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9813B1 - 흉골 교정기기 - Google Patents

흉골 교정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9813B1
KR101349813B1 KR1020110109418A KR20110109418A KR101349813B1 KR 101349813 B1 KR101349813 B1 KR 101349813B1 KR 1020110109418 A KR1020110109418 A KR 1020110109418A KR 20110109418 A KR20110109418 A KR 20110109418A KR 101349813 B1 KR101349813 B1 KR 1013498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ar
sternum
correction
calibration
ster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9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5007A (ko
Inventor
손영호
이기태
이승진
Original Assignee
이승진
(주)케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진, (주)케어테크 filed Critical 이승진
Priority to KR10201101094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9813B1/ko
Publication of KR201300450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50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98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98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80Cortical plates, i.e. bone plates; Instrumen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cortical plates, or for compressing bones attached to cortical plates
    • A61B17/8061Cortical plates, i.e. bone plates; Instrumen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cortical plates, or for compressing bones attached to cortical plat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bones
    • A61B17/8076Cortical plates, i.e. bone plates; Instrumen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cortical plates, or for compressing bones attached to cortical plat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bones for the ribs or the sternu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흉골 교정기기에 관한 것으로, 흉골 교정기기는, 흉골 기형을 교정하기 위하여 함몰된 흉골 내측에 삽입되는 교정지지바아; 흉골 외측에 삽입되어 교정지지바아와 나란하게 마련되는 보조지지바아; 및 교정지지바아와 보조지지바아의 연결 영역에 마련되어 보조지지바아에 대해 교정지지바아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함몰된 흉골 내부로 삽입되는 교정지지바아를 흉골 외측에 삽입되는 보조지지바아를 통해 고정시켜 장기간의 교정 기간동안 교정지지바아의 이동 및 회전을 저지할 수 있어 정확한 흉골 교정을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흉골 교정기기{orthodontic appliance for pectus excavatum}
본 발명은 흉골 교정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함몰된 흉골 내부로 삽입되는 교정지지바아를 흉골 외측에 삽입되는 보조지지바아를 통해 고정시켜 장기간의 교정 기간동안 교정지지바아의 이동 및 회전을 저지할 수 있어 정확한 흉골 교정을 수행하는 흉골 교정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흉골 기형이라 하면 흉골 및 흉곽 또는 늑골 주변 부분이 비정상적으로 함몰 또는 돌출되는 증상을 말한다.
특히, 누두흉(pectus excavatum)은, 앞 흉골(흉곽 또는 늑벽, 이하 흉골이라 함)이 선천적으로 과도하게 함몰된 기형을 말하는 것으로 '함물흉' 또는 '오목가슴' 또는 '깔대기 가슴'이라고도 한다. 신체 증상은 뚜렷한 신체증상은 없으나, 외관상 나쁠 뿐만 아니라 가슴 부위에 위치한 내부 장기의 성장이나 기능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하고 일부 환자, 특히 청소년기의 환자에서는 심한 운동 시 호홉 곤란이나 피로감을 쉽게 느끼기도 하며, 만성 기관지염, 천식 등이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누두흉의 기형은 치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누두흉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경미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다. 종래의 방법으로는 흉골 거상술(sternocostal elevation), 흉골 반전술(sternocostal turnover)등의 외과적 수술 방법이 시행되었는데, 이러한 시술 방식은 흉부의 전단 또는 상하 방향으로 앞 가슴 전체를 절개하고 흉골의 절단을 수반하는바, 수술 과정 자체가 환자에게 위험 부담이 따를 뿐만 아니라 시술 후 큰 흉터를 남겨 환자에게 만족을 줄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수술법의 문제를 보완하기 위하여 1998년 Nuss에 의해 금속 바아(metallic bar)를 이용한 너스 수술법(nuss technique)이 소개되었다. 이는 약 2cm의 절개를 통하여 금속 바아를 삽입한 후 회전시켜 함몰된 흉골을 들어올이는 방식으로서, 금속 바아를 환자 몸속에 고정시키고 장시간 교정 시간(대략 수년)이 요구된다는 문제가 있으나, 종래 가슴을 전면 개복하고 흉골을 절단하는 방식에 비해 최소 침습(minimum invasive) 절개를 통해 시술하므로 감염의 위험이 적은 등 수술 부담이 상대적으로 적으며, 흉터(scar)가 크게 남지 않으며, 시간 비용 면에서 환자에게 만족을 줄 수 있어 안전한 수술법으로 확인되어 현재 응용되는 수술법으로 인정받고 있다.
그러나, 너스 수술법을 통한 흉골 교정 시기가 장시간 요구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장시간 동안 시술한 금속 바가 환자 내부의 최초 시술 위치에서 위치가 변경되어서는 안됨에도, 흉골 내부로 삽입되어 실질적으로 흉골의 교정을 수행하는 교정지지바아가 장기간의 교정 기간동안 제위치에서 고정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위치 변화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교정을 수행하는 시술 위치가 변경되면 정확한 흉골 교정이 수행되기 어렵게 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함몰된 흉골 내부로 삽입되는 교정지지바아를 흉골 외측에 삽입되는 보조지지바아를 통해 고정시켜 장기간의 교정 기간동안 교정지지바아의 이동 및 회전을 저지할 수 있어 정확한 흉골 교정을 수행하는 흉골 교정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흉골 교정기기는 흉골 기형을 교정하기 위하여 함몰된 흉골 내측에 삽입되는 교정지지바아; 상기 흉골 외측에 삽입되어 상기 교정지지바아와 나란하게 마련되는 보조지지바아; 및 상기 교정지지바아와 상기 보조지지바아의 연결 영역에 마련되어 상기 보조지지바아에 대해 상기 교정지지바아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교정지지바아는 상기 흉골을 외측으로 밀어내기 위해 절곡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교정지지바아의 양단부에는 제1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지지바아에는 제2 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1 결합공 및 상기 제2 결합공이 상호 연통되는 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교정지지바아의 양단부에는, 제1 관통공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교정지지바아의 양단부에는, 상기 교정지지바아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교정지지바아의 중심라인으로 함몰된 함몰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1 결합공 및 상기 제2 결합공에 스크루 결합되는 고정몸체; 및 상기 고정몸체의 상단부에서 상기 고정몸체의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함몰 형성되는 고정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홈은 다각 형상의 래치에 대응되는 다각 형상의 래치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각 형상의 래치는 육각래치이고, 상기 다각 형상의 래치홈은 단면이 육각형인 육각래치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몸체의 상단부에는 반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교정지지바아에 걸림결합되는 연장부가 더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교정지지바아가 상기 흉골 내에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교정지지바아의 양단부를 가압 및 지지하는 스테빌라이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테빌라이져는 상기 교정지지바아의 양 단부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교정지지바아에 수직방향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테빌라이저는, 상기 교정지지바아의 외면을 접촉 지지하는 연결몸체부; 상기 연결몸체부의 양측으로 길이 연장되는 길이연장부; 및 상기 길이연장부로부터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길이연장부에는 제2 관통공이 더 형성되며,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함몰홈부에 끼워맞춤되어 상기 교정지지바아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교정지지바아, 상기 보조지지바아 및 상기 고정부는 모두 티타늄 합금 재질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면 함몰된 흉골 내부로 삽입되는 교정지지바아를 흉골 외측에 삽입되는 보조지지바아를 통해 고정시켜 장기간의 교정 기간동안 교정지지바아의 이동 및 회전을 저지할 수 있어 정확한 흉골 교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흉골 교정기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흉골 교정기기에서 교정지지바아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흉골 교정기기에서 보조지지바아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흉골 교정기기에서 고정부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흉골 교정기기에서 스테빌라이져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너스 수술법(nuss technique)은 최소 침습(minimum invasive) 절개를 통해 교정지지바아를 삽입한 후 회전시켜 함몰된 흉골을 들어올이는 방식으로서, 종래 외과적 수술 방식에 비해 수술 부담이 적으며, 우수한 치료법으로 인정받고 있다.
다만, 교정 기간이 상당히 장기간 요구되는데, 교정지지바아를 환자 몸속에 고정시키고 장기간(대략 수년)이 소요된다. 이러한 장기간 동안 교정지지바아가 제위치에서 고정되지 않고, 이동 또는 회전하는 경우 정확한 흉골 교정을 수행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교정지지바아의 고정 방안이 제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흉골 교정기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흉골 교정기기에서 교정지지바아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흉골 교정기기에서 보조지지바아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흉골 교정기기에서 고정부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흉골 교정기기에서 스테빌라이져의 정면도이다.
이하, 설명되는 흉곽 교정기기는 흉곽의 기형 중 특히, 누두흉(funnel chest)이나, 오목 가슴(pectus excavatum) 또는 늑연골(costi-cartilage)의 변형을 교정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흉골 교정기기는 교정지지바아(110)와, 흉골 외측에 삽입되며, 교정지지바아(110)와 나란하게 연결되는 보조지지바아(140)와, 교정지지바아(110)와 보조지지바아(140)의 연결 영역에 마련되어 보조지지바아(140)에 대해 교정지지바아(110)를 고정하는 고정부(120)를 포함한다.
교정지지바아(110)는 흉골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흉골을 밀어내는 역할을 한다. 즉, 흉골 내부에서 누두흉 등 함몰 부분의 하중을 지지하며 구조적 지지체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도 2를 주로 참조하면, 교정지지바아(110)는 장방향으로 길이가 긴 바아 형태로 마련되며, 교정지지바아(110)의 일영역 또는 수개의 영역에는 절곡부가 형성된다. 절곡부는 환자의 흉골 상태 등을 종합하여 형성된다.
또한, 교정지지바아(110)는, 환자마다 누두흉의 정도가 다르므로 함몰 상태에 대응하여 절곡부의 곡률을 변경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에 따라, 시술자가 교정지지바아(110)를 임의의 위치에서 곡률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대칭형 환자 뿐만 아니라 비대칭형 환자에도 적용 가능하다.
이러한 교정지지바아(110)의 양단부에는 복수의 제1 결합공(111)이 형성되고, 이는 보조지지바아(140)와 결합할 때 사용된다.
그리고, 교정지지바아(110)의 양단부에는, 제1 관통공(113)이 형성된다. 제1 관통공(113)에는 봉합사(suture)가 연결되어 교정지지바아(110)를 흉골 또는 늑골(환자의 옆구리 부분)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교정지지바아(110)의 양단부에는, 교정지지바아(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교정지지바아(110)의 중심라인으로 함몰된 함몰홈부(114)가 형성된다. 함몰홈부(114)에는 후술할 스테빌라이져(130)가 연결되어 교정지지바아(110)의 회전 및 이동을 저지시키는데, 스테빌라이져(130)에 대한 설명은 후술한다.
이러한 구성의 교정지지바아(110)는 흉골 내측에 위치하여 함몰된 흉골을 내측에서 지지하는 한편 절곡부를 통해 외측방향으로 흉골을 밀어내도록 하여 흉골 기형을 원상태로 복원시킬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마련되는 교정지지바아(110)의 길이는 환자의 신체 크기에 따라 206 mm부터 406 mm 까지 다양한 길이로 구성되어 시술자가 선택적으로 선택하여 시술할 수 있다. 또한, 한편, 교정지지바아(110)는 흉골의 함몰된 형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하중에 변형이 발생하지 않도록 내구성있는 재질로 마련된다.
보조지지바아(140)는 교정지지바아(110)와 나란하게 마련되어 교정지지바아(110)를 실질적으로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보조지지바아(140)는 흉골 외측에 삽입되며, 고정부(120)를 통해 보조지지바아(140)와 교정지지바아(110)가 상호 고정된다.
보조지지바아(140)는 교정지지바아(110)와 마찬가지로, 장방향으로 길이가 긴 바아 형태로 마련되며, 교정지지바아(110)의 절곡 상태에 대응하게 절곡되어 마련된다.
보조지지바아(140)의 양단부에는 제2 결합공(141)이 형성된다. 그리고 고정부(120)는, 제1 결합공(111)과 제2 결합공(141)이 상호 연통되는 영역에 배치되어, 교정지지바아(110)와 보조지지바아(140)를 상호 결합시킨다.
이러한 보조지지바아(140)는 교정지지바아(110)가 고정되도록 보조하는 역할을 한다. 즉, 보조지지바아(140)는 교정지지바아(110)와 함께 작용하여 흉골 교정기기의 강도를 증가시키거나 교정지지바아(110)가 흉골 외측으로 밀어내는 하중을 증가시키기 위한 것이 아니라, 교정지지바아(110)의 회전 또는 이동을 저지시키는 목적으로 마련되는 것이다.
이를 통해, 교정지지바아(110)의 회전/움직임을 제한하여 장기간의 교정 기간동안에도 교정지지바아(110)의 시술 위치가 변경됨을 저지할 수 있어 정확한 흉골 교정을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교정지지바아(110) 및 보조지지바아(140)의 각 단부는 곡면으로 설계되어 체내 삽입 시 연조직(soft tissue)의 손상을 최소화시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보조지지바아(140)의 길이는, 환자의 신체적 특성(흉곽의 폭등)에 따라 다양한 길이 중 어느 하나가 선택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보조지지바아(140)의 길이 구성은 환자의 신체 크기에 따라 200 mm부터 400 mm 까지 다양하게 마련된다.
고정부(1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몸체(121)와, 고정몸체(121)의 상면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고정홈(124), 즉 본 실시 예의 래치홈(124)과, 고정몸체(121)의 상단부에는 반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123)를 포함한다.
고정몸체(121)는 제2 결합공(141) 및 제1 결합공(111)에 스크루 결합되며, 고정몸체(121)의 외주면에는 교정지지바아(110) 및 보조지지바아(140)에 형성된 암나사부(미도시)에 대응되는 수나사부(122)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수나사부(122)가 암나사부의 내측으로 회전 이동함에 따라 교정지지바아(110)에 대한 보조지지바아(140)의 결합력은 강화될 수 있다.
고정홈(124)은 다각 형상의 래치홈(124)으로서, 고정몸체(121)의 상단부에서 고정몸체(121)의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함몰 형성되어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다각 형상의 래치홈(124)은 단면이 육각형인 육각래치홈(124)이고, 다각 형상의 래치(미도시)는 육각래치로 마련된다.
육각래치홈(124)은 해당 육각래치에 결합되며, 육각래치홈(124)에 결합된 해당 육각래치는 고정몸체(121)를 회전시켜 보조지지바아(140)를 교정지지바아(110)에 고정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다만, 본 실시 예에서는 고정홈(124)이 육각 형상의 육각래치홈(124)들을 구비한다고 상술하였으나, 제작이 용이하다면 래치홈은 육각 형상이 아닌 사각 형상 또는 별 형상 등의 다른 형상으로도 마련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고정몸체(121)의 상단부에는 반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교정지지바아(110)의 제1 결합공(111)에 걸림결합되는 연장부(123)가 마련되어 있다.
연장부(123)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몸체(121)의 상단부에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고정몸체(121)와 일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연장부(123)는 교정지지바아(110)에 걸림되는 부분으로서, 고정몸체(121)가 보강지지바아(140) 또는 교정지지바아(110)의 내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한편, 흉골 내측에 마련된 교정지지바아(110)가 함몰된 흉골을 외측으로 밀어내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함몰된 흉골이 내측으로 작용하는 하중에 의해 교정지지바아(110)가 처음에 시술된 위치로부터 위치가 변경되거나, 하중에 의해 비틀어져 회전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대비하여 환자의 흉골의 상태 및 크기 정도에 따라 또는 흉골의 함몰 정도에 따라 교정지지바아(110)를 추가적으로 더 고정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 시술자의 판단에 따라 교정지지바아(110)의 이동 및 회전을 저지시키는 스테빌라이져(130)를 더 포함한다.
스테빌라이져(130)는, 도 5를 참조하면, 교정지지바아(110)의 양단부에 연결되어 교정지지바아(110)가 흉골 내에서 이동 및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교정지지바아(110)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스테빌라이져(130)는, 교정지지바아(110)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게 마련되어 교정지지바아(110)의 단부 외면을 둘러싸며 결합하는 연결몸체부(131)와, 연결몸체부(131)의 양측으로 길이 연장되는 길이연장부(132)와, 길이연장부(132)로부터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함몰홈부(114)와 상호 결합되는 결합돌기(134)를 포함한다.
연결몸체부(131)는 교정지지바아(110)의 단부 영역에 마련되며, 교정지지바아(110)의 단부를 접촉 지지한다. 즉, 연결몸체부(131)는 교정지지바아(110)의 단부를 상방에서 감싸면서 가압하고 지지하여 교정지지바아(110)의 이동을 저지시킨다.
연결몸체부(131)의 양측으로 길이 연장되는 길이연장부(132)는 스테빌라이져(130)가 설치되는 횡골(또는 늑골)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길이연장부(132)는 연결몸체부(131)로부터 양측으로 길이 연장되며 저면이 평평하도록 마련된다. 또한, 길이연장부는 양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줄어들도록 테이퍼진 형상으로 제작된다. 이로 인해, 인체 내에 삽입되더라도 연조직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길이연장부(132)의 중앙 영역에는 복수의 제2 관통공(133)이 형성된다. 또한, 길이연장부(132)에는 다수의 홈부(135)가 더 마련된다. 이를 통해, 제2 관통공(133) 또는 홈부(135)에는 봉합사(suture) 등이 연결되어, 스테빌라이져(130)와 환자의 겨드랑이 부근의 늑골을 상호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길이연장부(132)의 내측에는 전술한 교정지지바아(110)의 함몰홈부(114)에 대응되는 형상의 결합돌기(134)가 마련된다. 결합돌기(134)는 함몰홈부(114, 도 2 참조)에 끼워맞춤되어 교정지지바아(110)의 이동 및 회전을 저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스테빌라이져(130)를 통해, 흉골의 상태 및 크기 정도에 따라 또는 흉골의 함몰 정도에 따라 교정지지바아(110)를 추가적으로 더 고정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 교정지지바아(110)의 양단에 이동 및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스테빌라이져(130)를 취사 선택할 지는 환자의 함몰 정도, 흉골 상태 또는 시술자의 시술 경험과 판단에 따를 수 있다.
추가적으로 스테빌라이져(130) 크기를 최소화 하고 시술의 용의성을 향상시켰으며, 시술 후 미용적 측면에서의 환자 불만족을 최소화 하였다.
한편, 교정지지바아(110), 보조지지바아(140) 및 고정부(120)는 스테인리스 스틸강이나 티타늄 합금 등 기계적 성질(mechanical properties)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생체 적합성(biocompatibility)이 우수한 재질로 마련될 필요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교정지지바아(110), 보조지지바아(140) 및 고정부(120)의 재질은 전술한 물성을 충족시키는 Ti6Al4V ELI 재질을 사용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구성을 갖는 흉골 교정장치의 시술 과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흉골 교정기기가 새 가슴을 가진 환자의 인체 내에 삽입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우선, 사용 전 준비 사항으로서, 당해 제품은 비 멸균상태로 공급되므로 시술 전에 반드시 고압증기로(Autoclave)에서 멸균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또한, 심장 상태 및 허파의 기능의 평가, CT 촬영 등의 추가적인 검사가 수반되어야 하고, 흉곽 측정 및 사진 촬영을 수행하여 변형 정도와 교정에 적절한 bar의 형명 및 절곡 될 형상을 결정하는 등 수술 부위에 대한 정확한 측정을 수행한다.
시술 과정을 간략히 설명하면, 먼저, 환자의 흉부 크기 및 새 가슴의 정도를 고려하여 압축하기에 적절한 교정지지바아(110)를 선택한다. 그리고 시술 전 검사를 통해, 교정지지바아(110)를 소정 각도 절곡시킨다.
다음으로,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정지지바아(110)를 흉골(1, sternum) 아래에 삽입하기 위하여 흉곽의 양 측면을 절개한다.
다음으로, 교정지지바아(110)가 교정지지바아(110)의 일단부를 절개면에 삽입하여 반대쪽 절개부로 통과시킨다. 이때, 교정지지바아(110)가 흉골(1) 내측으로 지나가는 것을 확인하기 위해 흉강경 혹은 내시경 등을 이용한다.
이어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정지지바아(110)의 단부를 한쪽 측면 절개부에 삽입하여 반대쪽 절개부로 통과시킨 후 강제로 회전시켜 흉골(1)을 밀어 올린 다음, 봉합사(suture)로 교정지지바아(110)의 양 끝단을 늑골(2, rib)과 상호 묶어 고정한다.
환자의 흉골(1) 크기 및 상태에 따라 교정지지바아(110)의 회전이 의심되거나 보다 더 강한 고정력이 필요하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된 흉골(1) 하단의 교정지지바아(110) 단부에 스테빌라이져(130)를 삽입하고, 고정부(120)를 통해 교정지지바아(110)의 양단부와 스테빌라이져(130)를 상호 결합시킨 다음, 스테빌라이져(130)를 늑골(2)에 봉합사(suture)로 묶어서 고정할 수 있다.
이때, 교정지지바아(110)의 끝단은 곡면으로 설계되어 있고, 스테빌라이져(130)는 양측으로 갈수록 테이퍼진 형상으로 설계되어 있어, 체내 삽입 시 연조직(soft tissue)의 손상을 최소화 하였다.
스테빌라이져(130) 사용 시, 교정지지바아((110)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으며, 흉골(1) 성장에 대한 교정지지바아(110)의 적응이 가능하다. 스테빌라이져(130) 크기를 최소화 하고 교정지지바아(110)에 부착된 상태로 시술이 가능하여, 시술의 용의성을 향상시켰으며, 시술 후 미용적 측면에서의 환자 불만족을 최소화 하였다.
이후, 흉골(1)의 상단에 위치할 보조지지바아(140)을 환자 상태에 맞게 절곡(굽힘)한다. 교정지지바아(110)와 마찬가지로, 시술 전 절곡시켜 놓고 시술에 임할수도 있다.
다음으로, 흉골(1)의 상단에 위치한 보조지지바아(140)의 단부를 한쪽 측면 절개부에 삽입하여 반대쪽 절개부로 통과 시킨 후, 강제로 회전시켜 미리 삽입된 흉골(1)의 하단의 교정지지바아(110)와 위치를 맞춘 다음, 삽입된 교정지지바아(110)의 제1 결합공(111)과 보조지지바아(140)의 제2 결합공(141)에 고정부(120)를 이용하여 체결한다.
마지막으로,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정지지바아(110)와 늑골(2)과의 봉합사 연결이 제대로 이루어 졌으며, 고정부(120)를 이용하여 교정지지바아(110)와 보조지지바아(140) 사이의 나사 결합이 적절한지 확인 하여 시술을 완료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보조지지바아(140)가 교정지지바아(110)를 정위치에 견고하게 고정시키므로 시술 후 발생할 수 있는 교정지지바아(110)의 위치가 이동하거나 회전하는 현상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교정지지바아(110), 보조지지바아(140), 스테빌라이져(130) 및 고정부(120)의 재질 모두 티타늄 합금 재질로 마련하여, 생체 적합성(biocompatibility)과 기계적 성질(mechanical properties)이 우수한 효과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 : 교정지지바아 111 : 제1 결합공
113 : 제1 관통공 114 : 함몰홈부
120 : 고정부 121 : 고정몸체
123 : 연장부 124 : 육각래치홈
130 : 스테빌라이져 131 : 연결몸체부
132 : 길이연장부 133 : 제2 관통공
140 : 보조지지바아 141 : 제2 결합공

Claims (14)

  1. 흉골 기형을 교정하기 위하여 함몰된 흉골 내측에 삽입되는 교정지지바아;
    상기 흉골 외측에 삽입되어 상기 교정지지바아와 나란하게 마련되는 보조지지바아; 및
    상기 교정지지바아와 상기 보조지지바아의 연결 영역에 마련되어 상기 보조지지바아에 대해 상기 교정지지바아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흉골 교정기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교정지지바아는 상기 흉골을 외측으로 밀어내기 위해 절곡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흉골 교정기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교정지지바아의 양단부에는 제1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지지바아에는 제2 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1 결합공 및 상기 제2 결합공이 상호 연통되는 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흉골 교정기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교정지지바아의 양단부에는, 제1 관통공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흉골 교정기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교정지지바아의 양단부에는, 상기 교정지지바아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교정지지바아의 중심라인으로 함몰된 함몰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흉골 교정기기.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1 결합공 및 상기 제2 결합공에 스크루 결합되는 고정몸체; 및
    상기 고정몸체의 상단부에서 상기 고정몸체의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함몰 형성되는 고정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흉골 교정기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고정홈은 다각 형상의 래치에 대응되는 다각 형상의 래치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흉골 교정기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다각 형상의 래치는 육각래치이고, 상기 다각 형상의 래치홈은 단면이 육각형인 육각래치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흉골 교정기기.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고정몸체의 상단부에는 반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교정지지바아에 걸림결합되는 연장부가 더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흉골 교정기기.
  10.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교정지지바아가 상기 흉골 내에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교정지지바아의 양단부를 가압 및 지지하는 스테빌라이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흉골 교정기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스테빌라이져는 상기 교정지지바아의 양 단부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교정지지바아에 수직방향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흉골 교정기기.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스테빌라이저는,
    상기 교정지지바아의 외면을 접촉 지지하는 연결몸체부;
    상기 연결몸체부의 양측으로 길이 연장되는 길이연장부; 및
    상기 길이연장부로부터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흉골 교정기기.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길이연장부에는 제2 관통공이 더 형성되며,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함몰홈부에 끼워맞춤되어 상기 교정지지바아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흉골 교정기기.
  14.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교정지지바아, 상기 보조지지바아 및 상기 고정부는 모두 티타늄 합금 재질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흉골 교정기기.




KR1020110109418A 2011-10-25 2011-10-25 흉골 교정기기 KR1013498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9418A KR101349813B1 (ko) 2011-10-25 2011-10-25 흉골 교정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9418A KR101349813B1 (ko) 2011-10-25 2011-10-25 흉골 교정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5007A KR20130045007A (ko) 2013-05-03
KR101349813B1 true KR101349813B1 (ko) 2014-01-09

Family

ID=48657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9418A KR101349813B1 (ko) 2011-10-25 2011-10-25 흉골 교정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98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12016003552B4 (de) * 2015-08-05 2022-03-24 Hyung Joo Park Medizin-Vorrichtung zur chirurgischen Korrektur einer Trichterbrust-Deformität
KR102620925B1 (ko) * 2016-08-25 2024-01-05 (주)티디엠 흉골 교정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04446A (ja) * 1993-08-27 1997-05-06 ブラウン、ロビン・ピーター 骨部を外科的に固定するための装置と方法
KR200299450Y1 (ko) 2002-09-28 2003-01-06 메딕스얼라인 주식회사 흉곽기형 교정용 인공보철물
KR20090018066A (ko) * 2006-04-26 2009-02-19 워쏘우 오르쏘페딕 인코포레이티드 교정용 고정 플레이트 및 사용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04446A (ja) * 1993-08-27 1997-05-06 ブラウン、ロビン・ピーター 骨部を外科的に固定するための装置と方法
KR200299450Y1 (ko) 2002-09-28 2003-01-06 메딕스얼라인 주식회사 흉곽기형 교정용 인공보철물
KR20090018066A (ko) * 2006-04-26 2009-02-19 워쏘우 오르쏘페딕 인코포레이티드 교정용 고정 플레이트 및 사용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5007A (ko) 2013-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87101B2 (en) Superelastic bone compression staple
US10130401B2 (en) Growth control device
US9271763B2 (en) Transverse rod connector
US20100256687A1 (en) Fixation Device and Method of Use for a Ludloff Osteotomy Procedure
US11311288B2 (en) Suture needles having bendable regions
US20180310973A1 (en) Orthopedic apparatus for pectus excavatum
US10507050B2 (en) Plate for osteosynthesis
EP2952139B1 (en) Exposure apparatus for spinal posterior minimally invasive screw fixation surgery
WO2015023823A1 (en) System for longitudinal closure of dissected sternums
CA2863261A1 (en) Method and system for longitudinal closure of dissected sternums
US10835301B1 (en) Malleable auxiliary compression plate system and method
KR101349813B1 (ko) 흉골 교정기기
KR101037957B1 (ko) 오목가슴 수술용 교정 막대 고정장치
US11006987B2 (en) Internal plate fixation device
KR20150103583A (ko) 척추경에 스크류를 고정하기 위한 수술방법 및 상기 방법에 사용되는 스크류의 삽입 도구
KR101271077B1 (ko) 흉벽 교정기기
JP7091539B2 (ja) 治療器具
KR101852444B1 (ko) 흉골 교정기기
US11229463B2 (en) Bone plate for epiphysiodesis
Park for Pectus Excavatum: Park Techniqu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