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1654A - 모터의 stall current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모터의 stall current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1654A
KR20170011654A KR1020150104619A KR20150104619A KR20170011654A KR 20170011654 A KR20170011654 A KR 20170011654A KR 1020150104619 A KR1020150104619 A KR 1020150104619A KR 20150104619 A KR20150104619 A KR 20150104619A KR 20170011654 A KR20170011654 A KR 201700116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stall current
degrees
outside air
air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46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14177B1 (ko
Inventor
윤현철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046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4177B1/ko
Publication of KR201700116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16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41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41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7/00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electric DC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 B60J1/1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 B60J1/16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 B60J1/17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vert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605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trucks, e.g. by C-shaped support means
    • B60R1/0617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trucks, e.g. by C-shaped support means foldable along the vehicle, e.g. in case of external force applied there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08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dynamo-electric motors
    • H02H7/0811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dynamo-electric motors for dc mo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터의 stall current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에 구비되는 모터 제어기를 통해 모터의 온도 및 전압 특성을 입력하는 제1단계와; 외기온도 및 배터리 동력전압 조건에 따른 stall current 전류를 맵핑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1단계의 모터 온도를 상기 제2단계의 외기온도 조건과 비교 판단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 이후 상기 제1단계의 모터 전압을 상기 제2단계의 동력전압 조건과 비교 판단하는 제4단계와; 상기 제4단계 이후 비교 판단된 모터의 온도 및 전압에 따른 stall current 전류를 상기 제2단계에서 확인하는 제5단계로 구성되어, 모터 특성을 기반으로 모터 stall current 기준에 영향을 미치는 온도 및 배터리 동력전압 조건을 활용한 가변형 stall current reference 제어를 통해 모터의 내구성 저하 및 소손을 방지하여 운전자의 안전을 확보함으로써 상품성 개선이 가능하게 하고, 미터 폴딩, 공즈 블로워 시스템 및 트렁크 시스템과 같은 모터 적용 시스템에 대한 모터 성능을 향상시켜 차량의 품질을 증대시키는데 효과가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모터의 stall current 제어 방법{Controlling method of stall current for motor}
본 발명은 모터의 stall current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모터의 외부온도 및 배터리 동력전압에 따른 소손을 방지하고, 모터 제어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켜 내구성과 상품성을 증대시키는데 효과 모터의 stall current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DC(Direct Current) 모터 제어 시 모터 제어 IC 드라이버 선정 및 모터 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모터 특성에 기반한 Stall current를 확인하고 제어기 내부 전류 센싱을 통하여 Stall current 발생 시 일정 시간 이내 모터 동작을 정지하도록 제어하고 있다.
예를 들어, 파워 윈도우, 아웃사이드 미러 폴딩 시 사용되는 DC 모터의 Stall current Max를 5A 라고 한다면 인위적인 동작 방해 또는 결빙, 장애물 끼임 등으로 Max. Stall current가 일정 시간 이상(모터 및 모터 제어 IC 소손 이전) 지속되는 경우 부하 및 제어기 보호를 위해 동작을 정지시킨다.
그러나, 종래의 모터 제어 방법은 단순 모터 Max. Stall current 값을 기준으로만 제어하기 때문에 모터, 모터 제어 IC 드라이버의 내구 성능 저하된다.
즉, 종래에는 모터 Max. Stall Current 를 기준으로 모터 구동 중 발생하는 Stall 여부를 판정하고 모터를 정지시키기 때문에 낮은 전압 또는 높은 온도에서 모터가 동작하고 있는 경우 실제 모터는 Stall 조건으로 진입하여 과부하가 발생하여도 제어기의 기준은 단일한 모터 Max. Stall Current를 기준으로 제어되고 있기 때문에 모터의 내구 성능을 현격히 저하시키고, 모터 소손이 발생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전기적 스트레스에 의한 내구 성능이 저하되어 상품성이 낮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 1 :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427631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모터의 stall current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모터의 외부온도 및 배터리 동력전압에 따른 소손을 방지하고, 모터 제어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켜 내구성과 상품성을 증대시키는데 효과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차량에 구비되는 모터 제어기를 통해 모터의 온도 및 전압 특성을 입력하는 제1단계와; 외기온도 및 배터리 동력전압 조건에 따른 stall current 전류를 맵핑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1단계의 모터 온도를 상기 제2단계의 외기온도 조건과 비교 판단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 이후 상기 제1단계의 모터 전압을 상기 제2단계의 동력전압 조건과 비교 판단하는 제4단계와; 상기 제4단계 이후 비교 판단된 모터의 온도 및 전압에 따른 stall current 전류를 상기 제2단계에서 확인하는 제5단계;를 포함함으로써 달성된다.
상기 제5단계에서 확인된 stall current 전류와 모터의 센싱 전류를 비교 판단하는 제6단계와; 상기 제6단계에서 stall current 전류가 모터의 센싱 전류보다 작으면 모터의 내구 시간과 stall current 시간을 비교 판단하는 제7단계와; 상기 제7단계에서 모터 내구 시간 stall current 시간보다 적으면 모터 구동을 중지하는 제8단계;를 더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8단계 이후 계기판을 통해 운전자에게 경고 정보를 전달하는 제9단계를 더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단계는, 외기온도가 -30도 이하인 경우 상기 제4단계로 이동하는 제3-1단계와; 상기 제3-1단계의 조건에 불만족하며, 외기온도가 -30도를 초과하고 25도 이하인 경우 상기 제4단계로 이동하는 제3-2단계와; 상기 제3-2단계의 조건에 불만족하며, 외기온도가 25도를 초과하고 85도 이하인 경우 상기 제4단계로 이동하는 제3-3단계와; 상기 제3-3단계의 조건에 불만족하며, 외기온도가 85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4단계로 이동하는 제3-4단계;를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4단계는, 동작전압이 9V 이하인 경우 상기 제5단계로 이동하는 제4-1단계와; 상기 제4-1단계의 조건에 불만족하며, 동작전압이 9V를 초과하고 13.5V 이하인 경우 상기 제5단계로 이동하는 제4-2단계와; 상기 제4-2단계의 조건에 불만족하며, 동작전압이 13.5V를 초과하고 16V 이하인 경우 상기 제5단계로 이동하는 제4-3단계와; 상기 제4-3단계의 조건에 불만족하며, 동작전압이 16V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5단계로 이동하는 제4-4단계;를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1단계에서 외기온도가 -30도 이하이고, 상기 제4-1단계에서 동작전압이 9V 이하인 경우 상기 제5단계의 stall current 전류를 2.28A로 설정하며, 상기 제3-1단계에서 외기온도가 -30도 이하이고, 상기 제4-2단계에서 동작전압이 9V 초과 13.5V 이하인 경우 상기 제5단계의 stall current 전류를 3.42A로 설정하며, 상기 제3-1단계에서 외기온도가 -30도 이하이고, 상기 제4-3단계에서 동작전압이 13.5V 초과 16V 이하인 경우 상기 제5단계의 stall current 전류를 4.05A로 설정하며, 상기 제3-1단계에서 외기온도가 -30도 이하이고, 상기 제4-4단계에서 동작전압이 16V 초과인 경우 상기 제5단계의 stall current 전류를 4.05A로 설정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2단계에서 외기온도가 -30도 초과 25도 이하이고, 상기 제4-1단계에서 동작전압이 9V 이하인 경우 상기 제5단계의 stall current 전류를 1.79A로 설정하며, 상기 제3-2단계에서 외기온도가 -30도 초과 25도 이하이고, 상기 제4-2단계에서 동작전압이 9V 초과 13.5V 이하인 경우 상기 제5단계의 stall current 전류를 2.69A로 설정하며, 상기 제3-2단계에서 외기온도가 -30도 초과 25도 이하이고, 상기 제4-3단계에서 동작전압이 13.5V 초과 16V 이하인 경우 상기 제5단계의 stall current 전류를 3.18A로 설정하며, 상기 제3-2단계에서 외기온도가 -30도 초과 25도 이하이고, 상기 제4-4단계에서 동작전압이 16V 초과인 경우 상기 제5단계의 stall current 전류를 3.18A로 설정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3단계에서 외기온도가 25도 초과 85도 이하이고, 상기 제4-1단계에서 동작전압이 9V 이하인 경우 상기 제5단계의 stall current 전류를 1.45A로 설정하며, 상기 제3-3단계에서 외기온도가 25도 초과 85도 이하이고, 상기 제4-2단계에서 동작전압이 9V 초과 13.5V 이하인 경우 상기 제5단계의 stall current 전류를 2.18A로 설정하며, 상기 제3-3단계에서 외기온도가 25도 초과 85도 이하이고, 상기 제4-3단계에서 동작전압이 13.5V 초과 16V 이하인 경우 상기 제5단계의 stall current 전류를 2.58A로 설정하며, 상기 제3-3단계에서 외기온도가 25도 초과 85도 이하이고, 상기 제4-4단계에서 동작전압이 16V 초과인 경우 상기 제5단계의 stall current 전류를 2.58A로 설정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4단계에서 외기온도가 85도 초과이고, 상기 제4-1단계에서 동작전압이 9V 이하인 경우 상기 제5단계의 stall current 전류를 1.45A로 설정하며, 상기 제3-4단계에서 외기온도가 85도 초과이고, 상기 제4-2단계에서 동작전압이 9V 초과 13.5V 이하인 경우 상기 제5단계의 stall current 전류를 2.18A로 설정하며, 상기 제3-4단계에서 외기온도가 85도 초과이고, 상기 제4-3단계에서 동작전압이 13.5V 초과 16V 이하인 경우 상기 제5단계의 stall current 전류를 2.58A로 설정하며, 상기 제3-4단계에서 외기온도가 85도 초과이고, 상기 제4-4단계에서 동작전압이 16V 초과인 경우 상기 제5단계의 stall current 전류를 2.58A로 설정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모터 특성을 기반으로 모터 stall current 기준에 영향을 미치는 온도 및 배터리 동력전압 조건을 활용한 가변형 stall current reference 제어를 통해 모터의 내구성 저하 및 소손을 방지하여 운전자의 안전을 확보함으로써 상품성 개선이 가능하게 하고, 미터 폴딩, 공즈 블로워 시스템 및 트렁크 시스템과 같은 모터 적용 시스템에 대한 모터 성능을 향상시켜 차량의 품질을 증대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모터의 stall current 제어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모터의 stall current 제어 방법에서 외기온도 및 동력전압 조건에 따른 stall current 전류를 도시하는 도.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모터의 stall current 제어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의 온도 및 전압 특성을 입력하는 제1단계(S10)와, 외기온도 및 배터리 동력전압 조건의 current 전류를 맵핑하는 제2단계(S20)와, 모터 온도와 외기온도를 비교 판단하는 제3단계(S30)와, 모터 전압과 동력전압을 비교 판단하는 제4단계(S40)와, 모터의 온도 및 전압에 따른 stall current 전류를 제2단계(S20)에서 확인하는 제5단계(S50)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단계(S10)는 차량에 구비되는 모터 제어기를 통해 모터의 온도 및 전압 특성을 입력한다.
제2단계(S20)는 외기온도 및 배터리 동력전압 조건에 따른 stall current 전류를 맵핑한다. 이때, 외기온도 및 배터리 동력전압 조건별 stall current 전류는 도 2를 참조한다.
제3단계(S30)는 제1단계(S10)의 모터 온도를 제2단계(S20)의 외기온도 조건과 비교 판단한다.
이때, 제3단계(S30)는 외기온도가 -30도 이하인 경우 상기 제4단계(S40)로 이동하는 제3-1단계(S31)와, 제3-1단계(S31)의 조건에 불만족하며 외기온도가 -30도를 초과하고 25도 이하인 경우 제4단계(S40)로 이동하는 제3-2단계(S32)와, 제3-2단계(S32)의 조건에 불만족하며 외기온도가 25도를 초과하고 85도 이하인 경우 제4단계(S40)로 이동하는 제3-3단계(S33)와, 제3-3단계(S33)의 조건에 불만족하며 외기온도가 85도를 초과하는 경우 제4단계(S40)로 이동하는 제3-4단계(S34)를 포함하도록 한다.
제4단계(S40)는 제3단계(S30) 이후 제1단계(S10)의 모터 전압을 제2단계(S20)의 동력전압 조건과 비교 판단한다.
이때, 제4단계(S40)는 동작전압이 9V 이하인 경우 제5단계(S50)로 이동하는 제4-1단계(S41)와, 제4-1단계(S41)의 조건에 불만족하며 동작전압이 9V를 초과하고 13.5V 이하인 경우 제5단계(S50)로 이동하는 제4-2단계(S42)와, 제4-2단계(S42)의 조건에 불만족하며, 동작전압이 13.5V를 초과하고 16V 이하인 경우 제5단계(S50)로 이동하는 제4-3단계(S43)와, 제4-3단계(S43)의 조건에 불만족하며 동작전압이 16V를 초과하는 경우 제5단계(S50)로 이동하는 제4-4단계(S44)를 포함하도록 한다.
제5단계(S50)는 제4단계(S40) 이후 비교 판단된 모터의 온도 및 전압에 따른 stall current 전류를 제2단계(S20)에서 확인하도록 한다.
이때, 제3-1단계(S31)에서 외기온도가 -30도 이하이고 제4-1단계(S41)에서 동작전압이 9V 이하인 경우에는 제5단계(S50)의 stall current 전류를 2.28A로 설정하며, 제3-1단계(S31)에서 외기온도가 -30도 이하이고 제4-2단계(S42)에서 동작전압이 9V 초과 13.5V 이하인 경우에는 제5단계(S50)의 stall current 전류를 3.42A로 설정하며, 제3-1단계(S31)에서 외기온도가 -30도 이하이고 제4-3단계(S43)에서 동작전압이 13.5V 초과 16V 이하인 경우에는 제5단계(S50)의 stall current 전류를 4.05A로 설정하며, 제3-1단계(S31)에서 외기온도가 -30도 이하이고 제4-4단계(S44)에서 동작전압이 16V 초과인 경우에는 제5단계(S50)의 stall current 전류를 4.05A로 설정한다.
또한, 제3-2단계(S32)에서 외기온도가 -30도 초과 25도 이하이고 제4-1단계(S41)에서 동작전압이 9V 이하인 경우에는 제5단계(S50)의 stall current 전류를 1.79A로 설정하며, 제3-2단계(S32)에서 외기온도가 -30도 초과 25도 이하이고 제4-2단계(S42)에서 동작전압이 9V 초과 13.5V 이하인 경우에는 제5단계(S50)의 stall current 전류를 2.69A로 설정하며, 제3-2단계(S32)에서 외기온도가 -30도 초과 25도 이하이고 제4-3단계(S43)에서 동작전압이 13.5V 초과 16V 이하인 경우에는 제5단계(S50)의 stall current 전류를 3.18A로 설정하며, 제3-2단계(S32)에서 외기온도가 -30도 초과 25도 이하이고 제4-4단계(S44)에서 동작전압이 16V 초과인 경우에는 제5단계(S50)의 stall current 전류를 3.18A로 설정한다.
또한, 제3-3단계(S33)에서 외기온도가 25도 초과 85도 이하이고 제4-1단계(S41)에서 동작전압이 9V 이하인 경우에는 제5단계(S50)의 stall current 전류를 1.45A로 설정하며, 제3-3단계(S33)에서 외기온도가 25도 초과 85도 이하이고 제4-2단계(S42)에서 동작전압이 9V 초과 13.5V 이하인 경우에는 제5단계(S50)의 stall current 전류를 2.18A로 설정하며, 제3-3단계(S33)에서 외기온도가 25도 초과 85도 이하이고 제4-3단계(S43)에서 동작전압이 13.5V 초과 16V 이하인 경우에는 제5단계(S50)의 stall current 전류를 2.58A로 설정하며, 제3-3단계(S33)에서 외기온도가 25도 초과 85도 이하이고 제4-4단계(S44)에서 동작전압이 16V 초과인 경우에는 제5단계(S50)의 stall current 전류를 2.58A로 설정한다.
또한, 제3-4단계(S34)에서 외기온도가 85도 초과이고 제4-1단계(S41)에서 동작전압이 9V 이하인 경우에는 제5단계(S50)의 stall current 전류를 1.45A로 설정하며, 제3-4단계(S34)에서 외기온도가 85도 초과이고 제4-2단계(S42)에서 동작전압이 9V 초과 13.5V 이하인 경우에는 제5단계(S50)의 stall current 전류를 2.18A로 설정하며, 제3-4단계(S34)에서 외기온도가 85도 초과이고 제4-3단계(S43)에서 동작전압이 13.5V 초과 16V 이하인 경우에는 제5단계(S50)의 stall current 전류를 2.58A로 설정하며, 제3-4단계(S34)에서 외기온도가 85도 초과이고 제4-4단계(S44)에서 동작전압이 16V 초과인 경우에는 제5단계(S50)의 stall current 전류를 2.58A로 설정한다.
제6단계(S60)는 제5단계(S50)에서 확인된 stall current 전류와 모터의 센싱 전류를 비교 판단하고, 제7단계(S70)는 제6단계(S60)에서 stall current 전류가 모터의 센싱 전류보다 작으면 모터의 내구 시간과 stall current 시간을 비교 판단한다.
한편, 제6단계(S60)에서 stall current 전류와 모터의 센싱 전류 비교 시 stall current 전류가 모터의 센싱 전류보다 크거나 제7단계(S70)에서 모터 내구 시간과 stall current 시간 비교 시 모터 내구 시간이 stall current 시간보다 크면 제5단계(S50)로 이동하도록 한다.
제8단계(S80)는 제7단계(S70)에서 모터 내구 시간 stall current 시간보다 적으면 모터 구동을 중지하도록 한다.
제9단계(S90)는 제8단계(S80) 이후 모터 구동 중지에 대한 내용을 계기판을 통해 운전자에게 경고하여 위험 정보를 전달함으로써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은 모터 제어기에 제어 대상 모터의 극성을 입력한 상태에서 외기온 상태 정보와 배터리 동작 전압 조건별 stall current를 비교하여 외기온 및 배터리 전압 정보를 기반으로 한 가변형 stall current reference가 확인되어 모터 구동 중 stall current가 reference 전류량보다 커지고 모터 및 제어 드라이브 소손을 견딜 수 있는 내구 시간에 도달하게 되면 모터 부하의 구동을 정지하고 제어기는 DTC(Dynamic Traction Control)를 생성하며 운전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도록 모터 정지 상태를 알린다.
이처럼, 본 발명은 차량에 구비되는 모터 제어기를 통해 모터의 온도 및 전압 특성을 입력하는 제1단계(S10)와, 외기온도 및 배터리 동력전압 조건에 따른 stall current 전류를 맵핑하는 제2단계(S20)와, 제1단계(S10)의 모터 온도를 상기 제2단계(S20)의 외기온도 조건과 비교 판단하는 제3단계(S30)와, 제3단계(S30) 이후 상기 제1단계(S10)의 모터 전압을 제2단계(S20)의 동력전압 조건과 비교 판단하는 제4단계(S40), 제4단계(S40) 이후 비교 판단된 모터의 온도 및 전압에 따른 stall current 전류를 제2단계(S20)에서 확인하는 제5단계(S50)로 이루어져 모터 특성을 기반으로 모터 stall current 기준에 영향을 미치는 온도 및 배터리 동력전압 조건을 활용한 가변형 stall current reference 제어를 통해 모터의 내구성 저하 및 소손을 방지하여 운전자의 안전을 확보함으로써 상품성 개선이 가능하게 하고, 미터 폴딩, 공즈 블로워 시스템 및 트렁크 시스템과 같은 모터 적용 시스템에 대한 모터 성능을 향상시켜 차량의 품질을 증대시킨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S10 : 제1단계 S20 : 제2단계
S30 : 제3단계 S40 : 제4단계
S50 : 제5단계

Claims (9)

  1. 차량에 구비되는 모터 제어기를 통해 모터의 온도 및 전압 특성을 입력하는 제1단계와;
    외기온도 및 배터리 동력전압 조건에 따른 stall current 전류를 맵핑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1단계의 모터 온도를 상기 제2단계의 외기온도 조건과 비교 판단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 이후 상기 제1단계의 모터 전압을 상기 제2단계의 동력전압 조건과 비교 판단하는 제4단계와;
    상기 제4단계 이후 비교 판단된 모터의 온도 및 전압에 따른 stall current 전류를 상기 제2단계에서 확인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의 stall current 제어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5단계에서 확인된 stall current 전류와 모터의 센싱 전류를 비교 판단하는 제6단계와;
    상기 제6단계에서 stall current 전류가 모터의 센싱 전류보다 작으면 모터의 내구 시간과 stall current 시간을 비교 판단하는 제7단계와;
    상기 제7단계에서 모터 내구 시간 stall current 시간보다 적으면 모터 구동을 중지하는 제8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의 stall current 제어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8단계 이후 계기판을 통해 운전자에게 경고 정보를 전달하는 제9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의 stall current 제어 방법.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는,
    외기온도가 -30도 이하인 경우 상기 제4단계로 이동하는 제3-1단계와;
    상기 제3-1단계의 조건에 불만족하며, 외기온도가 -30도를 초과하고 25도 이하인 경우 상기 제4단계로 이동하는 제3-2단계와;
    상기 제3-2단계의 조건에 불만족하며, 외기온도가 25도를 초과하고 85도 이하인 경우 상기 제4단계로 이동하는 제3-3단계와;
    상기 제3-3단계의 조건에 불만족하며, 외기온도가 85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4단계로 이동하는 제3-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의 stall current 제어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는,
    동작전압이 9V 이하인 경우 상기 제5단계로 이동하는 제4-1단계와;
    상기 제4-1단계의 조건에 불만족하며, 동작전압이 9V를 초과하고 13.5V 이하인 경우 상기 제5단계로 이동하는 제4-2단계와;
    상기 제4-2단계의 조건에 불만족하며, 동작전압이 13.5V를 초과하고 16V 이하인 경우 상기 제5단계로 이동하는 제4-3단계와;
    상기 제4-3단계의 조건에 불만족하며, 동작전압이 16V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5단계로 이동하는 제4-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의 stall current 제어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3-1단계에서 외기온도가 -30도 이하이고, 상기 제4-1단계에서 동작전압이 9V 이하인 경우 상기 제5단계의 stall current 전류를 2.28A로 설정하며,
    상기 제3-1단계에서 외기온도가 -30도 이하이고, 상기 제4-2단계에서 동작전압이 9V 초과 13.5V 이하인 경우 상기 제5단계의 stall current 전류를 3.42A로 설정하며,
    상기 제3-1단계에서 외기온도가 -30도 이하이고, 상기 제4-3단계에서 동작전압이 13.5V 초과 16V 이하인 경우 상기 제5단계의 stall current 전류를 4.05A로 설정하며,
    상기 제3-1단계에서 외기온도가 -30도 이하이고, 상기 제4-4단계에서 동작전압이 16V 초과인 경우 상기 제5단계의 stall current 전류를 4.05A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의 stall current 제어 방법.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3-2단계에서 외기온도가 -30도 초과 25도 이하이고, 상기 제4-1단계에서 동작전압이 9V 이하인 경우 상기 제5단계의 stall current 전류를 1.79A로 설정하며,
    상기 제3-2단계에서 외기온도가 -30도 초과 25도 이하이고, 상기 제4-2단계에서 동작전압이 9V 초과 13.5V 이하인 경우 상기 제5단계의 stall current 전류를 2.69A로 설정하며,
    상기 제3-2단계에서 외기온도가 -30도 초과 25도 이하이고, 상기 제4-3단계에서 동작전압이 13.5V 초과 16V 이하인 경우 상기 제5단계의 stall current 전류를 3.18A로 설정하며,
    상기 제3-2단계에서 외기온도가 -30도 초과 25도 이하이고, 상기 제4-4단계에서 동작전압이 16V 초과인 경우 상기 제5단계의 stall current 전류를 3.18A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의 stall current 제어 방법.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3-3단계에서 외기온도가 25도 초과 85도 이하이고, 상기 제4-1단계에서 동작전압이 9V 이하인 경우 상기 제5단계의 stall current 전류를 1.45A로 설정하며,
    상기 제3-3단계에서 외기온도가 25도 초과 85도 이하이고, 상기 제4-2단계에서 동작전압이 9V 초과 13.5V 이하인 경우 상기 제5단계의 stall current 전류를 2.18A로 설정하며,
    상기 제3-3단계에서 외기온도가 25도 초과 85도 이하이고, 상기 제4-3단계에서 동작전압이 13.5V 초과 16V 이하인 경우 상기 제5단계의 stall current 전류를 2.58A로 설정하며,
    상기 제3-3단계에서 외기온도가 25도 초과 85도 이하이고, 상기 제4-4단계에서 동작전압이 16V 초과인 경우 상기 제5단계의 stall current 전류를 2.58A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의 stall current 제어 방법.
  9.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3-4단계에서 외기온도가 85도 초과이고, 상기 제4-1단계에서 동작전압이 9V 이하인 경우 상기 제5단계의 stall current 전류를 1.45A로 설정하며,
    상기 제3-4단계에서 외기온도가 85도 초과이고, 상기 제4-2단계에서 동작전압이 9V 초과 13.5V 이하인 경우 상기 제5단계의 stall current 전류를 2.18A로 설정하며,
    상기 제3-4단계에서 외기온도가 85도 초과이고, 상기 제4-3단계에서 동작전압이 13.5V 초과 16V 이하인 경우 상기 제5단계의 stall current 전류를 2.58A로 설정하며,
    상기 제3-4단계에서 외기온도가 85도 초과이고, 상기 제4-4단계에서 동작전압이 16V 초과인 경우 상기 제5단계의 stall current 전류를 2.58A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의 stall current 제어 방법.
KR1020150104619A 2015-07-23 2015-07-23 모터의 stall current 제어 방법 KR1017141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4619A KR101714177B1 (ko) 2015-07-23 2015-07-23 모터의 stall current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4619A KR101714177B1 (ko) 2015-07-23 2015-07-23 모터의 stall current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1654A true KR20170011654A (ko) 2017-02-02
KR101714177B1 KR101714177B1 (ko) 2017-03-08

Family

ID=58154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4619A KR101714177B1 (ko) 2015-07-23 2015-07-23 모터의 stall current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41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5961A (ko) * 2021-09-29 2023-04-05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아웃사이드 미러 폴딩/언폴딩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7631B1 (ko) 2001-11-20 2004-04-2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파워윈도우모터 보호장치 및 그 보호장치를 이용한파워윈도우모터 제어방법
KR20070027275A (ko) * 2005-09-06 2007-03-09 한라공조주식회사 전류감지를 이용한 팬 모터의 구동 제어방법
KR20100104655A (ko) * 2009-03-18 2010-09-29 주식회사 만도 전동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의 과열방지 장치 및 그 방법
KR20120061439A (ko) * 2010-12-03 2012-06-1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모터의 구속전류 판단장치
KR101241169B1 (ko) * 2011-10-11 2013-03-13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아웃사이드미러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7631B1 (ko) 2001-11-20 2004-04-2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파워윈도우모터 보호장치 및 그 보호장치를 이용한파워윈도우모터 제어방법
KR20070027275A (ko) * 2005-09-06 2007-03-09 한라공조주식회사 전류감지를 이용한 팬 모터의 구동 제어방법
KR20100104655A (ko) * 2009-03-18 2010-09-29 주식회사 만도 전동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의 과열방지 장치 및 그 방법
KR20120061439A (ko) * 2010-12-03 2012-06-1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모터의 구속전류 판단장치
KR101241169B1 (ko) * 2011-10-11 2013-03-13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아웃사이드미러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5961A (ko) * 2021-09-29 2023-04-05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아웃사이드 미러 폴딩/언폴딩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4177B1 (ko) 2017-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89642B2 (ja) 高電圧機器用インターロック装置
US7122982B2 (en) DC motor rotation information detecting device
CN108819713B (zh) 用于纯电动物流车的加速踏板开度零点调整方法
CN105691404A (zh) 车辆加速踏板零点位置诊断方法及装置
US9162579B2 (en) Driver circuit for an electric vehicle and a diagnostic method for determining when a first voltage driver is shorted to a low voltage and a second voltage driver is shorted to a high voltage
US7834572B2 (en) Robust blower motor startup technique
US20160257249A1 (en)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vehicle open-close member, and vehicle open-close member including the control device
CN105699741A (zh) 电动汽车加速踏板信号诊断方法及装置
CN105358348A (zh) 在机动车运行中识别防倾稳定器超负荷的方法
US20180248503A1 (en) Motor unit
US10006786B2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rotator detection sensor for rotator having run-out
ITTO20110213A1 (it) Dispositivo e procedimento di regolazione di tensione per motori elettrici in corrente continua, in particolare per elettroventilatori
US10763771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motor for vehicle
US20140174712A1 (en) Cooling control method and system for battery
US9882516B2 (en) Method for determining offset of resolver of vehicle motor
KR101714177B1 (ko) 모터의 stall current 제어 방법
US7654039B2 (en) Method of controlling a closure drive system of a motor vehicle
US9929647B1 (en) Circuit and method for protecting circuit element, vehicle having the circui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vehicle
US8659258B2 (en) Method for operating a brushless motor
US10516362B2 (en) Motor driving device
KR101846709B1 (ko) 가변 전류제어기 게인 방식 모터 제어방법 및 친환경 차량
KR101000225B1 (ko) 배터리 통합냉각시스템의 냉각팬모터 고장 검출방법
CN108362969B (zh) 识别连接在电路端子上的负载的状态的方法和电路装置
JP2017028417A (ja) 電子制御装置
KR20160050268A (ko) 전기자동차의 충전량 기반 토크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