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3539A - 증강현실 기반의 게임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증강현실 기반의 게임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3539A
KR20170013539A KR1020150106310A KR20150106310A KR20170013539A KR 20170013539 A KR20170013539 A KR 20170013539A KR 1020150106310 A KR1020150106310 A KR 1020150106310A KR 20150106310 A KR20150106310 A KR 20150106310A KR 20170013539 A KR20170013539 A KR 201700135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acter image
augmented reality
character
mobile terminal
g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6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정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알미디어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알미디어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알미디어웍스
Priority to KR1020150106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13539A/ko
Publication of KR201700135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35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60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 A63F13/65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automatically by game devices or servers from real world data, e.g. measurement in live racing competi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1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 A63F13/213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comprising photodetecting means, e.g. cameras, photodiodes or infrared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45Controlling the progress of the video game
    • A63F13/49Saving the game status; Pausing or ending the gam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60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 A63F13/65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automatically by game devices or servers from real world data, e.g. measurement in live racing competition
    • A63F13/655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automatically by game devices or servers from real world data, e.g. measurement in live racing competition by importing photos, e.g. of the play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60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 A63F13/69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by enabling or updating specific game elements, e.g. unlocking hidden features, items, levels or vers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70Game security or game management aspects
    • A63F13/79Game security or game management aspects involving player-related data, e.g. identities, accounts, preferences or play histo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60Methods for processing data by generating or executing the game program
    • A63F2300/69Involving elements of the real world in the game world, e.g. measurement in live races, real video
    • A63F2300/695Imported photos, e.g. of the play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8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specially adapted for executing a specific type of game
    • A63F2300/8082Virtual re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차원 증간현실 캐랙터 이미지와 학습용 컨텐츠를 접목하여 게임을 진행하는 증강현실 기반의 게임 시스템 및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종류의 캐릭터(1)가 각각 인쇄된 적어도 하나의 인쇄물(30)과, 상기 인쇄물(30)에 인쇄된 캐릭터를 카메라(42)로 촬영하고, 상기 카메라(42)로 인식한 캐릭터에 매칭되는 캐릭터 이미지 정보를 전송하는 이동 단말기(40)와,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전송된 캐릭터 이미지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캐릭터 이미지 정보에 매칭되는 3차원 증강현실 캐릭터 이미지와 학습용 컨텐츠를 상기 이동 단말기에 전송하는 서버(10)와, 상기 서버(10)와 상기 이동 단말기(40) 간의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지도록 연결시키는 통신망(20)으로 구성됨으로써,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3차원 증강현실 캐릭터 이미지로 이루어진 캐릭터들의 게임모드를 수행하고, 게임모드의 진행에 따라 상기 학습용 컨텐츠를 함께 디스플레이 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증강현실 기반의 게임 시스템 및 방법{AUGMENTED REALITY BASED GAME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증강현실 기반의 게임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증강현실을 기반으로 하는 3D 캐릭터의 동작을 조종하면서 게임을 진행하고, 게임에 교육 컨텐츠를 접목하여 학습효과를 향상시키는 증강현실 기반의 게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 폰의 보편화에 따라 스마트 폰을 이용한 각종 정보의 제공이나 홍보 등이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사용자에게 가장 편의적인 방식의 하나로서 카메라 모듈을 이용하여 QR 코드를 인식하도록 하고, 인식된 QR 코드가 지시하는 특정 웹 사이트의 접속이나 특정 웹 사이트의 컨텐츠 제공 등이 가장 보편적인 예시이다. 최근에는 카메라 모듈을 이용한 촬영 시 현실의 공간에 다양한 정보를 덧씌워 보여 주는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 기법을 이용한 컨텐츠 제공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이란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의 한 분야에 속하는 기술로, 사용자가 감각으로 느끼는 실제환경에 가상환경을 합성하여 원래의 실제환경에 가상환경이 존재하는 것처럼 느끼게 하는 컴퓨터 기법이다.
이러한 증강 현실은 가상의 공간과 사물만을 대상으로 하는 기존의 가상 현실과 달리 현실 세계의 기반에 가상 사물을 합성하여 현실 세계만으로는 얻기 어려운 부가적인 정보들을 보강해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사용자가 보고 있는 실사 영상에 컴퓨터 그래픽으로 만들어진 가상환경, 예를 들면, 3차원 가상환경을 정합함으로써 구현된 현실을 증강현실이라고 할 수 있다. 여기서, 3차원 가상환경은 사용자가 바라보는 실사 영상에서 필요한 정보를 제공해주고, 3차원 가상영상은 실사영상과 정합되어 사용자의 몰입도를 높일 수 있다.
이러한 증강현실은 단순 가상현실 기술에 비하여 3차원 가상환경에 실사영상도 같이 제공하여 현실환경과 가상환경과의 구분이 모호해지게 함으로써, 보다 나은 현실감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증강현실 시스템의 장점에 기인하여, 최근 전세계적으로 증강현실을 접목한 기술에 대해 활발한 연구/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예를 들어, 증강 현실 기술은 방송, 광고, 전시, 게임, 테마 파크, 군용, 교육 및 프로모션 등의 분야에서 실용화가 진행 중인 상태이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대중적으로 확산되지는 않았다.
최근 이동 단말기는 최근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UMPC(ultra mobile personal computer) 등 모바일 기기의 컴퓨팅 능력 향상 및 무선 네트워크 장치의 발달로 핸드헬드(handheld) 증강현실 시스템이 가능해 졌다.
이러한 시스템이 가능해지면서 모바일 기기를 사용한 증강현실 어플리케이션이 다수 개발되었다. 그리고 모바일 기기의 보급이 매우 빠르게 보편화되어 증강현실 어플리케이션을 접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고 있는 상황이다.
더불어, 단말기의 증강현실을 이용한 다양한 부가서비스에 대한 사용자 요구가 증대하고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단말기 사용자에게 다양한 증강현실 컨텐츠를 적용하려는 시도가 증가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2012-0057468호 (모바일 증강현실을 위한 QR 코드 데이터 표현. 2012.06.05.)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쇄물에 인쇄된 캐릭터를 촬영하여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3차원 증강현실 캐릭터 이미지로 이루어진 캐릭터들을 이용하여 공격 이나 수비 동작 등의 모션을 컨트롤 할 수 있는 게임모드를 수행하고, 게임진행에 따라 학습용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으로 게임의 즐거움과 학습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증강현실 기반의 게임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인쇄물을 이루는 노트에 인쇄된 캐릭터를 이동 단말기의 카메라로 촬영하는 방법으로 3차원 증강현실 캐릭터 이미지를 얻고, 게임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증강현실 기반의 게임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게임모드를 진행하면서 발생되는 승패에 따라 캐릭터의 레벨을 부여하고, 상기 캐릭터의 레벨에 따라 제공되는 학습용 콘텐츠의 난이도를 조절하여, 학습효과를 증가시키는 증강현실 기반의 게임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대전 모드 진행 시, 이동단말기의 카메라로 촬영한 대결지대를 각각의 3차원 증강현실 캐릭터 이미지의 초기 위치로 지정하는 방법으로 게임의 편의성을 증가시키는 증강현실 기반의 게임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증강현실 기반의 게임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캐릭터가 각각 인쇄된 인쇄물; 상기 인쇄물에 인쇄된 캐릭터를 카메라로 촬영하고, 상기 카메라로 인식한 캐릭터에 매칭되는 캐릭터 이미지 정보를 전송하는 이동 단말기;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전송된 캐릭터 이미지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캐릭터 이미지 정보에 매칭되는 3차원 증강현실 캐릭터 이미지와 학습용 컨텐츠를 상기 이동 단말기에 전송하는 서버; 및 상기 서버와 상기 이동 단말기 간의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지도록 연결시키는 통신망;을 포함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3차원 증강현실 캐릭터 이미지로 이루어진 캐릭터들의 동작제어를 통해 대결 게임모드를 수행하고, 게임모드의 진행에 따라 상기 학습용 컨텐츠를 함께 디스플레이 시킨다.
서로 다른 종류의 캐릭터가 각각 인쇄된 적어도 하나의 인쇄물; 상기 인쇄물에 인쇄된 캐릭터를 카메라로 촬영하고, 상기 카메라로 인식한 캐릭터에 매칭되는 캐릭터 이미지 정보를 전송하는 이동 단말기;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전송된 캐릭터 이미지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캐릭터 이미지 정보에 매칭되는 3차원 증강현실 캐릭터 이미지와 학습용 컨텐츠를 상기 이동 단말기에 전송하는 서버; 및 상기 서버와 상기 이동 단말기 간의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지도록 연결시키는 통신망;을 포함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3차원 증강현실 캐릭터 이미지로 이루어진 캐릭터들의 게임모드를 수행하고, 게임모드의 진행에 따라 상기 학습용 컨텐츠를 함께 디스플레이 시킨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게임모드는 상기 3차원 증강현실 캐릭터를 캐릭터 도감에 수집하고 관리하는 AR 모드; 및 상기 3차원 증강현실 캐릭터 간의 대전게임을 진행하는 대전모드;를 포함한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대전모드에서의 승률에 따라 증가되는 상기 3차원 증강현실 캐릭터의 레벨 등급에 따라 상기 학습용 컨텐츠의 난이도가 조절된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쇄물의 일측면에는 상기 캐릭터가 인쇄되고, 상기 인쇄물의 타측면에는 상기 3차원 증강현실 캐릭터가 표시되는 지점을 지정하는 대결지대가 인쇄된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 단말기는 모바일 증강현실 모듈과 게임 엔진이 포함된 제어부; 상기 3차원 증강현실 캐릭터 이미지가 저장되는 캐릭터 저장부와 상기 학습용 컨텐츠가 저장되는 학습용 컨텐츠 저장부를 포함하는 저장부; 상기 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게임 엔진에는 게임을 진행하며 상기 3차원 증강현실 캐릭터의 모션을 제어하는 모션컨트롤러가 연결된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버는 상기 이동 단말기와 상기 3차원 증강현실 캐릭터 이미지 및 상기 학습용 컨텐츠 제공을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3차원 증강현실 캐릭터 이미지가 저장되는 3차원 증강현실 캐릭터 이미지 저장부와 상기 학습용 컨텐츠가 저장되는 학습용 컨텐츠 저장부를 포함하는 저장부 및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전송받은 상기 캐릭터 이미지 정보와 매칭되는 3차원 증강현실 캐릭터 이미지와 상기 학습용 컨텐츠를 상기 저장부에서 검색하여 상기 통신부로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증강현실 기반의 게임 방법은 게임모드를 선택하는 선택단계; 상기 선택단계에서 대전모드를 선택한 경우 진행되는 대전모드 시작단계; 이동 단말기의 카메라를 사용해 각각의 인쇄물을 차례로 촬영하고, 인식된 각각의 캐릭터 이미지 정보에 매칭되는 3차원 증강현실 캐릭터 이미지와 학습용 컨텐츠를 서버로부터 각각 전송받아 차례로 생성하는 3차원 증강현실 캐릭터 이미지 생성단계; 상기 인쇄물에 인쇄된 대결지대를 상기 카메라로 촬영하는 촬영단계; 상기 촬영단계에서 촬영된 대결지대 위에 상기 3차원 증강현실 캐릭터 이미지를 정합하는 정합단계; 정합된 상기 3차원 증강현실 캐릭터 간의 대전 게임을 진행하는 대결진행 단계; 상기 대결진행단계를 진행하는 도중이나 승패가 결정된 이후에 상기 학습용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대결진행 단계는 3차원 증강현실 캐릭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모션컨트롤러를 통해 게임을 진행한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선택단계에서 AR모드를 선택한 경우, AR 모드 시작단계; 이동 단말기의 카메라를 사용해 인쇄물을 촬영하고, 인식된 캐릭터 이미지 정보에 매칭되는 3차원 증강현실 캐릭터 이미지와 학습용 컨텐츠를 서버로부터 전송받아 차례로 생성하는 3차원 증강현실 캐릭터 이미지 생성단계; 생성된 3차원 증강현실 캐릭터 이미지를 캐릭터 도감에 저장하고 관리하는 캐릭터 관리단계; 상기 캐릭터 도감에 저장된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여 로그인 된 계정으로 저장하는 저장단계; 을 포함한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3차원 증강현실 캐릭터 이미지 생성단계는, 증강현실 모듈의 로딩을 진행하는 증강현실 모듈 로딩단계; 상기 카메라로 인쇄물에 인쇄된 캐릭터를 촬영하는 캐릭터 이미지 인식단계; 인식된 캐릭터에 매칭되는 캐릭터 이미지 정보를 분류기준별로 생성하는 생성단계; 상기 캐릭터 이미지 정보를 서버로 송신하는 송신단계; 송신된 상기 캐릭터 이미지 정보를 서버에서 수신하는 수신단계; 상기 캐릭터 이미지 정보에 매칭되는 3차원 증간현실 캐릭터 이미지를 검색하는 검색단계; 상기 캐릭터 이미지 정보에 매칭되는 학습용 컨텐츠를 검색하는 검색단계; 검색된 상기 3차원 증강현실 캐릭터 이미지와 상기 학습용 컨텐츠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송신하는 송신단계; 송신된 상기 3차원 증강현실 캐릭터 이미지와 상기 학습용 컨텐츠를 수신하는 수신단계; 및 상기 이동 단말기 내에 저장하는 저장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증강현실 기반의 게임 시스템은 인쇄물에 인쇄된 캐릭터 그림을 통해 3차원 증강현실 캐릭터 이미지를 생성하고,3차원 증강현실 캐릭터의 공격이나 수비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으로 게임을 진행함으로써, 사용자의 현실감이나 즐거움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증강현실 기반의 게임 시스템 및 방법은 인쇄물에 인쇄된 캐릭터를 통해 3차원 증강현실 캐릭터 이미지의 대전 게임을 진행하여 사용자의 즐거움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대전 게임에 도중에 캐릭터의 레벨에 따라 난이도가 조절되는 학습용 컨텐츠를 적용하여 학습효과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노트에 인쇄된 캐릭터를 통해 3차원 증강현실 캐릭터 이미지와 학습용 컨텐츠를 얻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노트의 구매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인 증강현실 기반의 게임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서버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인 증강현실 기반의 게임 시스템 게임 시작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5는 이동 단말기 상에서 AR 모드 진행과정을 도시한 상태도,
도 6은 이동 단말기 상에서 대전모드 진행과정을 도시한 상태도,
도 7은 이동 단말기 상에서 학습용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8은 게임모드에 사용되는 캐릭터의 특성을 도시한 상태도,
도 9는 캐릭터의 레벨에 따라 진행되는 학습용 콘텐츠를 난이도를 도시한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인 증강현실 기반의 게임 시스템의 게임 진행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
도 11은 증강현실 캐릭터 이미지 생성단계의 진행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인 증강현실 기반의 게임 시스템 및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1) 첨부된 도면들에 도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개략적인 것으로 다소 변경될 수 있다. 2) 도면은 관찰자의 시선으로 도시되기 때문에 도면을 설명하는 방향이나 위치는 관찰자의 위치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3) 도면 번호가 다르더라도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4)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5) 단수로 설명되는 경우 다수로도 해석될 수 있다. 6) 형상, 크기의 비교, 위치 관계 등이 '약, 실질적' 등으로 설명되지 않아도 통상의 오차 범위가 포함되도록 해석된다. 7) '~후, ~전, 이어서, 후속하여, 이때' 등의 용어가 사용되더라도 시간적 위치를 한정하는 의미로 사용되지는 않는다. 8) '제1, 제2, 제3' 등의 용어는 단순히 구분의 편의를 위해 선택적, 교환적 또는 반복적으로 사용되며 한정적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9)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측면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가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10) 부분들이 '~또는'으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경우 부분들 단독뿐만 아니라 조합도 포함되게 해석되나, '~또는, ~중 하나'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경우 부분들 단독으로만 해석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인 증강현실 기반의 게임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서버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인 증강현실 기반의 게임 시스템 게임 시작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고, 도 5는 이동 단말기 상에서 AR 모드 진행과정을 도시한 상태도이고, 도 6은 이동 단말기 상에서 대전모드 진행과정을 도시한 상태도이고, 도 7은 이동 단말기 상에서 학습용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고, 도 8은 게임모드에 사용되는 캐릭터의 특성을 도시한 상태도이고, 도 9는 캐릭터의 레벨에 따라 진행되는 학습용 콘텐츠를 난이도를 도시한 상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인 증강현실 기반의 게임 시스템의 게임 진행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고, 도 11은 증강현실 캐릭터 이미지 생성단계의 진행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1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인 증강현실 기반의 게임 시스템은 일측면에는 캐릭터(1)가 인쇄되고, 타측면에는 대결지대가 인쇄된 인쇄물(30)과, 게임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이동 단말기(40)와, 이동 단말기(40)에 3차원 증강현실 캐릭터 이미지와 학습용 컨텐츠를 전송하는 서버(10)와, 이동 단말기(40)와 서버(10) 간에 데이터 송수신을 이루는 통신망(20)으로 구성된다. 게임 어플리케이션에서 진행되는 게임모드는 상기 3차원 증강현실 캐릭터를 캐릭터 도감에 수집하고 관리하는 AR 모드와, 상기 3차원 증강현실 캐릭터 간의 대전게임을 진행하는 대전모드로 구성된다.
인쇄물(30)은 캐릭터(1) 이미지와 대결지대(32a, 32b) 이미지가 인쇄된다. 본 발명에서는 인쇄물(30)이 노트로 이루어진 것을 일예로 들어 설명하나, 인쇄물(30)은 캐릭터(1)와 대결지대(32a, 32b)가 인쇄될 수 있는 면적이 구비된다면 노트 이외에 다양한 물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노트의 전면(31)에는 캐릭터(1) 이미지가 인쇄된다. 캐릭터(1)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속성을 갖는 다수개의 캐릭터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는 마스크 마스터즈의 캐릭터를 이용하는 것을 일예로 설명하고 있으나, 마스크 마스터즈 이외에 다양한 캐릭터의 적용이 가능하다. 캐릭터(1)는 불, 물, 흙, 바람의 특성을 각각 보유하며, 바람 속성은 흙 속성을 강하고, 흙 속성은 물 속성에 강하고, 물 속성은 불 속성에 강하고, 불 속성은 바람 속성에 강한 특징을 갖는다. 또한 불 속성은 흙 속성과 유사하고, 물 속성은 바람 속성과 유사하다. 인쇄물(30)을 이루는 노트의 전면(31)에 캐릭터(1)가 인쇄되고, 후면에 대결지대(32a, 32b)가 인쇄된다. 캐릭터나 대결지대는 어느 한 면에 구획을 나누어 인쇄될 수도 있다.
통신망(20)은 이동 단말기(40)와, 증강현실 서비스 제공 서버(10) 간의 정보 송수신을 위한 통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즉,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증강현실 서비스를 이용한 게임을 제공하기 위하여, 이동 단말기(40)와 증강현실 서비스 제공 서버(10)간의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망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통신망(20)은 인터넷 프로토콜(IP, Internet Protocol)을 통하여 대용량 데이터의 송수신 서비스 및 끊기는 현상이 없는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아이피망으로, 아이피를 기반으로 서로 다른 망을 통합한 아이피망 구조인 올 아이피(All IP)망 일 수 있다. 또한, 통신망(20)은 유선통신망, 이동통신망, Wibro(Wireless Broadband)망,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망, 위성통신망 및 와이파이(WI-FI, Wireless Fidelity)망 중 하나일 수 있다.
이동 단말기(40)는 사용자에게 3차원 증강현실 캐릭터 이미지를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동 단말기(40)는 제어부(41), 카메라(42), 인터페이스(43), 입력부(44), 저장부(45), 통신부(46) 등을 포함한다. 다만, 도 2는 이동 단말기(40)의 필수 구성요소들로만 구성된 것이 아니며, 본 실시예의 이동 단말기(40)는 인터페이스, 사용자 입력부 등 다른 구성을 더 포함하거나, 도시된 구성들 중 일부는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저장부(45)는 제어부(41)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예를 들면, 화상 프레임과 3차원 증강현실 캐릭터 이미지를 정합하는 알고리즘), 마커에 대한 정보, 이에 매칭되는 캐릭터 이미지 정보 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하며,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의 임시 저장을 위한 역할도 수행한다.
저장부(45)는 3차원 증강현실 캐릭터 이미지와 관련된 데이터가 저장되는 캐릭터 저장부(45a)와, 학습용 컨텐츠 관련 데이터가 저장되는 학습용 컨텐츠 저장부(45b)로 구성된다. 저장부(45)는 플래시 저장부 타입, 하드디스크 타입,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 카드 타입의 저장부(SD 등), 램(RAM), SRAM(Static RAM), 롬(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PROM(Programmable ROM), 자기 저장부,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 중 어느 하나의 타입으로 이루어진 저장매체가 될 수 있다.
카메라(42)는 인쇄물(30)에 인쇄된 캐릭터 이미지, 대결지대를 인식하는 도구로 사용된다. 또한 이동 단말기(40)에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과 관련된 입출력을 발생시키는 구성요소로 터치스크린으로 이루어진 디스플레이부가, 스피커, 알람부 및 햅틱 모듈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제어부에서 치리되는 정보를 표시하거나, 게임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거나, 카메라(42)로 촬영된 화상 프레임을 표시할 수 있으며, 촬영된 화상 프레임에 3차원 증강현실 캐릭티 이미지를 정합한 게임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통신부(46)는 방송 수신 모듈, 이동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및 위치 정보 모듈 등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통신부(46)를 이용하여 통신망(20)을 통해 증강현실 구현을 위한 각종 데이터를 서버(10)에 요청하거나 전송받을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인터넷 모듈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어 구성되거나 외장 연결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제어부(41)는 이동 단말기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어부(41)는 카메라(42)로부터 촬영되는 광고물 이미지가 포함된 화상프레임과, 3차원 증강현실 캐릭터 이미지를 정합하여 이동 단말기(40)의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한다.
제어부(41)는 모바일 증강현실 모듈(41a)과 게임 엔진(41b)으로 구성된다. 모바일 증강현실 모듈(41a)은 촬영된 캐릭터 이미지를 통해 3차원 증강현실 캐릭터 이미지를 정합하는 과정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게임 엔진(41b)은 생성된 3차원 증강현실 캐릭터 이미지를 이용해 게임모드를 진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게임 엔진(41b)에는 모션컨트롤러(47)가 연결된다. 모션컨트롤러(47)는 AR모드나 대전 모드 중 캐릭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이다. 모션컨트롤러(47)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전모드 화면에 진행버튼(5)으로 표시되어, 공격 및 방어 동작을 컨트롤 하는 방법을 일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별도의 진행버튼(5)이 표시되는 방법 이외에도, 디스플레이부를 이루는 터치 스크린을 터치 동작을 통해 캐릭터의 공격 및 방어 동작을 컨트롤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대방 캐릭터를 향하는 전방을 향해 드래그를 실시하면 캐릭터는 공격 모션을 수행하고, 후방을 향해 드래그를 실시하면 캐릭터는 수비 모션을 수행하는 방법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최근 스마트폰에 많이 설치되는 자이로센서, 가속센서, GPS 센서 등을 모션컨트롤러(47)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이동 단말기(40)의 내부에 자이로센서, 가속센서, GPS 센서등을 설치하고, 이동 단말기(40)를 흔들거나 기울이는 동작으로 캐릭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또는 조이스틱과 같은 별도의 컨트롤러를 추가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모션컨트롤러(47)는 제어부(41)에 일체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모션컨트롤러(47)는 이동 단말기(40)를 이루는 입력부(44)를 이용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이러한 모션컨트롤러(47)는 AR 모드를 진행하는 도중에도 각 캐릭터의 동작을 통해 특정 공격 기술이나 수비기술을 익히고, 캐릭터 레벨을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모바일 증강현실 모듈(41a)과 게임 엔진(41b)을 구분함으로써 데이터 처리 속도가 향상되어 게임 진행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제어부(41)는 터치 스크린으로 이루어진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행하여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수행할 수 있고, 로그인이나 게임 진행 명령버튼을 터치하는 방법으로 게임모드를 진행할 수 있다.
서버(10)는 인쇄물을 캐릭터와 관련된 게임 어플리케이션을 이동 단말기(40)에 제공할 수 있으며, 게임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이동 단말기(40)의 요청에 따라 필요한 데이터를 이동 단말기(40)에 제공한다. 즉, 이동 단말기(40)에서 인쇄물을 이루는 노트에 인쇄된 캐릭터를 촬영하여 얻은 캐릭터 이미지에 대응되는 3차원 증강현실 캐릭터 이미지와 관련된 이미지나 캐릭터 특성, 전투능력, 레벨 등을 이동 단말기(40)에 제공하여, 이동 단말기(40)가 게임모드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10)는 이동 단말기와 3차원 증강현실 캐릭터 이미지 및 학습용 컨텐츠 제공을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11)와, 3차원 증강현실 캐릭터 이미지가 저장되는 3차원 증강현실 캐릭터 이미지 저장부(13a)와 상기 학습용 컨텐츠가 저장되는 학습용 컨텐츠 저장부(13b)를 포함하는 저장부(13)와, 이동 단말기(40)에서 전송받은 캐릭터 이미지 정보와 매칭되는 3차원 증강현실 캐릭터 이미지와 학습용 컨텐츠를 저장부(13)에서 검색하여 상기 통신부(11)로 전달하는 제어부(12)로 구성된다.
저장부(13)의 3차원 증강현실 캐릭터 이미지 저장부(13a)에는 전송된 캐릭터 이미지 정보와 매칭되는 3차원 증강현실 캐릭터 이미지가 저장된다. 또한 3차원 증강현실 캐릭터 이미지와 함께 각종 음향효과 및 캐릭터 특성에 관한 컨텐츠나 동영상, 홈페이지 링크 등이 함께 매칭되어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12)는 이동 단말기(40)로부터 전송받은 캐릭터 이미지 정보(또는 마커)가 수신되면, 수신된 캐릭터 이미지 정보와 매칭되는 3차원 증강현실 캐릭터 이미지와 학습용 컨텐츠를 저장부(13)의 3차원 증강현실 캐릭터 이미지 저장부(13a)와 학습용 컨텐츠 저장부(13b)에서 검색하고, 이를 통신부(11)를 통해 전송한다. 또한 서버 구성 전체를 통합 관리 및 제어한다. 학습용 컨텐츠 저장부(13)에 저장되는 학습용 컨텐츠는 매칭되는 캐릭터의 레벌 등급에 따라 학습 난이도가 초급, 중급, 고급으로 분류되어 저장된다. 또한 매칭되는 캐릭터의 레벨에 따라 학습 난이도도 구분되어 전송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증강현실 기반의 게임 시스템이 작동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우선, 게임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이동 단말기(40)에 게임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야 한다. 사용자는 먼저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나 본 발명의 증강현실 서버(10)를 통해 어플리케이션을 다운 받아 설치해야 한다.
도 10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인 증강현실 기반의 게임 방법은 사용자의 실행 명령이 입력되면 게임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다. 이때 제어부(41)는 게임 어플리케이션 동작과 관련된 메뉴얼 제공이나 게임 어플리케이션 설정 등을 위한 시작 페이지를 이동 단말기(40)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으며, 이 단계는 생략될 수도 있다. 게임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40)의 디스플레이부에는 로그인 화면이 디스플레이 된다. 사용자는 그 상태에서 계정과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로그인 단계(S1)를 실시한다. 로그인이 실시되면 서버(10)는 로그인 정보를 전송받아 해당되는 계정의 사용을 허가하고, 정보를 주고받아 해당 계정의 로그인을 완료한다. 이때 기 저장된 게임 캐릭터의 경험치 레벨 변화에 따른 매치 문제를 해소한다. 서버(10)에는 해당되는 계정과 관련된 데이터를 별도로 DB화하여 저장하고 관리한다.
다음으로 게임모드를 선택하는 선택단계(S2)가 진행된다. 선택단계(S2)는 도 4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에는 AR 모드(=스카우트 모드)와 대전모드(=배틀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이 디스플레이 되고, 사용자가 이를 선택한다.
선택단계(S2)에서 AR모드를 선택한 경우에는 AR 모드 시작단계(S3)가 진행된다. AR 모드가 시작되면 기 저장된 캐릭터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는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 저장된 캐릭터를 확인할 수 있는 캐릭터 도감이 디스플레이 된다. 캐릭터 도감에 새로운 캐릭터를 추가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3차원 증강현실 캐릭터 이미지 생성단계(S5)를 진행한다.
3차원 증강현실 캐릭터 이미지 생성단계(S5)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증강현실 모듈이 로딩되는 증강현실 모듈 로딩단계(S51)가 진행된다.
제어부(41)가 증강현실 모듈이 로딩하면 카메라(42)의 동작이 시작되고,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42)를 통해 입력되는 화상 프레임은 이동 단말기(40)의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된다. 우선, 노트의 일측면에 인쇄된 캐릭터 이미지를 카메라(42)로 촬영한다. 카메라(42)로 촬영된 화상프레임은 증강현실 모듈(41a)에서 분석하고, 화상프레임에 캐릭터 이미지가 포함되면 이를 인식하는 캐릭터 이미지 인식단계(S52)가 진행된다.
이때, 노트에 인쇄된 캐릭터(1) 이미지는 증강현실이 구현되는 마커(Marker)를 포함한다. 마커는 캐릭터(1)와 별도로 도시되는 것도 가능하며, 인쇄된 캐릭터(1) 이미지가 마커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촬영된 캐릭터(1) 이미지의 특징점 트래킹을 기반으로 추적(Detection)과 인식(Reconition)을 위한 이미지 프로세스를 순차적으로 수행한다.
로딩된 증강현실 모듈(41a)은 인식된 캐릭터 이미지를 저장부(45)의 캐릭터 저장부(45a)에서 검색하여, 캐릭터 이미지에 대한 영상정보를 분류 기준별로 생성하는 생성단계(S53)를 진행한다. 즉, 증강현실 모듈(41a)은 카메라(42)가 캐릭터 이미지를 촬영하는 경우, 촬영된 화상 프레임의 캐릭터 이미지에 대한 정보를 분류 기준별로 생성된 캐릭터 저장부(45a)에서 검색하여 출력한다.
저장부(45)에서 검색된 캐릭터 이미지 정보는 통신부(46)를 통해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10)에 송신하는 송신단계(S54)가 진행된다.
다음으로 송신된 캐릭터 이미지 정보를 서버(10)에서 수신하는 수신단계(S55)가 진행된다. 서버(10)의 저장부(13)에는 캐릭터 이미지 정보에 매칭되는 3차원 증강현실 캐릭터 이미지와 학습용 컨텐츠가 저장되어 있으며, 3차원 증강현실 캐릭터 이미지와 관련된 각종 음향 효과 및 동영상, 또는 홈페이지 링크 등이 함께 매칭되어 저장될 수 있다.
캐릭터 이미지 정보가 서버의 제어부(12)로 전달되면, 제어부(12)는 3차원 증강현실 캐릭터 이미지와 학습용 컨텐츠를 검색하는 검색단계(S56, S57)를 진행한다. 검색단계(56)는 제어부(12)에 전달된 캐릭터 이미지 정보에 매칭되는 3차원 증강현실 캐릭터 이미지를 증강현실 컨텐츠 저장부(13a)에서 검색하여 선택하는 과정이다. 검색단계(57)는 제어부(12)에 전달된 캐릭터 이미지 정보에 매칭되는 학습용 컨텐츠를 학습용 컨텐츠 저장부(13b)에서 검색하여 선택하는 과정이다. 이 두과정은 어느 것 하나를 우선적으로 하고 차례로 진행하는 방법으로 진행될 수도 있고, 동시에 진행하여 작업속도를 향상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검색된 3차원 증강현실 이미지와 학습용 컨텐츠는 서버의 통신부(11)를 통해 이동 단말기(40)로 전해지는 송신단계(S58)가 진행된다.
이동 단말기(40)는 수신단계(S59)를 진행하여 송신된 3차원 증강현실 캐릭터 이미지와 학습용 컨텐츠를 통신부(46)를 통해 수신한다. 수신된 정보는 저장단계(S60)를 거쳐 저장부(45)에 저장된다. 3차원 증강현실 캐릭터 이미지는 캐릭터 저장부(45a)에 저장되고, 학습용 컨텐츠는 학습용 컨텐츠 저장부(45b)에 저장된다.
저장을 통해 증강현실 캐릭터 이미지 생성단계(S5)가 완료되면,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부(45)에 저장된 각각의 캐릭터는 캐릭터 도감에 저장된 상태로 이동 단말기(40)의 디스플레이 부에 디스플레이 된다. 캐릭터 도감에 저장된 각각의 캐릭터는 후술한 대전모드 등을 통해 캐릭터 레벨이 변화된다. AR 모드에서는 이와 같이 캐릭터 도감에 3차원 증강현실 캐릭터 이미지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캐릭터 관리단계(S6)을 진행한다.
다음으로 캐릭터 도감에서 관리된 캐릭터 정보는 다시 서버로 전송되고, 초기에 로그인 시 생성된 계정에 DB화되어 저장된다.(S7)
마찬가지로, 앞서 게임모드 선택단계(S2)에서 대전모드를 선택한 경우에는 대전모드 시작단계(S4)가 진행된다.
대전모드에서는 앞서 설명한 3차원 증강현실 캐릭터 이미지 생성단계(S5)를 두차례 진행하여 대전을 진행하고자 하는 각각의 캐릭터를 생성한다.
우선 제1 증강현실 캐릭터 이미지 생성단계(S5)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증강현실 모듈이 로딩되는 증강현실 모듈 로딩단계(S51)가 진행된다.
제어부(41)가 증강현실 모듈이 로딩하면 카메라(42)의 동작이 시작되고, 카메라(42)를 통해 입력되는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된다.
두 개의 노트 중 어느 하나의 노트 일측면에 인쇄된 캐릭터 이미지를 카메라(42)로 촬영한다. 카메라(42)로 촬영된 화상프레임은 증강현실 모듈(41a)에서 분석하고, 화상프레임에 캐릭터 이미지가 포함되면 이를 인식하는 캐릭터 이미지 인식단계(S52)가 진행된다.
이때, 노트에 인쇄된 캐릭터(1) 이미지는 증강현실이 구현되는 마커(Marker)를 포함한다. 마커는 캐릭터(1)와 별도로 도시되는 것도 가능하며, 인쇄된 캐릭터(1) 이미지가 마커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촬영된 캐릭터(1) 이미지의 특징점 트래킹을 기반으로 추적(Detection)과 인식(Reconition)을 위한 이미지 프로세스를 순차적으로 수행한다.
로딩된 증강현실 모듈(41a)은 인식된 캐릭터 이미지를 저장부(45)의 캐릭터 저장부(45a)에서 검색하여, 캐릭터 이미지에 대한 영상정보를 분류 기준별로 생성하는 생성단계(S53)를 진행한다. 즉, 증강현실 모듈(41a)은 카메라(42)가 캐릭터 이미지를 촬영하는 경우, 촬영된 화상 프레임의 캐릭터 이미지에 대한 정보를 분류 기준별로 생성된 캐릭터 저장부(45a)에서 검색하여 출력한다.
저장부(45)에서 검색된 캐릭터 이미지 정보는 통신부(46)를 통해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10)에 송신하는 송신단계(S54)가 진행된다.
다음으로 송신된 캐릭터 이미지 정보를 서버(10)에서 수신하는 수신단계(S55)가 진행된다. 서버(10)의 저장부(13)에는 캐릭터 이미지 정보에 매칭되는 3차원 증강현실 캐릭터 이미지와 학습용 컨텐츠가 저장되어 있으며, 3차원 증강현실 캐릭터 이미지와 관련된 각종 음향 효과 및 동영상, 또는 홈페이지 링크 등이 함께 매칭되어 저장될 수 있다.
캐릭터 이미지 정보가 서버의 제어부(12)로 전달되면, 제어부(12)는 3차원 증강현실 캐릭터 이미지와 학습용 컨텐츠를 검색하는 검색단계(S56, S57)를 진행한다. 검색단계(56)는 제어부(12)에 전달된 캐릭터 이미지 정보에 매칭되는 3차원 증강현실 캐릭터 이미지를 증강현실 컨텐츠 저장부(13a)에서 검색하여 선택하는 과정이다. 검색단계(57)는 제어부(12)에 전달된 캐릭터 이미지 정보에 매칭되는 학습용 컨텐츠를 학습용 컨텐츠 저장부(13b)에서 검색하여 선택하는 과정이다. 이 두과정은 어느 것 하나를 우선적으로 하고 차례로 진행하는 방법으로 진행될 수도 있고, 동시에 진행하여 작업속도를 향상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검색된 3차원 증강현실 이미지와 학습용 컨텐츠는 서버의 통신부(11)를 통해 이동 단말기(40)로 전해지는 송신단계(S58)가 진행된다.
이동 단말기(40)는 수신단계(S59)를 진행하여 송신된 첫 번째 3차원 증강현실 캐릭터 이미지와 학습용 컨텐츠를 통신부(46)를 통해 수신한다. 수신된 정보는 저장단계(S60)를 거쳐 저장부(45)에 저장된다.
첫 번째 캐릭터의 생성이 완료되면, 제2 증강현실 캐릭터 이미지 생성단계(S5)가 진행된다.
제1 증강현실 캐릭터 이미지 생성단계(S5)와 마찬가지로 제2 증강현실 캐릭터 이미지 생성단계(S5)는 우선, 증강현실 모듈이 로딩되는 증강현실 모듈 로딩단계(S51)가 진행된다. 이때 증강현실 모듈 로딩단계(S51)는 앞서 제1 증강현실 캐릭터 이미지 생성단계(S5)에서 이미 진행되어, 생략도 가능하다.
제어부(41)가 증강현실 모듈이 로딩하면 카메라(42)의 동작이 시작되고, 카메라(42)를 통해 입력되는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된다.
두 개의 노트 중 또 다른 하나의 노트 일측면에 인쇄된 캐릭터 이미지를 카메라(42)로 촬영한다. 카메라(42)로 촬영된 화상프레임은 증강현실 모듈(41a)에서 분석하고, 화상프레임에 캐릭터 이미지가 포함되면 이를 인식하는 캐릭터 이미지 인식단계(S52)가 진행된다.
로딩된 증강현실 모듈(41a)은 인식된 캐릭터 이미지를 저장부(45)의 캐릭터 저장부(45a)에서 검색하여, 캐릭터 이미지에 대한 영상정보를 분류 기준별로 생성하는 생성단계(S53)를 진행한다. 즉, 증강현실 모듈(41a)은 카메라(42)가 캐릭터 이미지를 촬영하는 경우, 촬영된 화상 프레임의 캐릭터 이미지에 대한 정보를 분류 기준별로 생성된 캐릭터 저장부(45a)에서 검색하여 출력한다.
저장부(45)에서 검색된 캐릭터 이미지 정보는 통신부(46)를 통해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10)에 송신하는 송신단계(S54)가 진행된다.
다음으로 송신된 캐릭터 이미지 정보를 서버(10)에서 수신하는 수신단계(S55)가 진행된다. 서버(10)의 저장부(13)에는 캐릭터 이미지 정보에 매칭되는 3차원 증강현실 캐릭터 이미지와 학습용 컨텐츠가 저장되어 있으며, 3차원 증강현실 캐릭터 이미지와 관련된 각종 음향 효과 및 동영상, 또는 홈페이지 링크 등이 함께 매칭되어 저장될 수 있다.
캐릭터 이미지 정보가 서버의 제어부(12)로 전달되면, 제어부(12)는 3차원 증강현실 캐릭터 이미지와 학습용 컨텐츠를 검색하는 검색단계(S56, S57)를 진행한다. 검색단계(56)는 제어부(12)에 전달된 캐릭터 이미지 정보에 매칭되는 3차원 증강현실 캐릭터 이미지를 증강현실 컨텐츠 저장부(13a)에서 검색하여 선택하는 과정이다. 검색단계(57)는 제어부(12)에 전달된 캐릭터 이미지 정보에 매칭되는 학습용 컨텐츠를 학습용 컨텐츠 저장부(13b)에서 검색하여 선택하는 과정이다. 이 두과정은 어느 것 하나를 우선적으로 하고 차례로 진행하는 방법으로 진행될 수도 있고, 동시에 진행하여 작업속도를 향상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검색된 3차원 증강현실 이미지와 학습용 컨텐츠는 서버의 통신부(11)를 통해 이동 단말기(40)로 전해지는 송신단계(S58)가 진행된다.
이동 단말기(40)는 수신단계(S59)를 진행하여 송신된 두 번째 3차원 증강현실 캐릭터 이미지와 학습용 컨텐츠를 통신부(46)를 통해 수신한다. 수신된 정보는 저장단계(S60)를 거쳐 저장부(45)에 저장된다.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전을 진행할 각각의 캐릭터 준비가 완료되면, 노트의 후면(32)에 인쇄된 대결지대(32a, 32b)를 카메라(42)로 촬영하는 촬영단계(S8)를 진행한다. 노트의 후면(32)에 인쇄된 대결지대(32a, 32b)를 기준으로 생성된 3차원 증강현실 캐릭터가 형성된다.
촬영단계(S8)에서 촬영된 대결지대 화상 프레임 위에 3차원 증강현실 캐릭터 이미지를 정합하는 정합단계(S9)가 진행되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40)의 디스플레이부에 정합된 3차원 증강현실 캐릭터 간의 대전 게임을 진행하는 대결진행 단계(S10)가 시작된다.
정합단계(S9)는 대결지대(32a, 32b) 위에 3차원 증강현실 캐릭터의 초기 등장 지점이 지정된 이후에는 카메라(42)의 촬영지점이 변경되더라도, 변경된 촬영화면 위에 3차원 증강현실 캐릭터가 정합된 상태를 유지한다. 즉, 정합단계(S9)를 통해 3차원 증강현실 캐릭터를 대결지대(32a, 32b) 위에 등장시킨 이후에, 카메라(42)가 책상위를 촬영하면, 3차원 증강현실 캐릭터는 책상 위에 존재하는 것처럼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 된다. 이런 상태로 이후 게임을 진행하는 것이다.
대결진행 단계(S10)가 진행되면 이동 단말기(40)의 디스플레이부에는 대결을 진행할 수 있는 준비화면이 디스플레이 된다. 이때 디스플레이 화면에는 캐릭터의 체력을 나타내는 체력 게이지바(2)가 상단에 배치되고, 그 아래 기력 게이지바(3), 경험치바(4)가 배치된다. 기력 게이지바(3)는 대련에 이길 때마다 일정하게 증가되고, 기력 게이지바(3)가 모두 채워지면 활성화되면서 특수능력 버튼이 활성화된다. 특수능력 버튼을 클릭하면 캐릭터가 가진 고유 속성 이벤트와 함께 전투 능력치가 2배로 증가하여 공격을 가한다.
하단에는 게임을 진행하는 진행버튼(5)이 디스플레이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위바위보 게임을 위한 가위, 바위 보 버튼이 디스플레이 되는 것을 일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가위 바위 보 게임 이외에 두 캐릭터 간의 대결을 진행할 수 있는 모든 게임의 적용이 가능하다. 진행버튼(5)의 위치는 변경이 가능하다. 진행버튼(5)은 모션컨트롤러(47)를 통해 동작된다. 진행버튼(5)은 가위 바위 보 선택버튼 이외에, 공격, 수비, 특수 공격, 손동작, 발동작 등을 수행하는 선택버튼이 추가될 수 있다. 모션컨트롤러(47)는 진행버튼(5)을 표시하는 방법 이외에 터치 스크린의 드래그 동작을 통해 캐릭터의 공격 및 방어 동작을 컨트롤 할 수도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임 대결 진행을 통해 승패가 결정되면, 제어부(41)는 학습용 컨텐츠 저장부(45a)에 저장된 학습용 컨텐츠 중에서 선택된 캐릭터에 매칭되는 학습용 컨텐츠를 선택하는 선택단계(S11)를 진행한다. 다음으로 캐릭터에 매칭된 학습용 컨텐츠가 디스플레이 되는 디스플레이 단계(S12)가 진행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학습용 컨텐츠로 한자를 일예로 들어설명하였으나 한자 이외에 알파벳(그 외 다양한 문자 포함)이나,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 등의 산술 등 다양한 종류의 학습용 컨텐츠를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학습용 컨텐츠는 게임에서 승리한 경우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패배한 경우나, 게임 도중에 매칭된 학습용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게임 도중 기력 게이지바(5)가 가득 채워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캐릭터가 보유한 고유의 속성공격을 진행하는 경우 공격과 함께 해당 한자를 디스플레이 하며 스피커에서 해당 한자음을 소리로 발생시킨다. 즉, 바람 속성 능력을 가진 캐릭터가 속성공격을 진행하는 경우 '바람 풍(風)' 자를 디스플레이 하며 스피커에서는 '풍' 소리를 발생시키는 것이다.
학습용 컨텐츠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결모드의 승패에 따라 조절되는 캐릭터의 등급에 따라 분류된다. 즉, 캐릭터가 1~5 레벨인 경우에는 쉬운 한자로 구성된 초급단계로 분류되고, 캐릭터가 6~10 레벨인 경우에는 초급단계보다는 난이도가 높은 한자로 구성된 중급단계로 분류되고, 캐릭터가 11레벨 이상인 경우에는 단어나 문장을 이루는 한자로 구성된 고급단계로 분류된다. 고급단계의 한자는 사용자가 직접 따라 쓰는 연습도 가능하게 화면이 구성된다.
학습용 컨텐츠의 학습까지 완료되면, 게임은 중단되면,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결을 진행한 캐릭터는 캐릭터 도감에 저장된 상태로 이동 단말기(40)의 디스플레이 부에 디스플레이 된다. 캐릭터 도감에 저장된 각각의 캐릭터는 승패에 따라 캐릭터 레벨이 변화된다. 이와 같이 캐릭터 도감에 3차원 증강현실 캐릭터 이미지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캐릭터 관리단계(S13)를 진행한다.
다음으로 캐릭터 도감에서 관리된 캐릭터 정보는 다시 서버로 전송되고, 초기에 로그인 시 생성된 계정에 DB화되어 저장된다.(S14)
또한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프라인 상태에서 게임을 진행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서버(10) 와의 통신 없이 이동 단말기(40)에서 각각의 노트에 인쇄된 캐릭터를 차례로 촬영하고, 촬영된 캐릭터 이미지 정보에 매칭되는 3차원 증강현실 캐릭터 이미지를 저장부(45)의 캐릭터 저장부(45a)에서 선택하여 생성시킨 다음, 대결모드를 진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이때는 3차원 증강현실 캐릭티 이미지를 서버(40)에서 미리 전송받아 캐릭터 저장부(45a)에 저장된 상태여야 한다.
또한 대결모드는 서로 다른 이동 단말기(40)에서 각각 3차원 증강현실 이미지를 생성시킨 이후, 이동 단말기(40) 간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해 두 명의 사용자가 대결모드로 진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대결모드는 PVP(player vs player)모드나, 앞서 설명한 PVE(player vs environment)모드가 모두가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 : 캐릭터 10 : 서버
11 : 통신부 12 : 제어부
13 : 저장부 13a : 3차원 증강현실 캐릭터 이미지 저장부
13b : 학습용 컨텐츠 저장부 20 : 통신망
30 : 인쇄물 40 : 이동 단말기
41 : 제어부 42 : 카메라
45 : 저장부 46 : 통신부
47 : 모션컨트롤러

Claims (11)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캐릭터(1)가 각각 인쇄된 인쇄물(30);
    상기 인쇄물(30)에 인쇄된 캐릭터를 카메라(42)로 촬영하고, 상기 카메라(42)로 인식한 캐릭터에 매칭되는 캐릭터 이미지 정보를 전송하는 이동 단말기(40);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전송된 캐릭터 이미지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캐릭터 이미지 정보에 매칭되는 3차원 증강현실 캐릭터 이미지와 학습용 컨텐츠를 상기 이동 단말기에 전송하는 서버(10); 및
    상기 서버(10)와 상기 이동 단말기(40) 간의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지도록 연결시키는 통신망(20);을 포함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3차원 증강현실 캐릭터 이미지로 이루어진 캐릭터들의 동작제어를 통해 대결 게임모드를 수행하고, 게임모드의 진행에 따라 상기 학습용 컨텐츠를 함께 디스플레이 시키는 증강현실 기반의 게임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모드는
    상기 3차원 증강현실 캐릭터를 캐릭터 도감에 수집하고 관리하는 AR 모드; 및
    상기 3차원 증강현실 캐릭터 간의 대전게임을 진행하는 대전모드;를 포함하는 증강현실 기반의 게임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모드에서의 승률에 따라 증가되는 상기 3차원 증강현실 캐릭터의 레벨 등급에 따라 상기 학습용 컨텐츠의 난이도가 조절되는 증강현실 기반의 게임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물(30)의 일측면에는 상기 캐릭터(1)가 인쇄되고, 상기 인쇄물(30)의 타측면에는 상기 3차원 증강현실 캐릭터가 표시되는 초기 지점을 지정하는 대결지대(32a, 32b)가 인쇄되는 증간현실 기반의 게임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40)는
    모바일 증강현실 모듈(41a)과 게임 엔진(41b)이 포함된 제어부(41);
    상기 3차원 증강현실 캐릭터 이미지가 저장되는 캐릭터 저장부(45a)와 상기 학습용 컨텐츠가 저장되는 학습용 컨텐츠 저장부(45b)를 포함하는 저장부(45); 및
    상기 서버(1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46);를 포함하는 증강현실 기반의 게임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 엔진(41b)에는
    게임을 진행하며 상기 3차원 증강현실 캐릭터의 모션을 제어하는 모션컨트롤러(47)가 연결되는 증강현실 기반의 게임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10)는
    상기 이동 단말기와 상기 3차원 증강현실 캐릭터 이미지 및 상기 학습용 컨텐츠 제공을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11);
    상기 3차원 증강현실 캐릭터 이미지가 저장되는 3차원 증강현실 캐릭터 이미지 저장부(13a)와 상기 학습용 컨텐츠가 저장되는 학습용 컨텐츠 저장부(13b)를 포함하는 저장부(13); 및
    상기 이동 단말기(40)에서 전송받은 상기 캐릭터 이미지 정보와 매칭되는 3차원 증강현실 캐릭터 이미지와 상기 학습용 컨텐츠를 상기 저장부(13)에서 검색하여 상기 통신부(11)로 전달하는 제어부(12)를 포함하는 증강현실 기반의 게임 시스템.
  8. 게임모드를 선택하는 선택단계(S2)
    상기 선택단계(S2)에서 대전모드를 선택한 경우 진행되는 대전모드 시작단계(S4);
    이동 단말기(40)의 카메라(42)를 사용해 각각의 인쇄물(30)을 차례로 촬영하고, 인식된 각각의 캐릭터 이미지 정보에 매칭되는 3차원 증강현실 캐릭터 이미지와 학습용 컨텐츠를 서버(10)로부터 각각 전송받아 차례로 생성하는 3차원 증강현실 캐릭터 이미지 생성단계(S5);
    상기 인쇄물(30)에 인쇄된 대결지대를 상기 카메라(42)로 촬영하는 촬영단계(S8);
    상기 촬영단계(S8)에서 촬영된 대결지대 위에 상기 3차원 증강현실 캐릭터 이미지를 정합하는 정합단계(S9);
    정합된 상기 3차원 증강현실 캐릭터 간의 대전 게임을 진행하는 대결진행 단계(S10); 및
    상기 대결진행단계(S10)를 진행하는 도중이나 승패가 결정된 이후에 상기 학습용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단계(S12);를 포함하는 증강현실 기반의 게임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대결진행 단계(S10)는 3차원 증강현실 캐릭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모션컨트롤를 통해 게임을 진행하는 증강현실 기반의 게임 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단계에서 AR모드를 선택한 경우,
    AR 모드 시작단계(S3);
    이동 단말기(40)의 카메라(42)를 사용해 인쇄물(30)을 촬영하고, 인식된 캐릭터 이미지 정보에 매칭되는 3차원 증강현실 캐릭터 이미지와 학습용 컨텐츠를 서버(10)로부터 전송받아 차례로 생성하는 3차원 증강현실 캐릭터 이미지 생성단계(S5);
    생성된 3차원 증강현실 캐릭터 이미지를 캐릭터 도감에 저장하고 관리하는 캐릭터 관리단계(S6); 및
    상기 캐릭터 도감에 저장된 정보를 서버(40)로 전송하여 로그인 된 계정으로 저장하는 저장단계(S7);를 포함하는 증강현실 기반의 게임 방법.
  11. 제 8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증강현실 캐릭터 이미지 생성단계(S5)는,
    증강현실 모듈의 로딩을 진행하는 증강현실 모듈 로딩단계(S51);
    상기 카메라(42)로 인쇄물(30)에 인쇄된 캐릭터를 촬영하는 캐릭터 이미지 인식단계(S52);
    인식된 캐릭터에 매칭되는 캐릭터 이미지 정보를 분류기준별로 생성하는 생성단계(S53);
    상기 캐릭터 이미지 정보를 서버(10)로 송신하는 송신단계(S54);
    송신된 상기 캐릭터 이미지 정보를 서버(10)에서 수신하는 수신단계(S55);
    상기 캐릭터 이미지 정보에 매칭되는 3차원 증간현실 캐릭터 이미지를 검색하는 검색단계(S56);
    상기 캐릭터 이미지 정보에 매칭되는 학습용 컨텐츠를 검색하는 검색단계(S57);
    검색된 상기 3차원 증강현실 캐릭터 이미지와 상기 학습용 컨텐츠를 상기 이동 단말기(40)로 송신하는 송신단계(S58);
    송신된 상기 3차원 증강현실 캐릭터 이미지와 상기 학습용 컨텐츠를 수신하는 수신단계(S59); 및
    상기 이동 단말기(40) 내에 저장하는 저장단계(S59);를 포함하는 증강현실 기반의 게임 방법.
KR1020150106310A 2015-07-28 2015-07-28 증강현실 기반의 게임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135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6310A KR20170013539A (ko) 2015-07-28 2015-07-28 증강현실 기반의 게임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6310A KR20170013539A (ko) 2015-07-28 2015-07-28 증강현실 기반의 게임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3539A true KR20170013539A (ko) 2017-02-07

Family

ID=58108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6310A KR20170013539A (ko) 2015-07-28 2015-07-28 증강현실 기반의 게임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13539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20955A (zh) * 2017-06-23 2017-11-07 武汉秀宝软件有限公司 一种基于多客户端的ar场馆界面交互方法及系统
KR20180096375A (ko) * 2017-02-21 2018-08-29 (주)루노소프트 블럭 퍼즐 게임을 제공하는 게임 서버 및 그의 동작 방법
WO2019127508A1 (zh) * 2017-12-29 2019-07-04 深圳配天智能技术研究院有限公司 智能终端及其3d成像方法、3d成像系统
KR102200196B1 (ko) * 2019-09-11 2021-01-08 백종엽 위치 정보를 이용한 증강현실 기반의 캐릭터 제공 시스템
KR20230090863A (ko) * 2021-12-15 2023-06-22 주식회사 딜리셔스게임즈 온라인 대전형 게임의 대전모드 전환 방법
US20240111470A1 (en) * 2022-09-29 2024-04-04 Fujifilm Corporation System, terminal, server, image display method, and progra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7468A (ko) 2010-11-26 2012-06-05 광주과학기술원 모바일 증강현실을 위한 qr 코드 데이터 표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7468A (ko) 2010-11-26 2012-06-05 광주과학기술원 모바일 증강현실을 위한 qr 코드 데이터 표현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6375A (ko) * 2017-02-21 2018-08-29 (주)루노소프트 블럭 퍼즐 게임을 제공하는 게임 서버 및 그의 동작 방법
CN107320955A (zh) * 2017-06-23 2017-11-07 武汉秀宝软件有限公司 一种基于多客户端的ar场馆界面交互方法及系统
WO2019127508A1 (zh) * 2017-12-29 2019-07-04 深圳配天智能技术研究院有限公司 智能终端及其3d成像方法、3d成像系统
KR102200196B1 (ko) * 2019-09-11 2021-01-08 백종엽 위치 정보를 이용한 증강현실 기반의 캐릭터 제공 시스템
KR20230090863A (ko) * 2021-12-15 2023-06-22 주식회사 딜리셔스게임즈 온라인 대전형 게임의 대전모드 전환 방법
US20240111470A1 (en) * 2022-09-29 2024-04-04 Fujifilm Corporation System, terminal, server, image display method, and progra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87458B1 (ja) プレイヤの移動履歴に基づいてノンプレイヤキャラクタの経路探索を行うゲームシステム等
KR20170013539A (ko) 증강현실 기반의 게임 시스템 및 방법
CA2621191C (en) Interactivity via mobile image recognition
WO2022237275A1 (zh) 信息处理方法、装置和终端设备
US11983826B2 (en) 3D upper garment tracking
CN113398601B (zh) 信息发送方法、信息发送装置、计算机可读介质及设备
US20220305384A1 (en) Data processing method in virtual scene, device, storage medium, and program product
US2022037921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control interface in a virtual environment
CN112057860B (zh) 虚拟场景中激活操作控件的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2023016243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JP2024012545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2870702B (zh) 虚拟场景中道具资源的推荐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20240212286A1 (en) Training system, method and apparatus using extended reality contents
JP2023164687A (ja) 仮想オブジェクトの制御方法及び装置並びにコンピュータ装置及びプログラム
WO2023071808A1 (zh) 基于虚拟场景的图形显示方法、装置、设备以及介质
CN113826149A (zh) 用于穿越机的飞行模拟方法及模拟终端
CN112169321A (zh) 模式确定方法、装置、设备及可读存储介质
CN111013135A (zh) 一种交互方法、装置、介质和电子设备
CN112434399B (zh) 一种多人作战的仿真指挥训练方法及系统
RU2779527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управления виртуальным объектом для пометки виртуального элемента и носитель данных
Chen The development of two-level cardboard game tool
WO2022219935A1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方法、及びシステム
WO2024055811A1 (zh) 消息显示方法、装置、设备、介质及程序产品
CN116983625A (zh) 基于社交场景的消息显示方法、装置、设备、介质及产品
CN117726728A (zh) 虚拟形象生成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