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3025A - 상어 리펠링장치가 구비된 어망 - Google Patents

상어 리펠링장치가 구비된 어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3025A
KR20170013025A KR1020150105832A KR20150105832A KR20170013025A KR 20170013025 A KR20170013025 A KR 20170013025A KR 1020150105832 A KR1020150105832 A KR 1020150105832A KR 20150105832 A KR20150105832 A KR 20150105832A KR 20170013025 A KR20170013025 A KR 201700130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net
net
power generation
fish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5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정규
최윤
정윤진
문대연
김민섭
정승진
Original Assignee
한국생태연구원 주식회사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태연구원 주식회사,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생태연구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058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13025A/ko
Publication of KR201700130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30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9/00Methods or means of catching fish in bulk not provided for in groups A01K69/00 - A01K77/00, e.g. fish pumps; Detection of fish; Whale fishery
    • A01K79/02Methods or means of catching fish in bulk not provided for in groups A01K69/00 - A01K77/00, e.g. fish pumps; Detection of fish; Whale fishery by electrocu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9/00Stationary catch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5/00Accessories for fishing nets; Details of fishing nets, e.g.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9/00Methods or means of catching fish in bulk not provided for in groups A01K69/00 - A01K77/00, e.g. fish pumps; Detection of fish; Whale fishery
    • F03D9/002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10/0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 H02S10/1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including a supplementary source of electric power, e.g. hybrid diesel-PV energy systems
    • H02S10/12Hybrid wind-PV energy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60Fishing; Aquaculture; Aquafarm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치망이나 낭장망 등의 어망에 상어만이 감지할 수 있는 자기장를 생성함으로써 상어의 접근을 차단하여 어망 및 상어를 포함한 해양생물을 보호할 수 있는 어망 및 해양생물 보호장치 및 이를 구비한 어망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어망 및 해양생물 보호장치는 정치망이나 낭장망 등의 정치성(定置性) 어망에 있어서, 물 위에 뜨며 어망(100)의 위치를 알려주는 부표(110)와, 부표(110) 상에 위치하며 전기를 생성하는 전력생성부(120)와, 상기 전력생성부(120)로부터 생산된 전기을 저장하는 축전지모듈(130)과, 상기 어망(100)에 구비되며 어망(100)으로부터 상어류를 리펠링(repelling)할 수 있도록 축전지모듈(120)로부터 전기를 전달받아 방출하는 전류방출부(14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어망 및 해양생물 보호장치 및 이를 구비한 어망 {APPARATUS FOR PROTECTING FISHING NET AND MARINE ORGANISM AND FISHING NET HAVING IT}
본 발명은 어망 및 해양생물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정치망이나 낭장망 등의 어망에 상어만이 감지할 수 있는 자기장를 생성함으로써 상어의 접근을 차단하여 어망 및 상어를 포함한 해양생물을 보호할 수 있는 어망 및 해양생물 보호장치 및 이를 구비한 어망에 관한 것이다.
상어는 매우 위협적인 해양생물로써 사람을 위협할 뿐만 아니라 어업에도 많은 피해를 준다. 예를 들어 정치망이나 낭장망 등을 이용하여 어업을 하는 경우에 있어서, 어망에 잡혀 있는 물고기들을 잡아먹기 위해 상어들이 어망을 훼손하는 일이 빈번히 일어나며 이와 같은 상어의 행동으로 인하여 어민들은 어망의 훼손 및 어업의 방해를 받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상어의 공격성은 어망 및 어업의 피해만 가져오는 것이 아니며, 상어가 물고기를 잡기 위해 어망에 접근 시, 오히려 상어가 어망에 걸려 죽게 된다는 또 다른 문제점이 발생한다. 그리고 이러한 상어의 죽음은 보호어종인 상어의 개체수 감소로 이어지게 되며, 결국은 해양생태계의 문제로까지 이어질 수 있다.
이처럼, 상어가 어망에 접근하여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어망으로부터 상어의 접근을 차단하여, 어망 및 어류를 보호하며 혹시 모를 상어의 포획을 보호할 수 있는 리펠링(repelling) 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어가 정치망이나 낭장망 등에 잡혀 있는 물고기들을 잡아먹기 위하여 어망에 접근 시, 상어가 어망에 포획되는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어의 어망 접근을 차단할 수 있는 어망 및 해양생물 보호장치 및 이를 구비한 어망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어망으로부터 상어의 접근을 차단하여 어망의 훼손 및 어망에 잡혀 있는 물고기를 보호할 수 있는 어망 및 해양생물 보호장치 및 이를 구비한 어망을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 하는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어망 및 해양생물 보호장치 및 이를 구비한 어망은, 정치망이나 낭장망 등의 정치성(定置性) 어망(100)에 있어서, 물 위에 뜨며 어망의 위치를 알려주는 부표(110)와; 상기 부표(110) 상에 위치하며 전기를 생성하는 전력생성부(120)와; 상기 어망에 구비되며 어망으로부터 상어를 리펠링할 수 있도록 상기 전력생성부로(120)부터 생성된 전기를 전달받아 전류를 방출하는 전류방출부(140)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류방출부(140)는 어망의 입구 및 물고기가 잡혀 모이는 부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표(110) 상에 구비되고, 상기 전력생성부(120)로부터 생산된 전력을 저장하며, 상기 전류방출부(140)로 전력을 전달하는 축전지 모듈(13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력생성부(120)는 지속적인 전력 생산이 가능하도록 태양광 발전 또는 풍력발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력방출부(140)는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 1, 2전극(142, 144)과 상기 두 개의 전극을 연결하는 연결케이블(146)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2전극(142, 144) 사이에 형성되는 전기장을 통하여 상어류의 접근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한 어망 및 해양생물 보호장치가 구비된 어망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어망 및 해양생물 보호장치 및 이를 구비한 어망은 상어만이 감지할 수 있는 자기장이 생성되는 전류방출부를 어망의 입구 및 물고기가 잡혀 있는 어류포획부에 설치함으로써 상어의 접근을 차단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어가 어망에 접근하여 포획되는 일을 예방할 수 있어 보호어종인 상어의 개체수 보호에 도움이 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어망으로부터 상어의 접근을 차단함으로써 어망의 훼손 및 어망에 잡힌 물고기들을 보호할 수 있어 어업의 피해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망 및 해양생물 보호장치 및 이를 구비한 어망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어망 및 해양생물 보호장치 및 이를 구비한 어망의 단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어망입구에 구비된 리펠링 장치의 작용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또한, 사용된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망 및 해양생물 보호장치 및 이를 구비한 어망을 구성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과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어망 및 해양생물 보호장치 및 이를 구비한 어망의 사시도와, 단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망 및 해양생물 보호장치(10)는, 정치망이나 낭장망 등의 정치성(定置性) 어망(100)에 있어서, 물 위에 뜨며 어망(100)의 위치를 알려주는 부표(110)와, 부표(110) 상에 위치하며 전기를 생성하는 전력생성부(120)와, 상기 전력생성부(120)로부터 생산된 전기를 저장하는 축전지 모듈(130)과, 상기 어망(100)에 구비되며 어망(100)으로부터 상어를 리펠링(repelling)할 수 있도록 축전지 모듈(120)로부터 전기를 전달받아 전류를 방출하여 자기장을 생성하는 전류방출부(140)를 포함한다.
어망(100)은 낭장망이 사용된다. 하지만,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 이를 한정하지는 않으며 정치망 등, 정치성 어망에는 모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낭장망을 기준으로 설명을 하기로 한다. 어망(100)은 격자무늬의 그물이 결합되어 만들어지며 물고기가 유입되는 어망입구(102)와, 어망입구(102)로 들어온 물고기들이 잡혀 갇혀 있는 어류포획부(104)로 이루어진다. 낭장망은 대략 'Y'자 형태로 설치된다. 어망입구(102)의 양측으로는 물고기들이 어망입구(102)로 원활하게 유입되도록 가이드그물(106)이 연장된다. 가이드그물(106)은 양측의 고정부재(108)에 의해 줄로 연결되어 있으며, 고정부재(108)를 통하여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된다. 또한, 어류포획부(104)의 단부도 고정부재(108)에 의해 줄로 연결되어 있으며, 'Y'자 형태를 이루는 낭장망의 각 단부에는 부표(110)가 줄로 연결되어 있으며, 부표(110)는 물 위에 떠서 어망(100)의 위치를 표시하여 준다.
부표(11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어망(100)에 연결되며 물 위에 떠서 바닷속에 있는 어망(100)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부표(110)가 가이드그물(106)의 각 단부와 어류포획부(104)의 단부로부터 연결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다양한 위치에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부표(110)는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대략 'Y'자모양을 이루도록 최소 3개 이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추가적인 부표(110)가 구비될 수 있다. 덧붙여, 부표(110)에는 전력생성부(120)와 축전지 모듈(130)이 구비된다.
전력생성부(120)는 상기한 바와 같이 부표(110) 상에 위치한다. 전력생성부(120)는 태양광 발전 및 풍력 발전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장치로써, 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장치가 사용될 수도 있으며 두 가지의 장치가 모두 사용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태양광으로 전기를 생산하는 태양광 발전부(122)와, 풍력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성하는 풍력 발전부(124)가 모두 구비되어 있다.
태양광 발전부(122)는 부표(110)의 상부에 설치된다. 태양광 발전부(122)는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고 전류방출부(140)에 필요한 전기를 공급한다. 태양광 발전부(122)는 태양전지모듈(122a)과, 태양전지모듈(122a)의 방위와 경사를 조절하는 방향 조절부(미도시)를 구비한다.
태양전지모듈(122a)은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한다. 태양광 발전부(122)는 태양전지모듈(122a)이 태양빛을 지속적으로 조사받기 위하여 태양전지모듈(122a)의 방위와 경사를 조절하는 방향 조절부(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풍력 발전부(124)는 풍력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며 태양광 발전부(122)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전력생성부(120)에 태양광 발전부(122)와 풍력 발전부(124)가 동시에 구비되게 되면 전체적인 발전효율이 크게 향상되며, 전류방출부(140)가 보다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게 된다. 풍력 발전부(124)는 부표(110)의 상부에 설치된 다수의 풍력 발전기(124a)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풍력 발전기(124a)가 수직축 방식이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수직축의 경우 바람의 방향에 관계없이 발전이 가능하고 소형화가 가능하므로 부표(110)에 설치하여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수직축 방식의 풍력 발전기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수평축 방식의 풍력 발전기도 사용될 수 있다.
축전지 모듈(130)은 전력생성부(120)로부터 생산된 전기를 저장한다. 그리고 저장된 전기를 전류방출부(140)로 공급한다. 이러한 축전지 모듈(130)을 구비함으로써 기상상황 등으로 인하여 전력생산이 원활하지 못할 시, 축전지 모듈(130)에 저장되어진 전기를 사용하게 되므로 보다 안정적으로 전류방출부(140)에 전력을 공급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류방출부(140)는 전력생성부(120)와 접속되어 자기장 형성에 필요한 전기를 공급받는다. 보다 자세하게는 전류방출부(140)는 전력생성부(120)와 연결되어져 있는 축전지 모듈(130)에 접속되어 있다. 전류방출부(140)는 어망(100)에 위치하여 상어를 리펠링하는 자기장을 생성한다. 즉, 전류방출부(140)에 의해 생성되는 자기장에 의해 상어의 어망(100) 접근을 차단할 수 있다. 이러한 전류방출부(140)는 제1 전극(142)과, 제2 전극(144)과, 연결 케이블(146)을 포함한다.
제1 전극(142)은 어망입구(102)의 일 지점과 어류포획부(104)의 일 지점에 위치한다. 제2 전극(144)은 어망입구(102)와 어류포획부(104)에 위치하되, 제1 전극(142)과 거리를 두도록 이격되어 구비된다.
제1 전극(142)에는 태양광 발전부(122) 및 풍력 발전부(124)가 접속되어, 자기장 생성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받는다. 보다 자세하게는 제1 전극(142)은 연결 케이블(146)을 통하여 축전지 모듈(130)과 연결되어 있다. 제1 전극(142)과 제2 전극(144)은 연결케이블(146)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 전극(142)과 제2 전극(144)은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짐으로써 제1 전극(142)과 제2 전극(144) 사이에 자기장이 생성된다.
제1 전극(142)과 제2 전극(144)에 의해 생성되는 자기장의 세기 및 범위는 두 전극(142, 144) 사이의 거리에 따라 변화한다. 두 전극(142, 144) 사이가 가깝게 되면 자기장의 세기는 강해지지만 범위는 좁아지게 되며, 두 전극(142, 144)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자기장의 세기는 약해지지만 자기장의 범위는 넓어지게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자기장의 범위에 따라 어망입구(102)를 커버하기 위하여 두 전극(142, 144)이 각각 상하로 3개씩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하나의 실시예로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어망(100)의 크기 및 위치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이는 어류포획부(104)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또한, 제1 전극(142)에 연결돼 있는 연결 케이블(146)은 부표(110)의 축전지 모듈(130)에 접속되어 있다. 이처럼 제1 전극(142)과 제2 전극(144) 사이에 흐르는 전류를 통하여 자기장을 형성하는 전류방출부(140)는 원활한 자기장 생성을 위하여 전류방출부(140)에 각각 대응하는 수의 부표(110)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 케이블(146)은 제1 전극(142)과 제2 전극(144)의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연결 케이블(146)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전극(142)과 제2 전극(144) 사이에 자기장이 생성된다. 또한, 연결 케이블(146)은 제1 전극(142)과 축전기 모듈(130) 사이를 연결하여 축전지 모듈(130)로부터 제 1전극(142)에 전기를 공급하게 된다.
지금부터는,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어망 및 해양생물 보호장치를 작용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낭장망이나 정치망 등 정치성 어망에는 조류를 따라 이동하는 어류들이 잡히게 된다. 어망에 갇혀 있는 물고기를 잡아먹기 위하여 상어가 어망에 접근하게 되며, 상어의 접근 경로는 일반 어류들과 마찬가지로 어망입구(102) 또는 물고기들이 잡혀 있는 어류포획부(104)가 주를 이룬다.
이때, 전류방출부(140)가 어망입구(102) 및 어류포획부(104)에 위치하며 자기장을 생성하며 전류를 방출한다. 상어들은 미세한 전류에도 반응하게 되므로 어망(100)으로부터 방출되는 전류로 생성된 자기장으로 인하여 어망(100)에 접근을 하지 못하게 된다.
이를 통하여 상어가 어망에 접근하여 포획되는 일을 예방할 수 있어 보호어종인 상어의 개체수 보호에 도움이 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어망으로부터 상어의 접근을 차단함으로써 어망의 훼손 및 어망에 잡힌 어류들을 보호할 수 있어 어업을 하는 데 있어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어망 및 해양생물 보호장치 100 : 어망
110 : 부표 120 : 전력생성부
122 : 태양광 발전부 124 : 풍력 발전부
130 : 축전지 모듈 140 : 전류방출부
142 : 제1 전극 144 : 제2 전극
146 : 연결 케이블

Claims (6)

  1. 정치망이나 낭장망 등의 정치성(定置性) 어망(100)에 있어서,
    물 위에 뜨며 어망의 위치를 알려주는 부표(110)와;
    상기 부표(110) 상에 위치하며 전기를 생성하는 전력생성부(120)와;
    상기 어망에 구비되며 어망으로부터 상어를 리펠링할 수 있도록 상기 전력생성부로(120)부터 생성된 전기를 전달받아 전류를 방출하는 전류방출부(140)를 포함하는 어망 및 해양생물 보호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방출부(140)는 어망의 입구 및 물고기가 잡혀 모이는 부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망 및 해양생물 보호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표(110) 상에 구비되고, 상기 전력생성부(120)로부터 생산된 전기를 저장하며, 상기 전류방출부(140)로 전력을 전달하는 축전지 모듈(13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망 및 해양생물 보호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생성부(120)는 지속적인 전력 생산이 가능하도록 태양광 발전 또는 풍력발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망 및 해양생물 보호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방출부(140)는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 1, 2전극(142, 144)과 상기 두 개의 전극을 연결하는 연결케이블(146)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2전극(142, 144) 사이에 형성되는 자기장을 통하여 상어류의 접근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망 및 해양생물 보호장치.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어망 및 해양생물 보호장치가 구비된 어망.
KR1020150105832A 2015-07-27 2015-07-27 상어 리펠링장치가 구비된 어망 KR201700130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5832A KR20170013025A (ko) 2015-07-27 2015-07-27 상어 리펠링장치가 구비된 어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5832A KR20170013025A (ko) 2015-07-27 2015-07-27 상어 리펠링장치가 구비된 어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3025A true KR20170013025A (ko) 2017-02-06

Family

ID=58109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5832A KR20170013025A (ko) 2015-07-27 2015-07-27 상어 리펠링장치가 구비된 어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1302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1401B1 (ko) * 2020-12-24 2021-06-04 한국화학연구원 외래어종 퇴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외래어종 퇴치 방법
CN117267061A (zh) * 2022-12-30 2023-12-22 无锡风腾新能源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风力发电机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1401B1 (ko) * 2020-12-24 2021-06-04 한국화학연구원 외래어종 퇴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외래어종 퇴치 방법
CN117267061A (zh) * 2022-12-30 2023-12-22 无锡风腾新能源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风力发电机组
CN117267061B (zh) * 2022-12-30 2024-04-23 无锡风腾新能源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风力发电机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9567B1 (ko) 조류퇴치기
RU2719062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повышения безопасности при работе с уф-излучением в условиях водного применения
CN104602513B (zh) 用于减少鱼类和/或贝类养殖围栏/养殖场中的有害生物的设备的电缆电极系统
KR20170013025A (ko) 상어 리펠링장치가 구비된 어망
KR200421265Y1 (ko) 유해 조수 퇴치장치
KR20160014381A (ko) 그물형 전기울타리
Barbour et al. PIT Tag Antennae Arrays as fishery monitoring tools in tropical environments.
KR200406292Y1 (ko) 야생동물 퇴치용 전자 울타리
KR102295742B1 (ko) 태양광에너지를 이용한 능동형 야생동물 및 조류 퇴치 시스템
KR20070105428A (ko) 유해 조수 퇴치장치
Witt Jr et al. Refinements of Equipment and Procedures in Electro‐Fishing
US20140238307A1 (en) Method of protecting fish
KR102410681B1 (ko) 조류 퇴치기 및 용도
JP2021066330A (ja) ドローン、及び包囲体
KR102117839B1 (ko) 상어 퇴치장치
JP2013169170A (ja) 漁業用鮫撃退装置
RU2372754C1 (ru) Водное электризуемое заграждение
KR101238343B1 (ko) 상어 퇴치기
JP2008092937A (ja) 害獣威嚇装置
Burger et al. Barrier technology helps deter fish at hydro facilities
US11122189B2 (en) Wildlife camera with EMF shielding
Orr The potential impacts of submarine power cables on benthic elasmobranchs
CN215381035U (zh) 野生动物驱赶装置
CN214593741U (zh) 太阳能与风力互补灭虫驱鸟装置
CN109799383B (zh) 一种基于物联网的防电鱼预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