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4433A - 냉각팬용 직류 모터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냉각팬용 직류 모터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4433A
KR20170014433A KR1020150107804A KR20150107804A KR20170014433A KR 20170014433 A KR20170014433 A KR 20170014433A KR 1020150107804 A KR1020150107804 A KR 1020150107804A KR 20150107804 A KR20150107804 A KR 20150107804A KR 20170014433 A KR20170014433 A KR 201700144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voltage
output
output voltage
pw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7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1029B1 (ko
Inventor
김기영
손정현
한덕호
승혜미
Original Assignee
대우전자부품(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전자부품(주) filed Critical 대우전자부품(주)
Priority to KR10201501078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1029B1/ko
Publication of KR201700144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44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1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10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7/00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electric DC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5/00Pumping cooling-air or liquid coolants
    • F01P5/02Pumping cooling-air; Arrangements of cooling-air pumps, e.g. fans or blow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4Testing dynamo-electric machin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08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dynamo-electric motors
    • H02H7/0811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dynamo-electric motors for dc m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9/00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electric motors, appropriate for both AC and DC motors
    • H02P29/02Providing protection against overload without automatic interruption of supply
    • H02P29/024Detecting a fault condition, e.g. short circuit, locked rotor, open circuit or loss of load
    • H02P29/027Detecting a fault condition, e.g. short circuit, locked rotor, open circuit or loss of load the fault being an over-curr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Direct Current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PWM 출력 전압 보상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냉각팬용 직류 모터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냉각팬용 직류 모터 제어 장치는 배터리 전압을 모니터링하는 배터리 모니터링부; 모터 출력 전압을 모니터링하는 모터 출력 모니터링부; ECU(Electric Control Unit)로부터 전송되는 기 설정된 듀티를 가지는 PWM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배터리 전압을 기반으로 상기 PWM 신호의 듀티를 1차 조정한 후, 상기 모터 출력 전압에 따라 상기 PWM 신호의 듀티를 2차 조정하는 MCU(Micro Control Unit); 및 상기 MCU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PWM 신호의 듀티에 따라 상기 배터리 전압을 PWM 출력 전압으로 변환하여 직류 모터에 제공하는 게이트 드라이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냉각팬용 직류 모터 제어 장치{Apparatus for DC motor of cooling fan}
본 발명은 보다 신뢰성 있는 PWM 출력 전압의 보상 동작을 수행함과 동시에 과전류 발생에 따른 직류 모터 보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냉각팬용 직류 모터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각팬(Cooling Fan)은 차량의 엔진을 냉각시키는 장치로 냉각팬의 구동에는 모터가 사용되며 모터는 직류 모터를 이용하여 냉각팬을 구동한다. 직류 모터는 AC 모터에 비해 소형으로 고출력 구동이 가능하며, 관성이 작아 응답속도가 빠르고 유지비용이 적게 드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종래의 차량에 장착되는 냉각팬의 구동은 엔진 제어부로부터 전달된 신호가 팬 콘트롤러(Fan Controller)에 입력되면, 듀티(DUTY) 조건에 따른 출력 전압을 MCU(Micro Control Unit)에서 듀티(Duty)를 변조하여 구동단에 출력하는 피드포워드(Feed forward) 방식으로 직류모터의 구동을 제어 하였다.
이때 고온이나 저온으로 인하여 소자의 특성 변화나 직류 모터의 이상이 발생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전압 출력이 변경되는 경우 냉각팬의 동작에 문제가 발생될 수 있으며 또한 엔진 시스템의 냉각에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에 국내공개특허 제10-2008-0092688호 등에서는 직류모터(DC Motor)의 동작 제어시에 모터단의 전류를 검출하여 출력 전압을 보상하고 과전류의 유입을 차단시켜 일정하고 안정적으로 구동시키는 차량의 냉각팬 모터 제어 장치를 제안한 바 있다.
그러나 출력 전압 보상 동작을 수행하는 MCU(Micro Control Unit)는 모터단의 출력 전류를 직접 인가받을 수 없으며, 모터단에 연결된 스위치의 소스단에 연결되어 전류를 정밀하게 파악하도록 하는 저항, 상기 저항에 연결되어 전류를 검출 증폭하여 제공하는 전류센싱부를 거치면서 MCU가 인지 및 프로세싱 가능한 신호 형태로 변환된 후에 MCU에 인가될 수 있다.
이에 종래의 기술에 따른 MCU의 출력 전압 보상 속도에 소정이 지연이 필연적으로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국내공개특허 제10-2008-0092688호에서는 과전류의 유입을 차단하도록 하는 기술만을 제공하도록 하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과전류가 발생하는 경우 이에 대한 후속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제안하지 못하고 있다.
국내공개특허 제10-2008-0092688호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직류 모터의 출력 전압과 배터리 전압을 통해 PWM 출력 전압 보상 동작을 다단 수행함으로써, PWM 출력 전압 보상 속도가 보다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냉각팬용 직류 모터 제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과전류 발생을 검출하고, 이로부터 직류 모터를 보다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냉각팬용 직류 모터 제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배터리 전압을 모니터링하는 배터리 전압 모니터링부; 모터 출력 전압 및 전류를 모니터링하는 모터 출력 전류 모니터링부; 상기 배터리 전압과 모터 출력 전류에 따라 PWM 신호의 출력 듀티를 다단 조정하고, 상기 모터 출력 전류가 과전류이면 상기 PWM 신호의 출력을 일시 중지하는 MCU(Micro Control Unit); 및 상기 MCU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PWM 신호의 출력 듀티에 따라 상기 배터리 전압을 PWM 출력 전압으로 변환하여 직류 모터에 제공하는 게이트 드라이버를 포함하는 냉각팬용 직류 모터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과전류 보호부는 상기 PWM 신호의 출력 중지 횟수가 기 설정된 횟수가 되면, 모터 구속 상태를 사용자 안내하기 위한 진단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전류 보호부는 상기 모터 출력 전류가 기 설정된 시간 이상 동안 정상 상태이면, 상기 PWM 신호의 출력 중지 횟수를 초기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냉각팬용 직류 모터 제어 장치에 따르면, 모니터링에 소정의 시간이 소요되는 모터 출력 전압 이외에 빠른 모니터링 속도를 보장하는 배터리 전압을 이용하여 PWM 출력 전압 보상을 다단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PWM 출력 전압 보상 속도가 보다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냉각팬용 직류 모터 제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모터 출력 전압을 기반으로 직류 모터의 제조 공정 및 구동 환경의 변수에 따른 PWM 출력 전압 변동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배터리 전압을 기반으로 배터리 전압 변동에 따른 PWM 출력 전압 변동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더하여 과전류 발생이 일정 시간 동안 반복적으로 검출되면, 사용자에게 과전류 발생 현황을 시청각적으로 안내함으로써, 사용자가 적절한 후속조치를 신속하게 취할 수 있도록 하는 냉각팬용 직류 모터 제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도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팬용 직류 모터 제어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팬용 직류 모터 제어 장치의 MCU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팬용 직류 모터 제어 장치의 PWM 출력 전압 보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팬용 직류 모터 제어 장치의 PWM 과전류 보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팬용 직류 모터 제어 장치의 PWM 과전류 검출 기준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팬용 직류 모터 제어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냉각팬용 직류 모터 제어 장치(100)는 배터리 모니터링부(110), 모터 전류 모니터링부(120), MCU(Micro Control Unit)(130), 게이트 드라이버(140), 스위치(1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ECU(Electric Control Unit)(10)는 엔진 운전을 컨트롤 하며, 엔진 출력의 향상, 연소 소비량의 향상, 주행성능, 배출가스의 제어, 공전속도, 점화시기 등을 정밀 제어하고, 이와 동시에 차량내 각종 센서들과 연동하여 각종회로와 시스템을 가동하고, 자동차의 엔진, 변속기, 현가 장치, 오디오/비디오 등의 컨트롤을 한다.
특히, 본 발명의 ECU(10)는 온도 센서와 같은 각종 차량 센서들과 연동하여 차량 냉각량을 산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미리 설정된 가변의 듀티를 갖는 PWM(Pulse Width Modulation) 신호를 생성하여 직류 모터 제어 장치(100)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직류 모터 제어 장치(100)는 표1과 같은 PWM 신호의 입력 듀티와 PWM 출력 전압간 상관관계 정보를 구비한다. 그리고 PWM 신호의 입력 듀티에 따라 PWM 출력 전압, 즉직류 모터(30)로의 배터리 전압 공급량을 조정함으로써, 직류 모터(30)가 냉각팬을 필요량만큼 회전시키고, 이에 따라 냉각팬이 차량을 적정하게 냉각할 수 있도록 한다.
PWM 신호의 입력 듀티 모터 입력 전압
10% 0V(직류 모터 오프)
30% 4.1V±0.65V
60% 8.2V±0.65V
70% 9.57V±0.65V
90% 12.5V 이상
참고로, 직류 모터(30)의 제조 공정 및 구동 환경의 변수로 인해 직류 모터 제어 장치(100)가 동일한 배터리 전압을 제공하더라고, 실제 직류 모터(30)가 공급받는 전압량이 상이해질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직류 모터 제어 장치(100)는 직류 모터(30)의 출력 전압을 파악하고, 모터 입력 전압의 이상 유무와 편차를 판단하여 직류 모터(30)로 공급되는 PWM 출력 전압을 보상하도록 한다. 즉, 모터 출력 전압을 기반으로, 직류 모터(30)에 실제 제공되는 출력 전압을 수시로 보상하도록 한다.
다만, 이와 같은 모터 출력 피드백 방식으로 PWM 출력 전압을 제어하는 경우, 소정의 응답 지연이 발생할 수 있다. 이는 PWM 출력 전압 보상을 수행하는 MCU(130)가 모터 출력 전압을 인지하고, 이에 따른 PWM 출력 전압 보상을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모터 출력 전압을 전압 분배한 후 커패시터를 통해 전압 평활화하고, 평활화된 전압을 디지털 신호 형태로 변환하는 등의 일련의 과정을 거쳐야 하기 때문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직류 모터 출력 전압 이외에 배터리 전압 모니터링 결과를 추가적으로 이용하도록 하고, 배터리 전압을 통해서는 PWM 출력 전압 보상을 1차적으로, 모터 출력 전압을 통해서는 PWM 출력 전압 보상을 2차적으로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상기의 응답 지연이 상쇄될 수 있도록 하고, 결과적으로 PWM 출력 전압 보상 속도가 향상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모터 출력 전류가 과전류이면 직류 모터로의 전압 공급을 잠시 중단함으로써, 과전류에 의해 직류 모터 및 내부 소자가 손상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도록 해준다.
또한, 직류 모터로의 전압 공급 중지 횟수가 기 설정된 횟수가 되면, 사용자에게 차량 점검을 요청하는 진단 신호를 생성한 후 ECU(10) 등에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현재의 차량 상태를 인지하고, 적절한 후속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한다.
계속하여, 본 발명의 냉각팬용 직류 모터 제어 장치(100)의 구성요소별 기능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배터리 모니터링부(110)는 배터리의 +/- 출력 단자 중 하나에 연결된 저항(R)을 구비하고, 이를 통해 직류 모터(30)에 인가되는 전압 일부를 획득하도록 한다. 즉, 직류 모터(30)에 제공되는 배터리 전압을 모니터링하여 MCU(130)에 통보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필요한 경우 배터리 모니터링부(110)는 배터리의 +/- 출력 단자 중 하나와 저항(R) 사이에 배치되는 역접속 보호용 다이오드를 추가 구비함으로써, 배터리와 MCU(130)의 역접속이 사전에 방지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역접속 보호용 다이오드의 접속 방향은 배터리의 출력 단자에 따라 변화될 수 있음은 물론 당연할 것이다.
모터 출력 모니터링부(120)는 직류 모터(30)의 +/- 출력 단자 중 하나, 또는 스위치(150)의 소스 단자에 연결된 전압 분배부(121)와 전압 평활부(122)를 구비하고, 이를 통해 모터 출력 전압 및 전류를 모니터링하여 MCU(130)에 통보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전압 분배부(121)는 스위치(150)의 소스 단자(또는 직류 모터(30)의 + 출력 단자, 또는 직류 모터(30)의 - 출력 단자)와 MCU(130) 사이에 연결된 제1 저항(R1)과, MCU(130)와 접지 사이에 연결된 제2 저항(R2)을 구비하고, 이들을 통해 직류 모터(30)의 출력 전압을 "R2/R1+R2" 만큼 분압하도록 한다.
전압 평활화부(122)는 제1 및 제2 저항의 접점과 접지 사이에 연결된 캐패시터(C)를 구비하고, 이를 통해 전압 분배부(121)를 통해 분압된 전압을 평활화한 후 MCU(130)에 인가하도록 한다.
MCU(130)는 제1 ADC(131), 제2 ADC(132), 입력 듀티 추출부(133) 및 출력 전압 조정부(134) 및 과전류 보호부(13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ADC(131)는 배터리 모니터링부(110)의 출력 전압을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하여 출력하고, 제2 ADC(132)는 모터 전류 모니터링부(120)의 출력 전압을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하여 출력하도록 한다.
입력 듀티 추출부(133)는 내부 타이머를 구비하고, 이를 통해 PWM의 펄스폭을 카운트하여 PWM 신호의 입력 듀티를 추출한다.
출력 전압 조정부(134)는 앞서 설명된 표1의 PWM 신호의 입력 듀티와 PWM 출력 전압간 상관관계 정보를 구비하고, 이를 기반으로 ECU(10)로부터 전송된 PWM 신호의 입력 듀티에 대응되는 PWM 출력 전압을 파악하도록 한다. 그리고 모터 출력 전압을 피드백받는 데에 소정의 시간이 걸림을 고려하여, PWM 출력 전압과 배터리 전압간의 전압차를 기반으로 PWM 신호의 입력 듀티를 우선적으로 조정하도록 한다. 그리고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여 모터 출력 전압이 피드백되면, 이를 해당 시점에서의 배터리 전압과 비교 분석하고, 배터리 전압과 모터 출력 전압간 전압차를 기반으로 PWM 신호의 입력 듀티를 2차 조정하는 방식으로, PWM 출력 전압 보상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모터 제어부(134)는 도2와 같은 과전압 보호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즉, 배터리 전압이 이하의 표2에서와 같이 배터리 전압이 기 설정된 정상 동작 전압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상기 직류 모터를 동작 정지시키되, 다시 정상 동작 전압범위로 복귀되는 경우에는 상기 직류 모터를 다시 정상 동작시키도록 하는 과전압 보호 기능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배터리 전압(V) 상태
V ≤ 7.5(±0.5V) VOLTAGE ERROR(모터 정지)
7.5 < V < 8.0 (±0.5V) HYSTERESIS (모터 이전 상태 유지)(*1)
8.0 < V < 16.5 (±0.5V) 정상 동작
16.5 < V < 17.0 (±0.5V) HYSTERESIS (모터 이전 상태 유지)(*1)
V ≥ 17.0 (±0.5V) VOLTAGE ERROR(정지)
과전류 보호부(135)는 제2 ADC(132)의 출력을 기 설정된 과전류 검출값과 비교하여 과전류 발생 여부를 확인한 후, 과전류 발생 확인시에는 게이트 드라이버(140)에 이를 통보하여 게이트 드라이버(140)가 직류 모터로의 전압 공급 동작을 일시 중지하도록 한다.
과전류 보호부(135)는 직류 모터로의 전압 공급 중지 횟수 즉, PWM 신호 출력 중지 횟수를 카운팅하고, 직류 모터로의 전압 공급 중지 횟수가 기 설정된 횟수가 되면, 사용자에게 차량 점검을 요청하는 진단 신호를 생성하여 ECU(10) 등에 제공하도록 한다. 즉, 일정 기간내에 직류 모터로의 전압 공급 동작이 반복적으로 수행되면, 사용자가 현재의 차량 상태를 시청각적으로 인지하고, 적절한 후속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한다.
게이트 드라이버(140)는 MCU(130)에 의해 다단 조정된 PWM 신호의 출력 듀티에 따라 스위치(150)의 턴온 또는 턴오프시켜, 목표하는 전압값을 가지는 배터리 전압이 직류 모터(30)에 인가되도록 한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팬용 직류 모터 제어 장치의 PWM 출력 전압 보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ECU(10)는 상위 제어장치가 요청한 냉각량에 비례하는 입력 듀티를 가지는 PWM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면, 직류 모터 제어 장치(100)내 입력 듀티 추출부(133)를 PWM 신호를 수신 및 분석하여 PWM 신호의 입력 듀티를 추출하도록 하도록 한다(S11).
그러면, 직류 모터 제어 장치(100)내 출력 전압 보상부(134)는 기 설정된 PWM 신호의 입력 듀티와 PWM 출력 전압간 상관관계 정보를 기반으로 PWM 신호의 입력 듀티를 분석하여 PWM 출력 전압을 파악하도록 한다(S12).
그리고 출력 전압 보상부(134)는 배터리 모니터링부(110)를 통해 배터리 전압을 모니터링한 후 단계 S12를 통해 파악된 PWM 출력 전압을 비교하여, 배터리 전압과 PWM 출력 전압간 전압차를 파악하도록 한다(S13).
그리고 배터리 전압과 PWM 출력 전압간 전압차를 고려하여 PWM 신호의 출력 듀티를 1차 보상하도록 한다. 즉, PWM 출력 전압이 배터리 전압보다 큰 경우에는 PWM 신호의 입력 듀티를 증가시키고, 작은 경우에는 PWM 신호의 출력 듀티를 감소시키고, 동일한 경우에는 PWM 신호의 출력 듀티를 그대로 유지시키는 방식으로 PWM 신호의 출력 듀티를 조정하도록 한다(S14). 그러면 게이트 드라이버(140)는 PWM 신호의 출력 듀티에 응답하여 배터리 전압을 기 설정된 전압값을 가지는 PWM 출력 전압으로 변환하여 제공하고, 직류 모터(30)가 이에 응답하여 PWM 출력 전압을 기반으로 냉각 팬을 회전시키기 시작한다.
그리고 직류 모터(30)가 구동됨에 따라 직류 모터(30)의 여분 전류가 직류 모터(30) 및 스위치(150)를 거쳐 접지로 흐르기 시작하면, 모터 출력 모니터링부(120)는 이로부터 모터 출력 전압을 검출하여 MCU(130)에 통보하도록 한다(S15).
그러면, 출력 전압 보상부(134)는 단계 S15를 통해 통보받은 모터 출력 전압을 배터리 전압과 비교하고, 모터 출력 전압과 배터리 전압간의 차이를 기반으로 PWM 신호의 출력 듀티를 2차 보상하도록 한다(S16).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모터 출력 모니터링에 소요되는 시간이 상대적으로 많이 걸림을 고려하여, 모터 출력 전압에 기반한 PWM 출력 전압 보상 동작 이전에 배터리 전압에 기반한 PWM 출력 전압 보상이 우선적으로 수행되도록 함을 알 수 있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팬용 직류 모터 제어 장치의 PWM 과전류 보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직류 모터 제어 장치(100)내 과전류 보호부(135)는 모터 출력 모니터링부(120)를 파악된 모터 출력 전류를 파악하고, 이를 사전에 설정된 구속 기준값과 비교하여 과전류 발생 여부를 확인하도록 한다(S21). 이때, 구속 기준값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 출력 전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모터 출력 전압에 비례하여 과전류 판단용 기준값이 증가될 수 있다.
단계 S21을 통해 과전류 발생이 확인되면, 과전류 보호부(135)는 PWM 신호의 출력을 중지하는 락킹 신호를 발생하여 제1 시간(예를 들어, 15초) 동안 게이트 드라이버(140)에 제공함으로써, 직류 모터(30)로의 PWM 전압 공급이 일시 중지되도록 한다(S22).
그리고 직류 모터로의 전압 공급 중지 횟수(LOCK)가 사전에 설정된 기준 횟수(예를 들어, 3) 이상인지를 확인한 후(S23), 그렇지 않으면 직류 모터로의 전압 공급 중지 횟수(LOCK)를 1회 추가한 후 다시 단계 S21로 재진입하도록 한다(S24).
단계 S3의 확인 결과, 직류 모터로의 전압 공급 중지 횟수(LOCK)가 사전에 설정된 기준 횟수(예를 들어, 3)이면, 진단 신호를 발생하여 제2 시간(예를 들어, 10초) 동안 ECU (10) 등을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현재 직류 모터에 반복적으로 과전류가 흐름을 시청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S25).
한편, 과전류가 제3 시간(예를 들어, 40초) 이상 발생하지 않으면(S26) 이전에 카운팅된 직류 모터로의 전압 공급 중지 횟수(LOCK)을 초기화하도록 한다(S27).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3)

  1. 배터리 전압을 모니터링하는 배터리 전압 모니터링부;
    모터 출력 전압 및 전류를 모니터링하는 모터 출력 전류 모니터링부;
    상기 배터리 전압과 모터 출력 전류에 따라 PWM 신호의 출력 듀티를 다단 조정하고, 상기 모터 출력 전류가 과전류이면 상기 PWM 신호의 출력을 일시 중지하는 MCU(Micro Control Unit); 및
    상기 MCU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PWM 신호의 출력 듀티에 따라 상기 배터리 전압을 PWM 출력 전압으로 변환하여 직류 모터에 제공하는 게이트 드라이버를 포함하는 냉각팬용 직류 모터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과전류 보호부는
    상기 PWM 신호의 출력 중지 횟수가 기 설정된 횟수가 되면, 모터 구속 상태를 사용자 안내하기 위한 진단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팬용 직류 모터 제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과전류 보호부는
    상기 모터 출력 전류가 기 설정된 시간 이상 동안 정상 상태이면, 상기 PWM 신호의 출력 중지 횟수를 초기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팬용 직류 모터 제어 장치.
KR1020150107804A 2015-07-30 2015-07-30 냉각팬용 직류 모터 제어 장치 KR1024710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7804A KR102471029B1 (ko) 2015-07-30 2015-07-30 냉각팬용 직류 모터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7804A KR102471029B1 (ko) 2015-07-30 2015-07-30 냉각팬용 직류 모터 제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4433A true KR20170014433A (ko) 2017-02-08
KR102471029B1 KR102471029B1 (ko) 2022-11-25

Family

ID=58154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7804A KR102471029B1 (ko) 2015-07-30 2015-07-30 냉각팬용 직류 모터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10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31267A (zh) * 2018-04-27 2018-10-09 武汉中智德远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具有软启动和过流保护功能的电机电源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40459A (ja) * 1998-02-24 1999-09-07 Nippon Seiko Kk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の制御装置
KR20010003949A (ko) * 1999-06-26 2001-01-15 김득수 직류모터 구동장치의 제어회로
JP2005513987A (ja) * 2001-12-18 2005-05-12 ローベルト ボツシユ ゲゼルシヤフト ミツト ベシユ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電気モータを過負荷から保護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回路装置
JP2007504797A (ja) * 2003-09-05 2007-03-01 エレクトロニック シアター コントロール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ステッパモータをドライブする回路及びステッパモータドライバを制御する方法
JP2007091121A (ja) * 2005-09-29 2007-04-12 Jtekt Corp モータ制御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KR20070065954A (ko) * 2005-11-29 2007-06-27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직류 모터 제어장치
KR100795002B1 (ko) * 2006-07-19 2008-01-15 주식회사 만도 Pwm 모듈 일체형 게이트 드라이버 모듈 구조를 갖는전자 제어 장치
KR20080092688A (ko) 2007-04-13 2008-10-16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차량의 쿨링팬 모터 제어 장치
JP2010081674A (ja) * 2008-09-24 2010-04-08 Denso Corp 発電機制御装置の調整方法
KR101176010B1 (ko) * 2010-10-06 2012-08-21 동아전장주식회사 냉각팬 모터의 전압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50081893A (ko) * 2014-01-07 2015-07-15 삼성전기주식회사 모터의 구동장치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40459A (ja) * 1998-02-24 1999-09-07 Nippon Seiko Kk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の制御装置
KR20010003949A (ko) * 1999-06-26 2001-01-15 김득수 직류모터 구동장치의 제어회로
JP2005513987A (ja) * 2001-12-18 2005-05-12 ローベルト ボツシユ ゲゼルシヤフト ミツト ベシユ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電気モータを過負荷から保護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回路装置
JP2007504797A (ja) * 2003-09-05 2007-03-01 エレクトロニック シアター コントロール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ステッパモータをドライブする回路及びステッパモータドライバを制御する方法
JP2007091121A (ja) * 2005-09-29 2007-04-12 Jtekt Corp モータ制御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KR20070065954A (ko) * 2005-11-29 2007-06-27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직류 모터 제어장치
KR100795002B1 (ko) * 2006-07-19 2008-01-15 주식회사 만도 Pwm 모듈 일체형 게이트 드라이버 모듈 구조를 갖는전자 제어 장치
KR20080092688A (ko) 2007-04-13 2008-10-16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차량의 쿨링팬 모터 제어 장치
JP2010081674A (ja) * 2008-09-24 2010-04-08 Denso Corp 発電機制御装置の調整方法
KR101176010B1 (ko) * 2010-10-06 2012-08-21 동아전장주식회사 냉각팬 모터의 전압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50081893A (ko) * 2014-01-07 2015-07-15 삼성전기주식회사 모터의 구동장치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31267A (zh) * 2018-04-27 2018-10-09 武汉中智德远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具有软启动和过流保护功能的电机电源
CN108631267B (zh) * 2018-04-27 2019-08-13 保定博为泓翔电气有限公司 一种具有软启动和过流保护功能的电机电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1029B1 (ko) 2022-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25249B2 (en) Control apparatus for electromagnetic inductive load
US7609496B2 (en) Non-feedback type load current controller
US7847525B2 (en) Thermal protection of controller for on-vehicle alternators
KR100784887B1 (ko) 자동차용 모터의 과전류 검출장치
US20040108842A1 (en) Power supply unit
CN108400734B (zh) 驱动器电路及其操作方法和半桥驱动器集成电路
US7091685B2 (en) Overload protection for DC motors
US2007026800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ximizing the output of a vehicle alternator
US7106028B2 (en) Controller of A.C. generator for vehicles
JP2006304504A (ja) 車両用発電機の制御装置
CN109565241B (zh) 直流电压转换器和用于调节直流电压转换器的方法
CN110855197B (zh) 用于电整流的电动机的自适应的保持通电
KR20080092688A (ko) 차량의 쿨링팬 모터 제어 장치
KR101856694B1 (ko) 로우 사이드 구동 ic 고장진단 장치 및 방법
JP6232133B2 (ja) 電子制御装置
KR20170014433A (ko) 냉각팬용 직류 모터 제어 장치
US6965222B2 (en) Current controller for inductive load
KR101176010B1 (ko) 냉각팬 모터의 전압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537245B1 (ko) 팬 모터 및 블로워 모터의 통합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70014432A (ko) 냉각팬용 직류 모터 제어 장치
US8704497B2 (en) Control device for vehicle AC generator
US20140285161A1 (en)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the progressive charging of an automobile alternator, and automobile alternator comprising such a system
KR101433757B1 (ko) 엔진 냉각팬 모터 제어기의 부하 전류 측정 오차 보상 방법
KR101061775B1 (ko) 디젤 연료 차량의 브러시형 직류 모터 구동장치 및 구동방법
US10879888B2 (en) Method for actuating at least one semiconductor switch, in particular in a component of a mot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