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1077B1 - 흉벽 교정기기 - Google Patents

흉벽 교정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1077B1
KR101271077B1 KR1020110109420A KR20110109420A KR101271077B1 KR 101271077 B1 KR101271077 B1 KR 101271077B1 KR 1020110109420 A KR1020110109420 A KR 1020110109420A KR 20110109420 A KR20110109420 A KR 20110109420A KR 101271077 B1 KR101271077 B1 KR 1012710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ar
chest wall
stabilizer
chest
calib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9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5009A (ko
Inventor
손영호
이기태
이성수
Original Assignee
이성수
(주)케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수, (주)케어테크 filed Critical 이성수
Priority to KR10201101094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1077B1/ko
Publication of KR201300450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50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10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10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80Cortical plates, i.e. bone plates; Instrumen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cortical plates, or for compressing bones attached to cortical plates
    • A61B17/8061Cortical plates, i.e. bone plates; Instrumen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cortical plates, or for compressing bones attached to cortical plat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bones
    • A61B17/8076Cortical plates, i.e. bone plates; Instrumen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cortical plates, or for compressing bones attached to cortical plat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bones for the ribs or the stern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82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for bone cerclage
    • A61B17/823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for bone cerclage for the sternu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흉벽 교정기기에 관한 것으로, 흉벽 교정기기는, 흉벽 기형을 교정하기 위하여 돌출된 흉벽에 삽입되는 교정지지바아; 교정지지바아의 양단부에 연결되어 교정지지바아를 고정하는 스테빌라이져; 및 교정지지바아와 스테빌라이져의 연결 영역에 마련되어 스테빌라이져에 대해 교정지지바아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새 가슴과 같이 돌출 가슴에 흉벽 외측으로 교정지지바아를 삽입하여 압축시키는 교정 방법을 이용하여 종래 외과적 치료 방법에서 발생하는 부작용을 최소화시키는 한편 정확한 흉벽 교정을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흉벽 교정기기{orthodontic appliance for chest wall deformity}
본 발명은 흉벽 교정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새 가슴과 같이 돌출 가슴에 흉벽 외측으로 교정지지바아를 삽입하여 압축시키는 교정 방법을 이용하여 종래 외과적 치료 방법에서 발생하는 부작용을 최소화시키는 한편 정확한 흉벽 교정을 수행하는 흉벽 교정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흉벽 기형이라 하면 흉벽 및 흉곽 또는 늑골 주변 부분이 비정상적으로 함몰 또는 돌출되는 증상을 말한다.
특히, 새 가슴(pectus carinatum)은 선천적으로 흉벽이 과도하게 돌출된 가슴을 말하며, 누두흉(pectus excavatum)보다 드물게 나타난다. 이는 하부 늑연골들의 과 성장으로 인해 흉벽이 앞으로 돌출되는 소견으로 누두흉과 마찬가지로 자각적인 신체 증상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나 일부 환자에게 운동 시 호흡 곤란이나 부정맥 등의 증상이 생길 수 있다.
이러한 기형을 치료하기 위하여 비수술적 방법으로 보조기 등을 이용하여 흉부에 압박을 가하여 강제로 교정하는 방법과 수술적 방법으로 교정하는 방법이 있다.
이중, 새가슴의 수술적 치료방법은 흉부 절개를 통하여 변형된 연골들을 모두 제거한 후 남은 연골 각을 팽팽하게 당겨주어 돌출된 흉벽을 교정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시술 방식은 흉부의 전단 또는 상하 방향으로 앞 가슴 전체를 절개하고 흉벽의 절단을 수반하는바, 수술 과정 자체가 환자에게 위험 부담이 따를 뿐만 아니라 시술 후 큰 흉터를 남겨 환자에게 만족을 줄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수술법의 문제를 보완하기 위하여 1998년 Nuss에 의해 금속 바(metallic bar)를 이용한 수술법(nuss technique)이 소개되었다. 하지만, 너스 수술법은 비록 외과적 절개 및 절단이 최소화되는 최소 침습술이기는 하지만 누두흉 교정에 초점을 맞춘 수술 방법으로서 새가슴 교정에 이용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새 가슴과 같이 돌출된 흉벽 기형의 경우에도 종래 외과적 치료 방법이 아닌 너스 수술법과 같은 교정 방법을 이용하여 흉벽 교정을 수행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새 가슴과 같이 돌출 가슴에 흉벽 외측으로 교정지지바아를 삽입하여 압축시키는 교정 방법을 이용하여 종래 외과적 치료 방법에서 발생하는 부작용을 최소화시키는 한편 정확한 흉벽 교정을 수행하는 흉벽 교정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흉벽 교정기기는 흉벽 기형을 교정하기 위하여 돌출된 흉벽에 삽입되는 교정지지바아; 및 상기 교정지지바아의 양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교정지지바아를 고정하는 스테빌라이져; 및 상기 교정지지바아와 상기 스테빌라이져의 연결 영역에 마련되어 상기 스테빌라이져에 대해 상기 교정지지바아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교정지지바아는 상기 흉벽을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끌어당기기 위해 절곡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교정지지바아의 양단부에는 제1 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스테빌라이져의 중앙 영역에는 제2 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1 결합공 및 상기 제2 결합공이 상호 연통되는 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결합공이 형성되는 상기 교정지지바아의 저면에는 상기 스테빌라이져와 결합을 용이하게 하도록 길이방향으로 결합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테빌라이져는, 늑골에 밀착 지지되는 지지판부; 및 상기 지지판부의 중앙 영역에 판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돌출단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판부는 단부에는 복수의 관통공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돌출단턱은 상기 지지판부의 중앙 구역에 마련되며, 상기 돌출단턱의 측부 형상은 상기 지지판부로 갈수록 경사진 테이퍼 구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1 결합공 및 상기 제2 결합공에 스크루 결합되는 고정몸체; 및 상기 고정몸체의 상단부에서 상기 고정몸체의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함몰 형성되는 고정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홈은 다각 형상의 래치에 대응되는 다각 형상의 래치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각 형상의 래치는 육각래치이고, 상기 다각 형상의 래치홈은 단면이 육각형인 육각래치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몸체의 상단부에는 반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교정지지바아에 걸림결합되는 연장부가 더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교정지지바아, 상기 스테빌라이져 및 상기 고정부는 모두 티타늄 합금 재질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면 새 가슴과 같이 돌출 가슴에 흉벽 외측으로 교정지지바아를 삽입하여 압축시키는 교정 방법을 이용하여 종래 외과적 치료 방법에서 발생하는 부작용을 최소화시키는 한편 정확한 흉벽 교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흉벽 교정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흉벽 교정기기에서 교정지지바아의 저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흉벽 교정기기에서 고정부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흉벽 교정기기에서 스테빌라이져의 정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흉벽 교정기기가 새 가슴을 가진 환자의 인체 내에 삽입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흉벽 교정기기에서 스테빌라이져(130a)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너스 수술법(nuss technique)은 최소 침습(minimum invasive) 절개를 통해 교정지지바아를 삽입한 후 회전시켜 함몰된 흉벽을 들어올이는 방식으로서, 종래 외과적 수술 방식에 비해 수술 부담이 적으며, 우수한 치료법으로 인정받고 있다.
다만, 너스 수술법은 누두흉과 같은 함몰된 가슴을 주 타겟으로 하는바, 새 가슴과 같이, 돌출 흉벽 기형에도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이 제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흉벽 교정기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흉벽 교정기기에서 교정지지바아의 저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흉벽 교정기기에서 고정부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흉벽 교정기기에서 스테빌라이져의 정면도이다.
이하, 설명되는 흉곽 교정기기는 흉곽의 기형 중 특히, 새 가슴(pectus carinatum)의 변형을 교정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흉벽 교정기기는 교정지지바아(110)와, 교정지지바아(110)의 양단부에 연결되어 교정지지바아(110)를 고정하는 스테빌라이져(130)와, 교정지지바아(110)와 스테빌라이져(130)의 연결 영역에 마련되어 스테빌라이져(130)에 대해 교정지지바아(110)를 고정하는 고정부(120)를 포함한다.
교정지지바아(110)는 흉벽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흉벽을 압축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새 가슴 등 돌출 부분의 하중을 지지하며 하방으로 압박하는 구조체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도 2를 주로 참조하면, 교정지지바아(110)는 장방향으로 길이가 긴 바아 형태로 마련되며, 교정지지바아(110)의 일영역 또는 수개의 영역에는 절곡부가 형성된다. 절곡부는 환자의 흉벽 상태 등을 종합하여 형성된다.
또한, 교정지지바아(110)는, 환자마다 새 가슴의 정도가 다르므로 함몰 상태에 대응하여 절곡부의 곡률을 변경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에 따라, 시술자가 교정지지바아(110)를 임의의 위치에서 곡률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대칭형 환자 뿐만 아니라 비대칭형 환자에도 적용 가능하다.
이러한 교정지지바아(110)의 양단부에는 복수의 제1 결합공(111)이 형성되고, 이는 스테빌라이져(130)와 결합할 때 사용된다.
교정지지바아(110)의 단부 영역에는, 교정지지바아(11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결합홈부(112)가 마련된다. 결합홈부(112)에는 후술할 스테빌라이져(130)의 돌출단턱(133)에 마련된 제2 결합공(134)과 연결되어 연통 영역에 고정부(120)가 고정됨으로써, 교정지지바아(110)의 회전 및 이동을 저지시킨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마련되는 교정지지바아(110)의 길이는 환자의 신체 크기에 따라 180 mm부터 400 mm 까지 다양한 길이로 구성되어 시술자가 선택적으로 선택하여 시술할 수 있다. 또한, 한편, 교정지지바아(110)는 흉벽의 돌출된 형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하중에 변형이 발생하지 않도록 내구성있는 재질로 마련된다.
이러한 구성의 교정지지바아(110)는 흉벽 상단에 위치하여 돌출된 흉벽을 외측에서 지지하는 한편 내측방향으로 흉벽을 밀어넣는 역할을 하여 흉벽 기형을 원상태로 복원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교정지지바아(110)의 각 단부는 곡면으로 설계되어 체내 삽입 시 연조직(soft tissue)의 손상을 최소화시키는 장점이 있다.
한편, 흉벽 외측에 마련된 교정지지바아(110)가 흉벽을 내측으로 밀어넣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돌출된 흉벽이 외측으로 작용하는 하중에 대항하여 교정지지바아(110)를 지지하고 고정하는 수단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환자의 늑골 부위에는 스테빌라이져(130)가 마련되어 교정지지바아(110)와 상호 체결토록 하여 교정지지바아(110)를 고정시킨다.
스테빌라이져(130)는, 흉벽에 밀착 지지되는 지지판부(131)와, 지지판부(131)의 중앙 영역에 판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돌출단턱(133)을 포함한다.
지지판부(131)는 장방향이 교정지지바아에 수직으로 연결되며, 지지판부(131)의 장방향 단부에는 복수의 관통공(132)이 마련된다. 이를 통해, 관통공(132)에는 봉합사(suture) 등을 통해서 늑골에 고정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지지판부(131)의 중앙 구역에는 돌출단턱(133)이 마련된다. 돌출단턱은 지지판부(131)에서 판면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돌출단턱(133)의 측부는 하단으로 즉, 지지판부(131)로 갈수록 경사진 테이퍼 구간이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교정지지바아(110)의 단부 영역에 형성된 결합홈부(112)로 스테빌라이져(130)의 초기 진입이 용이하게 되어 교정지지바아(110)와 스테빌라이져(130)를 상호 결합을 용이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스테빌라이져(130)를 통해, 스테빌라이져(130)는, 교정지지바아(110)의 양단부에 연결되어 교정지지바아(110)가 흉벽 내에서 이동 및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교정지지바아(110)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스테빌라이져(130) 크기가 최소화되어 시술의 용의성이 향상되며, 시술 후 미용적 측면에서도 장점이 있다.
고정부(1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몸체(121)와, 고정몸체(121)의 상면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고정홈(124), 즉 본 실시 예의 래치홈(124)과, 고정몸체(121)의 상단부에는 반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123)를 포함한다.
고정몸체(121)는 제2 결합공(141) 및 제1 결합공(111)에 스크루 결합되며, 고정몸체(121)의 외주면에는 교정지지바아(110) 및 스테빌라이져(130)의 돌출단턱(133)에 형성된 암나사부(미도시)에 대응되는 수나사부(122)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수나사부(122)가 암나사부의 내측으로 회전 이동함에 따라 교정지지바아(110)에 대한 스테빌라이져(130)의 결합력은 강화될 수 있다.
고정홈(124)은 다각 형상의 래치홈(124)으로서, 고정몸체(121)의 상단부에서 고정몸체(121)의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함몰 형성되어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다각 형상의 래치홈(124)은 단면이 육각형인 육각래치홈(124)이고, 다각 형상의 래치(미도시)는 육각래치로 마련된다.
육각래치홈(124)은 해당 육각래치에 결합되며, 육각래치홈(124)에 결합된 해당 육각래치는 고정몸체(121)를 회전시켜 교정지지바아(110)를 스테빌라이져(130)에 고정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다만, 본 실시 예에서는 고정홈(124)이 육각 형상의 육각래치홈(124)들을 구비한다고 상술하였으나, 제작이 용이하다면 래치홈은 육각 형상이 아닌 사각 형상 또는 별 형상 등의 다른 형상으로도 마련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고정몸체(121)의 상단부에는 반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교정지지바아(110)의 제1 결합공(111)에 걸림결합되는 연장부(123)가 마련되어 있다.
연장부(123)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몸체(121)의 상단부에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고정몸체(121)와 일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연장부(123)는 교정지지바아(110)에 걸림되는 부분으로서, 고정몸체(121)가 교정지지바아(110)의 내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한편, 교정지지바아(110), 스테빌라이져(130) 및 고정부(120)는 스테인리스 스틸강이나 티타늄 합금 등 기계적 성질(mechanical properties)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생체 적합성(biocompatibility)이 우수한 재질로 마련될 필요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교정지지바아(110), 스테빌라이져(130) 및 고정부(120)의 재질은 전술한 물성을 충족시키는 Ti6Al4V ELI 재질을 사용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구성을 갖는 흉벽 교정장치의 시술 과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흉벽 교정기기가 새 가슴을 가진 환자의 인체 내에 삽입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우선, 사용 전 준비 사항으로서, 당해 제품은 비 멸균상태로 공급되므로 시술 전에 반드시 고압증기로(Autoclave)에서 멸균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또한, 심장 상태 및 허파의 기능의 평가, CT 촬영 등의 추가적인 검사가 수반되어야 하고, 흉곽 측정 및 사진 촬영을 수행하여 변형 정도와 교정에 적절한 bar의 형명 및 절곡 될 형상을 결정하는 등 수술 부위에 대한 정확한 측정을 수행한다.
시술 과정을 간략히 설명하면, 먼저, 환자의 흉부 크기 및 새 가슴의 정도를 고려하여 압축하기에 적절한 교정지지바아(110)를 선택한다. 그리고 시술 전 검사를 통해, 교정지지바아(110)를 소정 각도 절곡시킨다.
다음으로,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겨드랑이 부분의 피부(3)를 절개하여 광배근을 분리한 다음, 스테빌라이져(130)를 고정시킬 늑골(2)을 선택한다.
다음으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정지지바아(110)가 교정지지바아(110)의 일단부를 절개면에 삽입하여 반대쪽 절개부로 통과시킨다. 이때, 교정지지바아(110)가 흉벽(1) 외측으로 지나가는 것을 확인하기 위해 흉강경 혹은 내시경 등을 이용한다.
다음으로, 봉합사 배치가 유리하다고 판단된 늑골(2) 위치에 스테빌라이져(130)를 삽입시키고, 봉합사를 이용하여 늑골(2)과 스테빌라이져(130)를 상호 고정시킨다.
이후,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정지지바아(110)에 압축력을 가하면서 압축함과 동시에 고정부(120)를 이용하여 교정지지바아(110)와 스테빌라이져(130)를 상호 결합시킨다. 이때, 스테빌라이져(130)의 돌출단턱(133)과 교정지지바아(110)의 단부에 마련된 결합홈부(112)의 형상으로 인해, 보다 용이하게 교정지지바아(110)가 스테빌라이져(130)로 진입되면서 결합이 용이할 수 있다.
스테빌라이져(130)와 늑골(2) 사이의 봉합 상태 및 교정지지바아(110)와 스테빌라이져(130) 상호 간의 결합 상태를 확인한 다음, 절개 부위를 닫고 드레싱을 수행하여 시술을 완료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새 가슴과 같이 돌출 가슴에 흉벽(1) 외측으로 교정지지바아(110)를 삽입하여 압축시키는 교정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는, 종래 외과적 치료 방법에서 발생하는 부작용을 최소화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교정지지바아(110)의 양단부를 스테빌라이져(130)를 통해 늑골(2)에 고정시킬 수 있어, 새 가슴의 흉벽(1)을 정확하게 교정할 수 있다.
또한, 교정지지바아(110), 스테빌라이져(130) 및 고정부(120)의 재질 모두 티타늄 합금 재질로 마련하여, 생체 적합성(biocompatibility)과 기계적 성질(mechanical properties)이 우수한 효과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흉벽 교정기기에서 스테빌라이져(130a)의 사시도인데, 이하에서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차별되는 부분만을 설명하기로 하며,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중복 설명을 피하도록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흉벽 교정기기에서 다른 구성은 동일하나, 스테빌라이져(130a)의 형상 및 사용되는 교정지지바아(110)의 개수만 달리한다.
스테빌라이져(130a)는 제1 실시예의 스테빌라이져(130)보다 지지판(131a)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더 길게 마련되며, 2개의 돌출단턱(133a)이 형성된다. 그리고, 각각의 돌출단턱(133a)마다 형성된 제2 결합공(134a)를 통해 2개의 교정지지바아(110)와 결합된다.
그리고, 지지판(131a)에는 돌출단턱(133a)를 사이에 두고 양측으로 복수의 관통공(132a)이 형성된다. 이는, 늑골(2, 도 5a 참조)과 상호 결합 시 봉합사를 이용하여 보다 많은 체결 부위를 형성시킬 수 있다.
교정지지바아(110)를 이용하여 압축시키는 교정 방법을 수행함에 있어, 환자의 상태 및 돌출 정도를 고려하여 필요에 따라 더 큰 압축력이 요구되는 경우, 2개의 교정지지바아(110)를 흉벽(1, 도 5a 참조) 외측에 삽입하고 스테빌라이져(130a)에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보다 강한 압축력을 작용하면서 새 가슴 등의 흉벽(1) 기형을 교정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 : 교정지지바아 111 : 제1 결합공
112 : 결합홈부 120 : 고정부
121 : 고정몸체 123 : 연장부
124 : 육각래치홈 130 : 스테빌라이져
131 : 지지판부 132 : 관통공
133 : 돌출단턱 134 : 제2 결합공

Claims (12)

  1. 흉벽 기형을 교정하기 위하여 돌출된 흉벽에 삽입되는 교정지지바아;
    상기 교정지지바아의 양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교정지지바아를 고정하는 스테빌라이져; 및
    상기 교정지지바아와 상기 스테빌라이져의 연결 영역에 마련되어 상기 스테빌라이져에 대해 상기 교정지지바아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교정지지바아는 상기 흉벽을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끌어당기기 위해 절곡부가 형성되며,
    상기 교정지지바아의 양단부에는 제1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스테빌라이져의 중앙 영역에는 제2 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1 결합공 및 상기 제2 결합공이 상호 연통되는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결합공이 형성되는 상기 교정지지바아의 저면에는 상기 스테빌라이져와 결합을 용이하게 하도록 길이방향으로 결합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스테빌라이져는, 늑골에 밀착 지지되는 지지판부; 및 상기 지지판부의 중앙 영역에 판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돌출단턱을 포함하되, 상기 돌출단턱은 상기 지지판부의 중앙 구역에 마련되며, 상기 돌출단턱의 측부 형상은 상기 지지판부로 갈수록 경사진 테이퍼 구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흉벽 교정기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부는 단부에는 복수의 관통공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흉벽 교정기기.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1 결합공 및 상기 제2 결합공에 스크루 결합되는 고정몸체; 및
    상기 고정몸체의 상단부에서 상기 고정몸체의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함몰 형성되는 고정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흉벽 교정기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고정홈은 다각 형상의 래치에 대응되는 다각 형상의 래치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흉벽 교정기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다각 형상의 래치는 육각래치이고, 상기 다각 형상의 래치홈은 단면이 육각형인 육각래치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흉벽 교정기기.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고정몸체의 상단부에는 반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교정지지바아에 걸림결합되는 연장부가 더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흉벽 교정기기.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교정지지바아, 상기 스테빌라이져 및 상기 고정부는 모두 티타늄 합금 재질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흉벽 교정기기.

KR1020110109420A 2011-10-25 2011-10-25 흉벽 교정기기 KR1012710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9420A KR101271077B1 (ko) 2011-10-25 2011-10-25 흉벽 교정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9420A KR101271077B1 (ko) 2011-10-25 2011-10-25 흉벽 교정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5009A KR20130045009A (ko) 2013-05-03
KR101271077B1 true KR101271077B1 (ko) 2013-06-04

Family

ID=48657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9420A KR101271077B1 (ko) 2011-10-25 2011-10-25 흉벽 교정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107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3315A (ko) * 2016-08-25 2018-03-07 (주)티디엠 흉골 교정 장치
KR20240059660A (ko) 2022-10-25 2024-05-08 주식회사 제일메디칼코퍼레이션 흉골 교정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9450Y1 (ko) 2002-09-28 2003-01-06 메딕스얼라인 주식회사 흉곽기형 교정용 인공보철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9450Y1 (ko) 2002-09-28 2003-01-06 메딕스얼라인 주식회사 흉곽기형 교정용 인공보철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3315A (ko) * 2016-08-25 2018-03-07 (주)티디엠 흉골 교정 장치
KR102620925B1 (ko) * 2016-08-25 2024-01-05 (주)티디엠 흉골 교정 장치
KR20240059660A (ko) 2022-10-25 2024-05-08 주식회사 제일메디칼코퍼레이션 흉골 교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5009A (ko) 2013-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61357B2 (en) Staples for generating and applying compression within a body
US8814866B2 (en) Method for minimally invasive treatment of unstable pelvic ring injuries
US8900278B2 (en) Method for minimally invasive treatment of unstable pelvic ring injuries with an internal anterior fixator and posterior iliosacral screws
US20210393304A1 (en) Surgical implant for correction of hallux valgus or tailor's bunion
US7892258B2 (en) Spine stabilization system and integrated rod
US20170303978A1 (en) Rigid fixation systems for cardiothoracic fixation
US20140188176A1 (en) Method For Stabilizing the Spine
WO201511723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rrecting a rotational bone deformity
US20180310973A1 (en) Orthopedic apparatus for pectus excavatum
US10835301B1 (en) Malleable auxiliary compression plate system and method
KR101271077B1 (ko) 흉벽 교정기기
Cotrel et al. A new technic for segmental spinal osteosynthesis using the posterior approach
US20110004249A1 (en) Flexible spinal fixation device and rod thereof
KR101349813B1 (ko) 흉골 교정기기
JP7091539B2 (ja) 治療器具
KR101852444B1 (ko) 흉골 교정기기
CN107693101A (zh) 骨骼固定器
KR101680476B1 (ko) 외부 조절기능이 있는 오목가슴 교정막대
CN215306578U (zh) 脊柱钉
TWI508699B (zh) A spine joint hook device
US20160235446A1 (en) Spinal Rods and Methods
US20150265303A1 (en) Spinal correction release system and method
TWM517594U (zh) 尺骨鷹嘴突固定骨板
KR20100131626A (ko) 극간인대용 집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