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2444B1 - 흉골 교정기기 - Google Patents

흉골 교정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2444B1
KR101852444B1 KR1020160004713A KR20160004713A KR101852444B1 KR 101852444 B1 KR101852444 B1 KR 101852444B1 KR 1020160004713 A KR1020160004713 A KR 1020160004713A KR 20160004713 A KR20160004713 A KR 20160004713A KR 101852444 B1 KR101852444 B1 KR 1018524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fastening
support bar
hook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4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5280A (ko
Inventor
손영호
이기태
이승진
Original Assignee
(주)케어테크
이승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어테크, 이승진 filed Critical (주)케어테크
Priority to KR10201600047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2444B1/ko
Publication of KR201700852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52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24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24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80Cortical plates, i.e. bone plates; Instrumen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cortical plates, or for compressing bones attached to cortical plates
    • A61B17/8061Cortical plates, i.e. bone plates; Instrumen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cortical plates, or for compressing bones attached to cortical plat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bones
    • A61B17/8076Cortical plates, i.e. bone plates; Instrumen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cortical plates, or for compressing bones attached to cortical plat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bones for the ribs or the stern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0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for external osteosynthesis, e.g. distractors, contractors
    • A61B17/66Alignment, compression or distraction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88Osteosynthesis instruments; Methods or mean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internal or external fixation devices
    • A61B17/8866Osteosynthesis instruments; Methods or mean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internal or external fixation devices for gripping or pushing bones, e.g. approxim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88Osteosynthesis instruments; Methods or mean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internal or external fixation devices
    • A61B17/8875Screwdrivers, spanners or wren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00238Type of minimally invasive oper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rsing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Neur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흉골 교정기기에 관한 것으로, 흉골(1) 내측과 외측으로 삽입되어 함몰 또는 돌출된 흉골(1)을 지지하는 더블바(10)와, 더블바(10)의 양 끝단에 결합되며 상기 더블바(10)의 양 끝단이 위치될 갈비뼈(5)에 걸어져 상기 더블바(10)를 고정하는 고정수단(4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환자의 불편을 최소화하면서 안정적인 흉골 교정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흉골 교정기기{ORTHODONTIC APPLIANCE FOR PECTUS EXCAVATUM}
본 발명은 흉골 교정기기에 관한 것으로, 늑연골의 기형을 교정하기 위한 흉골 교정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늑연골 기형이라 하면 흉골 및 흉곽 또는 늑골 주변 부분이 비정상적으로 함몰 또는 돌출되는 증상을 말한다.
특히, 누두흉(pectus excavatum)은, 앞 흉골(흉곽 또는 늑벽, 이하 흉골이라 함)이 선천적으로 과도하게 함몰된 기형을 말하는 것으로 '함물흉' 또는 '오목 가슴' 또는 '깔대기 가슴'이라고도 하고, 새가슴(pectus carinatum)은 누두흉과는 반대로 흉골이 과도하게 돌출된 기형이다. 누두흉과 새가슴은 독립적으로 발생될 수도 있으나 환자에 따라 복합적으로 발생되기도 한다.
늑연골의 기형은 선천적으로 출생 직후부터 바로 나타나 나이가 들면서 점점 진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뚜렷한 신체증상은 없으나, 외관상 나쁠 뿐만 아니라 가슴 부위에 위치한 내부 장기의 성장이나 기능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하고 일부 환자, 특히 청소년기의 환자에서는 심한 운동 시 호홉 곤란이나 피로감을 쉽게 느끼기도 하며, 만성 기관지염, 천식 등이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늑연골의 기형은 치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늑연골의 기형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경미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다. 종래의 방법으로는 흉골 거상술(sternocostal elevation), 흉골 반전술(sternocostal turnover)등의 외과적 수술 방법이 시행되었는데, 이러한 시술 방식은 흉부의 전단 또는 상하 방향으로 앞가슴 전체를 절개하고 흉골의 절단을 수반하는바, 수술 과정 자체가 환자에게 위험 부담이 따를 뿐만 아니라 시술 후 큰 흉터를 남겨 환자에게 만족을 줄 수 없고 심할 경우 흉복의 불안정, 흉골 괴사의 위험이 있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수술법의 문제를 보완하기 위하여 1998년 Nuss에 의해 금속 바아(metallic bar)를 이용한 너스 수술법(nuss technique)이 소개되었다. 이는 약 2cm의 절개를 통하여 금속 바아를 삽입한 후 회전시켜 함몰된 흉골을 들어올이는 방식으로서, 금속 바아를 환자 몸속에 고정시키고 장시간 교정 시간(대략 수년)이 요구된다는 문제가 있으나, 종래 가슴을 전면 개복하고 흉골을 절단하는 방식에 비해 최소 침습(minimum invasive) 절개를 통해 시술하므로 감염의 위험이 적은 등 수술 부담이 상대적으로 적으며, 흉터(scar)가 크게 남지 않으며, 시간 비용 면에서 환자에게 만족을 줄 수 있어 안전한 수술법으로 확인되어 현재 응용되는 수술법으로 인정받고 있다.
그러나, 너스 수술법을 통한 흉골 교정 시기가 장시간 요구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장시간 동안 시술한 금속 바가 환자 내부의 최초 시술 위치에서 위치가 변경되어서는 안됨에도, 흉골 내부로 삽입되어 실질적으로 흉골의 교정을 수행하는 교정지지바아가 장기간의 교정 기간동안 제 위치에서 고정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회전 등 위치변화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교정을 수행하는 시술 위치가 변경되면 정확한 흉골 교정이 수행되기 어렵게 된다.
또한, 교정지지바아는 양 끝단을 고정하기 위해 봉합사(suture) 및 스테빌라이져(stabulizer) 등의 추가 부속품을 사용해야 하고, 봉합사의 경우 흉골 또는 늑골(환자의 옆구리 부분)에 고정하므로 시술 후 초기 단계에서 환자가 숨쉬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흉골 내부로 삽입되는 교정지지바아를 흉골 외측에 삽입되는 보조지지바아를 통해 고정시키는 더블바 구조로 채용하여 흉골 내측과 외측에서 압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정적인 흉골 교정이 가능하고, 더블바의 양 끝단을 후크 형태의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갈비뼈에 고정하는 구조를 채용하여 환자가 불편하지 않고 안정적인 흉골 교정이 가능하도록 한 흉골 교정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흉골 내측과 외측으로 삽입되어 함몰 또는 돌출된 흉골을 지지하는 더블바와 상기 더블바의 양 끝단에 결합되며 상기 더블바의 양 끝단이 위치될 갈비뼈에 걸어져 상기 더블바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더블바는 상기 흉골 내측으로 삽입되며 양측에 제1결합공이 형성되는 교정지지바아와, 상기 교정지지바아와 나란하도록 상기 흉골 외측으로 삽입되며 양 단부에 제2결합공이 형성되는 보조지지바아와, 상기 제2결합공과 상기 제1결합공에 체결되어 상기 교정지지바아에 보조지지바아를 고정하는 고정볼트를 포함한다.
상기 제1결합공은 고정볼트의 나사산에 대응되는 나사산을 갖는 원형이고, 상기 제2결합공은 장공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교정지지바아에 대한 상기 보조지지바아의 고정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교정지지바아의 양 단부에 상기 고정수단이 결합되기 위한 체결공이 더 형성된다.
상기 체결공은 원형의 제1체결공 및 상기 제1체결공과 연통되며 상기 제1체결공의 직경에 비해 간격이 좁은 장공 형상의 제2체결공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수단은 일측이 갈비뼈에 걸어지는 후크와, 상기 후크의 타측에 결합되며 상기 제1체결공을 통해 머리부가 삽입되고 상기 머리부가 상기 제2체결공으로 이동되어 고정되는 체결볼트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후크와 상기 체결볼트의 결합을 견고하게 하기 위해 상기 후크의 타측이 삽입되는 관통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후크의 타측이 상기 관통슬롯에 삽입된 상태가 상기 체결볼트에 의해 고정되는 결합슬라이드를 더 포함한다.
상기 후크의 타측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슬라이드에는 연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볼트는 상기 연통공 및 상기 관통공에 결합되어 상기 후크의 타측이 상기 결합슬라이드에 삽입된 상태를 고정한다.
상기 더블바의 양 단부에 상기 고정수단이 결합되기 위한 체결공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공은 원형의 제1체결공 및 상기 제1체결공과 연통되며 상기 제1체결공의 직경에 비해 간격이 좁은 장공 형상의 제2체결공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수단은 일측이 갈비뼈에 걸어지는 후크와, 상기 후크의 타측이 결합되는 결합슬라이드와, 상기 후크의 타측이 상기 결합슬라이드에 결합된 상태를 고정하며 상기 제1체결공을 통해 머리부가 삽입되고 상기 머리부가 상기 제2체결공으로 이동되어 고정되는 체결볼트를 포함한다.
상기 후크의 타측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슬라이드에는 상기 후크의 타측이 삽입되는 관통슬롯 및 상기 관통공 및 관통슬롯과 연통되는 연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볼트는 상기 연통공 및 상기 관통공에 결합되어 상기 후크의 타측이 상기 결합슬라이드에 결합된 상태를 고정한다.
상기 후크는 일측이 타측에 대해 'C'자 형상으로 꺽어진 갈고리 형상 또는 90도 꺽어진 'ㄴ'자 형상이다.
상기 더블바 및 상기 고정수단은 티타늄 합금 재질로 제작된다.
본 발명은 보조지지바아가 교정지지바아를 정위치에 견고하게 고정하므로 시술 후 발생할 수 있는 교정지지바아의 위치 이동이나 회전을 방지할 수 있고, 교정지지바아의 양 끝단을 갈비뼈에 걸어 고정되는 고정수단이 고정하므로 교정지지바아가 안정적으로 고정되고, 흉골을 내측과 외측에서 압박할 수 있어 안정적인 흉골 교정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교정지지바아의 양 끝단을 갈비뼈에 걸어 고정하는 구조는 환자의 늑골을 압박하지 않으므로 종래의 봉합사나 스테빌라이져가 늑골을 압박하여 환자가 숨쉬기 어려웠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부품 구성이 간소화되어 시술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흉골 교정기기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흉골 교정기기의 결합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흉골 교정기기의 결합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고정수단의 분해 사시도 및 결합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고정수단을 더블바에 결합하는 과정을 보인 상태도.
도 6은 흉골 기형 중 누두흉(오목 가슴)을 보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흉골 교정기기를 이용하여 흉골 기형을 교정하는 방법을 보인 도면.
도 8은 교정지지바아 및 봉합사를 이용하여 흉골 기형을 교정하는 방법을 보인 도면.
도 9는 교정지지바아 및 스테빌라이져를 이용하여 흉골 기형을 교정하는 방법을 보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흉골 교정기기는 흉골 기형을 교정하기 위한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블바(10)와 고정수단(40)을 포함한다.
더블바(10)는 흉골 내측과 외측으로 삽입되어 함몰 또는 돌출된 흉골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더블바(10)는 흉골(1)을 내측과 외측에서 압박하여 체내에서 회전 등의 위치변화 없이 안정적인 흉골(1) 교정이 가능하도록 한다.
더블바(10)는 교정지지바아(20), 보조지지바아(30), 고정볼트(35)를 포함한다.
교정지지바아(20)는 흉골(1) 내측으로 삽입되며 흉골(1)을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밀어내는 역할을 한다. 교정지지바아(20)는 장방향으로 길이가 긴 바아 형태로 마련되며 양측에 제1결합공(21)이 형성된다. 제1결합공(21)은 양측에 각각 2개씩 마련되며 보조지지바아(30)와 결합을 위한 것이다.
교정지지바아(20)의 양 단부에 체결공(23)이 더 형성된다. 체결공(23)에는 교정지지바아(20)의 양 끝단을 갈비뼈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40)이 결합된다.
체결공(23)은 원형의 제1체결공(23a)과 제1체결공(23a)과 연통되며 제1체결공(23a)의 직경에 비해 입구 간격이 좁은 장공 형상의 제2체결공(23b)을 포함한다. 제2체결공(23b)의 간격은 체결볼트(47)의 나사산 외경에 대응된다. 제1체결공(23a) 및 제2체결공(23b)의 형상은 고정수단(40)에 대한 교정지지바아(20)의 위치 설정 및 고정을 용이하게 한다.
보조지지바아(30)는 교정지지바아(20)와 나란하도록 흉골(1) 외측으로 삽입되며 흉골(1)을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밀어내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보조지지바아(30)는 교정지지바아(20)의 회전 및 움직임을 제한하여 장기간의 교정기간 동안에도 교정지지바아(20)의 시술 위치가 변경됨을 저지할 수 있어 정확한 흉골(1) 교정이 가능하도록 한다.
보조지지바아(30)는 환자마다 흉골 기형의 정도가 다르므로 함몰 상태 또는 돌출 상태에 대응하여 곡률을 변형할 수 있도록 교정지지바아(20)에 결합된다.
보조지지바아(30)는 장방향으로 길이가 긴 바아 형태로 마련되며 양 단부에 제2결합공(31)이 형성된다. 제2결합공(31)은 교정지지바아(20)와 결합을 위한 것이다. 제2결합공(31)은 장공 형상으로 형성되어 교정지지바아(20)에 대한 보조지지바아(30)의 양단 고정위치를 조정하여 곡률을 변형할 수 있다.
보조지지바아(30)는 양측에 통공(33)이 더 형성된다. 통공(33)은 교정지지바아(20) 및 보조지지바아(30)를 흉골(1) 내측과 외측으로 삽입하고 결합한 후 양 끝단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수술기구가 삽입되는 구멍이다.
교정지지바아(20)와 보조지지바아(30)의 폭은 갈비뼈 사이의 간격보다 폭이 작게 형성된다. 이는 교정지지바아(20)와 보조지지바아(30)의 폭이 갈비뼈 사이의 폭보다 클 경우 발생 가능한 통증을 완화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교정지지바아(20)는 길이가 180m~280mm 폭이 10mm, 두께가 2mm로 제작되거나 길이가 300mm~400mm 폭이 12mm, 두께가 2mm로 제작될 수 있다. 교정지지바아(20)의 폭의 차이는 상대적으로 큰 흉골을 가지는 신체의 경우 흉골을 밀어올리는 영역을 증가시키기 위한 것이다.
보조지지바아(30)는 환자의 신체적 특성에 따라 다양한 길이로 제작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길이가 160mm~330mm, 폭이 10mm, 두께가 2mm로 제작될 수 있다.
교정지지바아(20) 및 보조지지바아(30)의 길이, 폭, 두께는 교정지지바아(20) 및 보조지지바아(30)를 흉골(1) 내측으로 삽입을 용이하게 하고 삽입 후 체내에서 느껴지는 이물감을 최소화하도록 한 것이다.
고정볼트(35)는 교정지지바아(20)에 보조지지바아(30)를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고정볼트(35)는 보조지지바아(30)의 제2결합공(31)과 교정지지바아(20)의 제1결합공(21)에 체결되어 교정지지바아(20)의 양측에 보조지지바아(30)의 양단을 고정한다.
제1결합공(21)은 고정볼트(35)의 나사산에 대응되는 나사산을 갖는 원형이고, 제2결합공(31)은 장공 형상으로 형성되어 교정지지바아(20)에 대한 보조지지바아(30)의 고정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보조지지바아(30)는 교정지지바아(20)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으며, 보조지지바아(30)의 양 단부에 형성된 제2결합공(31) 사이의 거리는 교정지지바아(20)의 양측에 형성된 제1결합공(21) 사이의 거리에 비해 멀어 제2결합공(31)과 제1결합공(21)에 고정볼트가 결합되면 보조지지바아(30)는 교정지지바아(20)에 대해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곡면 형상이 된다. 보조지지바아(30)의 곡률은 제2결합공(31)에 고정볼트(35)가 고정되는 위치로 변형할 수 있다.
고정볼트(35)는 제2결합공(31) 및 제1결합공(21)에 스크루 결합된다. 고정볼트(35)는 외주면에 제1결합공(21)에 형성된 암나사에 대응되는 수나사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수나사가 암나사의 내측으로 회전 이동함에 따라 교정지지바아(20)에 대한 보조지지바아(30)의 결합력은 강화될 수 있다.
고정볼트(35)는 머리부가 육각 형상으로 되어 나사를 조이거나 풀 때 수술기구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고정볼트(35)는 머리부 상면 중앙에 요입된 형상의 고정홈이 더 형성될 수 있다. 고정홈은 고정볼트(35)의 머리부가 수술기구에 삽입될 때 수술기구의 삽입부가 삽입되어 고정볼트(35)의 회전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보조지지바아(30)를 교정지지바아(20)에 용이하게 결합되게 한다.
고정수단(40)은 더블바(10)의 양 끝단에 결합되며 더블바(10)의 양 끝단이 위치될 갈비뼈에 고정되어 더블바(10)를 고정한다.
구체적으로 고정수단(40)은 보조지지바아(30)가 결합된 교정지지바아(20)의 양 끝단에 결합되어 교정지지바아(20)의 양 끝단을 갈비뼈(5)에 걸어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고정수단(40)은 후크(41), 결합슬라이드(43), 체결볼트(47)를 포함한다.
후크(41)는 일측이 갈비뼈(5)에 걸어지고 타측이 결합슬라이드(43)에 결합된다.
후크(41)는 일측이 타측에 대해 'C'자 형상으로 꺽어진 갈고리 형상(도 4의 (e)참조) 또는 90도 꺽어진 'ㄴ'자 형상(도 4의 (d)참조)으로 제작될 수 있다. 후크(41)는 연부조직(soft tissue)에 의해 후크(41)가 적절히 삽입되지 못하는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두 가지 형태로 제작하여 선택 적용한다.
후크(41)는 타측 결합슬라이드(43)에 결합되는 부분에 관통공(42)이 형성된다. 관통공(42)은 후크(41)를 결합슬라이드(43)에 고정하기 위한 체결볼트(47)가 결합되며 후크(41)와 결합슬라이드(43)의 결합위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관통공(42)은 길이가 긴 장공 형상으로 형성된다.
결합슬라이드(43)는 후크(41)와 체결볼트(47)의 결합을 견고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결합슬라이드(43)는 후크(41)의 타측이 삽입되어 이동 가능한 관통슬롯(44)이 형성되며, 관통슬롯(44)과 연통되게 연통공(45)이 더 형성된다. 연통공(45)은 관통슬롯(44)과 수직으로 연통되게 형성된다. 연통공은 아래까지 형성되어 상부의 연통공(45)을 통해 결합된 체결볼트가 하부 연통공(미도시)까지 결합될 수 있다.
결합슬라이드(43)는 관통슬롯(44)이 형성된 상면이 평평한 형상으로 된다. 이는 교정지지바아(20)에 결합된 체결볼트(47)를 회전시킬 경우 후크(41)와 교정지지바아(20)가 중간에 위치한 결합슬라이드(43)에 의해 조임력이 높아져 강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결합슬라이드(43)는 아래로 연장되는 하부가 후크(41)의 일측과 대응되는 길이로 길에 형성된다. 결합슬라이드(43)의 하부는 후크(41)가 갈비뼈에 걸어진 상태를 지지하여 후크(41)가 갈비뼈(5)에 걸어진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게 한다.
즉, 후크(41)의 일측이 갈비뼈(5)에 걸어진 상태에서 갈비뼈(5)가 후크(41)의 일측과 결합슬라이드(43)의 하부 길게 형성된 부분 사이에 위치되도록 하여 후크(41)의 일측이 갈비뼈(5)에 걸어진 상태가 안정적으로 고정되게 하는 것이다.
체결볼트(47)는 연통공(45) 및 관통공(42)에 결합되어 후크(41)의 타측이 결합슬라이드(43)에 결합된 상태를 고정한다. 또한, 체결볼트(47)는 머리부(47a)가 교정지지바아(20)의 체결공(23)에 결합되어 고정됨으로써 결합슬라이드(43)와 결합된 후크(41)를 교정지지바아(20)에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체결볼트(47)는 연통공(45) 및 관통공(42)에 스크루 결합되고, 고정볼트(35)의 외주면에는 연통공(45)에 형성된 암나사에 대응되는 수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체결볼트(47)는 이러한 수나사가 암나사의 내측으로 회전 이동함에 따라 결합슬라이드(43)에 대한 후크(41)의 결합력이 강화될 수 있다.
체결볼트(47)는 머리부(47a)가 육각 형상으로 되고, 머리부(47a) 상면에 요입된 고정홈이 형성되어 수술기구가 삽입되고 체결볼트(47)의 회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고정홈은 수술기구의 삽입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고정수단(40)은 별도로 제작된 후 교정지지바아(20)에 결합함으로써 갈비뼈(5)의 위치에 대응하여 후크(41)의 방향을 조정할 수 있다.
교정지지바아(20), 보조지지바아(30) 및 고정수단(40)은 기계적 성질이 우수할 뿐 아니라 생체 적합성이 우수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티타늄 합금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흉골 교정기기가 결합된 상태는 도 2 및 도 3에서 확인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흉골 교정기기는 보조지지바아(30)의 제2결합공(31)과 교정지지바아(20)의 제1결합공(21)에 고정볼트(35)가 결합되어 고정되며, 보조지지바아(30)가 교정지지바아(20)에 대해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곡선 형상을 가진다.
교정지지바아(20)에 대한 보조지지바아(30)의 곡률은 장공 형상인 제2결합공(31)에 대한 고정볼트(35)의 결합위치를 길이방향으로 일정부분 이동시켜 변형할 수 있다.
보조지지바아(30)가 결합된 교정지지바아(20)의 양 끝단은 후크(41)를 가지는 고정수단(40)을 이용하여 갈비뼈(5)에 고정할 수 있다.
고정수단(40)은 체결볼트(47)의 머리부(47a)가 교정지지바아(20)의 체결공(23)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방식으로 교정지지바아(20)의 곡률을 조정할 수 있음은 물론 교정지지바아(20)의 양 끝단을 갈비뼈(5)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고정수단(40)은 교정지지바아(20)의 양 끝단이 위치될 위치에 대응되는 갈비뼈(5)에 미리 걸어준 후 교정지지바아(20)의 양 끝단에 결합한다.
그 방법은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41)의 타측을 결합슬라이드(43)의 관통슬롯(44)에 삽입하고, 결합슬라이드(43)의 연통공(45), 후크의 관통공(42)에 체결볼트(47)가 체결되도록 한다.
이때, 체결볼트(47)는 머리부(47a)가 결합슬라이드(43)의 상면에서 소정 높이로 돌출된 가결합 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후크(41)의 일측을 갈비뼈(5)에 걸어준다.
도 4의 (b),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슬라이드(43)는 후크(41)의 일측 또는 타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후크(41)의 일측과 결합슬라이드(43)의 사이에 갈비뼈(5)가 고정되게 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체결볼트(47)를 조여지는 방향으로 더 회전시키면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볼트(47)는 결합슬라이드(43)의 하부 연통공(45)에 나사 결합되면서 갈비뼈(5)가 후크(41)의 일측과 결합슬라이드(43) 사이에 위치되고 후크(41)의 일측이 갈비뼈(5)에 걸어진 상태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후크(41)의 타측에 형성된 관통공(42)이 장공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결합슬라이드(43)에 결합된 후크(41)의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다.
고정수단(40)은 후크(41)에 결합슬라이드(43)가 결합된 상태에서 체결볼트(47)로 연결 상태에서 교정지지바아(20)에 결합된다.
도 5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정지지바아(20)의 제1체결공(23a)을 통해 체결볼트(47)의 머리부가 삽입되고, 체결볼트(47)의 머리부(47a)가 제2체결공(23b)으로 이동되어 고정된다.
제2체결공(23b)에 체결볼트(47)의 머리부가 이동한 상태에서 체결볼트(47)를 더 회전시키면 교정지지바아(20)의 양 끝단이 갈비뼈(5)에 걸어진 후크(41)에 의해 고정되고 후크(41)의 회전이 방지되어 안정적인 흉골(1) 교정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흉골 교정기기의 시술 과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흉골 기형 중 누두흉(오목 가슴)을 보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흉골 교정기기를 이용하여 흉골 기형을 교정하는 방법을 보인 도면이다.
사전 준비 사항으로서, 흉골 교정기기는 비 멸균상태로 공급되므로 시술 전에 반드시 고압증기(Autoclve)에서 멸균하여 사용한다. 또한, 심장 상태 및 허파의 기능의 평가, CT 촬영 등의 추가적인 검사가 수반되어야 하고, 흉곽 측정 및 사진 촬영을 수행하여 변형 정도와 교정에 적절한 교정지지바아 및 보조지지바아의 형상을 결정하는 등 시술 부위에 대한 정확한 측정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정지지바아(20)를 흉골(1) 아래에 삽입하기 위하여 흉곽의 양 측면을 약 2cm 정도 절개한다.
다음으로, 교정지지바아(20)의 일 단부를 흉곽의 일측 절개부로 삽입하여 타 단부가 반대쪽 절개부로 위치되게 한다. 이때, 교정지지바아(20)가 흉골(1) 내측으로 지나가는 것을 확인하기 위해 흉강경 혹은 내시경 등을 이용한다.
교정지지바아(20)는 강제로 회전시켜 흉골을 밀어올린 다음 교정지지바아(20)의 양 끝단을 수술기구를 이용하여 임시 고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보조지지바아(30)의 일 단부를 일측 절개부로 삽입하여 보조지지바아(30)가 교정지지바아(20)와 나란하게 흉골 외측으로 삽입되게 한다.
다음으로, 보조지지바아(30)의 양 단부를 미리 삽입된 교정지지바아(20)의 양측과 위치를 맞춘 다음, 교정지지바아(20)의 제1결합공(21)과 보조지지바아(30)의 제2결합공(31)에 고정볼트(35)를 결합한다.
즉, 보조지지바아(30)의 일단 제2결합공(31)과 교정지지바아(20)의 일측 제1결합공(21)에 고정볼트(35)를 결합하고, 보조지지바아(30)의 타단 제2결합공(31)과 교정지지바아(20)의 타측 제1결합공(21)에도 고정볼트(35)를 각각 결합하여 보조지지바아(30)의 양 단부를 교정지지바아(20)의 양측에 고정한다.
이때, 제2결합공(31)에 결합되는 고정볼트(35)의 위치를 조정하여 교정지지바아(20)에 대한 보조지지바아(30)의 곡률을 변형한다. 즉, 환자의 흉골 기형의 정도에 대응하여 교정지지바아(20)에 결합되는 보조지지바아(30)의 곡률을 변형한다.
교정지지바아(20)에 대한 보조지지바아(30)의 양단 고정위치를 조정하여 보조지지바아(30)의 곡률을 변형한 후에는 고정볼트(35)를 더 회전시켜 조임력을 증대시킴으로써 보조지지바아(30)가 교정지지바아(20)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교정지지바아(20)의 양 끝단을 갈비뼈(5)에 미리 걸어 고정한 고정수단(40)에 결합한다.
그 과정은 우선, 교정지지바아(20)의 양 끝단 중 일측 끝단의 제1체결공(23a)에 고정수단(40)의 체결볼트(47)의 머리부(47a)를 삽입하고, 체결볼트(47)의 머리부(47a)를 제2체결공(23b)으로 이동하여 교정지지바아(20)의 곡률 위치에 맞도록 위치시킨 후 체결볼트(47)를 더 회전시켜 조임력을 증대시킴으로써 교정지지바아(20)의 일측 끝단이 갈비뼈(5)에 걸어진 고정수단(40)에 견고하게 고정되게 한다.
다음으로, 교정지지바아(20)의 타측 끝단도 대응되는 위치의 갈비뼈(5)에 미리 걸어진 고정수단에 상술한 과정과 동일한 과정으로 고정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술이 완료된다.
시술이 완료되면, 고정볼트(35) 및 체결볼트(47)가 결합된 부위의 결합이 적절한지 확인하고, 교정지지바아(20) 및 보조지지바아(30)가 흉골(1)을 내측과 외측에서 압박한 위치가 적절한지 등을 확인한 후 수술기구를 제거하고 절개부를 봉합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보조지지바아(30)가 교정지지바아(20)를 정위치에 견고하게 고정하므로 시술 후 발생할 수 있는 교정지지바아(20)의 위치 이동이나 회전을 방지할 수 있고, 교정지지바아(20)의 양 끝단을 갈비뼈에 걸어 고정되는 고정수단(40)이 고정하므로 교정지지바아(20)가 안정적으로 고정되고, 흉골을 내측과 외측에서 압박할 수 있어 안정적인 흉골 교정이 가능하다.
도 8은 종래의 교정지지바아 및 봉합사를 이용하여 흉골 기형을 교정하는 방법을 보인 도면이고, 도 9는 교정지지바아 및 스테빌라이져를 이용하여 흉골 기형을 교정하는 방법을 보인 도면이다.
도 8은 교정지지바아(110)의 일 단부를 흉곽의 일측 절개부로 삽입하여 타 단부가 반대쪽 절개부로 위치되게 한 다음, 교정지지바아(110)를 강제로 회전시켜 흉골(1)을 밀어올리도록 한 다음, 교정지지바아(110)의 양 끝단을 봉합사를 이용하여 늑골(2)에 고정한 것이다.
도 9는 교정지지바아(110)의 일 단부를 흉곽의 일측 절개부로 삽입하여 타 단부가 반대쪽 절개부로 위치되게 한 다음, 교정지지바아(110)를 강제로 회전시켜 흉골(1)을 밀어올리도록 한 다음, 교정지지바아(110)의 양 끝단을 스테빌라이져(130)를 이용하여 늑골(2)에 고정한 것이다.
도 8 및 도 9 경우, 시술 후 봉합사 및 스테빌라이져(130)가 늑골(2)을 압박함에 따라 숨쉬기가 어려웠던 문제와, 수술 후 2% 가량의 환자에게서 삽입된 교정지지바아(110)에서 회전이 발생하였다. 그리고 교정지지바아(110)의 체내 회전 운동에 의해 이상 교정, 과 교정이 발생하였다.
또한, 도 8 및 도 9의 경우 봉합사나 스테빌라이져(130)를 결합하기 위해 교정지지바아(110)의 양 끝단에 추가 형상 가공이 필요하고 결합을 위한 과도한 부품이 요구되어 부품수가 많아지며, 하나의 교정지지바아(110)로 흉골을 밀어올리므로 교정지지바아(110)의 절곡 과정에서 시술자의 경험이 필요한 등 안정적인 시술이 어려웠다.
반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교정지지바아(20)를 흉골(1) 외측에 삽입되는 보조지지바아(30)를 통해 고정시키는 더블바 구조로 채용하여 흉골(1) 내측과 외측에서 압박할 수 있도록 하므로 안정적인 흉골 교정이 가능하고, 1시간 정도의 시술 시간으로 시술이 가능하며 시술이 간단하고 최소환의 절개부를 가지므로 감염의 위험이 적고 흉터도 남지 않는 안정적인 방법이다.
교정지지바아(20)의 양 끝단을 고정하는 고정수단(40)이 갈비뼈에 걸어 고정되는 구조이므로 환자가 불편하지 않고 안정적인 흉골 교정이 가능하다.
한편, 상술한 고정수단은 흉골을 교정하기 위한 더블바의 양 끝단에 결합되고 갈비뼈에 걸어져 고정되나, 반드시 더블바에만 적용되는 것은 아니고 양 끝단을 갈비뼈에 걸어 고정해야 하는 다른 시술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 더블바 20: 교정지지바아
21: 제1결합공 23: 체결공
23a: 제1체결공 23b:제2체결공
30: 보조지지바아 31: 제2결합공
35: 고정볼트 40: 고정수단
41: 후크 42: 관통공
43: 결합슬라이드 44: 관통슬롯
45: 연통공 47: 체결볼트
47a: 머리부

Claims (14)

  1. 흉골 내측과 외측으로 삽입되어 함몰 또는 돌출된 흉골을 지지하는 더블바;및
    상기 더블바의 양 끝단에 결합되며 상기 더블바의 양 끝단이 위치될 갈비뼈에 걸어져 상기 더블바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더블바는
    상기 흉골 내측으로 삽입되며 양측에 제1결합공이 형성되는 교정지지바아와,
    상기 교정지지바아와 나란하도록 상기 흉골 외측으로 삽입되며 양 단부에 제2결합공이 형성되는 보조지지바아와,
    상기 제2결합공과 상기 제1결합공에 체결되어 상기 교정지지바아에 보조지지바아를 고정하는 고정볼트를 포함하며,
    상기 교정지지바아의 양 단부에 상기 고정수단이 결합되기 위한 체결공이 더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은
    원형의 제1체결공 및 상기 제1체결공과 연통되며 상기 제1체결공의 직경에 비해 간격이 좁은 장공 형상의 제2체결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흉골 교정기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공은 고정볼트의 나사산에 대응되는 나사산을 갖는 원형이고,
    상기 제2결합공은 장공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교정지지바아에 대한 상기 보조지지바아의 고정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흉골 교정기기.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일측이 갈비뼈에 걸어지는 후크와;
    상기 후크의 타측에 결합되며 상기 제1체결공을 통해 머리부가 삽입되고 상기 머리부가 상기 제2체결공으로 이동되어 고정되는 체결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흉골 교정기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후크와 상기 체결볼트의 결합을 견고하게 하기 위해 상기 후크의 타측이 삽입되는 관통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후크의 타측이 상기 관통슬롯에 삽입된 상태가 상기 체결볼트에 의해 고정되는 결합슬라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흉골 교정기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후크의 타측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슬라이드에는 연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볼트는 상기 연통공 및 상기 관통공에 결합되어 상기 후크의 타측이 상기 결합슬라이드에 삽입된 상태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흉골 교정기기.
  9. 삭제
  10. 흉골 내측과 외측으로 삽입되어 함몰 또는 돌출된 흉골을 지지하는 더블바;및
    상기 더블바의 양 끝단에 결합되며 상기 더블바의 양 끝단이 위치될 갈비뼈에 걸어져 상기 더블바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더블바의 양 단부에 상기 고정수단이 결합되기 위한 체결공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공은
    원형의 제1체결공 및 상기 제1체결공과 연통되며 상기 제1체결공의 직경에 비해 간격이 좁은 장공 형상의 제2체결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흉골 교정기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일측이 갈비뼈에 걸어지는 후크와,
    상기 후크의 타측이 결합되는 결합슬라이드와,
    상기 후크의 타측이 상기 결합슬라이드에 결합된 상태를 고정하며 상기 제1체결공을 통해 머리부가 삽입되고 상기 머리부가 상기 제2체결공으로 이동되어 고정되는 체결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흉골 교정기기.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후크의 타측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슬라이드에는 상기 후크의 타측이 삽입되는 관통슬롯 및 상기 관통공 및 관통슬롯과 연통되는 연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볼트는 상기 연통공 및 상기 관통공에 결합되어 상기 후크의 타측이 상기 결합슬라이드에 결합된 상태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흉골 교정기기.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후크는 일측이 타측에 대해 'C'자 형상으로 꺽어진 갈고리 형상 또는 90도 꺽어진 'ㄴ'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흉골 교정기기.
  14.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더블바 및 상기 고정수단은 티타늄 합금 재질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흉골 교정기기.
KR1020160004713A 2016-01-14 2016-01-14 흉골 교정기기 KR1018524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4713A KR101852444B1 (ko) 2016-01-14 2016-01-14 흉골 교정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4713A KR101852444B1 (ko) 2016-01-14 2016-01-14 흉골 교정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5280A KR20170085280A (ko) 2017-07-24
KR101852444B1 true KR101852444B1 (ko) 2018-04-27

Family

ID=59429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4713A KR101852444B1 (ko) 2016-01-14 2016-01-14 흉골 교정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24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022782A1 (en) * 2018-04-10 2021-01-28 Pampamed Srl U-Bloq Chest Wall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8111B1 (ko) * 2007-08-28 2008-05-07 박형주 오목가슴 수술용 교정 막대 고정장치
KR101037957B1 (ko) 2009-11-26 2011-05-31 박형주 오목가슴 수술용 교정 막대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8111B1 (ko) * 2007-08-28 2008-05-07 박형주 오목가슴 수술용 교정 막대 고정장치
KR101037957B1 (ko) 2009-11-26 2011-05-31 박형주 오목가슴 수술용 교정 막대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5280A (ko) 2017-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30401B2 (en) Growth control device
JP4945439B2 (ja) 胸骨修復システム
US9439687B2 (en) Modular occipital plate
US20100256687A1 (en) Fixation Device and Method of Use for a Ludloff Osteotomy Procedure
US20080086124A1 (en) Occipito-cervical stabilization system and method
US20180310973A1 (en) Orthopedic apparatus for pectus excavatum
US20230108677A1 (en) Multiplanar fixation plate for fracture repair
CA2863261A1 (en) Method and system for longitudinal closure of dissected sternums
WO2018169869A1 (en) Proximal femur hook plate
KR101852444B1 (ko) 흉골 교정기기
JP7091539B2 (ja) 治療器具
US10441321B2 (en) Rib hook devices, systems, and methods of use
KR101349813B1 (ko) 흉골 교정기기
KR101271077B1 (ko) 흉벽 교정기기
KR20180023315A (ko) 흉골 교정 장치
CN112057155B (zh) 一种漏斗胸矫形系统
CN217472054U (zh) 一种胫骨远端前侧骨板
TW202419067A (zh) 胸腔內壁肋骨之固定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