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8277A - 오목가슴 기형의 교정 수술용 의료장치 - Google Patents

오목가슴 기형의 교정 수술용 의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8277A
KR20170018277A KR1020160100352A KR20160100352A KR20170018277A KR 20170018277 A KR20170018277 A KR 20170018277A KR 1020160100352 A KR1020160100352 A KR 1020160100352A KR 20160100352 A KR20160100352 A KR 20160100352A KR 20170018277 A KR20170018277 A KR 201700182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calibration
hole
bridge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0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06729B1 (ko
Inventor
박형주
Original Assignee
박형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형주 filed Critical 박형주
Publication of KR201700182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82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67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67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80Cortical plates, i.e. bone plates; Instrumen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cortical plates, or for compressing bones attached to cortical plates
    • A61B17/8061Cortical plates, i.e. bone plates; Instrumen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cortical plates, or for compressing bones attached to cortical plat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bones
    • A61B17/8076Cortical plates, i.e. bone plates; Instrumen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cortical plates, or for compressing bones attached to cortical plat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bones for the ribs or the stern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88Osteosynthesis instruments; Methods or mean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internal or external fixation devices
    • A61B17/8866Osteosynthesis instruments; Methods or mean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internal or external fixation devices for gripping or pushing bones, e.g. approxim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88Osteosynthesis instruments; Methods or mean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internal or external fixation devices
    • A61B17/8869Tension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88Osteosynthesis instruments; Methods or mean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internal or external fixation devices
    • A61B17/8872Instruments for putting said fixation devices against or away from the b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2017/681Alignment, compression, or distraction mechanis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eur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오목가슴 교정장치는, 띠 형상의 판재로서, 각 단부에 길이 방향으로 제 1 장공을 형성한 두 개가 각각 환자 신체의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를 이룬 교정막대와; 길이 방향의 일부가 꺾인 판 형상으로, 꺾인 일측은 늑골의 상부 또는 하부에 걸쳐지고, 타측은 상기 교정막대의 외측면에 대향하고, 일측과 타측 중 적어도 타측에 길이 방향으로 제 2 장공을 형성한 걸이부재; 길이 방향 양단 부위에 이미 결정된 상하 배치의 제 1 장공 내에서 상기 교정막대들 단부 방향 또는 중심 방향 위치에 각각 대응하여 각각 이미 설정한 제 1, 2 간격의 관통홀을 형성한 제 1, 2 브릿지; 및 늑골과 상기 교정막대 사이에 놓이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외면에서 돌출한 형상으로 상기 제 1 장공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슬라이드와, 상기 슬라이드의 외면 중심에 마련한 제 1 체결부와, 상기 제 1 체결부와 함께 체결하여 상기 제 1, 2 장공 및 관통홀이 겹치는 부위를 통해 그 사이에 놓이는 상기 교정막대와 걸이부재 및 브릿지를 가압 고정하는 제 2 체결부로 구성한 체결부유닛;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간격은 상기 제 1 간격에 대하여 이미 설정한 범위 내에서 크거나 작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오목가슴 기형의 교정 수술용 의료장치{MEDICAL EQUIPMENT FOR REPAIR OPERATION OF PECTUS EXCAVATUM DEFORMITY}
본 발명은 오목가슴 기형의 교정 수술용 의료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교정막대를 이용하여 흉골과 늑연골이 교정될 때까지 그 내측을 받쳐 지지토록 함에 있어서, 교정막대가 교정 범위 내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오목가슴 기형의 교정 수술용 의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슴을 이루는 흉벽의 기형은 크게 함몰흉이라 일컫는 오목가슴과 돌출흉이라 부르는 볼록가슴으로 구분하고 있다.
가슴뼈의 구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늑골(10), 흉골(12), 늑연골(14), 척추(16)가 서로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이러한 가슴뼈의 구조에서 오목가슴과 볼록가슴은, 늑골(10)의 기형이 아니라 대부분 가슴 앞쪽의 중심에 있는 흉골(12)과 늑골(10) 사이를 연결하는 늑연골(14)의 이상에 의한 것이다.
이러한 증세는 출생시에 오목하거나 볼록한 정도가 심하지 않다가 자라면서 점차 심해지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특히, 오목가슴의 경우는 함몰된 흉벽이 심장이나 폐를 압박하는 것으로 해당 부위에 대한 기능성 장애를 유발하기도 한다.
이러한 오목가슴의 치료법에는 라비치 수술법과 너스 수술법이 알려져 있다.
전자인 라비치 수술법은, 앞가슴을 크게 열고 늑연골을 모두 제거하는 형태로 행해지는 것인데, 수술 후에 흉벽이 약해지거나 유착이 생겨 가슴의 부드러운 운동기능이 상실할 뿐 아니라 가슴에 큰 흉터가 남는 문제가 있다.
후자인 너스 수술법은, 1997년 미국의 도널드 너스(Donald Nuss)에 의해 창안된 것으로서, 라비치 수술법을 대신하여 오목가슴을 교정하는 수술법이다.
또한, 너스 수술법은, 도 2(a)에서 해칭(hatching:H)으로 표시한 흉벽 부위가 함몰된 환자에 대하여, 양쪽 겨드랑이 아래 부위를 약 1∼2㎝ 절개하고, 그 절개 부위를 통해 굽은 교정막대(18)를 도 2(a)와 도 2(b)에서 표현된 바와 같이 집어넣는다.
다음 과정은, 굽은 교정막대(18)를 도 2(a)와 도 2(b)의 화살표(A) 방향으로 회전시켜 도 2(c)의 표현과 같이 함몰된 흉골(12)과 늑연골(14)을 외측으로 밀어내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다음 과정은, 교정막대(18)의 양단 부위를 대응하는 늑골(10) 부위로부터 지지를 받도록 하여 정상적인 흉벽 형상으로 교정될 때까지 시간을 두고 지켜보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너스 수술법은, 기존 라비치 수술법에 비하여 수술자국이 가슴 양측면에 1∼2㎝ 정도밖에 남지 않고, 늑연골(14)을 절제하지 않으며, 정상적인 흉벽을 이루도록 교정하는 것으로 가슴의 유연성과 탄력성을 유지할 뿐 아니라 수술시간도 짧고 수술시 출혈량이 적은 장점 등이 있다.
이러한 너스 수술법에 있어서, 교정막대(18)는 흉골(12)과 늑연골(14)이 교정될 때까지 본래의 상태로 돌아가려는 흉골(12)과 늑연골(14)의 복원력에 대응하여 교정 위치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어야 한다.
여기서는, 흉골(12)과 늑연골(14)의 교정 과정과 그에 따른 교정막대(18)와의 상관관계에 대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흉골(12)과 늑연골(14)은, 도 2(b)에서 도 2(c)로 변화한 교정 초기에 기형인 상태로 복귀하려 힘을 교정막대(18)에 제공하고, 그 복원력은 초기에 강하다가 이후의 교정이 완료될 때까지 점차 완화한다.
상술한 교정 과정 중 교정 초기에 시술자는 환자에 대응하는 교정 치수와 형상의 설계로 이루어진 교정막대(18)를 흉골(12)과 늑연골(14)의 강한 복원력에 대항하여 흉골(12)과 늑연골(14)이 교정 위치에 있도록 배치하고, 그 상태를 유지하도록 교정막대(18)의 양단 부위를 대응하는 늑골(10)에 지지를 받도록 고정한다.
즉, 교정막대(18)는 시술자의 감각에 의존하여 도 2(b)에서 도 2(c)로 회전 위치된 상태이면서 동시에 시술자의 힘에 의존하여 복원력에 대항하여 늑골(10)에 지지를 받는 상태로 놓인다.
또한, 교정막대(18)는 흉골(12)과 늑연골(14)의 복원력에 대응하여 지속적인 탄성력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교정막대(18)의 탄성은, 흉골(12)과 늑연골(14)의 복원력에 대응하기 위함 뿐 아니라 늑골(10)과 더불어 환자의 심폐운동 운동 및 외부로부터 작용하는 물리적인 힘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에 있다.
따라서, 교정 초기의 교정막대(18)는, 도 2(c)에서 화살표(B) 방향으로 작용하는 흉골(12)과 늑연골(14)의 강한 복원력의 영향을 받아 길이 방향 중간 부위가 화살표(B')와 같이 설계 치수보다 펼쳐지고, 동시에 교정막대(18)의 길이 방향 양단 부위는 화살표(B")와 같이 상호 벌어진다.
이때, 교정막대(18)의 탄성적 변화는, 그 일 예로서 도 2(d) 중 교정 초기의 상태를 나타낸 점선의 표현에서 설계에 따른 교정위치를 나타낸 실선의 표현과 같이 변화한다.
이러한 변화는 흉골(12)과 늑연골(14)의 복원력이 작용하는 힘과 방향 및 늑골(10)에 지지를 받는 정도에 따라 차이를 갖는다.
즉, 교정막대(18)는, 교정 초기에서 교정이 완료되기까지 흉골(12)과 늑연골(14)의 복원력에 탄력적으로 대응하는 구성이고, 교정막대(18)의 길이 방향 양단 부위를 통한 고정은 흉골(12)과 늑연골(14)의 복원력과 그에 따른 교정막대(18)의 탄성적 변형에 대응할 수 있도록 늑골(10)의 길이 방향에 대응하여 변위가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부연하자면, 교정막대(18)의 위치 특히 양측 단부의 고정 위치는, 일정하게 유지되지 않으며, 흉골(12)과 늑연골(14) 및 늑골(10)의 교정에 따른 변화와 교정막대(18)의 탄성 복원 변형에 대응하여 전후좌우 방향으로의 유격(변위) 범위를 갖는다.
또한, 교정막대(18)의 고정이 이루어지는 늑골(10)은, 만곡 형상에 의해 교정하기 전의 위치에서 도 2(c)의 화살표(B)와 같이 변화한 상태이고, 교정 과정에서도 그 부위는 작지만 계속적으로 변화는 관계에 있다.
이와 더불어 교정막대(18)에 대한 흉골(12)과 늑연골(14)의 복원력의 작용은, 교정막대(18)의 중심 부위를 통해 전후좌우 방향뿐 아니라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늑골(10)에 지지를 받는 교정막대(18)의 양단 부위를 기준으로 한 상하 방향으로 선회할 수 있다.
이에 따른 교정막대(18)의 회전은, 교정 불량은 물론 그 회전 위치에 따라 환자의 장기를 압박하여 손상시키는 문제를 야기할 수 있고, 시술자는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각별한 주의를 필요로 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37957호(2011.05.31.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828111호(2008.05.07. 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 해결과 필요성을 보완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교정 과정에 있는 흉골과 늑연골의 복원력 변화와 그에 따른 교정막대의 전후좌우 방향의 변위를 포함한 변형관계 및 이에 대응하면서 동시에 교정막대의 중심 부위가 상하 방향으로 선회하는 것을 방지토록 하는 오목가슴 기형의 교정 수술용 의료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목가슴 교정장치의 특징적인 구성은, 폭, 두께, 길이, 벤딩 형상, 강성 및 탄성 복원력이 이미 결정된 환자의 각 설치 부위에 대응하는 설계로 이루어진 띠 형상의 판재로서, 각 단부에 길이 방향으로 나란하게 제 1 장공을 형성한 두 개가 각각 환자 신체의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를 이룬 교정막대와; 길이 방향의 일부가 꺾인 판 형상으로, 꺾인 부위의 일측은 늑골의 상부 또는 하부에 걸쳐지고, 꺾인 부위의 타측은 상기 교정막대의 외측면에 교차하는 형상으로 대향하고, 꺾인 부위의 일측과 타측 중 적어도 타측에는 길이 방향으로 나란하게 제 2 장공을 형성한 걸이부재; 길이 방향 양단 부위에 이미 결정된 상하 배치의 제 1 장공 내에서 상기 교정막대들 단부 방향 위치에 대응하여 이미 설정한 제 1 간격의 관통홀을 형성한 제 1 브릿지와; 상기 제 1 브릿지와 세트를 이루며, 길이 방향 양단 부위에 이미 결정된 상하 배치의 제 1 장공 내에서 상기 교정막대들 중심 방향 위치에 대응하여 이미 설정한 제 2 간격의 관통홀을 형성한 제 2 브릿지; 및 늑골과 상기 교정막대 사이에 놓이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외면에서 돌출한 형상으로 상기 제 1 장공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슬라이드와, 상기 슬라이드의 외면 중심에 마련한 제 1 체결부와, 상기 제 1 체결부와 함께 상기 제 1, 2 장공 및 관통홀이 겹치는 부위를 통해 상기 제 1 체결부와의 체결로 사이에 놓이는 상기 교정막대와 걸이부재 및 브릿지를 가압 고정하는 제 2 체결부로 구성한 체결부유닛;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간격은 상기 제 1 간격에 대하여 이미 설정한 범위 내에서 크거나 작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2 브릿지는 상기 걸이부재로부터 벗어난 상기 교정막대들의 제 1 장공에 각각 대응하여 체결부유닛으로 고정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는, 상기 지지부의 외면에서 돌출한 높이가 상기 교정막대의 두께 이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걸이부재와 브릿지의 고정은, 상기 슬라이드 외면의 지지를 받아 상기 제 1 체결부와 제 2 체결부의 체결로 이루어지게 하여, 상기 교정막대가 상기 슬라이드의 안내를 받아 제 1 장공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제 1 체결부는 상기 지지부의 외면에서 일체로 돌출한 볼트로 형성하고, 상기 지지부는 판 형상으로 상기 교정막대의 외측으로 연장 돌출하여 상기 제 2 장공에 끼워지는 플러그를 형성하며, 상기 제 1 체결부 주연의 외면에 제 1 요철면을 형성한 것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슬라이드는 상기 볼트가 관통하는 홀을 형성한 것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홀 주연의 내측면과 외측면에 상기 제 1 요철면에 대응하는 제 2 요철면을 형성한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오목가슴 교정장치의 특징적인 구성은, 폭, 두께, 길이, 벤딩 형상 및 강성과 탄성 복원력이 이미 결정된 환자의 설치 부위에 대응하는 설계로 이루어지고, 길이 방향 양측 단부에서 폭의 중간 부위를 따라 배열을 이룬 제 1 장공을 형성한 교정막대와; 길이 방향의 일부가 꺾인 판 형상으로, 꺾인 부위의 일측은 늑골의 상부 또는 하부에 걸쳐지고, 꺾인 부위의 타측은 상기 교정막대의 외측면에 교차하는 형상으로 대향하고, 꺾인 부위의 일측과 타측 중 적어도 타측에는 길이 방향으로 나란한 제 2 장공을 형성한 걸이부재; 및 체결부유닛;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체결부유닛은, 늑골과 상기 교정막대 사이에 놓이는 판 형상으로 외면 중심에 일체로 돌출한 볼트를 구비하고, 측부에 상기 제 2 장공에 끼워지게 연장한 형상의 플러그를 구비하며, 상기 볼트 주연의 외면에 제 1 요철면을 형성한 지지부와; 상기 제 1 장공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고, 중심 부위에 상기 볼트가 끼워지는 홀을 형성하며, 상기 홀 주연의 내측면과 외측면에 상기 제 1 요철면에 대응하는 제 2 요철면을 형성한 슬라이드; 및 상기 제 1, 2 장공 및 관통홀이 겹치는 부위를 통해 돌출한 상기 볼트와 체결이 이루어져 그 사이에 놓이는 상기 걸이부재를 가압 고정하는 너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두 개의 교정막대가 흉골의 상부와 하부로 구분하여 배치됨으로써 교정에 필요한 강성 및 탄성을 분할함과 동시에 하나 설치한 것보다 그 지지 영역을 더욱 확대함으로써 안정적이며, 상하 배치의 교정막대들은 흉골과 늑연골의 복원력을 분산시킴과 동시에 상호 보완적으로 선회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교정막대를 지지하는 체결부유닛은 흉골과 늑연골의 교정 전으로의 복원력과 외부로부터 가슴을 누르는 물리적인 힘에 대응하여 교정막대의 탄성 변형과 병행한 전후 방향으로의 변위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교정막대의 중간 부위가 양단 부위를 기준으로 선회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교정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변형 실시예인 제 3 브릿지는 상하 배치의 교정막대들 상호 간의 고정 위치 간격을 지지할 뿐 아니라 교정막대들의 선회 가능성을 상호 보완적으로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흉부를 이루는 뼈의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a 내지 도 2d는 너스 수술에 따른 오목가슴 기형의 교정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계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목가슴 기형의 교정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과장하여 표현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교정막대와 걸이부재 및 브릿지가 체결부유닛에 의해 설치되는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화결합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목가슴 기형의 교정 수술용 의료장치의 구성과 이들 구성을 통한 설치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목가슴 기형의 교정장치들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될 것이 아니라,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 상부의 표현은 환자가 직립한 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머리 방향 또는 그 방향에 있는 부위를 가리키는 것으로 하고, 하부의 표현은 상부의 표현과 반대로 다리 방향 또는 그 방향에 있는 부위를 가리키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내측의 표현은 척추와 늑골, 연늑골 및 흉골로 둘러싸인 안쪽 부위 또는 그 방향을 지칭하는 것으로 하고, 외측의 표현은 내측의 반대 부위 또는 그 방향을 지칭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더불어, 전방의 표현은 환자가 직립한 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내부에서 정면 방향 또는 그 방향에 있는 부위를 지칭하는 것으로 하고, 후방은 환자의 내부에서 등 방향 또는 그 방향에 있는 부위를 지칭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겠으며, 종래와 동일 내지 동일하게 인식될 수 있는 것에 대하여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목가슴 기형의 교정 수술용 의료장치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 개의 교정막대(20, 20')와, 각 교정막대(20, 20')의 양단이 놓이는 각 늑골(10)의 상부 또는 하부에 걸쳐지는 걸이부재(22)와, 두 개의 교정막대(20, 20') 사이를 연결하는 브릿지(24, 24') 및 이들을 상호 간에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체결부유닛(26, 26')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 중 교정막대(20, 20')들은, 이미 결정된 환자의 각 설치 부위에 대응하여, 교정막대(20, 20')의 폭(W1)과, 두께(T1)와, 길이와, 길이 방향이 이미 결정된 환자의 각 설치 부위에 대응하도록 한 벤딩 형상 및 그에 따른 탄성 복원력까지 고려한 설계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교정막대(20, 20')들의 탄성 복원력은, 설치 부위에서의 흉골(12)과 늑연골(14)의 기형 정도와 그에 따른 교정 전 형상으로 복원하려는 복원력 정도에 대한 계속적으로 축적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설계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들 교정막대(20, 20')는 각각 길이 방향 양단부에 폭(W1)의 중간 부위를 따라 배열을 이룬 제 1 장공(20a, 20a')을 형성하고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구성 중 걸이부재(22)는, 이미 설계에 따른 폭(W2)과 길이 및 두께(T2)를 가지며 길이 방향의 일부가 꺾인 판 형상을 이루고, 꺾인 부위를 기준으로 한 일측은 늑골(10)의 상부 또는 하부에 걸쳐지며, 꺾인 부위를 기준으로 한 타측은 교정막대(20, 20')와 교차하는 형상으로 근접 대향하도록 놓인다.
또한, 걸이부재(22)는, 꺾인 부위의 일측과 타측 중 적어도 타측에 길이 방향으로 배열을 이룬 제 2 장공(22a)을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 제 2 장공(22a)은, 비록 도면에서 걸이부재(22)의 꺾인 부위 일측과 타측에 각각 형성한 것으로 표현하였으나, 걸이부재(22)의 타측에서 꺾인 부위를 거쳐 일측으로 이어지는 형상일 수 있고, 또는 꺾인 부위를 기준으로 한 타측에만 형성한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렇게 걸이부재(22)에 형성한 제 2 장공(22a)에 있어서, 꺾인 부위를 중심으로 한 타측에 걸이부재(22)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한 것은, 후술하겠으나 체결부유닛(26, 26')의 볼트(B)와 너트(N)의 체결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걸이부재(22)의 제 2 장공(22a)을 꺾인 부위를 거쳐 타측에서 일측으로 이어지게 하거나 타측과 일측에 각각 형성토록 한 것은, 후술하는 체결부유닛(26, 26')의 볼트(B)와 너트(N) 상호 간의 체결을 비롯하여 지지부(26a)에서 연장 형성한 플러그(26b)가 끼워져 걸이부재(22)를 지지기반으로 하여 회전 방지 및 이를 통한 교정막대(20, 20')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 중 브릿지(24, 24')는, 폭(W3)과 두께(T3) 및 길이(L3, L3')를 갖는 판 형상의 것으로, 그 길이 방향은 두 개의 교정막대(20, 20')가 환자의 가슴에 대응하여 상하 부위에 각각 배치되는 관계에서 각각의 교정막대(20, 20')와 서로 교차 배치를 이루며, 두 교정막대(20, 20')들이 후술하는 체결부유닛(26, 26')의 볼트(B)와 너트(N)의 체결로 부분적인 고정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상하 배치로 이웃하는 교정막대(20, 20')들 상호 간의 고정 위치 간격(d)이 일정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한 브릿지(24, 24')는, 환자에 대하여 설정한 교정막대(20, 20')들의 상하 고정위치 간격(d, d')에 대응하는 길이(L3, L3')의 것으로 선택되고, 또한 선택된 브릿지(24, 24')는 길이 방향 양단 부위에 환자에 대한 교정막대(20, 20')들의 상하 고정위치 간격(d, d')을 두고 체결부유닛(26, 26')의 볼트(B)에 대응하는 관통홀(h)을 각각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 상술한 브릿지(24, 24') 각각에 형성한 관통홀(h)의 간격(d, d')은, 이웃하는 브릿지(24, 24')들 상호 간에 다르게 형성된다.
또한, 브릿지(24, 24')는 상하 배치의 교정막대(20, 20')들이 상술한 걸이부재(22)를 통해 상호 설정한 고정위치의 간격을 유지토록 고정이 이루어지는 제 1 브릿지(24)와, 제 1 브릿지(24)와 길이가 다른 세트를 이루며 나란하게 설치가 이루어지는 제 2 브릿지(24')로 구성된다.
그리고, 제 2 브릿지(24')의 설치는, 길이(L3') 방향 양단에 형성한 관통홀(h)과 상하 배치의 교정막대(20, 20')들에 형성된 제 1 장공(20a, 20a')이 상호 교차하여 정렬됨을 통해 체결부유닛(26, 26')으로 고정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즉, 제 2 브릿지(24')는, 걸이부재(22)의 구성을 배제할 수 있으며, 교정막대(20, 20')들에 형성된 제 1 장공(20a, 20a')에 대하여 체결부유닛(26')으로 고정됨으로써 제 1 브릿지(24)와는 별도로 교정막대(20, 20')들의 간격을 지지한다.
여기서, 제 2 브릿지(24')는, 그 설치 위치가 제 1 브릿지(24)로부터 전방에 놓일 경우에, 그 길이(L3')와 양단에 형성한 관통홀(h) 사이의 간격(d')이 이웃하는 제 1 브릿지(24)의 길이(L3)와 그 양단에 형성한 관통홀(h) 사이의 간격(d)보다 이미 설정한 비율로 길거나 짧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반대로 설치 위치가 제 1 브릿지(24)의 후방에 놓일 경우에, 제 2 브릿지(24')의 길이(L3')와 양단에 형성한 관통홀(h) 사이의 간격(d')는 이웃하는 제 1 브릿지(24)의 길이(L3)와 그 양단에 형성한 관통홀(h) 사이의 간격(d)보다 이미 설정한 비율로 짧거나 길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상하 배치의 교정막대(20, 20')들의 중간 부위 간격이 제 1 브릿지(24)의 각 관통홀(h)을 기준으로 고정이 이루어지는 간격(d)보다 넓거나 좁게 하여 두 개의 교정막대(20, 20')의 중간 부위가 고정이 이루어지는 양단 부위보다 벌어지거나 좁혀진 상태에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렇게 상하 배치의 교정막대(20, 20')들이 일정 각도(θ)로 상호 벌어지거나 좁혀진 상태에 있도록 한 것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흉골(12)과 늑연골(14)의 교정 전의 위치로 복귀하려는 복원력이 상부 교정막대(20, 20')에 대하여 중간 부위가 상측 방향인 화살표(C) 방향으로 선회하게 하고, 하부 교정막대(20, 20')에 대하여 중간 부위가 하측 방향인 화살표(C') 방향으로 선회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대하여 제 2 브릿지(24')는 상하 배치의 교정막대(20, 20')들의 간격(d and d')이 일정하도록 지지함으로써 흉골(12)과 늑연골(14)의 복원력에 대응하여 상하 배치의 교정막대(20, 20')들이 상호 반대 방향으로 선회할 수 있는 것을 상호 보완적으로 회전을 방지하게 하기 위함에 있다.
즉, 흉골(12)과 늑연골(14)의 복원력에 대응하여 상부 교정막대(20, 20')의 배치는 상측으로 밀어 올려지는 위치에 있고, 하부 교정막대(20, 20')는 그 반대로 하측으로 눌려지는 위치에 있으며, 이들 상하 배치의 교정막대(20, 20')들은 제 1, 2 브릿지(24, 24')에 의해 일정 각도로 벌어진 상태로 고정됨에 의해 상호 보완적으로 교정 위치에서 선회가 방지되는 관계에 있다.
상술한 제 2 브릿지(24')의 설명에 있어서, 제 1 브릿지(24)의 전방에 설치되는 것의 길이를 앞서 설명한 것과는 반대로 제 1 브릿지(24)보다 짧은 것을 선택하거나 제 1 브릿지(24)의 후방에 설치되는 것의 길이를 제 1 브릿지(24)보다 긴 것을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선택은 앞서 설명한 것과 반대로 상하 배치의 교정막대(20, 20')들 중간 부위 사이 간격이 고정이 이루어지는 양단 부위 사이의 간격(d)보다 짧게 형성하기 위한 것이며, 이는 흉골(12)과 늑연골(14)의 복원력 방향 또는 가슴뼈 구조의 내부 장기에 대한 손상 가능성을 고려하여 선택 적용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제 1, 2 브릿지(24, 24')의 선택 및 배치는 환자의 오목가슴 기형에 대응하여 선택 적용된다.
한편, 도 4에 확대 도시한 제 3 브릿지(24")는 다른 실시 예로서, 앞서 설명한 제 1 브릿지(24)와 마찬가지로 상하 배치의 교정막대(20, 20')들 양단 사이를 연결하는 형상으로 배치를 이루고, 제 3 브릿지(24")의 길이(L3") 방향 양단에 형성한 관통홀(h)의 양측 중 적어도 일측에는 연장 돌출한 형상으로 이미 설계에 따른 교정막대(20, 20')들의 배치에 따른 제 1 장공(20a, 20a')에 끼워지는 돌기부(24a")를 형성하고 있다.
이렇게 형성한 돌기부(24a")는 관통홀(h)을 통한 체결부유닛(26, 26")의 고정과 제 1 장공(20a, 20a')의 내벽에 대하여 돌기부(24a")가 지지를 받는 것을 통하여 교정막대(20, 20')들이 제 1 장공(20a, 20a') 방향으로 전후진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교정막대(20, 20')들의 중간 부위가 선회하는 것을 방지토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제 3 브릿지(24")로 연결이 이루어진 상하 배치의 두 교정막대(20, 20')는, 도 4에서와 같이, 제 1 장공(20a, 20a')이 관통홀(h)을 통한 체결부유닛(26 or 26')과 돌기부(20a")의 지지를 받아 전후진 방향으로의 안내를 받음과 동시에 상호 벌어진 각도를 유지한다.
한편, 본 발명을 구성하는 체결부유닛(26, 26')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늑골(10)과 교정막대(20, 20') 사이에 놓이는 지지부(26a, 26a')와, 지지부(26a, 26a')의 외면에서 돌출한 형상으로 제 1 장공(20a, 20a')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슬라이드(26b)와, 슬라이드(26b)의 중심에 마련한 제 1 체결부(26c)와, 제 1, 2 장공(20a, 20a', 22a) 및 브릿지(24, 24', 24")의 관통홀(h)이 겹치는 부위를 통해 제 1 체결부(26c)와의 체결로 사이에 놓이는 걸이부재(22)와 브릿지(24, 24', 24")를 고정하는 제 2 체결부(26d)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술한 슬라이드(26b)는, 지지부(26a, 26a')의 외면에서 돌출한 높이가 교정막대(20, 20')의 두께 이상으로 이루어지고, 걸이부재(22)와 브릿지(24, 24', 24")의 고정은, 슬라이드(26b) 외면의 지지를 받아 제 1 체결부(26c)와 대응하는 제 2 체결부(26d)의 체결로 이루어지며, 교정막대(20, 20')는 슬라이드(26b)의 안내를 받아 제 1 장공(20a, 20a')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한 상태를 이룬다.
또한, 상술한 지지부(26a, 26a')는 판 형상으로 교정막대(20, 20')가 교차하는 부위 외측에 연장 돌출한 형상으로 제 2 장공(22a)에 끼워지는 플러그(26e)를 형성한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제 1 체결부(26c)는 지지부(26a, 26a')의 외면에서 일체로 돌출한 볼트로 이루어지고, 지지부(26a, 26a') 외면 중 볼트 주연 부위에는 제 1 요철면(26f)을 형성한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슬라이드(26b)는 볼트가 관통하는 홀을 형성한 것으로 구성하고, 홀 주연의 슬라이드(26b) 내측면과 외측면에는 제 1 요철면(26f)에 대응하는 제 2 요철면(26g)을 형성한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플러그(26e)를 갖는 지지부(26a)는, 먼저 일체로 형성된 볼트가 상호 교차하는 제 1, 2 장공(20a or 20a', 22a) 및 브릿지(24)의 관통홀(h)을 통해 너트와 체결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제 2 장공(22a)에 대하여 플러그(26e)가 끼워진 상태로 있음에 따라 걸이부재(22)의 지지를 받아 회전이 방지된다.
또한, 걸이부재(22)는 늑골(10)을 지지기반으로 함에 따라 회전이 방지된다.
그리고, 슬라이드(26b)는 체결부유닛(26, 26')을 이루는 볼트와 너트의 체결에 의해 지지부(26a, 26a')에 형성된 제 1 요철면(26f)에 대응하여 제 2 요철면(26g)이 가압으로 접촉함에 의해 회전이 방지된다.
이에 따라 교정막대(20, 20')는 슬라이드(26b)의 지지를 받음으로써 회전이 방지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플러그(26e)와 제 1 요철면(26f)을 형성한 지지부(26a, 26a')와 제 1 요철면(26f)에 대응하는 제 2 요철면(26g)을 형성한 슬라이드(26b) 및 볼트와 너트의 나사체결 구조로 이루어진 체결부유닛(26, 26')은, 흉골(12)과 늑연골(14)의 교정 정도가 한 개의 교정막대(20, 20') 만으로 가능한 경우에도 교정막대(20, 20')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음은 당연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변형 실시 예에 따른 오목가슴 교정장치는, 상술한 브릿지(24, 24', 24")의 구성을 배제하여서도 대응하는 교정막대(20, 20')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10: 늑골 12: 흉골
14: 늑연골 16: 척추
18, 20, 20': 교정막대 22: 걸이부재
24, 24', 24": 브릿지 26, 26': 체결부유닛

Claims (5)

  1. 폭, 두께, 길이, 벤딩 형상, 강성 및 탄성 복원력이 이미 결정된 환자의 각 설치 부위에 대응하는 설계로 이루어진 띠 형상의 판재로서, 각 단부에 길이 방향으로 나란하게 제 1 장공을 형성한 두 개가 각각 환자 신체의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를 이룬 교정막대와;
    길이 방향의 일부가 꺾인 판 형상으로, 꺾인 부위의 일측은 늑골의 상부 또는 하부에 걸쳐지고, 꺾인 부위의 타측은 상기 교정막대의 외측면에 교차하는 형상으로 대향하고, 꺾인 부위의 일측과 타측 중 적어도 타측에는 길이 방향으로 나란하게 제 2 장공을 형성한 걸이부재;
    길이 방향 양단 부위에 이미 결정된 상하 배치의 제 1 장공 내에서 상기 교정막대들 단부 방향 위치에 대응하여 이미 설정한 제 1 간격의 관통홀을 형성한 제 1 브릿지와;
    상기 제 1 브릿지와 세트를 이루며, 길이 방향 양단 부위에 이미 결정된 상하 배치의 제 1 장공 내에서 상기 교정막대들 중심 방향 위치에 대응하여 이미 설정한 제 2 간격의 관통홀을 형성한 제 2 브릿지; 및
    늑골과 상기 교정막대 사이에 놓이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외면에서 돌출한 형상으로 상기 제 1 장공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슬라이드와, 상기 슬라이드의 외면 중심에 마련한 제 1 체결부와, 상기 제 1 체결부와 함께 상기 제 1, 2 장공 및 관통홀이 겹치는 부위를 통해 상기 제 1 체결부와의 체결로 사이에 놓이는 상기 교정막대와 걸이부재 및 브릿지를 가압 고정하는 제 2 체결부로 구성한 체결부유닛;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간격은 상기 제 1 간격에 대하여 이미 설정한 범위 내에서 크거나 작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목가슴 교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브릿지는 상기 걸이부재로부터 벗어난 상기 교정막대들의 제 1 장공에 각각 대응하여 체결부유닛으로 고정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오목 가슴 교정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는, 상기 지지부의 외면에서 돌출한 높이가 상기 교정막대의 두께 이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걸이부재와 브릿지의 고정은, 상기 슬라이드 외면의 지지를 받아 상기 제 1 체결부와 제 2 체결부의 체결로 이루어지며,
    상기 교정막대는 상기 슬라이드의 안내를 받아 제 1 장공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목가슴 교정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체결부는 상기 지지부의 외면에서 일체로 돌출한 볼트로 형성하고,
    상기 지지부는 판 형상으로 상기 교정막대의 외측으로 연장 돌출하여 상기 제 2 장공에 끼워지는 플러그를 형성하며, 상기 제 1 체결부 주연의 외면에 제 1 요철면을 형성한 것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슬라이드는 상기 볼트가 관통하는 홀을 형성한 것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홀 주연의 내측면과 외측면에 상기 제 1 요철면에 대응하는 제 2 요철면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목가슴 교정장치.
  5. 폭, 두께, 길이, 벤딩 형상 및 강성과 탄성 복원력이 이미 결정된 환자의 설치 부위에 대응하는 설계로 이루어지고, 길이 방향 양측 단부에서 폭의 중간 부위를 따라 배열을 이룬 제 1 장공을 형성한 교정막대와;
    길이 방향의 일부가 꺾인 판 형상으로, 꺾인 부위의 일측은 늑골의 상부 또는 하부에 걸쳐지고, 꺾인 부위의 타측은 상기 교정막대의 외측면에 교차하는 형상으로 대향하고, 꺾인 부위의 일측과 타측 중 적어도 타측에는 길이 방향으로 나란한 제 2 장공을 형성한 걸이부재; 및 체결부유닛;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체결부유닛은,
    늑골과 상기 교정막대 사이에 놓이는 판 형상으로 외면 중심에 일체로 돌출한 볼트를 구비하고, 측부에 상기 제 2 장공에 끼워지게 연장한 형상의 플러그를 구비하며, 상기 볼트 주연의 외면에 제 1 요철면을 형성한 지지부와; 상기 제 1 장공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고, 중심 부위에 상기 볼트가 끼워지는 홀을 형성하며, 상기 홀 주연의 내측면과 외측면에 상기 제 1 요철면에 대응하는 제 2 요철면을 형성한 슬라이드; 및 상기 제 1, 2 장공 및 관통홀이 겹치는 부위를 통해 돌출한 상기 볼트와 체결이 이루어져 그 사이에 놓이는 상기 걸이부재를 가압 고정하는 너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목가슴 교정장치.
KR1020160100352A 2015-08-05 2016-08-05 오목가슴 기형의 교정 수술용 의료장치 KR1018067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110646 2015-08-05
KR1020150110646 2015-08-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8277A true KR20170018277A (ko) 2017-02-16
KR101806729B1 KR101806729B1 (ko) 2017-12-08

Family

ID=57943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0352A KR101806729B1 (ko) 2015-08-05 2016-08-05 오목가슴 기형의 교정 수술용 의료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872708B2 (ko)
JP (1) JP6857410B2 (ko)
KR (1) KR101806729B1 (ko)
CN (1) CN107847252B (ko)
DE (1) DE112016003552B4 (ko)
WO (1) WO201702314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79773B1 (en) 2017-02-10 2021-10-06 Zimmer Biomet CMF And Thoracic, LLC Stabilizer holder and inserter tool
CA3054790C (en) * 2017-03-08 2021-10-12 Zimmer Biomet CMF and Thoracic, LLC Pectus bar support devices
TWI627934B (zh) * 2017-04-20 2018-07-01 蘇世寬 漏斗胸自主調整式矯正系統
US11185358B2 (en) 2017-08-31 2021-11-30 Medical Design Innovation, Llc Apparatus and methods for treating pectus excavatum
EP3773279B1 (en) * 2018-04-10 2024-06-26 Pampamed S.r.l. U-bloq chest wall system
CN109259876B (zh) * 2018-11-03 2024-01-30 江苏泰应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内置胸部畸形矫正器械
RU2705916C1 (ru) * 2019-03-07 2019-11-12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учреждение здравоохранения Московской области "Московский областно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клинический институт им. М.Ф. Владимирского" (ГБУЗ МО МОНИКИ им. М.Ф. Владимирского) Способ хирургического лечения воронкообразной деформации грудной клетки
KR102244866B1 (ko) 2019-08-21 2021-04-26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비수술적 오목가슴 교정용 장치 및 교정 방법
RU2741235C1 (ru) * 2020-03-02 2021-01-22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автономное учреждение здравоохранения "Республиканская клиническая больница Министерства здравоохранения Республики Татарстан" Пластина для стабилизации грудной клетки
RU2754388C1 (ru) * 2020-12-22 2021-09-01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учреждение «Национальный медицинский 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центр хирургии имени А.В. Вишневского» Министерства здравоохранения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ФГБУ "НМИЦ хирургии им. А.В.Вишневского" Минздрава России) Способ хирургического лечения воронкообразной деформации грудной клетки у взрослых с криоабляцией межреберных нервов
US20240090925A1 (en) * 2022-09-16 2024-03-21 Texas Scottish Rite Hospital For Children Hook-Spring Plate for Growth Modulation of Immature Rib to Correct Early Onset Scoliosis
WO2024186931A1 (en) * 2023-03-06 2024-09-12 Zimmer Biomet CMF and Thoracic, LLC Pectus bar and stabilizer device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7957B1 (ko) 1990-01-17 1998-07-01 케이츠 제닝스 아아크 토치용 개스 냉각 캐소드
KR100828111B1 (ko) 2007-08-28 2008-05-07 박형주 오목가슴 수술용 교정 막대 고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469176B1 (fr) * 1979-11-13 1986-03-14 Corvisier Pierre Attelle-costale
JP2595336Y2 (ja) * 1993-04-30 1999-05-31 株式会社タグチ 漏斗胸治療用固定板
US6024759A (en) * 1998-05-08 2000-02-15 Walter Lorenz Surgical,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pectus excavatum repair
US6669697B1 (en) * 1998-09-25 2003-12-30 Perumala Corporation Self-retaining bolt for internal spinal stabilizers
KR100504682B1 (ko) 2002-09-28 2005-08-05 메딕스얼라인 주식회사 흉곽기형 교정용 인공보철물
AR037254A1 (es) * 2002-11-06 2004-11-03 Horacio Abramson Un aparato para correccion de malformaciones de la caja toracica, tales como "pectus excavatum" y "pectus carinatum" y metodo para correccion del "pectus carinatum"
KR100740193B1 (ko) * 2007-03-19 2007-07-16 박형주 박리기능을 구비한 오목가슴 교정수술용 유도기
EP2326269B1 (en) * 2008-08-19 2013-10-16 Corporació Sanitària Parc Taulí Device for use in surgical treatment of funnel chest
US8728133B2 (en) * 2009-06-30 2014-05-20 The Penn State Research Foundation Bone repair system and method
KR101037957B1 (ko) 2009-11-26 2011-05-31 박형주 오목가슴 수술용 교정 막대 고정장치
FR2955480B1 (fr) * 2010-01-26 2012-01-06 Christian Choux Dispositif d'osteosynthese de la paroi thoracique
US20110251540A1 (en) * 2010-04-13 2011-10-13 David Notrica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pectus excavatum
US20120178069A1 (en) * 2010-06-15 2012-07-12 Mckenzie Frederic D Surgical Procedure Planning and Training Tool
CN202044327U (zh) * 2011-01-12 2011-11-23 首都医科大学附属北京儿童医院 微创鸡胸胸肋骨沉降手术器械
FR2975582B1 (fr) * 2011-05-23 2013-06-07 Ass Marie Lannelongue Implant d'osteosynthese
KR101349813B1 (ko) * 2011-10-25 2014-01-09 이승진 흉골 교정기기
DE102012104978A1 (de) * 2012-06-08 2013-12-12 Medxpert Gmbh Multidirektionale Thoraxwand-Stabilisation
CN203059880U (zh) * 2013-03-06 2013-07-17 新疆维吾尔自治区人民医院 漏斗胸治疗支撑板固定器及漏斗胸矫正装置
US9743968B2 (en) * 2013-11-14 2017-08-29 Zimmer Biomet CMF and Thoracic, LLC Locking mechanism for pectus bar
BR202013031509U2 (pt) * 2013-12-06 2016-01-12 Davi De Podestá Haje disposição construtiva introduzida em compressor dinâmico de tórax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7957B1 (ko) 1990-01-17 1998-07-01 케이츠 제닝스 아아크 토치용 개스 냉각 캐소드
KR100828111B1 (ko) 2007-08-28 2008-05-07 박형주 오목가슴 수술용 교정 막대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872708B2 (en) 2018-01-23
JP6857410B2 (ja) 2021-04-14
JP2018528843A (ja) 2018-10-04
DE112016003552T5 (de) 2018-04-19
DE112016003552B4 (de) 2022-03-24
US20170156759A1 (en) 2017-06-08
KR101806729B1 (ko) 2017-12-08
CN107847252B (zh) 2020-09-01
WO2017023147A1 (ko) 2017-02-09
CN107847252A (zh) 2018-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6729B1 (ko) 오목가슴 기형의 교정 수술용 의료장치
US2011025154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pectus excavatum
KR20160059014A (ko) 후궁성형술용 스페이서
US20070186990A1 (en) Implantable longitudinal orthopedic supports for accommodating multiple anatomical support requirements
RU2485904C1 (ru) Способ моносегментарной транспедикулярной стабилизации переломов тел нижних грудных и поясничных позвонков
KR101563615B1 (ko) 후궁성형술용 스페이서
KR101037957B1 (ko) 오목가슴 수술용 교정 막대 고정장치
BR112019014026A2 (pt) dispositivo fixador externo de placa óssea
EP3773279B1 (en) U-bloq chest wall system
US10531901B2 (en) Self-adjustable pectus reconstruction system
JP2019536565A (ja) 創外固定器
US10441321B2 (en) Rib hook devices, systems, and methods of use
RU61540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лечения переломов задних отделов таза
RU2317038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хирургического лечения сколиоза
KR101782455B1 (ko) 경추 1번용 임플란트 장치
RU2645960C2 (ru) Растущая четырёхпластинчатая конструкция для лечения искривлений, травм и заболеваний позвоночника у детей
RU2488361C1 (ru) Пластина для коррекции воронкообразной деформации грудной клетки
KR101382156B1 (ko) 척추뼈의 천공 위치와 스크류의 고정위치를 미리 설정할 수 있는 지그
RU2584810C1 (ru) Способ инструментальной фиксации, по меньшей мере, части грудного и/или поясничного отдела позвоночника к тазу при различных заболеваниях позвоночника
RU2587643C1 (ru) Способ оперативного лечения грудопоясничного сколиоза
JP2018011955A (ja) 脊椎固定アセンブリ
CN110368150B (zh) 一种椎体复合性修复系统
RU2200498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позиции и фиксации костей скелета
SU1574220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перативного лечени искривлений позвоночника
RU2596094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фиксации поясничного отдела позвоночник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