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6048A - 수목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수목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6048A
KR20180116048A KR1020170048745A KR20170048745A KR20180116048A KR 20180116048 A KR20180116048 A KR 20180116048A KR 1020170048745 A KR1020170048745 A KR 1020170048745A KR 20170048745 A KR20170048745 A KR 20170048745A KR 20180116048 A KR20180116048 A KR 201801160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support
mounting
tre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8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조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조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조경
Priority to KR10201700487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16048A/ko
Publication of KR201801160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60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12Tree-ban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14Props; Stay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목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지하고자 하는 나무에 복수 개 위치되는 설치부, 나무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를 설치하도록 상기 각 설치부에 대응되게 구비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를 설치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되,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힌지부, 및 상기 각 설치부가 나무에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고정부에 의해 나무에 설치프레임을 먼저 견고하게 설치한 후, 지지부와 힌지부에 의해 지지대를 설치할 수 있어 나무의 지지력을 향상시킴은 물론, 설치가 용이하여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수목 지지장치{Tree support device}
본 발명은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목의 외형에 무관하게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어 현장에서 누구나 쉽게 설치할 수 있어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수목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로수 등의 이식된 수목은 이식 후 뿌리가 활착할 때까지 바람 등의 외력에 의하여 쓰러지지 않도록 지지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지지장치는 수목의 몸체에 감싸지도록 설치하고 이를 볼트로 체결한 후, 결착구에 다수 개의 지지대 또는 받침다리를 체결하여 결합설치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지지장치는 현장에서 작업자가 직접 설치하는 것으로, 수목의 굵기에 따라 그에 적합한 결착구를 선택하여 설치해야 됨에 따라, 작업이 번거롭고 많은 작업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수목의 외형이 고르지 못하거나 가지 등에 의해 종래의 지지장치를 사용하지 못하여 가로수를 교체하는 등의 별도의 조취가 취해짐에 따라, 비용과 시간이 더욱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종래 실용신안출원 제20-1994-023105에서 개진된 바와 같이, 고정밴드를 이용하여 체결구를 수목 둘레에 설치함에 따라, 수목의 외형에 대응하여 지지장치를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고정밴드에 의하여 수목 표면이 가압됨에 따라, 표피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고, 지지대가 결합되는 결합구가 밴드체결구에 회전 가능하게만 결합되어 있어 밴드체결구의 설치높이와 지지대의 길이를 정확하게 맞출 수 없어 매우 높은 숙련도가 필요한 문제점은 여전하였다.
이에 따라, 수목의 외형에 대응하여 견고하게 설치됨은 물론, 고도의 숙련도가 없어도 지지대가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설치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지지하고자 하는 나무에 복수 개 위치되는 설치부, 나무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를 설치하도록 상기 각 설치부에 대응되게 구비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를 설치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되,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힌지부, 및 상기 각 설치부가 나무에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를 포함하여 고정부에 의해 나무에 설치프레임을 먼저 견고하게 설치한 후, 지지부와 힌지부에 의해 지지대를 설치할 수 있어 나무의 지지력을 향상시킴은 물론, 설치가 용이하여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수목 지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지지하고자 하는 나무에 복수 개 위치되는 설치부, 나무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를 설치하도록 상기 각 설치부에 대응되게 구비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를 설치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되,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힌지부, 및 상기 각 설치부가 나무에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설치부는, 탄성을 갖고, 나무에 접하도록 면이 형성된 설치프레임이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는, 내부에 삽입공간부가 형성되되, 상기 삽입공간부의 일단부는 지지대가 삽입되도록 개방되고, 타단부는 상기 힌지부가 설치되기 위한 지지프레임이다.
또한, 상기 힌지부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상기 설치프레임에 돌출형성되되, 제1힌지공이 각각 형성되는 제1힌지체, 상기 두 개의 제1힌지공에 관통설치되는 힌지축, 및 상기 힌지축에 연결되도록 제2힌지공을 갖고, 상기 지지프레임의 타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두 개의 제1힌지체 사이에 위치되는 제2힌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힌지공과 제2힌지공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일부분이 개방되어 힌지축에 탈부착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지지프레임의 타단부 면 중앙부에 설치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힌지체는, 제2힌지판, 및 제2힌지공을 갖고, 상기 제2힌지판에 돌출형성되는 제2힌지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2힌지돌기가 먼저 삽입되도록 제2힌지판을 상기 지지프레임의 삽입공간부 일단부로 삽입시켜 제2힌지돌기가 상기 설치공을 통해 돌출된다.
또한, 상기 힌지축은, 상기 두 개의 제1힌지공에 위치되기 위한 축몸체, 상기 축몸체의 일단부에 돌출형성되어 어느 하나의 제1힌지공에 걸려지기 위한 축돌기, 상기 축몸체의 타단부에 형성되는 축홈, 및 상기 축홈에 설치되어 다른 하나의 제1힌지공에 걸려지기 위한 축클립,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프레임은 지지대를 삽입 반대방향으로 가압하기 위한 가압수단,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지지프레임의 삽입공간부 일단부에 위치되는 가압판, 내부에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가압판이 삽입공간부의 일단부로 이탈됨을 방지하기 위한 가압고정캡, 및 상기 삽입공간부 타단부와 가압판 사이에 구비되어 삽입되는 지지대에 의해 압축된 후, 삽입 반대방향으로 가압하기 위한 가압스프링,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가압고정캡은 지지프레임에 나사결합된다.
또한, 상기 가압고정캡의 삽입공 내측면에 끼움돌기가 복수 개 형성되어 삽입되는 지지대의 일단부를 가압함에 따라 고정력이 향상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설치부에 복수 개 돌출 형성되는 안착돌기, 및 상기 안착돌기에 끼워지기 위해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안착홈이 형성되는 고정밴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고정밴드의 일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밴드의 타단부가 통과되는 걸림블럭, 및 상기 걸림블럭의 내부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안착홈 중 어느 하나가 걸려 고정상태가 유지되기 위한 고정돌기,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밴드의 후면은 복수의 요철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밴드가 안착되기 위한 가이드홈이 상기 설치프레임에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수목 지지장치에 의하면, 고정부에 의해 나무에 설치프레임을 먼저 견고하게 설치한 후, 지지부와 힌지부에 의해 지지대를 설치할 수 있어 나무의 지지력을 향상시킴은 물론, 설치가 용이하여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목 지지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목 지지장치의 분해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힌지부의 힌지축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압수단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comprising 또는 including)"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 관련어는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목 지지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목 지지장치의 분해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힌지부의 힌지축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압수단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수목 지지장치(10)는 설치부(100)와 지지부(200), 힌지부(300) 및 고정부(400)로 구성된다.
설치부(100)는 지지하고자 하는 나무에 복수 개 위치되고, 지지부(200)는 나무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2)를 설치하도록 각 설치부(100)에 대응되게 구비된다.
그리고 힌지부(300)는 지지부(200)를 설치부(1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되,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고정부(400)는 각 설치부(100)가 나무에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수목 지지장치(10)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지지하고자 하는 나무의 둘레에 설치부(100)를 복수 개 거치시킨 후, 고정부(400)에 의해 각 설치부(100)를 나무에 고정시킨다.
그리고 지지대(2)를 해당 지지부(200)에 고정한 다음, 힌지부(300)를 이용하여 해당 설치부(100)에 설치함에 따라, 나무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고정부(400)에 의해 각 설치부(100)가 설치된 위치에 따라, 지지대(2)의 길이를 조절 및 선택하여 힌지부(300)에 의해 지지대(2)가 설치된 지지부(200)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어 종래 위치 선정을 여러번 하는 번거러움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힌지부(300)를 이용하여 지지대(2)가 설치된 지지부(200)를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어 해체 및 교체작업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를 위한, 설치부(100)는 탄성을 갖고, 나무에 접하도록 면이 형성된 설치프레임(110)이다.
그리고 지지부(200)는 내부에 삽입공간부(212)가 형성된 지지프레임(210)이다.
이 지지프레임(210)의 삽입공간부(212) 일단부는 지지대(2)가 삽입되도록 개방되고, 타단부는 힌지부(300)가 설치된다.
이러한 힌지부(300)는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힌지체(310)와 힌지축(320) 및 제2힌지체(330)로 구성된다.
제1힌지체(310)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설치프레임(110)에 돌출형성되되, 제1힌지공(312)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힌지축(320)은 제1힌지체(310)의 두 개의 제1힌지공(312)에 관통설치되는 것으로, 양단부는 두 개의 제1힌지체(310)에 위치되고, 중간부는 제2힌지체(330)가 위치된다.
제2힌지체(330)는 힌지축(320)에 연결되도록 제2힌지공(332)을 갖고, 지지프레임(210)의 타단부에 구비되어 두 개의 제1힌지체(310) 사이에 위치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제1힌지공(312)과 제2힌지공(332)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일부분이 개방되어 힌지축(320)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됨에 따라, 힌지축(320)에서 제1힌지체(310)와 제2힌지체(330)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탈부착된다.
그리고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210)의 타단부 면 중앙부에 설치공(214)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2힌지체(330)는 제2힌지판(332)과 힌지돌기(334)로 구성된다.
제2힌지판(332)은 일정 두께를 갖고, 지지프레임(210)의 삽입공간부(212)에 삽입되되, 설치공(214)으로 이탈되지 않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힌지돌기(334)는 제2힌지공(335)을 갖고, 제2힌지판(332)에 돌출형성된다.
이러한 제2힌지체(330)의 설치를 살펴보면, 제2힌지돌기(334)가 먼저 삽입되도록 제2힌지판(332)을 지지프레임(210)의 삽입공간부(212) 일단부로 삽입시켜 제2힌지돌기(334)가 설치공(214)을 통해 돌출된다.
그리고 지지대(2)가 삽입됨에 따라, 삽입된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힌지축(320)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축몸체(322)과 축돌기(324), 축홈(326) 및 축클립(328)으로 구성된다.
축몸체(322)는 두 개의 제1힌지공(312)에 위치되기 위해 구비되고, 축돌기(324)는 축몸체(322)의 일단부에 돌출형성되어 어느 하나의 제1힌지공(312)에 걸려지기 위해 형성된다.
그리고 축홈(326)은 축몸체(322)의 타단부에 형성되며, 축클립(328)은 축홈(326)에 설치되어 다른 하나의 제1힌지공(312)에 걸려지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210)은 지지대(2)를 삽입 반대방향으로 가압하기 위한 가압수단(500)을 더 포함한다.
이 가압수단(500)은 가압판(510)과 가압고정캡(520) 및 가압스프링(520)으로 구성된다.
가압판(510)은 지지프레임(210)의 삽입공간부(212) 일단부에 위치되어 지지대(2)와 접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가압고정캡(520)은 내부에 삽입공(522)이 형성되고, 가압판(510)이 삽입공간부(212)의 일단부로 이탈됨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가압스프링(520)은 삽입공간부(212) 타단부와 가압판(510) 사이에 구비되어 삽입되는 지지대(2)에 의해 압축된 후, 삽입 반대방향으로 가압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에, 일단부가 삽입된 지지대(2)를 타단부 방향으로 가압함에 따라, 지면에 견고하게 지지된다.
여기서, 가압고정캡(520)은 지지프레임(210)에 나사결합된다.
물론, 후크형태로 결합될 수도 있다.
그리고 가압고정캡(520)의 삽입공(522) 내측면에 끼움돌기(600)가 복수 개 형성되어 삽입되는 지지대(2)의 일단부를 가압함에 따라 고정력이 향상된다.
또한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부(400)는 안착돌기(410)와 고정밴드(420)로 구성된다.
안착돌기(410)는 설치부(100)에 복수 개 돌출 형성되고, 고정밴드(420)는 안착돌기(410)에 끼워지기 위해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안착홈(422)이 형성된다.
이에, 복수의 설치프레임(110)을 나무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고정부(400)는 걸림블럭(430)과 고정돌기(440)가 더 구성된다.
걸림블럭(430)은 고정밴드(420)의 일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고정밴드(420)의 타단부가 통과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고정돌기(440)는 걸림블럭(430)의 내부에 돌출형성되어 안착홈(422) 중 어느 하나가 걸려 고정상태가 유지된다.
여기서, 고정밴드(420)의 후면은 복수의 요철부(450)가 형성된다.
이 복수의 요철부(450)는 일면과 타면이 일정 각도를 갖도록 형성되되, 일면은 경사지고, 타면은 고정밴드(420)의 후면과 직교되도록 형성되어 타면에서 일면쪽으로 쉽게 미끄러지지 않는다.
그리고 고정밴드(420)가 안착되기 위한 가이드홈(460)이 설치프레임(110)에 형성된다.
이 가이드홈(460)에 의해 고정밴드(420)가 설치프레임(110)에 견고하게 안착될 수 있어 설치가 더욱 용이해진다.
10 : 수목 지지장치 100 : 설치부
200 : 지지부 300 : 힌지부
400 : 고정부 500 : 가압수단

Claims (10)

  1. 지지하고자 하는 나무에 복수 개 위치되는 설치부;
    나무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를 설치하도록 상기 각 설치부에 대응되게 구비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를 설치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되,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힌지부; 및
    상기 각 설치부가 나무에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를 포함하는 수목 지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부는,
    탄성을 갖고, 나무에 접하도록 면이 형성된 설치프레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지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내부에 삽입공간부가 형성되되, 상기 삽입공간부의 일단부는 지지대가 삽입되도록 개방되고, 타단부는 상기 힌지부가 설치되기 위한 지지프레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지지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상기 설치프레임에 돌출형성되되, 제1힌지공이 각각 형성되는 제1힌지체;
    상기 두 개의 제1힌지공에 관통설치되는 힌지축; 및
    상기 힌지축에 연결되도록 제2힌지공을 갖고, 상기 지지프레임의 타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두 개의 제1힌지체 사이에 위치되는 제2힌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힌지공과 제2힌지공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일부분이 개방되어 힌지축에 탈부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지지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의 타단부 면 중앙부에 설치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힌지체는,
    제2힌지판; 및
    제2힌지공을 갖고, 상기 제2힌지판에 돌출형성되는 제2힌지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2힌지돌기가 먼저 삽입되도록 제2힌지판을 상기 지지프레임의 삽입공간부 일단부로 삽입시켜 제2힌지돌기가 상기 설치공을 통해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지지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은,
    상기 두 개의 제1힌지공에 위치되기 위한 축몸체;
    상기 축몸체의 일단부에 돌출형성되어 어느 하나의 제1힌지공에 걸려지기 위한 축돌기;
    상기 축몸체의 타단부에 형성되는 축홈; 및
    상기 축홈에 설치되어 다른 하나의 제1힌지공에 걸려지기 위한 축클립;을 포함하는 수목 지지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지지대를 삽입 반대방향으로 가압하기 위한 가압수단;을 더 포함하는 수목 지지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지지프레임의 삽입공간부 일단부에 위치되는 가압판;
    내부에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가압판이 삽입공간부의 일단부로 이탈됨을 방지하기 위한 가압고정캡; 및
    상기 삽입공간부 타단부와 가압판 사이에 구비되어 삽입되는 지지대에 의해 압축된 후, 삽입 반대방향으로 가압하기 위한 가압스프링;을 포함하는 수목 지지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설치부에 복수 개 돌출 형성되는 안착돌기; 및
    상기 안착돌기에 끼워지기 위해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안착홈이 형성되는 고정밴드;를 포함하는 수목 지지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밴드의 일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밴드의 타단부가 통과되는 걸림블럭; 및
    상기 걸림블럭의 내부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안착홈 중 어느 하나가 걸려 고정상태가 유지되기 위한 고정돌기;를 더 포함하는 수목 지지장치.
KR1020170048745A 2017-04-14 2017-04-14 수목 지지장치 KR201801160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8745A KR20180116048A (ko) 2017-04-14 2017-04-14 수목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8745A KR20180116048A (ko) 2017-04-14 2017-04-14 수목 지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6048A true KR20180116048A (ko) 2018-10-24

Family

ID=64132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8745A KR20180116048A (ko) 2017-04-14 2017-04-14 수목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1604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5639B1 (ko) * 2018-12-10 2019-09-26 김형석 나무 식재방법
KR20190118763A (ko) * 2018-04-11 2019-10-21 임동영 지지력이 좋은 토사유출 방지구
KR20200108994A (ko) * 2019-03-12 2020-09-22 육근석 수목 지지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8763A (ko) * 2018-04-11 2019-10-21 임동영 지지력이 좋은 토사유출 방지구
KR102025639B1 (ko) * 2018-12-10 2019-09-26 김형석 나무 식재방법
KR20200108994A (ko) * 2019-03-12 2020-09-22 육근석 수목 지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16048A (ko) 수목 지지장치
US6185303B1 (en) Enclosure mounting bracket
US9174077B2 (en) Bracket for fixing fire-fighting sprinkler
CA2813876C (en) Multi-purpose tool and tension mechanism
TW200631841A (en) Bicycle seat post
KR200392400Y1 (ko) 수목지지구조
US8556220B1 (en) Locking device for a display mounting assembly
KR20120075310A (ko) 낚시받침대 골조의 연결장치
EP2990170A1 (en) Guide bar retention systems and techniques
EP3590806A1 (en) Mudguard supporting device
WO2005087062A3 (de) Ständer zum verankern eines stabförmigen gegenstandes, insbesondere eines baumes
CN210137678U (zh) 一种新型林业树木固定装置
KR200484698Y1 (ko) 간편한 설치 구조를 갖는 전복 양식용 쉘터
KR101037968B1 (ko) 스피커 장착 지지구
KR101938546B1 (ko) 고정끈을 사용하는 수목 보호 지지대
TW201520436A (zh) 用來將可拆離的自行車構件固定至自行車上的裝置及其用途
KR200468610Y1 (ko) 농사용 클램프
CN212696934U (zh) 一种林业工程植树防护装置
US3024865A (en) Sawhorse
KR20050102848A (ko) 수목지지구용 클램프
CN209950018U (zh) 一种园林市政用树木固定器
CN213907762U (zh) 一种园林种植栽培用定位机构
CN210609564U (zh) 一种组合线阵音响
KR200363078Y1 (ko) 거푸집용 타이볼트 고정장치
CN218937438U (zh) 一种可调节传感器安装位置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