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9100A - 간 치료 및 간 건강 유지를 위한 조성물과 의학 조성물 - Google Patents

간 치료 및 간 건강 유지를 위한 조성물과 의학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9100A
KR20170009100A KR1020150100561A KR20150100561A KR20170009100A KR 20170009100 A KR20170009100 A KR 20170009100A KR 1020150100561 A KR1020150100561 A KR 1020150100561A KR 20150100561 A KR20150100561 A KR 20150100561A KR 20170009100 A KR20170009100 A KR 201700091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ver
artemisia
composition
schisandra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05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65360B1 (ko
Inventor
지아 치
이맘 메스핀
지아오 핑
펭 홍 메이
무어 브리안나
Original Assignee
유니젠,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젠, 인크. filed Critical 유니젠, 인크.
Priority to KR10201501005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5360B1/ko
Publication of KR201700091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91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53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53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2Artemisia, e.g. wormwood or sagebrus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9Schisandraceae (Schisandra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86Aloeaceae (Aloe family), e.g. aloe ver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물 추출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간 치료 및 간 건강 유지를 위한 조성물과 방법에 관한 것으로, 여기에서 식물 추출물은 적어도 하나의 쑥(Artemisia) 추출물, 적어도 하나의 알로에 겔 분말 및 적어도 하나의 오미자(Schizandra)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식물 추출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간 치료 및 간 건강 유지를 위한 조성물과 방법에 관한 것으로, 여기에서 식물 추출물은 적어도 하나의 폴리머 또는 바이오폴리머가 증강된 적어도 하나의 쑥 추출물, 적어도 하나의 크로몬(chromone)이 증강된 적어도 하나의 알로에 겔 분말, 및 적어도 하나의 리그난과 유기산이 증강된 적어도 하나의 오미자 추출물을 포함한다. 포유동물에서, 간 기능을 유지하고, 간세포의 손상을 최소화하고, 건강한 간을 촉진하고, 간 항산화 무결성을 보호하고, 독소를 중화하고, 간 건강에 영향을 주는 자유 라디칼의 작용을 감소하고, 활성 산소종을 포집(scavenging)하고, 산화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독성 대사의 형성을 방지하고, 간 해독 능력 및/또는 작용을 향상하고, 간 클렌징, 간 구조의 복원, 독성으로부터 간 세포 보호, 간의 혈류 및 순환 보조, 간 기능 지원, 간 증강 및 진정, 간 진정 및 강화, 간 통증 완화, 유해 화학물질 및 유기체 축출, 간 대사 과정 지지, 간 이상 완화, 지방간 완화, 간 해독능력 향상, 간 효소 저하, 천연 산화제 제공, SOD 증가, GSH 증가, 간세포의 과산화 감소, 지방산 축적 감소, 건강한 항염증 과정 유지, 간 면역작용 개선, 간세포 재생 촉진, 간 재생 작용 개선, 담즙 배출 자극, 건강한 담즙 유동 촉진, 간 회춘 등을 위한 의학 조성물을 기술하였으며, 여기서 의학 조성물은 상기한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다.

Description

간 치료 및 간의 건강 유지를 위한 조성물과 의학 조성물{COMPOSITIONS AND MEDICAL COMPOSITIONS FOR TREATMENT OF AND MAINTAINING THE HEALTH OF THE LIVER}
본 발명은 간 건강 유지에 유용한 화합물과 조성물, 기술된 화합물의 입체이성체, 약학적 또는 영양의학적(nutraceutically)으로 허용가능한 염, 토토머, 글리코시드 및 프로드럭, 간 건강을 개선하고 유지하는 조성물 및 관련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간은 신진 대사와 각종 내인성 및 외인성 유해 물질의 해독에서 중추적 역할을 하는 중요한 기관이다. 500종을 넘는 화학반응이 간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다양한 생체이물(xenobiotics) 또는 외래 화학물질이 간독성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이 중에서 아세트아미노펜(n-아세틸-p-아미노페놀 또는 APAP)과 사염화탄소(CCl4)가 일반적으로 간독성의 인간 타입을 유사한 작용 메카니즘으로 모사하는 동물 모델을 개발하기 위해 사용된다. 혈청 또는 간 균질물로부터 유래한 바이오마커 범위는 정상 범위에서 벗어난 변화를 기관 손상의 지표로 간주하여 간의 건강 상태를 검토 및/또는 분석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바이오마커들 중에서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는 것들은 다음과 같다: ALT(알라닌 아미노트랜스퍼라제), AST(아스파테이트 아미노트랜스퍼라제), MDA(말론디알데히드), GSH(글루타티온), SOD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타제), c-Jun N-말단 키나제 (JNK), GSH-Px (글루타티온 퍼옥시다제), CAT (카탈라제), 및 TNF-알파 (종양괴사인자-알파). 간 패널, 예컨대 AST, ALT, 총 빌리루빈, 컨쥬게이트 및 비컨쥬게이트 빌리루빈, 담즙산, 총 단백질, 알부민, 글로불린, 및 알칼린 포스파타제가 간 건강을 위한 표준 스크린 방법으로 사용된다. ALT와 AST는 간 손상에 대해 비특이적인 것으로 인식되지만 ALT는 간에 대해 상대적 특이성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AST는 간 (9000:1) vs 근육 (5200:1)의 원래 비율을 갖는데 비하여 ALT는 간 (7600:1) vs 근육 (750:1)의 원래 비율을 갖는다. 총 AST와 ALT의 반감기는 각각 17 ± 5 시간과 47 ± 10 시간이다. ALT는 실온에서 3일, 냉장고에서 3주, 전신에서 24시간 안정하지만; 냉동과 해동을 반복하면 급속하게 저하된다. 혈청 ALT는 본 연구에서 식물 추출물의 효능 스크리닝에 사용되었다.
APAP는 치료 용량에서 매우 안전하고 효과적인 진통 및 해열 약물이다. 이것은 미국 내 급성 간부전의 가장 흔한 원인이다. APAP-유도성 간독성은 임상적으로 관련이 있고, 잘 연구되어 있으며 단일 투여로 생체 내에서 신속하게 유도할 수 있고, 약용식물요법(phytotherapeutics)의 잠재적인 간보호 효과를 평가하는 통상적 모델이 되고있다.
APAP-유도성 세포 사멸은 세포의 생체 기능을 정지하는 하나의 중대한 사건으로 유발되는 것이 아니라 미토콘드리아 기능장애의 반응성 대사물질 형성과 개시로 시작하는 일련의 사건을 유발하여 JNK 경로를 통해 증폭되고, 결국 비기능성 미토콘드리아와 세포 괴사를 일으키는 다량의 DNA 분해가 일어난다.
APAP 독성은 매우 복잡한 활성 메카니즘 경로로 발생한다. 앞서 설명된 APAP-유도성 세포 사멸의 세포내 시그널링 메카니즘은 P450 효소, 주로 Cyp 2e1과 1a2 (Zaher et al., 1998)에 의한 작은 비율의 투여량을 n-아세틸-p-벤조퀴논 이민(NAPQI)으로 대사하여 개시된다. 정상 조건 하에서, 이러한 고반응성 대사물질은 GSH에 의해 해독되어 대량의 간 GSH 고갈을 가져오고(Mitchell et al., 197), 이것은 과다복용시 결정적이 된다. 동시에, NAPQI의 증가량은 단백질 설프히드릴 그룹과 반응하여 세포 단백질의 공유 첨가를 유발한다(Jollow et al., 1973). 흥미롭게도, 연구들에서는 세포에 결합하고 있는 총 단백질이 미토콘드리아 내 부가물만큼 중요하지 않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Tirmenstein and Nelson, 1989; Qiu et al., 2001). 결합하고 있는 미토콘드리아 단백질은 미토콘드리아 산화 스트레스를 촉발하고(Jaeschke, 1990), 이것이 세포자멸사 시그널 조절 키나제 1(Nakagawa et al., 2008)과 c-Jun N-터미널 키나제(JNK) (Hanawa et al., 2008) 활성화 및 미토콘드리아 산화 스트레스의 증폭과 미토콘드리아 JNK 전좌에 의한 퍼옥시니트라이트 형성(Saito et al., 2010a)을 유발한다. 광범위한 산화 스트레스는 최종적으로 멤브레인 투과성 전이(MPT) 기공의 개구를 미토콘드리아에서 멤브레인 전위의 붕괴로 촉발하여(Kon et al., 2004; Masubuchi et al., 2005; Ramachandran et al., 2011a; Loguidice and Boelsterli, 2011) 멤브레인 간 단백질, 예컨대 엔도뉴클레아제 G와 세포 자멸사 유도 인자(AIF)를 미토콘드리아로부터 유리한다(Kon et al., 2004; Bajt et al., 2008). 엔도뉴클레아제 G와 AIF 모두 핵으로 전좌하여 DNA 단편화를 유발하여(Cover et al., 2005; Bajt et al., 2006, 2011), 결과적으로 세포 사멸이 일어난다. ATP 고갈과 핵 분해에 의한 미토콘드리아 멤브레인 전위의 중지는 세포 괴사를 유도하는 중요한 이벤트이다. 따라서, 간보호를 위한 치료 적 중재를 설계할 때 이러한 메커니즘이 차단될 수 있는 다수의 간섭 지점이 있다.
모델의 병리학적 과정의 순서를 아는 것은 치료학적 중재의 가이드라인을 제공한다. 산화성 스트레스와 무균 염증은 APAP 독성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모델의 병리생리학은 일련의 이벤트, 예를 들어 0 내지 2 h의 대사적 활성화, 최초 30분 이내의 GSH 고갈, 2 내지 12 h 사이의 세포 사멸의 세포내 메카니즘, 6 - 24 h 시간에서 염증 반응, 및 APAP 독성 후 24 - 72 h 시간 내의 재생을 특징으로 한다(Jaeschke et al., 2012a).
언급한 바와 같이, APAP 과다복용은 단백질 부가 형성을 특징으로 인간의 심각한 간독성(Davern et al., 2006; James et al., 2009), 미토콘드리아 손상 및 세포 사멸을 유발하는 핵 DNA 단편화(McGill et al., 2012a)를 유발할 수 있다. 그러므로, 간보호를 위한 식물 추출물 시험시 유사한 병리생리학 특징을 공유할 수 있는 동물 모델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따라서, 생체 실험에 있어서, 마우스는 바람직한 모델이며, 손상이 메카니즘과 용량 의존성(dose-dependency) 모두에서 인간 병리생리학과 아주 근접하게 닮아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일부 경우는 마우스와 인간 사이에서 APAP 간독성의 일차 유의차가 6-12 h에서 ALT 피크를 보이는 마우스와 비교하여 노출 24-48 h 후 ALT 피크를 나타내는 인간에서 더 지연된 독성임을 보여주고 있다(Larson, 2007). 이러한 차이는 두 종 간의 흡수 차이 때문인 것으로 부분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이에 비하여, 래트는 천연물 시험에 일반적이지만 대부분의 래트 종류가 APAP 독성에 대체로 무감각하기 때문에 좋은 모델이 아니다(Mitchell et al., 1973; McGill et al., 2012b). ≥1 g/kg의 고용량에서 조차도 APAP는 대개 관련 간 손상을 일으키지 않는다(Jaeschke et al., 2013). 그리고, GSH 고갈과 단백질 부가물이 측정될 수 있지만, 마우스와 비교하여 래트 간 미토콘드리아 내의 저부가물은 충분한 미토콘드리아 기능장애와 괴사성 세포 사멸을 유도하기 위한 후속 증폭작용을 개시하는데는 불충분한 것으로 보인다(McGill et al., 2012b). 이러한 두 종간의 기본적 차이는 식물치료요법(phytotherapeutics)의 평가 동안 반영된다. 예를 들어, 래트 시험에서, 3 g/kg의 APAP 투약은 기준선과 비교하여 약 3배의 혈장 ALT 농도의 증가를 얻었고, 식물치료요법이 이러한 보통의 간 손상을 33%까지 약화하였다(Ajith et al., 2007). 이 래트 모델에서 조직학적 변화는 최소한이어서 검출이 어렵다. 반면, 마우스 시험에서 ALT 증가는 300 mg/kg APAP 투약 후에 기준선의 > 60배였고, 식물치료요법에 의한 감소는 75%였다(Wan et al., 2012). APAP 독성으로 유발된 조직학적 변화와 약물의 보호효과가 쉽게 관찰되었다.
CCl4는 제한된 용도를 갖는 할로겐화된 알칸의 공업 화학물질이고, 광범위한 실험 동물에서 급성 독성 간 손상을 유발하는데 널리 사용되는 공지된 간세포독소이다. 인간은 작업환경과 환경오염, 예컨대 오염된 식수로 CCl4에 노출되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화학물질은 지방 변성, 섬유증, 간세포 사멸 및 발암성 같은 간독성 효과의 작용 메카니즘을 규명하기 위한 모델 화합물로서 오늘날 중요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Slater 1981; Renner H. 1985; Reynolds 1963). 이것은 주로 자유 라디칼 형성 및 지질 과산화와 연관된 대표적인 화학적으로 유도된 간독성 동물 모델의 하나로 여겨지고 있다.
APAP와 마찬가지로, CCl4 독성은 주로 (CYP) 2E1, CYP2B1 또는 CYP2B2의 사이토크롬 P450에 의해 개시(Nelson and Harrison, 1987)되어 반응성 대사산물인 트리클로로메틸 자유 라디칼(CCl3-)을 얻고, 이것이 지질 과산화를 개시하여 결과적으로 반응성 산소종(ROS)의 과생산과 간세포 손상을 유발한다(Poyer et al., 1980; Albano et al., 1982). 이 과정에서 이러한 라디칼은 세포 분자(핵산, 단백질, 및 지질)와 결합할 수 있고, 지질 대사 등의 결정적 세포 과정을 손상하여 지방 변성(지방증) 및 거대분자에 대한 직접 손상의 잠재적 결과를 얻는다(Weddle et al., 1976). 이러한 라디칼은 또한 산소와 반응하여 반응성이 높은 트리클로로메틸퍼옥시 라디칼 CCl3OO-를 형성할 수 있다. 일단 생성되면, 이것은 지질 과산화의 사슬 반응을 개시하여 다가불포화 지방산, 구체적으로 인지질과 결합된 것들을 공격하여 파괴한다. 이것은 미토콘드리아, 소포체, 및 플라즈마 멤브레인의 투과성에 영향을 미쳐서 세포 칼슘 격리와 항상성이 손실되어 후속 세포손상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산화방지제와 라디칼 스캐빈저(scavenger)는 지질 과산화의 사슬 반응을 파괴하여 CCl4-유도성 손상으로부터 간 세포를 보호할 뿐만 아니라 CCl4 독성의 메카니즘을 연구하는데 사용되었다(Cheeseman et al., 1987). 분자 수준에서 CCl4는 TNF-α (Czaja et al., 1995), 산화질소(NO) (Chamulitrat et al., 1994, 1995), 및 형질전환성장인자(TGF) (Luckey et al., 2001)를 세포에서 활성화하며, 세포를 주로 파괴 또는 섬유증이 되도록 하는 것으로 보이는 과정들이다. 이는 항염증 활성을 갖는 식물 추출물들이 간보호에서 잠재적 적용성을 갖는 것을 시사한다. 다량의 CCl4를 급속 투여하는 것은 심각한 괴사를 유발하지만 적은 양을 서서히 투여하는 것은 대개 간 섬유증을 유도하기 위해 사용된다.
산화성 스트레스는 자유 라디칼의 생산과 신체의 고유 능력 사이의 불균형으로, 내인성 산화방지 방어 네트워크를 다양하게 감소 및 격리하면서 상호작용을 통해 이들의 유해효과를 중화하거나 대응한다. 몸의 산화방지 방어 시스템에 의한 적절한 적응이 없다면, 반응성 산소종 축적이 스트레스 민감성 세포내 시그널링 경로 활성화를 유발하여, 결국 괴사를 일으키는 세포 손상을 촉진하게 될 것이다. 산화성 스트레스의 손상은 시스템으로서 전신에 영향을 주지만, 그 영향이 알코올 등의 유해 독소를 제거하고 대사하는 주된 해독작용이 일어나는 간과 같은 주요 장기를 포함할 경우 더 유해하게 된다. 그 결과, 간은 알코올 유도성 손상을 받을 수 있는데, 왜냐하면 알코올과 그의 주요 대사물질인 아세트알데히드가 간성 산화방지 방어 시스템을 변성하는 반응성 산소종(ROS)과 하이드록실 라디칼(OH)을 생산하기 때문이다. 가장 일반적인 병리학적 상태, 예컨대 지방간, 간염, 섬유증 및 간 경화가 알코올에 대한 반복 노출로 인한 알코올 관련 간 장애로 관찰된다. 이러한 결과는 세포 지질, 단백질, 및 DNA 산화와 함께 다양한 실험 동물에서 입증되었다(Wu and Cederbaum, 2003). 본 원에서 본 발명자들은 가장 빈번하게 사용된 동물 모델을 실제 임상적 영향, 예컨대 APAP와 사용하고 전형적인 CCl4-유도성 간독성 모델로 사실을 확인하였다. 간독성을 유도하기 위해 사용된 화학물질과 상관없이, APAP와 CCl4 모델은 단백질 산화, 지질 과산화 및 DNA 손상을 유발하는 과량의 중간체 대사물질이 생산하는 반응성 산소종으로 유도된 산화성 스트레스에서 결정적 단계를 공유한다.
이를 위하여, 간을 치료하고 간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 설계된 조성물, 화합물, 의학 조성물 및 관련 방법을 개발, 생산 및 이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상적인 화합물, 의학 조성물 및 조성물은 다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치료를 얻는데 충분하여야 한다: (1) 포유동물에서 간 세포의 손상을 치료 또는 방지; (2) 간 건강 촉진; (3) 포유동물에서 해독 및 항산화 간 효소의 보존; (4) 포유동물에서 간 해독 능력의 증가; (5) 포유동물에서 간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 (6) 포유동물에서 간의 염증 개선; 및 (7) 간 재생기능 향상. 이상적 화합물과 조성물은 적어도 하나의 식물 추출물로부터 유도되거나 식물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식물 추출물은 강화되거나 강화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의 일부로서, 고려된 화합물과 조성물을 시험하기 위해 허용가능한 통상적인 모델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간 열화 메카니즘의 시점을 차단하고 이러한 결과를 연구하여 간 건강을 위한 치료적 중재를 확실하게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식물 추출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간을 치료하고 간 건강을 유지하기 위한 조성물과 방법을 기술하였으며, 여기서 식물 추출물은 적어도 하나의 쑥(Artemisia) 추출물, 적어도 하나의 알로에 겔 분말, 및 적어도 하나의 오미자(Schizandra) 추출물을 포함한다.
식물 추출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간을 치료하고 간 건강을 유지하기 위한 조성물과 방법을 기술하였으며, 여기서 식물 추출물은 적어도 하나의 폴리머 또는 바이오폴리머가 증강된 적어도 하나의 쑥 추출물, 적어도 하나의 크로몬(chromone)이 증강된 적어도 하나의 알로에 겔 분말, 및 적어도 하나의 리그난(lignan) 및 유기산이 증강된 적어도 하나의 오미자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포유동물에서, 간 기능을 유지하고, 간 세포 손상을 최소화하며, 건강한 간을 촉진하고, 간 항산화 무결성(integrity)을 보호하고, 독소를 중화하고, 간 건강에 영향을 주는 자유 라디칼의 활성을 약화하고, 반응성 산소종을 포집하고, 산화성 스스트레스를 감소하고, 독성 대사물질의 형성을 방지하고, 간 해독 능력 및/또는 기능을 개선하고, 간을 정화하고, 간의 구조를 회복하고, 독소로부터 간 세포를 보호하고, 간의 혈액 유동과 순환을 돕고, 간 기능을 지원하고, 간을 강화 및 진정하고, 간을 완화 및 생기있게 하고, 간 통증을 경감하고, 유해한 화학물질과 유기체를 배출하고, 간의 대사과정을 지원하고, 간 장애를 경감하고, 지방간을 경감하고, 간 해독 능력을 향상하고, 간 효소를 저하하고, 천연 산화제를 제공하고, SOD를 증가하고, GSH를 증가하고, 간 세포 과산화를 감소하고, 지방산 축적을 감소하고, 건강한 항염증 과정을 유지하며, 간 면역 기능을 개선하고, 간 세포 재생을 촉진하고, 간 재생 기능을 향상하고, 담즙 방출을 자극하고, 건강한 담즙 유출을 촉진하며, 간을 회춘하고 과영양, 과로, 과음 및 조기노화(over-aging)에 대해 간을 보호하는 의학 조성물을 기술하였으며, 여기서 의학 조성물은 본 발명의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다.
도 1은 사철쑥(Artemisia capillaris) 70% 에탄올 추출물의 HPLC 크로마토그램을 나타낸 것이다.
요약하면, 본 발명은 간 건강을 유지하는데 유용한 화합물과 조성물, 상기 화합물의 입체이성체, 약학적 또는 영양의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토토머, 글리코시드 및 프로드럭과, 간 건강을 개선하는 관련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과 조성물은 적어도 하나의 식물 추출물로부터 유도되거나 이를 포함하며, 여기서 식물 추출물은 강화되거나 되지 않을 수 있다. 개발의 일부로서, 통상적이고 허용가능한 모델을 본 발명의 화합물과 조성물을 시험하기 위해 사용하였다. 또한, 간 건강을 위한 치료적 중재는 간 열화 메카니즘의 시점을 차단하고 이러한 결과를 연구하여 설계하였다. 본 발명의 화합물, 의학 조성물 및 조성물은 다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치료를 얻는데 충분하다: (1) 포유동물에서 간 세포의 손상을 치료 또는 방지; (2) 간 건강 촉진; (3) 포유동물에서 해독 및 항산화 간 효소의 보존; (4) 포유동물에서 간 해독 능력의 증가; (5) 포유동물에서 간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 (6) 포유동물에서 간의 염증 개선; 및 (7) 간 재생기능 향상. 본 발명의 화합물과 조성물은 다양한 과도한 활성, 예를 들어 과영양, 과로, 과음 및 조기노화(over-aging) 등에 대해 간을 보호하도록 설계하였다.
구체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쑥 추출물, 적어도 하나의 알로에 겔 분말, 및 적어도 하나의 오미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물 추출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간을 치료하고 간 건강을 유지하는 조성물, 화합물 및 방법을 기술하였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폴리머 또는 바이오폴리머가 강화된 적어도 하나의 쑥 추출물, 적어도 하나의 크로몬이 강화된 적어도 하나의 알로에 겔 분말, 및 적어도 하나의 리그난 및 유기산이 강화된 적어도 하나의 오미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물 추출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간을 치료하고 간 건강을 유지하기 위한 조성물, 화합물 및 방법을 기술하였다.
본 발명은 포유동물에서, 간 기능을 유지하고, 간 세포 손상을 최소화하며, 건강한 간을 촉진하고, 간 항산화 무결성(integrity)을 보호하고, 독소를 중화하고, 간 건강에 영향을 주는 자유 라디칼의 활성을 약화하고, 반응성 산소종을 포집하고, 산화 스트레스를 감소하고, 독성 대사물질의 형성을 방지하고, 간 해독 능력 및/또는 기능을 개선하고, 간을 정화하고, 간의 구조를 회복하고, 독소로부터 간 세포를 보호하고, 간의 혈액 유동과 순환을 돕고, 간 기능을 지원하고, 간을 강화 및 진정하고, 간을 완화 및 생기있게 하고, 간 통증을 경감하고, 유해한 화학물질과 유기체를 축출하고, 간의 대사과정을 지원하고, 간 장애를 경감하고, 지방간을 경감하고, 간 해독 능력을 향상하고, 간 효소를 저하하고, 천연 산화제를 제공하고, SOD를 증가하고, GSH를 증가하고, 간 세포 과산화를 감소하고, 지방산 축적을 감소하고, 건강한 항염증 과정을 유지하며, 간 면역 기능을 개선하고, 간 세포 재생을 촉진하고, 간 재생 기능을 향상하고, 담즙 방출을 자극하고, 건강한 담즙 유출을 촉진하며, 간을 회춘하고 과영양, 과로, 과음 및 조기노화(over-aging) 등에 대해 간을 보호하는 의학 조성물을 기술하였으며, 여기서 의학 조성물은 본 발명의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다.
산화성 스트레스에 대한 반복 노출로부터 간을 보호하는 효능이 강화된 화합물과 추출물의 독특한 블렌드를 발견한 발상은 알코올 유도성 간 손상, 일상화된 피로와 탈진을 염두에 두고 진행되었다. 역사적으로, 페놀계 화합물이 풍부한 일부 식물들은 생물학적 시스템에서 항산화 활성과 연관되어 일중항(singlet) 산소와 자유 라디칼의 포집제(scavenger)로서 작용한다고 보고되어 이들을 약초로 사용하게 되었다. 공지된 효능과 안전성 데이터를 갖는 이러한 식물 재료를 조합하는 것은 전반적인 간 건강에 유리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APAP와 CCl4 모델을 이용하여 다양한 식물 추출물을 스크린하였다. 그 결과, 일부 식물 추출물들은 하나의 모델에서만 혈청 ALT 감소를 나타내었으나, 고려되야 할 단서에 대한 기준은 두 모델에서 효능을 나타내었다.
시험된 총 38종의 식물 재료로부터, 오미자(Schisandra), 쑥(Artemisia) 및 N931이 두 모델 모두에서 효능이 입증된 유일한 물질들이다. N931은 1-4% 알로에신(aloesin)과 96-99% 200:1 알로에 베라 속잎 겔 분말 폴리사카라이드의 독특한 조합을 함유하는 조성물이다. 본 원에 기술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바이오폴리머가 강화된 쑥 추출물, 하나 이상의 크로몬이 강화된 알로에 겔 분말, 및 하나 이상의 리그난 및 유기산이 강화된 오미자 추출물로부터의 식물 추출물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이러한 물질들에 대해 관찰된 저해정도는 모델들 사이에 동일하지 않았다. 예를 들어, 오미자 추출물은 APAP에 의해 유발된 간 손상에 대해 높은 보호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반면(500mg/kg 투여에서 최대 48.9%), 같은 투여량에서 이 추출물은 CCl4-유도성 간독성 모델에서 22.8%의 저해를 나타냈을 뿐이다. 한편, 쑥 추출물, 예컨대 사철쑥(Artemisia capillaris)은 CCl4-유도성 간독성 모델에서 400mg/kg의 투여량으로 혈청 ALT 농도의 48.0% 감소를 나타낸 것에 비하여; APAP-유도성 간 손상 모델에서 관찰된 저해는 비히클 대조군과 비교하여 이 투여 농도에서 단지 24.0%였다. 각 식물에 대한 별도 모델에서 관찰된 이러한 강력한 개별 성능을 고려하여, 두 모델 모두에서 더 나은 결과를 위해 이러한 식물 추출물을 결합하는 아이디어를 보강하였다. N931은 두 모델 모두에서 중등도의 간보호활성을 나타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당한 연구들이 다양한 정도의 간보호능력을 갖는 오미자, 쑥 및 N931의 항산화활성을 입증하였다. 그러나, 이 연구들은 일반적으로 오미자, 쑥 및 N931의 독특한 조합으로 알려진, SAL을 포함하는 예측 및 기술된 조성물을 얻기 위한 특정 비율로 이전에 함께 조합된 것은 없었다.
흥미롭게도 오미자와 사철쑥을 4:1, 2:1, 1:1, 1:2 및 1:4의 비율로 블렌드했을 때 400mg/kg의 투여 시, APAP 모델에서 2:1(사철쑥에 대하여 2배의 오미자)과 CCL4 모델에서 1:2(오미자에 대하여 2배의 사철쑥)가 손상이 있는 비히클 대조군과 비교하여 혈청 ALT 농도에서 각각 48.0%과 40.6% 감소를 나타내었다. 이들은 단일 비율의 두 모델에서 예상된 효능을 나타내는데 미치지 못해서 조성물을 완성하기 위한 제3 성분의 필요성을 시사하였다. N931은 두 모델에서 중간 정도의 저해를 나타내었기 때문에 제3 성분으로 간주되었다. 두 선행 블렌드에 N931을 첨가하므로써 간보호활성이 두 모델에서 유사한 크기: 즉, 두 모델에서 각각 52.5%와 46.3%로 나타났으며, 이것은 조성물 또는 화합물의 제3 성분으로 인한 추가적인 장점으로 여겨졌다. 3가지 식물 재료들을 제제화하는 장점을 시험했을 때 예상하지 못한 상승작용이 3가지 식물 재료들의 조합으로 관찰되었으며, 주어진 비율과 400mg/kg의 투여량으로 구성성분들 각각에 대해 관찰된 효과를 단순 합산한 예상 결과를 초과하였다.
사실, 구성성분들 중 어떤 것도 오미자, 쑥 및 N931을 포함하는 고려된 화합물 또는 조성물에 대해 입증된 것과 동등한 크기의 간보호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AST, ALT, 담즙산, 총 단백질, 총 빌리루빈, 컨쥬게이트 빌리루빈, 알부민, 및 총 단백질을 포함하는 간 패널로부터의 데이터는 본 발명의 조성물이 손상이 있는 비히클 처리된 대조 동물과 비교하여 간보호활성을 포함하는 것을 보여주었다. 간 균질물의 데이터가 나타낸 것처럼, SAL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간성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타제의 증가된 활성과 관련하여 소모된 간성 글루타티온을 보충하였다. 본 발명의 독특한 비율 4S:8A:3L은 몇몇 산화성 스트레스 특이적 바이오마커 조정과 관련하여 다수 동물 모델에서 입증된 간보호 활성을 제공한다.
본 원에 기술된, 쑥 추출물과 오미자 추출물은 4:1 내지 1:4의 중량비로 블렌드될 수 있다. 고려된 일부 구체예에서, 알로에 겔 분말은 또한 쑥 및 오미자 추출물의 혼합물과 약 5% 대 약 50%의 중량 백분율로 블렌드될 수 있다. 고려된 다른 구체예에서, 쑥, 오미자 및 알로에잎 겔 분말의 혼합물을 각각 8:4:3의 비율로 제공할 수 있다.
오미자 추출물은 표적 화합물 또는 조성물의 일부로서 사용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요소 또는 구성성분이다. 오미자 추출물은 적합한 공급원, 예를 들어 Schisandra chinensis , Schisandra elongate, Schisandra glabra , Schisandra glaucescens, Schisandra henryi , Schisandra incarnate, Schisandra lancifolia , Schisandra neglecta , Schisandra nigra , Schisandra propinqua , Schisandra pubescens , Schisandra repanda, Schisandra rubriflora , Schisandra rubrifolia , Schisandra sinensis , Schisandra sphaerandra , Schisandra sphenanthera , Schisandra tomentella , Schisandra tuberculata , Schisandra vestita , Schisandra viridis, Schisandra wilsoniana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
오미자 추출물은 본 원에서 고려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리그난과 유기산이 강화될 수 있다. 오미자 추출물에서 단리한 고려된 리그난은 쉬잔드린, 데옥시쉬잔드린, γ-쉬잔드린, 슈도-γ-쉬잔드린, 우웨이지슈(Wuweizisu) B, 우웨이지슈 C, 이소쉬잔드린, 프레고미신, 에오쉬잔드린, 쉬잔드롤, 쉬잔드롤 A, 쉬잔드롤 B, 쉬산테린 A, B, C, D, E, 루브쉬산테린, 쉬산헤놀 아세테이트, 쉬산헤놀 B, 쉬산헤놀, 고미신 A, B, C, D, E, F, G, H, J, N, O, R, S, T, U, 에피고미신 O, 앤겔로일고미신 H, O, Q, T, 이글로일고미신 H, P, 앤겔로이이소고미신 O, 벤조일-고미신 H, O, P, Q, 벤조일-이소고미신 또는 이들의 조합이다. 오미자 추출물에서 단리한 고려된 유기산은 말산, 시트르산, 시킴산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쑥 추출물은 표적 화합물 또는 조성물의 일부로서 사용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요소 또는 구성성분이다. 쑥 추출물은 적합한 공급원으로부터 얻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Artemisia absinthium , Artemisia abrotanum L., Artemisia afra , Artemisia annua L, Artemisia arborescens , Artemisia asiatica , Artemisia campestris , Artemisia deserti , Artemisia iwayomogi , Artemisia ludoviciana , Artemisia vulgaris , Artemisia oelandica, Artemisia princeps Pamp , Artemisia sacrorum , Artemisia scoparia , Artemisia stelleriana , Artemisia frigida Willd , Artemisia anethoides Mattf ., Artemisia anethifolia Weber., Artemisia faurier Nakai , Origanum vulgare , Siphenostegia chinensis,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쑥 추출물은 본 원에서 고려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바이오폴리머가 강화될 수 있다. 쑥 추출물에서 단리한 고려된 폴리머와 바이오폴리머는 적합한 용매, 예를 들어 물, 메탄올, 에탄올, 알코올, 물이 혼합된 용매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추출된다. 고려된 구체예에서, 쑥 추출물은 약 500 g/mol 초과의 개별 또는 중간 분자량을 갖는 바이오폴리머 약 0.01% 내지 약 99.9%를 포함한다. 고려된 일부 구체예에서, 쑥 추출물은 약 750 g/mol 초과의 개별 또는 중간 분자량을 갖는 바이오폴리머 약 0.01% 내지 약 99.9%를 포함한다. 고려된 다른 구체예에서, 쑥 추출물은 약 1000 g/mol 초과의 개별 또는 중간 분자량을 갖는 바이오폴리머 약 0.01% 내지 약 99.9%를 포함한다.
알로에 겔 분말은 또다른 고려된 요소 또는 구성성분이고, 적합한 공급원, 예를 들어 Aloe arborescens , Aloe barbadensis , Aloe cremnophila , Aloe ferox , Aloe saponaria , Aloe Vera, Aloe Vera var. chinensis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알로에 겔 분말은 본 원에서 고려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크로몬이 강화될 수 있다. 고려된 크로몬은 알로에신, 알로에시놀, 알로에레진 A, 알로에레진 B, 알로에레진 C, 알로에레진 D, 알로에레진 E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거나 이들로부터 선택된다. 고려된 구체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크로몬 조성물은 약 0.01% 내지 약 100%의 하나 이상의 크로몬을 포함할 수 있다. 고려된 일부 구체예에서, 크로몬 조성물은 약 1% 내지 약 4%의 알로에신을 포함하고, 여기서 조성물은 기본적으로 안트로퀴논(anthroquinone)을 함유하지 않고 알로에 겔은 Aloe barbadensis 또는 알로에 베라로부터 선택된 식물에서 단리되고; 적어도 하나의 크로몬은 알로에 베라 또는 알로에 페록스(Aloe ferox) 또는 이들의 조합에서 단리된다.
본 화합물, 의학 조성물 및 조성물은 적어도 하나의 간보호제로 구성되거나, 이를 포함하거나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간보호제는 엉겅퀴(milk thistle), 울금, 시호, 감초, 샐비어, 뽕나무, 헛개나무속(hovenia), 짚신 나물속, 꾸지뽕나무속, 라이세움(lyceum), 감귤류, 살구속, 옐로우 무메(yellow mume), 한국 김, 민들레, 포도속, 포도씨, 산딸기속, 카멜리아, 녹차, 크릴 오일, 효모, 대두의 식물 분말 또는 식물 추출물; 단리되어 강화된 실리마린, 플라보노이드 인지질, 티오, 피크노제놀(pycnogenol), 젤라틴, 콩 레시틴, 췌장 효소; 천연 또는 합성 N-아세틸-시스테인, 타우린, 리보플라빈, 니아신, 피리독신, 엽산, 카로텐, 비타민 A, 비타민 B2, B6, B16, 비타민 C, 비타민 E, 글루타티온, 분지쇄형 아미노산, 셀레늄, 구리, 아연, 망간, 코엔자임 Q10, L-아르기닌, L-글루타민, 포스파티딜콜린 등 및/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되거나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화합물의 생체 내 대사산물이 고려되었다. 이 산물은, 예를 들어 주로 효소처리로 인한 투여된 화합물의 산화, 환원, 가수분해, 아미드화, 에스테르화 등에서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조성물을 포유동물에게 이들의 대사산물을 얻는데 충분한 기간 동안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된 것들이다. 이러한 산물은 전형적으로 본 발명의 방사능표지된 화합물을 검출가능한 양으로 동물, 예컨대 래트, 마우스, 기니피그, 개, 고양이, 돼지, 양, 말, 원숭이 또는 사람에게 투여하고 대사가 발생하는 충분한 시간을 허용한 후, 그의 전환물을 소변, 혈액 또는 기타 생물학적 샘플로부터 단리하여 확인한다.
본 원에서 사용된, "안정한 화합물"과 "안정한 구조"란 문구는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되며 반응 혼합물로부터 유용한 순도까지의 단리를 견디고 제제를 유효한 치료제로 제제화하는데 충분히 강력한 화합물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었다.
본 원에서 사용된, "포유동물"이란 용어는 인간 및 가축, 예컨대 실험 동물 또는 애완동물(예를 들어, 래트, 마우스, 기니피그, 고양이, 개, 돼지, 소, 양, 염소, 말, 래빗, 영장류)과 비가축, 예컨대 야생동물 등을 포함한다.
본 원에서 사용된, "임의로" 또는 "선택적으로"라는 용어는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고, 후속하여 기술된 요소, 성분, 이벤트 또는 환경이 일어나거나 일어나지 않을 수 있는 것을 의미하고, 요소, 성분, 이벤트 또는 환경이 일어난 예와 일어나지 않은 예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임의로 치환된 아릴"이란 아릴 라디칼이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을 수 있는 - 다시 말해서, 이러한 기술은 치환된 아릴 라디칼과 치환이 없는 아릴 라디칼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 의학 조성물 및 조성물은 적어도 하나의 약학적으로 또는 영양의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희석제 또는 첨가제로 구성되거나 포함하거나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원에서 사용된 "약학적으로 또는 영양의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희석제 또는 첨가제"란 문구는 보조제, 담체, 첨가제, 활택제, 감미제, 희석제, 보존제, 염료/착색제, 향미 증진제, 계면활성제, 습윤제, 분산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등장화제, 또는 미국식품의약국으로부터 사람 또는 가축에서 사용 가능한 것으로 인정된 유화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 의학 조성물 및 조성물은 적어도 하나의 약학적으로 또는 영양의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으로 구성되거나 포함하거나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원에서 사용된 "약학적으로 또는 영양의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란 문구는 산 부가염과 염기 부가염을 포함한다.
본 원에서 사용된, "약학적으로 또는 영양의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산 부가염"이란 문구는 자유 염기의 생물학적 효능과 특성을 보유하고, 생물학적으로 또는 달리 바람직하지 않은 것이 아니며, 이하의 산으로 형성된 염들을 지칭한다: 무기산, 예컨대 염산, 브롬산, 황산, 질산, 인산 등, 및 유기산, 예컨대 아세트산, 2,2-디클로로아세트산, 아디프산, 알긴산, 아스코브산, 아스파트산, 벤젠설폰산, 벤조산, 4-아세타미도벤조산, 캄포산, 캄포르-10-설폰산, 카프르산, 카프로산, 카프릴산, 카본산, 신남산, 시트르산, 시클람산, 도데실설프르산, 에탄-1,2-디설폰산, 에탄설폰산, 2-하이드록시에탄설폰산, 포름산, 푸마르산, 갈락타르산, 젠티스산(gentisic acid), 글루코헵톤산, 글루콘산, 글루쿠론산, 글루탐산, 글루타르산, 2-옥소-글루타르산, 글리세로포스포산, 글리콜산, 히푸르산, 이소부티르산, 락트산, 락토비온산, 라우르산, 말레산, 말산, 말론산, 만델산, 메탄설폰산, 점액산, 나프탈렌-1,5-디설폰산, 나프탈렌-2-설폰산, 1-하이드록시-2-나프토산, 니코틴산, 올레산, 오로트산, 옥살산, 팔미트산, 파모산, 프로피온산, 파이로글루탐산, 피루브산, 살리실산, 4-아미노살리실산, 세바스산, 스테아르산, 숙신산, 타르타르산, 티오시안산, p-톨루엔설폰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운데실렌산 등.
본 원에서 사용된, "약학적으로 또는 영양의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기 부가염"이란 문구는 자유 산의 생물학적 효능과 특성을 보유하고, 생물학적으로 또는 달리 바람직하지 않은 것이 아닌 염들을 지칭한다. 이러한 염들은 자유 산에 무기 염기 또는 유기 염기를 첨가하여 제조된다. 무기 염기에서 유도된 염은 소듐, 포타슘, 리튬, 암모늄, 칼슘, 마그네슘, 철, 아연, 구리, 망간, 알루미늄 염 등을 포함한다. 특정한 구체예에서, 무기염은 암모늄, 소듐, 포타슘, 칼슘 또는 마그네슘 염이다. 유기 염기에서 유도된 염은 다음 화합물의 염을 포함한다: 1차, 2차 및 3차 아민, 치환된 아민, 예를 들어 자연 발생한 치환된 아민, 사이클릭 아민 및 염기성 이온교환수지, 예컨대 암모니아, 이소프로필아민, 트리메틸아민, 디에틸아민, 트리에틸아민, 트리프로필아민, 디에탄올아민, 에탄올아민, 데아놀, 2-디메틸아미노에탄올, 2-디에틸아미노에탄올, 디사이클로헥실아민, 라이신, 아르기닌, 히스티딘, 프로카인, 하이드라바민, 콜린, 베타인, 베네타민, 벤자틴, 에틸렌디아민, 글루코사민, 메틸글루카민, 테오브로민, 트리에탄올아민, 트로메타민, 퓨린, 피페라진, 피페리딘, N-에틸피페리딘, 폴리아민 수지 등. 특히 유용한 유기 염기는 이소프로필아민, 디에틸아민, 에탄올아민, 트리메틸아민, 디사이클로헥실아민, 콜린 또는 카페인이다.
대개 결정화는 본 화합물의 용매화물을 생성하거나 본 화합물을 포함한다. 본 원에서 사용된, "용매화물"이란 용어는 본 화합물, 의학 조성물 또는 조성물의 분자 하나 이상과 하나 이상의 용매 분자를 포함하는 응집물을 지칭한다. 용매는 물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용매화물은 수화물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용매는 유기용매일 수 있다. 따라서, 본 화합물, 의학 조성물 또는 조성물은 1수화물, 2수화물, 반수화물, 세스퀴수화물(sesquihydrate), 3수화물, 4수화물 등을 포함하는 수화물과 상응하는 용매화 형태로서 존재할 수 있다. 본 화합물, 의학 조성물 또는 조성물은 참용매화물(true solvate)일 수 있지만, 다른 경우에 본 화합물, 의학 조성물 또는 조성물은 단지 비의도적 물을 보유하거나 물과 일부 비의도적 용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약학적 조성물" 또는 "영양의학적 조성물"이란 본 화합물, 의학 조성물 또는 조성물과 포유동물, 예를 들어 인간에게 생물학적 활성 화합물의 전달을 위해 당분야에서 일반적으로 허용된 매질의 제제를 지칭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약학적 화합물, 의학 조성물 또는 조성물은 단독 조성물로서 또는, 처방 의약품, 일반의약품(OTC), 식물성 약제, 한방 의약, 동종요법제, 또는 정부가 검토하고 승인한 건강관리제품의 다른 형태의 성분으로 제제화되거나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영양의학적 조성물은, 예를 들어 단독 조성물, 또는 식품, 신규 식품, 기능성 식품, 음료, 바(bar), 식품 향미, 식품 첨가제, 의약용 식품, 식이 보충제, 또는 한방제품의 영양 또는 생리활성 성분으로서 제제화되거나 사용될 수 있다. 당분야에서 일반적으로 허용된 매질은 약학적으로 또는 영양의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희석제 또는 첨가제 모두를 포함한다.
본 원에서 사용된 "강화된(enriched)"이란 문구는 추출 또는 다른 조제 이전에 식물 재료 또는 다른 공급원의 중량에서 발견된 하나 이상의 활성 화합물의 양 또는 활성과 비교했을 때 하나 이상의 활성 화합물의 양 또는 활성에서 적어도 약 2배, 최대 약 약 1000 배를 갖는 식물 추출물 또는 다른 조제물을 지칭한다. 특정 구체예에서, 추출 또는 다른 조제 이전의 식물 재료 또는 다른 공급원의 중량은 건조 중량, 습윤 중량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본 원에서 사용된 "주요 활성성분" 또는 "주요 활성 구성성분"이란 식물 추출물 또는 다른 제제에서 발견되거나 식물 추출물 또는 다른 제제가 강화된 적어도 하나의 생물학적 활성이 가능한 하나 이상의 본 발명에 따른 활성 화합물을 지칭한다. 특정 구체예에서, 강화된 추출물의 주요 활성성분은 그 추출물에 풍부한 하나 이상의 활성 화합물이다.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주요 활성 구성성분은 다른 추출 구성성분들과 비교하여 하나 이상의 측정가능한 생물학적 활성 또는 효과 대부분(즉, 50% 초과)을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제공한다. 특정 구체예에서, 주요 활성성분은 추출물의 중량 백분율로 소량 성분(예를 들어, 약 50%, 25%, 20%, 15%, 10%, 5%, 또는 1% 미만의 추출물에 함유된 성분)일 수 있지만, 대부분의 목적하는 생물학적 활성을 제공한다. 주요 활성성분을 함유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주요 활성 구성성분들의 농도가 아니라 강화된 조성물의 약학적 또는 영양의학적 활성에 기여하거나 기여하지 않을 수 있는 소량 활성성분을 함유할 수 있고, 소량 활성 구성성분들 단독으로 주요 활성성분 부재 하에서 유효할 수는 없다.
본 원에서 사용된 "유효량" 또는 "치료학적 유효량"이란 문구는 포유동물, 예컨대 인간에게 투여되었을 때 다음 중 하나 이상의 포함하는 치료를 얻는데 충분한, 본 발명의 화합물, 의학 조성물 또는 조성물의 양을 지칭한다: (1) 포유동물에서 간 세포의 손상을 치료 또는 방지; (2) 간 건강 촉진; (3) 포유동물에서 해독 및 항산화 간 효소의 보존; (4) 포유동물에서 간 해독 능력의 증가; (5) 포유동물에서 간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 (6) 포유동물에서 간의 염증 개선; 및 (7) 간 재생기능 향상. "치료학적 유효량"을 구성하는 본 발명의 화합물, 의학 조성물 또는 조성물의 양은 화합물, 치료 중인 상태와 그의 중증도, 투여방법, 치료기간, 또는 치료될 대상의 체중과 연령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들이 그의 지식과 본 명세서와 관련하여 결정할 수 있다.
본 원에서 사용된 "보충물"이란 자연적 상태 또는 생물학적 프로세스와 관련하여 특정한 상태, 구조 또는 기능을 향상, 촉진, 지원, 증가, 조절, 관리, 제어, 유지, 최적화, 개선, 감소, 저해 또는 예방하는(즉, 질환을 진단, 치료, 완화, 관리, 또는 예방하는데 사용되지 않는) 제품, 화합물 및/또는 조성물을 지칭한다. 특정한 구체예에서, 보충물은 식이 보충물이다. 예를 들어, 간 건강에 대한 상태와 관련하여 식이 보충물은 포유동물에서 간 기능을 유지하고, 간 세포 손상을 최소화하며, 건강한 간을 촉진하고, 간 항산화 무결성(integrity)을 보호하고, 독소를 중화하고, 간 건강에 영향을 주는 자유 라디칼의 활성을 약화하고, 반응성 산소종을 포집하고, 산화 스트레스를 감소하고, 독성 대사물질의 형성을 방지하고, 간 해독 능력 및/또는 기능을 개선하고, 간을 정화하고, 간의 구조를 회복하고, 독소로부터 간 세포를 보호하고, 간의 혈액 유동과 순환을 돕고, 간 기능을 지원하고, 간을 강화 및 진정하고, 간을 완화 및 생기있게 하고, 간 통증을 경감하고, 유해한 화학물질과 유기체를 축출하고, 간의 대사과정을 지원하고, 간 장애를 경감하고, 지방간을 경감하고, 간 해독 능력을 향상하고, 간 효소를 저하하고, 천연 산화제를 제공하고, SOD를 증가하고, GSH를 증가하고, 간 세포 과산화를 감소하고, 지방산 축적을 감소하고, 건강한 항염증 과정을 유지하며, 간 면역 기능을 개선하고, 간 세포 재생을 촉진하고, 간 재생 기능을 향상하고, 담즙 방출을 자극하고, 건강한 담즙 유출을 촉진하며, 간을 회춘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특정한 구체예에서, 식이 보충물은 특별한 카테고리의 식이, 식품 또는 둘 다이며, 약물이 아니다.
"치료하는" 또는 "처치" 또는 "개선"이란 용어는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고 질환 또는 관심있는 상태를 갖거나 갖는 것으로 의심되는 포유동물, 에컨대 인간에서 질환 또는 관심있는 상태의 치료적 처치 또는 예방적/방지적 처리를 지칭하고: (i) 포유동물이 특히 이러한 상태에 취약하지만 아직 진단되지는 않았을 때 그 상태 또는 질환이 포유동물에서 발생하는 것을 예방; (ii) 질환 또는 상태의 저해, 즉 발병의 중지; (iii) 질환 또는 상태의 완화, 즉 질환 또는 상태의 퇴행 유발; 또는 (iv) 기저 질환 또는 상태를 해결하지 않고 질환 또는 상태로 인한 증상 완화(예를 들어, 통증 완화, 염증 감소, 해독 능력 손실의 감소)를 포함한다.
본 원에서 사용된 "질환"과 "상태"란 용어는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되거나 특정 질병 또는 상태가 공지된 원인물질이 없을 수 있고(병인이 아직 작동되지 않았기 때문), 따라서 질환으로 인식된 것이 아니라 바람직하지 않은 상태 또는 증상으로서만 인식되고, 여기서 증상의 어느 정도 특정 세트가 임상의에 의해 확인되었다는 점에서 상이할 수 있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 의학 조성물, 조성물 및 방법은, 예를 들어 간염, 알코올성 간 질환, 간경화증 또는 둘 다를 치료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원에서 사용된 "통계적 유의성"은 Students t-시험을 사용하여 계산했을 때 0.050 이하의 p값을 지칭하며 이것은 측정되는 특정 이벤트 또는 결과가 우연히 발생한 것 같지는 않은 것을 나타낸다.
본 원에서 사용된 화학물질 명명 방법과 구조 다이아그램은 ACD/Name Version 9.07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또는 ChemDraw Ultra Version 11.0 소프트웨어 명명 프로그램(CambridgeSoft)을 사용하는 I.U.P.A.C. 명명 체계의 변형된 형태이며, 여기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중심 핵 구조, 예를 들어 이미다조피리딘 구조의 유도체로서 명명하였다. 본 원에서 사용된 복잡한 화학물질명에 있어서 치환체 그룹은 부착된 그룹 앞에 명명된다. 예를 들어, 사이클로프로필에틸은 사이클로프로필 치환체를 갖는 에틸 주쇄를 포함한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과 (예를 들어, 약학적, 영양의학적)조성물은 간 건강을 증진하고; 간 건강을 향상하며; 간 건강을 유지하고; 간 건강을 치료 또는 관리하고; 간 건강을 지원하고; 간 해독 작용의 정상적이고 편안한 범위를 지원하고; 간의 자유 라디칼 소거 능력을 향상하고; 화학물질, 약물, 대사물질, 및 생물학적 독소로부터 유도된 유해 자유 라디칼 손상을 감소하고; 간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효소를 보존하고; B/C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 알코올 소비, 대사 이상,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NAFLD), 비알코올성 지방간염(NASH), 알코올성 간 질환, 간성 혼수, 간 섬유증식성 질환(간 섬유화), 저산소증/재산소화하는 동안 간세포 손상,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인한 만성 산화성 스트레스로 인한 간 손상; 또는 본 원에 기술된 다른 연관 증상으로부터 보호하는데 충분하고, 일반적으로 허용가능한 독성을 갖는 양으로 환자에게 투여할 수 있다.
다른 특정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과 (예를 들어, 약학적, 영양의학적)조성물은 바이러스성 간염, 알코올성 간염, 자가면역성 간염, 알코올성 간 질환, 지방간 질환, 지방증, 지방간염,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 약물 유도성 간 질환, 간경화증, 섬유증, 간부전, 약물 유도성 간부전, 대사증후군, 간세포 암종, 담도암, 원발성 담즙성 간경화증, 담즙 모세혈관증(bile capillaries), 길버트 증후군, 황달 또는 다른 간독성 관련 증상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간 장애 또는 질환을 치료하는데 충분하고, 일반적으로 허용가능한 독성을 갖는 양으로 환자에게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 의학 조성물 또는 조성물, 또는 이들의 약학적 또는 영양의학적 허용가능한 염을 순수한 형태로 또는 적절한 약학적 또는 영양의학적 조성물로 유사한 용도를 제공하기 위한 제제들의 허용된 투여방식에 의해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또는 영양의학적 조성물은 본 발명의 화합물과 적절한 약학적 또는 영양의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희석제 또는 첨가제와 조합하여 제조할 수 있고, 고체, 반고체, 액체 또는 기체 형태, 예컨대 정제, 캡슐, 분말, 그래뉼, 연고, 용액, 좌약, 주사제, 흡입제, 겔제, 미소구체, 및 에어로졸의 조제물로 제제화될 수 있다. 이러한 약학적 또는 영양의학적 조성물을 투여하는 전형적인 경로는 경구, 국소, 경피, 흡입, 비경구, 설하, 구강, 직장, 질내, 또는 비강내를 포함한다.
본 원에서 사용된 "비경구"라는 용어는 피하주사, 정맥내, 근육내, 흉골내 주사 또는 주입 방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학적 또는 영양의학적 조성물은 함유된 활성성분들이 환자에게 조성물을 투여했을 때 또는 직후에 생체에서 이용가능하도록 제제화된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과 화합물은 투여후 시간에 따라 방출될 수 있도록 디자인되거나 제제화될 수 있다.
특정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대상 또는 환자에게 하나 이상의 복용량 단위 형태로 투여할 수 있고, 여기서 예를 들어 정제는 단일 복용량 단위일 수 있고, 본 발명 화합물의 용기는 에어로졸 형태로 다수의 복용량 단위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복용량 형태를 제조하는 실제 방법은 공지되어 있거나, 당업자들에게는 자명하다; 예를 들어, Remington: The Science and Practice of Pharmacy, 20th Edition (Philadelphia College of Pharmacy and Science, 2000) 참조. 투여될 본 발명의 조성물은, 어떠한 경우에도 본 명세서의 요지에 따른 관심 있는 질환 또는 상태를 치료하기 위한, 본 발명 화합물 또는 약학적 또는 영양의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그의 염의 치료학적 유효량을 함유한다.
본 발명의 약학적 또는 영양의학적 조성물은 고체 또는 액체 형태일 수 있다. 일 측면에서 담체(들)를 미립화하여, 조성물은, 예를 들어 정제 또는 분말 형태로 된다. 담체(들)는 액체일 수 있으며, 조성물은, 예를 들어 경구 시럽, 주사가능한 액체 또는, 예를 들어 흡입식 투여에 유용한 에어로졸일 수 있다.
경구 투여용일 경우, 약학적 또는 영양의학적 조성물은 고체 또는 액체 형태일 수 있고, 여기서 반고체, 반액체, 현탁액 및 겔 형태는 고체 또는 액체로 본 원에서 고려된 형태 내에 포함된다.
경구 투여용 고체 조성물로서, 약학적 또는 영양의학적 조성물은 분말, 그래뉼, 압착 정제, 환제, 캡슐, 츄잉검, 웨이퍼, 바 등의 형태로 제제화될 수 있다. 이러한 고체 조성물은 전형적으로 하나 이상의 불활성 희석제 또는 식용가능한 담체를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다음 중 하나 이상이 존재할 수 있다: 바인더, 예컨대 카복시메틸셀룰로스, 에틸 셀룰로스, 사이클로덱스트린, 미세결정질 셀룰로스, 트라가칸트검 또는 젤라틴; 첨가제, 예컨대 전분, 락토스 또는 덱스트린, 붕해제, 예컨대 알긴산, 소듐 알기네이트, Primojel®, 옥수수 전분 등; 윤활제, 예컨대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또는 Sterotex®; 활택제, 예컨대 콜로이드성 이산화규소; 감미제, 예컨대 슈크로스 또는 사카린; 풍미제, 예컨대 페퍼민트, 메틸 살리실레이트 또는 오렌지향; 및 착색제.
약학적 또는 영양의학적 조성물이 캡슐, 예를 들어 젤라틴 캡슐의 형태일 때, 상기한 종류의 물질 이외에 액체 담체, 예컨대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오일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또는 영양의학적 조성물은 액체 형태, 예를 들어 엘릭서, 시럽, 겔, 용액, 유화액 또는 현탁액일 수 있다. 액체는 두 가지 예로서 경구 투여용이거나 주사에 의한 전달용일 수 있다. 경구 투여용일 경우, 유용한 조성물은 본 발명의 화합물 이외에도 하나 이상의 감미제, 보존제, 염료/착색제 및 풍미 강화제를 함유한다. 주사에 의해 투여될 조성물에 있어서는 하나 이상의 계면활성제, 보존제, 습윤제, 분산제, 현탁화제, 완충제, 안정화제 및 등장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액상 약학적 또는 영양의학적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또는 다른 유사 형태로서 다음 보조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멸균 희석제, 예컨대 주사용수, 살린(saline) 용액, 예컨대 생리식염수, 링거액, 등장 염화나트륨, 고정유(fixed oil), 예컨대 용매 또는 현탁매질로서 작용할 수 있는 합성 모노 또는 디글리세리드, 폴리에틸렌 글리콜,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기타 용매; 항박테리아제, 예컨대 벤질 알코올 또는 메틸 파라벤; 산화방지제, 예컨대 아스코르브산 또는 소듐 비설파이트; 킬레이트화제, 예컨대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완충제, 예컨대 아세테이트, 시트레이트 또는 포스페이트; 및 장력 조절제, 예컨대 염화나트륨 또는 덱스트로스. 비경구 제제는 앰플, 일회용 시린지 또는 유리나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다수 용량의 바이알에 담을 수 있다. 생리식염수는 일반적으로 유용한 보조제이다. 주사가능한 약학적 또는 영양의학적 조성물은 멸균한다.
비경구 또는 경구 투여를 위한 본 발명의 액상 약학적 또는 영양의학적 조성물은 적합한 복용량이 얻어지도록 본 발명의 화합물, 약학 조성물 또는 조성물의 양을 함유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약학적 또는 영양의학적 조성물은 국소 투여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담체는 용액, 유화액, 크림, 로션, 연고, 또는 겔 기재를 적합하게 포함할 수 있다. 기재는, 예를 들어 다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페트롤라툼, 라놀린, 폴리에틸렌 글리콜, 밀납, 미네랄 오일, 희석제, 예컨대 물과 알코올, 및 유화제와 안정화제. 증점제를 국소 투여용 약학적 또는 영양의학적 조성물에 사용할 수 있다. 경피 투여용일 경우, 조성물은 경피 패치 또는 이온영동(iontophoresis)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또는 영양의학적 조성물은 직장 투여를 목적으로, 예를 들어 직장 내에서 용융하여 약물을 방출하는 좌약제 형태일 수 있다. 직장 투여용 조성물은 적합한 비자극성 첨가제로서 유질 기재를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기재는 라놀린, 코코아 버터,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학적 또는 영양의학적 조성물은 고체 또는 액체 복용량 단위의 물리적 형태를 변경하는 다양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성물은 활성성분 주위에서 코팅 외피를 형성하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코팅 외피를 형성하는 물질은 전형적으로 불활성이고, 예를 들어 당, 쉘락 및 기타 장용코팅제에서 선택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활성성분은 젤라틴 캡슐 내에 포장할 수 있다.
고체 또는 액체 형태의 본 발명의 약학적 또는 영양의학적 조성물은 본 발명의 화합물과 결합하여 화합물의 전달을 돕는 제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작용을 할 수 있는 적합한 제제는 모노클로날 또는 폴리클로날 항체, 단백질 또는 리포좀을 포함한다.
고체 또는 액체 형태의 본 발명의 약학적 또는 영양의학적 조성물은 입자의 크기를, 예를 들어 생체이용률을 향상시키기 위해 감소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첨가제가 있거나 없는 조성물 내에서 분말, 그래뉼, 입자, 미소구체 등의 크기는 마크로(예를 들어, 육안으로 식별가능하거나 적어도 100 μm 크기), 마이크로(예를 들어, 약 100 μm 내지 약 100 nm 범위의 크기), 나노(예를 들어, 100 nm 이하의 크기), 및 크기와 겉보기밀도를 개선하기 위한 이들의 조합 또는 그 사이의 크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또는 영양의학적 조성물은 에어로졸로 투여할 수 있는 복용량 단위로 구성되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이란 용어는 콜로이드 성질의 것으로부터 가압 패키지로 구성된 시스템까지 다양한 시스템을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활성성분을 분산하는 적합한 펌프 시스템 또는 액화 또는 압축 가스에 의해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 화합물의 에어로졸은 활성성분(들)을 전달하기 위해 단일상, 2상, 또는 3상 시스템으로 전달될 수 있다. 에어로졸의 전달은 필수 용기, 액티베이터, 밸브, 서브용기 등을 포함하고, 함께 키트를 형성할 수 있다. 당업자라면 과도한 실험 없이도 가장 적절한 에어로졸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또는 영양의학적 조성물은 약학적 또는 영양의학적 분야에서 잘 알려진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사로 투여하고자 하는 약학적 또는 영양의학적 조성물은 본 발명의 화합물을 용액을 형성하도록 멸균 증류수와 조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균일한 용액 또는 현탁액의 형성을 촉진하기 위해 계면활성제를 첨가할 수 있다. 계면활성제는 수성 전달 시스템에서 화합물의 용해 또는 균질 현탁액이 용이하도록 본 발명의 화합물과 비공유적으로 상호작용하는 화합물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 조성물 및 의학 조성물, 또는 이들의 약학적 또는 영양의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치료적 유효량으로 투여되며, 치료적 유효량은 다음과 같은 다양한 인자들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사용된 특정 화합물의 활성; 화합물의 대사 안정성과 활성 기간; 환자의 연령, 체중, 일반적 건강, 성별 및 식이; 투여 방법과 시간; 배출 속도; 약물 조합; 특정 장애 또는 상태의 중증도; 및 대상이 수행하고 있는 요법.
본 발명의 화합물, 조성물 및 의학 조성물, 또는 이들의 약학적 또는 영양의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유도체는 또한 하나 이상의 다른 치료제의 투여와 동시, 투여 전 또는 투여 후에 투여될 수 있다. 이러한 병용요법은 본 발명의 화합물과 하나 이상의 추가 활성제를 함유하는 단일 약학적 또는 영양의학적 투약 제제의 투여뿐만 아니라 본 발명 화합물과 각각의 활성제를 별도의 약학적 또는 영양의학적 투약 제제로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화합물과 또다른 활성제는 환자에게 함께 단일 경구 투약 조성물, 예컨대 정제 또는 캡슐로 투여하거나 각각의 제제를 별도의 경구 투약 제제로 투여할 수 있다. 별도의 투약 제제가 사용될 경우, 본 발명의 화합물과 하나 이상의 추가 활성제는 기본적으로 같은 시간에, 즉 동시에, 또는 별도의 시간 간격으로, 즉 순차적으로 투여될 수 있으며; 병용용법이란 이러한 모든 방법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기재된 화학식의 치환체 또는 변수의 조합은 이러한 원인이 안정한 화합물을 얻는 경우에만 허용가능하다.
당업자라면 본 원에 기술된 방법에서 중간체 화합물의 작용그룹이 적합한 보호그룹으로 보호되는 것이 필요한 것을 이해할 것이다. 이러한 작용그룹은 하이드록시, 아미노, 머캡토 및 카복실산을 포함한다. 하이드록시의 적합한 보호그룹은 트리알킬실릴 또는 디아릴알킬실릴(예를 들어, t-부틸디메틸실릴, t-부틸디페닐실릴 또는 트리메틸실릴), 테트라하이드로피라닐, 벤질 등을 포함한다. 아미노, 아미디노 및 구아니디노의 적합한 보호그룹은 t-부톡시카보닐, 벤질옥시카보닐 등을 포함한다. 머캡토의 적합한 보호그룹은 C(O)R" (여기서 R"은 알킬, 아릴 또는 아릴알킬이다), p-메톡시벤질, 트리틸 등을 포함한다. 카복실산의 적합한 보호그룹은 알킬, 아릴 또는 아릴알킬 에스테르를 포함한다. 보호그룹은 당업자들에게 알려지거나 본 원에 기술된 표준 방법에 따라 첨가되거나 제거될 수 있다. 보호그룹의 사용에 대해서는 문헌, "Green, T.W. and P.G.M. Wutz, Protective Groups in Organic Synthesis (1999), 3rd Ed., Wiley"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으며, 이 문헌은 본 원에 그 전체가 참조로 포함되었다. 당업자들이 알고 있는 바와 같이, 보호그룹은 또한 폴리머 수지, 예컨대 Wang 수지, Rink 수지 또는 2-클로로트리틸-클로라이드 수지일 수 있다.
본 발명 화합물의 이러한 보호된 유도체가 그 자체로 약리학적 활성을 가질 수 없지만 이것을 포유동물에게 투여한 후에 체내에서 대사되어 약리학적으로 활성인 화합물을 형성할 수 있다는 것을 당업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유도체를 "프로드럭"이라고 기술할 수 있다. 본 발명 화합물의 모든 프로드럭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또한, 자유 염기 또는 산의 형태로 존재하는 본 발명의 화합물은 적절한 무기 또는 유기 염기 또는 산으로 당업자들에게 알려진 방법으로 처리하여 그의 약학적 또는 영양의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으로 전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염은 표준방법에 의해 해당하는 자유 염기 또는 산의 형태로 전환될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 조성물 및/또는 의학 조성물은 식물 공급원, 예를 들어 본 원의 실시예 및 다른 곳에 포함된 식물들로부터 단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과 화합물의 단리에 적합한 식물 부분은 잎, 껍질, 본체, 본체 껍질, 줄기, 줄기 껍질, 나뭇가지, 괴경, 뿌리, 뿌리 껍질, 껍질 표면(예컨대 주피 또는 다중상피, 이것은 코르크 조직, 코르크 형성층, 코르크 외피,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어린 새싹, 뿌리 줄기, 종자, 열매, 수술군(androecium), 암술군(gynoecium), 꽃받침, 수술, 꽃잎, 꽃받침 조각, 심피(암술), 꽃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식물 추출물은 다음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식물 부분으로부터 유도된다: 줄기, 줄기 껍질, 본체, 본체 껍질, 나뭇가지, 괴경, 뿌리, 뿌리 껍질, 어린 새싹, 종자, 뿌리 줄기, 꽃 및 다른 번식기관, 잎, 다른 지상부 또는 이들의 조합. 일부 연관된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식물 공급원에서 단리되어 기술된 치환체를 함유하도록 인공적으로 개질된다. 이와 관련하여, 식물에서 단리된 본 발명 화합물의 인공적 개질은 당분야에서 공지되고 또한 당업자들의 지식 내에 있는 임의의 방법을 사용하여 달성될 수 있다.
실시예
실시예 1: 동물
7 내지 8주령의 체중이 25 - 30 g인 목적에 따라 번식된 마우스를 Charles River Laboratories (Wilmington, MA)로부터 구입하였다. 동물들을 도착해서 1주일 동안 적응시키고 칭량하여 무작위로 각 그룹으로 배정하였다. ICR 마우스(5/케이지)를 폴리프로필렌 케이지에 수용하고 개별적으로 꼬리에 숫자로 표시하였다. 각 케이지를 와이어바 뚜껑 및 필터된 탑(Allentown, NJ)으로 덮었다. 개별 케이지 각각을 프로젝트 넘버, 시험 품목, 투약 농도, 그룹, 및 동물수를 표시하는 케이지 카드로 표시하였다. Harlan T7087 소프트 속대 베딩을 사용하였고 주당 적어도 2회 교체하였다. 동물들에게 신선한 물과 설치류 사료 식이 #T2018 (Harlan Teklad, 370W, Kent, WA)를 자유식으로 제공하고, 항온실(22.2℃)에서 12시간 명암주기로 수용하였다. 모든 동물 실험은 실험동물 관리 및 사용 가이드와 일치하는 보호시설 지침에 따라 수행하였다.
실시예 2: 아세트아미노펜 ( APAP ) 또는 사염화탄소( CCL4 )-유도성 간 손상 동물 모델
균형 치료 스케줄을 생성하고 예방과 개입을 해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최적화하였다: APAP-유도성 간독성 모델에서, APAP (Lot# MKBQ8028V, Sigma 제품)를 따뜻한 염류용액(G-Biosciences의 Lot#132908, Quality Biological의 Lot# 720729) (60℃로 가열하고 주위 온도로 냉각)에 용해된 400mg/kg의 투여량으로 밤새 금식시킨 ICR/CD-1 마우스에 경구 투여하여 독성을 유발하였다. CCl4-유도성 간독성 모델에서, CCl4 (Lot#SHBD5351V, Sigma 제품)를 옥수수유에 용해된 25μl/kg의 투여량으로 밤새 금식시킨 ICR/CD-1 마우스에 복강내 투여하여 독성을 유발하였다. 두 모델에서 물질은 APAP 또는 CCl4를 투여하기 전 -48hr, -24hr, -2hr과 유도 후 +6hr에 투여되었다. 종합적으로, 마우스에게 화학적 유도 이전 3회 및 화학적 유도 이후 1회 투여되었다. 10% Tween-20 (Lot# 0134C141, Amresco 제품), 1% CMC (Lot# NH0454, Spectra 제품) 또는 1% MC (Lot#SLBK4357V)를 모든 물질에 대한 담체 비히클로 사용하였다. APAP 또는 CCl4가 없는 대조용 마우스에게는 담체 비히클만을 제공하였다. 혈청 ALT를 T24 (Phoenix Laboratories, Everett, WA)로 측정하였다.
실시예 3: 식물 추출물의 제조
식물을 수집하고 활성 화합물 특성에 따른 상이한 용매를 준비하여 마우스의 본 발명 간독성 동물 모델에서 선별하였다. 16종에서 유래한 상이한 부분들을 포함하는 표 1의 하기한 19가지 식물은 마우스의 아세트아미노펜 유도 모델 또는 CCl4 유도 모델에서 상이한 수준에서 혈청 ALT 저해를 나타내었다. 양 모델에서 효능을 갖는 식물만 추가 시험을 위해 선택하였다.
엉겅퀴(milk thistle) 추출물을 40-50:1의 추출 비율로 실리븀 매리애넘 (Silybum marianum) 종자의 80% 에탄올/20% 물 추출물로 제조하였다. 분쇄된 종자를 80% 에탄올/20% 물로 추출한 다음, 케이크를 상징액으로부터 여과에 의해 분리하였다. 진공 하에 용매를 제거하여 부드러운 추출물을 얻고, 이것을 말토덱스트린과 혼합하여 스프레이 건조기로 건조하였다. 엉겅퀴 추출물을 50% 이하의 총 실리마린(silymarin)과 30% 이하의 실리비닌(silybinin)의 상세를 충족하기 위해 표준화하였다. 실리마린은 플라보노리그난 실리비닌, 실리디아닌 및 실리크리스틴의 혼합물로 구성된다. 실리비닌은 실리마린의 주요 활성 구성성분이다. 엉겅퀴 종자의 표준화된 추출물은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하다.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N931은 통상적인 방법으로 블렌드된 1-4% 알로에신과 96-99% 200:1 알로에 베라 안쪽 잎 겔 분말 폴리사카라이드의 독특한 조합을 함유하는 조성물이다. 알로에 베라 안쪽 잎 겔 분말 폴리사카라이드는 Aloecorp에 의해 동결건조물 형태로 공급되었다. 표피를 알로에 바바덴시스(Aloe barbadensis) 식물의 깨끗이 세척된 잎으로부터 수동으로 제거한 다음, 알로에즙을 모아서 셀룰라제로 처리하여 효소를 불활성화하였다. 활성탄을 사용하여 효소를 불활성화하는 동안 색을 제거하였다. 탈색된 여과액을 다시 동결건조 트랩에 옮겨서 알로에 베라 안쪽 잎 겔 분말을 얻고, 이것을 1-4% 알로에신과 블렌드하여 N931을 제조하였다.
Figure pat00001
실시예 4: APAP CCL4 -유도성 간독성 모델에서 식물 추출물의 간보호 활성
간보호와 재생에서 조직학적 용도에 기초하여 수집된 레거시 발굴(mining)로부터의 식물 물질을 70% 에탄올을 사용하여 추출하고 APAP 및 CCl4-유도성 간독성에서 그의 효능에 대해 스크린하였다. 물질들을 표 2-3에 특정된 용량으로 동물에게 경구투여하였다. 대부분의 식물 추출물들이 하나의 모델에서 혈청 ALT의 저해를 보인 반면, 소수의 식물들이 두 모델에서 효능을 나타냈다. 이들 중에서 Schizandra chinensis , Artemisia capillaris, 엉겅퀴 및 로에신(Loesyn)을 추가 실험을 위해 선택하였다.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실시예 5: APAP 모델에서 선택된 식물 추출물의 용량-의존성 효과
뽕나무(Morus) 잎 (E1375), 뽕나무 열매 (E1374), 뽕나무 줄기 (E1377), Artemisia capillaris (R0594), 및 Schizandra chinensis (2%) (L0498)를 100, 200 및 300mg/kg의 투여량으로 APAP-유도성 간독성 모델에서 상기한 방법으로 시험하였다. 10% 트윈 20을 모든 물질에 대한 담체 비히클로 사용하였다. APAP가 없는 대조용 마우스에게는 비히클(10% 트윈 20)만 제공되었다. 혈청 ALT를 T24로 측정하였다. 하기한 표 4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두 식물 물질, 예컨대 Schizandra chinensis (2%) (L0498) 및 Artemisia capillaris (R0594)는 300mg/kg의 투여량으로 혈청 ALT 농도에서 각각 36.8%, 및 32.2%의 저해를 나타냈다. 이러한 감소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L0498이 300mg/kg의 투여량에서 100% 생존율을 나타낸 반면, R0594은 90%의 생존율을 나타냈다. 최저 투여량(100mg/kg)에서 L0498은 단지 30%의 생존율을 나타냈다. 반면에 R0594는 이 투여량에서 70%의 생존율을 나타냈다. 투여량과 상관없이, 모든 뽕나무 추출물에서의 생존율은 40 정도였다. 이러한 높은 사망률은 혈청 ALT 농도에서 결정적이 아닌 감소율로 이어졌다. 따라서, Schizandra chinensis (2%) (L0498)와 Artemisia capillaris (R0594)는 이 모델에서 약 300 mg/kg으로 최적의 효능을 갖는 진정한 히트(hit)로 간주할 수 있다.
Figure pat00004
실시예 6: CCl 4 모델에서 선택된 식물 추출물의 용량-의존성 효과
Agrimonia eupatoria(E1399)와 로에신(QMA2) 400mg/kg, 300mg/kg 및 200 mg/kg의 투여량; Artemisia capillaris(R0594), 및 Schizandra chinensis(2%) (L0498) 400mg/kg 및 300mg/kg의 투여량을 상기한 바와 같이 CCl4-유도성 간독성 모델에서 시험하였다. 10% 트윈 20을 모든 물질에 대한 담체 비히클로 사용하였다. CCl4가 없는 대조용 마우스에게는 비히클(10% 트윈 20)만 제공되었다. 혈청 ALT를 T24로 측정하였다.
하기한 표 5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혈청 ALT 농도에서 투여량과 상관된 감소는 모든 추출물에 대해 대부분 관찰되었다. 혈청 ALT 농도의 가장 큰 감소는 400mg/kg의 Artemisia capillaris (R0594) (48.0%), 이어서 300mg/kg의 같은 식물 물질(29.9%)로 치료된 마우스에서 관찰되었다. 이러한 감소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400mg/kg에서, 아그리모니아(Agrimonia)와 로에신은 모두 각각 0.07과 0.04의 P-값으로 ALT 농도에서 매우 유사한 수준의 감소(즉, 28%)를 나타내었다. 비히클 처리된 CCl4 대조군을 비롯한 모든 그룹에서 생존율은 100%였다. 적어도 이 뱃치에서는 Artemisia capillaris (R0594)가 혈청 ALT 농도의 저해에서 시험된 다른 히트 중 어떤 것보다 월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Figure pat00005
실시예 7: Artemisia Capillaris 유기 추출물 제조
Artemisia capillaris (2.5 kg)의 건조한 지상부를 잘라서 분쇄하고, 대략 15배 부피(37.5 L)의 70% 에틸 알코올 수용액(v/v)으로 추출하였다. 추출은 85℃에서 3시간 동안 수행하였다. 여과 후, 에탄올 용액을 회전 증발기에 의해 진공 하에 40℃에서 농축하였다. 추출과 농축 과정을 10배 부피(25 L)의 70% 에틸 알코올 수용액(v/v)으로 2시간 동안 2회 반복하였다. 농축된 추출물 용액을 진공 건조오븐에 의해 건조까지 증발시켜서 480 g의 Artemisia capillaris 70% EtOH 추출물 분말(lot# RN367-3-60M)을 추출 수율 19.2%로 얻었다.
분쇄된 건조 Artemisia capillaris 허브(180.4 g)를 70% 에탄올 수용액으로 매회 1시간 환류하여 3회 추출하였다. 유기용액을 합하고 진공 하에 증발시켜서 70% 에탄올 추출물 (R594-70EE) 37.7 g을 20.9%의 수율로 얻었다.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유사한 결과가 얻어졌으나, 유기용매를 메탄올 또는 에탄올로 대체하여 메탄올 추출물 (ME) 또는 에탄올 추출물 (EE), 에탄올:H2O (7:3) 추출물, 에탄올:H2O (1:1) 추출물, 에탄올:H2O (3:7) 추출물 및 수성 추출물 각각을 제공하였다. 용매 추출과정을 표 6에 요약하였다.
Figure pat00006
실시예 8: Artemisia Capillaris 추출물의 바이오어세이 유도 분획화
Artemisia capillaris 70% 에탄올 추출물 (RN425-7-70EE, 20 g)을 헥산(200 mL)과 물(250 mL)로 3회 분별하였다. 모아진 헥산 용액을 진공 하에 용매를 제거하여 헥산 추출물(HE) 1.43 g을 얻었다. 수성층을 에틸 아세테이트(200 mL)로 3회 추출하였다. 모아진 에틸 아세테이트 층을 진공으로 건조하여 에틸 아세테이트 추출물 (EA) 2.29 g을 얻었다. 수성층을 추가로 부탄올(200 mL)로 3회 추출하여 부탄올 추출물(BU) 3.70 g을 얻었다. 남겨진 수성층을 동결건조하여 수성 추출물(WA) 15.3 g을 얻었다. 70% EE와 HE, EA, BU 및 WA를 마우스의 CCl4 유도성 간독성 모델에서 시험하였다. HE, EA, BU는 불활성인 반면, 70% EE는 400 mg/kg에서 25.27% ALT 저해를 나타냈고 WA 분획은 300 mg/kg 농도에서 37.49% 저해를 나타냈으며 P는 ≤ 0.05였다.
활성 분획 WA를 HP20SS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추가로 분획화하였다. WA (4.4 g)을 20% EtOH 수용액에 용해하고 20% EtOH 수용액으로 사전조건화된 HP20SS (Diaion,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Japan, 160 g) 컬럼에 적재하였다. 컬럼을 800 mL 20% EtOH 수용액, 600 mL 40% EtOH 수용액, 400 mL 60% EtOH, 200 mL 80% EtOH로 용출하고, 최종적으로 200 mL EtOH와 200 mL 아세톤으로 세척하였다. 2개의 주요 분획 HP-01 (3.67 g, 83.4%)과 HP-02 (305.7 mg, 6.95%)를 모아서 CCl4 유도성 간독성 마우스 모델에서 시험하였다. HP-01의 주요 성분은 올리고사카라이드와 폴리사카라이드이다. HP-02는 주로 폴리페놀을 함유하였다. HP-01은 300 mg/kg으로 32.86% 저해를 나타내는 WA와 비교하여 비슷한 ALT 저해를 나타냈다. HP-02는 동일 모델에서 불활성이어서 폴리페놀이 이 식물의 활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활성 분획 HP-01을 LH-20 오픈 컬럼에 의해 추가로 분획화하였다. HP-01 (1.06 g)을 물에 용해하고 물로 사전조건화된 LH-20 컬럼에 적재하여 MeOH/H2O 그래디언트 용출로 4개 분획, LH-01 (43.4 mg, 4.26%), LH-02 (799.6 mg, 78.5%), 클로로겐산 (LH-03, 45.4 mg, 4.5%) 및 LH-04 (23.1 mg, 2.27%)를 얻었다. 주요 분획 LH-02만을 샘플 제한성으로 인해 생체내 시험에서 시험하였다. LH-02, 78.5% HP-01은 300 mg/kg 농도에서 CCl4 유도성 동물 모델에서 어떠한 효능도 나타내지 않았다. HP-01의 구성성분인 약 4.5% 비율을 갖는 클로로겐산 (C3878, Sigma-Aldrich, USA)은 200 mg/kg 농도로 시험했을 때 어떠한 저해도 나타내지 않았다. 본 시험의 생체 내 결과는 클로로겐산과 폴리페놀이 아니라 수용성 성분들이 쑥 추출물의 간보호 활성에 기여하는 것을 분명히 입증하였다. 활성 폴리사카라이드 함량은 10% 미만의 WA 분획이다. 이러한 정보를 표 7에 요약하였다.
Figure pat00007
실시예 9: 막 투석에 의한 활성 HP-1 샘플의 분획 분리
실시예 8과 표 7에 나타낸 Artemisia capillaris 유래의 간보호성 분획 - HP-01을 적절한 부피의 증류수에 용해하여 투석 막 튜브에서 증류수에 대해 매회 3시간 동안 3회 투석하였다(컷오프 MW 2000). 유지된 것과 합하여 투석된 용액 둘다를 동결건조하여 2개 샘플, DA-1 (MW>2000, 13.79%)과 DA-2 (MW<2000, 84.54%)를 얻었다. DA-2를 이전 투석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 분자량 컷오프 500으로 다시 투석하였다. DA-3 (500<MW<2000, 16.7%) 및 DA-4 (MW <500, 79.7%)를 수집하였다. DA-1, DA-3, 및 DA-4를 CCl4 유도성 마우스 모델에서 시험하였다. 2000 초과의 분자량을 갖는 DA-1은 DA-3 및 DA-4와 비교하여 통계적 유의성으로 혈청 ALT 농도에서 가장 높은 저해를 나타냈다. 500 미만의 분자량은 생체내 모델에서 어떠한 효능도 나타내지 않았다. 이 결과를 표 8에 요약하였다.
Figure pat00008
실시예 10: Artemisia Capillaris 추출물의 HPLC 분석 및 정량
마커 화합물 클로로겐산(1, C3878, Sigma-Aldrich, USA), 및 Artemisia capillaris 추출물 중의 디카페오일산(dicaffeoyl acid)(2-3)을 LCMS 분석과 문헌 보고에 기초하여 확인하고 Hitachi HPLC 시스템의 C18 역상 컬럼(Phenomenex, Luna C18, 10μm, 250 mm x 4.6 mm)을 사용하여 UV 파장 320 nm로 정량하였다. 컬럼을 1 mL/min의 유속으로 물과 아세토니트릴 중의 0.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TFA)의 2성분 그래디언트로 용출하였다. 화합물 1-3을 레퍼런스 화합물 클로로겐산에 대하여 정량하였다. 상이한 공급원에서 모아진 Artemisia capillaris의 70% EE 중 클로로겐산의 함량은 피크 면적의 계산에 따르면 1.5-4.8% (w/w)의 범위로 다양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표 9-10에 요약하였다.
Figure pat00009
Figure pat00010
실시예 11: Artemisia Capillaris 추출물의 카테킨 정량
Artemisia Capillaris 추출물의 물 분획물(WA) 중 카테킨을 HPLC 방법으로 정량하였다. Hitachi HPLC/PDA 시스템의 C18 역상 컬럼(Phenomenex, USA, Luna 5 um, 250 mm x 4.6 mm)을 카테킨 검출과 정량에 1.0 mL/min의 유속과 35℃의 컬럼 온도로 275 nm의 UV 파장에서 사용하였다. 에피카테킨(Epicatechin)(E1753, Sigma-Aldrich, USA)은 모든 쑥 샘플에서 검출되지 않았고, 단지 소량의 카테킨만이 카테킨 표준물(C1251, Sigma-Aldrich, USA)에 기초하여 검출 및 정량되었다. Artemisia Capillaris 추출물의 WA 분획 중 카테킨 함량은 0.02-0.32%의 범위로, 본 발명의 생체 내 시험 결과에 기초한 쑥 추출물의 간보호 특성과 무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표 11-12에 요약하였다.
Figure pat00011
Figure pat00012
실시예 12: 막 투석에 의한 폴리사카라이드의 분리
Artemisia capillaris에서 얻어진 HP-01의 미정제 폴리사카라이드를 적절한 부피의 증류수에 용해하고 투석 막 튜브에서 증류수에 대해 매회 3시간 동안 3회 투석하였다(컷오프 MW 2000). 유지된 것과 합하여 투석된 용액 둘다를 동결건조하여 2개 샘플, DA-1 (MW>2000, 13.79%)과 DA-2 (MW<2000, 84.54%)를 얻었다. 두 샘플을 모두 CCl4 유도성 마우스 모델에서 시험하였다.
실시예 13: 겔투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폴리사카라이드 분석 및 정량
Artemisia Capillaris 추출물의 활성 분획물 WA를 또한 폴리사카라이드의 분자량 분포를 평가하는데 있어서 잘 구축된 방법인 겔투과 크로마토그래피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Artemisia Capillaris 폴리사카라이드를 굴절률 검출기가 구비된 Hitachi HPLC 시스템의 PolySep-SEC-P5000 컬럼(Phenomenex, OOH-3145KO 컬럼, 300 mm x 7.8 mm)으로 분석하였다. 이동상은 0.1 M NaCl이고 25분 동안 0.7 mL/min의 유속이었다. 20 μL를 10 mg/mL의 농도로 각 샘플에 주입하였다. 폴리사카라이드를 6 덱스트란 분자량 표준물(미국 폴리머 표준)에 기초하여 7개 범위, > 2000, 2000-1000, 100-500, 500-200, 200-50, 50-10, < 10 KDa로 분할하여 정량하였다. 상이한 추출물들의 물 분획 샘플에 대한 분자량 분포는 다양하였다. 살아있는 보호활성은 높은 분자 분포와 연관되어 있다. 전체 폴리사카라이드 함량은 유사하였으나, 중량 분포는 Artemisia capillaris 샘플에서 아주 상이하였다. 거대 폴리사카라이드 함량이 높을수록 Artemisia capillaris에서 더 높은 효능이 관찰되었다. 분자량 분포를 표 13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13
실시예 14: CCl 4 모델에서 Artemisia capillaris 분획의 간보호 활성
CCl4-유도성 간독성 모델을 사용하여 Artemisia capillaris의 헥산(HE), 에틸 아세테이트(EA), 부탄올(BU) 및 물 분획의 간보호 활성을 평가하였다. 대조용 마우스에게는 10% 트윈-20만이 제공되었다. 혈청 ALT를 T24에서 측정하였다. 쑥 분획은 300mg/kg의 용량으로 투여한 반면, 출발 물질은 400mg/kg의 용량으로 투여하였다.
표 14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혈청 ALT의 가장 높은 저해는 300mg/kg 용량의 쑥의 물 분획으로 처치된 마우스에서 관찰되어, 이 분획 중 활성 마커의 존재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그러나, 이것이 다른 분획 내의 다른 활성 마커의 존재를 배제하지는 않는다. 원래 물질(R684)은 400mg/kg 용량으로 제공된 그의 효능을 유지하였다. 이 모델의 모든 그룹에 대하여 생존율은 100%였다.
Figure pat00014
실시예 15: Schisandra Chinensis 열매로부터 유기 추출물의 제조
총 20 g의 Schisandra chinensis 건조 열매를 100 ml 스테인레스 스틸 튜브 2개에 담고 유기 70% EtOH 수용액으로 ASE 300 자동 추출기를 80도 및 1500 psi의 압력으로 사용하여 2회 추출하였다. 추출물 용액을 자동 여과하여 수집하였다. 모아진 용액을 회전식 증발기로 건조까지 증발하여 미정제 70% EtOH 추출물 (9.65 g, 49.5%)을 얻었다.
동일한 방법으로 유사한 결과를 얻었으나, 유기용매를 메탄올 또는 에탄올로 대체하여 메탄올 추출물 (ME) 또는 에탄올 추출물 (EE), 에탄올:H2O (7:3) 추출물, 에탄올:H2O (1:1) 추출물, 에탄올:H2O (3:7) 추출물 및 수성 추출물 각각을 얻었다.
Schisandra chinensis 추출물을 70% 에탄올/30% 물 (v/v)을 사용한 건조 열매의 추출로 제조하였다. 추출물을 추가로 가공하여 쉬잔드린(schisandrin), 쉬잔테린(schisantherin) A, 쉬잔드린 A (데옥시쉬잔드린), 및 쉬잔드린 B를 포함하는 총 쉬잔드린 2% 이하를 갖는 추출물을 분말 형태(Lot#)로 얻었다
실시예 16: Schisandra Chinensis 추출물의 HPLC 분석 및 정량
4개의 활성 마커 화합물, 쉬잔드린 (lot #110857, 중국식품검정연구소, 중국), 쉬잔테린 A (lot #11529-200503, 중국식품검정연구소, 중국), 쉬잔드린 A (데옥시쉬잔드린, lot #110764-200107, 중국식품검정연구소, 중국), 및 쉬잔드린 B (lot #110765-200508, 중국식품검정연구소, 중국)을 Schisandra chinensis 추출물에서 동정하고 Schisandra chinensis 레퍼런스 표준물질(lot#140217, 중국식품검정연구소, 중국)로 확인하였다.
활성 마커 화합물들을 Hitachi HPLC 시스템의 C18 역상 컬럼(Phenomenex, Luna C18, 10μm, 250 mm x 4.6 mm)을 사용하는 HPLC에 의해 UV 파장 250 nm로 레퍼런스 표준물질과 비교하여 정량하였다. 컬럼을 물과 아세토니트릴로 1 mL/min의 유속으로 용출하였다. 본 실시예의 그래디언트 테이블을 표 15에 기재하였다. 개별 피크 각각을 확인하고 적분한 다음, 쉬잔드린, 쉬잔테린 A, 쉬잔드린 A 및 쉬잔드린 B를 포함하는 4개 화합물의 총 함량을 RSM에 기초하여 계산하고 그 결과를 표 16에 기재하였다.
Figure pat00015
Figure pat00016
실시예 17: 오미자 열매 추출물 중 유기산의 HPLC 정량
상이한 수집물로부터 자체 생산된 70% EtOH 추출물 중 말산, 시킴산(shikimic acid) 및 시트르산의 존재를 확인하여 표 17에 기재하였다. 유기산을 HPLC로 Hypersil GOLD aQ 컬럼(4.6x250mm, 5μm)을 사용하여 등용매 조건하에 20분 동안 5℃에서 50 mM 인산2수소칼륨(H3PO4를 사용하여 pH를 2.8로 조절)을 이동상으로 하고 유속을 0.7 ml/min으로 하여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유기산을 UV 검출기를 사용하여 205 nm에서 검출하였고, 유기산 표준물과 비교하여 체류시간에 기초하여 확인하였다.
Figure pat00017
실시예 18: APAP와 CCl 4 모델의 간보호에서 상이한 조합의 쑥과 오미자 추출물
선행 식물, 예컨대 Artemisia capillaries Schisandra chinensis를 선택한 다음, 간보호에서 이들의 효능을 4:1, 2:1, 1:1, 1:2 및 1:4의 상이한 조합비율로 APAP와 CCl4 유도성 간독성 모델에서 평가하였다. 두 식물의 조합을 각 식물의 첫 글자, 즉 Schisandra chinensis에 대한 "S"와 Artemisia capillaries에 대한 "A"를 사용하여 "SA"로 약칭하였다. 이하의 표 18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모든 블렌드가 어느 정도의 간보호를 나타냈지만, 혈청 ALT 농도로 측정된 통계적으로 유의한 48.0% 감소를 갖는 가장 높은 보호는 마우스를 2:1 비율의 오미자와 쑥 블렌드로 총 투여량 400mg/kg으로 처리했을 때 관찰되었다. 마찬가지로, CCl4 모델에서 혈청 ALT 농도로 측정된 통계적으로 유의한 40.6% 감소를 갖는 가장 높은 간보호는 마우스를 1:2 비율의 오미자와 쑥 블렌드로 총 투여량 400mg/kg으로 처리했을 때 관찰되었다. 두 모델에서 이러한 특정 비율의 생존율은 100%였다.
Figure pat00018
실시예 19: 조합 SAL 조성물의 제조
고려된 SAL 조합 조성물(lot#RN425-1501)은 320 g의 오미자 추출물 (lot #E1458), 263 g의 쑥 추출물 (lot#RN425-13), 377 g의 쑥 추출물(lot#RN425-14) 및 240 g의 N931(E1459 2% 알로에신)을 Ribbon 블렌더(Hankook P.M. EMG, Korea)로 30 rpm에서 1시간 동안 블렌딩하여 제조하여 1.17 kg의 SAL 조합물(lot#RN425-1501)을 오미자 : 쑥 : N931 = 4 : 8 : 3의 중량 비율로 얻었다.
실시예 20: Schisandra Chinensis , Artemisia Capillaris 및 N931 블렌드의 APAP/CCl 4 모델에서 간보호 활성 평가
2S:1A (APAP 모델) 및 1S:2A (CCl4 모델)의 Schisandra chinensisArtemisia capillaries의 선행 블렌드 비율 2개를 제3 선행 성분(로에신)을 첨가하여 추가 간보호 활성을 위해 선택하여 SLA로 지정하였다. "L"은 로에신을 나타낸다. N931을 2S:1A 조합에 10, 20 및 30% 중량비율, 및 1S:2A 조합에 10, 20 및 25% 중량비율로 첨가하였다. 이 조성물을 APAP/CCl4-유도성 간독성 모델에서 시험하였다. 마우스를 400mg/kg 투여량의 조성물 SAL로 치료하였다. 상이한 비율의 모든 조성물이 어느 정도의 간보호를 나타냈지만, 표 19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혈청 ALT의 가장 큰 감소(51.9%, P=0.01)와, 그에 따른 가장 높은 보호는 마우스를 각각 106.7/213.3/80 비율의 SAL 400mg/kg의 투여량으로 치료했을 때 관찰되었다. 이 모델에서 이러한 특정 비율의 생존율은 100%였다.
마찬가지로, 상이한 비율의 모든 조성물이 어느 정도의 간보호를 나타냈지만, 표 19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혈청 ALT의 가장 큰 감소(42.3%, P=0.01)는 마우스를 각각 106.7/213.3/80 비율의 SAL 400mg/kg의 투여량으로 치료했을 때 관찰되었다. 이 모델에서 이러한 특정 비율의 생존율은 100%였다.
Figure pat00019
여러 조성물이 간을 보호하는 효능을 나타냈지만, 가장 높은 보호율은 20중량%의 로에신을 1S:2A 비율에 첨가했을 때 관찰되었으며 두 모델에서 조성물 SAL에 대해 최종 4S:8A:3L 비율을 얻었다. 그 결과, 이 비율, 4S:8A:3L이 리드 조성물로 간주되었다.
실시예 21: APAP CCl 4 -유도성 간독성 모델에서 Schisandra Chinensis , Artemisia Capillaris 및 N931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용량 의존성 효과
유의한 간보호를 유발하는 조성물 SAL의 최적 용량을 APAP 및 CCl4 유도 모델에서 평가하였다. 조성물 SAL을 10% 트윈-20에 현탁된 400mg/kg, 325mg/kg 및 250mg/kg의 투여량으로 마우스에게 경구로 강제급식하였다. 비히클 대조군에게는 담체 용액만을 제공하였다. 표 20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APAP 그룹에서 혈청 ALT의 용량 관련 저해를 조성물에 대해 관찰하였다. 52.5% (p=0.001), 48.5% (p=0.012) 및 34.6% (p=0.079) 저해가 400mg/kg, 325mg/kg 및 250mg/kg SAL의 투여량 각각으로 처리된 마우스에서 관찰되었다. 마찬가지로, CCl4 그룹에서 혈청 ALT의 용량 관련 저해를 조성물에 대해 관찰하였다. 46.3% (p=0.003), 39.5% (p=0.007) 및 29.9% (p=0.036) 저해가 400mg/kg, 325mg/kg 및 250mg/kg SAL의 투여량 각각으로 처리된 마우스에서 관찰되었다. 양 모델의 모든 그룹에서 생존율은 100%였다. 조성물 SAL은 20% L을 사용한 1S:2A의 250mg/kg 투여량에서 간 손상의 통계적으로 유의한(CCL4) 보호를 제공하였다.
여기서는 오미자, 쑥 및 레오신 같은 개별 식물들이 시험된 가장 높은 용량(400mg/kg)의 4S:8A:3L일 때와 같은 SAL의 각 식물 비율과 동등한 용량으로 개별 식물들의 효능을 시험하였다. 표 20에 보이는 바와 같이, 70-80% 생존율을 갖는 평균 20%의 저해율이 주어진 용량의 식물들에 대해 관찰되었다.
Figure pat00020
실시예 22: 조성물 SAL의 상승작용 평가
Colby의 방정식(Colby, 1967)을 사용하여 Schizandra chinensis , Artemisia capillaris 및 N931을 조합하는 이점을 APAP와 CCL4 모델에서 평가하였다(A+B-C, 표 21). 하기한 표 2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관찰된 값은 양 모델로 예상된 가상 값(A+B-C)보다 더 큰 값이어서 SAL을 얻은 특정한 비율의 3 성분을 제제화하는데 상승작용이 존재하는 것을 시사하였다. 오미자, 쑥 및 N931을 블렌딩하는 이점은 APAP와 CCL4로 유발된 간 손상에 대한 이들의 상승적인 보호로 확인되었다.
Figure pat00021
실시예 23: SAL 조성물 대 개별성분들의 간보호 활성(투여량 300mg/kg)
APAP 및 CCl4 유도성 간 독성 모델을 사용하여 조성물 SAL을 그의 개별 구성성분들에 대해 300mg/kg의 투여량에서 효능 기준으로 감소된 혈청 ALT 농도를 사용하여 간보호활성을 비교하였다. 10% 트윈-20을 모든 물질에 대한 담체 비히클로 사용하였다. 대조용 마우스에는 트윈-20만을 제공하였다. 혈청 ALT 이외에, 간 패널, 예컨대 T. 단백질, T. 빌리루빈, 알부민, AST, 및 담즙산을 대조물질, APAP/CCl4, SAL에 대해 T24에서 측정하였다.
Figure pat00022
표 23과 24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AST가 효능의 기준으로서 조성물(SAL)은 APAP 모델에서 비히클보다 증강된 간손상 보호를 나타냈다(즉, 60.6%). 혈청 ALT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47.1, 42.2, 42.0, 및 16.6%의 감소가 비히클 그룹과 비교하여 각각 SAL, S(오미자), A(쑥) 및 L (N931)로 처리된 마우스에 대해 관찰되었다. 가장 낮은 생존율은 쑥으로 처리된 마우스에서 관찰되었다(50%).
APAP 모델을 입증하면서, 조성물 SAL은 효능의 기준으로 혈청 ALT를 사용하는 CCl4 모델에서 300mg/kg 투여량으로 각각의 개별 성분보다 더 높은 간보호를 나타냈다. 또한, 효능의 기준으로 AST를 사용하여 조성물(SAL)은 비히클보다 증강된 손상보호를 나타냈다(즉, 32.5%). 이 모델의 모든 그룹에서 생존율은 100%였다.
Figure pat00023
표 24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조성물 SAL은 비히클 처리된 APAP 양성 마우스와 비교하여 비교된 APAP 모델에서 담즙산, T. 빌리루빈 및 T. 단백질 같은 간 관련 바이오마커의 향상을 나타냈다. 마찬가지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담즙산 클리어런스(clearance)가 비히클 그룹과 비교하여 CCl4 모델에서 조성물 SAL로 처리된 마우스에서 관찰되었다.
Figure pat00024
실시예 24: APAP CCL 4 -유도성 간독성 모델에서 조성물 SAL의 효능 확인시험
간보호활성에 있어서 조성물 SAL의 우수성을 입증하는 확인시험을 APAP 및 CCl4 유도성 간독성 모델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마우스에게 조성물 SAL 400mg/kg을 경구로 강제급식하였다. 10% 트윈-20을 모든 물질에 대한 담체 비히클로 사용하였다. 대조용 마우스에게는 트윈-20만을 제공하였다. 혈청 ALT 이외에, 간 패널, 예컨대 T. 단백질, 총 빌리루빈, 직접 및 간접 빌리루빈, 알부민, 글로불린, AST, 담즙산 및 ALP를 대조군, APAP/CCl4, SAL에 대해 T24에서 측정하였다.
하기한 표 25와 26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혈청 ALT, AST, 컨쥬게이트 빌리루빈 및 담즙산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저해가 조성물 SAL로 처리한 마우스에서 관찰되었다. 이러한 저해는 비히클 처리된 그룹보다 34.0%, 44.5%, 60.0% 및 26.7%의 감소였다. 마찬가지로, 조성물 SAL은 비히클 처리된 마우스보다 혈청 ALT 농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44.0% 감소)와 AST에서 강력한 감소 경향(35.9% 감소)을 나타냈다. 종합적으로, 조성물 SAL은 자주 사용된 동물 모델에서 간손상에 대한 강력한 보호를 제공하였고, 이것을 표 27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25
Figure pat00026
Figure pat00027
실시예 25: CCL 4 -유도성 간독성 모델로부터 수집된 간 균질물 내의 산화성 스트레스 바이오마커에 대한 조성물 SAL의 효과
간보호에서 조성물 SAL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CCl4-유도성 간독성 모델을 사용하여 추가 확인 어세이를 수행하였다. 마우스에게 조성물 SAL 400mg/kg을 경구로 강제급식하였다. 10% 트윈-20을 담체 비히클로 사용하였다. 대조용 마우스에게는 트윈-20만을 제공하였다. 간 조직을 부검 직후에 수집하여 -80℃로 옮겨질 때까지 드라이아이스에서 유지하였다. 이후, 물질을 드라이아이스 내 계약 실험실(Brunswick Laboratories, 200 Turnpike Rd, MA 01772, USA)에 최종 시편 가공과 바이오마커 분석 동안 두었다. 간 글루타티온(GSH)과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타제(SOD)를 평가하였다.
글루타티온(GSH)은 과산화지질의 환원에 환원 등가물을 제공하여 자유 라디칼 손상에서 세포를 보호하는 것을 돕는 중요한 세포내 트리펩티드 티올이다. 이 과정 동안 산화된 글루타티온(GSSG)은 반응 생성물로서 형성된다. GSH 농도는 세포와 조직에서 생체내 산화제와 산화성 스트레스 농도의 표지적 바이오마커로서 사용되고 있다. 이 분석에서 GSH의 설프하이드릴 그룹은 DTNB (5,5'-디티오-비스-2-(니트로벤조산))와 반응하여 노란색을 띠는 5-티오-2-니트로벤조산 (TNB) 생성물을 생성한다. 생물학적 샘플 중에서 GSH의 양은 410 nm에서 TNB의 흡광도 측정으로 결정하였다.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타제(SOD)는 수퍼옥사이드 음이온의 산소 분자와 과산화수소로의 불균등화(dismutation) 반응을 촉매하는 금속성 효소이다. SOD는 생체 내에서 가장 중요한 항산화 효소 중 하나로 여겨진다. SOD 어세이는 비색 어세이로, 이것은 테트라졸륨염을 사용하여 잔틴 옥시다제와 잔틴으로 유도된 수퍼옥사이드 라디칼의 불균등화를 측정하고, 제공된 샘플에서 SOD의 활성을 SOD 표준물을 사용하여 만들어진 표준 곡선에 의해 정량한다. 1 유닛의 SOD는 수퍼옥사이드 라디칼의 50% 불균등화를 나타내는데 필요한 효소의 양으로 정의한다.
하기한 표 28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시험된 각각의 바이오마커의 그람 당 단백질 농도를 고려하면, 조성물 SAL은 간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타제의 증가와 관련하여 고갈된 간 글루타티온을 보충하였다. 앞서 기술된 간 패널 데이터와 함께 이러한 사실은 조성물 SAL이 CCL4-유도성 간 손상으로 유발된 산화성 스트레스로부터 간보호 활성을 갖는 것을 보여준다.
Figure pat00028
실시예 26: CCl 4 -유도성 간독성 모델에서 특정 비율의 Astragalus Membranous, Schisandra Chinensis Artemisia Capillaris 블렌드의 간보호활성의 평가
2종의 추가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합물의 간보호활성을 마우스의 CCl4 유도성 간독성 모델에서 평가하였다. Astragalus membranousSchisandra chinensis 또는 Artemisia capillaris와 1:1, 1:2, 2:1, 1:4 및 4:1 비율로 조합하였다. 표 29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황기(Astragalus)를 오미자와 블렌드했을 때, 단지 하나의 비율, 즉 1:4만이 비히클 처리된 손상 마우스와 비교하여 혈청 ALT에서 통계적으로 중요하지 않은(34.1%) 감소를 나타냈다. 이에 비하여, 황기와 쑥을 조합했을 때 더 높은 간보호가 관찰되었다. 혈청 ALT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46.3%와 57.7% 저해가 황기:쑥의 2:1 및 4:1 비율 각각에서 관찰되었다. 이 모델에서 시험된 모든 비율에 대해 생존율은 100%였다.
표 29
Figure pat00029
따라서, 본 화합물의 입체이성체, 약학적 또는 영양의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토토머, 글리코시드 및 프로드럭을 포함한, 간 건강 관리에 유용한 화합물과 조성물의 특정 구체예와 방법은, 간 건강을 향상하고 유지하는 관련 방법과 함께 본 원에 기술되었다. 그러나, 당업자들에게 이미 기술된 것들 이외의 더많은 변형들이 본 원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고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요지는 본 원 명세서의 사상을 제외하고 한정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명세서와 청구범위를 해석하는데 있어서, 모든 용어는 내용과 일치하는 가능한 가장 폭넓은 방식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특히, "포함하다"와 "함유하다"란 용어는 비배타적 방식으로 요소, 성분, 또는 단계를 지칭하는 것으로 해석되어 언급된 요소, 성분 또는 단계가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른 요소, 성분 또는 단계이거나 이를 사용하거나 조합할 수 있다.
참고문헌
하기한 참조문헌 각각은 이미 본 원에 기술된 참고문헌들의 전체 인용이다. 이러한 참고문헌 각각은 그 전체가 참조로 본 원에 포함되어 있다.
1. Ajith TA, Hema U, Aswathy MS. Zingiber officinale Roscoe prevents acetaminophen-induced acute Hepatotoxicity by enhancing hepatic antioxidant status. Food Chem. Toxicol. 2007; 45:2267-2272.
2. Albano E., Lott A.K., Slater T.F., Stier A., Symons M.C.R., and Tomasi A. (1982) Spin trapping studies on the free radical products formed by metabolic activation of carbon tetrachloride in rat liver microsomal fractions, isolated hepatocytes and in vivo. Biochem. J. 204:593-603.
3. Amat N, Upur H, Blazekovic B. In vivo hepatoprotective activity of the aqueous Extract of Artemisia absinthium L. against chemically and immunologically induced liver injuries in mice. J Ethnopharmacol. 2010; 131(2):478-84
4. An RB, Sohn DH, Kim YC. Hepatoprotective compounds of the roots of Cudrania tricuspidata on tacrine-induced cytotoxicity in Hep G2 cells. Biol Pharm Bull. 2006; 29(4):838-40.
5. Bajt ML, Cover C, Lemasters JJ, Jaeschke H. Nuclear translocation of endonuclease G and apoptosisinducing factor during acetaminophen-induced liver cell injury. Toxicol. Sci. 2006; 94:217-225.
6. Bajt ML, Farhood A, Lemasters JJ, Jaeschke H. Mitochondrial bax translocation accelerates DNA fragmentation and cell necrosis in a murine Model of acetaminophen hepatotoxicity. J. Pharmacol. Exp. Ther. 2008; 324:8-14.
7. Bajt ML, Ramachandran A, Yan HM, Lebofsky M, Farhood A, Lemasters JJ, Jaeschke H. Apoptosisinducing factor modulates mitochondrial oxidant stress in acetaminophen hepatotoxicity. Toxicol. Sci. 2011; 122:598-605.
8. Cha JD, Moon SE, Kim HY, Lee JC, Lee KY. The essential oil isolated from Artemisia Capillaris prevents LPS-induced production of NO and PGE(2) by inhibiting MAPK-mediated pathways in RAW 264.7 macrophages. Immunol Invest. 2009; 38:483-97.
9. Chamulitrat W., Blazka M.E., Jordan S.J., Luster M.I., and Mason R.P. (1995) Tumor necrosis factor-alpha and nitric oxide production in endotoxin-primed rats administered carbon tetrachloride. Life Sci. 57:2273-2280.
10. Chamulitrat W., Jordan S.J., and Mason R.P. (1994) Nitric oxide production during endotoxic shock in carbon tetrachloride-treated rats. Mol. Pharmacol. 46:391-397.
11. Cheeseman K.H., Davies M.J., Emery S., Maddix S.P., and Slater T.F. (1987) Effects of alpha-tocopherol on carbon tetrachloride metabolism in rat liver microsomes. Free Radic. Res. Commun. 3:325-330.
12. Choi JH, Kim DW, Yun N, Choi JS, Islam MN, Kim YS, et al. Protective effects of hyperoside against carbon tetrachloride-induced liver damage in mice. J Nat Prod. 2011; 74:1055-60.
13. Choi MK, Han JM, Kim HG, Lee JS, Lee JS, Wang JH, Son SW, Park HJ, Son CG. Aqueous extract of Artemisia capillaris exerts hepatoprotective action in alcohol-pyrazole-fed rat model. J Ethnopharmacol. 2013; 147(3): 662-70
14. Chu CY, Tseng TH, Hwang JM, Chou FP, Wang CJ. Protective effects of capillarisin on tert-butylhydroperoxide-induced oxidative damage in rat primary hepatocytes. Arch Toxicol. 1999; 73:263-8.
15. Colby, SR. Calculating Synergistic and Antagonistic Responses of Herbicide combinations. Weeds, Vol. 15, No. 1 (Jan., 1967), pp. 20-22.
16. Cover C, Mansouri A, Knight TR, Bajt ML, Lemasters JJ, Pessayre D, Jaeschke H. Peroxynitriteinduced mitochondrial and endonuclease-mediated nuclear DNA damage in acetaminophen hepatotoxicity. J. Pharmacol. Exp. Ther. 2005; 315:879-887.
17. Czaja M.J., Xu J., and Alt E. (1995) Prevention of carbon tetrachloride-induced rat liver injury by soluble tumor necrosis factor receptor. Gastroenterology 108:1849-1854.
18. Davern TJ 2nd, James LP, Hinson JA, Polson J, Larson AM, Fontana RJ, Lalani E, Munoz S, Shakil AO, Lee WM, Acute Liver Failure Study Group. Measurement of serum acetaminophen-protein adducts in patients with acute liver failure. Gastroenterology. 2006; 130:687-694
19. Feng G, Wang X, You C, Cheng X, Han Z, Zong L, Zhou C, Zhang M. Antiproliferative potential of Artemisia capillaris polysaccharide against human nasopharyngeal carcinoma cells. Carbohydr Polym. 2013; 15;92(2):1040-5.
20. Han KH, Jeon YJ, Athukorala Y, Choi KD, Kim CJ, Cho JK, et al. A water extract of Artemisia Capillaris prevents 2,2’-azobis(2-amidinopropane) dihydrochloride-induced liver damage in rats. J Med Food. 2006; 9:342-7.
21. Hanawa N, Shinohara M, Saberi B, Gaarde WA, Han D, Kaplowitz N. Role of JNK translocation to mitochondria leading to inhibition of mitochondria bioenergetics in acetaminophen-induced liver injury. J. Biol. Chem. 2008; 283:13565-13577.
22. He CS, Yue HY, Xu J, Xue F, Liu J, Li YY, Jing HE. Protective effects of capillary artemisia polysaccharide on oxidative injury to the liver in rats with obstructive jaundice. Exp Ther Med. 2012; 4(4):645-648.
23. Hogade MG, Patil ks, Wadkar GH, Mathapati SS, Dhumal P. Hepatoprotective activity of Morus alba (Linn.) leaves extract against carbon tetrachloride induced hepatotoxicity in rats. African Journal of Pharmacy and Pharmacology 2010; Vol. 4(10), pp. 731-734,
24. Hong JH, Lee IS. Cytoprotective effect of Artemisia Capillaris fractions on oxidative stress-induced apoptosis in V79 cells. Biofactors. 2009; 35:380-8.
25. Hong SH, Seo SH, Lee JH, Choi BT. The aqueous extract from Artemisia capillaris Thunb. Inhibits lipopolysaccharide-induced inflammatory response through preventing NF-kappaB activation in human hepatoma cell line and rat liver. Int J Mol Med. 2004; 13(5):717-20.
26. Hu YQ, Tan RX, Chu MY, Zhou J. Apoptosis in human hepatoma cell line SMMC-7721 induced by water-soluble macromolecular components of Artemisia capillaris Thunberg. Jpn J Cancer Res. 2000; 91(1):113-7.
27. Hung HY, SC. Recent Studies and Progression of Yin Chen Hao (茵陳蒿 Yin Chen Hao), a Long-term Used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J Tradit Complement Med. 2013; 3(1): 2-6.
28. Jaeschke H, McGill MR, Ramachandran A. Oxidant stress, mitochondria, and cell death mechanisms in drug-induced liver injury: lessons learned from acetaminophen hepatotoxicity. Drug Metab. Rev. 2012a; 44:88-106.
29. Jaeschke H, Williams CD, McGill MR, Xie Y, Ramachandran A. Models of drug-induced liver injury for evaluation of phytotherapeutics and other natural products. Food Chem Toxicol. 2013 May;55:279-89.
30. Jaeschke H. Glutathione disulfide formation and oxidant stress during acetaminophen-induced hepatotoxicity in mice in vivo: the protective effect of allopurinol. J. Pharmacol. Exp. Ther. 1990; 255:935-941.
31. James LP, Letzig L, Simpson PM, Capparelli E, Roberts DW, Hinson JA, Davern TJ, Lee WM. Pharmacokinetics of acetaminophen-단백질 adducts in adults with acetaminophen overdose and acute liver failure. Drug Metab. Dispos. 2009; 37:1779-1784.
32. Jollow DJ, Mitchell JR, Potter WZ, Davis DC, Gillette JR, Brodie BB. Acetaminophen-induced hepatic necrosis. II. Role of covalent binding in vivo. J. Pharmacol. Exp. Ther. 1973; 187:195 - 202.
33. Jung HA, Park JJ, Islam MN, Jin SE, Min BS, Lee JH, et al. Inhibitory activity of coumarins from Artemisia Capillaris against 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 formation. Arch Pharm Res. 2012; 35:1021-35.
34. Kim DW, Cho HI, Kim KM, Kim SJ, Choi JS, Kim YS, et al. Isorhamnetin-3-O-galactoside protects against CCL4-Induced hepatic injury in mice. Biomol Ther. 2012; 20:406-12.
35. Kim EK, Kwon KB, Han MJ, Song MY, Lee JH, Lv N, et al. Inhibitory effect of Artemisia Capillaris extract on cytokine-induced nitric oxide formation and cytotoxicity of RINm5F cells. Int J Mol Med. 2007; 19:535-40.
36. Kim SW, Kim HW, Woo MH, Lee JH, Choi JS, Min BS.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bioactive compounds in some Artemisia capillaris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Nat Prod Sci. 2010; 16(4):233-238
37. Kon K, Kim JS, Jaeschke H, Lemasters JJ. Mitochondrial permeability transition in acetaminopheninduced necrosis and apoptosis of cultured mouse hepatocytes. Hepatology. 2004; 40:1170-1179.
38. Koo HN, Hong SH, Jeong HJ, Lee EH, Kim NG, Choi SD, et al. Inhibitory effect of Artemisia Capillaris on ethanol-induced cytokines (TNF-α, IL-1α) secretion in Hep G2 cells. Immunopharmacol Immunotoxicol. 2002; 24:441-53.
39. Kwon OS, Choi JS, Islam MN, Kim YS, Kim HP. Inhibition of 5-lipoxygenase and skin inflammation by the aerial parts of Artemisia Capillaris and its constituents. Arch Pharm Res. 2011; 34:1561-9.
40. Larson AM. Acetaminophen hepatotoxicity. Clin. Liver Dis. 2007; 11:525-548.
41. Lee HI, Seo KO, Yun KW, Kim MJ, Lee MK. Comparative study of the hepatoprotective efficacy of Artemisia iwayomogi-and Artemisia capillaris on ethanol-administered mice. J Food Sci. 2011; 76(9):T207-11
42. Loguidice A, Boelsterli UA. Acetaminophen overdose-induced liver injury in mice is mediated by peroxynitrite independently of the cyclophilin D-regulated permeability transition. Hepatology. 2011; 54:969-978.
43. Luckey S.W. and Petersen D.R. (2001) Activation of Kupffer cells during the course of carbon tetrachloride-induced liver injury and fibrosis in rats. Exp. Mol. Pathol. 71:226-240.
44. Masubuchi Y, Suda C, Horie T. Involvement of mitochondrial permeability transition in acetaminophen-induced liver injury in mice. J. Hepatol. 2005; 42:110-116.
45. McGill MR, Sharpe MR, Williams CD, Taha M, Curry SC, Jaeschke H. The mechanism underlying acetaminophen-induced hepatotoxicity in humans and mice involves mitochondrial damage and nuclear DNA fragmentation. J. Clin. Invest. 2012a; 122:1574-1583.
46. McGill MR, Williams CD, Xie Y, Ramachandran A, Jaeschke H. Acetaminophen-induced liver injury in rats and mice: Comparison of protein adducts, mitochondrial dysfunction, and oxidative stress in the mechanism of toxicity. Toxicol. Appl. Pharmacol. 2012b; 264:387-394.
47. Mitchell JR, Jollow DJ, Potter WZ, Davis DC, Gillette JR, Brodie BB. Acetaminophen-induced hepatic necrosis. I. Role of drug metabolism. J. Pharmacol. Exp. Ther. 1973; 187:185-194.
48. Nakagawa H, Maeda S, Hikiba Y, Ohmae T, Shibata W, Yanai A, Sakamoto K, Ogura K, Noguchi T, Karin M, Ichijo H, Omata M. Deletion of apoptosis signal-regulating kinase 1 attenuates acetaminophen-induced liver injury by inhibiting c-Jun N-terminal kinase activation. Gastroenterology. 2008; 135:1311-21.
49. Nelson S.D. and Harrison P.J. (1987) Roles of cytochrome P450 in chemically induced cytotoxicity. In: Guengrich F.P. (Ed.), Mammalian Cytochromes P450, CRC Press, Boca Raton, pp. 19-80.
50. Panossian A, Wikman G. Pharmacology of Schisandra chinensis Bail.: an overview of Russian research and uses in medicine. J Ethnopharmacol. 2008; 118(2):183-212.
51. Park KM, Li Y, Kim B, Zhang H, Hwangbo K, Piao DG, Chi MJ, Woo MH, Choi JS, Lee JH, Moon DC, Chang HW, Kim JR, Son JK.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ic analysis for quantitation of marker compounds of Artemisia capillaris Thunb. Arch Pharm Res. 2012; 35(12):2153-2162
52. Poyer J.L., McCay P.B., Lai E.K., Janzen E.G., and Davis E.R. (1980) Confirmation of assignment of trichloromethyl radical spin adduct detected by spin trapping during 13C carbon tetrachloride metabolism in vitro and in vivo. Biochem. Biophys. Res. Commun. 94:1154-1160.
53. Qiu Y, Benet LZ, Burlingame AL. Identification of hepatic protein targets of the reactive metabolites of the non-hepatotoxic regioisomer of acetaminophen, 3'-hydroxyacetanilide, in the mouse in vivo using two-dimensional gel electrophoresis and mass spectrometry. Adv. Exp. Med. Biol. 2001; 500:663-673.
54. Ramachandran A, Lebofsky M, Baines CP, Lemasters JJ, Jaeschke H. Cyclophilin D deficiency protects against acetaminophen-induced oxidant stress and liver injury. Free Radic. Res. 2011a; 45:156-164.
55. Renner H. (1985) The limited relevance of models used for testing human hepatic diseases and their prevention. In: Keppler E., Popper H., Bianchi L., and Reutter W. (Eds.), Mechanisms of Hepatocyte Injury and Death, MTP Press Ltd., Lancaster, pp. 311-320.
56. Reynolds E.S. (1963) Liver parenchymal cell injury. I. Initial alterations of the cell following poisoning with carbon tetrachloride. J. Cell Biol. 19:139-157.
57. Saito C, Lemasters JJ, Jaeschke H. c-Jun N-terminal kinase modulates oxidant stress and peroxynitrite formation independent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 acetaminophen hepatotoxicity. Toxicol. Appl. Pharmacol. 2010a; 246:8-17.
58. Singab AN, Ayoub NA, Ali EN, Mostafa NM. Antioxidant and hepatoprotective activities of Egyptian moraceous plants against carbon tetrachloride-induced oxidative stress and liver damage in rats. Pharm Biol. 2010; 48(11):1255-64.
59. Slater T.F. (1981) Activation of carbon tetrachloride:chemical principles and biological significance. In: McBrien D.C.H., Slater T.F. (Eds.), Free Radicals, Lipid Peroxidation and Cancer, Academic Press, London, pp. 243-270.
60. Tien YC, Liao JC, Chiu CS, Huang TH, Huang CY, Chang WT, et al. Esculetin ameliorates carbon tetrachloride-mediated hepatic apoptosis in rats. Int J Mol Sci. 2011; 12:4053-67.
61. Tirmenstein MA, Nelson SD. Subcellular binding and effects on calcium homeostasis produced by acetaminophen and a nonhepatotoxic regioisomer, 3′-hydroxyacetanilide, in mouse liver. J. Biol.Chem. 1989; 264:9814-9819.
62. Wan Y, Wu YL, Lian LH, Nan JX. Protective effect of Ornithogalum saundersiae Ait (Liliaceae) against acetaminophen-induced acute liver injury via CYP2E1 and HIF-1α. Chin. J. Nat. Med. 2012; 10:177-184.
63. Wang JH, Choi MK, Shin JW, Hwang SY, Son CG. Antifibrotic effects of Artemisia capillaris and Artemisia iwayomogi in a carbon tetrachloride-induced chronic hepatic fibrosis animal model. J Ethnopharmacol. 2012;140 (1):179-85.
64. Weddle CC, Hornbrook KR, McCay PB. Lipid peroxidation and alteration of membrane lipids in isolated hepatocutes exposed to carbon tetrachloride. J. Biol. Chem. 1976; 251:4973-4978.
65. Yang CC, Fang JY, Hong TL, Wang TC, Zhou YE, Lin TC. Potential antioxidant properties and hepatoprotective effects of an aqueous extract formula derived from three Chinese medicinal herbs against CCl(4)-induced liver injury in rats. Int Immunopharmacol. 2013; 15(1):106-13.
66. Zaher H, Buters JT, Ward JM, Bruno MK, Lucas AM, Stern ST, Cohen SD, Gonzalez FJ. Protection against acetaminophen toxicity in CYP1A2 and CYP2E1 double-null mice. Toxicol. Appl. Pharmacol. 1998; 152:193-199.
67. Zhao Y, Geng CA, Ma YB, Huang XY, Chen H, Cao TW, He K, Wang H, Zhang XM, Chen JJ. UFLC/MS-IT-TOF guided isolation of anti-HBV active chlorogenic acid analogues from Artemisia capillaris as a traditional Chinese herb for the treatment of hepatitis. J Ethnopharmacol. 2014; 156:147-54.

Claims (27)

  1. 적어도 하나의 쑥(Artemisia) 추출물, 적어도 하나의 알로에 겔 분말, 및 적어도 하나의 오미자(Schizandra) 추출물로 구성되는 식물 추출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간을 치료하고 간 건강을 유지하기 위한 조성물.
  2. 적어도 하나의 폴리머 또는 바이오폴리머가 강화된 쑥 추출물, 적어도 하나의 크로몬(chromone)이 강화된 알로에 겔 분말, 및 적어도 하나의 리그난(lignan) 및 유기산이 강화된 오미자 추출물로 구성되는 식물 추출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간을 치료하고 간 건강을 유지하기 위한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쑥 추출물과 오미자 추출물이 4:1 내지 1:4의 중량비로 블렌드된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알로에 겔 분말이 추가로 쑥 및 오미자 추출물의 혼합물과 약 5% 내지 약 50%의 중량 백분율로 블렌드된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쑥, 오미자 및 알로에 잎 겔 분말의 혼합물이 8:4:3의 비율인 조성물.
  6. 제2항에 있어서, 쑥 추출물이 500 초과의 분자량을 갖는 바이오폴리머 0.01% 내지 99.9%를 포함하는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쑥 추출물이 Artemisia absinthium , Artemisia abrotanum L., Artemisia afra , Artemisia annua L, Artemisia arborescens , Artemisia asiatica, Artemisia campestris , Artemisia deserti , Artemisia iwayomogi , Artemisia ludoviciana , Artemisia vulgaris , Artemisia oelandica , Artemisia princeps Pamp, Artemisia sacrorum, Artemisia scoparia , Artemisia stelleriana, Artemisia frigida Willd , Artemisia anethoides Mattf ., Artemisia anethifolia Weber., Artemisia faurier Nakai , Origanum vulgare , Siphenostegia chinensis,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쑥 추출물이 Artemisia absinthium , Artemisia abrotanum L., Artemisia afra , Artemisia annua L, Artemisia arborescens , Artemisia asiatica, Artemisia campestris , Artemisia deserti , Artemisia iwayomogi , Artemisia ludoviciana , Artemisia vulgaris , Artemisia oelandica , Artemisia princeps Pamp, Artemisia sacrorum, Artemisia scoparia , Artemisia stelleriana, Artemisia frigida Willd , Artemisia anethoides Mattf ., Artemisia anethifolia Weber., Artemisia faurier Nakai , Origanum vulgare , Siphenostegia chinensis, 또는 이들의 조합에서 선택된 조성물.
  9. 제2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바이오폴리머가 물, 메탄올, 에탄올, 알코올, 물이 혼합된 용매 또는 이들의 조합을 사용하여 쑥 추출물로부터 추출된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알로에 겔 분말이 Aloe arborescens , Aloe barbadensis , Aloe cremnophila , Aloe ferox , Aloe saponaria , Aloe Vera, Aloe Vera var. chinensis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조성물.
  11. 제2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크로몬 조성물이 하나 이상의 크로몬 약 0.01% 내지 약 100%를 포함하는 조성물.
  12. 제2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크로몬이 알로에신, 알로에시놀, 알로에레진 A, 알로에레진 B, 알로에레진 C, 알로에레진 D, 알로에레진 E 또는 이들의 조합에서 선택된 조성물.
  13. 제2항에 있어서, 크로몬 조성물이 약 1% 내지 약 4%의 알로에신을 포함하고, 여기서 조성물은 기본적으로 안트로퀴논을 함유하지 않고 알로에 겔은 Aloe barbadensis 또는 알로에 베라로부터 선택된 식물에서 단리되고; 적어도 하나의 크로몬은 알로에 베라 또는 Aloe ferox 또는 이들의 조합에서 단리된 조성물.
  14. 제1항에 있어서, 오미자가 Schisandra chinensis , Schisandra elongate, Schisandra glabra , Schisandra glaucescens , Schisandra henryi , Schisandra incarnate, Schisandra lancifolia , Schisandra neglecta , Schisandra nigra , Schisandra propinqua , Schisandra pubescens , Schisandra repanda , Schisandra rubriflora, Schisandra rubrifolia , Schisandra sinensis , Schisandra sphaerandra, Schisandra sphenanthera , Schisandra tomentella , Schisandra tuberculata, Schisandra vestita , Schisandra viridis , Schisandra wilsoniana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조성물.
  15. 제2항에 있어서, 오미자 추출물에서 단리된 적어도 하나의 리그난이 쉬잔드린, 데옥시쉬잔드린, γ-쉬잔드린, 슈도-γ-쉬잔드린, 우웨이지슈(Wuweizisu) B, 우웨이지슈 C, 이소쉬잔드린, 프레고미신, 에오쉬잔드린, 쉬잔드롤, 쉬잔드롤 A, 쉬잔드롤 B, 쉬산테린 A, B, C, D, E, 루브쉬산테린, 쉬산헤놀 아세테이트, 쉬산헤놀 B, 쉬산헤놀, 고미신 A, B, C, D, E, F, G, H, J, N, O, R, S, T, U, 에피고미신 O, 앤겔로일고미신 H, O, Q, T, 이글로일고미신 H, P, 앤겔로이이소고미신 O, 벤조일-고미신 H, O, P, Q, 벤조일-이소고미신 또는 이들의 조합인 조성물.
  16. 제2항에 있어서, 오미자 추출물에서 단리된 적어도 하나의 유기산이 말산, 시트르산, 시킴산(shikimic acid)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조성물.
  17. 제1항에 있어서, 식물 추출물이 줄기, 줄기 껍질, 본체, 본체 껍질, 나뭇가지, 괴경, 뿌리, 뿌리 껍질, 어린 새싹, 종자, 뿌리 줄기, 꽃 및 다른 번식기관, 잎, 다른 지상부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식물 부분으로부터 유도된 조성물.
  18. 제2항에 있어서, 식물 추출물이 줄기, 줄기 껍질, 본체, 본체 껍질, 나뭇가지, 괴경, 뿌리, 뿌리 껍질, 어린 새싹, 종자, 뿌리 줄기, 꽃 및 다른 번식기관, 잎, 다른 지상부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식물 부분으로부터 유도된 조성물.
  19.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간 보호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
  20. 제2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간 보호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
  21. 제19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간 보호제가 엉겅퀴(milk thistle), 울금, 시호, 감초, 샐비어, 뽕나무, 헛개나무속(hovenia), 짚신 나물속, 꾸지뽕나무속, 라이세움(lyceum), 감귤류, 살구속, 옐로우 무메(yellow mume), 한국 김, 민들레, 포도속, 포도씨, 산딸기속, 카멜리아, 녹차, 크릴 오일, 효모, 대두의 식물 분말 또는 식물 추출물; 단리되어 강화된 실리마린, 플라보노이드, 인지질, 티오, 피크노제놀(pycnogenol), 젤라틴, 콩 레시틴, 췌장 효소; 천연 또는 합성 N-아세틸-시스테인, 타우린, 리보플라빈, 니아신, 피리독신, 엽산, 카로텐, 비타민 A, 비타민 B2, B6, B16, 비타민 C, 비타민 E, 글루타티온, 분지쇄형 아미노산, 셀레늄, 구리, 아연, 망간, 코엔자임 Q10, L-아르기닌, L-글루타민, 포스파티딜콜린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조성물.
  2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약학적 또는 영약의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희석제 또는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
  2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식물 추출물 혼합물의 활성성분 약 0.5중량% (wt%) 내지 약 90wt%를 포함하는 조성물.
  24. 제23항에 있어서, 정제, 경질 캡슐, 연질 겔 캡슐, 분말, 그래뉼, 액체, 팅크(tincture), 사쉐이(sashay), 즉석음용제(ready to drink shot) 또는 로젠지(lozenge)로 제제화된 조성물.
  2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동물의 체중 kg당 0.01 내지 500 mg의 투여량으로 투여된 조성물.
  26. 제1항 또는 제2항의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포유동물에서 간 기능을 유지하고, 간 세포 손상을 최소화하며, 건강한 간을 촉진하고, 간 항산화 무결성(integrity)을 보호하고, 독소를 중화하고, 간 건강에 영향을 주는 자유 라디칼의 활성을 약화하고, 반응성 산소종을 포집하고, 산화 스트레스를 감소하고, 독성 대사물질의 형성을 방지하고, 간 해독 능력 및/또는 기능을 개선하고, 간을 정화하고, 간의 구조를 회복하고, 독소로부터 간 세포를 보호하고, 간의 혈액 유동과 순환을 돕고, 간 기능을 지원하고, 간을 강화 및 진정하고, 간을 완화 및 생기있게 하고, 간 통증을 경감하고, 유해한 화학물질과 유기체를 축출하고, 간의 대사과정을 지원하고, 간 장애를 경감하고, 지방간을 경감하고, 간 해독 능력을 향상하고, 간 효소를 저하하고, 천연 산화제를 제공하고, SOD를 증가하고, GSH를 증가하고, 간 세포 과산화를 감소하고, 지방산 축적을 감소하고, 건강한 항염증 과정을 유지하며, 간 면역 기능을 개선하고, 간 세포 재생을 촉진하고, 간 재생 기능을 향상하고, 담즙 방출을 자극하고, 건강한 담즙 유출을 촉진하며, 간을 회춘 및/또는 과영양, 과로, 과음 및 조기노화(over-aging)에 대해 간을 보호하기 위한 의학 조성물.
  27. 제26항에 있어서, 간 장애 또는 질환이 바이러스성 간염, 알코올성 간염, 자가면역성 간염, 알코올성 간 질환, 지방간 질환, 지방증, 지방간염,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 약물 유도성 간 질환, 간경화증, 섬유증, 간부전, 약물 유도성 간부전, 대사증후군, 간세포 암종, 담도암, 원발성 담즙성 간경화증, 담즙 모세혈관증(bile capillaries), 길버트 증후군, 황달 또는 다른 간독성 관련 증상 또는 이들의 조합인 의학 조성물.
KR1020150100561A 2015-07-15 2015-07-15 간 치료 및 간 건강 유지를 위한 조성물과 의학 조성물 KR1018653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0561A KR101865360B1 (ko) 2015-07-15 2015-07-15 간 치료 및 간 건강 유지를 위한 조성물과 의학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0561A KR101865360B1 (ko) 2015-07-15 2015-07-15 간 치료 및 간 건강 유지를 위한 조성물과 의학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9100A true KR20170009100A (ko) 2017-01-25
KR101865360B1 KR101865360B1 (ko) 2018-06-07

Family

ID=57991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0561A KR101865360B1 (ko) 2015-07-15 2015-07-15 간 치료 및 간 건강 유지를 위한 조성물과 의학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5360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68775A (zh) * 2017-02-17 2017-05-17 成都市飞龙水处理技术研究所青白江第分所 一种用于治疗脂肪肝的胶囊剂药物及其制备方法
CN110372717A (zh) * 2019-08-22 2019-10-25 吉林师范大学 从万年蒿中提取分离木脂素类化合物的方法
CN110407785A (zh) * 2019-08-12 2019-11-05 吉林师范大学 从万年蒿中提取分离倍半萜内酯类化合物的方法
KR20220104496A (ko) * 2021-01-18 2022-07-26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콩비지 미세분말 기반의 숙취 해소용 조성물
CN115887518A (zh) * 2022-12-26 2023-04-04 上海家化联合股份有限公司 青蒿提取物的抗糖化应用
WO2023157990A1 (ko) * 2022-02-17 2023-08-24 에스더포뮬러 주식회사 사람과 반려동물의 구강점막에서의 흡수율, 항산화, 항염증, 간 기능 개선을 위한 구강 필름 및 스틱젤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6484B1 (ko) 2019-02-01 2020-07-21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간 손상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6566A (ko) * 2009-02-24 2010-09-02 주식회사 유니베라 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가공된 알로에 베라 추출물, 및 가공된 알로에 베라 추출물과 밀크씨슬의 배합요법
KR20110115252A (ko) * 2010-04-15 2011-10-21 주식회사 에스에이치발효식품 간기능개선, 혈청지질농도 개선, 혈압조절 및 아토피, 피부미백에 효과적인 기능성 생약 발효물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생약 발효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4455B1 (ko) * 2006-12-20 2008-10-20 이정식 간경변, 세포 독성 개선 및 간손상 억제 활성을 갖는 혼합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TWI454261B (zh) * 2007-01-09 2014-10-01 Unigen Inc 作為治療劑之色酮類
KR20120135367A (ko) * 2011-06-03 2012-12-13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리그난 강화 오미자 추출물 제조방법 및 그 추출물, 그를 포함하는 오미자액
KR101546436B1 (ko) * 2013-07-16 2015-08-24 대한민국 쑥 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6566A (ko) * 2009-02-24 2010-09-02 주식회사 유니베라 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가공된 알로에 베라 추출물, 및 가공된 알로에 베라 추출물과 밀크씨슬의 배합요법
KR20110115252A (ko) * 2010-04-15 2011-10-21 주식회사 에스에이치발효식품 간기능개선, 혈청지질농도 개선, 혈압조절 및 아토피, 피부미백에 효과적인 기능성 생약 발효물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생약 발효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Molecular & Cellular Toxicology. 2010. Vol.6, pp.239-246.*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1. 제22권제3호 pp.291-298.* *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68775A (zh) * 2017-02-17 2017-05-17 成都市飞龙水处理技术研究所青白江第分所 一种用于治疗脂肪肝的胶囊剂药物及其制备方法
CN110407785A (zh) * 2019-08-12 2019-11-05 吉林师范大学 从万年蒿中提取分离倍半萜内酯类化合物的方法
CN110407785B (zh) * 2019-08-12 2021-05-07 吉林师范大学 从万年蒿中提取分离倍半萜内酯类化合物的方法
CN110372717A (zh) * 2019-08-22 2019-10-25 吉林师范大学 从万年蒿中提取分离木脂素类化合物的方法
KR20220104496A (ko) * 2021-01-18 2022-07-26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콩비지 미세분말 기반의 숙취 해소용 조성물
WO2023157990A1 (ko) * 2022-02-17 2023-08-24 에스더포뮬러 주식회사 사람과 반려동물의 구강점막에서의 흡수율, 항산화, 항염증, 간 기능 개선을 위한 구강 필름 및 스틱젤리
CN115887518A (zh) * 2022-12-26 2023-04-04 上海家化联合股份有限公司 青蒿提取物的抗糖化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5360B1 (ko) 2018-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265747A1 (en) Compositions, Methods, and Medical Compositions for Treatment of and Maintaining the Health of the Liver
KR101865360B1 (ko) 간 치료 및 간 건강 유지를 위한 조성물과 의학 조성물
JP7203780B2 (ja) 肝臓の治療および肝臓の健康維持のための組成物、方法および医薬組成物
Shakya Drug-induced hepatotoxicity and hepatoprotective medicinal plants: a review
CN117599123A (zh) 用于治疗肝脏和维持肝脏健康的组合物、方法和药物组合物
CN108348566A (zh) 用于治疗肝脏和维持肝脏健康的组合物、方法和药物组合物
Chivapat et al. Acute and chronic toxicity of Moringa oleifera Linn leaves extracts
RU2311917C2 (ru)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лечения и профилактики онкологических заболеваний
KR101614893B1 (ko) 항암제에 의해 유발되는 신장 독성을 억제하기 위한 황칠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KR20190118270A (ko) 미선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보호용 조성물
KR101487742B1 (ko) 표고버섯과 천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효능을 갖는 식품 조성물
KR20230172718A (ko) 땃두릅나무 및 한련초의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암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90063187A (ko) 간세포 보호용 엉겅퀴 과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