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5996B1 - 팔레트 기반의 물품적재 최적화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팔레트 기반의 물품적재 최적화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5996B1
KR102585996B1 KR1020220147750A KR20220147750A KR102585996B1 KR 102585996 B1 KR102585996 B1 KR 102585996B1 KR 1020220147750 A KR1020220147750 A KR 1020220147750A KR 20220147750 A KR20220147750 A KR 20220147750A KR 102585996 B1 KR102585996 B1 KR 1025859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loading
pallet
loaded
box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7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수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이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이에스
Priority to KR10202201477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59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59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59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7/00Stacking of articles
    • B65G57/02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 B65G57/16Stacking of articles of particular shape
    • B65G57/20Stacking of articles of particular shape three-dimensional, e.g. cubiform, cylindrical
    • B65G57/22Stacking of articles of particular shape three-dimensional, e.g. cubiform, cylindrical in layers each of predetermined arrange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 B65G2201/025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08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transported articles
    • B65G2203/0258Weight of the articl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Stacking Of Articles And Auxiliary Devices (AREA)

Abstract

팔레트 기반의 물품적재 최적화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팔레트 기반의 물품적재 최적화 제어장치는, 팔레트(pallet)에 적재되는 복수의 물품상자를 배송지별로 분류하는 배송지 분류부; 배송지 분류부에 의해 분류되는 물품상자에 대하여, 팔레트에 대한 적재순서를 결정하는 적재순서 결정부; 적재순서 결정부에 의해 결정되는 적재순서 중 동일층에 적재되는 물품상자의 배열을 결정하는 배열 결정부; 및 적재순서 결정부에 의해 결정되는 적재순서 및 배열 결정부에 의해 결정되는 배열에 따라 적재구동장치를 제어하여 팔레트에 물품상자를 적재하는 구동장치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팔레트 기반의 물품적재 최적화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GOODS LOADING OPTIMIZATIO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BASED ON PALLET}
본 발명은 물품적재 최적화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물품상자의 배송지, 무게, 크기 등에 따라 팔레트(pallet) 상에 물품상자를 최적의 상태로 자동으로 적재함으로써 물품상자의 적재에 소요되는 인력 및 시간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팔레트 상에 안정적으로 물품상자를 적재하여 팔레트를 들어 올릴 때에도 물품상자가 떨어지거나 물품상자의 배열이 무너지지 않도록 하고, 물품의 배송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팔레트 기반의 물품적재 최적화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물품을 보관하는 보관창고나 물류창고에서는 물품을 배송지에 따라 분류하여 팔레트(pallet)에 적재하며, 지게차 등의 작업차량을 이용하여 팔레트를 들어올려 배송지에 대응하는 배송차량에 적재한다.
이때, 각각의 팔레트에 물품을 적재하는 작업은 배송차량에 대응하는 배송 담당자가 수작업으로 수행되는게 일반적이다.
한편, 물품의 배송 담당자는 물품의 분류로부터 해당 물품이 수취인에게 도달하기까지의 일련을 과정을 포함하여 해당 물품의 배송에 대한 대가를 받는다.
그런데, 실질적으로 배송 담당자가 물품을 대응하는 수취인에게 배송하기까지의 과정에서 물품을 분류하고 적재하는 과정이 대부분의 시간을 차지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단위시간 내에 배송할 수 있는 물품의 양을 적게 되며, 그에 따라 배송 담당자가 받는 배송의 대가도 적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팔레트에 물품을 적재하는 경우, 적재된 물품들의 배열이 안정적이지 못하여 작업차량으로 팔레트를 들어 올릴 때에 적재된 물품이 떨어지거나 물품들의 배열이 무너지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이와 같은 경우, 배송 담당자는 팔레트에 물품들을 새로 적재하여야 하기 때문에 물품의 배송시간이 더욱 지체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팔레트에 물품을 적재하는 일반적인 방법은 단순히 배송 순서에 따라 적재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하단에 적재된 물품이 상단에 적재된 물품들의 무게를 견디지 못하여 파손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배송 담당자가 파손된 물품에 대한 배상을 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754945호 (등록일자: 2017.06.30)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물품상자의 배송지, 무게, 크기 등에 따라 팔레트 상에 물품상자를 최적의 상태로 자동으로 적재함으로써 물품상자의 적재에 소요되는 인력 및 시간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팔레트 상에 안정적으로 물품상자를 적재하여 팔레트를 들어 올릴 때에도 물품상자가 떨어지거나 물품상자의 배열이 무너지지 않도록 하고, 물품의 배송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팔레트 기반의 물품적재 최적화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팔레트 기반의 물품적재 최적화 제어장치는, 팔레트(pallet)에 적재되는 복수의 물품상자를 배송지별로 분류하는 배송지 분류부; 상기 배송지 분류부에 의해 분류되는 물품상자에 대하여, 상기 팔레트에 대한 적재순서를 결정하는 적재순서 결정부; 상기 적재순서 결정부에 의해 결정되는 적재순서 중 동일층에 적재되는 물품상자의 배열을 결정하는 배열 결정부; 및 상기 적재순서 결정부에 의해 결정되는 적재순서 및 상기 배열 결정부에 의해 결정되는 배열에 따라 적재구동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팔레트에 물품상자를 적재하는 구동장치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물품적재 최적화 제어장치는, 특정의 차량에 배정된 물품의 수량, 각각의 상기 물품에 대응하는 배송지 사이의 거리, 및 각각의 상기 물품의 크기에 기반하여 물품상자를 결정하는 물품상자 결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물품적재 최적화 제어장치는, 상기 팔레트에 적재되는 각각의 물품상자에 대응하여, 상기 적재순서 결정부에 의해 결정되는 적재순서 및 상기 배열 결정부에 의해 결정되는 배열의 위치를 저장하는 위치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물품적재 최적화 제어장치는, 상기 팔레트에 적재되는 각각의 물품상자에 대응하여, 상단에 적재가능한 최대무게를 저장하는 최대무게 저장부; 상기 팔레트에 적재되는 각각의 물품상자의 무게를 측정하는 물품무게 측정부; 및 상기 팔레트에 적재되는 각각의 물품상자의 상단의 적재무게를 계산하는 적재무게 계산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물품적재 최적화 제어장치는, 상기 적재무게 계산부에 의해 계산되는 적재무게에 기반하여, 상기 적재순서 결정부에 의해 결정되는 적재순서 및 상기 배열 결정부에 의해 결정되는 배열 중의 적어도 하나를 수정하는 적재 수정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물품적재 최적화 제어방법은, 팔레트 기반의 물품적재 최적화 제어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물품적재 최적화 제어방법에 있어서, 팔레트에 적재되는 복수의 물품상자를 배송지별로 분류하는 단계; 상기 배송지별로 분류되는 물품상자에 대하여, 상기 팔레트에서의 적재순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되는 적재순서 중 동일층에 적재되는 물품상자의 배열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되는 적재순서 및 상기 결정되는 물품상자의 배열에 따라 적재구동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팔레트에 물품상자를 적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물품적재 최적화 제어방법은, 상기 팔레트에 적재되는 각각의 물품상자에 대응하여, 상기 결정되는 적재순서 및 상기 결정되는 물품배열의 위치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물품적재 최적화 제어방법은, 상기 팔레트에 적재되는 각각의 물품상자에 대응하여, 상단에 적재가능한 최대무게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팔레트에 적재되는 각각의 물품상자의 무게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팔레트에 적재되는 각각의 물품상자의 상단의 적재무게를 계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물품상자의 배송지, 무게, 크기 등에 따라 팔레트 상에 물품상자를 최적의 상태로 자동으로 적재함으로써 물품상자의 적재에 소요되는 인력 및 시간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팔레트 상에 안정적으로 물품상자를 적재하여 팔레트를 들어 올릴 때에도 물품상자가 떨어지거나 물품상자의 배열이 무너지지 않도록 하고, 물품의 배송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팔레트 기반의 물품적재 최적화 제어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물품적재에 이용되는 팔레트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팔레트 상에 동일한 크기의 물품상자들을 적재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물품적재에 이용되는 물품상자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낸 물품상자에 복수의 물품을 채워넣은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크기가 서로 다르나 높이가 같은 물품상자들을 평면상으로 배열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크기가 서로 다르나 높이가 같은 물품상자들을 팔레트 상에 적재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높이가 두 그룹으로 분류되는 물품상자들을 적재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물품상자의 상단의 적재무게를 계산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팔레트 기반의 물품적재 최적화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기재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팔레트 기반의 물품적재 최적화 제어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팔레트 기반의 물품적재 최적화 제어장치(100)는 배송지 분류부(102), 적재순서 결정부(104), 배열 결정부(106), 구동장치 제어부(108), 물품상자 결정부(110), 위치 저장부(112), 최대무게 저장부(114), 물품무게 측정부(116), 적재무게 계산부(118) 및 적재 수정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배송지 분류부(102)는 팔레트(pallet)에 적재되는 복수의 물품상자를 배송지별로 분류한다. 여기서, 물품상자는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규격화된 가로, 세로 및 높이를 갖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때, 배송지 분류부(102)는 배송지가 일정한 지역범위 이내인 물품상자들이 특정의 배송차량에 배정된 경우, 해당 배송차량에 대한 물류창고로부터의 이동경로를 설정하고, 설정된 이동경로에 기반하여 물류창고로부터 배송지까지의 이동거리가 가장 먼 물품상자로부터 이동거리가 짧아지는 순서로 물품상자를 순차적으로 분류할 수 있다.
적재순서 결정부(104)는 배송지 분류부(102)에 의해 분류되는 물품상자에 대하여, 팔레트 상에서의 적재순서를 결정한다. 이때, 팔레트(1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면이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적재순서 결정부(104)는 팔레트(10)의 가로길이 및 세로길이를 기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적재순서 결정부(104)는 물품상자의 가로길이 및 세로길이를 기 저장하고 있으며, 팔레트(10)의 가로길이 및 세로길이와 물품상자의 가로길이 및 세로길이, 그리고 배송지 분류부(102)에 의해 분류되는 각각의 배송지까지의 이동거리에 기반하여, 각각의 물품상자에 대한 팔레트(10) 상에서의 적재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적재순서 결정부(104)는 배송지 분류부(102)에 의해 이동거리에 따라 분류되는 물품상자들에 대하여, 이동거리가 가장 먼 물품상자가 팔레트(10) 위의 저층에 적재되며, 이동거리가 가까워질수록 팔레트(10) 상의 고층에 적재되도록 적재순서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열 결정부(106)는 적재순서 결정부(104)에 의해 결정되는 적재순서 중 동일층에 적재되는 물품상자의 배열을 결정한다. 이때, 배열 결정부(106)는 팔레트(10)의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에 대하여 기준위치를 설정하고, 각각의 물품상자에 대하여 설정된 기준위치에 대하여 팔레트(10)의 평면의 어느 위치에 가로방향으로 적재할지 또는 세로방향으로 적재할지의 적재위치 및 적재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배열 결정부(106)는 적재순서 결정부(104)에 적재순서가 결정되면, 배송지가 동일하거나 유사한 물품상자(20)들이 동일층에 적재되도록 물품상자의 배열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배열 결정부(106)는 적재순서 결정부(104)에 의해 결정된 물품상자의 적재순서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재순서 결정부(104)에 의해 팔레트(10)의 상면으로부터 세 번째에 적재되는 것으로 결정되었으나, 해당 물품상자가 두 번째의 물품상자의 배송지와 동일 또는 유사하며, 그 크기가 두 번째의 물품상자와 동일층에 배열할 수 있는 경우, 배열 결정부(106)는 적재순서 결정부(104)에 의해 결정된 세 번째의 적재순서를 두 번째의 적재순서로 변경할 수 있다.
구동장치 제어부(108)는 적재순서 결정부(104)에 의해 결정되는 적재순서 및 배열 결정부(106)에 의해 결정되는 배열에 따라 적재구동장치(도시하지 않음)를 제어하여 팔레트(10)에 물품상자를 적재한다. 여기서, 적재구동장치는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특정위치에 물건을 적재하는 로봇 팔일 수 있다. 적재구동장치의 구성 및 기능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구동장치 제어부(108)는 동일한 가로, 세로 및 높이로 이루어진 물품상자들에 대하여, 배송지 분류부(102)에 의해 이동거리가 가장 먼 물품상자들이 저층에 적재되도록 적재구동장치를 제어하되, 동일한 층에 적재되는 물품상자들의 상면이 이루는 전체 면적이 팔레트(10)의 면적에 가까워지도록 각각의 물품상자들의 방향을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배열하여 적재할 수 있다. 이 경우, 구동장치 제어부(108)는 팔레트(10)의 가로 및 세로의 길이와, 물품상자(20)의 가로 및 세로의 길이를 알고 있으므로, 동일한 층에 적재되는 물품상자(20)의 수를 결정하고, 결정된 각각의 물품상자(20)의 배열을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배열할 수 있다.
또한, 구동장치 제어부(108)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접하여 서로 다른 층에 적재되는 물품상자(20)들은 그 아래 층에 적재된 물품상자(20)들과 서로 어긋나게 적재되도록 적재구동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작업차량을 이용하여 팔레트(10)를 들어올리는 경우, 팔레트(10) 위에 적재된 물품상자(20)들은 서로 어긋나게 적재되어 있기 때문에 팔레트(10)가 흔들리더라도 물품상자(20)가 떨어질 염려를 크게 줄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팔레트 기반의 물품적재 최적화 제어장치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정된 가로, 세로 및 높이로 규격화된 직육면체의 물품상자(20)를 이용한다. 이때, 물품상자(20)는 가로 또는 세로의 길이가 다르나 높이가 동일한 형태로 규격화되어 복수로 제작되거나, 가로 또는 세로의 길이뿐만 아니라 높이도 다른 다양한 종류로 규격화되어 복수로 수 있다.
물품상자 결정부(110)는 특정의 차량에 배정된 물품의 수량, 각각의 물품에 대응하는 배송지, 각각의 물품에 대응하는 배송지들 사이의 거리, 및 각각의 물품의 크기에 기반하여, 팔레트(10)에 적재되는 물품상자(20)를 결정한다. 이때, 물품상자 결정부(110)는 특정의 차량에 배정된 각각의 물품을 촬영하며, 촬영되는 물품에 대응하는 배송지 및 각각의 물품의 크기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물품상자 결정부(110)는 각각의 물품에 대하여 배송지가 동일하거나 배송지가 설정된 범위 이내로 유사한 물품들을 판단하며, 배송지가 동일하거나 설정된 범위 이내로 유사한 물품들의 수량과 각각의 물품들의 크기에 대응하여 최적의 물품상자(20)를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물품상자 결정부(11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정된 물품상자(20)에 배송지가 동일하거나 유사한 물품(30)들을 채워넣는다. 이때, 물품상자 결정부110)는 각각의 물품들의 배송지, 배송지가 동일 또는 유사한 물품들의 수량 및 각각의 물품의 크기에 따라 서로 다른 크기의 물품상자(20)를 결정하되, 결정되는 각각의 물품상자(20)의 높이는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물품상자 결정부(110)는 배송지가 동일하거나 유사한 물품(30)들의 수량 및 각각의 물품(30)들의 크기에 따라 최적의 물품상자(20)를 결정하되, 물품(30)들을 채워넣고 남은 공간에는 물품보호기구(예를 들면, 공기를 함유하는 포장비닐 등)를 채워 넣을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팔레트 기반의 물품적재 최적화 제어장치(100)는 배송지가 동일 또는 유사한 물품들을 모으며, 모아진 물품들의 수량과 각각의 물품들의 크기에 따라 최적의 물품상자(20)를 결정함으로써, 팔레트(10) 상에 물품상자가 최적의 상태로 적재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팔레트 기반의 물품적재 최적화 제어장치(100)는 팔레트(10) 상에 가로 또는 세로의 길이가 다르지만 높이가 같은 복수의 물품상자(20)를 적재할 수 있다.
이 경우, 배열 결정부(106)는 적재순서 결정부(104)에 의해 결정되는 적재순서 중 동일층에 적재되는 물품상자(20)의 배열들에 대하여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물품상자(20)의 수량에 따라 소정의 거리가 이격되도록 물품상자(20)를 배열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배열 결정부(106)는 팔레트(10)에 설정된 기준위치를 기준으로 네 개의 모서리부분에 우선적으로 물품상자(20)를 배열을 결정하며, 물품상자(20)의 수량에 따라 가장자리와 중앙 부위에 물품상자(20)를 배열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는 발명에 대한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배열되는 각각의 물품상자(20)의 간격을 넓게 도시하였지만, 배열되는 각각의 물품상자(20) 사이의 이격되는 간격은 크기가 가장 작은 물품상자의 가로길이 및 세로길이 중 가장 작은 길이의 1/2 이하로 제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배열 결정부(106)는 가로 또는 세로의 길이가 다르나 높이가 동일한 물품상자(20)들에 대해서 뿐만 아니라 가로, 세로 및 높이가 모두 동일한 물품상자(20)들에 대해서도 동일한 방식으배 물품상자의 배열을 결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배열 결정부(106)는 팔레트(10)의 면적에 맞추어 물품상자(20)를 최적의 상태로 배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구동장치 제어부(108)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로 또는 세로의 길이가 다르나 높이가 동일한 물품상자(20)들에 대하여 각각의 물품상자(20)의 이동거리에 따라, 이동거리가 짧은 물품상자일수록 상측에 적재함으로써 물류창고로부터 가까운 거리의 물품이 우선적으로 배송될 수 있도록 하며, 팔레트(10) 위에 적재되는 물품들이 안정적으로 적재되도록 한다.
또한, 구동장치 제어부(108)는 가로 또는 세로의 길이뿐만 아니라 높이도 다른 물품상자(20)들을 팔레트(10) 상에 적재할 수 있다. 이때, 구동장치 제어부(108)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팔레트(10) 상의 면적을 복수의 구역으로 구분하며, 구분된 각각의 구역에 높이가 같은 물품상자(20)들을 모아 적재할 수 있다. 도 8에는 구동장치 제어부(108)가 물품상자(20)들을 높이에 따라 팔레트(10) 상의 두 개의 구역에 분리하여 적재한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높이에 따라 셋 이상의 구역으로 분리하여 적재할 수도 있다.
위치 저장부(112)는 팔레트(10)에 적재되는 각각의 물품상자(20)에 대응하여, 적재순서 결정부(104)에 의해 결정되는 적재순서 및 배열 결정부(106)에 의해 결정되는 배열의 위치를 저장한다.
이때, 위치 저장부(112)는 작업차량에 의해 들어올려져 특정의 차량에 적재되는 팔레트(10)의 방향과 팔레트(10) 상의 기준위치를 설정하고, 설정된 기준위치로부터 각각의 물품상자(20)가 팔레트(10)의 상면에서 좌측 상단으로부터 어느 위치에 배열되었는지, 그리고 팔레트(10)의 상면으로부터 적재된 물품상자들 중 몇 번째의 층에 적재되었는지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위치 저장부(112)는 배열 결정부(106)에 의해 결정된 물품상자(20)가 가로방향으로 배열되었는지 또는 세로방향으로 배열되었는지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위치 저장부(112)는 특정의 차량에 배정된 각각의 물품에 대응하여, 해당 물품이 어느 물품상자(20)에 적재되었는지를 저장할 수도 있다.
이때, 위치 저장부(112)에 저장된 각각의 물품상자(20)의 위치정보, 각각의 물품에 대한 위치정보는 그에 대응하는 배송지 정보와 함께 배송담당자의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배송담당자는 각각의 물품 또는 물품상자에 대한 배송지와 각각의 물품 또는 물품상자의 적재된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최대무게 저장부(114)는 팔레트(10)에 적재되는 각각의 물품상자(20)에 대응하여, 상단에 적재가능한 최대무게를 저장한다. 이때, 최대무게 저장부(114)는 각각의 물품상자(20)의 내부에 포장되는 물품(30)의 종류, 재질, 내구성, 강도, 해당 물품상자(20)의 재질 및 강도 등에 기반하여, 상단에 적재가능한 최대무게를 저장할 수 있다.
물품무게 측정부(116)는 팔레트(10)에 적재되는 각각의 물품상자(20)의 무게를 측정한다. 이때, 물품무게 측정부(116)는 특정의 차량에 대응하여 배송할 물품(30)이 배정되면, 배정된 물품(30)을 포장하기 위한 물품상자(20)를 결정한 후, 물품(30)이 포장된 물품상자(20) 단위로 무게를 측정할 수 있다.
적재무게 계산부(118)는 팔레트(10)에 적재되는 각각의 물품상자(20)의 상단의 적재무게를 계산한다. 이때, 적재무게 계산부(118)는 각각의 물품상자(20)의 가로 및 세로의 길이, 각각의 물품상자(20)의 측정된 무게, 각각의 물품상자(20)가 가로방향으로 배열되는지 또는 세로방향으로 배열되는지에 따라 상단에 적재되는 무게를 정확하게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품상자 A가 팔레트(10) 위의 좌측 상단에 가로방향으로 배열되었으며, 그 가로 및 세로의 길이가 30 x 20 cm이고, 물품상자 A와 동일한 가로 및 세로의 길이를 갖는 물품상자 B 및 물품상자 C가 물품상자 A위에 각각 세로방향과 가로방향으로 배열되었으며, 물품상자 B 및 물품상자 C의 각각의 무게가 600g 및 900g 이라고 가정하면, 물품상자 A위에는 물품상자 B의 무게 600g 중의 2/3에 해당하는 부분(22)의 무게인 400g과, 물품상자 C의 무게 900g 중의 1/3에 해당하는 부분(24)의 무게인 300g이 올려지므로, 물품상자 A의 상단의 적재무게는 400g과 300g의 합인 700g으로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적재무게 계산부(118)는 물품상자 A위에 복수의 층으로 물품상자들이 적재되는 경우, 동일한 방식으로 적재되는 물품상자들의 무게를 가산할 수 있다.
적재 수정부(120)는 적재무게 계산부(118)에 의해 계산되는 적재무게에 기반하여, 적재순서 결정부(104)에 의해 결정되는 적재순서 및 배열 결정부(106)에 의해 결정되는 배열 중의 적어도 하나를 수정하거나 팔레트(10)를 변경하여 적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예에서 물품상자 A 위에 적재되는 물품상자들의 무게가 700g으로 계산되었으나 물품상자 A가 상단에 적재할 수 있는 최대무게가 600g인 경우, 적재 수정부(120)는 물품상자 A 위에 적재되는 물품상자 B 및 물품상자 C 중의 적어도 하나를 다른 가벼운 무게의 물품상자와 그 배열을 변경하거나 물품상자 B 또는 물품상자 C를 팔레트(10)를 변경하여 적재함으로써 물품상자 A 위에 적재되는 물품상자의 무게가 600g 이하가 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팔레트 기반의 물품적재 최적화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팔레트 기반의 물품적재 최적화 제어방법은 도 1에 나타낸 물품적재 최적화 제어장치(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팔레트 기반의 물품적재 최적화 제어장치(100)는 설정된 가로, 세로 및 높이로 규격화된 직육면체의 물품상자(20)를 이용한다. 이때, 물품상자(20)는 가로 또는 세로의 길이가 다르나 높이가 동일한 형태로 규격화되어 복수로 제작되거나, 가로 또는 세로의 길이뿐만 아니라 높이도 다른 다양한 종류로 규격화되어 복수로 수 있다.
물품적재 최적화 제어장치(100)는 특정의 차량에 배정된 물품의 수량, 각각의 물품에 대응하는 배송지, 각각의 물품에 대응하는 배송지들 사이의 거리, 및 각각의 물품의 크기에 기반하여, 팔레트(10)에 적재되는 물품상자(20)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물품적재 최적화 제어장치(100)는 특정의 차량에 배정된 각각의 물품을 촬영하며, 촬영되는 물품에 대응하는 배송지 및 각각의 물품의 크기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물품적재 최적화 제어장치(100)는 각각의 물품에 대하여 배송지가 동일하거나 배송지가 설정된 범위 이내로 유사한 물품들을 판단하며, 배송지가 동일하거나 설정된 범위 이내로 유사한 물품들의 수량과 각각의 물품들의 크기에 대응하여 최적의 물품상자(20)를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물품적재 최적화 제어장치(100)는 결정된 물품상자(20)에 배송지가 동일하거나 유사한 물품(30)들을 채워넣을 수 있다. 또한, 물품적재 최적화 제어장치(100)는 각각의 물품들의 배송지, 배송지가 동일 또는 유사한 물품들의 수량 및 각각의 물품의 크기에 따라 서로 다른 크기의 물품상자(20)를 결정하되, 각각의 물품상자(20)의 높이가 동일한 물품상자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물품적재 최적화 제어장치(100)는 배송지가 동일하거나 유사한 물품(30)들의 수량 및 각각의 물품(30)들의 크기에 따라 최적의 물품상자(20)를 결정하되, 물품(30)들을 채워넣고 남은 공간에는 물품보호기구(예를 들면, 공기를 함유하는 포장비닐 등)를 채워 넣을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팔레트 기반의 물품적재 최적화 제어장치(100)는 배송지가 동일 또는 유사한 물품들을 모으며, 모아진 물품들의 수량과 각각의 물품들의 크기에 따라 최적의 물품상자(20)를 결정함으로써, 팔레트(10) 상에 물품상자가 최적의 상태로 적재될 수 있도록 한다.
물품적재 최적화 제어장치(100)는 팔레트(pallet)에 적재되는 복수의 물품상자를 배송지별로 분류한다(S102). 여기서, 물품상자는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규격화된 가로, 세로 및 높이를 갖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때, 물품적재 최적화 제어장치(100)는 배송지가 일정한 지역범위 이내인 물품상자들이 특정의 배송차량에 배정된 경우, 해당 배송차량에 대한 물류창고로부터의 이동경로를 설정하고, 설정된 이동경로에 기반하여 물류창고로부터 배송지까지의 이동거리가 가장 먼 물품상자로부터 이동거리가 짧아지는 순서로 물품상자를 순차적으로 분류할 수 있다.
물품적재 최적화 제어장치(100)는 팔레트(10)에 적재되는 각각의 물품상자(20)에 대응하여, 상단에 적재가능한 최대무게를 저장한다(S104). 이때, 물품적재 최적화 제어장치(100)는 각각의 물품상자(20)의 내부에 포장되는 물품(30)의 종류, 재질, 내구성, 강도, 해당 물품상자(20)의 재질 및 강도 등에 기반하여, 상단에 적재가능한 최대무게를 저장할 수 있다.
물품적재 최적화 제어장치(100)는 팔레트(10)에 적재되는 각각의 물품상자(20)의 무게를 측정한다(S106). 이때, 물품적재 최적화 제어장치(100)는 특정의 차량에 대응하여 배송할 물품(30)이 배정되면, 배정된 물품(30)을 포장하기 위한 물품상자(20)를 결정한 후, 물품(30)이 포장된 물품상자(20) 단위로 무게를 측정할 수 있다.
물품적재 최적화 제어장치(100)는 배송지별로 분류되는 물품상자에 대하여, 팔레트 상에서의 적재순서를 결정한다(S108). 이때, 팔레트(10)는 상면이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물품적재 최적화 제어장치(100)는 팔레트(10)의 가로길이 및 세로길이를 기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물품적재 최적화 제어장치(100)는 물품상자의 가로길이 및 세로길이를 기 저장하고 있으며, 팔레트(10)의 가로길이 및 세로길이와 물품상자의 가로길이 및 세로길이, 그리고 물품상자(20)의 각각의 배송지까지의 이동거리에 기반하여, 각각의 물품상자에 대한 팔레트(10) 상에서의 적재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물품적재 최적화 제어장치(100)는 각각의 물품상자(20)의 이동거리에 기반하여, 이동거리가 가장 먼 물품상자가 팔레트(10) 위의 저층에 적재되며, 이동거리가 가까워질수록 팔레트(10) 상의 고층에 적재되도록 적재순서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품적재 최적화 제어장치(100)는 결정되는 적재순서 중 동일층에 적재되는 물품상자의 배열을 결정한다(S110). 이때, 물품적재 최적화 제어장치(100)는 팔레트(10)의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에 대하여 기준위치를 설정하고, 각각의 물품상자에 대하여 설정된 기준위치에 대하여 팔레트(10)의 평면의 어느 위치에 가로방향으로 적재할지 또는 세로방향으로 적재할지의 적재위치 및 적재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물품적재 최적화 제어장치(100)는 적재순서가 결정되면, 배송지가 동일하거나 유사한 물품상자(20)들이 동일층에 적재되도록 물품상자의 배열을 결정할 수 있으며, 이때 결정된 물품상자의 적재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품적재 최적화 제어장치(100)는 특정의 물품상자에 대하여 팔레트(10)의 상면으로부터 세 번째에 적재되는 것으로 결정하였으나, 해당 물품상자가 두 번째의 물품상자의 배송지와 동일 또는 유사하며, 그 크기가 두 번째의 물품상자와 동일층에 배열할 수 있는 경우, 결정된 세 번째의 적재순서를 두 번째의 적재순서로 변경할 수 있다.
물품적재 최적화 제어장치(100)는 팔레트(10)에 적재되는 각각의 물품상자(20)에 대응하여, 결정되는 적재순서 및 배열의 위치를 저장한다(S112). 이때, 물품적재 최적화 제어장치(100)는 작업차량에 의해 들어올려져 특정의 차량에 적재되는 팔레트(10)의 방향과 팔레트(10) 상의 기준위치를 설정하고, 설정된 기준위치로부터 각각의 물품상자(20)가 팔레트(10)의 상면에서 좌측 상단으로부터 어느 위치에 배열되었는지, 그리고 팔레트(10)의 상면으로부터 적재된 물품상자들 중 몇 번째의 층에 적재되었는지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물품적재 최적화 제어장치(100)는 각각의 물품상자(20)가 가로방향으로 배열되는지 또는 세로방향으로 배열되는지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물품적재 최적화 제어장치(100)는 특정의 차량에 배정된 각각의 물품에 대응하여, 해당 물품이 어느 물품상자(20)에 적재되었는지를 저장할 수도 있다.
이때, 물품적재 최적화 제어장치(100)는 저장된 각각의 물품상자(20)의 위치정보, 각각의 물품에 대한 위치정보를 그에 대응하는 배송지 정보와 함께 배송담당자의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배송담당자는 각각의 물품 또는 물품상자에 대한 배송지와 각각의 물품 또는 물품상자의 적재된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물품적재 최적화 제어장치(100)는 팔레트(10)에 적재되는 각각의 물품상자(20)의 상단의 적재무게를 계산한다(S114). 이때, 물품적재 최적화 제어장치(100)는 각각의 물품상자(20)의 가로 및 세로의 길이, 각각의 물품상자(20)의 측정된 무게, 각각의 물품상자(20)가 가로방향으로 배열되는지 또는 세로방향으로 배열되는지에 따라 상단에 적재되는 무게를 정확하게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품상자 A가 팔레트(10) 위의 좌측 상단에 가로방향으로 배열되었으며, 그 가로 및 세로의 길이가 30 x 20 cm이고, 물품상자 A와 동일한 가로 및 세로의 길이를 갖는 물품상자 B 및 물품상자 C가 물품상자 A위에 각각 세로방향과 가로방향으로 배열되었으며, 물품상자 B 및 물품상자 C의 각각의 무게가 600g 및 900g 이라고 가정하면, 물품상자 A위에는 물품상자 B의 무게 600g 중의 2/3에 해당하는 부분(22)의 무게인 400g과, 물품상자 C의 무게 900g 중의 1/3에 해당하는 부분(24)의 무게인 300g이 올려지므로, 물품상자 A의 상단의 적재무게는 400g과 300g의 합인 700g으로 계산할 수 있다. 또한, 물품적재 최적화 제어장치(100)는 물품상자 A위에 복수의 층으로 물품상자들이 적재되는 경우, 동일한 방식으로 적재되는 물품상자들의 무게를 가산할 수 있다.
물품적재 최적화 제어장치(100)는 특정의 물품상자에 대응하여 상단의 계산되는 적재무게가 기 저장된 적재가능한 최대 무게를 초과하는 경우(S116), 그 물품상자의 상단에 대해 결정되는 적재순서 및 상단층의 배열 중의 적어도 하나를 수정하거나 팔레트(10)를 변경할 수 있다(S118). 예를 들어, 전술한 예에서 물품상자 A 위에 적재되는 물품상자들의 무게가 700g으로 계산되었으나 물품상자 A가 상단에 적재할 수 있는 최대무게가 600g인 경우, 물품적재 최적화 제어장치(100)는 물품상자 A의 상단에 적재되는 물품상자 B 및 물품상자 C 중의 적어도 하나를 다른 가벼운 무게의 물품상자와 그 배열을 변경하거나 다른 물품상자 B 또는 물품상자 C를 팔레트(10)를 변경하여 적재함으로써 물품상자 A 위에 적재되는 물품상자의 무게가 600g 이하가 되도록 할 수 있다.
물품적재 최적화 제어장치(100)는 특정의 물품상자(20)에 적재되는 물품상자의 무게가 해당 특정의 물품상자(20)의 적재가능한 최대무게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상단에 결정되는 적재순서 및 배열에 따라 적재구동장치(도시하지 않음)를 제어하여 팔레트(10)에 물품상자를 적재한다(S120). 여기서, 적재구동장치는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특정위치에 물건을 적재하는 로봇 팔일 수 있다. 적재구동장치의 구성 및 기능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때, 물품적재 최적화 제어장치(100)는 동일한 가로, 세로 및 높이로 이루어진 물품상자들에 대하여 이동거리가 가장 먼 물품상자들이 저층에 적재되도록 적재구동장치를 제어하되, 동일한 층에 적재되는 물품상자들의 상면이 이루는 전체 면적이 팔레트(10)의 면적에 가까워지도록 각각의 물품상자들의 방향을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배열하여 적재할 수 있다. 이 경우, 물품적재 최적화 제어장치(100)는 팔레트(10)의 가로 및 세로의 길이와, 물품상자(20)의 가로 및 세로의 길이를 알고 있으므로, 동일한 층에 적재되는 물품상자(20)의 수를 결정하고, 결정된 각각의 물품상자(20)의 배열을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배열할 수 있다.
또한, 물품적재 최적화 제어장치(100)는 인접하여 서로 다른 층에 적재되는 물품상자(20)들은 그 아래 층에 적재된 물품상자(20)들과 서로 어긋나게 적재되도록 적재구동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작업차량을 이용하여 팔레트(10)를 들어올리는 경우, 팔레트(10) 위에 적재된 물품상자(20)들은 서로 어긋나게 적재되어 있기 때문에 팔레트(10)가 흔들리더라도 물품상자(20)가 떨어질 염려를 크게 줄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팔레트 기반의 물품적재 최적화 제어장치(100)는 팔레트(10) 상에 가로 또는 세로의 길이가 다르지만 높이가 같은 복수의 물품상자(20)를 적재할 수 있다.
이 경우, 물품적재 최적화 제어장치(100)는 결정되는 적재순서 중 동일층에 적재되는 물품상자(20)의 배열들에 대하여, 그 물품상자(20)의 수량에 따라 소정의 거리가 이격되도록 물품상자(20)를 배열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물품적재 최적화 제어장치(100)는 팔레트(10)에 설정된 기준위치를 기준으로 네 개의 모서리부분에 우선적으로 물품상자(20)를 배열을 결정하며, 물품상자(20)의 수량에 따라 가장자리와 중앙 부위에 물품상자(20)를 배열을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배열되는 각각의 물품상자(20) 사이의 이격되는 간격은 크기가 가장 작은 물품상자의 가로길이 및 세로길이 중 가장 작은 길이의 1/2 이하로 제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물품적재 최적화 제어장치(100)는 가로 또는 세로의 길이가 다르나 높이가 동일한 물품상자(20)들에 대해서 뿐만 아니라 가로, 세로 및 높이가 모두 동일한 물품상자(20)들에 대해서도 동일한 방식으배 물품상자의 배열을 결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물품적재 최적화 제어장치(100)는 팔레트(10)의 면적에 맞추어 물품상자(20)를 최적의 상태로 배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물품적재 최적화 제어장치(100)는 가로 또는 세로의 길이가 다르나 높이가 동일한 물품상자(20)들에 대하여 각각의 물품상자(20)의 이동거리에 따라, 이동거리가 짧은 물품상자일수록 상측에 적재함으로써 물류창고로부터 가까운 거리의 물품이 우선적으로 배송될 수 있도록 하며, 팔레트(10) 위에 적재되는 물품들이 안정적으로 적재되도록 한다.
또한, 물품적재 최적화 제어장치(100)는 가로 또는 세로의 길이뿐만 아니라 높이도 다른 물품상자(20)들을 팔레트(10) 상에 적재할 수 있다. 이때, 물품적재 최적화 제어장치(100)는 팔레트(10) 상의 면적을 복수의 구역으로 구분하며, 구분된 각각의 구역에 높이가 같은 물품상자(20)들을 모아 적재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8)

  1. 팔레트(pallet)에 적재되는 복수의 물품상자를 배송지별로 분류하는 배송지 분류부;
    상기 배송지 분류부에 의해 분류되는 물품상자에 대하여, 상기 팔레트에 대한 적재순서를 결정하는 적재순서 결정부;
    상기 적재순서 결정부에 의해 결정되는 적재순서 중 동일층에 적재되는 물품상자의 배열을 결정하는 배열 결정부;
    상기 적재순서 결정부에 의해 결정되는 적재순서 및 상기 배열 결정부에 의해 결정되는 배열에 따라 적재구동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팔레트에 물품상자를 적재하는 구동장치 제어부;
    상기 팔레트에 적재되는 각각의 물품상자에 대응하여, 상단에 적재가능한 최대무게를 저장하는 최대무게 저장부;
    상기 팔레트에 적재되는 각각의 물품상자의 무게를 측정하는 물품무게 측정부; 및
    상기 팔레트에 적재되는 각각의 물품상자의 상단의 적재무게를 계산하는 적재무게 계산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레트 기반의 물품적재 최적화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특정의 차량에 배정된 물품의 수량, 각각의 상기 물품에 대응하는 배송지 사이의 거리, 및 각각의 상기 물품의 크기에 기반하여 물품상자를 결정하는 물품상자 결정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레트 기반의 물품적재 최적화 제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팔레트에 적재되는 각각의 물품상자에 대응하여, 상기 적재순서 결정부에 의해 결정되는 적재순서 및 상기 배열 결정부에 의해 결정되는 배열의 위치를 저장하는 위치 저장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레트 기반의 물품적재 최적화 제어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무게 계산부에 의해 계산되는 적재무게에 기반하여, 상기 적재순서 결정부에 의해 결정되는 적재순서 및 상기 배열 결정부에 의해 결정되는 배열 중의 적어도 하나를 수정하는 적재 수정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레트 기반의 물품적재 최적화 제어장치.
  6. 팔레트 기반의 물품적재 최적화 제어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물품적재 최적화 제어방법에 있어서,
    팔레트에 적재되는 복수의 물품상자를 배송지별로 분류하는 단계;
    상기 팔레트에 적재되는 각각의 물품상자에 대응하여, 상단에 적재가능한 최대무게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팔레트에 적재되는 각각의 물품상자의 무게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배송지별로 분류되는 물품상자에 대하여, 상기 팔레트에서의 적재순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되는 적재순서 중 동일층에 적재되는 물품상자의 배열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팔레트에 적재되는 각각의 물품상자의 상단의 적재무게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되는 적재순서 및 상기 결정되는 물품상자의 배열에 따라 적재구동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팔레트에 물품상자를 적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레트 기반의 물품적재 최적화 제어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팔레트에 적재되는 각각의 물품상자에 대응하여, 상기 결정되는 적재순서 및 상기 결정되는 물품배열의 위치를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레트 기반의 물품적재 최적화 제어방법.
  8. 삭제
KR1020220147750A 2022-11-08 2022-11-08 팔레트 기반의 물품적재 최적화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5859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7750A KR102585996B1 (ko) 2022-11-08 2022-11-08 팔레트 기반의 물품적재 최적화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7750A KR102585996B1 (ko) 2022-11-08 2022-11-08 팔레트 기반의 물품적재 최적화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30101A Division KR20240066988A (ko) 2023-09-27 적재되는 물품상자의 파손을 방지하는 팔레트 기반의 물품적재 최적화 제어장치
KR1020230130102A Division KR20240066989A (ko) 2023-09-27 적재되는 물품상자의 무게에 기반하여 팔레트를 변경하는 팔레트 기반의 물품적재 최적화 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5996B1 true KR102585996B1 (ko) 2023-10-10

Family

ID=88291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7750A KR102585996B1 (ko) 2022-11-08 2022-11-08 팔레트 기반의 물품적재 최적화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5996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5523A (ja) * 1994-05-30 1995-12-05 Toyota Motor Corp 部品供給装置用制御装置
JP2008265970A (ja) * 2007-04-20 2008-11-06 Nippon Cargo Airlines Co Ltd 物品積載システム、物品積載シミュレーション方法、物品積載シミュレーション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15040120A (ja) * 2013-08-23 2015-03-02 東邦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配列決定方法及び積付設備
KR20170016091A (ko) * 2015-08-03 2017-02-13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팔레트 적재를 위한 가이드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101754945B1 (ko) 2016-08-23 2017-07-06 김남국 물품이 적재된 목재 팔레트의 자동 반송 시스템
JP2021024722A (ja) * 2019-08-08 2021-02-22 西武建設株式会社 配送方法および配送システム
KR20220097764A (ko) * 2020-12-31 2022-07-08 주식회사 인스턴 적재물에 따라 수납 위치 설정이 가능한 스태커형 자동적재창고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5523A (ja) * 1994-05-30 1995-12-05 Toyota Motor Corp 部品供給装置用制御装置
JP2008265970A (ja) * 2007-04-20 2008-11-06 Nippon Cargo Airlines Co Ltd 物品積載システム、物品積載シミュレーション方法、物品積載シミュレーション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15040120A (ja) * 2013-08-23 2015-03-02 東邦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配列決定方法及び積付設備
KR20170016091A (ko) * 2015-08-03 2017-02-13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팔레트 적재를 위한 가이드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101754945B1 (ko) 2016-08-23 2017-07-06 김남국 물품이 적재된 목재 팔레트의 자동 반송 시스템
JP2021024722A (ja) * 2019-08-08 2021-02-22 西武建設株式会社 配送方法および配送システム
KR20220097764A (ko) * 2020-12-31 2022-07-08 주식회사 인스턴 적재물에 따라 수납 위치 설정이 가능한 스태커형 자동적재창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69571B1 (en) Container stacking configurations
US9789985B2 (en) Packaging aid, packing method and packing workplace
US9600798B2 (en) Automated materials handling facility
JP2023171915A (ja) ロボットによる複数アイテムタイプのパレタイズおよびデパレタイズ
EP4019431A1 (en) Storage system
CN103988214A (zh) 集装架搭建系统
KR101913219B1 (ko) 지진상황을 대처할 수 있는 창고관리시스템
KR102585996B1 (ko) 팔레트 기반의 물품적재 최적화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13213339B (zh) 无人驾驶智能塔吊的物料堆叠自主生成方法和系统
JP4543226B2 (ja) 自動倉庫
US20170057693A1 (en) Assembly for automatically securing a mail item
KR20240066989A (ko) 적재되는 물품상자의 무게에 기반하여 팔레트를 변경하는 팔레트 기반의 물품적재 최적화 제어장치
US20210276807A1 (en) Stack assist system
KR20240066988A (ko) 적재되는 물품상자의 파손을 방지하는 팔레트 기반의 물품적재 최적화 제어장치
JP2002029631A (ja) 積み付け方法および積み付けシステム
US11807457B2 (en) System for distributing heavy bins in a storage grid
US11427403B2 (en) High density, robotic warehouse system
US11603225B2 (en) Article processing apparatus
US20210403254A1 (en) Article processing apparatus
CN111738636B (zh) 多楼层建筑仓库及其生产方法、货梯和仓库管理系统
JP2021191709A (ja) 自動倉庫システム
US20230278800A1 (en) Automated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CN116513562B (zh) 一种批量打托的方法以及装置
JPS6274832A (ja) ロボツトによる物品のパレタイジング方法
WO2021086181A1 (en) Device for unloading general carg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