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8767A - 전자 상거래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상거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8767A
KR20170018767A KR1020160079853A KR20160079853A KR20170018767A KR 20170018767 A KR20170018767 A KR 20170018767A KR 1020160079853 A KR1020160079853 A KR 1020160079853A KR 20160079853 A KR20160079853 A KR 20160079853A KR 20170018767 A KR20170018767 A KR 201700187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ller
moving picture
face
buyer
trans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9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7144B1 (ko
Inventor
조준호
Original Assignee
조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50112405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635396B1/ko
Application filed by 조준호 filed Critical 조준호
Priority to KR10201600798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7144B1/ko
Publication of KR201700187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8767A/ko
Priority to KR1020210077100A priority patent/KR1024497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71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71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06Q30/0643Graphical representation of items or shopp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18Certifying business or produ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1Customer communication at a business location, e.g. providing product or service information, consul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Manufacturing Of Micro-Capsules (AREA)

Abstract

전자 상거래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상거래 방법은, 구매자로부터 구매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구매 요청 신호를 판매자에게 전송하는 단계, 상기 구매 요청 신호를 확인하는 판매자의 모습을 촬영한 동영상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동영상을 상기 구매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 상거래 방법{ELECTRONIC COMMERCE METHOD}
본 발명은 전자 상거래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판매자를 촬영한 동영상을 구매자에게 제공함으로써 판매자로 하여금 구매자를 신뢰하고 상품을 구매할 수 있게 하는 전자 상거래 방법에 관한 것이다.
TCP/IP(Transport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를 기반으로 하는 인터넷이 확립되면서 전 세계적으로 각종 통신망이 인터넷을 중심으로 통합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인터넷 이용자가 급증하고 있다. 또한, 인터넷을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의 종류도 기하급수적으로 늘어가고 있다.
특히, 인터넷의 발전과 함께 전자상거래가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여기에서 전자상거래란 인터넷을 통해 상품을 구매, 거래할 수 있도록 하거나, 법률, 의학, 보험 등과 같은 각종 전문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거래 방법을 의미한다.
그러나, 가상의 공간에서 상품이 거래되고 재화가 오고 가는 전자상거래의 특성상 그로 인한 피해가 발생이 불가피하다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전통적인 상품 판매 방식의 경우, 판매자와 구매자가 대면한 상태에서 상품을 거래하므로 불량 제품 판매, 사기 판매 등과 같은 피해가 미미하였지만 전자상거래의 경우 구매자가 판매자를 확인하지 못하는 상태에서 상품이 거래되므로 이를 악용한 피해 사례가 발생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구매자와 판매자간의 신뢰가 구축된 상태에서 상품을 거래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전자상거래 방법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2000-0054577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웹 환경에서 상품을 구입할 때, 이를 판매하는 판매자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하는 전자상거래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자상거래에서도 전통 상품 판매 방식과 같이 구매자가 판매자와 대면하여 상품을 구입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상거래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자상거래에서 판매자의 구매자 사이의 신뢰를 구축함으로써 전자상거래에서 발생될 수 있는 피해를 최소화하고 전자상거래를 촉진시킬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전자상거래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상거래 방법은, 구매자로부터 구매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구매 요청 신호를 판매자에게 전송하는 단계, 상기 구매 요청 신호를 확인하는 판매자의 모습을 촬영한 동영상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동영상을 상기 구매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판매자의 모습을 촬영한 동영상은, 상기 판매자가 상기 구매 요청 신호에 포함된 상품 구매 정보를 확인할 때 촬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동영상 촬영 기능은 상기 판매자가 상기 상품 구매 정보 정보를 확인할 때 기 설정된 시간 동안 활성화되고, 상기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종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판매자의 모습을 촬영한 동영상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판매자의 모습을 촬영한 동영상이 수신된 사실을 상기 구매자에게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동영상을 확인한 판매자로부터 최종 확인 신호가 수신되면 결제를 진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판매자의 모습을 촬영한 동영상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동영상에서 상기 판매자의 얼굴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판매자의 얼굴이 미검출되면 재촬영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판매자의 모습을 촬영한 동영상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동영상에서 상기 판매자의 얼굴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판매자의 얼굴에서 얼굴의 특징점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얼굴의 특징점미 미추출되면 재촬영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판매자의 모습을 촬영한 동영상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동영상에서 상기 판매자의 얼굴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상기 판매자의 얼굴과 기 저장된 복수의 이미지들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기 저장된 복수의 이미지들 중 상기 검출된 판매자의 얼굴과 일치하는 이미지가 없는 경우 재촬영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 설정된 횟수 이내에 기 설정된 요건을 충족하는 동영상이 미수신되면, 상기 판매자가 상품을 판매할 수 없도록 제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품을 판매할 수 없도록 제한된 판매자들로 구성된 블랙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블랙리스트에 등재된 판매자들이 등록한 상품에, 상기 블랙리스트에 등재된 판매자가 판매하는 상품임을 표시하는 식별자를 부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신된 동영상을 상기 구매자에게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동영상에 등장하는 판매자 얼굴을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인식된 판매자 얼굴에 대응되는 상품평을 상기 동영상과 함께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판매자가 복수의 조직원으로 구성된 법인 또는 회사인 경우, 상기 복수의 조직원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동영상을 상기 구매자에게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동영상에 등장하는 조직원의 얼굴을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인식된 조직원에 관한 정보를 상기 동영상과 함께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 장치와 결합하여, 구매자로부터 구매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구매 요청 신호를 판매자에게 전송하는 단계, 상기 구매 요청 신호를 확인하는 판매자의 모습을 촬영한 동영상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동영상을 상기 구매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실행하도록 저장 매체에 기록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상거래 방법에 따르면, 구매 요청 신호를 확인하는 판매자의 동영상을 구매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오프라인에서 상품을 구매하는 것과 유사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자 상거래에서 발생될 수 있는 피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구매자에게 인식 가능한 판매자의 모습을 촬영한 동영상을 제공함으로써, 구매자로 하여금 안심하고 상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한다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상거래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상거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구매자가 웹 사이트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을 선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판매자가 구매 요청 신호를 확인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판매자의 모습을 촬영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판매자를 촬영한 동영상이 구매자에게 제공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동영상을 확인 후 결제 절차를 진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카메라 앵글에 판매자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재촬영을 요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판매자의 얼굴이 정면으로 촬영되지 않은 경우 재촬영을 요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미리 등록된 사진과의 비교 결과에 따라 재촬영을 요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블랙리스트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판매자에 관한 정보를 구매자들에게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구매자에게 판매자의 동영상 촬영 거부 사실을 통지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블랙리스트에 등재된 판매자가 판매하는 상품에 식별자가 부가된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블랙 리스트에 등재된 사유가 표시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판매자에게 제공되는 블랙 리스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블랙 리스트에 등재된 판매자의 과거 판매 이력이 제공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판매자를 촬영한 동영상과 함께 그 판매자로부터 상품을 구매한 다른 구매자들의 상품평을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판매자의 계정이 변경된 경우 이를 구매자에게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판매 회사의 직원 정보를 등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동영상과 동영상에 등장하는 인물의 정보를 함께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200)를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될 수 있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상거래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한 명의 판매자로부터 복수의 구매자가 상품을 구매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다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복수의 판매자와 복수의 구매자가 연결되어 상품을 구매하는 경우도 동일한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상거래 시스템은 판매자와 구매자를 중개하여 전자 상거래 방법을 구현하는 관리 서버(200), 복수의 구매자(300-1, 300-2, 300-3) 및 판매자(400)를 포함한다.
복수의 구매자(300-1, 300-2, 300-3) 및 판매자(400)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데스크탑 PC, 랩탑 등과 같은 단말 장치를 이용하여 관리 서버(200)에 접속한 후 상품을 구매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판매자(400)가 관리 서버(200)에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에 관한 정보를 등록하면 구매자(300-1, 300-2, 300-3)들이 관리 서버(200)에 접속하여 상품을 검색하고 원하는 상품을 선택함으로써 구매할 수 있게 된다.
관리 서버(2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상거래 방법을 통해 구매자(300-1, 300-2, 300-3)가 판매자(400)로부터 원하는 상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한다.
관리 서버(200)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판매자(400)가 등록한 각종 상품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구매자(300-1, 300-2, 300-3)의 상품 구매 요청 신호를 판매자(400)에게 전송하고, 판매자(400)의 얼굴을 촬영한 동영상을 수신하여 이를 구매자(300-1, 300-2, 300-3)에게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관리 서버(200)는 전용선과 같은 통신 라인을 통해 은행이나 신용 카드회사와 연결되어 구매자(300-1, 300-2, 300-3)로 하여금 상품 대금을 결제할 수 있도록 하고, 그 결제대금을 판매자(400)에게 지급하도록 요청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관리 서버(200)에 의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상거래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상거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구매자(300)는 자신이 사용하는 단말 장치를 통해 관리 서버(200)에 접속한 후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웹 사이트를 통해 관리 서버(200)에 접속하거나, 단말 장치에 설치된 전자 상거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관리 서버(200)에 접속하여 원하는 상품을 선택할 수 있다.
구매자(300)가 자신의 단말 장치를 통해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을 선택하면, 구매 요청 신호가 관리 서버(200)로 전송된다(S210).
구매 요청 신호를 수신한 관리 서버(200)는 그 구매 요청 신호에 대응되는 상품의 판매자(400)에게 이를 전송한다(S220).
구매 요청 신호를 수신한 판매자(400)는 자신이 판매하는 상품을 구매한 구매자(300)에 관한 정보 및 주문에 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매자(300)가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에 관한 정보, 주문 수량 등에 관한 정보와 판매자(400)의 연락처, 주소지 등에 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판매자(400)가 상술한 구매자(300)의 구매 요청 신호를 확인할 때, 판매자(400)의 모습이 촬영될 수 있다. 즉, 가상의 공간에서 구매자(300)가 판매자(400)의 얼굴을 확인하지 못하는 상태에서 상품을 구입하고 대금을 지급 야하는 전자 상거래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판매자(400)의 모습을 촬영하는 것이다.
판매자(400)의 모습이 촬영된 동영상은 관리 서버(200)로 전송되고, 관리 서버(200)는 이를 구매자(300)의 단말 장치로 전송하여, 구매자(300)로 하여금 구매 요청 신호를 확인하는 판매자(400)의 실시간 영상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매 요청 신호를 확인하는 판매자(400)의 동영상을 구매자(300)에게 제공함으로써 오프라인에서 상품을 구매하는 것과 유사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즉, 간접적으로나마 구매자(300)가 판매자(400)와 대면할 수 있게 함으로써 구매자(300)에게 신뢰감을 주어 안전한 전자 상거래를 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판매자(400)에게는 익명의 공간에 숨어 하자 있는 상품을 판매할 수 없도록 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구매자(300)가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을 선택한 후 판매자(400)를 촬영한 모습을 제공받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구매자가 웹 사이트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을 선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구매자(300)가 웹 사이트를 통해 관리 서버(200)에 접속하여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을 선택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등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품을 구매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구매자(300)는 상품 구매 사이트를 통해 상품을 검색한 후 자신이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화면에서 구매자(300)가 “구매하기” 버튼을 선택하면 그 상품에 대한 구매 요청 신호가 관리 서버(200)로 전송된다.
구체적으로, 구매 요청 신호에는 구매자(300)가 선택한 상품 종류, 상품 수량에 관한 정보 뿐만 아니라, 구매자(300)의 신상 정보, 배송지 주소 등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판매자(400)는 구매자(300)의 구매 요청 신호를 통해 구매자(300)가 구매한 상품을 배송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판매자가 구매 요청 신호를 확인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매자(300)가 구매 요청 신호를 전송하면, 관리 서버(200)가 이를 판매자(400)에게 전송한다. 판매자(400)는 관리 서버(200)에서 제공된 구매 요청 신호를 통해 어떤 구매자(300)가 어떤 상품을 얼마만큼 구매했는지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관리 서버(200)는 구매 절차를 “입금 대기중”, “발송 요청”, “배송중”, “배송 완료” 단계로 나누어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판매자(400)로 하여금 복수의 구매자(300)에 의한 상품 배송 현황을 한눈에 파악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매자(300)로 하여금 구매 요청 신호가 수신되고, 그 구매 요청에 대한 결제가 미완료된 상태라면 도 4에 도시된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이에, 판매자(400)는 화면상의 “입금 대기중” 메뉴를 선택하여 구매자(300)의 구매 요청 신호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판매자(400)가 구매자(300)의 구매 요청 신호를 확인할 때, 판매자의 모습이 촬영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매 요청 신호에는 구매자(300)가 선택한 상품 종류, 상품 수량에 관한 정보 뿐만 아니라, 구매자(300)의 신상 정보, 배송지 주소 등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판매자(400)가 상품을 배송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이를 확인해야 한다.
따라서, 판매자(400)가 구매 요청 신호를 확인할 때, 판매자의 모습을 촬영하면 판매자의 실시간 모습을 담은 동영상을 생성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판매자의 모습을 촬영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상거래 방법은 구매자(300)의 구매 요청 신호를 확인하는 판매자(400)의 모습을 촬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판매자(400)자가 구매자(300)의 구매 내역을 확인하기 위한 메뉴를 선택하면 동영상 촬영 기능이 활성화되어 판매자(400)의 모습을 촬영할 수 있다.
이는, 가상의 공간에서 상품과 재화가 오고 감에 따라 구매자(300)가 판매자(400)를 확인할 수 없다는 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판매자(400)가 임의로 자신의 모습을 촬영하여 등록하는 경우에 비해 구매 요청 신호를 확인하는 판매자(400)의 모습이 실시간으로 촬영되므로 구매자(300)에게 신뢰감을 줄 수 있게 된다.
동영상 촬영 기능은 판매자(400)의 의사와 상관없이 자동으로 활성화되며, 활성화된 동영상 촬영 기능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활성화되어 판매자(400)의 모습을 촬영할 수 있다.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동영상 촬영 기능이 종료되고, 판매자(400)의 모습을 촬영한 동영상은 관리 서버(200)로 전송된다. 동영상이 촬영되는 동안 판매자(400)는 구매자(300)가 구매한 상품에 관한 정보, 배송 일정 등을 알려주는 안내 멘트를 할 수도 있다.
상술한 과정을 통해 촬영된 판매자(400)의 모습은 구매자(300)에게 제공되어, 구매자(300)로 하여금 자신이 선택한 상품을 판매하는 판매자(400)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판매자(400)가 구매자(300)의 구매 내역을 확인할 때 동영상 촬영 기능이 활성화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동영상 촬영 기능이 활성화되는 시점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판매자(400)가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을 관리 서버(200)에 등록할 때, 혹은 물품을 배송할 때와 같이 다양한 시점에 활성화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판매자를 촬영한 동영상이 구매자에게 제공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판매자(400)의 모습을 촬영한 수신한 관리 서버(200)는 동영상 촬영 사실을 구매자(300)에게 통지하여, 구매자(300)로 하여금 판매자(400)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관리 서버(200)는 구매자(300)의 구매 절차를 “판매자 확인”, “결제 완료”, “배송 준비중”, “배송중” 단계로 나누어 표시할 수 있다.
관리 서버(200)는 판매자(400)의 모습을 촬영한 동영상이 판매자(400)의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되면, 판매자(400)의 동영상 등록 사실을 구매자(300)에게 통지한다.
구매자(300)가 도 6에 도시된 화면에서 “판매자 확인” 메뉴를 선택하면, 판매자(400)의 모습을 촬영한 동영상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 서버(200)에 등록된 판매자(400)의 동영상을 구매자(300)의 단말 장치에 다운로드 되도록 하거나, 스트리밍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구매자(300)는 상술한 과정을 통해 판매자(400)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자신이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의 판매자가 어떤 사람인지, 자신이 주문한 상품의 현재 상태가 어떠한지 등에 관한 정보를 동영상을 통해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간접적으로나마 오프라인에서 판매자(400)와 대면한 상태에서 상품을 구매하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누릴 수 있게 된다. 또한, 구매자(300)는 판매자(400)를 촬영한 동영상을 확인한 후 상품의 구매 여부를 최종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품 판매 페이지에 등록된 판매자(400)의 사진과 동영상에 등장하는 판매자(400)가 상이한 경우, 문제가 있는 판매자(400)라고 판단하여 상품 구매를 보류할 수 있다. 비정상적인 방법으로 상품을 판매 하고자 하는 사람이라면 자신의 얼굴이 노출되는 것을 꺼리는 경우가 일반적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200)는 구매자(300)가 판매자(400)의 모습을 촬영한 동영상을 확인한 후 결제 절차를 진행하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동영상을 확인 후 결제 절차를 진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화면에서 구매자(300)가 “판매자 확인” 메뉴를 선택하면, 판매자(400)의 단말 장치에서 촬영되어 관리 서버(200)로 수신된 동영상이 표시된다.
동영상에는 구매자(300)의 구매 요청 신호를 확인하는 판매자(400)의 모습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구매자(300)에게 제공되는 동영상은 판매자(400)가 미리 등록해둔 것이 아니고, 구매자(300)의 구매 요청 신호를 확인하는 모습을 촬영한 것이므로 구매자(300)는 판매자(400)를 신뢰하고 상품을 구매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구매자(300)에게 제공되는 동영상에는 판매자(400)가 구매자(300)에게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 예를 들어, 배송 일정이나 상품에 대한 재고 정보, 상품의 현재 상태 등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즉, 구매자(300)와 판매자(400)가 대면한 상태에서 상품을 거래하는 전통적인 상품 거래 방식과 유사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게 된다.
판매자(400)의 모습을 확인한 구매자(300)가 상품 구매 여부를 최종적으로 결정하면, 도 7에 도시된 화면의 “결제하기” 버튼을 클릭하여 결제 절차를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즉, 구매자(300)와 판매자(400)간에 신뢰를 형성한 후 결제 절차를 진행하므로, 전자 상거래에서 발생될 수 있는 구매자(300)의 피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반면, 동영상에 판매자(400)의 모습이 식별되지 않거나, 미리 등록된 판매자(400)의 사진과 동영상에 등장하는 판매자(400)의 모습이 상이한 경우 “주문 취소” 버튼을 선택하여 물품 구매를 보류할 수 있다.
비정상적인 상품을 판매하고자 하는 판매자(400)는 자신의 모습이 노출되는 것을 꺼려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동영상에서 판매자(400)가 식별되지 않으면 구매자(300)로 하여금 주문을 취소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매자(300)로 하여금 판매자(400)의 모습을 확인한 후 결제를 진행하도록 하면 전자 상거래에서 발생될 수 있는 피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200)는 구매자(300)에게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판매자(400)를 식별할 수 있는 동영상만이 구매자(300)에게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비정상적인 상품을 판매하는 판매자(400)라면 자신의 모습이 노출되는 것을 꺼려하므로 구매 요청 신호를 확인하는 자신의 모습이 촬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카메라의 앵글에서 벗어나거나, 카메라를 차폐하는 등의 행위를 통해 자신의 모습이 촬영되는 것을 방해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200)는 판매자(400)가 비정상적으로 촬영된 경우 추가적인 촬영을 요청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카메라 앵글에 판매자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재촬영을 요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200)는 얼굴 검출(Face Detection)을 통해 판매자(400)를 촬영한 동영상에 판매자(400)가 등장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재촬영을 요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관리 서버(200)는 판매자(400)의 단말 장치에서 촬영된 동영상에 대해 영상 필터링(filtering), 이진화(binarization), 경계 추출(edge detection), 얼굴 검출(face detection) 등의 단계를 거쳐 동영상 내에 존재하는 판매자(400)의 얼굴을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200)는 동영상 내에 존재하는 판매자(400)의 얼굴을 검출하기 위한 알고리즘으로 Eigenface 기법, Distrivution-Based Methods, Neural Networks, Supprot Vector Machines(SVM), Hidden Markov Model, Naive Bayes Classifier, Boosting approach 중 하나의 알고리즘을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얼굴을 검출하는 방법으로 상술한 기법 이외에 다른 범용적인 알고리즘이 사용되도록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기법을 통해 동영상 내에서 판매자(400)의 얼굴이 검출되지 않으면, 재촬영을 요구할 수 있다.
판매자(400)의 얼굴이 촬영되지 않은 동영상을 구매자(300)에게 전송하는 것은 의미가 없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앵글 내에 판매자(400)가 위치하지 않아 판매자(400)의 얼굴이 검출되지 않으면 재촬영을 하도록 하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다만, 판매자의 얼굴이 검출되는 경우라도 얼굴 정면이 검출되지 않아 얼굴을 식별하기 어려운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판매자의 얼굴이 정면으로 촬영되지 않은 경우 재촬영을 요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동영상에 판매자(400)가 등장하는 경우라도, 판매자(400)의 정면이 촬영되지 않아 얼굴 식별이 불가능한 경우가 있을 수 있다. 판매자(400)의 부주의에 의한 경우 또는 고의로 얼굴 정면이 촬영되지 않도록 한 경우 그 동영상을 구매자(300)에게 제공하더라도, 구매자(300)가 판매자(400)를 확인할 수 없게 된다.
또는, 판매자(400)의 모습이 정면으로 촬영된 경우라도 주변 조명, 카메라 성능 등에 의해 판매자(400)의 얼굴이 온전히 촬영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200)는 사람 얼굴에서 나타나는 특징점, 예를 들면 대칭적인 눈의 형태, 코, 입들에 대한 특징점이 추출되지 않는 경우 재촬영을 하도록 요구할 수 있다.
따라서, 동영상을 제공받는 구매자(300)로 하여금 판매자(400)를 확인하고 신뢰를 형성한 상태에서 상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한편, 비정상적인 거래를 시도하는 판매자(400)가 다른 사람의 동영상이 촬영되도록 하여 자신의 얼굴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200)는 판매자의 얼굴을 촬영한 이미지를 미리 등록하고 촬영된 영상과 비교하여 동일 인물이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 재촬영을 요구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미리 등록된 사진과의 비교 결과에 따라 재촬영을 요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관리 서버(200)는 판매자(400)의 정면을 촬영한 이미지를 기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판매자(400)가 관리 서버(200)에 접속하여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에 관한 정보를 입력할 때, 판매자(400)의 이미지를 등록하게 할 수 있다.
이후, 관리 서버(200)는 판매자(400)가 구매자(300)의 구매 요청 신호를 확인할 때 촬영한 동영상과 기 등록된 판매자(400)의 이미지를 비교하여 동일인물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재촬영을 요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록된 사용자의 동영상이 촬영되도록 요청하는 메시지를 판매자(400)에게 표시할 수 있다.
이는 실제 판매자(400)가 아닌 다른 사람의 모습이 촬영된 동영상이 구매자(300)에게 제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으로, 관리 서버(200)는 촬영된 동영상에서 인물의 얼굴을 검출하고, 그 얼굴 영상에서 특징점을 추출한다. 이후, 추출된 특징점들을 분류할 수 있는 분류기를 통해 기 저장된 이미지들과의 유사도를 산출하여 얼굴을 인식할 수 있다.
이때, 촬영된 동영상에서 얼굴의 특징점을 추출하는 필터로 Gabor 필터, Local Binary Pattern(LBP) 필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기 저장된 이미지들과 유사도를 산출하는 알고리즘으로 Principal Component Analysis(PCA), Fisher Discriminant Analysis(FDA), Independent Component Analysis(ICA)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얼굴 인식 과정에서 사용되는 알고리즘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범용적인 기술이 활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과정을 통해 기 등록된 판매자(400)와 동영상을 통해 촬영된 판매자(400)가 상이하다고 판단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메시지가 표시되어 재촬영을 하도록 요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상거래 방법은 구매자(300)에게 인식 가능한 판매자(400)의 모습을 촬영한 동영상을 제공함으로써, 구매자(300)로 하여금 안심하고 상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한다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한편, 관리 서버(200)가 재촬영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반복적으로 제공하더라도, 판매자(400)가 자신의 모습이 촬영되는 것을 거부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이 경우, 부정 거래로 인한 피해로부터 구매자(300)들을 보호하기 위해 그런 판매자(400)들은 관리 서버(200)를 통해 물품을 판매할 수 없도록 제한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블랙리스트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판매자(400)의 얼굴이 미검출되는 경우 또는 기 등록된 복수의 이미지 중 인식된 이미지와 동일한 이미지가 없는 경우 재촬영을 요청하는 신호가 전송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시 촬영된 동영상에 판매자(400)의 얼굴이 포함되어 있지 않거나, 기 등록된 사용자의 모습이 촬영되지 않은 경우 그 판매자(400)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상거래 방법을 통해 상품을 판매할 수 없도록 제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 설정된 횟수 이내에 기 설정된 요건을 충족하는 동영상이 촬영되지 않은 경우 그 판매자(400)에게 사용 제한을 설정하여 상품을 판매할 수 없도록 할 수 있다.
여기에서, 기 설정된 요건은 판매자(400)를 촬영한 동영상에서 판매자(400)의 얼굴을 인식할 수 있는 최소한의 요건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식된 얼굴의 크기, 상술한 알고리즘을 통한 얼굴 인식률 등이 기 설정된 요건으로 설정될 수 있다.
기 설정된 요건을 충족하는 동영상이 촬영되지 않은 판매자(400)는 비정상적인 방법으로 상품을 판매하려는 판매자(400)로 판단하여, 이러한 판매자(400)로부터 구매자(300)를 보호하기 위해 그 판매자(400)들을 블랙리스트에 등재하고, 그 정보를 구매자(300)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블랙리스트란, 비정상적인 방법으로 물품을 판매하려는 판매자(400)들로 구성된 리스트로써, 판매 제한 조치가 설정된 판매자(400)들의 리스트를 의미한다.
또한, 블랙리스트에 등재된 판매자(400)들에게는 도 11에 도시된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여 더 이상 상품을 판매할 수 없도록 통지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블랙리스트에 등재된 판매자들의 정보는 구매자들에게 제공되어 부정 거래로 인한 피해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판매자에 관한 정보를 구매자들에게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매자(300)가 상술한 과정을 거쳐 블랙리스트에 등재된 판매자(400)의 상품을 선택하면, 그 정보를 구매자(300)에게 제공함으로써 비정상정인 전자 상거래로 인한 피해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게 한다.
구체적으로, 구매자(300)에게 도 12에 도시된 알림 메시지를 제공함으로써 주문한 상품을 취소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는, 구매자(300)가 구매한 상품의 판매자(400)가 구매자(300)가 상품을 선택한 후에 블랙리스트에 등재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매자(300)가 상품을 주문함에 따라 판매자(400)가 구매자(300)의 구매 요청 신호를 확인할 때 판매자(400)의 모습을 촬영하려고 하였으나, 판매자(400)의 의도적인 회피에 의해 그 판매자(400)가 블랙리스트에 등재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이때에도,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알림 메시지를 구매자(300)에게 제공하여, 구매자(300)로 하여금 선택한 상품의 주문을 취소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상거래에서 발생될 수 있는 구매자(300)의 피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또는, 판매자(400)가 자신의 모습이 촬영되는 것을 반복해서 거부하는 경우 이에 관한 메시지를 구매자(300)에게 제공하고, 구매자(300)로 하여금 상품 주문을 취소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구매자에게 판매자의 동영상 촬영 거부 사실을 통지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매자(300)의 상품 구매 과정에서 판매자(400)의 얼굴을 촬영한 동영상이 구매자(300)에게 제공되어져야 함에도 불구하고, 판매자(400)가 반복하여 동영상 촬영을 거부하여 촬영이 실패한 경우 이 사실을 구매자(300)에게 통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판매자(400)를 촬영한 동영상에 판매자(400)가 등장하지 않거나, 판매자(400)를 촬영한 동영상에서 판매자(400)의 얼굴을 식별할 수 없는 경우 또는 실제 판매자(400)가 아닌 다른 사람이 동영상에 등장하여 촬영된 동영상을 구매자(300)에게 제공할 수 없다고 판단되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메시지를 구매자(3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에, 구매자(300)는 관리 서버(200)로부터 수신받은 메시지를 기초로 상품 주문을 계속할지에 대한 결정을 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비정상적인 전자 상거래를 시도하는 판매자(400)라면 자신의 얼굴이 노출되는 것을 꺼리게 되므로 구매자(300)로 하여금 도 13과 같은 메시지를 기초로 상품 주문을 취소하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따라서, 사기와 같은 전자 상거래 피해로부터 구매자(300)를 보호할 수 있다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상거래 방법은 상품 목록 중 블랙리스트에 등재된 판매자가 판매하는 상품에 별도의 식별자를 부가할 수도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블랙리스트에 등재된 판매자가 판매하는 상품에 식별자가 부가된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술한 과정을 거쳐 블랙리스트에 등재된 판매자(400)가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을 등록하면, 그 상품이 블랙리스트에 등재된 판매자(400)에 의해 판매되는 것임을 표시하는 식별자가 부가될 수 있다.
반면, 복수의 구매자(300)들로부터 우수 판매자로 인증된 판매자(400)에게는 우수 판매자임을 표시하는 식별자가 부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식별자(1310) 및 제2 식별자(1320)는 해당 상품이 우수 판매자로 인증된 판매자(400)에 의해 판매되는 상품임을 표시한다.
여기에서, 우수 판매자란 기 설정된 요건을 충족하는 동영상이 촬영된 판매자(400)들을 의미하는 것으로 정상적인 전자 상거래를 기 설정된 횟수 이상만큼 수행한 판매자임을 의미한다.
우수 판매자를 결정하는 기준으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정상적인 전자 상거래를 수행한 횟수 또는 동영상 촬영이 기 설정된 조건을 충족하여 촬영되었는지 여부가 될 수 있다.
반면, 제3 식별자(1330)는 블랙리스트에 등재된 판매자(400)에 의해 판매되는 상품임을 표시한다.
구체적으로, 제3 식별자(1330)가 부가된 상품의 판매자(400)는 기 설정된 횟수 이내에 기 설정된 요건을 충족하는 동영상 촬영이 실패한 판매자(400)로서 자신의 모습이 노출되는 것을 꺼려하는 판매자(400)일 수 있다.
즉, 비정상적인 방법으로 상품을 판매하려고 하는 판매자(400)일 가능성이 높으므로 그러한 판매자(400)들이 판매하는 상품에는 제3 식별자(1330)를 부가하여, 구매자(300)들로 하여금 해당 상품 구매를 재고하도록 하는 것이다.
구매자(300)가 제3 식별자(1330)가 부가된 판매자(400)를 선택하면, 블랙 리스트에 등재된 사유가 표시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블랙 리스트에 등재된 사유가 표시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사용자가 제3 식별자(1330)를 선택하면, 제3 식별자(1330)가 부가된 판매자(400), 즉, 블랙 리스트에 등재된 판매자(400)가 블랙 리스트에 등재된 사유가 표시된다.
예를 들어, 판매자(400)가 동영상 촬영 시 얼굴이 촬영되는 것을 회피하여 촬영된 동영상 내에서 판매자의 얼굴이 식별되지 않은 경우, 그에 대한 구체적인 사유가 구매자(300)에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동영상 촬영이 실패한 경우 실패한 횟수에 관한 구체적이 정보가 표시될 수도 있다.
따라서, 구매자(300)로 하여금 그 판매자(400)가 판매하는 상품을 구매할지 여부에 대해 도움을 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품 판매가 제한된 판매자(400)들로 구성된 블랙 리스트가 구매자(300)들에게 제공될 수도 있다. 따라서, 구매자(300)들은 자신이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의 판매자(400)가 블랙 리스트에 등재되어 있는지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판매자에게 제공되는 블랙 리스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술한 과정을 거쳐 블랙 리스트에 등재된 판매자(400)들에 관한 정보는 구매자(300)들에게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매자(300)가 자신이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의 판매자(400)의 계정을 확인한 후, 도 16에 도시된 화면에서 그 계정을 입력하면 해당 계정을 사용하는 판매자(400)가 블랙 리스트에 등재된 판매자(400)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블랙 리스트에 등재된 판매자(400)들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촬영되는 동영상에 얼굴이 노출되는 것을 꺼려하는 판매자(400)들이므로 비정상적인 전자 상거래를 시도하는 판매자(400)일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구매자(300)들로 하여금 블랙 리스트에 등재된 판매자(400)가 판매하는 상품을 구매하지 않도록 유도함으로써 전자 상거래로 인한 피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한편, 구매자(300)가 판매자(400)의 계정을 입력하여 검색한 결과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블랙 리스트에 등재된 판매자의 과거 판매 이력이 제공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매자(300)가 임의의 판매자(400)의 계정을 입력하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은 판매자(400)의 과거 판매 이력이 표시된다.
구체적으로, 구매자(300)가 검색한 계정을 사용하는 판매자(400)가 블랙 리스트에 등재되어 있는지 여부, 과거 판매한 상품에 관한 정보 및 블랙 리스트에 등재된 사유가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구매자(300)는 판매자(400)의 과거 판매 이력을 참고하여 그 판매자(400)로부터 상품을 구매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블랙리스트에 등재된 판매자(400)가 다른 계정을 통해 상품을 판매하려고 시도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상거래 방법은 동영상에 등장하는 판매자의 얼굴을 인식하여 그 판매자로부터 상품을 구매한 다른 구매자(300)들의 상품평을 제공할 수도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판매자를 촬영한 동영상과 함께 그 판매자로부터 상품을 구매한 다른 구매자들의 상품평을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A”라는 계정을 사용하는 판매자(400)가 블랙리스트에 등재되어 그 계정을 통해서는 상품을 판매할 수 없게 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품을 구매한 구매자(300)에게 자신의 모습이 촬영된 동영상이 제공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 카메라를 가리거나, 다른 사람이 촬영되도록 한 결과 그 판매자(400)가 블랙리스트에 등재될 수 있다.
이에, “A”라는 계정을 통해 상품을 판매할 수 없게 된 판매자(400)는 다른 사람의 명의로 “B”라는 계정을 생성하여 상품 판매를 시도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상거래 방법은 판매자(400)의 이미지 또는 동영상으로부터 판매자(400)의 얼굴을 인식하고, 인식된 결과에 그 판매자(400)로부터 상품을 구매한 구매자(300)들의 상품평을 매칭시켜 그 판매자(400)가 다른 계정을 사용하더라도 그 판매자(400)에 대한 다른 구매자(300)들의 상품평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200)는 “A”라는 계정을 사용하는 판매자(400)의 이미지를 등록하도록 하거나, 이전에 촬영된 동영상으로부터 얼굴을 인식하여 그 결과를 저장하고, 이와 함께 그 판매자(400)로부터 상품을 구매한 다른 구매자(300)들의 상품평을 저장할 수 있다.
즉, 관리 서버(400)는 인식된 판매자(400)의 얼굴에 그 판매자(400)가 판매한 상품의 구매평들을 매칭시켜 저장한다.
따라서, 그 판매자(400)가 다른 계정을 사용하더라도 인식된 판매자(400)의 얼굴에 매칭되는 상품평들을 표시함으로써 구매자(300)들로 하여금 판매 이력을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판매자(400)로부터 상품을 구매한 구매자(300)에게 그 판매자(400)의 모습을 촬영한 동영상을 제공할 때, 판매자(400)의 얼굴을 인식한 후, 인식된 얼굴에 대응되는 상품평들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즉, 구매자(300)들로 하여금 판매자(400)가 판매한 다른 상품들의 판매 이력을 확인하게 함으로써 판매자(400)를 믿고 상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200)는 판매자(400)가 사용하는 계정이 변경된 경우, 판매자(400)의 계정이 변경된 사실을 구매자(300)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판매자의 계정이 변경된 경우 이를 구매자에게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200)는 판매자(400)를 촬영한 동영상에서 판매자(400)의 얼굴을 인식한 후, 인식된 얼굴을 판매자의 계정과 매칭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얼굴이 인식된 판매자(400)가 과거 사용하던 계정이 “A”이고 현재 사용하는 계정이 “B”라면, 계정 “B”를 사용한 판매자(400)에게 물건을 구매한 구매자(300)에게 판매자의 과거 계정 “A”에 관한 정보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판매자(400)를 촬영한 동영상을 구매자(300)에게 제공할 때, 판매자(400)가 사용한 과거 계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특정 계정으로 부정한 방법으로 상품을 판매한 후, 그 판매 이력을 감추기 위해 계정을 변경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상술한 방법을 통해 판매자(400)의 과거 계정을 확인한 구매자(300)는 그 계정의 과거 판매 이력을 확인하여, 상품을 판매하는 판매자(400)가 신뢰할만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부정 사용자들이 계정을 교체해가며 상품을 판매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판매자(400)가 1인인 경우만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다수의 직원으로 구성된 법인이나 회사가 판매자(400)가 될 수 있다. 따라서, 판매자(400)의 모습을 촬영한 동영상을 구매자(300)에게 제공할 때, 다수의 직원 중 누구를 촬영한 영상을 제공해야 하는지 어려운 상황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직원 중 임의의 직원의 모습을 촬영한 동영상을 구매자(300)에게 제공하더라도, 구매자(300)가 그 직원이 실제 판매자(400)인지 여부를 확인하기 어려운 상황이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200)는 판매자(400)가 다수의 직원으로 구성된 법인이나 회사인 경우, 그 직원들에 대한 정보를 미리 등록하도록 하고 해당 직원 중 한 명을 촬영한 동영상을 구매자(3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판매 회사의 직원 정보를 등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판매자(400)가 다수의 직원으로 구성된 법인이나 회사인 경우, 관리 서버(200)는 그 직원들에 대한 정보를 미리 입력받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사나 법인에 대한 조직도, 해당 조직에 속한 조직원, 조직원의 신상정보 및 사진 등에 관한 정보를 미리 입력받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회사의 조직원으로 등록된 직원들은 그 회사에서 판매하는 상품들에 대한 구매 요청 신호를 확인할 수 있다. 즉, 구매 요청 신호를 확인하는 사람들이 판매 회사의 직원들이므로, 판매 회사의 직원 중 적어도 한 명의 모습을 촬영한 동영상이 구매자(300)에게 제공될 수 있다.
구매 요청 신호를 확인하는 직원의 모습을 촬영한 동영상과 함께 판매 회사의 직원들에 대한 정보도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구매 요청 신호를 확인하는 직원을 촬영한 동영상이 구매자(300)에게 전송되는데, 이를 확인한 구매자(300)는 동영상에 등장하는 인물이 누구인지 확인할 수 없게 되는 상황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판매 회사의 직원들에 대한 정보, 예를 들면 도 20에 도시된 판매 회사의 조직도를 제공받은 구매자(300)는 동영상에 등장하는 인물이 누구인지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다수의 직원으로 이루어진 회사나 법인에서 판매하는 상품을 구매하더라도, 이를 담당하는 직원들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게 되므로 판매 회사를 신뢰한 상태에서 물품을 구입할 수 있게 된다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한편, 직원들에 대한 정보를 미리 입력받을 때, 직원들에 사진들도 등록하게 하므로 동영상에 등장하는 인물을 인식하여 그 인물에 대한 정보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동영상과 동영상에 등장하는 인물의 정보를 함께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관리 서버(200)에는 복수의 직원들의 이미지가 등록되어 있으므로, 동영상에 등장하는 인물의 얼굴을 인식하여 동영상과 함께 동영상에 대한 인물의 정보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영상에 등장하는 인물의 얼굴과 기 저장된 복수의 직원들의 이미지를 비교하여 동영상에 등장하는 인물이 누구인지 인식한 후 그 결과를 동영상과 함께 구매자(3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매자(300)에게 제공되는 동영상에, 그 동영상에 등장하는 직원에 관한 정보를 함께 제공하여 구매자(300)로 하여금 판매 회사를 신뢰하고 상품을 구매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관리 서버(200)는 상품을 판매하는 회사의 직원을 촬영한 동영상에 대해 영상 필터링(filtering), 이진화(binarization), 경계 추출(edge detection), 얼굴 검출(face detection) 등의 단계를 거쳐 동영상 내에 존재하는 직원의 얼굴을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200)는 동영상 내에 존재하는 직원의 얼굴을 검출하기 위한 알고리즘으로 Eigenface 기법, Distrivution-Based Methods, Neural Networks, Supprot Vector Machines(SVM), Hidden Markov Model, Naive Bayes Classifier, Boosting approach 중 하나의 알고리즘을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얼굴을 검출하는 방법으로 상술한 기법 이외에 다른 범용적인 알고리즘이 사용되도록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200)를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200)는 프로세서(210), 스토리지(220), 메모리(230), NIC(240) 및 버스(250)를 포함한다.
다만, 도 22에 도시된 기능 블록도에는 본 실시예와 관련된 구성요소들만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도 2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전자 상거래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구매자(300)의 구매 요청 신호를 확인하는 판매자(400)의 모습을 촬영하도록 하거나, 촬영된 판매자(400)의 동영상을 구매자(300)에게 전달할 수 있다.
스토리지(220)는 전자 상거래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또한, 복수의 판매자(400)들이 등록한 상품 정보, 판매자(400)들에 대한 신상 정보 및 판매자(400)의 모습을 촬영한 동영상 등이 저장될 수도 있다.
메모리(230)는 전자 상거래 프로그램을 로딩하고, 로딩된 전자 상거래 프로그램은 프로세서(210)에 의해 실행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40)에는 다른 컴퓨팅 장치가 연결된다. 예를 들어, 구매자(300)나 판매자(400)들이 사용하는 단말 장치 등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40)를 통해 관리 서버(200)와 연결될 수 있다.
버스(250)는 상술한 프로세서(210), 스토리지(220), 메모리(23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40) 등과 연결되며, 데이터 이동 통로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상술한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방법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구조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여러 수단을 통하여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4)

  1. 구매자로부터 구매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구매 요청 신호를 판매자에게 전송하는 단계;
    상기 구매 요청 신호를 확인하는 판매자의 모습을 촬영한 동영상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동영상을 상기 구매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상거래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매자의 모습을 촬영한 동영상은,
    상기 판매자가 상기 구매 요청 신호에 포함된 상품 구매 정보를 확인할 때 촬영되는 전자 상거래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동영상 촬영 기능은 상기 판매자가 상기 상품 구매 정보 정보를 확인할 때 기 설정된 시간동안 활성화되고, 상기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종료되는 전자 상거래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매자의 모습을 촬영한 동영상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판매자의 모습을 촬영한 동영상이 수신된 사실을 상기 구매자에게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상거래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을 확인한 판매자로부터 최종 확인 신호가 수신되면 결제를 진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 상거래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매자의 모습을 촬영한 동영상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동영상에서 상기 판매자의 얼굴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판매자의 얼굴이 미검출되면 재촬영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상거래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매자의 모습을 촬영한 동영상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동영상에서 상기 판매자의 얼굴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판매자의 얼굴에서 얼굴의 특징점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얼굴의 특징점이 미추출되면 재촬영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상거래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매자의 모습을 촬영한 동영상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동영상에서 상기 판매자의 얼굴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상기 판매자의 얼굴과 기 저장된 복수의 이미지들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기 저장된 복수의 이미지들 중 상기 검출된 판매자의 얼굴과 일치하는 이미지가 없는 경우 재촬영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상거래 방법.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 설정된 횟수 이내에 기 설정된 요건을 충족하는 동영상이 미수신되면, 상기 판매자가 상품을 판매할 수 없도록 제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 상거래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품을 판매할 수 없도록 제한된 판매자들로 구성된 블랙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 상거래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블랙리스트에 등재된 판매자들이 등록한 상품에, 상기 블랙리스트에 등재된 판매자가 판매하는 상품임을 표시하는 식별자를 부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 상거래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동영상을 상기 구매자에게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동영상에 등장하는 판매자 얼굴을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인식된 판매자 얼굴에 대응되는 상품평을 상기 동영상과 함께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상거래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매자가 복수의 조직원으로 구성된 법인 또는 회사인 경우, 상기 복수의 조직원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동영상을 상기 구매자에게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동영상에 등장하는 조직원의 얼굴을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인식된 조직원에 관한 정보를 상기 동영상과 함께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상거래 방법.
  14. 컴퓨터 장치와 결합하여,
    구매자로부터 구매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구매 요청 신호를 판매자에게 전송하는 단계;
    상기 구매 요청 신호를 확인하는 판매자의 모습을 촬영한 동영상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동영상을 상기 구매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실행하도록 저장 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60079853A 2015-08-10 2016-06-27 전자 상거래 방법 KR1022671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9853A KR102267144B1 (ko) 2015-08-10 2016-06-27 전자 상거래 방법
KR1020210077100A KR102449777B1 (ko) 2016-06-27 2021-06-15 전자 상거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2405A KR101635396B1 (ko) 2015-08-10 2015-08-10 전자 상거래 방법
KR1020160079853A KR102267144B1 (ko) 2015-08-10 2016-06-27 전자 상거래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2405A Division KR101635396B1 (ko) 2015-08-10 2015-08-10 전자 상거래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7100A Division KR102449777B1 (ko) 2016-06-27 2021-06-15 전자 상거래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8767A true KR20170018767A (ko) 2017-02-20
KR102267144B1 KR102267144B1 (ko) 2021-06-18

Family

ID=5826532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9853A KR102267144B1 (ko) 2015-08-10 2016-06-27 전자 상거래 방법
KR1020210077100A KR102449777B1 (ko) 2016-06-27 2021-06-15 전자 상거래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7100A KR102449777B1 (ko) 2016-06-27 2021-06-15 전자 상거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26714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4577A (ko) 2000-06-12 2000-09-05 김윤식 동화상을 이용한 실시간 대화형 전자상거래 방법
KR20010099400A (ko) * 2001-09-25 2001-11-09 권순태 전자상거래 회사 서버 시스템 및 그 물품 판매방법
KR20080077298A (ko) * 2006-12-14 2008-08-22 주식회사 지에스홈쇼핑 인터넷을 통한 오픈마켓에서의 판매자 생방송 판매 서비스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38594B1 (en) * 1999-08-31 2002-08-20 Accenture Llp Delivering service to a client via a locally addressable interface
KR20000063632A (ko) * 2000-07-27 2000-11-06 이문식 판매상품에 대한 실시간 영상 확인과 가격 협상 절차를갖는 전자상거래 방법
KR20060100540A (ko) * 2005-03-17 2006-09-21 주식회사 화신 오프라인 매장과의 연계를 통한 상품 판매 중개 시스템 및그 방법
US10387002B2 (en) * 2013-12-23 2019-08-20 Dilogr, LLC Adding interactivity to slide presentation
CN110662479A (zh) 2017-03-16 2020-01-07 富士胶片株式会社 摄像装置、图像显示系统及图像显示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4577A (ko) 2000-06-12 2000-09-05 김윤식 동화상을 이용한 실시간 대화형 전자상거래 방법
KR20010099400A (ko) * 2001-09-25 2001-11-09 권순태 전자상거래 회사 서버 시스템 및 그 물품 판매방법
KR20080077298A (ko) * 2006-12-14 2008-08-22 주식회사 지에스홈쇼핑 인터넷을 통한 오픈마켓에서의 판매자 생방송 판매 서비스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4267A (ko) 2021-06-21
KR102449777B1 (ko) 2022-09-29
KR102267144B1 (ko) 2021-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57086B2 (en) Automated sensor-based customer identification and authorization systems within a physical environment
US20150081550A1 (en) Remote transaction processing using biometrics
US20230079505A1 (en) Selling and Purchasing Intermediation Method Using Self-Service Stand
KR20110031346A (ko) 구매를 위한 이미지 캡쳐
US8458041B1 (en) Method, medium, and system for reducing fraud by increasing guilt during a purchase transaction
US11587059B1 (en) System and method for instant purchase transactions via image recognition
JP2006221515A (ja) Posシステム
US20150269583A1 (en) Device for face-key purchasing
US20160292757A1 (en) Commercial product evaluation device, method and program
CN110189132A (zh) 人脸支付装置、方法、系统及机器可读存储介质
WO2020119713A1 (zh) 支付方法及装置
KR101635396B1 (ko) 전자 상거래 방법
KR102100339B1 (ko) 중고거래 사기방지를 위한 중고물품 거래 시스템 및 방법
US20150317642A1 (en) Process to query electronic sales receipts with a portable computerized device
KR20180036083A (ko) 허위매물 등록 방지 시스템 및 방법
TWI760521B (zh) 智慧商店購物系統及使用其之購物方法
KR102449777B1 (ko) 전자 상거래 방법
CN110415113A (zh) 金融数据处理方法、装置、服务器及可读存储介质
WO2015178859A1 (en) Method, server and system for dynamic customer/provider data pairing
WO2021251280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KR20200041714A (ko) 해외공동구매 시스템 및 방법
KR20190132803A (ko) 허위매물 등록을 원천적으로 차단한 부동산 거래 시스템 및 방법
US11157917B2 (en) Self-service product return using computer vision and artificial intelligence
WO2017025062A1 (zh) 无纸支付系统及其方法
KR102505140B1 (ko) 이력 관리 보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