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0343A - 대용량 커피 추출장치 - Google Patents

대용량 커피 추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0343A
KR20170010343A KR1020150089582A KR20150089582A KR20170010343A KR 20170010343 A KR20170010343 A KR 20170010343A KR 1020150089582 A KR1020150089582 A KR 1020150089582A KR 20150089582 A KR20150089582 A KR 20150089582A KR 20170010343 A KR20170010343 A KR 201700103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guide block
coffee
disposed
upper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95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현봉
Original Assignee
신현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현봉 filed Critical 신현봉
Priority to KR10201500895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10343A/ko
Publication of KR201700103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03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2Coffee-making machines with removable extraction cups, to be placed on top of drinking-vessels i.e. coffee-makers with removable brewing vessels, to be placed on top of beverage containers, into which hot water is poured, e.g. cafe fil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Abstract

본 발명은 받침대와 그 상부에 자유회전토록 설치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위치하는 가이드블럭 및 상기 가이드블럭의 상부에 위치에는 지지블럭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베이스를 중심으로 가이드블럭 및 지지블럭이 회전가능토록 설치되고, 상기 지지블럭은 원주방향을 따라 배출공이 구비되어 복수의 드립퍼가 각각 배치되며, 상기 드립퍼의 배출공을 따라 추출관의 일단이 각각 분리되어 배치되면서 추출관의 타단은 가이드블럭에서 포집공에 모이도록 설치되고, 상기 추출관에서 공급되는 추출액이 낙하토록 베이스의 상부에 냉각수단을 갖는 서버가 설치되는 대용량 커피 추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대용량 커피 추출장치{device for Coffee Brewing with Large-Scale}
본 발명은 받침대와 그 상부에 자유회전토록 설치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위치하는 가이드블럭 및 상기 가이드블럭의 상부에 위치에는 지지블럭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받침대를 중심으로 베이스와 가이드블럭 및 지지블럭이 회전가능토록 설치되고, 상기 지지블럭은 원주방향을 따라 배출공이 구비되어 복수의 드립퍼가 각각 배치되며, 상기 드립퍼의 배출공을 따라 추출관의 일단이 각각 분할되어 배치되면서 추출관의 타단은 가이드블럭의 포집공에 모이도록 설치되고, 상기 추출관에서 공급되는 추출액이 낙하토록 베이스의 상부에 냉각수단을 갖는 서버가 구비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 대용량 커피 추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피 제조는 우선, 분쇄된 커피가루를 종이필터 등에 담아 플라스틱 혹은 자기로 된 드립퍼에 올려놓고, 주둥이가 가늘고 긴 주전자를 손으로 잡고 물을 뿌려주게 되면서 서버에 추출하는데, 이때 가장 중요한 것은 물을 뿌려주는 기술에 따라 커피의 맛이 좌우된다.
이와같은 기술과 관련되어 종래의 실용신안등록 제459202호에 커피제조기구의 기술이 제시되고 있으며 그 구성은 도1에서와 같이, 드립퍼(10), 서버(20), 거치대(40) 및 주전자(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드립퍼(10)는 분쇄된 커피가루가 담겨진 필터종이(필터) 위에 고온의 물을 부어 커피가 추출되어 하단의 관통공을 통해 흘러내리도록 한 것으로, 가급적 전체적으로 위가 넓고 아래가 좁은 테이퍼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서버(20)는 드립퍼(10)를 통해 여과된 커피를 담는 것으로, 커피 추출 시 후술되는 거치대(40)의 바닥판에 놓여지게 된다.
더하여, 상기 거치대(40)에는 드립퍼(10)가 거치되는 거치구멍(44)이 형성되고, 바닥판에는 서버(20)가 놓이는 위치에 히팅수단(42)이 구비되고, 상기 거치대(40)의 거치구멍 둘레에는 안착시트(46)가 끼워져 드립퍼(10)가 거치구멍(44)에 부드럽게 올려놓고 빼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커피제조기구는, 거치대(40)에 올려지는 각각의 드립퍼(10)에 대응되는 서버를 통하여 커피를 추출하는 구성으로 대용량의 커피 추출시 다수의 서버등을 구비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별도의 냉각장치가 없어 향이 쉽게 휘발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대량의 커피를 용이하게 추출할 수 있도록 하고, 추출되는 커피를 냉각시켜 공기중에 휘발되는 향을 최소화 하며, 커피를 신속하게 추출할 수 있도록 하고, 자동화에 의해 커피 추출이 가능토록 하는 대용량 커피 추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받침대와 그 상부에 자유회전토록 설치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위치하는 가이드블럭 및 상기 가이드블럭의 상부에 위치에는 지지블럭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받침대를 중심으로 베이스와 가이드블럭 및 지지블럭이 회전가능토록 설치되고, 상기 지지블럭은 원주방향을 따라 배출공이 구비되어 복수의 드립퍼가 각각 배치되며, 상기 드립퍼의 배출공을 따라 추출관의 일단이 각각 이격되어 배치되면서 추출관의 타단은 가이드블럭의 포집공에 모여져 연결토록 설치되고, 상기 추출관에서 공급되는 추출액이 낙하토록 베이스의 상부에 냉각수단을 갖는 서버가 구비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 대용량 커피 추출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베이스는 받침대 상부에 회전가능토록 연결되고, 상기 받침대와 베이스의 연결부에 설치되는 회전수단을 통하여 회전토록 설치되며, 상기 회전수단은 구동모터와 기어유니트로서 이루어진 대용량 커피 추출장치를 제공한다.
더하여, 본 발명의 받침대는 그라인더 및 포트가 장착되는 선반이 더 연결되고, 상기 선반의 일측에 파쇄되는 커피 및 물이 낙하도록 투입부가 형성되는 대용량 커피 추출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가이드블럭은, 상부를 향하여 직경이 점차로 축소토록 되는 다단의 적층구조로 이루어지면서 원주방향에 각각 드립퍼가 배치되어 상부에서 각 드립퍼가 노출토록 설치되는 단위가이드블럭의 적층구조로 이루어지는 대용량 커피 추출장치를 제공한다.
계속하여, 본 발명의 냉각수단은, 냉매 및 냉매가 충진되는 외부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부통의 내측에 지지브라켓이 더 구비되는 대용량 커피 추출장치를 제공한다.
계속하여, 본 발명의 냉각수단은, 내부통과 외부통 및 외부통의 저부에 설치되는 열전반도체소자와 냉각핀 및 팬으로 이루어진 대용량 커피 추출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드립퍼는 복수의 배출공이 구비되며, 상기 배출공에 연결되는 추출관은 일단이 분기변을 통하여 양측으로 분기토록 설치되는 대용량 커피 추출장치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대량의 커피를 용이하게 추출하고, 추출되는 커피를 냉각시켜 공기중에 휘발되는 향을 최소화하며, 커피를 신속하게 추출하고, 자동화에 의해 일정한 커피 추출이 가능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1은 종래의 커피 추출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 및 도3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추출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및 분해도이다.
도4 및 도5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냉각수단이 구비된 추출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6 및 도7은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각수단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8 및 도9는 각각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추출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 및 도3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추출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및 분해도이고, 도4 및 도5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냉각수단이 구비된 추출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및 측면도이며, 도6 및 도7은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각수단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8 및 도9는 각각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추출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커피 추출장치(100)는, 받침대(110)와 그 상부에 자유회전토록 설치되는 베이스(130), 상기 베이스(130)의 상부에 위치하는 가이드블럭(150) 및 상기 가이드블럭(150)의 상부에 위치에는 지지블럭(17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베이스(130)와 가이드블럭(150) 및 지지블럭(170)은 복수의 연결봉(120)을 통하여 일체로 다단 연결되어 받침대(110)를 중심으로 베이스와 가이드블럭 및 지지블럭이 동시에 회전가능토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블럭(170)은, 원주방향을 따라 배출공(171)이 구비되어 복수의 드립퍼(210)가 각각 배치되며, 상기 드립퍼(210)의 배출공(211)에 대응토록 추출관(310)의 일단이 각각 분할되어 배치되면서 추출관(310)의 타단은 가이드블럭(150)의 중앙에 위치한 포집공(151)에 모이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드립퍼(210)는 상부에서 각각 개방되어 커피나 물의 주입에 따른 간섭이 방지토록 배치된다.
더하여, 상기 추출관(310)에서 공급되는 추출액이 낙하되어 수거토록 베이스(130)의 상부에 냉각수단(410)을 갖는 서버(400)가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130)의 받침대(110)의 상부에 베어링(115)을 통하여 회전가능토록 연결된다.
더하여, 상기 받침대(110)와 베이스(130)의 연결부에 설치되는 회전수단(350)을 통하여 베이스(130)가 회전토록 설치되고, 상기 회전수단(350)은, 구동모터(351)와 기어유니트(353)로서 이루어진다.
더하여, 상기 받침대(110)는, 그라인더(510) 또는 포트(530)가 장착되는 선반(150)이 일체로 더 연결되고, 상기 선반(150)의 일측에 파쇄되는 커피 및 물이 드립퍼에 낙하토록 선반에 투입부(195)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온도센서를 갖는 포트(530) 및 그라인더(510)는 전자밸브를 갖는 배출구(미도시)가 일체로 구비되어 배출량이 조절토록 설치되고, 상기 전자밸브는 구동모터와 제어부(미도시)에 연결되어 개폐량 및 회전수의 조절이 가능토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지지블럭(170)은, 상부의 향하여 직경이 점차로 축소토록 되면서 원주방향에 각각 드립퍼(210)가 배치되는 단위가이드블럭(170a)들의 적층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단위가이드블럭(170a), 상부를 향하여 직경이 점차로 축소토록 되는 다단의 적층구조로 이루어지면서 원주방향에 각각 드립퍼가 배치되어 상부에서 각 드립퍼가 노출토록 다단으로 적층 연결된다.
계속하여, 상기 냉각수단(410)은, 냉매(411) 및 냉매가 충진되는 외부통(413)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외부통(413)의 내측에 지지브라켓(415)이 더 구비되어도 좋다.
계속하여, 상기 냉각수단(410)은, 다공상의 내부통(417)과 외부통(413) 및 상기 외부통의 저부에 설치되는 열전반도체소자(418)와 냉각핀(419) 및 구동팬(416)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냉각핀(419)의 일측에 부착되는 구동팬(416)이 회전될 때 상기 열전반도체소자(418)에 부착되어 열전달되는 냉각핀(419)에 공기가 유동되어 열전달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드립퍼(210)는 복수의 배출공(211)이 구비되며, 상기 배출공에 연결되는 추출관(310)은 일단이 분기변(313)을 통하여 양측으로 분기된 후 모이도록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2 내지 도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람이 주전자를 이용하여 손으로 커피원액을 추출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깔데기 형태의 드리퍼와 이 드리퍼에 맞는 거름용 종이필터(또는 직물재질 사용도 가능함)를 삽입하고, 원두커피를 갈아 이 필터에 충진하며, 주전자를 이용하여 뜨거운 물을 분쇄된 원두커피에 부어 녹아내리는 액체를 음용토록 한다.
즉, 본 발명은, 종이필터를 통해 드리퍼의 추출구를 빠져나온 커피액이 사용된 원두커피 가루의 부피인 30ml 를 기준하여 50~100% 수준만 추출하도록 각 한개씩의 드립퍼를 이용하여 물을 3~5차례 간헐적으로 나누어 붓게 되며, 통상 원두커피 가루가 흥건히 잠기지 않도록 하는 수준까지만 물을 붓게 되고, 이를 통해 상당히 고농도의 소량 커피원액을 얻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커피 추출장치(100)는, 베이스(130) 상측의 가이드블럭(150) 및 지지블럭(170)이 복수의 연결봉(120)을 통하여 일체로 다단 연결되어 받침대(110)를 중심으로 베이스와 가이드블럭 및 지지블럭이 동시에 회전가능토록 된다.
이때, 상기 지지블럭(170)의 상부에 복수의 드립퍼(210)를 배치한 후 추출관(310)을 드립퍼(210)에 각각 연결하여 추출액을 각각 낙하토록 하고, 상기 추출관(210)의 타단을 가이드블럭(150)에 구비되는 포집공(151)에 모아 각각 추출되는 추출액이 한 곳에서 동시에 모이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포집공(151)에 대응토록 베이스(130)의 상부에는 추출관(310)에서 공급되는 추출액이 낙하되어 수거토록 냉각수단(410)을 갖는 서버(400)가 배치되어 추출되는 커피액을 용이하게 수거토록 한다.
이때, 상기 서버(400)는, 둘레에 냉각수단(410)이 설치되어 추출되는 커피액을 냉각토록 함으로써 휘발되는 향을 최소화 하게 되고, 상기 냉각수단은, 냉매(411) 및 냉매가 충진되는 외부통(413)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외부통(413)의 내측에 지지브라켓(415)이 더 구비되는 구성으로 서버의 전방향에서 냉각수에 의한 냉각이 이루어 진다.
또한, 상기 베이스(130)의 받침대(110)의 상부에 베어링(115)을 통하여 회전가능토록 연결되어 수동으로 회전시켜도 좋다.
더하여, 상기 받침대(110)와 베이스(130)의 연결부에 설치되는 회전수단(350)을 통하여 베이스(130)가 회전토록 설치되어 전원의 공급시 베이스가 일정한 회전수로 회전토록 된다.
더하여, 상기 받침대(110)는, 그라인더(510) 또는 포트(530)가 장착되는 선반(150)이 일체로 더 연결되어 자동화에 의해 분쇄되는 커피 및 가열되는 물의 공급이 가능토록 된다.
이때, 상기 온도센서를 갖는 포트(530) 및 그라인더(510)는 전자밸브를 갖는 배출구(미도시)가 일체로 구비되어 배출량이 조절토록 설치되고, 상기 전자밸브는 구동모터와 제어부(미도시)에 연결되어 취향에 따라 커피 추출을 위한 개폐량 및 회전수의 조절이 가능토록 된다.
또한, 상기 지지블럭(170)은, 상부의 향하여 직경이 점차로 축소토록 되면서 원주방향에 각각 드립퍼(210)가 각각 배치되는 단위가이드블럭(170a)들의 적층구조로 이루어져 최소의 공간에서 다량의 커피를 용이하게 추출하게 된다.
즉, 상기 단의가이드블럭(170a)은 상부에서 각 드립퍼가 노출토록 설치되어 각 드립퍼에 커피의 충진이 용이하게 되고, 한번에 많은 량의 커피 추출이 가능하게 된다.
계속하여, 상기 냉각수단(410)은, 다공상의 내부통(417)과 외부통(413)의 저부에 설치되는 열전반도체소자(418)와 냉각핀(419) 및 구동팬(416)으로 이루어져 전원의 공급시 서버를 용이하게 냉각토록 한다.
또한, 상기 드립퍼(210)는 복수의 배출공(211)이 구비되며, 상기 배출공에 연결되는 추출관(310)은 일단이 분기변(313)을 통하여 양측으로 분기토록 설치되는 것이다.
110...받침대 120...연결봉
130...베이스 150...가이드블럭
170...지지블럭 210...드리퍼
310...추출관 400...서버
410...냉각수단

Claims (6)

  1.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의 상부에 자유회전토록 설치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위치하는 가이드블럭 및 상기 가이드블럭의 상부에 위치에는 지지블럭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받침대를 중심으로 베이스와 가이드블럭 및 지지블럭이 회전가능토록 설치되고,
    상기 지지블럭은 원주방향을 따라 배출공이 구비되어 복수의 드립퍼가 각각 배치되며, 상기 드립퍼의 배출공을 따라 추출관의 일단이 각각 분리되어 배치되면서 추출관의 타단은 가이드블럭에서 포집공에 모이도록 설치되고,
    상기 추출관에서 공급되는 추출액이 낙하되어 모이도록 베이스의 상부에 냉각수단이 일체로 구비되는 서버가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 대용량 커피 추출장치를 제공한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가 받침대의 상부에 회전가능토록 연결되고,
    상기 받침대와 베이스의 연결부에 설치되는 회전수단을 통하여 회전토록 설치되고,
    상기 회전수단은 구동모터와 기어유니트로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커피 추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그라인더 또는 포트가 장착되는 선반이 더 연결되고,
    상기 선반의 일측에 파쇄되는 커피 또는 물이 낙하토록 투입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커피 추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블럭은, 상부의 향하여 직경이 점차로 축소토록 되는 다단의 적층구조로 이루어지면서 원주방향에 각각 드립퍼가 배치되어 상부에서 각 드립퍼가 노출토록 설치되는 단위가이드블럭의 적층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커피 추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단은, 냉매 및 냉매가 충진되는 외부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부통의 내측에 지지브라켓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커피 추출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단은, 내부통과 외부통 및 상기 외부통의 저부에 설치되는 열전반도체소자와 냉각핀 및 팬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커피 추출장치.
KR1020150089582A 2015-06-24 2015-06-24 대용량 커피 추출장치 KR201700103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9582A KR20170010343A (ko) 2015-06-24 2015-06-24 대용량 커피 추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9582A KR20170010343A (ko) 2015-06-24 2015-06-24 대용량 커피 추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0343A true KR20170010343A (ko) 2017-01-31

Family

ID=57990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9582A KR20170010343A (ko) 2015-06-24 2015-06-24 대용량 커피 추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1034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3000A (ko) 2020-04-02 2021-10-13 신민식 핸드드립 커피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3000A (ko) 2020-04-02 2021-10-13 신민식 핸드드립 커피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66292B2 (ja) 飲料冷却装置及び関連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EP1530940A1 (en) Coffeemaker
JP2019203116A (ja) 循環分離可能な浸出製油機
JP2014516705A (ja) 溶媒及び原材料から飲料を調製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US5235902A (en) Drinks maker
WO2019091296A1 (zh) 一种胶囊饮品机
KR101430912B1 (ko) 더치 커피 머신
KR20170010343A (ko) 대용량 커피 추출장치
KR20140065610A (ko) 대량 핸드드립 커피 추출장치
KR101595497B1 (ko) 더치커피 추출기
JP5830189B1 (ja) 流下式製氷機及びその運転方法
KR101595475B1 (ko) 아메리카노 커피 공급 기능을 구비한 음료 추출 장치 일체형 정수기
CN107997589A (zh) 包括具有茶过滤内置件保持元件的冲泡室的自动泡茶器
CN202287800U (zh) 全自动豆浆机
KR101905311B1 (ko) 음료 제조기
CN203798200U (zh) 高温油冷却机
TW201815333A (zh) 咖啡萃取裝置
CN209893804U (zh) 一种用于冲奶的开水速凉器
JP2008000040A (ja) 水出しコーヒーの製造法
JPH036267Y2 (ko)
JPH0418522Y2 (ko)
CN209744790U (zh) 用于冰箱的制冰盒及冰箱
CN2629610Y (zh) 自动加热水式多功能磨汁机
JP3099455U (ja) 飲料用冷却装置
KR20190124850A (ko) 핸드 드립 커피 추출 장치 및 핸드 드립 커피 추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0344;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0123

Effective date: 201808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