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9223A - 단열성이 향상된 목조 주택의 경량 목구조 및 그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단열성이 향상된 목조 주택의 경량 목구조 및 그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9223A
KR20170009223A KR1020150100922A KR20150100922A KR20170009223A KR 20170009223 A KR20170009223 A KR 20170009223A KR 1020150100922 A KR1020150100922 A KR 1020150100922A KR 20150100922 A KR20150100922 A KR 20150100922A KR 20170009223 A KR20170009223 A KR 201700092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fter
heat insulating
tie
spaced apart
fix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0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8004B1 (ko
Inventor
성경일
Original Assignee
성경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경일 filed Critical 성경일
Priority to KR10201501009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8004B1/ko
Publication of KR201700092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92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80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80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08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comprising a prefabricated insulating layer, disposed between two other layers or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6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woo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5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열성이 향상된 목조 주택의 경량 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샛기둥과, 상기 복수개의 샛기둥의 설치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된 일측이 상기 복수개의 샛기둥의 각각의 상단에 고정 설치되는 윗깔도리를 포함하는 목조 주택의 경량 목구조에 있어서, 일단부 상부 일측에 하향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고, 일단부 하부 일측이 상기 윗깔도리 상부에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서까래 타이 및 각각의 일단부 하부 일측이 상기 경사면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서까래 및 상기 복수개의 서까래 타이 사이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단열재를 포함하되, 상기 윗깔도리의 일측, 상기 서까래 타이의 일측 및 상기 서까래의 일측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서까래를 서까래 타이의 경사면에 적층되게 설치함으로 인해 서까래 타이와 서까래 타이 사이에 단열재가 설치되는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어 서까래를 서까래 타이와 나란하게 설치하는 종래방식과 같이 단열재가 설치되는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지 않아 단열재를 서까래의 경사각도에 맞추어 절단하지 않아도 되므로 단열재를 온전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어 종래방식에 비해 단열성이 보다 향상된다.
또한, 단열재를 서까래의 경사각도에 맞추어 절단하거나, 서까래를 윗깔도리에 걸치기 위한 걸침턱을 가공해야 하는 추가적인 공정이 요구되지 않아 이에 따른 작업 효율의 향상으로 보다 빠른 시공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하나의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샛기둥, 윗깔도리, 서까래 타이 및 서까래를 한꺼번에 상호 결합시킴으로써, 구조적인 안전성이 증대될 뿐 아니라 고정부재의 사용이 최소화되어 이에 따른 시공 비용 절감 및 작업 효율이 향상으로 보다 빠른 시공이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하나의 고정부재를 통해 단열재의 이탈 방지 기능 까지 제공함으로써, 단열재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이탈 방지 플레이트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이에 따른 비용이 절감된다.

Description

단열성이 향상된 목조 주택의 경량 목구조 및 그 시공 방법{Light Weight Wood Framing System of Timber Hous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reof}
본 발명은 목조 주택의 경량 목구조 및 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서까래 타이와 서까래의 설치구조를 개선하여 서까래 타이 사이에 설치되는 단열재의 설치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한 단열성이 향상된 목조 주택의 경량 목구조 및 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양림이나 전원 단지 등에는 자연 환경과 조화를 이루면서 친환경적 재료인 목재를 이용한 목조 주택이 널리 건축되고 있다.
목조 주택은 목재를 구조재로 사용하므로 친환경적이며, 환경에 따라 습기를 흡수하거나 품고 있던 습기를 내뿜어 주는 특성을 가지고 있을 뿐 아니라, 목재 특유의 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다른 양식의 주택에 비해 실내 환경을 더욱 쾌적하게 유지시켜 주는 장점이 있다.
위와 같은 목조 주택은 구조재로 사용된 목재의 종류에 따라 통나무 주택, 기둥보 구조 주택, 경량 목구조 주택으로 구분되며, 최근에는 타구조에 비해 시공속도가 빠를 뿐 아니라 에너지 효율 및 단열 효과가 뛰어난 경량 목구조 주택이 선호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목조 주택의 경량 목구조의 일실시예을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도 1의 경량 목구조에 설치되는 서까래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종래 목조 주택의 경량 목구조의 다른 실시예을 도시한 것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종래의 목조 주택의 경량 목구조는 설치 대상영역에 수직하게 설치되고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어 벽체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샛기둥(100)과, 상기 복수개의 샛기둥(100)의 상단에 수평하게 설치되어 상기 복수개의 샛기둥에 고정 설치되는 윗 깔도리(200)와, 각각의 일단부가 상기 윗 깔도리(200) 상부에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장선(300)과, 일단부가 각각의 상기 장선(300)의 측방에 설치되고 타단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서까래(400)와, 일단부가 상기 윗 깔도리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장선과 상기 서까래 간에 배치되는 단열재(500)와, 양측단이 상기 장선과 상기 서까래 간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단열재의 일단에 지지되어 상기 단열재(500)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 플레이트(6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목조 주택의 경량 목구조는 단열재(500)가 배치되는 공간이 충분히 확보되지 않아 단열재(500)의 일단부를 경사지게 배치되는 서까래(400)의 경사 각도에 맞추어 절단해야 한다.
이로 인해 단열재(500)의 단열값의 손실이 발생되어 단열 효율이 저하될 뿐 아니라 단열재(500)를 절단해야 하는 추가작업이 요구되므로 이에 따른 비용 상승 및 시공 속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서까래(400)의 일단부를 윗깔도리(200)에 걸치기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까래(400)의 일측을 절단하여 걸침턱(401)을 형성해야 함으로 이에 따른 비용 상승 및 시공 속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러한 이유로 종래 목조 주택의 경량 목구조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러스 구조를 통해 서까래(400')의 설치 높이를 상승시켜 단열재(500')가 배치되는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여 단열재를 절단하지 않고 사용함으로 인해 단열재(500')의 단열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은 서까래(400')의 복잡한 트러스 구조로 인해 소요되는 자재 수가 증가하고, 이를 상호 연결하기 위한 다수개의 고정철물(401')이 요구되는 바, 복잡한 작업 공정으로 인해 시공비용이 상승할 뿐 아니라 시공속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여전히 발생한다.
한국등록특허 제 1402959호 결구식 경량 목구조 개량형 한옥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개의 서까래 타이 사이에 단열재가 설치되는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목조 주택의 경량 목구조 및 그 시공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목조 주택의 경량 목구조를 구성하는 샛기둥, 윗깔도리, 서까래 타이, 서까래 및 단열재를 하나의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상호 결합 또는 지지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단열성이 향상된 목조 주택의 경량 목구조 및 그 시공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샛기둥과, 상기 복수개의 샛기둥의 설치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된 일측이 상기 복수개의 샛기둥의 각각의 상단에 고정 설치되는 윗깔도리를 포함하는 목조 주택의 경량 목구조에 있어서, 일단부 상부 일측에 하향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고, 일단부 하부 일측이 상기 윗깔도리 상부에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서까래 타이 및 각각의 일단부 하부 일측이 상기 경사면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서까래 및 상기 복수개의 서까래 타이 사이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단열재 및 상기 샛기둥의 일측, 상기 윗깔도리의 일측, 상기 서까래 타이의 일측 및 상기 서까래의 일측을 상호 결합시킴과 아울러 상기 단열재의 일측을 지지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목조 주택의 경량 목구조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각각의 상기 서까래 타이의 양측부 일측 및 각각의 상기 서까래의 양측부 일측에 고정 결합되는 한 쌍의 측면 플레이트부 및 상기 한 쌍의 측면 플레이트부 하단부 일측으로부터 상호 대향하는 방향으로 수직 절곡 형성되어 상기 윗깔도리의 상부 일측에 고정 결합되는 한 쌍의 위치 고정 플레이트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한 쌍의 측면 플레이트부의 일측으로부터 상호 대향하는 방향으로 수직 절곡 형성되어 상기 단열재의 일측에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윗깔도리 일측에 고정 결합되는 제 1 전면 플레이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제 1 전면 플레이트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전면 플레이트부의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샛기둥의 일측에 고정 결합되는 제 2 전면 플레이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에 따르면,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샛기둥과 상기 복수개의 샛기둥의 설치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된 일측이 상기 복수개의 샛기둥의 각각의 상단에 고정 설치되는 윗깔도리를 포함하는 경량 목구조의 시공방법은 일단부 상부 일측에 하향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된 복수개의 서까래 타이의 일단부 하부 일측을 상기 윗깔도리 상부에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하는 서까래 타이 설치단계 및 복수개의 서까래의 각각의 일단부 하부 일측을 상기 경사면에 설치하는 서까래 설치단계 및 상기 서까래 타이 사이에 단열재를 설치하는 단열재 설치단계 및 상기 샛기둥의 일측, 상기 윗깔도리의 일측, 상기 서까래 타이의 일측 및 상기 서까래의 일측을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결합시키는 고정부재 설치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서까래를 서까래 타이의 경사면에 적층되게 설치함으로 인해 서까래 타이와 서까래 타이 사이에 단열재가 설치되는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어 서까래를 서까래 타이와 나란하게 설치하는 종래방식과 같이 단열재가 설치되는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지 않아 단열재를 서까래의 경사각도에 맞추어 절단하지 않아도 되므로 단열재를 온전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어 종래방식에 비해 단열성이 보다 향상된다.
또한, 단열재를 서까래의 경사각도에 맞추어 절단하거나, 서까래를 윗깔도리에 걸치기 위한 걸침턱을 가공해야 하는 추가적인 공정이 요구되지 않아 이에 따른 작업 효율의 향상으로 보다 빠른 시공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하나의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샛기둥, 윗깔도리, 서까래 타이 및 서까래를 한꺼번에 상호 결합시킴으로써, 구조적인 안전성이 증대될 뿐 아니라 고정부재의 사용이 최소화되어 이에 따른 시공 비용 절감 및 작업 효율이 향상으로 보다 빠른 시공이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하나의 고정부재를 통해 단열재의 이탈 방지 기능 까지 제공함으로써, 단열재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이탈 방지 플레이트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이에 따른 비용이 절감된다.
도 1은 종래 목조 주택의 경량 목구조의 일실시예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의 경량 목구조에 설치되는 서까래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종래 목조 주택의 경량 목구조의 다른 실시예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열성이 향상된 목조 주택의 경량 목구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열성이 향상된 목조 주택의 경량 목구조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열성이 향상된 목조 주택의 경량 목구조를 상호 연결하는 고정부재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열성이 향상된 목조 주택의 경량 목구조의 시공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열성이 향상된 목조 주택의 경량 목구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열성이 향상된 목조 주택의 경량 목구조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열성이 향상된 목조 주택의 경량 목구조를 상호 연결하는 고정부재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열성이 향상된 목조 주택의 경량 목구조(1)는 샛기둥(10), 윗깔도리(20), 서까래 타이(30), 서까래(40), 단열재(50) 및 고정부재(60)를 포함한다.
샛기둥(10)은 목조 주택을 구성하는 벽체의 뼈대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지면에 수직하게 배치되고, 복수개가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된다.
윗깔도리(20)는 복수개의 샛기둥의 상단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복수개의 샛기둥(10)의 설치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된 일측이 복수개의 샛기둥(10)의 각각의 상단에 고정 설치된다.
이러한 윗깔도리(20)는 후술하는 서까래 타이(30) 및 단열재(50)가 설치되는 영역을 제공한다.
서까래 타이(30)는 일단부 상부 일측에 하향 경사진 경사면(31)이 형성되고, 각각의 일단부 일측이 윗깔도리(20) 상부에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며, 후술하는 서까래(40)의 하중을 지지함과 아울러 서까래(40)의 설치 영역을 제공한다.
서까래(40)는 목조 주택을 구성하는 지붕의 뼈대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일단부 하부 일측이 각각의 서까래의 타이의 경사면에 설치된다.
단열재(50)는 일단부가 윗깔도리(20) 상부에 설치되고, 각각의 서까래 타이(30) 사이에 설치되며, 샛기둥(10)에 의해 형성되는 목조 주택의 내부 공간으로 외기가 유입되거나 목조 주택의 내부 공간의 내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여 목조 주택의 내부 공간을 단열하는 역할을 한다.
고정부재(60)는 샛기둥(10), 윗깔도리(20), 서까래 타이(30) 및 서까래(40)의 일측에 고정 결합되어 샛기둥(10), 윗깔도리(20), 서까래 타이(30) 및 서까래(40)를 상호 결합시킴과 동시에 단열재(50)의 일측에 지지되어 단열재(50)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위와 같은 고정부재(60)는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열성이 향상된 목조 주택의 경량 목구조(1)를 상호 결합시키는 고정부재(60)는 측면 플레이트부(61), 위치 고정 플레이트부(62), 제 1 전면 플레이트부(63) 및 제 2 전면 플레이트부(64)를 포함한다.
측면 플레이트부(61)는 한 쌍이 서까래 타이(30) 또는 서까래(40)의 두께 만큼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고, 하단부가 서까래 타이(30)의 양측부 일측에 고정 결합되며, 상단부가 서까래(40)의 양측부 일측에 고정 결합되어 서까래 타이(30) 및 서까래(40)를 상호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측면 플레이트부(61)의 상호 이격된 공간(S)은 서까래(40)의 일단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영역을 제공한다.
위치 고정 플레이트부(62)는 각각의 측면 플레이트부(61)의 하단부 일측으로 부터 상호 대향하는 방향으로 수직 절곡 형성되고, 각각이 윗깔도리(20) 상부 일측에 고정 결합되어 상호 고정 결합된 서까래 타이(30) 및 서까래(40)와 윗깔도리(20)를 상호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 1 전면 플레이트부(63)는 한 쌍의 측면 플레이트부(61)의 일측으로부터 상호 대향하는 방향으로 수직 절곡 형성되고, 상단부가 단열재의 일단에 지지되어 단열재(50)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며, 하단부가 윗깔도리(20) 측부 일측에 고정 결합되어 상호 고정 결합되는 서까래 타이(30) 및 서까래(40)와 윗깔도리(20)를 한번 더 상호 결합시켜 상호 고정 결합되는 서까래 타이(30) 및 서까래(40)와 윗깔도리(20)가 보다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제 2 전면 플레이트부(64)는 제 1 전면 플레이트부(63)와 일체로 형성되고, 제 1 전면 플레이트부(63)의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샛기둥(10)의 일측에 고정 결합되어 상호 고정 결합되는 서까래 타이(30), 서까래(40) 및 윗깔도리(20)와 샛기둥(10)을 상호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측면 플레이트부(61), 위치 고정 플레이트부(62), 제 1 전면 플레이트부(63) 및 제 2 전면 플레이트부(64)를 포함하는 고정부재(60)를 샛기둥(10), 윗깔도리(20), 서까래 타이(30) 및 서까래(40)에 고정 결합시키는 수단은 측면 플레이트부(61), 위치 고정 플레이트부(62), 제 1 전면 플레이트부(63) 및 제 2 전면 플레이트부(64)에 형성된 고정홀(61a, 62a, 63a, 64a)을 형성하고, 고정홀(61a, 62a, 63a, 64a)을 통해 삽입되어 샛기둥(10), 윗깔도리(20), 서까래 타이(30) 및 서까래(40) 체결되는 고정 피스(미도시)가 사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측면 플레이트부(61), 위치 고정 플레이트부(62), 제 1 전면 플레이트부(63) 및 제 2 전면 플레이트부(64)를 샛기둥(10), 윗깔도리(20), 서까래 타이(30) 및 서까래(40)에 고정할 수 있는 수단이면 어느 것이든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열성이 향상된 목조 주택의 경량 목구조(1)는 서까래(40)를 서까래 타이(30)의 경사면에 적층되게 설치함으로 인해 서까래 타이(30)와 서까래 타이(30) 사이에 단열재(50)가 설치되는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어 서까래(40)를 서까래 타이(30)와 나란하게 설치하는 종래방식과 같이 단열재(50)가 설치되는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지 않아 단열재(50)를 서까래(40)의 경사각도에 맞추어 절단하지 않아도 되므로 단열재(50)를 온전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어 종래방식에 비해 단열성이 보다 향상된다.
또한, 단열재(50)를 서까래(40)의 경사각도에 맞추어 절단하거나, 서까래를 윗깔도리에 걸치기 위한 걸침턱을 가공해야 하는 추가적인 공정이 요구되지 않아 이에 따른 작업 효율의 향상으로 보다 빠른 시공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하나의 고정부재(60)를 이용하여 샛기둥(10), 윗깔도리(20), 서까래 타이(30) 및 서까래(40)를 한꺼번에 상호 결합시킴으로써, 구조적인 안전성이 증대될 뿐 아니라 고정부재(60)의 사용이 최소화되어 이에 따른 시공 비용 절감 및 작업 효율의 향상으로 보다 빠른 시공이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하나의 고정부재(60)를 통해 단열재(50)의 이탈 방지 기능 까지 제공함으로써, 단열재(5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이탈 방지 플레이트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이에 따른 비용이 절감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열성이 향상된 목조 주택의 경량 목구조의 시공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열성이 향상된 목조 주택의 경량 목구조의 시공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열성이 향상된 목조 주택의 경량 목구조의 시공방법은 서까래 타이 설치단계(S1), 서까래 설치단계(S2), 단열재 설치단계(S3) 및 고정부재 설치단계(S4)를 포함한다.
서까래 타이 설치단계에서는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되게 복수개의 샛기둥(10)을 설치하고, 상기 복수개의 샛기둥(10)의 설치 방향을 따라 배치된 윗깔도리(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된 일측을 상기 복수개의 샛기둥(10)의 각각의 상단에 고정하여 윗깔도리(20)를 설치한 상태에서 일단부 상부 일측에 하향 경사진 경사면(31)이 형성된 복수개의 서까래 타이(30)의 일단부 하부 일측을 상기 윗깔도리(20) 상부에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한다.(S1)
서까래 설치단계에서는 복수개의 서까래(40)의 각각의 일단부 하부 일측을 상기 서까래 타이(30)의 경사면(31)에 적층되도록 설치한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은 서까래(40)를 서까래 타이(30)의 경사면(31)에 적층되게 설치함으로 인해 서까래 타이(30)와 서까래 타이(30) 사이에 단열재(50)가 설치되는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어 서까래(40)를 서까래 타이(30)와 나란하게 배치하는 종래방식과 같이 단열재(50)가 설치되는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지 않아 단열재(50)를 서까래(40)의 경사각도에 맞추어 절단하지 않아도 되므로 단열재(50)를 온전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어 종래 방식에 비해 단열성이 보다 향상된다.
또한, 단열재(50)를 서까래(40)의 경사각도에 맞추어 절단하거나, 서까래(40)를 윗깔도리(20)에 걸치기 위한 걸침턱을 가공해야 하는 추가적인 공정이 요구되지 않아 이에 따른 작업 효율의 향상으로 보다 빠른 시공이 가능하게 된다.(S2)
단열재 설치단계에서는 단열재(50)의 일단부가 윗깔도리(20)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단열재(50)를 서까래 타이(30)와 서까래 타이(30) 사이에 설치한다.(S3)
고정부재 설치단계에서는 샛기둥(10)의 일측, 윗깔도리(20)의 상부 일측, 서까래 타이(30)의 양측부 일측, 서까래(40)의 양측부 일측 및 단열재(50)의 일단에 고정부재(60)가 지지되도록 배치시킨 후, 샛기둥(10)의 일측, 윗깔도리(20)의 상부 일측, 서까래 타이(30)의 양측부 일측, 서까래(40)의 양측부 일측을 별도의 고정피스(미도시)를 이용하여 상호 결합시킨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은 하나의 고정부재(60)를 이용하여 샛기둥(10), 윗깔도리(20), 서까래 타이(30) 및 서까래(40)를 한꺼번에 상호 결합시킴으로써, 구조적인 안전성이 증대될 뿐 아니라 고정부재(60)의 사용이 최소화되어 이에 따른 시공 비용 절감 및 작업 효율의 향상으로 보다 빠른 시공이 가능하게 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바람직한 실시 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 : 단열성이 향상된 목조 주택의 경량 목구조
10 : 샛기둥 20 : 윗깔도리
30 : 서까래 타이 31 : 경사면
40 : 서까래 50 : 단열재
60 : 고정부재 61 : 측면 플레이트부
62 : 위치 고정 플레이트부 63 : 제 1 전면 플레이트부
64 : 제 2 전면 플레이트부 61a, 62a, 63a, 64a : 고정홀
S : 공간

Claims (5)

  1.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샛기둥과, 상기 복수개의 샛기둥의 설치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된 일측이 상기 복수개의 샛기둥의 각각의 상단에 고정 설치되는 윗깔도리를 포함하는 목조 주택의 경량 목구조에 있어서,
    일단부 상부 일측에 하향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고, 일단부 하부 일측이 상기 윗깔도리 상부에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서까래 타이와;
    각각의 일단부 하부 일측이 상기 경사면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서까래와;
    상기 복수개의 서까래 타이 사이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단열재와;
    상기 샛기둥의 일측, 상기 윗깔도리의 일측, 상기 서까래 타이의 일측 및 상기 서까래의 일측을 상호 결합시킴과 아울러 상기 단열재의 일측을 지지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조 주택의 경량 목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각각의 상기 서까래 타이의 양측부 일측 및 각각의 상기 서까래의 양측부 일측에 고정 결합되는 한 쌍의 측면 플레이트부와;
    상기 한 쌍의 측면 플레이트부 하단부 일측으로부터 상호 대향하는 방향으로 수직 절곡 형성되어 상기 윗깔도리의 상부 일측에 고정 결합되는 한 쌍의 위치 고정 플레이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성이 향상된 목조 주택의 경량 목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한 쌍의 측면 플레이트부의 일측으로부터 상호 대향하는 방향으로 수직 절곡 형성되어 상기 단열재의 일측에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윗깔도리 일측에 고정 결합되는 제 1 전면 플레이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성이 향상된 목조 주택의 경량 목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제 1 전면 플레이트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전면 플레이트부의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샛기둥의 일측에 고정 결합되는 제 2 전면 플레이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성이 향상된 목조 주택의 경량 목구조.
  5.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샛기둥과, 상기 복수개의 샛기둥의 설치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된 일측이 상기 복수개의 샛기둥의 각각의 상단에 고정 설치되는 윗깔도리를 포함하는 목조 주택의 경량 목구조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일단부 상부 일측에 하향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된 복수개의 서까래 타이의 일단부 하부 일측을 상기 윗깔도리 상부에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하는 서까래 타이 설치단계와;
    복수개의 서까래의 각각의 일단부 하부 일측을 상기 경사면에 설치하는 서까래 설치단계와;
    상기 서까래 타이 사이에 단열재를 설치하는 단열재 설치단계와;
    상기 샛기둥의 일측, 상기 윗깔도리의 일측, 상기 서까래 타이의 일측 및 상기 서까래의 일측을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결합시키는 고정부재 설치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성이 향상된 목조 주택의 경량 목구조의 시공방법.
KR1020150100922A 2015-07-16 2015-07-16 단열성이 향상된 목조 주택의 경량 목구조 및 그 시공 방법 KR1017080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0922A KR101708004B1 (ko) 2015-07-16 2015-07-16 단열성이 향상된 목조 주택의 경량 목구조 및 그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0922A KR101708004B1 (ko) 2015-07-16 2015-07-16 단열성이 향상된 목조 주택의 경량 목구조 및 그 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9223A true KR20170009223A (ko) 2017-01-25
KR101708004B1 KR101708004B1 (ko) 2017-02-17

Family

ID=57991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0922A KR101708004B1 (ko) 2015-07-16 2015-07-16 단열성이 향상된 목조 주택의 경량 목구조 및 그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80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3147A (ko) 2017-09-21 2019-03-29 정동철 단열부재가 포함된 조립식 목재 패널 구조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0075B1 (ko) * 2012-01-27 2012-09-05 배삼성 패널조립식 한옥구조
KR101402959B1 (ko) 2012-09-12 2014-06-02 이규인 결구식 경량 목구조 개량형 한옥
KR20140139089A (ko) * 2012-03-26 2014-12-04 에스알 시스템즈, 엘엘씨 구조적 완전성과 내진성을 갖는 비틀림 저항성 건설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0075B1 (ko) * 2012-01-27 2012-09-05 배삼성 패널조립식 한옥구조
KR20140139089A (ko) * 2012-03-26 2014-12-04 에스알 시스템즈, 엘엘씨 구조적 완전성과 내진성을 갖는 비틀림 저항성 건설시스템
KR101402959B1 (ko) 2012-09-12 2014-06-02 이규인 결구식 경량 목구조 개량형 한옥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8004B1 (ko) 2017-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71631C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frame assembly and building
CN109415898B (zh) 建筑物和其建筑工艺方法
KR101708004B1 (ko) 단열성이 향상된 목조 주택의 경량 목구조 및 그 시공 방법
RU2731430C1 (ru) Здание и способ его строительства
JP6910769B2 (ja) 木造建築構造
JP2019060165A (ja) 屋根の施工方法および屋根構造体
JP5891003B2 (ja) 建物
JP5547383B2 (ja) バルコニー装置及びバルコニー装置を備えるユニット建物
JP3764020B2 (ja) 鉄骨軸組構造
JP2012072629A (ja) 建物の屋根構造
JP6102683B2 (ja) 小屋組構造及び住宅
KR101341745B1 (ko) 철물을 이용한 목조주택 지붕 조립구조 시공방법
US11319703B2 (en) Roof frame structure
JP5833854B2 (ja) 屋根軒先部の支持構造
JP4355252B2 (ja) ユニット式建物の屋根構造
JP2014141882A (ja) バルコニー装置及びバルコニー装置を備えるユニット建物
JP5705554B2 (ja) 屋根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501071Y2 (ja) ド―マ
JP2005127088A (ja) 木造建築
JP5967895B2 (ja) 床構造
JP6415194B2 (ja) 隙間の屋根構造
JP2024014175A (ja) 耐力壁構造
JPS584968Y2 (ja) 梁材
KR101621520B1 (ko) 조립식 건물의 설치구조
JP6401008B2 (ja) 屋根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