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4594Y1 - 송전선용 스페이스 댐퍼의 클램프 - Google Patents

송전선용 스페이스 댐퍼의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4594Y1
KR200464594Y1 KR2020110005948U KR20110005948U KR200464594Y1 KR 200464594 Y1 KR200464594 Y1 KR 200464594Y1 KR 2020110005948 U KR2020110005948 U KR 2020110005948U KR 20110005948 U KR20110005948 U KR 20110005948U KR 200464594 Y1 KR200464594 Y1 KR 2004645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line
clip
cover
housing
c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59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철
Original Assignee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100059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459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45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459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12Devices for maintaining distance between parallel conductors, e.g. spacer
    • H02G7/125Damping spac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75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with two members, the two members being joined with a hinge on one side and fastened together on the other sid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53Suspension clamps and clips for electric overhead lines not suspended to a supporting wir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14Arrangements or devices for damping mechanical oscillations of lines, e.g. for reducing production of sound

Abstract

본 고안의 송전선용 스페이스 댐퍼의 클램프는, 프레임에 하나 이상이 방사상으로 설치된 몸체; 몸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송전선을 수용하는 송전선 수용부가 형성된 커버; 커버에 구비되어 커버와 몸체를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되, 고정부재는 커버에 일체로 형성된 하우징과, 하우징 내부에 수용된 스프링과, 스프링의 일측단에 밀착된 지지판과, 지지판과 고정되게 체결되어 지지판과 함께 이동되며 머리부가 몸체에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고정리벳과, 하우징의 일측에 체결되며 나사 결합홀이 형성된 클립과, 클립의 나사 결합홀에 나사체결되며 지지판을 압박하여 이동시키는 조절볼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송전선용 스페이스 댐퍼의 클램프{Clamp of Space Damper for Transmission Line}
본 고안은 송전선용 스페이스 댐퍼의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송전선용 철탑과 철탑 사이에 설치하여 송전선의 진동 및 진폭을 감쇠시켜 전선의 피로 파괴를 방지하기 위한 송전선용 스페이스 댐퍼의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력을 수요처로 공급하기 위한 수단으로는 송전용 철탑에 송전선을 가설하여 전력을 공급하는 방법이 보편화되어 있고, 근래에는 전력 수요의 증대에 따라 대용량의 전력을 송전할 수 있는 다도체 송전선을 가설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송전선은 높은 철탑 사이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바람이나 외부 충격 등에 의해 쉽게 흔들리고, 송전선들 사이에 서로 부딪힘이 발생되어 여러 가닥의 송전선들 사이의 간격 유지 및 흔들리는 송전선으로부터의 진동 흡수가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 제안되어 현재 사용되고 있는 것이 바로 스페이스 댐퍼이다.
도 5는 일반적으로 송전선로에 사용된 스페이스 댐퍼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로, 스페이스 댐퍼(1)는 하나의 프레임(2) 상에 다수의 송전선 클램프(3)가 결합된 구조를 갖는다.
클램프(3)는 바디(4) 및 바디(4)에 결합된 커버(5)를 포함한다.
바디(4)는 일측이 프레임(2)에 결합되고, 타측에 커버(5) 및 송전선을 고정하는 고정부(6)가 구비된다.
고정부(6)는 커버(5)에 형성된 하우징(7)과, 하우징(7) 내부에 수용된 스프링(8)과, 스프링(8)과 결합되되 회전에 의하여 머리 부분이 커버(5)를 고정시키는 T형 볼트(9a) 및 하우징(7)의 하부에 형성된 나사홀을 통해 나사 결합되어 풀고 조임에 의해 스프링(8)을 압축시키는 조절 볼트(9b)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클램프(3)는 송전선을 수용하고, T형 볼트(9a)에 의해 커버(5)를 고정시킨 후 조절 볼트(9b)를 풀게 되면, 압축된 스프링(8)이 복원되면서 T형 볼트(9a)를 당기게 되고, 따라서 커버(5)와 바디(4)를 탄성적으로 밀착시키게 됨으로써 송전선을 강한 힘으로 고정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의 클램프에서 하우징은 일반적으로 알루미늄 재질로 되어 있고, 조절 볼트는 강철로 되어 있어 조절 볼트의 조임 시 스프링의 강한 반작용으로 인해 하우징에 형성된 나사홀의 나사산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클램프의 해제시, 조절 볼트의 조임 작업 후, T형 볼트에 체결된 너트를 별도로 해제해야 하므로, 작업이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클램프의 조절 볼트가 나사 결합되는 부분의 파손을 방지하여 송전선을 강하게 고정할 수 있는 개선된 송전선용 스페이스 댐퍼의 클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종래와 달리 클램프를 고정하기 위해 T형 볼트를 사용하는 것이 아닌, 지지판과 일체화되어 조절 볼트의 조임에 의해 상하 운동하는 고정리벳을 사용함으로써, 클램프의 해제 또는 고정 작업이 보다 수월할 수 있는 송전선용 스페이스 댐퍼의 클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송전선용 스페이스 댐퍼의 클램프는, 프레임에 하나 이상이 방사상으로 설치된 몸체와, 상기 몸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송전선을 수용하는 송전선 수용부가 형성된 커버와, 상기 커버에 구비되어 상기 커버와 몸체를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커버에 일체로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용된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일측단에 밀착된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과 고정되게 체결되어 상기 지지판과 함께 이동되며 머리부가 상기 몸체에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고정리벳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체결되며 나사 결합홀이 형성된 클립과, 상기 클립의 나사 결합홀에 나사체결되며 상기 지지판을 압박하여 이동시키는 조절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몸체는 상기 고정리벳의 머리부가 삽입되도록 일측이 절개된 T자 모양의 삽입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스프링의 타측단을 지지하는 지지단부와 상기 클립이 체결되는 체결단부를 가지며, 상기 하우징의 지지단부에는 상기 고정리벳의 몸통이 관통되게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체결단부에는 상기 클립의 나사 결합홀과 동일선상에 나사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립은 단면이 'ㄷ'자 모양이며, 일측 단부에 상기 나사 결합홀이 형성되고 타측 단부에 상기 조절볼트가 관통되도록 'ㄷ'자 모양의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립은 상기 조절볼트와 동일한 재질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클립과 상기 조절볼트는 상기 몸체 및 커버와 달리 강철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절볼트는 상기 클립의 나사 결합홀에만 나사결합되도록 상기 조절볼트의 머리부에 인접한 부위에만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리벳은 상기 조절볼트의 회전에 의해 압박되어 이동되는 상기 지지판과 함께 이동되어 상기 몸체의 상기 T자 모양의 삽입홀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립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분리가능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송전선용 스페이스 댐퍼의 클램프에 따르면, 몸체 및 커버에 비해 높은 강성을 갖는 강철재질의 클립에 나사 결합홀을 형성하고 조절볼트를 사용하여 스프링을 압박함에 의해, 하우징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조절볼트에 의해 압박되는 지지판과 함께 고정리벳이 이동되어 몸체의 T자 모양의 삽입홀로부터 분리됨에 따라, 클램프의 몸체와 커버의 해제 또는 고정 작업이 보다 수월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송전선용 스페이스 댐퍼의 개략도;
도 2는 도 1의 클램프를 확대하여 나타낸 부분 확대도;
도 3은 도 1의 클립과 조절볼트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의 클램프의 몸체를 확대하여 나타낸 부분 확대도; 및
도 5는 종래 기술의 스페이스 댐퍼의 개략도이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본 고안에 따른 송전선용 스페이스 댐퍼의 클램프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송전선용 스페이스 댐퍼(10)는 송전탑에 체결되는 송전선들 사이에 설치되어 송전선의 요동을 감소시키기 위한 것으로, 프레임(11)과 이 프레임(11)에 하나 이상이 방사상으로 고정되게 체결된 클램프(10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1)은 철탑에 현수된 하나 이상의 송전선의 요동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높은 강성을 갖는 강철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며, 하나 이상의 클램프(100)와 고정되게 체결되거나 소정 각도에서 클램프(100)가 회동될 수 있도록 클램프(100)와 힌지 체결될 수 있다.
클램프(100)는 하나의 송전선을 파지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본 실시예의 클램프(100)는 몸체(110), 몸체(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120) 및 몸체(110)와 커버(120)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110)는 일측 단부가 볼트 등에 의해 프레임(11)에 고정되게 체결되거나 소정 각도에서 회전되도록 프레임(11)에 회전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으며, 커버(120)와 함께 송전선이 삽입되는 송전선 수용부(111)를 형성한다. 즉, 송전선 수용부(111)는 몸체(110)에 형성되는 반원형 수용부와 커버(120)에 형성되는 반원형 수용부를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몸체(110)는 고정리벳(133)의 머리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112)가 형성되며, 지지부(112)에 의해 지지되는 고정리벳(133)은 스프링(132)의 탄성력에 의해 인가되는 인력에 의해 몸체(110)와 커버(120)를 고정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지지부(112)는 고정리벳(133)의 몸통이 삽입되도록 T자 모양의 삽입홀(113)이 형성되며, 삽입홀(113)이 형성된 몸체(110)의 세부 구성은 도 4를 참조로 아래에서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커버(120)는 지지부(112)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몸체(110)와 체결되어 송전선을 고정되게 파지하기 위한 것으로, 몸체(110)에 형성된 반원형 전송선 수용부와 동일 형상의 반원형 수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커버(120)에는 몸체(110)와 커버(120)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130)가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고정부재(130)는 몸체(110)와 커버(120)를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하우징(131), 스프링(132), 고정리벳(133), 지지판(134), 클립(135) 및 조절볼트(136)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31)은 커버(120)의 내측에 스프링(132)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스프링(132)의 일측을 지지하는 지지단부(131a)와 클립(135)이 체결되는 체결단부(131b)가 형성된다. 지지단부(131a)는 스프링(132)을 지지하고, 고정리벳(133)이 관통되도록 관통홀(131c)이 형성될 수 있다. 즉, 고정리벳(133)은 관통홀(131c)을 통해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체결단부(131b)에는 조절볼트(136)의 몸통이 관통되게 삽입되도록 나사홀(131d)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체결단부(131b)에 나사홀(131d)이 이와 달리 체결단부(131b)에 조절볼트(136)가 관통되도록 제2관통홀이 형성될 수도 있다.
스프링(132)은 클램프(100)의 몸체(110)와 커버(120)를 고정되게 체결하기 위해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커버(120)의 하우징(131) 내부에 삽입되어 일측말단이 지지단부(131a)에 의해 지지되고 타측말단은 지지판(134)과 밀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스프링(132)은 높은 탄성력을 생성할 수 있는 코일스프링일 수 있다.
고정리벳(133)은 스프링(132)에 의해 인가된 탄성력에 의해 몸체(110)와 커버(120)를 고정되게 체결시키기 위한 것으로, 몸체(110)의 지지부(112)에 형성된 삽입홀(113), 커버(120)의 지지단부(131a)에 형성된 관통홀(131c)을 관통하여 스프링(132)의 말단에 밀착되는 지지판(134)과 고정되게 체결될 수 있다.
즉, 지지판(134)이 조절볼트(136)에 의해 압박되어 스프링(132)의 힘을 이기고 이동되는 경우, 고정리벳(133)은 지지판(134)과 함께 이동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고정리벳(133)의 몸통이 T자 모양의 삽입홀(113)의 개구부를 통해 해제될 수 있다.
즉, 고정리벳(133)은 종래기술의 고정볼트와는 달리 몸통에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으며, 지지판(134)과 함께 이동되어 삽입홀(113)로부터 해제될 수 있어, 클램프(100)의 몸체(110)와 커버(120)의 해제 작업이 더 원활할 수 있다.
지지판(134)은 스프링(132)에 밀착되며 고정리벳(133)의 말단과 고정되게 결합되어, 조절볼트(136)에 의해 압박되는 경우 고정리벳(133)과 함께 이동될 수 있다.
클립(135)은 단면이 'ㄷ'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하우징(131)의 체결단부에 삽입되게 체결되며, 클립(135)의 일측단부에는 조절볼트(136)가 나사체결되는 나사 결합홀(135a)이 형성되고 타측단부에는 'ㄷ'자 모양의 개구부(135b)가 형성될 수 있다. 클립(135)의 구체적인 구성은 도 3을 참조로 아래에서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조절볼트(136)는 클립(135)의 나사 결합홀(135a)에 나사체결되며 말단이 지지판(134)을 압박하도록 지지판(134)에 밀착된다.
본 실시예의 조절볼트(136)는 머리부에 인접한 부분에만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조절볼트(136)는 클립(135)의 나사 결합홀(135a)에 나사 결합되어 클립(135)을 관통하며,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이 하우징(131)의 나사홀(131d)을 관통하여 지지판(134)과 접촉된다. 즉, 조절볼트(136)는 클립(135)의 나사 결합홀(135a)에만 나사 결합된 상태이고, 하우징(131)의 나사홀(131d)과는 나사 결합이 되지 않은 단순히 관통된 형태이다.
본 실시예의 조절볼트(136)와 클립(135)은 높은 강성을 갖는 나사산을 형성할 수 있는 강철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클립(135)은 단면이 'ㄷ'자 모양이며, 나사 결합홀(135a) 및 개구부(135b)가 형성된다. 조절볼트(136)는 머리부에 인접한 부위에만 나사산(136a)이 형성되고, 그 이외의 몸통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클램프(100)의 몸체(110)로부터 커버(120)를 해제하기 위해, 조절볼트(136)가 지지판(134)을 압박하는 경우, 조절볼트(136)는 나사 결합홀(135a)에 나사체결되며, 이때 조절볼트(136)의 나사산이 비형성된 몸통은 하우징(131)의 나사홀(131d)을 관통하여 지지판(134)에 밀착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클램프(100)는 스프링(132)의 탄성력에 의해 클램프(100)의 몸체(110)와 커버(120)가 고정되게 체결되며, 이때 고정리벳(133)의 머리가 몸체(110)의 지지부(11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한편, 조절볼트(136)의 회전에 의해 지지판(134)이 압박되는 경우, 지지판(134) 및 지지판(134)에 고정체결된 고정리벳(133)이 스프링(132)의 탄성력을 이기고 이동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고정리벳(133)의 머리부가 지지부(112)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즉, 고정리벳(133)의 머리부에 인가되는 인력이 해제됨으로써, 고정리벳(133)의 몸통이 T자 모양의 삽입홀(113)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고정리벳(133)이 삽입홀(113)로부터 해제됨에 따라, 클램프(100)의 몸체(110)와 커버(120)가 해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스 댐퍼의 클램프의 구조에 의하면, 이종 재질인 조절볼트(136)와 하우징(131)의 나사홀(131d) 사이에는 나사 결합을 형성하지 않고, 동일 강성 재질인 조절볼트(136)와 클립(135)의 나사 결합홀(135a) 사이에만 나사 결합을 형성함으로써, 조절볼트(136)의 풀고 조임에 있어 스프링(132)으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에 의한 나사홀(131d)의 나사산의 마모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클램프(100)의 몸체(110)로부터 커버(120)를 해제하기 위해, 종래 고정볼트를 해제하지 않고도, 지지판(134)과 함께 이동되는 고정리벳(133)의 구성을 통해, 조절볼트(136)의 조임 작용만으로도 몸체(110)와 커버(120)가 해제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의 송전선용 스페이스 댐퍼의 클램프에 대하여, 첨부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서술하였으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스페이스 댐퍼 11 : 프레임
100 : 클램프 110 : 몸체
111 : 전송선 수용부 112 : 지지부
113 : 삽입홀 120 : 커버
130 : 고정부재 131 : 하우징
131a : 지지단부 131b : 체결단부
131c : 관통홀 131d : 나사홀
132 : 스프링 133 : 고정리벳
134 : 지지판 135 : 클립
135a : 나사 결합홀 135b : 개구부
136 : 조절볼트 136a : 나사산

Claims (9)

  1. 프레임에 하나 이상이 방사상으로 설치된 몸체;
    상기 몸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송전선을 수용하는 송전선 수용부가 형성된 커버;
    상기 커버에 구비되어 상기 커버와 몸체를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커버에 일체로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용된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일측단에 밀착된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과 고정되게 체결되어 상기 지지판과 함께 이동되며 머리부가 상기 몸체에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고정리벳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체결되며 나사 결합홀이 형성된 클립과, 상기 클립의 나사 결합홀에 나사체결되며 상기 지지판을 압박하여 이동시키는 조절볼트를 포함하는 송전선용 스페이스 댐퍼의 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고정리벳의 머리부가 삽입되도록 일측이 절개된 T자 모양의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리벳은 상기 조절볼트의 회전에 의해 압박되어 이동되는 상기 지지판과 함께 이동되어 상기 몸체의 상기 T자 모양의 삽입홀에 삽입 또는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선용 스페이스 댐퍼의 클램프.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스프링의 타측단을 지지하는 지지단부와 상기 클립이 체결되는 체결단부를 가지며,
    상기 하우징의 지지단부에는 상기 고정리벳의 몸통이 관통되게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체결단부에는 상기 클립의 나사 결합홀과 동일선상에 나사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선용 스페이스 댐퍼의 클램프.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클립은 단면이 'ㄷ'자 모양이며, 일측 단부에 상기 나사 결합홀이 형성되고 타측 단부에 상기 조절볼트가 관통되도록 'ㄷ'자 모양의 개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선용 스페이스 댐퍼의 클램프.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클립은 상기 조절볼트와 동일한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선용 스페이스 댐퍼의 클램프.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클립과 상기 조절볼트는 상기 몸체 및 커버와 달리 강철 재질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선용 스페이스 댐퍼의 클램프.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조절볼트는 상기 클립의 나사 결합홀에만 나사결합되도록 상기 조절볼트의 머리부에 인접한 부위에만 나사산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선용 스페이스 댐퍼의 클램프.
  8. 삭제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클립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분리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선용 스페이스 댐퍼의 클램프.

KR2020110005948U 2011-06-30 2011-06-30 송전선용 스페이스 댐퍼의 클램프 KR2004645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5948U KR200464594Y1 (ko) 2011-06-30 2011-06-30 송전선용 스페이스 댐퍼의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5948U KR200464594Y1 (ko) 2011-06-30 2011-06-30 송전선용 스페이스 댐퍼의 클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4594Y1 true KR200464594Y1 (ko) 2013-01-09

Family

ID=51358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5948U KR200464594Y1 (ko) 2011-06-30 2011-06-30 송전선용 스페이스 댐퍼의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459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3849B1 (ko) 2015-03-23 2015-12-07 (주)지정보통신 통신케이블 트레이용 방진구
CN109038440A (zh) * 2018-08-15 2018-12-18 山东大学 一种半主动防舞减振控制装置
CN113541078A (zh) * 2021-07-27 2021-10-22 龚云 一种应用于架空线路的电力金具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5175Y1 (ko) * 2001-08-07 2001-12-13 세명전기공업 (주) 강진용 송전선 고정 장치
KR200269696Y1 (ko) 2001-12-29 2002-03-22 일진전기공업 주식회사 송전선 설비용 스페이서 댐퍼의 송전선 클램핑장치
KR20110000154U (ko) * 2009-06-30 2011-01-06 한국전력공사 송전선로용 스페이서 댐퍼의 클램퍼 및 이에 채용되는 조절 볼트가 결합된 클립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5175Y1 (ko) * 2001-08-07 2001-12-13 세명전기공업 (주) 강진용 송전선 고정 장치
KR200269696Y1 (ko) 2001-12-29 2002-03-22 일진전기공업 주식회사 송전선 설비용 스페이서 댐퍼의 송전선 클램핑장치
KR20110000154U (ko) * 2009-06-30 2011-01-06 한국전력공사 송전선로용 스페이서 댐퍼의 클램퍼 및 이에 채용되는 조절 볼트가 결합된 클립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3849B1 (ko) 2015-03-23 2015-12-07 (주)지정보통신 통신케이블 트레이용 방진구
CN109038440A (zh) * 2018-08-15 2018-12-18 山东大学 一种半主动防舞减振控制装置
CN109038440B (zh) * 2018-08-15 2019-04-16 山东大学 一种半主动防舞减振控制装置
CN113541078A (zh) * 2021-07-27 2021-10-22 龚云 一种应用于架空线路的电力金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903026B (zh) 自就位减振夹具
KR200464594Y1 (ko) 송전선용 스페이스 댐퍼의 클램프
US10088201B2 (en) Support assemblies for solar energy panels
EP2157275A2 (en) Screen device
US8919051B1 (en) Tower with exterior cable support and a modular base
DE102006039290A1 (de) Rahmenelement, Flugzeugkomponentenmontagesystem sowie Verfahren zur Montage einer Komponente in einem Flugzeug
CN203176544U (zh) 一种电缆固定夹
KR20090108966A (ko) 고정력 유지기능이 구비된 수목지지대
RU2012136210A (ru) Конструкция для затягивания стержня дисковых батарей
WO2016121893A1 (ja) 車両にオーディオスピーカを取り付けるための改善された器具およびそれの取り付け構造物
TW200609133A (en) A strap-tying device
US20120247420A1 (en) Assembly with adjustable compression load limiter
IL210139A0 (en) System for fastening a rail on a base
CN205371188U (zh) 伸缩杆
CN203063670U (zh) 一种可调节的车载储气瓶绑带连接结构
CN204633278U (zh) 耐张线夹
KR200457967Y1 (ko) 송전선로용 스페이서 댐퍼의 클램퍼 및 이에 채용되는 조절 볼트가 결합된 클립
KR20180116048A (ko) 수목 지지장치
CN208650390U (zh) 插板式箱型梁可调连接节点
CN201246390Y (zh) 弹簧夹自锁螺母
WO2016102907A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clamping devices
CN202094559U (zh) 一种电缆卡具
ATE434281T1 (de) Klemmer zur befestigung an einem ersten gegenstand
CN205806114U (zh) 一种皮带式紧固装置
CN108953353A (zh) 一种螺栓防松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