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4501A - 전기자동차용 개방형 디지털 계기판 - Google Patents

전기자동차용 개방형 디지털 계기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4501A
KR20170014501A KR1020150107997A KR20150107997A KR20170014501A KR 20170014501 A KR20170014501 A KR 20170014501A KR 1020150107997 A KR1020150107997 A KR 1020150107997A KR 20150107997 A KR20150107997 A KR 20150107997A KR 20170014501 A KR20170014501 A KR 201700145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ata
skin
user
communication inte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79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용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우시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우시스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우시스테크
Priority to KR10201501079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14501A/ko
Publication of KR201700145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45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7/00Dash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K2350/352
    • B60K2350/357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용 개방형 디지털 계기판에 관한 것으로, 차량에 설치되며, 자동차 주행정보 및 각종 경고상태를 포함하는 표시 데이터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110);와, 사용자의 입력 조작을 입력받는 사용자 입력 장치(120);와, 스킨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장치(130);와, 상기 디스플레이(110) 및 상기 사용자 입력 장치(120)와 연결되며, 상기 저장장치(130)에 저장된 소정의 스킨 데이터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스킨 데이터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110)에 상기 표시 데이터의 표현 방식을 변경하여 표시하는 주제어장치(140);와, 상기 주제어장치(140)에 연결되며, 사용자 단말(10)과 와이 파이(Wi-Fi) 또는 블루투스(Bluetooth)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방식에 의하여 데이터를 주고 받는 휴대단말 무선통신 인터페이스(150);와, 상기 주제어장치(140)에 연결되며, 관제 서버(200)와 무선 인터넷 망을 통하여 데이터를 주고 받는 통신 인터페이스(1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스킨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 입력 장치(120), 상기 사용자 단말(10) 또는 상기 관제 서버(200) 중 어느 하나를 통하여 편집되고 저장되며 선택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개방형 디지털 계기판(100)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기자동차용 개방형 디지털 계기판{Digital Cluster for Electric Vehicle}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용 개방형 디지털 계기판에 관한 것으로, 차량에 설치되며, 자동차 주행정보 및 각종 경고상태를 포함하는 표시 데이터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110);와, 사용자의 입력 조작을 입력받는 사용자 입력 장치(120);와, 스킨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장치(130);와, 상기 디스플레이(110) 및 상기 사용자 입력 장치(120)와 연결되며, 상기 저장장치(130)에 저장된 소정의 스킨 데이터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스킨 데이터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110)에 상기 표시 데이터의 표현 방식을 변경하여 표시하는 주제어장치(140);와, 상기 주제어장치(140)에 연결되며, 사용자 단말(10)과 와이 파이(Wi-Fi) 또는 블루투스(Bluetooth)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방식에 의하여 데이터를 주고 받는 휴대단말 무선통신 인터페이스(150);와, 상기 주제어장치(140)에 연결되며, 관제 서버(200)와 무선 인터넷 망을 통하여 데이터를 주고 받는 통신 인터페이스(1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스킨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 입력 장치(120), 상기 사용자 단말(10) 또는 상기 관제 서버(200) 중 어느 하나를 통하여 편집되고 저장되며 선택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개방형 디지털 계기판(100)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자동차용 계기판은 대개 운전석의 정면 위치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차량에 관한 모든 정보를 인식하기 용이한 형태로 변환시켜 시각적으로 표시함으로써, 운전자에게 차량의 모든 상황을 판단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한다.
이러한 역할의 차량용 계기판은 차량의 각종 장치에 장착된 감지센서들, 그리고 전장품 등으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각종 계측기 또는 표시용 램프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자동차의 계기판에는 속도를 나타내는 속도계, 엔진의 회전수를 나타내는 RPM계, 냉각수의 온도를 나타내는 수온계, 연료의 충진상태를 나타내는 연료계, 변속단계를 나타내는 변속지시등, 각종 계측기 및 장치의 작동상태등을 표시/경고하는 램프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와 같이, 차량의 주행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운전자에게 일목요연하게 보여주는 계기판은 근래 들어 클러스터(cluster)라 칭하여지며 각 차량에 구비되어 있다.
클러스터는 자동차의 순간 속도를 측정하여 지시하는 것으로, 구간 거리계와 적산계로 이루어진 속도계를 비롯하여, 엔진의 회전수를 지시하는 RPM 속도계, 연료의 잔량을 나타내는 연료계, 냉각수의 온도를 나타내는 냉각수 온도계 등을 포함한다.
그 밖에도, 엔진의 기동시나 이상 발생시에만 표시되는 것으로서, 냉각수량이나, 브레이크액, 엔진오일, 변속기 오일, 워셔액 등의 유면을 나타내는 유면 지시계 등이 추가로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계기판 또는 클러스터 시스템에 관하여는 하기 특허문헌 1의 "자동차용 계기판의 디스플레이 시스템"(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3-0083142호)에,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리시버(Receiver)를 선택적으로 포함하는 마이크로 컴퓨터; 차량의 계기판 전체면에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의 출력측과 연결 설치되는 보조 디스플레이를 갖는 액정 디스플레이와, GPS 엔진을 포함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유니트; 캔 인터페이스(Can Interface)에 의하여 서로 신호 교환하는 엔진ECU 및 브레이크 컨트롤 유니트와, 상기 엔진 ECU와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의 입력측간을 신호 교환 가능하게 연결하는 KWP2000 인터페이스와,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와 배터리 사이에 설치되는 전압 레귤레이터와,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의 입력측에 PS/2포트(port)로 연결되는 키보드와,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와 로직 입력으로 신호 교환 가능한 스티어링 리모콘과,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의 입력측과 콤(COMM)포트로 연결되는 무선단말기를 포함하는 차량 설치 유니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계기판의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관한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근래 들어 디지털 방식의 계기판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디지털 방식 계기판은 각종 계기의 값이 디지털화된 수치나 막대 그래프 등으로 LED를 통해 표시하는 LED 계기판으로부터 시작되어 계기판 전체가 하나의 엘시디(Liquid Crystal Display, LCD) 디스플레이로 구성되어 각종 차량 관련 정보를 디지털 타입으로 표시하고 있다.
한편 근래 들어 활발히 개발되어 실시되고 있는 전기 자동차는 구조적 단순성으로 인하여 기존의 자동차 제조사 외에 중소업체들에 의하여 다양한 사용자 층과 목적을 위해 개발되어지고 있다. 따라서 자동차가 단순히 탈것의 범주에서 벗어나, 개인이 자신에게 특화되어 소유하는 전자제품의 개념으로 바뀌어 가면서 전기 자동차의 소유자는 나에게 맞는 자동차를 넘어 나만을 위한 자동차를 원한다. 즉, 자신에게 최적화된 가치를 만들기 위해 더 주도적인 선택을 한다. 한편 친환경 의식,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윤리규범, 자연으로의 회귀 등을 고려한 소비자 의식 변화는 제품 혜택 가치를 개인 차원에서 사회적 가치로 확산되어, 자동차 소유 의식이 약화되고 공유, 이용 중심의 공공적 사고가 보편화되며, 카쉐어링, 저니 플래너 같은 개념이 확대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본인의 가치나 기호를 자동차에 반영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필요하며 운전 중 사용자와 가장 상호작용이 많은 계기판의 스킨을 통해 사용자의 기호를 반영할 필요가 대두되고 있다. 또한, 카쉐어링의 경우 본인 소유가 아닌 차량을 임의적으로 운행하게 되므로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등에 의한 이질감을 느낄 수 있기에, 사용자에 따라 임의의 차량에서도 본인이 기존에 사용하는 계기판의 스킨을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어 이질감을 감소 시킬 수 있으며 자동차가 본인의 소유인 것처럼 느끼게 하여 보다 안전 운행을 하도록 유도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필요에 대응하여, 하기 특허문헌 2의 “자동차용 가변형 디지탈 계기판(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3-0059795호)"와 같은 기존 발명이 제안되었으나, 이는 단순하게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한 후 디지털 계기판의 바탕화면을 변경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에 불과한 것이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3-0083142호 특허문헌 2: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3-0076519호
본 발명은 상기한 기존 발명들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단순하게 고정된 계기판을 자기가 원하는 대로 표현하는 것에서 벗어나 운전자의 스마트폰을 자동으로 인식하여 운전자가 스마트폰이나 PC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해 놓은 계기판을 차량의 계기판에 자동으로 적용하는 기술과, 다수의 차량을 군(群)으로 관리하는 관리자가 이동통신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차량의 운행 형태나 운전자에 적합한 계기판을 원격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한 전기자동차용 개방형 디지털 계기판을 제공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전기자동차용 개방형 디지털 계기판은, 차량에 설치되며, 자동차 주행정보 및 각종 경고상태를 포함하는 표시 데이터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110);와, 사용자의 입력 조작을 입력받는 사용자 입력 장치(120);와, 스킨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장치(130);와, 상기 디스플레이(110) 및 상기 사용자 입력 장치(120)와 연결되며, 상기 저장장치(130)에 저장된 소정의 스킨 데이터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스킨 데이터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110)에 상기 표시 데이터의 표현 방식을 변경하여 표시하는 주제어장치(140);와, 상기 주제어장치(140)에 연결되며, 사용자 단말(10)과 와이 파이(Wi-Fi) 또는 블루투스(Bluetooth)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방식에 의하여 데이터를 주고 받는 휴대단말 무선통신 인터페이스(150);와, 상기 주제어장치(140)에 연결되며, 관제 서버(200)와 무선 인터넷 망을 통하여 데이터를 주고 받는 통신 인터페이스(1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스킨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 입력 장치(120), 상기 사용자 단말(10) 또는 상기 관제 서버(200) 중 어느 하나를 통하여 편집되고 저장되며 선택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160)는 상기 인터넷망을 통하여 통신망 서버(300)와 더 연결되며, 상기 통신망 서버(300)와 연결된 개인 단말(310)을 통하여 상기 스킨 데이터를 편집하여 공유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제어장치(140)는, 상기 휴대단말 무선통신 인터페이스(150)를 통하여 소정의 상기 사용자 단말(10)이 감지되어 연결되는 경우, 상기 소정의 사용자 단말(10)에 대응하여 지정된 상기 스킨 데이터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110)에 상기 표시 데이터의 표현 방식을 변경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제어장치(140)는, 상기 관제 서버(200)로부터 전달된 단문 메세지 또는 경고 메세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메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110)에 더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는 경우, 차량에서는 물론, 스마트폰 등을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또는 외부 관제 서버를 통하여 다양한 형태의 스킨 데이터를 편집 및 저장 선택하는 것이 가능한 것은 물론, 스마트폰 등을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을 인식하여 그에 따른 스킨 데이터를 적용하는 경우 임의의 차량에서도 본인이 기존에 사용하는 계기판의 스킨을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어 이질감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자동차가 본인의 소유인 것처럼 느끼게 하여 보다 안전 운행을 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여러 대의 자동차를 운용하는 관리 업체의 경우 (예; 배달, 전시회 카트, 도심 투어, 골프카트, 렌트 등) 차량의 용도 (예; 투어 코스별 맞춤 스킨, 전시회 CI등을 포함하는 스킨 등) 혹은 해당 차량을 운행하는 운전자 (예; 고령자, 청각장애인 등)에 적합한 스킨을 원격으로 설정하도록 하여 차량 운행에 의한 홍보 및 편의성을 향상시키며, 해당 기술을 이용하여 운행중인 차량의 계기판에 원격으로 단문메세지 혹은 경고등 정보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여 긴급사항 발생이나 실시간 공유가 필요한 정보를 운전자가 즉시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기자동차용 개방형 디지털 계기판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 다이어그램.
도 2: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기자동차용 개방형 디지털 계기판의 작동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3: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기자동차용 개방형 디지털 계기판의 디스플레이의 표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개방형 디지털 계기판을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전기자동차용 개방형 디지털 계기판은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110), 사용자 입력 장치(120), 저장장치(130), 주제어장치(140), 휴대단말 무선통신 인터페이스(150) 및 통신 인터페이스(1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디스플레이(110)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디스플레이(110)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차량에 설치되며, 자동차 주행정보 및 각종 경고상태를 포함하는 표시 데이터를 출력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110)는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며, 통상적으로 LCD 패널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110)는 상기 사용자 입력 장치(120)와 일체로 구성되어 터치 스크린 방식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사용자 입력 장치(120)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사용자 입력 장치(120)는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주제어장치(140)와 연결되며, 사용자의 입력 조작을 입력받는 기능을 가진다. 즉, 스킨 데이터의 선택 또는 편집 등 사용자의 입력 조작이 필요한 경우, 이를 위한 사용자의 입력 조작을 입력받는 기능을 가진다. 이 경우, 상기 사용자 입력 장치(120)는 조작 스위치, 조그 셔틀 등 다양한 입력 수단으로 구성이 가능한 것은 물론,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110)와 일체로 구성되어 터치 스크린 방식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저장장치(130)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저장장치(130)는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주제어장치(140)와 연결되며, 상기 스킨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능을 가진다. 여기에서 상기 "스킨 데이터(skin data)"란, 상기 디스플레이(110)에 표현될 각종의 상기 표시 데이터의 표시 유무/ 표시 위치/ 표시 크기/ 표시 방식 등을 설정하여 하나의 통합된 표시 체계를 설정하여둔 데이터를 의미한다. 한편, 상기 스킨 데이터는 이종 간의 시스템에서도 확인 및 수정이 용이하고 이식이 편리한 효과를 가질 수 있도록 XML을 이용하여 작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저장장치(130)는 XML문서와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며, 상기 주제어부(140)는 XML문서를 해석하는 XML 구문해석부, 상기 XML구문해석부를 통해 해석된 XML문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110)의 구성요소들을 생성하고 관리하는 엔진부, 엔진부에서 생성된 구성요소별로 XML내에 스크립트로 기록된 이벤트 프로시져를 수행하는 스크립트 엔진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저장장치(130)는 에스디 카드(SD-Card) 또는 유에스비(USB) 등의 외부 저장 장치를 포함하도록 하여, 상기 스킨 데이터의 용이한 외부 저장 및 복사 등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주제어장치(140)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주제어장치(140)는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110) 및 상기 사용자 입력 장치(120)와 연결되며, 상기 저장장치(130)에 저장된 소정의 스킨 데이터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스킨 데이터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110)에 상기 표시 데이터의 표현 방식을 변경하여 표시하는 기능을 가진다.
다음으로, 휴대단말 무선통신 인터페이스(150)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휴대단말 무선통신 인터페이스(150)는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주제어장치(140)에 연결되며, 사용자 단말(10)과 와이 파이(Wi-Fi) 또는 블루투스(Bluetooth)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방식에 의하여 데이터를 주고 받는 기능을 가진다.
다음으로, 통신 인터페이스(160)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160)는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주제어장치(140)에 연결되며, 관제 서버(200)와 무선 인터넷 망을 통하여 데이터를 주고 받는 기능을 가진다.
이 경우, 상기 스킨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 입력 장치(120), 상기 사용자 단말(10) 또는 상기 관제 서버(200) 중 어느 하나를 통하여 편집되고 저장되며 선택될 수 있다. 즉, 여러 대의 자동차를 운용하는 관리 업체의 경우 (예; 배달, 전시회 카트, 도심 투어, 골프카트, 렌트 등) 차량의 용도 (예; 투어 코스별 맞춤 스킨, 전시회 CI등을 포함하는 스킨 등) 혹은 해당 차량을 운행하는 운전자 (예; 고령자, 청각장애인 등)에 적합한 스킨 데이터를 원격으로 설정하도록 하여 차량 운행에 의한 홍보 및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160)는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인터넷망을 통하여 통신망 서버(300)와 더 연결되며, 상기 통신망 서버(300)와 연결된 개인 단말(310)을 통하여 상기 스킨 데이터를 편집하여 공유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주제어장치(140)는, 상기 휴대단말 무선통신 인터페이스(150)를 통하여 소정의 상기 사용자 단말(10)이 감지되어 연결되는 경우, 상기 소정의 사용자 단말(10)에 대응하여 지정된 상기 스킨 데이터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110)에 상기 표시 데이터의 표현 방식을 변경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스마트폰 등을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 단말(10)을 인식하여 그에 따른 스킨 데이터를 적용하는 경우 임의의 차량에서도 본인이 기존에 사용하는 디스플레이(110)의 스킨 데이터를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어 이질감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자동차가 본인의 소유인 것처럼 느끼게 하여 보다 안전 운행을 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10)은 사용자 휴대 동글(donggle)(20)의 구성을 가지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주제어장치(140)는, 상기 관제 서버(200)로부터 전달된 단문 메세지 또는 경고 메세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메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110)에 더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운행중인 차량의 계기판에 원격으로 단문메세지 혹은 경고등 정보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여 긴급사항 발생이나 실시간 공유가 필요한 정보를 운전자가 즉시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사용자 휴대 단말 20: 사용자 휴대 동글(donggle)
100: 전기자동차용 개방형 LCD 디지털 계기판
110:디스플레이
120: 사용자 입력 장치
130: 저장 장치
140: 주제어 장치
150: 휴대단말 무선통신 인터페이스
160: 통신 인터페이스
200: 외부 관제 서버 210: 관제 서버 단말
300: 통신 서버 310: 개인 단말

Claims (4)

  1. 차량에 설치되며, 자동차 주행정보 및 각종 경고상태를 포함하는 표시 데이터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110);
    사용자의 입력 조작을 입력받는 사용자 입력 장치(120);
    스킨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장치(130);
    상기 디스플레이(110) 및 상기 사용자 입력 장치(120)와 연결되며, 상기 저장장치(130)에 저장된 소정의 스킨 데이터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스킨 데이터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110)에 상기 표시 데이터의 표현 방식을 변경하여 표시하는 주제어장치(140);
    상기 주제어장치(140)에 연결되며, 사용자 단말(10)과 와이 파이(Wi-Fi) 또는 블루투스(Bluetooth)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방식에 의하여 데이터를 주고 받는 휴대단말 무선통신 인터페이스(150);
    상기 주제어장치(140)에 연결되며, 관제 서버(200)와 무선 인터넷 망을 통하여 데이터를 주고 받는 통신 인터페이스(1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스킨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 입력 장치(120), 상기 사용자 단말(10) 또는 상기 관제 서버(200) 중 어느 하나를 통하여 편집되고 저장되며 선택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개방형 디지털 계기판(100).
  2. 청구항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160)는 상기 인터넷망을 통하여 통신망 서버(300)와 더 연결되며,
    상기 통신망 서버(300)와 연결된 개인 단말(310)을 통하여 상기 스킨 데이터를 편집하여 공유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개방형 디지털 계기판(100).
  3. 청구항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제어장치(140)는, 상기 휴대단말 무선통신 인터페이스(150)를 통하여 소정의 상기 사용자 단말(10)이 감지되어 연결되는 경우, 상기 소정의 사용자 단말(10)에 대응하여 지정된 상기 스킨 데이터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110)에 상기 표시 데이터의 표현 방식을 변경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개방형 디지털 계기판(100).
  4. 청구항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제어장치(140)는,
    상기 관제 서버(200)로부터 전달된 단문 메세지 또는 경고 메세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메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110)에 더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개방형 디지털 계기판(100).
KR1020150107997A 2015-07-30 2015-07-30 전기자동차용 개방형 디지털 계기판 KR201700145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7997A KR20170014501A (ko) 2015-07-30 2015-07-30 전기자동차용 개방형 디지털 계기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7997A KR20170014501A (ko) 2015-07-30 2015-07-30 전기자동차용 개방형 디지털 계기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4501A true KR20170014501A (ko) 2017-02-08

Family

ID=58155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7997A KR20170014501A (ko) 2015-07-30 2015-07-30 전기자동차용 개방형 디지털 계기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14501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9542B1 (ko) * 2021-03-31 2021-05-07 모트렉스(주) 운전 습관 정보 기반으로 이벤트를 안내하는 차량용 디지털 클러스터
KR102249541B1 (ko) * 2021-03-31 2021-05-07 모트렉스(주) 군집주행 그룹 내 주행간격을 기반으로 이벤트를 안내하는 차량용 디지털 클러스터
KR102249538B1 (ko) * 2021-03-31 2021-05-07 모트렉스(주) 군집주행을 위한 차량용 디지털 클러스터
KR102257393B1 (ko) * 2020-06-26 2021-05-28 모트렉스(주) 차량용 디지털 클러스터 및 그 제어 방법
KR20220068576A (ko) * 2020-11-19 2022-05-26 주식회사 디젠 차량용 디지털 클러스터의 스킨 제어 시스템
KR20220068577A (ko) * 2020-11-19 2022-05-26 주식회사 디젠 차량용 디지털 클러스터의 화면 레이아웃 제어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6519A (ko) 2003-08-28 2003-09-26 삼풍공업주식회사 자동차용 가변형 디지탈 계기판
KR20030083142A (ko) 2002-04-19 2003-10-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계기판의 디스플레이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3142A (ko) 2002-04-19 2003-10-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계기판의 디스플레이 시스템
KR20030076519A (ko) 2003-08-28 2003-09-26 삼풍공업주식회사 자동차용 가변형 디지탈 계기판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7393B1 (ko) * 2020-06-26 2021-05-28 모트렉스(주) 차량용 디지털 클러스터 및 그 제어 방법
KR20220068576A (ko) * 2020-11-19 2022-05-26 주식회사 디젠 차량용 디지털 클러스터의 스킨 제어 시스템
KR20220068577A (ko) * 2020-11-19 2022-05-26 주식회사 디젠 차량용 디지털 클러스터의 화면 레이아웃 제어 방법
KR102249542B1 (ko) * 2021-03-31 2021-05-07 모트렉스(주) 운전 습관 정보 기반으로 이벤트를 안내하는 차량용 디지털 클러스터
KR102249541B1 (ko) * 2021-03-31 2021-05-07 모트렉스(주) 군집주행 그룹 내 주행간격을 기반으로 이벤트를 안내하는 차량용 디지털 클러스터
KR102249538B1 (ko) * 2021-03-31 2021-05-07 모트렉스(주) 군집주행을 위한 차량용 디지털 클러스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14501A (ko) 전기자동차용 개방형 디지털 계기판
KR102017245B1 (ko) 자동차 계기판 장치 및 자동차 계기판 제어 방법
KR102479540B1 (ko) 주행 컨텍스트에 기반한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장치
US20100070748A1 (en) Device and methods for simulating controller area network signals
BRPI0709308A2 (pt) aparelhos de fornecimento de retorno de treinamento, método de fornecimento de um retorno de treinamento e método de assistência ao motorista de um veìculo
US11718177B2 (en) Instrument cluster with a contextual view
JP6778248B2 (ja) 携帯装置を使用して車輌のためのナビゲーション情報を表示する方法及び該方法を実行する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US9770988B2 (en) Clustered instrument panel in a transportation apparatus
US9610841B1 (en) Clustered instrument panel in a transportation apparatus
US20150217825A1 (en) Vehicle-use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KR101854323B1 (ko) 차량 센서들을 이용한 핸드셋 센서들의 증강
JP2017056830A (ja) 車両用情報提供装置
KR101375287B1 (ko) 운전자 선택정보 제공 장치
KR20200054369A (ko) 차량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38183B1 (ko) 차량용 계기판의 정보 표시방법
JP2014098665A (ja) 画面カスタマイズ方法
WO2019021070A1 (en) INFO-ENTERTAINMENT SYSTEM
JP6402321B2 (ja) 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2014065379A (ja) 車両用表示装置
JP6135909B2 (ja) 車両用情報提供装置
JP6080725B2 (ja) マルチディスプレイ制御装置およびマルチディスプレイ制御方法
JP2011100019A (ja) 表示装置
TWI564181B (zh) 可替換儀表板模組、儀表板整合系統與顯示方法
KR20160090000A (ko) 차량용 클러스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변경 시스템
JP2019001460A (ja) 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