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9285A - 염색용 용기 - Google Patents

염색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9285A
KR20170009285A KR1020150101073A KR20150101073A KR20170009285A KR 20170009285 A KR20170009285 A KR 20170009285A KR 1020150101073 A KR1020150101073 A KR 1020150101073A KR 20150101073 A KR20150101073 A KR 20150101073A KR 20170009285 A KR20170009285 A KR 201700092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inlet
dyeing
containers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1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33686B1 (ko
Inventor
김희정
Original Assignee
김희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희정 filed Critical 김희정
Priority to KR10201501010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3686B1/ko
Publication of KR201700092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92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36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36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9/00Devices for washing the hair or the scalp; Similar devices for colour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9/00Devices for washing the hair or the scalp; Similar devices for colouring the hair
    • A45D19/06Devices for washing the hair or the scalp; Similar devices for colouring the hair in the form of bowls or similar open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9/00Devices for washing the hair or the scalp; Similar devices for colouring the hair
    • A45D19/16Surface treatment of hair by steam, oil,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A45D2019/0066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복수의 용기;
상기 복수의 용기를 감싸는 제2용기;
상기 제2용기의 입구에 볼을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케이싱;
의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색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염색용 용기 {Tube for hair dyeing}
본 발명은 모발의 염색약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관련한 발명으로 특히 용기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은 두 가지의 염색약을 희석해서 사용하는 것이므로 외출을 자주하는 사회활동이 많은 사람들에게는 특히 염색을 하는 것이 아주 번거로운 일이다. 이것을 방지하게 위하여 많은 발명이 고려되어 왔다.
그러나 염색약은 사용 직전에 두가지 용액 이상을 희석해서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어왔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종래의 기술에서는 노력이 있어왔다.
도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선행기술문헌인 특허공개문헌 2004-0018741에서는 제 1제와 제 2제로 분리된 기존의 염색약 재료를 하나의 튜브에 분리하여 저장 및 보관하다가 필요시에 입구를 간단히 컷팅하여 서로 다른 이종재료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염색약 충진용 이중튜브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염색약 충진용 이중튜브는 상부 외주면에 나사부(23)가 형성되고 바닥면 중앙에 상방으로 돌출된 위치고정돌출편이 일체로 형성된 외부용기(10); 상기 외부용기의 나사부와 나사결합하기 위해 내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되고, 최상단부에는 중공의 밀폐된 돌출부(25)가 일체로 형성된 외부캡(20); 상부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되고 바닥면 중앙에는 상기 외부용기의 위치고정돌출편(15)에 대응하는 오목부(35)가 형성된 내부용기(30); 및 상기 내부용기의 나사부(33)와 나사결합하기 위해 내주면에 나사부(43)가 형성되고, 최상단부에는 중공의 밀폐된 돌출부(45)가 일체로 형성된 내부캡(40)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으로 희석이 잘되지 않는 단점이 있어왔다.
또한 염색을 하기 위하여는 상기 용기에서 다른 용기에 담아서 머리빗이나 기타 다른 도구로 머리를 염색하여야만 했다.본 발명에서는 이런 단점을 해결한 것이다.한번에 용기 자체로 염색하고자 하는 모발에 직접사용하는 것이다.
1.특허공개문헌:2004-0018741(2004.03.04) 2.특허공개문헌:2011-0127866(2011.11.28)
머리를 미장원이나 전문 염색을 하는 곳에서 염색을 한 후에 몇일도 지나지 않아 모근 방향인 두피 부분에서 힌머리가 나오게 된다.
그렇게 되면 외출을 하게 될 때마다 염색을 하게 되는 불편함이 있어 왔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염색을 빈번하게 하게 될 때에 즉 머리가 염색약에 과대하게 자주 노출될 때에 모발은 더욱 훼손되어 머리결이 좋지 않게 되어 염색으로 인해 결국에는 힌머리를 원하는 모발로 할 수는 있으나 결국에는 모발자체에 훼손이 있게되어 염색약을 사용하는 사람들에게 스트레스를 가중시킨다.
이런 경우를 예상하여 일회용 염색약을 쉽게 가정에서 사용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요구되었다.
이는 소비자가 사용하기에 편리하고 전문가가 아니어도 쉽게 염색을 할 수있는 용기나 방법이 요구되어왔다.
본 발명을 이루기 위하여 아래와 같이 발명을 구성한다.
제 1 용기;
제 2 용기;
상기 제 1 및 제2 용기를 감싸는 제 3용기;
상기 제 3용기의 입구에 볼을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케이싱;
의 구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제1 및 상기 제2 용기의 입구는 용액이 흘러나올 때에 제1 및 제2용기의 염색약이 희석되도록 상기 제 1 및 제2 용기 각 각의 입구는 복수개의 노즐을 구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3 용기의 상기 볼은 표면에 복수의 홈이 있는 것으로 구성하여 볼의 홈을 타고 염색 용액이 흘러나오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또 다른 실시예로서는 상기 케이싱은 제 3용기와 나사결합하는 덮개의 구성으로 하되 상기 덮개의 일단은 상기 제1 및 제2 용기의 용기입구에 위치하되 복수개의 주입구를 갖는 것으로 상기 제1 및 제2 용기 입구에서 흘러나온 용액이 상기 덮개의 복수개의 주입구로 유입하도록 하고 상기 덮개의 타단은 볼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덮개의 중간부분에 빈공간을 두어 상기 복수의 용액이 잘 희석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염색을 하고자 하는 곳에 염색약을 용기자체에서 희석하여 아주 용이하게 원하는 염색을 하는데 있다.
번거롭지 않게 하나의 용기로 염색약을 용기안에서 사용하는 순간 희석하여 염색약 용기를 가지고 직접 염색하고자 하는 머리에 바르는 일회용 염색약의 효과를 아주 저렴하게 볼 수 있는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염색용 용기의 개략도이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염색용 용기의 단면도를 도시한 제1실시예의 도이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보이는 단면도를 도시한 도이다.
제4도는 볼에 홈이 파진 형태를 도시한 도이다.
제5도는 덮개에 복수개의 주입구를 가진 용기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도이다.
제6도는 제5도의 덮개에 대한 확대도이다.
제7도는 종래의 기술도면이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사시도를 보이는 도면이다.
제2도는 제1도의 절단면을 보이는 단면도이다.
제2 도는 제 1 용기(100)
상기 제1용기(100)의 옆에 배치된 제 2 용기(200);
상기 제 1 및 제2 용기를 감싸는 제 3용기(300);
상기 제 3용기의 입구에 볼(400)을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케이싱(310);
의 구성을 가지는 것이다.
언제나 염색을 위하여는 두가지의 염색약을 사용 직전에 희석해야 하는 것으로 사용시에는 제3용기의 하부를 손으로 잡아 염색약을 짜낸다.그런 후에는 제1 및 2 용기의 입구와 제3용기의 입구 사이의 공간으로 인하여 희석되고 또한 볼을 통하여 다시 한번 희석되는 것으로 제1 및 2용기의 용액이 서로 섞여져서 볼을 (400)의 홈(410)을 통하여 염색용액이 흘러나온다.
사용시에 약간의 압력을 가하면 제 1 및 2용기의 입구가 개방되는 정도의 뚜껑을 하는 것이 요구된다. 얇은 종이재질의 덮개도 무방하다.
물론 제3 용기의 마개는 억지 끼움식의 플라스틱 뚜껑을 장착해도 무방하다(미도시)
제3도는 용기의 각 각의 입구에 복수개의 주입구(110,120,210,220)를 배치한 것으로 제1용기에서 흘러나온 용액은 제2용기에서 흘러나온 용액과 용기입구에서 서로 섞여져서 염색하기에 아주 좋은 상태로 변하게 된다.
제1 용기의 입구(110,120)와 제2 용기의 입구(210,220)는 용액이 흘러나올 때에 제1 및 제2용기의 염색약이 희석되도록 상기 제 1 및 제2 용기 각 각의 입구는 복수개(110,120,210,220)의 노즐을 구성한 것이다.
제4도는 상기 제 3 용기의 상기 볼은 표면에 복수의 홈이 있는 것으로 흘러나온 염색약은 주입구에서 희석되고 볼의 표면의 홈에서 다시한번 희석되는 것으로 소비자가 염색을 위하여 용액을 짜내자 마자 잘 희석되도록 입구에서 구성을 한 것이다.
제5도 및 제6도는 상기 케이싱(500)은 제 3용기(300)와 나사결합하는 덮개의 구성으로 하되 상기 덮개의 일단은 상기 제1 및 제2 용기의 용기입구에 위치하되 복수개의 주입구(510,520,530,540)를 갖는 것으로 상기 제1 및 제2 용기 입구에서 흘러나온 용액이 상기 덮개의 복수개의 주입구로 유입하도록 하고 유입구를 흘러나오면서 혼합된 염색용액이 다시 한번 혼합되도록 빈공간(550)을 두고 빈공간(550)에서 희석된 염색용액은 다시한번 상기 덮개의 타단의(310) 볼(400)을 통하면서 희석되는 것으로 완전히 희석되어 염색약을 손으로 희석하는 것이 없이 용기 자체적으로 희석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덮개의 중간부분에 빈공간(550)을 두어 상기 복수의 용액이 잘 희석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제3용기의 덮개의 주입구에 제1 및 2용기의 주입구를 일치시키거나 그렇지 않다고 하더라도 제3용기의 주입구 나머지 부분이 차단되어 있는 형태이어서 덮개를 결착하면 제 1 및 2용기의 입구가 차단되어 용액이 흘러나오지 않게된다.
물론 사용시에는 제1,2,3용기의 입구를 일치시켜야 하는 구성은 용이한 것이다.
제3용기의 덮개의 볼이 있는 부분을 밀봉하는 것은 별도의 나사 결합구가 있어도 무방하나 억지 끼움식의 플라스틱 뚜껑을 장착해도 무방하다(미도시)
10:외부용기 20:외부캡 25:외부용기의 돌출부
30:내부용기 40:내부캡 45:내부용기의 돌출부
100: 제1 용기 110:제1용기의 제1입구 120:제1용기의 제2입구
200:제2 용기 210:제2용기의 제1입구 220:제2용기의 제2입구
300:제3 용기 310:제3용기의 케이싱
400:원형볼 410:원형볼의 홈
500:덮개 510:덮개의 제1주입구 520:덮개의 제2주입구
530:덮개의 제3주입구 540:덮개의 제4주입구 550:빈공간

Claims (6)

  1. 입구를 갖는 제 1 용기;
    제 2 용기;
    상기 제 1 및 제2 용기를 감싸는 제 3용기;
    상기 제 3용기의 입구에 볼을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케이싱;
    의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색용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용기의 입구는 용액이 흘러나올 때에 제1 및 제2용기의 염색약이 희석되도록 상기 제 1 및 제2 용기 각 각의 입구는 복수개의 노즐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색용 용기
  3. 제1항에서 상기 제 3 용기의 상기 볼은 표면에 복수의 홈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색용 용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용기의 각 각의 입구의 단부와 상기 제3용기의 입구 사이에는 빈공간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색용 용기
  5. 제1항에서 상기 케이싱은 제 3용기와 나사결합하는 덮개의 구성으로 하되 상기 덮개의 일단은 상기 제1 및 제2 용기의 용기입구에 위치하되 복수개의 주입구를 갖는 것으로 상기 제1 및 제2 용기 입구에서 흘러나온 용액이 상기 덮개의 복수개의 주입구로 유입하도록 하고 상기 덮개의 타단은 볼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색용 용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의 중간부분에 빈공간을 두어 상기 복수의 용액이 잘 희석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색용 용기
KR1020150101073A 2015-07-16 2015-07-16 염색용 용기 KR1017336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1073A KR101733686B1 (ko) 2015-07-16 2015-07-16 염색용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1073A KR101733686B1 (ko) 2015-07-16 2015-07-16 염색용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9285A true KR20170009285A (ko) 2017-01-25
KR101733686B1 KR101733686B1 (ko) 2017-05-24

Family

ID=57991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1073A KR101733686B1 (ko) 2015-07-16 2015-07-16 염색용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36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5575B1 (ko) 2020-12-02 2021-07-09 정환희 염색제 용기 및 그 조립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8741A (ko) 2002-08-27 2004-03-04 학교법인 두원학원 염색약 충진용 이중튜브
KR20110127866A (ko) 2010-05-20 2011-11-28 신현명 플립 캡 타입 이중격실 튜브용기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22655B1 (fr) * 2001-03-27 2003-05-30 Oreal Dispositif pour le conditionnement et la distribution d'un produit, notamment cosmetiqu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8741A (ko) 2002-08-27 2004-03-04 학교법인 두원학원 염색약 충진용 이중튜브
KR20110127866A (ko) 2010-05-20 2011-11-28 신현명 플립 캡 타입 이중격실 튜브용기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3686B1 (ko) 2017-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06815B1 (ko) 토출면에 내용물을 토출하는 토출 용기
EP3120727B1 (en) Dropper and cosmetics container having same
NZ589184A (en) Automated point of sale expanded colour space paint and stain tinting dispenser system with high strength red, green and blue colorants
CN103889849A (zh) 染发剂瓶
KR200468340Y1 (ko) 슬라이딩 회전에 의해서 혼합되는 이액형 혼합 화장용기
KR101733686B1 (ko) 염색용 용기
JP6084504B2 (ja) 注出容器
ITUB20155557A1 (it) Dispositivo di erogazione per l'erogazione di liquidi o fluidi in generale
KR101794514B1 (ko) 모발 염색용기
JP2013543466A (ja) キャップ一体型使い捨てチューブ容器
KR102204433B1 (ko) 액체 정량 유출용 캡
KR200469450Y1 (ko) 새치 염색이 가능한 염색도구
KR20110006121U (ko) 색조화장품 케이스
CN110662712B (zh) 具有压力平衡阀的分配头
KR20190137336A (ko) 병과 볼의 겸용이 가능한 미용액 혼합용기
KR20100007402U (ko) 염모제 용기
JP6177644B2 (ja) 塗布容器
EP3691796B1 (fr) Capsule à ouverture par traction équipée d'une reprise d'air
US7150379B2 (en) Dyeing brush
KR101491107B1 (ko) 벤트 캡 및 이를 구비하는 용기 마개
US9914569B1 (en) Plastic soft tube with a cap structure able to control outflow
CN209464489U (zh) 免沾色绣眉针、滚轮针及刀片针
JP2012188128A (ja) 液体容器用キャップおよび液体用容器
JP3198860U (ja)
KR200481846Y1 (ko) 용기용 힌지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