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3714A - 다단붐의 인입풀리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다단붐의 인입풀리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3714A
KR20170013714A KR1020150106776A KR20150106776A KR20170013714A KR 20170013714 A KR20170013714 A KR 20170013714A KR 1020150106776 A KR1020150106776 A KR 1020150106776A KR 20150106776 A KR20150106776 A KR 20150106776A KR 20170013714 A KR20170013714 A KR 201700137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fixing
fixing bolt
pulley
stage b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6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57901B1 (ko
Inventor
배대권
정인권
Original Assignee
디와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와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디와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067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7901B1/ko
Publication of KR201700137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37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7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79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64Jibs
    • B66C23/70Jibs constructed of sections adapted to be assembled to form jibs or various lengths
    • B66C23/701Jibs constructed of sections adapted to be assembled to form jibs or various lengths telescop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64Jibs
    • B66C23/70Jibs constructed of sections adapted to be assembled to form jibs or various lengths
    • B66C23/701Jibs constructed of sections adapted to be assembled to form jibs or various lengths telescopic
    • B66C23/703Jibs constructed of sections adapted to be assembled to form jibs or various lengths telescopic telescoped by flexible elements, e.g. cables, chains or b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64Jibs
    • B66C23/70Jibs constructed of sections adapted to be assembled to form jibs or various lengths
    • B66C23/701Jibs constructed of sections adapted to be assembled to form jibs or various lengths telescopic
    • B66C23/707Jibs constructed of sections adapted to be assembled to form jibs or various lengths telescopic guiding devices for telescopic ji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입 와이어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해 탄성체를 이용하여 인입 와이어를 다단붐에 고정하는 다단붐의 인입풀리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다단붐에 고정되며 일측면에서 타측면을 관통하는 볼트공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바; 상기 볼트공의 직경 보다 큰 직경을 갖는 고정볼트 머리부와 상기 볼트공에 끼워지는 고정볼트 본체부로 이루어진 고정볼트; 상기 고정볼트 본체부에 끼워지는 탄성체; 상기 탄성체 일단에 놓이며, 상기 고정볼트 본체부에 이동 가능하게 끼워져 있는 슬라이딩부; 상기 탄성체 타단에 놓이며 상기 고정볼트 본체부에 고정된 고정부; 및 상기 슬라이딩부에 결합 되며, 상기 인입 와이어를 장착할 수 있는 홈이 마련되어 있는 와이어 장착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붐의 인입풀리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단붐의 인입풀리 고정장치 {Fixing apparatus of Retracting pulley at Multi-boom}
본 발명은 인입 와이어를 다단붐에 고정하기 위한 다단붐의 인입풀리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인입 와이어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해 탄성체를 이용하여 인입 와이어를 다단붐에 고정하는 다단붐의 인입풀리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크레인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붐(11,12,13,14,15,16)들로 이루어진 붐조립체로 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러한 붐 조립체의 복수의 붐(11,12,13,14,15,16)은 유압 실린더(21,22,23), 인입 와이어(31), 인출 와이어(32,33), 인입풀리(41,42), 인출풀리(51,52) 등에 의해 인입되고 인출되도록 되어 있다.
유압 실린더(21,22,23)의 유압으로 제1단붐(11), 제2단붐(12), 제3단붐(13), 제4단붐(14)을 이동시키고, 인출풀리(51,52)와 인출 와이어(32,33)로 제5단붐(15), 제6단붐(16)을 이동시켜 복수의 붐(11,12,13,14,15,16)을 인출시킬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유압 실린더(21,22,23)와 인입풀리(41,42), 인입 와이어(31)를 이용하여 복수의 붐(11,12,13,14,15,16)을 인입시킬 수 있다. 이러한 인출 및 인입의 상세한 과정은 공지된 것이므로(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26357) 서술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복수의 붐(11,12,13,14,15,16)이 인입되어 있는 상태이며, 도 2는 복수의 붐(11,12,13,14,15,16)이 인출되어 있는 상태이다.
인입 과정에서 이용되는 인입 와이어(31)는 인입풀리 고정장치에 의해 제6단붐(16)에 고정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종래의 인입 와이어를 제6단붐(16)에 고정하기 위한 인입풀리 고정장치는 고정바(61), 고정볼트(62), 인입풀리 고정부(63), 와이어 장착부(64)로 이루어져 있다. 고정바(61)는 제6단붐(16)에 고정되어 있으며, 고정볼트(62)는 고정바(61)에 고정된다. 인입풀리 고정부(63)는 고정볼트(62)에 끼워져 고정되며, 와이어 장착부(64)는 인입풀리 고정부(63)에 결합되어 있다. 인입 와이어(31)는 와이어 장착부(64)에 장착되고, 이를 통해 인입 와이어(31)는 제6단붐(16)에 고정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복수의 붐(11,12,13,14,15,16)이 인입과 인출을 반복하면서, 인입 와이어(31)는 수축과 긴장을 반복하게 된다. 인입 와이어(31)는 인출시 가장 긴장되며, 이러한 긴장이 반복될수록 장력을 잃고 처짐이 발생한다. 처짐이 발생하면, 인입 와이어(31)와 붐 내부 구조물, 예컨대 유압 실린더(21,22,23) 등 간에 간섭이 일어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붐 내부 구조물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처짐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인입 와이어(31)가 늘어나는 만큼 장력을 조절해야 한다. 종래 기술은 장력을 조절하기 위해 인입 와이어(31)가 늘어난 만큼 고정볼트(62)를 조여야 한다. 고정볼트(62)를 조임으로써, 인입풀리 고정부(63)는 고정바(61)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를 통해 인입 와이어(31)의 처짐이 제거되고 장력을 회복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인입 와이어(31)의 늘어나는 길이는 인입 와이어(31)의 사용빈도와 와이어 연신율에 따라 변하게 된다. 따라서 주기적으로 인입 와이어(31)가 늘어나는 길이를 점검하여 고정볼트(62)를 조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인입 와이어(31)의 처짐으로 인해 발생하는 인입 와이어(31)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도 2에 도시된바와 같이 인입풀리(41,42) 주변에 풀리 가이드(43,44)를 설치해야 한다. 풀리 가이드(43,44)는 인입 와이어(31)가 일정 지점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받쳐 주는 틀의 역할을 한다. 이를 통해 인입 와이어(31)의 이탈을 방지할 수는 있으나, 풀리 가이드(43,44)는 재료비를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26357 (공개일자 : 2015년 03월 11일)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입 와이어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해, 탄성체의 탄성 복원력을 이용하여 인입 와이어를 다단붐에 고정하는 다단붐의 인입풀리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단붐의 인입풀리 고정장치는,
상기 다단붐에 고정되며 일측면에서 타측면을 관통하는 볼트공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바;
상기 볼트공의 직경 보다 큰 직경을 갖는 고정볼트 머리부와 상기 볼트공에 끼워지는 고정볼트 본체부로 이루어진 고정볼트;
상기 고정볼트 본체부에 끼워지는 탄성체;
상기 탄성체 일단에 놓이며, 상기 고정볼트 본체부에 이동 가능하게 끼워져 있는 슬라이딩부;
상기 탄성체 타단에 놓이며 상기 고정볼트 본체부에 고정된 고정부; 및
상기 슬라이딩부에 결합 되며, 상기 인입 와이어를 장착할 수 있는 홈이 마련되어 있는 와이어 장착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다단붐의 인입풀리 고정장치의 와이어 장착부는 상기 슬라이딩부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인입 와이어가 'U' 형태로 장착될 수 있도록 상기 와이어 장착부는 반원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상기 와이어 장착부의 외측면에는 상기 반원 형상의 둘레를 따라 상기 인입 와이어가 장착될 수 있는 홈이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다단붐의 인입풀리 고정장치는 탄성체의 탄성 복원력을 이용하여 인입 와이어를 다단붐에 고정함에 따라 처짐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입 와이어의 처짐으로 발생하는 인입 와이어와 붐 내부 구조물, 예컨대 유압 실린더 등 간의 간섭으로 인한 붐 내부 구조물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인입 와이어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해 고정볼트를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장력을 조절해야 하는 불편함을 없앨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크레인의 다단붐이 인입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크레인의 다단붐이 인출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표기된 "A" 부분에 설치된 인입풀리 고정장치의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 다단붐의 인입풀리 고정장치가 다단붐에 고정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 다단붐의 인입풀리 고정장치가 다단붐에 고정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 다단붐의 인입풀리 고정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 다단붐의 인입풀리 고정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 다단붐의 인입풀리 고정장치의 와이어 장착부와 이탈방지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단붐의 인입풀리 고정장치(100)는 인입 와이어(170)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해, 탄성체(130)를 이용하여 인입 와이어(170)를 다단붐에 고정하는 것으로서, 고정바(110), 고정볼트(120), 탄성체(130), 슬라이딩부(140), 고정부(150), 와이어 장착부(16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크레인의 다단붐(180)을 인입하기 위한 인입 와이어(170)를 다단붐(180)에 고정하는 다단붐의 인입풀리 고정장치(100)로, 다단붐(180) 중 선단측에 있는 다단붐(180)의 일단부에 설치 되어있다.
이러한 다단붐의 인입풀리 고정장치(100)를 통해 인입 와이어(170)는 다단붐(180)에 고정되고, 인입 와이어(170)가 다단붐(180)을 잡아당기는 장력에 의해 다단붐(180)은 인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다단붐의 인입풀리 고정장치(100)는 다단붐(180) 중 선단측에 있는 다단붐(180)의 일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와이어의 처짐을 방지하면서 붐에 와이어를 고정하는 다른 부분에도 본 발명이 이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고정바(110)는 다단붐(180)에 고정되어 있으며, 일측면에서 타측면을 관통하는 볼트공(111)이 형성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고정바(110)는 다단붐(180) 내부를 가로지르는 사각막대(bar)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고정바(110)는 다단붐(180)에 용접을 통해 고정될 수 있으며, 다단붐(180)과 일체로 제작될 수도 있다.
고정바(110)의 형상은 사각막대(bar)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단붐(180)에 고정될 수 있다면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고정바(110)는 다단붐(180) 내부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외에도 다단붐(180)에 고정바(110)가 고정될 수 있다면 다단붐(180)의 윗면, 밑면 등 다양한 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
고정볼트(120)는 고정볼트 머리부(121)와 고정볼트 본체부(122)로 이루어져 있다. 고정볼트 머리부(121)는 볼트공(111)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고 있다. 고정볼트 본체부(122)는 볼트공(111)의 직경보다 작거나 같은 직경을 가지고 있어, 볼트공(111)에 끼워질 수 있다. 고정볼트 본체부(122)가 볼트공(111)에 끼워지면, 볼트공(111)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고정볼트 머리부(121)에 의해 고정볼트(120)는 고정바(110)에 빠지지 않고 걸리게 된다.
고정볼트 본체부(122)가 고정바(110)에 끼워질때, 고정볼트 본체부(122) 외측면에는 수나사가 마련되고, 고정바(110) 내주면에는 암나사가 마련되어 나사결합을 통해 고정볼트 본체부(122)와 고정바(110)가 결합될 수도 있다.
탄성체(130)는 고정볼트 본체부(122)에 끼워질 수 있다. 탄성체(130)는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코일 스프링의 직경은 고정볼트 본체부(122)에 끼워질 수 있도록 고정볼트 본체부(122)의 직경보다 다소 큰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체(130)는 코일 스프링 이외에도 완충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탄성 복원력을 갖고 있는 다양한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슬라이딩부(140)는 탄성체(130) 일단에 놓이며, 고정볼트 본체부(122)에 끼워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6을 참조하면, 슬라이딩부(140)는 탄성체(130)에서 고정바(110)를 향하는 방향으로 탄성체(130) 일단에 위치하여 있다. 슬라이딩부(140)는 고정볼트 본체부(122)를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어, 인입 와이어(170)에 의해 장력을 받으면 슬라이딩부(140)를 통해 탄성체(130)를 압축할 수 있게 된다.
슬라이딩부(140)는 고정볼트 본체부(122)가 끼워질 수 있는 삽입공(141)이 마련되어 있으며, 탄성체(130)에 압축력을 전달하기 쉽게 직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외에도 탄성체(130)에 압축력을 전달하기 쉬운 구조라면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부(150)는 탄성체(130) 타단에 놓이며, 고정볼트 본체부(122)에 고정되어 있다. 고정부(150)는 슬라이딩부(140)에 의해 인입 와이어(170)의 장력을 탄성체(130)로 전달할 때, 탄성체(130)에 발생하는 압축력을 지지할 수 있을 정도로 고정볼트 본체부(122)에 고정되어야 한다.
고정부(150) 내주면에는 암나사부가 마련되어 있다. 고정볼트 본체부(122) 외주면에 수나사부가 마련된다. 고정부(150)는 고정볼트 본체부(122)와 나사결합을 통해 고정볼트 본체부(122)에 결합 고정될 수 있다. 한편, 고정부(150)와 고정볼트 본체부(122)는 일체로 제작되어 고정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와이어 장착부(160)는 슬라이딩부(140)에 결합된다. 와이어 장착부(160)는 인입 와이어(170)가 장착될 수 있는 홈(161)이 마련되어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와이어 장착부(160)부는 슬라이딩부(140) 하부에 결합 되어 있다. 와이어 장착부(160)는 인입 와이어(170)가 'U' 형태로 장착될 수 있도록, 슬라이딩부(140) 하부에서 수평한 방향으로 반원 형상을 이루고 있다. 즉, 슬라이딩부(140)를 향하여 들어오는 인입 와이어(170)와 슬라이딩부(140)에서 바깥으로 나가는 인입 와이어(170)가 포함된 평면에 와이어 장착부(160)가 반원 형상으로 결합되어 있다. 반원 형상의 볼록한 부분은 고정바(110)를 향하는 방향이다.
와이어 장착부(160)는 반원 형상의 둘레를 따라 인입 와이어(170)가 장착될 수 있는 홈(161)이 마련되어 있다. 인입 와이어(170)는 고정부(150)에서 와이어 장착부(160)를 향하는 방향으로 들어와 반원 형상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홈에 장착된다. 그 이후 다시 와이어 장착부(160)에서 고정부(150)를 향하는 방향으로 나가게 되어 'U' 형태를 이루게 된다. 와이어 장착부(160)는 슬라이딩부(140)에 용접 등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와이어 장착부(160)와 슬라이딩부(140)가 일체로 제작될 수도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와이어 장착부(160)는 인입 와이어(170)가 홈(161)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이탈방지 부재(162)를 더 구비한다. 이탈방지 부재(162)는 홈(161)의 가장자리 일부에서 연장되어 홈(161)에 장착된 인입 와이어(170) 일부를 덮을 수 있게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와이어 장착부(160) 밑면의 반원 형상 둘레에서 즉, 홈(161) 밑부분의 가장자리에서 상측으로 연장된다. 또한, 와이어 장착부(160) 윗면의 둘레에서 즉, 홈(161) 윗부분의 가장자리에서 하측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이탈방지 부재(162)는 인입 와이어(170)가 홈(161)에 들어갈 수 있도록 홈(161) 전체를 덮고 있지는 않으며 홈(161)의 일부만 덮고 있다.
이러한 다단붐의 인입풀리 고정장치(100)로 처짐을 방지하는 작동방법은 다음과 같다.
인입 와이어(170)는 인입과 인출을 반복하면서 수축과 긴장이 된다. 특히 인출시 인입 와이어(170)는 가장 긴장된다. 이때, 인입 와이어(170)의 긴장으로 인해 인입 와이어(170)는 장력을 잃고 처짐이 발생한다. 종래의 인입풀리 고정장치는 이러한 처짐을 조절하기 위해 고정볼트(62)를 조이는 작업을 주기적으로 반복해야 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단붐의 인입풀리 고정장치(100)는 탄성체(130)의 탄성 복원력을 이용하여 고정볼트(120)를 조이는 작업 없이 처짐을 제거할 수 있다. 다단붐의 인입풀리 고정장치(100)에서 탄성체(130)는 압축되어 있다. 인입 와이어(170)의 장력으로 인해 와이어 장착부(160)에 압축력이 작용하고, 와이어 장착부(160)와 결합되어 있는 슬라이딩부(140)에도 압축력이 작용한다. 슬라이딩부(140)는 고정볼트 본체부(122)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므로, 슬라이딩부(140)에 작용하는 압축력은 탄성체(130)에 전달된다. 탄성체(130)에 전달된 압축력으로 인해 탄성체(130)는 압축되어 있고, 이로 인해 탄성체(130)에는 탄성 복원력이 작용한다.
처짐이 발생하기 전의 상태는 인입 와이어(170)의 장력과 탄성체(130)의 탄성 복원력이 평형상태를 유지하고 있어 탄성체(130)는 압축되어 있는 상태로 있게 된다. 이때, 인입 와이어(170)가 장력을 잃고 처짐이 발생하면 본래의 평형상태는 무너지게 된다. 즉, 인입 와이어(170)의 장력보다 탄성체(130)의 탄성 복원력이 커지게 되고, 탄성 복원력의 작용으로 압축된 탄성체(130)는 원래의 상태로 돌아가기 위해 늘어나게 된다. 이때, 고정부(150)는 고정볼트 본체부(122)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탄성체(130)는 슬라이딩부(140)의 방향으로 늘어나게 된다.
탄성체(130)가 늘어나면서 슬라이딩부(140) 및 와이어 장착부(160)를 고정바(110)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로 인해 슬라이딩부(140) 및 와이어 장착부(160)에 장착된 인입 와이어(170)도 고정바(110)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인입 와이어(170)가 팽팽하게 당겨지게 되어 처짐이 제거된다. 탄성체(130)는 인입 와이어(170)의 처짐이 제거되어 회복된 장력과 탄성체(130)의 탄성 복원력이 평형이 되는 지점까지 늘어나게 된다. 처짐이 다시 발생하면 위의 과정이 반복되면서 인입 와이어(170)의 처짐이 제거되게 된다.
이러한 다단붐의 인입풀리 고정장치(100)에 의한 효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다단붐의 인입풀리 고정장치(100)로 인입 와이어(170)에 발생하는 처짐을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처짐에 의해 발생하는 인입 와이어(170)와 붐 내부 구조물, 예컨대 유압 실린더 등 간의 간섭으로 인한 붐 내부 구조물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기술은 인입 와이어(31)의 처짐을 제거하기 위해 고정볼트(62)를 주기적으로 조절해야만 했다. 그러나 본 발명 다단붐의 인입풀리 고정장치(100)는 고정볼트(120)를 조절할 필요 없이, 탄성체(130)의 탄성 복원력을 통해 자동으로 처짐이 제거된다. 즉, 처짐이 발생할 때마다 탄성체(130)의 탄성 복원력이 작용하고, 그로 인해 별도의 조작 없이 처짐이 제거된다. 따라서, 인입 와이어(170)의 처짐을 제거하기 위해 고정볼트(120)를 주기적으로 조절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종래의 기술은 인입 와이어(31)의 처짐에 의한 인입 와이어(31)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인입풀리(41,42) 주변에 풀리 가이드(43,44)를 설치해야 한다. 그러나 본 발명 다단붐의 인입풀리 고정장치(100)는 탄성체(130)를 이용하여 처짐이 발생하는 즉시 제거할 수 있어, 인입 와이어(170)의 이탈의 우려가 없어지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인입 와이어(31)의 이탈 방지를 위한 풀리 가이드(43,44)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며, 이에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단붐의 인입풀리 고정장치(100)는 다음과 같이 변형 되는 것도 가능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와이어 장착부(160)는 반원 형상을 이루고 있으나, 반원 형상 이외에도 인입 와이어(170)를 장착할 수 있는 구조라면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와이어 장착부(160)에 형성된 홈(161)에 고무와 같은 탄력성 있는 재질을 덧붙여, 인입 와이어(170)에 의한 와이어 장착부(160)의 손상을 방지할 수도 있다.
한편, 이탈방지 부재(162)는 'ㄷ' 형태로 이루어져 와이어 장착부(160)에 결합과 분리가 가능하게 제작될 수 있다. 'ㄷ' 형태로 이루어진 이탈방지 부재는 홈(161) 전체를 덮을 수 있으므로 보다 효율적으로 인입 와이어(17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ㄷ' 형태의 이탈방지 부재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인입 와이어(170)를 와이어 장착부(160)에 먼저 장착 후 그 다음에 'ㄷ' 형태의 이탈방지 부재를 결합하여 사용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다단붐의 인입풀리 고정장치는 고정바(110), 고정볼트(120), 탄성체(130), 슬라이딩부(140), 고정부(150), 와이어 장착부(160) 및 이탈방지 부재(162)을 포함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 본 발명은 이탈방지 부재(162)가 생략하여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다양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로부터 합리적으로 해석될 수 있는 것이라면 무엇이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0...다단붐의 인입풀리 고정장치 110...고정바
111...볼트공 120...고정볼트
121...고정볼트 머리부 122...고정볼트 본체부
130...탄성체 140...슬라이딩부
141...삽입공 150...고정부
160...와이어 장착부 161...홈
162...이탈방지 부재 170...인입 와이어
180...다단붐

Claims (6)

  1. 크레인의 다단붐을 인입하기 위한 인입 와이어를 상기 다단붐에 고정하는 다단붐의 인입풀리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단붐에 고정되며 일측면에서 타측면을 관통하는 볼트공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바;
    상기 볼트공의 직경 보다 큰 직경을 갖는 고정볼트 머리부와 상기 볼트공에 끼워지는 고정볼트 본체부로 이루어진 고정볼트;
    상기 고정볼트 본체부에 끼워지는 탄성체;
    상기 탄성체 일단에 놓이며, 상기 고정볼트 본체부에 이동 가능하게 끼워져 있는 슬라이딩부;
    상기 탄성체 타단에 놓이며 상기 고정볼트 본체부에 고정된 고정부; 및
    상기 슬라이딩부에 결합 되며, 상기 인입 와이어를 장착할 수 있는 홈이 마련되어 있는 와이어 장착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붐의 인입풀리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장착부는 상기 슬라이딩부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인입 와이어가 'U' 형태로 장착될 수 있도록 상기 와이어 장착부는 반원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상기 와이어 장착부의 외측면에는 상기 반원 형상의 둘레를 따라 상기 인입 와이어가 장착될 수 있는 홈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붐의 인입풀리 고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홈의 가장자리 일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홈에 장착된 상기 인입 와이어의 적어도 일부를 덮어서, 상기 홈으로부터 상기 인입 와이어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탈방지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붐의 인입풀리 고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와 상기 와이어 장착부는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붐의 인입풀리 고정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붐의 인입풀리 고정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 내주면에는 암나사부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고정볼트 본체부 외주면에는 수나사부가 마련되어 있어,
    상기 고정부와 상기 고정볼트 본체부의 나사결합을 통해 상기 고정부가 상기 고정볼트 본체부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붐의 인입풀리 고정장치.
KR1020150106776A 2015-07-28 2015-07-28 다단붐의 인입풀리 고정장치 KR1017579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6776A KR101757901B1 (ko) 2015-07-28 2015-07-28 다단붐의 인입풀리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6776A KR101757901B1 (ko) 2015-07-28 2015-07-28 다단붐의 인입풀리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3714A true KR20170013714A (ko) 2017-02-07
KR101757901B1 KR101757901B1 (ko) 2017-07-14

Family

ID=58108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6776A KR101757901B1 (ko) 2015-07-28 2015-07-28 다단붐의 인입풀리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79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6801B1 (ko) * 2021-06-15 2021-12-08 강병성 개폐식 가림막 견인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28602A (ko) 2022-08-25 2024-03-05 루스코리아 주식회사 와이어의 장력 유지가 용이한 크레인 붐의 인입 와이어 고정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6357A (ko) 2013-09-02 2015-03-11 디와이 주식회사 크레인의 붐조립체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52450A (ja) 2003-05-29 2004-12-16 Aichi Corp 伸縮ブームのライン状部材搬送機構
KR200411002Y1 (ko) * 2005-12-26 2006-03-09 동양기전 주식회사 크레인의 붐조립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6357A (ko) 2013-09-02 2015-03-11 디와이 주식회사 크레인의 붐조립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6801B1 (ko) * 2021-06-15 2021-12-08 강병성 개폐식 가림막 견인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7901B1 (ko) 2017-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7901B1 (ko) 다단붐의 인입풀리 고정장치
KR101979416B1 (ko) 배전선로 스페이스 유지장치
KR101856098B1 (ko) 케이블 신축 완화장치
US20110269586A1 (en) Driving force transmission apparatus and adjustment method thereof
KR101785014B1 (ko) 고정력을 향상시킨 배전 케이블 연결 커플러
CN102278419B (zh) 具有复位单元的管线导引装置和具有这种管线导引装置的机械手
KR101877256B1 (ko) 휨 발생이 방지될 수 있는 송전, 배전, 변전용 전신주
EP3487724B1 (en) An improved hanger for a suspended contact wire of a railway line and a power line comprising said hanger
KR101122717B1 (ko) 송배전선지지용 절연완철
KR101581366B1 (ko) 텐트용 폴
US10631472B2 (en) Clamping devices
CN208845613U (zh) 异形弹簧
JP2007245933A (ja) テンションバランサの支持装置
KR101756242B1 (ko) 나무용 가지 처짐방지장치 및 그 설치방법
KR200464594Y1 (ko) 송전선용 스페이스 댐퍼의 클램프
JP2009294455A (ja) ワイヤー構成
CN105134876B (zh) 拉紧装置
KR100883912B1 (ko) 송·배전선용 길이조정 링크
CN106985091B (zh) 阶梯轴限位机构
JP6488094B2 (ja) 連結装置及びネット構造
KR102590335B1 (ko) 배관서포트구조체
KR101599877B1 (ko) 태양광 패널 고정 장치
CN116780280B (zh) 一种防带电安装接地线的接地设备
CN209056718U (zh) 一种可伸缩线束
CN102410405A (zh) 粗纱机防震套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