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1982A - 디스플레이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1982A
KR20170021982A KR1020150116386A KR20150116386A KR20170021982A KR 20170021982 A KR20170021982 A KR 20170021982A KR 1020150116386 A KR1020150116386 A KR 1020150116386A KR 20150116386 A KR20150116386 A KR 20150116386A KR 20170021982 A KR20170021982 A KR 201700219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d
blue
green
light
pix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63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5193B1 (ko
Inventor
김진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썬다이오드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썬다이오드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썬다이오드코리아
Priority to KR10201501163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5193B1/ko
Priority to PCT/KR2016/009147 priority patent/WO2017030406A1/ko
Priority to CN201680047420.2A priority patent/CN107924661A/zh
Priority to EP16837348.8A priority patent/EP3340226A4/en
Priority to JP2018527707A priority patent/JP2018525685A/ja
Publication of KR201700219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19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51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5193B1/ko
Priority to US15/899,113 priority patent/US10460651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0004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oper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02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 H01L33/0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with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regions, e.g. laterally discontinuous light emitting layer or photoluminescent region integrated within the semiconductor bod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36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electr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7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 G09G3/2014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by modulation of the duration of a single pulse during which the logic level remains consta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ed Devices (AREA)
  • Control Of El Displays (AREA)

Abstract

발광다이오드의 디스플레이 구동방법이 개시된다. 이는 드라이브회로에 의해 펄스폭변조(Pulse Width Modulation)방식의 구동펄스를 각각의 화소에 인가하여 상기 화소마다 빛의 삼원색인 적색, 청색, 녹색이 발광되는 발광시간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화소의 휘도를 제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구동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구동 방법{Display Driving Method}
본 발명은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구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중접합 구조를 가지는 발광다이오드(Multi-Junction LED)가 발광하는 발광시간을 제어함으로써 디스플레이의 색광 조합과 휘도를 제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광다이오드는 각종 장치의 표시 광원으로 개발되어 사용되고 그 광원은 직진성을 갖는 특성과 함께 소비전력이 작고 수명이 긴 특징을 갖으며 기술 발전에 따라 고휘도 발광다이오드가 제조 사용되고 있다.
고휘도 발광다이오드는 후랫쉬와 유사한 휴대용 조명 및 자전거 등의 안전 표시 조명으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고휘도 발광다이오드를 집약하면 상당한 조도의 조명등으로 사용이 가능할 정도로 공지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발광다이오드는 조명용의 제품으로 학습이나 독서 등의 목적을 위해 사용되는 스탠드 장치와, 조명과 실내외 경관용으로 벽면 설치되는 무드등 장치 및 현관 등에 센서 조명등 장치 등에 폭 넓게 실용화되어 있다.
발광소자인 발광다이오드를 구동하는 방법으로는 전압제어방식 및 전류제어방식 등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전압제어방식이나 전류제어방식은 발광다이오드에 일정한 전압이나 전류를 인가하여 특정의 색상과 밝기의 상태를 유지하도록 작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전압, 전류제어방식은 작은 전압 변동에도 전류의 변동이 심해져 휘도변화를 유발하게 되며, 이는 디스플레이 특성을 떨어뜨리는 원인이 된다. 또한, 전류제어방식은 질화물 반도체 소자의 특성상 효율 대비 전류가 일정하지 않아 최대 효율을 갖는 전류를 사용하는 소자를 구동할 경우 효율이 다시 감소하는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한국특허 공개 10-2005-0049913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즉, 펄스폭변조 제어방식을 이용하여 발광다이오드가 발광하는 발광시간을 제어함으로써 최고효율에 해당하는 전류에서 디스플레이를 구동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의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구동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의 디스플레이 구동 방법에 있어서, 드라이브회로에 의해 펄스폭변조(Pulse Width Modulation)방식의 구동펄스를 각각의 화소에 인가하여 상기 화소마다 빛의 삼원색인 적색, 청색, 녹색이 발광되는 시간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화소의 휘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화소가 발광되는 리프레쉬 주기(refresh cycle)는 다수개의 레벨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상기 빛의 삼원색 각각은 상기 레벨 중 최소레벨 내지 최대레벨 중 어느 하나의 레벨을 갖을 수 있다.
상기 화소의 휘도는 상기 리프레쉬 주기 내에 발광시간에 따라 발광된 상기 적색, 청색, 녹색의 색상 조합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드라이브회로는 상기 최소 레벨에 해당하는 시간 내에 로우레벨의 신호를 인가함으로써 적색, 청색, 녹색이 발광되는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적색, 청색, 녹색에 대한 발광시간 제어는 상기 3가지 색을 동시에 제어하기 위해 하나의 상기 드라이브회로를 이용하여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적색, 청색, 녹색에 대한 발광시간 제어는 상기 3가지 색을 각각 제어하기 위해 3개의 상기 드라이브회로를 이용하여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발광다이오드는 각기 다른 색을 발광하는 층이 다수개 접합된 다중 접합 구조를 가지는 발광다이오드(Multi-Junction LED, MJ-LED)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질화물 반도체로 형성된 다중접합 구조를 가지는 발광다이오드를 펄스폭변조 제어방식을 이용하여 빛의 삼원색 각각을 화소에 따라 발광되는 시간을 증가하거나 감소시켜 각각의 화소에 대한 휘도를 제어함으로써 종래의 전압, 전류제어방식에서 발생되는 전류 변동에 의한 휘도변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최고효율에 해당하는 전류에서 디스플레이를 구동하는 것이 가능함으로써 디스플레이의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중접합 구조를 가지는 발광 다이오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구동방법의 일실시예에 따른 펄스폭변조 제어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구동 펄스 파형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구동방법을 구현하는 드라이브회로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중접합 구조를 가지는 발광 다이오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발광다이오드는 기판(100) 상에 형성된 복수개의 발광 구조체들(200)을 가진다. 각각의 발광 구조체(200)는 제1 n형 반도체층(210), 제1 발광층(220), p형 반도체층(230), 제2 발광층(240) 및 제2 n형 반도체층(250)을 가진다. 또한, 각각의 발광 구조체(200)에는 전극들(310, 320, 330)이 연결된다. 형성되는 전극들은 제1 n형 전극(310), p형 전극(320) 및 제2 n형 전극(330)으로 구성된다. 제1 n형 전극(310)은 제1 n형 반도체층(2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p형 전극(320)은 p형 반도체층(2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2 n형 전극(330)은 제2 n형 반도체층(2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특히, p형 전극(320)은 발광 구조체들(200)에 의해 형성된 이격 공간에 형성되고, p형 반도체층(230)의 측면과 접하여 형성된다.
기판(100) 상에는 제1 n형 반도체층(210)이 형성된다. 상기 기판(100)은 제1 n형 반도체층(210)의 재질에 따라 달리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n형 반도체층(210)이 질화갈륨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기판(100)은 사파이어, 질화갈륨 또는 산화아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n형 반도체층(210)은 도우너가 도핑되며, 도핑되는 도우너는 제1 n형 반도체층(210)의 재질에 따라 결정된다.
제1 n형 반도체층(210) 상에는 제1 발광층(220)이 형성된다. 상기 제1 발광층(220)은 장벽층과 우물층이 교대로 형성된 구조를 가짐이 바람직하다. 만일, 제1 n형 반도체층(210)이 질화갈륨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장벽층은 질화갈륨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제1 발광층(220) 상에는 p형 반도체층(230)이 형성된다. p형 반도체층(230)에는 억셉터가 도핑된다. 도핑되는 억셉터는 p형 반도체층(230)의 재질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p형 반도체층(230) 상에는 제2 발광층(240)이 형성된다. 상기 제2 발광층(240)은 장벽층과 우물층이 교대로 형성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제1 발광층(220)과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실시의 형태에 따라서 상기 제2 발광층(240)은 제1 발광층(220)과 상이한 밴드갭 엔지니어링이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도입되는 인듐의 함량에 따라 제1 발광층(220)은 제1 컬러의 광을 형성할 수 있으며, 제2 발광층(240)은 제1 컬러와 다른 제2 컬러의 광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발광층(240) 상에는 제2 n형 반도체층(250)이 형성된다. 상기 제2 n형 반도체층(250)은 제1 n형 반도체층(210)과 동일한 조성을 가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n형 반도체층(210)의 측면 또는 상부에는 제1 n형 전극(310)이 형성된다. 또한, 제1 n형 전극(310) 상부에는 제1 패시베이션층(410)이 형성되며, 제1 패시베이션층(410) 상부 및 p형 반도체층(230)의 측면에는 p형전극(320)이 형성된다. 또한, p형 전극(320) 상부에는 제2 패시베이션층(420)이 형성되며, 제2 패시베이션층(420)의 상부 또는 제2 n형 반도체층의 측면에는 제2 n형 전극(33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실시의 형태에 따라서 제2 n형 전극(330)은 제2 n형 반도체층(250)의 측면에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제2 패시베이션층(420)의 최상부 표면은 제2 n형 반도체층(250)의 표면을 상회하지 않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 1에서 각각의 발광 구조체(200)의 제1 n형 반도체층(210)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이다. 따라서, 제1 n형 반도체층(2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n형 전극(310)은 각각의 발광 구조체(200)의 제1 n형 반도체층(2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제1 패시베이션층(410) 상부에 형성되는 p형 전극(320)은 p형 반도체층(220)의 측면에 접한다. 또한, 제2 n형 전극(330)은 제2 n형 반도체층(2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도 1의 구조에서는 다수의 발광 구조체(200)가 상호간에 병렬 연결되며, p형 전극(320)을 중심으로 n형 전극(310, 330)을 향해 병렬 연결된 구조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다중접합 구조를 가지는 발광다이오드(Multi-Junction LED, MJ-LED)는 한정된 발광다이오드의 색상으로 여러 가지 빛의 색상을 발광할 수 있다. 한정된 발광다이오드의 색상으로 여러 가지 색상의 빛을 표현하기 위해 빛의 삼원색인 적색, 녹색, 청색을 주로 사용함으로서 사람이 느끼는 모든 색상의 표현이 가능하다.
빛의 삼원색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색상의 빛을 발광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적색, 녹색, 청색을 펄스폭변조(Pulse Width Modulation)방식에 의하여 각각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즉, 종래에는 전압제어방식 및 전류제어방식을 사용하여 특정의 색상과 밝기의 상태를 제어하는 방식이었으나 이러한 종래 방식은 작은 전압 변동에도 전류의 변동이 심해져 휘도변화를 유발하게 되어 디스플레이 특성을 떨어뜨리게 된다. 또한, 전류제어방식은 질화물 반도체 소자의 특성상 효율 대비 전류가 일정하지 않아 최대 효율을 갖는 전류를 사용하는 소자를 구동할 경우 효율이 다시 감소하는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구동방법은 전압이나 전류를 이용하여 제어하는 방식이 아닌 드라이브회로에 의해 펄스폭변조방식의 구동펄스를 각각의 화소에 인가하여 화소마다 빛의 삼원색인 적색, 청색, 녹색이 발광되는 시간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화소의 휘도를 제어 할 수 있는 방식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구동방법의 일실시예에 따른 펄스폭변조 제어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구동 펄스 파형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구동방법을 구현하는 드라이브회로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도 2는 본 발명의 발광시간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예시로써, 7개의 화소를 4레벨을 이용한 색으로 구현하기 위한 펄스폭변조제어의 예시를 나타낸다. 도 2에서와 같이 각각의 화소를 4레벨을 이용한 색으로 구현하기 위해 리프레쉬 주기(refresh cycle, T1)를 4개의 레벨로 나누어 적색(R), 녹색(G), 청색(B)을 펄스폭변조제어를 통해 각각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화소가 발광되는 리프레쉬 주기는 다수개의 레벨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t=0는 리프레쉬 주기(T1)의 시작을 나타내고 t=1은 리프레쉬 주기(T1)의 끝을 나타낸다.
각각의 화소에서는 적색(R), 녹색(G), 청색(B)을 제어하기 위해 t=0에서 t=1의 리프레쉬 주기(T1) 동안 4개의 레벨로 나뉘기 때문에 각각의 레벨은 t=0.25, 0.5, 0.75, 1의 시간을 갖는다. 즉, 적색(R), 녹색(G), 청색(B) 각각은 리프레쉬 주기(T1) 동안 최소 레벨인 1레벨 시간(t=0.25) 에서 최대 레벨인 4레벨 시간(t=1)중 어느 하나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화소의 휘도는 상기 리프레쉬 주기(T1) 내에 발광시간에 따라 발광되는 상기 적색(R), 청색(B), 녹색(G)의 색상 조합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구동방법을 아래에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서와 같이 화소 1에서는 리프레쉬 주기(T1) 동안 적색(R)은 4레벨(L4)을 갖고, 청색(B)은 1레벨(L1)을 가지며, 녹색(G)은 2레벨(L2)을 갖는다. 즉, 적색(R)은 t=1의 시간동안 발광하고, 청색(B)은 t=0.25의 시간동안 발광하며, 녹색(G)은 t=0.5의 시간동안 발광 후 드라이브회로(510)의 로우(Low)레벨의 신호에 의해 꺼지게 된다. 따라서, 화소 1에서는 적색(R), 청색(B), 녹색(G)이 각각 4,1,2 레벨(L4,L1,L2)의 시간동안 발광함으로써 화소 1에서 리프레쉬 주기(T1)에 발광하는 빛의 색은 4레벨(L4)의 적색(R), 1레벨(L1)의 청색(B) 및 2레벨(L2)의 녹색(G)에 해당하는 색의 조합으로 결정될 수 있다.
화소 2에서는 리프레쉬 주기(T1) 동안 적색(R)은 2레벨(L2)을 갖고, 청색(B)은 4레벨(L4)을 가지며, 녹색(G)은 3레벨(L3)을 갖는다. 즉, 적색(R)은 t=0.5의 시간동안 발광하고, 청색(B)은 t=1의 시간동안 발광하며, 녹색(G)은 t=0.75의 시간동안 발광 후 드라이브회로(510)의 로우레벨의 신호에 의해 꺼지게 된다. 따라서, 화소 2에서는 적색(R), 청색(B), 녹색(G)이 각각 2,4,3 레벨(L2,L4,L3)의 시간동안 각각 발광함으로써 화소 2에서 리프레쉬 주기(T1)에 발광하는 빛의 색은 2레벨(L2)의 적색(R), 4레벨(L4)의 청색(B) 및 3레벨(L3)의 녹색(G)에 해당하는 색의 조합으로 결정될 수 있다.
화소 3에서는 리프레쉬 주기(T1) 동안 적색(R)은 1레벨(L1)을 갖고, 청색(B)은 2레벨(L2)을 가지며, 녹색(G)은 4레벨(L4)을 갖는다. 즉, 적색(R)은 t=0.25의 시간동안 발광하고, 청색(B)은 t=0.5의 시간동안 발광하며, 녹색(G)은 t=1의 시간동안 발광 후 드라이브회로(510)의 로우레벨의 신호에 의해 꺼지게 된다. 따라서, 화소 3에서는 적색(R), 청색(B), 녹색(G)이 각각 1,2,4 레벨(L1,L2,L4)의 시간동안 각각 발광함으로써 화소 3에서 리프레쉬 주기(T1)에 발광하는 빛의 색은 1레벨(L1)의 적색(R), 2레벨(L2)의 청색(B) 및 4레벨(L4)의 녹색(G)에 해당하는 색의 조합으로 결정될 수 있다.
화소 4에서는 리프레쉬 주기(T1) 동안 적색(R)과 청색(B)은 3레벨(L3)을 갖고, 녹색(G)은 2레벨(L2)을 갖는다. 즉, 적색(R)과 청색(B)은 t=0.75의 시간동안 발광하고, 녹색(G)은 t=0.5의 시간동안 발광 후 드라이브회로(510)의 로우레벨의 신호에 의해 꺼지게 된다. 따라서, 화소 4에서는 적색(R), 청색(B), 녹색(G)이 각각 3,3,2 레벨(L3,L3,L2)의 시간동안 각각 발광함으로써 화소 4에서 리프레쉬 주기(T1)에 발광하는 빛의 색은 3레벨(L3)의 적색(R), 3레벨(L3)의 청색(B) 및 2레벨(L2)의 녹색(G)에 해당하는 색의 조합으로 결정될 수 있다.
화소 5에서는 리프레쉬 주기(T1) 동안 적색(R)과 청색(B)은 2레벨(L2)을 갖고, 녹색(G)은 3레벨(L3)을 갖는다. 즉, 적색(R)과 청색(B)은 t=0.5의 시간동안 발광하고, 녹색(G)은 t=0.75의 시간동안 발광 후 드라이브회로(510)의 로우레벨의 신호에 의해 꺼지게 된다. 따라서, 화소 5에서는 적색(R), 청색(B), 녹색(G)이 각각 2,2,3 레벨(L2,L2,L3)의 시간동안 각각 발광함으로써 화소 5에서 리프레쉬 주기(T1)에 발광하는 빛의 색은 2레벨(L2)의 적색(R), 2레벨(L2)의 청색(B) 및 3레벨(L3)의 녹색(G)에 해당하는 조합으로 결정될 수 있다.
화소 6에서는 리프레쉬 주기(T1) 동안 적색(R)은 3레벨(L3)을 갖고, 청색(B)은 4레벨(L4)을 가지며, 녹색(G)은 2레벨(L2)을 갖는다. 즉, 적색(R)은 t=0.75의 시간동안 발광하고, 청색(B)은 t=1의 시간동안 발광하며, 녹색(G)은 t=0.5의 시간동안 발광 후 드라이브회로(510)의 로우레벨의 신호에 의해 꺼지게 된다. 따라서, 화소 6에서는 적색(R), 청색(B), 녹색(G)이 각각 3,4,2 레벨(L3,L4,L2)의 시간동안 각각 발광함으로써 화소 6에서 리프레쉬 주기(T1)에 발광하는 빛의 색은 3레벨(L3)의 적색(R), 4레벨(L4)의 청색(B) 및 2레벨(L2)의 녹색(G)에 해당하는 색의 조합으로 결정될 수 있다.
화소 7에서는 리프레쉬 주기(T1) 동안 적색(R)과 청색(B)은 1레벨(L1)을 갖고, 녹색(G)은 2레벨(L2)을 갖는다. 즉, 적색(R)과 청색(B)은 t=0.25의 시간동안 발광하고, 녹색(G)은 t=0.5의 시간동안 발광 후 드라이브회로(510)의 로우레벨의 신호에 의해 꺼지게 된다. 따라서, 화소 7에서는 적색(R), 청색(B), 녹색(G)이 각각 1,1,2 레벨(L1,L1,L2)의 시간동안 각각 발광함으로써 화소 7에서 리프레쉬 주기(T1)에 발광하는 빛의 색은 1레벨(L1)의 적색(R), 1레벨(L1)의 청색(B) 및 2레벨(L2)의 녹색(G)에 해당하는 색의 조합으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화소 7은 3가지 색이 t=0.5 시간 내에 모두 꺼지기 때문에 다른 화소에 비해 짧은 시간 동안만 발광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적색(R), 청색(B), 녹색(G)을 해당 레벨에 따라 제어하기 위해서 상기 드라이브회로(510)는 최소 레벨에 해당하는 시간 내에 로우레벨의 신호를 각 색상에 인가함으로써 발광시간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즉, 상기 도 2의 예시에서 드라이브회로(510)에 의해 1레벨(L1)에서는 적색(R)의 경우 화소 3 및 7, 청색(B)의 경우 화소 1 및 7에 로우레벨의 신호를 각각 인가할 수 있고, 녹색(G)의 경우는 신호를 인가하지 않는다. 2레벨(L2)에서는 적색(R)의 경우 화소 2 및 5, 청색(B)의 경우 화소 3 및 5, 녹색(G)의 경우 화소 1,4,6 및 7에 로우레벨의 신호를 각각 인가할 수 있다. 3레벨(L3)에서는 적색(R)의 경우 화소 4 및 6, 청색(B)의 경우 화소 4, 녹색(G)의 경우 화소 2 및 5에 로우레벨의 신호를 각각 인가할 수 있다. 4레벨(L4)에서는 적색(R)의 경우 화소 1, 청색(B)의 경우 화소 2 및 6, 녹색(G)의 경우 화소 3에 로우레벨의 신호를 각각 인가할 수 있다. 이렇듯 드라이브회로(510)를 이용한 적색(R), 청색(B), 녹색(G)에 대한 발광시간 제어는 도 3(a)와 같이 3가지 색을 동시에 제어하기 위해 하나의 드라이브회로(510)를 이용하여 제어하거나, 도 3(b)와 같이 3가지 색을 각각 제어하기 위해 3개의 드라이브회로(510)를 이용하여 제어할 수 있다.
본 예시에서는 7개의 화소를 이용하여 4레벨 색상에 대한 구동 방법을 설명하였으나 256개의 화소에 대해서는 256개의 휘도가 256개의 발광시간을 통해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만약 화소가 256개라면 디스플레이의 리프레쉬 기간(refresh period)이 256개의 시간으로 나뉘어 제어되므로 각각의 화소들은 화소를 제어하는 드라이브회로(510)에 의해 최소 화면재생빈도(refresh rate)×256Hz의 속도로 온/오프 제어 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구동방법은 발광다이오드의 디스플레이 구동방법으로써 펄스폭변조 제어방식을 이용하여 빛의 삼원색 각각을 화소에 따라 발광되는 시간을 증가하거나 감소시켜 각각의 화소에 대한 휘도를 제어 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즉, 적색(R), 청색(B), 녹색(G)이 발광되는 리프레쉬 주기(T1)를 색이 형성될 수 있는 다수개의 레벨로 나누고, 드라이브회로(510)에 의해 인가되는 펄스폭변조 제어신호에 따라 각각의 색들은 발광 후 해당 레벨에서 로우레벨 신호에 의해 꺼지게 된다. 따라서 각 화소는 적색(R), 청색(B), 녹색(G)이 각각 발광되고 있는 시간에 의한 색의 조합으로써 원하는 색을 발광시킬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전압, 전류제어방식이 아닌 발광시간을 이용하여 각 화소의 휘도를 제어하기 때문에 전류 변동에 의한 휘도변화를 방지할 수 있고, 최고효율에 해당하는 전류에서 디스플레이를 구동하는 것이 가능함으로써 디스플레이의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 기판 200 : 발광 구조체
210 : 제1 n형 반도체층 220 : 제1 발광층
230 : P형 반도체층 240 : 제2 발광층
250 : 제2 n형 반도체층 310 : 제1 n형 전극
320 : p형 전극 330 : 제2 n형 전극
410 : 제1 패시베이션층 420 : 제2 패시베이션층
510 : 드라이브회로

Claims (8)

  1.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의 디스플레이 구동 방법에 있어서,
    드라이브회로에 의해 펄스폭변조(Pulse Width Modulation)방식의 구동펄스를 각각의 화소에 인가하여 상기 화소마다 빛의 삼원색인 적색, 청색 및 녹색이 발광되는 시간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화소의 휘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구동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가 발광되는 리프레쉬 주기(refresh cycle)는 다수개의 레벨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구동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리프레쉬 주기 내에서 상기 적색, 녹색, 청색 각각은 상기 레벨 중 최소레벨 내지 최대레벨 중 어느 하나의 레벨을 갖는 것인 디스플레이 구동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의 휘도는 상기 리프레쉬 주기 내에 발광시간에 따라 발광된 상기 적색, 청색, 녹색의 색상 조합에 의해 결정되는 것인 디스플레이 구동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브회로는 상기 최소 레벨에 해당하는 시간 내에 로우레벨의 신호를 인가함으로써 상기 적색, 청색, 녹색이 발광되는 시간을 제어하는 것인 디스플레이 구동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색, 청색, 녹색에 대한 발광시간 제어는 상기 3가지 색을 동시에 제어하기 위해 하나의 상기 드라이브회로를 이용하여 제어하는 것인 디스플레이 구동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색, 청색, 녹색에 대한 발광시간 제어는 상기 3가지 색을 각각 제어하기 위해 3개의 상기 드라이브회로를 이용하여 제어하는 것인 디스플레이 구동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다이오드는 각기 다른 색을 발광하는 층이 다수개 접합된 다중 접합 구조를 가지는 발광다이오드(Multi-Junction LED, MJ-LED)인 것인 디스플레이 구동방법.
KR1020150116386A 2015-08-19 2015-08-19 디스플레이 구동 방법 KR1017251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6386A KR101725193B1 (ko) 2015-08-19 2015-08-19 디스플레이 구동 방법
PCT/KR2016/009147 WO2017030406A1 (ko) 2015-08-19 2016-08-19 디스플레이 구동 방법
CN201680047420.2A CN107924661A (zh) 2015-08-19 2016-08-19 驱动显示器的方法
EP16837348.8A EP3340226A4 (en) 2015-08-19 2016-08-19 METHOD FOR CONTROLLING AN INDICATION
JP2018527707A JP2018525685A (ja) 2015-08-19 2016-08-19 ディスプレイ駆動方法
US15/899,113 US10460651B2 (en) 2015-08-19 2018-02-19 Method for driving displ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6386A KR101725193B1 (ko) 2015-08-19 2015-08-19 디스플레이 구동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1982A true KR20170021982A (ko) 2017-03-02
KR101725193B1 KR101725193B1 (ko) 2017-04-11

Family

ID=58051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6386A KR101725193B1 (ko) 2015-08-19 2015-08-19 디스플레이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460651B2 (ko)
EP (1) EP3340226A4 (ko)
JP (1) JP2018525685A (ko)
KR (1) KR101725193B1 (ko)
CN (1) CN107924661A (ko)
WO (1) WO20170304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2170A (ko) 2016-12-21 2018-06-29 주식회사 실리콘웍스 디스플레이 장치의 클럭 복원 회로
US20190080645A1 (en) * 2017-09-11 2019-03-14 Vuereal Inc. Display optimization techniques for micro-led devices and arrays
CN113096586B (zh) * 2019-12-20 2022-08-02 深圳蓝普科技有限公司 一种显示屏及其灰度调制方法、显示设备及存储介质
KR20210144989A (ko) * 2020-05-21 2021-12-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2509524B (zh) * 2020-11-18 2021-10-29 深圳市慧为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水墨屏快速刷新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44016A (ja) * 2001-08-02 2003-02-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液晶表示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の駆動方法
KR20050049913A (ko) 2003-11-24 2005-05-27 주식회사 씨모텍 소형 기기의 발광다이오드 구동 회로 및 구동 방법
JP2007078866A (ja) * 2005-09-12 2007-03-29 Sharp Corp 空間光変調システム、その駆動方法及びプロジェクタ
KR101169020B1 (ko) * 2011-04-01 2012-07-31 배가은 엘이디 전광판
KR101490174B1 (ko) * 2013-07-29 2015-02-05 광주과학기술원 다중 접합 구조를 가지는 발광 다이오드 및 이의 형성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14825A (ja) * 1999-01-20 2000-08-04 Nec Corp バックライト表示装置及び方法
CN2600890Y (zh) * 2003-03-07 2004-01-21 深圳市和而泰电子科技有限公司 多色彩动态显示装置
US7817330B2 (en) * 2003-11-01 2010-10-19 Silicon Quest Kabushiki-Kaisha Projection apparatus with adjustable light source
KR100843690B1 (ko) * 2006-04-24 2008-07-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발광 소자
US8044984B2 (en) * 2008-03-27 2011-10-25 Himax Technologies Limited Methods for driving an OLED panel
KR100948057B1 (ko) * 2009-08-18 2010-03-19 주식회사 대청마스터스 절전형 엘이디 전광판 시스템
US8084775B2 (en) * 2010-03-16 2011-12-27 Bridgelux, Inc. Light sources with serially connected LED segments including current blocking diodes
CN201657436U (zh) * 2010-04-23 2010-11-24 北京朗波尔光电股份有限公司 Led灯光控制装置
US8962358B2 (en) * 2011-03-17 2015-02-24 Tsmc Solid State Lighting Ltd. Double substrate multi-junction light emitting diode array structure
WO2013016355A1 (en) * 2011-07-25 2013-01-31 Cree, Inc. Monolithic multi-junction light emitting devices including multiple groups of light emitting diodes
EP2658000B1 (en) * 2012-03-13 2018-05-02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Substrate, light-emitting device, and illumination device
KR102364160B1 (ko) * 2014-03-06 2022-02-21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Mjt led를 이용한 백라이트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44016A (ja) * 2001-08-02 2003-02-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液晶表示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の駆動方法
KR20050049913A (ko) 2003-11-24 2005-05-27 주식회사 씨모텍 소형 기기의 발광다이오드 구동 회로 및 구동 방법
JP2007078866A (ja) * 2005-09-12 2007-03-29 Sharp Corp 空間光変調システム、その駆動方法及びプロジェクタ
KR101169020B1 (ko) * 2011-04-01 2012-07-31 배가은 엘이디 전광판
KR101490174B1 (ko) * 2013-07-29 2015-02-05 광주과학기술원 다중 접합 구조를 가지는 발광 다이오드 및 이의 형성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174506A1 (en) 2018-06-21
EP3340226A1 (en) 2018-06-27
JP2018525685A (ja) 2018-09-06
US10460651B2 (en) 2019-10-29
WO2017030406A1 (ko) 2017-02-23
CN107924661A (zh) 2018-04-17
EP3340226A4 (en) 2019-01-09
KR101725193B1 (ko) 2017-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5193B1 (ko) 디스플레이 구동 방법
US10777123B2 (en) Micro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panel and driving method thereof
WO2017107290A1 (zh) Oled显示装置及源极驱动器
JP6192431B2 (ja) 有機el表示装置の駆動方法、及び有機el表示装置
CN110021261B (zh) 一种阵列基板及其驱动方法、显示面板
KR101614174B1 (ko) 가변 색 좌표를 가지는 픽셀에 기초한 개선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880012121A (ko) El소자 및 발광방법
CN1893744A (zh) 操作有机发光元件的方法和有机发光元件
JP2005197304A (ja) 発光装置
CN110930937B (zh) 显示面板及驱动方法
KR101877195B1 (ko)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소자의 구동 방법
KR102584274B1 (ko) 화소 및 표시 장치
JP2006301450A (ja) 発光装置、表示装置
CN109410843B (zh) 电致发光器件的驱动方法及装置、电致发光装置
JP2011060483A (ja) 有機el表示装置
WO2012164683A1 (ja) 照明装置及び輝度調整方法
WO2011070907A1 (ja) 照明装置
US20210312851A1 (en) Led display and method of operating an led display
TWI758657B (zh) 一種驅動電路及使用該驅動電路之發光裝置
JP6974749B2 (ja) 表示装置および表示装置の駆動方法
KR100718962B1 (ko)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
JP2017111545A (ja) 表示装置
JP2009252939A (ja) 発光駆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