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2145A -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2145A
KR20170022145A KR1020150116768A KR20150116768A KR20170022145A KR 20170022145 A KR20170022145 A KR 20170022145A KR 1020150116768 A KR1020150116768 A KR 1020150116768A KR 20150116768 A KR20150116768 A KR 20150116768A KR 20170022145 A KR20170022145 A KR 201700221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touch
watch
terminal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6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지수
심홍조
김현우
이현옥
손영호
박미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167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22145A/ko
Priority to US15/753,144 priority patent/US10606374B2/en
Priority to PCT/KR2015/009197 priority patent/WO2017030229A1/ko
Priority to CN201580082478.6A priority patent/CN108139855B/zh
Priority to EP15901769.8A priority patent/EP3340026B1/en
Publication of KR201700221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21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02Sensor mounted on worn items
    • A61B5/681Wristwatch-type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75User input or interface means, e.g. keyboard, pointing device, joystic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 single or a set of motion sensors for pointer control or gesture input obtained by sensing movements of the portable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5Pressure sensors for measuring the pressure or force exerted on the touch surface without providing the touch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는 정보의 입출력이 가능한 터치 스크린과, 터치 스크린에 가해지는 제스처의 힘 강도를 감지하는 포스 센서와, 단말기의 방향성을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와, 단말기의 화면이 향하는 방향성에 따라 단말기의 화면의 활성화 여부를 결정하고 단말기의 화면에 대한 터치 민감도를 조절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WATCH-TYPE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오동작을 방지하여 제품에 대한 신뢰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ed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기능은 다양화 되고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와 음성통신, 카메라를 통한 사진촬영 및 비디오 촬영, 음성녹음,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파일 재생 그리고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나 비디오를 출력하는 기능이 있다. 일부 단말기는 전자게임 플레이 기능이 추가되거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최근의 이동 단말기는 방송과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같은 시각적 컨텐츠를 제공하는 멀티캐스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가 주로 손에 쥐고 사용하는 차원을 넘어서, 신체에 착용할 수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로 확장될 수 있다. 이러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에는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 글래스 타입의 이동 단말기,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있다.
이 중에서,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는 사람들이 항상 차고 다니는 시계에 전자 기능, 통신 기능, 멀티 미디어 기능 등이 부가된 것으로서, 사람들에게 거부감을 주지 않아 향후 폭발적인 시장이 형성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에 대한 연구, 개발 및 상용화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는 화면에 대한 터치 제스처에 응답하여 화면이 온/오프되거나 애플리이션이 선택 및/또는 실행될 수 있다.
하지만,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는 화면에 대한 터치 민감도가 크기 때문에, 사용자의 의도에 무관하여 화면이 켜지거나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것과 같은 오동작이 종종 발생된다. 예컨대, 사용자가 팔을 흔들거나 움직이는 경우,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의 화면이 옷깃이나 사용자의 몸에 접촉되어 사용자의 의도와 무관하여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의 화면이 켜진다.
이와 같은 터치 오동작은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에 대한 신뢰성을 떨어뜨리게 되어, 해당 제품에 대한 구매 의욕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나아가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의 전체 시장을 위축시키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오동작을 방지하여 제품에 대한 신뢰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는, 정보의 입출력이 가능한 터치 스크린; 상기 터치 스크린에 가해지는 제스처의 힘 강도를 감지하는 포스 센서; 상기 단말기의 방향성을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 및 상기 단말기의 화면이 향하는 방향성에 따라 상기 단말기의 화면의 활성화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단말기의 화면에 대한 터치 민감도를 조절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의 화면이 사용자의 눈을 향하지 않아 화면이 비활성화되고 상기 비활성화된 화면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터치 제스처가 입력되는 경우, 임계값 이상의 힘 강도를 갖는 터치 제스처가 입력될 때에만 화면이 활성화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의도와 무관한 터치에 의해 화면이 활성화되는 오동작을 방지하여 제품에 대한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의 화면이 사용자의 눈을 향하지 않을 때에는 화면을 비활성화시켜 불필요한 전원 공급으로 인한 전력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의 화면이 사용자의 눈을 향하는 제스처가 입력되더라도,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의 가속도가 임계값 이하인 경우에는 화면이 활성화되지 않도록 하여, 사용자의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의 화면을 보기 위한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단순히 걷는 중에 팔을 흔드는 동작에서 화면이 켜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화면에 대한 터치 민감도가 큰 상태인 경우에도 힘 강도가 고려되어 사용자의 의도와 관계없는 미약한 터치 제스처에 의해 특정 기능이나 동작이 실행되는 오동작이 방지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사용자의 의도와 무관한 터치 제스처에 의해 아이콘이 실행되더라도, 사용자에게 매우 중요한 정보와 관련된 아이콘은 임계값 이상의 힘 강도 레벨을 갖는 터치 제스처가 사용자에 의해 강제적으로 화면에 가해질 때에 비로소 실행되도록 하여 줌으로써, 사용자의 중요 정보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터치 제스처가 입력될 때마다 여러 깊이의 오브젝트에 순차적으로 접근하는 것이 아니라 기 설정된 임계값 이상의 힘 강도를 갖는 한 번의 터치 제스처에 의해 여러 깊이 중 특정 깊이의 오브젝트로 곧바로 접근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한번의 더블 탭 제스처가 입력됨으로써, 밝은 공간에서 더 밝은 밝기를 갖는 화면으로 곧바로 조절될 수 있으므로, 화면을 켠 후 사용자가 원하는 밝기로 조절하기 위한 추가 제스처가 필요하지 않아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터치 제스처의 힘 강도에 따라 정보의 정도가 다르게 디스플레이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정보 선택의 자유도를 넓혀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메탈 휠의 장착 여부에 따른 터치 인지를 위한 캐패시턴스 값의 변화를 보여준다.
도 4는 가속도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Yaw 값, Pitch 값 및 Roll 값을 보여준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6는 터치 민감도에 따라 임계값이 달라지는 모습을 보여준다.
도 7는 제스처에 의해 화면을 활성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화면 예시도이다.
도 8는 제스처에 의해 화면이 비활성 상태로 유지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화면 예시도이다.
도 9는 제스처에 의해 화면이 비활성화되는 경우 화면을 활성화시키는 모습을 보여주는 화면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2은 틸트 제스처의 가속도와 힘 강도에 따라 화면이 활성화되거나 동작이 실행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일 화면 예시도이다.
도 13은 틸트 제스처의 가속도와 힘 강도에 따라 화면이 활성화되거나 동작이 실행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다른 화면 예시도이다.
도 14는 화면이 켜진 상태에서 일정 힘 강도가 가해졌을 때에 특정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화면 예시도이다.
도 15는 화면이 켜진 상태에서 사용자의 의도와 무관한 터치 제스처에 의해 중요 정보가 실행되지 않도록 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화면 예시도이다.
도 16은 서로 상이한 힘 강도의 레벨의 터치 제스처를 이용하여 특정 아이콘의 하위 메뉴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화면 예시도이다.
도 17은 한번의 터치 제스처에 의해 여러 깊이(depth) 중 특정 깊이의 오브젝트가 실행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화면 예시도이다.
도 18은 힘 강도의 레벨을 달리하는 터치 제스처에 의해 서로 상이한 밝기를 조절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화면 예시도이다.
도 19는 터치 제스처의 힘 강도의 레벨에 따라 밝기가 점점 어두워지는 모습을 보여주는 화면 예시도이다.
도 20은 한번의 터치 제스처에 의해 사용자가 원하는 밝기로 조절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화면 예시도이다.
도 21은 화면이 꺼진 경우에 화면을 켜기 위해 더블 탭(노크온(knock on)) 제스처가 입력될 때 더블 탭 제스처의 힘 강도의 세기에 따라 화면 밝기를 조절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화면 예시도이다.
도 22는 낮이고 야외인 경우에 화면을 더 밝게 보이도록 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화면 예시도이다.
도 23은 밤이거나 주변이 어두운 경우에 화면을 더 어둡게 보이도록 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화면 예시도이다.
도 24는 터치 제스처의 힘 강도의 세기에 따라 정보의 정도가 다르게 디스플레이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화면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에서,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의 터치 스크린(151)의 형상이 다른 것을 제외하고 나머지 구성 요소들의 기능은 동일하다. 즉, 도 1에 도시된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의 터치 스크린(151)은 원 형상을 가지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터치 스크린(151)의 형상은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좋은 이미지를 줄 수 있으며 사용자의 터치 스크린(151)의 조작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어떠한 형상이라도 상관없다.
도 1을 참조하면, 와치 타입의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부(251)를 구비하는 본체(201) 및 본체(201)에 연결되어 손목에 착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밴드(202)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는 도2의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의 특징 또는 그와 유사한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뿐만 아니라 정보나 명령을 입력하는 입출력이 가능한 터치 스크린일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디스플레이부는 별도의 언급이 없는 경우 터치 스크린을 의미할 수 있다.
본체(201)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는 각종 전자부품들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마련하는 제1케이스(201a) 및 제2케이스(201b)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하나의 케이스가 상기 내부 공간을 마련하도록 구성되어 유니 바디의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가 구현될 수도 있다.
와치 타입의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본체(201)에는 상기 무선 통신을 위한 안테나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안테나는 케이스를 이용하여 그 성능을 확장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전성 재질을 포함하는 케이스가 안테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그라운드 영역 또는 방사 영역을 확장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체(201)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251)가 배치되어 정보를 출력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251)에는 터치센서가 구비되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체(201)에는 마이크로폰(122), 사용자 입력부(123)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1)가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되는 경우, 사용자 입력부(123)로 기능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체(201)에 별도의 키가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체(201)에는 음향 출력부와 카메라가 구비될 수 있다.
밴드(202)는 손목에 착용되어 손목을 감싸도록 이루어지며, 착용이 용이하도록 플렉서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한 예로서, 밴드(202)는 가죽, 고무, 실리콘, 합성수지 재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밴드(202)는 본체(201)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사용자가 취향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밴드로 교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밴드(202)는 안테나의 성능을 확장시키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밴드에는 안테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그라운드 영역을 확장시키는 그라운드 확장부(미도시)가 내장될 수 있다.
밴드(202)에는 파스너(fastener; 202a)가 구비될 수 있다. 파스너(202a)는 버클(buckle), 스냅핏(snap-fit)이 가능한 후크(hook) 구조, 또는 벨크로(velcro; 상표명) 등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신축성이 있는 구간 또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파스너(202a)가 버클 형태로 구현된 예를 제시하고 있다.
[터치 민감도가 큰 이유]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의 화면에 대한 터치 민감도가 크기 때문에 원치 않는 오동작이 빈번히 발생되고 있다.
이와 같이 와치 타입의 화면에 대한 터치 민감도가 큰 이유를 설명하기로 한다.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의 테두리를 따라 메탈 휠(210)이 장착될 수 있다. 메탈 휠(210)은 금속으로 이루어져 있어, 사용자의 손이나 외부 도전 부재와 접촉하는 경우 전류가 흐르게 되고 이러한 전류의 흐름에 의해 캐패시턴스 값이 낮아지게 된다. 이와 같이 낮아진 캐패시턴스 값이 임계값 근처에 위치되게 되어, 상기 낮아진 캐패시턴스 값과 임계값 사이의 차이 값이 작기 때문에 화면에 대한 터치 민감도가 커지게 된다.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탈 휠(210)이 장착되지 않은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에서는 메탈 휠(210)로 인한 전류 흐름이 없기 때문에 터치 인지를 위한 캐패시턴스 값(C1)이 비교적 크고, 이러한 캐패시턴스 값(C1)과 임계값(Cth) 사이의 차이값이 크므로 화면에 대한 터치 민감도가 작게 된다. 따라서, 메탈 휠(210)이 장착되지 않은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에서는 화면에 대한 터치 민감도가 작기 때문에 사용자가 팔을 흔들거나 움직여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가 옷깃이나 사용자의 몸에 접촉되더라도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의 화면이 켜지거나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오동작이 발생되지 않는다.
이에 반해,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탈 휠(210)이 장착된 본 발명에 따른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에서는 메탈 휠(210)로 인한 전류 흐름이 발생하기 때문에 터치 인지를 위한 캐패시턴스 값(C2)이 임계값(Cth) 근처로 낮아지게 된다. 이에 따라, 캐패시턴스 값(C2)와 임계값(Cth) 사이의 차이값이 작기 때문에 화면에 대한 터치 민감도가 크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에서는 화면에 대한 터치 민감도가 크기 때문에 사용자가 흔들거나 움직여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가 옷깃이나 사용자의 몸에 접촉되는 경우, 사용자의 의도와 무관하게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의 화면이 켜지거나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오동작이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화면에 대한 터치 민감도가 큰 경우에 사용자가 의도한 터치 동작 외에는 어떠한 터치 동작에도 화면이 켜지거나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오동작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상기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센싱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 사이, 또는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 내 정보,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141, acceleration sensor), 포스 센서(142, force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포스 센서(142)는 압력 센서로 대체될 수도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가속도 센서(141)는 가상 자이로소코프 기능을 가질 수 있다.
가속도 센서(141)는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의 방향성을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감지를 통해 제어부(180)는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의 화면이 사용자의 눈을 향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속도 센서(141)가 본 발명에 따른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에 장착되는 경우,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가 서로 수직인 3개의 축(X축, Y축, Z축)으로 구분될 때, 가속도 센서(141)는 각 축(X축, Y축, Z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정도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Yaw(Alpha)는 Z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 방향을 나타내고, Pitch(Beta)는 X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 방향을 나타내며, Roll(Gamma)는 Y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 방향을 나타낼 수 있다.
가속도 센서(141)로부터 감지된 Yaw(Alpha), Pitch(Beta) 및 Roll(Gamma)를 토대로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가 향하는 방향이 파악될 수 있다.
예컨대,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의 터치 스크린(151)가 사용자의 얼굴이나 눈을 향하는지 다른 곳을 향하는지가 파악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의 터치 스크린(151)가 사용자의 얼굴이나 눈을 향하거나 다른 곳을 향하는지에 따라 서로 상이한 UI/UX 기능이 구현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나중에 설명하기로 한다.
포스 센서(142)는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의 터치 스크린(151)를 대상으로 사용자로부터 가해지는 포스(force)의 정도를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의 터치 스크린(151)를 대상으로 사용자로부터 가해지는 포스의 정도에 따라 서로 상이한 UI/UX 기능이 구현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나중에 설명하기로 한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햅팁 모듈(153), 광 출력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70)는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상기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2과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다양한 실시 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이동 단말기에서 구현될 수 있는 제어 방법과 관련된 실시 예들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겠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본 발명에서는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의 화면이 사용자의 눈을 향할 때와 그렇지 않을 때에 화면에 대한 터치 민감도를 다르게 설정하여 줄 수 있다. 예컨대,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의 화면이 사용자의 눈을 향하지 않을 때에 화면에 대한 터치 민감도가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의 화면이 사용자의 눈을 향할 때의 화면에 대한 터치 민감도보다 낮도록 설정될 수 있다.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의 화면이 사용자의 눈을 향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의 화면이 향하는 어떤 방향이라도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의 화면이 사용자의 눈을 향하지 않은 경우에 해당될 수 있다.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의 화면이 사용자의 눈을 향하지 않는 경우는 사용자가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를 이용하지 않는 경우로서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가 책상에 놓여지거나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된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라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흔들리는 상태일 수 있다.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의 화면이 사용자의 눈을 향하는 경우는 사용자가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를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로서,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기능을 실행될 수 있다.
사용자는 와치 타입의 단말기를 통해 원하는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 와치타입의 이동 단말기의 화면이 사용자의 눈을 향하도록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가 장착된 사용자의 손목을 드는 제스처가 입력될 수 있다.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의 화면이 사용자의 눈을 향할 때,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의 화면에 대한 터치 민감도가 커지게 된다. 이러한 경우,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의 화면에 대한 터치 제스처가 입력되지 않더라도 와치 타입이 이동 단말기의 화면이 활성화되어 오프 화면이 온 화면으로 전환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여기서, 오프 화면은 제1 화면이고 온 화면은 제2 화면일 수 있다.
오프 화면은 블랙 화면이나 주변(ambient) 화면이고, 온 화면은 대기(standby) 화면일 수 있다.
이와 달리, 오프 화면은 블랙 화면이고, 온 호면은 주변 화면이나 대기 화면일 수 있다.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는 정보의 제공을 위해 주변 화면이나 대기 화면을 디스플레이시킬 수 있다. 아울러,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는 정보가 표시가 불가능한 블랙 화면이 될 수도 있다.
블랙 화면에서는 LCD나 OLED와 같은 디스플레이부로 구현되는 화면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아 어떠한 정보도 표시될 수 없다. 주변 화면은 객체와 배경 영역을 포함하는 정보에서 객체는 표시되지만 배경 영역은 블랙 계조로서 표시되지 않게 된다. 대기 화면은 객체뿐만 아니라 배경 영역도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대기 화면에서는 배경 영역을 표시하지 않음으로써, 배경 영역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게 되므로 대기 화면에 비해 소비 전력을 줄일 수 있다.
통상적으로, 대기 화면에서 일정 시간 동안 화면에 대한 터치 제스처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대기 화면이 주변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 여기서, 대기 화면은 제1 화면이고 주변 화면은 제2 화면일 수 있다.
대기 화면이거나 주변 화면 중에 전원 오프 명령이 입력되면, 대기 화면이나 주변 화면이 블랙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2 및 도 5를 참고하면, 제어부(180)는 틸트 제스처가 입력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S311).
틸트 제스처는 가속도 센서(141)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틸트 제스처는 와치타입의 이동 단말기가 착용된 사용자의 손이 아래 방향을 향하다가 위로 들어올려지거나, 사용자의 손목이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뒤틀리는 동작일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틸트 제스처가 입력되면, 제어부(180)는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의 화면이 특정 방향을 향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S313).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속도 센서(141)에 의해 Yaw 값, Pitch 값 및 Roll 값이 획득되고, 제어부(180)는 상기 획득된 Yaw 값, Pitch 값 및 Roll 값을 바탕으로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의 화면이 특정 방향을 향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특정 방향이란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의 화면이 사용자의 눈을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의 화면이 특정 방향, 즉 사용자의 눈을 향하는 제스처가 입력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화면을 활성화시키고 화면에 대한 터치 민감도는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S323).
화면의 활성화란 블랙 화면이 대기 화면으로 전환되거나 주변 화면이 대기 화면으로 전환됨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블랙 화면이나 주변 화면은 제1 화면이고, 대기 화면은 제2 화면일 수 있다.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의 화면이 사용자의 눈을 향할 때에는 사용자로부터 별도의 터치 제스처가 입력되지 않아도 화면이 활성화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서,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의 화면이 사용자의 눈을 향할 때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가 여전히 비활성화되고 단지 화면에 대한 터치 민감도가 제1 임계값(Cth1)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터치 제스처에 의해 화면이 활성화될 수 있다. 즉,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의 화면에 대해 사용자로부터 미약한 힘 강도(force intensity)를 갖는 터치 제스처가 입력되면, 화면에 대한 터치 민감도가 큰 상태이므로 화면이 용이하게 활성화될 수 있다. 화면에 대한 터치 민감도가 큰 제1 임계값(Cth1)으로 설정되었기 때문에, 미약한 강도의 터치 제스처에 의해서도 화면이 용이하게 활성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의 화면이 사용자의 눈을 향하느냐 그렇지 않느냐에 따라 화면에 대한 터치 민감도가 달라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화면에 대한 터치 민감도가 달라지는 것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터치 인지를 위한 기준 값인 임계값이 달라지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의 화면이 사용자의 눈을 향할 때에는 화면에 대한 터치 민감도가 큰 상태로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임계값(Cth1)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제1 임계값(Cth1)은 제2 임계값(Cth2)보다 작으므로 제1 임계값(Cth1)에 상응하는 화면에 대한 터치 민감도는 제2 임계값(Cth2)에 상응하는 화면에 대한 터치 민감도보다 크게 된다.
제1 임계값(Cth1) 자체가 작고, 이는 화면에 대한 사용자의 미세한 터치에도 제1 임계값(Cth1)보다 큰 캐패시턴스 값이 획득될 수 있어, 제어부(180)는 이를 사용자의 터치 명령으로 인지하여 해당 터치 명령에 상응하는 동작을 실행시키게 된다.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의 화면이 사용자의 눈을 향하지 않을 때에는 화면에 대한 터치 민감도가 작은 상태로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임계값(Cth2)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제2 임계값(Cth2)은 제1 임계값(Cth1)보다 크므로 제2 임계값(Cth2)에 상응하는 화면에 대한 터치 민감도는 제1 임계값(Cth1)에 상응하는 화면에 대한 터치 민감도보다 작게 된다. 이러한 경우,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의 화면에 대해 사용자로부터 미약한 힘 강도를 갖는 터치 제스처에 의해서는 화면이 활성화되지 않게 되고, 상기 미약한 힘 강도보다 더 큰 힘 강도를 갖는 터치 제스처가 입력될 때 비로소 화면이 활성화될 수 있다(S319, S321 참조).
도 2 및 도 5를 참고하면,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의 화면이 사용자의 눈을 향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180)는 화면을 비활성화시키고 화면에 대한 터치 민감도를 조정할 수 있다(S315).
화면의 비활성화란 현재 활성화되지 않은 화면이 그대로 유지되는 것으로서, 현재 화면이 블랙 화면이라면 블랙 화면이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화면에 대한 터치 민감도의 조정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 설정된 제1 임계값(Cth1)이 제2 임계값(Cth2)로 조정될 수 있다.
제2 임계값(Cth2)는 제1 임계값(Cth2)보다 크고, 이는 곧 제2 임계값(Cth2)에 상응하는 화면에 대한 터치 민감도가 제1 임계값(Cth1)에 상응하는 화면에 대한 터치 민감도보다 낮게 됨을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임계값(Cth1)에서 제2 임계값(Cth2)로 조정되는 경우, 화면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로 인한 캐패시스 값이 제2 임계값(Cth2)보다 작게 되어 단순히 터치로 인해서는 화면을 활성화시킬 수 없다.
이러한 경우에는 터치되는 힘 강도를 통해 화면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화면에 터치되는 힘 강도는 포스 센서(142)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화면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터치 제스처가 입력되는 경우(S317), 제어부(180)는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의 화면에 대한 터치 제스처에 의해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의 화면에 가해진 힘 강도가 임계값보다 큰지를 확인할 수 있다(S319).
만일 터치 제스처에 의해 화면에 가해진 힘 강도가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화면은 그래도 비활성화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만일 터치 제스처에 의해 화면에 가해진 힘 강도가 임계값보다 큰 경우, 제어부(180)는 화면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S321).
S321에서의 화면 활성화는 S323에서의 화면 활성화와 동일할 수 있다. 즉, 화면의 활성화에 의해 블랙 화면이 대기 화면으로 전환되거나 주변 화면이 대기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한 화면 활성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를 사용하기 위해 사용자의 팔을 들어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의 화면이 사용자의 눈을 향하도록 위치시키면,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면이 활성화되어 예컨대 블랙 화면이 대기 화면으로 전환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S313, S323 참조).
이와 달리,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의 화면은 사용자의 눈을 향하지 않게 된다. 이러한 경우,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면은 비활성화되어 예컨대 블랙 화면이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S313, S315 참조).
도 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의 화면이 사용자의 눈을 향하지 않아 화면이 비활성화될 때, 화면을 활성화하기 위해 사용자로부터 미약한 힘 강도를 갖는 터치 제스처가 입력되는 경우, 화면은 여전히 비활성화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에 반해,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상기 미약한 힘 강도보다 크고 임계값보다 큰 힘 강도를 갖는 터치 제스처가 입력되는 경우, 화면은 활성화되어 예컨대 블랙 화면이 대기 화면으로 전환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S319, S21 참조).
만일 사용자의 의도와 무관하게 화면이 활성화되어 블랙 화면이 대기 화면으로 전환된 경우, 사용자가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를 사용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대기 화면을 유지하기 위해 전원이 계속 공급되므로 전력 낭비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의 화면이 사용자의 눈을 향하지 않을 때에는 화면을 비활성화시켜 불필요한 전원 공급으로 인한 전력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만일 사용자의 의도와 무관하게 화면이 활성화되어 블랙 화면이 대기 화면으로 전환된 경우, 대기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아이콘들에 대한 추가 터치 제스처가 입력되는 경우, 의도치 않게 해당 아이콘에 상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의 화면이 사용자의 눈을 향하지 않아 화면이 비활성화되고 상기 비활성화된 화면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터치 제스처가 입력되는 경우, 임계값 이상의 힘 강도를 갖는 터치 제스처가 입력될 때에만 화면이 활성화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의도와 무관한 터치에 의해 화면이 활성화되는 오동작을 방지하여 제품에 대한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의 S321이나 S323에서 화면이 활성화된 이후의 제어 동작일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도 2 및 도 10을 참고하면, 제어부(180)는 활성화된 화면을 디스플레이시킬 수 있다(S331).
제1 실시예(도 5 참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의 화면이 사용자의 눈을 향하는 제스처가 입력되거나(S313)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의 화면이 사용자의 눈을 향하지 않은 상태에서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의 화면에 대한 터치 제스처에 의해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의 화면에 가해지는 힘 강도가 임계값을 넘는 경우(S319), 비활성화된 화면이 활성화된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 아울러, 활성화된 화면은 터치 스크린(151)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비활성화된 화면은 예컨대 블랙 화면이고 활성화된 화면은 예컨대 주변 화면이나 대기 화면일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제어부(180)는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의 화면에 대한 터치 제스처에 의해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의 화면에 가해지는 힘 강도가 임계값을 넘는 경우(S333), 기 설정된 동작을 실행시킬 수 있다(S335).
예컨대, 기 설정된 동작이 알림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인 경우, 제어부(180)는 힘 강도가 임계값을 넘는 경우, 알림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도 12c, 도 12d 참조).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제3 실시예는 제1 실시예의 S321이나 S323에서 화면이 활성화된 이후의 제어 동작일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도 2 및 도 11을 참고하면, 제어부(180)는 활성화된 화면을 디스플레이시킬 수 있다(S341).
제1 실시예(도 5 참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의 화면이 사용자의 눈을 향하는 제스처가 입력되거나(S313)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의 화면이 사용자의 눈을 향하지 않은 상태에서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의 화면에 대한 터치 제스처에 의해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의 화면에 가해지는 힘 강도가 임계값을 넘는 경우(S319), 비활성화된 화면이 활성화된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 아울러, 활성화된 화면은 터치 스크린(151)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비활성화된 화면은 예컨대 블랙 화면이고 활성화된 화면은 예컨대 주변 화면이나 대기 화면일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제어부(180)는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의 화면에 대한 터치 제스처에 의해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의 화면에 가해지는 힘 강도가 가변되는 경우(S343), 상기 가변된 힘 강도에 따라 서로 다른 동작을 실행시킬 수 있다(S345).
예컨대, 상기 가변된 힘 강도에 따라 화면의 밝기가 달라질 수 있다. 즉, 힘 강도가 커질수록 화면의 밝기가 밝아질 수 있다.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의 화면에 대해 제1 레벨의 힘 강도로 가해지는 경우 제1 계조의 밝기의 화면으로 조정되고,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의 화면에 대해 제1 레벨의 힘 강도보다 큰 제2 레벨의 힘 강도로 가해지는 경우 제1 계조보다 큰 제2 계조의 밝기의 화면으로 조정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힘 강도가 커질수록 화면의 밝기가 어두워질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가변된 힘 강도에 따라 소리의 세기가 달라질 수 있다. 즉, 힘 강도가 커질수록 소리가 커질 수 있다.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의 화면에 대해 제1 레벨의 힘 강도로 가해지는 경우 제1 세기의 소리로 조정되고,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의 화면에 대해 제1 레벨의 힘 강도보다 큰 제2 레벨의 힘 강도가 가해지는 경우 제1 세기보다 큰 제2 세기의 소리로 조정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힘 강도가 커질수록 소리가 작아질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가변된 힘 강도에 따라 서로 상이한 단축 번호에 대한 전화 통화 연결이 실행될 수 있다.
예컨대, 단축 번호 1은 상대방 A의 전화 번호가 설정되고, 단축 번호 2는 상대방 B의 전화 번호가 설정되며, 단축 번호 3은 상대방 C의 단축 번호가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의 화면에 대해 제1 레벨의 힘 강도로 가해지는 경우 단축 번호 1에 해당하는 상대방 A의 전화로 호 신호가 전송될 수 있다. 만일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의 화면에 대해 제1 레벨의 힘 강도보다 큰 제2 레벨의 힘 강도가 가해지는 경우 단축 번호 2에 해당하는 상대방 B의 전화로 호 신호가 전송될 수 있다. 만일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의 화면에 대해 제2 레벨의 힘 강도보다 큰 제3 레벨의 힘 강도가 가해지는 경우 단축 번호 3에 해당하는 상대방 C의 전화로 호 신호가 전송될 수 있다.
이 밖에도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의 화면에 가해지는 힘 강도의 변화에 따라 다양한 기능들이 실행될 수 있으며, 여기서 설명되지 않은 이러한 다양한 기능의 실행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 있음은 자명하다.
이하에서는 도 12 내지 도 24를 참고하여 다양한 상황에서 화면 활성화 및 서로 상이한 동작이나 기능이 실행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12은 틸트 제스처의 가속도와 힘 강도에 따라 화면이 활성화되거나 동작이 실행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일 화면 예시도이다.
예컨대,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된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가 사용자의 눈을 향하도록 틸트 제스처가 발생되는 경우, 틸트 제스처의 가속도에 따라 서로 상이한 기능이 실행될 수 있다.
도 1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 틸트 제스처의 가속도가 빠르게 변화하면 즉 틸트 제스처의 가속도가 임계값보다 큰 경우, 도 1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의 화면이 활성화되어 블랙 화면이 주변 화면이나 대기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 여기서, 블랙 화면은 제1 화면이고 주변 화면이나 대기 화면은 제2 화면일 수 있다.
틸트 제스처의 가속도의 빠르기는 가속도 센서(141)로부터 획득된 Yaw 값, Pitch 값 및 Roll 값을 토대로 결정될 수 있다.
가속도 센서(141)로부터 획득된 Yaw 값, Pitch 값 및 Roll 값 각각이 주어진 시간 동안 변화하는 정도를 토대로 틸트 제스처의 가속도의 빠르기가 결정될 수 있다.
도 1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변 화면이나 대기 화면에 대한 임계값 이상의 힘 강도를 갖는 터치 제스처가 입력되면, 기 설정된 특정 동작이 실행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2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변 화면이나 대기 화면에 대한 임계값 이상의 힘 강도를 갖는 터치 제스처가 입력되면, 알림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다.
도 13은 틸트 제스처의 가속도와 힘 강도에 따라 화면이 활성화되거나 동작이 실행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다른 화면 예시도이다.
도 13에서는 도 12과 달이 틸트 제스처의 가속도가 천천히 변하는 경우이다.
도 1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 틸트 제스처의 가속도가 느리게 변화하면 즉 틸트 제스처의 가속도가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도 1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의 화면이 활성화되지 않게 되어 현재의 블랙 화면이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도 1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변 화면이나 대기 화면에 대한 임계값 이상의 힘 강도를 갖는 터치 제스처(제1 터치 제스처)가 입력되면, 도 13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의 화면이 활성화되어 블랙 화면이 주변 화면이나 대기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주변 화면이나 대기 화면에 대한 일정 힘 강도 이상의 터치 제스처(제2 터치 제스처)가 입력되면 알림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특정 기능이 실행될 수 있다.
제2 터치 제스처의 힘 강도와 제1 터치 제스처의 힘 강도와 동일하거나 더 클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도 12 및 도 13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의 화면이 사용자의 눈을 향하는 제스처가 입력되더라도,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의 가속도가 임계값 이하인 경우에는 화면이 활성화되지 않도록 하여, 사용자의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의 화면을 보기 위한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단순히 걷는 중에 팔을 흔드는 동작에서 화면이 켜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4는 화면이 켜진 상태에서 일정 힘 강도가 가해졌을 때에 특정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화면 예시도이다.
도 1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면이 활성화되어 블랙 화면이 주변 화면이나 대기 화면으로 전환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주변 화면이나 대기 화면에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는 아이콘들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만일 화면의 화면에 대한 터치 민감도가 큰 경우,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터치 제스처에 의해 특정 아이콘에 해당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다.
해당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는 전화 걸기, 문자 전송, 이메일 전송 등이 있다.
예컨대, 화면에 특정 상대방에 대한 전화 연결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사용자가 전화를 걸려고 하지 않았음에도 사용자가 실수하여 무의식 중에 해당 전화 연결 아이콘에 대한 미약한 터치가 이루어지더라도 특정 상대방의 전화에 호 신호가 전송될 수 있다.
따라서, 화면이 활성화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단순히 터치 제스처에 의해서는 특정 아이콘이 실행되지 않도록 설정될 수 있다. 즉, 터치 제스처뿐만 아니라 터치 제스처로 인해 화면에 가해지는 힘 강도의 레벨을 고려하여 특정 아이콘의 실행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도 1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 레벨의 힘 강도가 임계값으로 설정되는 경우, 화면에 가해지는 힘 강도의 레벨의 임계값 이상이 될 때에만 특정 아이콘이 실행될 수 있다.
힘 강도가 고려되지 않는 경우에는 화면에 대한 터치 민감도가 큰 상태로 설정된 경우, 사용자의 의도와 관계없는 미약한 터치 제스처에 의해서도 해당 아이콘이 실행되는 오동작이 발생될 수 있다.
하지만, 힘 강도가 고려되는 경우에는 화면에 대한 터치 민감도가 큰 상태라 하더라도 사용자의 의도와 관계없는 미약한 터치 제스처에 의해서는 특정 아이콘의 실행되지 않게 된다. 왜냐하면 미약한 터치 제스처의 힘 강도가 기 설정된 임계값 이하가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화면에 대한 터치 민감도가 큰 상태인 경우에도 힘 강도가 고려되어 사용자의 의도와 관계없는 미약한 터치 제스처에 의해 특정 기능이나 동작이 실행되는 오동작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5는 화면이 켜진 상태에서 사용자의 의도와 무관한 터치 제스처에 의해 중요 정보가 실행되지 않도록 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화면 예시도이다.
도 1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면이 활성화되어 블랙 화면이 주변 화면이나 대기 화면으로 전환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1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의도와 무관한 터치 제스처, 예컨대 힘 강도가 임계값 이하인 터치 제스처가 입력되는 경우, 도 1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에게 매우 중요한 정보에 관한 아이콘은 실행되지 않을 수 있다.
예컨대, 화면이 켜진 상태에서 사용자가 길을 걷기 위해 팔을 흔들거나 상대방과 대화 중에 손을 흔드는 동작을 하는 경우, 사용자의 의도와 무관하게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의 화면이 사용자의 옷, 사용자의 신체, 상대방의 신체, 주변의 기구에 터치되곤 한다.
아울러, 도 1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의도와 무관한 터치 제스처가 입력되는 경우, 도 15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에게 중요하지 않은 정보에 관한 아이콘은 실행될 수도 있다.
사용자에게 매우 중요한 정보는 전화 관련 정보, 주소록 관련 정보, 이메일 관련 정보, 문서 관련 정보, 사진이나 동영상 관련 정보, 사용자 개인 정보 등이 있다.
사용자에게 중요하지 않은 정보는 게임 관련 정보, 신문 관련 정보, 쇼핑 관련 정보, 방송 관련 정보 등이 있다.
도 15c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게 중요한 정보와 관련된 아이콘은 사용자의 의도와 무관한 터치 제스처에 의해 실행되지 않게 된다.
이러한 아이콘은 도 15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임계값보다 큰 힘 강도의 레벨을 갖는 터치 제스처가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의 화면에 가해질 때, 도 15f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순히 사용자의 의도와 무관한 터처 제스처에 의해 실행되지 않았던 사용자에게 매우 중요한 정보가 실행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의도와 무관한 터치 제스처에 의해 아이콘이 실행되더라도, 사용자에게 매우 중요한 정보와 관련된 아이콘은 임계값 이상의 힘 강도 레벨을 갖는 터치 제스처가 사용자에 의해 강제적으로 화면에 가해질 때에 비로소 실행되도록 하여 줌으로써, 사용자의 중요 정보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6은 서로 상이한 힘 강도의 레벨의 터치 제스처를 이용하여 특정 아이콘의 하위 메뉴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화면 예시도이다.
도 1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면이 활성화되어 대기 화면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대기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설정 아이콘(401)에 대해 임계값 이상의 힘 강도 레벨을 갖는 터치 제스처가 입력되는 경우, 도 1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정 애플리케이션의 제1 하위 메뉴(403)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제1 하위 메뉴(403)는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의 설정을 위한 정보로서, 예컨대 WiFi 설정 오브젝트, 통화 설정 오브젝트, 백업 설정 오브젝트 등이 있다.
제1 하위 메뉴(403)는 설정 아이콘(401)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제1 하위 메뉴(403)가 디스플레이되고 터치 홀드된 상태에서 임계값 이상의 힘 강도를 갖는 터치 제스처가 제1 서브 메뉴의 통화 설정 오브젝트에 가해지는 경우, 도 1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화 설정 오브젝트의 하위 메뉴, 즉 제2 하위 메뉴(405)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제2 하위 메뉴(405)는 통화와 관련된 설정 정보로서, 예컨대 발신자 정보 제한 오브젝트, 자동 받기 오브젝트, 국제접속번호 오브젝트 등이 있다.
제2 하위 메뉴(405)가 디스플레이되고 터치 홀드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손이 제2 하위 메뉴(405)의 특정 오브젝트, 예컨대 자동 받기 오브젝트로 이동된 후 터치 해제 제스처가 입력되면, 도 16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하위 메뉴(405)의 자동 받기 오브젝트와 관련된 설정 정보 리스트(407)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컨대, 자동 받기 오브젝트와 관련된 설정 정보 리스트(407)로서 ‘해제’, ‘1초’, ‘2초’, ‘3초’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고, 이 중 선택된 설정 정보로 설정될 수 있다.
도 17은 한번의 터치 제스처에 의해 여러 깊이(depth) 중 특정 깊이의 오브젝트가 실행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화면 예시도이다.
도 16에서는 여러 번의 터치 제스처에 의해 원하는 화면에 접근이 가능하였다.
이에 반해, 도 17에서는 한번의 터치 제스처에 의해 원하는 화면에 바로 접근이 가능할 수 있다.
도 1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면 상에 설정 아이콘(401)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설정 아이콘(401)에 대한 터치 제스처가 입력되면 사용자가 원하는 화면이 바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원하는 화면은 도 16d에 도시한 제2 하위 메뉴(405)의 자동 받기 오브젝트와 관련된 설정 정보 리스트(407)을 포함하는 화면일 수 있다.
이와 같이, 한 번의 터치 제스처에 의해 원하는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기 위해, 임계값이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로부터 화면에 대한 터치 제스처의 힘 강도의 레벨이 임계값을 넘는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화면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사용자가 화면에 대한 터치 제스처의 힘 강도의 레벨이 또 다른 임계값을 넘는 경우, 도 16c에 도시한 제2 하위 메뉴(405)가 곧바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터치 제스처가 입력될 때마다 여러 깊이의 오브젝트에 순차적으로 접근하는 것이 아니라 기 설정된 임계값 이상의 힘 강도를 갖는 한 번의 터치 제스처에 의해 여러 깊이 중 특정 깊이의 오브젝트로 곧바로 접근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8은 힘 강도의 레벨을 달리하는 터치 제스처에 의해 서로 상이한 밝기를 조절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화면 예시도이다.
도 1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밝기 아이콘(411)에 대한 제1 레벨의 힘 강도를 갖는 터치 제스처가 입력되면, 도 1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면이 제1 계조의 밝기로 조절될 수 있다.
만일 제1 레벨보다 더 큰 제2 레벨의 힘 강도를 갖는 터치 제스처가 입력되면, 도 18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계조보다 큰 제2 계조의 밝기로 조절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터치 제스처의 힘 강도의 레벨을 달리하여 화면의 밝기가 서로 다르게 조절될 수 있다.
터치 제스처의 힘 강도가 커질수록, 화면의 밝기가 밝아질 수도 있고 어두워질 수도 있다.
도 19는 터치 제스처의 힘 강도의 레벨에 따라 밝기가 점점 어두워지는 모습을 보여주는 화면 예시도이다.
도 1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레벨의 밝기를 갖는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밝기 아이콘(415)에 대한 제1 레벨의 힘 강도를 갖는 터치 제스처가 입력되면, 도 1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면이 제1 레벨보다 낮은 제2 레벨의 밝기로 조절될 수 있다.
이어서, 제1 레벨보다 큰 제2 레벨의 힘 강도를 갖는 터치 제스처가 입력되면, 도 19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면이 제2 레벨보다 낮은 제3 레벨의 밝기로 조절될 수 있다.
이어서, 제2 레벨보다 큰 제3 레벨의 힘 강도를 갖는 터치 제스처가 입력되면, 도 19d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면이 제3 레벨보다 낮은 제4 레벨의 밝기로 조절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터치 제스처의 힘 강도가 커질수록, 화면의 밝기는 점점 더 어두워질 수 있다.
도 20은 한번의 터치 제스처에 의해 사용자가 원하는 밝기로 조절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화면 예시도이다.
도 19에서와 같이 터치 제스처의 힘 강도를 점점 더 크게 하여 화면의 밝기를 서서히 어둡게 하는 대신에, 도 20에서는 한번의 터치 제스처에 의해 사용자가 원하는 레벨로 곧바로 화면을 어둡게 할 수 있다.
즉, 도 20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레벨의 밝기를 갖는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밝기 아이콘(415)에 대한 기 설정된 임계값 이상의 힘 강도를 갖는 터치 제스처가 입력되면, 사용자가 원하는 밝기, 예컨대 도 19d에 도시된 밝기로 화면이 곧바로 어두워질 수 있다.
본 발명은 터치 제스처의 힘 강도의 세기에 따라 화면의 밝기만 조절하는 것 아니다. 즉, 본 발명은 터치 제스처의 힘 강도의 세기에 다라 소리의 세기나 진동의 세기도 서로 다르게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터치 제스처의 힘 강도의 세기에 따라 다양한 동작이나 기능이 실행될 수도 있다.
도 21은 화면이 꺼진 경우에 화면을 켜기 위해 더블 탭(노크온(knock on)) 제스처가 입력될 때 더블 탭 제스처의 힘 강도의 세기에 따라 화면 밝기를 조절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화면 예시도이다.
도 2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면이 꺼지는 경우 즉 화면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 블랙 화면이 될 수 있다.
해당 블랙 화면에 대해 더블 탭 제스처가 입력되면, 화면이 켜져 블랙 화면이 주변 화면이나 대기 화면으로 전환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2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랙 화면에 대해 제1 레벨의 힘 강도를 갖는 더블 탭 제스처가 입력되면, 화면이 제1 레벨의 밝기로 조절될 수 있다.
도 2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랙 화면에 대해 제2 레벨의 힘 강도를 갖는 더블 탭 제스처가 입력되면, 화면이 제2 레벨의 밝기로 조절될 수 있다.
제2 레벨의 힘 강도는 제1 레벨의 힘 강도보다 클 수 있다.
제2 레벨의 밝기는 제1 레벨의 밝기보다 더 밝을 수 있다.
예컨대, 제1 레벨의 밝기는 최대 밝기의 60%일 수 있고, 제2 레벨의 밝기는 최대 밝기일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도 21에서는 화면의 밝기가 제1 레벨의 밝기와 제2 레벨의 밝기로 2가지 경우로 한정하여 설명하였지만, 이보다 많은 경우로 밝기가 세분화되어 조절될 수도 있다.
도 22는 낮이고 야외인 경우에 화면을 더 밝게 보이도록 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화면 예시도이다.
도 2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낮이고 야외인 경우, 도 2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더블 탭 제스처가 입력되어, 도 2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면이 켜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화면의 밝기보다 주변의 밝기, 즉 태양의 밝기가 더 밝아, 화면에 제공되는 정보에 대한 식별이 어려울 수 있다.
화면을 더 밝게 하기 위해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밝기 아이콘(415)에 대해 터치 제스처가 추가로 입력되어야 하므로, 사용자의 추가 제스처가 요구되어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줄 수 있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도 22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임계값 이상의 힘 강도를 갖는 더블 탭 제스처가 입력되면, 도 22e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면이 켜지면서 주변의 밝기보다 더 밝은 밝기로 조절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한번의 더블 탭 제스처가 입력됨으로써, 밝은 공간에서 더 밝은 밝기를 갖는 화면으로 곧바로 조절될 수 있으므로, 화면을 켠 후 사용자가 원하는 밝기로 조절하기 위한 추가 제스처가 필요하지 않아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3은 밤이거나 주변이 어두운 경우에 화면을 더 어둡게 보이도록 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화면 예시도이다.
도 2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두운 공간, 예컨대 영화관에서 영화를 보는 경우, 영화관은 상당히 어둡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의 손목에 장착된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의 화면은 블랙 상태일 수 있다.
도 2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의 화면을 보기 위해 화면에 대한 더블 탭 제스처가 입력되면,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의 화면이 켜지게 되어 블랙 화면이 주변 화면이다 대기 하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도 2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영화관 안에서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의 화면이 켜지는 경우, 화면의 밝기로 인해 주변 사람들이 영화를 보는데 방해를 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도 23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임계값 이상의 힘 강도를 갖는 더블 탭 제스처가 입력되면, 도 23e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 설정된 레벨의 밝기보다 낮은 레벨의 밝기로 화면이 조절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화면이 낮은 레벨의 밝기를 가지므로 주변의 사람들이 사용자의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의 화면을 인식하지 못하므로 주변 사람들에게 방해가 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한번의 더블 탭 제스처가 입력됨으로써, 어두운 공간에서 더 어두운 밝기를 갖는 화면으로 곧바로 조절될 수 있으므로, 화면을 켠 후 사용자가 원하는 밝기로 조절하기 위한 추가 제스처가 필요하지 않아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도 22의 설명에서 언급된 임계값과 도 23의 설명에서 언급된 임계값은 상이할 수 있다.
도 22의 설명에서 언급된 임계값을 제1 임계값이라 하고 도 23의 설명에서 언급된 임계값을 제2 임계값이라 한다.
만일 더블 탭 제스처의 힘 강도의 레벨이 낮을수록 어두운 화면으로 조절된다면, 제1 임계값이 제2 임계값보다 클 수 있다.
예컨대, 도 23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임계값 이상의 힘 강도를 갖는 더블 탭 제스처가 입력되면, 비교적 어두운 밝기, 즉 블랙 계조보다 10 내지 50 계조 높은 밝기의 화면으로 조절될 수 있다.
예컨대, 도 22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임계값 이상의 힘 강도를 갖는 더블 탭 제스처가 입력되면, 비교적 밝은 밝기, 즉 태양광의 밝기보다 더 밝은 밝기의 화면으로 조절될 수 있다.
도 24는 터치 제스처의 힘 강도의 세기에 따라 정보의 정도가 다르게 디스플레이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화면 예시도이다.
도 2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면 상에 정보 아이콘(430)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화면은 주변 화면 또는 대기 화면일 수 있다.
예컨대, 정보 아이콘(430)은 SNS 메신저 아이콘, 메일 아이콘, 전화 아이콘 등일 수 있다.
예컨대,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정보 아이콘(430)에 가해지는 터치 제스처의 힘 강도가 제1 레벨인 경우, 도 2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보 수신 건수만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레벨의 힘 강도를 갖는 터치 제스처를 통해 정보 아이콘(430)과 관련된 정보 수신 건수를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정보 아이콘(430)에 가해지는 터치 제스처의 힘 강도가 제1 레벨보다 큰 제2 레벨인 경우, 도 2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대 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2 레벨의 힘 강도를 갖는 터치 제스처를 통해 정보 아이콘(430)과 관련된 상대 정보가 누구인지를 확인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중요한 상대인지 아닌지를 판단하여 그에 따라 후속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만일 3건의 정보가 수신된 경우, 제2 레벨의 힘 강도를 갖는 터치 제스처에 의해 3건 각각의 상대 정보 오브젝트가 리스트 형태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3건 각각의 상대 정보 중에 추가 정보를 보고 싶은 상대 정보가 있는 경우, 해당 상대 정보 오브젝트에 대한 터치 제스처가 추가되면 도 24d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당 상대 정보가 보낸 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2 레벨의 힘 강도를 갖는 터치 제스처를 통해 정보를 보낸 상대방을 확인하고, 특정 상대방에 대한 추가 터치 제스처를 통해 해당 상대방이 보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화면에 디스플레이도는 정보 아이콘(430)에 가해지는 터치 제스처의 힘 강도가 제2 레벨보다 큰 제3 레벨인 경우, 도 24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대 정보뿐만 아니라 해당 상대가 보낸 정보까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터치 제스처의 힘 강도에 따라 정보의 정도가 다르게 디스플레이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정보 선택의 자유도를 넓혀줄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이동 단말기 110: 무선통신부
120: 입력부
140: 센싱부 150: 출력부
160: 인터페이스부 170: 메모리
180: 제어부 190: 전원공급부

Claims (19)

  1.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정보의 입출력이 가능한 터치 스크린;
    상기 터치 스크린에 가해지는 제스처의 힘 강도를 감지하는 포스 센서;
    상기 단말기의 방향성을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 및
    상기 단말기의 화면이 향하는 방향성에 따라 상기 단말기의 화면의 활성화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단말기의 화면에 대한 터치 민감도를 조절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기의 화면이 사용자의 눈을 향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의 화면을 블랙 화면에서 주변 화면이나 대기 화면으로 전환하여 상기 전환된 주변 화면이나 대기 화면을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기의 화면이 사용자의 눈을 향하지 않는 경우, 상기 단말기의 화면을 블랙 화면으로 그대로 유지하는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기의 화면이 블랙 화면으로 유지된 후, 상기 터치 스크린에 가해지는 제스처의 힘 강도가 임계값보다 큰 경우, 상기 단말기의 화면을 블랙 화면에서 주변 화면이나 대기 화면으로 전환하여 상기 전환된 주변 화면이나 대기 화면을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기의 화면이 사용자의 눈을 향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의 화면에 대한 터치 민감도를 제1 임계값으로 설정하는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기의 화면이 사용자의 눈을 향하지 않는 경우, 상기 단말기에 대한 터치 민감도를 제2 임계값으로 설정하는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임계값 각각은 터치 인지를 위한 기준 값으로서 캐패시컨스 값인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임계값은 상기 제1 임계값보다 큰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면이 활성화된 후, 상기 터치 스크린에 가해지는 제스처의 힘 강도가 임계값보다 큰 경우, 기 설정된 동작을 실행시키는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면이 활성화된 후, 상기 터치 스크린에 가해지는 제스처의 힘 강도가 가변되는 경우, 상기 가변되는 힘 강도에 따라 서로 다른 동작을 실행시키는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서로 다른 동작은 밝기, 소리 및 진동 중 하나가 증가 또는 감소되는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서로 다른 동작은 특정 아이콘의 다수의 깊이를 갖는 하위 메뉴가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스처가 더블 탭 제스처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스크린에 가해지는 상기 더블 탭 제스처의 힘 강도가 가변되는 경우, 상기 화면은 블랙 화면에서 주변 화면이나 대기 화면으로 전환하여 상기 전환된 주변 화면이나 대기 화면을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고 밝기, 소리 및 진동 중 하나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스처가 더블 탭 제스처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스크린에 가해지는 상기 더블 탭 제스처의 힘 강도가 임계값보다 큰 경우, 상기 화면은 블랙 화면에서 주변 화면이나 대기 화면으로 전환하여 상기 전환된 주변 화면이나 대기 화면을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단말기의 화면에 기 설정된 밝기보다 어둡거나 밝은 밝기로 조절하는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면이 활성화된 후, 상기 터치 스크린에 가해지는 제스처의 힘 강도가 가변되는 경우, 상기 가변된 힘 강도에 따라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정보의 정도를 서로 다르게 디스플레이시키도록 제어하는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기의 화면이 사용자의 눈을 향하는 제스처의 가속도에 따라 서로 상이한 기능을 실행시키는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눈을 향하는 제스처의 가속도가 임계값보다 큰 경우, 상기 단말기의 화면을 블랙 화면에서 주변 화면이나 대기 화면으로 전환하여 상기 전환된 주변 화면이나 대기 화면을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눈을 향하는 제스처의 가속도가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단말기의 화면을 블랙 화면으로 그대로 유지하는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
  19.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기의 화면이 블랙 화면으로 유지된 후, 상기 터치 스크린에 가해지는 제스처의 힘 강도가 임계값보다 큰 경우, 상기 단말기의 화면을 블랙 화면에서 주변 화면이나 대기 화면으로 전환하여 상기 전환된 주변 화면이나 대기 화면을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
KR1020150116768A 2015-08-19 2015-08-19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 KR20170022145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6768A KR20170022145A (ko) 2015-08-19 2015-08-19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
US15/753,144 US10606374B2 (en) 2015-08-19 2015-09-01 Watch-type mobile terminal
PCT/KR2015/009197 WO2017030229A1 (ko) 2015-08-19 2015-09-01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
CN201580082478.6A CN108139855B (zh) 2015-08-19 2015-09-01 手表式移动终端
EP15901769.8A EP3340026B1 (en) 2015-08-19 2015-09-01 Watch-type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6768A KR20170022145A (ko) 2015-08-19 2015-08-19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2145A true KR20170022145A (ko) 2017-03-02

Family

ID=58051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6768A KR20170022145A (ko) 2015-08-19 2015-08-19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606374B2 (ko)
EP (1) EP3340026B1 (ko)
KR (1) KR20170022145A (ko)
CN (1) CN108139855B (ko)
WO (1) WO201703022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8053B1 (ko) * 2017-03-23 2018-09-12 주식회사 하이딥 터치 입력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WO2024085382A1 (ko) * 2022-10-21 2024-04-25 삼성전자 주식회사 웨어러블 전자 장치 및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85645B2 (en) * 2015-09-28 2019-05-14 Apple Inc. Sensing contact force related to user wearing an electronic device
CN108287611B (zh) * 2018-04-24 2022-07-22 深圳市德威普斯科技有限公司 屏幕触控响应方法、终端和计算机存储介质
CN111324199B (zh) * 2018-12-13 2023-04-28 中国移动通信集团广西有限公司 一种终端控制方法、装置、终端及可读存储介质
US11614716B2 (en) 2019-09-23 2023-03-28 Apple Inc. Pressure-sensing system for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CN111124173B (zh) * 2019-11-22 2023-05-16 Oppo(重庆)智能科技有限公司 触摸屏的工作状态切换方法、装置、移动终端及存储介质
US11860585B2 (en) 2020-06-17 2024-01-02 Apple Inc. Wearable electronic device with a compressible air-permeable seal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591353B (en) * 2001-02-23 2004-06-11 Asulab Sa Portable object including means for activating an electronic func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such an electronic function
DE602005011440D1 (de) * 2005-09-13 2009-01-15 Eta Sa Mft Horlogere Suisse Höhenmessuhr
US20100079508A1 (en) 2008-09-30 2010-04-01 Andrew Hodge Electronic devices with gaze detection capabilities
US8289162B2 (en) * 2008-12-22 2012-10-16 Wimm Labs, Inc. Gesture-based user interface for a wearable portable device
CN103246379A (zh) * 2012-02-10 2013-08-14 联想移动通信科技有限公司 触摸反馈方法、装置及无线终端
US11372536B2 (en) 2012-11-20 2022-06-28 Samsung Electronics Company, Ltd. Transition and interaction model for wearable electronic device
CN103118166B (zh) * 2012-11-27 2014-11-12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基于压力感应实现单手操作手机的方法
KR102179812B1 (ko) * 2013-07-18 2020-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와치형 이동단말기
KR20150016683A (ko) 2013-08-05 2015-0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US20150091815A1 (en) * 2013-10-01 2015-04-02 Avaya Inc. Method and Apparatus to Support Visually Impaired Users of Touchscreen Based User Interfaces
CN104714741A (zh) * 2013-12-11 2015-06-17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触控操作的方法及装置
US9513703B2 (en) * 2013-12-27 2016-12-06 Intel Corporation Gesture-based waking and control system for wearable devices
KR102302439B1 (ko) * 2014-02-21 2021-09-1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US9032321B1 (en) * 2014-06-16 2015-05-12 Google Inc. Context-based presentation of a user interface
CN104535229B (zh) * 2014-12-04 2017-06-06 广东省自动化研究所 基于压阻压电柔性传感器复合的压力检测装置及方法
CN104809373B (zh) * 2015-03-02 2018-06-19 深圳市金立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终端解锁的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8053B1 (ko) * 2017-03-23 2018-09-12 주식회사 하이딥 터치 입력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EP3379395A1 (en) * 2017-03-23 2018-09-26 Hideep Inc. Touch input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24085382A1 (ko) * 2022-10-21 2024-04-25 삼성전자 주식회사 웨어러블 전자 장치 및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139855B (zh) 2021-05-25
US20180232063A1 (en) 2018-08-16
US10606374B2 (en) 2020-03-31
CN108139855A (zh) 2018-06-08
WO2017030229A1 (ko) 2017-02-23
EP3340026A1 (en) 2018-06-27
EP3340026B1 (en) 2021-02-17
EP3340026A4 (en) 2019-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22145A (ko)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
KR101748669B1 (ko) 와치형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708319B1 (ko) 와치 타입 단말기
KR20180106056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CN107817939B (zh) 一种图像处理方法及移动终端
KR20170017112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EP3133484A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8013677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01358A (ko) 이동 단말기
KR20170037466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50144668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CN110837327B (zh) 一种消息查看方法及终端
CN107734175A (zh) 一种通知消息的提示方法及移动终端
KR20170027606A (ko) 와치 타입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05071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50146091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09587334B (zh) 柔性终端的显示方法、柔性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0928619B (zh) 壁纸设置方法、装置、电子设备及介质
CN109902679B (zh) 一种图标显示方法及终端设备
KR20160102811A (ko) 손목착용형 디바이스를 착용한 손의 제스처를 통해 필기관련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147564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170058173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86159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JP2017079001A (ja) 情報処理装置、表示装置の輝度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が実行可能なプログラム
KR20160068534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