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4460A - 배터리 교체식 전기차를 위한 비상 충전 관리 방법, 충전관리서버, 충전장치, 배터리 교체식 전기차, 그리고 컴퓨터프로그램 - Google Patents

배터리 교체식 전기차를 위한 비상 충전 관리 방법, 충전관리서버, 충전장치, 배터리 교체식 전기차, 그리고 컴퓨터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4460A
KR20170014460A KR1020150107871A KR20150107871A KR20170014460A KR 20170014460 A KR20170014460 A KR 20170014460A KR 1020150107871 A KR1020150107871 A KR 1020150107871A KR 20150107871 A KR20150107871 A KR 20150107871A KR 20170014460 A KR20170014460 A KR 201700144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information
charge
electric vehicle
authenti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78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93330B1 (ko
Inventor
남궁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고호태양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고호태양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고호태양광
Priority to KR10201501078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3330B1/ko
Publication of KR20170014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44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33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33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60L11/1822
    • B60L11/1838
    • B60L2230/1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50/00Driver interactions
    • B60L2250/10Driver interactions by ala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2010/4271Battery management systems including electronic circuits, e.g. control of current or voltage to keep battery in healthy state, cell balanc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배터리 교체식 전기차를 위한 비상 충전 관리 방법, 충전관리서버, 충전장치, 배터리 교체식 전기차, 그리고 컴퓨터프로그램이 개시된다. 통신부는 배터리 교체식 전기차를 비상충전하기 위한 비상충전 정보를 충전장치로부터 수신한다. 제어부는 수신한 비상충전 정보를 기초로 배터리 교체식 전기차의 충전을 차단하는 충전 잠금 기능의 해제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충전장치 인증정보 및 전기차 인증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충전장치 인증정보가 충전장치로 전송되도록 제어하고, 생성한 전기차 인증정보가 배터리 교체식 전기차로 전송되도록 제어한다.

Description

배터리 교체식 전기차를 위한 비상 충전 관리 방법, 충전관리서버, 충전장치, 배터리 교체식 전기차, 그리고 컴퓨터프로그램{Emergency charging managing method, charging managing server and charging device for battery switching electronic vehicle and computer program}
본 발명은 배터리 교체식 전기차를 위한 비상 충전 관리 방법, 충전관리서버, 충전장치, 배터리 교체식 전기차, 그리고 컴퓨터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터리 교체식 전기차의 배터리 방전시에 비상으로 전기차의 충전을 지원하는 배터리 교체식 전기차를 위한 비상 충전 관리 방법, 충전관리서버, 충전장치, 배터리 교체식 전기차, 그리고 컴퓨터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전기차는 전기를 사용하여 운행되는 자동차로서, 세계적인 환경 규제 강화와 에너지 절감 추세에 따라 세계 각국에서 전기자동차에 대한 개발 및 보급이 점차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전기차는 주행을 위한 전기를 공급하는 배터리가 구비된다. 전기차의 배터리가 외부의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류에 의하여 충전되고, 전기차의 배터리에 충전된 전류에 의해 전기 모터가 구동된다. 이에 따라, 전기차를 널리 보급하기 위해서는, 배터리의 충전 또는 교체를 위한 충전소의 확충이 필요하다.
충전식 전기차는 가솔린 자동차의 주류 충전 시간보다 배터리 충전 시간이 많이 걸려 보편화하는 데 문제점이 있다. 또한, 충전식 전기차는 배터리 가격이 차량가에 포함되어 있어, 자동차 구입자는 전기차 이외에 배터리까지 구입해야 하므로, 충전식 전기차의 가격이 가솔린 자동차에 비해 높은 문제점이 있다.
이에 반해, 배터리 교체식 전기차는 배터리 교체 시간이 기존의 주류 충전 시간보다 적게 걸려 보편화하는 데 용이하며, 별도 배터리를 구매할 필요가 없어, 차량 가격이 충전식 전기차에 비해 낮은 장점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배터리 교체식 전기차의 불법 충전을 차단 또는 방지할 수 있는 배터리 교체식 전기차를 위한 비상 충전 관리 방법, 충전관리서버, 충전장치, 배터리 교체식 전기차, 그리고 컴퓨터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불법 충전 사실을 감지하여 통지할 수 있고, 정확한 충전량을 확인할 수 있어 배터리 교체식 전기차의 비상충전을 효과적으로 관리하여 충전에 대한 세금을 부과할 수 있도록 하는 배터리 교체식 전기차를 위한 비상 충전 관리 방법, 충전관리서버, 충전장치, 배터리 교체식 전기차, 그리고 컴퓨터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교체식 전기차를 위한 비상충전 관리 방법은, 배터리 교체식 전기차를 비상충전하기 위한 비상충전 정보를 충전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비상충전 정보를 기초로 상기 배터리 교체식 전기차의 충전을 차단하는 충전 잠금 기능의 해제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충전장치 인증정보 및 전기차 인증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충전장치 인증정보를 상기 충전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전기차 인증정보를 상기 배터리 교체식 전기차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송된 충전장치 인증정보는 상기 충전장치에서 상기 배터리 교체식 전기차로 포워딩되며, 상기 배터리 교체식 전기차에서 상기 전송된 전기차 인증정보 및 상기 포워딩된 충전장치가 인증정보가 매칭되는 경우에, 상기 배터리 교체식 전기차의 충전 잠금 기능이 해제될 수 있다. 상기 비상충전 정보는 상기 충전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 상기 배터리 교체식 전기차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 및 충전 요구량을 지시하는 충전량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충전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제공자 충전결과정보 및 상기 배터리 교체식 전기차로부터 전송되는 사용자 충전결과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공자 충전결과정보 및 상기 사용자 충전결과정보가 상이한 경우에는, 불법 충전이 발생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관리자에게 통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비상충전 정보를 기초로 충전 허용량을 지시하는 충전 허용량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충전 허용량 정보를 상기 배터리 교체식 전기차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충전 허용량 정보를 기초로 상기 해제된 충전 잠금 기능의 설정이 제어될 수 있다.
상기의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교체식 전기차를 위한 비상충전 관리 방법은, 배터리 교체식 전기차를 비상충전하기 위한 비상충전 정보를 충전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비상충전 정보의 전송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배터리 교체식 전기차의 충전을 차단하는 충전 잠금 기능의 해제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충전장치 인증정보를 상기 충전관리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충전장치 인증정보를 상기 배터리 교체식 전기차로 포워딩하는 단계, 상기 배터리 교체식 전기차의 충전 잠금 기능이 해제된 경우에, 상기 배터리 교체식 전기차로의 충전을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배터리 교체식 전기차로의 충전이 완료된 경우에는, 상기 충전에 대한 충전 결과를 지시하는 충전결과정보를 상기 충전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교체식 전기차를 위한 비상충전 관리 방법은, 전기차 인증정보를 충전관리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충전장치 인증정보를 충전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전기차 인증정보 및 상기 수신된 충전장치 인증정보가 매칭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전기차 인증정보 및 상기 충전장치 인증정보가 매칭되는 경우에는, 충전을 차단하는 충전 잠금 기능을 해제하고, 상기 충전장치에 의해 충전을 받는 단계, 및 상기 충전이 완료된 경우에는, 상기 충전에 대한 충전 결과를 지시하는 충전결과정보를 상기 충전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교체식 전기차를 위한 충전관리서버는, 배터리 교체식 전기차를 비상충전하기 위한 비상충전 정보를 충전장치로부터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수신된 비상충전 정보를 기초로 상기 배터리 교체식 전기차의 충전을 차단하는 충전 잠금 기능의 해제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충전장치 인증정보 및 전기차 인증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충전장치 인증정보가 상기 충전장치로 전송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생성된 전기차 인증정보가 상기 배터리 교체식 전기차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송된 충전장치 인증정보는 상기 충전장치에서 상기 배터리 교체식 전기차로 포워딩되며, 상기 배터리 교체식 전기차에서 상기 전송된 전기차 인증정보 및 상기 포워딩된 충전장치가 인증정보가 매칭되는 경우에, 상기 배터리 교체식 전기차의 충전 잠금 기능이 해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비상충전 정보는, 상기 충전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 상기 배터리 교체식 전기차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 및 충전 요구량을 지시하는 충전량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전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제공자 충전결과정보 및 상기 배터리 교체식 전기차로부터 전송되는 사용자 충전결과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제공자 충전결과정보 및 상기 사용자 충전결과정보가 상이한 경우에는, 불법 충전이 발생했음을 알리는 메시지가 관리자에게 통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비상충전 정보를 기초로 충전 허용량을 지시하는 충전 허용량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생성된 충전 허용량 정보를 상기 배터리 교체식 전기차로 전송하며, 상기 충전 허용량 정보를 기초로 상기 해제된 충전 잠금 기능의 설정이 제어될 수 있다.
상기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교체식 전기차를 위한 충전장치는, 배터리 교체식 전기차를 비상충전하기 위한 비상충전 정보를 충전관리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비상충전 정보의 전송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배터리 교체식 전기차의 충전을 차단하는 충전 잠금 기능의 해제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충전장치 인증정보를 상기 충전관리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충전장치 인증정보를 상기 배터리 교체식 전기차로 포워딩하는 통신부, 및 상기 배터리 교체식 전기차의 충전 잠금 기능이 해제된 경우에, 상기 배터리 교체식 전기차로의 충전을 제어하고, 상기 배터리 교체식 전기차로의 충전이 완료된 경우에는, 상기 충전에 대한 충전 결과를 지시하는 충전결과정보가 상기 충전관리서버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교체식 전기차는 전기차 인증정보를 충전관리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충전장치 인증정보를 충전장치로부터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수신된 전기차 인증정보 및 상기 수신된 충전장치 인증정보가 매칭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전기차 인증정보 및 상기 충전장치 인증정보가 매칭되는 경우에는, 충전을 차단하는 충전 잠금 기능을 해제하고, 상기 충전장치에 의해 충전을 받도록 제어하고, 상기 충전이 완료된 경우에는, 상기 충전에 대한 충전 결과를 지시하는 충전결과정보가 상기 충전관리서버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교체식 전기차를 위한 비상 충전 관리 방법, 충전관리서버, 충전장치, 배터리 교체식 전기차, 그리고 컴퓨터프로그램에 의하면, 충전관리서버에서 발행된 인증정보를 통해 충전장치 및 배터리 교체식 전기차 간의 인증여부를 확인하므로, 배터리 교체식 전기차의 소유자 또는 사용자에 의한 충전 케이블을 이용한 불법적 충전을 방지할 수 있고, 비인가 충전 업자에 의한 전기차 충전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인가된 충전업자의 의한 불법적 충전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충전장치 및 배터리 교체식 전기차로부터 수신된 충전결과정보를 통해 사후적으로 불법충전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정확한 충전량을 확인할 수 있어, 배터리 교체식 전기차의 비상충전을 효과적으로 관리하여 세금을 부과할 수 있고, 전기차를 위한 배터리 교체스테이션을 보다 완벽히 시스템화 및 활성화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기차 확대에 따른 기존 유류세 감소를 보완하여 정부의 재정 수입을 유지할 수 있게 함으로써, 정부의 전기차 인프라 지원 확대를 과감하게 추진할 수 있게 하여, 전기차의 저변 확대할 수 있으며, 배터리 교체식 전기차의 활성화에 따른 충전식 전기차의 단점인 높은 전기차값, 장시간의 충전시간, 비효율적인 충전인프라 등을 획기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고, 전기차 관련된 산업들의 활성화로 인한 전기차 산업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교체식 전기차를 위한 비상충전 관리 시스템에 대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교체식 전기차를 위한 충전관리서버에 대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교체식 전기차를 위한 충전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에 대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교체식 전기차를 위한 비상충전 관리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수행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교체식 전기차를 위한 비상 충전 관리 방법, 충전관리서버, 충전장치, 배터리 교체식 전기차, 그리고 컴퓨터프로그램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고 또 이것에 의해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해 기술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교체식 전기차를 위한 비상충전 관리 시스템에 대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비상충전 시스템(1)은 충전관리서버(200), 충전장치(300) 및 전기차(400)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관리서버(200), 충전장치(300) 및 전기차(400)는 네트워크(2)로 연결될 수 있다. 네트워크(2)는 사설망 또는 인터넷망일 수 있고, 유선망 또는 무선망을 포함할 수 있다.
충전관리서버(200)는 국세청 등 세무 관련 국가 기관에서 운영하는 서버일 수 있고, 국가 기관으로부터 허가 받은 업체가 운영하는 서버일 수 있다.
충전장치(300)는 충전 케이블을 포함할 할 수 있고, 충전 케이블과 물리적으로 독립된 장치일 수 있다. 충전장치(300)는 비상 충전 사업자가 충전 현장으로 출동 시에 현장에서 사용 가능한 이동식 장치일 수 있다.
전기차(400)는 배터리 교체식 전기차일 수 있고, 배터리가 방전되어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까지 이동이 불가능한 경우 등의 비상시에 충전을 위한 기능을 갖는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교체식 전기차를 위한 충전관리서버에 대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충전관리서버(200)는 통신부(210), 제어부(220) 및 저장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네트워크(2)를 통해 충전장치(300) 및 전기차(4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또한 통신부(130)는 LAN, Wireless LAN(IEEE 802.11b, IEEE 802.11a, IEEE802.11g, IEEE802.11n), WIBro(Wireless Broadband), 블루투스(Bluetooth) 및 직비(ZigBee)를 이용하여 신호 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전기차를 비상충전하기 위한 비상충전 정보를 충전장치(300)로부터 수신한다. 여기서 비상충전 정보는 충전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 전기차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 및 충전 요구량을 지시하는 충전량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충전장치(300)로부터 제공자 충전결과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제공자 충전결과정보는 충전한 충전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 충전된 전기차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 충전이 시작된 시간, 충전이 종료된 시간, 충전량을 지시한 충전량 정보 및 충전 요금을 지시하는 요금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전기차(400)로부터 사용자 충전결과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사용자 충전결과정보는 충전한 충전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 충전된 전기차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 충전이 시작된 시간, 충전이 종료된 시간, 충전량을 지시한 충전량 정보 및 충전 요금을 지시하는 요금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명령을 실행하고 충전관리서버(200)와 연관된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저장부(230)로부터 검색된 명령어를 사용하여, 제어부(220)는 충전관리서버(200)의 컴포넌트들 간의 입력 및 출력, 데이터의 수신 및 처리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운영 체제와 함께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고 데이터를 생성 및 사용하는 동작을 한다. 운영 체제는 일반적으로 공지되어 있으며 이에 대해 보다 상세히 기술하지 않는다. 예로서, 운영 체제는 Window 계열 OS, Unix, LINUX, Palm OS, DOS, 안드로이드(Android), iOS 및 매킨토시 등일 수 있다. 운영 체제, 다른 컴퓨터 코드 및 데이터는 제어부(220)와 연결되어 동작하는 저장부(230) 내에 존재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코드는 소스 코드 생성 모듈 및 실행 코드 생성 모듈일 수 있다.
제어부(220)는 통신부(210)가 수신한 비상충전 정보를 기초로 전기차(400)의 충전을 차단하는 충전 잠금 기능의 해제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충전장치 인증정보 및 전기차 인증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충전장치 인증정보 및 전기차 인증정보는 숫자 또는 문자열일 수 있다. 충전장치 인증정보는 충전장치의 암화키로 암호화된 것일 수 있고, 전기차 인증정보는 전기차의 암호키로 암호화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암호키는 RSA(Rivest, Shamir, Adleman) 암호화 알고리즘으로 생성된 공개키 또는 비밀키일 수 있고, 디피헬만 알고리즘(Diffie-Hellman Algorithm)으로 생성된 공개키 또는 비밀키일 수 있다. 또한 암호화키는 DES(DATA Encryption Standard), AES(Advanced Encryption Standard), IDEA(Intemational Data Encrytion Algorithm) 및 SEED 중 하나로 생성된 대칭키일 수 있다.
제어부(220)는 생성한 충전장치 인증정보가 충전장치(300)로 전송되도록 제어하고, 생성한 전기차 인증정보가 전기차(400)로 전송되도록 제어한다. 통신부(210)는 제어부(22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충전장치 인증정보 및 상기 전기차 인증정보를 각각 충전장치(300) 및 전기차(400)로 전송한다.
제어부(220)는 통신부(210)가 수신한 비상충전 정보를 기초로 충전 허용량을 지시하는 충전 허용량 정보를 생성하고, 충정 허용량 정보가 전기차(400)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비상충전 정보에 포함된 충전량 정보 및 사전에 설정된 충전량 규칙을 지시하는 정보를 기초로 충전 허용량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충전 허용량 정보는 전기차 인증정보와 함께 전기차(400)로 전송될 수 있다.
제어부(220)는 통신부(210)가 수신한 제공자 충전결과정보 및 사용자 충전결과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제공자 충전결과정보 및 상기 사용자 충전결과정보가 상이한 경우에는, 불법 충전이 발생했음을 알리는 메시지가 관리자에게 통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상기 제공자 충전결과정보 및 상기 사용자 충전결과정보를 저장부(230)에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230)는 판독 전용 메모리(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그램 코드 및 데이터는 분리형 저장 매체에 존재할 수 있고, 필요할 때, 충전관리서버(200) 상으로 로드 또는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분리형 저장 매체는 CD-ROM, PC-CARD, 메모리 카드, 플로피 디스크, 자기 테이프, 및 네트워크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230)는 충전장치의 암호화키, 전기차의 암호화키, 충전량 규칙을 지시하는 정보, 제공자 충전결과정보 및 사용자 충전결과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교체식 전기차를 위한 충전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충전장치(3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10), 제어부(320), 통신부(330), 디스플레이부(340), 저장부(350) 및 충전부(36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10)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하고, 감지 결과를 제어부(320)로 출력한다. 여기서 사용자 조치는 전자 장치 또는 리모컨의 물리적인 버튼의 선택,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면상의 소정의 터치 제스처의 실시 또는 소프트 버튼의 선택 및 촬상 장치로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인식되는 소정의 공간 제스처의 실시 및 음성 감지부가 수신한 음성에 대한 음성 인식에 의해 인식되는 소정의 발성의 실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20)는 명령을 실행하고 충전장치(300)와 연관된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저장부(350)로부터 검색된 명령어를 사용하여, 제어부(320)는 충전장치(300)의 컴포넌트들 간의 입력 및 출력, 데이터의 수신 및 처리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20)는 운영 체제와 함께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고 데이터를 생성 및 사용하는 동작을 한다. 운영 체제는 일반적으로 공지되어 있으며 이에 대해 보다 상세히 기술하지 않는다. 예로서, 운영 체제는 Window 계열 OS, Unix, LINUX, Palm OS, DOS, 안드로이드(Android), iOS 및 매킨토시 등일 수 있다. 운영 체제, 다른 컴퓨터 코드 및 데이터는 제어부(320)와 연결되어 동작하는 저장부(350) 내에 존재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코드는 소스 코드 생성 모듈 및 실행 코드 생성 모듈일 수 있다.
제어부(32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10)가 감지한 사용자 조치를 실행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로 해석할 수 있고 해석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충전장치(300)의 내부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10)는 비상충전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정보 입력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되는 정보는 전기차에 대한 정보 및 충전 요구량일 수 있고, 상기 전기차에 대한 정보는 전기차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30)는 상기 입력된 정보를 기초로 비상충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통신부(330)는 네트워크(2)를 통해 충전관리서버(200) 및 전기차(4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또한 통신부(330)는 LAN, Wireless LAN(IEEE 802.11b, IEEE 802.11a, IEEE802.11g, IEEE802.11n), WIBro(Wireless Broadband), 블루투스(Bluetooth) 및 직비(ZigBee)를 이용하여 충전관리서버(200) 및 전기차(400)와 신호 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330)는 전기차를 비상충전하기 위한 비상충전 정보를 충전관리서버(200)로 전송하고, 상기 비상충전 정보의 전송에 대한 응답으로, 전기차(400)의 충전을 차단하는 충전 잠금 기능의 해제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충전장치 인증정보를 충전관리서버(200)로부터 수신한다.
통신부(330)는 충전관리서버(200)로부터 수신한 충전장치 인증정보를 전기차(400)로 포워딩하다. 충전장치 인증정보가 암호화된 경우에는, 제어부(320)는 암호화키로 충전장치 인증정보를 복호화하고, 복호화된 충전장치 인증정보가 전기차(400)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충전장치 인증정보는 충전케이블 내의 전력선 또는 통신선을 통해 전기차(400)로 전송될 수 있다. 전기차(400)는 충전케이블 내의 전력선 또는 통신선을 통해 전송된 충전장치 인증정보로 제한적하여 전기차 인증정보와 매칭을 수행할 수 있고, 다른 통신 매체를 통해 충전장치 인증정보를 수신된 경우에는, 전기차 인증정보와 매칭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40)는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Graphical User Interface)를 디스플레이한다. 본 발명에서, GUI는 저장부(350)에 저장된 것을 수 있고, 충전관리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웹페이지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웹페이지는 PC용 웹페이지 또는 모바일 웹페이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GUI를 통해 비상충전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40)는 충전부(360)가 측정한 전력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전력에 대한 정보는 충전시간, 소비전력 및 충전 진행 상황을 지시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350)는 판독 전용 메모리(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그램 코드 및 데이터는 분리형 저장 매체에 존재할 수 있고, 필요할 때, 충전장치(300) 상으로 로드 또는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분리형 저장 매체는 CD-ROM, PC-CARD, 메모리 카드, 플로피 디스크, 자기 테이프, 및 네트워크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350)는 충전장치(300)의 암호화키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320)는 저장부(350)에 저장된 암호화키를 이용하여 충전장치 인증정보를 복호화할 수 있다.
충전부(360)는 전기차(400)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 전기차(400)와 연결된 충전케이블을 통해 전력을 공급한다. 그리고 충전부(360)는 공급하는 전력을 측정하고, 측정된 전력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320)로 출력한다.
제어부(320)는 전기차(400)로 공급된 충전 전력량을 확인하고, 확인한 충전 전력량을 기초로 충전 요금을 산출하고, 산출한 충전 요금을 디스플레이부(340)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어부(320)는 전기차로의 충전이 완료된 경우에는, 충전에 대한 충전 결과를 지시하는 제공자 충전결과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제공자 충전결과정보가 충전관리서버(200)로 전송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제공자 충전결과정보는 충전한 충전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 충전된 전기차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 충전이 시작된 시간, 충전이 종료된 시간, 충전량을 지시한 충전량 정보 및 충전 요금을 지시하는 요금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20)는 확인된 충전 전력량 정보 및 산출된 충전 요금을 기초로 제공자 충전결과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에 대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전기차(400)는 통신부(410), 제어부(420), 충전 차단부(430), 배터리(440) 및 저장부(45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410)는 전기차 인증정보를 충전관리서버(200)로부터 수신하고, 충전장치 인증정보를 충전장치(300)로부터 수신한다.
제어부(420)는 충전관리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전기차 인증정보 및 충전장치(300)로부터 수신된 충전장치 인증정보가 매칭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전기차 인증정보가 암호화된 경우에는, 제어부(420)는 암호화키로 전기차 인증정보를 복호화하고, 복호화된 전기차 인증정보와 충전장치 인증정보를 매칭한다. 제어부(420)은 충전 케이블 내의 전선 또는 통신선을 통해 수신된 충전장치 인증정보로 한정하여 전기차 인증정보와 매칭을 수행할 수 있고, 다른 매체를 통해 수신된 충전장치 인증정보에 대해서는 전기차 인증정보와 매칭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제어부(420)는 상기 전기차 인증정보 및 상기 충전장치 인증정보가 매칭되는 경우에는, 충전을 차단하는 충전 잠금 기능을 해제하며, 상기 충전장치에 의해 충전을 받도록 제어한다.
제어부(420)는 충전이 완료된 경우에는, 상기 충전에 대한 충전 결과를 지시하는 사용자 충전결과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사용자 충전결과정보가 충전관리서버(200)로 전송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사용자 충전결과정보는 충전한 충전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 충전된 전기차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 충전이 시작된 시간, 충전이 종료된 시간, 충전량을 지시한 충전량 정보 및 충전 요금일 지시하는 요금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요금 정보는 충전 장치(300)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충전 차단부(430)는 충전을 차단하는 충전 잠금 기능을 수행한다. 충전 차단부(430)는 배터리(440)와 충전 케이블이 연결된 포트 사이에 위치하는 스위치 장치일 수 있다. 제어부(430)는 충전 차단부(430)를 제어하여 충전 잠금 기능 해제할 수 있다. 여기서 충전 케이블은 충전장치(300)에 부착된 것일 수 있다.
배터리(440)는 전기차(400)에 전력을 공급하고, 제어부(420)에 제어에 따라 충전 케이블을 통해 충전될 수 있다.
통신부(310)는 충전 허용량을 지시하는 충전 허용량 정보를 충전관리서버(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320)는 통신부(310)가 수신한 충전 허용량 정보를 기초로 충전 잠금 기능의 설정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충전량이 충전 허용량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제어부(320)는 해제된 충전 잠금 기능이 작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저장부(450)는 전기차(400)의 암호화키를 저장한다. 제어부(400)는 저장부(450)에 저장된 암호화키를 이용하여 전기차 인증정보를 복호화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교체식 전기차를 위한 비상충전 관리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수행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충전장치(300)는 전기차(400)를 비상충전하기 위한 비상충전 정보를 충전관리서버(200)로 전송한다(S100). 충전관리서버(200)는 상기 비상충전 정보를 충전장치(300)로부터 수신한다. 여기서, 비상충전 정보는 충전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 전기차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 및 충전 요구량을 지시하는 충전량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관리서버(200)는 상기 비상충전 정보를 기초로 전기차(400)의 충전을 차단하는 충전 잠금 기능의 해제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충전장치 인증정보 및 전기차 인증정보를 생성한다(S110). 여기서, 충전관리서버(200)는 상기 비상충전 정보를 기초로 충전 허용량을 지시하는 충전 허용량 정보를 더 생성할 수 있다.
충전관리서버(200)는 상기 충전장치 인증정보를 충전장치(300)로 전송한다(S120). 충전장치(300)는 상기 충전장치 인증정보를 충전관리서버(200)로부터 수신한다.
충전관리서버(200)는 상기 전기차 인증정보를 전기차(400)로 전송한다(S130). 전기차(400)는 상기 전기차 인증정보를 충전관리서버(200)로부터 수신한다. 여기서, 충전관리서버(200)는 단계 S110에서 생성된 충전 허용량 정보를 전기차(400)로 더 전송할 수 있고, 전기차(400)는 상기 충전 허용량 정보를 더 수신할 수 있다.
충전장치(300)는 충전관리서버(200)로부터 수신한 충전장치 인증정보를 전기차(400)로 포워딩한다(S140). 전기차(400)는 상기 충전장치 인증정보를 전기차(400)로부터 수신한다.
전기차(400)는 상기 전기차 인증정보 및 상기 충전장치 인증정보가 매칭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150).
상기 전기차 인증정보 및 상기 충전장치 인증정보가 매칭되는 경우에는, 전기차(400)는 충전을 차단하는 충전 잠금 기능을 해제하고, 충전장치(300)에 의해 충전을 받는다(S160). 충전장치(300)는 전기차(400)의 충전 잠금 기능이 해제된 경우에, 전기차(400)로의 충전을 제어한다. 여기서, 전기차(400)는 충전 허용량 정보를 기초로 상기 해제된 충전 잠금 기능의 설정을 제어할 수 있다.
전기차(400)는 충전이 완료된 경우에는, 상기 충전에 대한 충전 결과를 지시하는 사용자 충전결과정보를 충전관리서버(200)로 전송한다(S170). 충전관리서버(200)는 상기 사용자 충전결과정보를 충전관리서버(200)로부터 수신한다.
충전장치(300)는 전기차(400)로의 충전이 완료된 경우에는, 상기 충전에 대한 충전 결과를 지시하는 제공자 충전결과정보를 충전관리서버(200)로 전송한다(S180). 충전관리서버(200)는 상기 제공자 충전결과정보를 충전장치(300)로부터 수신한다.
충전관리서버(200)는 충전장치(300)로부터 수신된 제공자 충전결과정보 및 전기차(4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충전결과정보를 확인한다(S190).
충전관리서버(200)는 상기 제공자 충전결과정보 및 상기 사용자 충전결과정보가 상이한 경우에는, 불법 충전이 발생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관리자에게 통지한다(S200).
충전관리서버(200)는 상기 제공자 충전결과정보 및 상기 사용자 충전결과정보를 저장부(230)에 저장한다(S210).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비상 충전 시스템 1 충전관리서버 200
충전장치 300 전기차 400

Claims (13)

  1. 배터리 교체식 전기차를 비상충전하기 위한 비상충전 정보를 충전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비상충전 정보를 기초로 상기 배터리 교체식 전기차의 충전을 차단하는 충전 잠금 기능의 해제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충전장치 인증정보 및 전기차 인증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충전장치 인증정보를 상기 충전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전기차 인증정보를 상기 배터리 교체식 전기차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된 충전장치 인증정보는 상기 충전장치에서 상기 배터리 교체식 전기차로 포워딩되며,
    상기 배터리 교체식 전기차에서 상기 전송된 전기차 인증정보 및 상기 포워딩된 충전장치가 인증정보가 매칭되는 경우에, 상기 배터리 교체식 전기차의 충전 잠금 기능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교체식 전기차를 위한 비상충전 관리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제공자 충전결과정보 및 상기 배터리 교체식 전기차로부터 전송되는 사용자 충전결과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공자 충전결과정보 및 상기 사용자 충전결과정보가 상이한 경우에는, 불법 충전이 발생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관리자에게 통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교체식 전기차를 위한 비상충전 관리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충전 정보는,
    상기 충전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 상기 배터리 교체식 전기차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 및 충전 요구량을 지시하는 충전량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교체식 전기차를 위한 비상충전 관리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비상충전 정보를 기초로 충전 허용량을 지시하는 충전 허용량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충전 허용량 정보를 상기 배터리 교체식 전기차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충전 허용량 정보를 기초로 상기 해제된 충전 잠금 기능의 설정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교체식 전기차를 위한 비상충전 관리 방법.
  5. 배터리 교체식 전기차를 비상충전하기 위한 비상충전 정보를 충전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비상충전 정보의 전송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배터리 교체식 전기차의 충전을 차단하는 충전 잠금 기능의 해제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충전장치 인증정보를 상기 충전관리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충전장치 인증정보를 상기 배터리 교체식 전기차로 포워딩하는 단계;
    상기 배터리 교체식 전기차의 충전 잠금 기능이 해제된 경우에, 상기 배터리 교체식 전기차로의 충전을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배터리 교체식 전기차로의 충전이 완료된 경우에는, 상기 충전에 대한 충전 결과를 지시하는 충전결과정보를 상기 충전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교체식 전기차를 위한 비상충전 관리 방법.
  6. 전기차 인증정보를 충전관리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충전장치 인증정보를 충전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전기차 인증정보 및 상기 수신된 충전장치 인증정보가 매칭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전기차 인증정보 및 상기 충전장치 인증정보가 매칭되는 경우에는, 충전을 차단하는 충전 잠금 기능을 해제하고, 상기 충전장치에 의해 충전을 받는 단계; 및
    상기 충전이 완료된 경우에는, 상기 충전에 대한 충전 결과를 지시하는 충전결과정보를 상기 충전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교체식 전기차를 위한 비상충전 관리 방법.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
  8. 배터리 교체식 전기차를 비상충전하기 위한 비상충전 정보를 충전장치로부터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수신된 비상충전 정보를 기초로 상기 배터리 교체식 전기차의 충전을 차단하는 충전 잠금 기능의 해제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충전장치 인증정보 및 전기차 인증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충전장치 인증정보가 상기 충전장치로 전송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생성된 전기차 인증정보가 상기 배터리 교체식 전기차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된 충전장치 인증정보는 상기 충전장치에서 상기 배터리 교체식 전기차로 포워딩되며, 상기 배터리 교체식 전기차에서 상기 전송된 전기차 인증정보 및 상기 포워딩된 충전장치가 인증정보가 매칭되는 경우에, 상기 배터리 교체식 전기차의 충전 잠금 기능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교체식 전기차를 위한 충전관리서버.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전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제공자 충전결과정보 및 상기 배터리 교체식 전기차로부터 전송되는 사용자 충전결과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제공자 충전결과정보 및 상기 사용자 충전결과정보가 상이한 경우에는, 불법 충전이 발생했음을 알리는 메시지가 관리자에게 통지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교체식 전기차를 위한 충전관리서버.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충전 정보는,
    상기 충전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 상기 배터리 교체식 전기차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 및 충전 요구량을 지시하는 충전량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교체식 전기차를 위한 충전관리서버.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비상충전 정보를 기초로 충전 허용량을 지시하는 충전 허용량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생성된 충전 허용량 정보를 상기 배터리 교체식 전기차로 전송하며,
    상기 충전 허용량 정보를 기초로 상기 해제된 충전 잠금 기능의 설정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교체식 전기차를 위한 충전관리서버.
  12. 배터리 교체식 전기차를 비상충전하기 위한 비상충전 정보를 충전관리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비상충전 정보의 전송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배터리 교체식 전기차의 충전을 차단하는 충전 잠금 기능의 해제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충전장치 인증정보를 상기 충전관리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충전장치 인증정보를 상기 배터리 교체식 전기차로 포워딩하는 통신부; 및
    상기 배터리 교체식 전기차의 충전 잠금 기능이 해제된 경우에, 상기 배터리 교체식 전기차로의 충전을 제어하고, 상기 배터리 교체식 전기차로의 충전이 완료된 경우에는, 상기 충전에 대한 충전 결과를 지시하는 충전결과정보가 상기 충전관리서버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교체식 전기차를 위한 충전장치.
  13. 전기차 인증정보를 충전관리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충전장치 인증정보를 충전장치로부터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수신된 전기차 인증정보 및 상기 수신된 충전장치 인증정보가 매칭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전기차 인증정보 및 상기 충전장치 인증정보가 매칭되는 경우에는, 충전을 차단하는 충전 잠금 기능을 해제하며, 상기 충전장치에 의해 충전을 받도록 제어하고, 상기 충전이 완료된 경우에는, 상기 충전에 대한 충전 결과를 지시하는 충전결과정보가 상기 충전관리서버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교체식 전기차.
KR1020150107871A 2015-07-30 2015-07-30 배터리 교체식 전기차를 위한 비상 충전 관리 방법, 충전관리서버, 충전장치, 배터리 교체식 전기차, 그리고 컴퓨터프로그램 KR1017933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7871A KR101793330B1 (ko) 2015-07-30 2015-07-30 배터리 교체식 전기차를 위한 비상 충전 관리 방법, 충전관리서버, 충전장치, 배터리 교체식 전기차, 그리고 컴퓨터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7871A KR101793330B1 (ko) 2015-07-30 2015-07-30 배터리 교체식 전기차를 위한 비상 충전 관리 방법, 충전관리서버, 충전장치, 배터리 교체식 전기차, 그리고 컴퓨터프로그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4460A true KR20170014460A (ko) 2017-02-08
KR101793330B1 KR101793330B1 (ko) 2017-11-02

Family

ID=58154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7871A KR101793330B1 (ko) 2015-07-30 2015-07-30 배터리 교체식 전기차를 위한 비상 충전 관리 방법, 충전관리서버, 충전장치, 배터리 교체식 전기차, 그리고 컴퓨터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333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22339A (zh) * 2017-12-06 2018-06-05 佛山华平勇创能源科技有限公司 电池更换管理方法、装置、存储介质、服务器及系统
CN109649349A (zh) * 2018-12-27 2019-04-19 广西特斯途汽车科技有限公司 一种电池共享系统
KR20200057518A (ko) * 2018-11-16 2020-05-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차 충전 제어 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20200139309A (ko) * 2019-06-03 2020-12-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배터리 교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220050739A (ko) * 2020-10-16 2022-04-25 에코브 주식회사 차량용 배터리의 충전 스테이션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4550B1 (ko) 2022-09-01 2023-08-07 주식회사 두루스코이브이 전기차 휴대용 기능박스 일체형 충전기 및 그 충전기의 구동방법
KR102526236B1 (ko) 2022-09-01 2023-04-27 주식회사 두루스코이브이 푸시풀 키패드 전기차 충전기 및 그 충전기의 구동방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11554A (ja) 2000-01-26 2001-08-03 Honda Motor Co Ltd 電動車両用充電装置
JP2011211880A (ja) 2010-03-31 2011-10-20 Motion:Kk 車載バッテリー充電システム、管理サーバー、管理サーバー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DE102010026689A1 (de) 2010-07-09 2012-01-12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Steuereinheit zum Laden eines Fahrzeugakkumulators
JP5927585B2 (ja) 2010-10-01 2016-06-0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気自動車の電力供給システム、このシステムに用いる電気自動車および給電装置
JP5522115B2 (ja) * 2011-04-27 2014-06-18 株式会社デンソー 充電制御装置
JP2013225969A (ja) 2012-04-20 2013-10-31 Toyota Industries Corp 非接触充電管理システム及びそれに対応する車両
JP5563626B2 (ja) 2012-06-29 2014-07-30 国民大学校産学協力団 バッテリー交換方式の電気車充電ステーションシステム
JP6127842B2 (ja) 2013-09-04 2017-05-1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充電システムおよび車載機並びに充電方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22339A (zh) * 2017-12-06 2018-06-05 佛山华平勇创能源科技有限公司 电池更换管理方法、装置、存储介质、服务器及系统
KR20200057518A (ko) * 2018-11-16 2020-05-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차 충전 제어 장치, 시스템 및 방법
CN109649349A (zh) * 2018-12-27 2019-04-19 广西特斯途汽车科技有限公司 一种电池共享系统
KR20200139309A (ko) * 2019-06-03 2020-12-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배터리 교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11603009B2 (en) 2019-06-03 2023-03-14 Hyundai Motor Company Vehicle battery exchange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220050739A (ko) * 2020-10-16 2022-04-25 에코브 주식회사 차량용 배터리의 충전 스테이션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3330B1 (ko) 2017-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3330B1 (ko) 배터리 교체식 전기차를 위한 비상 충전 관리 방법, 충전관리서버, 충전장치, 배터리 교체식 전기차, 그리고 컴퓨터프로그램
EP263081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 credential provisioning
CN108665250B (zh) 一种信息处理方法、装置、硬件钱包以及系统
EP1918894B1 (en) Information storage device, information storage program, verification device and information storage method
CN106611310B (zh) 数据处理的方法、穿戴式电子设备和系统
CN101490698A (zh) 计算机系统的组件认证
CN108632250A (zh) 指令操控会话主密钥生成、操作指令传输的方法及设备
JP6092529B2 (ja) 電気移動体用充電システム及びそれに含まれるサーバ装置
CN112328271B (zh) 一种车载设备软件升级方法及系统
CN111160915A (zh) 一种乘车码验证方法、装置、交通扫码设备及终端设备
CN105592071A (zh) 一种在设备之间进行授权的方法和装置
JP2005159905A (ja) データ保存装置及び通信端末装置
CN109606311A (zh) 车辆认证方法、装置以及存储介质
WO2006055411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gmenting information security through the use of location data
CN112669104A (zh) 租赁设备的数据处理方法
CN112583595B (zh) 一种车辆充电安全管理方法
JP4539880B2 (ja) 認証システムおよび判定方法
KR20160007704A (ko) 이동통신서비스 사용자를 위한 스마트폰 충전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충전방법
CN108932619B (zh) 一种终端离线的收费服务方法及系统
CN114629724B (zh) 车联网数据传输方法、装置、服务器及存储介质
CN114039771B (zh) 一种数据处理方法、装置、系统、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9775043B2 (en) Network locking method and system for wireless terminal
CN101478538A (zh) 管理安全设备的存储方法、装置或系统
KR20150053277A (ko) 소프트웨어의 실행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CN113453223B (zh) 密钥更新方法、系统、装置、存储介质及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