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2848A - 수목지지구용 클램프 - Google Patents

수목지지구용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2848A
KR20050102848A KR1020040028141A KR20040028141A KR20050102848A KR 20050102848 A KR20050102848 A KR 20050102848A KR 1020040028141 A KR1020040028141 A KR 1020040028141A KR 20040028141 A KR20040028141 A KR 20040028141A KR 20050102848 A KR20050102848 A KR 200501028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e
support
clamp
hole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8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61536B1 (ko
Inventor
홍성민
Original Assignee
홍성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성민 filed Critical 홍성민
Priority to KR10200400281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1536B1/ko
Publication of KR20050102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28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15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15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2Supports for plants; Trellis for strawberries or the like
    • A01G9/128Fixing of plants to supports, e.g. by means of cli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12Tree-ban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Supports For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목지지구용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식목된 나무에 설치된 상태에서 식목된 나무의 성장에 따라서 수목지지구가 나무의 협지폭을 자동으로 조절하여 줄 수 있도록 된 수목지지구용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수목지지구용 클램프는, 일면에 수목을 손으로 감싸는 형태로 돌출된 지지부(111)와, 타면에 일정한 폭과 깊이의 요홈이 관통되게 형성된 밴드삽입홈(112)을 갖춘 제1부재(110)와, 상기 제1부재의 타면에 일면이 밀착되도록 체결되고, 타면에는 지면에 일단이 박히는 지주봉(150)이 회동가능하게 체결되도록 지주봉설치부(121,122)가 형성되고, 중앙에는 상기 일면에서 타면으로 관통되는 암나사(123)가 형성된 제2부재(120)와, 상기 제1부재의 안쪽면에 일단이 체결되고, 길이방향으로 복수개의 관통구멍(131)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밴드삽입홈과 제2부재의 일면에 의해 형성된 밴드삽입부(Q)에 끼워지도록 된 조절밴드(130)와, 상기 제2부재의 암나사에 설치되어 상기 조절밴드를 탄력적으로 가압하도록 된 가압수단(1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목지지구용 클램프{CLAMP FOR A SUPPORT TREES}
본 발명은 수목(樹木)지지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식목된 나무에 설치된 상태에서 식목된 나무의 성장에 따라서 지지구가 자동적으로 확장되어 수목의 성장을 방해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수목지지구용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로수등의 최초 식목시에는 가로수의 흔들거림이나 쓰러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로수 주변에 별도의 지지대를 설치하고 있다. 이는 가로수의 뿌리가 지면에 미처 활착(活着)되어 고정되기 전에 강풍이나 기타 흔들거림에 의해 넘어지거나 기울어져 성장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의 수목지지구는 나무의 성장과정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지지구가 확장될 수 없도록 되어 있어서, 설치 후 수목이 성장함에 따라서 수시로 지지구의 나무를 협지하고 있는 프레임의 고정볼트나 기타 고정수단을 적절히 조절하여 프레임을 확장시켜주어야 한다. 만약 이러한 사후관리를 소홀히 하였을 경우에는 식목된 나무가 성장함에 따라서 최초에 고정된 협소한 프레임의 협지폭으로 인하여 식목된 나무의 성장을 방해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식물의 성장에 따른 지지구의 프레임을 조절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하기 위한 수목지지구에 관한 고안이 제안되어 있다. 고안의 명칭이 '수목지지대'인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공개번호 제1994-0006823호에는, 지지파이프에 의해 고정되는 원호형파이프의 내주면에 벨트가 연결되고, 이 벨트에는 고무밴드가 끼워져 벨트지지부재에 의해 고무밴드가 수목을 협지하도록 된 수목지지구가 공개되어 있다. 또한 고안의 명칭이 '수목지지구'인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공개번호 제1990-0006094호에는, 요철 보강대가 형성된 각각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을 상호 지지고정시키도록 설치된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는 두개의 숫나사봉과, 이들 사이에 설치된 인장스프링과 고정너트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지주봉들의 끝단을 가압절곡하여서 지주고정부재에 고정시킨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수목지지구는 원호형파이프와 벨트가 고가이고, 벨트가 원호형파이프의 벨트고리에 걸려서 지지되게 되나 이음부의 처리가 곤란하며, 수목에 협지시킬 때 작업성이 좋지 않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공개번호 제1990-0006094호는 프레임의 연결부를 이루는 고정부재 즉, 숫나사봉과 너트, 인장스프링 및 지주봉의 결합구조가 복잡하며, 설치작업이 곤란한 결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수목이 성장함에 따라서 상기 조절밴드가 가압수단에 의해 가압되면서 조금씩 인출되어 자동적으로 협지폭을 조절하여 수목을 협지하도록 된 수목지지구용 클램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목지지구용 클램프의 설치시에 볼트와 너트를 렌치로 체결하는 것만으로 수목지지구용 클램프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설치작업이 간단하도록 된 수목지지구용 클램프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볼트와 너트 및 가압수단을 제외한 모든 부품이 합성수지로 제조되어 오랜 사용으로 비나 눈에 의해 부식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염려할 필요가 없도록 된 수목지지구용 클램프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목지지구용 클램프는, 수목에 접촉하는 접촉면을 구비하고, 상기 접촉면과 이웃하고 대향하는 양측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제1관통구멍과, 상기 접촉면 이외의 측면에서 상기 관통구멍과 연통하는 제2관통구멍이 형성된 수목지지부재와, 상기 수목지지부재의 제1관통구멍에 삽입되기 위한 단면 형상을 하고 있으며, 상기 수목지지부재의 제1관통구멍과 나란한 방항으로 상기 수목지지부재에 고정된 조절밴드와, 상기 수목지지부재의 제2관통구멍에 삽입 고정되어 상기 조절밴드를 탄성적으로 가압하기 위한 가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수목지지구용 클램프는 상기 수목지지부재가, 상기 접촉면에 수목을 손으로 감싸는 형태로 돌출된 지지부와, 타면에 일정한 폭과 깊이의 요홈이 관통되게 형성된 밴드삽입홈을 갖춘 제1부재와, 상기 제1부재의 타면에 일면이 밀착되도록 체결되고, 타면에는 지면에 일단이 박히는 지주봉이 회동가능하게 체결되도록 지주봉설치부가 형성되고, 중앙에는 상기 일면에서 타면으로 관통되는 상기 제2관통구멍이 형성된 제2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한다.
본 발명의 수목지지구용 클램프는 상기 가압수단이 볼플런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수목지지구용 클램프는 상기 지지부에는 지지부를 감싸도록 씌우는 쿠션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수목지지구용 클램프는 상기 제1,2부재와 조절밴드는 플라스틱으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목지지구용 클램프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목지지구용 클램프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목지지구용 클램프에 의해 나무가 협지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목지지구용 클램프가 지주봉에 체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도 4는 도 2의 A - A선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목지지구용 클램프의 배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수목지지구용 클램프(100)는, 수목에 접촉하는 수목지지부재(S)와, 상기 수목지지부재(S)에 형성된 후술하는 제1관통구멍(밴드삽입부)로 끼워지는 조절밴드(130) 및, 상기 수목지지부재(S)에 설치되는 가압수단(140)을 포함한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의 수목지지구용 클램프(100)는, 수목에 접촉하는 접촉면(102)을 구비하고, 상기 접촉면(102)과 이웃하고 대향하는 양측면(103,104)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제1관통구멍(Q;밴드삽입부)과, 상기 접촉면 (102) 이외의 측면에서 상기 제1관통구멍(Q)과 연통하는 제2관통구멍(123)이 형성된 수목지지부재(S)와, 상기 수목지지부재(S)의 제1관통구멍(Q)에 삽입되기 위한 단면 형상을 하고 있으며, 상기 수목지지부재(S)의 제1관통구멍(Q)과 나란한 방항으로 상기 수목지지부재(S)에 고정된 조절밴드(130)와, 상기 수목지지부재의 제2관통구멍(123)에 삽입 고정되어 상기 조절밴드(130)를 탄성적으로 가압하기 위한 가압수단(1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조절밴드(130)가 제1관통구멍(Q)으로 끼워지고 제2관통구멍 (123)으로 가압수단(140)이 삽입 고정되어 설치되면 상기 수목지지부재(S)가 수목에 밀착되게 되고, 수목이 성장하게 되면 상기 조절밴드(130)에 장력이 발생하여 가압수단(140)으로 부터 조절밴드(130)가 일정길이 풀리게 된다.
상기 수목지지부재(S)는, 일면에 수목을 손으로 감싸는 형태로 돌출된 지지부(111)와, 타면에 일정한 폭과 깊이의 요홈이 관통되게 형성된 밴드삽입홈(112)을 갖춘 제1부재(110)와, 상기 제1부재(110)의 타면에 일면이 밀착되도록 체결되고, 타면에는 지면에 일단이 박히는 지주봉(150)이 회동가능하게 체결되도록 요홈(121)과 관통구멍(122)으로 이루어진 지주봉설치부가 형성되고, 중앙에는 상기 일면에서 타면으로 관통되는 제2관통구멍(암나사;123)이 형성된 제2부재(1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절밴드(130)는, 가요성의 재질로 상기 제1부재(110)의 안쪽면에 일단이 체결되고, 길이방향으로 복수개의 가압수단볼안착부(131)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밴드삽입홈(112)과 제2부재(120)의 일면에 의해 형성된 밴드삽입부(Q)에 끼워지도록 된다. 상기 제1부재(110)에 조절밴드(130)가 체결되는 것은 보울트(190)에 의해 결합된다. 또 상기 가압수단볼안착부(131)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 관통구멍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요홈으로 형성되어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가압수단(140)은, 상기 제2부재(120)의 암나사(123)에 설치되어 상기 조절밴드(130)를 탄력적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압수단(140)으로 볼플런저가 적용되어 있으나, 각각의 보올과 스프링 및 보울트로 구성될 수 있다. 또 상기 볼플런저의 볼에 원호는 상기 조절밴드(130)의 관통구멍(131)의 직경보다 더 큰 것이어야 한다.
상기 지주봉(150)은 도 3에서와 같이 지주봉설치부에 보울트(160)와 너트(170)로 체결된다. 또 상기 제1부재(110)와 제2부재(120)의 체결은 복수개의 보울트(180)에 의해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111)에는 덧신 형태의 탄성을 갖는 쿠션부재(101)를 씌워서 지지부에 의해 수목에 상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2부재(110,120)와 조절밴드(130)는 플라스틱으로 성형되어 오랜 사용에도 부식되지 않아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수목지지구용 클램프(100)를 도 1의 형태로 조립한 다음, 각각의 수목지지구용 클램프(100)를 도 3의 형태로 지주봉(150)과 조립하고, 다음 상기 지주봉(150)이 설치된 수목지지구용 클램프(100)를 도 3의 상태와 같이 또는 필요에 따라 4개 이상을 상호간에 연결하여 수목을 지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수목지지구용 클램프(100)는 볼트와 너트를 렌치로 체결하는 것만으로 수목지지구용 클램프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설치작업이 간단하게 된다.
이후 수목이 성장하게 되면 상기 수목지지구용 클램프(100)의 제1부재(110)가 밀리는 압력을 받게 되고 이때 상기 조절밴드(130)에 장력이 발생되고, 일정한 이상의 장력이 발생하면 상기 볼플런저(140)의 볼이 가압수단볼안착부 (관통구멍;131)에 걸쳐 있다가 빠지면서 다음 관통구멍(131)으로 안착되도록 되어 수목을 지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수목의 성장에 따라 협지폭이 자동으로 조절되게 되므로 수목의 성장에 장애를 주지 않게 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수목이 성장함에 따라서 조절밴드가 볼플런저에 의해 가압된 상태로 조금씩 인출되어 자동적으로 협지폭을 조절하여 수목을 협지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수목지지구용 클램프의 설치시에 볼트와 너트를 체결하는 것만으로 수목지지구용 클램프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설치작업이 간단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볼트와 너트 및 가압수단을 제외한 모든 부품이 합성수지로 제조되어 오랜 사용으로 비나 눈에 의해 부식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염려할 필요가 없게 되는 효과가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목지지구용 클램프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목지지구용 클램프에 의해 나무가 협지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목지지구용 클램프가 지주봉에 체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4는 도 2의 A - A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목지지구용 클램프의 배면사시도
<도면부호의 간략한 설명>
100 수목지지구용 클램프 101 쿠션부재
110 제1부재 111 지지부
112 밴드삽입홈 120 제2부재
121 요홈 122 관통구멍
123 암나사(제2관통구멍) 130 조절밴드
131 가압수단볼안착부(관통구멍) 140 가압수단

Claims (5)

  1. 수목에 접촉하는 접촉면을 구비하고, 상기 접촉면과 이웃하고 대향하는 양측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제1관통구멍과, 상기 접촉면 이외의 측면에서 상기 관통구멍과 연통하는 제2관통구멍이 형성된 수목지지부재와,
    상기 수목지지부재의 제1관통구멍에 삽입되기 위한 단면 형상을 하고 있으며, 상기 수목지지부재의 제1관통구멍과 나란한 방항으로 상기 수목지지부재에 고정된 조절밴드와,
    상기 수목지지부재의 제2관통구멍에 삽입 고정되어 상기 조절밴드를 탄성적으로 가압하기 위한 가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지지구용 클램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목지지부재는,
    상기 접촉면에 수목을 손으로 감싸는 형태로 돌출된 지지부와, 타면에 일정한 폭과 깊이의 요홈이 관통되게 형성된 밴드삽입홈을 갖춘 제1부재와,
    상기 제1부재의 타면에 일면이 밀착되도록 체결되고, 타면에는 지면에 일단이 박히는 지주봉이 회동가능하게 체결되도록 지주봉설치부가 형성되고, 중앙에는 상기 일면에서 타면으로 관통되는 상기 제2관통구멍이 형성된 제2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지지구용 클램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은 볼플런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지지구용 클램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는 지지부를 감싸도록 씌우는 쿠션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지지구용 클램프.
  5. 제 1 항 내지 제 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부재와 조절밴드는 플라스틱으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지지구용 클램프.
KR1020040028141A 2004-04-23 2004-04-23 수목지지구용 클램프 KR1006615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8141A KR100661536B1 (ko) 2004-04-23 2004-04-23 수목지지구용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8141A KR100661536B1 (ko) 2004-04-23 2004-04-23 수목지지구용 클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2848A true KR20050102848A (ko) 2005-10-27
KR100661536B1 KR100661536B1 (ko) 2006-12-26

Family

ID=37280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8141A KR100661536B1 (ko) 2004-04-23 2004-04-23 수목지지구용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153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0703B1 (ko) * 2007-01-19 2007-06-20 이광모 수목성장보호대
CN106171813A (zh) * 2016-06-25 2016-12-07 林之铠 一种树木抗风用自动松环支架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3439B1 (ko) * 2013-02-15 2014-05-14 주식회사 지주목 수목성장보호대
CN106069578A (zh) * 2016-05-26 2016-11-09 林之铠 一种能自动松环的树木抗风支架
KR102009410B1 (ko) * 2018-01-04 2019-10-21 김영조 제1 버클부와 제2 버클부가 구비된 버팀 장치
KR102547861B1 (ko) * 2020-09-25 2023-06-26 모던엠앤티 주식회사 수목지지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0703B1 (ko) * 2007-01-19 2007-06-20 이광모 수목성장보호대
CN106171813A (zh) * 2016-06-25 2016-12-07 林之铠 一种树木抗风用自动松环支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1536B1 (ko) 2006-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198717A1 (en) Device for fixing an object to a tree
US9820446B2 (en) Line attachment mechanism and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the same
KR100661536B1 (ko) 수목지지구용 클램프
US4738050A (en) Plant and tree support clamp and system
FR2773702A1 (fr) Dispositif de compression pour l&#39;hemostase d&#39;un organe tel que le foie
KR200392400Y1 (ko) 수목지지구조
KR100730703B1 (ko) 수목성장보호대
EP1109436B1 (en) Support apparatus
KR101048216B1 (ko) 수목 지지구
KR910002258Y1 (ko) 수목 지지구
KR100982047B1 (ko) 다기능 가공선 지지대
KR20080038738A (ko) 수목 지지장치
KR101909812B1 (ko) 작물 가지용 유인 지지수단
KR200143683Y1 (ko) 수목 지지대
KR101044516B1 (ko) 수목 지지용 밴드 결속체
KR101957421B1 (ko) 지주목 연결브라켓
US4002413A (en) Adjustable mounting for auxiliary farm implement
US20050034283A1 (en) Plant support J-hook
KR200229324Y1 (ko) 수목 지지대
FR2887398A1 (fr) Attache pour la culture de la vigne avec zone de blocage
KR200355428Y1 (ko) 조경용 수목보호대
KR20230153104A (ko) 다방향 회동이 가능한 수목지지대
BE1029264B1 (fr) Kit de pièces pour panneau occultant, panneau occultant et procédé de fixation associés
KR200185759Y1 (ko) 신축조절이 가능한 가로수지지대
FR2890528A1 (fr) Attache de maintien pour pieds de vig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