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0476B1 - 외부 조절기능이 있는 오목가슴 교정막대 - Google Patents

외부 조절기능이 있는 오목가슴 교정막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0476B1
KR101680476B1 KR1020150096859A KR20150096859A KR101680476B1 KR 101680476 B1 KR101680476 B1 KR 101680476B1 KR 1020150096859 A KR1020150096859 A KR 1020150096859A KR 20150096859 A KR20150096859 A KR 20150096859A KR 101680476 B1 KR101680476 B1 KR 1016804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est
deforming
force transmitting
deformable
transmit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68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준
Original Assignee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968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04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0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04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80Cortical plates, i.e. bone plates; Instrumen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cortical plates, or for compressing bones attached to cortical plates
    • A61B17/8061Cortical plates, i.e. bone plates; Instrumen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cortical plates, or for compressing bones attached to cortical plat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bones
    • A61B17/8076Cortical plates, i.e. bone plates; Instrumen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cortical plates, or for compressing bones attached to cortical plat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bones for the ribs or the stern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목가슴 교정막대에 관한 것으로, 사람의 가슴을 일방향 축선 방향을 따라 관통하여 그 가슴 내측에 배치되고, 구부러짐 및 펼침이 가능하도록 변형되고, 펼침 상태로 가슴을 관통한 이후 구부러짐 상태에서 함몰된 가슴 벽을 지지시키는 변형부; 변형부 내측에 배치되고, 외부에서 인가된 힘을 전달 받아 변형부를 변형시키는 변형력 전달부; 및 변형력 전달부를 외부에서 작동시킬 수 있도록, 변형력 전달부에 동력적으로 연결되는 조작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외부 조절기능이 있는 오목가슴 교정막대{Pectus bar with external adjustability}
본 발명은 오목가슴 교정막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교정막대를 회전시키지 않고 기형이 발생한 흉벽을 원상태로 교정할 수 있는 구조가 개선된 외부 조절기능이 있는 오목가슴 교정막대에 관한 것이다.
오목가슴은 가슴을 이루는 흉벽의 기형으로, 함몰흉이라고 일컬어지고 있다. 이러한 가슴의 기형의 원인은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으나 유전적인 영향인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가슴뼈는 늑골, 흉골, 늑연골, 척추가 서로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이러한 가슴뼈의 구조에서 오목가슴은 늑골의 기형이 아닌 가슴의 앞쪽을 구성하는 흉골과 늑골을 연결하는 늑연골의 이상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보통 출생시에는 오목한 정도가 심하지 않다가 자라면서 점차 심해지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특히, 오목가슴의 경우 함몰된 흉벽이 심장이나 폐를 압박하여 기능장애를 가져오며 운동기능도 떨어지게 된다.
어린이의 경우에는 감기에 자주 걸리고 폐렴이 반복되면서 호흡기가 나빠지거나 발육이 늦어지는 문제뿐만 아니라 유/청소년기에 정서적, 심리적 장애를 초래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오목가슴을 교정하기 위한 종래의 수술법으로 라비치 수술법이라는 것이 있다. 이는 앞가슴을 크게 열고 연골을 모두 제거하는 형태로 행해지는 것인데, 수술 후에 흉벽이 약해지거나 유착이 생겨 가슴의 부드러운 운동기능이 상실될 뿐 만 아니라 가슴에 큰 흉터가 남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1997년 미국의 도널드 너스(Donald Nuss)는 이러한 라비치 수술법 대신 오목가슴을 교정하기 위한 새로운 수술법(이를 '너스 수술법'이라 함)을 창안하기에 이르렀다.
도 1은 종래 너스 수술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너스 수술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흉벽(1) 부위가 함몰된 환자에 대하여 겨드랑이 양쪽 밑을 절개하여 굴곡된 교정 막대(10)를 집어넣은 후, 굴곡된 교정 막대(10)를 회전시켜 함몰된 뼈를 들어올림으로써 정상적인 가슴의 형상으로 만드는 방법이다.
그러나, 종래 너스 수술법은 굴곡된 교정 막대를 회전시켜 함몰된 뼈를 들어 올려야하기 때문에 굴곡된 교정 막대 회전 시 심장이 눌려 심정지가 올 수 있고 심장, 폐, 늑간 또는 혈관 등이 손상을 입어 환자에게 치명적일 수 있다.
또한 종래 너스 수술법은 굴곡된 교정 막대를 회전시킨 후 교정이 불충분하거나 완벽하지 않을 시에는 다시 수차례 같은 시술을 시행하면서 상기의 문제점들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교정 막대를 회전시키기 않고도 함몰된 흉벽을 들어올릴 수 있게 해줌으로써 교정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심장압박으로 인한 심정지, 심장, 폐, 혈관 등의 손상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여러 번 굴곡된 교정 막대를 넣고 빼고 하는 시도를 할 필요가 없이 완전한 교정이나 만족한 결과를 얻을 때까지 외부에서 조절기능이 있는 오목가슴 교정막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추후 교정막대 제거 시에도 같은 방법을 통해 외부에서 굴곡을 펼침으로써 교정막대의 제거가 가능한 교정막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외부 조절기능이 있는 오목가슴 교정막대는 사람의 가슴을 일방향 축선 방향을 따라 관통하여 그 가슴 내측에 배치되고, 구부러짐 및 펼침이 가능하도록 변형되고, 상기 펼침 상태로 상기 가슴을 관통한 이후 상기 구부러짐 상태에서 함몰된 가슴 벽을 지지시키는 변형부; 상기 변형부 내측에 배치되고, 외부에서 인가된 힘을 전달받아 상기 변형부를 변형시키는 변형력 전달부; 및 상기 변형력 전달부를 외부에서 작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변형력 전달부에 동력적으로 연결되는 조작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함몰된 흉벽을 들어올리기 위해 교정 막대를 회전시키지 않기 때문에 교정 막대의 회전에 의해 생기는 심장압박으로 인한 심정지, 심장, 폐, 혈관 등의 손상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여러번 굴곡된 교정 막대을 넣고 빼고 하는 시도를 할 필요가 없는데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추후 교정막대 제거 시 같은 방법으로 굴곡된 부위를 펼침으로써 교정막대 제거 시 발생하는 내부장기 손상으로 인한 출혈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너스 수술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목가슴 교정막대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Ⅳ-Ⅳ의 단면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용상태도.
도 8 밀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채용된 다른 변형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목가슴 교정막대의 주요 단면도이다.
이하,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조절기능이 있는 오목가슴 교정막대(이하, 하기에서는 "오목가슴 교정막대"라 함)에 대하여 하기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목가슴 교정막대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Ⅳ-Ⅳ의 단면도이고,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용상태도이다.
상기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목가슴 교정막대는 변형부(100), 변형력 전달부(200) 및 조작부(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변형부(100)는 사람의 가슴을 일방향 축선 방향을 따라 관통하여 그 가슴 내측에 배치되고, 구부러짐 및 펼침이 가능하도록 변형되고, 내부에 변형력 전달부(200)가 삽입되기 위한 공간이 마련되며, 펼침 상태로 가슴을 관통한 이후 구부러짐 상태에서 함몰된 가슴 벽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채용된 변형부(100)는, 서로 상대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의 변형부재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각 변형부재는, 내측에 변형력 전달부(200)가 삽입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일측에는 삽입돌기(103)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인접하게 배치된 변형부재의 삽입돌기(103)가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삽입홈(105)이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채용된 변형부재의 삽입홈(105)은, 변형부(100)의 굽힘 및 펼침시에 인접한 변형부재와의 간섭이 방지될 수 있도록, 삽입돌기(103)가 삽입된 후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변형부(100)의 종단에 변형부재를 뼈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변형력 전달부(200)는 변형부(100) 내측에 배치되고, 외부에서 인가된 힘을 전달 받아 변형부(100)를 변형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채용된 변형력 전달부(200)는 강선 와이어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조작부(300)는 변형력 전달부(200)를 외부에서 작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변형력 전달부(200)에 동력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채용된 변형력 전달부(200)는 일측이 변형부(100)의 내측에 고정되고 타측은 나사산이 구비되며, 조작부(300)는 일측이 변형부(100)에 자유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내측에 변형력 전달부(200)의 나사산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구비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채용된 조작부(300)는 일측이 변형부(100)에 자유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변형력 전달부(2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사용자가 조작부(300)를 회전시키게 되면 나사산에 의해 변형력 전달부(200)가 변형부(100) 내측으로 유입된다.
이렇게 변형력 전달부(200)가 변형부(100) 내측으로 유입됨으로써 구부러짐이 가능한 변형부(100)는 변형력 전달부(200)와 동일한 방향으로 구부러지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목가슴 교정막대의 사용 방법에 대하여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부(100)가 변형되지 않은 상태에서 함몰된 흉벽에 오목가슴 교정막대를 삽입한 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부(100)의 양측을 흉벽 양측에 고정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조작부(300)를 통해 변형력 전달부(200)에 동력을 전달하게 되면, 조작부(300)로부터 동력이 전달된 변형력 전달부(200)가 변형부(100) 내측으로 유입되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에 변형부(100)가 변형되면서 함몰된 흉벽을 들어올리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함몰된 흉벽을 들어올리기 위해 교정 막대를 회전시키지 않기 때문에 교정 막대의 회전에 의해 내부 장기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변형부(100)를 감싸는 신축성 있는 재질의 보호부재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채용된 조작부(300)는, 변형력 전달부(200)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도 8 밀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채용된 다른 변형부(100', 1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채용된 다른 변형부(100', 100")는, 신축성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변형부(100', 100")가 일 실시예에서와 같이 주름관 형상이 아닌 신축성 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경우, 내부 장기와 접촉되더라도 장기가 훼손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목가슴 교정막대의 주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부 중 종단 변형부(101)의 내측에 나사산이 구비되고, 변형력 전달부(200)는 일측에 나사산이 구비되며 그 종단에 조작부(300)가 일체로 구비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변형력 전달부(200)에 일체로 구비된 조작부(300)를 회전시키면 변형력 전달부(200)가 회전하게 됨에 따라 변형력 전달부(200)가 변형부(101) 내측으로 들어가게 되면서, 변형부(100)가 변형되고 변형부(100)의 변형에 의해 함몰된 뼈를 들어올릴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100 : 변형부 200 : 변형력 전달부
300 : 조작부

Claims (6)

  1. 사람의 가슴을 일방향 축선 방향을 따라 관통하여 그 가슴 내측에 배치되고, 구부러짐 및 펼침이 가능하도록 변형되고, 상기 펼침 상태로 상기 가슴을 관통한 이후 상기 구부러짐 상태에서 함몰된 가슴 벽을 지지시키는 변형부;
    상기 변형부 내측에 배치되고, 외부에서 인가된 힘을 전달 받아 상기 변형부를 변형시키는 변형력 전달부; 및
    상기 변형력 전달부를 외부에서 작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변형력 전달부에 동력적으로 연결되는 조작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조절기능이 있는 오목가슴 교정막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부는,
    서로 상대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의 변형부재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변형부재들은, 내측에 상기 변형력 전달부가 삽입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일측에는 삽입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변형부재의 삽입돌기가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삽입홈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조절기능이 있는 오목가슴 교정막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부재의 삽입홈은, 상기 변형부의 굽힘 및 펼침시에 변형부재와의 간섭이 방지될 수 있도록, 상기 삽입돌기가 삽입된 후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조절기능이 있는 오목가슴 교정막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부는, 주름관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조절기능이 있는 오목가슴 교정막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변형력 전달부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조절기능이 있는 오목가슴 교정막대.
  6. 삭제
KR1020150096859A 2015-07-08 2015-07-08 외부 조절기능이 있는 오목가슴 교정막대 KR1016804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6859A KR101680476B1 (ko) 2015-07-08 2015-07-08 외부 조절기능이 있는 오목가슴 교정막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6859A KR101680476B1 (ko) 2015-07-08 2015-07-08 외부 조절기능이 있는 오목가슴 교정막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0476B1 true KR101680476B1 (ko) 2016-11-28

Family

ID=57706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6859A KR101680476B1 (ko) 2015-07-08 2015-07-08 외부 조절기능이 있는 오목가슴 교정막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04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8826A (ko) 2018-10-30 2020-05-08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환자 맞춤형 너스바의 제조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81Y1 (ko) 2000-03-15 2000-10-16 정윤섭 흉곽기형을 교정하기 위한 인공보철물
KR101037957B1 (ko) 2009-11-26 2011-05-31 박형주 오목가슴 수술용 교정 막대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81Y1 (ko) 2000-03-15 2000-10-16 정윤섭 흉곽기형을 교정하기 위한 인공보철물
KR101037957B1 (ko) 2009-11-26 2011-05-31 박형주 오목가슴 수술용 교정 막대 고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8826A (ko) 2018-10-30 2020-05-08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환자 맞춤형 너스바의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66392B2 (en) Stent retractor/distractor
US8551107B2 (en) Bending tool and method for reshaping a bone plate
KR101806729B1 (ko) 오목가슴 기형의 교정 수술용 의료장치
US20110093018A1 (en) Dorsal midfoot bone plate system and method
EP3406212A1 (en) Spinal distraction system
JP2023029567A (ja) 骨プレート内部固定装置
US10835301B1 (en) Malleable auxiliary compression plate system and method
JP6503290B2 (ja) 切断された胸骨の露出端を被覆するための機器
KR101680476B1 (ko) 외부 조절기능이 있는 오목가슴 교정막대
JP2016527967A (ja) 単皮質ピンの固定具
CN107260275B (zh) 一种骨折外固定支架
US20110004249A1 (en) Flexible spinal fixation device and rod thereof
JP6925656B2 (ja) 創外固定器
EP3897420B1 (en) Flexible cartilage replacement
CN210843406U (zh) 一种新型微创手术螺钉置入装置
US9936991B2 (en) Bone fracture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JP6902158B2 (ja) 自己調整可能な漏斗胸再建システム
RU153364U1 (ru) Интрамедулля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 блокированием для остеосинтеза переломов и дефектов длинных трубчатых костей
KR101271077B1 (ko) 흉벽 교정기기
CN211962163U (zh) 髓内钉
CN210673366U (zh) 一种经胸介入手术用心脏固定器
KR101852444B1 (ko) 흉골 교정기기
CN106388920A (zh) 一种骨钉
CN110897701A (zh) 一种胫骨远端异形块
JP7041170B2 (ja) 脊椎固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