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0245A - 다중 패널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다중 패널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0245A
KR20170010245A KR1020150101515A KR20150101515A KR20170010245A KR 20170010245 A KR20170010245 A KR 20170010245A KR 1020150101515 A KR1020150101515 A KR 1020150101515A KR 20150101515 A KR20150101515 A KR 20150101515A KR 20170010245 A KR20170010245 A KR 201700102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optical
display
inclined surface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1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6887B1 (ko
Inventor
진미형
배준호
양승수
김보라
고대훈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015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6887B1/ko
Publication of KR20170010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02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68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68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geometrical disposition of the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1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 G02B6/002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between the light guide and the light source, or around the light source
    • G02B6/003Lens or lenticular sheet or lay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30Semiconductor lamps, e.g. solid state lamps [SSL] light emitting diodes [LED] or organic LED [OL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수의 개별 표시장치가 연결되어 형성되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에서, 가장자리에 하향 경사면을 포함하는 광학패널을 2개 이상 적층한 다층 광학부재를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전면에 배치함으로써 큰 수평 시야각에서도 패널 연결부분에서의 이미지 연속성을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중 패널 표시장치 {Display Device having Multiple Display Panel}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수의 개별 표시장치가 연결되어 하나의 대형 영상 출력 장치로 사용되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에서, 개별 표시장치들의 연결부분에서 이미지의 연속성을 확보할 수 있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장치에 대한 요구가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근래에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플라즈마표시장치(Plasma Display Device), 유기발광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와 같은 여러 가지 표시장치가 활용되고 있다.
한편, 상업적인 목적 등에 의하여 대형 사이즈의 표시장치가 필요하다.
그러나, 현재 기술에 의하면 표시장치를 구성하는 표시 패널의 크기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대형 표시장치를 구형하기 위하여, 표시패널 또는 개별 표시장치들을 다수 연결하여 하나의 영상을 표현하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다중 패널 표시장치는 비디오월(Video Wall) 등으로 표현되기도 한다.
한편, 이러한 다중 패널 표시장치를 구성하는 각각의 표시패널 또는 개별 표시장치는 이미지가 표시되는 중앙의 표시영역과, 표시영역 주위에 배치되되 이미지가 표시되지 않는 비표시 영역을 포함한다.
이러한 비표시 영역은 표시패널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면서 일정한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일종의 프레임 형상을 가지고, 이러한 비표시 영역은 베젤(Bezel)로 표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비표시 영역 또는 베젤 영역은 표시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게이트 구동회로, 데이터 구동회로 또는 각종 신호선이 형성되는 필수불가결한 부분이다.
최근 표시장치에서 이러한 베젤 영역을 최소화하여 내로우 베젤(Narrow Bezel)을 구현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베젤 영역의 폭을 일정 크기 이하로 구현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한편,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경우 다수의 개별 표시장치가 연결되어 형성되므로, 개별 표시장치들의 연결부위에서는 개별 표시장치의 베젤 영역이 이중으로 배치되며, 따라서 개별 표시장치들의 연결부위에서 비표시 영역이 커지게 된다. 이로 인하여 하나의 이미지를 다중 패널 표시장치에 표시하는 경우, 그러한 연결부분에서 이미지가 끊어져 보이는 문제가 발생된다.
즉, 이상적으로 제로 베젤(Zero Bezel)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다수의 개별 표시장치를 연결하여 구현되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경우, 패널 연결부위에서 이미지의 불연속 현상이 나타나는 문제가 있으며, 이를 위한 해결이 요구된다.
한편, 이러한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패널 연결부분에서의 이미지 불연속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패널 연결부분에 일정한 광학 수단을 배치하는 연구가 진행되고는 있으나, 이러한 기술에서도 정면 또는 정면 부근의 시야각에서는 이미지 불연속 현상이 일부 개선되지만, 시야각이 커지는 경우 이미지 불연속 현상은 여전히 존재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목적은, 개별 표시장치의 연결부분에서의 이미지 불연속 문제가 개선된 다중패널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다른 목적은 수평 시야각이 큰 경우에도 개별 표시장치의 연결부분에서의 이미지 불연속 문제가 개선된 다중 패널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또다른 목적은 가장자리에 하향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된 광학패널을 2 이상 적층한 다층 광학부재를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상부에 배치함으로써 큰 수평 시야각에서도 패널 연결부분에서의 이미지 연속성을 확보할 수 있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또다른 목적은 가장자리에 하향경사진 2 이상의 경사면이 형성된 광학부재를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상부에 배치함으로써 큰 수평 시야각에서도 패널 연결부분에서의 이미지 연속성을 확보하면서도 다수 광학패널의 접착에 따른 단점을 해결할 수 있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다수의 개별 표시장치가 연결되되, 상기 개별 표시장치의 비표시 영역이 연결 배치되는 연결부분을 포함하는 표시패널부와, 상기 개별 표시장치에 대응되는 상기 표시패널부 상부 영역마다 배치되되, 가장자리에 하향 경사진 경사면을 구비하는 평판형 광학패널이 2개 이상 적층된 다층 광학부재를 포함하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다수의 개별 표시장치가 연결되되, 상기 개별 표시장치의 비표시 영역이 연결 배치되는 연결부분을 포함하는 표시패널부와, 상기 개별 표시장치에 대응되는 상기 표시패널부 상부 영역마다 배치되되, 가장자리에 하향 경사진 2 이상의 경사면을 구비하는 평판형 광학부재를 포함하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를 도시하는 것으로서,(a)는 평면도이고, (b)는 다중 패널 표지상치의 각 패널 연결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2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연결부분을 확대 표시하는 굴절 광학부재의 일 예와, 그를 이용하는 경우 정면 시야에서의 이미지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2와 같은 굴절 광학부재가 사용되는 경우 시야각이 일정 이상인 사선 시선 방향에서의 광경로와 그에 따라 사용자에게 인식되는 이미지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하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사용되는 다층 광학 부재를 확대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다층 광학부재가 사용된 경우,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연결부분 부근에서의 광경로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의한 광학패널의 경사면의 경사각에 따른 출광각의 관계를 도시한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여러 다양한 실시예에 의한 다층 광학부재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평판형 광학부재를 포함하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구성을 도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를 도시하는 것으로서,(a)는 평면도이고, (b)는 다중 패널 표지장치의 각 패널 연결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다중 패널 표시장치(100)는 다수의 개별 표시장치(200)가 연결되어 형성되며, 개별 표시장치(200) 들이 연결되는 연결부분(300)이 형성된다.
각각의 개별 표시장치(200)는 단독으로 하나의 완전한 표시장치를 이루는 것으로서, 액정표시장치(LCD),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OLED)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개별 표시장치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를 구성하는 하나의 표시장치를 의미하며, 이러한 개별표시장치는 경우에 따라서 개별 패널, 패널 등의 다른 표현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 1의 (b)과 같이, 각 개별 표시장치(200)는 패널 중앙에서 이미지가 표시되는 표시영역(Active Area; A/A; 212)과, 표시영역 가장자리를 둘러싸는 영역으로서 이미지가 표시되지 않는 비표시 영역(N/A; 210)을 포함한다. 각 개별 표시장치(200)의 비표시 영역(210)은 베젤 영역 등으로 달리 표현될 수 있다.
한편, 각각의 개별 표시장치(200)는 다시 표시패널(222)과, 표시패널 하부에 배치되어 표시패널로 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유닛(224)과, 표시장치 전체를 둘러싸는 지지구조(22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표시패널(222)은 통상 박막 트랜지스터 등이 형성되어 화소영역이 정의되는 어레이기판인 제1기판과, 블랙매트릭스 및/또는 칼라필터층 등이 형성된 상부 기판으로서의 제2기판이 합착되어 제조된다. 물론, OLED 표시장치에 의한 패널인 경우에는 상기 제2기판은 보호기판으로서의 기능만 할 수도 있다.
또한, 백라이트 유닛(224)은 LED 등의 광원과 광원을 고정하기 위한 홀더 및 광원 구동 회로 등을 포함하는 광원 모듈과, 광을 패널 영역 전체로 확산시키기 위한 도광판(LGP) 또는 확산판과, 빛을 표시패널 방향으로 반사하기 위한 반사판과, 광원의 On/Off 등을 제어하기 회로인 LED 연성회로와, 도광판 상부에 배치되어 휘도 향상, 광의 확산 및 보호 등의 용도로 배치되는 1 이상의 광학필름 또는 시트(Sheet) 등과 같은 서브 유닛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표시장치를 커버하는 외부 지지부재(226)는 표시장치 단위에서 백라이트 유닛(224) 및 표시패널(222)을 둘러싸서 보호하는 커버 버텀(Cover Bottom) 및/또는 가이드 패널(guide Panel) 등은 물론, 표시장치를 포함하는 최종 전자제품인 세트 전자장치 단위에서의 백 커버 등이 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개별 표시장치(200)은 가장자리의 일정 영역에서 이미지가 표시되지 않는 비표시 영역(N/A; 210)을 포함하며, 다중 패널 표시장치는 이러한 개별 표시장치(200)가 다수 연결되어 형성되므로, 다중 표시패널에서 각 개별표시장치가 연결되는 연결부분(300)에는 이미지가 표시되지 않는 현상이 발생한다.
한편, 각 개별표시장치(200)의 비표시 영역(N/A; 210)은 표시패널(222) 자체의 비표시 영역과, 기타 백라이트 유닛(224)에 의하여 가려지는 부분, 또는 표시장치 전면을 커버하는 케이스 탑(Case Top) 또는 프론트 커버 등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과 같은 다중 패널 표시장치 또는 비디오월(Video Wall)에 단일의 이미지를 표시하는 경우, 연결부분(300)에서는 이미지가 표시되지 않는 이미지 단절 현상이 발생하며, 이를 해결할 방안이 필요하게 되었다.
도 2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연결부분을 확대 표시하는 굴절 광학부재의 일 예와, 그를 이용하는 경우 정면 시야에서의 이미지를 도시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연결부분에서의 이미지 단절 현상을 극복하기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서, 다중 패널 표시장치 상부에 배치되어 연결부분 근처에서의 광경로를 굴절 또는 확대하는 굴절 광학부재를 사용하는 기술이 고려될 수 있다.
도 2는 그러한 굴절 광학수단으로서 다중 패널 표시장치 상부에 배치되는 렌즈 플레이트를 이용한 구성을 도시한다.
도 2에 사용되는 굴절 광학부재인 렌즈 플레이트(240)는 일종의 광투과성 스크린으로서,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일반적인 광투과성 판상 재료인 베이스 플레이트(242)와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연결부분(300) 부근에 형성된 렌즈부(244)를 포함한다.
렌즈 플레이트(240)에 형성된 렌즈부(244)는 연결부분(300) 인근에서의 광경로를 굴절시킬 용도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프레넬 렌즈(Fresnel Lens)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그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분(300) 정면에 사용자(250)가 있는 경우에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연결부분 상에 형성되는 렌즈 플레이트(240)의 렌즈부(244)에 의하여 인접한 표시영역의 화소(P1~P4)로부터 광이 렌즈부(240)에 굴절되어 사용자 시야로 입사된다.
따라서,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정면에서 바라보게 되면, 도 2의 하부 도면과 같이, 연결부분(300)에서도 인접한 화소의 이미지가 굴절 투사됨으로써 일정한 이미지가 표시되게 되고, 따라서 패널 연결부분에서의 이미지 단절 현상이 어느 정도 보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다중 패널 표시장치 상부에 광경로 굴절이 가능한 프레넬 렌즈 플레이트 등을 배치함으로써 패널 연결부분에서의 이미지 단절 문제를 일부 극복하기 위한 여러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이러한 기존의 굴절 광학부재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정면 시야에서만 그러한 효과를 가진다는 한계가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넬 렌즈 플레이트를 다중 패널 표시장치 상부에 배치하더라도 사용자의 시야각이 정면(시야각=0)에서 벗어나서 약45도 이상(α)이 되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광경로가 형성되지 않고, 패널 연결부분(300)이 그대로 보이게 된다.
즉,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야각이 α(α>약45도)인 경우 연결부분 근처의 화소로부터 광 중 일부는 비스듬히 보고 있는 사용자에게 입사되지 않고, 결과적으로 각 개별 표시장치의 베젤이 그대로 보이게 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도 3의 하부에 도시한 바와 같은 패널 연결부분에서의 이미지 단절 현상이 그대로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와 같이 일정 각도 이상의 시야각에서도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연결부분에서 발생하는 이미지 단절 현상을 보상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경우,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패널 연결부분 전부와 그에 인접한 화소영역을 일부 커버하는 전면 영역에 확산 패턴부가 형성된 경사면을 가지는 광학 부재를 배치한다.
이 때, 경사면은 다중 패널 표시장치를 구성하는 개별 표시장치의 베젤을 가리면서, 경사면에 형성된 확산 패턴부가 개별 표시장치의 표시영역 외곽의 화소로부터의 광을 시야각 방향으로 확산 또는 산란시켜 표시장치 외부로 출사한다.
따라서, 다중 패널 표시장치를 일정 이상의 시야각에서 관찰하더라도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비표시영역인 연결부분에서의 이미지 단절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10을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하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사용되는 다층 광학 부재를 확대 도시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일실시예에 의한 다중 패널 표시장치는 다수의 개별 표시장치(410)가 연결되어 형성되는 대형 표시장치로서, 개별 표시장치의 비표시 영역(414)이 연결 배치되는 연결부분(300)을 포함하는 표시패널부(400)와, 개별 표시장치에 대응되는 표시패널부 상부 영역마다 배치되는 다층 광학부재(500)을 포함한다.
다층 광학부재(500)는 개별 표시장치(410)에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는 평판형 부재로서, 가장자리에 하향 경사진 경사면을 구비하는 평판형 광학패널(510, 520, 530)이 2개 이상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다중 패널 표시장치를 구성하는 다수의 개별 표시장치에 대응되는 다층 광학부재(500)를 개별 표시장치의 연결과 동일한 방식으로 다중 패널 표시장치 상부에 배치한다.
다층 광학부재(500)를 구성하는 평판형 광학부재(510)는 표시패널부에 가장 가깝게 배치되는 제1 광학패널(510)과, 제1광학패널 상부에 접촉하여 배치되는 제2광학패널(520)과 같은 적어도 2개의 평판형 광학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선택적으로 제2 광학패널 상부에 제3 광학패널(530), 제4광학패널 등과 같은 추가 광학패널이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한 다층 광학부재는 총 m개(m≥2)의 투명한 평판 광학패널을 포함하며 구성될 수 있다.
다층 광학부재(500)를 구성하는 각각의 광학패널은 투명광학재료로 제조되는 두께 d의 평판 패널이며, 1개 이상의 측면 또는 가장자리에는 패널의 상면에서 하면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 "하향 경사"의 의미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이 하면 보다 더 길도록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 즉 경사면이 표시패널부의 방향인 하부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각 광학패널(510, 520, 530)의 경사면은 패널의 4개 변 또는 가장자리 모두에 형성될 수도 있으나,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최외곽에 배치되는 광학패널은 경우에 따라 2개 또는 3개 변 또는 가장자리에만 경사면이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각 경사면이 다중패널 표시장치의 표시패널부에 투영된 구간을 해당 경사면의 투영 영역으로 정의하며, 투영 영역의 길이를 경사면의 폭(W)으로 정의한다.
또한, 각 광학패널에 형성된 경사면이 해당되는 광학패널의 상면과 이루는 각도 또는 경사면이 광학패널의 하면의 연장선과 이루는 각도를 해당 경사면의 경사각(θi)로 정의한다.
따라서, 광학패널의 두께(d), 각 경사면의 폭(W) 및 경사면의 경사각(θ) 사이의 관계는 아래 수학식으로 정의될 수 있다.
[수학식 1]
tan θ = d/W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한 다층 광학부재(500)는 총 m개(m≥2)의 투명한 평판 광학패널을 포함하고, m개의 광학패널 중 표시패널부에 가까운 광학패널부터 1~m의 광학패널로 정의할 수 있으며, i번째 광학패널의 두께, 폭 및 경사각을 각각 di, Wi, θi로 표시한다.
표시패널부(400)는 다수의 개별 표시장치(410)가 연결되어 단일의 이미지를 표시하게 되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 부분에 대응되는 것으로서, 개별 표시장치들이 연결되는 부분에는 각 개별 표시장치의 베젤 또는 비표시영역(414; NA)이 연결 형성되어 이미지가 표시되지 않는 부분이 존재하게 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러한 개별 표시장치가 연결되는 경계영역을 연결부분(300)으로 정의한다.
즉,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연결부분(300)은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전면에 걸쳐 격자형으로 형성되는 비표시 영역으로서, 연결부분(300)의 폭은 각 개별 표시장치(410)의 비표시영역(414)의 2배 크기를 가지게 된다.
이러한 연결부분(300)에서는 이미지가 표시되지 않는 이미지 단절현상이 생기며,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후술할 바와 같은 가장자리에 하향 경사면을 가지는 다수의 광학패널이 적층된 형태의 다층 광학부재(500)를 이용하거나,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자리에 하향 경사진 2 이상의 경사면을 구비하는 평판형 광학부재(1100)을 이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될 수 있는 개별 표시장치(410)는 액정 표시장치일 수 있으나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유기전계발광소자(OLED) 표시장치 등 모든 형태의 표시장치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개별 표시장치(410)는 다시 화소가 형성되는 표시패널과, 커버버텀 등과 같이 표시패널을 지지하는 패널 지지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개별 표시장치(410)는 단순한 표시패널 및 그 구동회로만으로 이루어진 모듈이고, 케이스 등의 지지구조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 전체 단위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본 명세서에서의 "개별 표시장치"는 분리되어 단독으로 완전한 표시장치로 기능할 수 있는 것으로서, 어레이 기판과 상부 기판 및 그 사이에 배치되는 표시재료층(액정재료 또는 유기발광재료 등)을 포함하는 표시패널과, 그 표시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회로부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충분하며, 바텀 커버 등의 지지구조는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개별 표시장치(410)가 액정 표시 장치인 경우에는 상기 표시패널은 액정 패널이며, 액정 패널 하부에 배치되어 액정 패널로 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개별 표시장치(410)가 액정 표시패널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인 경우, 액정표시패널에는 다시 다수의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 및 그 교차 영역에 정의되는 픽셀(Pixel)과, 각 픽셀에서의 광투과도를 조절하기 위한 스위칭 소자인 박막 트랜지스터(TFT)를 포함하는 어레이 기판과, 컬러필터 및/또는 블랙매트릭스 등을 구비한 상부기판과, 그 사이에 형성되는 액정물질층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터치 윈도우가 표시패널의 상부 전면에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개별 표시장치가 유기전계 발광 표시장치(OLED)인 경우의 표시패널은 다수의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 및 그 교차 영역에 정의되는 픽셀(Pixel)과, 각 픽셀에 제공된 유기전계 발광 재료층에 선택적으로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스위칭 소자인 박막 트랜지스터(TFT)를 포함하는 어레이 기판과, 상부 보호 기판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의 실시예에 의한 다층 광학부재(500)는 개별 표시장치에 대응되는 상기 표시패널부 상부 영역마다 배치되는 장방형의 투명 광학부재로서, 4개의 변 중 2 이상의 변에 하향 경사진 경사면을 구비하는 평판형 광학패널이 2 이상 적층되어 형성된다.
도 4 및 도 5에서는 이러한 다층 광학부재(500)가 3개의 광학패널이 적층된 것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적층수는 반드시 3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2개 이상이면 충분하다.
도 4 및 도 5의 실시예에 의하면 다층 광학부재(500) 각각은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연결부분(300)을 이루는 개별 표시장치(410)의 비표시영역(414)의 상부 전체와 그 비표시영역에 인접하는 표시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고 제1경사각(θ1)을 가지도록 하향 경사진 제1경사면(512)이 형성된 제1 광학패널(P1; 510)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1광학패널(510)의 제1경사면(512)의 시작점이자 최외곽쪽 포인트인 Q1과 제1경사면의 끝점이자 표시패널부에 가장 가까운 포인트 R1이 표시패널부에 투영되는 투영점은 각각 Q1' 및 R1'로 표시될 수 있다.
이 때, Q1' 와 R1' 사이가 제1투영 영역으로 정의되고, 그 제1투영 영역의 길이, 즉 Q1' 및 R1'사이의 거리가 제1경사면(512)의 폭인 W1으로 정의된다.
따라서, 제1경사면(512)의 제1투영 영역(Q1'-R1')은 개별표시장치(410)의 비표시영역(414)를 전부 커버하면서, 동시에 개별표시장치의 표시영역(412) 중 일부의 화소까지 커버하게 된다.
또한, 제1광학패널(510)의 상부에는 제2경사각(θ2)을 가지는 제2 경사면(522)을 구비하는 제2 광학패널(P2; 520)이 배치되며, 제2광학패널(520)의 상부에는 제3경사각(θ3)을 가지는 제3 경사면(532)을 구비하는 제3 광학패널(P3; 530)이 적층 배치된다.
이 때, 제2 광학패널(520)의 제2경사면(522)의 제2투영 영역은 Q2'~R2'로 정의되며, 이 제2투영 영역은 제1투영 영역보다 개별표시장치의 표시영역쪽으로 이동되도록 형성되며, 이 제2투영 영역은 제1투영 영역과 일부가 중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제3광학패널(530)의 제3투영 영역 또는 제3경사면의 폭은 제2광학패널(520)의 제2투영 영역 또는 제2경사면의 폭보다 개별 표시장치의 중앙쪽으로 배치되되, 제2광학패널(520)의 제2투영 영역과 일부 중첩될 수 있다.
그러나, 다층 광학부재(500)를 이루는 각 광학패널의 투영 영역이 반드시 일부 중첩될 필요는 없으며, 제1경사면 하부에 배치된 화소로부터의 광의 출광 경로 또는 이미지 불연속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시야각의 크기 등에 따라서 다층 광학부재(500)를 이루는 광학패널의 투영 영역 중 2 이상은 서로 중첩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러한, 경사면의 투영 영역의 중첩 여부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는 도 8을 참고로 아래에서 더 설명된다.
또한, 제1경사각(θ1), 제2경사각(θ2) 및 제3경사각(θ3)은 서로 동일한 값일 수도 있고, 3개의 경사각 중 적어도 2개 이상이 다른 값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다층 광학부재(500)를 이루는 각 광학패널의 두께 d1~d3는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지만, 필요에 따라서 각각 다른 두께를 가질 수도 있다. 각 광학패널의 두께는 1.0 내지 2.0mm로 결정될 수 있으며, 약1.5mm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러한 다층 광학부재(500)를 이루는 각 광학패널은 굴절율 약1.4 내지 1.8에서 선택되는 굴절율값을 가지는 광투과성 재료로 제작될 수 있으며, 광투과성 재료는 폴리메타크릴산 메틸(poly-methyl metha crylate; PMMA), 폴리카보네이트(Poly Carbonate; PC), 폴리에테르 술폰(Poly Ether Sulfone; PES), 메타크릴레이트스티렌(Methacrylate Styrene; MS), 글래스 등일 수 있으나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층 광학부재(500)는 2 이상의 광학패널이 광학 투명 접착제(Optical Clear Adhesive; OCA) 또는 광학 투명 레진(Optical Clear Resin; OCR)등을 이용하여 접착됨으로써 제작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다층 광학부재(500)는 개별 표시장치를 모두 커버하도록 형성되며, 다중 패널 표시장치 전체를 고려하면, 이러한 다층 광학부재가 복수개 서로 연결되어 다중 패널 표시장치 전면을 모두 커버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아래에서 도 6의 광경로를 도시하는 도면을 참고로 더 상세하게 설명하겠지만, 도 4 및 도 5의 실시예에 의한 다층 광학부재(500)를 이루는 광학패널의 각 경사면은 그 하부에 배치되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연결부분(300)의 음영을 일정 정도 차단하는 기능을 함과 동시에, 연결부분에 인접한 화소로부터 광을 굴절 및 확대시켜 출광시키는 기능을 한다.
더 구체적으로, 다층 광학부재(500)를 이루는 제1광학패널(510)의 제1경사면(512)은 제1경사면 하부에 배치되는 화소로부터의 광을 일정 각도 굴절시켜 출광시키고, 이어서 상부에 배치된 제2 및 제3 광학패널의 경사면들이 제1경사면으로부터의 광을 더 크게 굴절시켜 출광시킨다. 결과적으로 시야각이 큰 경우에도 연결부분에 인접한 화소의 이미지가 확산되어 보이게 함으로써,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연결부분에서 발생하는 이미지 단절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다층 광학부재가 사용된 경우,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연결부분 부근에서의 광경로를 도시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야각이 일정 이하로서 정면 근처에 있는 제1관찰자(250)의 경우, 연결부분(300)으로 향하는 시선방향으로는 표시영역 중 최외곽에 배치된 화소(S1)로부터 광 L1이 제1광학패널(510)의 제1경사면(512)에서 굴절된 제1굴절광인 L1'이 향하게 된다. 따라서, 제1관찰자(250)에게는 표시영역의 화소로부터의 이미지가 보이게 되므로,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연결부분(300)에 의한 이미지 불연속 현상이 일부 보상될 수 있게 된다.
시야각이 일정 이상으로서 표시장치의 측면 근처에 있는 제2관찰자(250')의 연결부분(300)으로 향하는 시선방향을 가정한다.
이 경우, 표시영역에 있는 화소 S2로부터의 광 L2이 제1광학패널(510)의 제1경사면(512) 및 제2광학패널(520)의 제2경사면(522)에서 2차에 걸쳐 굴절되어 제2굴절광 L2'이 제2광학패널의 제2경사면(522)로부터 출광되고, 이러한 화소 S2의 제2굴절광 L2'가 제2관찰자(250')의 시선방향으로 향하게 된다.
따라서, 제2관찰자에게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연결부분(300)이 인식되는 대신, 표시영역의 화소로부터의 이미지가 굴절되어 인식됨으로써, 연결부분(300)에 의한 이미지 불연속 현상이 일정 부분 개선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도 6과 같은 광경로에서 알 수 있듯이, 본 실시예에 의한 다층 광학부재(500)를 이루는 여러 광학패널 중에서 표시패널에 가장 근접하여 배치되는 제1광학부재(510)의 제1경사면(512)는 정면 부근에서의 연결부분(300) 은폐 기능을 주로 담당하고, 그 상부에 배치되는 제2광학패널(520)은 정면보다 시야각이 큰 경우에서의 연결부분 은폐기능을 주로 담당하게 된다.
따라서,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연결부분의 은폐를 위한 시야각이 클수록 다층 광학부재의 광학패널 적층수가 증가할 수 있다.
물론, 아래에서 다시 설명할 바와 같이, 연결부분을 은폐되어야 하는 관찰자의 시야각이 클수록, 적층 개수를 증가시키는 것와 별도로, 단위 광학패널의 굴절율을 증가시키거나 각 광학패널 경사면의 경사각을 증가시켜도 된다.
한편, 다층 광학부재를 이루는 각 광학부재를 통과하는 광의 경로를 고려할 때, 아래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면 하부에 배치되는 화소로부터의 광은 경사면에 먼저 입사되고, 경사면 및 광학패널의 상면에서 2차에 걸쳐서 굴절되어 광학패널로부터 출광한다.
이 때, 출사광의 방향과 광학패널 상면이 이루는 각도를 출광각(α)으로 정의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출사광의 출광각(α)이 작아질수록 큰 시야각에서도 화소의 이미지가 인식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출광각(α)이 작아질수록 연결부분의 은폐거리가 증가하게 된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의한 광학패널의 경사면의 경사각에 따른 출광각의 관계를 도시한다.
도 7의 실시예에서는, 다층 광학부재가 2개의 광학패널을 포함하는 것으로 가정하고, 2개의 광학패널의 경사면은 각각 동일한 경사각인 θ1 (θ1')과 두께를 가지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 7의 (a) 및 도 7의 (b)는 각각 광학패널 경사면의 경사각이 θ1, θ1'인 경우이고, θ1 이 θ1' 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경우를 예시한다.
도 7의 (a) 및 (b)에서와 같이, 경사면의 경사각이 θ1으로서 상대적으로 작은 경우에는 화소 S1으로부터의 광이 제1광학패널(P1)의 제1경사면으로부터 굴절되어 출광되는 제1출사광 L1'의 제1 출광각 α1으로서, 경사각이 θ1'(θ1'> θ1)인 경우의 제1출광각 α1'보다 크다.
마찬가지로, 경사각이 θ1인 경우 화소 S2으로부터의 광이 제1광학패널(P1)의 제1경사면 및 제2광학패널(P2)의 경사먼에서 2차로 굴절되어 출광되는 제2출사광 L2'의 제2 출광각은 α2으로서, 경사각이 θ1'(θ1'> θ1)인 경우의 제2출광각인 α2'보다 크다.
이와 같이, 다른 조건(굴절율, 적층수 등)이 동일하다면, 광학패널 경사면의 경사각 θ가 클수록 화소로부터 광이 광학패널에서 굴절되어 출광되는 출사광의 출광각 α이 감소하게 되며, 결과적으로 더 큰 시야각 방향으로 출사하게 된다.
즉, 출광각 α이 작을수록, 시야각이 큰 관찰자의 방향으로 화소광이 향하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부분 은폐거리 또는 이미지 확대영역의 크기가 증가된다.
이와 같은 관계롤 볼 때, 광학패널 경사면에 의하여 연결부분이 은폐되는 은폐거리는 출광각 α이 작을수록 증가될 수 있으며, 출광각 α을 작게 하기 위해서는 경사면의 경사각 θ을 크게 하거나, 광학패널을 구성하는 재료의 굴절율을 크게 하면 된다.
또한,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각 광학패널 경사면의 경사각 θ과 굴절율이 동일하다고 가정할 때, 다층 광학부재를 이루는 광학패널의 개수 즉, 적층수를 증가하는 경우에도 최종적인 출광각 α이 작아지고, 따라서 연결부분의 은폐거리 또한 증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다중 패널 표시장치를 주로 관찰하게 되는 관찰자의 위치, 즉 연결부분의 이미지 불연속을 해결해야 하는 관찰자의 시야각에 따라서, 다층 광학부재의 적층개수, 각 단위 광학패널의 경사각 또는 굴절율 등을 선택할 수 있다.
아래 표 1은 본 실시예에 의한 다층 광학부재(500)를 구성하는 각 광학패널의 두께가 1.5mm이고, 굴절율이 1.49일 때, 제1광학패널(P1)의 제1경사면의 각도, 즉 제1경사각에 따른 연결부분 은폐거리를 측정할 결과이다.
제1경사각(˚) 편측 은폐거리 mm 총 은폐거리 mm
(양측 은폐거리)
20 0.3 0.6
30 0.5 1.0
40 1.0 2.0
상기 표 1에서 편측 은폐거리는 연결부분(300)을 중심으로 일측에서만 관찰했을 때의 연결부분의 은폐거리이며, 총 은폐거리는 양측 모두에서 관찰했을 때의 은폐거리로서 편측 은폐거리의 2배에 해당된다.
표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층 광학부재(500)를 구성하는 광학패널의 경사면 각도가 증가할수록 연결부분의 은폐거리가 증가하지만, 적어도 제1광학패널의 제1경사면은 표시영역의 화소 일부를 커버하여야 하기 때문에, 경사각이 커지는 경우 광학패널의 두께 d또한 증가하여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다층 광학부재를 구성하는 광학패널의 적층 개수가 2 또는 3이고, 광학패널의 굴절율이 1.49이며, 제1광학패널(P1)의 제1경사각(θ1)이 약 42도로 할 수 있다.
또한, 각 광학패널의 두께는 약 1.5mm이고, 제2광학패널(P2)의 제2경사각(θ2)을 제1광학패널(P1)의 제1경사각(θ1)인 42도보다 큰 각도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각 광학패널의 경사면의 폭은 서로 중첩되거나 전혀 중첩되지 않을 수 있지만, 적어도 제2광학패널의 제2경사면은 제1광학부재의 제1경사면과 일부 중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광학패널의 굴절율을 약 1.49, 광학부재의 두께를 약1.5mm, 제1광학패널(P1)의 제1경사각(θ1)을 약 42도, 제2광학패널(P2)의 제2경사각(θ2)을 42도보다 큰 각도로 형성함으로써, 정면 및 큰 시야각 모두에서도 가장 최적인 연결부분 은폐거리를 확보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연결부분에서의 이미지 불연속 현상을 최적으로 보상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여러 다양한 실시예에 의한 다층 광학부재를 도시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층 광학부재(500)를 구성하는 개별 광학패널의 경사각, 경사각 폭의 중첩 여부 등은 선택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8의 (a)에서는 다층 광학부재가 3개의 광학패널이 적층되되, 각 광학패널의 경사면은 동일한 경사각(θ1=θ2=θ3)을 가지고, 동일한 경사면의 폭(W1=W2=W3)을 가지며, 경사면이 모두 일부 중첩된 경우를 도시한다.
또한, 도 8의 (b)에서는 다층 광학부재가 3개의 광학패널이 적층되되, 각 광학패널의 경사면은 동일한 경사각(θ1=θ2=θ3)을 가지고, 동일한 경사면의 폭(W1=W2=W3)을 가지지만, 3개의 경사면이 전혀 중첩되지 않은 경우이다.
도 8의 (c)는 다층 광학부재가 3개의 광학패널이 적층되되, 제2광학패널의 제2경사각이 제1경사각 및 제3경사각과 다르고(θ2> θ1=θ3), 제1경사면과 제2경사면 및 제1경사면과 제3경사면은 일부 중첩되되, 제2경사면과 제3경사면은 서로 중첩되지 않는 구성을 예시한다.
또한, 도 9의 (a)에서는 다층 광학부재가 2개의 광학패널이 적층되어 형성되되, 2개의 광학패널의 두께가 동일하면서 제1경사각과 제2경사각이 서로 상이함으로써 각 경사각의 폭이 상이한 경우(θ1≠θ2, W1≠W2)를 도시한다.
도 9의 (b)에서는 다층 광학부재가 2개의 광학패널이 적층되어 형성되되, 2개의 광학패널의 두께 및 제1경사각과 제2경사각이 서로 상이하지만, 결과적으로 경사각의 폭을 동일하면서 서로 일부 중첩되는 경우(d1≠d2, θ1≠θ2, W1=W2)를 도시한다.
물론, 본 발명에 의한 다층 광학부재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층 개수, 각 광학패널의 경사면의 경사각, 광학패널의 두께 등을 조합함으로써 최적의 다층 광학부재를 제작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연결부분에서 이미지 불연속 현상을 해결하기 위하여, 주된 관찰자의 위치나 경사면 하부에 있는 화소로부터의 광경로 등에 따라서, 다층 광학부재를 이루는 광학패널의 개수, 각 광학패널의 경사면의 경사각, 광학패널의 두께, 경사면 폭의 중첩 여부, 광학부재를 구성하는 재료의 굴절율 등을 최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평판형 광학부재를 포함하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10의 실시예에 의한 다중 패널 표시장치는, 다수의 개별 표시장치(410)가 연결되되, 개별 표시장치의 비표시 영역(414)이 연결 배치되는 연결부분(300)을 포함하는 표시패널부(400)와, 개별 표시장치에 대응되는 상기 표시패널부 상부 영역마다 배치되되, 가장자리에 하향 경사진 2 이상의 경사면을 구비하는 평판형 광학부재(11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0의 실시예에 의한 평판형 광학부재(1100)는 각 개별 표시장치에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되, 4개의 변 중에서 적어도 2개 이상의 변에 하부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2개 이상 구비한다.
즉,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판형 광학부재(1100)는 개별 표시장치는 개별 표시장치의 비표시 영역(414) 전체와 비표시 영역에 인접한 표시영역(412)의 일부를 커버하도록 최하부에 구비된 제 1 경사면(1110)과, 제1 경사면(1110) 상부에 배치되는 제2 경사면(1120)을 포함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 제2경사면 상부에 형성되는 제3경사면과 같은 추가 경사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평판형 광학부재(1100)에 포함되는 각 경사면은 표시패널부(400)에 평행한 평면에 대하여 경사각(θ)을 가지며, 경사면이 표시패널부에 투영되는 투영 영역을 해당 경사면의 폭(W)으로 표시할 수 있다.
도 10에 의한 평판형 광학부재의 경우에도, 도 4 내지 도 9의 실시예와 유사하게, 제1경사면(1110)의 제1투영 영역 또는 제1경사면의 폭은 제2경사면(1120)의 투영 영역인 제2경사면의 폭과 일부 중첩될 수 있다.
또한, 각 경사면의 경사각은 서로 상이하거나 동일할 수 있다.
이러한 도 10에 의한 평판형 광학부재(1100)의 경우, 최하부에 형성된 제1경사면이 개별 표시장치의 비표시 영역 이외에 화소영역의 화소 일부 영역을 커버하고 있기 때문에, 제1경사면이 커버하는 화소로부터의 광을 1 이상의 경사면에서 굴절 또는 확대시켜 정면 또는 시야각이 큰 방향으로 출광시킴으로써, 정면 또는 시야각이 큰 위치에 있는 관찰자에게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연결부분에서의 이미지 불연속 현상을 보상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의 실시예에 의한 평판형 광학부재(1100) 역시 폴리메타크릴산 메틸(poly-methyl metha crylate; PMMA), 폴리카보네이트(Poly Carbonate; PC), 폴리에테르 술폰(Poly Ether Sulfone; PES), 메타크릴레이트스티렌(Methacrylate Styrene; MS), 글래스 중 선택되는 1 이상의 광투과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으며, 굴절율은 약1.4 내지 1.8에서 선택되는 값일 수 있다.
평판형 광학부재(1100)를 구성하는 경사면 중 최하부의 제1경사면(1110)의 제1경사각은 12도 내지 45도일 수 있으며, 약 42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경사면 상부에 있는 제2경사면(1120)의 제2경사각은 제1경사각과 동일할 수 있으나, 제1경사각보다 더 클 수도 있다.
또한, 평판형 광학부재(1100)를 구성하는 제1경사면 상부에 있는 제2경사면(1120)은 제1경사면보다 더 개별표시장치의 중앙 영역으로 편이되도록 형성되며, 제1경사면(1110)의 투영영역인 제1경사면의 폭과 일부 중첩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4 내지 도 9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도 10의 실시예에 의한 평판형 광학부재(1100)는 가장자리에 구비되는 2 이상의 경사면의 각도와, 경사면의 중첩 여부, 광학부재 재료의 굴절율 등을 선택하여, 1 이상의 경사면에서 출광되는 광의 출광각을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시야각에서도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연결부분에서의 이미지 단절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러한 도 10에 의한 평판형 광학부재(1100)는 다수의 광학패널이 광학 투명 접착제(Optical Clear Adhesive; OCA) 또는 광학 투명 레진(Optical Clear Resin; OCR)등을 이용하여 접착되어 제작되는 앞선 실시예와 달리, 일체형 광학패널로 형성되는 점에서 도 4 등의 실시예와 차별화된다.
따라서, 도 10에 의한 평판형 광학부재(1100)는 측면의 2 이상의 경사면을 형성하는 공정이 추가되어야 한다는 제한은 있으나, 여러 패널을 적층/접착하여야 하는 공정이 필요없다는 장점과 함께, 광학패널의 접착에 따른 불량과 접착층에 의한 투명도 감소 등의 문제가 발생될 여지가 없다는 점에서 특유한 효과를 가지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다수의 개별 표시장치가 연결되어 구성되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에 있어서, 가장자리에 하향 경사면을 포함하는 광학패널을 2개 이상 적층한 다층 광학부재를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전면에 배치함으로써 큰 수평 시야각에서도 패널 연결부분에서의 이미지 연속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층 광학부재를 구성하는 광학패널의 적층 개수, 경사면의 경사각, 굴절율, 두께 및 경사면들의 중첩 여부 등의 조합을 선택함으로써,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주된 관찰자의 위치 등에 따라서,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연결부분에서 이미지 불연속 현상을 최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다수의 개별 표시장치가 연결되어 구성되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에 있어서, 가장자리에 2 이상의 하향 경사면이 형성된 평판형 광학부재를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전면에 배치함으로써 큰 수평 시야각에서도 패널 연결부분에서의 이미지 연속성을 확보할 수 있으면서도, 다수 광학패널의 접착에 따른 단점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구성의 결합, 분리, 치환 및 변경 등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400 : 표시패널부 410 : 개별 표시장치
412 : 개별표시장치의 표시영역(A/A)
414 : 개별표시장치의 표시영역(N/A)
300 : 연결부분 500 : 다층 광학부재
510, 520, 530 : 제1, 제2, 제3 광학패널
512, 522, 532 : 제1, 제2, 제3 경사면
1100 : 평판형 광학부재
1110, 1120, 1130 : 제1, 제2, 제3 경사면

Claims (16)

  1. 다수의 개별 표시장치가 연결되되, 상기 개별 표시장치의 비표시 영역이 연결 배치되는 연결부분을 포함하는 표시패널부;
    상기 개별 표시장치에 대응되는 상기 표시패널부 상부 영역마다 배치되되, 가장자리에 하향 경사진 경사면을 구비하는 평판형 광학패널이 2개 이상 적층된 다층 광학부재;
    를 포함하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 광학부재는,
    상기 개별 표시장치의 비표시 영역 전체와 상기 비표시 영역에 인접한 표시영역의 일부를 커버하도록 하향 경사진 제 1 경사면을 구비하는 제1 광학패널과, 상기 제1광학패널 상부에 배치되고 하향 경사진 제2 경사면을 구비하는 제2 광학패널을 포함하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경사면과 제2경사면이 상기 표시패널부에 투영된 제1투영 영역 및 제2투영 영역은 일부가 중첩되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경사면과 제2경사면은 상기 제1광학패널 및 제2광학패널의 상면에 대하여 각각 제1경사각(θ1) 및 제2경사각(θ2)을 가지되, 상기 제1경사각(θ1), 상기 제1투영 영역의 길이(W1) 및 상기 제1 광학패널의 두께(d1)는 상기 제2경사각(θ2), 상기 제2 투영 영역의 길이(W2) 및 상기 제2 광학패널의 두께(d2)와 동일한 다중 패널 표시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경사면과 제2경사면은 상기 제1광학패널 및 제2광학패널의 상면에 대하여 각각 제1경사각(θ1) 및 제2경사각(θ2)을 가지되, 상기 제1경사각(θ1), 상기 제1투영 영역의 길이(W1) 및 상기 제1 광학패널의 두께(d1) 중 하나 이상은 대응되는 상기 제2경사각(θ2), 상기 제2 투영 영역의 길이(W2) 및 상기 제2 광학패널의 두께(d2)와 상이한 값을 가지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경사면과 제2경사면은 상기 제1광학패널 및 제2광학패널의 상면에 대하여 각각 제1경사각(θ1) 및 제2경사각(θ2)을 가지되, 상기 제1경사각(θ1)은 12도 내지 45도에서 선택되는 각도를 가지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경사각(θ2)은 상기 제1경사각(θ1) 보다 큰 다중 패널 표시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학패널의 두께 및 제2광학패널의 두께는 1.0 내지 2.0mm 중 선택되는 값을 가지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경사면과 제2경사면이 상기 표시패널부에 투영된 제1투영 영역 및 제2투영 영역은 서로 중첩되지 않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광학패널 상부에 배치되고 하향 경사진 제3 경사면을 가장자리에 구비하는 제3 광학패널을 추가로 포함하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경사면, 제2경사면 및 제3경사면이 상기 표시패널부에 투영된 제1투영 영역, 제2투영 영역 및 제3투영 영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인접하는 투영 영역과 일부가 중첩되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패널은 폴리메타크릴산 메틸(poly-methyl metha crylate; PMMA), 폴리카보네이트(Poly Carbonate; PC), 폴리에테르 술폰(Poly Ether Sulfone; PES), 메타크릴레이트스티렌(Methacrylate Styrene; MS), 글래스 중 선택되는 1 이상의 광투과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
  13. 다수의 개별 표시장치가 연결되되, 상기 개별 표시장치의 비표시 영역이 연결 배치되는 연결부분을 포함하는 표시패널부;
    상기 개별 표시장치에 대응되는 상기 표시패널부 상부 영역마다 배치되되, 가장자리에 하향 경사진 2 이상의 경사면을 구비하는 평판형 광학부재;
    를 포함하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2 이상의 경사면은 비표시 영역 전체와 상기 비표시 영역에 인접한 표시영역의 일부를 커버하도록 최하부에 구비된 제 1 경사면과, 상기 제1 경사면 상부에 배치되는 제2 경사면을 포함하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경사면이 상기 표시패널부에 투영된 제1 투영 영역은 상기 제2경사면이 상기 표시패널부에 투영된 제2 투영 영역과 일부 중첩되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형 광학부재는 폴리메타크릴산 메틸(poly-methyl metha crylate; PMMA), 폴리카보네이트(Poly Carbonate; PC), 폴리에테르 술폰(Poly Ether Sulfone; PES), 메타크릴레이트스티렌(Methacrylate Styrene; MS), 글래스 중 선택되는 1 이상의 광투과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
KR1020150101515A 2015-07-17 2015-07-17 다중 패널 표시장치 KR1023168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1515A KR102316887B1 (ko) 2015-07-17 2015-07-17 다중 패널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1515A KR102316887B1 (ko) 2015-07-17 2015-07-17 다중 패널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0245A true KR20170010245A (ko) 2017-01-26
KR102316887B1 KR102316887B1 (ko) 2021-10-25

Family

ID=57992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1515A KR102316887B1 (ko) 2015-07-17 2015-07-17 다중 패널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68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27261A (zh) * 2017-08-22 2019-03-05 深圳市艾比森光电股份有限公司 一种led显示屏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6726B1 (ko) * 2013-11-22 2014-08-05 방채원 베젤이 보이지 않는 투광커버를 구비한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KR101453879B1 (ko) * 2012-06-26 2014-10-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파노라마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작방법, 디스플레이 장치
KR20140139844A (ko) * 2013-05-28 2014-12-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멀티 패널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50064618A (ko) * 2013-12-03 2015-06-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3879B1 (ko) * 2012-06-26 2014-10-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파노라마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작방법, 디스플레이 장치
KR20140139844A (ko) * 2013-05-28 2014-12-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멀티 패널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426726B1 (ko) * 2013-11-22 2014-08-05 방채원 베젤이 보이지 않는 투광커버를 구비한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KR20150064618A (ko) * 2013-12-03 2015-06-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27261A (zh) * 2017-08-22 2019-03-05 深圳市艾比森光电股份有限公司 一种led显示屏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6887B1 (ko) 2021-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31302B1 (ko) 비디오 월 디스플레이장치
KR102347244B1 (ko) 광섬유를 포함하는 판상 광학부재 및 그를 포함하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
US10782466B2 (en) Backlight module and display apparatus
US8797234B2 (en) Display device including light-transmitting cover with lens portion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ame
US10120233B2 (en) Optical member including optical fibers and multi-pane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1621535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US20160216435A1 (en) Curved display device
JP6929725B2 (ja) バックライト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る液晶表示装置
JP5604342B2 (ja) 額縁被覆部材
KR20170026767A (ko) 표시장치
US20160223862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WM546509U (zh) 顯示裝置
US20170059764A1 (en) Light guide plate,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KR20170015623A (ko) 도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과 모바일 기기
US8638409B2 (en) Dual liquid crystal display
KR101929378B1 (ko) 액정표시장치
KR102355821B1 (ko) 다중 패널 표시장치
KR102316887B1 (ko) 다중 패널 표시장치
JP2007294465A (ja) 照明装置、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US20080158476A1 (en) Optical member, backlight unit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JP2013072980A (ja) 配列型表示装置
KR102355828B1 (ko) 다중 패널 표시장치
KR102344296B1 (ko) 다중 패널 표시장치 및 그를 위한 판상 광학 부재
KR102355832B1 (ko) 다중 패널 표시장치
KR20170033478A (ko) 양면 표시장치 및 그를 위한 백라이트 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