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7232A - 경량철골용 타카핀 및 타카못 - Google Patents

경량철골용 타카핀 및 타카못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7232A
KR20170017232A KR1020150110862A KR20150110862A KR20170017232A KR 20170017232 A KR20170017232 A KR 20170017232A KR 1020150110862 A KR1020150110862 A KR 1020150110862A KR 20150110862 A KR20150110862 A KR 20150110862A KR 20170017232 A KR20170017232 A KR 201700172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scales
steel frame
lightweight steel
inclined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0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상 호 최
Original Assignee
상 호 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상 호 최 filed Critical 상 호 최
Priority to KR10201501108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17232A/ko
Publication of KR201700172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72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04B1/4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5/00Nails; Staples
    • F16B15/06Nails; Staples with barbs, e.g. for metal parts; Drive scre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건축용 보드 등의 부재와 경량철골을 결합시킴에 있어서 신속한 작업을 위해 타카건을 이용할 수 있으면서도 부재들의 견고한 결합상태를 형성시킬 수 있는 구조의 타카핀 및 타카못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서로 평행하고 하단에는 첨단부가 각각 설치된 제1다리부 및 제2다리부와, 상기 제1다리부의 상단과 상기 제2다리부의 상단을 연결하는 연결머리부를 포함하는 타카핀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에는 그 측면에 다수의 비늘이 형성되되, 상기 다수의 비늘은 상기 첨단부를 향해 경사진 산형으로 형성된 것이고, 상기 첨단부는 사이각이 15 ~ 60°가 되도록 뾰족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경량철골용 타카핀 및 타카못{Tacker pin and tacker nail for light weight steel construction}
본 발명은 경량철골용 타카핀 및 타카못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경량철골과 타 부재 예컨대 건축용 보드와 견고히 결합하기에 적합한 구조의 타카핀 및 타카못에 관한 것이다.
통상 건축현장 등에서는 목재 등의 건축부재들을 신속히 설치, 고정하기 위하여 타카건(tacker gun)에 의해 타격되는 타카핀 또는 타카못이 많이 활용된다.
상기 타카핀은 “ㄷ ”자 형상으로 스테플러와 같은 형상을 가지고 타카못은 일자형의 못의 형태를 가진다.
도 1은 한국등록특허 제10-1180187호에 기재된 것으로서, 타카핀을 사용하여 목재를 서로 결합한 구조를 도시하는 것이다.
그러한 타카핀 또는 타카못이 목재를 서로 결합하는 경우, 작업대상부재(2,3)의 양호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나, 도 2와 같이, 건축현장에서 건축용 보드(6)를 중공의 경량철골(7)에 결합시키는 작업에서는 타카핀(1) 또는 타카못이 외부에서 작용하는 하중에 의해 쉽게 빠져버릴 수 있고, 건축용 보드(6)와 경량철골(7)의 결합상태가 양호하지 못하여 현장에서의 사용이 어렵다.
이에 따라, 건축용 보드(6)와 경량철골(7)의 결합은 하중에 견딜 수 있도록 나사핀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는 바, 긴 작업시간과 높은 설치비용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건축용 보드 등의 부재와 경량철골을 결합시킴에 있어서 신속한 작업을 위해 타카건을 이용할 수 있으면서도 부재들의 견고한 결합상태를 형성시킬 수 있는 구조의 타카핀 및 타카못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서로 평행하고 하단에는 첨단부가 각각 설치된 제1다리부 및 제2다리부와, 상기 제1다리부의 상단과 상기 제2다리부의 상단을 연결하는 연결머리부를 포함하는 타카핀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에는 그 측면에 다수의 비늘이 형성되되, 상기 다수의 비늘은 상기 첨단부를 향해 경사진 산형으로 형성된 것이고, 상기 첨단부는 사이각이 15 ~ 60°가 되도록 뾰족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산형이 상기 연결머리부 측을 향하는 제1경사면과 상기 첨단부 측을 향하는 제2경사면에 의해 각각 형성되되, 상기 제1경사면과 상기 제2경사면은 모두 상기 첨단부 측으로 기울어진 경사면인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비늘이 그것이 설치되는 상기 제1다리부 또는 상기 제2다리부에 형성된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한편,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다리부와, 상기 다리부의 상단에 설치되는 머리부와 상기 다리부의 하단에 설치되는 첨단부를 포함하는 타카못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에는 그 측면에 다수의 비늘이 형성되되, 상기 다수의 비늘은 상기 첨단부를 향해 경사진 산형으로 형성된 것이고, 상기 첨단부는 사이각이 15 ~ 60°가 되도록 뾰족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산형이 상기 머리부 측을 향하는 제1경사면과 상기 첨단부 측을 향하는 제2경사면에 의해 각각 형성되되, 상기 제1경사면과 상기 제2경사면은 모두 상기 첨단부 측으로 기울어진 경사면인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비늘이 상기 다리부의 표면보다 높게 형성된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다리부가 상기 머리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일측다리 및 타측다리와, 상기 일측다리와 상기 타측다리를 서로 부착시키도록 상기 다리부에 설치되는 부착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일측다리의 하단부와 상기 타측다리의 하단부는 서로 소정각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다리부가 물체에 박히는 과정 중, 상기 소정각으로 인해, 상기 부착수단의 부착력을 이기면서, 상기 일측다리와 상기 타측다리가 분리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타카핀 및 타카못은 첨단부의 사이각이 15 ~ 60°의 범위로 뾰족하게 형성되고 다리부에는 비늘이 형성되되 그 비늘이 첨단부 측으로 경사진 상태로 형성됨으로써, 타카핀 및 타카못이 경량철골을 관통한 후 빠지지기 어려운 견고한 결합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첨단부의 사이각이 15 ~ 60°의 범위로 뾰족하게 형성됨으로써 중공의 경량철골을 관통하면서 타카핀 또는 타카못의 다리부에 경량철골이 밀착하도록 관통공이 형성되고, 경량철골을 통과한 비늘은 변형되어 후퇴시키는 힘을 받더라도 경량철골에 걸림되어 빠지기 어려운 형상을 가지게 된다.
이에 따라, 건축용 보드를 경량철골에 결합시키는 작업이 타카건(tacker gun)을 사용하여 타카핀 및 타카못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매운 신속히 진행될 수 있고, 건축용 보드와 경량철골이 비교적 견고한 결합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타카핀이 목재의 결합을 위해 사용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용상태도
도 2는 종래 타카핀이 건축용 보드와 경량철골의 결합에 사용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용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카핀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카핀의 정면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카핀의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카못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카못의 정면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카못의 사용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늘의 형상에 대한 설명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비늘과 경사의 방향이 반대인 비늘을 가진 타카핀의 작용설명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카핀(10)은 서로 평행하고 하단에는 첨단부(14,15)가 각각 설치된 제1다리부(11) 및 제2다리부(12)와, 상기 제1다리부(11)의 상단과 제2다리부(12)의 상단을 연결하는 연결머리부(13)를 포함한다.
상기 제1다리부(11)와 제2다리부(12)는 서로 평행하게 수직으로 설치되고 제1다리부(11)와 제2다리부(12)의 상단이 연결머리부(13)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전체적으로 "∩ "형상을 가지게 된다.
제1다리부(11)와 제2다리부(12)의 하단은 각각 첨단부(14,15)를 가짐으로써 작업이 이루어지는 부재에 박힐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첨단부(14,15)는 뾰족하게 형성되되, 첨단부를 뾰족하게 형성하게 하는 면 사이의 각, 즉 첨단부의 사이각(α)이 15 ~ 60°의 범위로 각각 예리하게 형성한다. 이에 따라, 중공의 경량철골(70)에 박히는 과정에서 경량철골(70)을 관통시키는 첨단부(14,15)가 그 예리함으로 인해 경량철골(70)을 큰 충격으로 파괴하지 않고 초기 구멍이 형성된 후 그 구멍을 확장시키면서 미끄러지듯이 진입하여 경량철골(70)의 관통공을 충격없이 확장시키도록 한다.
이러한 구조 및 작용은 제1다리부(11) 및 제2다리부(12)가 박히는 경량철골(70)의 관통공이 제1다리부(11) 및 제2다리부(12)에 꽉 끼이는 구멍으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박힌 후 비늘(17)에 의해 타카핀(10)이 빠지지 않도록 돕기 위한 것이다.
만일, 상기 첨단부(14,15)의 사이각(α)이 80~90°로 너무 큰 경우에는 첨단부(14,15)가 경량철골(70)을 관통시키는 과정에서 경량철골(70)의 표면에 큰 충격과 변형을 주어 제1다리부(11)와 제2다리부(12)보다 더 크고 불규칙하게 찢어진 형태의 관통공을 형성시키게 된다.
첨단부(14,15)는 뾰족하게 하는 양측 첨단경사면에 의해 형성되거나, 일측 첨단경사면과 수직면이 만나 끝단이 뾰족하게 됨으로써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제1다리부(11)와 제2다리부(12)에는 그 측면에 다수의 비늘(16,17)이 형성된다.
상기 비늘(16,17)은 타카핀(10)이 경량철골(70)에 박힌 후 빠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부분으로서, 통상 못이나 핀에 형성되는 비늘 또는 돌기의 경사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형성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 상기 다수의 비늘(16,17)은 첨단부(14,15)를 향해 편향되게 경사진 산(山)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비늘(16,17)이 첨단부(14,15)를 향해 경사진 산형으로 형성되고 산형의 경사진 방향이 일반적인 못 등과 반대인 것은, 경량철골(70)과 건축용 보드의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해 경량철골(70)을 관통시키는 특성에 적합하도록 구성되어진 것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비늘(16,17)의 경사진 산형은 연결머리부(13) 측을 향하는 제1경사면(17a)과 첨단부(14,15) 측을 향하는 제2경사면(17b)에 의해 각각 형성되되, 제1경사면(17a)과 제2경사면(17b)은 모두 첨단부(14,15) 측으로 기울어진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물론, 도 9의 (b)와 같이, 제2경사면(17b)이 첨단부(14,15)를 향해 기울어지지 않고 제1다리부(11) 또는 제2다리부(12)의 길이방향에 직각인 방향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나, 제1경사면(17a)과 제2경사면(17b)이 모두 첨단부(14,15) 측으로 기울어진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비늘(16,17)의 끝단부에서 변형이 용이하게 발생할 수 있으므로 후술하는 작용발생에 보다 유리하다.
또한, 상기 비늘(16,17)은 각각이 위치하는 제1다리부(11) 또는 제2다리부(12)의 표면보다 약간 높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비늘(16,17)이 제1다리부(11) 또는 제2다리부(12)의 표면과 동일 높이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나, 약간 돌출된 상태가 후술하는 작용발생에 보다 유리하다.
상기 비늘(16,17)의 형성을 위해 타카핀(10)을 제작하는 공구가 제1다리부(11) 또는 제2다리부(12)의 표면을 프레싱(pressing)하는 경우, 상기 비늘(16,17)은 자연스럽게 제1다리부(11) 또는 제2다리부(12)의 표면보다 약간 높게 솟아오르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카핀(10)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타카핀(10)이 타카건(tacker gun)에 장착되어 타격구(85)가 타카핀(10)을 타격하면 작업대상부재에 박힐 수 있다.
도 5는 본 실시예의 타카핀(10)이 건축용 보드(60)와 경량철골(70)을 서로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으로서 타카건에 의해 보드(60)와 경량철골(70)에 박혀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그 과정에서, 타카핀(10)의 첨단부(14,15)는 사이각(α)이 15 ~ 60°의 범위에서 형성되어 예리한 각도로 형성됨으로써, 경량철골(70)을 관통시키면서 큰 충격을 주지 않고 첨단부(14,15)의 진행과 함께 구멍의 크기가 점차적으로 넓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최종적으로 경량철골(70)에 형성되는 구멍은 제1다리부(11) 또는 제2다리부(12)에 대체로 밀착하는 관통공이 될 수 있다.
또한, 제1다리부(11) 및 제2다리부(12)가 박히는 과정에서 건축용 보드(60)는 그 경도가 낮아 타카핀(10)이 쉽게 관통하고, 타카핀(10)이 경량철골(70)을 관통하는 과정에서 다수의 비늘(16,17)에 변형이 발생한다.
그러한 비늘(16,17)의 변형은 도 5의 확대된 그림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다리부(11) 및 제2다리부(12)의 진행시 경량철골(70)에 부딪히면서 간섭되어 첨단부(14,15)가 위치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변형이 발생된다.
상기 비늘(16,17)은 첨단부(14,15)를 향해 경사진 산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바, 비늘(16,17)의 끝단이 경량철골(70)에 간섭되면서 경사진 산형이 외측으로 일어서려는 방향으로 변형이 발생되고, 이러한 변형은 최종적으로 비늘(16,17)의 끝단을 첨단부(14,15)가 위치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휘게 하여 비늘(16,17)의 끝단의 높이가 약간 높아지도록 변형시키는 것이다.
즉, 도 9의 (a)에서 표시된 Δh만큼 변형에 의해 높이가 증가하여 도 4의 h1보다 도 5의 h2 높이가 미소하게 높아진 상태가 된다. 참고로, 도 9의 확대된 그림에서 B1은 점선으로 표시되어 원상태의 비늘형상을 나타내고, B2는 실선으로 표시되어 변형된 상태의 비늘형상이다.
이러한, 변형은 타카핀(10)이 경량철골(70)로부터 빠져나가려는 힘에 저항할 수 있도록 비늘(16,17)이 경량철골(70)을 물고 있게 하므로, 경량철골(70)과 보드(60)의 결합이 견고한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한편,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카못(20)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타카못(20)은 다리부(21,22)와, 상기 다리부(21,22)의 상단에 설치되는 머리부(23)와, 상기 다리부(21,22)의 하단에 설치되는 첨단부(24,25)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다리부(21,22)에는 그 측면에 다수의 비늘(26,27)이 형성되되, 상기 다수의 비늘(26,27)은 첨단부(24,25)를 향해 편향되게 경사진 산형으로 형성된 것이고, 상기 첨단부(24,25)는 사이각(α)이 15 ~ 60°가 되도록 뾰족하게 형성된 것이다.
상기 머리부(23)는 작업대상부재에 타카못(20)을 타격시 더 이상들어가지 않도록 하는 스토퍼 역할을 하고, 타카건의 타격구(85)가 타격하는 부분이다.
상기 다리부(21,22)는 머리부(23)에서 하측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일반적인 못의 구성과 유사하나, 본 실시예에서 다리부(21,22)는 머리부(23)에서 하측으로 서로 나란히 연장되어 있는 일측다리(21) 및 타측다리(22)가 설치된다. 일측다리(21) 및 타측다리(22)는 서로 밀착되도록 나란히 형성되고, 일측다리(21) 및 타측다리(22)의 하단에는 첨단부(24,25)가 각각 형성된다.
일측다리(21) 및 타측다리(22)의 각 첨단부(24,25)는 다리부(21,22)의 연장방향 즉,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각 하단이 소정각을 가지도록 경사져 있는 것으로서, 작업대상부재에 다리부(21,22)가 길이방향으로 진입하면서 상기 일측다리(21) 및 타측다리(22)는 그 진입하는 방향에 대하여 측방향으로 변형되는 힘을 받게 된다.
상기 일측다리(21) 및 타측다리(22)의 각 첨단부(24,25)를 형성하는 단일의 각 첨단경사면(24a,25a)은 다리부(21,22)가 연장되는 방향에 대하여 서로 다른 방향으로 형성되어 서로 소정각을 가진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일측다리(21)의 첨단부(24)와 타측다리(22)의 첨단부(25)가 다리부(21,22)의 하단에서 첨단부(24,25)의 첨단경사면들(24a,25a)이 도 7과 같이,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이는 제작이 용이하고 다리부(21,22)가 작업대상부재에 박힌 후 그 벌어져 있는 상태가 안정적으로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7에서는 상기 소정각이 2α가 되고 있다.
일측다리(21) 및 타측다리(22)가 각 첨단부(24,25)에 의해 작업대상부재에 진입하면서 너무 많이 벌어지지 않도록 일측다리(21)와 타측다리(22)를 서로 부착시키는 부착수단이 설치된다.
상기 부착수단은 일측다리(21) 및 타측다리(22) 사이에 위치하는 본드, 양면테이프가 될 수 있고, 그 설치로 인해 일측다리(21) 및 타측다리(22)가 외측으로 과도하게 변형되어 벌어지는 것을 조절할 수 있다.
다리부(21,22)가 작업대상부재에 진입시 첨단부(24,25)로 인해 벌어지려는 힘을 부착수단이 일정부분 억제할 있는 바, 부착수단의 설치길이 또는 설치면적에 따라 변형되는 정도의 조절이 가능하다.
상기 첨단부(24,25)는 각각 사이각(α)이 15 ~ 60°가 되도록 뾰족하게 형성되고, 첨단부(24,25)의 사이각(α)이 15 ~ 60°정도로 예리하게 형성됨으로써 전술한 바와 같이, 작업대상부재인 경량철골(70)을 관통시킬 때, 그 관통공이 일측다리(21) 또는 타측다리(22)에 밀착되도록 최소한의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도 일측다리(21)와 타측다리(22)에는 다수의 비늘(26,27)이 형성되되, 상기 다수의 비늘(26,27)은 첨단부(24,25)를 향해 경사진 산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각각의 상기 산형은 머리부(23) 측을 향하는 제1경사면(27a)과 첨단부(24,25) 측을 향하는 제2경사면(27b)에 의해 형성되되, 제1경사면(27a)과 제2경사면(27b)은 모두 첨단부(24,25) 측으로 기울어진 경사면으로 형성한다.
또한, 상기 비늘(26,27)은 다리부(21,22)의 표면보다 약간 높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을 참고하여, 본 실시에의 타카못(20)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타카못(20)은 일측다리(21)의 첨단경사면(24a)과 타측다리(22)의 첨단경사면(25a)은 서로 소정각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다리부(21,22)가 물체에 박히는 과정 중, 상기 소정각으로 인해, 상기 부착수단의 부착력을 이기면서, 일측다리(21)와 타측다리(22)가 분리된다.
타카못(20)이 건축용 보드(60)에 진입을 시작하면, 일측다리(21)와 타측다리(22)는 그 첨단부(24,25)에서 첨단경사면(25a,25b)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보드(60)의 내부에서의 진행시 각 첨단경사면(25a,25b)이 형성된 반대방향으로 일측다리(21)와 타측다리(22)가 구부러지면서 진행하려는 하중이 작용하는 바, 일측다리(21)와 타측다리(22)는 하측에서부터 서로 분리되어 벌어지게 된다.
그 분리과정에서 부착수단의 접착력을 이기면서, 일측다리(21)와 타측다리(22)가 분리되어야 하므로 일측다리(21)와 타측다리(22)는 보드(60)에 진입시 그 벌어짐의 정도가 제한되게 된다. 이에 따라, 건축용 보드(60)를 다리부(21,22)가 통과하는 시점까지 일측다리(21)와 타측다리(22)가 일정 범위로 벌어짐의 정도가 제한된 상태로 경량철골(70)을 만날 수 있는 바, 도 8과 같이, 일측다리(21)와 타측다리(22)의 하단이 경질의 경량철골(70)을 관통할 수 있는 진입각도를 유지할 수 있다.
만일, 본 실시예의 타카못(20)에 부착수단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일측다리(21)와 타측다리(22)는 저항없이 쉽게 분리되어 벌어지게 됨으로써, 큰 각도로 보드(60) 내에서 변형되거나, 큰 각도로 변형되어 경량철골(70)과 만나는 시점에서는 그 경량철골(70)을 관통할 수 없는 정도로 크게 변형되어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정에 따라, 건축용 보드(60)와 경량철골(70)을 결합시키는 작업이 이루어진 후의 상태는, 도 8과 같이, 일측다리(21)와 타측다리(22)가 적당한 각도로 벌어진 상태로 경량철골(70)을 서로 다른 방향으로 비스듬히 관통해 있으므로, 일자형태의 타카못(20)이 수직으로 관통한 경우와 비교하여 타카못(20)을 빼내려는 하중에서 대하여 큰 저항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다리부(21,22)에 설치되는 비늘(26,27)의 작용이 타카못(20)이 경량철골(70)로부터 빠지려는 하중에 대하여 더 큰 저항력을 부가하게 된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다리부(21,22)가 경량철골(70)을 관통하여 진입하면서 발생하는 비늘(26,27)의 변형은 도 5 및 도 8의 확대된 그림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경량철골(70)에 부딪히면서 간섭되어 첨단부(24,25)가 위치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힘을 받아 외측으로 일어서려는 변형이 발생된다.
상기 비늘(26,27)은 첨단부(24,25)를 향해 경사진 산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바, 비늘(26,27)의 끝단이 경량철골(70)에 간섭되면서 경사진 산형이 외측으로 일어서는 방향으로 변형이 발생되고, 그러한 변형은 최종적으로 비늘(26,27)의 끝단부 부근을 첨단부(24,25)가 위치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휘게 하여 비늘(26,27)의 끝단의 높이가 약간 높아지도록 변형시키는 것이다. 즉, 도 9의 (a)에서 표시된 Δh만큼 높이가 미소하게 증가하여 도 4의 h1보다 도 5의 h2 높이가 미소하게 높아진 상태가 된다.
그 변형은 타카핀(10)이 경량철골(70)로부터 빠져나가려는 힘에 저항할 수 있도록 비늘(26,27)이 경량철골(70)을 물고 있게 하므로, 경량철골(70)과 보드(60)의 결합이 견고한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도 10은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의한 작용과 비교될 수 있도록, 일반적 비늘(17)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비늘(17)과 경사의 방향이 반대인 비늘(17)을 가진 타카핀이 경량철골에 박힌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그러한 비늘(17)의 구성에서는 경량철골(70)을 다리부(11,12)가 관통하여 진입하는 과정에서 비늘(17)의 방향이 다리부(11,12)의 진입방향에 순응하도록 형성되어 비늘(17)이 경질의 경량철골(70)과 부딪히고 간섭되면서 그 경사방향으로 더 누운 상태로 변형이 발생된다.
이에 따라, 최종적으로 타카핀이 경량철골(70)에 박힌 후에는, 비늘(17)이 다리부(13) 측으로 더 붙어 누운 상태가 됨으로써, 타카핀이 경량철골로부터 빠지도록 하는 하중에 대하여 저항력을 발생시킬 수 없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상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 있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동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내에서 다른 변형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타카핀 11 ; 제1다리부
12 ; 제2다리부 13 ; 연결머리부
14,15 ; 첨단부 16,17 ; 비늘
17a, 27a ; 제1경사면 17b, 27b ; 제2경사면
20 ; 타카못 21,22 ; 다리부
23 ; 머리부 24,25 ; 첨단부
24a, 25a ; 첨단경사면 26,27 ; 비늘
60 ; 보드 70 ; 경량철골
85 ; 타격구

Claims (7)

  1. 서로 평행하고 하단에는 첨단부(14,15)가 각각 설치된 제1다리부(11) 및 제2다리부(12)와,
    상기 제1다리부(11)의 상단과 상기 제2다리부(12)의 상단을 연결하는 연결머리부(13)를 포함하는 타카핀(10)에 있어서,
    상기 제1다리부(11) 및 상기 제2다리부(12)에는 그 측면에 다수의 비늘(16,17)이 형성되되,
    상기 비늘(16,17)은 상기 첨단부(14,15)를 향해 경사진 산형으로 형성된 것이고,
    상기 첨단부(14,15)는 사이각(α)이 15 ~ 60°가 되도록 뾰족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카핀
  2. 제1항에 있어서,
    각 상기 산형은 상기 연결머리부(13) 측을 향하는 제1경사면(17a)과 상기 첨단부(14,15) 측을 향하는 제2경사면(17b)에 의해 형성되되,
    상기 제1경사면(17a)과 상기 제2경사면(17b)은 모두 상기 첨단부(14,15) 측으로 기울어진 경사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카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늘(16,17)은 그것이 설치되는 상기 제1다리부(11) 또는 상기 제2다리부(12)의 표면보다 높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카핀
  4. 다리부(21,22)와, 상기 다리부(21,22)의 상단에 설치되는 머리부(23)와 상기 다리부(21,22)의 하단에 설치되는 첨단부(24,25)를 포함하는 타카못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21,22)에는 그 측면에 다수의 비늘(26,27)이 형성되되,
    상기 다수의 비늘(26,27)은 상기 첨단부(24,25)를 향해 경사진 산형으로 형성된 것이고,
    상기 첨단부(24,25)는 사이각(α)이 15 ~ 60°가 되도록 뾰족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카못
  5. 제4항에 있어서,
    각 상기 산형은 상기 머리부(23) 측을 향하는 제1경사면(17a)과 상기 첨단부(24,25) 측을 향하는 제2경사면(17b)에 의해 각각 형성되되,
    상기 제1경사면(17a)과 상기 제2경사면(17b)은 모두 상기 첨단부(24,25) 측으로 기울어진 경사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카못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비늘(26,27)은 상기 다리부(21,22)의 표면보다 높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카못
  7.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21,22)는,
    상기 머리부(23)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일측다리(21) 및 타측다리(22)와,
    상기 일측다리(21)와 상기 타측다리(22)를 서로 부착시키도록 상기 다리부(21,22)에 설치되는 부착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일측다리(21)의 하단부와 상기 타측다리(22)의 하단부는 서로 소정각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다리부(21,22)가 물체에 박히는 과정 중, 상기 소정각으로 인해, 상기 부착수단의 부착력을 이기면서, 상기 일측다리(21)와 상기 타측다리(22)가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카못
KR1020150110862A 2015-08-06 2015-08-06 경량철골용 타카핀 및 타카못 KR201700172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0862A KR20170017232A (ko) 2015-08-06 2015-08-06 경량철골용 타카핀 및 타카못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0862A KR20170017232A (ko) 2015-08-06 2015-08-06 경량철골용 타카핀 및 타카못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7232A true KR20170017232A (ko) 2017-02-15

Family

ID=58111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0862A KR20170017232A (ko) 2015-08-06 2015-08-06 경량철골용 타카핀 및 타카못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1723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23350B2 (en) Structual stud
US8910452B2 (en) Hurricane tie fastener and method of use
KR100716023B1 (ko) 금속 천공 파스너
US20100213333A1 (en) Wall hanger
TW200912151A (en) Fixer assembly
CN110892162B (zh) 自穿孔紧固件
US7118315B2 (en) Spike nail structure
KR100954613B1 (ko) 확장형 그라운드 앵커
KR20170017232A (ko) 경량철골용 타카핀 및 타카못
CN101044328B (zh) 改进的木料连接件及连接木料的方法
US4460301A (en) Rivet nail
KR20170019111A (ko) 경량철골용 타카핀 및 타카못
FI85754C (sv) Förfarande för fastsättning av fäst- eller upphängningsdon jämte don f ör förfarandets genomförande
CN216810285U (zh) 一种薄壁型钢的连接结构
JP4898142B2 (ja) コンクリートへの軟質ワークの固定システム
JP2016011504A (ja) アンカーボルトの施工方法
WO2015162975A1 (ja) アンカーボルト
JP3209554U (ja) ハンマーネイル構造
KR101827210B1 (ko) 스프레드 앵커볼트
US7313872B1 (en) Board alignment tool and method
KR200478107Y1 (ko) 철재구조물용 못 및 이를 이용한 경량물 고정구
CN105986572A (zh) 一种自锁式抗拔锚头
US20130168461A1 (en) Expanding insert for a rail spike
WO2015037264A1 (ja) アンカーボル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5257062A (ja) 配線用ステープ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