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2067A - 고압 공기 분사가 가능한 진공청소기 - Google Patents

고압 공기 분사가 가능한 진공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2067A
KR20170022067A KR1020150116572A KR20150116572A KR20170022067A KR 20170022067 A KR20170022067 A KR 20170022067A KR 1020150116572 A KR1020150116572 A KR 1020150116572A KR 20150116572 A KR20150116572 A KR 20150116572A KR 20170022067 A KR20170022067 A KR 201700220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n motor
exhaust pipe
unit
air
vacuum clea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6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73499B1 (ko
Inventor
김윤복
Original Assignee
김윤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윤복 filed Critical 김윤복
Priority to KR10201501165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3499B1/ko
Publication of KR201700220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20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34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34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4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for using the exhaust air for other purposes, e.g. for distribution of chemicals in a room, for sterilisation of the ai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00Cleaning windows

Landscapes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고압 공기를 분사 할 수 있는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흡기 기능만이 구비되는 진공청소기에 고압의 공기 분사가 가능한 배기관을 구비해 보다 효율적으로 청소를 할 수 있는 고압 공기 분사가 가능한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고압 공기 분사가 가능한 진공청소기{VACUUM CLEANER POSSIBLE TO INJECT HIGH PRESSURE AIR}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고압 공기 분사가 가능한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진공청소기는 고압의 회전 모터를 이용해 먼지 등을 흡입하는 장치로서, 오늘날 청소 등에 자주 이용되곤 한다. 가정에서 사용되는 진공청소기는 효율적인 흡입을 위해 대게 지면과 맞닿는 헤더가 넓게 형성된다. 위와 같은 진공청소기는 지면에 분포되어있는 먼지 등을 손쉽게 제거할 수 있으나 카페트와 같은 직물의 먼지는 손쉽게 청소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진공청소기는 헤더가 넓게 형성되기 때문에 헤더가 저면과 닿지 못하는 위치, 특히 문틈이나 창문틀과 같이 굴곡진 지면의 먼지는 헤더와 먼지간의 거리가 떨어져 있기 때문에 청소를 하기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진공청소기에서 배기되는 공기는 집진부를 통해 필터링되어 먼지가 제거되지만, 집진부의 필터 기능이 저하될 때 먼지가 그대로 배기부로 배출되기 때문에 실내 공기가 오염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청소기를 파지하여 청소하기 때문에 배기되는 공기에 노출되는데, 배기되는 공기는 맑은 공기가 아니기 때문에 사용자의 건강에 좋지 않고, 사용자가 거부감을 느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67102호(선행문헌1)은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토출 방향을 변화시킬 수 있는 배기 그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만, 선행문헌1의 진공청소기는 배기의 각도가 조절되지만, 문틈 및 창문틈과 같이 지면이 고르지 못하고 굴곡진 지면 또는 카페트와 같은 직물부의 먼지를 손쉽게 제거할 수 있는 기술적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아 평지 외에는 효과적으로 청소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67102호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문틈이나 창문틈과 같이 고르지 못하고 굴곡진 지면에 존재하는 먼지 등을 효과적으로 청소할 수 있는 진공청소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카페트와 같은 직물의 먼지를 보다 효과적으로 청소할 수 있는 진공청소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청소 시 먼지 등의 청소물의 흡입으로 인해 오염되어 배출되는 공기를 보다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진공청소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제 1 팬모터가 구비되는 몸체부, 몸체부와 일단이 연결되는 노즐부, 노즐부 내측에 노즐부를 따라 형성되는 흡기관 및 배기관을 포함하고, 흡기관의 일단은 제 1 팬모터의 일면에 설치되어 제 1 팬모터의 회전 운동을 통해 흡기관의 타단으로 공기를 흡입하며, 배기관의 일단은 제 1 팬모터의 타면에 설치되어 제 1 팬모터가 회전 운동을 통해 배기관의 타단으로 공기를 분사하는 진공청소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기관이 흡기관에 근접한 위치에 구비되기 때문에 창문틀 및 문과 같이 지면이 고르지 못한 위치의 먼지를 청소할 수 있다. 상세하게, 배기관을 통해 공기를 분사하여 흡기관으로 먼지를 보다 수월하게 흡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배기관에서 고압의 공기를 분사할 수 있기 때문에, 먼지가 쉽게 떨어지지 않는 직물을 손쉽게 청소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배기관 및 흡기관은 하나의 팬모터를 통해 작동되기 때문에 별도의 도구 및 동력구성이 필요하지 않고,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진공청소기에 구비되는 배출관을 배기관으로 이동시켜 청소에 활용함으로써, 청소기로 한번 흡입한 먼지를 지속적으로 순환시키기 때문에 먼지가 외부로 빠져나갈 수 없으며, 이로 인해 사용자는 청소 시, 오염된 공기에 노출되지 않는다는 특징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압 공기 분사가 가능한 진공청소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압 공기 분사가 가능한 진공청소기의 노즐부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압 공기 분사가 가능한 진공청소기의를 나머리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압 공기 분사가 가능한 진공청소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압 공기 분사가 가능한 진공청소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압 공기 분사가 가능한 진공청소기의 압력 조절 밸브의 작동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압 공기 분사가 가능한 진공청소기가 지면에서 이격됨에 따라 압력 조절 밸브가 작동되는 것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 내지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압 공기 분사가 가능한 진공청소기의 압력 조절 밸브가 문틈 또는 창문틀에서 작동하는 것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압 공기 분사가 가능한 진공청소기가 직물을 청소하는 것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개시하기 위해서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호들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는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이해되거나 보다 분명해질 수 있으며, 하기의 기재만으로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압 공기 분사가 가능한 진공청소기는 몸체부(100), 노즐부(200) 및 머리부(300)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는 다양한 진공청소기의 형태가 적용될 수 있으나, 이하에서 가정용으로 사용되는 캐니스터형 진공청소기를 일례로 들어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고압 공기 분사가 가능한 진공청소기는 회전 운동을 통해 일 방향으로 송풍력을 전달하는 제 1 팬모터(110)가 구비되는 몸체부(100), 몸체부(100)와 연결되어 제 1 팬모터(110)에서 발생되는 송풍력을 전달받는 노즐부(200) 및 먼지와 같은 청소물을 흡입하는 머리부(300)로 구성된다. 다음으로 각 구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몸체부(100)는 내측에 제 1 팬모터(110)가 구비되고, 노즐부(200)가 연결된다. 제 1 팬모터(110)는 전력을 공급받아 일 방향으로 회전하고, 흡기관(210)에 연결되며, 흡기관(210)에 송풍력을 전달한다. 상세하게, 제 1 팬모터(110)는 일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 1 팬모터(110)의 일면에 흡기관(210)의 일단이 체결된다. 따라서, 제 1 팬모터(110)가 회전함으로써 흡기관(210)에 송풍력이 전달되고, 송풍력으로 인해 흡기관(210)의 타단에 먼지 및 공기가 흡입된다.
이때, 제 1 팬모터(110)와 흡기관(210) 일단의 사이에는 집진부(130)가 구비된다. 집진부(130)는 흡기관(210)의 타단으로부터 흡입되는 먼지와 같은 청소물이 제 1 팬모터(110)로 이동되는 것을 차단됨과 동시에 수거하는 구성으로서, 진공청소기에 주로 사용되는 일반적인 기술내용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노즐부(200)는 몸체부(100)와 체결되고, 내부에 흡기관(210) 및 배기관(220)이 형성된다. 노즐부(200)는 고압의 공기가 이동되고 사용자가 자유로이 움직일 수 있도록 주름관으로 구비될 수 있다. 노즐부(200) 내부에 구비되는 흡기관(210) 및 배기관(220)은 일단이 제 1 팬모터(110)에 연결되어 설치된다. 상세하게는, 노즐부(200)는 몸체부(100)와 연결되고, 노즐부(200) 내부에 구비되는 흡기관(210) 및 배기관(220)은 제 1 팬모터(110)에 연결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흡기관(210)의 일단은 제 1 팬모터(110)의 일면에 설치되어 제 1 팬모터(110)의 회전 운동을 통해 흡기관(210)의 타단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청소물을 흡입한다. 한편, 배기관(220)의 일단은 제 1 팬모터(110)의 타면에 설치되어 제 1 팬모터(110)가 회전 운동을 통해 배기관(220)의 타단으로 고압의 공기를 분사한다. 구체적으로, 제 1 팬모터(110)는 일 방향으로 회전운동 함으로써 송풍력을 노즐부(200)로 전달하는데, 노즐부(200)에 구비되는 흡기관(210)의 일단은 제 1 팬모터(110)의 일면에 설치되어 송풍력을 받아 흡기 기능을 갖게 되고, 배기관(220)의 일단은 제 1 팬모터(110)의 타면에 설치되어 송풍력을 역으로 전달 받아 고압의 공기를 배출하게 된다. 따라서, 제 1 팬모터(110)의 회전운동을 통해 흡기관(210)으로 청소물을 흡수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배기관(220)으로 고압의 공기를 배출할 수 있다.
기존의 진공청소기는 상술한 배기관(220)이 몸체부(100)에 형성되어 몸체부(100) 외부로 배출되는 반면, 본 발명의 고압 공기 분사가 가능한 진공청소기는 배출되는 공기를 노즐부(200)로 이동시켜 고압의 공기로 변환한 뒤 이를 다시 청소에 이용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고압 공기 분사가 가능한 진공청소기는 전력을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효과적인 청소를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고압 공기 분사가 가능한 진공청소기는 흡기부(310)의 흡입력에 영향을 받지 않는 만큼 떨어진 청소 입자를 배기부(320)를 통해 보다 효과적으로 흡입할 수 있고, 카페트와 같은 직물(12)로 이루어져 먼지와 같은 청소물이 쉽게 떨어지지 않는 재질도 손쉽게 청소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5를 참고하면, 보다 효과적인 고압 공기 배출을 위하여 본 발명의 고압 공기 분사가 가능한 진공청소기에 제 2 팬모터(12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제 2 팬모터(120)는 배기관(220)의 일단에 구비될 수 있다. 이로서, 배기관(220)에서 생산되는 고압의 공기는 제 2 팬모터(120)를 통해 발생하기 때문에 제 1 팬모터(110)만을 이용하였을 때보다 강력한 압력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고압 공기 분사가 가능한 진공청소기가 제 2 팬모터(120)를 구비하면 배기관(220) 및 제 1 팬모터(110)는 서로 분리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 1 팬모터(110)의 타면에는 공기배출을 위한 별도의 공기를 배출할 수 있는 통로가 더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도 2 및 도 4를 참고하면, 노즐부(200)에 구비되는 흡기관(210) 및 배기관(220)은 상이한 직경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흡기관(210)의 직경(211)은 배기관(220)의 직경(221)보다 넓은 직경으로 구비될 수 있다. 흡기관(210)의 경우 청소물을 흡입해야 하기 때문에 보다 큰 직경으로 구비되어야 하지만, 배기관(220)의 경우 배출되는 먼지와 같은 청소물이 집진부(130)를 통해 정화되므로 보다 작은 직경으로 구비될 수 있다.
배기관(220)의 직경(221)이 흡기관(210)의 직경(211)보다 작으면, 배기관(220)에서 공기가 더 고압으로 분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흡기관(210)에서 흡입되는 공기는 흡기관(210)의 직경(211)의 크기에 대응되는 풍속으로 흡입되는데, 몸체부(100) 내부는 밀폐되도록 구비되기 때문에 흡입된 공기는 배기관(220)만을 통해 분사된다. 이때 배기관(220)의 직경(221)을 보다 작게 구비하면, 배출되는 공기가 보다 고압으로 분사된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2를 참고하면, 배기관(220)은 흡기관(210)을 감싸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세하게, 노즐부(200) 내부에 형성되는 배기관(220) 및 흡기관(210)은 노즐부(200)의 중심축에 흡기관(210)이 위치하여 공기를 흡수하고, 흡기관(210)의 외면을 따라 배기관(220)이 얇게 형성될 수 있다. 위와 같이 구비하게 되면, 흡기관(210)을 배기관(220)으로 한번 더 감싸주기 때문에 흡기관(21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노즐부(200)는 일반적으로 수월한 조작을 위해 원통형의 주름관으로 구비되기 때문에, 노즐부(200)의 내부는 원통형의 직경을 갖고 비교적 협소한 공간이 형성된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흡기관(210)의 외면에 흡기관(210)을 감싸는 형상으로 배기관(220)이 구비되면 노즐부(200) 내부의 협소한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또 다른 실시예로서, 배기관(220)은 복수개로 구획되어 흡기관(210)을 감싸는 형상으로 배열되어 구비될 수 있다. 제 1 팬모터(110)의 타면에 설치되어 고압의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관(220)이 복수개로 구획되고, 복수개로 구획되는 배기관(220)이 흡기관(210)을 감싸는 형상으로 배열되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3을 참고하면, 노즐부(200)는 타단에 머리부(3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머리부(300)에는 배기관(220)의 타단과 연결되는 배기부(320) 및 흡기관(210)의 타단과 연결되는 흡기부(310)가 구비될 수 있다. 머리부(300)는 가정용 진공청소기의 헤더 형상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기관(220)의 타단은 머리부(300)에 형성되는 배기부(320)와 연결되고, 흡기관(210)의 타단은 머리부(300)에 형성되는 흡기부(310)에 연결된다. 또한, 흡기부(310) 및 배기부(320)는 머리부(300)의 저면을 향하도록 구비된다. 흡기부(310) 및 배기부(320)는 다양한 위치, 방향 및 형상 등을 통해 구비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진공청소기의 진행방향인 전면 방향에 배기부(320)가 구비되고, 후면 방향에 배기부(320)가 구비되는 것을 일 례로 설명한다.
또한, 흡기부(310)는 저면을 향하도록 구비되나, 배기부(320)는 보다 효율적인 청소를 위해 배기부(320)에서 분사되는 공기가 흡기부(310)의 방향을 향할 수 있도록 지면(10) 방향과 소정 각도 회전된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기부(320)에서 배출되는 고압의 공기가 지면(10) 방향인 경우보다, 흡기부(310) 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구비되면, 고압의 공기로 인해 먼지가 흡기부(310)와 상이한 방향으로 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위와 같이 배기부(320)에서 분사되는 고압의 공기가 흡기부(310)가 위치한 방향을 향하도록 구비하면, 청소 시 주변의 공기를 비교적 맑게 유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기부(320)에서 분사되는 고압의 공기는 흡기부(310)에서 흡수된 공기로 이루어지는데, 흡기부(310)에서 흡수된 먼지로 인해 오염된 공기가 집진부(130)를 통해 정화되지만, 이는 위생적인 공기가 아니기 때문에 2차 적인 정화작용이 필요하곤 했다. 다만, 본 발명과 같이 흡기관(210) 및 흡기부(310)를 구비하게 되면, 집진부(130)에서 1차적으로 정화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아니라, 배기관(220) 및 배기부(320)를 통해 머리부(300)의 저면으로 분사되고, 분사된 고압의 공기는 다시 흡기부(310)로 이동되어 흡수되기 때문에, 위와 같이 먼지 등과 같이 청소물로 인해 오염된 공기가 다시 외부로 배출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보다 위생적이고 효과적으로 청소를 할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압 공기 분사가 가능한 진공청소기의 몸체부(100)는 제 1 팬모터(110)에 의해 배기되는 공기를 몸체부(100)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배출부(14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몸체부(100)에 제 1 팬모터(110) 만이 구비되고, 제 1 팬모터(110)의 일면 및 타면에 각각 흡기관(210) 및 배기관(220)이 구비되는 경우, 사용자는 제 1 팬모터(110)의 작동으로 고압의 공기가 배기관(220)을 통해 분사되는 것을 제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배기관(220)을 통해 고압의 공기가 분사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는 배출부(140)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배출부(140)의 일단이 배기관(220)과 연결되고, 배출부(140)의 타단은 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몸체부(100) 외측 방향으로 형성된다. 배출부(140)와 배기관(220)이 연결되어 접하는 접합부에는 고압의 공기를 배출부(140) 또는 배기관(22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만을 통해 배출할 수 있도록 밸브가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밸브는 배출부(140) 또는 배기관(220)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3방 밸브일 수 있다. 3방 밸브는 사용자의 수동 또는 자동으로 제어하는 밸브 또는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조작되는 솔레노이드 밸브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3방 밸브는 제 1 팬모터(110)에서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을 감지할 수 있는 압력 조절 밸브(150)일 수 있다. 상세하게는, 3방 밸브는 제 1 팬모터(110)에서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을 감지하여 배출부(140) 또는 배기관(220)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는 압력 조절 밸브(150)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압력 조절 밸브(150)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저장된 압력값에 따라 제 1 팬모터(110)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배출부(140) 또는 배기관(220) 중 어느 하나로 배출시킨다.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로서 도 7 및 도 8을 참고하면, 압력 조절 밸브(150)는 제 1 팬모터(110)와 배출부(140)를 연결시키고, 배기관(220)을 차단시킨다. 이때, 사용자가 미리 저장한 압력값 보다 낮은 압력이 압력 조절 밸브(150)로 전달되는 경우, 압력 조절 밸브(150)는 제 1 팬모터(110)와 배출부(140)를 차단시키고 제 1 팬모터(110)와 배기관(220)을 연결시킨다.
위와 같이 압력 조절 밸브(150)가 구비되는 경우머리부(300)가 지면(10)에 접하지 않을 때에는 고압의 공기가 배기부(320)로 배출되지 않고 배출부(140)로 배출되며, 머리부(300)가 지면(10)에 접할 때에는 고압의 공기가 배기부(320)로 분사된다.
구체적으로, 머리부(300)가 지면(10)에 떨어져 맞닿지 않게 되면 흡기부(310)가 외부로 노출되는 면적이 넓어지기 때문에 보다 많은 공기가 제 1 팬모터(110)로 흡입되어 압력 조절 밸브(150)는 배기관(220)를 차단시켜 고압의 공기를 배기부(320)로 분사하지 않고, 제 1 팬모터(110)와 배출부(140)를 연결시킨다. 한편, 머리부(300)가 지면(10)에 근접하는 경우 흡기부(310)가 지면(10)으로 인해 외부로 노출되는 면적이 좁아지기 때문에 비교적 적은 공기가 제 1 팬모터(110)로 흡수되고, 이때, 압력 조절 밸브(150)는 압력 값을 감지하여, 배출부(140)를 차단시키고, 제 1 팬모터(110)와 배기관(220)를 서로 연결시켜 고압의 공기를 배기부(320)로 분사 된다.
즉, 사용자가 청소기를 작동시켜 실제 청소를 시작할 때에만 고압의 공기가 배기부(320)로 분사되어 불필요한 분사가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압력 조절 밸브(150)를 통해 고압의 공기가 원하는 상황에서 분사되도록 제어할 수 있어 보다 효율적인 청소를 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미리 저장한 압력 값 보다 낮은 압력값이 전달되는 경우 압력 조절 밸브(150)는 제 1 팬모터(110)와 배출부(140)를 차단시키고 제 1 팬모터(110)와 배기관(220)을 연결시키는 것을 일례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가 미리 저장한 압력 값 보다 높은 압력값이 전달되는 경우압력 조절 밸브(150)가 작동될 수 있고, 작동 대상 또한, 배출부(140) 및 배기관(220)이 서로 바뀌어 반영될 수 있으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함은 물론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9 내지 도 12를 참고하면, 제 1 팬모터(110)와 배출부(140)는 서로 연결되고, 제 1 팬모터(110)와 배기관(220)은 차단된 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사용자가 미리 저장한 압력값 보다 높은 압력값이 압력 조절 밸브(150)로 전달되는 경우, 제 1 팬모터(110)와 배출부(140)가 서로 차단되고, 제 1 팬모터(110)와 배기관(220)이 서로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압력 조절 밸브(150)를 위와 같이 구성하게 되면, 머리부(300)가 지면(10)에 접하여 일반적인 공기압이 압력 감지 밸브로 전달되는 경우, 제 1 팬모터(110)와 배출부(140)만이 연결되어 고압의 공기가 배기부(320)로 분사되지 않는다. 이때, 머리부(300)가 비교적 고르지 못한 면을 갖는 문틈 또는 창문틀(11) 상으로 이동되어 위치하는 경우, 문틈 또는 창문틀(11)의 이격 거리 및 홈 등으로 인해 흡기부(310)가 외부에 노출되는 공간이 비교적 넓어져 보다 많은 공기를 흡입한다. 따라서, 문틈 또는 창문(11)틀 상에 머리부(300)가 위치하는 경우, 흡기부(310)가 흡입하는 공기의 양이 많아지게 되고, 이로 인해 압력 조절 밸브(150)에 가해지는 공기 압력이 높아진다. 그 다음, 높아진 압력을 압력 조절 밸브(150)가 감지하여 제 1 팬모터(110)와 배출부(140)와 연결을 차단시키고, 제 1 팬모터(110)와 배기관(220)을 연결시켜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게 된다.
문틈 또는 창문틈(11)과 같이 고르지 못한 지형을 청소할 때, 소정의 무게를 갖거나 소정의 거리가 이격되어 흡입되지 않는 먼지 등과 같은 청소물을 청소할 때,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여 흡입한다.
이를 위해서는 문틈 또는 창문틀(11) 상에 머리부(300)가 위치했을 때 고압의 공기를 분사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압력 조절 밸브(150)를 구비하는 경우 별도의 센서 없이도 문틈 또는 창문틈(11)과 같은 곳에 머리부(300)를 위치시켜 배기부(320)를 통해 고압의 공기가 분사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효과적인 청소를 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술한 압력 감지 밸브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상술한 작동 조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압력 조절 밸브(150)는 흡기관(210)의 직경과 길이, 흡기부(310)의 형태 및 제 1 팬모터(110)의 구성 등에 따라 또는 다양한 변수에 따라 상이해지는 흡입 압력에 대응하여 사용자가 미리 저장한 작동 압력 값을 달리할 수 있다. 즉, 상술한 일례들의 목적 및 효과를 발현할 수 있다면 사용자가 미리 저장한 작동 압력 값 등은 상이하게 변화할 수 있고, 이 또한 본 발명에 속함은 물론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예시의 목적으로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상기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00 : 몸체부 110 : 제 1 팬모터
120 : 제 2 팬모터 130 : 집진부
140 : 배출부 150 : 압력 조절 밸브(150)
200 : 노즐부 210 : 흡기관
220 : 배기관 300 : 머리부
310 : 흡기부 320 : 배기부

Claims (8)

  1.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제 1 팬모터(110)가 구비되는 몸체부(100);
    상기 몸체부(100)와 일단이 연결되는 노즐부(200);
    상기 노즐부(200) 내측에 상기 노즐부(200)를 따라 형성되는 흡기관(210) 및 배기관(220);을 포함하고,
    상기 흡기관(210)의 일단은 상기 제 1 팬모터(110)의 일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팬모터(110)의 회전 운동을 통해 상기 흡기관(210)의 타단으로 공기를 흡입하며,
    상기 배기관(220)의 일단은 상기 제 1 팬모터(110)의 타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팬모터(110)가 회전 운동을 통해 상기 배기관(220)의 타단으로 공기를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공기 분사가 가능한 진공청소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관(220)의 일단에 제 2 팬모터(120)가 더 구비되거나.
    상기 배기관(220)은 상기 흡기관(210)을 감싸는 형상으로 구비되거나,
    상기 배기관(220)은 복수의 구역으로 구분되어 상기 흡기관(210)을 감싸는 형상으로 배열되거나,
    상기 흡기관(210)의 직경은 상기 배기관(220)의 직경 보다 큰 직경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공기 분사가 가능한 진공청소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200)는 타단에 머리부(300)가 더 구비되고,
    상기 머리부(300)는,
    상기 흡기관(210)의 타단과 연결되는 흡기부(310) 및
    상기 배기관(220)의 타단과 연결되는 배기부(320)를 포함하며,
    상기 흡기관(210) 및 상기 배기관(220)은 각각 저면을 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공기 분사가 가능한 진공청소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부(320)에서 분사되는 공기가 상기 흡기부(310)를 향하도록 지면과 소정의 각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공기 분사가 가능한 진공청소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0)는 상기 제 1 팬모터(110)에 의해 배기되는 공기를 몸체부(100)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배출부(140)를 더 구비하고,
    상기 배출부(140)는 일단이 상기 배기관(220)과 연결되며,
    상기 배출부(140)와 상기 배기관(220)이 연결되는 접합부에는 상기 배출부(140) 또는 상기 배기관(220) 중 어느 하나로 공기가 배출시키는 3방 밸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공기 분사가 가능한 진공청소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3방 밸브는 압력 조절 밸브(150)로 구비되고,
    상기 압력 조절 밸브(150)는 상기 제 1 팬모터(110)에서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을 감지하고 미리 저장된 압력 값 보다 상기 압력 조절 밸브(150)에 가해지는 압력이 높거나 낮은 경우 상기 배출부(140) 또는 상기 배기관(220) 중 어느 하나로 공기를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공기 분사가 가능한 진공청소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조절 밸브(150)는,
    상기 머리부(300)가 지면(10)에서 소정의 거리이상 떨어진 경우 상기 배기부(320)를 차단시켜 상기 제 1 팬모터(110)와 배출부(140)를 연결시키고,
    상기 머리부(300)가 지면(10)에 상기 소정의 거리 이내로 접근하는 경우 상기 배출부(140)를 차단시켜 상기 제 1 팬모터(110)와 배기부(320)를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공기 분사가 가능한 진공청소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조절 밸브(150)는,
    상기 머리부(300)가 평평한 지면(10) 상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배기부(320)를 차단시켜 상기 제 1 팬모터(110)와 배출부(140)를 연결시키고,
    상기 머리부(300)가 문틈 또는 창문틀(11) 상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배출부(140)를 차단시켜 상기 제 1 팬모터(110)와 배기부(320)를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공기 분사가 가능한 진공청소기.
KR1020150116572A 2015-08-19 2015-08-19 고압 공기 분사가 가능한 진공청소기 KR1017734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6572A KR101773499B1 (ko) 2015-08-19 2015-08-19 고압 공기 분사가 가능한 진공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6572A KR101773499B1 (ko) 2015-08-19 2015-08-19 고압 공기 분사가 가능한 진공청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2067A true KR20170022067A (ko) 2017-03-02
KR101773499B1 KR101773499B1 (ko) 2017-08-31

Family

ID=58427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6572A KR101773499B1 (ko) 2015-08-19 2015-08-19 고압 공기 분사가 가능한 진공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349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386263A1 (en) * 2018-11-09 2021-12-16 Guangdong Midea White Home Appliance Technology Innovation Center Co., Ltd. Sweeping robot
KR20230095144A (ko) * 2021-12-21 2023-06-29 고세두 진공청소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7102Y1 (ko) 1999-03-19 2004-11-10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토출 방향을 변화시킬 수 있는 배기 그릴을 가지는 진공청소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7102Y1 (ko) 1999-03-19 2004-11-10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토출 방향을 변화시킬 수 있는 배기 그릴을 가지는 진공청소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386263A1 (en) * 2018-11-09 2021-12-16 Guangdong Midea White Home Appliance Technology Innovation Center Co., Ltd. Sweeping robot
US11910972B2 (en) * 2018-11-09 2024-02-27 Guangdong Midea White Home Appliance Technology Innovation Center Co., Ltd. Sweeping robot
KR20230095144A (ko) * 2021-12-21 2023-06-29 고세두 진공청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3499B1 (ko) 2017-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864658B (zh) 用于蒸汽清洁设备的表面清洁头
EP3522762B1 (en) Low noise stick vaccum cleaner
KR101773499B1 (ko) 고압 공기 분사가 가능한 진공청소기
JPH11206629A (ja) アップライト型電気掃除機
JP2644691B2 (ja) 真空掃除機の回転型常用吸入口
KR101457970B1 (ko) 로봇청소기의 흡입구
US6813807B2 (en) Vacuum cleaner having a secondary dirt and dust collection inlet
CN209770258U (zh) 地刷组件及扫地机器人
KR20060106236A (ko) 진공청소기의 흡입장치
KR101572436B1 (ko) 구석 청소 기능이 있는 진공청소기
CN215890607U (zh) 一种洗地机及其风机降噪结构
KR100508871B1 (ko) 청소기
JP2910760B2 (ja) 電気掃除機及びその吸口体
KR200461691Y1 (ko) 진공청소기
JPS631963Y2 (ko)
CN217039945U (zh) 一种水机地刷的喷水结构及吸尘器
CN211324721U (zh) 清洁刷及清洁套装
CN116602589A (zh) 洗地机的污水箱和洗地机
KR200181851Y1 (ko) 회전솔 진공청소기
CN203400094U (zh) 一种清扫机
KR200245233Y1 (ko) 진공청소기용 측면 흡기구
KR200275922Y1 (ko) 청소기의 먼지 비산장치
KR200166667Y1 (ko) 청소기의 충격 완화 장치
JP2002085296A (ja) 電動送風機及び電気掃除機
CN110710924A (zh) 一种清洁组件及清洁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