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6988B1 - 사용편의성이 향상되어 사용자가 로컬영역에서 바로 폐전선 탈피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동시에 이에 따른 탄소감축 실적이 자동으로 기록되는 폐전선 자동탈피기 - Google Patents

사용편의성이 향상되어 사용자가 로컬영역에서 바로 폐전선 탈피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동시에 이에 따른 탄소감축 실적이 자동으로 기록되는 폐전선 자동탈피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6988B1
KR102556988B1 KR1020220008189A KR20220008189A KR102556988B1 KR 102556988 B1 KR102556988 B1 KR 102556988B1 KR 1020220008189 A KR1020220008189 A KR 1020220008189A KR 20220008189 A KR20220008189 A KR 20220008189A KR 102556988 B1 KR102556988 B1 KR 1025569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roller
waste wire
automatic
rotating blade
reduc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8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이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운메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운메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운메탈
Priority to KR10202200081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69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69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69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 H02G1/12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by cutting and withdrawing insulation
    • H02G1/1248Machines
    • H02G1/1265Machines the cutting element rotating about the wire or c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1/00Magnetic separation
    • B03C1/02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 B03C1/025High gradient magnetic separators
    • B03C1/029High gradient magnetic separators with circulating matrix or matrix elements
    • B03C1/03High gradient magnetic separators with circulating matrix or matrix elements rotating, e.g. of the carousel 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5/00Apparatus or processes for salvaging material from cab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 H02G1/1297Removing armouring from cab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16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ge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사용편의성이 향상되어 사용자가 로컬영역에서 바로 폐전선 탈피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동시에 이에 따른 탄소감축 실적이 자동으로 기록되는 폐전선 자동탈피기를 제공한다.
상기 폐전선 자동탈피기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배치되며, 폐전선이 투입되는 투입구; 상기 케이스에 내장되며 폐전선을 탈피시키는 탈피 모듈; 상기 케이스의 타측에 배치되며, 탈피된 폐전선이 배출되는 배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폐전선은 상기 탈피 모듈에서 상호 연동되어 있는 회전 블레이드와 복수의 가이드 롤러에 의해 가이드되어 탈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사용편의성이 향상되어 사용자가 로컬영역에서 바로 폐전선 탈피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동시에 이에 따른 탄소감축 실적이 자동으로 기록되는 폐전선 자동탈피기{AUTOMATED WIRE STRIPPER THAT ALLOWS USERS TO PERFORM STRIPPING OF WASTE WIRES IN LOCAL AREA WITH IMPROVED EASE OF USE AND AUTOMATICALLY RECORDS CARBON REDUCTION CREDIT}
본 발명은 사용편의성이 향상되어 사용자가 로컬영역에서 바로 폐전선 탈피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동시에 이에 따른 탄소감축 실적이 자동으로 기록되는 폐전선 자동탈피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려진 폐전선은 로컬영역 내의 쓰레기장 등에서 다른 고철류와 함께 환경미화원 등에 의해 수거되며, 폐기물 수거장으로 이동하여 다른 고철류와 분리되어 취합되고, 탈피공장시설로 이동하여 전도체와 피복으로 분리된 다음, 재활용공장시설로 이송되어 공정을 거쳐 리사이클되는 순환과정을 거친다.
즉, 폐전선은 일상의 로컬영역에서 수거된 다음 폐기물 수거장과 탈피공장시설을 거쳐 재활용공장으로 이송되므로 불필요한 운송비가 발생하고 운송과정에 의해 발생하는 온실가스 등이 환경오염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한편, 기후변화의 가장 큰 요인은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많은 양의 온실가스이며, 최근 파리기후변화협정을 통해 전세계 모든 국가가 참여하는 보편적인 체제가 마련되었고 많은 국가들은 온실가스 발생을 완화하기 위해 탄소배출권 거래제를 시행하고 있다.
만약, 일반인이 쉽게 사용할 수 있는 폐전선 자동탈피기가 개발된다면, 폐전선이 로컬영역에서 일반사용자에 의해 바로 탈피되어 재활용공장시설로 직접 이송됨으로써, 사용자는 운송과정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를 감축시킨 것에 따른 탄소감축 실적을 쌓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폐전선의 재활용에 직접적으로 기여함으로써 새로운 전선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배출을 감축함에 따른 실적도 쌓을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관리자(admin)가 폐전선 자동탈피기의 판매와 렌탈과 유지관리 등을 영위하고, 블록체인 기반으로 일반사용자(감축자; reductor)와 컨트렉트(contract)를 체결하는 플랫폼도 구상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폐전선 자동탈피기를 사용하며 쌓이는 탄소감축 실적(credit)이 가상화폐로서 컨트렉트에 따른 요금 중 일부로 지급(매수비용과 수리비와 소모품 교체에 따른 유지관리비로 지급)되거나 탄소배출권으로서 탄소거래소(carbon-exchange)에서 거래(판매/기부 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거래시스템의 투명성과 불변성이 유지되는 가운데 사용자에게 탄소감축에 따른 정당한 리워드(reward)가 제공됨으로써, 폐전선 자동탈피기의 플랫폼이 활성화될 수 있으며, 기후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비즈니스모델로서 성장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편의성이 향상되어 사용자가 로컬영역에서 바로 폐전선 탈피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동시에 이에 따른 탄소감축 실적이 자동으로 기록되는 폐전선 자동탈피기와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블록체인 기반 사용자(감축자; reductor)가 관리자로부터 렌탈 또는 구매한 폐전선 자동탈피기의 사용에 의한 탄소감축 실적을 가상화폐와 탄소배출권으로 거래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폐전선 자동탈피기는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배치되며, 폐전선이 투입되는 투입구; 상기 케이스에 내장되며 폐전선을 탈피시키는 탈피 모듈; 상기 케이스의 타측에 배치되며, 탈피된 폐전선이 배출되는 배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폐전선은 상기 탈피 모듈에서 상호 연동되어 있는 회전 블레이드와 복수의 가이드 롤러에 의해 가이드되어 탈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탈피 모듈은 상기 투입구의 인근에 배치되는 회전 블레이드와 제1가이드 롤러와, 상기 배출구의 인근에 배치되는 제2가이드 롤러와 제3가이드 롤러를 포함하고, 폐전선은 상기 회전 블레이드와 상기 제1가이드 롤러 사이를 경유하여 상기 제2가이드 롤러와 상기 제3가이드 롤러 사이를 통과하여 배출되고, 상기 회전 블레이드에 의해 탈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탈피 모듈은 상기 제1가이드 롤러와 상기 제2가이드 롤러를 연결하는 제1체인 벨트와, 모터와, 상기 모터와 상기 제3가이드 롤러를 연결하는 제2체인 벨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 블레이드와 상기 제1가이드 롤러는 기어에 의해 치합하고, 상기 제2가이드 롤러와 상기 제3가이드 롤러는 기어에 의해 치합하고, 상기 회전 블레이드와 상기 제1가이드 롤러와 상기 제2가이드 롤러와 상기 제3가이드 롤러는 상기 모터의 동력 전달에 의해 연동되어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폐전선은 상기 회전 블레이드와 상기 제1가이드 롤러 사이에서 상기 회전 블레이드에 의해 이동 방향으로 피복이 절단되며, 폐전선의 분리된 전도체는 상기 제2가이드 롤러의 자성에 의해 상기 제2가이드 롤러를 타고 이동하고, 폐전선의 분리된 피복은 중력에 의해 상기 제3가이드 롤러를 타고 이동하여, 상기 배출구에서 분리되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회전 블레이드와 상기 제1가이드 롤러 중 적어도 하나는 상호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이동 가능하여 폐전선의 두께에 따라 이격 거리가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투입구에 폐전선을 투입하면, 센서가 인식하고 회전 블레이드와 가이드 롤러가 자동으로 탈피작업을 진행함으로써, 사용편의성이 향상되고 로컬영역에서 누구나 바로 폐전선 탈피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폐전선 자동탈피기와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작업한 폐전선의 종류와 길이와 개수에 대한 정보를 처리함으로써, 사용자의 탄소감축 실적(credit)이 자동으로 기록될 수 있는 폐전선 자동탈피기와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유저가 폐전선 자동탈피기를 사용하며 쌓이는 탄소감축 실적(credit)이 가상화폐로서 관리자(admin)와의 컨트렉트에 따른 대여나 구매 또는 유지관리 비용 중 일부로 지급되거나 탄소배출권으로서 탄소거래소(carbon-exchange)에서 거래(판매/기부 등)될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 폐전선 자동탈피기의 사용에 의한 탄소감축 실적을 거래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폐전선 자동탈피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폐전선 자동탈피기를 나타낸 투시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폐전선 자동탈피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폐전선 자동탈피기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블록체인 기반 폐전선 자동탈피기의 사용에 의한 탄소감축 실적을 거래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블록체인 기반 폐전선 자동탈피기의 사용에 의한 탄소감축 실적을 거래하는 방법이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블록체인 기반 폐전선 자동탈피기의 사용에 의한 탄소감축 실적을 거래하는 방법에 의해 가상화폐가 거래되는 것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폐전선 자동탈피기(100)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폐전선 자동탈피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폐전선 자동탈피기를 나타낸 투시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폐전선 자동탈피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폐전선 자동탈피기(100)는 케이스(110), 투입구(120), 탈피모듈(130), 배출구(140), 투입 센서(미도시), 배출 센서(미도시) 및 전자 제어 유닛(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투입구(120)는 케이스(11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폐전선이 투입되는 곳으로서, 접이식 플레이트에 의해 개방 및 폐쇄되는 홀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배출구(140)는 케이스(110)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탈피된 폐전선이 배출되는 곳으로서, 접이식 플레이트에 의해 개방 및 폐쇄되는 홀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접이식 플레이트를 닫아 투입구(120)와 배출구(140)를 폐쇄함으로써 본 발명의 폐전선 자동탈피기(100)를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고, 접이식 플레이트를 열어 투입구(120)와 배출구(140)를 개방함으로써 본 발명의 폐전선 자동탈피기(100)를 사용할 수 있다.
탈피모듈(130)은 케이스(110)에 내장되어 폐전선을 탈피시키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탈피 모듈(130)은 투입구(120)의 인근에 배치되는 회전 블레이드(131)와 제1가이드 롤러(132)와, 배출구(140)의 인근에 배치되는 제2가이드 롤러(133)와 제3가이드 롤러(134)를 포함할 수 있다. 폐전선은 탈피모듈(130)에서 상호 연동되어 있는 회전 블레이드(131)와 복수의 가이드 롤러(132, 133, 134)에 의해 가이드되어 탈피될 수 있다. 상세하게, 폐전선은 회전 블레이드(131)와 제1가이드 롤러(132) 사이를 경유하여 제2가이드 롤러(133)와 제3가이드 롤러(134) 사이를 통과하여 배출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회전 블레이드(131)에 의해 탈피될 수 있다. 한편, 회전 블레이드(131)의 하측에 제1가이드 롤러(132)가 배치될 수 있으며, 제2가이드 롤러(133)의 하측에 제3가이드 롤러(134)가 배치될 수 있다.
탈피 모듈(130)은 제1가이드 롤러(132)와 제2가이드 롤러(133)를 연결하는 제1체인 벨트(c1)와, 모터(135)와, 모터(135)와 제3가이드 롤러(134)를 연결하는 제2체인 벨트(c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회전 블레이드(131)와 제1가이드 롤러(132)는 기어에 의해 치합할 수 있고, 제2가이드 롤러(133)와 제3가이드 롤러(134)는 기어에 의해 치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 블레이드(131)와 제1가이드 롤러(132)와 제2가이드 롤러(133)와 제3가이드 롤러(134)는 모터(135)의 동력 전달에 의해 연동되어 작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폐전선은 회전 블레이드(131)와 제1가이드 롤러(132) 사이에서 회전 블레이드(131)에 의해 이동 방향으로 피복이 절단될 수 있으며, 폐전선의 분리된 전도체는 제2가이드 롤러(133)의 자성에 의해 제2가이드 롤러(133)를 타고 이동하고, 폐전선의 분리된 피복은 중력에 의해 제3가이드 롤러(134)를 타고 이동하여, 배출구(140)에서 분리되어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제2가이드 롤러(133)의 자기력은 폐전선의 분리된 전도체가 인력에 의해 형상을 유지하며 접촉될 수 있는 자기력보다 크며 폐전선의 분리된 전도체를 밴딩시키는 등 형상을 변형시킬 수 있는 자기력보다는 작을 수 있다. 한편, 제2가이드 롤러(133)와 제3가이드 롤러(134)에는 폐전선의 분리된 전도체와 폐전선의 분리된 피복을 각각 가이드하기 위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회전 블레이드(131)와 제1가이드 롤러(132) 중 적어도 하나는 상호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이동 가능하여 폐전선의 두께에 따라 이격 거리가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회전 블레이드(131)와 제1가이드 롤러(132) 중 적어도 하나는 샤프트가 별도의 액추에이터에 의해 이동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이격 거리가 달라질 수 있다.
투입 센서(미도시)는 투입구(120)에 배치되어 폐전선의 투입을 감지할 수 있다. 투입 센서는 폐전선에 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데, 폐전선에 대한 정보는 폐전선의 시작단이 투입구(120)에 위치하는 시간과 폐전선의 종류를 포함할 수 있다.
배출 센서(미도시)는 배출구(140)에 배치되어 폐전선의 배출을 감지할 수 있다. 배출 센서는 폐전선에 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데, 폐전선에 대한 정보는 폐전선의 끝단이 배출구(140)에 위치하는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제어 유닛(미도시)은 투입 센서와 배출 센서로부터 얻은 정보를 처리하여 회전 블레이드(131)와 제1가이드 롤러(132)를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를 전자적으로 제어하여 폐전선의 두께에 맞추어 회전 블레이드(131)와 제1가이드 롤러(132)의 이격거리를 설정할 수 있고, 나아가 모터(135)를 전자적으로 제어하여 탈피작업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폐전선 자동탈피기 제어방법(200)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폐전선 자동탈피기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폐전선 자동탈피기 제어방법(200)은 투입 센서(미도시)가 폐전선의 투입을 감지하는 단계(a1); 전자 제어 유닛(미도시)이 투입 센서로부터 폐전선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회전 블레이드(131)와 제1가이드 롤러(132)의 이격 거리를 설정하는 단계(a2); 전자 제어 유닛이 투입 센서로부터 폐전선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모터를 작동시켜 제3가이드 롤러(134)를 회전시키는 단계(a3); 배출 센서(미도시)가 폐전선의 배출을 감지하는 단계(a4); 전자 제어 유닛이 투입 센서와 배출 센서로부터 폐전선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가 폐전선을 탈피한 실적(credits)을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단계(a5);를 포함할 수 있다.
투입 센서(미도시)가 폐전선의 투입을 감지하는 단계(a1) 는 투입 센서가 폐전선의 시작단이 투입구(120)에 위치하는 시간과 폐전선의 종류를 센싱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 경우, 투입 센서는 비전센서 또는 스캐너 등으로서 폐전선에 기재된 문자와 숫자와 기호를 인식하거나 스마트코드를 인식함으로써 폐전선의 종류(스펙)를 특정할 수 있으며, 폐전선의 시작단이 투입구(120)에 위치하는 시간을 특정할 수 있다.
전자 제어 유닛(미도시)이 투입 센서로부터 폐전선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회전 블레이드(131)와 제1가이드 롤러(132)의 이격 거리를 설정하는 단계(a2) 는 전자 제어 유닛이 투입 센서로부터 얻은 폐전선의 종류를 처리하여 폐전선의 두께에 맞게 회전 블레이드(131)와 제1가이드 롤러(132) 중 적어도 하나의 액추에이터를 제어하여 샤프트를 이동시킴으로써, 회전 블레이드(131)와 제1가이드 롤러(132)의 이격 거리를 폐전선의 두께에 맞게 설정하는 단계일 수 있다.
전자 제어 유닛이 투입 센서로부터 폐전선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모터를 작동시켜 제3가이드 롤러(134)를 회전시키는 단계(a3) 는 전자 제어 유닛이 투입 센서로부터 폐전선의 시작단이 투입구(120)에 위치하는 시간을 처리하여 폐전선이 투입되는 시간에 맞추어 모터(135)를 제어함으로써 탈피작업을 진행하는 단계일 수 있다.
배출 센서(미도시)가 폐전선의 배출을 감지하는 단계(a4) 는 배출 센서가 탈피된 폐전선의 끝단(정확하게, 전도체의 끝단)이 배출구(140)에 위치하는 시간을 센싱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 경우, 배출 센서는 비전센서 또는 스캐너 등으로서 폐전선의 끝단이 배출구(140)에 위치하는 시간을 특정할 수 있다.
전자 제어 유닛이 투입 센서와 배출 센서로부터 폐전선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가 폐전선을 탈피한 실적(credits)을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단계(a5) 는 전자 제어 유닛이 투입 센서와 배출 센서로부터 수신한 폐전선에 대한 정보를 처리하여 사용자가 탈피한 폐전선의 종류와 길이와 개수에 대한 실적을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제어 유닛은 투입 센서로부터 수신한 폐전선에 대한 정보를 처리하여 폐전선의 종류를 특정할 수 있고, 투입 센서와 배출 센서로부터 수신한 폐전선에 대한 정보를 처리하여 폐전선의 시작단이 투입구(120)에 위치하는 시간과 폐전선의 끝단이 배출구(140)에 위치하는 시간과 모터(135)의 작동에 의한 시간당 이동 거리를 산술적으로 처리하여 폐전선의 길이를 특정할 수 있고, 투입 센서와 배출 센서로부터 수신한 폐전선에 대한 정보를 처리하여 폐전선의 시작단이 투입구(120)에 위치하는 횟수와 폐전선의 끝단이 배출구(140)에 위치하는 횟수를 매칭하여 개수를 특정할 수 있고, 이를 기설정된 탄소감축 실적과 매칭시켜 사용자가 폐전선을 탈피한 실적을 도출하여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블록체인 기반 폐전선 자동탈피기의 사용에 의한 탄소감축 실적을 거래하는 방법(300)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블록체인 기반 폐전선 자동탈피기의 사용에 의한 탄소감축 실적을 거래하는 방법(300)은 컴퓨터 시스템(31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블록체인 기반 폐전선 자동탈피기의 사용에 의한 탄소감축 실적을 거래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블록체인 기반 폐전선 자동탈피기의 사용에 의한 탄소감축 실적을 거래하는 방법이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블록체인 기반 폐전선 자동탈피기의 사용에 의한 탄소감축 실적을 거래하는 방법에 의해 가상화폐가 거래되는 것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컴퓨터 시스템(310)은 본 발명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블록체인 시스템을 운영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메모리(311), 프로세서(312), 통신 인터페이스(313) 그리고 입출력 인터페이스(314)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311)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서,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및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기록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ROM과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기록장치는 메모리(311)와는 구분되는 별도의 영구 저장 장치로 서 컴퓨터 시스템(310)에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311)에는 운영체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메모리(311)와는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부터 메모리(311)로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플로피 드라이브, 디스크, 테이프, DVD/CD-ROM 드라이브, 메모리카드 등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아닌 통신 인터페이스(313)를 통해 메모리(311)에 로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파일들에 의해 설치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기반하여 컴퓨터 시스템(310)의 메모리(311)에 로딩될 수 있다.
프로세서(312)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메모리(311) 또는 통신 인터페이스(313)에 의해 프로세서(312)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12)는 메모리(311)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수신되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313)는 네트워크를 통해 컴퓨터 시스템(310)이 다른 장치와 서로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컴퓨터 시스템(310)의 프로세서(312)가 메모리(311)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생성한 요청이나 명령, 데이터, 파일 등이 통신 인터페이스(313)의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장치들로 전달될 수 있다. 역으로, 다른 장치로부터의 신호나 명령, 데이터, 파일 등이 네트워크를 거쳐 컴퓨터 시스템(310)의 통신 인터페이스(313)를 통해 컴퓨터 시스템(310)으로 수신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313)를 통해 수신된 신호나 명령, 데이터 등은 프로세서(312)나 메모리(311)로 전달될 수 있고, 파일 등은 컴퓨터 시스템(310)이 더 포함할 수 있는 저장 매체(상술한 영구 저장 장치)로 저장될 수 있다.
통신 방식은 제한되지 않으며, 네트워크가 포함할 수 있는 통신망(일례로, 이동통신망,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방송망)을 활용하는 통신방식 뿐만 아니라 기기들 간의 근거리 유선/무선 통신 역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는,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CAN(campus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BBN(broadband network),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는 버스 네트워크, 스타 네트 워크, 링 네트워크, 메쉬 네트워크, 스타-버스 네트워크, 트리 또는 계층적(hierarchical) 네트워크 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토폴로지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입출력 인터페이스(314)는 입출력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장치는 마이크, 키보드, 카메라 또는 마우스 등의 장치를 그리고 출력 장치는 디스플레이, 스피커와 같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블록체인 기반 폐전선 자동탈피기의 사용에 의한 탄소감축 실적을 거래하는 방법(300)은 컴퓨터 시스템(310)에서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폐전선 자동탈피기(100)의 판매와 렌탈과 유지관리 등을 영위하는 관리자(admin)가 블록체인 기반으로 사용자(감축자; reductor)와 컨트렉트(contract)를 체결하고, 사용자가 폐전선 자동탈피기(100)를 사용하며 쌓이는 탄소감축 실적(credit)이 가상화폐로서 컨트렉트에 따른 요금 중 일부로 지급(매수비용과 수리비와 소모품 교체에 따른 유지관리비로 지급)되거나 탄소배출권으로서 탄소거래소(carbon-exchange)에서 거래(판매/기부 등)되기 위한 방법일 수 있다.
이를 위해, 블록체인 기반 폐전선 자동탈피기의 사용에 의한 탄소감축 실적을 거래하는 방법(300)은 컴퓨터 시스템(310)이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12)에 의해, 관리자(admin)와 감축자(reductor) 사이의 폐전선 자동탈피기(100)의 사용에 대한 컨트렉트(contract)를 등록하는 단계(b1);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12)에 의해, 감축자에게 폐전선 자동탈피기(100)의 사용에 기초하여 실적(credits)을 발행하는 단계(b2);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12)에 의해, 감축자가 관리자에게 컨트렉트에 따른 요금을 지급하는 단계(b3);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12)에 의해, 감축자와 관리자가 실적을 탄소거래소(carbon-exchange)에서 거래하는 단계(b4);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시스템(310)이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12)에 의해, 관리자(admin)와 감축자(reductor) 사이의 폐전선 자동탈피기(100)의 사용에 대한 컨트렉트(contract)를 등록하는 단계(b1) 는 블록체인 기반으로 관리자와 감축자가 폐전선 자동탈피기(100)의 스마트 컨트렉트를 체결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일 예로, 관리자 단말기와 감축자 단말기의 엣지 노드에 대한 정보가 블록체인 시스템에 업로드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12)는 엣지 컴퓨팅을 수행하여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계약 조건과 계약 승인 여부를 전송받고 감축자 단말기로부터 계약 조건과 계약 승인 여부를 전송받아 스마트 컨트렉트를 진행할 수 있다. 이 경우, 계약 조건은 감축자가 관리자에게 폐전선 자동탈피기(100)를 대여받는지 매수하는지 여부와, 대여 기간과, 관리자의 수리와 소모품(일 예로, 필터) 교체에 따른 유지관리에 대한 의무와, 감축자의 대여료와 매수비용과 수리비와 소모품 교체에 따른 유지관리비에 대한 지급 의무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12)에 의해, 감축자에게 폐전선 자동탈피기(100)의 사용에 기초하여 실적(credits)을 발행하는 단계(b2) 는 블록체인 기반으로 감축자가 폐전선 자동탈피기(100)를 사용하여 발생하는 탄소감축량에 따라 리워드로서 감축자에게 실적을 발행하는 단계일 수 있다.
폐전선 자동탈피기(100)의 사용은 폐전선을 재활용함으로써 새로운 전선을 생산함에 따른 탄소를 감축시킬 뿐만 아니라, 운송과정을 단순화시켜 운송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를 감축시킬 수 있다.
폐전선 자동탈피기(100)의 엣지 노드에 대한 정보가 블록체인 시스템에 업로드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12)는 엣지 컴퓨팅을 수행하여 폐전선 자동탈피기(100)의 전자 제어 유닛(미도시)으로부터 사용자의 실적에 대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신하고, 이에 기초하여 감축자에게 실적을 발행(즉, 감축자의 폐전선 자동탈피기의 사용에 따른 탄소감축량에 매칭되는 실적을 발행)할 수 있다.
일 예로, 실적을 발행하는 단계(200)에서는 온실가스 감축량 모니터링이 가능한 실적 평가 엔진(credit valuation engine)을 통해, 실적으로서 sVER(small Voluntary Emission Reductions)을 발행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온실가스 감축 활동 및 재생에너지 발전량에 따른 실적으로, "제로-카본 비즈니스"에 의한 CER(Carbon Emission Reductions)과 VER(Voluntary Emission Reductions), iREC(international Renewable Energy Certificates), 그리고 "제로-카본 프로그램"에 의한 sVER(small Voluntary Emission Reductions)을 발행할 수 있다.
"제로-카본 비즈니스"는 국제 기구나 국가별 정부 산하 인증기관 등에서 진행하는 사업으로, 이때 CER은 CDM, P-CDM, SDM, Offset 등 온실가스 감축 프로그램을 통해 발행되고, VER은 온실가스 감축량 모니터링이 가능한 실적 평가 엔진(credit valuation engine)을 통해 발행되며, iREC는 재생에너지 발전량 모니터링 결과를 통해 발행될 수 있다.
"제로-카본 프로그램"은 "제로-카본 비즈니스"에 포함되지 않은 온실가스 감축 활동으로서, 본 발명의 블록체인 기반 폐전선 자동탈피기의 사용에 의한 탄소감축 실적을 거래하는 방법(300)에 따른 폐전선 자동탈피기(100) 사용하기 외에도 대중교통 이용하기, 소등하기, 폐기물 재활용하기, 플라스틱 줄이기 등과 같이 일상 생활에서 범용적으로 이루어지는 모든 온실가스 감축 활동을 포괄하여 정의할 수 있다. sVER은 VER과 마찬가지로 온실가스 감축량 모니터링이 가능한 실적 평가 엔진을 통해 발행될 수 있다. 한편, 실적 평가 엔진의 경우 평가자(validator)를 통해 온실가스 감축 활동에 대한 유효성 평가를 거쳐 VER과 sVER을 발행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12)에 의해, 감축자가 관리자에게 컨트렉트에 따른 요금을 지급하는 단계(b3) 는 블록체인 기반으로 감축자가 관리자에게 폐전선 자동탈피기(100)의 사용에 대한 요금을 지급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일 예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12)는 관리자 단말기에 대한 가상화폐지갑을 생성하고 감축자 단말기에 대한 가상화폐지갑을 생성하여, 감축자는 컨트렉트에 따라 관리자에게 납부하는 요금을 컴퓨터 시스템(310)과 관련된 가상화폐로 납부할 수 있다.
이 경우, 컨트렉트에 따른 요금은 ⅰ) 감축자가 관리자에게 폐전선 자동탈피기(100)를 대여받는 경우 대여료와 수리비와 소모품 교체에 따른 유지관리비를 포함할 수 있고, ⅱ) 감축자가 관리자에게 온실가스 폐전선 자동탈피기(100)를 매수하는 경우(완전한 소유권 이전) 매수비용과 수리비와 소모품 교체에 따른 유지관리비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12)에 의해, 실적은 컴퓨터 시스템(310)과 관련된 가상화폐로 전환되어 감축자는 컨트렉트에 따른 요금 중 적어도 일부를 실적으로 지급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12)에 의해, 감축자와 관리자가 실적을 탄소거래소(carbon-exchange)에서 거래하는 단계(b4) 는 감축자와 관리자가 얻은 실적을 탄소거래소에 기부하거나 판매하는 단계일 수 있다. 즉, 감축자는 자신에게 발행된 실적을 가상화폐로 전환하여 관리자에게 요금으로 지급하거나 탄소배출권 형태로 탄소거래소에 판매하거나 기부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는 감축자로부터 획득한 실적을 가상화폐에서 실제화폐로 전환하거나 탄소배출권 형태로 탄소거래소에 판매하거나 기부할 수 있다.
한편, 블록체인 기반으로 감축자와 관리자의 실적을 탄소거래소에서 거래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일 예로, 탄소거래소의 서버의 엣지 노드에 대한 정보가 블록체인 시스템에 업로드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12)는 탄소거래소의 서버에 대한 가상화폐지갑을 생성할 수 있고, 엣지 컴퓨팅을 수행하여 관리자 단말기와 감축자 단말기로부터 거래량에 대응되는 컴퓨터 시스템(310)과 관련된 가상화폐를 소모시키고 탄소거래소의 서버에 대한 가상화폐지갑에 거래량에 대응되는 가상화폐를 충전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폐전선 자동탈피기 제어방법(200)과 블록체인 기반 폐전선 자동탈피기의 사용에 의한 탄소감축 실적을 거래하는 방법(300)은 하드웨어인 서버와 결합되어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램(또는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어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전술한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가 프로그램을 읽어 들여 프로그램으로 구현된 상기 방법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CPU)가 상기 컴퓨터의 장치 인터페이스를 통해 읽힐 수 있는 C, C++, JAVA, 기계어 등의 컴퓨터 언어로 코드화된 코드(Co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드는 상기 방법들을 실행하는 필요한 기능들을 정의한 함수 등과 관련된 기능적인 코드(Functional Code)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기능들을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소정의 절차대로 실행시키는 데 필요한 실행 절차 관련 제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코드는 상기 기능들을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실행시키는 데 필요한 추가 정보나 미디어가 상기 컴퓨터의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의 어느 위치(주소 번지)에서 참조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메모리 참조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상기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통신이 필요한 경우, 코드는 상기 컴퓨터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원격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어떻게 통신해야 하는지, 통신 시 어떠한 정보나 미디어를 송수신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통신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되는 매체는,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저장되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가 접속할 수 있는 다양한 서버 상의 다양한 기록 매체 또는 사용자의 상기 컴퓨터상의 다양한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5)

  1. 컴퓨터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방법에 의해 탄소감축 실적을 거래하는 것에 이용되는 폐전선 자동탈피기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방법은,
    상기 컴퓨터 시스템이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관리자와 감축자 사이의 상기 폐전선 자동탈피기의 사용에 대한 컨트렉트를 등록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감축자에게 상기 폐전선 자동탈피기의 사용에 기초하여 실적을 발행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감축자가 관리자에게 컨트렉트에 따른 요금을 지급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감축자와 관리자가 실적을 탄소거래소에서 거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감축자는 컨트렉트에 따른 요금 중 적어도 일부를 실적으로 지급하고,
    컨트렉트에 따른 요금은 감축자가 관리자에게 상기 폐전선 자동탈피기를 대여받는 경우, 대여료와 수리비와 소모품 교체에 따른 유지관리비를 포함하고 감축자가 관리자에게 상기 폐전선 자동탈피기를 매수하는 경우, 매수비용과 수리비와 소모품 교체에 따른 유지관리비를 포함하고,
    상기 폐전선 자동탈피기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전방에 배치되며, 폐전선이 투입되는 투입구;
    상기 케이스에 내장되며 폐전선을 탈피시키는 탈피 모듈;
    상기 케이스의 후방에 배치되며, 탈피된 폐전선이 배출되는 배출구;
    폐전선의 스마트코드를 인식하여 폐전선의 종류와 길이와 개수를 포함하는 폐전선에 대한 정보를 센싱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로부터 폐전선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감축자가 폐전선을 탈피한 실적을 도출하는 전자 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투입구와 상기 배출구는 전후 방향으로 대향하여 배치되며 접이식 플레이트에 의해 개방과 폐쇄되는 홀 형태로 마련되고,
    폐전선은 상기 탈피 모듈에서 상호 연동되어 있는 회전 블레이드와 복수의 가이드 롤러에 의해 가이드되어 탈피되고,
    상기 탈피 모듈은 회전축이 상호 평행하게 형성되는 회전 블레이드와 제1가이드 롤러와 제2가이드 롤러와 제3가이드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블레이드와 상기 제1가이드 롤러는 상호 회전축이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2가이드 롤러와 상기 제3가이드 롤러는 상호 회전축이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회전 블레이드와 상기 제1가이드 롤러의 회전축은 상기 제2가이드 롤러와 상기 제3가이드 롤러보다 전방에 배치되어, 폐전선은 상기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다음 상기 회전 블레이드와 상기 제1가이드 롤러 사이를 통과하며 상기 회전 블레이드에 의해 탈피된 다음 탈피된 폐전선은 상기 제2가이드 롤러와 상기 제3가이드 롤러 사이를 통과한 다음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고,
    상기 탈피 모듈은 상기 제1가이드 롤러와 상기 제2가이드 롤러를 연결하는 제1체인 벨트와, 모터와, 상기 모터와 상기 제3가이드 롤러를 연결하는 제2체인 벨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 블레이드와 상기 제1가이드 롤러는 기어에 의해 치합하고, 상기 제2가이드 롤러와 상기 제3가이드 롤러는 기어에 의해 치합하고,
    상기 회전 블레이드와 상기 제1가이드 롤러와 상기 제2가이드 롤러와 상기 제3가이드 롤러는 상기 모터의 동력 전달에 의해 연동되어 작동하고,
    상기 회전 블레이드는 상기 제1가이드 롤러보다 상측에 배치되어 폐전선은 상기 회전 블레이드와 상기 제1가이드 롤러 사이에서 상기 회전 블레이드에 의해 이동 방향으로 피복이 절단되며, 상기 제2가이드 롤러는 상기 제3가이드 롤러보다 상측에 배치되어 폐전선의 분리된 전도체는 상기 제2가이드 롤러의 자성에 의해 상기 제2가이드 롤러를 타고 이동하고, 폐전선의 분리된 피복은 중력에 의해 상기 제3가이드 롤러를 타고 이동하여, 상기 배출구에서 분리되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전선 자동탈피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20008189A 2022-01-20 2022-01-20 사용편의성이 향상되어 사용자가 로컬영역에서 바로 폐전선 탈피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동시에 이에 따른 탄소감축 실적이 자동으로 기록되는 폐전선 자동탈피기 KR1025569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8189A KR102556988B1 (ko) 2022-01-20 2022-01-20 사용편의성이 향상되어 사용자가 로컬영역에서 바로 폐전선 탈피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동시에 이에 따른 탄소감축 실적이 자동으로 기록되는 폐전선 자동탈피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8189A KR102556988B1 (ko) 2022-01-20 2022-01-20 사용편의성이 향상되어 사용자가 로컬영역에서 바로 폐전선 탈피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동시에 이에 따른 탄소감축 실적이 자동으로 기록되는 폐전선 자동탈피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6988B1 true KR102556988B1 (ko) 2023-07-19

Family

ID=87425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8189A KR102556988B1 (ko) 2022-01-20 2022-01-20 사용편의성이 향상되어 사용자가 로컬영역에서 바로 폐전선 탈피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동시에 이에 따른 탄소감축 실적이 자동으로 기록되는 폐전선 자동탈피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698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7311B1 (ko) * 2007-04-30 2008-06-12 (주)에이피텍 폐전선 탈피장치
JP2014180133A (ja) * 2013-03-14 2014-09-25 Mirai Ind Co Ltd 被覆材分離具及び被覆材分離方法
KR20170009197A (ko) * 2015-07-16 2017-01-25 주식회사 영재 광케이블 피복 분리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7311B1 (ko) * 2007-04-30 2008-06-12 (주)에이피텍 폐전선 탈피장치
JP2014180133A (ja) * 2013-03-14 2014-09-25 Mirai Ind Co Ltd 被覆材分離具及び被覆材分離方法
KR20170009197A (ko) * 2015-07-16 2017-01-25 주식회사 영재 광케이블 피복 분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uij et al. An automated framework for incorporating news into stock trading strategies
Chandar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for stock trading using technical indicators
CN109409619A (zh) 舆情动向的预测方法、装置、介质及电子设备
Chan Online auction customer segmentation using a neural network model
AU2022242898A1 (en) Asset-backed tokenization platform
KR102556988B1 (ko) 사용편의성이 향상되어 사용자가 로컬영역에서 바로 폐전선 탈피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동시에 이에 따른 탄소감축 실적이 자동으로 기록되는 폐전선 자동탈피기
KR102556989B1 (ko) 사용편의성이 향상되어 사용자가 로컬영역에서 바로 폐전선 탈피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동시에 이에 따른 탄소감축 실적이 자동으로 기록되는 폐전선 자동탈피기 제어방법
KR102526726B1 (ko) 블록체인 기반 폐전선 자동탈피기의 사용에 의한 탄소감축 실적을 거래하는 방법
CN116579868A (zh) 一种财务管理系统及财务管理方法
CN107392427A (zh) 一种企业级运营监控系统
KR102470665B1 (ko) 블록체인 기반 유저가 온실가스 감축 청정기의 사용에 의한 탄소감축 실적을 가상화폐와 탄소배출권으로 거래하기 위한 방법
Dakić et al. Financial justification for using ci/cd and code analysis for software quality improvement in the automotive industry
CN110188255A (zh) 基于业务数据共享融合的电力用户行为挖掘方法及系统
CN115965096A (zh) 一种物联网数据传输的机油监控运营流转系统
Zhao et al. Artificial financial intelligence in China
CN111815341A (zh) 专利运营微应用系统
Manahov The rapid growth of cryptocurrencies: How profitable is trading in digital money?
CN113870020A (zh) 一种逾期风险控制方法及装置
CN113298637A (zh) 业务平台的用户导流方法、装置和系统
JP2023505058A (ja) 確定値及び推定値に基づくデータ定量化方法
Korkmaz et al. A Blockchain Based P2P Energy Trading Solution for Smart Grids
CN109711719A (zh) 一种工程材料数据监控方法、装置、终端设备及存储介质
JP2021056984A (ja) 仮想通貨運用方法
Mhlongo et al. Artificial Intelligence in stock broking: A systematic review of strategies and outcomes
Küfeoğlu Blockchain applications and peer-to-peer tradin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