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9812B1 - 작물 가지용 유인 지지수단 - Google Patents

작물 가지용 유인 지지수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9812B1
KR101909812B1 KR1020170038956A KR20170038956A KR101909812B1 KR 101909812 B1 KR101909812 B1 KR 101909812B1 KR 1020170038956 A KR1020170038956 A KR 1020170038956A KR 20170038956 A KR20170038956 A KR 20170038956A KR 101909812 B1 KR101909812 B1 KR 1019098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p
branches
protruding
adjusting means
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8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9348A (ko
Inventor
최종권
Original Assignee
최종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종권 filed Critical 최종권
Priority to KR10201700389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9812B1/ko
Publication of KR201801093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93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98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98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10Holders for boughs or branch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14Props; Stay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2Supports for plants; Trellis for strawberries or the like
    • A01G9/128Fixing of plants to supports, e.g. by means of clip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Protec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물의 생장특성에 적합한 수형구성을 수행하기 위한 작물 가지용 유인 지지수단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작물의 가지 사이를 지지하여 작물 가지의 방향을 유인시키는 몸체 및 몸체의 양단부로 작물 가지를 인입시키는 고정체로 이루어지는 작물 가지용 유인 지지수단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작물 가지용 유인 지지수단{supporter for tree branch}
본 발명은 작물의 생장특성에 적합한 수형구성을 수행하기 위한 작물 가지용 유인 지지수단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작물의 가지 사이를 지지하여 작물 가지의 방향을 유인시키는 몸체 및 몸체의 양단부로 작물 가지를 인입시키는 고정체로 이루어지는 작물 가지용 유인 지지수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작물의 수확량을 늘리기 위하여 작물 가지의 성장을 촉진시키거나, 작물의 생장특성에 적합한 수형구성을 위해 작물 가지를 유인하는 작업을 수행된다.
이와 더불어 각종 과실 또는 열매는 처음엔 꽃이 피고 열매가 생기기 시작하고 열매가 점차 성장하면 자체하중이 증대하여 작물 가지가 찢어지거나 절단되면 열매뿐아니라 과목 자체를 훼손하여 큰 피해가 발생하게 되므로 과일이나 가지의 하중을 분산시켜 연약한 가지를 견고하게 보호 및 지지하고, 비 바람, 폭풍우에 낙과되거나 가지가 부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가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작물 가지를 유인 또는 작물 가지를 지지하기 위해 여러가지 방법들이 사용되었으며,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말목이나 유인추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말목을 이용하는 방법은, 망치를 이용하여 말목을 땅에 박은 다음 끈을 묶어 나뭇가지를 유인하는 것으로, 이러한 방법은 유인작업에 걸리는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리고 제초작업이나 기타 농작업에 불편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유인추를 이용하는 방법은, 가지에 추를 달아서 가지의 높낮이는 추의 무게로 조절이 가능하게 하였으나, 이는 가지의 방향은 고정시킬 수 없으며, 태풍과 같은 자연재해에 가지가 찢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고자 본 출원인은 등록특허 제10-1083990호를 개발하여 작물 가지에 견고하게 장착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작물 가지의 유인작업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본 발명 또한 작물 가지의 유인지지수단의 개량을 제시한 것으로 보다 안정적으로 작물 가지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83990호(2011.11.1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작물의 가지 사이를 지지하여 작물 가지의 방향을 유인시키는 몸체 및 몸체의 양단부로 작물 가지를 인입시키는 고정체로 이루어져 지지하는 각도에 의해 작물 가지를 용이하게 유인하여 작물의 생장 특성에 적합한 수형구조를 구현하여 생산성을 대폭 향상시키는 작물 가지용 유인 지지수단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몸체를 분리하여 구분하되, 구분된 몸체에 제1, 2길이조절수단을 구비시켜 작물 가지의 간격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이 가능한 작물 가지용 유인 지지수단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작물 가지 사이를 지지시켜 작물 가지의 방향을 전환 또는 유인시키는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양단부로 방향을 전환 또는 유인시키고자 하는 작물 가지를 인입시키는 라운딩 형태의 인입구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고정체;가 포함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 가지용 유인 지지수단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몸체는 양측으로 분리되어 분리된 측으로 몸체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제1길이조절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제1길이조절수단은 몸체의 분리된 일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가 형성된 반대측의 몸체에 돌출부가 수용되는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에 구비되어 돌출부를 수용함으로써 돌출부가 형성된 몸체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스프링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는 양측으로 분리되어 분리된 측으로 몸체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제2길이조절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제2길이조절수단은 몸체의 분리된 일측으로 돌출되며, 외측으로 나사산이 형성되는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가 형성된 반대측의 몸체에 체결부가 체결될 수 있도록 내측으로 나사산이 형성되는 체결공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몸체가 유인하고자 하는 작물 가지 사이 또는 나무 몸체와 작물 가지 사이에 게재되어 작물 가지를 지지하게 됨으로써, 작업이 편리하면서도 몸체가 지지하는 각도에 의해 작물 가지를 용이하게 유인하여 작물의 생장 특성에 적합한 수형구조를 구현하여 생산성을 대폭 향상할 수 있고, 또한 라운딩 형태의 인입구로 하여금 작물 가지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하여 작물 가지에 대한 지지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몸체를 분리하여 구분하되, 구분된 몸체에 각각 구비된 제1, 2길이조절수단에 의해 몸체의 길이는 가변됨으로써 작물 가지의 간격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이 가능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사용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제1길이조절수단이 사용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제2길이조절수단이 사용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반사필름이 적용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에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사용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작물 가지용 유인 지지수단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물 가지 사이를 지지시켜 작물 가지의 방향을 전환 또는 유인시키는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몸체(10)와, 몸체(10)의 양단부로 방향을 전환 또는 유인시키고자 하는 작물 가지를 인입시키는 라운딩 형태의 인입구(21)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고정체(20)로 구성된다.
상기 인입구(21)가 다수개로 형성되었을 때에는 유인하고자 하는 작물 가지의 직경이 작을 때에는 다수개의 인입구(21) 중 어느 하나의 인입구(21)를 이용하여 지지하면 되고, 유인하고자 하는 작물 가지의 직경이 클 때에는 다수개의 인입구(21)의 양측으로 하여금 작물 가지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몸체(10)가 유인하고자 하는 작물 가지 사이 또는 나무 몸체와 작물 가지 사이에 게재되어 작물 가지를 지지하게 됨으로써, 작업이 편리하면서도 몸체가 지지하는 각도에 의해 작물 가지를 용이하게 유인하여 작물의 생장 특성에 적합한 수형구조를 구현하여 생산성을 대폭 향상할 수 있고, 또한 라운딩 형태의 인입구(21)로 하여금 작물 가지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하여 작물 가지에 대한 지지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몸체(10) 및 고정체(20)는 생산성 및 경제성을 고려하여 합성수지 재질로 일체형으로 사출되어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몸체(10)는 상, 하, 좌, 우 방향으로 돌출되는 보강부(11)가 형성되며, 이는 몸체(10)가 지지하는 작물 가지의 하중에 대비한 것으로, 작물 가지의 하중이 몸체(10)에 가해져도 보강부(11)에 의해 몸체(10)가 작물 가지의 지지과정에서 파손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시키도록 구성된다.
또한, 보강부(11)는 중앙 부위(L)가 양측 부위(l)보다 더욱 돌출되는 형태인 완만한 라운딩 또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작물 가지로부터 인가되는 하중이 몸체(10)의 상, 하, 좌, 우 방향과 더불어 가운데 부분으로 집중시켜 몸체(10)로 하여금 보다 안정적으로 작물 가지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보강부(11)의 중앙 부위(L)와 보강부(11)의 양측 부위(l)의 두께 비율은 1 : 0.4 ~ 0.7로 이루어지며, 이와 같은 범위보다 보강부의 양측 부위(l)의 두께가 얇으면 보강부(11)의 양측 부위(l)의 지지력이 약해져 파손될 염려가 있으며, 보강부(11)의 양측 부위(l)의 두께가 두꺼우면 작물 가지의 하중이 중앙 부위에 집중되지 않아 보강부(11)의 기능이 저하되기 때문에 강부(11)의 중앙 부위(L)와 보강부(11)의 양측 부위(l)의 두께 비율은 상기와 같은 두께 범위로 이루어지는것이 바람직하다 할것이다.
그리고, 인입구(21)의 표면으로 작물 가지를 국부적으로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다수의 가압돌기(23)가 형성되어 방향을 유입시키고자 하는 작물 가지를 견고하게 고정시키도록 한다.
여기서, 유인시키고자 하는 작물 가지의 간격이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몸체의 길이는 작물 가지의 형태에 따라 가변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몸체(10)는 양측으로 분리되어 분리된 측으로 몸체(1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제1길이조절수단이 구비된다.
상기 제1길이조절수단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의 분리된 일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31)가 포함되어 구성되며, 상기 돌출부(31)가 형성된 반대측의 몸체(10)에 돌출부(31)가 수용되는 수용부(33) 및 상기 수용부(33)에 구비되면서 돌출부(31)의 단부가 고정되어 돌출부(31)가 형성된 몸체(10)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스프링(35)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즉, 유인하고자 하는 작물 가지의 간격이 좁을 때에는 분리된 몸체(10)의 양측을 눌러 몸체(10)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돌출부(31)는 수용부(33)에 깊게 인입되고 탄성스프링(35)이 수축된 상태로 작물 가지 사이에 고정시켜 작물 가지를 지지한다.
또한, 유인하고자 하는 작물 가지의 간격이 넓을 때에는 후 탄성스프링(35)의 탄성력에 의해 분리된 몸체(10) 사이는 벌어져서 몸체(10)의 길이는 늘어나게 되어 작물 가지를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탄성스프링(35)의 양단부와 수용부(33)의 단부와 돌출부(31)의 단부는 서로 융착시켜 분리된 몸체(10)와 탄성스프링(35) 간의 고정이 이루어져 몸체(10)끼리 서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한편, 몸체(10)는 양측으로 분리되어 분리된 측으로 몸체(1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제2길이조절수단이 구비된다.
상기 제2길이조절수단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는 양측으로 분리되어 분리된 측으로 몸체(1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제2길이조절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제2길이조절수단은 몸체(10)의 분리된 일측으로 돌출되며, 외측으로 나사산이 형성되는 체결부(41)가 포함되어 구성되며, 상기 체결부(41)가 형성된 반대측의 몸체(10)에 체결부(41)가 체결될 수 있도록 내측으로 나사산이 형성되는 체결공(43)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즉, 체결부(41)가 체결공(43)에 체결되는 정도에 따라 양측으로 분리된 몸체(10)의 길이가 가변되어 작물 가지의 간격에 대해 대응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제1, 2길이조절수단에 의해 몸체(10)의 길이는 가변됨으로써 작물 가지의 간격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이 가능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체(20)에는 알루미늄 박막으로 이루어지는 반사필름(50)이 부착되어 야간에 작업을 하거나 작물 가지가 빽빽하게 들어선 수형구조에서 반사필름(50)에 의해 고정체(20)의 식별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한다.
10 : 몸체 11 : 보강부
20 : 고정체 21 : 인입구
23 : 가압돌기 31 : 돌출부
33 : 수용부 35 : 탄성스프링
41 : 체결부 43 : 체결공
50 : 반사필름

Claims (7)

  1. 작물 가지 사이를 지지시켜 작물 가지의 방향을 전환 또는 유인시키는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몸체(10);
    상기 몸체(10)의 양단부로 방향을 전환 또는 유인시키고자 하는 작물 가지를 인입시키는 라운딩 형태의 인입구(21)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고정체(20);가 포함되고,
    상기 몸체(10)는 상, 하, 좌, 우 방향으로 돌출되는 보강부(11)가 형성되고,
    상기 보강부(11)는 중앙 부위(L)가 양측 부위(l)보다 더욱 돌출되는 형태이고,
    상기 보강부(11)의 중앙 부위(L)와 보강부의 양측 부위(l)의 두께 비율은 1 : 0.4 ~ 0.7이고,
    방향을 유입시키고자 하는 작물 가지를 인입시키는 상기 인입구(21)의 표면으로 작물 가지를 국부적으로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다수의 가압돌기(23)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10)는 양측으로 분리되어 분리된 측으로 몸체(1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제1길이조절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제1길이조절수단은 몸체(10)의 분리된 일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31)와, 상기 돌출부(31)가 형성된 반대측의 몸체(10)에 돌출부(31)가 수용되는 수용부(33) 및 상기 수용부(33)에 구비됨과 아울러 돌출부(31)의 단부가 고정되어 돌출부(31)가 형성된 몸체(10)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스프링(35)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10)는 양측으로 분리되어 분리된 측으로 몸체(1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제2길이조절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제2길이조절수단은 몸체(10)의 분리된 일측으로 돌출되며, 외측으로 나사산이 형성되는 체결부(41)와, 상기 체결부(41)가 형성된 반대측의 몸체(10)에 체결부(41)가 체결될 수 있도록 내측으로 나사산이 형성되는 체결공(43)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체(20)에는 알루미늄 박막으로 이루어지는 반사필름(50)이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 가지용 유인 지지수단.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70038956A 2017-03-28 2017-03-28 작물 가지용 유인 지지수단 KR1019098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8956A KR101909812B1 (ko) 2017-03-28 2017-03-28 작물 가지용 유인 지지수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8956A KR101909812B1 (ko) 2017-03-28 2017-03-28 작물 가지용 유인 지지수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9348A KR20180109348A (ko) 2018-10-08
KR101909812B1 true KR101909812B1 (ko) 2018-10-18

Family

ID=63864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8956A KR101909812B1 (ko) 2017-03-28 2017-03-28 작물 가지용 유인 지지수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98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3518B1 (ko) 2018-12-10 2019-05-28 최종권 작물 가지용 유인수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760616C1 (ru) * 2021-05-24 2021-11-29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КВАНТУМ СПЭЙС» Способ размещения рециркулятора закрытого тип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09923A (ja) 2009-11-24 2011-06-09 Ars Corporation 伸縮柄の調節位置固定装置とそれを備えた鋏及び鋸
JP2015112107A (ja) 2013-12-10 2015-06-22 キム ホンミンKIM Hongmin 農作物の枝固定支持具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94330B2 (ja) * 1998-04-30 1999-12-27 第一ビニール株式会社 植物支持具及びこれを用いる植物支持装置
KR101083990B1 (ko) 2008-12-30 2011-11-16 이일준 가지유인클립
KR101048216B1 (ko) * 2009-05-26 2011-07-08 김상태 수목 지지구
KR101200663B1 (ko) * 2009-08-26 2012-11-12 (주)송산조경 길이조절 가능한 수목 지지 장치
KR101813045B1 (ko) * 2015-05-21 2018-03-14 주식회사 한솔영농과학 나무 가지 처짐 및 흔들림 방지용 지지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09923A (ja) 2009-11-24 2011-06-09 Ars Corporation 伸縮柄の調節位置固定装置とそれを備えた鋏及び鋸
JP2015112107A (ja) 2013-12-10 2015-06-22 キム ホンミンKIM Hongmin 農作物の枝固定支持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3518B1 (ko) 2018-12-10 2019-05-28 최종권 작물 가지용 유인수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9348A (ko) 2018-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9812B1 (ko) 작물 가지용 유인 지지수단
US9820446B2 (en) Line attachment mechanism and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the same
US4738050A (en) Plant and tree support clamp and system
US20060201060A1 (en) System for attaching objects to vertically elongated structures
KR101050765B1 (ko) 과실수용 가지유인벨트
KR102306948B1 (ko) 그물망을 이용한 고추 줄기 지지 장치
KR200386723Y1 (ko) 수형 교정기구
KR20170052412A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나뭇가지 처짐 및 흔들림 방지용 유인지지대
KR20230083120A (ko) 농작물 지지용 가이드끈 고정장치
KR200480484Y1 (ko) 농작물용 가지 유인구
FR2887398A1 (fr) Attache pour la culture de la vigne avec zone de blocage
GB2244089A (en) Securing device for line(s)
US20140183311A1 (en) Tree Planter Harness
KR101493929B1 (ko) 농작물 고정타이
KR20130025917A (ko) 인삼재배를 위한 해가림막용 지주대 결속장치
KR20170002877U (ko) 고추나무 지지용 끈 고정핀
KR102611180B1 (ko) 농작물 지지대용 브라켓
KR200401881Y1 (ko) 가지유인구
KR102511215B1 (ko) 고추대 지지구
KR102155966B1 (ko) 농작물 지지대
GB2231913A (en) Support for plant canes and the like
KR20100101228A (ko) 수목 지지용 밴드 결속체
KR102168129B1 (ko) 넝쿨작물용 줄기 유인용 집게
KR20110005527U (ko) 작물지지대용 지지바클램프 구조
KR20160145461A (ko) (과수)나무 가지 처짐 및 흔들림 방지용 지지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