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9620A - 항공 직파 방법 및 항공 직파 장치 - Google Patents

항공 직파 방법 및 항공 직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9620A
KR20170019620A KR1020150113663A KR20150113663A KR20170019620A KR 20170019620 A KR20170019620 A KR 20170019620A KR 1020150113663 A KR1020150113663 A KR 1020150113663A KR 20150113663 A KR20150113663 A KR 20150113663A KR 20170019620 A KR20170019620 A KR 201700196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ed
module
seeds
land
fl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36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75379B1 (ko
Inventor
조영손
Original Assignee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136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5379B1/ko
Publication of KR201700196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96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53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53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5/00Making or covering furrows or holes for sowing, planting or manuring
    • A01C5/06Machines for making or covering drills or furrows for sowing or planting
    • A01C5/062Devices for making drills or furrow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8Broadcast seeders; Seeders depositing seeds in row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18Machines for depositing quantities of seed at interv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항공 직파 방법은 토지에 이랑을 생성하고 담수하는 단계; 및 상기 토지의 상공에 최아 종자가 실린 비행체를 띄우고, 상기 종자를 흩뿌리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항공 직파 방법 및 항공 직파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DIRECTLY SOWING SEEDS USING AIRCRAFTS}
본 발명은 공중을 비행하는 비행체를 이용해서 종자를 직파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벼농사를 짓는 방법은 모종을 직접 키우거나 종묘상을 통하여 구입한 모종을 경작지에 이앙시켜서 하게 된다.
최근에는 벼농사의 규모가 대형화되고 농법이 기계화됨에 따라 직파법을 시행하는 농가가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81704호에는 병충해 방제용 약제를 유효하게 작용시킬 수 있는 상태에서 파종을 수행하는 직파기가 개시되고 있다. 그러나, 지상을 따라 움직이는 차량에 의해 견인되는 특성상 신속한 직파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81704호
본 발명은 공중을 비행하는 비행체를 이용해서 종자를 직파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항공 직파 방법은 토지에 이랑을 생성하고 담수하는 단계; 및 상기 토지의 상공에 최아 종자가 실린 비행체를 띄우고, 상기 종자를 흩뿌리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공 직파 장치는 비행체에 장착되는 장착부; 상기 장착부에 설치되고 종자가 저장되는 저장부; 및 상기 비행체가 비행 중인 상태에서 토지를 향해 상기 종자를 뿌리는 투하부;를 포함하고, 상기 투하부는 상기 비행체의 이동 속도에 따라 상기 종자의 투하량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공 직파 방법 및 장치는 비행체를 이용해서 종자를 직파할 수 있으므로, 매우 신속한 작업이 가능하다.
비행체를 통한 직파 전에 대상 토지에 이랑을 형성하고 담수를 수행함으로써, 무작위로 뿌려진 종자가 물의 유동에 의해 이랑으로 인해 형성된 고랑으로 모일 수 있다. 따라서, 고랑을 따라 종자가 뿌려진 효과가 유발되므로, 이랑의 위치 조절을 통해 종자가 심겨질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공중에서 종자를 비산시키는 비산 모듈, 토지를 향해 연장되는 발사실에 장전에 종자를 공압으로 발사하는 수단 등이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대상 토지에 대해 종자를 고르게 뿌릴 수 있다. 또한, 종자가 땅 속에 박힐 수 있다.
또한, 투하시 종자를 보호하고, 투하된 종자의 생육을 위해 환 형상을 갖는 종자 모듈이 마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항공 직파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항공 직파 방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항공 직파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항공 직파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는 종자 모듈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다른 항공 직파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항공 직파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에 도시된 항공 직파 방법은 크게 2단계(S 510, S 520)로 구분될 수 있다.
먼저, 1단계(S 510)는 직파 대상이 되는 토지(90)에 이랑(91)을 생성하고 담수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랑(91)은 논이나 밭을 갈아 골을 타서 두두룩하게 흙을 쌓아 만든 곳을 의미한다. 간단히 말해, 이랑(91)은 지면의 다른 곳보다 높게 돌출된 곳을 의미할 수 있다. 이랑(91)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상대적으로 지면의 다른 곳보다 낮은 고랑(93) 역시 함께 형성될 수 있다.
토지(90)에 형성된 이랑(91)의 높이는 중력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고랑(93)으로부터 5cm ~ 10cm일 수 있다.
담수는 토지(90)에 물을 담는 것으로, 담수된 물의 깊이는 이랑(91)의 높이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담수가 완료된 토지(90)에서 이랑(91)은 물에 잠긴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랑(91)의 생성과 담수가 완료되면, 2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2단계(S 520)는 투지의 상공에 종자(10)가 실린 비행체(190)를 띄우고, 종자(10)를 흩뿌리는 단계일 수 있다.
이때의 비행체(190)는 조종사가 탑승하는 유인 비행체(190), 조종사가 미탑승하는 무인 비행체(190)를 포함할 수 있다. 직파 비용 절감, 직파 시기의 자유로운 조정을 위해 비행체(190)는 무인 비행체(190)인 것이 좋다.
비행체(190)에서 뿌려진 종자(10)가 일정 지역에 집중적으로 몰리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비행체(190)는 사방으로 종자(10)를 고르게 뿌릴 수 있으며, 이러한 과정이 '흩뿌리기'에 해당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항공 직파 방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비행체(190)에 의해 토지(90)에 흩뿌려진 종자(10)는 물에 침전되고, 바닥에 놓일 수 있다. 이때, 바닥은 이랑(91) 또는 고랑(93)이 될 수 있다. 그리고, 물의 유동에 의해서 이랑(91)에 놓인 종자(10)는 자연스럽게 고랑(93)으로 유도될 수 있다. 또한, 물의 유동에 의해 이랑(91)을 구성하는 일부 흙 ⓐ가 무너져 고랑(93)을 덮게 되므로(복토), 고랑(93)에 위치한 종자(10)는 자연스럽게 흙 ⓐ에 의해 덮힐 수 있다. 담수되는 논의 경우 이랑의 높이가 5cm 미만이면 물의 유동에 의해 종자가 고랑으로 옮겨지고, 이랑의 붕괴로 고랑이 덮혀지는 현상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대로 이랑의 높이가 10cm를 초과하면, 담수되는 물의 양이 지니차게 많아지므로 오히려 종자의 생장이 억제되는 역효과가 나타나기 쉽다. 따라서, 고랑 기준으로 이랑의 높이는 5cm 이상이고, 10cm 이하인 것이 좋다.
비행체(190)에서 뿌려진 종자(10)는 벼, 맥류, 땅콩, 가지 등에서 발아와 생육을 촉진할 목적으로 싹을 약간 틔운 최아 종자(10)인 것이 좋다. 직파의 경우, 종자(10)의 생육에 최적화된 위치에 종자(10)가 심어지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주변 환경이 다소 취약하더라도 생장이 용이한 최아 종자(10)가 적합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항공 직파 방법에 따르면, 토지(90)에 이랑(91)을 형성하고 물을 담수한 후, 비행체(190)로 직파하는 것으로 모든 직파 공정이 완료될 수 있다. 또한, 직파된 종자(10)가 자연스럽게 흙에 덮힐 수 있다.
따라서, 신속한 직파가 가능하다. 또한, 직파된 종자(10)가 흙에 덮히므로, 종자(10)의 생육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아울러, 직파를 수행하는 사용자가 조종 가능한 드론, 무인 헬기 등의 무인 비행체(190)가 제공될 경우 직파 비용 또한 수작업에 의한 직파나 지상 차량을 이용한 직파보다 저렴할 수 있다.
직파를 위해 비행체(190)는 특수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비행체(190)를 중심으로 하는 항공 직파 장치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항공 직파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의 항공 직파 장치(100)는 장착부(110), 저장부(130) 및 투하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공 직파 장치는 비행체(190)에 착탈되는 장착부(110)을 포함할 수 있다. 장착부(110)에는 저장부(130) 및 투하부(150)가 연결되므로, 장착부(110)가 비행체(190)에 장착되면 저장부(130) 및 투하부(150)도 장착부(110)를 통해 비행체(190)에 장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저장부(130)는 장착부(110)에 설치되고 종자(10)가 저장될 수 있다. 저장부(130)는 종자(10)가 저장되는 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저장부(130)에 저장된 종자(10)가 무작위로 토지(90)에 뿌려진다면, 토지(90)의 특정 위치에는 종자(10)가 많이 뿌려지고, 다른 위치에는 종자(10)가 거의 뿌려지지 않을 수 있다. 즉, 종자(10)의 무작위적인 투하에 따르면 종자(10)가 토지(90)에 고르게 뿌려지기 어렵다. 이런 문제는 투하부(150)에 의해 해소될 수 있다.
투하부(150)는 비행체(190)가 비행 중인 상태에서 토지(90)를 향해 종자(10)를 뿌릴 수 있다.
이때, 투하부(150)는 비행체(190)의 이동 속도에 따라 종자(10)의 투하량을 조절할 수 있다.
토지(90)를 향해 투하되는 종자(10)의 개수 또는 양, 즉 투하량을 조절하기 위해 투하부(150)에는 종자(10)가 출력되는 유로를 개폐하는 밸브(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투하부(150)는 밸브의 제어를 통해 유로의 개방 면적을 조절할 수 있다.
일 예로, 지면에 수평하게 비행하는 비행체(190)의 이동 속도가 빠르면 투하부(150)는 개방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개방 면적이 증가하면 단위 시간당 출력되는 종자(10)의 개수가 증가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투하부(150)는 비행체(190)의 이동 속도가 느리면 개방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개방 면적이 삼소하면 단위 시간당 출력되는 종자(10)의 개수가 감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면에 수평한 x축을 따라 10m 길이에 100개의 종자(10)를 직파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10m 길이에 100개의 종자(10)가 고르게 뿌려지기 위해서는 1m당 10개의 종자가 뿌려지는 것이 좋다.
실제로는 위 직파 과정에서 종자(10)가 흩뿌려지는 범위에 따라 x축에 직교하는 y축 방향으로도 직파가 이루어질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y축을 따라 뿌려지는 종자(10)의 개수는 무시하기로 한다.
비행체(190)가 x축 방향을 따라 초속 2m의 속도로 이동하는 경우, 저장부(130)에 저장된 종자(10)는 초당 20개씩 출력되는 것이 좋다. 이때, 투하부(150)는 종자(10)가 초당 20개씩 출력되도록 밸브의 개방 면적을 조절할 수 있다.
만약, 비행체(190)가 초속 1m로 이동한다면, 투하부(150)는 종자(10)가 초당 10개씩 출력되도록 밸브의 개방 면적을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투하부(150)에 따르면 비행체(190)의 이동 속도와 상관없이 설정 면적당 설정 개수의 종자(10)가 뿌려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단위 면적당 종자(10)의 투하량(종자의 개수)이 결정되면, 투하부(150)는 밸브의 조절을 통해 종자(10)가 통과하는 유로의 개방 면적을 조절할 수 있다.
비행체(190)는 지상 이동 차량과 달리 속도 조절이 용이하지 않다. 특히, 비행체(190)의 운전자가 농사를 짓는 사용자라면 운전 미숙에 의해 속도 조절이 매우 어려울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비행체(190)의 속도와 상관없이 단위 시간당 일정한 개수의 종자(10)가 투하된다면 일부 지역에는 많은 종자(10)가 뿌려지고, 다른 지역에는 적은 종자(10)가 뿌려지는 불균일 직파가 이루어지게 된다.
불균일 직파는 비행체(190)를 이용한 직파 방법의 도입을 어렵게 하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투하부(150)에 따르면 운전 미숙 또는 바람의 영향 등에 의해 비행체(190)의 속도가 가변되더라도 가변된 속도에 맞춰 단위 시간당 투하량이 조절되므로 설정 면적당 투하되는 종자(10)의 개수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토지(90)에 대해 고르게 직파가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직파 효율이 개선될 수 있다. 직파 효율의 개선으로 인해 항공 직파의 도입 시기가 앞당겨질 것은 자명하다.
투하부(150)로부터 출력되는 종자(10)는 일시점에서 복수일 수 있다. 이때의 복수의 종자(10)가 토지(90)의 동일 지점에 투하된다면, 직파의 불균일 현상이 발생하기 쉽다. 따라서, 동일 시점에서 투하부(150)로부터 복수의 종자(10)가 투하되더라도 복수의 종자(10)가 토지(90)의 서로 다른 지점으로 투하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항공 직파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토지(90)에 종자(10)가 고르게 투하되도록 투하부(150)에는 비산 모듈(151), 밸브(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비산 모듈(151)은 토지(90)를 향해 출력된 종자(10)가 흩뿌려지도록 종자(10)를 비산시킬 수 있다.
일 예로, 비산 모듈(151)은 종자(10)가 통과하는 출력관(152), 출력관(152)을 회전시키는 회전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출력관(152)은 지면에 대면하는 단부가 지면을 향하는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구부러지게 형성될 수 있다. 평면상으로 출력관(152)에서 구부러진 단부를 통해 출력되는 종자(10)의 방향은 출력관(152)의 회전에 따라 변동되므로, 동일 시점에 복수의 종자(10)가 출력되더라도 출력관(152)의 회전에 따라 각 종자(10)는 토지(90)에서 서로 다른 위치로 투하될 수 있다.
출력관(152)의 단부가 구부러진 정도에 따라 종자(10)의 투사각 ⓑ가 결정될 수 있다.
투사각 ⓑ는 고정된 값인 반면, 출력관(152)을 통해 출력된 종자(10)의 투하 범위 ⓒ는 가변될 수 있다. 일 예로, 지면에 형성된 투하 범위 ⓒ는 비행체(190)와 지면의 거리가 커질수록 증가하고, 비행체(190)와 지면의 거리가 작아질수록 감소할 수 있다.
투하 범위 ⓒ가 변동되더라도, 토지(90)의 단위 면적당 직파되는 종자(10)의 개수는 일정한 것이 유리할 수 있다. 투하 범위 ⓒ의 변동과 상관없이 종자(10)의 개수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밸브가 이용될 수 있다.
밸브는 저장부(130)로부터 비산 모듈(151)까지 이동하는 종자(10)의 유로를 개폐할 수 있다. 투하부(150)는 밸브의 제어를 통해 유로의 개방 면적을 조절할 수 있다.
밸브는 비행체(190)가 상승하면 개방 면적을 증가시키고, 비행체(190)가 하강하면 개방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비행체(190)의 상승으로 투하 범위 ⓒ가 커지면 종자(10)의 투하량을 증가시키고, 비행체(190)의 하강으로 투하 범위 ⓒ가 줄어들면 종자(10)의 투하량을 줄일 수 있다. 이를 통해 토지(90) 기준으로 단위 면적당 뿌려지는 종자(10)의 개수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한편, 투하부(150)로부터 투하된 종자(10)는 가벼운 관계로 바람에 취약할 수 있다. 일 예로, 토지(90)의 제1 위치에 투하될 것으로 기대하면서 제2 위치에서 투하된 종자(10)는 기상 변화로 인해 유발되는 바람 또는 비행체(190)의 프로펠러로부터 유발되는 바람 등에 의해 제1 위치와 다른 위치에 투하될 수 있다. 쉽게 말해, 제1 위치를 목표로 투하된 종자(10)는 바람에 의해 제1 위치와 다른 위치에 도달할 수 있다.
제1 위치를 목표로 투하된 종자(10)가 제1 위치에 도달할 수 있도록 종자 모듈(20)이 이용될 수 있다.
도 5는 종자 모듈(20)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종자 모듈(20)이 마련된 경우 투하부(150)는 종자(10)를 대신해서 종자 모듈(20)을 뿌릴 수 있다. 종자 모듈(20)은 종자(10), 종자(10)를 감싸는 비료층(21), 비료층(21)을 감싸는 전분층(23)을 포함할 수 있다.
비료층(21)은 종자(10)의 생장에 필요한 비료를 포함할 수 있다.
전분층(23)은 비료층(21)을 감싸는 전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전분층(23)은 종자 모듈(20)의 외형을 형성할 수 있다. 전분은 물에 접촉하면 녹고, 건조되면 딱딱한 성질을 갖는다. 또한, 전분층(23)은 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구형의 전분층(23)을 포함한 종자 모듈(20)에 따르면, 종자(10)와 비교해서 무게가 증가되므로 바람의 영향을 덜 받을 수 있다. 또한, 구형의 외형으로 인해서도 바람의 영향을 덜 받을 수 있다. 그 결과, 토지(90)의 제1 위치를 향해 투하된 종자 모듈(20)은 제1 위치에 정확하게 투하될 수 있다.
또한, 투하시 또는 지면 접촉시 가해지는 충격이 종자(10)를 대신해서 전분층(23)에 인가되므로 종자(10)를 보호할 수 있다. 전분층(23)으로부터 종자(10)로 전달되는 충격은 둘 사이에 배치된 비료층에서 흡수되므로 종자는 외부 충격으로부터 확실하게 보호될 수 있다.
토지(90)에 투하된 종자 모듈(20)은 담수된 물에 접촉될 수 있다. 물과의 접촉으로 인해 전분층(23)이 녹으면 전분층(23) 내부에 배치된 비료층(21)이 물에 녹고, 종자(10)는 토지(90)에 접촉될 수 있다.
한편, 투하부(150)에서 투하되는 종자(10) 또는 종자 모듈(20)의 발사 속도를 높이면 발사된 종자(10) 또는 종자 모듈(20)은 땅 속에 박힐 수 있다. 이렇게 땅 속에 박힌 종자(10)는 생장에 유리할 수 있다.
종자(10) 또는 종자 모듈(20)의 발사 속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이 마련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다른 항공 직파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의 항공 직파 장치를 구성하는 투하부(150)에는 발사실(153), 가압 모듈(155), 안내 모듈(157)이 마련될 수 있다.
발사실(153)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종자(10) 또는 종자 모듈(20)이 제1 방향을 따라 유동되는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의 제1 방향은 지면을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가압 모듈(155)은 제1 방향을 따라 발사실(153)에 공압을 제공할 수 있다.
발사실(153)에 장전된 종자(10) 또는 종자 모듈(20)은 가압 모듈(155)로부터 제공된 공압에 의해 제1 방향을 따라 강하게 발사될 수 있다. 발사실(153)로부터 발사된 종자(10) 또는 종자 모듈(20)은 고속으로 이동하므로, 주변 바람 등의 영향을 덜 받게 되고, 타겟 위치에 정확하게 도착할 수 있다. 그리고, 토지(90)가 무르다면, 토지(90)의 표면을 뚫고 들어갈 수 있다. 토지(90)의 내부에 침투한 종자(10)는 흙에 덮힌 상태가 될 수 있다.
저장부(130)에 저장된 복수의 종자(10) 또는 종자 모듈(20)을 발사하기 위해 안내 모듈(157)이 이용될 수 있다.
안내 모듈(157)은 저장부(130)의 종자(10)를 발사실(153)로 유도하는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안내 모듈(157)의 일단은 저장부(130)에 연결되고, 안내 모듈(157)의 타단은 발사실(153)의 측면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안내 모듈(157)은 제1 방향에 기울어진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제2 방향은 저장부(130)에 연결된 안내 모듈(157)의 위치보다 발사실(153)의 측면에 연결된 안내 모듈(157)의 위치가 낮은 방향일 수 있다.
안내 모듈(157)에 따르면, 저장부(130)에 저장된 종자(10) 또는 종자 모듈(20)은 안내 모듈(157)을 따라 이동해서 발사실(153)에 장전될 수 있다.
발사실(153)에 장전된 종자(10) 또는 종자 모듈(20)이 공압이 인가되기 전에 자중에 의해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투하부(150)에는 스토퍼(159)가 마련될 수 있다.
스토퍼(159)는 제1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유동 가능하게 발사실(153)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스토퍼(159)의 일단에는 제1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스토퍼(159)를 밀어내는 탄성부가 마련될 수 있다. 탄성부의 밀어냄으로 인해 스토퍼(159)는 발사실의 유로를 일부 막고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안내 모듈(157)을 거쳐 발사실(153)로 유입된 종자(10) 또는 종자 모듈(20)은 탄성부에 의해 발사실(153) 내부로 돌출된 스토퍼(159)에 의해 자유 낙하가 제한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가압 모듈(155)로부터 공압이 인가되면 종자(10) 또는 종자 모듈(20)은 탄성부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발사실(153)의 벽면 측으로 스토퍼(159)를 밀어내면서 발사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밸브, 가압 모듈(155)은 사용자에 의해 종자 투하 제어 신호가 인가된 경우에 구동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종자 20...종자 모듈
21...비료층 90...토지
91...이랑 93...고랑
100...항공 직파 장치 110...장착부
130...저장부 150...투하부
151...비산 모듈 152...출력관
153...발사실 155...가압 모듈
157...안내 모듈 190...비행체

Claims (8)

  1. 토지에 이랑을 생성하고 담수하는 단계; 및
    상기 토지의 상공에 최아 종자가 실린 비행체를 띄우고, 상기 종자를 흩뿌리는 단계;
    를 포함하는 항공 직파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랑의 높이는 5cm ~ 10cm인 항공 직파 방법.
  3. 비행체에 장착되는 장착부;
    상기 장착부에 설치되고 종자가 저장되는 저장부; 및
    상기 비행체가 비행 중인 상태에서 토지를 향해 상기 종자를 뿌리는 투하부;를 포함하고,
    상기 투하부는 상기 비행체의 이동 속도에 따라 상기 종자의 투하량을 조절하는 항공 직파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투하부에는 상기 종자가 출력되는 유로를 개폐하는 밸브가 마련되고,
    상기 투하부는 상기 밸브의 제어를 통해 상기 유로의 개방 면적을 조절하며, 지면에 수평하게 비행하는 상기 비행체의 이동 속도가 빠르면 상기 개방 면적을 증가시키고 상기 비행체의 이동 속도가 느리면 상기 개방 면적을 감소시키는 항공 직파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투하부에는 상기 토지를 향해 출력된 상기 종자가 흩뿌려지도록 상기 종자를 비산시키는 비산 모듈, 상기 저장부로부터 상기 비산 모듈까지 이동하는 상기 종자의 유로를 개폐하는 밸브가 마련되고,
    상기 투하부는 상기 밸브의 제어를 통해 상기 유로의 개방 면적을 조절하며, 상기 비행체가 상승하면 상기 개방 면적을 증가시키고 상기 비행체가 하강하면 상기 개방 면적을 감소시키는 항공 직파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종자, 상기 종자를 감싸는 비료층, 상기 비료층을 감싸는 전분층을 갖는 종자 모듈이 마련되고,
    상기 투하부는 상기 종자 모듈을 뿌리는 항공 직파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투하부에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발사실,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발사실에 공압을 제공하는 가압 모듈, 상기 저장부의 종자를 상기 발사실로 유도하는 안내 모듈이 마련되는 항공 직파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모듈의 일단은 상기 저장부에 연결되고, 상기 안내 모듈의 타단은 상기 발사실의 측면에 연결되며,
    상기 안내 모듈은 상기 제1 방향에 기울어진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항공 직파 장치.
KR1020150113663A 2015-08-12 2015-08-12 항공 직파 방법 및 항공 직파 장치 KR1017753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3663A KR101775379B1 (ko) 2015-08-12 2015-08-12 항공 직파 방법 및 항공 직파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3663A KR101775379B1 (ko) 2015-08-12 2015-08-12 항공 직파 방법 및 항공 직파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9620A true KR20170019620A (ko) 2017-02-22
KR101775379B1 KR101775379B1 (ko) 2017-09-06

Family

ID=58314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3663A KR101775379B1 (ko) 2015-08-12 2015-08-12 항공 직파 방법 및 항공 직파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537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32413A (zh) * 2018-04-08 2018-08-24 珠海羽人农业航空有限公司 一种直播机组
WO2023094723A1 (en) * 2021-11-26 2023-06-01 The Adjacent Possible Oy A solid firefighting preform, a method in aerial firefighting, and an aerial firefighting vehic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3074512A1 (en) 2017-09-02 2019-03-07 Precision Drone Services Intellectual Property, Llc Seed distribution assembly for an aerial vehicle
KR20230149493A (ko) 2022-04-20 2023-10-27 주식회사 인퓨전 녹화용 투하식 계란형 종자 모듈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1704A (ko) 2012-12-21 2014-07-01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직파기 및 그 직파기를 사용한 직파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90074A (ja) * 2003-03-26 2004-10-21 Takeo Tsutaki 無人ヘリコプター用散布装置および無人ヘリコプタ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1704A (ko) 2012-12-21 2014-07-01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직파기 및 그 직파기를 사용한 직파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32413A (zh) * 2018-04-08 2018-08-24 珠海羽人农业航空有限公司 一种直播机组
WO2023094723A1 (en) * 2021-11-26 2023-06-01 The Adjacent Possible Oy A solid firefighting preform, a method in aerial firefighting, and an aerial firefighting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5379B1 (ko) 2017-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5379B1 (ko) 항공 직파 방법 및 항공 직파 장치
US11718400B2 (en) Distribution assembly for an aerial vehicle
ES2886865T3 (es) Sistema automático de reconocimiento y dispensación de objetivos
US1173008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irborne dissemination and implantation of seeds
US1037749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livering a dry material with an unmanned aerial vehicle
KR102297028B1 (ko) 드론을 이용한 직파장치
JP2021514184A (ja) 精密播種方法及びデバイス
US11083129B2 (en) Rotational tube material spreading device
CN113812239A (zh) 一种用于丸粒化种子的无人机播种系统
US20200137943A1 (en) Predation-resistant capsular planting systems and methods
CN214356685U (zh) 一种多行排射播种无人机
CN108569401A (zh) 一种无人机自动造林方法
CN113184192A (zh) 飞行器的喷洒方法
Courshee Drift spraying for vegetation baiting
WO2022201031A1 (en) Method for delivering liquid by ejecting a continuous jet and system for implementing said method
KR20200031813A (ko) 다수 소형 토출기 구조의 입제살포용 드론
RU2670134C1 (ru) Способ механического уничтожения масс саранчи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RU222585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аспределения энтомофагов к беспилотным летательным аппаратам
RU172604U1 (ru) Летающий высевающий аппарат
RU120840U1 (ru) Разбрасыватель гранулированных минеральных удобрений
UA132551U (uk) Спосіб внесення засобів захисту рослин у вигляді біологічного матеріалу, що містить ентомофаги
Mann et al. Aerial row seeding possible
ES2962821T3 (es) Dispositivo para aplicar productos fitosanitarios
US11051444B2 (en) Seed activation system and method
Ozkan Best practices for effective spraying in orchards and vineyar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