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9680A - 치열교정용 부재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치열교정용 부재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9680A
KR20170009680A KR1020150155713A KR20150155713A KR20170009680A KR 20170009680 A KR20170009680 A KR 20170009680A KR 1020150155713 A KR1020150155713 A KR 1020150155713A KR 20150155713 A KR20150155713 A KR 20150155713A KR 20170009680 A KR20170009680 A KR 201700096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low
orthodontic
diameter
water
biodegrad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5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6263B1 (ko
Inventor
오명환
김윤기
김태경
Original Assignee
(주) 베리콤
김태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베리콤, 김태경 filed Critical (주) 베리콤
Priority to KR10201501557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6263B1/ko
Publication of KR201700096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96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62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62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61C7/16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specially adapted to be cemented to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0Arch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2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composition, e.g. ceramics, surface layer, metal alloy
    • A61C8/0016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composition, e.g. ceramics, surface layer, metal alloy polymeric materi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열교정용 부재로서, 상기 치열교정용 부재는 튜브(tube)형, 중공 다각기둥형, 깔때기(funnel)형, 중공 원뿔대형 또는 중공 다각뿔대형이고, 수용성 또는 생분해성 물질을 포함하는 치열교정용 부재에 관한 것이다.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치열교정용 부재에 와이어를 삽입하여 치아에 접착함으로써 간편하게 치아 교정 시술을 할 수 있다.

Description

치열교정용 부재 및 그의 제조방법{ORTHODONTIC MEMBERS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본 발명은 치열교정용 부재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치열 교정 시술 시 교정용 브라켓 없이 간편하게 치아 교정 시술을 할 수 있는 치열교정용 부재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치아의 배열이 가지런하지 않거나 위 아래 맞물림의 상태가 정상의 위치를 벗어난 상태를 "부정교합"이라 하며 이를 바로 잡아주는 치료를 교정치료라 한다. 부정교합일 경우에는 보기에도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발음이나 저작기능에도 장애가 유발되기 때문에, 부정교합인 치아를 잡아주기 위한 다양한 치열 교정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그 중 가장 대표적인 치열 교정장치는 브라켓으로, 교정용 와이어와 함께 사용하여 치아를 이동시킨다. 기본적으로 브라켓은 비뚤어진 치열 형태대로 휘어진 와이어에서 생기는 복원력을 치아에 전달하면서, 치아가 와이어를 따라 미끄러져 이동하도록 가이드 하는 기능이 있다.
하지만 브라켓은 상대적으로 크고 복잡한 구조 때문에 매우 불편하며, 치료 중에는 브라켓이 보이기 때문에 심미성이 떨어진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소형 중공관 형태의 미니 튜브와 와이어를 이용한 치열교정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시술 방법은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234,205호 ‘치열 교정치료용 튜브’에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미니 튜브를 이용한 치열 교정방법은 다음과 같은 근본적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첫째, 불규칙하게 비뚤어진 치아에 붙어있는 0.5mm 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 튜브에 와이어를 끼우는 것이 매우 어렵다.
둘째, 목 뒤에서부터 와이어를 끼우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미니 튜브는 구치부(어금니)에 사용할 수 없고, 전치부(앞니)의 한정된 부분의 교정치료에만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환자의 불편감은 최소화하면서, 간편하고 보편적인 치아 교정 시술이 가능한 방법의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수용성 또는 생분해성의 치열 교정용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와이어의 삽입이 용이하고. 접착제를 사용하여 치아 표면에 접착하기 쉬우며, 간편하게 치아 교정 시술을 할 수 있는 치열 교정용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치열교정 시술 시 소정 기간 후 용해되거나 생분해되어 와이어와 접착제 사이에 간극(clearance)을 형성함으로써, 치아가 와이어를 따라 미끄러지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치아이동이 용이한 치열교정용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치열교정용 부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치열교정용 부재로서,
상기 치열교정용 부재는 튜브(tube)형, 중공 다각기둥형, 깔때기(funnel)형, 중공 원뿔대형 또는 중공 다각뿔대형이고, 수용성 또는 생분해성 물질을 포함하는 치열교정용 부재가 제공된다.
상기 튜브형 치열교정용 부재는 내경이 0.2 내지 1.0 mm, 두께가 0.001 내지 0.5 mm일 수 있다.
상기 중공 다각기둥형이 n각 기둥형이고, n은 3 내지 20의 정수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n은 4인 중공 4각기둥형일 수 있다.
상기 중공 다각기둥형 치열교정용 부재의 단면은 중공의 다각형이고, 상기 중공의 다각형에 내접하는 원의 직경은 0.2 내지 1.0 mm이고, 상기 중공 다각기둥형 치열교정용 부재의 두께는 0.001 내지 0.5 mm일 수 있다.
상기 중공 다각뿔대형이 중공의 n각 뿔대형이고, n은 3 내지 20의 정수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중공 원뿔대형 치열교정용 부재의 최대 내주의 직경(E) 대비 최소 내주의 직경(e)의 비(E/e, q)가 1<q≤10 일 수 있다.
상기 중공 다각뿔대형 치열교정용 부재의 단면이 중공의 다각형이고, 상기 중공의 다각형에 외접하는 원의 최대 직경(F) 대비 최소 직경(f)의 비(F/f, p)가 1<p≤10 일 수 있다.
상기 깔때기형의 치열교정용 부재가 중공형 원기둥의 일단부에 결합된 중공형 원뿔대를 포함하는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중공형 원뿔대의 최대 내주의 직경(D) 대비 상기 중공형 원기둥의 내주의 직경(d)의 비(D/d, r)가 1<r≤10 일 수 있다.
상기 수용성 또는 생분해성 물질이 수용성 또는 생분해성 고분자100 중량부;및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1 내지 20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n은 1 내지 8의 정수 중 어느 하나이다.
상기 수용성 또는 생분해성 고분자가 젤라틴, 전분, 셀룰로오스, 식물성 검(gum), 변성전분, 변성 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 전분,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아크릴아미드, 가수분해성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에틸렌글라이콜, 폴리프로필렌글라이콜, 생분해성 폴리아미드, 생분해성 폴리우테탄 및 생분해성 폴리에스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폴리에틸렌글라이콜이 중량평균 분자량이 1,000 내지 100,000인 고체상일 수 있다.
상기 생분해성 폴리아미드가 폴리락틱산 및 변성 폴리락틱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수용성 또는 생분해성 고분자가 변성 전분 및 식물성 검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솔비톨 및 글리세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수용성 또는 생분해성 물질이 젤라틴 100 중량부; 글리세린 5 내지 100 중량부; 및 솔비톨 1 내지 10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성 또는 생분해성 물질이 정제수 1 내지 250 중량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젤라틴은 젤리강도가 30 내지 500 Bloom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400 Bloom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또 하나의 측면에 따르면,
수용성 또는 생분해성 고분자,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정제수를 혼합하여 코팅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a); 와이어를 준비하고, 상기 와이어의 표면에 상기 코팅용액을 코팅하여 코팅된 와이어를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코팅된 와이어에서 상기 코팅용액을 건조시켜, 상기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를 중공에 포함하는 치열교정용 부재를 포함하는 복합체를 제조하는 단계 (c); 및 상기 복합체에서 상기 와이어를 제거하여 치열교정용 부재를 제조하는 단계(d);를 포함하는 치열교정용 부재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2
상기 화학식 1에서
n은 1 내지 8의 정수 중 어느 하나이다.
단계 (a)는 젤라틴, 글리세린, 솔비톨 용액 및 정제수를 혼합하여 코팅용액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치열교정용 부재가 튜브형, 중공 다각기둥형, 깔때기형, 중공 원뿔대형 또는 중공 다각뿔대형일 수 있다.
단계 (a)이후에 코팅용액을 50 내지 100℃의 온도로 유지하는 단계 (a-1)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계 (a-1)이 2 내지 6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단계 (a-1) 이후에 50 내지 65℃의 온도로 유지하는 단계 (a-2)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단계 d 이후에, 상기 치열교정용 부재의 표면에 오일을 처리를 하는 단계(단계 d-1)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수용성 또는 생분해성의 치열교정용 부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와이어의 삽입이 용이하고. 접착제를 사용하여 치아 표면에 접착하기 쉬우며, 간편하게 치아 교정 시술을 할 수 있는 치열교정용 부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치열교정 시술 시 소정 기간 후 용해되거나 생분해되어 와이어와 접착제 사이에 간극을 형성함으로써, 치아가 와이어를 따라 미끄러지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치아이동이 용이한 치열 교정용 부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치열교정용 부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부재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수용성 튜브형 치열교정용 부재와 종래의 브라켓 또는 소형 중공관의 측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수용성 튜브형 치열교정용 부재를 이용한 치열 교정의 임상 시험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수용성 튜브형 치열교정용 부재를 이용한 치열 교정의 임상 시험 결과의 정면과 측면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종래의 브라켓을 이용한 치열 교정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6는 종래의 중공관 형태의 튜브를 이용한 치열교정의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이하의 설명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형 치열교정용 부재의 개략도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치열교정용 부재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치열교정용 부재는 튜브(tube)형, 중공 다각기둥형, 깔때기(funnel)형, 중공 원뿔대형 또는 중공 다각뿔대형이고, 수용성 또는 생분해성 물질을 포함한다.
상기 튜브형 치열교정용 부재는 내경은 0.2 내지 1.0 mm, 두께는 0.001 내지 0.5 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중공 다각기둥형 치열교정용 부재의 단면은 중공의 다각형이고, 상기 중공의 다각형에 내접하는 원의 직경은 0.2 내지 1.0 mm이다. 또한, 상기 중공 다각기둥형 치열교정용 부재의 두께는 0.001 내지 0.5 mm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내경 및 직경은 치열교정용 부재의 중공에 삽입될 와이어의 직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중공 다각기둥형은 n각 다각기둥형이고, n은 3 내지 20의 정수 중 어느 하나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4 내지 15, 더욱 바람직하게는 4 내지 8의 정수 중 어느 하나일 수 있고,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4인 중공 4각기둥형일 수 있다.
상기 중공 원뿔대형 치열교정용 부재의 최대 내주의 직경(E) 대비 최소 내주의 직경(e)의 비(E/e, q)는 1<q≤10 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q≤5, 더욱 바람직하게는 3≤q≤4 일 수 있다.
상기 중공 다각뿔대형 치열교정용 부재의 단면은 중공의 다각형이고, 상기 중공의 다각형에 외접하는 원의 최대 직경(F) 대비 최소 직경(f)의 비(F/f, p)가 1<p≤10 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p≤5, 더욱 바람직하게는 3≤p≤4 일 수 있다.
상기 중공 다각뿔대형의 중공은 n각 뿔대형이고, n은 3 내지 20의 정수 중 어느 하나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4 내지 15, 더욱 바람직하게는 4 내지 8의 정수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깔때기형의 치열교정용 부재는 중공형 원기둥의 일단부에 결합된 중공형 원뿔대를 포함하는 형태이고, 상기 중공형 원뿔대의 최대 내주의 직경(D) 대비 상기 중공형 원기둥의 내주의 직경(d)의 비(D/d, r)는 1<r≤10 일 수 있다. 상기 비는 바람직하게는 2≤r≤5, 더욱 바람직하게는 3≤r≤4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깔대기형의 치열교정용 부재는 중공형 다각기둥의 일단부에 결합된 중공형 다각뿔대를 포함하는 형태일 수 있고, 상기 중공형 다각뿔대의 단면인 중공의 다각형에 외접하는 원의 최대 직경(C) 대비 최소 직경(c)의 비(C/c, s)가 1<s≤10 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s≤5, 더욱 바람직하게는 3≤s≤4 일 수 있다.
상기 치열교정용 부재에 와이어를 삽입하고, 상기 부재가 감싸고 있는 와이어를 비뚤어진 치열에 레진을 이용하여 치아에 접착한다. 비뚤어진 치열 형태대로 휘어서 접착된 와이어에서는 복원력이 발생하고, 이는 접착제인 레진을 매개체로 치아를 이동시킬 수 있는 교정력으로 치아에 전달된다. 이와 동시에 치열교정용 부재는 수용성 또는 생분해성으로 구강 내에서 녹기 때문에 와이어와 레진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어, 치아는 와이어를 따라 미끄러지면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수용성 또는 생분해성 물질은 구강 내에서 분해될 수 있는 물질이라면 어느 것이든 가능하나, 바람직하게는 수용성 또는 생분해성 고분자 100 중량부 및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1 내지 20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3
상기 화학식 1에서
n은 1 내지 8의 정수 중 어느 하나이다.
상기 수용성 또는 생분해성 고분자는 젤라틴, 전분, 셀룰로오스, 식물성 검(gum), 변성전분, 변성 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 전분,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아크릴아미드, 가수분해성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에틸렌글라이콜, 폴리프로필렌글라이콜, 생분해성 폴리아미드, 생분해성 폴리우테탄, 생분해성 폴리에스터 등이 가능하다.
상기 폴리에틸렌글라이콜은 중량평균 분자량이 1,000 내지 100,000인 고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생분해성 폴리아미드는 폴리락틱산, 변성 폴리락틱산 등이 가능하다.
상기 수용성 또는 생분해성 고분자는 변성 전분 및 식물성 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솔비톨 및 글리세린일 수 있다.
상기 수용성 또는 생분해성 물질은 더욱 바람직하게는 젤라틴 100 중량부에 대하여, 글리세린 5 내지 100 중량부 및 솔비톨 1 내지 10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성 또는 생분해성 물질은 정제수 1 내지 250 중량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젤라틴은 젤리강도는 30 내지 500 Bloom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400 Bloom일 수 있다.
상기 젤리강도란 젤라틴의 대표적인 물리적 특성이다. 블룸값(Bloom Value)은 젤라틴의 강도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며, 젤리강도(Jelly strength)는 BS기준(British Standard: BS 757)에 따라 6.67%의 젤라틴용액을 젤리강도계의 플런저(Plunger)가 표면으로부터 4mm 깊이로 눌렀을 때 필요한 힘(Force)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치열교정용 부재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수용성 또는 생분해성 고분자,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정제수를 혼합하여 코팅용액을 제조한다(단계 a).
[화학식 1]
Figure pat00004
상기 화학식 1에서
n은 1 내지 8의 정수 중 어느 하나이다.
단계 (a)는 젤라틴, 글리세린, 솔비톨 용액 및 정제수를 혼합하여 코팅용액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솔비톨 용액의 용매는 물일 수 있다.
단계 (a)이후에 코팅용액을 50 내지 100℃의 온도로 유지하는 단계 (a-1)을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단계 (a-1)은 바람직하게는 55 내지 95℃,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90℃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온도 범위에서 상기 코팅용액의 성분들이 고르게 섞일 수 있다.
단계 (a-1)은 바람직하게는 2 내지 6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으나 단계 (a-1)의 온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단계 (a-1)은 진공 하에서 탈포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계 (a-1) 이후에 상기 코팅용액을 50 내지 65℃의 온도로 유지하는 단계 (a-2)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단계 (a-2)는 바람직하게는 53 내지 62℃, 더욱 바람직하게는 54 내지 60℃에서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와이어를 준비하고, 상기 와이어의 표면에 상기 코팅용액을 코팅하여 코팅된 와이어를 제조한다(단계 b).
상기 단계 (b)의 코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코팅용액의 겔화 온도 이상에서 수행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코팅용액이 겔화 온도 이상이라면 상기 코팅용액은 상기 와이어에 균일하게 코팅될 수 있다.
상기 치열교정용 부재는 튜브형, 중공 다각기둥형, 깔때기형, 중공 원뿔대형 또는 중공 다각뿔대형일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코팅용액으로 코팅된 와이어에서 상기 코팅용액을 건조시켜, 상기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를 중공에 포함하는 치열교정용 부재를 포함하는 복합체를 제조한다(단계 c).
상기 단계 (c)는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30℃, 상대습도 20 내지 40%에서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계 (c)는 상기 코팅용액이 평형 상태에 도달할 때까지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조건에서 수행될 경우 12 내지 72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단계 (c)에서 상기 코팅용액은 고체에 가까운 겔(gel)로 굳어질 수 있다. 상기 치열교정용 부재는 치아 교정 시술에 적용하였을 때 치아의 배열상태에 적합할 수 있도록 교정용 와이어의 구부러짐에도 파손되지 않는 유연성을 가지면서 중공을 유지하는 정도의 강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상기 복합체로부터 상기 와이어를 제거하여 치열교정용 부재를 제조한다(단계 d).
단계 d 이후에, 상기 치열교정용 부재의 표면에 오일을 처리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단계 d-1).
상기 오일은 미네랄오일, 실리콘 오일, 식물성 오일 등이 가능하다.
한편, 시술자가 시술을 용이하게 수행하기 위하여 치열교정용 부재에 와이어를 삽입하여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를 위한 것으로서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코팅용액의 제조
430 중량부의 젤라틴(젤텍사, 250 bloom)을 390 중량부의 물에 분산시킨 후, 140 중량부의 글리세린을 넣고 혼합하였다. 이후 물에 용해시킨 솔비톨 용액(70% 농도) 5중량부를 넣고 고르게 분산시켰다. 다음으로, 60분간 90℃에서 젤라틴 용해과정을 거친후 30분 동안 65℃에서 700mmHg 진공으로 탈포하였다. 상기 탈포된 용액을 60℃ 에서 6시간동안 에이징(aging)시켜 코팅용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치열교정용 부재인 수용성 튜브의 제조
제조예 1에 따라 제조된 코팅용액을 45℃로 유지되어 있는 담지액통에 넣는다. 길이 100mm, 0.5mm 직경의 스테인리스강(stainless steel) 직선형 와이어를 고정나사로 고정하고, 상기 와이어를 파라핀으로 코팅하였다. 상기 와이어를 코팅용액에 담지한 후 바로 빼내어 코팅용액을 균일하게 코팅하였다. 이후, 상온에서 상대습도 25%, 24시간 동안 건조한 후 상기 와이어를 제거하여 치열교정용 부재를 제조하였다.
[시험예]
임상 시험예 1: 치열교정용 부재인 수용성 튜브를 이용한 치열교정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수용성 튜브를 이용한 치열 교정의 임상 시험 과정을 도 3에 나타내었고, 정면과 측면 사진을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수용성 튜브에 구강 외에서 니켈-티타늄 와이어를 삽입하고, 와이어가 삽입된 튜브를 직접 치아에 접착하였다. 그 결과, 구치부에서도 응용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수용성 튜브는 단순한 구조로 심미적이며, 장치에 의한 연조직 자극이 없어 편안하고, 쉽게 구강위생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임상 비교 시험예 1: 종래의 브라켓을 이용한 치열교정
도 2는 본 발명의 수용성 튜브형 치열교정용 부재와 종래의 브라켓 또는 소형 중공관의 측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종래의 브라켓을 이용한 치열 교정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종래의 브라켓을 치아에 접착한 후 결속타이를 이용하여 와이어가 브라켓에서 빠지지 않도록 결속하였다. 그 결과, 크고 복잡한 구조를 지닌 브라켓과 그 부속물은 구강 내 연조직을 자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종래의 브라켓은 복잡한 구조로 심미적이지 않고, 구강 내 연조직을 자극하며 구강위생 유지를 어렵게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임상 비교 시험예 2: 중공관 형태의 튜브를 이용한 치열교정
종래의 중공관 형태의 튜브를 이용한 치열교정의 사진을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2 및 도 6을 참조하면, 종래의 중공관 형태의 튜브를 치아에 접착한 후 와이어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도록 삽입하였다. 그 결과, 목 뒤에서부터 와이어를 끼우는 것은 근본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에, 전치부에 한정된 부분 교정 치료에만 응용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중공관 형태의 튜브는 전치부에 한정된 부분 교정 치료에만 적용할 수 있고, 와이어 삽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7)

  1. 치열교정용 부재로서,
    상기 치열교정용 부재는 튜브(tube)형, 중공 다각기둥형, 깔때기(funnel)형, 중공 원뿔대형 또는 중공 다각뿔대형이고,
    수용성 또는 생분해성 물질을 포함하는 치열교정용 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 다각기둥형은 n각 기둥형이고, n은 3 내지 20의 정수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교정용 부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 다각기둥형 치열교정용 부재의 단면이 중공의 다각형이고,
    상기 중공의 다각형에 내접하는 원의 직경은 0.2 내지 1.0 mm이고,
    상기 중공 다각기둥형 치열교정용 부재의 두께는 0.001 내지 0.5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교정용 부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 다각뿔대형이 중공의 n각 뿔대형이고, n은 3 내지 20의 정수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교정용 부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 원뿔대형 치열교정용 부재의 최대 내주의 직경(E) 대비 최소 내주의 직경(e)의 비(E/e, q)가 1<q≤1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교정용 부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 다각뿔대형 치열교정용 부재의 단면이 중공의 다각형이고,
    상기 중공의 다각형에 외접하는 원의 최대 직경(F) 대비 최소 직경(f)의 비(F/f, p)가 1<p≤1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교정용 부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깔때기형의 치열교정용 부재가 중공형 원기둥의 일단부에 결합된 중공형 원뿔대를 포함하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교정용 부재.
  8.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형 원뿔대의 최대 내주의 직경(D) 대비 상기 중공형 원기둥의 내주의 직경(d)의 비(D/d, r)가 1<r≤1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교정용 부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또는 생분해성 물질이
    수용성 또는 생분해성 고분자 100 중량부; 및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1 내지 20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교정용 부재.
    [화학식 1]
    Figure pat00005

    상기 화학식 1에서
    n은 1 내지 8의 정수 중 어느 하나이다.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또는 생분해성 고분자가 젤라틴, 전분, 셀룰로오스, 식물성 검(gum), 변성전분, 변성 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 전분,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아크릴아미드, 가수분해성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에틸렌글라이콜, 폴리프로필렌글라이콜, 생분해성 폴리아미드, 생분해성 폴리우테탄 및 생분해성 폴리에스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교정용 부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글라이콜이 중량평균 분자량이 1,000 내지 100,000인 고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교정용 부재.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폴리아미드가 폴리락틱산 및 변성 폴리락틱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교정용 부재.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또는 생분해성 고분자가 변성 전분 및 식물성 검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교정용 부재.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솔비톨 및 글리세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교정용 부재.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또는 생분해성 물질이
    젤라틴 100 중량부;
    글리세린 5 내지 100 중량부; 및
    솔비톨 1 내지 10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교정용 부재.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또는 생분해성 물질이 정제수 1 내지 250 중량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교정용 부재.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젤라틴은 젤리강도가 30 내지 500 Bloo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교정용 부재.
KR1020150155713A 2015-11-06 2015-11-06 치열교정용 부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1462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5713A KR102146263B1 (ko) 2015-11-06 2015-11-06 치열교정용 부재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5713A KR102146263B1 (ko) 2015-11-06 2015-11-06 치열교정용 부재 및 그의 제조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0930A Division KR101591011B1 (ko) 2015-07-16 2015-07-16 치열교정용 부재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9680A true KR20170009680A (ko) 2017-01-25
KR102146263B1 KR102146263B1 (ko) 2020-08-20

Family

ID=57991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5713A KR102146263B1 (ko) 2015-11-06 2015-11-06 치열교정용 부재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62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4934A (ko) * 2017-12-01 2019-06-11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열 수축되는 치열교정용 생분해성 튜브 및 이의 제조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99138A1 (en) * 2011-02-08 2012-08-09 Hannapel Eric D Orthodontic appliance shield
KR20120007066U (ko) * 2011-04-05 2012-10-15 홍순호 치아교정용 투명선,투명,반투명,치아색과유사한 색상의 치아교정용 플라스틱 아치와이어
US20140302448A1 (en) * 2013-04-05 2014-10-09 Benjamin Cassalia Orthodontic Wire Alignment System and Method
KR20140138937A (ko) * 2012-03-23 2014-12-04 호아킨 티. 아리자 치열 교정용 튜브
KR101547795B1 (ko) * 2015-03-16 2015-08-26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치아 교정용 와이어 및 그를 구비한 치아 교정기 및 그의 치아 교정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99138A1 (en) * 2011-02-08 2012-08-09 Hannapel Eric D Orthodontic appliance shield
KR20120007066U (ko) * 2011-04-05 2012-10-15 홍순호 치아교정용 투명선,투명,반투명,치아색과유사한 색상의 치아교정용 플라스틱 아치와이어
KR20140138937A (ko) * 2012-03-23 2014-12-04 호아킨 티. 아리자 치열 교정용 튜브
US20140302448A1 (en) * 2013-04-05 2014-10-09 Benjamin Cassalia Orthodontic Wire Alignment System and Method
KR101547795B1 (ko) * 2015-03-16 2015-08-26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치아 교정용 와이어 및 그를 구비한 치아 교정기 및 그의 치아 교정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4934A (ko) * 2017-12-01 2019-06-11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열 수축되는 치열교정용 생분해성 튜브 및 이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6263B1 (ko) 2020-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1014B1 (ko) 치열교정용 와이어 복합체 및 그의 제조방법
CN110087578B (zh) 牙齿矫正器系统
JP2003527356A (ja) 活性物質を歯科部位に制御された状態で投与するシステム
Cecchin et al. Effect of chlorhexidine and ethanol on push-out bond strength of fiber posts under cyclic loading.
KR101591015B1 (ko) 치열교정용 코팅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591011B1 (ko) 치열교정용 부재 및 그의 제조방법
WO2010117442A1 (en) Dental retraction material having enhanced fluid absorption
US8727769B2 (en) Dental retainer having improved joint with labial bow
Baldasso et al. Biological tissue response to a new formulation of a silicone based endodontic sealer
KR101994519B1 (ko) 덮개부 및 그를 구비한 치아 교정기
KR101593304B1 (ko) 치열 교정용 미니튜브 형성방법 및 기구
KR20170009680A (ko) 치열교정용 부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146273B1 (ko) 치열교정용 와이어 복합체 및 그의 제조방법
JP6474531B2 (ja) 歯列矯正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695842B1 (ko) 마크가 표시된 치열교정부재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70009682A (ko) 치열교정용 코팅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JP2022522002A (ja) 熱的に安定な抗菌性第四級アンモニウムナノ粒子
KR102022564B1 (ko) 열 수축되는 치열교정용 생분해성 튜브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17010667A1 (ko) 치열교정부재에 사용하기 위한 수용성 또는 생분해성 조성물
Melgaço et al. Shear bond strength evaluation of metallic brackets using self-etching system
Emmanuel et al. A novel patented readymade space maintainer-Bibin appliance: A case report
KR100489779B1 (ko) 신축성이 뛰어나거나 또는 쉽게 늘어나는 구강치아 부착제
WO2010024242A1 (ja) 生体吸収性成形物、及び生体吸収性成形物の製造方法
JP2003116883A (ja) 根管充填材と合釘支台とからなる一体化構造物
KR20120007238U (ko) 치아교정용 구멍 브라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