제1 날개부 또는 상기 제2 날개부에 제공되는 스트링 권취장치. -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제2 역회전방지부는
상기 커버유닛의 내주면을 따라 경사진 기어치 모양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기어치 사이에 상기 제1 역회전방지부가 끼워지는 스트링 권취장치. -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제1 끼움부는
상기 베이스유닛의 원주방향을 따라 장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장공은 간격을 이루어 배치되고,
상기 제2 끼움부는 상기 제1 끼움부와 상기 커버유닛 사이에 제공되는 스트링 권취장치. - 베이스 유닛;
상기 베이스유닛에 결합되며 스트링이 감겨지는 공간이 제공된 커버유닛;
상기 베이스유닛에 결합되는 걸림부;
상기 커버유닛에 결합되는 제1 역회전방지부;
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유닛에는
상기 걸림부가 끼워지는 끼움부가 제공되고, 상기 제1 역회전방지부에 결합되거나 해제되는 제2 역회전방지부가 제공되며,
상기 걸림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며 탄성체로 이루어진 선형재가 밴딩되어 라운드를 이루며 상기 베이스유닛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역회전방지부는
탄성체가 밴딩되어 이루어지며 선단부가 상기 베이스유닛의 내측면을 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커버유닛에는
상기 제1 역회전방지부가 결합되는 결합홈부가 제공되고, 상기 걸림부에 대응하는 대응걸림부가 제공되는 스트링 권취장치. -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커버유닛에 제공되는 상기 결합홈부는
상기 커버유닛의 저면에 상기 베이스유닛을 향하여 개구부를 이루며 장홈으로 이루어진 스트링 권취장치. -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제1 역회전 방지부는
판상의 탄성체로 이루어지여 양단이 밴딩되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향하여 배치되는 스트링 권취장치. -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제2 역회전방지부는
상기 베이스유닛의 내주면을 따라 연속적인 기어치 모양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기어치는 경사져 상기 제1 역회전방지부의 끝단에 걸려 상기 커버유닛을 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스트링 권취장치. -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에 결합되는 하부하우징을 포함한 베이스유닛;
상기 하부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스트링이 감겨지는 회전유닛;
상기 하부하우징에 결합되며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제1 역회전방지부;
상기 하우하우징에 결합되며 선형의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걸림부;
상기 회전유닛의 위쪽에 배치되는 커버유닛; 그리고
상기 베이스유닛, 상기 회전유닛, 그리고 상기 커버유닛을 결합시키는 샤프트;
를 포함하는 스트링 권취장치. -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회전유닛은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제1 날개부와 제2 날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날개부와 상기 제2 날개부 사이에 공간이 제공되어 스트링이 권취되며,
상기 걸림부에 대응하며, 상기 커버유닛을 상기 베이스판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그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대응걸림부는
상기 제1 날개부 또는 상기 제2 날개부에 제공되는 스트링 권취장치. -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제2 역회전방지부는
상기 커버유닛의 내주면을 따라 경사진 기어치 모양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기어치 사이에 상기 제1 역회전방지부의 선단부가 끼워지는 스트링 권취장치. - 청구항 1 내지 2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스트링 권취장치를 이용한 신발.
- 청구항 1 내지 2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스트링 권취장치를 이용한 옷.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05106A KR101874925B1 (ko) | 2015-08-21 | 2016-08-18 | 스트링 권취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신발과 옷 |
PCT/KR2016/009146 WO2017034222A2 (ko) | 2015-08-21 | 2016-08-19 | 스트링 권취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신발과 옷 |
CN201680048451.XA CN108024599B (zh) | 2015-01-14 | 2016-08-19 | 系带儿卷绕装置及利用该装置的鞋和衣服 |
JP2018528926A JP6599008B2 (ja) | 2015-01-14 | 2016-08-19 | ストリング巻取り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履物と服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14/831,978 US10264852B2 (en) | 2015-01-14 | 2015-08-21 | String winding and unwinding apparatus |
US14/831,978 | 2015-08-21 | ||
KR1020160105106A KR101874925B1 (ko) | 2015-08-21 | 2016-08-18 | 스트링 권취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신발과 옷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55102A Division KR20170130340A (ko) | 2015-08-21 | 2017-11-20 | 스트링 권취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신발과 옷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22926A true KR20170022926A (ko) | 2017-03-02 |
KR101874925B1 KR101874925B1 (ko) | 2018-07-05 |
Family
ID=6081268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05106A KR101874925B1 (ko) | 2015-01-14 | 2016-08-18 | 스트링 권취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신발과 옷 |
KR1020170155102A KR20170130340A (ko) | 2015-08-21 | 2017-11-20 | 스트링 권취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신발과 옷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55102A KR20170130340A (ko) | 2015-08-21 | 2017-11-20 | 스트링 권취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신발과 옷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2) | KR101874925B1 (ko) |
WO (1) | WO2017034222A2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14745B1 (ko) * | 2018-09-07 | 2021-10-19 | 타이렌 주식회사 | 끈 조절장치 |
JP2022064758A (ja) * | 2020-10-14 | 2022-04-26 | 日本電産株式会社 | スプール及びそれを備えたレーシングモジュール |
CN116509108A (zh) * | 2022-01-21 | 2023-08-01 | 深圳市爱康伟达智能医疗科技有限公司 | 一种新型的系带装置及其止逆机构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9814672C2 (de) * | 1998-04-01 | 2000-08-10 | Markus Dubberke | Vorrichtung zur Arretierung von Endbereichen von Schnürsenkeln |
KR100598627B1 (ko) * | 2005-06-27 | 2006-07-13 | 주식회사 신경 | 신발끈 조임기 |
WO2011137405A2 (en) * | 2010-04-30 | 2011-11-03 | Boa Technology, Inc. | Reel based lacing system |
KR100986674B1 (ko) * | 2010-07-15 | 2010-10-08 | 유디텔주식회사 | 탄성스트링 와인딩 및 언와인딩 장치 |
CN202566580U (zh) * | 2012-05-08 | 2012-12-05 | 陈志峰 | 鞋带锁紧机构 |
KR102704921B1 (ko) * | 2013-06-05 | 2024-09-11 | 보아 테크놀러지, 인크. | 통합된 폐쇄 장치 구성요소 및 방법 |
-
2016
- 2016-08-18 KR KR1020160105106A patent/KR101874925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6-08-19 WO PCT/KR2016/009146 patent/WO2017034222A2/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7
- 2017-11-20 KR KR1020170155102A patent/KR20170130340A/ko active Application Fil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7034222A3 (ko) | 2017-04-20 |
WO2017034222A2 (ko) | 2017-03-02 |
KR20170130340A (ko) | 2017-11-28 |
KR101874925B1 (ko) | 2018-07-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240268522A1 (en) | String adjustment device | |
JP2018532669A (ja) | ストリング巻取り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履物と服 | |
JP6087219B2 (ja) | 靴紐巻取装置 | |
US20190008236A1 (en) | Wire tightening apparatus | |
US10874175B2 (en) | Device for adjusting length of string | |
US9339089B2 (en) | String length adjusting device | |
KR102195650B1 (ko) | 통합된 폐쇄 장치 구성요소 및 방법 | |
KR101874925B1 (ko) | 스트링 권취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신발과 옷 | |
JP6882827B2 (ja) | 巻取装置 | |
KR101782151B1 (ko) | 끈 조임장치 | |
US10264852B2 (en) | String winding and unwinding apparatus | |
JP7225264B2 (ja) | ひも調節装置及び該ひも調節装置を備える製品 | |
KR101040372B1 (ko) | 줄 길이 조절장치 | |
JP2017513679A (ja) | ワイヤー締付装置 | |
KR20160147231A (ko) | 착탈식 조임 조절 패드 구조체 | |
JP6810530B2 (ja) | 巻取装置 | |
JP2012139360A (ja) | 顔面装着具 | |
JP2018520728A (ja) | 靴紐締め付け装置 | |
JP2014518107A (ja) | コードロック | |
KR100828906B1 (ko) | 끈 길이 조절장치 | |
KR101572605B1 (ko) | 스트링 권취 및 권출 장치 | |
KR200239280Y1 (ko) | 벨트용 버클 | |
KR101253837B1 (ko) | 벨트용 버클 | |
CN108685270B (zh) | 一种基于转子和定子的系带系统及其使用方法 | |
KR100889462B1 (ko) | 줄 길이 조절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