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6875A - 시린지 캡, 바늘 부착 시린지, 및 프리필드 시린지 제제 - Google Patents

시린지 캡, 바늘 부착 시린지, 및 프리필드 시린지 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6875A
KR20170016875A KR1020167035804A KR20167035804A KR20170016875A KR 20170016875 A KR20170016875 A KR 20170016875A KR 1020167035804 A KR1020167035804 A KR 1020167035804A KR 20167035804 A KR20167035804 A KR 20167035804A KR 20170016875 A KR20170016875 A KR 201700168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ringe
cap
convex portion
cap body
convex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5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9755B1 (ko
Inventor
리에코 시오자키
유지 야마나카
다이지 호리타
잇페이 마쓰모토
겐스케 다니구치
Original Assignee
타이세이카코 카부시키가이샤
추가이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세이카코 카부시키가이샤, 추가이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타이세이카코 카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168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68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97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97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2Devices for protection of the needle before use, e.g. ca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8Syringe ampoules or carpules, i.e. ampoules or carpules provided with a need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2Devices for protection of the needle before use, e.g. caps
    • A61M5/3204Needle cap remover, i.e. devices to dislodge protection cover from needle or needle hub, e.g. deshield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61M5/321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 A61M5/3213Caps placed axially onto the needle, e.g. equipped with finger protection guar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시린지(syringe) 캡은, 캡 본체의 주위 방향으로 연장되는 볼록부를 포함하고, 상기 볼록부는, 상기 캡 본체의 외주면보다 상기 캡 본체의 직경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정상부(頂部)와, 상기 정상부에 시단(始端)을 가지고, 또한 시단보다 상기 캡 본체의 기단측(基端側)에 있는 상기 캡 본체의 외주면 상에 종단(終端)을 가지는 제1 경사면과, 상기 정상부에 시단을 가지고, 또한 시단보다 상기 캡 본체의 선단측에 있는 상기 캡 본체의 외주면 상에 종단을 가지는 제2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경사면의 상기 시단으로부터 상기 종단까지의 최단 거리는, 상기 제2 경사면의 상기 시단으로부터 상기 종단까지의 최단 거리보다 짧다.

Description

시린지 캡, 바늘 부착 시린지, 및 프리필드 시린지 제제{SYRINGE CAP, NEEDLE-MOUNTED SYRINGE, AND PREFILLED SYRINGE FORMULATION}
본원은, 일본 특원 2014-115936호의 우선권을 주장하고, 인용에 의해 본원 명세서의 기재에 원용된다.
본 발명은, 주사 바늘을 보호하는 시린지(syringe) 캡, 바늘 부착 시린지, 및 프리필드(prefilled) 시린지 제제(製劑)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내부에 약제가 충전된 통형의 주사기 본체와, 상기 주사기 본체의 선단에 장착된 주사 바늘과, 상기 주사기 본체 내에 삽입되고, 상기 주사기 본체의 축심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플런저(plunger)를 구비한 프리필드 시린지가 알려져 있다.
통상, 이 종류의 프리필드 시린지는, 상기 주사기 본체에 착탈(着脫) 가능하게 장착된 시린지 캡으로서, 상기 주사 바늘을 덮는 시린지 캡을 더 구비하는 것에 의해, 사용 전에 주사 바늘이 사용자의 손이나 손가락 등에 실수로 박히는 것이 방지되어 있다.
이러한 시린지 캡은, 일반적으로, 기단(基端)으로부터 선단을 향해 주사 바늘이 삽입되는 통형의 캡 본체로서, 상기 주사 바늘이 장착된 주사기 본체에 탈착 가능한 캡 본체를 가진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이와 같은 시린지 캡에서는, 상기 시린지 캡 전체에서의 캡 본체의 점유 영역은 크기 때문에, 프리필드 시린지의 사용 시에는, 일반적으로, 시린지 캡의 캡 본체가 집혀서, 캡 본체가 주사기 본체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당겨져서 분리된다.
일본공개특허 2000-079163호 공보
그런데, 시린지 캡은, 일반적으로, 수지 성형품이므로, 캡 본체의 외주면은 매끄러워서, 미끄러지기 쉽다. 이때문에, 시린지 캡이 주사기 본체로부터 분리될 때, 캡 본체에 대한 인장력이, 시린지 캡 전체에 전달되지 않아, 시린지 캡이 분리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주사기 본체로부터 분리할 때의 미끄러짐이 억제된 시린지 캡, 이 시린지 캡을 구비한 바늘 부착 시린지 및 프리필드 시린지 제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린지 캡은, 기단으로부터 선단을 향해 주사 바늘이 삽입되는 통형의 캡 본체로서, 상기 주사 바늘이 장착된 주사기 본체에 탈착 가능한 캡 본체와, 상기 캡 본체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된 적어도 1개의 볼록부로서, 상기 캡 본체의 주위 방향으로 연장되는 볼록부를 포함하고, 상기 볼록부는, 상기 캡 본체의 외주면보다 상기 캡 본체의 직경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정상부와, 상기 정상부에 시단(始端)을 가지고, 또한 시단보다 상기 캡 본체의 기단측에 있는 상기 캡 본체의 외주면 상에 종단(終端)을 가지는 제1 경사면과, 상기 정상부에 시단을 가지고, 또한 시단보다 상기 캡 본체의 선단측에 있는 상기 캡 본체의 외주면 상에 종단을 가지는 제2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경사면의 상기 시단으로부터 상기 종단까지의 최단 거리는, 상기 제2 경사면의 상기 시단으로부터 상기 종단까지의 최단 거리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태양(態樣)으로서, 상기 캡 본체는, 외경(外徑)이 기단측으로부터 선단측을 향해 연속적으로 작아지는 테이퍼부를 포함하고, 상기 볼록부가 상기 테이퍼부에 배치되어 있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캡 본체의 축심에 대한 상기 제1 경사면의 경사 각도는, 상기 캡 본체의 축심에 대한 상기 제2 경사면의 경사 각도와 동일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으로서, 상기 볼록부는, 상기 캡 본체의 전체 주위에 걸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으로서, 상기 볼록부를 복수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볼록부의 개수는, 4개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볼록부의 개수의 상한은 캡의 크기에 따라 상이하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20개 이하, 바람직하게는 15개 이하이다. 특히, 용량이 1 mL의 시린지용 캡의 경우, 볼록부의 개수는 3∼15 개가 바람직하고, 3∼12 개가 더욱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상기 복수의 볼록부는, 상기 캡 본체의 외주면 중, 상기 캡 본체의 축심이 연장되는 방향의 적어도 중앙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상기 복수의 볼록부 중, 적어도 1개의 볼록부의 높이는, 다른 볼록부의 높이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상기 중앙 영역에 배치된 복수의 볼록부의 높이는, 모두 동일하게 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복수의 볼록부는, 상기 캡 본체의 외주면 중, 상기 중앙 영역보다 선단측의 영역 및 상기 중앙 영역보다 기단측의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영역에 배치된 볼록부로서, 상기 중앙 영역에 배치된 상기 볼록부보다 높이가 높은 볼록부를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복수의 볼록부는, 상기 선단측의 영역 및 상기 기단측의 영역의 각각에 배치된 볼록부로서, 상기 중앙 영역에 배치된 상기 복수의 볼록부보다 높이가 높은 볼록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상기 선단측의 영역에 배치된 상기 볼록부의 높이는, 상기 기단측의 영역에 배치된 상기 볼록부의 높이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상기 복수의 볼록부 중, 상기 선단측의 영역에 배치된 볼록부의 높이가 가장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바늘 부착 시린지는, 내부에 약제가 충전 가능한 주사기 본체와, 상기 주사기 본체의 선단에 장착된 주사 바늘과, 상기 주사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시린지 캡으로서, 상기 주사 바늘을 덮는 시린지 캡을 포함하고, 상기 시린지 캡은, 상기 어느 하나의 시린지 캡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프리필드 시린지 제제는, 내부에 약제가 충전된 주사기 본체와, 상기 주사기 본체의 선단에 장착된 주사 바늘과, 상기 주사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시린지 캡으로서, 상기 주사 바늘을 덮는 시린지 캡을 포함하고, 상기 시린지 캡은, 상기 어느 하나의 시린지 캡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에, 상기 프리필드 시린지 제제는, 자기 주사용 제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시린지 캡이 주사기 본체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시린지 캡의 외관도이다.
도 3은, 도 2 중의 A부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2 중의 B부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2 중의 C부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2 중의 D부의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시린지 캡의 외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시린지 캡의 외관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시린지 캡의 외관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시린지 캡의 외관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시린지 캡의 외관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시린지 캡의 외관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시린지 캡의 외관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시린지 캡의 외관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시린지 캡의 외관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시린지 캡의 외관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시린지 캡의 외관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시린지 캡의 외관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시린지 캡의 외관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시린지 캡은, 기단으로부터 선단을 향해 주사 바늘이 삽입되는 통형의 캡 본체로서, 상기 주사 바늘이 장착된 주사기 본체에 탈착 가능한 캡 본체와, 상기 캡 본체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된 적어도 1개의 볼록부로서, 상기 캡 본체의 주위 방향으로 연장되는 볼록부를 포함하고, 상기 볼록부는, 상기 캡 본체의 외주면보다 상기 캡 본체의 직경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정상부와, 상기 정상부에 시단을 가지고, 또한 시단보다 상기 캡 본체의 기단측에 있는 상기 캡 본체의 외주면 상에 종단을 가지는 제1 경사면과, 상기 정상부에 시단을 가지고, 또한 시단보다 상기 캡 본체의 선단측에 있는 상기 캡 본체의 외주면 상에 종단을 가지는 제2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경사면의 상기 시단으로부터 상기 종단까지의 최단 거리는, 상기 제2 경사면의 상기 시단으로부터 상기 종단까지의 최단 거리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의 시린지 캡에 의하면, 볼록부의 제1 경사면은, 캡 본체의 외주면에 대하여 기립하고 있다. 이 때문에, 캡 본체가 주사기 본체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당겨지면, 사용자의 손이 볼록부의 제1 경사면과 맞닿아서 걸린다. 이로써, 주사기 본체로부터 분리할 때의 미끄러짐이 억제된다. 그 결과, 캡 본체에 대한 인장력이 시린지 캡 전체에 전달되기 때문에, 시린지 캡은 분리되기 쉬워진다. 특히, 용량이 0.5 mL∼5.0 mL, 바람직하게는 1 mL의 작은 시린지의 경우, 이 효과가 현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태양으로서, 상기 캡 본체는, 외경이 기단측으로부터 선단측을 향해 연속적으로 작아지는 테이퍼부를 포함하고, 상기 볼록부가 상기 테이퍼부에 배치되어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캡 본체의 선단측 쪽이 가늘어져 있으므로, 사용자의 손으로 접근하기 용이하게 된다.
이 경우에, 상기 캡 본체의 축심에 대한 상기 제1 경사면의 경사 각도는, 상기 캡 본체의 축심에 대한 상기 제2 경사면의 경사 각도와 동일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볼록부의 제1 경사면과 제2 경사면이 사용자의 손에 균등하게 닿기 쉬워지므로 사용자의 손에 주는 위화감이 억제된다. 상기 캡 본체의 축심에 대한 상기 제1 경사면의 경사 각도는, 35도 이상 90도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으로서, 상기 볼록부는, 상기 캡 본체의 전체 주위에 걸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캡 본체의 주위 방향에서의 어느 쪽의 개소가 집혀도, 사용자의 손이 볼록부에 확실하게 걸려, 주사기 본체로부터 분리할 때의 미끄러짐이 억제된다.
본 발명의 별도의 태양으로서, 상기 볼록부를 복수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볼록부의 개수는, 4개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볼록부의 개수의 상한은 캡의 크기에 따라 상이하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20개 이하, 바람직하게는 15개 이하이다. 특히, 용량이 1 mL의 시린지용 캡의 경우, 볼록부의 개수는 3∼15 개가 바람직하고, 3∼12 개가 더욱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의 손이 걸리는 부분이 증가하여 주사기 본체로부터 분리할 때의 미끄러짐이 보다 억제된다.
이 경우에, 상기 복수의 볼록부는, 상기 캡 본체의 외주면 중, 상기 캡 본체의 축심이 연장되는 방향의 적어도 중앙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집을 가능성이 높은 캡 본체의 중앙 영역에 있어서 주사기 본체로부터 분리할 때의 미끄러짐이 억제된다.
이 경우에, 상기 복수의 볼록부 중, 적어도 1개의 볼록부의 높이는, 다른 볼록부의 높이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높이가 높은 볼록부에 사용자의 손이 걸리기 쉽기 때문에, 다른 볼록부에서 사용자의 손이 걸리지 않더라도, 높이가 높은 볼록부에서 사용자의 손이 걸려서, 시린지 캡이 분리되기 쉬워진다.
이 경우에, 상기 중앙 영역에 배치된 복수의 볼록부의 높이는 모두 동일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의 손이 복수의 볼록부의 각각에 균일하게 맞닿으므로, 사용자의 손에 주는 위화감이 억제된다.
이 경우에, 상기 복수의 볼록부는, 상기 캡 본체의 외주면 중, 상기 중앙 영역보다 선단측의 영역 및 상기 중앙 영역보다 기단측의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영역에 배치된 볼록부로서, 상기 중앙 영역에 배치된 상기 볼록부보다 높이가 높은 볼록부를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높이가 높은 볼록부에 사용자의 손이 걸리기 쉽기 때문에, 선단측의 영역 및 기단측의 영역 중 적어도 한쪽의 영역에 있어서, 중앙 영역보다 미끄러짐이 억제된다.
이 경우에, 상기 복수의 볼록부는, 상기 선단측의 영역 및 상기 기단측의 영역의 각각에 배치된 볼록부로서, 상기 중앙 영역에 배치된 상기 복수의 볼록부보다 높이가 높은 볼록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높이가 높은 볼록부에 사용자의 손이 걸리기 쉽기 때문에, 선단측의 영역 및 기단측의 영역에 있어서 중앙 영역보다 미끄러짐이 억제된다.
이 경우에, 상기 선단측의 영역에 배치된 상기 볼록부의 높이는, 상기 기단측의 영역에 배치된 상기 볼록부의 높이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높이가 높은 볼록부에 사용자의 손이 걸리기 쉽기 때문에, 기단측의 영역의 볼록부에 사용자의 손이 걸리지 않더라도, 선단측의 영역에 배치된 높이가 높은 볼록부에 사용자의 손이 걸려서, 시린지 캡이 분리되기 쉬워진다. 또한, 높이가 높은 볼록부가 배치된 선단측의 영역에서 사용자의 손이 걸린 경우, 사용자의 손과 주사기 본체와의 거리가, 사용자의 손이 캡 본체의 중앙 영역이나 기단측의 영역에서 걸린 경우보다 길어지므로, 시린지 캡이 분리되었을 때, 주사 바늘이 사용자의 손에 접촉되거나 찌를 가능성이 줄어든다.
이 경우에, 상기 복수의 볼록부 중, 상기 선단측의 영역에 배치된 볼록부의 높이가 가장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높이가 가장 높은 볼록부에 사용자의 손이 가장 걸리기 쉽기 때문에, 다른 볼록부에서 사용자의 손이 걸리지 않더라도, 높이가 가장 높은 볼록부에서 사용자의 손이 걸려서, 시린지 캡이 분리되기 쉬워진다. 또한, 높이가 가장 높은 볼록부가 배치된 선단측의 영역에서 사용자의 손이 걸린 경우, 사용자의 손과 주사기 본체와의 거리가, 사용자의 손이 캡 본체의 중앙 영역이나 기단측의 영역에서 걸린 경우보다 길어지므로, 시린지 캡이 분리되었을 때, 주사 바늘이 사용자의 손에 접촉되거나 찌를 가능성이 줄어든다.
본 발명에 따른 바늘 부착 시린지는, 내부에 약제가 충전 가능한 주사기 본체와, 상기 주사기 본체의 선단에 장착된 주사 바늘과, 상기 주사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시린지 캡으로서, 상기 주사 바늘을 덮는 시린지 캡을 포함하고, 상기 시린지 캡은, 상기 어느 하나의 시린지 캡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어느 하나의 시린지 캡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상기 시린지 캡과 동일한 작용 및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프리필드 시린지 제제는, 내부에 약제가 충전된 주사기 본체와, 상기 주사기 본체의 선단에 장착된 주사 바늘과, 상기 주사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시린지 캡으로서, 상기 주사 바늘을 덮는 시린지 캡을 포함하고, 상기 시린지 캡은, 상기 어느 하나의 시린지 캡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어느 하나의 시린지 캡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상기 시린지 캡과 동일한 작용 및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프리필드 시린지 제제는, 자기 주사용 제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프리필드 시린지 제제의 사용자가, 환자 자체일지라도, 특히 류머티즘 환자 등과 같이 손이 부자유스러운 사람이라도, 시린지 캡이 주사기 본체로부터 분리되기 쉽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시린지 캡에 의하면, 주사기 본체로부터 분리할 때의 미끄러짐이 억제되는 우수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늘 부착 시린지에 의하면, 상기 시린지 캡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주사기 본체로부터 시린지 캡이 분리되기 쉬운 우수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프리필드 시린지 제제에 의하면, 상기 시린지 캡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주사기 본체로부터 시린지 캡이 분리되기 쉬운 우수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시린지 캡에 대하여, 도 1∼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프리필드 시린지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에 약제가 충전된 통형의 주사기 본체(22)와, 주사기 본체(22)의 선단에 장착된 주사 바늘(21)과, 주사기 본체(22) 내에 삽입되고, 주사기 본체(22)의 축심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플런저(도시하지 않음)를 가진다. 이 프리필드 시린지(2)는, 플런저가 가압되면, 주사기 본체(22) 내에서 상기 주사기 본체(22)의 선단을 향해 플런저가 슬라이딩 이동하고, 주사기 본체(22) 내에 충전된 약제가 주사 바늘(21)의 선단으로부터 압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프리필드 시린지(2)는, 주사기 본체(22)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시린지 캡(1)으로서, 주사 바늘(21)을 덮는 시린지 캡(1)을 더 구비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시린지 캡(1)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캡 본체(10)와 실링 부재(11)를 가진다.
캡 본체(10)는, 기단으로부터 선단을 향해 주사 바늘(21)이 삽입 가능하도록 통형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캡 본체(1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캡 본체(10)는, 양단이 개구된 원통형이다. 이 캡 본체(10)의 일단(기단)측의 개구는, 주사 바늘(21)의 삽입구가 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주사 바늘(21)은 캡 본체(10)의 기단측의 개구로부터 타단(선단) 측의 개구를 향해 삽입된다.
본 실시형태의 시린지 캡(1)은, 캡 본체(10)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된 적어도 1개의 볼록부(10A, 10B, 10C)로서, 캡 본체(10)의 주위 방향으로 연장되는 볼록부(10A, 10B, 10C)를 가진다. 본 실시형태의 볼록부(10A, 10B, 10C)는, 캡 본체(10)의 전체 주위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캡 본체(10)는, 외경이 기단측으로부터 선단측을 향해 연속적으로 작아지는 테이퍼부를 가지고, 볼록부(10A)가 테이퍼부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시린지 캡(1)은, 볼록부(10A, 10B, 10C)를 복수 포함한다. 복수의 볼록부(10A, 10B, 10C)는, 캡 본체(10)의 외주면 중, 상기 캡 본체(10)의 축심이 연장되는 방향의 적어도 중앙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중앙 영역에 복수(여기서는 7개)의 볼록부(이하, 제1 볼록부라고 함)(10A)가 배치되고, 중앙 영역보다 선단측의 영역에 1개의 볼록부(이하, 제2 볼록부라고 함)(10B)가 배치되고, 중앙 영역보다 기단측의 영역에 1개의 볼록부(이하, 제3 볼록부라고 함)(10C)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하의 설명에서는, 제1 볼록부(10A), 제2 볼록부(10B), 제3 볼록부(10C)를 총칭하여 간단하게 볼록부라고도 한다. 볼록부의 개수는, 4개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볼록부의 개수의 상한은 캡의 크기에 따라 상이하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20개 이하, 바람직하게는 15개 이하이다. 특히, 용량이 1 mL의 시린지용 캡의 경우, 볼록부의 개수는 3∼15 개가 바람직하고, 3∼12 개가 더욱 바람직하다.
제1 볼록부(10A)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상부(100A)와, 제1 경사면(101A)과, 제2 경사면(102A)을 가진다. 정상부(100A)는, 캡 본체(10)의 외주면보다 상기 캡 본체(10)의 직경 방향 외측에 위치한다. 제1 경사면(101A)은, 정상부(100A)에 시단을 가지고, 또한 시단보다 캡 본체(10)의 기단측에 있는 캡 본체(10)의 외주면 상에 종단을 가진다. 제2 경사면(102A)은, 정상부(100A)에 시단을 가지고, 또한 시단보다 캡 본체(10)의 선단측에 있는 캡 본체(10)의 외주면 상에 종단을 가진다. 제1 경사면(101A)의 시단으로부터 종단까지의 최단 거리는, 제2 경사면(102A)의 시단으로부터 종단까지의 최단 거리보다 짧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볼록부(10A)의 캡 본체(10)의 축심에 대한 제1 경사면(101A)의 경사 각도는, 제1 볼록부(10A)의 캡 본체(10)의 축심에 대한 제2 경사면(102A)의 경사 각도와 동일하다. 또한, 중앙 영역에 배치된 복수의 제1 볼록부(10A)의 높이(h1)는, 모두 동일하다. 또한, 복수의 제1 볼록부(10A)는 등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2 볼록부(10B)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상부(100B)와, 제1 경사면(101B)과, 제2 경사면(102B)을 가진다. 정상부(100B)는, 캡 본체(10)의 외주면보다 상기 캡 본체(10)의 직경 방향 외측에 위치한다. 제1 경사면(101B)은, 정상부(100B)에 시단을 가지고, 또한 시단보다 캡 본체(10)의 기단측에 있는 캡 본체(10)의 외주면 상에 종단을 가진다. 제2 경사면(102B)은, 정상부(100B)에 시단을 가지고, 또한 시단보다 캡 본체(10)의 선단측에 있는 캡 본체(10)의 외주면 상에 종단을 가진다. 제1 경사면(101B)의 시단으로부터 종단까지의 최단 거리는, 제2 경사면(102B)의 시단으로부터 종단까지의 최단 거리보다 짧다.
제3 볼록부(10C)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상부(100C)와, 제1 경사면(101C)과, 제2 경사면(102C)을 가진다. 정상부(100C)는, 캡 본체(10)의 외주면보다 상기 캡 본체(10)의 직경 방향 외측에 위치한다. 제1 경사면(101C)은, 정상부(100C)에 시단을 가지고, 또한 시단보다 캡 본체(10)의 기단측에 있는 캡 본체(10)의 외주면 상에 종단을 가진다. 제2 경사면(102C)은, 정상부(100C)에 시단을 가지고, 또한 시단보다 캡 본체(10)의 선단측에 있는 캡 본체(10)의 외주면 상에 종단을 가진다. 제1 경사면(101C)의 시단으로부터 종단까지의 최단 거리는, 제2 경사면(102C)의 시단으로부터 종단까지의 최단 거리보다 짧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3 볼록부(10C)의 선단측에 있는 캡 본체(10)의 외주면의 상기 캡 본체(10)의 축심 방향에 대한 경사는, 제3 볼록부(10C)의 기단측에 있는 캡 본체(10)의 외주면의 상기 캡 본체(10)의 축심 방향에 대한 경사보다 완만하다.
볼록부(10A, 10B, 10C)의 캡 본체(10)의 축심에 대한 제1 경사면(101A, 101B, 101C)의 경사 각도는, 35도 이상 90도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볼록부(10A, 10B, 10C) 중, 적어도 1개의 제2 볼록부(10B), 제3 볼록부(10C)의 높이(h2, h3)는, 다른 제1 볼록부(10A)의 높이(h1)보다 높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제2 볼록부(10B) 및 제3 볼록부(10C)의 높이(h2, h3)가, 제1 볼록부(10A)의 높이(h1)보다 높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 있어서, 높이(h1)는, 제1 볼록부(10A)의 정상부(100A)를 통과하여 캡 본체(10)의 축심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장되는 중심선에 있어서, 제1 경사면(101A)의 종단에 대응하는 위치로부터 정상부(100A)까지의 거리를 일컫는다. 높이(h2)는, 제2 볼록부(10B)의 정상부(100B)를 통고하여 캡 본체(10)의 축심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장되는 중심선에 있어서, 제1 경사면(101B)의 종단에 대응하는 위치로부터 정상부(100B)까지의 거리를 일컫는다. 높이(h3)는, 제3 볼록부(10C)의 정상부(100C)를 통과하여 캡 본체(10)의 축심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장되는 중심선에 있어서, 제1 경사면(101C)의 종단에 대응하는 위치로부터 정상부(100C)까지의 거리를 일컫는다.
복수의 볼록부(10A, 10B, 10C)는, 캡 본체(10)의 외주면 중, 중앙 영역보다 선단측의 영역 및 중앙 영역보다 기단측의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영역에 배치된 제2 볼록부(10B), 제3 볼록부(10C)로서, 중앙 영역에 배치된 제1 볼록부(10A)보다 높이가 높은 제2 볼록부(10B), 제3 볼록부(10C)를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선단측의 영역 및 기단측의 영역의 각각에 배치된 제2 볼록부(10B), 제3 볼록부(10C)의 높이(h2, h3)가, 중앙 영역에 배치된 제1 볼록부(10A)의 높이(h1)보다 높다. 즉,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복수의 볼록부(10A, 10B, 10C)는, 선단측의 영역 및 기단측의 영역의 각각에 배치된 제2 볼록부(10B), 제3 볼록부(10C)로서, 중앙 영역에 배치된 복수의 제1 볼록부(10A)보다 높이가 높은 제2 볼록부(10B), 제3 볼록부(10C)를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선단측의 영역에 배치된 제2 볼록부(10B)의 높이(h2)는, 기단측의 영역에 배치된 제3 볼록부(10C)의 높이(h3)보다 높다. 즉,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복수의 볼록부(10A, 10B, 10C) 중, 선단측의 영역에 배치된 제2 볼록부(10B)의 높이(h2)가 가장 높다.
[0062]
본 실시형태의 시린지 캡(1)은, 캡 본체(10)의 외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함몰하는 오목부(10a)로서, 캡 본체(10)의 주위 방향으로 연장되는 오목부(10a)를 추가로 구비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오목부(10a)는, 캡 본체(10)의 외주면 중, 상기 캡 본체(10)의 축심이 연장되는 방향의 기단측의 영역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오목부(10a)는, 캡 본체(10)의 전체 주위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오목부(10a)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닥부(100a)와, 제1 경사면(101a)과, 제2 경사면(102a)을 가진다. 바닥부(100a)는, 캡 본체(10)의 외주면보다 상기 캡 본체(10)의 직경 방향 내측에 위치한다. 제1 경사면(101a)은, 바닥부(100a)에 시단을 가지고, 또한 상기 시단보다 캡 본체(10)의 기단측에 있는 캡 본체(10)의 외주면 상에 종단을 가진다. 제2 경사면(102a)은, 바닥부(100a)에 시단을 가지고, 또한 상기 시단보다 캡 본체(10)의 선단측에 있는 캡 본체(10)의 외주면 상에 종단을 가진다. 제2 경사면(102a)의 시단으로부터 종단까지의 최단 거리는, 제1 경사면(101a)의 시단으로부터 종단까지의 최단 거리보다 짧다.
실링 부재(11)는, 캡 본체(10) 내에 장착되어 있다. 실링 부재(11)는, 예를 들면, 고무 등의 탄성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실링 부재(11)는, 주사기 본체(22)의 헤드부에 끼워 붙임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실링 부재(11)는, 시린지 캡(1)이 주사기 본체(22)에 장착된 상태에서, 주사기 본체(22)의 헤드부를 실링한다. 실링 부재(11)는, 주사 바늘(21)을 삽입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시린지 캡(1)은, 예를 들면, 사출 성형에 의해 가공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시린지 캡(1)은, 예를 들면, 수지 성형품이나 고무 성형품이다. 수지로서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등의 수지를 예로 들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시린지 캡(1)에 의하면, 기단으로부터 선단을 향해 주사 바늘(21)이 삽입되는 통형의 캡 본체(10)와, 상기 캡 본체(10)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된 적어도 1개의 제1 볼록부(10A), 제2 볼록부(10B), 제3 볼록부(10C)로서, 상기 캡 본체(10)의 주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볼록부(10A), 제2 볼록부(10B), 제3 볼록부(10C)를 가지고, 상기 제1 볼록부(10A), 제2 볼록부(10B), 제3 볼록부(10C)는, 상기 캡 본체(10)의 외주면보다 상기 캡 본체(10)의 직경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정상부(100A, 100B, 100C)와, 상기 정상부(100A, 100B, 100C)에 시단을 가지고, 또한 상기 시단보다 상기 캡 본체(10)의 기단측에 있는 상기 캡 본체(10)의 외주면 상에 종단을 가지는 제1 경사면(101A, 101B, 101C)과, 상기 정상부(100A, 100B, 100C)에 시단을 가지고, 또한 상기 시단보다 상기 캡 본체(10)의 선단측에 있는 캡 본체(10)의 외주면 상에 종단을 가지는 제2 경사면(102A, 102B, 102C)을 가지고, 상기 제1 경사면(101A, 101B, 101C)의 시단으로부터 종단까지의 최단 거리는, 상기 제2 경사면(102A, 102B, 102C)의 시단으로부터 종단까지의 최단 거리보다 짧다.
전술한 구성의 시린지 캡(1)에 의하면, 제1 볼록부(10A), 제2 볼록부(10B), 제3 볼록부(10C)의 제1 경사면(101A, 101B, 101C)은, 캡 본체(10)의 외주면에 대하여 기립하고 있다. 이 때문에, 캡 본체(10)가 주사기 본체(22)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당겨지면, 사용자의 손이 제1 볼록부(10A), 제2 볼록부(10B), 제3 볼록부(10C)의 제1 경사면(101A, 101B, 101C)에 맞닿아서 걸린다. 이로써, 주사기 본체(22)로부터 분리할 때의 미끄러짐이 억제된다. 그 결과, 캡 본체(10)에 대한 인장력이 시린지 캡(1) 전체에 전해지기 때문에, 시린지 캡(1)은 분리되기 쉬워진다. 특히, 용량이 0.5 mL∼5.0 mL, 바람직하게는 1 mL의 작은 시린지의 경우, 이 효과가 현저하게 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시린지 캡(1)에 의하면, 캡 본체(10)는, 외경이 기단측으로부터 선단측을 향해 연속적으로 작아지는 테이퍼부를 가지고, 제1 볼록부(10A)가 테이퍼부에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캡 본체(10)의 선단측 쪽이 가늘어져 있으므로, 사용자의 손으로 접근하기 용이하게 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시린지 캡(1)에 의하면, 제1 볼록부(10A)의 캡 본체(10)의 축심에 대한 제1 경사면(101A)의 경사 각도는, 제1 볼록부(10A)의 캡 본체(10)의 축심에 대한 제2 경사면(102A)의 경사 각도와 동일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1 볼록부(10A)의 제1 경사면(101A)과 제2 경사면(102A)이 사용자의 손에 균등하게 닿기 쉬워지므로 사용자의 손에 주는 위화감이 억제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시린지 캡(1)에 의하면, 제1 볼록부(10A), 제2 볼록부(10B), 제3 볼록부(10C)는, 캡 본체(10)의 전체 주위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캡 본체(10)의 주위 방향에서의 어느 쪽 개소가 집혀도, 사용자의 손이 제1 볼록부(10A), 제2 볼록부(10B), 제3 볼록부(10C)에 확실하게 걸려서, 주사기 본체(22)로부터 분리할 때의 미끄러짐이 억제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시린지 캡(1)에 의하면, 볼록부(10A, 10B, 10C)를 복수 가진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의 손이 걸리는 부분이 증가하여 주사기 본체(22)로부터 분리할 때의 미끄러짐이 보다 억제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시린지 캡(1)에 의하면, 복수의 제1 볼록부(10A)는, 캡 본체(10)의 외주면 중, 상기 캡 본체(10)의 축심이 연장되는 방향의 적어도 중앙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집을 가능성이 높은 캡 본체(10)의 중앙 영역에 있어서 주사기 본체(22)로부터 분리할 때의 미끄러짐이 억제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시린지 캡(1)에 의하면, 복수의 볼록부(10A, 10B, 10C) 중, 제2 볼록부(10B), 제3 볼록부(10C)의 높이는, 다른 제1 볼록부(10A)의 높이보다 높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높이가 높은 제2 볼록부(10B), 제3 볼록부(10C)에 사용자의 손이 걸리기 쉽기 때문에, 다른 제1 볼록부(10A)로 사용자의 손이 걸리지 않더라도, 높이가 높은 제2 볼록부(10B), 제3 볼록부(10C)에서 사용자의 손이 걸려서, 시린지 캡(1)이 분리되기 쉬워진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시린지 캡(1)에 의하면, 캡 본체(10)의 중앙 영역에 배치된 복수의 제1 볼록부(10A)의 높이는, 모두 동일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의 손이 복수의 제1 볼록부(10A)의 각각에 균일하게 맞닿으므로, 사용자의 손에 주는 위화감이 억제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시린지 캡(1)에 의하면, 복수의 볼록부(10A, 10B, 10C)는, 선단측의 영역 및 기단측의 영역의 각각에 배치된 제2 볼록부(10B), 제3 볼록부(10C)로서, 중앙 영역에 배치된 복수의 제1 볼록부(10A)보다 높이가 높은 제2 볼록부(10B), 제3 볼록부(10C)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높이가 높은 제2 볼록부(10B), 제3 볼록부(10C)에 사용자의 손이 걸리기 쉽기 때문에, 선단측의 영역 및 기단측의 영역에 있어서 중앙 영역보다 미끄러짐이 억제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시린지 캡(1)에 의하면, 선단측의 영역에 배치된 제2 볼록부(10B)의 높이는, 기단측의 영역에 배치된 제3 볼록부(10C)의 높이보다 높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높이가 높은 제2 볼록부(10B)에 사용자의 손이 걸리기 쉽기 때문에, 기단측의 영역의 제3 볼록부(10C)에 사용자의 손이 걸리지 않더라도, 선단측의 영역에 배치된 높이가 높은 제2 볼록부(10B)에 사용자의 손이 걸려서, 시린지 캡(1)이 분리되기 쉬워진다. 또한, 높이가 높은 제2 볼록부(10B)가 배치된 선단측의 영역에서 사용자의 손이 걸린 경우, 사용자의 손과 주사기 본체(22)와의 거리가, 사용자의 손이 캡 본체(10)의 중앙 영역이나 기단측의 영역에서 걸린 경우보다 길어지므로, 시린지 캡(1)이 분리될 때, 주사 바늘(21)이 사용자의 손에 접촉되거나 찌를 가능성이 줄어든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시린지 캡(1)에 의하면, 복수의 볼록부(10A, 10B, 10C) 중, 선단측의 영역에 배치된 제2 볼록부(10B)의 높이가 가장 높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높이가 가장 높은 제2 볼록부(10B)에 사용자의 손이 가장 걸리기 쉽기 때문에, 다른 제1 볼록부(10A), 제3 볼록부(10C)에서 사용자의 손이 걸리지 않더라도, 높이가 가장 높은 제2 볼록부(10B)에서 사용자의 손이 걸려서, 시린지 캡(1)이 분리되기 쉬워진다. 또한, 높이가 가장 높은 제2 볼록부(10B)가 배치된 선단측의 영역에서 사용자의 손이 걸린 경우, 사용자의 손과 주사기 본체(21)와의 거리가, 사용자의 손이 캡 본체(10)의 중앙 영역이나 기단측의 영역에서 걸린 경우보다 길어지므로, 시린지 캡(1)이 분리될 때, 주사 바늘(21)이 사용자의 손에 접촉되거나 찌를 가능성이 줄어든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시린지 캡은, 상기 실시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 있어서 다양하게 변경을 가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캡 본체(10)는 양단이 개구된 원통형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캡 본체(10)의 선단측은 폐색(閉塞)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캡 본체(10)의 선단측의 영역에 배치된 제2 볼록부(10B) 및 기단측의 영역에 배치된 제3 볼록부(10C)의 위치, 높이(h2, h3)는, 도 7∼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선단측의 영역 및 기단측의 영역의 각각에, 중앙 영역에 배치된 제1 볼록부(10A)보다 높은 제2 볼록부(10B) 및 제3 볼록부(10C)가 설치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선단측의 영역 및 기단측의 영역 중 어느 한쪽의 영역에, 중앙 영역에 배치된 제1 볼록부(10A)보다 높이가 높은 볼록부가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앙 영역에 배치된 복수의 제1 볼록부(10A)와, 선단측의 영역에 배치된 제2 볼록부(10B)를 가지는 시린지 캡이라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선단측의 영역 및 기단측의 영역의 각각에 1개의 제2 볼록부(10B) 및 제3 볼록부(10C)가 설치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선단측의 영역의 제2 볼록부(10B) 및 기단측의 영역의 제3 볼록부(10C)는 2개 이상이라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캡 본체(10)의 일부가 테이퍼부로 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캡 본체(10) 전체가 테이퍼부라도 되고, 캡 본체(10)는 테이퍼부를 가지고 있지 않아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중앙 영역에 배치된 복수의 제1 볼록부(10A)의 캡 본체(10)의 축심에 대한 제1 경사면(101A)의 경사 각도는, 캡 본체(10)의 축심에 대한 제2 경사면(102A)의 경사 각도와 동일하도록 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제1 경사면(101A)의 시단으로부터 종단까지의 최단 거리가, 제2 경사면(102A)의 시단으로부터 종단까지의 최단 거리보다 짧아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면, 경사 각도는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선단측의 영역에 배치된 제2 볼록부(10B)의 높이(h2)가, 기단측의 영역에 배치된 제3 볼록부(10C)의 높이(h3)보다 높은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선단측의 제2 볼록부(10B)의 높이(h2)는, 기단측의 제3 볼록부(10C)의 높이(h3)와 동일해도 되고 낮아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캡 본체(10)의 중앙 영역에 배치된 복수의 제1 볼록부(10A)의 높이(h1)가 모두 동일하도록 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중앙 영역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1 볼록부(10A)의 높이가 서로 상이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복수의 볼록부(10A, 10B, 10C)가 설치된 시린지 캡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볼록부의 개수는 1개라도 된다. 예를 들면,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단 영역에 제2 볼록부(10B)가 1개의 설치된 시린지 캡(1)이라도 된다. 그리고, 도 11에 있어서, 제2 볼록부(10B)는 캡 본체(10)의 선단측에 배치되어 있지만, 제2 볼록부(10B)의 위치는 중앙 영역이나 기단측의 영역으로 해도 된다. 또한, 제2 볼록부(10B)의 높이에 대해서도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동일한 높이의 복수의 제1 볼록부(10A)가 캡 본체(10)의 중앙 영역에만 설치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동일한 높이의 복수의 제1 볼록부(10A)는, 선단측의 영역, 중앙 영역, 및 기단측의 영역의 임의의 영역에 설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2∼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단측의 영역 및 중앙 영역에 동일한 높이의 복수의 제1 볼록부(10A)가 배치된 시린지 캡(1)이라도 된다. 도 12,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낸 시린지 캡(1)에서는, 선단측의 영역 및 중앙 영역에 배치된 복수의 제1 볼록부(10A)보다 높이가 높은 제3 볼록부(10C)가 기단측의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낸 시린지 캡(1)에서는, 기단측의 영역에 오목부(10a)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동일한 높이의 복수의 제1 볼록부(10A)가, 선단측의 영역으로부터 기단측의 영역에 걸쳐 설치된 시린지 캡(1)이라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볼록부(10A), 제2 볼록부(10B), 제3 볼록부(10C)는 캡 본체(10)의 전체 주위에 걸쳐 설치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제1 볼록부(10A), 제2 볼록부(10B), 제3 볼록부(10C)는, 캡 본체(10)의 주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예를 들면,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 길이의 복수의 제1 볼록부(10A)가 캡 본체(1)의 선단 영역 및 중앙 영역에 배치된 시린지 캡(1)이라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캡 본체(10)의 외주면에 오목부(10a)가 설치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오목부(10a)는 설치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또한, 오목부(10a)의 위치, 깊이 등은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오목부(10a)는 캡 본체(10)의 전체 주위에 걸쳐 설치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길이의 오목부(10a)가 캡 본체(10)의 주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실링 부재(11)가 설치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실링 부재(11)는 설치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시린지 캡(1)을 구비한 주사기(바늘 부착 시린지)로서, 주사기 본체(22)에 미리 약제가 충전된 프리필드 시린지(2)가 채용되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주사기 본체(22)에 나중에 약제가 충전되는 바늘 부착 시린지라도 된다. 또한, 시린지 캡(1)은, 별도로 준비한 바늘 부착 시린지에 장착하도록 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의 시린지 캡(1)이 장착되는 바늘 부착 시린지로서는, 시린지 캡(1)이 탈착 가능한 주사기 본체로서, 내부에 약제가 충전 가능한 주사기 본체와, 상기 주사기 본체의 선단에 장착된 주사 바늘을 구비한 주사기이면 모두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의 시린지 캡(1)을 구비한 프리필드 시린지(2)는, 프리필드 시린지 제제에 적용할 수 있다. 프리필드 시린지 제제로서는, 환자 자신이 약제를 자기 투여하기 위한 자기 주사용 제제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1: 시린지 캡 10: 캡 본체
10A: 제1 볼록부 10B: 제2 볼록부
10C: 제3 볼록부 100A, 100B, 100C: 볼록부의 정상부
101A, 101B, 101C: 볼록부의 제1 경사면
102A, 102B, 102C: 볼록부의 제2 경사면
10a: 오목부 100a: 오목부의 바닥부
101a: 오목부의 제1 경사면 102a: 오목부의 제2 경사면
11: 실링 부재 2: 주사기
21: 주사 바늘 22: 주사기 본체

Claims (12)

  1. 기단(基端)으로부터 선단(先端)을 향해 주사 바늘이 삽입되는 통형의 캡 본체로서, 상기 주사 바늘이 장착된 주사기 본체에 탈착(脫着) 가능한 상기 캡 본체; 및
    상기 캡 본체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된 적어도 1개의 볼록부로서, 상기 캡 본체의 주위 방향으로 연장되는 볼록부;
    를 포함하고,
    상기 볼록부는,
    상기 캡 본체의 외주면보다 상기 캡 본체의 직경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정상부(頂部);
    상기 정상부에 시단(始端)을 가지고, 또한 상기 시단보다 상기 캡 본체의 기단측(基端側)에 있는 상기 캡 본체의 외주면 상에 종단(終端)을 가지는 제1 경사면; 및
    상기 정상부에 시단을 가지고, 또한 상기 시단보다 상기 캡 본체의 선단측에 있는 상기 캡 본체의 외주면 상에 종단을 가지는 제2 경사면;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경사면의 상기 시단으로부터 상기 종단까지의 최단 거리는, 상기 제2 경사면의 상기 시단으로부터 상기 종단까지의 최단 거리보다 짧은,
    시린지(syringe) 캡.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 본체는, 외경(外徑)이 기단측으로부터 선단측을 향해 연속적으로 작아지는 테이퍼부를 포함하고, 상기 볼록부가 상기 테이퍼부에 배치되어 있는, 시린지 캡.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캡 본체의 축심에 대한 상기 제1 경사면의 경사 각도는, 상기 캡 본체의 축심에 대한 상기 제2 경사면의 경사 각도와 동일한, 시린지 캡.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상기 캡 본체의 전체 주위에 걸쳐 설치되어 있는, 시린지 캡.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를 복수 포함하는, 시린지 캡.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볼록부는, 상기 캡 본체의 외주면 중, 상기 캡 본체의 축심이 연장되는 방향의 적어도 중앙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시린지 캡.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볼록부 중, 적어도 1개의 볼록부의 높이는, 다른 볼록부의 높이보다 높은, 시린지 캡.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영역에 배치된 상기 복수의 볼록부의 높이는, 모두 동일한, 시린지 캡.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볼록부는, 상기 캡 본체의 외주면 중, 상기 중앙 영역보다 선단측의 영역 및 상기 중앙 영역보다 기단측의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영역에 배치된 볼록부로서, 상기 중앙 영역에 배치된 상기 볼록부보다 높이가 높은 볼록부를 포함하는, 기재된 시린지 캡.
  10. 내부에 약제가 충전 가능한 주사기 본체;
    상기 주사기 본체에 장착된 주사 바늘; 및
    상기 주사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시린지 캡으로서, 상기 주사 바늘을 덮는 시린지 캡;
    을 포함하고,
    상기 시린지 캡은,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시린지 캡인,
    바늘 부착 시린지.
  11. 내부에 약제가 충전된 주사기 본체;
    상기 주사기 본체에 장착된 주사 바늘; 및
    상기 주사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시린지 캡으로서, 상기 주사 바늘을 덮는 시린지 캡;
    을 포함하고,
    상기 시린지 캡은,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시린지 캡인,
    프리필드(prefilled) 시린지 제제(製劑).
  12. 제11항에 있어서,
    자기 주사용 제제인, 프리필드 시린지 제제.
KR1020167035804A 2014-06-04 2015-06-04 시린지 캡, 바늘 부착 시린지, 및 프리필드 시린지 제제 KR1025497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115936 2014-06-04
JP2014115936 2014-06-04
PCT/JP2015/066209 WO2015186792A1 (ja) 2014-06-04 2015-06-04 シリンジキャップ、針付シリンジ、及びプレフィルドシリンジ製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6875A true KR20170016875A (ko) 2017-02-14
KR102549755B1 KR102549755B1 (ko) 2023-06-29

Family

ID=54766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5804A KR102549755B1 (ko) 2014-06-04 2015-06-04 시린지 캡, 바늘 부착 시린지, 및 프리필드 시린지 제제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1839749B2 (ko)
EP (1) EP3153195B1 (ko)
JP (1) JP6722583B2 (ko)
KR (1) KR102549755B1 (ko)
CN (1) CN106659854B (ko)
CA (1) CA2951123C (ko)
HK (1) HK1232165A1 (ko)
MX (1) MX2016015798A (ko)
TW (1) TWI654004B (ko)
WO (1) WO201518679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3466A (ko) * 2017-10-31 2020-07-08 테루모 가부시키가이샤 시린지 및 프리필드 시린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077019A4 (en) 2013-12-04 2017-07-12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Pen needle attachment mechanisms
WO2016123494A1 (en) * 2015-01-30 2016-08-04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Pen needle hub with a patient contact surface
US11577030B2 (en) 2013-12-04 2023-02-14 Embecta Corp. Pen needle attachment mechanisms
JP7179760B2 (ja) * 2017-12-06 2022-11-29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先端用キャップ
CN113573758B (zh) * 2019-03-22 2023-03-24 泰尔茂株式会社 注射器用盖、注射器组装体及预灌封注射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42319A (en) * 1966-06-21 1967-09-19 Becton Dickinson Co Rigid tubular syringe package
US5417326A (en) * 1994-03-31 1995-05-23 Winer; Donald B. Syringe container
JP2000079163A (ja) 1998-09-07 2000-03-21 Mitsubishi Pencil Co Ltd 注射針用キャップ
JP2009090140A (ja) * 2004-08-06 2009-04-30 Meridian Medical Technologies Inc 自動注射器
JP2010207369A (ja) * 2009-03-10 2010-09-24 Jms Co Ltd 針装置収納体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412316Y1 (ko) 1966-09-07 1969-05-22
US4740204A (en) 1986-02-03 1988-04-26 Masters Edwin J Safety needle cap
GB8800883D0 (en) 1988-01-15 1988-02-17 Id Tech Ltd Single-use syringe
US4929232A (en) * 1989-03-30 1990-05-29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Syringe having tamper evidence features
BR9306051A (pt) * 1992-03-10 1997-11-18 Injectimed Inc Dispositivos de injeção médica com caracteristicas de segurança
US5308330A (en) 1992-09-16 1994-05-03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Syringe having needle isolation features
US5540666A (en) 1993-03-31 1996-07-30 Immuno Aktiengesellschaft Cannula shield and injection syringe system
JPH08206203A (ja) 1995-02-03 1996-08-13 Takeshi Inafuku 蛇腹式注射針キャップ
US5582594A (en) * 1995-12-18 1996-12-10 Chen; Long H. Hypodermic syringe with a safe needle cap
US5800395A (en) * 1996-12-05 1998-09-01 Mdc Investment Holdings, Inc. Medical device with retractable needle
US5752936A (en) * 1997-02-05 1998-05-19 Chen; Long-Hsiung Safety vacuum syringe with two opposite needles for blood sampling
DE19954373B4 (de) * 1999-11-11 2011-01-27 Helvoet Pharma Belgium N.V. Schutzkappe für eine Kanüle
FR2816848B1 (fr) 2000-11-17 2003-06-20 Rumpler Technologies Dispositif de protection pour aiguille de seringue
GB2410188B (en) * 2004-01-23 2006-01-25 Medical House Plc Injection device
PL1715903T3 (pl) * 2004-01-23 2008-03-31 The Medical House Plc Urządzenie wstrzykujące
US7621891B2 (en) 2004-12-06 2009-11-24 Washington Biotech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elivering epinephrine
US20060129122A1 (en) * 2004-12-06 2006-06-15 Wyrick Ronald E Method and apparatus for delivering epinephrine
US7297136B2 (en) 2004-12-06 2007-11-20 Wyrick Ronald E Medicine injection devices and methods
US7905352B2 (en) 2004-12-06 2011-03-15 Washington Biotech Corporation Kits containing medicine injection devices and containers
US20110226646A1 (en) 2004-12-06 2011-09-22 Wyrick Ronald E Kits Containing Medicine Injection Devices And Containers
GB2424836B (en) 2005-04-06 2010-09-22 Cilag Ag Int Injection device (bayonet cap removal)
EP1904145A2 (en) 2005-07-06 2008-04-02 Washington Biotech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delivering epinephrine
JP5094021B2 (ja) 2006-02-09 2012-12-12 味の素株式会社 シリンジ先端キャップ取り外し冶具
EP4154815A3 (en) 2007-03-07 2023-06-28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Safety blood collection assembly with indicator
US8888713B2 (en) 2007-03-07 2014-11-18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Safety blood collection assembly with indicator
US7878245B2 (en) 2007-10-10 2011-02-01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Cement compositions comprising a high-density particulate elastomer and associated methods
US8323251B2 (en) * 2008-01-14 2012-12-04 Fenwal, Inc. Phlebotomy needle assembly and frangible cover
US20090187153A1 (en) * 2008-01-14 2009-07-23 West Richard L Winged needle assembly and frangible cover
USD651308S1 (en) 2008-03-07 2011-12-27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Safety blood collection assembly
GB2465390A (en) 2008-11-17 2010-05-19 Owen Mumford Ltd Syringe needle cover remover
DE102008063517A1 (de) 2008-12-18 2010-07-01 Lts Lohmann Therapie-Systeme Ag Einmalinjektor mit einem biegeelastischen Gehäuse II
BR112012001498B8 (pt) 2009-07-23 2021-06-22 Program For Appropriate Tech In Health montagem de injeção intradérmica
CN202620380U (zh) * 2012-06-19 2012-12-26 侯程程 一种注射器
USD748778S1 (en) * 2014-06-04 2016-02-02 Chugai Seiyaku Kabushiki Kaisha Syringe cap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42319A (en) * 1966-06-21 1967-09-19 Becton Dickinson Co Rigid tubular syringe package
US5417326A (en) * 1994-03-31 1995-05-23 Winer; Donald B. Syringe container
JP2000079163A (ja) 1998-09-07 2000-03-21 Mitsubishi Pencil Co Ltd 注射針用キャップ
JP2009090140A (ja) * 2004-08-06 2009-04-30 Meridian Medical Technologies Inc 自動注射器
JP2010207369A (ja) * 2009-03-10 2010-09-24 Jms Co Ltd 針装置収納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3466A (ko) * 2017-10-31 2020-07-08 테루모 가부시키가이샤 시린지 및 프리필드 시린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951123A1 (en) 2015-12-10
CN106659854A (zh) 2017-05-10
MX2016015798A (es) 2017-07-11
CA2951123C (en) 2022-12-06
US11839749B2 (en) 2023-12-12
JP6722583B2 (ja) 2020-07-15
CN106659854B (zh) 2020-07-10
TWI654004B (zh) 2019-03-21
HK1232165A1 (zh) 2018-01-05
KR102549755B1 (ko) 2023-06-29
TW201601788A (zh) 2016-01-16
EP3153195A1 (en) 2017-04-12
EP3153195B1 (en) 2019-08-07
WO2015186792A1 (ja) 2015-12-10
EP3153195A4 (en) 2018-02-28
JPWO2015186792A1 (ja) 2017-04-20
US20170197039A1 (en) 2017-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16875A (ko) 시린지 캡, 바늘 부착 시린지, 및 프리필드 시린지 제제
KR102209807B1 (ko) 의료용 주입기용 반구형 부분을 구비한 캡
US8672894B2 (en) Protection device for a needle
KR20200136054A (ko) 의료용 주입기용 캡
KR102181488B1 (ko) 의료용 주입기용 t자 형상의 캡
KR102378753B1 (ko) 우발적인 니들 스틱을 방지하기 위한 인젝터
AU2018277152B2 (en) Cap hub interface for intradermal injection device
EP3603705B1 (en) Syringe
WO2017170500A1 (ja) グリップ及び注射器組立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