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1107B1 - 벤트 캡 및 이를 구비하는 용기 마개 - Google Patents

벤트 캡 및 이를 구비하는 용기 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1107B1
KR101491107B1 KR20140092867A KR20140092867A KR101491107B1 KR 101491107 B1 KR101491107 B1 KR 101491107B1 KR 20140092867 A KR20140092867 A KR 20140092867A KR 20140092867 A KR20140092867 A KR 20140092867A KR 101491107 B1 KR101491107 B1 KR 1014911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vent hole
inflow
washer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92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0812A (ko
Inventor
김병철
이재석
Original Assignee
오제이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제이씨(주) filed Critical 오제이씨(주)
Priority to KR201400928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1107B1/ko
Publication of KR201401108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08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11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11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3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means for ve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33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automatic opening of the closure, container or other element
    • B65D51/164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automatic opening of the closure, container or other element the element being a val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B65D2205/02Venting h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벤트 캡 및 이를 구비하는 용기 마개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발명은: 용기를 밀봉하며, 밀봉된 용기의 내부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벤트홀이 형성되는 마개본체부; 및 용기 내부의 압력에 연동되어 외부 공기가 벤트홀을 통해 용기 내부로 유입되도록 벤트홀을 개폐하는 벤트 캡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용기 내부에 수용된 액체의 온도 변화 등과 같은 상태 변화와 관계 없이 용기 내부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킴으로써, 용기 내부에 수용된 액체의 상태 변화로 인해 찌그러짐 등과 같은 용기 형상의 변화 또는 용기의 파손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벤트 캡 및 이를 구비하는 용기 마개{VENT CAP AND CONTAINER CLOSURE THEREWITH}
본 발명은 벤트 캡 및 이를 구비하는 용기 마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기의 주입구를 밀봉하는 벤트 캡 및 이를 구비하는 용기 마개에 관한 것이다.
식품, 화학 등 각종 산업분야에서 사용되는 각종 액체는 통상 용기에 담겨 단위 별로 보관 또는 운송된다. 이와 같이 액체가 담겨지는 용기의 상부에는 액체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가 형성된다. 이러한 주입구를 통해 용기 내부로의 액체 주입이 완료되면, 주입구는 마개에 의해 밀봉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2-0079976호(2002년 10월 21일 공개, 발명의 명칭 : 액체 용기용 밀봉 마개)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용기에 수용된 액체의 온도 변화로 인해 용기의 형상 변화가 발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벤트 캡 및 이를 구비하는 용기 마개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벤트 캡은: 용기를 밀봉하는 마개본체부에 형성된 벤트홀을 둘러싸도록 구비되고, 외부 공기가 상기 용기의 외부에서 유입되는 유입유로가 형성되는 와셔부와; 상기 벤트홀에 삽입되며, 상기 유입유로로 유입된 외부 공기가 상기 벤트홀로 유입되도록 연결유로가 형성되는 연결부; 및 상기 용기의 내부에서 상기 벤트홀을 개폐하도록 상기 마개본체부의 타측에 구비되는 개폐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상기 개폐부로부터 상기 벤트홀을 관통하여 상기 마개본체부의 일측으로 돌출되도록 연장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에 상기 연결유로가 형성되도록 상기 삽입부의 외주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유입홈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연결부를 상기 와셔부에 지지시키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연결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와셔부가 상기 마개본체부와의 사이에 개재되도록 상기 와셔부에 안착되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와셔부에 의해 지지된 상기 연결부에 의해 상기 마개본체부의 타측에 밀착되어 상기 벤트홀을 폐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상기 개폐부를 당겨 상기 마개본체부의 타측에 밀착시키는 수축력을 갖도록 신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개폐부는, 상기 용기 내부의 압력이 낮아지면 형상 또는 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변화되며 상기 벤트홀을 개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입유로는, 외부 공기가 상기 용기의 외부에서 유입되는 제1유입유로 및 상기 연결유로와 연결되는 제2유입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와셔부는, 상기 제1유입유로를 상기 용기의 외부와 연통시키는 제1유입구 및 상기 제1유입유로를 상기 제2유입유로와 연통시키는 제2유입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유입유로와 상기 제2유입유로는 동심원을 이루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유입구는 상기 제1유입구와 다른 방향으로 상기 제1유입유로를 상기 제2유입유로 측으로 개구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용기 마개는: 용기를 밀봉하며, 밀봉된 상기 용기의 내부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벤트홀이 형성되는 마개본체부; 및 상기 용기 내부의 압력에 연동되어 외부 공기가 상기 벤트홀을 통해 상기 용기 내부로 유입되도록 상기 벤트홀을 개폐하는 벤트 캡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벤트 캡은, 상기 용기의 외부에서 상기 벤트홀을 둘러싸도록 상기 마개본체부의 일측에 구비되며, 외부 공기가 상기 용기의 외부에서 유입되는 유입유로가 형성되는 와셔부와; 상기 벤트홀에 삽입되며, 상기 유입유로로 유입된 외부 공기가 상기 벤트홀로 유입되도록 연결유로가 형성되는 연결부; 및 상기 용기의 내부에서 상기 벤트홀을 개폐하도록 상기 마개본체부의 타측에 구비되는 개폐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상기 개폐부로부터 상기 벤트홀을 관통하여 상기 마개본체부의 일측으로 돌출되도록 연장되는 삽입부; 및 상기 연결부에 상기 연결유로가 형성되도록 상기 삽입부의 외주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유입홈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벤트 캡은, 상기 연결부를 상기 와셔부에 지지시키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연결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와셔부가 상기 마개본체부와의 사이에 개재되도록 상기 와셔부에 안착되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와셔부에 의해 지지된 상기 연결부에 의해 상기 마개본체부의 타측에 밀착되어 상기 벤트홀을 폐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상기 개폐부를 당겨 상기 마개본체부의 타측에 밀착시키는 수축력을 갖도록 신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개폐부는, 상기 용기 내부의 압력이 낮아지면 형상 또는 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변화되며 상기 벤트홀을 개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입유로는, 외부 공기가 상기 용기의 외부에서 유입되는 제1유입유로 및 상기 연결유로와 연결되는 제2유입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와셔부는, 상기 제1유입유로를 상기 용기의 외부와 연통시키는 제1유입구 및 상기 제1유입유로를 상기 제2유입유로와 연통시키는 제2유입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유입유로와 상기 제2유입유로는 동심원을 이루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유입구는 상기 제1유입구와 다른 방향으로 상기 제1유입유로를 상기 제2유입유로 측으로 개구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용기 내부에 수용된 액체의 온도 변화 등과 같은 상태 변화와 관계 없이 용기 내부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킴으로써, 용기 내부에 수용된 액체의 상태 변화로 인해 찌그러짐 등과 같은 용기 형상의 변화 또는 용기의 파손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마개의 설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용기 마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와셔부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용기 마개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용기 마개의 일부분을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벤트 캡의 벤트홀 개방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용기 마개의 일부분을 도시한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벤트 캡 및 이를 구비하는 용기 마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마개의 설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용기 마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와셔부의 배면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용기 마개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용기 마개의 일부분을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마개(300)는, 마개본체부(100) 및 벤트 캡(200)을 포함한다.
마개본체부(100)는 용기(10)의 주입구(부호생략)에 끼워져 결합됨으로써 용기(10)를 밀봉한다. 이러한 마개본체부(100)에는 용기(10)의 내부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벤트홀(110)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벤트홀(110)은 마개본체부(100)의 중앙 부분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벤트 캡(200)은 마개본체부(100)에 설치된다. 벤트 캡(200)은 용기(10) 내부의 압력에 연동되어 외부 공기가 벤트홀(110)을 통해 용기(10) 내부로 유입되도록 벤트홀(110)을 개폐한다. 이러한 벤트 캡(200)은 와셔부(210)와, 연결부(220)와, 개폐부(230) 및 지지부(240)를 포함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와셔부(210)는 용기(10)의 외부, 즉 마개본체부(100)의 일측에서 벤트홀(110)을 둘러싸도록 마개본체부(100)의 일측에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마개본체부(100)의 일측은 용기(10)의 외부에 위치되는 마개본체부(100)의 상부면인 것으로, 마개본체부(100)의 타측은 용기(10)의 내부에 위치되는 마개본체부(100)의 하부면인 것으로 예시된다.
와셔부(210)는 내부에 중공(부호생략)이 형성된 링 형태로 형성된다. 와셔부(210)는 중공이 형성된 부분이 벤트홀(110)을 둘러싸도록 마개본체부(100)의 일측에 안착된다. 와셔부(210)의 일측에는 후술할 지지부(240)가 안착되며, 와셔부(210)의 타측은 마개본체부(100)의 일측에 안착된다.
와셔부(210)의 내부에는 외부 공기가 용기(10)의 외부에서 유입되는 유입유로(a,b)가 형성된다. 유입유로(a,b)는 제1유입유로(a) 및 제2유입유로(b)를 포함한다.
제1유입유로(a)는 외부 공기가 용기(10)의 외부에서 와셔부(2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통과 경로를 형성하며, 제2유입유로(b)는 제1유입유로(a)로 유입된 공기가 후술할 연결부(220)에 형성된 연결유로(c)로 유입되는 공기의 통과 경로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유입유로(a)와 제2유입유로(b)는 동심원을 이루도록 배치되며, 제2유입유로(b)는 와셔부의 내부에 형성된 중공 부분에 해당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에 따르면, 제1유입유로(a)는 와셔부(210)의 외측벽(211)에 의해 와셔부(210)의 외부 공간, 즉 용기(10)의 외부와 구분되며, 제2유입유로(b)는 와셔부(210)의 내측벽(213)에 의해 제1유입유로(a)와 구분된다.
또한, 와셔부(210)에는 제1유입구(212)와 제2유입구(214)가 형성된다. 제1유입구(212)는 와셔부(210)의 외측벽(211)에 관통되게 형성되어 제1유입유로(a)를 용기(10)의 외부와 연통시킨다. 그리고 제2유입구(214)는 와셔부(210)의 내측벽(213)에 관통되게 형성되어 제1유입유로(a)를 제2유입유로(b)와 연통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제1유입구(212)와 제2유입구(214)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에 따르면, 제2유입구(214)는 제1유입구(212)와 다른 방향, 예를 들면 제1유입구(212)와 반대 방향으로 제1유입유로(a)를 제2유입유로(b) 측으로 개구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제1 및 제2유입구(212,214)는, 제2유입유로(b)로부터 제1유입유로(a)를 거쳐 와셔부(210)의 외부로 이어지는 공기의 통과 경로가 다수의 절곡점을 포함하는 형태로 형성되도록 하는 한편, 이러한 경로에 포함되는 제1유입유로(a)의 길이를 늘임으로써, 공기의 통과 경로의 길이가 길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은 와셔부(210)의 내부 구조에 의해 형성되는 유입유로(a,b)는, 외부 공기가 연결유로(c)로 원활하게 유입되도록 하면서도, 연결유로(c)를 통해 새어 나오는 용기(10) 내부의 공기는 와셔부(210)의 외부로 배출되기 어렵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연결부(220)는 벤트홀(110)에 삽입되도록 구비된다. 연결부(220)에는 유입유로(a,b)로 유입된 외부 공기가 벤트홀(110)로 유입되도록 연결유로(c)가 형성된다. 이러한 연결부(220)는 삽입부(221)와 유입홈부(223)를 포함한다.
삽입부(221)는 후술할 개폐부(230)로부터 벤트홀(110)을 관통하여 마개본체부(100)의 일측으로 돌출되도록 연장된다. 이러한 삽입부(221)의 일측은 마개본체부(100)의 일측으로 돌출되어 와셔부(210)의 중공 부분, 즉 제2유입유로(b) 상에 위치되고, 삽입부(221)의 타측은 용기(10)의 내부에서 개폐부(230)와 연결된다.
유입홈부(223)는 삽입부(221)의 외주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며, 삽입부(22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유입홈부(223)는 연결부(220) 상에 유입유로(a,b)와 벤트홀(110) 사이를 잇는 연결유로(c)가 형성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한다.
개폐부(230)는 용기(10)의 내부에서 벤트홀(110)을 개폐하도록 마개본체부(100)의 타측에 구비된다. 개폐부(230)는 벤트홀(110)을 덮도록 마개본체부(100)의 타측에 밀착되어 벤트홀(110)을 폐쇄하며, 그 형상 또는 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변화되며 벤트홀(110)을 개방한다. 이러한 개폐부(230)는 삽입부(221)의 타측과 연결되어 삽입부(221)에 의해 마개본체부(100) 측으로 지지됨으로써, 마개본체부(100)의 타측에 밀착될 수 있다.
아울러, 마개본체부(100)의 타측과 마주보는 개폐부(230)의 일측에는, 개폐홈부(231)가 형성된다. 개폐홈부(231)는 외부 공기의 용기(10) 내부로의 유입이 원활해지도록 하는 역할과 함께 용기(10) 내부의 공기 배출이 억제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개폐홈부(231)는, 개폐부(230) 일부분의 두께를 감소시켜 개폐부(230)의 변형이 용이해지도록 함으로써, 개폐부(230)의 벤트홀(110) 개방이 좀 더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와 함께 개폐홈부(231)는, 용기(10) 내부에서 벤트홀(110)로 새어나가는 공기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용기(10) 내부의 공기 배출이 억제될 수 있도록 기능한다.
지지부(240)는 연결부(220)를 와셔부(210)에 지지시키도록 구비된다. 지지부(240)는 삽입부(221)의 일측에 위치되고, 삽입부(221)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지지부(240)는 와셔부(210)가 마개본체부(100)와 지지부(240) 사이에 개재되도록 와셔부(210)의 일측에 안착된다. 그리고 제2유입유로(b)의 와셔부(210) 일측으로 개방된 부분은, 이와 같이 와셔부(210)의 일측에 안착된 지지부(240)에 의해 덮여져 폐쇄된다.
한편, 연결부(220)는 신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부(220)와 개폐부(230) 및 지지부(240)가 일체로 형성되며 신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에 따르면, 연결부(220)는 개폐부(230)를 당겨 마개본체부(100)의 타측에 밀착시키는 수축력을 갖는다. 이러한 연결부(220)는, 그 일측이 와셔부(210)의 일측에 안착된 지지부(240)에 의해 와셔부(210)에 지지된 상태에서, 지지부(240)를 수축시키고자 하는 수축력에 의해 개폐부(230)를 당겨 마개본체부(100)의 타측에 밀착시킨다.
다른 시점에서 살펴보면, 연결부(220)는, 그 타측이 개폐부(230)에 의해 마개본체부(110) 상에 지지된 상태에서, 지지부(240)를 수축시키고자 하는 수축력에 의해 지지부(240)를 당겨 와셔부(210)를 가압함으로써, 와셔부(210)를 마개본체부(100)의 일측에 밀착시킨다.
즉 연결부(220)는, 유입유로(a,b)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가 벤트홀(110)로 유입되는 연결유로(c)가 형성되는 매개체 역할을 함과 함께, 와셔부(210)와 개폐부(230)를 마개본체부(100) 상에 밀착시키며 고정시키는 매개체 역할을 한다.
한편, 본 실시예의 벤트 캡(200)은 지지부(240)로부터 연결부(22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게 돌출 형성되는 손잡이부(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부(250)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도록 마련된 부분으로써, 사용자는 손잡이부(250)를 손으로 잡고 연결부(220)와 개폐부(230) 및 지지부(240)의 결합체를 마개본체부(100) 및 와셔부(210)에 끼움 결합시킬 수 있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벤트 캡의 벤트홀 개방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용기 마개의 일부분을 도시한 확대도이다.
이하,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벤트 캡 및 이를 구비하는 용기 마개의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액체의 주입이 완료된 용기(10)는 마개본체부(100)가 주입구에 끼워져 결합됨으로써 밀봉된다. 이때, 마개본체부(100)에 관통되게 형성된 벤트홀(110)은 마개본체부(100)의 타측에 밀착된 개폐부(230)에 의해 폐쇄되며, 이에 따라 용기(10)의 밀봉 상태가 유지된다.
용기(10)의 내부에 수용된 액체의 상태가 변화되고 이에 따라 용기(10) 내부의 압력이 변화되면, 벤트 캡(200)은 변화된 용기(10) 내부의 압력에 연동되어 작동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용기(10)의 내부에는 고온의 액체가 주입되고, 이 액체는 온도가 하강됨에 따라 부피가 감소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용기(10)의 내부에 수용된 고온의 액체의 온도가 시간이 흐름에 따라 하강되고, 이에 따라 액체의 부피가 감소되면, 용기(10) 내부의 압력은 액체의 부피 감소에 의해 감소된다.
이처럼 용기(10) 내부의 압력이 감소됨에 따라, 개폐부(230)는 용기(10) 내부의 압력 변화에 연동되어 그 형상 또는 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변화된다. 즉 개폐부(230)는, 용기(10) 내부의 압력이 감소됨에 따라 마개본체부(100)의 하부 방향으로 작용되는 힘을 받게 된다.
이에 따라 개폐부(230)는, 벤트홀(110)을 덮고 있던 부분이 하부 방향으로 절곡되는 형태로 그 형상이 변화되거나, 연결부(220)가 마개본체부(100)의 하부 방향으로 신장됨에 따라 하부 방향으로 이동되는 형태로 그 위치가 변화될 수 있다. 이처럼 개폐부(230)는 형상 또는 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변화되며 벤트홀(110)을 개방한다.
상기와 같이 벤트홀(110)이 개방되면, 외부 공기가 벤트홀(110)을 통해 용기(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러한 외부 공기는, 먼저 제1유입구(212)를 통해 와셔부(210) 내부의 제1유입유로(a)로 유입된 후, 제2유입구(214)를 통해 제2유입유로(b)로 유입된다.
제2유입유로(b)로 유입된 외부 공기는, 연결부(220)에 형성된 연결유로(c)를 통해 벤트홀(110)로 유입된 후, 개폐부(230)가 벤트홀(110)을 개방한 상태에서 용기(10)의 내부로 유입된다. 이와 같이 외부 공기가 용기(10)의 내부로 유입됨에 따라, 용기(10) 내부의 압력은 감소되기 전의 압력, 예를 들면 대기압에 대응되는 압력으로 상승되며, 이에 따라 개폐부(230)는 원상태로 복귀되어 벤트홀(110)을 다시 폐쇄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벤트 캡(200)은 용기(10) 내부의 압력 변화에 연동되어 벤트홀(110)을 개폐함으로써, 용기(10) 내부에 수용된 액체의 상태 변화로 인해 변화된 용기(10) 내부의 압력을 변화 전 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벤트 캡(200) 및 이를 구비하는 용기 마개(300)는, 용기(10) 내부에 수용된 액체의 온도 변화 등과 같은 상태 변화와 관계 없이 용기(10) 내부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킴으로써, 용기(10) 내부에 수용된 액체의 상태 변화로 인해 찌그러짐 등과 같은 용기(10) 형상의 변화 또는 용기(10)의 파손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마개본체부 110 : 벤트홀
200 : 벤트 캡 210 : 와셔부
211 : 외측벽 212 : 제1유입구
213 : 내측벽 214 : 제2유입구
220 : 연결부 221 : 삽입부
223 : 유입홈부 230 : 개폐부
240 : 지지부 250 : 손잡이부
300 : 용기 마개

Claims (14)

  1. 용기를 밀봉하는 마개본체부에 형성된 벤트홀을 둘러싸도록 구비되고, 외부 공기가 상기 용기의 외부에서 유입되는 유입유로가 형성되는 와셔부;
    상기 벤트홀에 삽입되며, 상기 유입유로로 유입된 외부 공기가 상기 벤트홀로 유입되도록 연결유로가 형성되는 연결부; 및
    상기 용기의 내부에서 상기 벤트홀을 개폐하도록 상기 마개본체부의 타측에 구비되는 개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입유로는, 외부 공기가 상기 용기의 외부에서 유입되는 제1유입유로 및 상기 연결유로와 연결되는 제2유입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와셔부는, 상기 제1유입유로를 상기 용기의 외부와 연통시키는 제1유입구 및 상기 제1유입유로를 상기 제2유입유로와 연통시키는 제2유입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트 캡.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개폐부로부터 상기 벤트홀을 관통하여 상기 마개본체부의 일측으로 돌출되도록 연장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에 상기 연결유로가 형성되도록 상기 삽입부의 외주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유입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트 캡.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를 상기 와셔부에 지지시키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트 캡.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연결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와셔부가 상기 마개본체부와의 사이에 개재되도록 상기 와셔부에 안착되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와셔부에 의해 지지된 상기 연결부에 의해 상기 마개본체부의 타측에 밀착되어 상기 벤트홀을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트 캡.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개폐부를 당겨 상기 마개본체부의 타측에 밀착시키는 수축력을 갖도록 신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트 캡.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용기 내부의 압력이 낮아지면 형상 또는 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변화되며 상기 벤트홀을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트 캡.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입유로와 상기 제2유입유로는 동심원을 이루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유입구는 상기 제1유입구와 다른 방향으로 상기 제1유입유로를 상기 제2유입유로 측으로 개구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트 캡.
  8. 용기를 밀봉하며, 밀봉된 상기 용기의 내부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벤트홀이 형성되는 마개본체부; 및
    상기 용기 내부의 압력에 연동되어 외부 공기가 상기 벤트홀을 통해 상기 용기 내부로 유입되도록 상기 벤트홀을 개폐하는 벤트 캡을 포함하고;
    상기 벤트 캡은 상기 용기의 외부에서 상기 벤트홀을 둘러싸도록 상기 마개본체부의 일측에 구비되며, 외부 공기가 상기 용기의 외부에서 유입되는 유입유로가 형성되는 와셔부;
    상기 벤트홀에 삽입되며, 상기 유입유로로 유입된 외부 공기가 상기 벤트홀로 유입되도록 연결유로가 형성되는 연결부; 및
    상기 용기의 내부에서 상기 벤트홀을 개폐하도록 상기 마개본체부의 타측에 구비되는 개폐부를 포함하며;
    상기 유입유로는, 외부 공기가 상기 용기의 외부에서 유입되는 제1유입유로 및 상기 연결유로와 연결되는 제2유입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와셔부는, 상기 제1유입유로를 상기 용기의 외부와 연통시키는 제1유입구 및 상기 제1유입유로를 상기 제2유입유로와 연통시키는 제2유입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마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개폐부로부터 상기 벤트홀을 관통하여 상기 마개본체부의 일측으로 돌출되도록 연장되는 삽입부; 및
    상기 연결부에 상기 연결유로가 형성되도록 상기 삽입부의 외주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유입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마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벤트 캡은, 상기 연결부를 상기 와셔부에 지지시키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마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연결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와셔부가 상기 마개본체부와의 사이에 개재되도록 상기 와셔부에 안착되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와셔부에 의해 지지된 상기 연결부에 의해 상기 마개본체부의 타측에 밀착되어 상기 벤트홀을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마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개폐부를 당겨 상기 마개본체부의 타측에 밀착시키는 수축력을 갖도록 신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마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용기 내부의 압력이 낮아지면 형상 또는 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변화되며 상기 벤트홀을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마개.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입유로와 상기 제2유입유로는 동심원을 이루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유입구는 상기 제1유입구와 다른 방향으로 상기 제1유입유로를 상기 제2유입유로 측으로 개구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마개.
KR20140092867A 2014-07-22 2014-07-22 벤트 캡 및 이를 구비하는 용기 마개 KR1014911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92867A KR101491107B1 (ko) 2014-07-22 2014-07-22 벤트 캡 및 이를 구비하는 용기 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92867A KR101491107B1 (ko) 2014-07-22 2014-07-22 벤트 캡 및 이를 구비하는 용기 마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9278A Division KR20140052751A (ko) 2012-10-25 2012-10-25 벤트 캡 및 이를 구비하는 용기 마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0812A KR20140110812A (ko) 2014-09-17
KR101491107B1 true KR101491107B1 (ko) 2015-02-11

Family

ID=51756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92867A KR101491107B1 (ko) 2014-07-22 2014-07-22 벤트 캡 및 이를 구비하는 용기 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11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38172B (zh) * 2019-05-21 2024-05-03 东莞市迈华电子科技有限公司 抽液泵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64356A2 (en) * 2007-11-09 2009-05-22 Tarlow Jordan S Vacuum container having air release valve cover
KR20090006407U (ko) * 2007-12-24 2009-06-29 주식회사 인터홈 음식물용기 뚜껑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64356A2 (en) * 2007-11-09 2009-05-22 Tarlow Jordan S Vacuum container having air release valve cover
KR20090006407U (ko) * 2007-12-24 2009-06-29 주식회사 인터홈 음식물용기 뚜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0812A (ko) 2014-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95625B2 (en) Heterogeneous contents mixing container with improved productivity and sealing ability
EP3480130B1 (en) Discharge container
WO2018062436A1 (ja) 吐出容器
CN102770356A (zh) 包装件
KR101396617B1 (ko) 캔 덮개의 4중 밀폐구조
KR102341050B1 (ko) 캡 유닛 및 음료용 용기
KR20180101257A (ko) 캡 유닛 및 캡 부착 용기
JP2014193747A (ja) 注出容器
KR101491107B1 (ko) 벤트 캡 및 이를 구비하는 용기 마개
TWI607933B (zh) 包含一中空可移除外蓋的瓶子
KR101504428B1 (ko) 용기 마개
KR200497215Y1 (ko) 액상 내용물 포장 용기용 마개
KR20140052751A (ko) 벤트 캡 및 이를 구비하는 용기 마개
KR101415854B1 (ko) 공기유입 차단 기능을 갖는 액상용기
KR20200027572A (ko) 폼 절연물을 갖는 누설 방지 용기 뚜껑
WO2020042831A1 (zh) 采用真空原理的环保汲取装置
CN104843306A (zh) 托盘弯曲吸管盖
CN206590337U (zh) 抽真空密封盖
KR200480748Y1 (ko) 에어 통기부를 구비한 저장용기
KR101757393B1 (ko) 교체캡을 구비한 펌프용기
JP5481288B2 (ja) コンタクトレンズ収容容器
KR101486079B1 (ko) 이종물질 수용장치의 밀폐부 구조
JP2007302253A (ja) 吐出容器
KR20180003103U (ko) 밀폐구조 튜브형 화장품용기
JP6621297B2 (ja) フィルム体を吐出体の天壁部に押し付けるカバー体を備える吐出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