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6091A - 팔레트 적재를 위한 가이드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팔레트 적재를 위한 가이드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6091A
KR20170016091A KR1020150109416A KR20150109416A KR20170016091A KR 20170016091 A KR20170016091 A KR 20170016091A KR 1020150109416 A KR1020150109416 A KR 1020150109416A KR 20150109416 A KR20150109416 A KR 20150109416A KR 20170016091 A KR20170016091 A KR 201700160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tem
pallet
loading
items
loa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9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13887B1 (ko
Inventor
김범진
김동훈
윤기섭
송진우
노한결
심의규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094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3887B1/ko
Priority to US15/225,971 priority patent/US20170039304A1/en
Priority to EP16182328.1A priority patent/EP3128471A1/en
Publication of KR201700160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60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38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38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20Design optimisation, verification or sim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7/00Stacking of artic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ome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acking Of Articles And Auxiliary Devi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른 가이드 제공 방법은, 아이템의 규격 정보 및 제약 조건 정보와, 팔레트의 규격 정보 및 제약 조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아이템을 하나 이상의 그룹으로 분류하는 단계, 상기 분류된 각 그룹의 아이템을 적재하기 위한 팔레트를 매칭하는 단계, 상기 매칭된 팔레트의 잔여 면적을 기준으로, 복수의 그룹의 아이템이 하나의 팔레트에 적재될 수 있는 경우, 상기 복수의 그룹을 병합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각 그룹의 아이템을 상기 각 그룹에 매칭된 팔레트에 모의 적재하되, 상기 아이템의 적재 순서 및 배치 구조를 달리하여 모의 적재하는 단계, 및 상기 모의 적재 결과를 기초로, 상기 아이템을 상기 팔레트에 적재하기 위한 하나의 적재 순서 및 배치 구조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팔레트 적재를 위한 가이드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guide for pallet loading}
본 발명은 팔레트 적재를 위한 가이드 제공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아이템을 팔레트에 효율적으로 적재하기 위한 가이드 제공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품의 대량 생산이 가능해진 산업 혁명 이후, 대부분의 상품은 복수 개의 공장에서 생산되어, 복수 개의 판매처로 이동되고, 복수 개의 장소에서 소비된다. 따라서, 상품의 운송 또는 운반에 관한 솔루션은 다양한 비즈니스에서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하는 대상 중 하나이다.
일반적으로, 상품은 다양한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다양한 제약 조건 하에서 팔레트에 적재되어 운반된다. 따라서, 상품의 운반은 작업자의 작업 숙련도에 따라, 상품 운반에 이용되는 팔레트의 개수가 크게 달라진다. 그리고, 상품의 운반에 이용된 팔레트의 개수는 상품의 운반 비용과 직결된다.
따라서, 작업자의 작업 숙련도와 무관하게 최소한의 팔레트만을 이용하여 상품을 운반할 수 있는 다양한 솔루션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 공개 특허 제2001-0068520호 (2001.07.23. 공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아이템을 최소 개수의 팔레트에 최소 면적으로 적재하기 위한 가이드 제공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 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태양(Aspect)에 따른 가이드 제공 방법은, 아이템의 규격 정보 및 제약 조건 정보와, 팔레트의 규격 정보 및 제약 조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아이템을 하나 이상의 그룹으로 분류하는 단계, 상기 분류된 각 그룹의 아이템을 적재하기 위한 팔레트를 매칭하는 단계, 상기 매칭된 팔레트의 잔여 면적을 기준으로, 복수의 그룹의 아이템이 하나의 팔레트에 적재될 수 있는 경우, 상기 복수의 그룹을 병합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각 그룹의 아이템을 상기 각 그룹에 매칭된 팔레트에 모의 적재하되, 상기 아이템의 적재 순서 및 배치 구조를 달리하여 모의 적재하는 단계, 및 상기 모의 적재 결과를 기초로, 상기 아이템을 상기 팔레트에 적재하기 위한 하나의 적재 순서 및 배치 구조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른 가이드 제공 방법은, 아이템의 식별자 및 제약 조건 정보와, 팔레트의 식별자 및 제약 조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정보를 시뮬레이션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아이템을 상기 팔레트에 적재하기 위한 적재 순서 및 배치 구조를 상기 시뮬레이션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적재 순서 및 배치 구조에 따라, 상기 아이템을 상기 팔레트에 단계별(Step by step)로 적재하기 위한 가이드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컴퓨팅 장치와 결합하여, 아이템의 규격 정보 및 제약 조건 정보와, 팔레트의 규격 정보 및 제약 조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아이템을 복수의 그룹으로 분류하는 단계, 상기 분류된 각 그룹의 아이템을 적재하기 위한 팔레트를 매칭하는 단계, 상기 매칭된 팔레트의 잔여 면적을 기준으로, 복수의 그룹의 아이템이 하나의 팔레트에 적재될 수 있는 경우, 상기 복수의 그룹을 병합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각 그룹의 아이템을 상기 각 그룹에 매칭된 팔레트에 모의 적재하되, 상기 아이템의 적재 순서 및 배치 구조를 달리하여 모의 적재하는 단계, 및 상기 모의 적재 결과를 기초로, 상기 아이템을 상기 팔레트에 적재하기 위한 하나의 적재 순서 및 배치 구조를 결정하는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른, 작업자 장치는, 아이템을 팔레트에 적재하는 작업자로부터 데이터를 입력 받는 장치 입력부, 네트워크를 통해 시뮬레이션 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장치 통신부, 상기 팔레트에 상기 아이템이 적재된 이미지를 출력하는 장치 출력부, 및 상기 장치 입력부를 통해 상기 아이템의 식별자 및 제약 조건 정보와, 상기 팔레트의 식별자 및 제약 조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장치 통신부를 통해 상기 수신된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아이템을 상기 팔레트에 적재하기 위한 적재 순서 및 배치 구조를 수신하고, 상기 장치 출력부를 통해 상기 아이템을 상기 팔레트에 단계별로 적재하기 위한 가이드 화면을 출력하는 장치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아이템을 최소 개수의 팔레트에 최소 면적으로 적재할 수 있는 적재 순서 및 배치 구조를 제공하여, 적재 공간의 활용도 및 적재된 아이템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자가 아이템을 팔레트에 용이하게 적재할 수 있도록 단계별(Step by step) 가이드 화면을 제공하여, 작업자의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뮬레이션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템 분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뮬레이션 수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팔레트 매칭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룹 병합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템 배치 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게 중심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뮬레이션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뮬레이션 서버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대한 설명에 앞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몇몇 용어들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아이템(Item)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까지 이동되는 객체이다. 양도, 대여, 수입, 수출 또는 전시 등을 목적으로 이동되는 객체는 아이템이 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아이템은 제1 국에서 제2 국으로 수출하기 위해 이동되는 상품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팔레트(Pallet)는 아이템을 용이하게 이동시키기 위하여, 아이템을 적재하여 운반하기 위한 도구이다. 팔레트는 지게차(Forklift truck)의 포크에 의해 리프팅되어 운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팔레트는 바퀴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팔레트는 플라스틱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목재 또는 금속재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레이어(Layer)는 아이템이 팔레트에 적재될 수 있는 층이다. 하나의 팔레트는 복수 개의 레이어를 가질 수 있다. 복수 개의 아이템은 하나의 팔레트에 복수 개의 레이어를 구성하며 적재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 개의 아이템이 하나의 레이어 안에서만 적재될 수도 있다.
이 밖에,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이루어지다(made of)"는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뮬레이션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1에 개시된 시뮬레이션 시스템의 각 구성 요소들은 기능적으로 구분되는 기능 요소들로, 실제 물리적 환경에서는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가 서로 통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뮬레이션 시스템은 작업자 장치(100), 작업 관리 장치(200) 및 시뮬레이션 서버(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 각 구성 요소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작업자 장치(100)는 아이템(10)을 팔레트(20)에 용이하게 적재하기 위한 가이드 화면을 제공할 수 있는 장치이다.
구체적으로, 작업자 장치(100)는 하나 이상의 아이템(10)을 하나 이상의 팔레트(20)에 적재하는 작업자에 의해 이용될 수 있다. 작업자 장치(100)는 시뮬레이션 서버(300)로부터 하나 이상의 아이템(10)을 하나 이상의 팔레트(20)에 적재하기 위한 적재 순서 및 배치 구조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작업자 장치(100)는 수신된 적재 순서 및 배치 구조에 따라 가이드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가이드 화면은 하나 이상의 아이템(10)이 하나 이상의 팔레트(20)에 순차적으로 적재되는 과정을 표현할 수 있는 화면이다. 가이드 화면에는 하나 이상의 아이템(10)이 하나 이상의 팔레트(20)에 적재된 상태의 단계별(Step by step) 이미지가 포함될 수 있다. 가이드 화면에는 팔레트(20)에 적재된 아이템(10)의 배치 구조가 용이하게 인식될 수 있는 3차원의 이미지가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 개의 2차원 이미지가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가이드 화면에는 제1 아이템(10)을 선택하여 제1 팔레트(20)의 제1 위치에 적재하기 위한 가이드 문자열이 포함될 수 있다.
나아가, 가이드 화면에는 아이템(10)이 적재된 팔레트(20)의 무게 중심의 이미지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화면에는 아이템(10)을 팔레트(20)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끈의 이미지가 포함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가이드 화면에 대한 몇몇 실시예에 대해서는, 추후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자 장치(100)는 스마트 폰(Smart phone), 랩탑(Laptop), 태블릿(Tablet), 패블리(Phablet) 또는 개인용 휴대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 등과 같은 모바일 장치(Mobile device)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작업자 장치(100)는 스마트 팔찌(Smart band), 스마트 시계(Smart watch), 스마트 반지(Smart ring) 또는 스마트 안경(Smart glasses) 등과 같은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중 어느 하나가 될 수도 있다. 또한, 작업자 장치(100)는 작업자들이 아이템(10)을 팔레트(20)에 적재할 때 착용하는 장갑(Gloves)의 일면에 부착되어 이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자 장치(100)에 대해서는, 추후 도 9 및 도 14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작업 관리 장치(200)는 하나 이상의 아이템(10)이 하나 이상의 팔레트(20)에 적재되는 적재 작업들을 종합 관리할 수 있는 장치이다.
구체적으로, 작업 관리 장치(200)는 하나 이상의 작업자 장치(100)를 이용하는 작업자에 관한 정보, 하나 이상의 작업자 장치(100)에 의해 적재되는 아이템(10)에 관한 정보, 하나 이상의 작업자 장치(100)를 이용하는 작업자에 의해 아이템(10)이 적재되었거나 적재될 팔레트(20)에 관한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작업 관리 장치(200)는 시뮬레이션 서버(300)에서 하나 이상의 작업자 장치(100)에 전송되는 적재 순서 및 배치 구조를 종합하여 출력할 수 있다. 작업 관리 장치(200)는 아이템(10)을 팔레트(20)에 적재하기 위한 적재 순서 및 배치 구조에 따라 작업 지시 문서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작업 관리 장치(200)는 생성된 작업 지시 문서를 인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 관리 장치(200)는 데스크탑(Desktop), 서버(Server) 또는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 등과 같은 고정식 컴퓨팅 장치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랩탑, 스마트폰, 태블릿, 패블릿 또는 개인용 휴대 단말기 등과 같은 모바일 장치 중 어느 하나가 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시뮬레이션 서버(300)는 하나 이상의 아이템(10)을 최소 개수의 팔레트(20)에 최소 면적으로 적재될 수 있도록 시뮬레이션을 수행하고, 시뮬레이션 수행 결과에 따른 적재 순서 및 배치 구조를 작업자 장치(100)에 제공할 수 있는 서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뮬레이션 서버(300)에 대해서는, 추후 도 2 내지 도 4, 도 13 및 도 15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종합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뮬레이션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아이템(10)을 최소 개수의 팔레트(20)에 최소 면적으로 적재할 수 있는 적재 순서 및 배치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시뮬레이션 시스템은 작업자가 아이템(10)을 팔레트(20)에 용이하게 적재할 수 있도록 단계별(Step by step) 가이드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뮬레이션 서버(300)의 가이드 제공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시뮬레이션 서버(300)는 작업자 장치(100) 또는 작업 관리 장치(200)로부터, 적재 대상이 되는 하나 이상의 아이템(10)의 식별자 및 제약 조건 정보, 아이템(10)이 적재될 수 있는 팔레트(20)의 식별자 및 제약 조건 정보를 수신한다(S110).
아이템(10)의 식별자는 하나 이상의 아이템(10) 중 제1 아이템(10)을 식별하기 위한 일련의 문자열(String)이다. 아이템(10)의 식별자는 문자(Character) 또는 숫자(numeral)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아이템(10)의 제약 조건 정보는 아이템(10)이 팔레트(20)에 적재될 때, 아이템(10)의 상태와 관련하여 고려되어야 할 조건이다. 예를 들어, 아이템(10)의 제약 조건 정보에는 아이템(10)이 지지할 수 있는 최대 하중, 아이템(10)이 적재될 수 있는 방향, 아이템(10) 라벨의 가시성이 보장되어야 하는지 여부, 아이템(10)이 기울어진 상태로 적재 가능한지 여부, 아이템(10)의 이중 포장 가능 여부, 번들(Bundle)의 부속 여부, 재고 보관 단위(Stock Keeping Unit, SKU)에 관한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팔레트(20)의 식별자는 하나 이상의 팔레트(20) 중 제1 팔레트(20)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하기 위한 문자열이다. 팔레트(20)의 식별자는 문자 또는 숫자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팔레트(20)의 제약 조건 정보는 아이템(10)이 팔레트(20)에 적재될 때, 팔레트(20)의 상태와 관련하여 고려되어야 할 조건이다. 예를 들어, 팔레트(20)의 제약 조건 정보에는 팔레트(20)에 적재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아이템(10)의 최대 지지 하중, 팔레트(20)에 아이템(10)에 적재된 상태에서 확보되어야 하는 최소 잔여 면적(Margin), 팔레트(20)에 아이템(10)이 적재될 수 있는 최대 높이(Maximum Height) 또는 팔레트(20)에 아이템(10)이 적재될 수 있는 최대 레이어의 수가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시뮬레이션 서버(300)는 아이템 규격 정보 데이터베이스(Database) 및 팔레트 규격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아이템(10)의 식별자 및 팔레트(20)의 식별자를 기초로 아이템(10)의 규격 정보 및 팔레트(20)의 규격 정보를 추출한다(S120).
아이템 규격 정보 데이터베이스는 하나 이상의 아이템(10) 각각의 규격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저장소이다. 그리고, 팔레트 규격 정보 데이터베이스는 하나 이상의 팔레트(20) 각각의 규격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저장소이다. 아이템 규격 정보 데이터베이스 및 팔레트 규격 정보 데이터베이스는 시뮬레이션 서버(300)에 포함된 하나의 구성 요소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시뮬레이션 서버(300)의 외부에 위치한 데이터베이스 서버의 하나의 구성 요소가 될 수도 있다.
아이템(10)의 규격 정보는 아이템(10)의 크기 또는 모양 등에 관한 정보이다. 아이템(10)의 규격 정보에는 아이템(10)의 너비(Width), 깊이(Depth), 높이(Height), 무게(Weight) 또는 가액(Price)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팔레트(20)의 규격 정보는 팔레트(20)의 크기 또는 모양 등에 관한 정보이다. 팔레트(20)의 규격 정보에는 팔레트(20)의 너비, 깊이, 높이, 무게, 최대 적재 하중, 최소 잔여 면적, 최대 높이 또는 최대 레이어의 수가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뮬레이션 서버(300)는 아이템(10)의 규격 정보 및 팔레트(20)의 규격 정보를 작업자 장치(100) 또는 작업 관리 장치(200)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시뮬레이션 서버(300)는 아이템(10)의 규격 정보 및 제약 조건 정보, 팔레트(20)의 규격 정보 및 제약 조건 정보를 기초로, 수신된 아이템(10)의 식별자에 따른 하나 이상의 아이템(10)을 하나 이상의 그룹으로 분류한다(S130).
그룹(Group)은 하나의 팔레트(20)에 적재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아이템(10)의 묶음이다. 즉, 그룹은 하나 이상의 아이템(10)을 팔레트(20) 단위로 분류하기 위한 기준이다. 따라서, 하나의 그룹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아이템(10)은 하나의 팔레트(20)에 적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뮬레이션 서버(300)의 아이템(10) 분류 방법에 대해서는, 추후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시뮬레이션 서버(300)는 아이템(10)의 규격 정보 및 제약 조건 정보, 팔레트(20)의 규격 정보 및 제약 조건 정보를 기초로, 아이템의 적재 순서 및 배치 구조를 달리하며, 분류된 각 그룹에 포함된 아이템(10)을 팔레트(20)에 모의 적재하는 적재 시뮬레이션을 수행한다(S140).
본 발명의 실 실시예에 따른 시뮬레이션 서버(300)의 시뮬레이션 수행 방법에 대해서는, 추후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시뮬레이션 서버(300)는 모의 적재 결과를 기초로, 수신된 아이템(10)의 식별자에 따른 하나 이상의 아이템(10)을 수신된 팔레트(20)의 식별자에 따른 하나 이상의 팔레트(20)에 적재하기 위한, 적재 순서 및 배치 구조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시뮬레이션 서버(300)는 하나 이상의 아이템(10)을 적재하기 위해 이용된 팔레트(20)의 개수 및 팔레트의 면적을 기초로, 적재 순서 및 배치 구조를 달리하며 수행된 각 모의 적재 결과의 스코어를 산출한다(S150).
모의 적재 결과의 스코어(Score)는 하나 이상의 아이템(10)을 적재하기 위해 이용된 팔레트(20)의 개수가 적을수록 높은 점수를 가지도록 평가될 수 있다 또한, 모의 적재 결과의 스코어(Score)는 하나 이상의 아이템(10)이 적재된 팔레트(20)의 잔여 면적이 클수록 높은 점수를 가지도록 평가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모의 적재 결과의 스코어는 하나 이상의 아이템(10)을 적재하기 위해 이용된 팔레트(20)의 개수가 적을수록 낮은 점수를 가지고, 하나 이상의 아이템(10)이 적재된 팔레트(20)의 잔여 면적이 클수록 낮은 점수를 가지도록 설계 변경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다음으로, 시뮬레이션 서버(300)는 산출된 스코어를 기초로, 최적의 적재 순서 및 배치 구조를 결정한다(S160). 구체적으로, 시뮬레이션 서버(300)는 산출된 스코어를 기초로, 하나의 모의 적재 방법을 선택한다. 만약, 모의 적재 결과의 스코어가 하나 이상의 아이템(10)을 적재하기 위해 이용된 팔레트(20)의 개수가 적을수록, 그리고, 하나 이상의 아이템(10)이 적재된 팔레트(20)의 잔여 면적이 클수록, 높은 점수를 가지도록 평가된 경우, 시뮬레이션 서버(300)는 최고의 스코어가 산출된 모의 적재 방법을 선택할 것이다. 이와 반대로, 모의 적재 결과의 스코어가 하나 이상의 아이템(10)을 적재하기 위해 이용된 팔레트(20)의 개수가 적을수록, 그리고, 하나 이상의 아이템(10)이 적재된 팔레트(20)의 잔여 면적이 클수록, 낮은 점수를 가지도록 평가된 경우, 시뮬레이션 서버(300)는 최저의 스코어가 산출된 모의 적재 방법을 선택할 것이다.
그리고, 시뮬레이션 서버(300)는 선택된 모의 적재 방법에 의해 수행된 적재 순서 및 배치 순서를, 수신된 아이템(10)의 식별자에 따른 하나 이상의 아이템(10)을 수신된 팔레트(20)의 식별자에 따른 하나 이상의 팔레트(20)에 적재하기 위한 적재 순서 및 배치 구조로 결정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시뮬레이션 서버(300)는 결정된 적재 순서 및 배치 구조를 작업자 장치(100) 또는 작업 관리 장치(200)에 전송한다(S170). 구체적으로, 적재 대상이 되는 하나 이상의 아이템(10)의 식별자 및 아이템(10)이 적재될 수 있는 팔레트(20)의 식별자가 작업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경우, 시뮬레이션 서버(300)는 결정된 적재 순서 및 배치 구조를 작업자 장치(100) 및 작업 관리 장치(200)에 모두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적재 대상이 되는 하나 이상의 아이템(10)의 식별자 및 아이템(10)이 적재될 수 있는 팔레트(20)의 식별자가 작업 관리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경우, 시뮬레이션 서버(300)는 결정된 적재 순서 및 배치 구조를 작업 관리 장치(200)에만 전송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뮬레이션 서버(300)의 아이템(10) 분류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템 분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시뮬레이션 서버(300)는 하나 이상의 아이템(10) 중 기 설정된 예외처리 대상에 해당되는 아이템을 기 설정된 예외처리 방법에 따라 처리한다.
예외처리 대상은 아이템(10)에 제3 의 작업이 추가적으로 수행된 경우에 팔레트(20)에 적재될 수 있는 아이템(10)이다. 예를 들어, 예외 처리 대상에는 번들이 부속된 아이템(10), 기 설정된 임계규격 이하의 규격을 가지는 아이템(10), 기 설정된 임계가액 이상의 가액을 가지는 아이템(10) 또는 다른 아이템(10)과 동일한 재고 보관 단위(SKU)에 해당되는 아이템(10)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외처리 방법은 아이템(10)이 팔레트(20)에 적재되기 이전에 추가적으로 수행되는 제3 의 작업이다. 예를 들어, 예외처리 방법에는 하나 이상의 아이템(10) 또는 번들을 소그룹에 포함시키는 작업, 팔레트(20)의 적재 대상에서 제외되는 소화물 그룹에 포함시키는 작업 또는 아이템(10)을 이중 포장하는 작업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구체적으로, 시뮬레이션 서버(300)는 하나 이상의 아이템(10) 중 예외처리 대상에 해당되는 아이템(10)을 아래와 같은 처리한다.
시뮬레이션 서버(300)는 하나 이상의 아이템(10) 중 번들이 부속된 아이템(10)을 처리한다(S131). 구체적으로, 시뮬레이션 서버(300)는 하나 이상의 아이템(10) 중 제1 아이템(10)에 번들이 부속된 경우, 제1 아이템과 번들을 하나의 소그룹에 포함시킨다.
번들은 아이템(10)에 부속되어, 아이템(10)과 함께 제공 되는 객체이다. 예를 들어, 번들은 아이템(10)에 제공되는 설명서 또는 지원 소프트웨어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아니다.
소그룹은 동일한 팔레트(20)에 적재되어야 하는 하나 이상의 아이템(10)의 묶음이다. 따라서, 동일한 소그룹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아이템(10)은 동일한 팔레트(20)에 적재될 수 있다.
시뮬레이션 서버(300)는 하나 이상의 아이템(10) 중 소화물 아이템(10)을 처리한다(S132). 구체적으로, 시뮬레이션 서버(300)는 하나 이상의 아이템(10) 중 제1 아이템(10)이 기 설정된 임계규격 이하인 경우, 제1 아이템(10)을 소화물 그룹에 포함시킨다.
임계규격은 팔레트(20)의 적재 대상이 될 경우, 적재 작업의 효율이 낮아질 수 있는 아이템(10)을 분류하기 위한 기 설정된 규격이다. 임계규격은 팔레트(20)의 제약 조건 정보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시뮬레이션 서버(300)에 프리셋(Preset)되어 있을 수도 있다. 소화물 그룹은 팔레트(20)에 적재되지 않는 하나 이상의 아이템(10)의 묶음이다. 따라서, 소화물 그룹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아이템(10)은 팔레트(20)의 적재 대상에서 제외된다.
시뮬레이션 서버(300)는 하나 이상의 아이템(10) 중 고가 아이템(10)을 처리한다(S133). 구체적으로, 시뮬레이션 서버(300)는 하나 이상의 아이템(10) 중 제1 아이템의 가액이 기 설정된 임계가액 이상인 경우, 제1 아이템(10)을 이중 포장 그룹에 포함시킨다.
임계가액은 아이템(10)의 분실 또는 파손 시 책임 범위를 고려하여 집중 관리되어야 하는 아이템(10)의 가액이다. 임계가액은 팔레트(20)의 제약 조건 정보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시뮬레이션 서버(300)에 프리셋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중 포장 그룹은 이중으로 포장된 상태에서 팔레트(20)에 적재되어야 하는 하나 이상의 아이템(10)의 묶음이다. 따라서, 이중 포장 그룹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아이템(10)은 작업자 장치(100)를 이용하는 작업자에 의하여 이중 포장되고, 이중 포장된 상태에서 팔레트(20)에 적재될 것이다.
시뮬레이션 서버(300)는 하나 이상의 아이템(10) 중 동일 재고 보관 단위(SKU)에 해당되는 아이템을 처리한다(S134). 구체적으로, 시뮬레이션 서버(300)는 하나 이상의 아이템(10) 중 제1 아이템(10) 및 제2 아이템(10)이 동일한 재고 보관 단위(SKU)에 해당되는 경우, 제1 아이템(10) 및 제2 아이템(20)을 하나의 소그룹에 포함시킨다.
시뮬레이션 서버(300)는 하나 이상의 아이템(10) 각각에 대한 적재 클래스를 결정한다(S135). 보다 구체적으로, 시뮬레이션 서버(300)는 아이템(10)의 규격 정보 및 제약 조건 정보, 팔레트(20)의 규격 정보 및 제약 조건 정보를 기초로, 하나 이상의 아이템(10)이 팔레트(20)에 적재될 수 있는 레이어를 식별한다. 그리고, 시뮬레이션 서버(300)는 식별된 레이어에 따라 각 아이템(10)의 적재 클래스를 결정한다. 특히, 시뮬레이션 서버(300)는 이중 포장 그룹에 포함된 아이템(10)은 이중 포장된 상태의 규격 정보 및 제약 조건 정보를 기초로, 적재 클래스를 결정한다.
적재 클래스는 아이템(10)이 팔레트(20)에 적재될 수 있는 레이어를 구분하기 위한 문자열이다. 예를 들어, 적재 클래스가 1인 아이템(10)은 팔레트(20)의 첫 번째 레이어에 적재될 수 있다.
다음으로, 시뮬레이션 서버(300)는 결정된 적재 클래스, 아이템(10)의 규격 정보 및 제약 조건 정보, 팔레트(20)의 규격 정보 및 제약 조건 정보를 기초로, 하나 이상의 아이템(10)을 팔레트 단위의 그룹으로 분류한다(S136). 시뮬레이션 서버(300)가 아이템(10)을 팔레트 단위의 그룹으로 분류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시뮬레이션 서버(300)는 적재 클래스에 따른 아이템(10)이 각 그룹에 균등하게 포함될 수 있도록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뮬레이션 서버(300)는 제1 적재 클래스로 결정된 하나 이상의 아이템(10)이 각 그룹에 균등하게 포함될 수 있도록, 제1 적재 클래스로 결정된 하나 이상의 아이템(10)을 각 그룹에 하나씩 순차적으로 할당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시뮬레이션 서버(300)는 각 그룹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아이템(10)의 중량의 총합이 균등하게 분포될 수 있도록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뮬레이션 서버(300)는 제1 그룹에 포함된 아이템(10)의 중량의 총합과 제2 그룹에 포함된 아이템(10)의 중량의 총합이 균등하도록 분류하되, 제1 그룹에 포함된 아이템(10)의 중량의 총합과 제2 그룹에 포함된 아이템(10)의 중량의 총합의 차이가 기 설정된 임계중량차 이상인 경우, 제1 그룹에 포함된 아이템(10) 중 하나의 아이템(10)과 제2 그룹에 포함된 아이템(10)중 하나의 아이템(10)을 서로 스왑(Swap)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뮬레이션 서버(300)의 시뮬레이션 수행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뮬레이션 수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시뮬레이션 서버(300)는 각 그룹마다 각 그룹에 포함된 모든 아이템(10)을 적재하기 위한 최소 면적의 팔레트(20)를 매칭한다.
구체적으로, 시뮬레이션 서버(300)는 하나 이상의 팔레트(20) 중 최소 면적의 제1 팔레트(20)를 선택한다(S141). 그리고, 시뮬레이션 서버(300)는 선택된 제1 팔레트(20)에 하나 이상의 그룹 중 제1 그룹에 포함된 모든 아이템(10)이 적재될 수 있는지 판단한다(S142). 판단 결과, 모든 아이템(10) 적재될 수 없는 경우, 시뮬레이션 서버(300)는 제1 팔레트보다 면적이 큰 제2 팔레트(20)를 선택한다(S143). 그리고, 시뮬레이션 서버(300)는 새로이 선택된 제2 팔레트(20)에 제1 그룹에 포함된 모든 아이템(10)이 모두 적재될 수 있는지 판단한다. 이와 같이, 시뮬레이션 서버(300)는 최소 면적의 팔레트(20)부터 점점 더 큰 면적의 팔레트(20)를 선택하여 아이템(10)이 적재될 수 있는지 판단함으로써, 최소 면적의 팔레트(20)를 매칭할 수 있다.
다음으로, 시뮬레이션 서버(300)는 팔레트(20)의 잔여 면적을 기준으로, 둘 이상의 그룹에 포함된 모든 아이템(10)이 하나의 팔레트(20)에 적재될 수 있는지 판단한다(S144). 잔여 면적은, 팔레트(20)에 아이템(10)이 적재된 상태에서, 팔레트(20)에 잔존하는 면적이다. 판단 결과, 둘 이상의 그룹에 포함된 모든 아이템(10)이 하나의 팔레트(20)에 적재될 수 있는 경우, 시뮬레이션 서버(300)는 둘 이상의 그룹을 하나의 그룹으로 병합한다(S145). 그리고, 시뮬레이션 서버(300)는 각 그룹에 포함된 아이템(10)을 각 그룹마다 선택된 팔레트(20)에 모의 적재하는 시뮬레이션을 수행한다(S146). 구체적으로, 시뮬레이션 서버(300)는 아이템(10)의 적재 순서 및 배치 구조를 달리하며, 각 그룹마다 선택된 팔레트(20)에 각 그룹에 포함된 아이템(10)을 모의 적재할 수 있다. 시뮬레이션 서버(300)가 팔레트(20)에 아이템(10)을 모의 적재하는데 이용하는 적재 순서 및 배치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시뮬레이션 서버(300)는 일반 경험적 4-블록 패턴(Generalized 4-block heuristic)을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아이템(10)을 팔레트(20)에 모의 적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뮬레이션 서버(300)는 하나 이상의 그룹 중 제1 그룹에 선택된 팔레트(20)의 제1 레이어를 4개의 블록으로 분할한다. 시뮬레이션 서버(300)는 제1 레이어에 제1 그룹에 포함된 아이템(10)을 모의 적재하되, 분할된 4개의 블록마다 아이템(10)의 배치 방향을 달리하며 적재할 수 있다. 특히, 시뮬레이션 서버(300)는 아이템(10)의 배치 방향을 일 방향으로 회전시켜 4 개의 블록에 배치시킬 수 있다. 이 경우, 4개의 블록에 배치된 아이템(10)의 배치 방향은 모두 상이할 것이다.
시뮬레이션 서버(300)는 아이템(10)이 적재된 상태의 팔레트(20)의 무게 중심(Center of gravity)이 최소가 되도록, 하나 이상의 아이템(10)을 팔레트(20)에 모의 적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뮬레이션 서버(300)는 하나 이상의 그룹 중 제1 그룹에 선택된 팔레트(20)에 제1 그룹에 포함된 아이템(10)을 모의 적재하되, 제1 그룹에 포함된 제1 아이템의 일 측면과 제1 아이템의 일 측면에 접촉된 팔레트(20) 또는 제2 아이템의 일 측면 사이의 각도가 작아지도록 적재할 수 있다.
그리고, 시뮬레이션 서버(300)는 각 그룹의 아이템(10)이 적재된 팔레트(20)의 최대 높이가 균등하도록 적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뮬레이션 서버(300)는 제1 팔레트(20)에 아이템(10)이 적재된 상태의 높이가 제2 팔레트(20)에 아이템(10)이 적재된 상태의 높이와 균등하도록 적재하되, 제1 팔레트(20)의 높이와 제2 팔레트(20)의 높이의 차이가 기 설정된 임계높이차 이상인 경우, 새로운 적재 순서 또는 배치 구조에 따라 제1 팔레트(20) 및 제2 팔레트(20)에 아이템(10)을 적재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팔레트 매칭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시뮬레이션 서버(300)는 복수 개의 팔레트(20a, 20b, 20c) 중 제1 그룹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아이템(10)이 적재될 수 있는 최소 면적의 팔레트(20c)를 선택하여 매칭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시뮬레이션 서버(300)는 복수 개의 팔레트(20a, 20b, 20c) 중 최소 면적의 제1 팔레트(20a)를 선택할 수 있다.
시뮬레이션 서버(300)는 선택된 최소 면적의 제1 팔레트(20a)에 제1 그룹에 포함된 모든 아이템(10)이 적재될 수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제1 팔레트(20a)에 모든 아이템(10)이 적재될 수 없으므로, 시뮬레이션 서버(300)는 제1 팔레트(20a)보다 면적이 큰 제2 팔레트(20b)를 선택할 수 있다.
시뮬레이션 서버(300)는 제2 팔레트(20b)에 제1 그룹에 포함된 모든 아이템(10)이 적재될 수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제2 팔레트(20b)에 모든 아이템(10)이 적재될 수 없으므로, 시뮬레이션 서버(300)는 제2 팔레트(20b)보다 면적이 큰 제3 팔레트(20c)를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시뮬레이션 서버(300)는 제3 팔레트(30c)에 제1 그룹에 포함된 모든 아이템(10)이 적재될 수 있으므로, 제1 그룹에 포함된 아이템(10)을 적재하기 위한 최소 팔레트로 제3 팔레트(30c)를 매칭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뮬레이션 서버(300)는 각 그룹마다 각 그룹에 포함된 모든 아이템(10)이 적재될 수 있는 최소 면적의 팔레트(20)를 매칭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룹 병합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시뮬레이션 서버(300)는 제1 팔레트(20a) 및 제2 팔레트(20b)의 잔여 면적을 기준으로 제1 그룹 및 제2 그룹을 병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시뮬레이션 서버(300)는 제1 팔레트(20a)에 제1 그룹에 포함된 아이템(10a)이 적재된 상태의 제1 잔여 면적을 식별할 수 있다. 시뮬레이션 서버(300)는 식별된 제1 잔여 면적에 제2 그룹에 포함된 아이템(20b)이 적재될 수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시뮬레이션 서버(300)는 제2 팔레트(20b)에 제2 그룹에 포함된 아이템(10b)이 적재된 상태의 제2 잔여 면적을 식별할 수 있다. 시뮬레이션 서버(300)는 식별된 제2 잔여 면적에 제1 그룹에 포함된 아이템(10a)이 적재될 수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제1 잔여 면적에 제2 그룹에 포함된 아이템(20b)이 적재될 수 있으므로, 시뮬레이션 서버(300)는 제1 그룹과 제2 그룹을 하나의 그룹으로 병합할 수 있다. 그리고, 시뮬레이션 서버(300)는 병합된 하나의 그룹에 포함된 아이템(10a, 10b)를 적재하기 위한 팔레트로 제1 팔레트(20a)를 매칭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뮬레이션 서버(300)는 복수 개의 그룹에 포함된 아이템(10)을 하나의 팔레트(20)에 적재하여, 아이템(10)을 적재하기 위한 팔레트(20)의 수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템 배치 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시뮬레이션 서버(300)는 일반 경험적 4-블록 패턴을 이용하여, 팔레트(20)의 각 레이어에 아이템(10)을 적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시뮬레이션 서버(300)는 팔레트(20)의 각 레이어를 4개의 블록(10a, 10b, 10c 및 10d)으로 분할할 수 있다. 시뮬레이션 서버(300)는 분할된 4개의 블록(10a, 10b, 10c 및 10d)에 아이템(10)을 모의 적재하되, 각 블록(10a, 10b, 10c 및 10d)마다 아이템의 배치 방향이 서로 상이하게 적재할 수 있다. 특히, 시뮬레이션 서버(300)는 바람개비(Pinwheel) 형상과 같이, 아이템(10)의 배치 방향을 일 방향으로 회전시켜 가며 배치하여, 4개의 블록(10a, 10b, 10c 및 10d)에 배치된 아이템(10)의 배치 방향이 모두 상이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뮬레이션 서버(300)는 일반 경험적 4-블록 패턴을 이용하여 아이템(10)을 적재하여, 적재 공간의 활용도 및 적재된 아이템(10)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게 중심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시뮬레이션 서버(300)는 티핑 각도(Tipping angle, 40)을 측정하고, 측정된 티핑 각도(40)에 따라 팔레트(20)의 무게 중심을 낮출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시뮬레이션 서버(300)는 제1 아이템(10)의 티핑 각도(40)를 측정한다. 티핑 각도(40)는 제1 아이템(10)이 적재될 수 있는 팔레트(20) 또는 제2 아이템(20)과 관련하여, 제1 아이템(10)의 일 측면과 팔레트(20) 또는 제2 아이템(20)의 일 측면 사이의 각도이다. 시뮬레이션 서버(300)는 측정된 티핑 각도가 최소가 되는 위치를 탐색한다. 시뮬레이션 서버(300)는 티핑 각도가 최소가 되는 위치를 제1 아이템(10)의 적재 위치로 결정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뮬레이션 서버(300)는 티핑 각도(40)가 최소가 되는 위치를 기초로 아이템(10)의 적재 위치를 결정하여, 아이템(10)이 적재된 상태의 팔레트(20)의 무게 중심(30)을 낮출 수 있다.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작업자 장치(100)의 가이드 제공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작업자 장치(100)는 적재 대상이 되는 하나 이상의 아이템(10)의 식별자 및 제약 조건 정보, 아이템(10)이 적재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팔레트(20)의 식별자 및 제약 조건 정보를 수신한다(S210). 구체적으로, 작업자 장치(100)는 작업자로부터 아이템(10)의 식별자 및 제약 조건 정보, 팔레트(20)의 식별자 및 제약 조건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작업자 장치(100)는 작업 관리 장치(200)로부터 아이템(10)의 식별자 및 제약 조건 정보, 팔레트(20)의 식별자 및 제약 조건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작업자 장치(100)는 수신된 아이템(10)의 식별자 및 제약 조건 정보, 팔레트(20)의 식별자 및 제약 조건 정보를 시뮬레이션 서버(300)에 전송한다(S230). 그리고, 작업자 장치(100)는 하나 이상의 아이템(10)을 하나 이상의 팔레트(20)에 적재하기 위한, 적재 순서 및 배치 구조를 시뮬레이션 서버(300)로부터 수신한다(S250). 또한, 작업자 장치(100)는 팔레트(20)에 하나 이상의 아이템(10)이 적재된 상태의 무게 중심의 좌표를 시뮬레이션 서버(3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작업자 장치(100)는 수신된 적재 순서 및 배치 구조에 따라, 하나 이상의 아이템(10)을 하나 이상의 팔레트(20)에 단계별(Step by step)로 적재하기 위한 가이드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S270). 예를 들어, 작업자 장치(100)는 제1 팔레트(20)에 적재될 하나 이상의 아이템(10) 중 제1 아이템(10)의 적재 순서가 제2 아이템(20)의 적재 순서보다 우선하는 경우, 제1 아이템(10)이 적재된 제1 팔레트(20)의 이미지를 제공한 후, 제2 아이템(10)이 적재된 제1 팔레트(20)의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작업자 장치(100)는 제1 팔레트(20)에 아이템(10)이 적재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레이어 중 제1 레이어의 적재 순서가 제2 레이어의 적재 순서보다 우선하는 경우, 제1 레이어에 아이템(10)이 적재된 제1 팔레트(20)의 이미지를 제공한 후, 제2 레이어에 아이템(10)이 적재된 제1 팔레트(20)의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작업자 장치(100)는 시뮬레이션 서버(300)로부터 수신된 무게 중심의 좌표에 따른 팔레트(20)의 무게 중심점의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 장치(100)는 수신된 무게 중심의 좌표가 기 설정된 임계안전영역을 벗어나는 경우, 팔레트(20)에 아이템(10)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끈의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임계안전영역은 아이템(10)이 안정적으로 적재되도록 팔레트(20)의 무게 중심이 포함되어야 하는 영역이다. 즉, 아이템(10)이 팔레트(20)에 안정적으로 적재되었는지 판단하기 위한 기준이다. 무게 중심이 임계안전영역에 포함된 팔레트(20)는 운반 도중 아이템(10)이 떨어지거나 붕괴될 가능성이 적다. 이와 반대로, 무게 중심이 임계안전영역을 벗어난 팔레트(20)는 따로 고정끈을 체결하지 않으면, 운반 도중 아이템(10)이 떨어지거나 붕괴될 가능성이 있다. 이와 같은, 임계안전영역은 팔레트(20)의 제약 조건 정보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작업자 장치(100)에 프리셋되어 있을 수도 있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작업자 장치(100)는 팔레트(20)에 적재될 세 개의 아이템(10a, 10b, 10c) 중 아이템의 적재 순서에 따라, 최우선 아이템(10a)이 적재된 팔레트(20)의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그 후, 작업자 장치(100)는 적재 순서에 따라, 다음 우선 순위의 아이템(10b)이 적재된 팔레트(20)의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작업자 장치(100)는 적재 순서에 따라, 다음 우선 순위의 아이템(10c)이 적재된 팔레트(20)의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작업자 장치(100)는 팔레트(20)에 아이템(10)이 적재될 수 있는 세 개의 레이어(11, 12, 13) 중 아이템의 적재 순서에 따라, 최우선 레이어(11)에 아이템(10)이 적재된 팔레트(20)의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그 후, 작업자 장치(100)는 적재 순서에 따라, 다음 우선 순위의 레이어(12)에 아이템(10)이 적재된 팔레트(20)의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작업자 장치(100)는 적재 순서에 따라, 다음 우선 순위의 레이어(13)에 아이템(10)이 적재된 팔레트(20)의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작업자 장치(100)는 시뮬레이션 서버(300)로부터 수신된 무게 중심의 좌표에 따른 팔레트(20)의 무게 중심점(30)의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작업자 장치(100)는 수신된 무게 중심의 좌표가 기 설정된 임계안전영역을 벗어나는 경우, 팔레트(20)에 아이템(10)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끈(50)의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자 장치(100)는 아이템(10)을 팔레트(20)에 용이하게 적재할 수 있는 단계별 가이드 화면을 제공하여, 작업자의 작업 효율 및 팔레트(20)에 적재된 아이템(10)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지금까지, 도2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구현된 컴퓨터 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1 컴퓨팅 장치로부터 제2 컴퓨팅 장치에 전송되어 제2 컴퓨팅 장치에 설치될 수 있고, 이로써 제2 컴퓨팅 장치에서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컴퓨팅 장치 및 제2 컴퓨팅 장치는, 데스크탑, 서버 또는 워크스테이션 등과 같은 고정식 컴퓨팅 장치, 스마트 폰, 태블릿, 패블릿 또는 랩탑 등과 같은 모바일 컴퓨팅 장치 및 스마트 와치, 스마트 안경 또는 스마트 밴드 등과 같은 웨어러블 컴퓨팅 장치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뮬레이션 서버(300) 및 작업자 장치(100)의 논리적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뮬레이션 서버(300)의 블록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시뮬레이션 서버(300)는 서버 통신부(310), 서버 저장부(320), 아이템 그룹핑부(330) 및 모의 적재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 통신부(31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작업자 장치(100) 또는 작업 관리 장치(2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버 통신부(310)는 작업자 장치(100) 또는 작업 관리 장치(200)로부터, 적재 대상이 되는 하나 이상의 아이템(10)의 식별자 및 제약 조건 정보, 아이템(10)이 적재될 수 있는 팔레트(20)의 식별자 및 제약 조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 통신부(310)는 작업자 장치(100) 또는 작업 관리 장치(200)에 대하여, 하나 이상의 아이템(10)을 하나 이상의 팔레트(20)에 적재하기 위한 적재 순서 및 배치 구조를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서버 저장부(320)는 시뮬레이션 서버(300)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버 저장부(320)는 아이템 규격 정보 데이터베이스(323) 및 팔레트 규격 정보 데이터베이스(326)를 포함할 수 있다. 아이템 규격 정보 데이터베이스(323)는 하나 이상의 아이템(10) 각각의 규격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저장소이다. 그리고, 팔레트 규격 정보 데이터베이스(326)는 하나 이상의 팔레트(20) 각각의 규격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저장소이다.
다음으로, 아이템 그룹핑부(330)는 하나 이상의 아이템(10)을 하나 이상의 그룹으로 분류한다. 그룹은 하나의 팔레트(20)에 적재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아이템(10)의 묶음이다. 즉, 그룹은 하나 이상의 아이템(10)을 팔레트(20) 단위로 분류하기 위한 기준이다. 따라서, 하나의 그룹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아이템(10)은 하나의 팔레트(20)에 적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아이템 그룹핑부(330)는 하나 이상의 아이템(10) 중 기 설정된 예외처리 대상에 해당되는 아이템(10)을 기 설정된 예외처리 방법에 따라 처리한다. 예외처리 대상은 아이템(10)에 제3 의 작업이 추가적으로 수행된 경우에 팔레트(20)에 적재될 수 있는 아이템(10)이다. 예를 들어, 예외 처리 대상에는 번들이 부속된 아이템(10), 기 설정된 임계규격 이하의 규격을 가지는 아이템(10), 기 설정된 임계가액 이상의 가액을 가지는 아이템(10) 또는 다른 아이템(10)과 동일한 재고 보관 단위(SKU)에 해당되는 아이템(10)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외처리 방법은 아이템(10)이 팔레트(20)에 적재되기 이전에 추가적으로 수행되는 제3 의 작업이다. 예를 들어, 예외처리 방법에는 하나 이상의 아이템(10) 또는 번들을 소그룹에 포함시키는 작업, 팔레트(20)의 적재 대상에서 제외되는 소화물 그룹에 포함시키는 작업 또는 아이템(10)을 이중 포장하는 작업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이템 그룹핑부(330)는 아이템(10)의 규격 정보 및 제약 조건 정보, 팔레트(20)의 규격 정보 및 제약 조건 정보를 기초로, 하나 이상의 아이템(10)이 팔레트(20)에 적재될 수 있는 레이어를 식별한다. 그리고, 아이템 그룹핑부(330)는 식별된 레이어에 따라 각 아이템(10)의 적재 클래스를 결정한다.
그리고, 아이템 그룹핑부(330)는 결정된 적재 클래스, 아이템(10)의 규격 정보 및 제약 조건 정보, 팔레트(20)의 규격 정보 및 제약 조건 정보를 기초로, 하나 이상의 아이템(10)을 팔레트 단위의 그룹으로 분류한다.
다음으로, 모의 적재부(340)는 아이템의 적재 순서 및 배치 구조를 달리하며, 분류된 각 그룹에 포함된 아이템(10)을 팔레트(20)에 모의 적재하는 적재 시뮬레이션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모의 적재부(340)는 각 그룹마다 각 그룹에 포함된 모든 아이템(10)이 적재될 수 있는 최소 면적을 가지는 팔레트(20)를 선택한다.
모의 적재부(340)는 둘 이상의 그룹에 포함된 모든 아이템(10)이 하나의 팔레트(20)에 적재될 수 있는지 판단한다. 판단 결과, 둘 이상의 그룹에 포함된 모든 아이템(10)이 하나의 팔레트(20)에 적재될 수 있는 경우, 모의 적재부(340)는 둘 이상의 그룹을 하나의 그룹으로 병합한다. 그리고, 모의 적재부(340)는 병합된 그룹에 포함된 모든 아이템(10)이 적재될 수 있는 최소 면적의 팔레트를 선택한다.
그리고, 모의 적재부(340)는 각 그룹에 포함된 아이템(10)을 각 그룹마다 선택된 팔레트(20)에 모의 적재하는 시뮬레이션을 수행한다. 모의 적재부(340)는 일반 경험적 4-블록 패턴을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아이템(10)을 팔레트(20)에 모의 적재할 수 있다. 또한, 모의 적재부(340)는 아이템(10)이 적재된 상태의 팔레트(20)의 무게 중심(Center of gravity)이 최소가 되도록, 하나 이상의 아이템(10)을 팔레트(20)에 모의 적재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자 장치(100)의 블록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작업자 장치(100)는 장치 통신부(110), 장치 입력부(120), 장치 출력부(130) 및 장치 제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 통신부(110)는 네트워크를 통해, 작업 관리 장치(200) 또는 시뮬레이션 서버(3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장치 통신부(110)는 시뮬레이션 서버(300)에 적재 대상이 되는 하나 이상의 아이템(10)의 식별자 및 제약 조건 정보, 아이템(10)이 적재될 수 있는 팔레트(20)의 식별자 및 제약 조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장치 통신부(110)는 시뮬레이션 서버(300)로부터 하나 이상의 아이템(10)을 하나 이상의 팔레트(20)에 적재하기 위한 적재 순서 및 배치 구조를 수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장치 입력부(120)는 작업자 장치(100)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 받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장치 입력부(120)는 작업자로부터 적재 대상이 되는 하나 이상의 아이템(10)의 식별자 및 제약 조건 정보, 아이템(10)이 적재될 수 있는 팔레트(20)의 식별자 및 제약 조건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다음으로, 장치 출력부(130)는 팔레트(20)에 아이템(10)이 적재된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장치 출력부(130)는 하나 이상의 아이템(10)을 하나 이상의 팔레트(20)에 단계별로 적재하기 위한 가이드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다음으로, 장치 제어부(140)는 장치 통신부(110), 장치 입력부(120) 및 장치 출력부(130)를 제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장치 제어부(140)는 장치 입력부(110)를 통해, 적재 대상이 되는 하나 이상의 아이템(10)의 식별자 및 제약 조건 정보, 아이템(10)이 적재될 수 있는 팔레트(20)의 식별자 및 제약 조건 정보를 수신한다.
장치 제어부(140)는 장치 통신부(110)를 통해, 아이템(10)의 식별자 및 제약 조건 정보, 팔레트(20)의 식별자 및 제약 조건 정보를 시뮬레이션 서버(300)에 전송한다. 장치 제어부(140)는 장치 통신부(110)를 통해, 시뮬레이션 서버(300)로부터 하나 이상의 아이템(10)을 하나 이상의 팔레트(20)에 적재하기 위한 적재 순서 및 배치 구조를 수신한다.
장치 제어부(140)는 장치 출력부(130)를 통해, 적재 순서 및 배치 구조에 따라, 하나 이상의 아이템(10)을 하나 이상의 팔레트(20)에 단계별(Step by step)로 적재하기 위한 가이드 화면을 출력한다.
예를 들어, 장치 제어부(140)는 제1 팔레트(20)에 적재될 하나 이상의 아이템(10) 중 제1 아이템(10)의 적재 순서가 제2 아이템(20)의 적재 순서보다 우선하는 경우, 제1 아이템(10)이 적재된 제1 팔레트(20)의 이미지를 출력한 후, 제2 아이템(10)이 적재된 제1 팔레트(20)의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장치 제어부(140)는 제1 팔레트(20)에 아이템(10)이 적재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레이어 중 제1 레이어의 적재 순서가 제2 레이어의 적재 순서보다 우선하는 경우, 제1 레이어에 아이템(10)이 적재된 제1 팔레트(20)의 이미지를 출력한 후, 제2 레이어에 아이템(10)이 적재된 제1 팔레트(20)의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장치 제어부(140)는 팔레트(20)의 무게 중심점의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장치 제어부(140)는 팔레트(20)의 무게 중심의 좌표가 기 설정된 임계안전영역을 벗어나는 경우, 팔레트(20)에 아이템(10)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끈의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지금까지, 도 13 및 도 14의 각 구성요소는 소프트웨어(Software) 또는, 현장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나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과 같은 하드웨어(hardware)를 의미할 수 있다. 그렇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어드레싱(Addressing)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실행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구성 요소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세분화된 구성요소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복수의 구성 요소들을 합하여 특정한 기능을 수행하는 하나의 구성 요소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뮬레이션 서버(300)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시뮬레이션 서버(300)는 프로세서(355), 메모리(36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65), 데이터 버스(370) 및 스토리지(37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360)는 가이드 제공 방법이 구현된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 데이터(380a)가 상주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65)는 작업자 장치(100) 및 작업 관리 장치(2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데이터 버스(370)는 프로세서(355), 메모리(36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65) 및 스토리지(375)와 연결되어, 각 구성 요소간의 데이터를 전달하는 이동 통로이다.
그리고, 스토리지(375)는 컴퓨터 프로그램 실행을 위해 필요한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라이브러리(Library) 또는 리소스(Resource) 파일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스토리지(375)는 아이템 규격 정보 데이터베이스(323), 팔레트 규격 정보 데이터베이스(326) 및 가이드 제공 방법이 구현된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 데이터(180b)를 저장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스토리지(375)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65)를 통해, 아이템의 규격 정보 및 제약 조건 정보와, 팔레트의 규격 정보 및 제약 조건 정보를 획득하는 인스트럭션(Instruction), 획득된 정보를 기초로, 아이템을 복수의 그룹으로 분류하는 인스트럭션, 분류된 각 그룹의 아이템을 적재하기 위한 팔레트를 매칭하는 인스트럭션, 매칭된 팔레트의 잔여 면적을 기준으로, 복수의 그룹의 아이템이 하나의 팔레트에 적재될 수 있는 경우, 복수의 그룹을 병합하는 인스트럭션, 획득된 정보를 기초로, 각 그룹의 아이템을 각 그룹에 매칭된 팔레트에 모의 적재하되, 아이템의 적재 순서 및 배치 구조를 달리하여 모의 적재하는 인스트럭션, 및 모의 적재 결과를 기초로, 아이템을 상기 팔레트에 적재하기 위한 하나의 적재 순서 및 배치 구조를 결정하는 인스트럭션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Claims (21)

  1. 아이템의 규격 정보 및 제약 조건 정보와, 팔레트의 규격 정보 및 제약 조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아이템을 하나 이상의 그룹으로 분류하는 단계;
    상기 분류된 각 그룹의 아이템을 적재하기 위한 팔레트를 매칭하는 단계;
    상기 매칭된 팔레트의 잔여 면적을 기준으로, 복수의 그룹의 아이템이 하나의 팔레트에 적재될 수 있는 경우, 상기 복수의 그룹을 병합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각 그룹의 아이템을 상기 각 그룹에 매칭된 팔레트에 모의 적재하되, 상기 아이템의 적재 순서 및 배치 구조를 달리하여 모의 적재하는 단계; 및
    상기 모의 적재 결과를 기초로, 상기 아이템을 상기 팔레트에 적재하기 위한 하나의 적재 순서 및 배치 구조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이드 제공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그룹으로 분류하는 단계는,
    상기 아이템 중 기 설정된 예외처리 대상에 해당되는 아이템을 기 설정된 예외처리 방법에 따라 처리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아이템이 상기 팔레트에 적재될 수 있는 레이어를 식별하고, 식별된 레이어에 따라 각 아이템의 적재 클래스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적재 클래스를 기초로, 상기 아이템을 팔레트 단위의 그룹으로 분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이드 제공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예외처리 방법에 따라 처리하는 단계는,
    제1 아이템에 번들이 부속된 경우, 상기 제1 아이템과 상기 번들을 하나의 소그룹에 포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팔레트 단위의 그룹으로 분류하는 단계는,
    상기 소그룹에 포함된 제1 아이템 및 상기 번들이 동일한 그룹에 포함되도록 분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이드 제공 방법.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예외처리 방법에 따라 처리하는 단계는,
    제1 아이템의 규격이 기 설정된 임계규격 이하인 경우, 상기 제1 아이템을 상기 팔레트의 적재 대상에서 제외되는 소화물 그룹에 포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이드 제공 방법.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예외처리 방법에 따라 처리하는 단계는,
    제1 아이템의 가액이 기 설정된 임계가액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아이템을 이중 포장 그룹에 포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적재 클래스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이중 포장 그룹에 포함된 제1 아이템은 이중 포장된 상태의 규격 정보 및 제약 조건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적재 클래스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이드 제공 방법.
  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예외처리 방법에 따라 처리하는 단계는,
    제1 아이템 및 제2 아이템이 동일한 재고 보관 단위(SKU)에 해당되는 경우, 상기 제1 아이템 및 상기 제2 아이템을 하나의 소그룹에 포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팔레트 단위의 그룹으로 분류하는 단계는,
    상기 소그룹에 포함된 제1 아이템 및 제2 아이템이 동일한 그룹에 포함되도록 분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이드 제공 방법.
  7.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팔레트 단위의 그룹으로 분류하는 단계는,
    제1 적재 클래스로 결정된 아이템이 상기 각 그룹에 균등하게 포함되도록, 상기 제1 적재 클래스로 결정된 아이템을 분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이드 제공 방법.
  8.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팔레트 단위의 그룹으로 분류하는 단계는,
    제1 그룹에 포함된 아이템의 중량의 총합과 제2 그룹에 포함된 아이템의 중량의 총합이 균등하도록, 상기 아이템을 분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이드 제공 방법.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팔레트를 매칭하는 단계는,
    상기 팔레트의 규격 정보를 기초로, 상기 팔레트 중 최소 면적의 제1 팔레트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제1 팔레트에 제1 그룹의 모든 아이템이 적재될 수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팔레트에 제1 그룹에 포함된 모든 아이템이 적재될 수 없는 경우, 상기 제1 팔레트보다 면적이 큰 제2 팔레트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이드 제공 방법.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모의 적재하는 단계는,
    제1 그룹에 매칭된 팔레트의 제1 레이어를 복수 개의 블록으로 분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레이어에 상기 제1 그룹의 아이템을 모의 적재하되, 상기 분할된 블록마다 아이템의 배치 방향을 달리하며 적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이드 제공 방법.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모의 적재하는 단계는,
    제1 그룹에 매칭된 팔레트에 상기 제1 그룹의 아이템을 모의 적재하되, 팔레트에 아이템이 적재된 상태의 무게 중심이 낮아지도록 상기 제1 그룹의 아이템을 적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이드 제공 방법.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룹의 아이템을 적재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그룹의 제1 아이템의 일 측면과 상기 일 측면에 접촉된 팔레트의 일 측면 사이의 각도가 작아지게 상기 아이템을 적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이드 제공 방법.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모의 적재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팔레트에 아이템이 적재된 상태의 높이가 제2 팔레트에 아이템이 적재된 상태의 높이와 균등하도록, 상기 제 1 팔레트 및 제2 팔레트에 아이템을 모의 적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이드 제공 방법.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 순서 및 배치 구조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아이템을 적재하기 위해 이용된 팔레트의 개수 및 팔레트의 면적을 기초로, 상기 적재 순서 및 배치 구조를 달리하며 수행된 각 모의 적재 결과의 스코어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스코어를 기초로 하나의 모의 적재 방법을 선택하고, 선택된 모의 적재 방법의 적재 순서 및 배치 구조에 따라, 상기 아이템을 상기 팔레트에 적재하기 위한 적재 순서 및 배치 구조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이드 제공 방법.
  15. 아이템의 식별자 및 제약 조건 정보와, 팔레트의 식별자 및 제약 조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정보를 시뮬레이션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아이템을 상기 팔레트에 적재하기 위한 적재 순서 및 배치 구조를 상기 시뮬레이션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적재 순서 및 배치 구조에 따라, 상기 아이템을 상기 팔레트에 단계별(Step by step)로 적재하기 위한 가이드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이드 제공 방법.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는,
    제1 아이템의 적재 순서가 제2 아이템의 적재 순서보다 우선하는 경우, 제1 아이템이 적재된 상기 팔레트의 이미지를 제공한 후, 제2 아이템이 적재된 상기 팔레트의 이미지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이드 제공 방법.
  17.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팔레트에 아이템이 적재될 수 있는 복수의 레이어 중 제1 레이어의 적재 순서가 제2 레이어의 적재 순서보다 우선하는 경우, 제1 레이어에 아이템이 적재된 상기 팔레트의 이미지를 제공한 후, 제2 레이어에 아이템이 적재된 상기 팔레트의 이미지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이드 제공 방법.
  18.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 순서 및 배치 구조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팔레트에 상기 아이템이 적재된 상태의 무게 중심의 좌표를 상기 시뮬레이션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무게 중심의 좌표에 따른 무게 중심점의 이미지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이드 제공 방법.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무게 중심의 좌표가 기 설정된 임계안전영역을 벗어나는 경우, 상기 팔레트에 상기 아이템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끈의 이미지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이드 제공 방법.
  20. 컴퓨팅 장치와 결합하여,
    아이템의 규격 정보 및 제약 조건 정보와, 팔레트의 규격 정보 및 제약 조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아이템을 복수의 그룹으로 분류하는 단계;
    상기 분류된 각 그룹의 아이템을 적재하기 위한 팔레트를 매칭하는 단계;
    상기 매칭된 팔레트의 잔여 면적을 기준으로, 복수의 그룹의 아이템이 하나의 팔레트에 적재될 수 있는 경우, 상기 복수의 그룹을 병합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각 그룹의 아이템을 상기 각 그룹에 매칭된 팔레트에 모의 적재하되, 상기 아이템의 적재 순서 및 배치 구조를 달리하여 모의 적재하는 단계; 및
    상기 모의 적재 결과를 기초로, 상기 아이템을 상기 팔레트에 적재하기 위한 하나의 적재 순서 및 배치 구조를 결정하는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21. 아이템을 팔레트에 적재하는 작업자로부터 데이터를 입력 받는 장치 입력부;
    네트워크를 통해 시뮬레이션 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장치 통신부;
    상기 팔레트에 상기 아이템이 적재된 이미지를 출력하는 장치 출력부; 및
    상기 장치 입력부를 통해 상기 아이템의 식별자 및 제약 조건 정보와, 상기 팔레트의 식별자 및 제약 조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장치 통신부를 통해 상기 수신된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아이템을 상기 팔레트에 적재하기 위한 적재 순서 및 배치 구조를 수신하고, 상기 장치 출력부를 통해 상기 아이템을 상기 팔레트에 단계별로 적재하기 위한 가이드 화면을 출력하는 장치 제어부를 포함하는, 작업자 장치.


KR1020150109416A 2015-08-03 2015-08-03 팔레트 적재를 위한 가이드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1018138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9416A KR101813887B1 (ko) 2015-08-03 2015-08-03 팔레트 적재를 위한 가이드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US15/225,971 US20170039304A1 (en) 2015-08-03 2016-08-02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allet loading guide
EP16182328.1A EP3128471A1 (en) 2015-08-03 2016-08-02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allet loading guid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9416A KR101813887B1 (ko) 2015-08-03 2015-08-03 팔레트 적재를 위한 가이드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6091A true KR20170016091A (ko) 2017-02-13
KR101813887B1 KR101813887B1 (ko) 2018-01-04

Family

ID=56571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9416A KR101813887B1 (ko) 2015-08-03 2015-08-03 팔레트 적재를 위한 가이드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70039304A1 (ko)
EP (1) EP3128471A1 (ko)
KR (1) KR101813887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2609A (ko) * 2018-11-27 2020-06-04 소프트온넷(주) Uld에 항공 화물 적재시 최적화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036702A (ko) 2019-09-26 2021-04-05 주식회사 엘지화학 팔레트에 박스가 최대로 적재될 수 있도록 시뮬레이션을 통해 결정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적재 방법
WO2021080308A1 (ko) * 2019-10-22 2021-04-29 박용재 파렛트 렌탈 시스템, 이를 운영하는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KR20220009745A (ko) * 2020-07-16 2022-01-25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적재 공간의 크기 결정 방법 및 장치
KR20220020302A (ko) * 2019-11-19 2022-02-18 쿠팡 주식회사 아이템 정보에 대한 제한된 액세스를 기반으로 아이템을 효율적으로 분류하기 위한 컴퓨터-구현 방법 및 시스템
WO2023177021A1 (ko) * 2022-03-17 2023-09-21 쿠팡 주식회사 아이템 번들링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585996B1 (ko) * 2022-11-08 2023-10-10 주식회사 티이에스 팔레트 기반의 물품적재 최적화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634025B1 (ko) * 2022-11-24 2024-02-07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최적의 공간 활용 및 안정성을 위한 적재 시뮬레이션 제공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X2019012059A (es) 2017-04-07 2020-07-20 Bxb Digital Pty Ltd Sistemas y métodos para el seguimiento de promociones.
WO2018204499A1 (en) * 2017-05-02 2018-11-08 BXB Digital Pty Limited Systems and methods for pallet identification
WO2018204507A1 (en) 2017-05-02 2018-11-08 BXB Digital Pty Limited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y matching and localization
WO2018204912A1 (en) 2017-05-05 2018-11-08 BXB Digital Pty Limited Pallet with tracking device
CA3073606A1 (en) 2017-08-21 2019-02-28 BXB Digital Pty Limited Systems and methods for pallet tracking using hub and spoke architecture
US20190080283A1 (en) * 2017-09-14 2019-03-14 Walmart Apollo, Llc System and Method for Pallet Optimization
ES2912783T3 (es) 2017-10-20 2022-05-27 Bxb Digital Pty Ltd Sistemas y procedimientos para seguimiento de transportadores de mercancías
US10816637B2 (en) 2018-12-27 2020-10-27 Chep Technology Pty Limited Site matching for asset tracking
US11062256B2 (en) 2019-02-25 2021-07-13 BXB Digital Pty Limited Smart physical closure in supply chain
US10696493B1 (en) * 2019-05-31 2020-06-30 Mujin, Inc. Robotic system with packing mechanism
EP3912930A1 (en) * 2020-05-20 2021-11-24 Dematic SAS Process and system for manual multi-layer stacking of articles on a load carrier
CN113902221A (zh) * 2020-06-01 2022-01-07 梅卡曼德(北京)机器人科技有限公司 基于托盘空间规划结果的码垛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12001549A (zh) * 2020-08-25 2020-11-27 上海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装载信息确定方法、装置、服务器及存储介质
US11654564B2 (en) * 2020-09-10 2023-05-23 Fanuc Corporation Efficient data generation for grasp learning with general grippers
US11767169B2 (en) * 2020-10-29 2023-09-26 Target Brands, Inc. Warehousing systems and methods
CN115392842B (zh) * 2022-10-30 2023-01-31 合肥焕智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人工智能的托盘识别分析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8520A (ko) 2000-01-06 2001-07-23 조충환 타이어 시트고무 적재방법 및 그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30263A (ja) * 1997-10-27 1999-05-18 Yaskawa Electric Corp 積載パターン作成方法
US7215130B2 (en) * 2003-07-15 2007-05-08 Snap-On Incorporated Testing and display of electrical system impedance
US7266422B1 (en) * 2004-04-09 2007-09-04 Fanuc Robotics America, Inc. Automated palletizing cases having mixed sizes and shapes
JP2008265970A (ja) * 2007-04-20 2008-11-06 Nippon Cargo Airlines Co Ltd 物品積載システム、物品積載シミュレーション方法、物品積載シミュレーション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WO2012107075A1 (en) * 2011-02-07 2012-08-16 Statoil Petroleum As Method and apparatus for drilling and lining a wellbore
US10098332B2 (en) * 2013-07-01 2018-10-16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determining bovine ovulation rat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8520A (ko) 2000-01-06 2001-07-23 조충환 타이어 시트고무 적재방법 및 그 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2609A (ko) * 2018-11-27 2020-06-04 소프트온넷(주) Uld에 항공 화물 적재시 최적화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036702A (ko) 2019-09-26 2021-04-05 주식회사 엘지화학 팔레트에 박스가 최대로 적재될 수 있도록 시뮬레이션을 통해 결정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적재 방법
WO2021080308A1 (ko) * 2019-10-22 2021-04-29 박용재 파렛트 렌탈 시스템, 이를 운영하는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KR20220020302A (ko) * 2019-11-19 2022-02-18 쿠팡 주식회사 아이템 정보에 대한 제한된 액세스를 기반으로 아이템을 효율적으로 분류하기 위한 컴퓨터-구현 방법 및 시스템
US11645615B2 (en) 2019-11-19 2023-05-09 Coupang Corp. Computer-implemented methods and systems for efficient sortation of items based on limited access to item information
KR20220009745A (ko) * 2020-07-16 2022-01-25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적재 공간의 크기 결정 방법 및 장치
WO2023177021A1 (ko) * 2022-03-17 2023-09-21 쿠팡 주식회사 아이템 번들링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585996B1 (ko) * 2022-11-08 2023-10-10 주식회사 티이에스 팔레트 기반의 물품적재 최적화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634025B1 (ko) * 2022-11-24 2024-02-07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최적의 공간 활용 및 안정성을 위한 적재 시뮬레이션 제공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039304A1 (en) 2017-02-09
KR101813887B1 (ko) 2018-01-04
EP3128471A1 (en) 2017-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3887B1 (ko) 팔레트 적재를 위한 가이드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US11820611B2 (en) Load planning optimization using automated 3D packing
KR101953069B1 (ko) 스마트 창고 관리 시스템
US11397979B2 (en) Order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server, and storage medium
JP6854349B2 (ja) 物品整理タスクの生成、物品整理方法及び装置
US8682751B1 (en) Product dimension learning estimator
JP5903506B2 (ja) 運搬管理施設におけるカスタム容器
US7979359B1 (en)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vely applying an item sortation process
CN112001535A (zh) 物流装箱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JP6650508B2 (ja) 倉庫管理システム及び倉庫管理方法
US10929803B2 (en) Augmented reality based cargo loading optimization
CN112009813A (zh) 具有打包机制的机器人系统
JP2017222517A (ja) マテリアルハンドリング施設におけるプロセス管理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13240369B (zh) 货物拣选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3657833B (zh) 物资盘点方法、装置、设备以及存储介质
US10579964B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goods replenishment
US9132957B1 (en) Processing of misplaced items to resolve inventory defects
WO2012162470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mized shipping strategies accounting for endpoint requirements
CN115724113A (zh) 货物拣选方法、装置、电子设备和可读存储介质
KR102554831B1 (ko) 아이템 수거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JP2001236340A (ja) 箱詰め手順決定方法及び装置
CN109840726B (zh) 物品分箱方法、装置以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20240083698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automatic item placement
US20240086835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automatic item placement
RU2780386C1 (ru) Система динамической оптимизации тележк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