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1401B1 - 외래어종 퇴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외래어종 퇴치 방법 - Google Patents

외래어종 퇴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외래어종 퇴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1401B1
KR102261401B1 KR1020200183047A KR20200183047A KR102261401B1 KR 102261401 B1 KR102261401 B1 KR 102261401B1 KR 1020200183047 A KR1020200183047 A KR 1020200183047A KR 20200183047 A KR20200183047 A KR 20200183047A KR 102261401 B1 KR102261401 B1 KR 1022614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 species
conductive wire
upper structure
exotic
ali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3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염동혁
김형민
노원
이상준
Original Assignee
한국화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화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화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200183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14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14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14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9/00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ther than insects, by hot water, steam, hot air, or electricit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10Catching insects by using Tra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A01M2200/01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24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e.g. electric shocks, magnetic fields or microwa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00Technologies having an indirect contribution to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40Monitoring or fighting invasive speci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ird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래어종 퇴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외래어종 퇴치 방법에 관하 것으로, 상세하게는, 소정의 면적을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되는 제1 전도성 와이어, 및 상기 제1 전도성 와이어를 수표면상에 부유시키는 부력제를 포함하는 상부 구조물; 상기 제1 전도성 와이어와 이격되도록 수중에 배치되는 제2 전도성 와이어를 포함하는 하부 구조물; 및 상기 상부 구조물 및 상기 하부 구조물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원;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구조물 및 상기 하부 구조물 사이에 전기장을 형성하여 외래어종을 퇴치하는 외래어종 퇴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외래어종 퇴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외래어종 퇴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외래어종 퇴치 방법{Non-native species elimination device ahd elimina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외래어종 퇴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외래어종 퇴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용 또는 관상용으로 수입된 다양한 종류의 외래어류가 하천이나 강에 방류됨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외래종 어류가 국내의 하천에 번식하고 있다. 이러한 외래 어종 중 특히 배스(Bass) 등과 같이 육식어종은 붕어나 피라미 등과 같은 작은 토종어류를 먹이로 하고 있어 생태계를 파괴하여 토종어류가 멸종의 위기를 겪고 있다. 이에, 배스의 개체수를 줄이기 위해 포획된 배스를 방류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고, 이러한 외래어종을 포획하여 퇴치하기 위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종래의 외래어종의 포획방법으로 떡밥을 이용한 배스 낚시가 있지만, 방식이 낙후되어 있으며, 수질오염을 유발하고 번식성이 강하여 이로부터 배스 등을 포획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한편,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1-0008021호에는 낚시 또는 작살을 이용하여 물속 바닥까지 잠수한 후, 물이나 나뭇가지 등을 이용하여 작은 물고기의 몸놀림에 부딪친 것처럼 미세한 진동음을 인위적으로 만들어 배스를 유인하여 배스 포획용 작살로 배스나 블루길을 포획하는 방법을 개시한 바 있다. 하지만 이러한 포획방법은 시간이 오래 걸리고 사람의 감각을 이용한 것으로 포획의 한계로 인한 퇴치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00-0013645호에서는 배스낚시용 가이더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소정의 폭과 높이를 가지고, 몸체 외측부로는 수표면 위에 위치되면서도 유동되지 않도록, 일정한 각도로 경사면이 구비되며, 몸체 중심부는 낚시줄을 끼워 이동시킬 수 있도록, 관통되게 이동 홈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홈의 외측부로는 배스 낚시의 캐스팅 때 공기저항을 줄이고 수표면 위에서 파동을 용이하게 발생시킬 수 있도록 다수개 구비되며, 관통되게 형성된 배수홈으로 구성되어, 배스 낚시에 미끼로 사용되는 루어를 배스가 있는 어떤 수심층에도 머무를 수 있도록 하는 배스낚시용 가이더를 개시한 바 있다.
하지만, 이러한 장치를 이용하더라도 여전히 많은 시간 및 투여 인력이 필요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퇴치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가 요구되는 상황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배스나 블루길 등의 외래어종을 퇴치하기 위한 방법을 연구하던 중, 외래어종이 밀집하는 호수, 연못, 하천 등에 설치할 수 있는 부상식 외래어 퇴치 장치로서, 포충기를 이용하여 외래어종을 유인하고 이후 전기충격을 가함으로써 다수의 외래어종을 효과적으로 퇴치할 수 있는 외래어 퇴치 장치를 개발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1-0008021호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00-0013645호
일 측면에서의 목적은 외래어종 퇴치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 측면에서는,
소정의 면적을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되는 제1 전도성 와이어, 및 상기 제1 전도성 와이어를 수표면상에 부유시키는 부력제를 포함하는 상부 구조물;
상기 제1 전도성 와이어와 이격되도록 수중에 배치되는 제2 전도성 와이어를 포함하는 하부 구조물; 및
상기 상부 구조물 및 상기 하부 구조물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원;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구조물 및 상기 하부 구조물 사이에 전기장을 형성하여 외래어종을 퇴치하는, 외래어종 퇴치 장치가 제공된다.
이때, 상기 제1 전도성 와이어는 메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부력제는 상기 메시 구조의 제1 전도성 와이어의 외각 꼭지점 및 중앙에 배치되는 제1 부력제, 상기 외각 꼭지점을 제외한 교점(node)에 배치되는 제2 부력제, 및 상기 교점을 잇는 간선(link)에 배치되는 제3 부력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구조물은 상기 제1 전도성 와이어의 상기 외각 꼭지점 및 교점 각각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전도성 와이어와 직교하도록 수중에 배치되는, 제3 전도성 와이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래어종 퇴치 장치는
상기 전원 및 상기 상부 구조물을 연결하는 제1 전극 캐이블; 및
상기 전원 및 하부 구조물을 연결하는 제2 전극 캐이블;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구조물은 서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제2 전도성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래어종 퇴치 장치는 상기 상부 구조물 및 상기 하부 구조물 사이의 전기장이 형성되는 영역을 촬영하는 수중 카메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래어종 퇴치 장치는 포충기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포충기는, 곤충을 유인 및 채집하는 곤충 채집부 및 채집된 곤충이 유출되는 곤충 유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래어종 퇴치 장치는 상기 포충기가 상기 상부 구조물이 배치된 수표면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포충기를 고정하는 포충기 고정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래어종 퇴치 장치는 상기 전기장에 의해 기절 또는 사명한 외래어종을 수거하는 흡입하여 수거하는 외래어종 수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래어종 수거부는
외래어종 수거 용기;
상기 수거 용기의 일단에 연결되는 흡입 호수; 및
상기 수거 용기의 타단에 연결되는 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래어종 수거부는,
상기 흡입 호수의 일단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 조절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일 측면에서는,
소정의 면적을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되는 제1 전도성 와이어, 및 상기 전도성 와이어를 수표면상에 부유시키는 부력제를 포함하는 상부 구조물; 상기 제2 전도성 와이어와 이격되도록 수중에 배치되는 제2 전도성 와이어를 포함하는 하부 구조물; 및 상기 상부 구조물 및 상기 하부 구조물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원 장치;를 포함하는 상기 외래어종 퇴치 장치를 이용한 외래어종의 퇴치 방법으로,
상기 상부 구조물 및 하부 구조물 사이에 전기장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외래어종의 퇴치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외래어종 퇴치 방법은
상기 외래어종 퇴치 장치의 포충기를 이용하여, 상기 상부 구조물이 형성된 수표면 또는 상기 상부 구조물 및 하부 구조물 사이에 곤충을 투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래어종 퇴치 방법은
상기 외래어종 퇴치 장치의 외래어종 수거부를 이용하여, 상기 전기장으로 기절 또는 사멸한 외래어종을 수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외래어종 수거부는, 외래어종 수거 용기, 일단이 상기 상부 구조물 및 하부 구조물 사이에 배치되고, 타단이 상기 수거 용기에 연결되는 흡입 호수 및 상기 수거 용기에 연결되며 물을 흡입하는 물 흡입 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외래어종을 수거하는 단계는,
상기 기절 또는 사멸한 외래어종의 인접 위치에 상기 흡입 호수의 일단을 위치시키는 단계; 및
상기 펌프를 이용하여, 상기 기절 또는 사멸한 외래어종을 상기 수거 용기(710) 내부로 흡입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른 외래어종 퇴치 장치는 전기장을 형성하여 배스 또는 블루길과 같은 외래어종을 기절 또는 사멸시켜 퇴치하는 장치로서, 강 또는 하천에 설치하거나 또는 배를 이용하여 끌고 다니면서 외래어종을 퇴치할 수 있어 적은 인력 및 비용으로 외래어종을 효과적으로 퇴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및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외래어종 퇴치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소호의 가장자리에 그물망을 배치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포충기의 일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포충기를 포함하는 외래어종 퇴치 장치의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외래어종 수거부의 일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될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 내에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 내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명세서 및 청구범위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일 측면에서는,
소정의 면적을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되는 제1 전도성 와이어, 및 상기 전도성 와이어를 수표면상에 부유시키는 부력제를 포함하는 상부 구조물;
상기 제2 전도성 와이어와 이격되도록 수중에 배치되는 제2 전도성 와이어를 포함하는 하부 구조물; 및
상기 상부 구조물 및 상기 하부 구조물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원;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구조물 및 상기 하부 구조물 사이에 전기장을 형성하여 외래어종을 퇴치하는, 외래어종 퇴치 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일 측면에 따른 외래어종 퇴치 장치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2는 일 측면에 따른 외래어종 퇴치 장치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외래어종 퇴치 장치(1)는 상부 구조물(100) 및 상기 상부 구조물과 이격 배치되는 하부 구조물(200) 및 상기 상부 구조물 및 상기 하부 구조물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원(300)을 포함하며, 상기 구조를 통해 상기 상부 구조물(100) 및 하부 구조물(200) 사이에 전기장을 형성시킬 수 있으며, 상기 전기장으로 상기 상부 구조물(100) 및 하부 구조물(200) 사이에 유입된 외래어종을 기절 또는 사멸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부 구조물(100)은 소정의 면적을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되는 제1 전도성 와이어(1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도성 와이어(110)는 전기장을 형성하기 위한 제1 전극으로서 작용할 수 있다.
이에, 상기 제1 전도성 와이어(110)는 소정의 면적을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전기장이 수표면으로부터 수중 일정 깊이까지 형성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상부 구조물(100)은 상기 제1 전도성 와이어(110)를 수표면상에 부유시키는 부력제(120)를 포함한다.
상기 부력제(120)는 상기 제1 전도성 와이어(110)를 수표면에 부유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부력제가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시 구조의 제1 전도성 와이어(110)를 수표면상에 부유시키기 위해, 상기 부력제(120)는 메시 구조의 외각 꼭지점 및 중앙에 배치되는 제1 부력제(12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시 구조의 제1 전도성 와이어(110)를 수표면 상에 보다 안정적으로 부유시키기 위해,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력제(120)는 상기 외각 꼭지점을 제외한 메시 구조의 제1 전도성 와이어(110)의 교점(node)에 배치되는 제2 부력제(122)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교점(node)을 잇는 간선(link)에 배치되는 제3 부력제(1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메시 구조의 제1 전도성 와이어(100)를 수표면상에 효과적으로 부유시키기 위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각 꼭지점에 배치되는 제1 부력제(12)로는 보다 큰 원형 또는 다각형 형태의 부력제를 사용될 수 있고, 교점에 배치되는 제2 부력제(122)로는 보다 작은 원형 또는 다각형 형태의 부력제를 사용될 수 있고, 간선에 배치되는 제3 부력제(123)로는 선형 또는 막대 형태의 부력제를 사용될 수 있으나, 상기 제1 부력제(121) 내지 제3 부력제(123)의 모양 및 크기가 이에 제한된 것은 아니며, 적절한 다른 형태 및 크기의 부력제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상부 구조물(100)은 상기 제1 전도성 와이어(110)의 상기 외각 꼭지점 및 교점 각각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전도성 와이어(110)와 직교하도록 수중에 배치되는, 제3 전도성 와이어(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도성 와이어와 수직으로 연결된 제3 전도성 와이어(130)를 통해 상기 상부 구조물(100) 및 하부 구조물(200) 사이의 영역에 전기장을 균일하게 형성시킬 수 있고, 그 외 외부 영역, 예를 들어, 상기 상부 구조물(100) 및 하부 구조물(200) 사이의 영역을 벗어난 영역에 전기장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부 구조물(200)은 상기 제1 전도성 와이어(110)와 이격되도록 수중에 배치되는 제2 전도성 와이어(2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전도성 와이어(110)는 전기장을 형성하기 위한 제2 전극으로서 작용할 수 있으며, 이에, 상기 제1 전도성 와이어(110) 및 상기 제2 전도성 와이어(210) 사이에 전기장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전도성 와이어(210)는 제1 전도성 와이어(110)에 대향하여 배치될 수 있도록 소정의 면적을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고 메시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구조물(200)은 이격 배치된 복수의 제2 전도성 와이어(21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하부 구조물(20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일단이 상기 제2 전극 캐이블(320)에 연결되고, 타단이 서로 이격하여 수중 또는 수저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전도성 와이어(2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도성 와이어(210) 및 상기 제2 전도성 와이어(210)는 금속, 고분자 등 전도성을 갖는 다양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전도성 및 내식성이 우수한 스테인리스 와이어(Stainless wire)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래어종 퇴치 장치(1)는 상기 전원(300)을 상기 상부 구조물(100) 및 하부 구조물(200)과 연결하는 캐이블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상부 구조물(100) 및 하부 구조물(200)을 원하는 위치에 위치시킨 후, 상기 캐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전원(300)에 연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전원(300) 및 상기 상부 구조물(100)을 연결하는 제1 전극 캐이블(310) 및 상기 전원(300) 및 하부 구조물(200)을 연결하는 제2 전극 캐이블(3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전극 캐이블(310) 및 상기 제2 전극 캐이블(320) 각각은 상기 상부 구조물(100) 및 하부 구조물(200) 각각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되 외부는 절연체로 코팅되어 있을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전극 캐이블(310) 및 상기 제2 전극 캐이블(320)은 실리콘으로 절연코팅 처리된 전선이 사용될 수 있다.
블루길, 배스 등의 외래어종은 살아있는 어종을 섭식하는 특징이 있으며, 이러한 외래어종의 피딩 타임인 해 뜰 무렵에 작은 물고기들이 소호의 가장 자리로 이동하여 외래어종이 이들을 따라 소호의 가장자리로 이동하는 경향이 있다. 이에,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호의 가장자리에 그물망을 설치하고, 소호의 외각 및 그물망으로 둘러싸인 영역(전기정 형성 영역)의 수표면 상에 상부 구조물(100)을 형성하고, 수 저면에 하부 구조물(200)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외래어종 퇴치 장치(1)는 상기 상부 구조물(100) 및 하부 구조물(200)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배 등의 이동수단에 상기 상부 구조물(100)을 연결하여 이동시킬 때 상기 상부 구조물(100) 및 하부 구조물(200)이 함께 이동될 수 있어, 요구되는 위치에 쉽게 위치시킬 수 있고, 이동하면서 외래어종을 퇴치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외래어종 퇴치 장치(1)는 상기 상부 구조물(100) 및 상기 하부 구조물(200) 사이의 전기장이 형성되는 영역을 촬영하는 수중 카메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중 카메라는 상기 상부 상부구조물(100) 및 하부 구조물(200) 중 어느 하나 이상과 연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된 것은 아니며, 상기 전기장 형성 영역을 촬영할 수 있는 별도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래어종 퇴치 장치(1)는 외래어종을 유인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곤충을 채집하고 상기 전기장 형성영역에 채집한 곤충을 투입하기 위한 포충기(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상기 포충기(500)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상기 포충기(500)를 포함하는 외래어종 퇴치 장치(1)의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5를 참조하면, 상기 포충기(500)는 곤충을 유인 및 채집하는 곤충 채집부(510) 및 채집된 곤충이 유출되는 곤충 유출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포충기(500)의 곤충 채집부(510)는 곤충을 유인하는 수단으로서 LED 발광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된 것은 아니며, 곤충을 유인 및 채집하는 종래의 다른 장치 및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포충기(50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천 시 포충기의 전원부 및 LED 발광장치를 보호하기 위해, 상기 곤충 채집부(510)의 상단에 배치되는 빗물 가리개(5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래어종 퇴치 장치(1)는 상기 포충기(500)가 상기 상부 구조물(100)이 배치된 수표면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포충기(500)를 고정하는 포충기 고정수단(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포충기 고정수단(60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 개의 기둥 및 상기 기둥을 연결하는 지지봉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지지봉에 상기 포충기(500)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포충기 고정수단(600)을 통해 상기 포충기(500)를 상기 상부 구조물(100)이 배치된 수표면 상측에 위치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포충기(500)의 상기 곤충 유출부(520)로부터 유출되는 곤충이 상기 상부 구조물(100)이 배치된 수표면 또는 상기 상부 구조물(100) 및 상기 하부 구조물(200) 사이의 전기장 형성 영역에 투입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래어종 퇴치 장치(1)는 상기 전기장에 의해 기절 또는 사멸한 외래어종을 수거하는 흡입하여 수거하는 외래어종 수거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상기 외래어종 수거부(700)의 일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외래어종 수거부(700)는 외래어종 수거 용기(710), 상기 수거 용기(710)의 일단에 연결되는 흡입 호수(720) 및 상기 수거 용기(710)의 타단에 연결되는 펌프(7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래어종 수거부(700)는 수중 전기장 형성 영역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기장에 의해 기절 또는 사멸한 외래어종이 위치하는 위치의 인접한 위치에 상기 흡입 호수(720)의 수거 용기(710)와 연결되어 있지 않은 일단을 배치하고, 상기 물 흡입 펌프(730)를 통해 상기 기절 또는 사멸한 외래어종을 포함하는 물을 흡입시킴으로써, 이를 상기 수거 용기(710)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다.
상기 외래어종 수거부(700)는 상기 흡입 호수(720)의 일단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 조절봉(740)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조절봉(740)을 통해 상기 흡입 호수(720)의 일단을 기절 또는 사멸한 외래어종이 위치하는 위치의 인접한 위치에 보다 용이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래어종 수거부(700)는 상기 수거 용기(710) 및 상기 펌프(73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수거 용기(710)로부터 물은 유출되지만 상기 외래어종은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다공성 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 측면에서는,
소정의 면적을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되는 제1 전도성 와이어(110), 및 상기 전도성 와이어(110)를 수 표면상에 부유시키는 부력제(120)를 포함하는 상부 구조물(100); 상기 제1 전도성 와이어(210)와 이격되도록 수중에 배치되는 제2 전도성 와이어(210)를 포함하는 하부 구조물(200), 및 상기 상부 구조물(100) 및 상기 하부 구조물(200)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원 장치(300)를 포함하는 상기 외래어종 퇴치 장치(1)를 이용한 외래어종의 퇴치 방법으로,
상기 상부 구조물(100) 및 하부 구조물(200) 사이에 전기장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외래어종의 퇴치 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다른 일 측면에 따른 외래어종의 퇴치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외래어종의 퇴치 방법은, 전술한 외래어종 퇴치 장치(1)를 이용한 외래어종 퇴치 방법으로, 상기 상부 구조물 및 하부 구조물 사이에 유입된 외래어종을 전기장으로 기절 또는 사멸시켜 퇴치하는 방법일 수 있다.
상기 외래어종의 퇴치 방법은, 상기 상부 구조물(100) 및 하부 구조물(200) 사이에 전기장을 형성하기 전, 상기 상부 구조물이 형성된 수표면 또는 상기 상부 구조물 및 하부 구조물 사이에 곤충을 투입하는 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단계는, 외래어종을 상기 상부 구조물 및 상기 하부 구조물 사이로 유인하기 위한 단계일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의 곤충의 유인 및 투입을 위해, 상기 외래어종의 퇴치 장치(1)는 곤충을 유인 및 채집하는 곤충 채집부(510) 및 채집된 곤충이 유출되는 곤충 유출부(520)를 포함하는 포충기(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포충기(500)의 곤충 채집부(510)를 통해 상기 곤충이 유인 및 채집될 수 있고, 상기 곤충 유출부(520)를 통해 채집된 곤충이 상기 상부 구조물이 형성된 수표면 또는 상기 상부 구조물 및 하부 구조물 사이에 투입될 수 있다.
외래어종은 상기 포충기(500)에 의해 투입된 곤충에 의해, 또는 외래어종의 먹이감이 존재하는 곳에 상기 장치(1)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외래어종 퇴치 장치(1)의 상부 구조물(100) 및 하부 구조물(200) 사이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상부 구조물(100) 및 하부 구조물(200) 사이로 유입된 외래어종을 가두기 위해, 소호의 외각부에 그물망이 배치하여, 소호의 오목한 외각부 및 그물망으로 둘러싼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공간에 상기 외래어종을 가둘 수 있다.
상기 상부 구조물(100) 및 하부 구조물(200) 사이로 유입된 외래어종은 전기장에 의해 기절 또는 사멸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외래어종의 퇴치 방법은, 상기 외래어종 퇴치 장치의 외래어종 수거부(700)를 이용하여, 상기 전기장으로 기절 또는 사멸한 외래어종을 수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래어종 수거부(700)는 외래어종 수거 용기(710), 상기 수거 용기(710)의 일단에 연결되는 흡입 호수(720) 및 상기 수거 용기(710)의 타단에 연결되는 펌프(7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절 또는 사멸한 외래어종을 수거하는 단계는, 상기 기절 또는 사멸한 외래어종의 인접 위치에 상기 흡입 호수(720)의 일단을 위치시키는 단계; 및
상기 펌프(730)를 이용하여, 상기 기절 또는 사멸한 외래어종을 상기 수거 용기(710) 내부로 흡입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래어종 퇴치 방법은 전기장을 형성하여 배스 또는 블루길과 같은 외래어종을 기절 또는 사멸시켜 퇴치하는 방법으로서, 강 또는 하천에 설치하거나 또는 배를 이용하여 끌고 다니면서 외래어종을 퇴치할 수 있어 적은 인력 및 비용으로 외래어종을 효과적으로 퇴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 외래어종 퇴치 장치
100: 상부 구조물
110: 제1 전도성 와이어
120: 부력제
130: 제3 전도성 와이어
121: 제1 부력제
122: 제2 부력제
123: 제3 부력제
200: 하부 구조물
210: 제2 전도성 와이어
300: 전원
310: 제1 전원 캐이블
320: 제2 전원 캐이블
500: 포충기
510: 곤충 채집부
520: 곤충 유출부
530: 빗물 가리개
600: 포충기 고정수단
700: 외래어종 수거부
710: 수거 용기
720: 흡수 호수
730: 펌프
740: 조절봉

Claims (16)

  1. 소정의 면적을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되는 제1 전도성 와이어, 및 상기 제1 전도성 와이어를 수표면상에 부유시키는 부력제를 포함하는 상부 구조물;
    상기 제1 전도성 와이어와 이격되도록 수중에 배치되는 제2 전도성 와이어를 포함하는 하부 구조물;
    상기 상부 구조물 및 상기 하부 구조물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원; 및
    곤충을 유인 및 채집하는 곤충 채집부 및 채집된 곤충이 유출되는 곤충 유출부를 포함하는 포충기;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구조물 및 상기 하부 구조물 사이에 전기장을 형성하여 외래어종을 퇴치하는, 외래어종 퇴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도성 와이어는 메시 구조를 갖는, 외래어종 퇴치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제는 상기 메시 구조의 제1 전도성 와이어의 외각 꼭지점 및 중앙에 배치되는 제1 부력제, 상기 외각 꼭지점을 제외한 교점(node)에 배치되는 제2 부력제, 및 상기 교점을 잇는 간선(link)에 배치되는 제3 부력제를 포함하는, 외래어종 퇴치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구조물은 상기 제1 전도성 와이어의 상기 외각 꼭지점 및 교점 각각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전도성 와이어와 직교하도록 수중에 배치되는, 제3 전도성 와이어;를 더 포함하는, 외래어종 퇴치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래어종 퇴치 장치는
    상기 전원 및 상기 상부 구조물을 연결하는 제1 전극 캐이블; 및
    상기 전원 및 하부 구조물을 연결하는 제2 전극 캐이블;을 더 포함하는, 외래어종 퇴치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구조물은 서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제2 전도성 와이어를 포함하는, 외래어종 퇴치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래어종 퇴치 장치는
    상기 상부 구조물 및 상기 하부 구조물 사이의 전기장이 형성되는 영역을 촬영하는 수중 카메라;를 더 포함하는, 외래어종 퇴치 장치.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래어종 퇴치 장치는
    상기 포충기가 상기 상부 구조물이 배치된 수표면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포충기를 고정하는 포충기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외래어종 퇴치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래어종 퇴치 장치는
    상기 전기장에 의해 기절 또는 사명한 외래어종을 수거하는 흡입하여 수거하는 외래어종 수거부;를 더 포함하는, 외래어종 퇴치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외래어종 수거부는,
    외래어종 수거 용기;
    상기 수거 용기의 일단에 연결되는 흡입 호수; 및
    상기 수거 용기의 타단에 연결되는 펌프;를 포함하는, 외래어종 퇴치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외래어종 수거부는,
    상기 흡입 호수의 일단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 조절봉;을 더 포함하는, 외래어종 퇴치 장치.
  13. 소정의 면적을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되는 제1 전도성 와이어, 및 상기 전도성 와이어를 수표면상에 부유시키는 부력제를 포함하는 상부 구조물; 상기 제2 전도성 와이어와 이격되도록 수중에 배치되는 제2 전도성 와이어를 포함하는 하부 구조물; 상기 상부 구조물 및 상기 하부 구조물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원; 및 곤충을 유인 및 채집하는 곤충 채집부 및 채집된 곤충이 유출되는 곤충 유출부를 포함하는 포충기;를 포함하는 제1항의 외래어종 퇴치 장치를 이용한 외래어종의 퇴치 방법으로,
    상기 상부 구조물 및 하부 구조물 사이에 전기장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외래어종의 퇴치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외래어종 퇴치 방법은
    상기 포충기를 이용하여, 상기 상부 구조물이 형성된 수표면 또는 상기 상부 구조물이 형성된 수표면 또는 상기 상부 구조물 및 하부 구조물 사이에 곤충을 투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외래어종의 퇴치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외래어종 퇴치 방법은
    상기 외래어종 퇴치 장치의 외래어종 수거부를 이용하여, 상기 전기장으로 기절 또는 사멸한 외래어종을 수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외래어종의 퇴치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외래어종 수거부는, 외래어종 수거 용기, 일단이 상기 상부 구조물 및 하부 구조물 사이에 배치되고, 타단이 상기 수거 용기에 연결되는 흡입 호수 및 상기 수거 용기에 연결되며 물을 흡입하는 물 흡입 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외래어종을 수거하는 단계는,
    상기 기절 또는 사멸한 외래어종의 인접 위치에 상기 흡입 호수의 일단을 위치시키는 단계; 및
    상기 펌프를 이용하여, 상기 기절 또는 사멸한 외래어종을 상기 수거 용기 내부로 흡입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외래어종의 퇴치 방법.
KR1020200183047A 2020-12-24 2020-12-24 외래어종 퇴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외래어종 퇴치 방법 KR1022614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3047A KR102261401B1 (ko) 2020-12-24 2020-12-24 외래어종 퇴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외래어종 퇴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3047A KR102261401B1 (ko) 2020-12-24 2020-12-24 외래어종 퇴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외래어종 퇴치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1401B1 true KR102261401B1 (ko) 2021-06-04

Family

ID=76391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3047A KR102261401B1 (ko) 2020-12-24 2020-12-24 외래어종 퇴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외래어종 퇴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1401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87400A (en) * 1938-11-14 1940-01-16 Palos Sam Electrocuting trap
JPS63141528A (ja) * 1986-12-05 1988-06-14 第一高周波工業株式会社 漁網の生物付着防止装置
JPH09285240A (ja) * 1996-04-23 1997-11-04 Mitsubishi Heavy Ind Ltd 水中生物捕獲装置
KR0177375B1 (ko) * 1994-01-05 1999-02-01 린데르트 베르부르크 아브라함 전기 어로 장치
KR20000013645U (ko) 1998-12-28 2000-07-15 백준철 배스(bass)낚시용 가이더
JP2005312328A (ja) * 2004-04-27 2005-11-10 Miyagi Prefecture 魚検出装置,魚捕獲装置および魚捕獲方法
KR20110008021U (ko) 2010-02-08 2011-08-17 한신철 배스포획용 탈착식 실고리 로켓창
JP2013252066A (ja) * 2012-06-05 2013-12-19 Nishiawakura Mori No Gakko:Kk 淡水魚の養殖方法
KR20170013025A (ko) * 2015-07-27 2017-02-06 한국생태연구원 주식회사 상어 리펠링장치가 구비된 어망
KR102016874B1 (ko) * 2019-01-31 2019-08-30 전정룡 외래어종 퇴치장치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87400A (en) * 1938-11-14 1940-01-16 Palos Sam Electrocuting trap
JPS63141528A (ja) * 1986-12-05 1988-06-14 第一高周波工業株式会社 漁網の生物付着防止装置
KR0177375B1 (ko) * 1994-01-05 1999-02-01 린데르트 베르부르크 아브라함 전기 어로 장치
JPH09285240A (ja) * 1996-04-23 1997-11-04 Mitsubishi Heavy Ind Ltd 水中生物捕獲装置
KR20000013645U (ko) 1998-12-28 2000-07-15 백준철 배스(bass)낚시용 가이더
JP2005312328A (ja) * 2004-04-27 2005-11-10 Miyagi Prefecture 魚検出装置,魚捕獲装置および魚捕獲方法
KR20110008021U (ko) 2010-02-08 2011-08-17 한신철 배스포획용 탈착식 실고리 로켓창
JP2013252066A (ja) * 2012-06-05 2013-12-19 Nishiawakura Mori No Gakko:Kk 淡水魚の養殖方法
KR20170013025A (ko) * 2015-07-27 2017-02-06 한국생태연구원 주식회사 상어 리펠링장치가 구비된 어망
KR102016874B1 (ko) * 2019-01-31 2019-08-30 전정룡 외래어종 퇴치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온-나라 정책연구, "호암지 수생태계 모니터링 연구용역"(2019년 발행)*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39802A (en) Insect feeding
AU2015343804B2 (en) Apparatus for rejection / control of pests to areas, and the use thereof
US20060201052A1 (en) Mosquito/insect larva trap magnet system
US6301827B1 (en) Japanese beetle trap
Smith et al. Predation of belugas and narwhals by polar bears in nearshore areas of the Canadian High Arctic
US4002146A (en) Insect collection and feeding
US11700838B2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trapping and killing marine organisms
O'dor et al. MAINTENANCE AND MATURATION OF SQUID (ILLEX ILLECEBROSUS IN A 15 METER CIRCULAR POOL
KR102016874B1 (ko) 외래어종 퇴치장치
US2010024285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quatic Electrified Barriers
JP3811816B2 (ja) 魚検出装置,魚捕獲装置および魚捕獲方法
CN102273425B (zh) 一种淡水龟安全高效诱捕装置
KR101695979B1 (ko) 수면생물 포획용 통발
KR102261401B1 (ko) 외래어종 퇴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외래어종 퇴치 방법
CN111436388B (zh) 调水工程中保护鱼类资源的方法和装置
CN111436389B (zh) 定向控制水生动物群体数量及其传播扩散的方法和装置
CN111466366B (zh) 定向防止水生动物传播的方法和装置
KR102130001B1 (ko) 실뱀장어 포획장치
KR101029760B1 (ko) 부유식 해충방제장치 및 그 해충방제방법
JP2008048630A (ja) 肉食魚捕獲装置と肉食魚の捕獲方法
CN107047524B (zh) 一种捕鼠设备
KR101923559B1 (ko) 어류 유인기능 및 어류 먹이습성을 이용하는 어구
NO345976B1 (no) Apparat for oppsamling av pelagiske krepsdyrlarver og system som omfatter apparatet
NO345419B1 (no) Apparat for oppsamling av pelagiske krepsdyrlarver
KR102571580B1 (ko) 혼획 방지구조를 갖는 미국가재 포획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