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9197A - 광케이블 피복 분리 장치 - Google Patents

광케이블 피복 분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9197A
KR20170009197A KR1020150100853A KR20150100853A KR20170009197A KR 20170009197 A KR20170009197 A KR 20170009197A KR 1020150100853 A KR1020150100853 A KR 1020150100853A KR 20150100853 A KR20150100853 A KR 20150100853A KR 20170009197 A KR20170009197 A KR 201700091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optical cable
hollow shaft
metal shield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0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영재
사단법인 희망나눔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영재, 사단법인 희망나눔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영재
Priority to KR10201501008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9197A/ko
Publication of KR201700091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91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5/00Apparatus or processes for salvaging material from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1/00Communication cables or conductors
    • H01B11/22Cables including at least one electrical conductor together with optical fib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2Recycling of waste of electrical or electronic equipment [WEEE]

Landscapes

  • Removal Of Insulation Or Armoring From Wir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케이블 피복 분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반원형 광케이블과 밀착하여 회전하는 제1롤러와, 제1롤러와 결합되고 끝단에는 스프라켓이 형성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1회전축과, 제1롤러 하부에 형성되어 반원형 광케이블과 밀착하여 회전하는 제2롤러와, 제2롤러와 결합되고 끝단에는 스프라켓이 형성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2회전축,을 포함하며, 제2롤러는 제1롤러보다 원주속도가 크도록 형성하여 광케이블이 삽입되면 금속실드와 외부피복이 두 롤러의 원주속도차에 의해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광케이블 피복 분리 장치{Separator for sheath of optical fiber cable}
본 발명은 광케이블 피복 분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폐 광케이블의 외부 피복, 금속실드, 내부 통신선을 재활용 할 수 있도록 분리시키는 광케이블 피복 분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케이블은 전기신호를 강한 빛과 약한 빛으로 변화시켜 전송하는 통신방식인 광통신에 쓰이도록 가느다란 유리섬유를 여러 가닥 묶어서 통신용으로 쓸 수 있도록 외피를 입힌 것을 말한다.
광케이블의 구조는 도1과 같이, 광케이블은 외부에 노출되어 외부 충격을 완화시키도록 형성된 외부피복(11)과, 외부피복(11) 내측에 밀착되어 전자파를 차단하고 통신선(14)을 보호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금속실드(12)와, 금속실드(12) 내측에 위치하여 통신선(14)을 보호하는 내부피복(13)과, 내부피복(13)이 고정되도록 내부피복(13)에 결합된 와이어(16)와, 내부피복(13) 내측에 다수로 형성되어 있는 통신선(14) 및 통신선(14)을 고정시키도록 통신선(14) 사이 틈에 형성되어 있는 젤(15)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광케이블은 광섬유는 동축케이블보다 가볍고 가늘어 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으면서도 대역폭이 기가급으로 기존에 사용하던 구리선보다 1백억 배나 넓다.
또한 전송속도가 매우 빠르면서도 전송오차는 1백억 분의 1에 불과해 고속 데이터 송수신과 높은 신뢰도를 필요로 하는 데이터 전송 분야에서 자주 사용되며 전송 손실이 아주 낮고 수명은 반영구적이며, 빛을 이용해 정보를 보내기 때문에 전기적인 간섭을 받지 않고 네트워크 보안성이 크다는 장점이 있어 동축케이블을 광케이블로 대체하여 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광케이블은 동축케이블과는 달리 내부에 금속실드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폐 광케이블을 재활용하기가 쉽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한국특허 공개번호 제 10-2012-0067587호는 케이블의 피복체를 벗겨내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케이블이 가이드롤러에 의하여 가이드되어 진입되어지는 진입롤러와, 상기 진입롤러를 통과하는 케이블의 피복에에 칼선을 형성하기 위한 칼날홀더부와, 상기 칼날홀더부의 칼날에 의하여 피복체에 칼선이 형성되어진 상태에서 피복체의 벌어짐을 유도하는 열팽창 영역과, 상기 열팽창영역을 통과하는 케이블이 전선과 피복체로 자동분리되지게 가이드하는 가이드관이 형성되는 피복된 회수전선의 피복체를 벗겨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피복체를 벗겨내는 방법 및 장치가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은 광케이블의 외부 피복에 열을 가열하여 피복체를 분리시키기 때문에 열에 의한 냄새 및 환경오염이 발생하고, 오랜시간 동안 피복을 가열해야 분리가 잘되므로 시간이 오래걸려 생산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특허 공개번호 제 10-2012-0067587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열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광케이블의 외부피복, 금속실드 및 통신선을 분리하여 재활용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광케이블 피복 분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광케이블의 크기에 상관없이 하나의 장치로 분리가 가능한 광케이블 피복 분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별도의 열원을 사용하지 않고 외부피복과 금속실드를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광케이블 피복 분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광케이블 피복 분리 장치는, 반원형 광케이블과 밀착하여 회전하는 제1롤러와, 제1롤러와 결합되고 끝단에는 스프라켓이 형성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1회전축과, 제1롤러 하부에 형성되어 반원형 광케이블과 밀착하여 회전하는 제2롤러와, 제2롤러와 결합되고 끝단에는 스프라켓이 형성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2회전축을 포함하며, 제2롤러는 제1롤러보다 원주속도가 크도록 형성하여 광케이블이 삽입되면 금속실드와 외부피복이 두 롤러의 원주속도차에 의해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 피복 분리 장치는 제1회전축이 인입되는 광케이블 지름에 따라 제2회전축을 향해 수직방향으로 높낮이를 조절하여 가압되는 압력을 조절하는 압착조절장치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 피복 분리 장치의 제2롤러는 제1롤러보다 원주속도가 빠르도록 하기 위해 제2롤러의 지름이 제1롤러의 지름 보다 1.2~2배 더 크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 피복 분리 장치는 제1롤러 및 제2롤러의 외주면에는 인입되는 광케이블의 금속실드와 피복이 닿는 면적을 넓히기 위해 돌기 또는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 피복 분리 장치의 제2롤러의 폭은 제1롤러보다 크며 제2롤러의 양끝단은 돌출되도록 형성하여 제1롤러가 제2롤러의 양끝단 사이에서 회전하여 광케이블이 측면으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 피복 분리 장치에 의하면 가열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광케이블의 외부피복, 금속실드 및 통신선을 분리하여 재활용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 피복 분리 장치에 의하면 광케이블의 크기에 상관없이 하나의 장치로 분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 피복 분리 장치에 의하면 별도의 열원을 사용하지 않고 외부피복과 금속실드를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광케이블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 분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 절개 장치의 전체적인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 절개 장치를 정면에서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 절개 장치의 내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 절개 장치의 측면을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 절개 장치의 보조칼날 및 와이어칼날의 위치를 나타낸 배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 절개 장치의 중공축, 조정치구, 칼날을 분리시킨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 피복 분리 장치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 피복 분리 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 피복 분리 장치의 측면을 도시한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 젤 분리 장치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 젤 분리 장치의 내부에 형성된 날개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 젤 분리 장치의 내부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들은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광케이블 피복 분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폐 광케이블의 외부 피복, 금속실드, 내부 통신선을 재활용 할 수 있도록 분리시키는 광케이블 피복 분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 분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 분리 장치는 광케이블의 외부피복과 금속실드를 절개하여 통신선이 형성된 내부피복을 분리시키는 절개 장치(100)와, 절개 장치(100)에 의해 절개된 반원형의 외부피복과 금속실드를 분리시키는 피복 분리 장치(200)와, 절개 장치(100)에 의해 분리된 통신선이 형성된 내부피복을 짧게 절단 시키는 절단 장치(500)과, 절단 장치(500)에 의해 짧게 절단된 내부피복의 내부에 통신선을 고정하기 위해 주입된 젤을 분리시키는 젤 분리 장치(300)와, 절개 장치(100), 피복 분리 장치(200), 절단 장치(500), 젤 분리 장치(300)에 동력을 공급하는 동력부(40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절개 장치(100)는 광케이블의 외부피복과 금속실드를 상측과 하측에서 반원형으로 절개시켜 내부에 있는 내부피복을 분리한 후 반원형의 외부피복과 금속실드는 피복 분리 장치(200)로 보내고, 내부피복은 절단 장치(500)로 이동시킨다.
피복 분리 장치(200)는 외부피복 내측에 결합된 금속실드를 분리시켜 외부피복과 금속실드를 각각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절단 장치(500)는 내부피복에 형성된 젤이 내부피복으로부터 쉽게 빠져나올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절단시키고 젤 분리 장치(300)로 이동하거나 별도로 수거된다.
젤 분리 장치(300)는 절단 장치(500)에 의해 절단된 내부피복을 가열시켜 젤의 점성이 작아지도록 한 후 원심력을 이용하여 내부피복의 젤이 빠져나오도록 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 절개 장치의 전체적인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 절개 장치(100)는 내부가 비어있는 중공으로 형성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며 상측과 하측에 각각 형성된 중공축(120)과, 회전축의 중앙에 위치하여 광케이블을 절개할 수 있도록 원형으로 날이 형성된 칼날(130)과, 칼날(130)의 양측에 결합하여 광케이블이 일직선으로 인입하도록 광케이블의 지름만큼 단차(141)(도8 참조)가 형성되어 있는 조정치구(140)와, 회전축의 중공에 삽입되어 칼날(130) 및 조정치구(140)가 회전축에 밀착할 수 있도록 가압하는 고정볼트(123)(도8 참조)와, 상측과 하측 회전축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제1체인(417) 및 스프라켓을 통해 회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형성된 동력부(400)(도2 참조)(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중공축(120)은 상측 중공축(121)과 하측 중공축(122)로 형성되어 도 2의 동력부(400)를 통해 회전력을 전달받아 광케이블의 피복 및 금속실드를 절개시키고 장치의 내부를 향해 밀어주도록 중앙에 결합된 칼날(130) 및 조정치구(140)를 회전시키게 된다.
또한 중앙에 칼날(130)과 조정치구(140)를 결합시키기 위해 중공축(120)은 끼움 결합을 해제하면 가운데 부분을 분리될 수 있으며 이와 관련 자세한 사항은 도 8과 함께 후술하기로 한다.
칼날(130)은 중공축(120) 중앙에 위치하여 외주면는 날카로운 날이 형성되어 있는 원판형으로 중공축(120)의 회전을 따라 회전하면서 광케이블의 피복 및 금속실드를 파고들어 절개시키고, 칼날(130)이 손상되거나 광케이블의 지름에 따라 중공축(120)으로부터 분리하여 교체할 있도록 형성해야 한다.
칼날(130)의 양측면에 위치하는 조정치구(140)는 단차(141)(도8 참조)가 형성되어 있어 인입되는 광케이블의 지름에 맞추어 교체할 수 있으며 광케이블은 상하로 형성되어 있는 조정치구(140)에 밀착되어 조정치구(140)의 회전으로 인해 장치의 내부로 밀려들어가게 된다.
고정볼트(123)(도8 참조)는 중공축(120)의 끼움 결합되는 중공에 삽입되어 중공축(120)을 일체형으로 고정시키고 중공축(120)의 중앙에 결합된 칼날(130) 및 조정치구(140)를 중공축(120)이 양측면에서 가압되도록 고정볼트(123)(도8 참조)의 양 끝단에는 너트가 결합된다.
동력부(400)(도2 참조)는 중공축(120)에 회전력을 공급하게 되며, 상측 중공축(121)과 하측 중공축(122)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 절개 장치를 정면에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 절개 장치(100)의 상측 중공축(121)과 하측 중공축(122)의 중앙에는 칼날(130)과 조정치구(140)가 장착되며, 조정치구(140) 사이에 형성된 투입홀(110)을 통해 광케이블을 인입시키게 된다.
투입홀(110)의 크기는 광케이블의 지름에 따라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해야 하며, 원형으로 된 투입홀(110) 대신 반원형이 형성된 사각형 블록을 이용하여 광케이블을 인입시킬 수도 있다.
또한 투입홀(110)은 광케이블이 조정치구(140) 사이의 정중앙에 일직선으로 투입될 수 있도록 조정치구(140)의 바로 앞까지 형성되어야 하며, 끝단에는 조정치구(140)의 지름만큼 파이도록 하여 조정치구(140)에 의해 손상되지 않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하측 중공축(122)의 일측에는 제1기어(411)와 제2기어(412)가 형성되어 있으며 동력부(400)(도2 참조)를 통해 제1기어(411)이 회전력을 전달받아 하측 중공축(122)를 회전시키게 되고, 제2기어(412)는 제1동력전달축(190)의 일측에 형성된 제3기어(413)와 맞물려 회전하게 되어 제1동력전달축(190)이 하측 중공축(122)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제1동력전달축(190)은 타측에 형성된 도3의 제4기어(414)를 통해 도 3의 제1체인(417)을 회전시키게 되며, 제1체인(417)에 맞물려 있는 상측 중공축(121)의 제5기어(415)를 회전 시키게 된다.
따라서 하측 중공축(122)은 도 2의 동력부(400)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측 중공축(121)은 제1동력전달축(190)에 형성된 제3기어(413)에 의해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인입되는 광케이블을 내측으로 밀어낼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 절개 장치의 내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 절개 장치(100)는 칼날(130)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여 칼날(130)을 통과한 광케이블 중 정상적으로 절개되지 않은 부위를 절개시키도록 상측과 하측에 형성된 보조칼날(160)과, 보조칼날(160) 후면에 위치하여 절개된 내부피복에 형성된 와이어를 제거하는 와이어칼날(170)이 더 포함하고, 상측 중공축(121)은 인입되는 광케이블의 지름에 따라 상측 또는 하측으로 수직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조칼날(160)은 상측 중공축(121)과 하측 중공축(122)에 부착된 칼날(130) 후면에 칼날(130)과 동일한 높이에서 상측 보조칼날(161)과 하측 보조칼날(161)이 형성되며, 칼날(130)이 절개한 광케이블을 한 번 더 절개시켜 부분적으로 절개되지 않은 광케이블이 있더라도 이를 완전히 절개시키게 된다.
또한 보조칼날(160)의 양측면에는 보조칼날(160)을 고정하고 하중을 분산시키도록 삼각형으로 형성된 지지대(165)가 형성되어 있어 보조칼날(160)이 무뎌지는 경우 지지대(165)에서 분리한 후 교체하여 사용할 수도 있게 된다.
와이어칼날(170)은 도 1의 광케이블(10)의 내부피복(13)에 형성된 와이어(16)를 제거하기 위해 보조칼날(160) 후면에 형성되며 일측으로 치우쳐져 형성된다.
상측 중공축(121)과 상측 보조칼날(161)의 양 끝단에는 이동블록(181)이 결합되어 있으며, 이동블록(181)은 이동축(182)에 의해 나사 결합되어 이동축의 회전에 따라 수직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도 3에서와 같이, 이동축(182)의 끝단에는 4개의 높이조절기어(416)가 이동축(182) 각각에 결합되어 있고 높이조절기어(416)의 중앙에는 높이조절장치(180)의 기어(도시되지 않음)가 4개의 높이조절기어(416)에 맞물리도록 형성된다.
사용자는 높이조절장치(180)를 회전시킴으로써 각각의 높이조절기어(416)를 동시에 같은 방향으로 같은 양만큼 회전시킬 수 있으며, 높이조절기어(416)가 회전하여 이동축(182)이 이동블록(181)을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측 중공축(121)과 상측 보조칼날(161)은 수직방향으로 동일한 높이로 이동이 가능하게 되며 광케이블의 지름이 변경되는 경우 상측 중공축(121) 및 상측 보조칼날(161)을 수직방향으로 동시에 이동할 수 있어 광케이블의 지름에 따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 절개 장치의 측면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 절개 장치(100)는 상측 중공축(121)이 수직 이동할 때 제1체인(417)이 풀리지 않도록 탄성력으로 제1체인(417)의 텐션을 조절하는 텐션조절장치(1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측 중공축(121)에 결합된 제5기어(415)는 제1동력전달축(190)에 결합된 제4기어(414)과 제1체인(417)으로 연결되어 회전하게 되며, 상측 중공축(121)이 이동할 경우 제1체인(417)이 풀리거나 제1체인(417)의 장력으로 인해 상측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되므로 제1체인(417)이 텐션을 조절할 수 있는 텐션조절장치(150)가 형성되어야 한다.
텐션조절장치(150)는 제1동력전달축(190)과 상측 중공축(121)을 연결하는 제1체인(417)의 일측을 가압하여 상측 중공축(121)이 높이조절장치(180)를 통해 수직방향으로 상승하거나 하강할 때 제1체인(417)의 텐션을 유지시켜 회전력이 정상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텐션조절장치(150)는 상측 중공축(121)이 수직방향으로 이동할 때 제1체인(417)의 장력에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 탄성력을 가진 스프링(152)이 부착되어 있다.
상측 중공축(121)이 상측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제1체인(417)의 장력에 의해 텐션조절장치(150)는 제1체인(417)을 따라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측 중공축(121)이 하부방향으로 수직이동 하면 스프링(152)에 의해 제1체인(417)을 밀어내면서 제1체인(417)의 장력을 유지시키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 절개 장치의 보조칼날 및 와이어칼날의 위치를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 절개 장치(100)의 상측 보조칼날(161)과 하측 보조칼날(162)는 칼날(130)의 후면에서 칼날(130)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며, 와이어 칼날(170)은 상측 보조칼날(161)의 후면에서 상측 보조칼날(161)의 일측으로 치우쳐져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측 보조칼날(161)과 하측 보조칼날(162)은 칼날(130)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여 칼날(130)에 의해 통과된 광케이블을 절개된 부위를 고정된 상태로 한 번 더 절개시키기 위해 형성된다.
따라서 칼날(130)에 의해 부분적으로 절개되지 않은 광케이블이 있더라도 상측 보조칼날(161)과 하측 보조칼날(162)에 의해 완전히 절개되게 되며, 상측 보조칼날(161)과 하측 보조칼날(162)의 양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삼각형 형상의 지지대(165)를 통해 광케이블의 절개된 부위가 벌어지게 된다.
와이어칼날(170)은 도 1의 내부피복에 형성된 와이어를 제거할 수 있도록 상측 보조칼날(161)의 일측에 치우쳐진 상태로 형성되며, 절개된 광케이블의 일측을 고정된 상태로 와이어가 있는 부분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인입되는 광케이블의 지름에 따라 와이어의 위치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와이어칼날(170)이 나사 결합을 통해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 절개 장치의 중공축, 조정치구, 칼날을 분리시킨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 절개 장치(100)의 중공축(120)은 끼움 결합을 해제하면 가운데 부분을 분리시킬 수 있으며, 칼날(130)과 조정치구(140)는 중공축(120)에 삽입될 수 있도록 홀이 파여져 있고, 조정치구(140)는 광케이블의 지름에 따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중공축(120)은 내측 지름이 일측과 타측이 서로 다르도록 형성되며 일측 중공축(120)에 형성된 내측 지름이 타측에 형성된 중공축(120)의 내측 지름에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중공축(120)에 삽입되는 조정치구(140)는 타측 중공축(120)과 일측 중공축(120)에 각각 삽입될 수 있도록 일측과 타측 중공축(120)에 형성된 내측지름과 동일하게 홀이 관통되어 중공축(120)의 내측 지름과 결합된다.
또한 조정치구(140)는 단차(141)의 폭을 다양하게 형성시켜 광케이블의 크기에 따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조정치구(140) 사이에 위치하는 칼날(130)은 외주면에 날이 형성된 원통형으로 되어 있어 광케이블을 절개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광케이블의 절개 깊이에 따라 다른 원형지름을 갖는 칼날(130)로 대체할 수도 있다.
중공축(120)의 중공에는 고정볼트(123)가 삽입되어 분리된 중공축(120)을 결합시켜 주며, 고정볼트(123)의 양 끝단에는 너트(124)가 결합되어 중공축(120)의 양 끝단을 가압시키게 된다.
양 끝단에서 가압되는 중공축(120)으로 인해 중공축(120)의 중앙에 위치한 조정치구(140)와 칼날(130)은 중공축(120)에 완전히 밀착되어 중공축(120)과 함께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 피복 분리 장치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 피복 분리 장치(200)는 반원형 광케이블과 밀착하여 회전하는 제1롤러(210)와, 제1롤러(210)와 결합되고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1회전축(220)과, 제1롤러(210) 하부에 형성되어 반원형 광케이블과 밀착하여 회전하는 제2롤러(230)와, 제2롤러(230)와 결합되고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2회전축(240)과, 제1회전축(220) 및 제2회전축(240)에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부(400)(도2 참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피복 분리 장치(200)는 절개 장치(100)를 통해 피복으로 둘러싸인 금속실드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반원형으로 절단된 광케이블을 인입시켜 외부피복에 압착되어 고정된 금속실드를 외부피복으로부터 분리시키게 된다.
제1회전축(220) 및 제2회전축(240)은 동력부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게 되며 중앙에는 제1롤러(210) 및 제2롤러(230)가 각각 결합되어 있다.
또한 제1회전축(220) 및 제2회전축(240)은 제1롤러(210) 및 제2롤러(230)에 인입되는 반원형의 광케이블이 내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형성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 제2동력전달축(280)의 끝단에는 제6기어(421)와 제7기어(422)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6기어(421)은 도 2의 동력부(400)와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받아 제2동력전달축(280)을 회전시키게 된다. 제2동력전달축(280)이 회전함에 따라 제7기어(422)가 회전하면서 제7기어(422)에 맞물려 있는 제2체인(425)를 회전시키게 된다.
제2체인(425)이 회전하면 제2체인(425) 내측에 위치한 제1회전축(220)의 제8기어(423)가 제2체인(425)과 동일한 방향으로 제1회전축(220)과 제1롤러(210)를 회전시키게 된다.
또한 제2체인(425)이 회전하면 제2회전축(240)의 제9기어(424)는 제2체인(425)의 외측에 맞물려 제2체인(425)의 반대방향으로 제2회전축(240)을 회전시키게 된다.
따라서 제1회전축(220)과 제2회전축(240)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절개 장치(100)를 통해 반원형으로 절개된 광케이블은 투입구(270)를 통해 제1롤러(210)와 제2롤러(230) 사이에 인입시킬 수 있게 되며, 제1롤러(210) 및 제2롤러(230)의 사이에는 인입되는 반원형의 광케이블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롤러(210)와 제2롤러(230) 사이에서 압착되어 내측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 피복 분리 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 피복 분리 장치(200)의 제2롤러(230)는 제1롤러(210)보다 원주속도가 빠르도록 하기 위해 제2롤러(230)의 지름이 제1롤러(210)의 지름보다 1.2~2배 더 크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제2롤러(230)는 제1롤러(210)보다 원주속도가 빨라 광케이블이 삽입되면 금속실드와 외부피복이 두 롤러의 원주속도차에 의해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롤러(210)와 제2롤러(230)는 반원형인 상태의 광케이블을 압착하여 인입시키므로 서로 다른 반경을 가진 외부피복과 금속실드가 평평하게 펴지면서 외부피복과 금속실드의 결합력이 떨어지게 된다.
이때 반원형으로 절개된 광케이블의 외부피복과 금속실드를 분리시키기 위해 제2롤러(230)는 제1롤러(210)의 지름보다 1.2~2배 더 크도록 형성시켜 제2롤러(230)가 제1롤러(210)에 비해 원주속도가 빨라지도록 한다.
제2롤러(230)의 지름이 제1롤러(210)보다 1.2배 미만인 경우 원주속도의 차이가 크지 않아 금속실드와 외부피복이 분리되기가 어려워지고, 2배를 초과할 경우 원주속도의 차이가 너무 크게 발생하여 슬립이 발생하고 마찰열이 발생하여 눌러 붙을 수 있다.
제1회전축(220)과 제2회전축(240)은 동일한 회전속도로 회전하게 되므로 제1롤러(210)와 제2롤러(230)는 동일한 시간동안 한 바퀴를 회전하게 된다. 그러나 제2롤러(230)의 지름이 제1롤러(210)에 비해 크기 때문에 동일한 시간동안 광케이블에 접촉되는 면적이 더 많아지게 되고 이로 인해 광케이블의 외부피복과 금속실드를 밀어내는 원주속도가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원주속도가 제2롤러(230) 보다 느린 제1롤러(210)에 밀착되어 이동되는 외부피복은 제2롤러(230)에 밀착되는 금속실드보다 느리게 이동하게 되며, 동일한 시간동안 금속실드와 외부피복의 이동하는 거리에 차이가 발생하여 분리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제1롤러(210)과 제2롤러(230)의 지름차이를 형성하는 대신 제2회전축(240)에 결합된 제9기어(424)의 지름을 작도록 형성시켜 회전속도를 빠르게 형성시켜 회전속도차에 의해 금속실드와 외부피복을 분리시킬 수도 있다.
또한 제1롤러(210) 및 제2롤러(230)의 외주면에는 인입되는 광케이블의 금속실드와 피복이 닿는 면적을 넓히기 위해 돌기 또는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외부피복과 금속실드에 닿는 제1롤러(210)와 제2롤러(230)의 외주면에는 돌기를 형성시키거나 내부를 향해 홈을 형성시켜 접촉면적을 넓히고, 마찰력을 증대시켜 제1롤러(210)와 제2롤러(230) 사이에서 미끄러짐이 발생하지 않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돌기는 반원형으로 형성되거나 사각형 형상으로 외주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시킬 수도 있다.
또한 제2롤러(230)의 폭은 A와 같이, 제1롤러(210)보다 크며 제2롤러(230)의 양끝단은 돌출되도록 형성하여 제1롤러(210)가 제2롤러(230)의 양끝단 사이에서 회전하여 광케이블이 측면으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인입되는 반원형의 광케이블이 제1롤러(210)와 제2롤러(230) 사이를 지나가도록 하기 위해 제2롤러(230)의 폭은 제1롤러(210)보다 크도록 형성하며 양끝단이 돌출되도록 하여 내측으로 파여지는 이동공간(262)을 형성시켜야 하고, 제1롤러(210)는 제2롤러(230)의 돌출된 양끝단 사이에 위치하여 제2롤러(230)의 이동공간(262)을 향해 중앙이 돌출되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따라서 인입된 반원형의 케이블은 제2롤러(230)의 이동공간(262)을 벗어나지 못하게 되고 제1롤러(210)와 제2롤러(230)에 의해 외부피복과 금속실드가 분리되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 피복 분리 장치의 측면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 피복 분리 장치(200)는 제1회전축(220)이 인입되는 광케이블 지름에 따라 제2회전축(240)을 향해 수직방향으로 높낮이를 조절하여 가압되는 압력을 조절하는 압착조절장치(26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압착조절장치(260)는 인입되는 반원형의 광케이블의 반지름 크기에 따라 도 10의 제1롤러(210)와 제2롤러(23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제1회전축(220)은 베어링블록(250) 및 압착조절장치(260)와 결합되며, 압착조절장치(260)의 상측과 하측에는 볼트(261)가 형성되어 압착조절장치(260)를 이동시켜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1회전축(220)은 상측과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공간(262)이 형성되어 있으며, 압착조절장치(260)의 하측 또는 상측에 형성된 볼트(261)를 회전시켜 압착조절장치(260)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되며, 광케이블의 다양한 지름에도 적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 젤 분리 장치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 젤 분리 장치의 내부에 형성된 날개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 젤 분리 장치(300)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부가 개구되어 있도록 형성된 케이스(310)와, 케이스(310) 내부 중앙에 형성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가동축(도시되지 않음)과, 가동축(320)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내부피복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날개부(330)와, 케이스(310)의 상부에 위치하여 열거나 닫을 수 있도록 형성되고 내측에는 내부피복을 가열시키는 가열부(350)와, 케이스(310) 하부에 위치하여 내부피복에서 분리된 젤을 수거하는 수거부(340)와, 가동축(320)을 회전시키기 위해 모터를 이용하여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부(400)(도2 참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며, 가열부(350)로 인해 가열된 내부피복 내측의 젤은 점성이 약해지고 가동축(320)의 회전으로 발생하는 원심력으로 인해 내부피복으로부터 젤이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날개부(330)는 상부가 개구된 인입부(335)가 형성되어 있어 도 2의 절단장치(500)에 의해 짧게 잘려진 내부피복을 넣을 수 있으며, 젤이 날개부(330)에서 빠져나올 수 있도록 망사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케이스(310)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으로 상부가 개구되어 있으며 하측 일부에는 젤이 이동할 수 있는 파이프(341)가 결합되어 있고, 도 2의 절단 장치(500)에 의해 짧게 절단된 내부피복을 넣을 수 있도록 날개부(330)가 형성되어 있다.
내부피복은 내부에 통신선이 형성되어 있고 통신선을 고정시키기 위해 젤이 도포되어 있다.
가열부(350)는 케이스(310)의 개구된 부분을 덮거나 열 수 있는 뚜껑형식으로 되어 있으며 외측에는 열고 듣을 수 있도록 손잡이(351)가 형성되어 있고 가열부(350) 내측에는 가열장치(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어 가열장치에서 발생하는 열원을 이용하여 케이스(310) 내부를 가열할 수 있게 된다.
가열장치(352)는 날개부(330)에 담긴 광케이블의 내부피복 내측에 통신선을 고정시키기 위해 형성된 젤의 점성이 약해지도록 광케이블의 내부피복을 지속적으로 가열시킨다.
날개부(330)는 광케이블의 내부피복에 형성된 젤을 케이스(310)를 향해 배출되도록 망사형태로 되어 있고 날개부(330)의 중앙에는 도 14의 가동축(320)이 결합되어 있고 도2의 동력부(400)를 통해 풀리(321)로 전달된 회전력이 도 14의 가동축(320)을 회전시키며 이로 인해 날개부(330)가 회전하게 된다.
가열부(350)에 의해 점성이 약해진 젤은 날개부(330)가 회전하면서 원심력에 의해 케이스(310) 내측벽을 향해 밀려 나오게 된다.
또한 망사 형태 형성되어 내부피복을 저장할 수 있는 분리케이스(도시되지 않음)에 내부피복을 넣어 인입부(335)에 분리케이스를 공급하고 회수할 수 있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수거부(340)는 케이스(310) 내부에서 내부피복으로부터 분리된 젤을 지정폐기물 처리를 할 수 있도록 저장하는 용기로 형성되어 있으며 용기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 젤 분리 장치의 내부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 젤 분리 장치(300)는 케이스(310) 내부에는 온도센서(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어 가열부(350)가 케이스(310) 내부를 설정된 온도로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가열부(350)에는 공기를 순환시키는 팬(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어 가열된 공기가 케이스(310) 내부의 온도를 균일하게 가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케이스(310) 하부는 내부피복으로부터 분리된 젤이 수거부(340)로 유입될 수 있도록 B와 같이 경사로(31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열부(350)의 하부면에 위치한 가열장치(352)를 이용하여 광케이블의 날개부(330)에 담긴 광케이블의 내부피복을 가열하여 내부피복에 형성된 젤의 점성을 약하게 하여 분리가 될 수 있도록 내부 온도를 높이게 된다.
가열장치(352)는 고주파발생기 또는 전기열선을 이용하여 케이스(310) 내부를 가열할 수 있으며, 케이스(310)의 내측면에는 열판과 단열재를 설치하여 열손실을 줄이고 온도가 빠르게 상승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케이스(310) 내부에는 온도센서(도시되지 않음)를 형성하여 가열장치(352)로 인해 케이스(310) 내부 온도를 150~250℃ 범위를 벗어나지 않도록 해야 하며, 온도센서는 별도의 제어장치(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가열장치(352)가 설정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자동으로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도록 형성해야 한다.
내부 온도가 150℃ 미만인 경우 젤의 점성에 큰 변화가 없어 원심력을 이용하더라도 젤이 외부로 나오지 못하게 되며, 내부 온도가 250℃를 초과하는 경우 젤의 수분 증발이 빨라 내부피복 내에 고착화될 수 있다.
또한 가열부(350)는 내부 공기를 순환시켜 대류열전달을 발생시켜 광케이블 내부피복을 빠르게 가열시키는 팬(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될 수도 있으며, 가열장치(352)의 열원으로 인해 가열된 공기가 케이스(310) 하부방향으로 공기를 순환시켜 케이스(310) 내부의 온도를 균일하게 할 수도 있다.
가열장치(352)에 의해 가열되어 점성이 약해진 내부피복의 젤은 가동축(320)을 통해 회전하는 날개부(330)의 원심력으로 인해 내부피복으로부터 빠져나오게 되며, 망사형태의 날개부(330)를 통과하여 케이스(310) 내측벽으로 흩날리게 된다.
시간이 지날수록 내부피복에서 점성이 약해진 젤이 다량으로 빠져나오게 되며 케이스(310) 하부에 형성된 경사로(311)를 통해 파이프(341)를 거쳐 수거부(340)로 이동하여 저장되며 폐기물 처리시 수거부(340)에서 파이프(341)를 분리하여 폐기처분 할 수 있게 된다.
수거부(340) 내부에는 젤의 수위를 확인할 수 있는 수위센서(342)가 형성되어 있고, 젤이 일정량 이상 수거되면 경고음을 발생시켜 수거부(340)를 교체할 수 있도록 경고를 발생할 수도 있다.
가동축(320)은 10~20분 동안 회전하여 날개부(330)의 내부피복에서 젤이 빠져나오도록 원심력을 발생시키며, 젤이 분리가 된 내부피복은 날개부(330)에서 수거하여 내부피복에서부터 통신선을 쉽게 분리할 수 있게 되며, 통신선은 차핑을 이용하여 구리와 피복을 분리하게 된다.
원심력을 발생시키는 가동축(320)의 회전속도는 1000~2000rpm에서 유지해야 하며, 회전속도가 1000rpm 미만인 경우 원심력이 작아 젤을 추출하기 어렵고 2000rpm을 초과하는 경우 젤과 함께 통신선도 추출되어 수거부(340)에 젤과 함께 유입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 피복 분리 장치에 의하면 가열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광케이블의 외부피복, 금속실드 및 통신선을 분리하여 재활용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하며, 광케이블의 크기에 상관없이 하나의 장치로 분리가 가능하고, 별도의 열원을 사용하지 않고 외부피복과 금속실드를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의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한다.
10: 광케이블
11 : 외부피복 12 : 금속실드
13 : 내부피복 14 : 통신선
15 : 젤 16 : 와이어
100 : 절개 장치
110 : 투입홀 120 : 중공축
121 : 상측 중공축 122 : 하측 중공축
123 : 고정볼트 124 : 너트
130 : 칼날 140 : 조정치구
141 : 단차 150 : 텐션조절장치
152 : 스프링 160 : 보조칼날
161 : 상측 보조칼날 162 : 하측 보조칼날
165 : 지지대 170 : 와이어칼날
180 : 높이조절장치 181 : 이동블록
182 : 이동축 190 : 제1동력전달축
200 : 피복 분리 장치
210 : 제1롤러 220 : 제1회전축
230 : 제2롤러 240 : 제2회전축
250 : 베어링블록 260 : 압착조절장치
261 : 볼트 262 : 이동공간
270 : 투입구 280 : 제2동력전달축
300 : 젤 분리 장치
310 : 케이스 311 : 경사로
320 : 가동축 321 : 풀리
330 : 날개부 335 : 인입부
340 : 수거부 341 : 파이프
342 : 수위센서 350 : 가열부
351 : 손잡이 352 : 가열장치
400 : 동력부
411 : 제1기어 412 : 제2기어
413 : 제3기어 414 : 제4기어
415 : 제5기어 416 : 높이조절기어
417 : 제1체인 421 : 제6기어
422 : 제7기어 423 : 제8기어
424 : 제9기어 425 : 제2체인
500 : 절단 장치

Claims (5)

  1. 피복으로 둘러싸인 금속실드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반원형으로 절단된 광케이블을 분리하는 광케이블 피복 분리 장치에 있어서,
    반원형 광케이블과 밀착하여 회전하는 제1롤러와;
    상기 제1롤러와 결합되고 끝단에는 스프라켓이 형성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1회전축과;
    상기 제1롤러 하부에 형성되어 반원형 광케이블과 밀착하여 회전하는 제2롤러와;
    상기 제2롤러와 결합되고 끝단에는 스프라켓이 형성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2회전축;을 포함하며,
    상기 제2롤러는 제1롤러보다 원주속도가 크도록 형성하여 광케이블이 삽입되면 금속실드와 외부피복이 두 롤러의 원주속도차에 의해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피복 분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축이 인입되는 광케이블 지름에 따라 제2회전축을 향해 수직방향으로 높낮이를 조절하여 가압되는 압력을 조절하는 압착조절장치;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피복 분리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롤러는 제1롤러보다 원주속도가 빠르도록 하기 위해 제2롤러의 지름이 제1롤러의 지름 보다 1.2~2배 더 크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피복 분리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롤러 및 제2롤러의 외주면에는 인입되는 광케이블의 금속실드와 피복이 닿는 면적을 넓히기 위해 돌기 또는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피복 분리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롤러의 폭은 제1롤러보다 크며 제2롤러의 양끝단은 돌출되도록 형성하여 제1롤러가 제2롤러의 양끝단 사이에서 회전하여 광케이블이 측면으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피복 분리 장치.
KR1020150100853A 2015-07-16 2015-07-16 광케이블 피복 분리 장치 KR201700091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0853A KR20170009197A (ko) 2015-07-16 2015-07-16 광케이블 피복 분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0853A KR20170009197A (ko) 2015-07-16 2015-07-16 광케이블 피복 분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9197A true KR20170009197A (ko) 2017-01-25

Family

ID=57991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0853A KR20170009197A (ko) 2015-07-16 2015-07-16 광케이블 피복 분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919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8564B1 (ko) 2017-10-25 2019-04-12 주식회사 대광그린텍 폐 광케이블의 외부피복 분리시스템
KR102046172B1 (ko) * 2018-09-05 2019-11-19 박용호 광케이블의 피복 절단장치
KR102072984B1 (ko) * 2018-09-05 2020-02-04 박용호 광케이블 피복 박리 및 절단장치
KR102556988B1 (ko) * 2022-01-20 2023-07-19 주식회사 대운메탈 사용편의성이 향상되어 사용자가 로컬영역에서 바로 폐전선 탈피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동시에 이에 따른 탄소감축 실적이 자동으로 기록되는 폐전선 자동탈피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7587A (ko) 2010-12-16 2012-06-26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칩 컨베이어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7587A (ko) 2010-12-16 2012-06-26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칩 컨베이어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8564B1 (ko) 2017-10-25 2019-04-12 주식회사 대광그린텍 폐 광케이블의 외부피복 분리시스템
KR102046172B1 (ko) * 2018-09-05 2019-11-19 박용호 광케이블의 피복 절단장치
KR102072984B1 (ko) * 2018-09-05 2020-02-04 박용호 광케이블 피복 박리 및 절단장치
KR102556988B1 (ko) * 2022-01-20 2023-07-19 주식회사 대운메탈 사용편의성이 향상되어 사용자가 로컬영역에서 바로 폐전선 탈피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동시에 이에 따른 탄소감축 실적이 자동으로 기록되는 폐전선 자동탈피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09197A (ko) 광케이블 피복 분리 장치
EP2192432A1 (en) Laser-based methods of stripping fiber optic cables
KR20170009224A (ko) 광케이블 절개 장치
WO2018150596A1 (ja) 被覆除去刃、除去刃ユニット及び光ファイバ被覆除去装置
RU2010124071A (ru) Инструмент для обработки световодов
KR20150139449A (ko) 광섬유 가공장치
KR101531318B1 (ko) 케이블피복 탈피구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피복 탈피장치
KR101531314B1 (ko) 케이블피복 절개롤러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피복 탈피장치
CN208299343U (zh) 一种剥线工具
EP2698793A1 (fr) Câble tous terrains à dénudabilité facilitée
KR100285155B1 (ko) 광케이블의 탈피장치
KR100287812B1 (ko) 전선껍질탈피장치
KR101968564B1 (ko) 폐 광케이블의 외부피복 분리시스템
US5988018A (en) Mechanical wire stripper
KR20170011895A (ko) 통신선의 젤 분리 장치
KR101531320B1 (ko) 케이블피복 보조절개 탈피구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피복 탈피장치
EP2957938A1 (fr) Cable longitudinal et procede d'installation d'un tel cable
GB2537025A8 (en) Cable stripping tool
CN111487720A (zh) 一种光缆套管的保护套剥离装置及其使用方法
EP3099221B1 (fr) Dispositif a ondes évanescentes, et procédé de mise en oeuvre
CN205766402U (zh) 一种肉类切丁机
KR20170058495A (ko) 광케이블 피복 분리 시스템
AU2013205624B2 (en) Method for accessing to optical fibres included in an optical module of an optical fibre transmission cable
SU1101940A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сн ти изол ции с кабелей
EP0785598B1 (fr) Boítier de raccordement pour câbles coaxiaux, en particulier pour signaux de télévis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