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2715A - 조현병 관련 정신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조현병 관련 정신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2715A
KR20170022715A KR1020150118044A KR20150118044A KR20170022715A KR 20170022715 A KR20170022715 A KR 20170022715A KR 1020150118044 A KR1020150118044 A KR 1020150118044A KR 20150118044 A KR20150118044 A KR 20150118044A KR 20170022715 A KR20170022715 A KR 201700227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order
swertia
flavone
glucose derivativ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8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7252B1 (ko
Inventor
류종훈
장대식
이형은
류별
이선희
김은지
Original Assignee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180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7252B1/ko
Publication of KR201700227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27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72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72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4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 A61K31/704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oxygen as a ring hetero atom, e.g. leucoglucosan, hesperidin, erythromycin, nystatin, digitoxin or digox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1Gentianaceae (Gentian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nervous system or on mental fun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60Sugars, e.g. mono-, di-, tri-, tetra-sacchari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otan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라본-6-C-글루코스 유도체 또는 이를 함유하는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NMDA-수용체 억제에 의한 정신병적 증상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작용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조현병 관련 정신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mpositions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schizophrenia-related mental disorders}
본 발명은 플라본-6-C-글루코스 유도체 또는 이를 함유하는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현병 관련 정신 장애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조현병(schizophrenia, 정신분열증)은 자기 자신이나 외부 세계에 대한 부적절한 이해, 사고의 혼란, 현실감이 결여된 행동 장애 등을 특징으로 하는 심각한 정신질환으로서, 전세계 인구 중 1%에서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다. 조현병의 증후에는 양성증상(환각, 망상 등), 음성증상(무욕증, 사회성 결여 등), 인지력 장애, 정서장애 등이 있다. 1개월 이상 동안 대부분의 특정 징후가 지속되거나, 일부 증후가 6개월 이상 지속되는 경우 정신 질환으로 간주한다(van Os, J. and Kapur, S. (2009) Schizophrenia. Lancet 374(9690): 635-645).
조현병은 정신심리적인 치료요법과는 별도로 약물치료를 하게 되는데, 기존의 전형적인 항정신병제는 환각, 망상 및 착란 등의 양성 증상을 치료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었다. 이러한 치료에는 도파민 D2 수용체 길항 약물이 유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구체적으로 할로페리돌(haloperidol), 클로르프로마진(chlorpromazine) 및 플루페나진(fluphenazine) 등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약물들은 추체외로효과(운동장애, 비자발적 근연축), 감정둔화, 피로, 추진력 결여 및 체중증가 등과 같은 많은 부작용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음성증상 및 인지능력의 장애를 치료 할 수 없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Lieberman, J. A., Stroup, T. S., McEvoy, J. P., Swartz, M. S., Rosenheck, R. A., Perkins, D. O., Keefe, R. S., Davis, S. M., Davis, C. E., Lebowitz, B. D., Severe, J. and Hsiao, J. K. (2005) Effectiveness of antipsychotic drugs in patients with chronic schizophrenia. N. Engl. J. Med. 353(12): 1209-1223).
최근의 비전형적인 항정신병제인 클로자핀(clozapine), 리스페리돈(risperidone), 아세나핀(asenapine), 올란자핀(olanzapine) 및 일로페리돈(iloperidone) 등은 대뇌변연계를 표적으로 하여 도파민 D2 수용체 이외에 세로토닌, 노르에피네프린, 히스타민 수용체에 친화성이 있으며, 기존의 전형적인 항정신병제에 비하여 추체외로효과 등의 부작용이 적고 양성 및 음성 증상을 모두 치료한다(Miyamoto, S., Miyake, N., Jarskog, L. F., Fleischhacker, W. W. and Lieberman, J. A. (2012) Pharmacological treatment of schizophrenia: a critical review of the pharmacology and clinical effects of current and future therapeutic agents. Mol. Psychiatry 17(12): 1206-1227). 그러나, 비전형적 항정신병 약물은 비만, 당뇨 등의 대사성 부작용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부작용들은 환자의 복약 순응도를 낮추는 결정적 요인이 되고 있다. 또한, 비전형 항정신병 약물은 인지결함에 대해 약간의 효과를 가질 수는 있지만, 효과가 지속되지 못하거나 일상적 기능을 개선시키지 못한다(Chakos, M., Lieberman, J., Hoffman, E., Bradford, D. and Sheitman, B. (2001) Effectiveness of second-generation antipsychotics in patients with treatment-resistant schizophrenia: a review and meta-analysis of randomized trials. Am. J. Psychiatry 158(4): 518-526). 따라서 부작용이 적고, 인지기능 장애와 음성증상을 치료하며, 환자의 복약순응도가 개선된 새로운 타깃의 조현병 치료제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항정신병 약물의 작용에서는 도파민 농도의 감소가 필수적인 것으로 간주되지만, 글루타메이트 전달의 조절도 마찬가지로 중요할 수 있다. 건강한 사람에게 NMDA 길항제를 투여한 경우, 정신분열증과 유사한 증상이 유도될 수 있다는 사실이 이 가설을 뒷받침한다(Javitt DC, Zukin SR. (1991) Recent advances in the phencyclidine model of schizophrenia. Am J Psychiatry 148: 1301-1308). 또한, 다양한 선행문헌에서 NMDA 수용체의 기능저하가 정신질환의 음성증상 유발과 관련이 있을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Field JR, Walker AG, Conn PJ. (2011) Targeting glutamate synapses in schizophrenia. Trends Mol Med 17: 689-698).
이에, 본 발명자들은 NMDA 수용체의 기능저하에 대한 회복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생약 추출물 및 그 유효성분들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대한민국 출원번호 제10-2013-0096493호
본 발명의 목적은 플라본-6-C-글루코스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현병 관련 정신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플라본-6-C-글루코스 유도체를 함유하는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현병 관련 정신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플라본-6-C-글루코스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현병 관련 정신 장애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플라본-6-C-글루코스 유도체를 함유하는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현병 관련 정신 장애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플라본-6-C-글루코스 유도체 또는 이를 포함하는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현병 관련 정신 장애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약학 조성물
본 발명은 플라본-6-C-글루코스(flavone-6-C-glucose)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현병 관련 정신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플라본-6-C-글루코스 유도체는 하기 화학식 I로 표시되는 화합물이다.
[화학식 I]
Figure pat00001
상기 화학식 I에서,
R은 H 또는 C1-C6 알킬이고,
R1은 H 또는 OH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플라본-6-C-글루코스 유도체는 하기 표 1의 스웨르티신(swertisin), 이소비텍신(isovitexin), 이소오리엔틴(isoorientin), 스웨르티아자포닌(swertiajaponin)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으며, 스웨르티신이 가장 바람직하다.
[표 1]
Figure pat00002
상기 화학식 I로 표시되는 플라본-6-C-글루코스 유도체는 이를 함유하고 있는 다양한 생약으로부터 수득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당약(Swertia japonica), 자주쓴풀(Swertia pseudochinensis), Enicostemma hyssopifolium, Swertia mussotii Franch., Swertia franchetiana, Gentianella austriaca, Machaerium hirtum Vell., Aleurites moluccana L. Willd., Zizyphus spinosa, 사간(Belamcanda chinensis), Wilbrandia ebracteata, Cayaponia tayuya, Passiflora incarnata L., 압척초(Commelina communis L.), 초장초(Oxalis corniculata), Aquilegia oxysepala Trautv . et Mey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수득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플라본-6-C-글루코스 유도체는 당약(Swertia japonica), 자주쓴풀(Swertia pseudochinensis)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추출물로부터 수득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당약(Swertia japonica)의 전초, 자주쓴풀(Swertia pseudochinensis)의 전초,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추출물로부터 수득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의 추출용매는 물, C1~C4의 알코올, 헥산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일 수 있다. 상기 C1~C4의 알코올은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n-프로판올, n-부탄올, 이소부탄올 또는 t-부탄올 등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메탄올 또는 에탄올일 수 있다. 물과 C1~C4 알코올의 혼합용매의 경우 혼합용매 내 C1~C4 알코올의 함량이 10 % (v/v) 내지 99 % (v/v) 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의 추출 방법은 통상 생약 추출물의 공지된 일반적 추출방법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진탕 추출, Soxhlet 추출 또는 환류 추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추출온도는 40 내지 100 ℃인 것이 바람직하며, 60 내지 80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추출시간은 2 내지 24 시간인 것이 바람직하며, 추출횟수는 1 내지 5 회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추출물을 추가로 분리 및 정제하여 플라본-6-C-글루코스 유도체를 수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박층 크로마토그래피(thin layer chromatography),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중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medium pressure liquid chromatography) 등과 같은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플라본-6-C-글루코스 유도체를 분리 및 정제를 수행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Sephadex LH-20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중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또는 이들을 복합적으로 사용하여 분리 및 정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학식 I로 표시되는 플라본-6-C-글루코스 유도체는 시중에 판매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또는 유기합성으로도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플라본-6-C-글루코스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은 NMDA-수용체의 억제에 따른 정신병적 증상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내는 바, 조현병 관련 정신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NMDA-수용체 길항제인 다이조실핀(dizocilpine, MK-801)을 마우스에 투여한 경우 사전자극 억제(prepulse inhibition, PPI)가 감소하였으나, 플라본-6-C-글루코스 유도체를 함께 투여한 경우 사전자극 억제의 감소 비율이 줄어듦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플라본-6-C-글루코스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은 NMDA-수용체의 억제 양상을 저해하는 효과가 있으며, 조현병 관련 정신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MK-801에 의해 기존 물체와 신규 물체와의 인식에 대한 차이가 없었으나, 본 발명의 플라본-6-C-글루코스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은 신규 물체 인식에 대한 탐색시간이 거의 정상으로 회복됨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플라본-6-C-글루코스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은 조현병 관련 정신 장애에서 관찰되는 인지능 저하 개선작용을 기대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전형적 항정신병 약물에 나타나는 강경증 증상이 본 발명의 플라본-6-C-글루코스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의 투여시에는 전혀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플라본-6-C-글루코스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은 기존 조현병 관련 정신장애 치료약물에서 관찰되는 강경증 등의 부작용을 나타내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현병 관련 정신 장애는 조현병, 정신분열형 장애, 분열정동 장애, 양극성 장애(I형 양극성 장애, Ⅱ형 양극성 장애, 조증, 경조증), 비양극성 조증, 뚜렛(Tourette) 증후군, 순환성 장애, 급속 주기 장애, 초일 주기 장애, 인격 장애, 자폐증,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과다 행동을 갖거나 갖지 않는 주의력 장애, 망상 장애, 단기 정신병적 장애, 공유 정신병적 장애, 일반적 약물 조건에 의한 정신병적 장애, 파킨슨병과 관련한 정신병적 장애, 물질-유도성 정신병적 장애 또는 달리 특정되지 않은 정신병적 장애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조현병, 정신분열형 장애, 분열정동 장애, 망상장애, 단기 정신병 장애, 공유 정신병 장애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플라본-6-C-글루코스 유도체는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5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함유량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환자의 상태 및 질환의 종류 및 진행 정도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플라본-6-C-글루코스 유도체는 각각 성인 기준 1일 약 1 mg 내지 120 mg의 용량으로 단회 내지 수회 투여가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30 mg 내지 120 mg의 용량으로 단회 내지 수회 투여가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 화합물들의 투여량은 환자의 중증, 나이, 성별, 체중 등의 환자의 상태와 약물의 제형, 투여경로 및 투여 기간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I로 표시되는 플라본-6-C-글루코스 유도체를 함유하는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현병 관련 정신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플라본-6-C-글루코스 유도체는 상기 표 1의 스웨르티신(swertisin), 이소비텍신(isovitexin), 이소오리엔틴(isoorientin), 스웨르티아자포닌(swertiajaponin)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으며, 스웨르티신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플라본-6-C-글루코스 유도체를 함유하는 생약 추출물은 당약(Swertia japonica), 자주쓴풀(Swertia pseudochinensis), Enicostemma hyssopifolium, Swertia mussotii Franch., Swertia franchetiana, Gentianella austriaca, Machaerium hirtum Vell., Aleurites moluccana L. Willd., Zizyphus spinosa, 사간(Belamcanda chinensis), Wilbrandia ebracteata, Cayaponia tayuya, Passiflora incarnata L., 압척초(Commelina communis L.), 초장초(Oxalis corniculata), Aquilegia oxysepala Trautv. et Mey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추출물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당약(Swertia japonica), 자주쓴풀(Swertia pseudochinensis)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추출물이다.
상기 당약(Swertia japonica), 자주쓴풀(Swertia pseudochinensis), Enicostemma hyssopifolium, Swertia mussotii Franch., Swertia franchetiana, Gentianella austriaca, Machaerium hirtum Vell., Aleurites moluccana L. Willd., Zizyphus spinosa, 사간(Belamcanda chinensis), Wilbrandia ebracteata, Cayaponia tayuya, Passiflora incarnata L., 압척초(Commelina communis L.), 초장초(Oxalis corniculata), Aquilegia oxysepala Trautv. et Mey는, 상기 화학식 I로 표시되는 플라본-6-C-글루코스 유도체를 포함하므로, 본 발명의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은 플라본-6-C-글루코스 유도체와 같이 조현병 관련 정신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의 추출용매는 물, C1~C4의 알코올, 헥산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일 수 있다. C1~C4의 알코올은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n-프로판올, n-부탄올, 이소부탄올 또는 t-부탄올 등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메탄올 또는 에탄올일 수 있다. 물과 C1~C4 알코올의 혼합용매의 경우 혼합용매 내 C1~C4 알코올의 함량이 10 % (v/v) 내지 99 % (v/v) 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의 추출 방법은 통상 생약 추출물의 공지된 일반적 추출방법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진탕 추출, Soxhlet 추출 또는 환류 추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추출온도는 40 내지 100 ℃인 것이 바람직하며, 60 내지 80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추출시간은 2 내지 24시간인 것이 바람직하며, 추출횟수는 1 내지 5회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은 상기 생약 조성물을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5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함유량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환자의 상태 및 질환의 종류 및 진행 정도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생약 추출물은 성인 기준 1일 약 10 mg 내지 1200 mg의 용량으로 단회 내지 수회 투여가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300 mg 내지 1200 mg의 용량으로 단회 내지 수회 투여가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 생약 추출물의 투여량은 환자의 중증, 나이, 성별, 체중 등의 환자의 상태와 약물의 제형, 투여경로 및 투여 기간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플라본-6-C-글루코스 유도체 또는 이를 함유하는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은 독성 및 부작용이 없으므로 예방 또는 치료 목적으로 장기간 투여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투여"는 어떠한 적절한 방법으로 환자에게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을 도입하는 것을 의미하며,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어떠한 일반적인 경로를 통하여 투여될 수 있다. 경구 투여, 복강 내 투여, 정맥내 투여, 근육내 투여, 피하 투여, 피내 투여, 비내 투여, 폐내 투여, 직장내 투여, 강내 투여, 복강내 투여, 경막내 투여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실내 (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라본-6-C-글루코스 유도체 또는 이를 함유하는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은 1 회 투여될 수도 있고, 또는 일정한 시간 간격을 두고 수회 나누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라본-6-C-글루코스 유도체 또는 이를 함유하는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투여될 수 있다. 제형화할 경우에는 통상 사용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라본-6-C-글루코스 유도체 또는 이를 함유하는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플라본-6-C-글루코스 유도체 또는 이를 함유하는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은 경구투여를 위하여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의 고형제제로 제제화될 수 있으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플라본-6-C-글루코스 유도체 또는 이를 함유하는 생약 추출물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약학 조성물이 경구를 위한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의 액상제제로 제제화될 수 있으며,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사용하여 액상제제로 제제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플라본-6-C-글루코스 유도체 또는 이를 함유하는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은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화를 위하여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할 수 있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플라본-6-C-글루코스 유도체 또는 이를 함유하는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은 본 발명의 효과를 해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결합제, 붕해제, 윤활제, pH 조절제, 산화방지제, 용해 보조제 등의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제는 전분, 미결정셀룰로오스, 고분산성 실리카, 만니톨, 디-만니톨, 자당, 유당수화물,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비닐피롤리돈(포비돈), 폴리비닐피롤리돈 공중합체(코포비돈), 히프로멜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천연검, 합성검, 코포비돈, 젤라틴,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붕해제는 전분글리콘산나트륨, 옥수수전분, 감자전분 또는 전호화전분 등의 전분 또는 변성전분; 벤토나이트, 몬모릴로나이트, 또는 비검(veegum) 등의 클레이; 미결정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또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류; 알긴산나트륨 또는 알긴산 등의 알긴류; 크로스카멜로스(croscarmellose) 나트륨 등의 가교 셀룰로오스류; 구아검, 잔탄검 등의 검류; 가교 폴리비닐피롤리돈(crospovidone) 등의 가교 중합체; 중탄산나트륨, 시트르산 등의 비등성 제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윤활제는 탈크, 스테아린산,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스테아린산 칼슘, 라우릴설페이트나트륨, 수소화식물성오일, 나트륨벤조에이트, 나트륨스테아릴푸마레이트, 글리세릴 베헤네이트, 글리세릴 모노레이트,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 팔미토스테아레이트, 콜로이드성 이산화규소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pH 조절제는 초산, 아디프산, 아스코르빈산, 아스코르빈산 나트륨, 에테르산 나트륨, 사과산, 숙신산, 주석산, 푸마르산, 구연산(시트르산)과 같은 산성화제와 침강 탄산 칼슘, 암모니아수, 메글루민, 탄산 나트륨, 산화 마그네슘, 탄산 마그네슘, 구연산 나트륨, 삼염기칼슘인산염과 같은 염기성화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산화방지제는 디부틸 히드록시 톨루엔, 부틸레이티드 히드록시아니솔, 초산 토코페롤, 토코페롤, 프로필 갈레이트, 아황산수소나트륨, 피로아황산나트륨 등을 사용할 수 있다.본 발명의 선방출성 구획에서, 용해보조제는 라우릴황산나트륨, 폴리소르베이트 등의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류, 도큐세이트 나트륨, 폴록사머(poloxamer)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라본-6-C-글루코스 유도체 또는 이를 함유하는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은 조현병 관련 정신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와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나타내는 다른 활성성분을 추가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라본-6-C-글루코스 유도체 또는 이를 함유하는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은 조현병 관련 정신 장애를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하여 단독 또는 호르몬 치료, 약물 치료 등의 다양한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식품 조성물
본 발명은 플라본-6-C-글루코스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현병 관련 정신 장애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플라본-6-C-글루코스 유도체를 함유하는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현병 관련 정신 장애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플라본-6-C-글루코스 유도체 또는 이를 함유하는 생약 추출물은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경우와 동일하게 준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조현병 관련 정신 장애의 치료에 효과가 있으므로, 조현병 관련 정신 장애의 예방 또는 개선 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플라본-6-C-글루코스 유도체 또는 이를 함유하는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은, 식품, 음료, 또는 건강기능식품 등에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 보조 식품류 등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플라본-6-C-글루코스 유도체 또는 이를 함유하는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은 분말, 과립, 정제, 캡슐 또는 음료인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조현병 관련 정신 장애의 예방 또는 개선을 목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에 첨가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1 내지 5 중량%일 수 있으며, 음료의 경우 100 ㎖를 기준으로 0.02 내지 10 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 g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이 음료인 경우, 플라본-6-C-글루코스 또는 이를 함유하는 추출물을 필수적으로 함유하는 것 외에 성분상의 특별한 제한점은 없으며 통상의 음료에 사용되는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 등의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 등의 디사카라이드;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의 폴리사카라이드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또는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일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 100 mL당 약 1 내지 20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g일 수 있다. 상기 음료는 향미제를 추가로 포함할수 있으며,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또는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플라본-6-C-글루코스 유도체 또는 이를 함유하는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플라본-6-C-글루코스 유도체 또는 이를 함유하는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현병 관련 정신 장애의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식품 조성물은 천연 과일 쥬스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으며,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플라본-6-C-글루코스 유도체 또는 이를 함유하는 생약 추출물 이외의 추가적 성분의 비율은 임의로 결정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플라본-6-C-글루코스 유도체 또는 이를 함유하는 생약 추출물은 NMDA 수용체의 억제에 따른 정신병적 증상을 억제하고, 조현병 관련 정신 장애에서 관찰되는 인지능 저하를 개선하는 작용효과를 나타내며, 기존 치료제에서 관찰되는 강경증 등의 부작용을 나타내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플라본-6-C-글루코스 유도체 또는 이를 함유하는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은 조현병 관련 정신 장애를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플라본-6-C-글루코스 유도체 또는 이를 함유하는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은 조현병 관련 정신 장애를 예방 또는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에서 확인된 사전자극 억제 검사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실시예 2에서 확인된 신규물체 인식 시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프이다.
도 3은 실시예 3에서 확인된 강경증 시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제조예 및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이들 제조예 및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제조예 및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플라본-6- C -글루코스 유도체 함유 당약 추출물의 제조
당약(Swertia japonica) 40 g을 분쇄기로 분쇄한 후 추출병에 나누어 넣고 잔사에 검체표면 이상이 될 때까지 70% 에탄올을 가하여 60 ℃에서 2시간 동안 2회 추출 후 여과시켜 감압 농축하였다.
<제조예 2> 플라본-6- C -글루코스 유도체 함유 자주쓴풀 추출물의 제조
자주쓴풀(Swertia pseudochinensis) 40 g을 사용한 것을 제 외하고는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3> 스웨르티신 및 이소오리엔틴의 분리 및 정제
제조예 1에서 제조된 당약(Swertia japonica) 70% 에탄올 추출물(10.66 g)에 대해 CH2Cl2-MeOH-H2O 혼합용매(9:1:0.1 → 8.5:1.5:0.1 → 4:1:0.1, v/v, 마지막 100% MeOH)를 이동상으로 실리카겔(70-230 mesh)을 고정상으로 한 column chromatography(Ø6.5×34.9 cm)를 실시하였고 총 12개의 소분획물로 나누었다. 소분획물 9(860 mg)를 MPLC(C18 column 130 g, MeOH-H2O gradient)를 실시하여 화합물 1(100 mg)을 분리하였다. 분획물 10(560 mg)은 100% MeOH 용매를 사용하여 Sephadex LH-20 column chromatography(Ø3.4×38.5 cm)를 통해 5개의 소분획물로 나누었다. 소분획물 10-4(180 mg)를 MPLC(C18, 48 g, MeOH-H2O gradient)를 실시하여 화합물 1(50 mg)을 추가로 분리하였다. 소분획물 12(4.19 g)를 MeOH-H2O 혼합용매(4:1,v/v)를 사용 Sephadex LH-20 column chromatography(Ø3.4×33.5 cm)를 통해 5개의 소분획물로 나누었다. 소분획물 12-4(80 mg)를 MPLC(C18 , 26 g, MeOH-H20 gradient)를 실시하여 화합물 2(30 mg)을 분리하였다. 화합물 1과 2의 구조는 1H-NMR 및 13C-NMR data분석과 기존문헌에 수록된 자료와의 비교분석을 통해 각각 스웨르티신(swertisin)과 이소오리엔틴(isoorientin)으로 동정하였다.
[G. Cheng, Y. Bai, Y. Zhao, J. Tao, Y. Liu, G. Tu, L. Ma, N. Liao and X. Xu. Flavonoids from Ziziphus jujuba Mill var. spinosa. Tetrahedron 2000, 56, 8915-8920.]
[Y. Li, Y. Suo, Z. Liao, L. Ding, The glycosides from Lomatogonium rotatum. Natural Product Research 2008, 22-3, 198-202.]
스웨르티신(Swertisin): Yellow powder. 1H-NMR (400 MHz DMSO-d 6), (splitting caused by rotational isomerism): 7.97 (2H, d, J = 8.4 Hz, 2′, 6′-H); 6.93 (2H, d, J = 8.0 Hz, 3′, 5′-H); 6.88, 6.86 (1H, s, 8-H); 6.85, 6.84 (1H, s, 3-H), 4.61(1H, d, J = 8.0 Hz, Glc 1″-H), 3.87 (3H, s, OCH3). 13C-NMR (100 MHz DMSO-d 6), (splitting caused by rotational isomerism): Table
이소오리엔틴(Isoorientin): Yellow needle. 1H-NMR (500 MHz DMSO-d 6), (splitting caused by rotational isomerism): 7.43 (1H, d, J = 8.5 Hz, 6′-H); 7.41 (1H, s, 2′-H); 6.91(1H, d, J=8.0Hz, 5'-H) 6.67 (1H, s, 3-H) 6.48 (1H, s, 8-H), 4.60(1H, d, J = 10.0 Hz, Glc 1"-H).13C-NMR (100 MHz DMSO-d 6), (splitting caused by rotational isomerism): Table
13C-NMR Spectral Data for 1 and 2 (in DMSO-d 6)
Figure pat00003
< 실시예 1> 사전자극 억제검사에 의한 정신분열 억제 효과 확인
1. 약물 및 시약
클로자핀(clozapine; C6305) 및 다이조실핀(dizocilpine, MK-801 hydrogen maleate; M107)은 Sigma-Aldrich Chemistry Co.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으며, 그 외 시약도 시중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2. 실험 동물의 준비
6주령의 ICR 마우스(26 - 28 g) 를 (주) 오리엔트(Seoul, Korea)에서 공급받아 경희대학교 약학대학의 동물 실험실에 약 5일간 적응시켜 사용하였으며, 물과 사료는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하였고, 온도(23 ± 2 ℃), 습도(50 ± 10 %) 및 명암주기(12 시간)는 자동으로 조절되도록 하였다.
3. 통계 처리
모든 실험 결과는 ANOVA (one way analysis of variance)를 이용하여 통계 처리하였고, 유의성이 인정될 경우 Student-Newman-Keuls Test를 사용하여 p < 0.05 수준 이하에서 유의성 검정을 실시하였다.
4. 사전자극 억제 검사
정신분열 동물 모델에서 다이조실핀(MK-801)과 같은 NMDA수용체 길항제를 투여하면 사전자극 억제(prepulse inhibition, PPI)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사실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사실을 바탕으로 놀람 상자(startle box)에서 실험동물에게 강력한 소리로 자극을 준 뒤, 그 반응을 측정하여 시험약물이 정신분열 동물 모델에게 효과가 있는지 판단하게 된다.
놀람 상자는 쥐를 가볍게 구금할 수 있는 상자, 5 ~ 130 dB 까지의 소리 자극을 일정하게 낼 수 있는 시스템, 동물의 움직임을 측정할 수 있는 장비, 측정된 자극을 디지털화 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소리를 제공할 수 있는 소스와 스피커로 구성되어 있다. 각 검사를 위해 마우스를 구금 상자에서 5분간 적응시키고, 이 때 백색 잡음(70 dB)을 배경에 넣어주었다. 동물이 자극에 과도하게 반응할 수 있으므로, 수회의 120 dB의 소리를 40 ms동안 자극을 주어 동물을 적응시켰다.
실험동물이 소리자극에 대한 반응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3 가지의 상황, 즉, 120 dB의 소리만 나오는 상황(SS), 자극이 없는 상황, 사전 자극 후 100 ms 후 120 dB가 나오는 상황(PP; prepulse)을 임의적으로 주어 각 반응을 측정하였다. 각각의 자극에 대한 동물의 놀람 반응을 측정한 뒤, 120 dB만 자극 된 상황과, 사전 자극 후 120 dB가 자극 된 상황간의 반응 비율을 측정하여 사전자극 억제 정도를 계산하였으며, 계산식은 다음과 같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4
제조예 3에서 얻은 스웨르티신(swertisin)에 대해서 MK-801으로 유도된 정신분열 동물 모델에 대한 사전자극 억제검사를 실시하였다. 각 그룹 당 마우스 10마리를 사용하였다. 도 1에 나타나 있듯이, 대조군에 비해 MK-801 (0.2 mg/kg)만 투여한 그룹의 사전자극 억제 비율이 사전자극 강도 82 dB 또는 86 dB에서 유의성 있게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P < 0.05). 반면, MK-801과 스웨르티신(30 mg/kg)을 병용 투여 군에서는 감소한 사전자극 억제 비율이 모든 사전자극 강도에서 유의성 있는 증가를 보였다(P < 0.05, 도 1). 이는 양성대조군인 클로자핀(clozapine, 1 mg/kg)과 유사한 정도이다.
<실시예 2> 신규물체 인식 시험(novel object recognition test)
생쥐를 이틀간 아크릴 박스(25 cm x 25 cm x 25 cm)에 10분간 적응시킨 후 3일째 되는 날 동일한 두 개의 물체를 고정시켰다. 생쥐를 넣고 5분 동안 각각의 물체를 탐색하도록 하였다. 2 시간 후에 두 개의 물체(familiar object) 중 한 개를 새로운 물체(novel object)로 바꾼 후, 생쥐를 넣고 5분 동안 각각의 물체에 접근하는 시간을 video tracking system을 이용하여 측정한 후, 두 물체에 접근한 시간 중 새로운 물체에 접근한 시간을 측정하여 전체 탐색 시간에 대한 새로운 물체에만 접근한 시간의 비율을 퍼센트로 나타내었다. 그 결과를 도 2에 표시하였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MK-801에 의해 기존 물체와 신규 물체와의 인식에 대한 차이가 없던 것이 스웨르티신(swertisin) 투여로 신규 물체 인식에 대한 탐색시간이 거의 정상으로 회복됨이 확인된다. 이는 양성대조군인 클로자핀(CLZ)를 투여한 경우와 동등한 수준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플라본-6-C-글루코스 유도체 또는 이를 포함하는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은 조현병 관련 정신 장애에서 관찰되는 인지능 저하를 개선하는 작용을 기대할 수 있다.
<실시예 3> 강경증 시험(catalepsy test)
강경증 시험은 바닥면으로부터 높이가 3 cm 지점에 지름이 0.9 cm인 막대를 설치하고 마우스를 이용해 실험하였다. 측정 방법은 마우스를 막대에 부드럽게 올려 둔 후 강경 증상이 나타나는 시간을 3회 측정하였다. 그리고 증상이 나타나는 시간의 평균을 결과값으로 사용하였다. 음성대조군은 전형적 항정신병약인 할로페리돌(haloperidol)을 사용하였고, 복강내 주사로 투여하였다. 투여 직후(0 시간)와 투여한 뒤 1 시간, 3 시간, 5 시간 후에 강경 증상이 나타나는 시간을 측정하여 도 3에 표시하였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형적 항정신병 약물인 haloperidol의 투여로 3 시간 및 5 시간 째에 분명하게 나타나는 강경증 증상이 스웨르티신의 투여로는 전혀 관찰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위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플라본-6-C-글루코스 유도체 또는 이를 포함하는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은 기존 조현병 관련 정신 장애 치료 약물에서 관찰되는 강경증 등의 부작용을 나타내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제제예 1> 산제의 제조
플라본-6-C-글루코스 유도체 및 이를 함유하는 생약 추출물 20 mg
유당 100 mg
탈크 10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 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플라본-6-C-글루코스 유도체 및 이를 함유하는 생약 추출물 20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 제제예 3> 캅셀제의 제조
플라본-6-C-글루코스 유도체 및 이를 함유하는 생약 추출물 20 mg
결정성 셀룰로오스 3 mg
락토오스 14.8 m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2 mg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 제제예 4> 주사제의 제조
플라본-6-C-글루코스 유도체 및 이를 함유하는 생약 추출물 20 mg
만니톨 180 mg
주사용 멸균 증류수 2974 mg
Na2HPO4,12 H2O 26 mg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당(2 ㎖)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한다.
< 제제예 5> 액제의 제조
플라본-6-C-글루코스 유도체 및 이를 함유하는 생약 추출물 20 mg
이성화당 10 g
만니톨 5 g
정제수 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 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를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 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한다.
< 제제예 6> 건강 식품의 제조
플라본-6-C-글루코스 유도체 및 이를 함유하는 생약 추출물 1000 mg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
비타민 E 1.0 ㎎
비타민 B1 0.13 ㎎
비타민 B2 0.15 ㎎
비타민 B6 0.5 ㎎
비타민 B12 0.2 ㎍
비타민 C 10 ㎎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
산화아연 0.82 ㎎
탄산마그네슘 25.3 ㎎
제1인산칼륨 15 ㎎
제2인산칼슘 55 ㎎
구연산칼륨 90 ㎎
탄산칼슘 100 ㎎
염화마그네슘 24.8 ㎎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 제제예 7> 건강 음료의 제조
플라본-6-C-글루코스 유도체 및 이를 함유하는 생약 추출물 1000 mg
구연산 1000 ㎎
올리고당 100 g
매실농축액 2 g
타우린 1 g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900 ㎖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ℓ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Claims (10)

  1. 하기 화학식 I로 표시되는 플라본-6-C-글루코스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현병 관련 정신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화학식Ⅰ]
    Figure pat00005

    상기 화학식 I에서,
    R은 H 또는 C1-C6 알킬이고,
    R1은 H 또는 OH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본-6-C-글루코스 유도체는 스웨르티신(swertisin), 이소비텍신(isovitexin), 이소오리엔틴(isoorientin), 또는 스웨르티아자포닌(swertiajaponin)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약학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본-6-C-글루코스 유도체는 당약(Swertia japonica), 자주쓴풀(Swertia pseudochinensis), Enicostemma hyssopifolium, Swertia mussotii Franch., Swertia franchetiana, Gentianella austriaca, Machaerium hirtum Vell., Aleurites moluccana L. Willd., Zizyphus spinosa, 사간(Belamcanda chinensis), Wilbrandia ebracteata, Cayaponia tayuya, Passiflora incarnata L., 압척초(Commelina communis L.), 초장초(Oxalis corniculata), Aquilegia oxysepala Trautv. et Mey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생약 추출물로부터 수득된 것인 약학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현병 관련 정신 장애는 조현병, 정신분열형 장애, 분열정동 장애, 양극성 장애, 비양극성 조증, 뚜렛(Tourette) 증후군, 순환성 장애, 급속 주기 장애, 초일 주기 장애, 인격 장애, 자폐증,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과다 행동을 갖거나 갖지 않는 주의력 장애, 망상 장애, 단기 정신병적 장애, 공유 정신병적 장애, 일반적 약물 조건에 의한 정신병적 장애, 파킨슨병과 관련한 정신병적 장애, 물질-유도성 정신병적 장애 및 달리 특정되지 않은 정신병적 장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약학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현병 관련 정신 장애는 조현병, 정신분열형 장애, 분열정동 장애, 망상 장애, 단기 정신병 장애 또는 공유 정신병 장애인 약학 조성물.
  6. 당약(Swertia japonica), 자주쓴풀(Swertia pseudochinensis), Enicostemma hyssopifolium, Swertia mussotii Franch ., Swertia franchetiana, Gentianella austriaca, Machaerium hirtum Vell., Aleurites moluccana L. Willd., Zizyphus spinosa, 사간(Belamcanda chinensis), Wilbrandia ebracteata, Cayaponia tayuya, Passiflora incarnata L., 압척초(Commelina communis L.), 초장초(Oxalis corniculata), Aquilegia oxysepala Trautv. et Mey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현병 관련 정신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C1~C4 알코올, 헥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용매로 추출된 것인 약학 조성물.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당약(Swertia japonica) 또는 자주쓴풀(Swertia pseudochinensis)로부터 추출된 것인 약학 조성물.
  9. 하기 화학식 I로 표시되는 플라본-6-C-글루코스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현병 관련 정신 장애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화학식Ⅰ]
    Figure pat00006

    상기 화학식 I에서,
    R은 H 또는 C1-C6 알킬이고,
    R1은 H 또는 OH이다.
  10. 당약(Swertia japonica), 자주쓴풀(Swertia pseudochinensis), Enicostemma hyssopifolium, Swertia mussotii Franch., Swertia franchetiana, Gentianella austriaca, Machaerium hirtum Vell., Aleurites moluccana L. Willd., Zizyphus spinosa, 사간(Belamcanda chinensis), Wilbrandia ebracteata, Cayaponia tayuya, Passiflora incarnata L., 압척초(Commelina communis L.), 초장초(Oxalis corniculata), Aquilegia oxysepala Trautv. et Mey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현병 관련 정신 장애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1020150118044A 2015-08-21 2015-08-21 조현병 관련 정신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4772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8044A KR102477252B1 (ko) 2015-08-21 2015-08-21 조현병 관련 정신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8044A KR102477252B1 (ko) 2015-08-21 2015-08-21 조현병 관련 정신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2715A true KR20170022715A (ko) 2017-03-02
KR102477252B1 KR102477252B1 (ko) 2022-12-13

Family

ID=58426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8044A KR102477252B1 (ko) 2015-08-21 2015-08-21 조현병 관련 정신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725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41928A (zh) * 2017-03-17 2017-08-15 鲍远程 一种用于治疗帕金森症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20180027215A (ko) * 2016-09-06 2018-03-1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스웨르티신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19045273A1 (ko) * 2017-08-31 2019-03-0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조현병 동물모델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24658A (ko) * 2017-08-31 2019-03-08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조현병 동물모델 및 이의 제조방법
IT202100032279A1 (it) * 2021-12-22 2023-06-22 St Gentili S R L Vitexina o suo isomero per uso nel trattamento di AS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96493A (ko) 2012-02-22 2013-08-30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장치의 안티퓨즈 회로 및 그 안티퓨즈 회로의 내부 회로블록 테스팅 방법
KR20150019505A (ko) * 2013-08-14 2015-02-25 대화제약 주식회사 플라본-6-c-글루코스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신경정신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96493A (ko) 2012-02-22 2013-08-30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장치의 안티퓨즈 회로 및 그 안티퓨즈 회로의 내부 회로블록 테스팅 방법
KR20150019505A (ko) * 2013-08-14 2015-02-25 대화제약 주식회사 플라본-6-c-글루코스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신경정신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7215A (ko) * 2016-09-06 2018-03-1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스웨르티신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7041928A (zh) * 2017-03-17 2017-08-15 鲍远程 一种用于治疗帕金森症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WO2019045273A1 (ko) * 2017-08-31 2019-03-0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조현병 동물모델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24658A (ko) * 2017-08-31 2019-03-08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조현병 동물모델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90664A (ko) * 2017-08-31 2020-07-29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조현병 동물모델 및 이의 제조방법
US11800858B2 (en) 2017-08-31 2023-10-31 Korea University Research And Business Foundation Mouse with cholinergic neuron-specific inactivated ANO1 gene
IT202100032279A1 (it) * 2021-12-22 2023-06-22 St Gentili S R L Vitexina o suo isomero per uso nel trattamento di AS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7252B1 (ko) 2022-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avaraskar et al. Therapeutic and cosmetic applications of Evodiamine and its derivatives—A patent review
EP2305260B1 (en) Psychotropic agent and health food containing benzylisoquinoline derivative
JP6261677B2 (ja) スピノシンを含む認知機能障害疾患の予防または治療用薬学組成物
KR102477252B1 (ko) 조현병 관련 정신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10251902B2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or preventing neuropsychiatric disease, containing flavone-6-C-glucose derivatives as active ingredients
TW200816992A (en) Quercetin-containing compositions
KR101207781B1 (ko) 감국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신경안정 및 뇌신경계 관련 불안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WO2009070915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treating depression and anxiety
JP6049289B2 (ja) 概日リズム調整剤
JP5628682B2 (ja) 鬱病治療のための薬剤組成物
EP3120859B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treating, and alleviating urinary disturbances, containing piper longum l. extract
EP3263114A1 (en) Use of albiflorin or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for prevention and/or treatment of irritable bowel syndrome
KR101861784B1 (ko) 한약재 추출물(cjs03)을 함유하는 불면증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8268292B2 (en) Obovatol having anti-anxiety activity
CN102716119A (zh) (-)-表没食子儿茶素没食子酸酯用于抑郁症的新用途
KR101784294B1 (ko) 모과 추출물을 포함하는 뇌신경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 조성물
KR101380568B1 (ko) 포공영 추출물의 신규 용도
WO2019156213A1 (ja) グリセロール放出促進剤
JP2006213628A (ja) 抗ストレス剤
KR20190040170A (ko) 우엉 추출물을 포함하는 우울증 또는 스트레스 완화, 및 인지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1813406B1 (ko) 메틸 벤조에이트 유도체를 포함하는 비만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190121569A (ko) 아그마틴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취약 x 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CN108245499B (zh) 大麻二酚与双链脂肪酸类抗癫痫药物的组合物及其用途
KR102202224B1 (ko) 한약재 추출물 yj06을 함유하는 우울 증상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80118412A (ko) 밀리타리스 동충하초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