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8107Y1 - 철재구조물용 못 및 이를 이용한 경량물 고정구 - Google Patents

철재구조물용 못 및 이를 이용한 경량물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8107Y1
KR200478107Y1 KR2020140005405U KR20140005405U KR200478107Y1 KR 200478107 Y1 KR200478107 Y1 KR 200478107Y1 KR 2020140005405 U KR2020140005405 U KR 2020140005405U KR 20140005405 U KR20140005405 U KR 20140005405U KR 200478107 Y1 KR200478107 Y1 KR 2004781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il
steel structure
head portion
head
insertion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54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재성
Original Assignee
전재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재성 filed Critical 전재성
Priority to KR20201400054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810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81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810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5/00Nails; Staples
    • F16B15/06Nails; Staples with barbs, e.g. for metal parts; Drive scre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12Fastening strips or bars to sheets or plates, e.g. rubber strips, decorative strips for motor vehicles, by means of clips
    • F16B5/123Auxiliary fasteners specially designed for this purpos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에이치빔과 같은 철재구조물에 사용 가능한 못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못의 구성은; 해머 등으로 타격이 가해지게 되는 헤드부(2); 상기 헤드부(2)의 저면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헤드부(2)에 가해지는 타력에 의해 에이치빔 등 철재구조물(M)에 파고들게 되는 삽입부(3); 및 상기 삽입부(3)가 상기 철재구조물 내부에 고정되도록 유도하기 위해 상기 헤드부(2)와 삽입부(3) 사이에 설치되는 저지대를 포함하되; 상기 삽입부(3)는 선단에서 후단으로 갈수록 횡단면적이 넓어지는 콘형태의 선도삽입부(7)와, 상기 선도삽입부(7)의 후단에 일체형으로 마련된 것으로서 상기 헤드부(1)를 향할수록 횡단면적이 작아지는 요입결착부(9)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철재구조물용 못 및 이를 이용한 경량물 고정구{Nail For Steel And Apparatus For Fixing Cable Using The Nail}
본 고안은 못 및 이를 이용한 경량물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에이치빔과 같은 철재구조물에 구멍을 뚫지 않고도 사용 가능한 철재구조물용 못 및 이를 이용한 경량물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못은 두 개의 물체를 한데 연결하기 위한 전통적 철물로서, 통상 마찰력을 이용하여 어떤 물체를 다른 물체에 고정시킬 때 사용된다. 통상 목재를 연결할 때 널리 사용하지만, 콘트리트에 사용할 수 있는 못도 있다. 한편 2장의 금속판재를 맞댄 다음 서로 접합하기 위한 수단으로 리벳이 있다. 그리고 함석판과 같은 연질 금속판에 사용할 수 있는 못도 제공되고 있으며, 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8-7017162호와 같은 2개의 부품을 연결하기 위한 특수한 못도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에이치빔(H-beam)과 같은 구조용 강재 기타 못이 관통할 수 없는 두께를 가지는 철재구조물에 적용할 수 있는 못이 필요할 경우도 있다. 얇은 판재 등의 부속물을 용접을 통하지 않고서도 철재구조물에 고정시킬 수 있다면 편리할 것이기 때문이다. 종래에는 일반적으로 드릴을 이용하여 구멍을 뚫고 나사못 등을 고정시키거나 용접방식을 이용하였으나 이는 경량물을 고정시키기 위해 이러한 작업을 하는 것은 매우 비효율적이며 비경제적이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8-7017162호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한 본 고안의 목적은, 에이치빔(H-beam)과 같은 철재구조물에 구멍을 뚫지 않고 해머를 이용하여 바로 고정시킬 수 있는 못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고안의 좀 더 상세한 목적은 이러한 못을 이용하여 케이블과 같은 경량물을 철재구조물에 편리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경량물 고정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은, 경량물로 된 피고정물을 철재구조물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해머 등으로 타격이 가해지게 되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의 저면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헤드부에 가해지는 타력에 의해 에이치빔 등 철재구조물에 파고들게 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가 상기 철재구조물 내부에 고정되도록 유도하기 위해 상기 헤드부와 삽입부 사이에 설치되는 저지대를 포함하되;
상기 삽입부는 선단에서 후단으로 갈수록 횡단면적이 넓어지는 콘형태의 선도삽입부와, 상기 선도삽입부의 후단에 일체형으로 마련된 것으로서 상기 헤드부를 향할수록 횡단면적이 작아지는 요입결착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재구조물용 못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저지대는 상면이 중심부를 향해 움푹하게 패인 반구형태의 곡면으로 되어 있을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은
전기선 또는 신호선과 같은 케이블을 끼울 수 있는 끼움공이 마련되며, 철재구조물용 못을 끼워 고정시킬 수 있도록 못고정공이 마련되는 케이블 걸이대; 상기 못고정공에 끼워지게 되는 철재구조물용 못;을 포함하되, 상기 철재구조물용 못은;
해머 등으로 타격이 가해지게 되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의 저면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헤드부에 가해지는 타력에 의해 에이치빔 등 철재구조물에 파고들게 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가 상기 철재구조물 내부에 고정되도록 유도하기 위해 상기 헤드부와 삽입부 사이에 설치되는 저지대를 포함하되;
상기 삽입부는 선단에서 후단으로 갈수록 횡단면적이 넓어지는 콘형태의 선도삽입부와, 상기 선도삽입부의 후단에 일체형으로 마련된 것으로서 상기 헤드부를 향할수록 횡단면적이 작아지는 요입결착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고정구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헤드부와 저지대 사이에는 상기 케이블 걸이대에 끼워지게 되는 것으로서 상기 헤드부보다는 횡단면적이 적은 마찰고정대가 더 개입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마찰고정대의 표면에는 마찰력 향상을 위한 요철부가 마련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삽입부를 철재구조물에 가볍게 접촉시킨 상태에서 헤드부의 상면을 해머로써 타격하게 되면, 철재구조물이 요입결착부에 결착됨으로써 못이 철재구조물에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매우 간단한 구성에 의해 에이치빔 등 철재구조물에 각종 경량물을 편리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유용한 수단이 제공되게 된다. 한편 철재구조물용 못과 케이블 걸이대가 결합되어 있는 경우에는 철재구조물의 표면에 케이블을 극히 용이하게 고정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철재구조물용 못의 저부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철재구조물용 못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철재구조물용 못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철재구조물용 못의 작용상태를 단계별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케이블 고정구의 사시도이고, 도 6은 그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며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후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고안의 철재구조물용 못(1)은 일반적인 못 또는 볼트와 유사하게 헤드부(2)와 삽입부(3)로 구성된다.
헤드부(2)는 해머 등으로 타격이 가해지게 되는 부분이며 높이가 직경보다 작은 원기둥 형태로 되어 있다. 강한 타력이 가해지므로 헤드부(2)의 높이(H)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못 보다는 두껍게 결정된다. 예를 들어 그 높이(H)는 2 ~ 4mm가 될 수 있다.
삽입부(3)는 헤드부(2)의 저면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헤드부(2)의 상면(2a)에 가해지는 타력에 의해 에이치빔 등 철재구조물에 파고들게 되는 부분이다. 본 고안의 못은 경도가 철재구조물(M)보다 커야 할 것이다.
저지대(5)는 삽입부(3)가 철재구조물(M) 내부에 고정되도록 유도하기 위해 헤드부(2)와 삽입부(3) 사이에 설치되는 부분이다. 헤드부(2) 자체가 저지대(5)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저지대(5)는 단지 기능적 관점에서 헤드부(2)와 분리된 구성요소로 취급되는 것이다.
삽입부(3)는 선단에서 후단으로 갈수록 횡단면적이 넓어지는 콘(cone) 형태의 선도삽입부(7)와, 선도삽입부(7)의 후단에 일체형으로 마련된 것으로서 헤드부(2)를 향할수록 횡단면적이 작아지는 요입결착부(9)로 구성된다. 이에 의하면 요입결착부(9)와 저지대(5) 사이에는 삽입부의 주연부에 요입홈(S)이 만들어지게 된다.
선도삽입부(7)는 강한 삽입력을 발휘하기 위하여 부피가 작게 되어 있다. 선도삽입부(7)의 최대 직경(D)은 헤드부(2)에 비하여 상당히 작은데 예를 들어 2 ~ 3mm가 적당하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저지대의 상면(5a)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면으로 되어 있을 수 있다. 특히 저지대의 상면(5a)은 요입홈(S)의 부피가 커지는 방향으로, 즉 못의 중심부를 향해 움푹하게 패인 형태가 되도록 하는 방향으로 마련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저지대의 상면(5a)은 경사면이되 반구형태의 곡면일 수 있다. 저지대의 상면(5a)의 경사도(a)는 예를 들어 5 ~15˚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한 작용은 다음과 같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철재구조물용 못을 이용하여 합성수지 또는 얇은 철판 등으로 된 경량물인 피고정물(N)을 에이치빔과 같은 철재구조물(M)에 고정시키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4(a)(b)(c)의 각 과정은 한번의 타격에 의해 순간적으로 일어나는 과정이다.
도 4(a)는 헤드부(2)의 상면에 가해지는 타력(f)에 의해 선도삽입부(7)가 피고정물(N) 및 철재구조물(M)을 뚫기 시작한 단계를 도시한다.
도 4(b)는 삽입부(3), 즉 선도삽입부(7)와 요입결착부(9)가 철재구조물(M)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 상태에서 삽입부(3)의 부피만큼 철재구조물의 일부가 철재구조물의 표면으로부터 밀려나오게 된다. 철재구조물(M)에서 밀려나온 부분(m)은 요입홈(S) 주변에 위치하게 된다.
도 4(c)는 최종단계로서 타력(f)에 의해 저지대(5)가 요입홈(S)에 채워진 밀려나온 부분(m)을 가압하여 해당 부분이 요입결착부(9)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한다. 그렇게 되면 철재구조물의 밀려나온 부분(m)이 삽입부(3)를 에워싸게 되므로 못이 철재구조물로부터 빠질 수 없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작용을 감안하면, 도 3에 도시된 저지대(5)는 더욱 원활하게 철재구조물의 밀려나온 부분(m)을 에워쌀 수 있게 가이드하게 된다.
도면상 미설명된 부분으로서 마찰고정대(11)가 있다. 마찰고정대(11)에 대한 설명은 후술된다.
본 고안의 다른 태양은 위에 설명된 철재구조물용 못(1)을 이용한 경량물 고정구로 발현된다. 못(1)에 대한 구체적 설명은 위의 것으로 대체할 수 있으므로 반복 설명은 이를 생략한다. 이하,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케이블 걸이대(13)는 케이블타이와 같은 끈부재를 이용하여 전기선 또는 신호선과 같은 케이블을 고정시키거나 기타 각종 경량물을 고정시킬 수 있는 끼움공(15)을 제공한다. 케이블 걸이대(13)는 철재구조물용 못(1)을 끼워 고정시킬 수 있도록 못고정공(17)을 제공한다. 케이블 걸이대(13)는 판형상의 걸이대 본체(13a)와 걸이대 본체(13a)의 양측에서 상부로 일체형으로 돌출된 끼움공설치링(13b)으로 구성된다.
못(1)은 케이블 걸이대(13)에 결합된 상태로 소비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소비자는 케이블 걸이대(13)를 고정시키기 위해 일일이 못과 케이블 걸이대(13)를 조립할 필요가 없다. 못(1)이 케이블 걸이대(13)의 못고정공에 안정적으로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못(1)의 헤드부(2)와 저지대(5) 사이에는 마찰고정대(11)가 설치된다. 마찰고정대(11)의 길이는 걸이대 본체(13a)의 두께에 준한다. 따라서 삽입부(3)만이 걸이대 본체(13a)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되게 된다. 마찰고정대(11)의 횡단면적은 헤드부(2)의 그것보다 작게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헤드부(2)와 마찰고정대(11) 사이에는 단턱(12)이 마련되고, 이 단턱(12)은 케이블 걸이대(13)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케이블걸이대(13)가 안정적으로 철재구조물에 부착되어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마찰고정대(11)는 마찰력에 의해 못이 케이블 걸이대(13)에 결합해 있도록 하기 위한 수단을 가진다. 예를 들어 마찰고정대(11)의 표면에 널링, 요철부 또는 세레이션이 가공될 수 있다. 도시된 것은 배관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쐐기 형태의 요철부이다.
케이블 걸이대(13)와 끼움공(15)의 구체적인 형태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케이블 걸이대(13)는 합성수지로 사출성형될 수도 있으나 금속과 같은 소재가 사용될 수도 있다.
위에 도시 및 설명된 구성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지나지 아니한다. 당업자는 통상의 기술적 상식을 바탕으로 다양한 변경실시를 할 수 있을 것이지만 이는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포함될 수 있음을 주지해야 할 것이다.
1 : (철재구조물용) 못 2 : 헤드부
3 : 삽입부 5 : 저지대
7 : 선도삽입부 9 : 요입결착부
11 : 마찰고정대 13 : 케이블 걸이대
15 : 끼움공 17 : 못고정공
N : 피고정물 M : 철재구조물
S : 요입홈

Claims (6)

  1. 철재구조물용 못을 끼워 고정시킬 수 있도록 못고정공이 마련되는 판형상의 걸이대 본체와, 전기선 또는 신호선과 같은 케이블을 끼울 수 있는 끼움공을 마련하기 위해 상기 걸이대 본체의 양측에서 상부로 일체형으로 돌출된 끼움공설치링으로 구성되는 케이블 걸이대;
    상기 못고정공에 끼워지게 되는 철재구조물용 못;을 포함하되,
    상기 철재구조물용 못은;
    경량물로 된 피고정물을 철재구조물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해머 등으로 타격이 가해지게 되는 것으로서 높이가 2 ~ 4mm가 되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의 저면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헤드부에 가해지는 타력에 의해 철재구조물에 파고들게 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가 상기 철재구조물 내부에 고정되도록 유도하기 위해 상기 헤드부와 삽입부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면이 중심부를 향해 움푹하게 패이도록 경사면으로 되어 있는 저지대를 포함하되;
    상기 삽입부는 선단에서 후단으로 갈수록 횡단면적이 넓어지는 콘형태의 선도삽입부와, 상기 선도삽입부의 후단에 일체형으로 마련된 것으로서 상기 헤드부를 향할수록 횡단면적이 작아지는 요입결착부로 구성되며;
    상기 헤드부와 저지대 사이에는 상기 케이블 걸이대를 끼우는 곳으로서, 상기 헤드부보다는 횡단면적이 작은 마찰고정대가 더 개입됨으로써; 상기 헤드부와 상기 마찰고정대 사이에 단턱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물 고정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고정대의 표면에는 마찰력 향상을 위한 요철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물 고정구.
KR2020140005405U 2014-07-18 2014-07-18 철재구조물용 못 및 이를 이용한 경량물 고정구 KR2004781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5405U KR200478107Y1 (ko) 2014-07-18 2014-07-18 철재구조물용 못 및 이를 이용한 경량물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5405U KR200478107Y1 (ko) 2014-07-18 2014-07-18 철재구조물용 못 및 이를 이용한 경량물 고정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8107Y1 true KR200478107Y1 (ko) 2015-08-28

Family

ID=54338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5405U KR200478107Y1 (ko) 2014-07-18 2014-07-18 철재구조물용 못 및 이를 이용한 경량물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8107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2595B1 (ko) 2007-04-13 2007-07-25 주식회사 대영통신 통신용 광케이블 고정클립
JP2008180340A (ja) 2007-01-26 2008-08-07 Osaka Fastening:Kk コンクリート用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80340A (ja) 2007-01-26 2008-08-07 Osaka Fastening:Kk コンクリート用釘
KR100742595B1 (ko) 2007-04-13 2007-07-25 주식회사 대영통신 통신용 광케이블 고정클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37942B2 (en) Predrill guide methods
US6126372A (en) Article-fixing device and method for removing the article-fixing device
CN105443537B (zh) 铆钉模块及使用铆钉模块的连接结构和连接方法
US3438664A (en) Structural assembly and clip
US20200016843A1 (en) Bonding objects together
US20190154070A1 (en) Fastening Device
KR200478107Y1 (ko) 철재구조물용 못 및 이를 이용한 경량물 고정구
JP6311063B1 (ja) くさび緊結式足場における緊結装置
US3095777A (en) Driven fastener having penetrating point for attaching objects to metal
US20080019798A1 (en) Nail with a reinforcement section
JP6271073B1 (ja) くさび緊結式足場における緊結装置
DK160635B (da) Fremgangsmaade til befaestelse af et fastgoerelses- eller ophaengningsorgan og et organ til gennemfoerelse af fremgangsmaaden
EP0670430A2 (en) Split nail
JP2016223284A (ja) アンカー、アンカーの製造方法、アンカーの施工方法、及びスリーブ打込治具
US8348580B2 (en) Directional fastener
KR102106626B1 (ko) 웨지핀을 이용한 거푸집 클램프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 조립 방법
CN210550950U (zh) 起钉器
JP3228516U (ja) アンカー設置用治具
JP2006152611A (ja) コンクリート天端表示具
JP3269978B2 (ja) 固着方法
JP2005257062A (ja) 配線用ステープル
KR200444727Y1 (ko) 탄성력을 이용한 고정장치
JP5052411B2 (ja) 取付材の接着のための仮止め構造体
KR200388459Y1 (ko) 목재용 못
KR20170017232A (ko) 경량철골용 타카핀 및 타카못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