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1171A -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1171A
KR20170021171A KR1020150115659A KR20150115659A KR20170021171A KR 20170021171 A KR20170021171 A KR 20170021171A KR 1020150115659 A KR1020150115659 A KR 1020150115659A KR 20150115659 A KR20150115659 A KR 20150115659A KR 20170021171 A KR20170021171 A KR 201700211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on
information
marketing
pattern
compan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5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2663B1 (ko
Inventor
홍미정
우신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501156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2663B1/ko
Publication of KR201700211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11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26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26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5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histo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4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statistic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7Wireless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9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profile or attribut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로서, 고객의 쿠폰 획득 정보와 쿠폰 사용 정보를 수집하여 고객의 쿠폰 이용 패턴을 분석하고, 이를 기초로 회원 업소 간의 연관 관계 패턴을 분석하며, 상기 쿠폰 이용 패턴과 상기 연관 관계 패턴을 기초로 마케팅을 제공할 회원 업소에 대한 마케팅 시나리오를 생성하여 상기 마케팅 시나리오에 따라 고객을 대상으로 회원 업소에 대한 쿠폰을 노출시켜 타겟 마케팅을 제공하는 방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marketing service}
본 발명은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객의 쿠폰 획득 정보와 쿠폰 사용 정보를 수집하여 고객의 쿠폰 이용 패턴을 분석하고, 이를 기초로 회원 업소 간의 연관 관계 패턴을 분석하며, 상기 쿠폰 이용 패턴과 상기 연관 관계 패턴을 기초로 마케팅을 제공할 회원 업소에 대한 마케팅 시나리오를 생성하여 상기 마케팅 시나리오에 따라 고객을 대상으로 회원 업소에 대한 쿠폰을 노출시켜 타겟 마케팅을 제공하는 마케팅 방법과 장치에 관한 것이다.
ICT 기술의 발달에 따라 기업이나 상점의 마케팅 활동은 오프라인에서 그치지 않고 온라인까지 확장되었으며, 특히 소규모 영세 개인 사업자들의 경우 마케팅 능력을 보유하지 못하거나 지점 네트워크를 적절히 구축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보다 비용을 줄이면서 효과적으로 영업 활동을 확장하기 위해 ICT 기술을 접목시키는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는데, 이러한 형태에 따라 소호(SOHO)가 등장하게 되었다.
소호(SOHO)란 영어의 'Small Office Home Office(소규모 사무실, 가정 사무실)'의 머리글자를 따서 만든 신조어로서, 소규모 자영업을 뜻하며 보통은 컴퓨터와 정보기술의 발달 덕분에 가능해진 개인 사업을 뜻한다.
소호 업체들에 대한 마케팅을 지원하기 위해 다양한 기술적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단순히 온라인 사이트 상에 광고를 올리거나 파워 블로거 등을 통해 업소를 홍보하는 내용의 게시물을 게재하는 수준에 그치고 있는데, 광고를 올린 사이트의 인지도나 홍보 내용을 게재하는 파워 블로거 등의 인기에 따라 마케팅 효과에 큰 차이가 발생되어, 사이트의 인지도 또는 블로거 인기도 등에 따라 마케팅 비용도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보다 안정적이고 효과적인 마케팅을 제공하기 위해 종래기술로서 사용자의 위치정보 및 구매 이력을 기반으로 쿠폰 정보를 제공하는 위치 기반 마케팅 제공 방법이 제시된 바 있는데,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경우 사용자의 위치 파악을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추적하거나 사용자의 카드 결제 내역을 조회해야 하는 등 기본적으로 이동통신사, 카드사, 금융사 등과 연계되어야 할 필요가 있기에 전체적인 시스템 구축이 용이하지 않다.
특히, 민감하거나 중요한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이용하기에 개인 정보의 유출시 사용자에게 큰 피해가 발생될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의 카드 결제 내역 등을 이용하기에 사용자의 사생활 침해의 우려까지 존재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기술은 사업자에게 적절한 마케팅을 제공하기에는 효과적일 수 있으나, 상대적으로 고객에 대한 보호가 취약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공개번호 제10-2011-0042624호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마케팅 능력을 보유하지 못하거나 지점 네트워크를 적절히 구축하기 어려운 영세 개인 사업자 등에게 효과적으로 영업 활동을 확장할 수 있는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민감하거나 중요한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이용하는 경우, 개인 정보의 유출시 사용자에게 큰 피해가 발생될 수 있고 사용자의 사생활 침해의 우려까지 존재하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사업자에게 적절한 마케팅을 제공하면서 동시에 고객을 보호할 수 있는 마케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고자 본 발명에 따른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법은, 회원 업소의 사업 정보와 이에 대응되는 쿠폰을 등록하는 회원 업소 등록 단계; 복수의 회원 업소를 이용한 고객들에 대한 쿠폰 획득 정보와 쿠폰 사용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기초로 상기 회원 업소를 이용한 고객들의 쿠폰 이용 패턴을 분석하는 이용 패턴 분석 단계; 상기 쿠폰 이용 패턴을 기초로 복수의 회원 업소 간의 연관 관계 패턴을 분석하는 연관 회원 업소 분석 단계; 및 상기 연관 관계 패턴을 기초로 제1 회원 업소를 이용할 또는 이용한 고객의 단말기로 제2 회원 업소의 쿠폰을 노출시키는 마케팅 제공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용 패턴 분석 단계는, 상기 고객이 쿠폰을 획득한 채널 정보, 획득한 시간 정보 또는 획득한 쿠폰의 업종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쿠폰 획득 정보를 수집하는 쿠폰 획득 정보 수집 단계; 상기 고객이 쿠폰을 사용한 회원 업소의 위치 정보, 사용한 시간 정보 또는 사용한 쿠폰의 업종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쿠폰 사용 정보를 수집하는 쿠폰 사용 정보 수집 단계; 및 상기 쿠폰 획득 정보와 상기 쿠폰 사용 정보를 기초로 상기 회원 업소를 이용한 고객들에 대한 쿠폰 이용 패턴을 분석하는 고객 분석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관 회원 업소 분석 단계는, 특정 회원 업소를 이용한 고객들의 쿠폰 이용 패턴을 종합하여 상기 특정 회원 업소와 연관 관계를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회원 업소를 판단하는 연관 회원 업소 판단 단계; 상기 다른 회원 업소의 사업 정보를 기초로 상기 특정 회원 업소와 상기다른 회원 업소 간의 상기 쿠폰 이용 패턴에 따른 연관 관계 패턴을 분석하는 연관 관계 패턴 분석 단계; 및 상기 연관 관계 패턴을 기초로 상기 특정 회원 업소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다른 회원 업소를 포함하는 회원 업소 클러스터를 생성하는 회원 업소 클러스터 생성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관 회원 업소 판단 단계는, 상기 특정 회원 업소를 이용한 고객들의 쿠폰 이용 패턴을 종합하여, 상기 특정 회원 업소의 이용 이전 또는 이용 이후에 쿠폰 이용의 연관 관계를 갖는 다른 회원 업소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관 관계 패턴 분석 단계는, 상기 특정 회원 업소의 이용 이전 또는 이용 이후, 고객이 이용한 다른 회원 업소에 대한 쿠폰을 획득한 채널 정보, 획득한 시간 정보 또는 획득한 쿠폰의 업종 정보 중 하나 이상과 쿠폰을 사용한 회원 업소의 위치 정보, 사용한 시간 정보 또는 사용한 쿠폰의 업종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종합하여, 상기 쿠폰 이용 패턴에 따른 상기 특정 회원 업소와 다른 회원 업소 간의 연관 관계 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케팅 제공 단계는, 상기 제2 회원 업소를 포함하는 회원 업소 클러스터를 확인하는 회원 업소 클러스터 확인 단계; 상기 회원 업소 클러스터의 연관 관계 패턴에 대응되는 제1 회원 업소를 확인하는 연관 회원 업소 확인 단계; 및 상기 제1 회원 업소를 이용한 또는 이용할 하나 이상의 고객에게 상기 제2 회원 업소에 대한 쿠폰을 노출시키는 쿠폰 노출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케팅 제공 단계는, 상기 제1 회원 업소를 이용한 고객들의 쿠폰 이용 패턴을 기초로 상기 제2 회원 업소에 대한 마케팅 시나리오를 생성하는 마케팅 시나리오 생성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쿠폰 노출 단계는, 상기 마케팅 시나리오에 따라 상기 제1 회원 업소를 이용할 또는 이용한 고객의 단말기로 상기 제2 회원 업소의 쿠폰을 노출시키는 쿠폰 제공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마케팅 시나리오 생성 단계는, 상기 제1 회원 업소를 이용한 또는 이용할 하나 이상의 고객을 선정하고, 선정된 고객에 대하여 상기 제2 회원 업소에 대한 마케팅 시나리오를 생성하며, 상기 쿠폰 노출 단계는, 선정된 고객 각각에 대응되는 마케팅 시나리오를 기초로 상기 제2 회원 업소의 쿠폰을 노출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케팅 시나리오 생성 단계는, 쿠폰을 노출시킬 시간, 쿠폰을 노출시킬 채널 및 쿠폰을 노출시킬 대상을 포함하는 마케팅 시나리오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마케팅 서비스 장치는, 회원 업소의 사업 정보와 상기 회원 업소에 대한 쿠폰을 등록하여 관리하는 회원 관리부; 회원 업소를 이용한 고객들에 대한 쿠폰 획득 정보와 쿠폰 사용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기초로 상기 회원 업소를 이용한 고객들의 쿠폰 이용 패턴을 분석하는 쿠폰 정보 분석부; 및 상기 쿠폰 이용 패턴을 기초로 복수의 회원 업소 간의 연관 관계 패턴을 분석하고, 상기 연관 관계 패턴을 기초로 제1 회원 업소를 이용할 또는 이용한 고객의 단말기로 제2 회원 업소의 쿠폰을 노출시켜 상기 제2 회원 업소에 대한 마케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마케팅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쿠폰 정보 분석부는, 고객이 쿠폰을 획득한 채널 정보, 획득한 시간 정보 또는 획득한 쿠폰의 업종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쿠폰 획득 정보를 수집하는 쿠폰 획득 정보 수집부; 고객이 쿠폰을 사용한 회원 업소의 위치 정보, 사용한 시간 정보 또는 사용한 쿠폰의 업종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쿠폰 사용 정보를 수집하는 쿠폰 사용 정보 수집부; 및 상기 쿠폰 획득 정보와 상기 쿠폰 사용 정보를 기초로 상기 회원 업소를 이용한 고객들에 대한 쿠폰 이용 패턴을 분석하는 쿠폰 이용 패턴 분석부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서 상기 마케팅 제공부는, 회원 업소를 이용한 고객들의 쿠폰 이용 패턴을 종합하여 복수의 회원 업소 간의 연관 관계 패턴을 분석하는 회원 업소 분석부; 마케팅 서비스를 제공할 회원 업소와 연관 관계 패턴이 대응되는 회원 업소를 이용한 고객들의 쿠폰 이용 패턴에 따라 마케팅 시나리오를 생성하는 마케팅 시나리오 생성부; 및 상기 마케팅 시나리오에 기초하여 마케팅 서비스를 제공할 회원 업소의 쿠폰을 노출시키는 쿠폰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쿠폰 제공부는, 상기 마케팅 시나리오에 기초하여 상기 고객에게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온라인 서비스 서버를 통해 쿠폰을 노출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마케팅 서비스 장치는, 상기의 본 발명에 따른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법의 각 단계를 수행하는 컴퓨터프로그램이 기록된 장치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마케팅 능력을 보유하지 못하거나 지점 네트워크를 적절히 구축하기 어려운 영세 개인 사업자 등에게 효과적으로 영업 활동을 확장할 수 있는 마케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민감하거나 중요한 고객 개인 정보를 이용하지 않으므로, 고객을 보호하면서 동시에 사업자에게 효과적인 마케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서 고객의 쿠폰 이용 패턴과 회원 업소 간의 연관 관계 패턴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어떤 지역의 어떤 고객들에게 언제, 어떤 채널로 타켓 마케팅을 제공할지 마케팅 시나리오를 생성하고 그에 따라 마케팅을 제공함으로써 마케팅 서비스의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안의 개념도를 도시하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마케팅 서비스 시스템의 실시예에 대한 구성도를 도시하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마케팅 서비스 장치의 실시예에 대한 구성도를 도시하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마케팅 서비스 장치의 세부 구성의 실시예를 도시하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한 실시예의 흐름도를 도시하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고객에 대한 쿠폰 획득 정보와 쿠폰 사용 정보의 예시를 도시하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고객의 쿠폰 이용 패턴을 분석한 예시를 도시하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회원 업소 간의 연관 관계 패턴을 분석하는 과정에 대한 실시예의 흐름도를 도시하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회원 업소 간의 연관 관계 패턴을 분석한 예시를 도시하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회원 업소에 대한 마케팅 서비스로서 쿠폰을 노출시키는 과정에 대한 실시예의 흐름도를 도시하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마케팅 대상 회원 업소에 대한 마케팅 시나리오를 생성한 예시를 도시한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고 이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안의 개념도를 도시하는데, 상기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안의 개념에 대하여 간략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마케팅 서비스 장치(100)는 고객이 제1 회원 업소(50a)에 대한 쿠폰(55a)을 획득하여 사용하는 형태를 분석하며, 다수의 회원 업소를 이용한 다수의 고객에 대한 쿠폰 사용 형태를 통계적으로 분석한다.
그리고 다수의 회원 업소를 이용한 다수의 고객들에 대한 쿠폰 이용 형태의 분석을 통해 특정 회원 업소 간에 어떤 연관 관계가 있는지를 분석한다. 가령, 다수의 고객이 A 회원 업소를 방문한 후 인근의 B 회원 업소를 방문하는 통계적으로 유사 행동 패턴을 나타내는 경우, A 회원 업소는 B 회원 업소와 연관 관계를 갖는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즉, 고객들의 구폰 이용 형태에 따른 위치, 시간 및 업종 간의 세부적인 요소에 대한 분석을 통해 회원 업소 간의 연관 관계를 분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회원 업소 간의 연관 관계 분석을 통해 마케팅 대상인 제2 회원 업소(50b)에 대하여 유사 또는 동일한 조건의 다른 회원 업소들에 대한 연관 관계를 파악할 수 있으며, 이를 기초로 어떤 지역의 어떤 고객들에게 언제, 어떤 채널로 타켓 마케팅을 제공할지 예측하여, 선정된 고객의 고객 단말기(10)로 적합한 시기에 적합한 채널을 통해 제2 회원 업소의 쿠폰(55b)을 노출시킴으로써 제2 회원 업소(50b)에 대한 마케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마케팅 서비스 시스템의 실시예에 대한 구성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케팅 서비스 시스템은, 개략적으로 마케팅 서비스 장치(100)를 중심으로 고객 단말기(10a, 10b,...10n)와 회원 업소 단말기(50a, 50b,...50n)를 포함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추가적으로 인터넷 검색, 전화번호 검색, 온라인 광고 등의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온라인 서비스 서버(20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고객과 고객 단말기 및 회원 업소와 회원 업소 단말기의 식별 번호를 동일하게 기재하여 설명하는데, 문장의 해석에 따라 동일한 식별 번호일지라도 고객과 고객 단말기 및 회원 업소와 회원 업소 단말기가 구분될 수 있다.
마케팅 서비스 장치(100)는 회원 업소를 등록하여 회원 업소에 대한 정보를 보유하며, 고객에 대한 쿠폰 획득 정보와 쿠폰 사용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기초로 고객의 쿠폰 이용 패턴을 분석한다. 그리고 상기 쿠폰 이용 패턴을 종합하여 회원 업소 간의 연관 관계 패턴을 분석하고, 상기 쿠폰 이용 패턴과 상기 연관 관계 패턴을 기초로 회원 업소에 대한 쿠폰의 노출을 통해 마케팅 서비스를 제공한다.
고객 단말기(10a, 10b,...10n)는, 고객이 특정 채널을 통해 회원 업소에 대한 쿠폰을 획득하는 수단이며, 마케팅 서비스 장치(100)가 마케팅 서비스 제공 대상 회원 업소의 쿠폰을 노출시키는 통신 단말기로서, 스마트폰, 테블릿, 노트북, PC 등 일반적으로 보급된 통신 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고객은 고객 단말기(10a, 10b,...10n)를 통해 인터넷 상에 존재하는 다양한 쿠폰을 찾아 자신이 원하는 쿠폰을 획득할 수 있고, 마케팅 서비스 장치(100)는 이러한 고객의 쿠폰 획득 정보를 수집하는데. 이때 마케팅 서비스 장치(100)는 고객 단말기(10a, 10b,...10n)가 로그인한 정보를 토대로 어떤 고객이 어떤 쿠폰을 언제, 어떤 채널로 획득하는지 등에 대한 쿠폰 획득 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며, 상황에 따라서는 고객 단말기(10a, 10b,...10n)가 로그인한 온라인 서비스 서버(200)를 통해 마케팅 서비스 장치(100)가 쿠폰 획득 정보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
회원 업소 단말기(50a, 50b,...50n)는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상의 회원 업소가 보유하는 단말기로서, 오프라인의 경우에는 회원 업소에 설치된 POS 단말기 등의 결제 단말기가 적용될 수도 있고, 또는 회원 업소의 직원 등이 보유한 스마트폰, 테블릿, 노트북, PC 등 일반적인 통신 장치가 적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온라인의 경우에는 회원 업소의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가 될 수 있는데, 여기서 상기 서버는 회원 업소가 직접 보유한 서버가 될 수도 있고, 또는 회원 업소의 온라인 서비스를 대행해주는 대행 업자의 서버가 될 수도 있다.
그리고 고객이 회원 업소에서 쿠폰을 사용하면, 마케팅 서비스 장치(100)는 회원 업소 단말기(50a, 50b,...50n)를 통해 고객에 대한 쿠폰 사용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마케팅 서비스 장치의 실시예에 대한 구성도를 도시한다.
마케팅 서비스 장치는 개략적으로 회원 관리부(110), 쿠폰 정보 분석부(130), 마케팅 제공부(15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회원 관리부(110)는, 회원 등록을 원하는 업소들을 회원으로 등록하는데, 이때 회원 업소에 대한 사업 정보와 쿠폰을 상기 회원 업소에 대응시켜 저장한다. 이를 위해 부수적으로 회원 관리부(110)는 회원 업소에 대한 사업 정보, 쿠폰 등을 저장하는 회원 업소 DB를 보유할 수도 있다.
쿠폰 정보 분석부(130)는, 회원 업소를 이용한 고객들에 대한 쿠폰 획득 정보와 쿠폰 사용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기초로 상기 회원 업소를 이용한 고객들의 쿠폰 이용 패턴을 분석한다.
이를 위해 쿠폰 정보 분석부(130)는 고객들이 보유한 고객 단말기나 고객이 쿠폰을 다운받는 온라인 서비스 서버로부터 고객이 획득한 쿠폰에 대한 쿠폰 획득 정보를 수집할 수 있고, 회원 업소의 회원 업소 단말기를 통해 상기 회원 업소에서 사용된 쿠폰에 대한 쿠폰 사용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마케팅 제공부(150)는, 쿠폰 이용 패턴을 기초로 복수의 회원 업소 간의 연관 관계 패턴을 분석하고, 상기 연관 관계 패턴을 기초로 제1 회원 업소를 이용할 또는 이용한 고객의 단말기로 제2 회원 업소의 쿠폰을 노출시켜 상기 제2 회원 업소에 대한 마케팅 서비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케팅 서비스 장치의 세부 구성에 대하여 도 4에 도시된 실시예를 통해 좀 더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도 4의 (a)는 마케팅 서비스 장치(100)의 쿠폰 정보 분석부(130)에 대한 실시예로서, 쿠폰 정보 분석부(130)는 쿠폰 획득 정보 수집부(131), 쿠폰 사용 정보 수집부(133), 쿠폰 이용 패턴 분석부(13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쿠폰 획득 정보 수집부(131)는, 고객들이 보유한 고객 단말기나 고객이 쿠폰을 다운받는 온라인 서비스 서버로부터 고객이 획득한 쿠폰 획득 정보를 수집하는데, 이때 쿠폰 획득 정보로서, 고객이 쿠폰을 획득한 채널 정보, 획득한 시간 정보, 획득한 쿠폰의 업종 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를 선택적으로 수집할 수 있다.
쿠폰 사용 정보 수집부(133)는, 회원 업소의 회원 업소 단말기를 통해 상기 회원 업소에서 사용된 쿠폰에 대한 쿠폰 사용 정보를 수집하는데, 이때 쿠폰 사용 정보로서, 고객이 쿠폰을 사용한 회원 업소의 위치 정보, 사용한 시간 정보, 사용한 쿠폰의 업종 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를 선택적으로 수집할 수 있다.
쿠폰 이용 패턴 분석부(135)는, 쿠폰 획득 정보 수집부(131)가 수집한 쿠폰 획득 정보와 쿠폰 사용 정보 수집부(133)가 수집한 쿠폰 사용 정보를 기초로 회원 업소를 이용한 고객들에 대한 쿠폰 이용 패턴을 분석한다.
즉, 쿠폰 이용 패턴부(135)는 다수의 고객들에 대한 쿠폰 획득 정보와 쿠폰 사용 정보를 종합하여, 다양한 고객들이 어떤 행동 패턴으로 쿠폰을 획득하고 사용하는지를 고객의 행동 패턴에 대한 분석을 통해 쿠폰 이용 패턴으로 분석한다.
쿠폰 정보 분석부(130)에서 쿠폰 획득 정보와 쿠폰 사용 정보를 수집하여 이를 토대로 쿠폰 이용 패턴을 분석하는 과정은 이후에 실시예를 통해 좀 더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도 4의 (b)는 마케팅 서비스 장치(100)의 마케팅 제공부(150)에 대한 실시예로서, 마케팅 제공부(150)는 회원 업소 분석부(151), 마케팅 시나리오 생성부(153), 쿠폰 제공부(155)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회원 업소 분석부(151)는, 회원 업소를 이용한 고객들의 쿠폰 이용 패턴을 종합하여 복수의 회원 업소 간의 연관 관계 패턴을 분석하는데, 복수의 회원 업소를 이용한 복수의 고객들의 쿠폰 이용 패턴을 종합하여 통계적으로 어떤 업소와 어떤 업소가 연관 관계를 갖는지를 분석하고, 이를 기초로 회원 업소 간의 연관 관계 패턴을 분석한다.
마케팅 시나리오 생성부(153)는, 마케팅 대상 회원 업소에 대한 쿠폰을 언제, 어떤 방식으로 누구에게 노출시킬지에 대한 마케팅 시나리오를 생성하는데, 이를 위해 마케팅 시나리오 생성부(153)는 마케팅 대상 회원 업소와 연관 관계 패턴이 대응되는 회원 업소를 이용한 고객들의 쿠폰 이용 패턴을 고려하여 마케팅 시나리오를 생성한다.
그리고 쿠폰 제공부(155)는, 마케팅 시나리오 생성부(153)에서 생성한 마케팅 시나리오에 기초하여 마케팅 대상 회원 업소의 쿠폰을 고객들의 고객 단말기로 노출시킨다. 이를 위해 쿠폰 제공부(155)는 고객들이 접근하는 다양한 채널과 연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마케팅 서비스 장치(100)가 구비하여, 각 구성들의 기능으로 본 발명에 따른 마케팅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는데, 여기서 마케팅 서비스 장치(100)는 각 구성을 포함하는 하나의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고, 또는 각 구성이 각각의 개별 장치 또는 개별 모듈로 구성되어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도 있으며, 마케팅 서비스 장치(100)가 각 구성들의 그룹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나아가서 마케팅 서비스 장치(100)로 저장 기능과 연산 기능 등을 수행 가능한 일종의 서버가 적용되고, 이후에 살펴볼 본 발명에 따른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법의 각 단계를 수행하는 컴퓨터프로그램이 마케팅 서비스 장치에 기록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에서 살펴본 마케팅 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한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시하는데,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한 실시예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법은, 개략적으로 회원 업소 등록 단계(S100), 이용 패턴 분석 단계(S200), 연관 회원 업소 분석 단계(S300), 마케팅 제공 단계(S4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회원 업소 등록 단계(S100)에서는, 업소로부터의 회원 가입 요청에 따라 회원 업소의 사업 정보와 이에 대응되는 쿠폰을 등록한다.
이용 패턴 분석 단계(S200)에서는, 복수의 회원 업소를 이용한 고객들에 대한 쿠폰 획득 정보와 쿠폰 사용 정보를 수집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고객들이 보유한 고객 단말기나 고객이 쿠폰을 다운받는 온라인 서비스 서버로부터 고객이 쿠폰을 획득한 채널 정보, 획득한 시간 정보, 획득한 쿠폰의 업종 정보 등을 선택적으로 포함하는 쿠폰 획득 정보를 수집하며, 회원 업소의 회원 업소 단말기로부터 고객이 쿠폰을 사용한 회원 업소의 위치 정보, 사용한 시간 정보, 사용한 쿠폰의 업종 정보 등을 선택적으로 포함하는 쿠폰 사용 정보를 수집한다. 그리고 수집한 쿠폰 획득 정보와 수집한 쿠폰 사용 정보를 기초로 회원 업소를 이용한 고객들에 대한 쿠폰 이용 패턴을 분석한다.
상기 이용 패턴 분석 단계(S200)와 관련하여, 예시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고객에 대한 쿠폰 획득 정보와 쿠폰 사용 정보의 예시를 도시한다.
마케팅 서비스 장치(100)는 고객들이 보유한 고객 단말기나 고객이 쿠폰을 다운받는 온라인 서비스 서버로부터 고객이 획득한 쿠폰에 대한 쿠폰 획득 정보를 수집하는데, 상기 도 6의 (a)는 회원 업소 A에 대한 고객들의 쿠폰 획득 정보(310a)와 쿠폰 사용 정보(320a)를 나타내며, 상기 도 6의 (b)는 회원 업소 B에 대한 고객들의 쿠폰 회득 정보(310b)와 쿠폰 사용 정보(320b)를 나타내며, 상기 도 6의 (c)는 회원 업소 C에 대한 고객들의 쿠폰 회득 정보(310c)와 쿠폰 사용 정보(320c)를 나타낸다.
상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케팅 서비스 장치(100)는 쿠폰 획득 정보로서, 각 회원 업소에 대하여 고객이 쿠폰을 획득한 시간, 쿠폰 획득 채널, 획득한 쿠폰의 업종 등을 수집하며, 또한 마케팅 서비스 장치(100)는 쿠폰 사용 정보로서, 각 회원 업소에 대하여 고객이 쿠폰을 사용한 시간, 쿠폰이 사용된 업소의 위치, 사용한 쿠폰의 업종 등을 수집한다.
이와 같이 획득한 쿠폰 획득 정보와 쿠폰 사용 정보를 기초로 쿠폰 이용 패턴을 분석하는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고객의 쿠폰 이용 패턴을 분석한 예시를 도시한다.
마케팅 서비스 장치(100)는 상기 도 6과 같이 수집된 쿠폰 획득 정보와 쿠폰 사용 정보를 종합하여 분석함으로써, 상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고객에 대한 쿠폰 이용 패턴을 획득할 수 있다.
가령 상기 도 6의 정보에서 고객 1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여 종합 분석하면, 상기 도 7의 (a)와 같은 상기 고객 1의 쿠폰 이용 패턴(330a)을 획득할 수 있는데, 상기 고객 1은, 회원 업소 A와 관련하여 쿠폰 이용 첫번째 행동(331a)이 추출되고, 회원 업소 B와 관련하여 쿠폰 이용 두번째 행동(333a)이 추출되며, 상기 고객 1에 대한 쿠폰 이용 첫번째 행동(331a)과 쿠폰 이용 두번째 행동(333a)은 시간과 위치가 상호 관련되어 시간과 공간적으로 연속적인 행동 양태로 분석된다. 이와 같이 상기 고객 1의 구폰 이용 행동을 종합하여 분석함으로써 상기 고객 1이 특정 업종 방문 이후 연이어 다른 특정 업종을 방문하는 것으로 쿠폰 이용 패턴이 시간(T; Time), 장소(P; Place), 원인(O; Occasion)으로 분석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도 6의 정보에서 고객 3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여 종합 분석하면, 상기 도 7의 (b)와 같은 상기 고객 3의 쿠폰 이용 패턴(330b)을 획득할 수 있다.
즉, 고객의 쿠폰 획득 정보와 쿠폰 사용 정보를 종합하면 특정한 행동 패턴을 나타내는 고객이 발견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고객들에 대해서 쿠폰 이용 패턴을 획득할 수 있다.
다시 상기 도 5로 회귀하여 상기 이용 패턴 분석 단계(S200) 이후의 과정을 계속하여 살펴본다.
연관 회원 업소 분석 단계(S300)에서는, 앞서 상기 이용 패턴 분석 단계(S200)를 통해 획득한 쿠폰 이용 패턴을 기초로 복수의 회원 업소 간의 연관 관계 패턴을 분석한다.
연관 회원 업소 분석 단계(S300)에 대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자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회원 업소 간의 연관 관계 패턴을 분석하는 과정에 대한 실시예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마케팅 서비스 장치(100)가, 특정 회원 업소를 이용한 고객들의 쿠폰 이용 패턴을 종합하여 상기 특정 회원 업소와 연관 관계를 갖는 하나 이상의 다른 회원 업소를 판단(S310)하는데, 이때 상기 특정 회원 업소를 이용한 고객들의 쿠폰 이용 패턴을 종합하여, 상기 특정 회원 업소의 이용 이전 또는 이용 이후에 쿠폰 이용의 연관 관계를 갖는 다른 회원 업소를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마케팅 서비스 장치(100)가, 상기 다른 회원 업소의 사업 정보를 기초로 상기 특정 회원 업소와 상기 다른 회원 업소 간의 상기 쿠폰 이용 패턴에 따른 연관 관계 패턴을 분석(S330)하는데, 상기 특정 회원 업소의 이용 이전 또는 이용 이후, 고객이 이용한 다른 회원 업소에 대한 쿠폰을 획득한 채널 정보, 획득한 시간 정보, 획득한 쿠폰의 업종 정보 등의 쿠폰 획득 정보와 쿠폰을 사용한 회원 업소의 위치 정보, 사용한 시간 정보, 사용한 쿠폰의 업종 정보 등의 쿠폰 사용 정보를 종합하여, 상기 쿠폰 이용 패턴에 따른 상기 특정 회원 업소와 다른 회원 업소 간의 연관 관계 패턴을 분석한다.
이와 같은 회원 업소 간의 연관 관계 패턴을 기초로 마케팅 서비스 장치(100)는 상기 특정 회원 업소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다른 회원 업소를 포함하는 회원 업소 클러스터를 생성(S350)한다.
상기 연관 회원 업소 분석 단계(S300)와 관련하여,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회원 업소 간의 연관 관계 패턴을 분석한 예시를 통해 좀 더 살펴보기로 한다.
앞서 살펴본 상기 도 6과 같은 회원 업소별 고객들의 쿠폰 획득 정보와 쿠폰 사용 정보를 종합 분석하여 상기 도 7과 같은 쿠폰 이용 패턴이 획득되면, 회원 업소에 대하여 고객들의 쿠폰 이용 패턴을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회원 업소 간의 연관 관계를 분석할 수 있다.
가령 상기 도 9의 (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회원 업소 A에 대한 고객들의 쿠폰 이용 패턴을 종합하여 통계적으로 분석하면, 유사 패턴을 나타내는 일부의 다수 고객들은 고객 그룹 A-1로서, 회원 업소 A를 방문한 후 회원 업소 B를 방문하는 것으로 행동 패턴을 나타내며, 이를 기초로 상기 회원 업소 A의 고객 그룹 A-1에 대해서는 상기 회원 업소 A와 연관 관계를 갖는 연관 회원 업소로서 회원 업소 B가 파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객 그룹 A-1에 포함된 고객들의 쿠폰 이용 패턴을 종합하면, 상기 회원 업소 A와 연관 회원 업소 B는 쿠폰 이용 패턴의 통계적 분석에 대응되어 시간(T; Time), 장소(P; Place), 원인(O; Occasion)의 연관 관계 패턴(341a)이 분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회원 업소 A와 연관 회원 업소 B의 연관 관계 패턴(341a)에 따라 상기 회원 업소 A에 대응되는 연관 회원 업소 B와 유사한 연관 회원 업소 또는 연관 가능성을 갖는 회원 업소 등을 포함하는 회원 업소 클러스터(343a)가 생성된다.
또한 상기 회원 업소 A에 대한 고객들 중 다른 유사 패턴을 나타내는 다른 일부의 다수 고객들은 고객 그룹 A-2로 구분될 수 있고, 상기와 같이 이들의 쿠폰 이용 패턴을 종합하면, 고객 그룹 A-2에 대하여 회원 업소 C가 연관 회원 업소로 파악되며, 상기 회원 업소 A와 연관 회원 업소 C는 쿠폰 이용 패턴의 통계적 분석에 대응되어 시간(T; Time), 장소(P; Place), 원인(O; Occasion)의 연관 관계 패턴(345a)이 분석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원 업소 A와 연관 회원 업소 C의 연관 관계 패턴(345a)에 따라 상기 회원 업소 A에 대응되는 연관 회원 업소 C와 유사한 연관 회원 업소 또는 연관 가능성을 갖는 회원 업소 등을 포함하는 회원 업소 클러스터(347a)가 생성된다.
회원 업소 B를 기준으로 연관 회원 업소를 파악하고 그에 따른 연관 관계 패턴을 분석하면, 상기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원 업소 B에 대한 연관 회원 업소로서 회원 업소 A가 파악되고, 상기 회원 업소 B와 연관 회원 업소 A는 쿠폰 이용 패턴의 통계적 분석에 대응되어 시간(T; Time), 장소(P; Place), 원인(O; Occasion)의 연관 관계 패턴(341b)이 분석되며, 연관 관계 패턴(341b)을 기초로 상기 회원 업소 B에 대응되는 연관 회원 업소 A와 유사한 연관 회원 업소 또는 연관 가능성을 갖는 회원 업소 등을 포함하는 회원 업소 클러스터(343b)가 생성된다.
즉, 회원 업소 A를 기준으로 연관 업소를 파악하는 경우 연관 회원 업소 B가 파악되었으면, 반대로 회원 업소 B를 기준으로 연관 업소를 파악하는 경우 연관 회원 업소로 A가 파악될 수 있다.
다시 상기 도 5로 회귀하여 상기 연관 회원 업소 분석 단계(S300) 이후의 과정을 계속하여 살펴본다.
마케팅 제공 단계(S400)에서는, 분석된 연관 관계 패턴을 기초로 마케팅 서비스를 요청한 제2 회원 업소와 연관 관계 패턴을 갖는 제1 회원 업소를 확인하고 상기 제1 회원 업소를 이용할 또는 이용한 고객의 단말기로 상기 제2 회원 업소의 쿠폰을 노출시킴으로써, 상기 제2 회원 업소에 대한 마케팅 서비스를 제공한다.
마케팅 제공 단계(S400)에 대하여, 도 10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회원 업소에 대한 마케팅 서비스로서 쿠폰을 노출시키는 과정에 대한 실시예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좀 더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마케팅 서비스 장치(100)가 제2 회원 업소로부터 마케팅 서비스를 요청(S410)받으면, 상기 제2 회원 업소를 포함하는 회원 업소 클러스터를 확인(S420)하는데, 상기 회원 업소 클러스터에 대해서는 앞서 상기 도 8의 실시예를 통해 설명한 바 있다.
다음으로 상기 회원 업소 클러스터의 연관 관계 패턴에 대응되는 제1 회원 업소를 확인(S430)하고, 상기 제1 회원 업소를 이용한 고객들의 쿠폰 이용 패턴을 확인(S440)하여 상기 쿠폰 이용 패턴을 기초로 상기 제2 회원 업소에 대한 마케팅 시나리오를 생성(S450)한다. 상기 마케팅 시나리오는 상기 제2 회원 업소에 대한 쿠폰을 노출시킬 시간, 쿠폰을 노출시킬 채널 및 쿠폰을 노출시킬 대상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마케팅 시나리오에 따라 상기 제1 회원 업소를 이용할 또는 이용한 고객의 단말기로 상기 제2 회원 업소의 쿠폰을 노출(S460)시켜 상기 제2 회원 업소에 대한 마케팅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제1 회원 업소를 이용한 또는 이용할 고객들은 무작위적으로 램덤하게 선택하거나 또는 전체를 선택하여 선택된 고객을 대상으로 상기 제2 회원 업소의 쿠폰을 노출시킬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회원 업소와 상기 제2 회원 업소 간의 연관 관계를 이끌어 내는데 이용된 쿠폰 이용 패턴을 갖는 고객을 대상으로 상기 제2 회원 업소에 대한 마케팅 서비스가 제공될 수도 있다.
가령, 상기 제1 회원 업소를 이용한 또는 이용할 하나 이상의 고객들 중 상기 제1 회원 업소와 상기 제2 회원 업소에 대응되는 연속적인 쿠폰 이용 패턴을 갖는 고객들을 선정하고, 선정된 고객에 대하여 상기 제2 회원 업소에 대한 마케팅 시나리오를 생성하여, 상기 마케팅 시나리오에 따라 상기 제2 회원 업소의 쿠폰을 노출시킬 수 있다.
상기 마케팅 제공 단계(S400)와 관련하여, 도 1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마케팅 대상 회원 업소에 대한 마케팅 시나리오를 생성한 예시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도 1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원 업소 B에 대한 마케팅 서비스(350a)를 제공하는 경우, 회원 업소 B는 상기 도 9의 (a)에서 회원 업소 A에 대응되는 회원 업소 클러스터(351a)에 포함되어, 회원 업소 A와 회원 업소 B 간의 연관 관계 패턴을 고려하고, 또한 회원 업소 A를 이용한 고객의 쿠폰 이용 패턴을 함께 고려하여 상기 회원 업소 B에 대한 마케팅 시나리오(353a)를 생성한다. 그리고 마케팅 시나리오(353a)에 따라 상기 회원 업소 B에 대한 쿠폰을 노출시킬 고객(355a)을 선정한다.
이와 같이 상기 회원 업소 B에 대한 마케팅 시나리오와 마케팅을 제공할 대상 고객이 선정되면, 이에 대응하여 선정된 고객의 고객 단말기로 마케팅 시나리오에 따라 상기 회원 업소 B에 대한 쿠폰을 노출시켜 상기 회원 업소 B에 대한 마케팅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에 의하면, 마케팅 능력을 보유하지 못하거나 지점 네트워크를 적절히 구축하기 어려운 영세 개인 사업자 등에게 효과적으로 영업 활동을 확장할 수 있는 마케팅 서비스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민감하거나 중요한 고객 개인 정보를 이용하지 않으므로, 고객을 보호하면서 동시에 사업자에게 효과적인 마케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서 고객의 쿠폰 이용 패턴과 회원 업소 간의 연관 관계 패턴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어떤 지역의 어떤 고객들에게 언제, 어떤 채널로 타켓 마케팅을 제공할지 마케팅 시나리오를 생성하고 그에 따라 마케팅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마케팅 서비스의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기재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10a, 10b,...10n : 고객 단말기,
50a, 50b,...50n : 회원 업소 단말기,
100 : 마케팅 서비스 서버,
110 : 회원 관리부,
130 : 쿠폰 정보 분석부,
131 : 쿠폰 획득 정보 수집부,
133 : 쿠폰 사용 정보 수집부,
135 : 쿠폰 이용 패턴 분석부,
150 : 마케팅 제공부,
151 : 회원 업소 분석부,
153 : 마케팅 시나리오 생성부,
155 : 쿠폰 제공부,
200 : 온라인 서비스 서버.

Claims (14)

  1. 회원 업소에 대한 마켓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회원 업소의 사업 정보와 이에 대응되는 쿠폰을 등록하는 회원 업소 등록 단계;
    복수의 회원 업소를 이용한 고객들에 대한 쿠폰 획득 정보와 쿠폰 사용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기초로 상기 회원 업소를 이용한 고객들의 쿠폰 이용 패턴을 분석하는 이용 패턴 분석 단계;
    상기 쿠폰 이용 패턴을 기초로 복수의 회원 업소 간의 연관 관계 패턴을 분석하는 연관 회원 업소 분석 단계; 및
    상기 연관 관계 패턴을 기초로 제1 회원 업소를 이용할 또는 이용한 고객의 단말기로 제2 회원 업소의 쿠폰을 노출시키는 마케팅 제공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 패턴 분석 단계는,
    상기 고객이 쿠폰을 획득한 채널 정보, 획득한 시간 정보 또는 획득한 쿠폰의 업종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쿠폰 획득 정보를 수집하는 쿠폰 획득 정보 수집 단계;
    상기 고객이 쿠폰을 사용한 회원 업소의 위치 정보, 사용한 시간 정보 또는 사용한 쿠폰의 업종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쿠폰 사용 정보를 수집하는 쿠폰 사용 정보 수집 단계; 및
    상기 쿠폰 획득 정보와 상기 쿠폰 사용 정보를 기초로 상기 회원 업소를 이용한 고객들에 대한 쿠폰 이용 패턴을 분석하는 고객 분석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관 회원 업소 분석 단계는,
    특정 회원 업소를 이용한 고객들의 쿠폰 이용 패턴을 종합하여 상기 특정 회원 업소와 연관 관계를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회원 업소를 판단하는 연관 회원 업소 판단 단계;
    상기 다른 회원 업소의 사업 정보를 기초로 상기 특정 회원 업소와 상기 다른 회원 업소 간의 상기 쿠폰 이용 패턴에 따른 연관 관계 패턴을 분석하는 연관 관계 패턴 분석 단계; 및
    상기 연관 관계 패턴을 기초로 상기 특정 회원 업소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다른 회원 업소를 포함하는 회원 업소 클러스터를 생성하는 회원 업소 클러스터 생성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관 회원 업소 판단 단계는,
    상기 특정 회원 업소를 이용한 고객들의 쿠폰 이용 패턴을 종합하여, 상기 특정 회원 업소의 이용 이전 또는 이용 이후에 쿠폰 이용의 연관 관계를 갖는 다른 회원 업소를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관 관계 패턴 분석 단계는,
    상기 특정 회원 업소의 이용 이전 또는 이용 이후, 고객이 이용한 다른 회원 업소에 대한 쿠폰을 획득한 채널 정보, 획득한 시간 정보 또는 획득한 쿠폰의 업종 정보 중 하나 이상과 쿠폰을 사용한 회원 업소의 위치 정보, 사용한 시간 정보 또는 사용한 쿠폰의 업종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종합하여, 상기 쿠폰 이용 패턴에 따른 상기 특정 회원 업소와 다른 회원 업소 간의 연관 관계 패턴을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마케팅 제공 단계는,
    상기 제2 회원 업소를 포함하는 회원 업소 클러스터를 확인하는 회원 업소 클러스터 확인 단계;
    상기 회원 업소 클러스터의 연관 관계 패턴에 대응되는 제1 회원 업소를 확인하는 연관 회원 업소 확인 단계; 및
    상기 제1 회원 업소를 이용한 또는 이용할 하나 이상의 고객에게 상기 제2 회원 업소에 대한 쿠폰을 노출시키는 쿠폰 노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마케팅 제공 단계는,
    상기 제1 회원 업소를 이용한 고객들의 쿠폰 이용 패턴을 기초로 상기 제2 회원 업소에 대한 마케팅 시나리오를 생성하는 마케팅 시나리오 생성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쿠폰 노출 단계는,
    상기 마케팅 시나리오에 따라 상기 제1 회원 업소를 이용할 또는 이용한 고객의 단말기로 상기 제2 회원 업소의 쿠폰을 노출시키는 쿠폰 제공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마케팅 시나리오 생성 단계는,
    상기 제1 회원 업소를 이용한 또는 이용할 하나 이상의 고객을 선정하고, 선정된 고객에 대하여 상기 제2 회원 업소에 대한 마케팅 시나리오를 생성하며,
    상기 쿠폰 노출 단계는,
    선정된 고객 각각에 대응되는 마케팅 시나리오를 기초로 상기 제2 회원 업소의 쿠폰을 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마케팅 시나리오 생성 단계는,
    쿠폰을 노출시킬 시간, 쿠폰을 노출시킬 채널 및 쿠폰을 노출시킬 대상을 포함하는 마케팅 시나리오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법.
  10. 회원 업소의 사업 정보와 상기 회원 업소에 대한 쿠폰을 등록하여 관리하는 회원 관리부;
    회원 업소를 이용한 고객들에 대한 쿠폰 획득 정보와 쿠폰 사용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기초로 상기 회원 업소를 이용한 고객들의 쿠폰 이용 패턴을 분석하는 쿠폰 정보 분석부; 및
    상기 쿠폰 이용 패턴을 기초로 복수의 회원 업소 간의 연관 관계 패턴을 분석하고, 상기 연관 관계 패턴을 기초로 제1 회원 업소를 이용할 또는 이용한 고객의 단말기로 제2 회원 업소의 쿠폰을 노출시켜 상기 제2 회원 업소에 대한 마케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마케팅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케팅 서비스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쿠폰 정보 분석부는,
    고객이 쿠폰을 획득한 채널 정보, 획득한 시간 정보 또는 획득한 쿠폰의 업종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쿠폰 획득 정보를 수집하는 쿠폰 획득 정보 수집부;
    고객이 쿠폰을 사용한 회원 업소의 위치 정보, 사용한 시간 정보 또는 사용한 쿠폰의 업종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쿠폰 사용 정보를 수집하는 쿠폰 사용 정보 수집부; 및
    상기 쿠폰 획득 정보와 상기 쿠폰 사용 정보를 기초로 상기 회원 업소를 이용한 고객들에 대한 쿠폰 이용 패턴을 분석하는 쿠폰 이용 패턴 분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케팅 서비스 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마케팅 제공부는,
    회원 업소를 이용한 고객들의 쿠폰 이용 패턴을 종합하여 복수의 회원 업소 간의 연관 관계 패턴을 분석하는 회원 업소 분석부;
    마케팅 서비스를 제공할 회원 업소와 연관 관계 패턴이 대응되는 회원 업소를 이용한 고객들의 쿠폰 이용 패턴에 따라 마케팅 시나리오를 생성하는 마케팅 시나리오 생성부; 및
    상기 마케팅 시나리오에 기초하여 마케팅 서비스를 제공할 회원 업소의 쿠폰을 노출시키는 쿠폰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케팅 서비스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쿠폰 제공부는,
    상기 마케팅 시나리오에 기초하여 상기 고객에게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온라인 서비스 서버를 통해 쿠폰을 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케팅 서비스 장치.
  14.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법의 각 단계를 수행하는 컴퓨터프로그램이 기록된 마케팅 서비스 장치.
KR1020150115659A 2015-08-17 2015-08-17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4726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5659A KR102472663B1 (ko) 2015-08-17 2015-08-17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5659A KR102472663B1 (ko) 2015-08-17 2015-08-17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1171A true KR20170021171A (ko) 2017-02-27
KR102472663B1 KR102472663B1 (ko) 2022-11-30

Family

ID=58315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5659A KR102472663B1 (ko) 2015-08-17 2015-08-17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266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32876A (zh) * 2018-07-18 2021-01-15 口口相传(北京)网络技术有限公司 基于用户场景属性信息的精准营销方法及装置
KR20210109949A (ko) * 2020-02-28 2021-09-07 (주)엔조이소프트 고객 정보 공유 마케팅 플랫폼 제공 방법 및 시스템
WO2023210845A1 (ko) * 2022-04-27 2023-11-02 쿠팡 주식회사 신용 카드의 정보를 이용하여 혜택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단말 장치
WO2023234450A1 (ko) * 2022-05-31 2023-12-07 쿠팡 주식회사 쿠폰 관련 정보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2624A (ko) 2009-10-19 2011-04-27 비씨카드(주) 마케팅 방법 및 시스템
KR101168075B1 (ko) * 2010-03-09 2012-07-24 비씨카드(주) 쿠폰 제공 방법 및 쿠폰 제공 서버
KR101298634B1 (ko) * 2012-12-18 2013-08-20 유광선 소셜 네트워크 플랫폼 서버를 활용한 전자할인쿠폰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50070481A (ko) * 2013-12-16 2015-06-25 넷다이버(주) 마케팅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마케팅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2624A (ko) 2009-10-19 2011-04-27 비씨카드(주) 마케팅 방법 및 시스템
KR101168075B1 (ko) * 2010-03-09 2012-07-24 비씨카드(주) 쿠폰 제공 방법 및 쿠폰 제공 서버
KR101298634B1 (ko) * 2012-12-18 2013-08-20 유광선 소셜 네트워크 플랫폼 서버를 활용한 전자할인쿠폰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50070481A (ko) * 2013-12-16 2015-06-25 넷다이버(주) 마케팅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마케팅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32876A (zh) * 2018-07-18 2021-01-15 口口相传(北京)网络技术有限公司 基于用户场景属性信息的精准营销方法及装置
CN112232876B (zh) * 2018-07-18 2024-03-22 口口相传(北京)网络技术有限公司 基于用户场景属性信息的精准营销方法及装置
KR20210109949A (ko) * 2020-02-28 2021-09-07 (주)엔조이소프트 고객 정보 공유 마케팅 플랫폼 제공 방법 및 시스템
WO2023210845A1 (ko) * 2022-04-27 2023-11-02 쿠팡 주식회사 신용 카드의 정보를 이용하여 혜택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단말 장치
WO2023234450A1 (ko) * 2022-05-31 2023-12-07 쿠팡 주식회사 쿠폰 관련 정보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2663B1 (ko) 2022-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280368B (zh) 一种线上数据和线下数据的关联方法及计算设备
CN106911801B (zh) 关联用户信息的方法及信息推送系统
WO2015183789A1 (en) Method and system for targeted advertising based on associated online and offline user behaviors
US20140236706A1 (en)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advertising effectiveness
US20120253958A1 (en) System for generating digital receipts
US20140229323A1 (en) Location and transaction-based recommendations
KR20170021171A (ko)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JP2014044583A (ja) 購買者特定装置、購買者特定プログラム、購買者の特定方法及び購買者情報管理システム
US20160004974A1 (en) Detecting unexpected behavior
US11640610B2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generating synthetic data
KR20200025431A (ko) 오픈마켓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Rao et al. Optimizing technical ecosystem of digital marketing
JP5839591B2 (ja) 購買者特定装置、購買者特定プログラム及び購買者の特定方法
KR101819157B1 (ko) 통신사 서버와 연동하는 매장 서비스 앱 시스템 및 방법
US9299070B2 (en) Virtual receipts
KR102193737B1 (ko) 소셜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사용자 맞춤 광고를 표시하는 시스템
US20200233696A1 (en) Real Time User Matching Using Purchasing Behavior
Eze et al. Application of data mining in telecommunication industry
Petrescu et al. Novel retail technologies and marketing analytics
US20170262880A1 (en) Proximity detection system and method
US10572935B1 (en) Disambiguation of entities based on financial interactions
WO2015183793A1 (en) Method and system for associating discrete user activities on mobile devices
Boucouvalas et al. Integrating retail and e-commerce using Web Analytics and intelligent sensors
KR101734081B1 (ko) 소셜 네트워크 기반의 클라우드 커머스 시스템 및 그의 처리 방법
CN111435508B (zh) 资源发放终端信息处理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